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996B1 -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 Google Patents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996B1
KR102562996B1 KR1020210087595A KR20210087595A KR102562996B1 KR 102562996 B1 KR102562996 B1 KR 102562996B1 KR 1020210087595 A KR1020210087595 A KR 1020210087595A KR 20210087595 A KR20210087595 A KR 20210087595A KR 102562996 B1 KR102562996 B1 KR 10256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pattern
disposed
gap
base film
antenn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7575A (en
Inventor
주성남
장근성
이태훈
김영준
전재호
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웨이커뮤니케이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웨이커뮤니케이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웨이커뮤니케이션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8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996B1/en
Publication of KR2023000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5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9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인 제1 갭(Gap)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방사 패턴과 하나 이상의 제1 비아(Via)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인 제2 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1-1 방사 패턴과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제2-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1 방사 패턴과 하나 이상의 제2 비아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2 방사 패턴과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제2-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방사 패턴의 일부는, 상기 제1 갭에 배치되며, 상기 제2-2 방사 패턴의 일부는 상기 제2 갭에 배치된다. A magnet-typ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ilm, a 1-1 radiation including one or more first gap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attern and the base film, and is connected to the 1-1 radiation pattern through one or more first vias, and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gap, which is a reg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A first radiation pattern including a -2 radiation pattern and a 2-1 radiation patter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1-1 radiation pattern and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wherein the seco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including a 2-2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1 radiation pattern through one or more second vias and disposed not to overlap with the 1-2 radiation pattern, wherein the 2-1 radiation pattern A part of is disposed in the first gap, and a part of the 2-2 radiation pattern is disposed in the second gap.

Description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본 발명은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방사 패턴 설계 면적에 대한 유용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안테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capable of improving the usability of a radiation pattern design area, reducing the size of an entire antenna, and improving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스마트폰(Smart Phone)은 현대인들이라면 누구나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이동통신 기기이며, 이들 기기에 대한 최근의 제조 추세는 보다 얇고 가벼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현실이다.A smart phone is a representativ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ossessed by all modern people, and the recent manufacturing trend for these devices is moving toward a thinner and lighter direction.

한편, 최근의 스마트폰은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는 부가적인 부품들이 많이 실장되고 있기에 부품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나, 이는 얇고 가벼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최근의 제조 추세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며, 제조 비용까지 상승하는 역설적인 결과를 야기한다.On the other hand, recent smartphones are equipped with many additional parts that can implement more diverse functions, so securing space for installing part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 leading to the paradoxical result of rising manufacturing costs.

이에, 다양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자사의 스마트폰에 실장되는 부품들의 사이즈를 축소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안테나 역시 예외에 해당하지 않는다. Accordingly, various smartphone manufacturers are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n new technologies that can reduce the size of components mounted on their smartphones and at the same time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antennas are no exception.

한편, 이를 반영하여 최근 개발된 안테나의 대표적인 모습은 하나의 안테나 모듈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와 WPC(Wireless Power Communication) 안테나 모두를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를 통해 비접촉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충전과 더불어 다른 부품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사 패턴 설계 면적에 대한 유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체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를 더욱 축소시키고자 하는 시도와 무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바, 타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경쟁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reflecting this, the representative form of the recently developed antenna is a combo antenna module in which one antenna module includes both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and a WPC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antenna, which makes it non-contact. Along with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it is possible to secure space for installing other components, but nevertheless, attempts to further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antenna module and improv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by improving the usefulness of the radiation pattern design area Attempts are being made to make it different, because it can be a competitive edge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other competitors.

본 발명은 이를 반영하여 하나의 안테나 모듈을 통해 비접촉 근거리 통신(NFC) 및 무선 충전(WPC)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부품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압도적인 이점을 가져가고, 방사 패턴 설계 면적에 대한 유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체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축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선 충전 효율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롭고 진보된 기술의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Reflecting this,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non-contac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wireless charging (WPC) functions through one antenna module, thereby taking an overwhelming advantage in terms of securing space for component installation, and It relates to an antenna module of a new and advanced technology capable of drastically reducing the size of the entire antenna module by improving usability and dramatically improving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9390호(2018.04.2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9390 (2018.04.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안테나 모듈를 통해 비접촉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충전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부품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압도적인 이점을 가져갈 수 있는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gnet-type combo antenna module that can take an overwhelming advantage in terms of securing space for component installation by implementing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functions through one antenna modu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방사 패턴 설계 면적에 대한 유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체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축소할 수 있는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capable of dramatically reducing the size of the entire antenna module by improving the usefulness of the radiation pattern design are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 충전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타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gnet-type combo antenna module capable of providing competitiveness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etitors by dramatically improving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인 제1 갭(Gap)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방사 패턴과 하나 이상의 제1 비아(Via)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인 제2 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1-1 방사 패턴과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제2-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1 방사 패턴과 하나 이상의 제2 비아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2 방사 패턴과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제2-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방사 패턴의 일부는, 상기 제1 갭에 배치되며, 상기 제2-2 방사 패턴의 일부는 상기 제2 갭에 배치된다.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base film and the base film, and has one or more first gaps, which are area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A second gap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1-1 radiation pattern and the base film and connected to the 1-1 radiation pattern through one or more first vias, which is a reg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in A first radiation pattern including a 1-2 radiation pattern including one or more and a 2-1 radiation pattern disposed not to overlap with the 1-1 radiation pattern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including a 2-2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2-1 radiation pattern through one or more second vias and not overlapping the 1-2 radiation pattern, A portion of the 2-1 radiation pattern is disposed in the first gap, and a portion of the 2-2 radiation pattern is disposed in the second gap.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사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 및 타면에서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비아는, 상기 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radiation pattern may include empty areas formed in an inward direction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the second vias may be disposed in the empty area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사 패턴 일부의 바깥쪽 방향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그넷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라인은, 상기 제1 갭의 너비 이상으로 형성된 제1 간극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film may further include a magnet lin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nd spaced apart from a portion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n outward direction, wherein the magnet line has a width of the first gap It may include the first gap formed abo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간극은, 상기 제1 갭이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1 방사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 라인은, 상기 제2 갭이 배치된 방향에 상기 제2 갭의 너비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 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2 방사 패턴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서 상기 제2 간극과 대응되는 영역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gap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ap is disposed, the 2-1 radiation pattern is disposed therein, and the magnet line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ap is disposed. A second gap form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ap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portion of the 2-2 radiation pattern may be disposed inside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p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2 방사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서 상기 마그넷 라인과 대응되는 영역 일부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2-2nd radiation pattern may be arranged to include a portion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agnet line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방사 패턴, 보다 구체적으로 제2-1 방사 패턴 및 제2-2 방사 패턴은 각각 그 일부가 제1 방사 패턴이 포함하는 제1 갭과 제2 갭에 배치됨으로써 제1 방사 패턴과 오버랩됨이 없이 베이스 필름의 일면 및 타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는바, 하나의 안테나 모듈을 통해 무선 충전 기능과 비접촉 근거리 통신 기능 각각을 유효하게 구현함으로써 부품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압도적인 이점을 가져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more specifically, the 2-1 radiation pattern and the 2-2 radiation pattern are disposed in the first gap and the second gap included i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respectively. As a result, it can be disposed togeth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first radiation pattern, securing space for component installation by effectively implementing each of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one antenna modul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take an overwhelming advantage in terms of

또한, 제2 방사 패턴이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서 제1 방사 패턴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으로 진입하고,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서 제1 방사 패턴의 바깥쪽으로 진출하는바, 베이스 필름의 각 면에서 방사 패턴 설계 면적에 대한 유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베이스 필름 면적, 더 나아가 전체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enters an empty area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dvances outward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the radiation pattern on each surface of the base film By improving the usefulness of the design area,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ase film area and furthermore the size of the entire antenna module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제1-1 방사 패턴)의 일부의 바깥쪽 방향에 마그넷 라인을 배치함으로써 무선 충전 기능에 관한 무선 충전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무선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In addition, by arranging a magnet line on the outside of a portio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related to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which reduces the cost required for wireless charging. This can have the effect of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time.

또한, 마그넷 라인이 제1 간극 및 제2 간극을 포함하고 제1 간극에는 제2-1 방사 패턴이, 제2 간극과 대응되는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는 제2-2 방사 패턴이 배치되는바, 비접촉 근거리 통신 기능 역시 비약적으로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 line includes a first gap and a second gap, and a 2-1 radiation pattern is disposed in the first gap and a 2-2 radiation pattern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p, so that there is no contac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 is also dramatically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하면을 상면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단극 자석으로 마그넷 라인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극 자석으로 마그넷 라인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의 비접촉 근거리 통신 기능을 입증하기 위해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의 무선 충전 기능을 입증하기 위해 도시한 테이블이다.
1 is a top view of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direc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first gap.
4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gap.
5 is a top view of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ase of configuring a magnet line with a single-pole magnet.
7 is a diagram showing a case of configuring a magnet line with a multi-pole magnet as an example.
8 is a table shown to prove the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able shown to prove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of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Existence or additions are not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의 상면도이며, 도 2는 하면을 상면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보다 구체적으로 상면에서 베이스 필름(10) 상면에 배치된 구성들을 제거하고 베이스 필름(10)을 투과해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top view of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viewed from the top direction, more specifically, a base film 10 from the top surface. It is a view showing a view through the base film 10 after removing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베이스 필름(10), 제1 방사 패턴(20) 및 제2 방사 패턴(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통상적인 구성들, 예를 들어 자성체 시트(미도시) 및 그라파이트 시트(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film 10, a first radiation pattern 20 a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30, and achieves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ypical components required for this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a magnetic sheet (not shown) and a graphite sheet (not shown).

베이스 필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100)의 기본 몸체(Body)가 되는 구성으로서 유연성과 절연성을 갖는 필름,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파라비닐산 필름,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필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base film 10 is a component of the basic body of th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ilm having flexibility and insulation, more specifically, a polyimide film, a polyester film, a polypara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vinyl acid film, a polyethylene phthalate film,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and the like.

이러한 베이스 필름(10)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바, 베이스 필름(1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100)가 실장되는 이동통신 기기(미도시)의 내부 부품 실장 설계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을 것이다. Such a base film 1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as well as the shape shown in FIG. 1, and the shape of the base film 10 is mounted with th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rnal component mounting desig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제1 방사 패턴(20)은 제1-1 방사 패턴(20-1) 및 제1-2 방사 패턴(20-2)을 포함하며, 이하 제1-1 방사 패턴(20-1)부터 설명하도록 한다. The first radiation pattern 20 includes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and the 1-2nd radiation pattern 20-2,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rom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do.

제1-1 방사 패턴(20-1)은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인 제1 갭(Gap, G1)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includes one or more first gaps (Gap, G1)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in.

여기서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이란 베이스 필름(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면이 상면인 경우 타면은 하면이 되며, 일면이 하면인 경우 타면은 상면이 된다 할 것이나, 도 1을 참조하여 일면이 상면이고 도 2를 참조하여 타면이 하면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Here,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means either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when one surface is the upper surface, the other surface becomes the lower surface, and when one surface is the lower surface, the other surface becomes the upper surface, Referring to FIG. 1, the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based on the fact that one surface is the upper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s the lower surface with reference to FIG. 2.

이러한 제1-1 방사 패턴(20-1)은 구리 등과 같은 금속 도전성 물질을 패터닝하거나 구리를 함유한 금속박의 표면에 주석, 금, 니켈 또는 땜납 등을 도금하여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는바, 보다 구체적으로 압연 금속박 위에 액상 베이스 필름(10)을 뿌려서 열경화시키는 캐스팅(Casting), 베이스 필름(10)과 압연 금속박을 놓고 열압착하는 라미네이팅(Laminating), 베이스 필름(10) 상에 금속 시드층을 증착하고 금속에 녹아있는 전해질 속에 베이스 필름(10)을 넣고 전기를 흘려서 금속박을 배치하는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by patterning a metal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by plating tin, gold, nickel, or solder on the surface of a metal foil containing copper. It can be, more specifically, casting in which the liquid base film 10 is sprayed on the rolled metal foil and thermally cured, laminating in which the base film 10 and the rolled metal foil are placed and thermally compressed, and the base film 10 is applied. Depositing a metal seed layer on and placing the metal foil by placing the base film 10 in the electrolyte dissolved in the metal and flowing electricity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된 제1-1 방사 패턴(20-1)이 2시 방향에서 끊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해당 끊어진 부분이 제1 갭(G1)이며, 그에 따라 제1 갭(G1)은 제1-1 방사 패턴(20-1)의 내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으로 볼 수 있고, 제1-1 방사 패턴(20-1)은 제1 갭(G1)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it can be seen that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is cut off at the 2 o'clock direction, and the cut off part is in the first gap G1 ), and accordingly, the first gap G1 can be seen as a reg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inside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and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has a first One or more gaps G1 may be included.

제1 갭(G1)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1 방사 패턴(20-1)의 가장 안쪽 방사 패턴이 나머지 방사 패턴들을 가로질러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후술할 제2-1 방사 패턴(20-1)이 배치되어 있음과는 별개로 제1 갭(G1)의 양쪽에 하나 이상의 비아(Via)가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해당 비아가 제1 비아(V1), 보다 구체적으로 제1-1 비아(V1-1)이며, 하나 이상의 제1-1 비아(V1-1)를 통해 제1-1 방사 패턴이 제1 갭(G1)에서 끊어졌어도 베이스 필름(10) 타면에 배치된 제1-2 방사 패턴(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gap G1 , the innermost radiation patter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is disposed to face outward across the other radiation patter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part from the fact that the 2-1st radiation pattern 20-1 is disposed, it can be confirmed that one or more vias are shown on both sides of the first gap G1, and the corresponding vias are the first vias. (V1), more specifically, the 1-1 via V1-1, even if the 1-1 radiation pattern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gap G1 through one or more 1-1 vias V1-1.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adiation patterns 20-2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한편, 이와 별개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1 방사 패턴(20-1)의 7시 방향에도 하나 이상의 비아가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해당 비아 역시 제1 비아(V1), 보다 구체적으로 제1-2 비아(V1-2)이며, 이는 후술할 제1-2 방사 패턴(20-1)이 포함하는 제2 갭(G2)에서 제1-2 방사 패턴(20-2)과 제1-1 방사 패턴(20-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 again separately, it can be confirmed that one or more vias are also shown in the 7 o'clock directio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and the vias are also the first vias V1, More specifically, it is the 1-2nd via V1-2, which is the 1-2nd radiation pattern 20-2 in the second gap G2 included in the 1-2nd radiation pattern 20-1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 설명한 제1-1 방사 패턴(20-1)은 무선 충전 기능을 담당하는 WPC 패턴이며, 그에 따라 코일 타입의 방사 패턴이 복수 회 감겨진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안쪽 방향에 빈 영역(E)을 형성한다 할 것이다.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described above is a WPC pattern in charge of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accordingly, the coil-type radiation pattern is arranged in a form wound a plurality of times to form an empty area E in the inward direction. will do

한편, 제1-1 방사 패턴(20-1)이 WPC 패턴이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길이값이 요구되고,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는 제1-1 방사 패턴(20-1)의 길이에는 복수 회 감겨진 형태로 배치한다 할지라도 한계가 있으므로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서 제1-1 방사 패턴(20-1)과 하나 이상의 제1 비아(V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체로서 WPC 패턴의 길이값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사 패턴이 배치되는바, 제1-2 방사 패턴(20-2)이 그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is a WPC pattern, a length value of a certain level or more is required, and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that can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Since there is a limit to the length even if it is disposed in the form of winding a plurality of times,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10 through one or more first vias V1, As a bar, a radiation pattern that can satisfy the length value of the WPC pattern is disposed, and the first-second radiation pattern 20-2 is that.

제1-2 방사 패턴(20-2)은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 배치되며, 제1-1 방사 패턴(20-1)과 하나 이상의 제1 비아(V1)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인 제2 갭(G2)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The 1-2nd radiation pattern 20-2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is connected to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through one or more first vias V1. It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gap G2 that is a reg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여기서 제1-2 방사 패턴(20-2)은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 배치되기에 제1-1 방사 패턴(20-1)이 배치된 면과 반대쪽 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제1-2 방사 패턴(20-2)은 베이스 필름(10)의 하면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ere, since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it can be regarded as being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is disposed. Referring to FIG. 2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d second radiation patterns 20 - 2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

한편, 제1-2 방사 패턴(20-2) 역시 제1-1 방사 패턴(20-1)과 마찬가지로 구리 등과 같은 금속 도전성 물질을 패터닝하거나 구리를 함유한 금속박의 표면에 주석, 금, 니켈 또는 땜납 등을 도금하여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는바, 캐스팅, 라미네이팅, 전기도금 등과 같이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Meanwhile, like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the 1-2nd radiation pattern 20-2 is also patterned with a metal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pper or tin, gold, nickel or copper on the surface of a metal foil containing copper. Solder or the like may be plated to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known methods such as casting, laminating, and electroplating can be used.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 배치된 제1-2 방사 패턴(20-2)이 7시 방향에서 끊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해당 끊어진 부분이 제2 갭(G2)이며, 그에 따라 제2 갭(G2)은 제1-2 방사 패턴(20-2)의 내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으로 볼 수 있고, 제1-2 방사 패턴(20-2)은 제2 갭(G2)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 it can be seen that the 1-2 radiation patterns 20-2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re broken at the 7 o'clock direction, and the broken part is the second gap (G2 ), and accordingly, the second gap G2 can be viewed as a reg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inside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and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is the second One or more gaps G2 may be included.

제2 갭(G2)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제2 갭(G2)에 후술할 제2-2 방사 패턴(20-2)이 배치되어 있음과는 별개로 제2 갭(G2)의 양쪽에 하나 이상의 비아(Via)가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해당 비아가 제1 비아(V1), 보다 구체적으로 제1-2 비아(V1-2)이며, 하나 이상의 제1-2 비아(V1-2)를 통해 제1-2 방사 패턴이 제2 갭(G2)에서 끊어졌어도 베이스 필름(10) 일면에 배치된 제1-1 방사 패턴(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showing an enlarged second gap G2 , apart from the fact that a 2-2 radiation pattern 20-2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in the second gap G2, the second gap G2 It can be seen that one or more vias are shown on both sides of ), and the corresponding vias are first vias V1, more specifically 1-2 vias V1-2, and one or more 1- Through the 2 vias V1-2, even if the 1-2nd radiation pattern is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gap G2,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10. can

한편, 이와 별개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2 방사 패턴(20-2)의 2시 방향에도 하나 이상의 비아가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해당 비아 역시 제1 비아(V1), 보다 구체적으로 제1-1 비아(V1-1)이며, 이는 앞서 설명한 제1-1 방사 패턴(20-1)이 포함하는 제1 갭(G1)에서 제1-1 방사 패턴(20-1)과 제1-2 방사 패턴(20-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 again separately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one or more vias are also shown in the 2 o'clock direction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and the vias are also the first vias V1, More specifically, it is the 1-1st via V1-1, which is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in the first gap G1 included in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described above. and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radiation patterns 20-2.

이상 설명한 제1-2 방사 패턴(20-2) 역시 무선 충전 기능을 담당하는 WPC 패턴이며, 그에 따라 코일 타입의 방사 패턴이 복수 회 감겨진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안쪽 방향에 빈 영역(E)을 형성한다 할 것이고, 제1 비아(V1)를 통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된 제1-1 방사 패턴(20-1)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WPC 패턴의 길이값을 만족시킬 수 있다.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described above is also a WPC pattern responsible for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accordingly, the coil-type radiation pattern is arranged in a form wound multiple times to form an empty area E in the inward direction. The length value of the WPC pattern may be satisfi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through the first via V1.

이는 도 1 및 도 2를 오버랩(Overlap)하여 확인할 수 있는바, 도면의 복잡성으로 인해 별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 및 도 2를 오버랩한 상황을 가정하는 경우,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된 제1-1 방사 패턴(20-1)과 타면에 배치된 제1-2 방사 패턴(20-2)이 중간에 끊어진 제1 갭(G1)과 제2 갭(G2)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하나 이상의 제1 비아(V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 회 감겨진 방사 패턴들을 풀어보면 하나의 긴 방사 패턴이 됨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can be checked by overlapping FIGS. 1 and 2.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drawings, assuming a situation in which FIGS. 1 and 2 are overlapped, the base film 10 disposed on one side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and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disposed on the other side are one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first gap G1 and the second gap G2 cut in the middle. If the radiation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above first via V1 and wound multiple times are unwound, it will be easy to predict that they become one long radiation pattern.

제2 방사 패턴(30)은 제2-1 방사 패턴(30-1) 및 제2-2 방사 패턴(30-2)을 포함하며, 이하 제2-1 방사 패턴(30-1)부터 설명하도록 한다.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30 includes a 2-1 radiation pattern 30-1 and a 2-2 radiation pattern 30-2,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rom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do.

제2-1 방사 패턴(30-1)은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제1-1 방사 패턴(20-1)과 겹치지 않게 배치된다.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여기서 겹치지 않게 배치된다 함은 말 그대로 제2-1 방사 패턴(30-1)이 제1-1 방사 패턴(20-1)과 오버랩되지 않고 제1-1 방사 패턴(20-1)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만 배치된다는 의미인바, 오버랩되어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방사 패턴의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Here, the non-overlapping arrangement means that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does not overlap with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and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is not disposed. This means that the radiation patterns are disposed only in areas where the radiation patterns are overlapped, which has a fatal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each radiation pattern.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1 방사 패턴(30-1)을 제1-1 방사 패턴(20-1)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내부에 제1-1 방사 패턴(20-1)을 배치하고 베이스 필름(10)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오버랩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제2-1 방사 패턴(30-1)이 배치되기 위한 영역과 제1-1 방사 패턴(20-1)이 배치되는 영역이 별개로 요구되기 때문에 베이스 필름(10)의 면적이 넓어져 전체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is spaced apart from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is disposed inside the base film. The overlapping situation may be avoided by disposing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10), but in this case, the area for disposing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and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entire antenna module increases because the area of the base film 10 is widened because the area where the area is disposed is separately requir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이러한 상황에서 전체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키기 위해 제2-1 방사 패턴(30-1)과 제1-1 방사 패턴(20-1)이 오버랩되지 않되, 각각의 방사 패턴이 배치된 영역의 일부를 공유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2-1 radiation pattern 30-1 and a 1-1 radiation pattern in order to dramatically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antenna module in this situation. (20-1) does not overlap, but adopts a method of sharing a part of the area where each radiation pattern is arranged.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2-1 반사 패턴(30-1)이 비접촉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NFC 패턴이며, 그에 따라 코일 타입의 방사 패턴이 앞서 설명한 WPC 패턴인 제1 방사 패턴(20) 보다 적은 횟수 감겨진 형태로 배치됨을 전제하도록 한다. Prior to this description, the 2-1 reflective pattern 30-1 is an NFC pattern responsible for a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ccordingly, the coil-type radiation pattern is smaller tha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20, which is the WPC pattern described above. It is premised that it is arranged in a rolled form.

제2-1 방사 패턴(30-1)의 일부는 제1 갭(G1)에 배치된다. A part of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is disposed in the first gap G1.

여기서 제2-1 방사 패턴(30-1)의 일부가 제1 갭(G1)에 배치된다 함은 제2-1 방사 패턴(30-1)의 일부가 제1 갭(G1) 내부에서 제1-1 방사 패턴(20-1)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전체가 들어가도록 배치된다는 것인바, 앞서 설명한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2-1 방사 패턴(30-1)의 일부가 제1 갭(G1) 내부에서 제1-1 방사 패턴(20-1)의 가장 안쪽 방사 패턴 우측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제2-1 방사 패턴(30-1)이 제1-1 방사 패턴(20-1)을 가로지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다. Here, a part of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is disposed in the first gap G1 means that a part of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is disposed in the first gap G1. -1 radiation pattern 20-1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and is disposed so as to enter the entirety, referring again to FIG. 3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is part of the first gap ( It can be seen that G1) is disposed to the right of the innermost radiation patter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inside, which indicates that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is the 1-1 radiation pattern ( 20-1) can be seen as crossing.

한편, 제2-1 방사 패턴(30-1)의 일부가 제1 갭(G1) 내부에 배치되는 것과 별개로 나머지 일부는 제1-1 방사 패턴(20-1)의 바깥쪽 방향에 배치된 단자와 일단이 연결된 부분부터 제1 갭(G1) 내부에 배치된 일부가 시작되는 부분까지로 볼 수 있고, 제2-1 방사 패턴(30-1)의 타단은 제1-1 방사 패턴(10-1)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에 배치될 수 있는바, 이는 제2-1 방사 패턴(30-1)의 제1-1 방사 패턴(20-1)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으로의 진입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part from a part of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disposed inside the first gap G1,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It can be seen from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and one end are connected to the portion where the portion disposed inside the first gap G1 starts, and the other end of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is the 1-1 radiation pattern 10 -1) It may be disposed in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which is the empty area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of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 E) can be seen as being made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10).

제2-1 방사 패턴(30-1)의 타단과 관련하여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1 방사 패턴(30-1)의 타단이 제1-1 방사 패턴(20-1)의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에 배치되기는 하나, 제1-1 방사 패턴(20-1)의 가장 안쪽 방사 패턴 인근에서 제2 비아(V2)와 연결되어 끊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제2-1 방사 패턴(30-1)이 제2 비아(V2)를 통해 베이스 필름(10) 타면에 배치된 제2-2 방사 패턴(3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Referring again to FIG. 3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the other end of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is the inside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Although it is disposed in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direc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via V2 near the innermost radiation patter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The −1 radiation pattern 30-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through the second via V2.

여기서 제2 비아(V2)의 배치 위치에 대한 도 1의 도시는 예시적인 것에 해당하며, 제2 비아(V2)는 제1-1 방사 패턴(20-1)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 내라면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할 것인바, 예를 들어, 제2 비아(V2)가 제1-1 방사 패턴(20-1)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면 제2-1 방사 패턴(30-1) 역시 제1-1 방사 패턴(20-1)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의 중앙까지 배치된다 할 것이다. Here, the illustration in FIG. 1 of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cond via V2 corresponds to an example, and the second via V2 is an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For example, if the second via (V2)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the second via (V2) It will be said that the -1 radiation pattern 30-1 is also disposed up to the center of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더 나아가, NFC 패턴으로서 요구되는 길이값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2-1 방사 패턴(30-1)을 최대한으로 길게 배치해야 하는 경우, 제2-1 방사 패턴(30-1)을 제1-1 방사 패턴(20-1)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하거나 안쪽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배치한다면 요구되는 길이값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Furthermore, when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needs to be placed as long as possible to satisfy the length value required as an NFC pattern,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is replaced with the 1-1st radiation pattern 30-1. The required length value can be satisfied if the radiation pattern 20-1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ank area 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r is arranged to be wound multiple times in an inward direction.

이번에는 제2-2 방사 패턴(30-2)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is time,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will be described.

제2-2 방사 패턴(30-2)은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 배치되며, 제2-1 방사 패턴(30-1)과 하나 이상의 제2 비아(V2)를 통해 연결되되, 제1-2 방사 패턴(20-2)과 겹치지 않게 배치된다.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is connected to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through one or more second vias V2. -2 It is arranged not to overlap with the radiation pattern 20-2.

여기서 겹치지 않게 배치된다 함은 앞서 제2-1 방사 패턴(30-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기에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제2-2 방사 패턴(30-2) 역시 제2-1 방사 패턴(30-1)과 마찬가지로 NFC 패턴임을 전제하도록 한다. Here, the term "arranged without overlapping"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above, so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to prevent overlapping descriptions, and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t is also assumed that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is an NFC pattern.

제2-2 방사 패턴(30-2)의 일부는 제2 갭(G2)에 배치된다. A part of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in the second gap G2.

여기서 제2-2 방사 패턴(30-2)의 일부가 제2 갭(G2)에 배치된다 함은 제2-2 방사 패턴(30-2)의 일부가 제2 갭(G2) 내부에서 제1-2 방사 패턴(20-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전체가 들어가도록 배치된다는 것인바, 앞서 설명한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2-2 방사 패턴(30-2)의 일부가 제2 갭(G2) 내부에서 제1-2 방사 패턴(20-2)을 양쪽에 두고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제2-2 방사 패턴(30-2)이 제1-2 방사 패턴(20-2)을 가로지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다. Here, part of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in the second gap G2 means that a part of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gap G2. -2 It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radiation pattern 20-2 and is disposed so as to enter the entirety. Referring back to FIG. 4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s part of the second gap ( G2), it can be seen that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which means that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s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 can be seen as crossing.

한편, 제2-2 방사 패턴(30-2)의 일부가 제2 갭(G2) 내부에 배치되는 것과 별개로 나머지 일부는 앞서 제2-1 방사 패턴(30-1)이 제1-1 방사 패턴(20-1)의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에 배치된 제2 비아(V2)를 통해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으로 내려와 제2-2 방사 패턴(30-2)의 일단과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제2 갭(G2) 내부에 배치된 일부가 시작되는 부분 그리고 제2 갭(G2) 내부에 배치된 일부가 끝나는 부분으로부터 제1-2 방사 패턴(20-2)의 일부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 부분까지로 볼 수 있으며, 제2-2 방사 패턴(30-2)의 타단은 제1-2 방사 패턴(20-2) 바깥쪽 방향에 배치되는바, 이는 제2-2 방사 패턴(30-2)의 제1-2 방사 패턴(20-2)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으로부터의 진출이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다. Meanwhile, apart from the fact that a part of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gap G2, the remaining part of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is the first-1 radiation pattern 30-1. It descends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through the second via V2 disposed in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pattern 20-1 and connects one end of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A part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from the connected part to the part disposed inside the second gap G2 starts and from the part disposed inside the second gap G2 ends. The other end of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which is It can be seen that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advances from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

제2-2 방사 패턴(30-2)의 타단과 관련하여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2 방사 패턴(30-2)은 제1-2 방사 패턴(20-2)의 일부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둘러싸되 베이스 필름(10)의 타면 외곽을 따라 배치되고, 제1-2 방사 패턴(20-2)의 바깥쪽 2시 방향에서 제2 비아(V2)를 통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의 제2-1 방사 패턴(3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바, 이 경우 제1-2 방사 패턴(20-2)의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에 배치된 제2 비아(V2)를 제2-1 비아(V2-1)로, 제2-2 방사 패턴(30-2)의 타단에 배치된 제2 비아(V2)를 제2-2 비아(V2-2)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며, 그에 따라 제2 비아(V2)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할 것이다. Referring again to FIG. 2 in relation to the other end of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s part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inside. It is dispos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is dispos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base film 10 through the second via V2 in the direction of 2 o'clock outside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on one side, in this case, the second via disposed in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1-2nd radiation pattern 20-2 (V2) to the 2-1st via (V2-1), and the second via (V2)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to the 2-2nd via (V2-2) Therefore, one or more second vias V2 may be included.

이상 설명한 제2 방사 패턴(30), 보다 구체적으로 제2-1 방사 패턴(30-1) 및 제2-2 방사 패턴(30-2)은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서 제2-1 방사 패턴(30-1)이 제1-1 방사 패턴(20-1)의 바깥쪽 방향에서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으로 진입하고,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서 제2-2 방사 패턴(30-2)이 제1-2 방사 패턴(20-2)의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진출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이와 반대로 제2-2 방사 패턴(30-2)이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서 제1-2 방사 패턴(20-2)의 바깥쪽 방향에서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으로 진입하고 제2-1 방사 패턴(30-1)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서 제1-1 방사 패턴(20-1)의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진출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30 described above, more specifically,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and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are the 2-1 radiation patterns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The pattern 30-1 enters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uter direction of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and the 2-2nd radiation patter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30-2)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dvancing outward from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on the contrary,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enters the empty area E form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the second- It will be said that the first radiation pattern 30-1 may advance outward from an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더 나아가, 제1-1방사 패턴(20-1)과 제1-2 방사 패턴(20-2)은 각각 하나의 제1 갭(G1)과 제2 갭(G2)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갭(G1)과 제2 갭(G2)은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1 방사 패턴(20-1)과 제1-2 방사 패턴(20-2)은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을 것이고 제2-1 방사 패턴(30-1) 및 제2-2 방사 패턴(30-2)의 진입 및 진출은 복수 개의 제2 비아(V2)를 통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 또는 타면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Furthermore,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and the 1-2 radiation pattern 20-2 are described based on including one first gap G1 and one second gap G2, respectively. However, since one or more first gaps G1 and one or more second gaps G2 may be included, a plurality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and the 1-2 radiation pattern ( 20-2)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 entry and exit of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and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are carried out by a plurality of second vias V2. Through this, it may be freely form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10 .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방사 패턴(30), 보다 구체적으로 제2-1 방사 패턴(30-1) 및 제2-2 방사 패턴(30-2)은 각각 그 일부가 제1 방사 패턴(10)이 포함하는 제1 갭(G1)과 제2 갭(G2)에 배치됨으로써 제1 방사 패턴(20)과 오버랩됨이 없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 및 타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는바, 하나의 안테나 모듈을 통해 무선 충전 기능과 비접촉 근거리 통신 기능 각각을 유효하게 구현함으로써 부품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압도적인 이점을 가져갈 수 있다. 또한, 제2 방사 패턴(30)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서 제1 방사 패턴(20)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으로 진입하고, 베이스 필름(20)의 타면에서 제1 방사 패턴(20)의 바깥쪽으로 진출하는바, 베이스 필름(20)의 각 면에서 방사 패턴 설계 면적에 대한 유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베이스 필름(10) 면적, 더 나아가 전체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So far,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part of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30, more specifically,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and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is the first radiation pattern 10 By being disposed in the first gap G1 and the second gap G2 including this, it can be disposed togeth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10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first radiation pattern 20, one By effectively implementing each of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the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through the antenna module, an overwhelming advantage can be obtained in terms of securing space for component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30 enters the blank area 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20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the first radiation patter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20. As it advances to the outside of (20), the area of the base film 10 and furthermore the size of the entire antenna module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improving the usefulness of the radiation pattern design area on each side of the base film 20. .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타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agn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providing competitiveness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etitors by dramatically improving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based on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0)의 상면도이다. 5 is a top view of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이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10), 제1 방사 패턴(20) 및 제2 방사 패턴(30)과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들을 그대로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마그넷 라인(40)을 더 포함한다. 이하,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과의 차이점인 마그넷 라인(4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ase film 10 included in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radiation pattern 20 )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30 and detailed configurations therefor as they are, and further includes a magnet line 40 additionally. Hereinafter, the magnet line 4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redundant description.

마그넷 라인(40)은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 방사 패턴(20) 일부의 바깥쪽 방향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magnet lines 40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n outward direction of a part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20 .

여기서 마그넷 라인(40)이란 말 그대로 자석으로 이루어진 라인 타입의 구성을 의미하는바,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석은 단극 자석 또는 다극 자석일 수 있다. Here, the magnet line 40 literally means a line-type configuration made of magnets,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agnets, where the magnets may be monopole magnets or multipole magnets.

보다 구체적으로 단극 자석으로 마그넷 라인(40)을 구성하는 경우,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 라인(40)은 적어도 하나의 N극 자석과 적어도 하나의 S극 자석을 포함하여 N극 자석과 S극 자석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다극 자석으로 마그넷 라인(40)을 구성하는 경우,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자석이 N극과 S극을 모두 나타내기 때문에 복수 개의 자석이 연달아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magnet line 40 is configured with a single-pole magnet, as exemplarily shown in FIG. 6, the magnet line 40 includes at least one N-pole magnet and at least one S-pole magnet to include the N-pole.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magnet and the S-pole magnet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when the magnet line 40 is configured with a multi-pole magnet, as exemplarily shown in FIG. 7, one magnet shows both the N-pole and the S-pole. Because of this,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a plurality of magnets are arranged in succession.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마그넷 라인(40)이 제1 방사 패턴(20), 보다 구체적으로 제1-1 방사 패턴(20-1)의 최외곽 방사 패턴의 바깥쪽 방향에 소정 방향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갭(G1)이 배치되어 있는 2시 방향에 제1 갭(G1)의 너비 이상으로 띄어져 있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해당 영역이 제1 간극(T1)이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the magnet line 40 is disposed spaced apa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outermost direction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20, more specifically, the outermost radiation pattern of the 1-1st radiation pattern 20-1. , and an area extending beyond the width of the first gap G1 at the 2 o'clock direction where the first gap G1 is disposed can be confirmed. The corresponding area is the first gap T1.

이러한 제1 간극(T1)은 제1 갭(G1)에 배치된 제2-1 방사 패턴(30-1), 보다 구체적으로 제2-1 방사 패턴(30-1)의 일부 및 이로부터 연장 형성된 나머지 일부가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영역인바, 제2-1 방사 패턴(30-1)이 NFC 패턴이기 때문에 자석으로 이루어진 마그넷 라인(4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자력의 영향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제1 간극(T1)을 통해 이를 방지해주는 것이며, 제1 간극(T1) 내부에 배치된 제2-1방사 패턴(30-1)은 제1 간극(T1)과 가급적 1mm 이상 충분히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gap T1 is a part of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disposed in the first gap G1, more specifically, a part of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and extending therefrom. Since the remaining part is an area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by being disposed inside, since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is an NFC pattern, when it directly contacts the magnet line 40 made of magnets, performance due to the influence of magnetic force Since degradation occurs, this is prevented through the first gap T1, and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disposed inside the first gap T1 is preferably 1 mm or more from the first gap T1.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sufficiently spaced apart.

한편, 마그넷 라인(40)은 제2 갭(G2)이 배치된 방향에 제2 갭(G2)의 너비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 간극(T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이는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서 NFC 패턴인 제2-2 방사 패턴(30-2)이 배치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그넷 라인(40)은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됨에 반하여 제2-2 방사 패턴(30-2)는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 배치된 제2 갭(G2)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양 구성이 배치되는 면이 상이하기는 하나, 매우 얇은 베이스 필름(10)이 사이에 있다는 사실만으로 마그넷 라인(40)이 제2-2 방사 패턴(30-2)에 미치는 자력의 영향을 모두 제거할 수가 없는바, 제2 간극(T2)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방지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제2-2 방사 패턴(30-2)의 일부는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서 제2 간극(T2)과 대응되는 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제2-2 방사 패턴(30-2)의 나머지 일부가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서 마그넷 라인(40)과 대응되는 영역 일부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Meanwhile, the magnet line 4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ap T2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ap G2 is disposed, the width of the second gap G2 or greater, which is the base film 10 This is because the second-second radiation pattern 30-2, which is an NFC pattern,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 More specifically, while the magnet line 4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gap G2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Although the planes on which both components are arranged are different by being disposed on, the effec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line 40 on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only by the fact that the very thin base film 10 is present therebetween. Since it is impossible to remove all of them, this is prevented by forming a second gap T2, and accordingly, a part of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by forming a second gap (T2). T2), it can be seen that the remaining part of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s part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magnet line 40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 It can be seen that it is arranged to be included inside.

도 8은 이를 반영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0)에 있어서, NFC 패턴인 제2-1 방사 패턴(30-1)이 제1 간극(T1) 내부에, 제2-2 방사 패턴(30-2)이 제2 간극(T2)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본 발명)와 그렇지 않고 제2 방사 패턴(30)이 마그넷 라인(40) 위에 배치됨으로써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Ref)를 근접시키는 카드의 타입에 따라 도시한 테이블이며, 각 카드 타입의 괄호 안 수치는 해당 카드 타입을 인식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거리를 나타낸다. 8 reflects this, in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2-1st radiation pattern 30-1, which is an NFC pattern, is inside the first gap T1, When the 2-2nd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gap T2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wise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30 is directly contacted by being disposed on the magnet line 40 This is a table showing the types of cards that approximate cases (Ref), and the numbers in parentheses of each card type indicate the minimum distance required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card type.

도 8을 참조하면 Ref의 경우 Topaz 타입 카드, Ultralight 타입 카드, Ultralight-C 타입 카드, Mifare EV1타입 카드, Tec tile 타입 카드, Type B 16M 타입 카드, Octopus 타입 카드, ISO 15693 타입 카드, Mifare Classic 1K 타입 카드에 대한 인식 가능 거리가 순차적으로 24mm, 32mm, 7mm, 7mm, 5mm, 8mm, 18mm, 20mm, 28mm임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인식 가능 거리가 순차적으로 46mm, 60mm, 27mm, 26mm, 24mm, 26mm, 38mm, 62mm, 68mm임을 확인할 수 있는바, 모든 타입의 카드에 대하여 약 2배 내지 4배 이상의 인식 가능 거리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NFC 패턴을 간극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비접촉 근거리 통신 관련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8, in the case of Ref, Topaz type card, Ultralight type card, Ultralight-C type card, Mifare EV1 type card, Tec tile type card, Type B 16M type card, Octopus type card, ISO 15693 type card, Mifare Classic 1K While the recognizable distances for type cards are sequentially 24mm, 32mm, 7mm, 7mm, 5mm, 8mm, 18mm, 20mm, and 28m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zable distances are sequentially 46mm, 60mm, 27mm, 26mm, and 24mm. , 26mm, 38mm, 62mm, 68mm, it can be seen that the recognition distance is about 2 to 4 times more for all types of cards, so by placing the NFC pattern inside the gap, the performance related to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is dramatically improved. can be seen as

추가적으로 제2 방사 패턴(30) 자체가 카드로 동작하는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Ref 대비 약 2배 내지 3배 이상의 인식 가능 거리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비접촉 근거리 통신 관련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30 itself operates as a card, similarly, it shows a recognizable distance that is about 2 to 3 times greater than Ref, so it can be seen that performance related to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has improved dramatically.

한편, 이상 설명한 제1 간극(T1) 및 제2 간극(T2)에 관한 사항은 제2 방사 패턴(30)이 제1 방사 패턴(20)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E)에 1회 진입한 후, 1회 진출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에 적용되며, 복수 회 진입하거나 복수 회 진출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개수의 간극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2회 진입하고 2회 진출하는 경우 진입한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진출할 수 없는 특성을 고려하여 간극은 4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gap T1 and second gap T2,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30 enters the empty area 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20 once. Then, it is applied to the embodiment for the case of entering once, and it will be said that in the case of entering or exiting multiple times, a corresponding number of gaps may be additionally form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entering twice and exiting twice, four gaps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not being able to exit through the same path as the entered path.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0)에 있어서, 마그넷 라인(4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Ref)와 포함하는 경우(본 발명)의 무선 충전 효율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FIG. 9 shows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when the magnet line 40 is not included (Ref) and when the magnet line 40 is include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e table

도 9를 참조하면 Ref의 경우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기 모두 마그넷 라인(40)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충전 효율이 75.22%로, 본 발명의 경우 안테나 모듈과 무선 충전기 모두 마그넷 라인(40)을 포함하기 충전 효율이 76.01%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는바, 해당 효율 차이에 따른 방전 상태에서 완전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는 약 5분 정도로써, 본 발명의 경우에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을 것이며, Ref의 충전 효율인 75.22%의 경우 마그넷 라인(40)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 기기(미도시)가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의 중심과 무선 충전기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무선 충전을 시도해야 산출될 수 있는 효율임에 반해, 실제 사용자들이 무선 충전을 위해 이동통신 기기(미도시)를 무선 충전기 상에 올려놓는 경우 중심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바, 이런 경우 75.22%의 충전 효율은 최대 약 10% 의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떨어질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방전 상태에서 완전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는 더욱 현저하게 벌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9, in the case of Ref, since both the antenna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er do not include the magnet line 40, the charging efficiency is 75.22%, 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antenna module and the wireless charger include the magnet line 40. It can be seen that the efficiency is 76.01%, and the difference in time required for full charge in the discharge stat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is about 5 minutes, which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arging efficiency of 75.22% does not include the magnet line 40, wireless charging must be attempted while matching the center of the antenna module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with the center of the wireless charger. In contrast to efficiency, when actual users plac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ot shown) on a wireless charger for wireless charging, in most cases wireless charging proceeds in a state where the center is not aligned. In this case, 75.22% charging Efficiency may further drop within a range of up to about 10%, and accordingly, a difference in time required for full charge in a discharged state may be more remarkably widened.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10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된 제1-1 방사 패턴(20-1)의 일부의 바깥쪽 방향에 마그넷 라인(40)을 배치함으로써 무선 충전 기능에 관한 무선 충전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는 무선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마그넷 라인(40)이 제1 간극(T1) 및 제2 간극(T2)을 포함하고 제1 간극(T1)에는 제2-1 방사 패턴(30-1)이, 제2 간극(T2)과 대응되는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는 제2-2 방사 패턴(30-2)이 배치되는바, 비접촉 근거리 통신 기능 역시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할 것이다. So far, the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magnet line 40 in the outer direction of a part of the 1-1 radiation pattern 20-1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related to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is improved. It can be improved dramatically, which can have the effect of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wireless charging. In addition, the magnet line 40 includes a first gap T1 and a second gap T2, and the 2-1 radiation pattern 30-1 is formed in the first gap T1, and the second gap T2 Since the 2-2 radiation pattern 30-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10 corresponding to , the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is also dramatically improv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1000: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
10: 베이스 필름
20: 제1 방사 패턴
20-1: 제1-1 방사 패턴
20-2: 제1-2 방사 패턴
30: 제2 방사 패턴
30-1: 제2-1 방사 패턴
30-2: 제2-2 방사 패턴
40: 마그넷 라인
V1: 제1 비아
V1-1: 제1-1 비아
V1-2: 제1-2 비아
V2: 제2 비아
V2-1: 제2-1 비아
V2-2: 제2-2 비아
T1: 제1 간극
T2: 제2 간극
100, 1000: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10: base film
20: first radiation pattern
20-1: 1-1 radiation pattern
20-2: 1-2 radiation pattern
30: second radiation pattern
30-1: 2-1 radiation pattern
30-2: 2-2 radiation pattern
40: magnet line
V1: first via
V1-1: 1-1 via
V1-2: Via 1-2
V2: second via
V2-1: via 2-1
V2-2: via 2-2
T1: first gap
T2: second gap

Claims (5)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인 제1 갭(Gap)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1 방사 패턴과 하나 이상의 제1 비아(Via)를 통해 연결되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인 제2 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1-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제1-1 방사 패턴과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제2-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1 방사 패턴과 하나 이상의 제2 비아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1-2 방사 패턴과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제2-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제2 방사 패턴;
을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1 방사 패턴의 일부는,
상기 제1 갭에 배치되며,
상기 제2-2 방사 패턴의 일부는 상기 제2 갭에 배치되고,
상기 콤보 안테나 모듈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사 패턴 일부의 바깥쪽 방향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마그넷 라인;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라인은,
상기 제1 갭의 너비 이상으로 형성된 제1 간극;
을 포함하는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
bas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and a 1-1 radiation pattern including one or more first gaps, which are region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in, The 1-1 radiation pattern a first radiation pattern including first and second radiation patterns connected to the pattern through one or more first vias and including one or more second gaps spaced apart therei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2-1 radiation pattern disposed not to overlap with the 1-1 radiation pattern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 2-1 radiation pattern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connected to the 2-1 radiation pattern through one or more second vias a second radiation pattern including a 2-2 radiation pattern disposed not to overlap with the 1-2 radiation pattern;
In the combo antenna module comprising a,
Part of the 2-1 radiation pattern,
disposed in the first gap,
A portion of the 2-2 radiation pattern is disposed in the second gap,
The combo antenna module,
a magnet lin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nd spaced apart from a portion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in an out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cluding more,
The magnet line,
a first gap formed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ap;
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 및 타면에서 안쪽 방향에 형성된 빈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비아는,
상기 빈 영역에 배치되는,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 blank area formed in an inward direc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The second via,
placed in the empty area,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은,
상기 제1 갭이 배치된 방향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2-1 방사 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 라인은,
상기 제2 갭이 배치된 방향에 상기 제2 갭의 너비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 간극;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2 방사 패턴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서 상기 제2 간극과 대응되는 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ap is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ap is disposed, and the 2-1 radiation pattern is disposed therein,
The magnet line,
a second gap form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ap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ap is disposed;
Including more,
The 2-2 radiation pattern,
A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ap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방사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서 상기 마그넷 라인과 대응되는 영역 일부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마그넷 타입 콤보 안테나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2-2 radiation pattern,
Arranged to include a part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 line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therein,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KR1020210087595A 2021-07-05 2021-07-05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KR1025629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95A KR102562996B1 (en) 2021-07-05 2021-07-05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95A KR102562996B1 (en) 2021-07-05 2021-07-05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75A KR20230007575A (en) 2023-01-13
KR102562996B1 true KR102562996B1 (en) 2023-08-04

Family

ID=8490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595A KR102562996B1 (en) 2021-07-05 2021-07-05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99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622B1 (en) 2016-11-01 2018-06-26 유재원 A grape thin out device using water
KR102178575B1 (en) * 2018-08-31 2020-11-13 주식회사 아모텍 Combo antenn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75A (en)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6735B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EP2202843B1 (en) Magnetic antenna and antenna device
CN204315730U (en) Antenna assembly and communicator
CN102544708A (en) Antenna device, battery pack with antenna,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2194806B1 (en) Wirel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005670A (en)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CN105048075A (en) Antenna device
KR101843897B1 (en)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CN108695594A (en) Annet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Anneta module
KR20170033253A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2562996B1 (en) Magnet type combo antenna module
KR101922530B1 (en)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JP6213688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209544597U (en) Annet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neta module
CN208422557U (en) Coil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972053B1 (en) Wiress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024185A (en) Coil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387975B1 (en) Antenna
KR101321874B1 (en) The nfc compact antenna module and rfid tag using thereof
KR101823300B1 (en) Coil moudule
JP5184986B2 (en) ANTENNA DEVICE AND RADIO DEVICE
KR20230019280A (en) Magnetic shield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gnet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9565113B (en) Antenna device and IC tag using the same
KR102484949B1 (en) Combo type ultra wide band/near frequency communication antenna module
CN108933016A (en) Coil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