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293B1 -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293B1
KR102563293B1 KR1020220053520A KR20220053520A KR102563293B1 KR 102563293 B1 KR102563293 B1 KR 102563293B1 KR 1020220053520 A KR1020220053520 A KR 1020220053520A KR 20220053520 A KR20220053520 A KR 20220053520A KR 102563293 B1 KR102563293 B1 KR 102563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flected
sensor
ligh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은
김민선
이현진
김래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플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플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01N33/442Resins; Pla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01N2021/1725Modulation of properties by light, e.g. phot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8Optical fibres; light 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8Miscellaneous
    • G01N2201/1085Using optical fibre array and scan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는, 측정 대상으로 광을 발생시켜서 측정 대상의 종류를 인식 및 판별하기 위한 판별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측정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는 광 감지부 및 광 감지부와 연결되며, 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통해 측정 대상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DEVICE FOR DETERMINING TYPE OF MEASUREMENT OBJECT}
본 발명은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optical fiber)를 이용하여 최대한 많은 측정 대상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측정 대상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활용제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중 대표적인 것으로 PET, PE, PP, ABS, PVC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활용하는 순서를 간단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폐기물 업체가 플라스틱을 수집하고, 수집된 플라스틱을 수집업체로 전달한다. 그 다음, 분리업체를 통해서 재활용가능한 플라스틱을 분리한다. 그 다음, 압출업체 및 사출업체를 통해서 분리된 플라스틱의 형태를 변경한다.
여기서, 플라스틱은 원자재로서 규격화되어 있다.
종래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는 플라스틱 플레이크와 같은 측정 대상을 개별적으로 하나의 재질로 인식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1000개 중 900개가 PET이고 50개가 PS이고 50개가 PE인 것으로 판별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를 사용하여 플라스틱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에서 필터망에 분순물이 많이 걸리므로, 플라스틱의 종류의 판별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플라스틱의 재활용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적,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의 경우에는 한 번에 많은 양의 플라스틱을 전수 조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결국, 많은 양의 플라스틱을 전수조사(분류과정) 할 때, 생산성이 저하되어 플라스틱의 종류 판별 및 이를 통환 플라스틱의 재활용에 대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대한 많은 플라스틱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플라스틱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0589호(2011.08.3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의 센서를 이용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측정 대상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과 같은 측정 대상의 더욱 세부적인 종류에 대해 판별을 진행함에 따라 알 수 있는 혼입율을 최소한의 센서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측정 대상으로 광을 발생시켜서 측정 대상의 종류를 인식 및 판별하기 위한 판별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측정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는 광 감지부 및 광 감지부와 연결되며, 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통해 측정 대상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 감지부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일부의 반사광을 통과시켜서 측정 대상에 대한 감지 결과를 센서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광 감지부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도록 복수 개의 광섬유가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1 플레이트에 의해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에 비하여 적은 개수의 반사광을 통과시켜 측정 대상에 대한 감지 결과를 센서로 전달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플레이트에는 제1 플레이트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제2 플레이트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플레이트에 의해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관통홀과 일치되는 반사광 만을 통과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는 센서와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제2 플레이트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플레이트는 회전 구동부재에 의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관통홀과 일치되는 반사광 만을 통과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구동부재는 제2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텝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관통홀에는, 관통홀을 통과하는 반사광을 모아주는 집광부재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광 감지부는,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된 복수 개의 광섬유를 일자 형태로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정렬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는 제2 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며, 센서와 연결되어 제2 플레이트를 통과한 반사광을 센서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플레이트는 센서와 광섬유에 의해 연결되고, 광섬유는, 센서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제1 연결부로부터 복수 개로 분기되어 제3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 감지부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감지부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며, 케이싱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가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싱의 상단부로 노출되는 광섬유는 센서와 연결되고, 케이싱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광섬유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센서는 근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는, 광 감지부가 여러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종래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에 비하여 플라스틱 등의 측정 대상의 종류를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더욱이, 플라스틱과 같은 측정 대상의 더욱 세부적인 종류에 대해 판별을 진행함에 따라 알 수 있는 혼입율을 최소한의 센서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는, 광 감지부가 적층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측정 대상을 판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noise)를 줄일 수 있어서 측정 대상의 판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가 케이싱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100,100-1; 이하 '판별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100-1)는 플라스틱 등의 측정 대상(102)의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된 측정 대상(102)의 혼입율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측정 대상(102)은 테이블(101; table) 등에 놓인 상태에서 판별장치(100,100-1)에 의해 판별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측정 대상(102)은 적어도 일면이 폐쇄된 박스(BOX) 형태의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어 측정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 등의 상측에 놓인 상태에서 판별장치(100)에 의해 판별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는 광 감지부(110) 및 센서(120)를 포함한다.
광 감지부(110)는 측정 대상(102)으로부터 반사되는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측정 대상(102)에는 할로겐(halogen) 및 LED 등으로 마련된 광 발생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된 광이 조사된다. 광 발생부로부터 측정 대상(102)을 향해서 발생된 광은 측정 대상(102)의 일면에 부딪힌 이후에 조사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광 발생부로부터 측정 대상(102)을 향해 조사된 광은 복수 개의 측정 대상(102)은 물론 하나의 측정 대상(102)의 여러 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다수 개의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광 감지부(110)가 측정 대상(102)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광 감지부(11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와 A'사이의 감지 영역 안에 위치된 측정 대상(102)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은 모두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광 감지부(11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111,113)가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광 감지부(110)에는 센서(120)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센서(120)는 광 감지부(110)의 최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광 감지부(110)에 포함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111,113) 중에서 최 하측에 위치된 플레이트(111)에 의해 측정 대상(102)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반사광은 최 상측에 위치된 플레이트(113) 및 최 상측의 플레이트(113)와 연결된 센서(120)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120)는 광 감지부(110)와 연결되며, 광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전달 받아서 측정 대상(102)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에서 센서(120)는 근적외선 센서(NIR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센서(120)는 광섬유(opticla fiber)를 이용하여 광 감지부(110)와 연결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판별장치(100)는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광 감지부(110) 및 센서(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광 감지부(110)로부터 감지되어 센서(120)로 전달된 측정 대상(102)의 감지 결과를 전송 받는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송 받은 측정 대상(10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측정 대상(102)의 종류 및 혼입율 등을 파악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111,113)가 적층되어 형성된 광 감지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 감지부(110)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111,113)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회전되는데, 제어부(130)가 플레이트의 회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에서 광 감지부(110,110-1)는 적층된 플레이트(111,113)의 개수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광 감지부(110)는 측정 대상(102)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일부의 반사광 만을 통과시켜서 측정 대상(102)에 대한 감지 결과를 센서(120)로 전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부(110)는 2개의 플레이트(111,113)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감지부(110)는 1개의 제1 플레이트(111) 및 1개의 제2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1)는 측정 대상(102)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감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를 위해, 제1 플레이트(111)에는 복수 개의 광 섬유(112)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 섬유(112)는 제1 플레이트(111)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광 섬유(112)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0개 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마련되는 광 섬유(112)의 개수에 따라 테이블(101) 위에 놓인 측정 대상(102)의 측정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개의 광 섬유(112)에 의한 측정 범위는 테이블(101)에 놓인 측정 대상(102)의 전체 영역을 포함하는 A-A' 영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섬유(112)는 제1 플레이트(111)에 관통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제1 플레이트(111)의 하단부로만 노출되고 상단부로는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1)의 상측에는 제2 플레이트(113)가 위치된다.
제2 플레이트(113)는 제1 플레이트(111)에 의해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에 비하여 적은 개수의 반사광을 통과시키고, 통과된 감지 결과는 센서(140)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 제2 플레이트(113)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4)은 제1 플레이트(111)에 의해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어느 하나가 관통홀(114)과 일치될 때에 관통홀(114)과 일치되는 반사광만을 통과시키게 된다.
한편, 제2 플레이트(113)에는 회전 구동부재(140)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재(140)는 제2 플레이트(113)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부재이다.
회전 구동부재(140)는 모터(motor)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플레이트(113)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갖는 부재로든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부재(140)는 제2 플레이트(11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스텝 모터(step-motor)로 마련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 구동부재(140)는 제2 플레이트(113)와 직접 연결되어 제2 플레이트(113)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부재(140)는 제2 플레이트(113)와 벨트(belt) 등의 운동 전달부재(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2 플레이트(113)에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113)는 회전 구동부재(140)에 의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 플레이트(111)에 의해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관통홀(114)과 일치되는 반사광 만이 통과되어 센서(120)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부(110)에서 제1 플레이트(111)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되고, 제2 플레이트(113)는 제1 플레이트(111)와 다르게 회전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3)는 축 결합되는데, 이 상태에서 제2 플레이트(113) 만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결합된 축에 볼 베어링(미도시)와 같은 부재를 추가로 형성하고 회전 구동부재(1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13)가 회전하는 경우, 제2 플레이트(113)와 연결된 센서(120)도 제2 플레이트(113)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플레이트(113)에는 집광부재(16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집광부재(160)는 다수 개의 반사광을 하나로 모아줌으로써 관통홀(114)을 통과하는 반사광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집광 부재(160)는 제2 플레이트(113)의 관통홀(114)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관통홀(114)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집광부재(160)는 광 파이버 렌즈, 볼록 렌즈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플레이트(113) 및 관통홀(114)의 형태에 따라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 감지부는(110)는 정렬 하우징(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하우징은 복수 개의 광섬유(112)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정렬 하우징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관(pipe)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광섬유(112)는 정렬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일자 형태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부(110)는 케이싱(15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광 감지부(110)는 제1 플레이트(111)의 하단부에 노출된 복수 개의 광섬유(112)의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 제1 플레이트(111), 제2 플레이트(113) 및 센서(120)가 케이싱(150)에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싱(150)의 내부에는 중공의 수용 공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150)의 수용 공간은 광 감지부(11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케이싱(150)의 내부에 센서(120)가 수용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케이싱(150)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고 수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의 경우, 케이싱(150)의 하단부에는 복수 개의 광섬유(112)가 노출될 수 있다.
케이싱(150)의 하단부로 노출된 복수 개의 광섬유(112)는 측정 대상(102)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게 된다.
참고로, 케이싱(150)의 상단부로 광섬유(미도시)가 노출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싱(150)의 상단부로 노출된 광섬유는 센서(12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120)는 케이싱(150)의 상단부로 노출되지 않고 케이싱(150)의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싱(150)의 상단부에는 어떠한 구성품도 위치하지 않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1)는 광 감지부(110-1)의 구조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1)는 광 감지부(110-1) 및 센서(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감지부(110-1)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111,113,115)가 적층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3개의 플레이트(111,113,115)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감지부(110-1)는 제1 플레이트(111), 제2 플레이트(113) 및 제3 플레이트(115)가 순서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115)는 제2 플레이트(113)의 상측에 배치되어 센서(1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3 플레이트(115)는 제1 플레이트(111)에 의해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제2 플레이트(113)의 관통홀(114)을 통과한 반사광을 센서(120)로 전달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3 플레이트(115)는 센서(120)와 광섬유(1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115)는 하나의 광섬유(121)에 의해 센서(120)와 연결된다.
다른 일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115)는 하나의 광섬유(121)가 복수 개로 분기되어 센서(1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광섬유(121)는 센서(12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211)와 제1 연결부(1211)로부터 복수 개로 분기되어 제3 플레이트(115)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제2 연결부(1212)가 제1 연결부(1211)로부터 10개로 분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연결부(1212)에서 분기되는 광섬유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10개의 광섬유로 분기된 제2 연결부(1212)는 제3 플레이트(115)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1212)는 제3 플레이트(115)를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나, 하단부에는 관통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별장치(100-1)의 경우, 케이싱(150)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112,121)가 노출될 수 있다.
케이싱(150)의 상단부로 노출되는 광섬유(121)는 센서(120)와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케이싱(150)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광섬유(112)는 측정 대상(102)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100,100-1)는, 광 감지부(110,110-1)가 여러 개의 플레이트(111,113,115)가 적층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종래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에 비하여 플라스틱 등의 측정 대상(102)의 종류를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더욱이, 측정 대상(102)의 더욱 세부적인 종류에 대해 판별을 진행함에 따라 알 수 있는 혼입율을 최소한의 센서(120)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100,100-1)는, 광 감지부(110,110-1)가 적층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측정 대상(102)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noise)를 줄일 수 있어서 측정 대상(102)에 대한 판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100-1: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101: 테이블
102: 측정 대상
110,110-1: 광 감지부
120: 센서
130: 제어부
140: 회전 구동부재
150: 케이싱
160: 집광부재

Claims (16)

  1. 측정 대상으로 광을 발생시켜서 측정 대상의 종류를 인식 및 판별하기 위한 판별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측정대상으로부터 반사되는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는 광 감지부; 및
    광 감지부와 연결되며, 광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통해 측정 대상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광 감지부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도록 복수 개의 광섬유가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되며, 제1 플레이트에 의해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에 비하여 적은 개수의 반사광을 통과시키는 제2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며, 센서와 연결되어 제2 플레이트를 통과한 반사광을 센서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3 플레이트는 센서와 광섬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광섬유는 센서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제1 연결부로부터 복수 개로 분기되어 제3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광 감지부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일부의 반사광을 통과시켜서 측정 대상에 대한 감지 결과를 센서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에는 제1 플레이트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제2 플레이트는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플레이트에 의해 감지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관통홀과 일치되는 반사광 만을 통과시키도록 마련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제2 플레이트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는 회전 구동부재에 의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수 개의 반사광 중에서 관통홀과 일치되는 반사광 만을 통과시키도록 마련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부재는 제2 플레이트의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텝 모터로 마련되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관통홀에는,
    관통홀을 통과하는 반사광을 모아주는 집광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광 감지부는,
    제1 플레이트에 연결된 복수 개의 광섬유를 일자 형태로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정렬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광 감지부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감지부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며,
    케이싱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가 노출되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케이싱의 상단부로 노출되는 광섬유는 센서와 연결되고, 케이싱의 하단부로 노출되는 광섬유는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다수 개의 반사광을 감지하도록 마련된,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센서는 근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KR1020220053520A 2022-02-03 2022-04-29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KR102563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76 2022-02-03
KR20220014376 2022-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293B1 true KR102563293B1 (ko) 2023-08-04

Family

ID=8756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520A KR102563293B1 (ko) 2022-02-03 2022-04-29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2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512A (ja) * 1993-04-06 1994-10-21 Babcock Hitachi Kk 燃焼診断装置
KR100487447B1 (ko) * 2002-06-29 2005-05-03 (주)이오니아이엔티 플라스틱 선별시스템의 광접속장치
KR20080053471A (ko) * 2005-08-18 2008-06-13 글루코스타츠 시스템 피티이 엘티디 파장선택장치
WO2011016509A1 (ja) * 2009-08-06 2011-02-10 ユニバーサル・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光ファイバ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KR101060589B1 (ko) 2010-06-23 2011-08-31 (주)이오니아이엔티 광분배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폐플라스틱의 성분 및 색상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512A (ja) * 1993-04-06 1994-10-21 Babcock Hitachi Kk 燃焼診断装置
KR100487447B1 (ko) * 2002-06-29 2005-05-03 (주)이오니아이엔티 플라스틱 선별시스템의 광접속장치
KR20080053471A (ko) * 2005-08-18 2008-06-13 글루코스타츠 시스템 피티이 엘티디 파장선택장치
WO2011016509A1 (ja) * 2009-08-06 2011-02-10 ユニバーサル・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光ファイバ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KR101060589B1 (ko) 2010-06-23 2011-08-31 (주)이오니아이엔티 광분배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폐플라스틱의 성분 및 색상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0466B2 (ja) 臭素系難燃剤判定方法、臭素系難燃剤判定装置、リサイクル方法、及び、リサイクル装置
CN104849231B (zh) 一种塑料材质在线识别的方法及装置
Huth-Fehre et al. NIR-Remote sens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rapid identification of post consumer plastics
CN107505285A (zh) 一种物料在线分选装置及其扫描成像光谱装置
US7071469B2 (en) Process for identifying objects using an optical spectrometer and a transport system
KR102563293B1 (ko) 측정 대상의 종류 판별장치
BRPI1105736A2 (pt) Dispositivo na preparação da fiação para reconhecimento de partes estranhas de plástico, tais como fitas de polipropileno, tecidos de polipropileno e laminados de polipropileno
JP2012042248A (ja) ラマン散乱信号取得装置およびプラスチック識別装置ならびにラマン散乱信号取得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識別方法
KR101060589B1 (ko) 광분배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폐플라스틱의 성분 및 색상 선별장치
JP6771190B2 (ja) 樹脂判定方法及び装置
KR20060108399A (ko)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매검지장치 및 그 방법
CN1221799C (zh) 采用手持式红外光谱仪鉴定消费者或工业用过的废弃毡层的方法和装置
CN106872393A (zh) 一种塑料废弃物中目标材质识别方法及装置
CN106793906A (zh) 自走式吸尘器
CN102046315A (zh) 机床
JPH08300354A (ja) プラスチック分別装置
MXPA98000206A (en) Identification of recirculable carpet materials using an infrared man spectrometer
CN1074947C (zh) 采用双频率光探测器的分选机
KR20130019818A (ko) 가시광 대역 플라스틱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류 시스템
JP2000356595A (ja) ラマン分光分析方法及び装置並びに選別装置
CN201004245Y (zh) 用于人民币水印的红外检测机构
JP6876983B2 (ja) 樹脂判定方法及び装置
WO2012147717A1 (ja) 樹脂識別装置
AU20082893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ust prevention in a coin handling machine
WO200706869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