KR102563807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807B1
KR102563807B1 KR1020160151270A KR20160151270A KR102563807B1 KR 102563807 B1 KR102563807 B1 KR 102563807B1 KR 1020160151270 A KR1020160151270 A KR 1020160151270A KR 20160151270 A KR20160151270 A KR 20160151270A KR 102563807 B1 KR102563807 B1 KR 10256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smetic
stored
container body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002A (ko
Inventor
김은미
김지영
오세웅
채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5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807B1/ko
Priority to CN201720689646.4U priority patent/CN207075710U/zh
Publication of KR2018005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63Removing cosmetic substances, e.g. make-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구비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는 각각 서로 상이한 내용물이 수납되고,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내용물보다 더 높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이한 내용물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조화장품은 용모를 아름답게 변화시켜 피부를 아름답게 연출시키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된다.
베이스 메이크업에는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화장품 중, 2가지 이상의 화장료가 함께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젤 또는 밤 타입 등의 화장료는, 화장료와 더불어 이를 지우기 위한 리무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화장료는 브러시부재를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젤 또는 밤 제형의 특성상 브러시부재에 묻은 내용물이 급격히 굳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으며, 브러시부재에 묻은 화장료의 세척을 위한 리무버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무버를 별도로 휴대 시 분실의 가능성도 크다.
또한, 밤 타입의 고체형 제형과, 리퀴드한 내용물을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 우수한 화장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가령 눈썹용 화장, 컨실러 등이 그러한 예이다. 눈썹의 앞섬과 뒷섬을 각각 점도 있는 리퀴드 제형과 밤 타입의 날카로운 눈썹 표현이 가능함으로써, 우수한 화장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컨실러의 경우 잡티 커버용 고경도의 밤 제형과, 다크서클 커버용 저점도 리퀴드 제형을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 우수한 화장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부재가 구비됨에 의해 화장료와 이를 제거할 수 있는 리무버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의 분리부재를 내용물보다 더 높게 구비하여 제1 공간과 제2 공간 각각의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구비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는 각각 서로 상이한 내용물이 수납되고,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내용물보다 더 높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공간에는 화장료가 수납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화장료를 세척할 수 있는 리무버가 함침된 함침부재가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는, 젤(Gel) 또는 밤(Balm) 타입의 고체 성상의 제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동심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간이 내측 동심원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간이 외측 동심원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공간은, 내주면에 상기 함침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공간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면에 뚜껑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구비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에는 화장료가 수납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화장료를 세척할 수 있는 리무버가 함침된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부재가 구비됨에 의해 화장료와, 화장료를 지우거나 브러시부재의 세척을 위한 리무버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하여 수납함으로써, 브러시부재를 자주 세척할 수 있게 되어 브러시부재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의 분리부재를 내용물보다 더 높게 구비하여 제1 공간과 제2 공간 각각의 내용물이 누액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내용물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되어 항상 초기 상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20)와, 용기본체(20)를 밀폐하는 뚜껑(1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20)는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2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으로 구획하는 분리부재(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으로 구획된 용기본체(20)는 각각 서로 상이한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에 각각 수납된 내용물이 섞이지 않도록 내용물보다 분리부재(23)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공간(24)에는 화장료(40)가 수납될 수 있으며, 제2 공간(25)에는 제1 공간(24)에 수납된 화장료(40)를 세척할 수 있는 리무버가 함침된 함침부재(50)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간(24)에 수납된 화장료(40)는 젤 또는 밤 제형일 수 있으며, 제2 공간(25)에 수납된 함침부재(50)는 화장료(40)가 묻은 브러시부재(60, 도 3 참조)를 세척하거나 화장료(40)를 지울 수 있는 리무버가 함침될 수 있다. 또는, 제2 공간(25)에 저점도의 리퀴드 제형을 함침부재(50)에 함침시킴으로써, 서로 상이한 화장 효과를 가지는 두 가지 제형을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에 각각 수납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1 공간(24)에 수납된 화장료(40)가 젤 제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용기본체(20)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되며, 분리부재(23)에 의해 구획된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은 동심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젤 제형의 화장료(40)가 수납된 제1 공간(24)이 내측 동심원에 구비될 수 있으며, 리무버가 함침된 함침부재(50)가 수납된 제2 공간(25)이 외측 동심원에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젤 제형의 화장료는 브러시부재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젤 제형의 특성상 브러시부재에 묻은 젤 제형의 화장료가 급속도로 굳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용기본체에 수납된 젤 제형의 화장료가 너무 많아서 화장료를 다 사용하기도 전에 화장료가 굳어버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20)를 제1 공간(24)과 제2 공간(25)으로 구획하고, 각각에 젤 제형의 화장료(40)와 브러시부재(60)를 세척하는 리무버가 함침된 함침부재(50)를 수납함으로써, 기존 대비 화장료(40)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화장료(40)를 소진할 때까지 굳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20)에 브러시부재(60)에 묻은 화장료(40)를 세척할 수 있는 함침부재(50)가 화장료(40)와 별도로 수납됨에 의해 손쉽게 브러시부재(60)를 세척 가능하다. 여기서, 제2 공간(25)의 함침부재(50)에 함침된 리무버는 브러시부재(60)를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료(40)를 직접 지울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측동심원에 구비된 제1 공간(24)에 화장료(40)가 수납되고, 외측동심원에 구비된 제2 공간(25)에 함침부재(50)가 수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각의 수납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함침부재(50)는 스펀지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제2 공간(25)의 형태와 같이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을 띨 수 있다. 이때, 함침부재(50)는 제2 공간(25)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함침부재(50)가 제2 공간(2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공간(25)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돌기(22)는 제2 공간(25)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돌기(22)가 구비된 제2 공간(25)에 함침부재(50)를 수납함으로써, 각각의 돌기(22)가 분리부재(23) 방향으로 함침부재(50)를 가압하게 되어 함침부재(50)가 제2 공간(2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함침부재(50)는 제1 공간(24)에 수납된 화장료(40)와 동일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공간(24)에 수납된 화장료(40)가 젤 또는 밤 제형의 고체형 아이라이너인 경우, 검정색, 회색 및 갈색 등의 진한 색 위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공간(25)에 수납된 함침부재(50) 역시 화장료(40)와 같은 검정색, 회색 및 갈색 등의 진한 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간(24)에 수납된 화장료(40)는 아이라이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함침부재(50) 역시 화장료(40)와 동일한 색상으로 구비되어 오염되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함침부재(50)에 브러시부재(60)를 닦아 브러시부재(60)에 묻은 화장료(40)를 세척하므로, 사용을 거듭할수록 함침부재(50)에는 화장료(40)가 점차적으로 많이 묻어나게 된다. 이때, 함침부재(50)가 밝은 색으로 구비되는 경우, 브러시부재(60)를 클렌징한 뒤에 지저분해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함침부재(50)를 화장료(40)와 유사한 색상으로 구비함으로써, 브러시부재(60)를 반복적으로 세척하더라도 오염되어 보이지 않아서 처음과 같은 상태로 깔끔하게 보일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25)의 상단부에는 가스켓(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30)은 제2 공간(25)에 수납된 함침부재(50)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함침부재(50)를 사용할 시에만 가스켓(30)을 개방하고, 화장료(40)의 사용 중에는 함침부재(50)를 커버하도록 가스켓(30)으로 덮어둘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공간(25)에 수납된 함침부재(50)에 함침된 리무버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리무버가 공기 중으로 휘발됨에 따라 사용 기간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용기본체(20)의 개구부는 용기본체(2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 외면에는 뚜껑(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1)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10)의 내주면에는 결합부(21)와 대응하는 나사산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뚜껑(10)은 용기본체(20)의 결합부(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뚜껑(10)과 용기본체(20)의 결합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 구조에 의해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2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분리부재(23)에 의해 구획된 제1 공간(24)과 제2 공간(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간(24)에는 화장료(40)가 수납되고, 제2 공간(25)에 리무버가 함침된 함침부재(50)가 수납될 수 있다.
분리부재(23)는 용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원형의 벽 형태를 띨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은 동심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24)은 내측 동심원에 구비되고, 제2 공간(25)은 외측 동심원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브러시부재(60)를 이용하여 제1 공간(24)에 수납된 화장료(40)를 사용하는 경우, 제2 공간(25)에 수납된 리무버 성분이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2 공간(25) 상단부에는 가스켓(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스켓(30)은 제2 공간(25)을 커버하도록 도넛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20)의 개구부 및 분리부재(23)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30)은 용기본체(20)에 뚜껑(10, 도 1 참조)을 결합하여 보관 시에 뚜껑(10)에 의해 가압되어 제2 공간(25)을 더욱 밀폐시킬 수 있으며, 제1 공간(24) 또는 제2 공간(25)의 내용물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젤 제형의 화장료(40)는 제1 공간(24)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함침부재(50)는 제2 공간(25)의 내주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돌기(22)에 의해 가압되어 제2 공간(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부재(23)의 높이는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 각각에 수납된 화장료(40) 및 함침부재(5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장료(40) 또는 함침부재(50)가 누액되거나 내용물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젤 제형의 화장료(40) 및 리무버가 함침된 함침부재(50)로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에는 각각 상이한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공간(24) 및 제2 공간(25)에는 다양한 제형 및 종류의 각각 상이한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뚜껑 20 : 용기본체
21 : 결합부 22 : 돌기
23 : 분리부재 24 : 제1 공간
25 : 제2 공간 30 : 가스켓
40 : 내용물 50 : 함침부재
60 : 브러시부재 100 : 화장품 용기

Claims (8)

  1.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 공간이 구비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기 내부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는 각각 서로 상이한 내용물이 수납되고,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내용물보다 더 높게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2 공간으로 둘러싸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에는 화장료가 수납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화장료를 세척할 수 있는 리무버가 함침된 함침부재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젤(Gel) 또는 밤(Balm) 타입의 고체 성상의 제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동심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공간이 내측 동심원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공간이 외측 동심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은,
    내주면에 상기 함침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면에 뚜껑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삭제
KR1020160151270A 2016-11-14 2016-11-14 화장품 용기 KR10256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70A KR102563807B1 (ko) 2016-11-14 2016-11-14 화장품 용기
CN201720689646.4U CN207075710U (zh) 2016-11-14 2017-06-14 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70A KR102563807B1 (ko) 2016-11-14 2016-11-14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02A KR20180054002A (ko) 2018-05-24
KR102563807B1 true KR102563807B1 (ko) 2023-08-07

Family

ID=6142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270A KR102563807B1 (ko) 2016-11-14 2016-11-14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63807B1 (ko)
CN (1) CN207075710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6538B2 (ja) * 1996-07-05 2006-10-25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KR101324263B1 (ko) 2012-05-04 2013-11-01 김진기 화장품용기의 기밀링
KR200473967Y1 (ko)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527694B1 (ko) 2014-12-23 2015-06-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6538B2 (ja) * 1996-07-05 2006-10-25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KR101324263B1 (ko) 2012-05-04 2013-11-01 김진기 화장품용기의 기밀링
KR200473967Y1 (ko)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527694B1 (ko) 2014-12-23 2015-06-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02A (ko) 2018-05-24
CN207075710U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7447B1 (en) Compact container for receiving two kinds of cosmetics
KR101734181B1 (ko) 두 가지 화장료가 수용되는 콤팩트 용기
US10413040B2 (en) Finger insertion mascara container comprising wiper having corrugated tube formed thereon
KR101836208B1 (ko)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화장품 용기
CN111770701A (zh) 化妆品容器
KR20190030618A (ko) 화장품용 콤팩트 용기
CN111083921A (zh) 便携式化妆盒
JPWO2005089588A1 (ja) 塗布体付き容器
EP3047753A1 (en) Liquid content container comprising tension member
KR101855918B1 (ko) 도포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96832B1 (ko) 화장품 용기
KR102563807B1 (ko) 화장품 용기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101971920B1 (ko)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USRE38016E1 (en) Application unit for a lipstick-type product
KR10233227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4860Y1 (ko) 화장 용기
KR200466939Y1 (ko) 디아이와이 화장품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2508282B1 (ko) 복수의 화장료를 표현할 수 있는 화장용구
KR101855921B1 (ko) 화장료의 농도 유지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765715B1 (ko) 다색의 겔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립글로즈 용기
KR101318678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34175B1 (ko) 블렌딩 어플리케이터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