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543B1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543B1
KR102562543B1 KR1020210027163A KR20210027163A KR102562543B1 KR 102562543 B1 KR102562543 B1 KR 102562543B1 KR 1020210027163 A KR1020210027163 A KR 1020210027163A KR 20210027163 A KR20210027163 A KR 20210027163A KR 102562543 B1 KR102562543 B1 KR 10256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carbon heater
air outle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302A (ko
Inventor
최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코어
Priority to KR102021002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5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 덕트가 체결되는 유입 덕트 체결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항상 개방되어 있는 제 1배출구와 밸브에 의하여 단면적이 조절됨에 따라 개폐되는 제 2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구가 타측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 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 탈착되는 해파필터 및 상기 케이싱의 중심부에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소히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히터와 헤파필터를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세균 따위를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산업화와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일정 면적을 갖는 병원, 공공장소, 공장, 사무실 등으로 비롯하여 일반 가정에도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4363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 하부에 구비되는 흡기부(11)와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배기부(12)가 형성되는 본체 케이싱(10), 상기 본체 케이싱(10)에 내장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흡기부(11)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 배기부(12)를 통해 배출되도록 동작되는 송풍팬(20), 상기 송풍팬(20)을 경유하여 상기 배기부(12)로 이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 개가 연결 설치되는 헤파필터(30)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필터는 극도로 미세한 입자를 걸러낼 수 있는 고성능 필터로서 공기 중에 있는 0.3㎛크기 입자를 99%이상 거를 수 있다.
그러나,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중에는 사람이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흡입하게 되면 각종 질병과 전염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호흡이나 기침 등을 통해 체내의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확산되어 다른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질병이 전염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일반적인 감기, 코로나19 바이러스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헤파필터에 의하여 공기 정화를 수행하는 종래의 공기정화장치는 미세먼지나 작은 입자의 세균 등을 걸러낼 수는 있으나 비말 및 비산 등을 통하여 확산되어 전염되는 더 작은 입자의 바이러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4363호(공고일 2020.01.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 덕트가 체결되는 유입 덕트 체결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항상 개방되어 있는 제 1배출구와 밸브에 의하여 단면적이 조절됨에 따라 개폐되는 제 2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구가 타측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 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 탈착되는 해파필터 및 상기 케이싱의 중심부에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소히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내측에 상기 탄소히터의 외주면 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판은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 측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소히터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와류형성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는 직교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 및 상기 공기 배출구 측에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 측에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송풍팬과 탄소히터와 센서부 및 밸브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과 탄소히터 및 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고온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 공간에 공급함으로써 동절기에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정화기의 단면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케이싱(100)과 송풍팬(200), 헤파필터(300), 탄소히터(400), 전원부(500), 센서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싱(100)은 일측에 형성되는 유입 덕트 체결홀(110)과 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 배출구(120)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11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1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케이싱(100)은 단면이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인 중공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은 내측에 상기 탄소히터(4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반사판(130)과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110)에 결합되는 유입 덕트(140) 및 상기 공기 배출구(120) 측에 설치되는 배출 가이드(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 덕트(140)는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11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 유입구(141)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14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110)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 덕트(140)는 상기 공기 유입구(141) 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헤파필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헤파필터(300)는 공기 중에 있는 0.3㎛크기 입자를 99%이상 거를 수 있는 고성능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 가이드(150)는 상기 공기 배출구(120)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공기 배출구(120) 측으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호퍼(hopper)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구(120)는 항상 개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14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 1배출구(121)와 밸브(123)에 의하여 단면적이 변화함에 따라 개폐되는 제 2배출구(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 덕트(140)는 외부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 공간 또는 오염된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 가이드(150)는 실내 공간 등과 같이 신선한 공기가 필요한 공간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송풍팬(200)은 상기 공기 유입구(141)로부터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해파필터(300)와 상기 탄소히터(400)에 의하여 정화 및 살균된 신선한 공기를 상기 공기 배출구(120)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케이싱(100) 또는 상기 유입 덕트(140) 중 어느 하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팬(200)은 상기 탄소히터(40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공기 유입구(141)와 상기 공기 배출구(120) 간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11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소히터(400)는 탄소가 전기저항에 의하여 발열하는 것을 이용하여 만든 발열체로서 탄소섬유를 포함한 복합재료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히터(400)는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110)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120) 측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10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판(13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주면 설치되어 상기 탄소히터(400)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케이싱(100) 내부의 공기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판(130)은 상기 탄소히터(400)에 의하여 가열되는 상기 케이싱(100) 내부 공기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110) 측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120)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소히터(400)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사인 형상의 복수 개의 와류형성돌기(13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소히터(4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상기 반사판(130)과 상기 케이싱(100)에 의하여 이중으로 외부와 차단되어 외부의 비교적 차가운 공기로 인한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구(120)는 상측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기 탄소히터(400)와 상기 반사판(14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배출구(122)는 상기 탄소히터(400)가 작동되어 발열하면 상기 밸브(123)에 의하여 단면적이 줄어들어 상기 공기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줄임으로써 고열의 살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해파필터(300)는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110) 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탄소히터(4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 덕트(140)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밸브(123), 상기 송풍팬(200), 상기 탄소히터(400), 센서부(500) 등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고 이들을 제어하는 전원부(600) 및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케이싱(100) 내부의 온도와 상기 공기 배출구(120) 측의 온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와 상기 공기 배출구(120) 측에 사람 또는 동물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해파필터(300)의 오염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상기 탄소히터(400)의 발열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100)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어패널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작동 방법은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제어부(700)를 조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송풍팬(200)이 작동한다.
이에 따라, 실외 또는 오염된 공기를 포함하는 공간으로부터 상기 공기 유입구(141)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작은 입자의 세균 등은 상기 해파필터(300)를 통과함에 따라 걸러진다.
이후, 상기 해파필터(30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서 상기 탄소히터(400)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에 의하여 2차적으로 살균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120)를 통하여 실내 공간 등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 1배출구(122)는 상기 밸브(123)에 의하여 폐쇄되거나 비교적 작은 단면적이 되어 상기 케이싱(100) 내부의 공기가 충분히 살균될 수 있도록 유속이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실내 공간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배출 가이드(150) 측에 사람이나 동물 등이 접근하면, 상기 센서부(500)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탄소히터(4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송풍팬(2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 2배출구(122)가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123)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구(120)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500)로부터 상기 배출 가이드(150) 측에 사람 또는 동물 등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700)에 의하여 상기 송풍팬(200)이 작동하고, 상기 제 2배출구(122)가 완전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123)가 작동되어 상기 케이싱(100) 내부 공간의 과열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가이드(150) 측 실내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송풍팬(200)과 탄소히터(400)가 함께 작동되어 실내 공간의 난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케이싱
110. 유입 덕트 체결홀
120. 공기 배출구
121. 제 1배출구
122. 제 2배출구
123. 밸브
130. 반사판
131. 와류형성돌기
140. 유입 덕트
141. 공기 유입구
150. 배출 가이드
200. 송풍팬
300. 해파필터
400. 탄소히터
500. 센서부
600. 전원부
700. 제어부

Claims (5)

  1.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 덕트가 체결되는 유입 덕트 체결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항상 개방되어 있는 제 1배출구와 밸브에 의하여 단면적이 조절됨에 따라 개폐되는 제 2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배출구가 타측에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 측으로 배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 탈착되는 해파필터; 및
    상기 케이싱의 중심부에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소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은, 내측에 상기 탄소히터의 외주면 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유입 덕트 체결홀 측으로부터 상기 공기 배출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소히터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와류형성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내부의 온도 및 상기 공기 배출구 측에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 측에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송풍팬과 탄소히터와 센서부 및 밸브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과 탄소히터 및 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배출구의 제 1배출구 및 제 2배출구는, 상기 탄소히터 및 반사판 사이의 구간에 형성되고,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탄소히터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는, 중심부가 상기 탄소히터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어서 양측이 상기 한쌍의 제 2배출구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는 직교하여 형성되는 공기정화장치.
  5. 삭제
KR1020210027163A 2021-03-02 2021-03-02 공기정화장치 KR10256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163A KR102562543B1 (ko) 2021-03-02 2021-03-02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163A KR102562543B1 (ko) 2021-03-02 2021-03-02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02A KR20220124302A (ko) 2022-09-14
KR102562543B1 true KR102562543B1 (ko) 2023-08-04

Family

ID=8327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163A KR102562543B1 (ko) 2021-03-02 2021-03-02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5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474B1 (ko) * 2014-07-18 2014-11-05 주식회사 이젠엔지니어링 가습 및 제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235A (ko) * 2014-07-11 2016-01-20 박재흔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열풍기
KR20180102457A (ko) * 2017-03-07 2018-09-17 (유)엠아이알 탄소섬유를 이용한 개인용 공기 조화기
KR102064363B1 (ko) 2019-05-10 2020-01-09 이소영 헤파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474B1 (ko) * 2014-07-18 2014-11-05 주식회사 이젠엔지니어링 가습 및 제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02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1399A (en) Cleaning arrangement including filters and ultraviolet radiation
RU2664231C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очистка воздуха
KR102215000B1 (ko) 공기정화장치
JP6034794B2 (ja) 空気清浄システム
KR101959671B1 (ko) 전열교환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복합형 팬코일 유니트
TWI454292B (zh) 空氣清淨機
JP2012149879A (ja) 空気処理装置とその方法
KR102565654B1 (ko) 환기 공기 유입구를 위한 공기 처리 장치
KR101509060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정화기
TWI500890B (zh) 空氣清淨機
KR101400831B1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CN209605304U (zh) 一种医疗手术室用的空气净化装置
CN1475708A (zh) 可控湿度空气净化处理装置
KR102562543B1 (ko) 공기정화장치
KR20230119100A (ko) 다중 이용시설용 공기청정기
KR102149056B1 (ko)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CN112856687A (zh) 一种水平及竖向吹吸结合的空气隔离装置、系统及方法
CN207936366U (zh) 一种家用式智能空气净化器
KR20210017155A (ko) 슬림형 공기정화장치
CN107327956A (zh) 一种自动化空气净化系统
KR102507708B1 (ko) 공기 정화 장치
TW201319482A (zh) 空氣清淨機
JP5122427B2 (ja) ファンヒータ
KR102467530B1 (ko) 백금 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200129252A (ko)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