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142A -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142A
KR20100049142A KR1020080108178A KR20080108178A KR20100049142A KR 20100049142 A KR20100049142 A KR 20100049142A KR 1020080108178 A KR1020080108178 A KR 1020080108178A KR 20080108178 A KR20080108178 A KR 20080108178A KR 20100049142 A KR20100049142 A KR 2010004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ucation
module
training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장묵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9142A/ko
Publication of KR2010004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41Compi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교육을 모듈화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온라인 교육 학습자가 교육 개발의 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교육교육 설계된 교육 플랫폼은 교육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 교육교육 콘텐츠를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어 중복된 교육들 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모듈화된 교육 제공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은 다수의 교육 모듈을 생성하는 교육 모듈 생성부와, 생성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로 송신하고,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편집 명령에 따라 교육 모듈을 조합하여 교육 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육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한다.
온라인 교육, 사이버 교육, 교육 모듈, 쌍방향 교육, 교육 콘텐츠 편집,

Description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ONLINE EDUCATION MODULE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 교육을 모듈화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 플랫폼에서 교육의 주체인 학습자, 교육자, 교육기관 등의 협업에 의한 참여, 공유, 개방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세부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해지며 교육 콘텐츠를 중심으로 새로운 관계, 평가, 평판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기술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콘텐츠 간의 상호 연결성을 높이는 태그(tag)가 온라인과 연계된 다양한 이기종간의 디바이스와 모듈화된 교육 콘텐츠 및 세부 단어, 문장, 문단 속에 삽입되는 태깅삽입기술 및 이를 추적, 검출하는 트래킹(Tracking) 기술이 원천적으로 요구된다. 더불어 검출된 태깅 정보를 추론하여 문맥(context) 정보로 변환할 수 온톨로지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된 시맨틱웹(semantic web) 서치 방식으로 구현된다. 또한 모듈화된 각 교육 콘텐츠에 참여한 교육자, 학습자 간의 호혜평등에 기반한 상호 신뢰 및 평판 시스템을 위해 XML 기반의 자바(Java) 솔루션이 작동한다.
종래의 온/오프 라인 교육 시스템은 교육자가 일방적으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여 수강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이버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을 제공하는 경우, 교수가 교육하는 장면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거나 교육 자료를 교안 형식으로 제작하여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 내용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교육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도 모두 교육자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기관은 교육에 따르는 제반 환경을 물리적으로 기술적으로 제공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교육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학습자에게 개인화된 특성을 기술적으로 고려한 교육이 진행될 수 없었으며, 특히 학습자의 참여를 증진시키기 어려운 기술적 구조적 맥락으로 교육 효과는 전적으로 교육자에 의해서만 구성되는 교육 콘텐츠와 교육 내용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교육 콘텐츠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으며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술적 어려움이 따랐다.
한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교육과 달리 학습자와 교육자가 같은 공간에 있지 않기 때문에 서로의 의견 교환이 실시간으로 쌍방향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물리적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학습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을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쌍방향 교육을 제공하는 기술이 발전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쌍방향 교육은 수강자로부터 질문을 입력 받아서 게시하거나(게시판 활용), 수강자로부터 교육 평가를 입력받는 정도(교육 후 평가항목에 선택하는 기입방식)인 웹 1.0 환경의 교육 시스템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수강 자의 교육 평가를 수렴하여 새로운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몫도 교육자 및 교육기관에게 수렵된다. 이와 같은 루프는 교육의 주체인 교육자, 학습자, 교육기관이라는 삼각 축에서 학습자를 배제한 상태에서 교육자와 교육기관 중심의 학사 운영과 교육이 이루어질 개연성을 높이며 설사 학습자의 의견이 반영된다고 하더라고 부가적인 차원에서의 의견 수렴에 그쳐 개인화된 교육, 참여가 높은 교육, 교육의 효율성을 협업하는 교육과정으로 구현하는 세계적 추세 또한 웹 2.0 정신에 입각한 교육 2.0 서비스의 구현 등에도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학습자가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콘텐츠 또는 오프라인 연계의 온라인 중심 교육 콘텐츠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은 다수의 교육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와,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편집 명령에 따라 교육 모듈을 조합하여 교육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은 교육 모듈을 생성하는 교육 모듈 생성부와, 생성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로 송신하고,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편집 명령에 따라 교육 모듈을 조합하여 교육 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육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교육 학습자가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으며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참여권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참여자의 신뢰와 교육 프로그램의 모듈의 선택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학습자의 지성을 크라우드 소싱할 수 있도록 참여된 과정 및 결과로 교육 모듈에 대한 평판 시스템 및 여과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100)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단말(110, 120, 130)과 연결된다.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100)과 학습자 단말(110, 120, 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한다. 네트워크는 인터넷망, 교내 전산망, 방송망(Broadcast Network)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예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 콘텐츠를 학습자 단말(110, 120, 130)에 제공한다. 교육을 제공하는 강사는 일반적으로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100)에 교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100)으로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을 송신한다. 교육을 수강하는 수강자는 일반적으로 학습자 단말(110, 120, 13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교육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200)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200)은 교육 모듈 생성부(210), 통신부(220), 및 교육 콘텐츠 생성부(23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 모듈 생성부(210)는 다수의 교육 모듈을 생성한다. 교육 모듈은 교육 콘텐츠를 구성하는 최소 교육 단위를 의미한다. 즉, 교육 콘텐츠는 두 개 이상의 교육 모듈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14주 동안 매주 한번씩 제공되는 교육 콘텐츠는 매주 제공되는 교육 모듈 14개로 구성된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생활 풍속 교육 콘텐츠 A
주차 교육 주제 교육 모듈
1주차 유비비쿼터스 세상이란 교육 모듈 a1
2주차 유비쿼터스의 개념 교육 모듈 a2
3주차 유비쿼터스 사회의 서비스 모습 교육 모듈 a3
4주차 유비쿼터스 생활 엿보기 교육 모듈 a4
5주차 유비쿼터스의 부정적인 측면 교육 모듈 a5
6주차 U-IT의 인간에 대한 적용 교육 모듈 a6
7주차 U-IT의 생활 공간에 대한 적용 교육 모듈 a7
8주차 유비쿼터스 문화생활 교육 모듈 a8
9주차 U-IT의 도시 적용(U-City) 교육 모듈 a9
10주차 U-City 사례의 구체적인 내용 교육 모듈 a10
11주차 미국의 유비쿼터스: 초고속 컴퓨팅 사례 교육 모듈 a11
12주차 일본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중심 교육 모듈 a12
13주차 EU의 유비쿼터스: 지능 환경을 통한 인간중심 서비스 교육 모듈 a13
14주차 유비쿼터스 총정리 교육 모듈 a14
교육 모듈 생성부(210)는 각각의 교육 모듈을 구성하는 교육 내용을 입력 받아서 교육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교육 모듈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로 송신한다.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교육 주제, 교육에 대한 키워드, 교육 제작자, 교육 미리보기 샘플, 해당 전공, 해당 교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에서는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로서 예시적으로 교육 주제를 표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다른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은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육 콘텐츠 편집 명령을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200)으로 송신한다. 통신부(220)는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을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교육 콘텐츠 생성부(230)는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편집 명령에 따라 교육 콘텐츠를 생성한다. 교육 콘텐츠 편집 명령은 교육 모듈을 조합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표 1의 교육 콘텐츠를 A교수가 제작하였고, 표 2의 교육 콘텐츠를 B교수가 제작한 경우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 1의 교육 콘텐츠를 교육 콘텐츠 A라고 표시하고, 각각의 교육 모듈은 영문자 a와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표 2의 교육 콘텐츠를 교육 콘텐츠 B라고 하고, 각각의 교육 모듈을 b와 일련번호로 표시한다. 또한, 교육 콘텐츠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교육 콘텐츠를 교육 콘텐츠 C라고 한다.
IT 개론 교육 콘텐츠 B
주차 교육 주제 교육 모듈
1주차 컴퓨터와 정보화 사회 교육 모듈 b1
2주차 컴퓨터의 등장과 발전 교육 모듈 b2
3주차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교육 모듈 b3
4주차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 교육 모듈 b4
5주차 운영체제 교육 모듈 b5
6주차 컴퓨터 통신 교육 모듈 b6
7주차 인터넷 교육 모듈 b7
8주차 데이터베이스 교육 모듈 b8
9주차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모듈 b9
10주차 멀티미디어 교육 모듈 b10
11주차 컴퓨터 보안 교육 모듈 b11
12주차 미래의 컴퓨터 기술 교육 모듈 b12
13주차 차세대 정보통신(IrDA, 블루투스, ZigBee) 교육 모듈 b13
14주차 차세대 정보통신(BcN, RFID, 유비쿼터스) 교육 모듈 b14
통신부(220)에 의해 표 1과 표 2의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가 학습자 단말로 송신되면, 학습자 단말은 표 1과 표 2의 정보를 이용하여 교육 콘텐츠 C를 편집하는 명령을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200)으로 전달한다. 교육 콘텐츠 편집 명령은 표 1과 표 2의 교육 콘텐츠 A, B를 구성하는 교육 모듈 중 교육 콘텐츠 C를 구성할 교육 모듈의 일련번호 및 구성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 명령은 교육 콘텐츠 C를 구성할 교육 모듈의 일련번호가 a2, a4, a5, a14, b1, b2, b7, b12, b14 이고, 구성 순서를 명시한 경우에, 교육 콘텐츠 생성부(230)는 표 3과 같은 교육 콘텐츠 C를 생성할 수 있다.
IT 개론 교육 콘텐츠 C
주차 교육 주제 교육 모듈
1주차 미래의 컴퓨터 기술 교육 모듈 b2 교육 모듈 c1
2주차 컴퓨터의 등장과 발전 교육 모듈 b12 교육 모듈 c2
3주차 유비쿼터스의 개념 교육 모듈 a2 교육 모듈 c3
4주차 차세대 정보통신(BcN, RFID, 유비쿼터스) 교육 모듈 b14 교육 모듈 c4
5주차 유비쿼터스 생활 엿보기 교육 모듈 a4 교육 모듈 c5
6주차 유비쿼터스의 부정적인 측면 교육 모듈 a5 교육 모듈 c6
7주차 컴퓨터와 정보화 사회 교육 모듈 b1 교육 모듈 c7
8주차 인터넷 교육 모듈 b7 교육 모듈 c8
9주차 유비쿼터스 총정리 교육 모듈 a14 교육 모듈 c9
새롭게 생성된 교육 콘텐츠 C를 구성하는 교육 모듈은 일련번호를 c1 내지 c9로 부여 받을 수 있다. 교육 콘텐츠 C는 A교수와 B교수로부터 제공되는 교육 모듈의 조합으로서 수강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온라인 교육 수강자가 직접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교육을 직접 수강하는 수강자가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므로, 수강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 내용만으로 교육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 콘텐츠를 이용하면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0)는 생성된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게시하고,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신할 수 있다.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교육 평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는 학습자 단말은 각각의 교육 모듈에 대해서 다른 수강자가 평가한 교육 평가를 참고하여 교육 콘텐츠 편집에 활용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200)은 데이터 베이스(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각각의 교육 모듈 간의 상관 관계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40)는 표 1의 교육 모듈 a2와 표 2의 교육 모듈 b14는 교육 주제가 동일한 관계에 있다던가, 표 1의 교육 모듈 a11, a12, a13은 서로 함께 교육 콘텐츠에 포함되어야 하는 관계에 있다는 등의 상관 관계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40)는 교육 모듈,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 및 상관 관계를 위키피디아(wikipedia)와 같이 학습자 단말에 의해 편집 가능하도록 관리될 수 있다.
실시예 중 하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 모듈 생성부(210)는 교육 내용 수신부(212), 교육 모듈 정보부(214), 및 교육 모듈 구성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 내용 수신부(212)는 각 교육 모듈에 포함되는 교육 내용을 수신한다. 강사로부터 교육 내용을 입력받거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강사의 교육 내용을 녹화한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교육 모듈 정보부(214)는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추출한다. 교육 모듈 정보부(214)는 강사로부터 교육 주제, 교육 키워드, 교육 제작자 등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평가를 수신할 수 있고, 교육 내용 중 미리보기 샘플을 추출할 수 있다. 교육 모듈 구성부(216)는 교육 내용 수신부(212)에서 수신된 교육 내용과 교육 모듈 정보부(214)로부터 전달받은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연관하여 교육 모듈로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은 교육 모듈 생성 단계(302),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 송신 단계(306), 편집 명령 수신 단계(308), 및 교육 콘텐츠 생성 단계(310)를 포함한다.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교육 콘텐츠를 구성할 다수의 교육 모듈을 생성(302)한다. 다수의 교육 모듈은 여러 강사의 교육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성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로 송신(306)한다.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교육 주제, 교육에 대한 키워드, 교육 제작자, 교육 미리보기 샘플, 해당 전공, 해당 교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을 수신(308)한다. 다음으로, 수신된 편집 명령에 따라 다수의 교육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교육 콘텐츠를 생성(310)한다.
한편,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은 상관관계를 저장하는 단계(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육 모듈이 생성(302)되면, 생성된 교육 모듈 간의 상관관계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다. 이 경우, 각 모듈 간의 상관 관계는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로서 학습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은 교육 콘텐츠 게시 단계(312), 교육 평가 수신 단계(314), 및 교육 평가 반영 단계(3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육 콘텐츠가 생성(310)되면 학습자 단말이 접근할 수 있도록 생성된 교육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게시(312)한다.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신(314)하고, 수신된 교육 평가를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에 반영(316)한다. 이렇게 반영된 교육 평가를 이용하여 학습자 단말은 교육 콘텐츠를 다시 구성할 수 있고, 교육 모듈에 대한 다른 수강자의 평가를 수렴하여 교육 콘텐츠 편집에 반영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육 모듈 생성 단계(302)를 설명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육 모듈 생성 단계(302)는 교육 내용 수신 단계(402),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 수신 또는 추출 단계(404), 및 교육 내용과 교육 모듈 정보 연관 단계(406)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 모듈을 생성하기 위해서 우선 교육 내용을 수신(402)한다. 교육 내용은 교육 자료를 제작하는 강사로부터 입력되거나, 교육을 녹화하는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추출(404)한다. 교육 주제, 교육 키워드, 교육 제작자 등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강사로부터 수신하거나 교육 평가를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교육 내용을 이용하여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로서 미리보기 샘플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 내용 및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서로 연관(406)하여 교육 모듈을 생성한다.
전술한 장치 및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온라인 교육 모듈화를 위하여 사용된 모듈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에 기술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메모리는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100)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20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육 모듈 생성 단계(302)를 설명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온라인 교육을 모듈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교육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교육 모듈을 조합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교육 주제, 교육에 대한 키워드, 교육 제작자, 교육 미리보기 샘플, 해당 전공, 해당 교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교육 모듈 간의 상관 관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상관 관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교육 콘텐츠를 게시하는 단계와,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에 상기 평가를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는
    교육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 또는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교육 내용 및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연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방법.
  6. 온라인 교육을 모듈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교육 모듈을 생성하는 교육 모듈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육 콘텐츠를 편집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교육 모듈을 조합하여 상기 교육 콘텐츠를 생성하는 교육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교육 주제, 교육에 대한 키워드, 교육 제작자, 교육 미리보기 샘플, 해당 전공, 해당 교과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교육 모듈 간의 상관 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상관 관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교육 콘텐츠를 게시하고,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게시된 교육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신하며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교육 평가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모듈 생성부는
    교육 내용을 수신하는 교육 내용 수신부와,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수신 또는 추출하는 교육 모듈 정보부와,
    상기 교육 내용 및 상기 교육 모듈에 대한 정보를 연관하는 교육 모듈 구성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KR1020080108178A 2008-11-03 2008-11-03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9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178A KR20100049142A (ko) 2008-11-03 2008-11-03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178A KR20100049142A (ko) 2008-11-03 2008-11-03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142A true KR20100049142A (ko) 2010-05-12

Family

ID=4227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178A KR20100049142A (ko) 2008-11-03 2008-11-03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91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335A1 (ko) * 2016-05-30 2017-12-07 김용록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한 수학 교육 장치 및 방법
KR20220057061A (ko) * 2020-10-29 2022-05-09 양은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335A1 (ko) * 2016-05-30 2017-12-07 김용록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한 수학 교육 장치 및 방법
KR20220057061A (ko) * 2020-10-29 2022-05-09 양은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온라인 강의 저작도구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scher Course and exercise sequencing using metadata in adaptive hypermedia learning systems
Mackey et al. Metaliteracy: Reinventing information literacy to empower learners
Wong et al. How artefacts mediate small‐group co‐creation activities in a mobile‐assisted seamless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Atif et al. Learning objects based framework for self-adaptive learning
Chikh A general model of learning design objects
Tiellet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hypervideo environment to support veterinary surgery learning
Albano et al. IWT: an innovative solution for AGS e-Learning model
Risdianto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based on web and augmented reality
KR20100049142A (ko) 온라인 교육 모듈화 시스템 및 방법
Iliadis et al. Learning about metadata and machines: Teaching students using a novel structured database activity
Blank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multimedia to teach Java and object-oriented software engineering
Milyakina et al. Literature on screen: teaching adaptations in a multimodal course
Kuksa Virtual reality in theatre education and design practice new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Thakkar et al. Sorting Algorithm visualizer
Canziani Teaching Deep Learning, a boisterous ever-evolving field
Thi Pham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eaching" History of Vietnam Wars in Modern Times" at FPT Education
US20140320504A1 (en) Virtual Re-Animation
Hug et al. Micromedia & e-Learning 2.0: Gaining the big picture: Proceedings of microlearning conference 2006
Abdusselam et al. Augmented reality: educational resources
Al-Mousa Developing a collaborative MOOC learning environment utilizing video sharing with discussion summarization as added-value
Amirulloh et al. Researching ELT 4.0 and Transmediality: Fostering Transliterate Reading through Transmedia Storytelling
de Sarmiento et al. Virtual Education and Learning Ecosystems: Contributions from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odge et al. Building a More Meaningful Web: From Traditional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to New Semantic Tools
Giang Engaging with Postmodernist Anthropology: Potential and Prospects for Digital Anthropology in Vietnam.
Huang et al. Supporting Engineering Education with Augmented Reality: A Systematic Review from 2000 to 202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