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29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299B1
KR102562299B1 KR1020210097908A KR20210097908A KR102562299B1 KR 102562299 B1 KR102562299 B1 KR 102562299B1 KR 1020210097908 A KR1020210097908 A KR 1020210097908A KR 20210097908 A KR20210097908 A KR 20210097908A KR 102562299 B1 KR102562299 B1 KR 10256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guide
storage
top plate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428A (ko
Inventor
임현애
곽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299B1/ko
Priority to PCT/KR2022/008325 priority patent/WO2023008735A1/en
Publication of KR2023001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28A/ko
Priority to KR1020230098230A priority patent/KR102623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299B1/ko
Priority to KR1020240002298A priority patent/KR20240010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실(3)이 형성된 캐비넷과, 상기 저장실(3)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130a)이 형성된 수납조립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조립체(100)에는 상기 저장실(3)에 배치되고, 서랍가이드부(121) 및 선반가이드부(125)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를 따라 수납서랍(130)이 이동되고, 상기 수납서랍(130)의 상부에는 상기 수납공간(130a)을 차폐하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의 연결가이드부(155)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선반(150)에 겹쳐지고, 겹쳐진 상기 제1선반(150) 및 상기 제2선반(170)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가 높은 물건을 수납공간(130a)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서랍(130)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냉장고 내부의 다른 부품과 간섭 없이 물건을 꺼낼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서랍형 수납조립체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되고,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냉장고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내부에 과일 등 신선식품을 보관하는 수납함을 따로 두고, 사용자가 수납함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수납함 상부를 투명한 소재의 커버로 덮는 구조가 있다. 이때 수납함의 위에는 다양한 제품을 얹을 수도 있다.
그런데, 수납함 자체의 높이로 인해 수납함의 상부에 보관할 수 있는 물건의 높이가 제한된다. 즉, 수납함과 그 상부에 배치된 선반 사이의 높이 보다 낮은 물건만 수납함 위에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냉장고 내부의 수납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 냉장고의 선반을 접을 수 있는 기술도 공개되어 있다. 선반이 접히면 선반에 의한 높이 제한이 제거되므로 냉장고의 내부에 높이가 높은 물건도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0460호(선행기술1)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1346호(선행기술2)에는 회전할 수 있는 가변식 선반이 적용된 냉장고가 공개되어 있다.
다만, 냉장고의 선반을 회전시켜 접더라도, 냉장고의 안쪽에 보관된 물건을 외부로 꺼내는 작업은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높이가 높은 물건은 위쪽에 배치된 선반과 간섭되기 쉬우므로 외부로 꺼내기가 더욱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0460호(선행기술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1346호(선행기술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높이가 가변될 뿐 아니라 외부로 쉽게 인출할 수 있는 수납조립체가 설치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부품으로 수납공간을 덮는 커버와 선반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캐비넷과,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조립체에는 서랍가이드부 및 선반가이드부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가이드부를 따라 수납서랍이 이동되고, 상기 수납서랍의 상부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하는 제1선반과 제2선반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선반이 상기 제1선반의 연결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선반에 겹쳐지고, 겹쳐진 상기 제1선반 및 상기 제2선반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가 높은 물건을 수납공간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서랍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냉장고 내부의 다른 부품과 간섭 없이 물건을 꺼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가이드부에는 상기 수납서랍의 인출레일이 결합되고, 상기 선반가이드부에는 상기 제2선반의 선반레일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가이드부와 상기 선반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동일 표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납가이드부는 상기 선반가이드부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가이드프레임에 수납서랍 및 두 개의 선반이 모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가이드부는 상기 제1선반이 조립되는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연결되는 제2선반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 보다 상하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의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반가이드에는 상기 제1선반의 회전돌부가 삽입되는 회전홈이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가이드부는 상기 제2선반을 향한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선반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반과 상기 제2선반이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선반의 상면과 상기 제2선반의 상면은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상부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선반 및 상기 제2선반은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상부를 통해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가 구비된 한 쌍의 측면바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연결되는 후면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선반에는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선반바디와, 상기 제2선반의 후단부와 마주보는 제1프론트바디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선반에는 상기 제1선단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1프론트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상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선반은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선반바디와,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선단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2프론트바디의 상면에는 제2상판이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2선반바디가 상기 측면바디의 제2선반가이드로부터 상기 제1선반의 상기 연결가이드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1상판의 하부에 상기 제2상판이 겹쳐질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수납조립체의 커버역할을 하는 제1선반과 제2선반이 서로 겹쳐지면 수납공간이 위쪽으로 개방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높이가 증가한다. 이와 동시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수납서랍 자체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가 높은 물건을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서랍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냉장고 내부의 다른 부품과 간섭 없이 물건을 꺼낼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선반과 제2선반이 서로 펼쳐지면 제1선반과 제2선반은 수납공간의 위를 덮어 커버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 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 기능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조립체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수납조립체의 활용성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는 (i) 제1선반과 제2선반을 펼쳐서 커버 및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고, (ii) 제2선반을 제1선반에 겹쳐서 수납서랍의 전방만 위쪽으로 개방할 수도 있으며, (iii) 겹쳐진 제2선반과 제1선반을 접어서 수납서랍의 전방과 후방을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환경에 맞추어 수납조립체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고, 수납조립체의 활용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선반과 제2선반은 수납서랍과는 독립적으로 동작된다. 제1선반과 제2선반은 고내에 남아 선반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납서랍만 인출시켜 물건을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을 덮기 위한 커버와,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납조립체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구조가 간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에 물건이 보관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조립체에서 수납서랍이 인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에서 제2커버가 제1커버에 겹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납공간에 물건이 수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에서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의 각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납조립체의 가이드프레임과 수납서랍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선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선반프레임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제1선반프레임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선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2선반프레임 중 제2선반바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제2선반프레임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고, 냉장고의 내부에는 수납조립체(100)가 배치된다. 상기 수납조립체(100)는 음식물을 비롯한 물건들(이하 '보관물(P1,P2,P3)'이라 함)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조립체(100) 중 일부(수납서랍(130))는 냉장고의 저장실(3) 내외로 입출될 수 있고, 다른 일부(제1선반(150) 및 제2선반(170))은 저장실(3) 내에서 겹치거나 접히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수납조립체(10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면의 방향에 대해 정의하면, 냉장고의 앞쪽(전방)은 사용자가 냉장고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를 향한 방향이 되고, 뒤쪽(후방)은 그 반대방향이 된다.(도 1의 X축 방향 참조) 그리고 냉장고의 왼쪽(좌방)과 오른쪽(우방)은 냉장고의 좌우폭방향(도 1의 Y축 방향 참조)가 되고, 냉장고의 위쪽(상방)과 아래쪽(하방)은 냉장고의 높이방향(도1의 Z축 방향 참조)이 된다.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3)을 갖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3)을 차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는데, 도 1에는 상기 캐비넷을 구성하는 이너케이스(1)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넷은 캐비넷의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케이스와 내측 벽면을 이루는 이너케이스(1)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케이스(1)의 내부에는 저장실(3)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3)은 물건이 보관되는 빈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3)에는 다수의 선반(미도시)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들은 상기 저장실(3)을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설치를 위해서 상기 저장실(3)의 내측면에는 장착레일(5)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3)에는 수납조립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조립체(100)는 보관물(P1,P2,P3)을 내부의 수납공간(130a)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는 선반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납조립체(100)는 상기 저장실(3)에 배치되는데,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저장실(3)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저장실(3)의 중간이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수납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부품 중 수납서랍(130)이 상기 저장실(3)에서 입출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수납서랍(130)이 저장실(3)의 안쪽에 있고, 도 3에는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저장실(3)의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수납서랍(130)을 도 3과 같이 당겨 꺼낸 후에, 상기 수납공간(130a)에 보관물(P1,P2,P3)을 보관하거나 상기 수납공간(130a)에 수납된 보관물(P1,P2,P3)을 꺼낼 수 있다.
도 2와 도 3에는 상기 수납서랍(130)의 수납공간(130a)이 위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 즉, 수납서랍(130)의 위쪽을 덮는 선반(150,170)이 서로 겹쳐지거나, 겹쳐진 상태로 회전되어 수납공간(130a)이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공간(130a)이 열리면, 상기 수납공간(130a)에는 높이가 높은 보관물(P1,P2,P3)도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150,170)을 구성하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서로 겹치는 것은 도 5와 같은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되는 것은 도 7과 같은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서로 펼쳐지는 것은 도 4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30a)의 위쪽을 덮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i) 도 4처럼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을 펼쳐서 커버 및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고, (ii) 도 5와 같이 제2선반(170)을 제1선반(150)에 겹쳐서 상기 수납서랍(130)의 전방만 위쪽으로 개방할 수도 있으며, (iii) 도 7과 같이 겹쳐진 제2선반(170)과 제1선반(150)을 접어서 수납서랍(130)의 전방과 후방을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 중에서 도 5와 도 7은 수납공간(130a)이 위쪽으로 개방되므로 수납공간(130a)의 높이 보다 높은 보관물(P1,P2,P3)도 보관이 가능하다.
상기 수납조립체(100)는 상기 저장실(3)에 배치되는데, 상기 수납조립체(100)의 위치는 가이드프레임(110)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이너케이스(1)에 고정되고, 상기 수납서랍(130)의 전후방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 및 상기 제2선반(170)의 전후방 이동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이너케이스(1)에 스크류 등 체결구로 고정되거나, 또는 압입이나 접착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대략 ㄷ자 형태의 골격을 갖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바디(111)와,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111)를 연결하는 후면바디(11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합성수지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측면바디(111)는 상기 이너케이스(1)의 내면 중 양쪽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후면바디(115)는 상기 이너케이스(1)의 내면 중 후면에 밀착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은 상기 수납서랍(130)의 입출과정에서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이너케이스(1)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측면바디(111)는 대략 사각판상이다. 상기 이너케이스(1)의 내면을 향한 상기 측면바디(111)의 바깥쪽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도면부호 생략)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들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상면까지 연장되지는 않고, 중간에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바디(111)의 상부에는 변형방지부(113)가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113)는 상기 측면바디(111)의 상단을 따라 전후방으로 구비되고, 일종의 살빼기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113)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을 사출성형할 때 상기 측면바디(111)가 열변형에 의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112는 상기 변형방지부(113)의 전단에 구비된 프론트데코이고, 상기 프론트데코(1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선반(170)의 제2프론트바디(178)와 통일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와 상기 변형방지부(113) 사이에는 장착홈(S)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S)은 상기 변형방지부(113) 및 상기 보강리브 보다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이다. 상기 장착홈(S)에는 이너케이스(1)의 장착부(미도시)가 끼워져,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상기 이너케이스(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바디(111)의 내면에는 서랍가이드부(121) 및 선반가이드부(125)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된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은 상기 수납서랍(130)을 안내하고, 상기 선반가이드부(125)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을 안내한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와 상기 선반가이드부(125)는 상기 측면바디(111)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서랍가이드부(121)는 선반가이드부(125) 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서랍(130)은 상기 제1선반(150) 및 제2선반(170)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고,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상기 수납서랍(130)의 커버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바디(111)에서 함몰된 형상이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는 상기 수납서랍(130)의 인출레일(135)이 끼워지고, 상기 수납서랍(130)이 전후방으로 입출될 때 인출레일(135)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 안내된다.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의 전단부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레일입구(121a)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입구(121a)를 통해서 상기 인출레일(135)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레일입구(121a)에는 레일스토퍼(121b)가 돌출되고, 상기 레일스토퍼(121b)는 상기 인출레일(135)의 레일단부(135a)를 걸어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선반가이드부(125)를 보면, 상기 선반가이드부(125)는 상대적으로 측면바디(111)의 안쪽에 배치된 제1선반가이드(126)와, 바깥쪽에 배치된 제2선반가이드(127)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는 상기 제1선반(150)이 배치되고,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는 상기 제2선반(170)이 배치된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는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상하폭이 더 넓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는 상기 제1선반(150) 뿐 아니라, 상기 제1선반(150)에 겹쳐지도록 상기 제2선반(170)도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폭이 큰 것이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제2선반가이드(127) 사이에는 단차부(128)가 있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폭이 크므로 그 사이에 일종의 단차형태의 단차부(128)가 형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차부(128)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선반(170)의 후단부가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쳐질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선반(170)에 구비된 가이드돌부(177)는 상기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의 가이드돌부(177)가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이 서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128)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제2선반가이드(127) 사이에는 선반스토퍼(128')가 구비된다. 상기 선반스토퍼(128')는 상기 가이드돌부(177)와 간섭되어, 상기 가이드돌부(177)의 초기위치를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을 제1선반(150)으로부터 다시 펼칠 때(도 4참조), 상기 선반스토퍼(128')에 상기 가이드돌부(177)가 간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선반스토퍼(128')의 후방에 상기 가이드돌부(177)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는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함몰된 깊이도 더 깊다. 즉,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는 좌우폭 방향(도 1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 보다 상기 측면바디(111)의 안쪽으로 더욱 많이 함몰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는 상기 제1선반(150)의 제1선반바디(152)가 위치하고,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연결가이드부(155)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의 상부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측면바디(111)의 상단에는 개구부(126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6a)는 상기 수납공간(130a)의 좌우 폭을 더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은 상기 개구부(126a)를 통해서 아래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선반(170)이 먼저 상기 개구부(126a)를 통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장착된 후에,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서 제2선반가이드(127)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제1선반(150)이 상기 개구부(126a)를 통해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의 안쪽에는 회전가이드(126b)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가이드(126b)는 상기 제1선반(15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대해 상대회전할 때,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피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가이드(126b)는 상기 측면바디(111)에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 보다 상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가이드(126b)에는 회전홈(129)이 함몰된다. 상기 회전홈(129)은 상기 회전가이드(126b)의 상부에 함몰된 것이다. 상기 회전홈(129)에는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돌부(159)가 끼워져,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중심이 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홈(129)은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111)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부(159)도 상기 제1선반(150)의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의 전단부는 막혀있다. 따라서, 상기 제2선반(170)은 상기 전단부에 막혀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의 전반부는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선반(170)이 전방으로 당겨질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서랍(130)을 보면, 상기 수납서랍(13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중심에는 수납공간(130a)이 마련된다. 상기 수납공간(130a)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빈 공간이다.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수납공간(130a)은 상방으로 개방되고,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다시 수납되면 상기 수납공간(130a)은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수납서랍(130)을 구성하는 서랍측면부(131), 서랍후면부(132) 및 서랍전면부(133)들이 서로 연결되고, 그 안쪽에 감싸진 부분에 상기 수납공간(130a)이 형성된다. 이 중에서 상기 서랍전면부(133)는 사용자를 향한 부분이 되고, 상기 서랍후면부(132)는 상기 이너케이스(1)의 안쪽을 향한다. 그리고 상기 서랍측면부(131)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의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서랍측면부(131)에는 인출레일(135)이 구비된다. 상기 인출레일(135)은 상기 수납서랍(130)의 인출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인출레일(135)은 상기 수납서랍(130)의 전후방향(도 1의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서랍측면부(131)에서 돌출된 구조이다.
상기 인출레일(135)의 끝부분에는 레일단부(135a)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단부(135a)는 상기 인출레일(135) 보다 큰 폭을 갖는다. 상기 레일단부(135a)는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의 레일입구(121a)를 통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레일단부(135a)는 레일입구(121a)에 구비된 레일스토퍼(121b)에 걸려,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서랍측면부(131)에는 상기 인출레일(135)과 이격되어 안착돌부(136)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돌부(136)는 상기 레일단부(135a) 보다 상기 서랍측면부(131)의 후방에 위치되고, 본 실시례에서는 원기둥형상이다. 상기 안착돌부(136)는 레일단부(135a)와 이격되되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돌부(136)는 상기 인출레일(135)이 상기 서랍가이드부(121)에 완전히 끼워지면 서랍가이드부(121)의 가장 안쪽 공간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안착돌부(136)는 곡면형태의 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을 따라 저장실(3)의 안쪽으로 끼워질 때, 수납서랍(130)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9을 보면, 상기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에 완전히 장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9에는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생략되어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130a)이 상방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선반(150,17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선반(150,170)의 골격은 선반프레임(151,171)이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상판(160,180)이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판(160,180)은 상기 선반프레임(151,171)에 형성된 접착부(152b,153b,172b) 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반(150,170)을 구성하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을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제1선반(150)의 기능을 살펴보면, (i) 상기 제1선반(150)은 보관물(P1,P2,P3)의 안착될 수 있는 선반기능을 하고, 동시에 (ii) 상기 수납서랍(1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공간(130a)을 막는 커버기능도 한다. 또한 (iii) 상기 제1선반(150)이 회전되면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수납공간(130a)을 개방시켜 높이가 높은 보관물(P1,P2,P3)도 상기 수납공간(130a)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iv) 상기 제1선반(150)은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에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2선반(17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150)은 상기 제2선반(170)과 함께 선반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제1선반(150)의 상면과 상기 제2선반(170)의 상면은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도 10에서 A는 상기 제1선반(150)의 상면과 상기 제2선반(170)의 상면을 연결한 가상의 연장선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의 상부에 보관물(P1,P2,P3)을 올려두더라도 보관물(P1,P2,P3)이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 사이의 단차에 의해 기울어져 불안정하게 보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보면, 상기 제1선반(150)은 제1선반프레임(151)과,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에 결합되는 제1상판(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은 대략 'ㄷ'자 형태이고, 합성수지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은 상기 제1선반(150)의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1상판(160)은 상기 수납공간(130a)의 상부를 덮고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는 수납장소를 그 상부에 제공한다.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프론트바디(15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한 쌍의 측면바디(111)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는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펼쳐졌을 때, 상기 제2선반(170)의 후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상판(160)은 사각판상이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판(160)은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상판(160)이 투명하면, 상기 제1상판(160)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130a)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제1상판(160)의 상면(161)에 상기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상판(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와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와 밀착된다. 상기 제1상판(160)이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와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의 상부에 안착되므로, 상기 제1상판(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전체 면적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수납조립체(100)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상판(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과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의 상면(153a)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을 보면,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의 상면에는 제1접착부(152b,153b)가 함몰된다. 상기 제1접착부(152b,153b)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상판(160)을 상기 제1선반프레임(151)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실란트(Sealant)라 할 수도 있는데, 접착성분을 갖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는 PVC계, 합성고무계, 부틸고무계, 에폭시수지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실리콘계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152b,153b)는 사이드접착홈(152b)과 프론트접착홈(153b)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접착홈(152b)은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에 함몰된 것이고, 상기 프론트접착홈(153b)은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의 상면(153a)에서 함몰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이드접착홈(152b)과 상기 프론트접착홈(153b)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도 13을 보면, 상기 사이드접착홈(152b)은 상대적으로 안쪽에 배치된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각각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처럼 상기 사이드접착홈(152b)이 다수개로 구성되면, 상기 제1상판(160)과 상기 제1선반바디(152) 사이의 접착면적이 넓어져 제1상판(16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판(160)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지더라도 최소한의 접착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상판(160)의 저면이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에 밀착되나, 제2사이드접착홈(152b2)으로부터는 이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제1상판(160)은 제1사이드접착홈(152b1)에 주입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선반바디(15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은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 보다 좌우폭이 넓고,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 보다 함몰된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된다.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은 상기 제1상판(160)과 상기 제1선반바디(152) 사이의 접착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상기 제1사이드잡착홈에서 누설된 접착제가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 바깥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으로부터 누설된 접착제는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에 스며들어 고이게 되고, 더이상 바깥쪽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에도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도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함께 상기 제1상판(160)의 저면과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상기 제1선반바디(152)의 상면(152a)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과 상기 제2사이드접착홈(152b2)은 각각 하나씩 형성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는 한 개로 구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두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프론트접착홈(153b)은 하나로 구성되는데,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사이드접착홈(152b1)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프론트접착홈(153b)도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4에는 제1선반바디(1152)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의 제1선반바디(152)와 동일한 구조는 1000번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선반바디(1152)의 상면(1152a)에는 사이드접착홈(1152b)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접착홈(1152b)은 한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1선반바디(11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다. 상기 사이드접착홈(1152b)은 상기 제1선반바디(1152)의 상면(1152a) 중심부에 함몰된 형태로 구성된다.
다시 도 10을 보면, 상기 제1프론트바디(153)에는 상기 제1상판(160)의 전방 둘레면을 감싸는 커버부(15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153')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상판(160)의 전방 둘레면을 감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선반(160)과 상기 제2선반(180)이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선반(160)의 상면(161), 상기 제2선반(180)의 상면(181) 및 상기 커버부(153')의 상면은 서로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의 연장선 A는 상기 제1선반(160)의 상면(161), 상기 제2선반(180)의 상면(181) 및 상기 커버부(153')의 상면이 서로 동일평면인 것을 보이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례를 보면, 상기 제1선반바디(152)에는 연결가이드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는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152)가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는 상기 선반가이드부(125)와 연결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는 상기 선반가이드부(125) 중 제2선반가이드(127)의 가이드바디(174, 선반레일)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선반(170)의 제2선반바디(172)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연결가이드부(155)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는 전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에는 가이드입구(155a)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입구(155a)는 상기 제2선반(170)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선반(170)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의 말단부에는 가이드스토퍼(156)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스토퍼(156)는 상기 제2선반(170)이 제1선반(150) 하부로 적층되면서 이동할 때,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스토퍼(156)는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선반(170)의 제2선반바디(172) 끝부분과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바디(152)에는 회전돌부(159)가 돌출된다. 상기 회전돌부(159)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표면 중에서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표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회전돌부(159)는 대략 원기둥형상이고, 상기 회전가이드(126b)에 형성된 회전홈(129)에 끼워진다. 상기 회전돌부(159)는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중심이 된다.
도 15에는 상기 제2선반(17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은 제2선반프레임(171)과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에 고정되는 제2상판(180)을 포함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은 대략 'ㄷ'자 형태이고, 합성수지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은 상기 제2선반(170)의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2상판(180)은 상기 수납공간(130a)의 상부를 덮고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는 수납장소를 그 상부에 제공한다.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와,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프론트바디(178)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한 쌍의 측면바디(111)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론트바디(178)는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펼쳐졌을 때, 상기 제1선반(150)의 전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는 각각 상기 제2상판(180)의 좌우 가장자리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 상기 제2상판(180)의 좌우 가장자리 저면이 접착된다. 상기 제2선반바디(172)와 상기 제2상판(180) 사이의 구체적인 접착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양측면에는 후술할 가이드바디(174)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바디(174)는 선반레일로 볼 수 있다. 상기 선반레일은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제2선반(170)이 후퇴할 때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를 따라 이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선반레일은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양측면에서 더 돌출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는 상기 제2상판(180)의 전면 가장자리 하부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상판(180)의 전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바디의 상면이 상기 제2상판(180)의 상면(181)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상판(180) 위의 보관물(P1,P2,P3)이 굴러서 제2상판(180) 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프론트바디를 파지하고 제2상판(180)을 쉽게 밀거나 당길 수 있다. 도면부호 178a는 상기 제2상판(180)의 전면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결합홈을 나타낸다.
도 16을 보면,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는 제2접착부(172b)가 있다. 상기 제2접착부(172b)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2상판(180)을 상기 제2선반프레임(171)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실란트(Sealant)라 할 수도 있는데, 접착성분을 갖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172b)는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 함몰된 것이다. 상기 제2접착부(172b)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길이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가 된다.
도 17을 보면, 상기 제2접착부(172b)는 상대적으로 안쪽에 배치된 메인접착홈(172b1)과 상기 메인접착홈(172b1) 보다 바깥쪽에 배치된 보조접착홈(172b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접착홈(172b1)과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각각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처럼 상기 제2접착부(172b)가 다수개로 구성되면, 상기 제2상판(180)과 상기 제2선반바디(172) 사이의 접착면적이 넓어져 제2상판(18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상판(180)이 기울어지거나 틀어지더라도 최소한의 접착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상판(180)의 저면이 상기 메인접착홈(172b1)에 밀착되나, 보조접착홈(172b2)으로부터는 이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제2상판(180)은 메인접착홈(172b1)에 주입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접착홈(172b1)은 상기 보조접착홈(172b2) 보다 좌우폭이 넓고,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상기 메인접착홈(172b1) 보다 함몰된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접착홈(172b1)은 상기 제2상판(180)과 상기 제2선반바디(172) 사이의 접착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상기 메인접착홈(172b1)에서 누설된 접착제가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 바깥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접착홈(172b1)으로부터 누설된 접착제는 상기 보조접착홈(172b2)에 스며들어 고이게 되고, 더이상 바깥쪽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보조접착홈(172b2)에도 접착제가 채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접착홈(172b2)도 상기 메인접착홈(172b1)과 함께 상기 제2상판(180)의 저면과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상기 메인접착홈(172b1)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어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은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 하나만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접착홈(172b1)과 상기 보조접착홈(172b2)이 모두 두 개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8에는 제2선반바디(1172)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의 제2선반바디(172)와 동일한 구조는 1000번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선반바디(1172)의 상면(1172a)에는 제2접착부(1172b)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접착부(1172b)는 한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선반바디(1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된다. 상기 제2접착부(1172b)는 상기 제2선반바디(1172)의 상면(1172a) 중심부에 함몰된 형태로 구성된다.
다시 도 17을 보면,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는 가이드펜스(17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펜스(173)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상면(172a)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펜스(173)는 상기 제2접착부(172b)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173)에는 상기 제2상판(180)의 측면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펜스(173)는 상기 제2상판(180)의 측면을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173)의 표면은 상기 제2상판(18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는 가이드바디(1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174)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서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바디(174)는 상기 선반가이드부(125) 중 제2선반가이드(127)와,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를 따라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바디(174)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와 상기 연결가이드부(155)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176은 상기 가이드바디(174)에서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를 나타낸다.
상기 제2선반바디(172)에는 가이드돌부(17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부(177)는 상기 제2선반바디(172)의 말단부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돌부(177)는 상기 선반가이드부(125)의 상기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의 후단부가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이 서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선반바디(172)가 상기 측면바디(111)의 제2선반가이드(127)로부터 상기 제1선반(150)의 상기 연결가이드부(155)로 이동하면 상기 제1상판(160)의 하부에 상기 제2상판(180)이 겹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의 수납조립체(100)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은 서로 펼쳐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130a)의 상부는 가려진 상태이고,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의 상부에는 보관물(P1,P2,P3)이 안착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는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이 선반기능과 함께 수납서랍(130)의 커버기능을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의 하부에 겹쳐지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사용자가 상기 제2선반(170)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와 제2선반가이드(127) 사이에는 단차부(128)가 형성되므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2선반가이드(127)에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126)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돌부(177)가 구비된 제2선반(170)의 후단부가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쳐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선반(170)에 구비된 가이드돌부(177)는 상기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의 후단부가 단차부(128)를 타고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선반(170) 전체가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선반(170)이 상기 제1선반(150)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이 서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선반(170)이 초기에 위치했던 곳은 상방으로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높이가 높은 보관물(P1,P2,P3)을 상기 수납공간(130a)에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높이가 높은 보관물(P1,P2,P3)을 더 많이 보관하고자 한다면,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을 회전시켜 접을 수 있다. 상기 제2선반(170)은 상기 제1선반(150)의 연결가이드부(155)에 장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선반(15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2선반(170)도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선반(150)의 회전돌부(159)를 회전중심으로 상기 제1선반(150)과 상기 제2선반(170)이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제2선반(170)을 제1선반(150)에 겹쳐서 수납서랍(130)의 전방만 위쪽으로 개방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7과 같이 겹쳐진 제2선반(170)과 제1선반(150)을 접어서 수납서랍(130)의 전방과 후방을 모두 개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환경에 맞추어 수납조립체(100)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을 보면, 사용자는 상기 수납서랍(130)을 전방으로 당겨 상기 보관물(P1,P2,P3)을 꺼낼 수 있다. 도 2는 수납서랍(1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안쪽에 장착된 상태이고, 도 3은 사용자가 상기 수납서랍(130)을 당겨 꺼낸 상태이다. 상기 수납서랍(130)이 전방으로 꺼내지면, 사용자는 보관물(P1,P2,P3)을 꺼낼 때 상부의 다른 선반(미도시)과의 간섭없이 쉽게 꺼낼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은 수납서랍(130)과는 독립적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서랍(130)을 꺼내더라도, 제1선반(150)과 제2선반(170)은 고내에 남아 선반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는 수납서랍(130)만 인출시켜 물건을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130a)을 덮기 위한 커버와,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을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이너케이스 3: 저장실
100: 수납조립체 110: 가이드프레임
111: 측면바디 115: 후면바디
121: 서랍가이드부 125: 선반가이드부
126: 제1선반가이드 127: 제2선반가이드
128: 단차부 130: 수랍서랍
150: 제1선반 151: 제1선반프레임
152: 제1선반바디 152b,153b: 제1접착부
152b: 사이드접착홈 153: 제1프론트바디
153b: 프론트접착홈 155: 연결가이드부
156: 가이드스토퍼 159: 회전돌부
160: 제1상판 170: 제2선반
171: 제2선반프레임 172: 제2선반바디
172b: 제2접착부 174: 가이드바디
177: 가이드돌부 178: 제2프론트바디
180: 제2상판 P1,P2,P3: 보관물

Claims (14)

  1. 캐비닛에 형성된 저장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의 선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 장착되고 대향하는 내측면에 선반가이드부가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전면, 양측면, 후면을 갖는 유리재질의 제1상판과, 상기 양측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1상판의 하부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연결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선반바디와,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를 연결하는 제1프론트바디를 포함하는 제1선반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반가이드부에 장착되는 제1선반; 및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전면, 양측면, 후면을 갖는 유리재질의 제2상판과, 상기 양측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2상판의 하부면에 접착제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선반가이드부와 상기 연결가이드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돌부를 갖는 한 쌍의 제2선반바디 및 상기 제2상판의 전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프론트바디를 포함하는 제2선반프레임으로 구성된 제2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2선반이 상기 제1선반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상판의 상부면과 상기 제2상판의 상부면은 동일 평면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 및 상기 제2선반은 수납서랍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수납서랍의 인출을 가이드하는 서랍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서랍가이드부에는 상기 수납서랍의 인출레일이 결합되고, 상기 선반가이드부에는 상기 제2선반의 선반레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랍가이드부와 상기 선반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동일 표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서랍가이드부는 상기 선반가이드부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가이드부는
    상기 제1선반이 조립되는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2선반이 조립되는 제2선반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선반가이드는 상기 제2선반가이드 보다 상하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의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에는 상기 제1선반의 회전돌부가 삽입되는 회전홈이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부는 상기 제2선반을 향한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선반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론트바디에는 상기 제2상판의 전방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상부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선반 및 상기 제2선반은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상부를 통해 각각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선반가이드와 상기 제2선반가이드가 구비된 한 쌍의 측면바디;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선반의 후단부가 배치되는 후면바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제1선반바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의 전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선반의 후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1프론트바디;와
    상기 제1선반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1프론트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제1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선반바디에는 각각 상기 연결가이드부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바디에는 상기 측면바디의 회전홈에 결합되는 회전돌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선반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제2선반바디;
    상기 한 쌍의 제2선반바디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2프론트바디;와
    상기 제2선반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2프론트바디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제2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선반바디가 상기 측면바디의 제2선반가이드로부터 상기 제1선반의 상기 연결가이드부로 이동하면 상기 제1상판의 하부에 상기 제2상판이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반가이드의 후방에는 상기 제1선반가이드 보다 상하 폭이 큰 회전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가이드에는 상기 제2선반의 회전돌부가 고정되는 회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론트바디의 상부면은 상기 제2상판의 상부면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10097908A 2021-07-26 2021-07-26 냉장고 KR10256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08A KR102562299B1 (ko) 2021-07-26 2021-07-26 냉장고
PCT/KR2022/008325 WO2023008735A1 (en) 2021-07-26 2022-06-13 Refrigerator
KR1020230098230A KR102623830B1 (ko) 2021-07-26 2023-07-27 냉장고
KR1020240002298A KR20240010509A (ko) 2021-07-26 2024-01-0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08A KR102562299B1 (ko) 2021-07-26 2021-07-26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230A Division KR102623830B1 (ko) 2021-07-26 2023-07-2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28A KR20230016428A (ko) 2023-02-02
KR102562299B1 true KR102562299B1 (ko) 2023-08-01

Family

ID=8522548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08A KR102562299B1 (ko) 2021-07-26 2021-07-26 냉장고
KR1020230098230A KR102623830B1 (ko) 2021-07-26 2023-07-27 냉장고
KR1020240002298A KR20240010509A (ko) 2021-07-26 2024-01-05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230A KR102623830B1 (ko) 2021-07-26 2023-07-27 냉장고
KR1020240002298A KR20240010509A (ko) 2021-07-26 2024-01-0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62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299B1 (ko) * 2021-07-26 202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4159A (ja) 2003-12-03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
JP2009222342A (ja) 2008-03-18 2009-10-01 Toshiba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346B1 (ko) 2002-01-15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선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070004359A (ko) * 2005-07-04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식품 저장 구조
KR101410460B1 (ko) * 2009-07-02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2036281B1 (ko) * 2013-03-15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43201B1 (ko) * 2013-05-15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00683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026464B1 (ko) * 2015-02-17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선반장치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KR102519048B1 (ko) * 2016-07-14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54924A (ko) * 2020-05-08 2020-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62299B1 (ko) * 2021-07-26 202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4159A (ja) 2003-12-03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
JP2009222342A (ja) 2008-03-18 2009-10-01 Toshiba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769A (ko) 2023-08-14
KR102623830B1 (ko) 2024-01-10
KR20230016428A (ko) 2023-02-02
KR20240010509A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6862B1 (en) Refrigerator
EP3617630B1 (en) Refrigerator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JP6496419B2 (ja) 冷蔵庫
KR20230118769A (ko) 냉장고
KR102285845B1 (ko) 냉장고
EP3489600A1 (en) Refrigerator
EP2345859B1 (en) A door for an electric appliance and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KR20100032549A (ko) 냉장고의 선반
KR102525648B1 (ko) 냉장고
KR102445184B1 (ko) 냉장고
KR20190128421A (ko) 냉장고
EP3945192A2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44098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 도어
KR101803625B1 (ko) 냉장고
KR100766565B1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KR100334648B1 (ko) 김치냉장고
EP3751223B1 (en)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KR20230103412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20230030975A1 (en) Refrigerator
KR20210094905A (ko) 냉장고
KR20220007290A (ko)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156156A (ko) 냉장고의 도어
KR2024003180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