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606B1 -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606B1
KR102562606B1 KR1020200141888A KR20200141888A KR102562606B1 KR 102562606 B1 KR102562606 B1 KR 102562606B1 KR 1020200141888 A KR1020200141888 A KR 1020200141888A KR 20200141888 A KR20200141888 A KR 20200141888A KR 102562606 B1 KR102562606 B1 KR 102562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module
online
authoring too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061A (ko
Inventor
양은미
Original Assignee
양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은미 filed Critical 양은미
Priority to KR102020014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60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교육을 위해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의 시스템은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이 입력되면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맞춤형 강의 모듈을 조회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와, 다수의 강의 모듈을 강의 유형별로 저장한 강의 모듈 풀을 구축해 두고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로부터 조회 요청 시 기 구축된 강의 모듈 풀을 공유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ONLINE LECTURE AUTHORING TOOL FOR NON-CONTACT LEARNING AND PROVIDING SYSTEM OF ONLINE LECTURE CONTE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대면 교육을 위해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2020년 초부터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에 대한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퍼지면서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 팬데믹(CORONA PANDEMIC)을 선언하였다. 이로 인해 한국은 물론, 전세계의 나라가 사람들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대면 교육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나 전문 교육 분야의 종사하는 교사 또는 강사들의 의견을 조사해 본 결과, 실제 이들은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비대면 교육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으로, 교사 및 강사들(이하, '강사'로 통칭함)은 직접 자신이 강의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온라인 강의를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강사들이 촬영 전에 강의할 자료 및 스피치를 미리 준비하여야 하고, 강의시간에 맞춰 동영상을 촬영해야 하며, 촬영된 동영상을 재생 포맷에 맞게 업로드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 촬영 도중 실수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촬영을 재시도하거나 또는 촬영 후 다시 편집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교사 또는 강사들의 많은 시간과 노력, 번거로운 제작 과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49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구나 손쉽게 효율적으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새로운 콘텐츠의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에서 강사가 강의할 유형에 적합한 동영상들을 추천하여 재구성하는 것으로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를 제작할 시 강사가 강의할 목적, 대상, 주제 등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하면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동영상, 강의 자료들을 자동 추천하여 정해진 설계구조에 끼워 맞춘 후 하나의 완성된 강의 콘텐츠로 제공해 줌으로써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이미 제작되어 있는 다수의 동영상을 포함한 강의 모듈을 강의 유형별로 저장한 강의 모듈풀을 구축해 두고, 조회 요청 시 상기 강의 모듈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강의 모듈을 공유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의 강의 모듈풀을 조회하며, 조회 결과 상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구조를 선택하게 제시하며, 선택된 레슨 플랜구조의 각 파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조회하고, 조회를 통해 자동 추천받은 강의 모듈을 각 파트에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재구성하되, 상기 선택된 레슨 플랜 구조에서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모듈이 정의되어 있거나, 해당 강사가 제작하는 강좌에 대해서는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동일한 오프닝 강의모듈 및 클로징 강의모듈이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핵심 강의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되면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이 자동 추천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튜브 또는 인터넷 블로그를 포함한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강의 모듈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로부터 조회 요청 시 상기 강의 모듈 풀과 함께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강의 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상기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는 강의 모듈들에 대하여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 강의 유형 입력부; 상기 강의 유형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의 강의 모듈풀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 상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해주는 강의 모듈 조회부; 상기 강의 모듈 조회부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을 선택하여 조립하는 강의 모듈 조립부; 및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를 통해 조립된 강의 모듈을 포함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강의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며,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는, 선택된 레슨 플랜 구조의 각 파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조회하고, 조회를 통해 자동 추천받은 강의 모듈을 각 파트에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재구성하되,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는, 상기 선택된 레슨 플랜 구조에서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모듈이 정의되어 있거나, 해당 강사가 제작하는 강좌에 대해서는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동일한 오프닝 강의모듈 및 클로징 강의모듈이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핵심 강의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되면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이 자동 추천될 수 있다.
상기 강의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각 파트에 삽입된 강의 모듈에 대하여 자체 영상데이터 대신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생성한다.
또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에서 자동 삽입된 각 파트의 강의 모듈에 대하여 강사 개인이 원하는 강의 모듈로 설정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강의 모듈 수정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사가 강의할 목적, 대상, 주제 등을 포함한 강의 유형만을 입력하면 본 발명의 저작도구가 강의 유형에 적합한 동영상들을 자동 추천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강사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저작도구는 새로운 콘텐츠의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들, 특히 유튜브(YouTube), 블로그 등에서 공유되고 있는 유용한 동영상, 강의 자료를 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강사들이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강사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노력, 번거로운 제작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부담을 해소해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강사용뿐만 아니라 학습자용 버전으로도 구현하여, 하나의 저작툴을 통해 강사가 강의 콘텐츠를 제작 및 업로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업로드된 강의 콘텐츠를 학습자가 조회 및 재생할 수 있어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콘텐츠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강사용 또는 학습자용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예를 보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강사 또는 학습자의 단말기에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 콘텐츠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비대면 교육을 준비하려는 교사 또는 강사(이하, 강사로 통칭함)에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한다.
이러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사용 버전의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A)를 의미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학습자용 버전의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B)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저작앱으로 구현되어 임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및 설치된 후 실행될 수 있다. 저작앱은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온라인 앱스토어(예컨대, 구글스토어, 애플스토어 등) 등을 통해 제공되며, 저작앱이 설치되는 임의 단말기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태블릿 등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연계된다. 따라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다수의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동영상 콘텐츠를 조립하는 구성에 의해 강의 콘텐츠를 제작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새로운 콘텐츠의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에서 강사가 강의할 유형에 적합한 동영상을 추천받아 재구성하는 것으로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무수히 많은 동영상은 콘텐츠 제공 서버(200)를 통해 제공된다.
다시 말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수의 동영상 즉, 강의 모듈을 강의 유형별로 저장하여 강의 모듈 풀(pool)을 구축해 두고, 기 구축된 강의 모듈 풀을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에게 공유한다. 여기서, 강의 모듈이라 함은 강사 본인 또는 다른 강사에 의해 이미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를 의미한다. 강의 유형은 강의 성격을 특징지을 수 있는 타입을 말하는 것으로, 강의할 목적(예컨대, 지식전달, 역사체험, 건강 관리 등), 주제(TITLE), 대상(예컨대, 어린이, 노인, 여성, 남성 등)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두뇌 트레이닝을 위한 강좌의 경우, 세부적으로 강의 대상은 노인, 강의할 목적 및 주제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 훈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또는 강의 대상이 어린이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강의할 목적 및 주제로서 기억력, 논리력, 사고력 향상(목적)을 위한 두뇌 훈련 프로그램(주제)이 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유튜브(YouTube) 또는 다수의 인터넷 블로그 등을 포함한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강의 모듈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서버(22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로부터 조회 요청 시,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기 구축되어 있는 강의 모듈 풀과 함께 외부 서버(220)를 통해 제공받은 강의 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가 강사로부터 강의 유형이 입력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의해 공유 가능한 강의 모듈 풀(pool)을 조회하여, 입력된 강의 유형에 적합한 최적의 강의 모듈을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고, 이에 기초하여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한 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기 구축된 강의 모듈 풀로부터 최적의 동영상 콘텐츠를 불러 와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튜브 또는 인터넷 블로그를 통해 게재된 유용한 동영상 콘텐츠, 최근 뉴스 동영상, 게임 콘텐츠 등을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으므로, 강의 모듈 풀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강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강사로부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최적의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해 줌으로써 강사 누구나 손쉽게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노력, 번거로운 제작 과정을 줄여 이에 대한 부담을 해소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의 영상 자체를 삽입하는 대신,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제작함으로써 콘텐츠의 용량이 작은 상태로 업로드 및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데 특징이 있다.
그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의 유형 입력부(111), 강의 모듈 조회부(112), 강의 모듈 조립부(113), 강의 콘텐츠 생성부(114), 강의 모듈 수정부(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강의 콘텐츠는 강의 모듈을 조립하여 제작된 최종 콘텐츠를 의미하며, 강의 모듈은 하나의 콘텐츠이긴 하나 본 발명의 강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작은 범주의 콘텐츠를 의미한다.
더욱이, 강의 모듈은 강사 본인 또는 임의 강사에 의해 기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 유튜브 또는 다수의 인터넷 블로그 등과 같은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공유되는 동영상 콘텐츠, 최근 뉴스 동영상, 게임 콘텐츠, 강의와 관련된 과제 또는 공지사항을 포함한 강의 자료 등을 포함한다.
강의 유형 입력부(111)는 강사로부터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공지사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강의 대상은 어린이, 강의할 목적은 두뇌트레이닝, 강의 주제는 두뇌 트레이닝을 위한 좌뇌와 우뇌의 균형있는 활동 프로그램, 공지사항은 강의 활동 후 워크북 활동 결과를 사진으로 찍어 업로드하기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강의 유형 입력부(111)는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공지사항 등 강의 유형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이 사용자 입력 화면으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강의 모듈 조회부(112)로 전달한다.
강의 모듈 조회부(112)는 강의 유형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기초하여 공유 가능한 다수의 강의 모듈을 조회한다. 조회 결과, 강의 모듈 조회부(112)는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맞춤형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한다.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에 기 구축되어 있는 동영상 콘텐츠일 수 있으며, 또는 유튜브 또는 다수의 인터넷 블로그 등에 공유되는 동영상 콘텐츠일 수 있다. 또는 게임 콘텐츠, 강의와 관련된 과제, 공지사항 등이 될 수 있다.
강의 모듈 조립부(113)는 강의 모듈 조회부(112)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을 이용하여 조립한다.
구체적으로, 강의 모듈 조립부(113)는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을 그대로 자동 조립할 수 있고, 또는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 리스트에서 선택된 강의 모듈만을 포함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는 제작의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에 불과한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 리스트에 하나의 강의 모듈이 포함된 경우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 그대로를 강의 콘텐츠로 조립하고, 다수의 강의 모듈이 포함된 경우에는 원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하여 조립을 수행하는 것은 자명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은 사전적 의미로 여러 부품을 하나의 구조물로 짜 맞춘 것을 말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조립 또한 여러 강의 모듈을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짜 맞춘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때 3파트를 짜 맞추어 조립하는 데,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에 기초하여 조립한다.
즉,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가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를 선택 가능하게 제시하고, 강의 모듈 조립부(113)는 강의 모듈 조회부(112)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들을 각 파트에 자동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조립한다.
이때, 강의 모듈 조립부(113)는 레슨 플랜 구조의 핵심 강의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이 추천될 수도 있다. 이는 핵심 강의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에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정의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오프닝 파트는 최신 뉴스 동영상으로 정의하고 클로징 파트는 일반적인 인사말이 기재된 화면으로 사전 정의해 둠으로써, 핵심 강의 파트의 강의 모듈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의 강의 모듈이 동시에 추천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강의 모듈 수정부(115)는 강의 모듈 조립부(113)에서 자동 삽입된 각 파트의 강의 모듈에 대하여 강사 개인이 원하는 강의 모듈로 설정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오프닝 파트에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인 최근 뉴스 동영상이 마음에 들지 않은 경우 자동 추천된 다른 강의 모듈 중 게임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강사가 원하는 강의 모듈을 직접 추천하여 삽입할 수 있고,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에 대하여 임의 강의 모듈을 지정하여 해당 강사가 제작하는 강좌에 대해서는 동일한 오프닝 강의 모듈 및 클로징 강의 모듈이 삽입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강의 콘텐츠 생성부(114)는 강의 모듈 조립부(113)를 통해 조립된 강의 모듈을 포함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한다. 생성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는 미리보기 기능으로 최종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 내 메모리 또는 외부의 콘텐츠 제공 서버(도 1의 200)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는 신규 강좌로 업로드되고, 신규 강좌를 신청한 학습자 단말기에 학습자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통해 출력하여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한편, 강의 콘텐츠 생성부(114)는 각 파트에 삽입된 강의 모듈에 대하여 자체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신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는 작은 용량 크기로 제작될 수 있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설치한 강사 단말기 또는 학습자 단말기에 크게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강사용 또는 학습자용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예를 보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강사 또는 학습자의 단말기에 구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사용 저작툴(110), 학습자용 클라스툴(120), 게시판 작성툴(130) 등의 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강사용 저작툴(110)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의 기능을 포함한다. 즉, 강사가 강의할 유형에 대하여 입력하면 입력된 강의 유형에 맞는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하여 비대면 교육에 필요한 강의 콘텐츠를 생성한다. 예컨대, 강사용 저작툴(110)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작할 나의 강좌 이름, 강의 내용, 공지사항, 강의 소개 등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학습자용 클라스툴(120)은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개설된 강좌 및 강의 목록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강의 목록에서 원하는 강의를 선택하여 수강하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용 클라스툴(120)은 학습자가 선택한 강의에 대한 간략 정보, 예를 들어 나의 강좌, 강의 회차, 공지사항, 오늘의 강좌활동 등을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게시판 작성툴(130)은 사진 갤러리 또는 일반 글쓰기 게시판 형태로 강사 또는 학습자가 자유롭게 사진 또는 글 작성이 가능하게 툴을 제공한다. 게시판 작성툴(130)을 통해 강사 및 학습자는 서로 소통할 수 있고 강사 입장에서는 학습자의 학습을 관리할 수 있고 학습자 입장에서는 강사로부터 학습을 관리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는 사진 갤러리 형태로 제공되는 게시판 작성툴을 예로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기능에 따라 저작툴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데,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강사 단말기에는 강사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A)로서 강사용 저작툴(110A)과 게시판 작성툴(130A)만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고, 학습자 단말기에는 학습자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B)로서 학습자용 클라스툴(120B)과 게시판 작성툴(130B)만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강사 단말기 및 학습자 단말기 각각에 모든 저작툴(110, 120, 130)을 설치하되 강사 단말기 및 학습자 단말기에 따라 해당 저작툴만 활성화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강사가 강사용 저작툴(110)을 통해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후 서버에 강의 콘텐츠를 등록한다. 그러면, 학습자들이 학습자용 클라스툴(120)을 통해 해당 강의 콘텐츠를 수강할 수 있다. 즉, 강사용 저작툴(110)을 통해 제작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링크 주소정보에 기초하여 업로드되고, 학습자용 저작툴(120)을 통해 업로드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면 해당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링크 주소정보로 액세스하여 해당 강의 콘텐츠를 재생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S100 단계에서와 같이,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사 단말기에 설치되는 강사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A)로 간주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강사로부터 강좌이름,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공지사항 등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다.
다음 S11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이 있는지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조회 요청을 한다.
다음 S120 및 S130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서버 내 기 구축되어 있는 강의 모듈 풀을 조회한 후,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에게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맞춤형 강의 모듈을 추천해준다. 이때,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서버 내 기 구축되어 있는 강의 모듈 풀 뿐만 아니라 유튜브 또는 인터넷 블로그 등을 통해 이미 제공된 강의 모듈들을 포함하여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에서 정의된 레슨 플랜 구조(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클로징 파트)에 기초하여 맞춤형 강의 모듈을 추천해 줄 수 있다.
다음 S14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자동 추천받은 강의 모듈 목록에서 원하는 강의 모듈을 선택한다. 원하는 강의 모듈은 레슨 플랜 구조에서 핵심 강의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레슨 플랜 구조에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클로징 파트에 각각 삽입될 강의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핵심 강의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오프닝 파트,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추천된다. 또는 오프닝 파트 및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 모듈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 S15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선택된 강의 모듈을 해당 파트에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되도록 조립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두뇌트레이닝 강좌의 경우, 오프닝 파트에는 어린이들이 본 강좌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간단한 게임 콘텐츠를 삽입하고, 핵심 강의 파트에는 두뇌트레이닝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좌뇌 교육, 우뇌 교육에 관한 동영상 콘텐츠를 삽입하고, 클로징 파트에는 좌뇌 및 우뇌 트레이닝을 위한 활동사진을 업로드하도록 요청하는 공지사항을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
다음 S16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상기의 조립 과정을 통해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각 파트에 조립된 강의 모듈에 대하여 영상 자체를 포함하지 않고 링크 주소정보만을 포함하여 생성한다. 따라서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용량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S170 단계에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는 생성된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달하여 업로드를 요청하고 강좌를 개설한다.
다음 S180 단계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강좌 개설과 함께 해당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업로드한다.
이후 S190 단계에서, 학습자 단말기에 설치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가 학습자용 저작툴을 통해 개설된 강좌 목록을 제공하고 이로부터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실행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 요청한다. 이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가 자체 영상을 포함하지 않고 링크 주소정보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링크로 액세스하기 위한 과정이다.
다음 S200 및 S210 단계에서, 학습자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100B)가 학습자용 저작툴을 통해 해당 온라인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링크 주소정보로 액세스하여 해당 강의 콘텐츠를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200; 콘텐츠 제공 서버
100A; 강사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100B; 학습자용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220; 외부 서버 110; 강사용 저작툴
120; 학습자용 클라스툴 130; 게시판 작성툴
111; 강의 유형 입력부 112; 강의 모듈 조회부
113; 강의 모듈 조립부 114; 강의 콘텐츠 생성부
115; 강의 모듈 수정부

Claims (10)

  1. 이미 제작되어 있는 다수의 동영상을 포함한 강의 모듈을 강의 유형별로 저장한 강의 모듈풀을 구축해 두고, 조회 요청 시 상기 강의 모듈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강의 모듈을 공유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의 강의 모듈풀을 조회하며, 조회 결과 상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자동 생성하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강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구조를 선택하게 제시하며,
    선택된 레슨 플랜구조의 각 파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조회하고, 조회를 통해 자동 추천받은 강의 모듈을 각 파트에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재구성하되,
    상기 선택된 레슨 플랜 구조에서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모듈이 정의되어 있거나, 해당 강사가 제작하는 강좌에 대해서는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동일한 오프닝 강의모듈 및 클로징 강의모듈이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핵심 강의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되면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이 자동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튜브 또는 인터넷 블로그를 포함한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강의 모듈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로부터 조회 요청 시 상기 강의 모듈 풀과 함께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강의 모듈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상기 온라인 강의 콘텐츠로 자동 추천해주는 강의 모듈들에 대하여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강의할 목적, 주제, 대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 강의 유형을 입력받는 강의 유형 입력부;
    상기 강의 유형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의 강의 모듈풀을 조회하고, 조회 결과 상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자동 추천해주는 강의 모듈 조회부;
    상기 강의 모듈 조회부에서 자동 추천된 강의 모듈을 선택하여 조립하는 강의 모듈 조립부; 및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를 통해 조립된 강의 모듈을 포함하여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강의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의 전 워밍업을 위한 오프닝 파트, 핵심 강의 파트, 강의를 마무리하기 위한 클로징 파트로 설계된 레슨 플랜 구조를 선택하게 제시하며,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는,
    선택된 레슨 플랜 구조의 각 파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받은 강의 유형에 적합한 강의 모듈을 조회하고, 조회를 통해 자동 추천받은 강의 모듈을 각 파트에 삽입하여 하나의 온라인 강의 콘텐츠를 재구성하되,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는,
    상기 선택된 레슨 플랜 구조에서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삽입될 강의모듈이 정의되어 있거나, 해당 강사가 제작하는 강좌에 대해서는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동일한 오프닝 강의모듈 및 클로징 강의모듈이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핵심 강의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만 선택되면 상기 오프닝 파트 및 상기 클로징 파트에 해당하는 강의 모듈이 자동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각 파트에 삽입된 강의 모듈에 대하여 자체 영상데이터 대신 링크 주소 정보만을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모듈은,
    강사 본인 또는 임의 강사에 의해 기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 유튜브 또는 다수의 인터넷 블로그를 포함한 특정 웹사이트를 통해 공유되는 동영상 콘텐츠, 최근 뉴스 동영상, 게임 콘텐츠, 강의와 관련된 과제 또는 공지사항을 포함한 강의 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는,
    상기 강의 모듈 조립부에서 자동 삽입된 각 파트의 강의 모듈에 대하여 강사 개인이 원하는 강의 모듈로 설정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강의 모듈 수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10. 삭제
KR1020200141888A 2020-10-29 2020-10-29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562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88A KR102562606B1 (ko) 2020-10-29 2020-10-29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88A KR102562606B1 (ko) 2020-10-29 2020-10-29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61A KR20220057061A (ko) 2022-05-09
KR102562606B1 true KR102562606B1 (ko) 2023-08-01

Family

ID=8158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888A KR102562606B1 (ko) 2020-10-29 2020-10-29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405A (ko) 2022-08-19 2024-02-28 주식회사 다비다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온라인 교육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975A (ko) * 2006-07-28 2008-01-3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준 템플릿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교재 제작시스템 및 온라인 학습교재 제작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교재의 제작방법
KR20100049142A (ko) * 2008-11-03 2010-05-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4936A (ko) 2012-10-30 2014-05-09 리아컴즈 주식회사 저작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및 모바일 개인 동영상 강의서비스 구현방법
KR20150007044A (ko) * 2013-07-10 2015-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수업 교안컨텐츠의 작성 및 재생을 위한 사용자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61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42977A1 (en) Electronic system, method and device operable to facilitate education
Giebelhausen What the tech is going on? Social media and your music classroom
Jovanovic et al. An adaptive e‐learning system for Java programming course, based on Dokeos LE
Batanero et al. Accessible platforms for e‐learning: A case study
Caeiro-Rodriguez et al. AREA: A social curation platform for open educational resources and lesson plans
Mnkeni-Saurombe Information literacy: A cornerstone for open distance learning at the University of South Africa
Lapp et al. Students can purposefully create information, not just consume it
KR102562606B1 (ko)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200074408A1 (en) System for connecting tutors and students
Graveline Launching a successful copyright education program
Beltran et al. MOOCEP: Towards a method for building massive open online courses for elderly people
Ainsa College students' digital identity: perceptions towards employment and career
DeCesare Streaming video resources for teaching, learning, and research
Miller A system for integrating online multimedia into college curriculum
Adebonojo et al. LibGuides to the rescue: The cure for the same old boring papers
Sirridge et al. The program in medical humanities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school of medicine
Roye et al. Considerations for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virtual simulation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Costa Seven strategies to apply design thinking in higher education
Wheat Supervising for Success: Working with an assistant can help ease—not add to—your responsibilities.
King et al. User-centered design and reference services in international librarianship: A case study of Nazarbayev University Library
Bailey Zooming into a new normal
Walker-Headon Responsive web site development at the library, Institute of Technology Tallaght: a case study
KR102423834B1 (ko) 수업자료 제작 웹사이트 관리 시스템
Kanakaris et al. Older women's views on their participation in a blended educational program using fb room platform
Fazeli et al. Exploring social recommenders for teacher networks to address challenges of starting teac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