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998B1 - 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 - Google Patents

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998B1
KR102562998B1 KR1020230003866A KR20230003866A KR102562998B1 KR 102562998 B1 KR102562998 B1 KR 102562998B1 KR 1020230003866 A KR1020230003866 A KR 1020230003866A KR 20230003866 A KR20230003866 A KR 20230003866A KR 102562998 B1 KR102562998 B1 KR 102562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artition
auxiliary
assembly hole
connecting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김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규 filed Critical 김대규
Priority to KR102023000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9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칸막이 패널과, 칸막이 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면이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내부의 가이드홈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암 연결빔과, 암 연결빔과 대응되도록 칸막이 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면이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수 연결빔과, 암 연결빔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걸림영역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암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며, 암 걸림단을 기준으로 상방에 상측 통과영역이 형성되는 조립홀 및, 수 연결빔의 전면에 결합되어 암 걸림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양측으로 수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ition panels are vertically disposed, and an arm connecting beam having a vertical length by being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anel and having a vertical guide groove therein. And, a male connecting beam having a vertical length by being coupl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back side of the partition panel to correspond to the female connecting beam, and penetr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emale connecting beam to have a vertical length, and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ing area The arm hooking ends protrude from each, and are combined with the assembly hole in which the upper passage area is formed above the female hooking end and the front of the male connecting beam and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arm hooking end, and the male hooking ends are on both sides. Each includes an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Description

파티션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Partition connection device {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

본 발명은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칸막이 패널을 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partition panel.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은 사무공간이나 학습공간 등의 제한된 실내공간을 분할하여 공간의 효율의 극대화로 업무의 능률 향상은 물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a parti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personal privacy as well as improving work efficiency by maximizing space efficiency by dividing a limited indoor space such as an office space or a study space.

또한, 파티션은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과정이 번거롭지 않아 실내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분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어 사무실과 같은 공간에서는 그 효용가치가 매우 높은 가구이다.In addition, the parti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divide the interior space into various forms because the process of assembling or disassembling it in various forms is not cumbersome, and it can give a neat and tidy feeling visually, so it is very useful in spaces such as offices. It is a tall piece of furniture.

이러한 파티션은 설치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공간을 수평하게 구획하는 칸막이 패널과, 칸막이 패널의 가장자리의 양측에 결합되고 대응되는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어 칸막이 패널을 서로 연결시키는 체결부재(쫄대 등) 등으로 구성된다.These partitions are coupled to a partition panel that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o partition the space horizontally, a connection fram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dge of the partition panel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coupling groove of the connection frame, respectively. It is composed of fastening members (jolders, etc.) that connect the partition panels to each other.

그런데, 종래의 파티션은 칸막이 패널을 일직선 또는 직각으로 배치시킨 후, 체결부재를 연결 프레임의 결합홈에 각각 연결시키거나 분리시켜야 하므로 조립 및 해체 작업이 번거로웠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체결부재의 조립 상태가 달라지거나 체결부재의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시공성이 좋지 않았으며, 칸막이 패널과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로 운반되므로 분실의 염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rtition, after arranging the partition panels in a straight line or at right angles, the fastening members must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grooves of the connecting frame, so assembly and disassembly work is cumbersome, and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the fastening member Workability was poor because the assembled state may change or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member may occur, and there is a concern about loss because the partition panel and the fastening member are transported in a separated stat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8537호(1999년 11월 1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파티션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8537 (November 11, 1999) discloses a partition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칸막이 패널을 쉽게 조립 및 분해시킬 수 있는 파티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partition panels.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칸막이 패널과, 상기 칸막이 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면이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내부의 가이드홈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암 연결빔과, 상기 암 연결빔과 대응되도록 상기 칸막이 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면이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수 연결빔과, 상기 암 연결빔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걸림영역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암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며, 상기 암 걸림단을 기준으로 상방에 상측 통과영역이 형성되는 조립홀 및, 상기 수 연결빔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암 걸림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양측으로 수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홀의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립홀의 걸림영역으로 하강 위치시 상기 수 걸림단이 상기 암 걸림단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 panels disposed vertically, a rear surface coupl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anel, and an arm connecting beam having a vertical length and an internal guide groove having a vertical length, , a male connecting beam having a vertical length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anel so as to correspond to the female connecting beam, and having a vertical length by penetr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emale connecting beam, the width of the engaging area Arm hooking ends protrude from both sides in the direction, and an assembly hole in which an upper passage area is formed upward based on the arm engaging end, and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le connecting beam and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arm engaging end, and both sides It includes assembly protrusions from which male hooking ends each protrude, the assembling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rough an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and when descended into the hooking area of the assembly hole, the male hooking ends engage the a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ught at the rear end of the stage.

또한, 상기 조립돌기는 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ing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 tapered portion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ront surface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front.

또한, 상기 조립홀은 상기 암 걸림단을 기준으로 하방에 하측 통과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홀의 상측 통과영역 또는 상기 조립홀의 하측 통과영역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립홀의 걸림영역으로 하강 또는 상승 위치시 상기 수 걸림단의 후단이 상기 암 걸림단의 후단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y hol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assage area below the arm engaging end, and the assembly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rough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or the low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 The rear end of the male hooking end may be hooked to the rear end of the female hooking end when descending or ascending to the hooking area of the assembly hole.

또한, 상기 암 연결빔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이를 갖는 보조 연결빔 및, 상기 보조 연결빔의 전후면과 좌우면에 결합되어 상기 암 걸림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양측으로 보조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는 보조 조립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립홀의 걸림영역에 위치시 상기 보조 걸림단이 상기 암 걸림단의 후단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connecting beam having a vertic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arm connecting beam and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arm hooking end,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protrudes to both sides, respec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rough the assembly hole, and when located in the locking area of the assembly hole, the auxiliary locking end is hooked to the rear end of the arm locking end. It can be.

본 발명은 체결부재의 결합 및 분리 과정 없이 칸막이 패널을 상승시키는 동작으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조립 및 분해 과정이 쉽고, 체결부재 결합시키는 과정 및 체결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칸막이 패널의 일부분을 분해 및 조립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조립 상태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시공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because the partition panel can be separated by an operation of raising the partition panel without the process of combining and separat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 part of the partition panel to combine the fastening member Since it does not require a process,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assembly state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so the workability is good.

또한, 본 발명은 칸막이 패널의 자중에 의해 걸림 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암 연결빔과 수 연결빔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거나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고, 체결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칸막이 패널의 체결 구조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분실의 염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nging state is maintained by the weight of the partition panel, a gap is not formed between the male and female connecting beams due to external force or the fastening force is not reduced, and the fastening structure is simple, so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And, since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partition panel is integrally forme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fear of lo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칸막이 패널을 연결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암 연결빔과 수 연결빔과 조립홀 및 조립돌기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암 연결빔과 수 연결빔과 조립홀 및 조립돌기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수 연결빔과 조립돌기 및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돌기를 조립홀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돌기를 조립홀에 삽입시킨 후 걸림영역으로 하강시켜 걸림 위치시키는 상태와, 걸림영역에 위치된 조립돌기를 상측 통과영역으로 상승시켜 걸림을 해지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홀에 상측 통과영역과 하측 통과영역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홀에 상측 통과영역과 하측 통과영역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돌기를 조립홀의 상측 통과영역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돌기를 조립홀의 상측 통과영역에 삽입시킨 후 걸림영역으로 하강시켜 걸림 위치시키는 상태와, 암 연결빔을 상승시켜 조립돌기의 걸림을 해지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보조 연결빔과 보조 조립돌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암 연결빔과 보조 연결빔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암 연결빔과 보조 연결빔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보조 연결빔과 보조 조립돌기 및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partition panels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female connecting beam, the male connecting beam, the assembly hole and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female connecting beam, the male connecting beam, the assembly hole and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ate of the male connecting beam and the assembly protrusion and fastening member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 assembly protrusion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n assembly hole.
6 i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ing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assembling hole and then lowered into the interlocking area to be engaged, and the process of lifting the assembling protrusion located in the interlocking area to the upper passage area to release the interlockin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o show th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assage region and a lower passage region are formed in an assembly hole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ass area and a lower pass area are formed in the assembly hole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 assembly protrusion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n upper passage area of an assembly hole.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ing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ing hole and then lowered into the interlocking area to be engaged, and the process of lifting the arm connecting beam to release the interlocking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This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n auxiliary connecting beam and an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bining an arm connection beam and an auxiliary connection beam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mbining an arm connection beam and an auxiliary connection beam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coupled state of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and the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and fastening member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칸막이 패널을 연결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암 연결빔과 수 연결빔과 조립홀 및 조립돌기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암 연결빔과 수 연결빔과 조립홀 및 조립돌기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수 연결빔과 조립돌기 및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돌기를 조립홀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1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partition panels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FIG. 2 is a female connecting beam, a male connecting beam, an assembly hole, and an assembly protrusion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in detail, Figure 3 is a front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female connecting beam, the male connecting beam, the assembly hole and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ing beam, the assembly protrusion, and the fastening member, an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assembly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assembly hol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돌기를 조립홀에 삽입시킨 후 걸림영역으로 하강시켜 걸림 위치시키는 상태와, 걸림영역에 위치된 조립돌기를 상측 통과영역으로 상승시켜 걸림을 해지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홀에 상측 통과영역과 하측 통과영역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홀에 상측 통과영역과 하측 통과영역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돌기를 조립홀의 상측 통과영역에 삽입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6 i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ing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assembling hole and then lowered into the interlocking area to be engaged, and the process of lifting the assembling protrusion located in the interlocking area to the upper passage area to release the interlocking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ss area and the lower pass area are formed in the assembly hole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passage region and a lower passage region are formed in an assembly hole, and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erting an assembly protrusion of a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n upper passage region of an assembly hole. am.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돌기를 조립홀의 상측 통과영역에 삽입시킨 후 걸림영역으로 하강시켜 걸림 위치시키는 상태와, 암 연결빔을 상승시켜 조립돌기의 걸림을 해지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보조 연결빔과 보조 조립돌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암 연결빔과 보조 연결빔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암 연결빔과 보조 연결빔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보조 연결빔과 보조 조립돌기 및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assembling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ing hole and then lowered into the interlocking area to be engaged, and the process of lifting the arm connecting beam to release the interlocking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giving,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and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the arm connecting beam and auxiliary connecting beam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for showing a process of combining the arm connecting beam and auxiliary connecting beam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in detail the coupled state of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of the connecting device, the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and the fastening member.

도 1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는 다수의 칸막이 패널(10)과, 암 연결빔(100)과, 수 연결빔(200)과, 조립홀(300) 및, 조립돌기(400)를 포함한다.1 to 14,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rtition panels 10, a female connecting beam 100, a male connecting beam 200, an assembly hole 300, and an assembly protrusion. (400).

칸막이 패널(10)은 사무실의 실내 공간 등을 여러 구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변이 형성되는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칸막이 패널(10)의 하단이 설치면에 수직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을 일직선 형태로 연결시키거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시켜 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수평 분할할 수 있다.The partition panel 10 is for dividing the indoor space of an office into several zones, and may have a square panel shape with four sides formed along the edge, and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anel 10 is seated vertically on the installation surface. The space can be divided horizontally in various forms by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a straight line or in an orthogonal direction.

여기서, 칸막이 패널(10)의 양면에는 일정 색상과 소재의 마감재가 결합될 수 있고, 칸막이 패널(10)의 상단에는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별도의 상부 패널(20)이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칸막이 패널(10)의 상단과 상부 패널(200)의 하단에는 암수로 대응되는 체결 구조(홈 또는 돌기 등)가 형성될 수 있다.Here, finishing materials of a certain color and material may be combin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anel 10, and a separate upper panel 20 to increase the height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top of the partition panel 10, Male and female corresponding fastening structures (grooves, protrusions, etc.)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panel 1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nel 200 .

암 연결빔(100)은 후술될 수 연결부(200)의 전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는 구성으로, 칸막이 패널(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면이 결합되고, 칸막이 패널(10)의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변이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암 연결빔(100)은 금속,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female connecting beam 100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rear surface is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anel 10, and the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anel 10 , and may have a quadrangular pillar shape in which four sides are formed along the edge. Here, the female connection beam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또한, 암 연결빔(100)의 내부에는 후술될 조립돌기(400)의 전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10)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10)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가이드홈(110)의 전방은 후술될 조립홀(300)에 의해 암 연결빔(100)의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110 is formed inside the arm connecting beam 100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the guide groove 110 may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guide The front of the groove 110 may be opened to the front of the arm connecting beam 100 by an assembly hole 300 to be described later.

수 연결빔(200)은 암 연결부(100)의 전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는 구성으로, 칸막이 패널(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면이 결합되고, 칸막이 패널(10)의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며,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변이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암 연결빔(100)은 금속,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male connecting beam 200 has a configur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emale connecting portion 100, the rear surface is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anel 10, and has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anel 10. , may have a quadrangular pillar shape in which four sides are formed along the edge. The female connecting beam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조립홀(300)은 후술될 조립돌기(400)의 전단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암 연결빔(100)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어 가이드홈(110)을 암 연결빔(100)의 전방으로 개방시키고, 조립돌기(400)의 승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암 연결빔(100)의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암 연결빔(1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assembly hole 300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and separating the front end of the assembly protrus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penetrates the front of the arm connection beam 100 in front and back to form a guide groove 110 at the front of the arm connection beam 100. , and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emale connecting beam 100 so as to enabl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and may b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emale connecting beam 100. .

또한, 조립홀(300)의 하방에는 걸림영역이 형성되고, 걸림영역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암 걸림단(310)이 각각 돌출되며, 암 걸림단(310)을 기준으로 상방에 상측 통과영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은 후술될 조립돌기(400) 및 보조 조립돌기(600)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상단이 오목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a hooking area is formed below the assembly hole 300, arm hooking ends 310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hooking area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d an upper passage area is formed above the arm hooking end 310 as a reference. do. Here,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ing hole 300 may form a curved surface with a concave upper e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s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and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to be described later.

암 걸림단(310)은 후술될 조립돌기(400)의 수 걸림단(410)을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암 걸림단(310)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조립돌기(400)가 걸림영역으로 하강되고, 암 걸림단(310)들의 사이 간격은 상측 통과영역의 좌우 간격보다 좁은 폭을 형성한다.The arm hooking end 310 is for engaging the male hooking end 410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terval between the arm hooking ends 310 forms a narrower width than the left-right interval of the upper passage area.

또한,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은 후술될 조립돌기(400)가 가이드홈(110)으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조립돌기(400)의 좌우 폭과 동일 또는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과 걸림영역은 가이드홈(110)에 의해 수직하게 연통된다.In addition,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may be formed with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assembly projection 400 so that the assembly projec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0. The upper passage area and the hanging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are in vertical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guide groove 110 .

조립돌기(400)는 조립홀(300)에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후단이 수 연결빔(2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고, 조립홀(300)의 걸림영역에 위치된 암 걸림단(310)과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수 연결빔(2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assembly hole 300, the rear end of which can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le connecting beam 200, and the arm locking end located in the locking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It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310, and a plurality may b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ing beam 200.

여기서, 조립돌기(40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조립돌기(400)의 폭방향 좌측면과 우측면은 나란하게 수직한 평면을 이룰 수 있으며, 조립돌기(400)의 상면과 하면은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Here,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may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may form a parallel vertical plan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may be A convex curved surface can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물론, 조립돌기(400)는 다양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돌기(400)는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원주면이 형성되는 원판 형태로 돌출되거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의 다각면이 동일 각도로 배열되는 다각 블록 형태 등으로 돌출될 수 있다.Of course,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may protrude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protrudes in the form of a disc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or in the form of a polygonal block in which three or more polygonal surfaces are arranged at the same angl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etc., may protrude.

또한, 조립돌기(400)의 양측으로부터 수 걸림단(410)이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수 걸림단(410)들은 암 걸림단(310)들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구성으로 조립돌기(400)를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조립돌기(400)의 전단과 함께 가이드홈(110)의 내부에 위치된다.In addition, male engaging ends 410 may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 respectively. The male hooking ends 410 are configured to be hooked at the rear ends of the female hooking ends 310, and together with the front end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when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ing hole 300. It is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110.

예를 들어, 조립돌기(400)를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조립돌기(400)의 전단과 함께 가이드홈(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조립돌기(400)를 걸림영역으로 하강시키는 경우 도 6에서처럼 수 걸림단(410)의 후단이 암 걸림단(310)의 후단에 교차된 상태로 걸림 위치된다.For example, when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ing hole 300, as shown in FIG. 400) is lowered to the hooking area, as shown in FIG. 6, the rear end of the male hooking end 410 crosses the rear end of the female hooking end 310 and is hooked.

또한, 조립돌기(400)는 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돌기(400)를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테이퍼부(411)가 조립홀(300)의 폭방향 양측과 접촉되면서 조립돌기(400)의 전단을 삽입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테이퍼부(411)가 조립돌기(400)의 전단을 조립홀(300)의 내부를 향해 사선으로 안내하므로 조립돌기(4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may further include a tapered portion 411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front. For example, when inserting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through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ing hole 300, the front end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is inserted while the tapered portion 411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assembling hole 300 in the width direction. Since the tapered portion 411 guides the front end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obliquely toward the inside of the assembling hole 300,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can be easily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는 도 4에서처럼 수 연결빔(20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조립돌기(400)의 후단이 대응되게 삽입되는 높이조절홈(210)과, 높이조절홈(21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체결홀(220)과, 조립돌기(400)의 전후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홀(420) 및, 제2체결홀(420)의 전방을 통해 제1체결홀(220)에 나사결합 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ave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le connecting beam 200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220 formed concave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210 and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or more second fastening holes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420 and a fastening member 430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220 in a screwing direction through the front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 may be further included.

높이조절홈(210)의 폭방향 양측은 조립돌기(400)의 양측과 대응되는 폭을 형성할 수 있고, 높이조절홈(210)의 폭방향 양측이 조립돌기(400)의 양측을 수직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홈(210)의 전면이 조립돌기(400)의 후단과 수직하게 밀착될 수 있다.Both sides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210 in the width direction may form a width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assembly projection 400, and both sides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210 in the width direction vertically support both sides of the assembly projection 400. It can be done, and the front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2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vertically.

제1체결홀(220)은 체결부재(430)의 삽입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2체결홀(220)은 체결부재(430)의 삽입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hole 220 may have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insertion part of the fastening member 430 is coupled in a screw-like manner,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20 may have a screw thread on the insertion part of the fastening member 430.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formed so as to be through-coupled in a coupling method.

체결부재(430)는 전방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2체결홀(420)의 전방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삽입부의 전단이 제2체결홀(420)을 통해 제1체결홀(2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430)의 후방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가 조립돌기(4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the fastening member 430, the insertion part formed in the front is screwed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 and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part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 to the first fastening hole 220. It can be coupled to the screwing method, and the head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at the rear of the fastening member 430 can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여기서, 제2체결홀(420)의 전방에는 체결부재(430)의 머리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도록 더 큰 직경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머리부의 전단에는 회전 공구(미도시)의 전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공구 결합홈(43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공구 결합홈(431)의 내주면에는 회전 공구의 전단을 결합 후 회전시킬 때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걸림면이 동일 각도를 이루면서 배열될 수 있다.Here, a seating groove having a larger diameter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420 so that the head of the fastening member 430 is inserted and positioned, and a rotary tool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A tool coupling groove 431 for coupling the shear may be formed concavely, 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ol coupling groove 431, a plurality of engaging surfaces have the same angle so that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when rotating after coupling the shear of the rotary tool. can be arranged while form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의 조립홀(300)은 도 7 내지 10에서처럼 암 걸림단(310)을 기준으로 하방에 하측 통과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홀(300)의 하측 통과영역은 상측 통과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조립돌기(400)를 조립홀(300)의 하측 통과영역 또는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가이드홈(110)으로 삽입시킬 수 있으며, 암 연결빔(100) 또는 수 연결빔(200)이 결합된 칸막이 패널(10)을 선택적으로 들어 올려 암 걸림단(310)과 수 걸림단(410)의 걸림을 해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assembly hole 300 of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assage area below the arm end 310 as shown in FIGS. 7 to 10 . In this case, the low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ssage area, and the assembly protrusion 400 passes through the lower passage area or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to guide groove 110. It can be inserted into, and the partition panel 10 to which the female connection beam 100 or the male connection beam 200 is coupled is selectively lifted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female engagement stage 310 and the male engagement stage 410. can

예를 들어, 조립돌기(400)는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 또는 조립홀(300)의 하측 통과영역을 통해 가이드홈(110)으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고, 조립홀(300)의 걸림영역으로 하강 또는 상승 위치시키는 경우 수 걸림단(410)의 후단이 암 걸림단(310)의 후단에 교차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즉 양측의 칸막이 패널(10) 중 하나를 들어올리는 경우 암 걸림단(310)과 수 걸림단(410)의 걸림 상태가 해지되므로 칸막이 패널(10)들의 조립 및 해체 과정이 편리하다.For example, the assembly protrusion 400 may b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0 through an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or a low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and When lowering or ascending to the hanging area, the rear end of the male hanging end 410 may be engaged with the rear end of the female hanging end 310 crossing each other. That is, when one of the partition panels 10 on both sides is lifted, the hooking state of the female hooking end 310 and the male hooking end 410 is released, so that the process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partition panels 10 is conveni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는 도 11 내지 14에서처럼 암 연결빔(100)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이를 갖는 보조 연결빔(500) 및, 보조 연결빔(500)의 전후면과 좌우면에 각각 결합되어 암 걸림단(310)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양측으로 보조 걸림단(610)이 각각 돌출되는 보조 조립돌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It may further includ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s 600 coupled to the surfac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arm engaging end 310, and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auxiliary engaging end 610, respectively.

보조 연결빔(500)은 암 연결부(100)의 전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는 구성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고, 가장자리를 따라 4개의 변이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금속,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arm connection part 100, has a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have a square pillar shape with four sides formed along the edge, and may have a metal, plastic, etc. It can be provided with the material of.

여기서, 보조 연결빔(500)은 일측 변이 칸막이 패널(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나, 칸막이 패널(10)과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can be us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ne-sided partition panel 10, but can be used individually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panel 10.

보조 조립돌기(600)는 조립홀(300)에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후단이 보조 연결빔(5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고, 조립홀(300)의 걸림영역에 위치된 암 걸림단(310)과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보조 연결빔(5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600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and separating the assembly hole 300, the rear end can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and the arm is located in the locking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It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tage 310, and a plurality may b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여기서, 보조 조립돌기(60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보조 조립돌기(600)의 폭방향 좌측면과 우측면은 나란하게 수직한 평면을 이룰 수 있으며, 보조 조립돌기(600)의 상면과 하면은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may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in the width direction may form a parallel vertical plane, and the top surface of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form convex curved surfaces in opposite directions.

물론, 보조 조립돌기(600)는 다양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돌기(400)는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원주면이 형성되는 원판 형태로 돌출되거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의 다각면이 동일 각도로 배열되는 다각 블록 형태 등으로 돌출될 수 있다.Of course,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may protrude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assembling protrusion 400 protrudes in the form of a disc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or in the form of a polygonal block in which three or more polygonal surfaces are arranged at the same angle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back direction. etc., may protrude.

그리고, 보조 조립돌기(60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걸림단(610)들은 암 걸림단(310)들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구성으로, 보조 조립돌기(600)를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보조 조립돌기(600)의 전단과 함께 가이드홈(110)의 내부에 위치된다.Also, the auxiliary catching ends 61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are configured to be caught at the rear ends of the arm catching ends 310, and allow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hole 300. When inserted through the region, it is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110 together with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

예를 들어, 보조 조립돌기(400)를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도 12와 13에서처럼 보조 조립돌기(600)의 전단과 함께 가이드홈(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도 12에서처럼 보조 조립돌기(600)를 걸림영역으로 하강시키는 경우 보조 걸림단(610)의 후단이 암 걸림단(310)의 후단에 교차된 상태로 걸림 위치된다.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assembly projection 40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it is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110 together with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assembly projection 600 as shown in FIGS. 12 and 13. 12, when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is lowered into the locking area,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locking end 610 crosses the rear end of the arm locking end 310, and the locking position is engaged.

또한, 보조 조립돌기(600)는 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6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조립돌기(600)를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테이퍼부(611)가 조립홀(300)의 폭방향 양측과 접촉되면서 보조 조립돌기(600)의 전단을 삽입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고, 테이퍼부(611)가 보조 조립돌기(600)의 전단을 조립홀(300)의 내부를 향해 사선으로 안내하므로 보조 조립돌기(6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 600 may further include a tapered portion 611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and gradually decreasing in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front. 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assembly projection 60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assembly projection 600 while the tapered portion 611 contacts both sides of the assembly hole 300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guid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and since the tapered portion 611 guides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assembly projection 600 obliquely toward the inside of the assembly hole 300, the auxiliary assembly projection 600 can be easily coupled.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는 도 11 내지 14에서처럼 보조 연결빔(500)의 전후면과 좌우면에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보조 조립돌기(600)의 후단이 대응되게 삽입되는 높이조절홈(510)과, 높이조절홈(51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3체결홀(520)과, 보조 조립돌기(600)의 전후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4체결홀(620) 및, 제4체결홀(620)의 전방을 통해 제3체결홀(520)에 나사결합 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재(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concave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A height adjustment groove 510 to be inserted,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holes 520 concave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510 and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s 600 )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fourth fastening holes 620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fourth fastening hole 620 and a fastening member 630 coupled to the third fastening hole 520 in the screwing direction through the front of the fourth fastening hole 620. can

높이조절홈(510)의 폭방향 양측은 보조 조립돌기(600)의 양측과 대응되는 폭을 형성할 수 있고, 높이조절홈(510)의 폭방향 양측이 보조 조립돌기(600)의 양측을 수직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홈(510)의 전면이 보조 조립돌기(600)의 후단과 수직하게 밀착될 수 있다.Both sides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510 in the width direction may form a width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auxiliary assembly projection 600, and both sides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510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auxiliary assembly projection 600. It can be supported, and the front of the height adjustment groove 5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600 vertically.

제3체결홀(520)은 체결부재(630)의 삽입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3체결홀(520)은 체결부재(630)의 삽입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fastening hole 520 may have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insertion part of the fastening member 630 is coupled in a screw-like manner,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520 has a screw thread on the insertion part of the fastening member 630.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formed so as to be through-coupled in a coupling method.

체결부재(630)는 전방에 형성된 삽입부가 제4체결홀(620)의 전방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고, 삽입부의 전단이 제4체결홀(620)을 통해 제3체결홀(5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630)의 후방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가 보조 조립돌기(6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the fastening member 630, the insertion part formed in the front is screwed through the front of the fourth fastening hole 620, and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part passes through the fourth fastening hole 620 to the third fastening hole 520. It can be coupled to the screwing method, and the head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at the rear of the fastening member 630 can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600.

여기서, 제4체결홀(620)의 전방에는 체결부재(630)의 머리부가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도록 더 큰 직경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머리부의 전단에는 회전 공구(미도시)의 전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공구 결합홈(63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공구 결합홈(631)의 내주면에는 회전 공구의 전단을 결합 후 회전시킬 때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걸림면이 동일 각도를 이루면서 배열될 수 있다.Here, a larger-diameter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fourth fastening hole 620 so that the head of the fastening member 630 is inserted and positioned, and a rotary tool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d. A tool coupling groove 631 for coupling the shear may be formed concavely, 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ol coupling groove 631, a plurality of engaging surfaces have the same angle so that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when rotating after coupling the shear of the rotary tool. can be arranged while forming

예를 들어, 보조 조립돌기(600)는 조립홀(300)의 상측 통과영역 또는 조립홀(300)의 하측 통과영역을 통해 가이드홈(110)으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고, 조립홀(300)의 걸림영역으로 하강 또는 상승 위치시키는 경우 보조 걸림단(610)의 후단이 암 걸림단(310)의 후단에 교차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즉 보조 연결빔(500)과 암 연결빔(100) 중 하나를 들어올리는 경우 보조 걸림단(610)과 암 걸림단(310)의 걸림 상태가 해지되므로 칸막이 패널(10)들을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600 may be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0 through an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or a low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300, and the assembly hole 300 In the case of lowering or ascending to the engaging area of the arm,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engaging end 610 may be engaged in a crossed state with the rear end of the arm engaging end 310 . That is, when one of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and the arm connecting beam 100 is lifted, the auxiliary hooking end 610 and the arm hooking end 310 are unhung, so that the partition panels 10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can make it

또한, 도 1에서처럼 보조 연결빔(500)을 매개로 한 쌍의 칸막이 패널(10)을 일직선으로 연결시키거나, 도 13에서처럼 보조 연결빔(500)을 매개로 다수의 칸막이 패널(10)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보조 연결빔(500)에 총 4개의 암 연결빔(100)을 결합시킬 수 있어 칸막이 패널(10)을 다양한 형태로 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FIG. 1, a pair of partition panels 10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via an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or a plurality of partition panels 10 are orthogonally connected via an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as shown in FIG. 13. A total of four arm connecting beams 100 can be coupled to one auxiliary connecting beam 500, so that the partition panel 10 can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체결부재의 결합 및 분리 과정 없이 칸막이 패널(10)을 상승시키는 동작으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조립 및 분해 과정이 쉽고, 체결부재 결합시키는 과정 및 체결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칸막이 패널(10)의 일부분을 분해 및 조립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조립 상태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시공성이 좋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by an operation of raising the partition panel 10 without coupling and separating the fastening members, so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process is easy, and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fastening members and the partition panel ( 10) does not require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parts, so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assembly state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so the workability is good.

또한, 본 발명은 칸막이 패널(10)의 자중에 의해 걸림 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암 연결빔(100)과 수 연결빔(200)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거나 체결력이 저하되지 않고, 체결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칸막이 패널(10)의 체결 구조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분실의 염려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oked state is maintained by the weight of the partition panel 10, a gap is not formed between the female connecting beam 100 and the male connecting beam 200 due to external force or the fastening force is not reduced, and fastening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since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partition panel 10 is integrally formed, it is possible to reduce concerns about los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So far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artition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vey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칸막이 패널 20: 상부 패널
100: 암 연결빔 110: 가이드홈
200: 수 연결빔 210: 높이조절홈
220: 제1체결홀 300: 조립홀
310: 암 걸림단 400: 조립돌기
410: 수 걸림단 411: 테이퍼부
420: 제2체결홀 430: 체결부재
431: 공구 결합홈 500: 보조 연결빔
510: 높이조절홈 520: 제3체결홀
600: 보조 조립돌기 610: 보조 걸림단
611: 테이퍼부 620: 제4체결홀
630: 체결부재 631: 공구 결합홈
10: partition panel 20: upper panel
100: arm connecting beam 110: guide groove
200: male connecting beam 210: height adjustment home
220: first fastening hole 300: assembly hole
310: arm locking step 400: assembly protrusion
410: male hook end 411: taper part
420: second fastening hole 430: fastening member
431: tool coupling groove 500: auxiliary connecting beam
510: height adjustment groove 520: third fastening hole
600: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610: auxiliary locking step
611: taper part 620: fourth fastening hole
630: fastening member 631: tool coupling groove

Claims (4)

수직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칸막이 패널;
상기 칸막이 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면이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내부의 가이드홈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암 연결빔;
상기 암 연결빔과 대응되도록 상기 칸막이 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후면이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는 수 연결빔;
상기 암 연결빔의 전면에 전후로 관통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고, 걸림영역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암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며, 상기 암 걸림단을 기준으로 상방에 상측 통과영역이 형성되는 조립홀; 및
상기 수 연결빔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암 걸림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양측으로 수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홀의 상측 통과영역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립홀의 걸림영역으로 하강 위치시 상기 수 걸림단이 상기 암 걸림단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되,
상기 조립홀은,
상기 암 걸림단을 기준으로 하방에 하측 통과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홀의 상측 통과영역 또는 상기 조립홀의 하측 통과영역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립홀의 걸림영역으로 하강 또는 상승 위치시 상기 수 걸림단의 후단이 상기 암 걸림단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
a plurality of partition panels disposed vertically;
an arm connection beam having a rear surface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anel to have a vertical length and an internal guide groove to have a vertical length;
a male connecting beam having a vertical length with a rear surface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artition panel to correspond to the female connecting beam;
an assembly hole penetr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arm connection beam in a vertical direction, having arm hooking end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engaging area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passage area formed above the arm engaging end; and
An assemb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le connecting beam,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emale engaging end, and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male engaging end,
The assemb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rough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and when it is lowered into the engagement area of the assembly hole, the male engagement end is engaged at the rear end of the arm engagement end,
The assembly hole is
Further comprising a lower passage area below the arm engaging end,
The assembling protrusion,
I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rough the upp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or the lower passage area of the assembly hole, and the rear end of the male engagement end is engaged with the rear end of the arm engagement end when descending or rising to the engagement area of the assembly hole. Partition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는,
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ssembling protrusion,
Partition conn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apered portion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ont side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front 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연결빔과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이를 갖는 보조 연결빔 및,
상기 보조 연결빔의 전후면과 좌우면에 결합되어 상기 암 걸림단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고, 양측으로 보조 걸림단이 각각 돌출되는 보조 조립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홀을 통해 상기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고, 상기 조립홀의 걸림영역에 위치시 상기 보조 걸림단이 상기 암 걸림단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uxiliary connecting beams having vertical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arm connecting beams,
Further comprising auxiliary assembling protrusion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auxiliary connecting beam,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arm engaging end, and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auxiliary engaging end,
The auxiliary assembly protrusion,
The partition connect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rough the assembly hole, and the auxiliary hooking end is hooked to the rear end of the arm hooking end when positioned in the hooking area of the assembly hole.
KR1020230003866A 2023-01-11 2023-01-11 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 KR1025629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866A KR102562998B1 (en) 2023-01-11 2023-01-11 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866A KR102562998B1 (en) 2023-01-11 2023-01-11 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998B1 true KR102562998B1 (en) 2023-08-02

Family

ID=8756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866A KR102562998B1 (en) 2023-01-11 2023-01-11 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99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298U (en) * 2008-12-22 2009-01-09 (주)신영아트테크 Partition connector
KR100935151B1 (en) * 2008-08-28 2010-01-06 정형택 The partition panel has the function easy assembling and separation
KR20180003026U (en) * 2017-04-12 2018-10-22 노상민 Partition faste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151B1 (en) * 2008-08-28 2010-01-06 정형택 The partition panel has the function easy assembling and separation
KR20090000298U (en) * 2008-12-22 2009-01-09 (주)신영아트테크 Partition connector
KR20180003026U (en) * 2017-04-12 2018-10-22 노상민 Partition faste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426B1 (en) Shelf engagement mechanism
CN110494616A (en) Rattan teapoy building system and bracket
US3570200A (en) Partition panel structures
US20170303687A1 (en) Column-beam connecting assembly capable of being manually assembled and frame structure assembled thereby
KR100794286B1 (en) Sectional partition
MXPA06001610A (en) Cross panel.
JP2003204827A (en) Desk system
KR102562998B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partition
JP5601620B2 (en) Pre-assembled suspended ceiling grate
KR200449569Y1 (en) The connecting device for office partitions
JPH10205178A (en) Fence
CN213898707U (en) Partition door
KR20220086929A (en) Fixing bracket for stone
KR102232848B1 (en) Furniture use horizontal hanger
CN202882255U (en) Combination handrail pillar
KR20170091909A (en) Connector for partition assembly and Partition assembly for office room
KR200294360Y1 (en) A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decoration plate stone
CN111075093A (en) Keel connecting structure for grid suspended ceiling
KR200321084Y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uro-form panel
JP4117000B2 (en) Mounting structure of support
KR101258539B1 (en) Window structure for partition wall construction system
CN212053408U (en) Keel connecting structure for grid suspended ceiling
KR20040018083A (en) A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decoration plate stone
CN212053409U (en) Grille ceiling system with illumination function
KR102123413B1 (en) A part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