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119B1 -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119B1
KR102562119B1 KR1020180101463A KR20180101463A KR102562119B1 KR 102562119 B1 KR102562119 B1 KR 102562119B1 KR 1020180101463 A KR1020180101463 A KR 1020180101463A KR 20180101463 A KR20180101463 A KR 20180101463A KR 102562119 B1 KR102562119 B1 KR 10256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electronic device
processo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595A (ko
Inventor
양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119B1/ko
Priority to US17/272,256 priority patent/US11671137B2/en
Priority to PCT/KR2019/010557 priority patent/WO2020045876A1/ko
Publication of KR2020002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3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power amplifiers, e.g. gain or non-line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2Power radiated at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3Reflected power, e.g. return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4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he who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e.g. self-test loop-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는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배터리, 커플러를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커플러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MPONENT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NCLUDED IN TRANSMITTING SIGNALS}
다양한 실시 예는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통신망들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CS(circuit switching) 네트워크, PS(packet switching) 네트워크,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복수의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다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에 중첩되거나, 또는 다른 네트워크의 주파수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에서 제13 대역의 송신 주파수는 777MHz 내지 787MHz이고, 수신 주파수는 746MHz 내지 756MHz이다. 그리고, LTE에서 제14 대역의 송신 주파수는 788MHz 내지 798MHz이고, 수신 주파수는 758MHz 내지 768MHz이다.
그러나, LTE에서 제13 대역의 송신 주파수는 777MHz 내지 787MHz이고, 제14 대역의 송신 주파수는 788MHz 내지 798MHz이다. 그리고, 상기 제13 대역 및 제14 대역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는 각각 1554MHz 내지 1574MHz 및 1576MHz 내지 1596MHz이다. 이와 같이, 제13 및 제14 대역의 2차 하모닉 주파수는 GPS의 주파수인 1575.42MHz와 인접함으로써, LTE 신호와 관련된 하모닉 주파수 성분과 GPS 신호는 서로 간섭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기 LTE의 제13 대역 및 상기 제14 대역에 기반한 송신 주파수와 관련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구비하고 있으나, 노치 필터에 의한 성능은 전자 장치마다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자 장치마다 GPS 성능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또는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배터리, 커플러(coupler)를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커플러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은,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및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와 관련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LTE에서 제13 대역과 제14 대역의 송신 주파수와 관련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을 필터링함으로써, GPS 주파수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GPS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1 안테나를 통해 LTE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상기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킴으로써,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GPS 신호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 전력 관리 모듈, 및 안테나 모듈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에 전류를 증가하여 공급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신호를 송신하는 전력을 감소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안테나를 스위칭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LTE 대역들 및 각 대역의 주파수에 대한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a)는, 예를 들면,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기 전의 송신되는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9(b)는, 예를 들면,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공한 상태에서의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a)는, 예를 들면, 신호를 송신하는 최대 전력을 감소시키기 전의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b)는, 예를 들면, 신호를 송신하는 최대 전력을 감소한 상태에서의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1(a)는, 예를 들면, 제1 안테나가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 스위칭하기 전의 특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1(b)는, 예를 들면, 제1 안테나가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 스위칭한 상태에서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무선 통신 모듈(192), 전력 관리 모듈(188), 및 안테나 모듈(197)에 대한 블럭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통신 모듈(210)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230)을 포함하고, 전력 관리 모듈(188)은 무선 충전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197)은 MST 통신 모듈(210)과 연결된 MST 안테나(297-1), NFC 통신 모듈(230)과 연결된 NFC 안테나(297-3), 및 무선 충전 모듈(250)과 연결된 무선 충전 안테나(297-5)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는 생략 또는 간략히 기재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1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카드 정보와 같은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MST 안테나(297-1)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자기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자기 신호를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POS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자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10)은 MST 안테나(297-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고(미도시), 이 스위칭 모듈을 제어하여 MST 안테나(297-1)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의 변경은 MST 안테나(297-1)를 통해 송출되는 자기 신호(예: 자기장)의 방향이 그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방향이 변경되는 상태의 자기 신호는, 외부의 전자 장치(102)에서 감지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예: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카드가 상기 전자 장치(102)의 카드 리더기에 읽히면서(swiped) 발생하는 자기장과 유사한 효과(예: 파형)를 야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2) 에서 상기 자기 신호의 형태로 수신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네트 워크(199)를 통해 외부의 서버(108)(예: 결제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NFC 통신 모듈(230)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제어 정보, 또는 카드 정보와 같은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신호를 NFC 안테나(297-3)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NFC 통신 모듈(230)은, NFC 안테나(297-3)을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2)로부터 송출된 그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모듈(250)은 무선 충전 안테나(297-5)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휴대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의 전자 장치(102)(예: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250)은, 예를 들면,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MST 안테나(297-1), NFC 안테나(2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297-5) 중 일부 안테나들은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ST 안테나(297-1)의 방사부는 NFC 안테나(2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297-5)의 방사부로 사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297)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MST 통신 모듈(210) 또는 NFC 통신 모듈(230)) 또는 전력 관리 모듈(188)(예: 무선 충전 모듈(25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들(297-1, 297-3, 또는 297-3)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예: close) 또는 분리(예: open)하도록 설정된 스위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무선 충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NFC 통신 모듈(230) 또는 무선 충전 모듈(250)은 상기 스위칭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NFC 안테나(297-3) 및 무선 충전 안테나(297-5)에 의해 공유된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일시적으로 NFC 안테나(297-3)와 분리하고 무선 충전 안테나(297-5)와 연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10), NFC 통신 모듈(230), 또는 무선 충전 모듈(25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외부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210) 또는 NFC 통신 모듈(230)의 지정된 기능(예: 결제 기능)들은 신뢰된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뢰된 실행 환경(TEE)은,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기능(예: 금융 거래, 또는 개인 정보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기 위해 메모리(130)의 적어도 일부 지정된 영역이 할당되는 실행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접근은, 예를 들면, 거기에 접근하는 주체 또는 상기 신뢰된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하여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무선 통신 모듈(3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제1 안테나(330), 제2 안테나(340) 및 배터리(18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320)(또는 통신 회로)은 매칭 회로(321), 전력 증폭기(322), 듀플렉서(323), 노치 필터(notch filter)(324), 커플러(325),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 디바이더(divider)(327), BPF(band pass filter)(328) 및 LNA(low noise amplifier)(32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증폭기(322)는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의 송신 단자(312)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증폭기(322)는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로부터 상기 송신 신호를 전달받아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송신 신호를 듀플렉서(32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증폭기(322)는 상기 배터리(189)에서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압에 기반하여 구동되어 상기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송신 신호를 듀플렉서(32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증폭기(322) 및 듀플렉서(323) 각각은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 또는 통신 방식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 증폭기(322)는 멀티 모드 멀티 대역(multi mode multi band; MMMB)의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듀플렉서(323)는 고대역(high band; HB) 듀플렉서, 중대역(middle band; MB) 듀플렉서, 또는 저대역(low band; LB) 듀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듀플렉서(323)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분기할 수 있다. 상기 듀플렉서(323)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하여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 각각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듀플렉서(323)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노치 필터(324) 또는 커플러(325)로 전달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듀플렉서(231)는 상기 노치 필터(324) 또는 커플러(32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매칭 회로(321)로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매칭 회로(321)는 상기 듀플렉서(32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310)의 수신 단자(311)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치 필터(324)는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와 제 2 안테나(3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듀플렉서(32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의 불요파 성분(spurious)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제1 통신 네트워크(예: LTE 네트워크)로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안테나(340)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듀플렉서(323)로부터 제공받은 제1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또는 2차 하모닉 성분이라고도 함)의 크기(예: 진폭)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불요파 성분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제13 대역 또는 제14 대역에 기반하여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325)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과 듀플렉서(323) 사이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과 노치 필터(32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신호(예: LTE 신호)와 제2 신호(예: GPS 신호)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커플러(325)는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323)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듀플렉서(32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간에 간섭이 발생되면, 상기 커플러(325)는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노치 필터(324)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노치 필터(32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325)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와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개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325)는 듀플렉서(323)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예: 제1 신호) 중 일부(예: 커플링 신호)를 분기(branch)하고, 상기 신호의 일부를 디바이더(327)를 통해 프로세서(310)로 전달하고, 상기 신호의 나머지를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325)는, 듀플렉서(323) 또는 노치 필터(324)를 통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1 안테나(330)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와, 방사되지 않고 반사되는 신호(예: 커플링 신호)로 구분하고, 상기 반사되는 신호를 디바이더(327)를 통해 프로세서(3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중 일부는 커플러(325)로부터 디바이더(327)를 거쳐 프로세서(310)(예: 송신 전력 피드백 회로(313))로 피드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송신 신호 중 일부는 커플러(325)로부터 디바이더(327) 및 BPF(328)를 거쳐 프로세서(310)(예: 2차 하모닉 피드백 회로(314))로 피드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플러(325)에서 분기되는 커플링 신호는 포워드 커플링 신호(forward coupling signal) 또는 리버스 커플링 신호(reverse coupling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워드 커플링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 방사되지 않고 피드백되는 신호이며,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과 동일한 주파수 및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버스 커플링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일부 신호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러(325)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중 일부를 분기하고, 상기 신호의 일부를 디바이더(327)를 통해 프로세서(310)로 전달하고, 상기 신호의 나머지를 듀플렉서(323) 또는 노치 필터(324)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은 제 1 안테나(330)와 상기 커플러(325)를 연결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은 전자 장치(101)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예: LTE 네트워크)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커플러(32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은 전자 장치(101)가 제 1 통신 네트워크(예: LTE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안테나(3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커플러(32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은 복수의 기능 소자들(326c, 326d, 326e, 및 326f)를 포함하며, 각각의 기능 소자는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은 상기 복수의 기능 소자들(326c, 326d, 326e, 및 326f)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소자(예: 326c)를 상기 커플러(325)와 제1 안테나(330)에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326a, 3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능 소자들(326c, 326d, 326e, 및 326f) 중에서 제2 안테나(340)와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어느 하나의 기능 소자는 선택될 수 있다. 인덕터는 자심(core)에 감긴 도선에 전류가 흘러 발생되는 전자기 작용을 이용하는 수동소자이고, 캐패시터는 전기 용량을 저장하는 소자이다. 그리고, 각각의 인덕터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캐패시터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은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1 신호와 상기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제2 신호 간에 간섭이 회피되도록 복수의 기능 소자들(326c, 326d, 326e, 및 326f) 중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어느 하나의 기능 소자(326c)로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하는 제1 신호(예: LTE 기반의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신호(예: GPS 신호)간의 간섭은 회피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더(327)는 상기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더(327)는 상기 커플러(325)에서 수신되는 커플링 신호의 전력을 분할하고, 분할된 전력에 기반한 신호들을 송신 전력 피드백 회로(313) 및 2차 하모닉 피드백 회로(314)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2차 하모닉 피드백 회로(314)는 수신된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예: 진폭)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신호는 포워드 커플링 신호 또는 리버스 커플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워드 커플링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 방사되지 않고, 피드백되는 신호이며,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방사되는 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과 동일한 주파수 및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버스 커플링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일부 신호이다. 상기 2차 하모닉 주파수는 지정된 송신 또는 수신 주파수(예: LTE 제13 대역의 송신 주파수)에 미리 결정된 배수(예: 2배)가 곱해진 주파수이고, 상기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는 상기 지정된 송신 또는 수신 주파수에 상기 미리 결정된 배수(예: 2배)가 곱해진 주파수의 신호 성분에 대한 진폭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LTE에서 제13 대역의 송신 주파수는 777MHz 내지 787MHz이고, 수신 주파수는 746MHz 내지 756MHz이다. 그리고, LTE에서 제14 대역의 송신 주파수는 788MHz 내지 798MHz이고, 수신 주파수는 758MHz 내지 768MHz이다. 그러나, LTE에서 제13 대역과 제14 대역의 송신 주파수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는 각각 1554MHz 내지 1574MHz 및 1576MHz 내지 1596MHz로서 이러한 2차 하모닉 주파수는 1575.42MHz의 GPS 주파수와 인접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신호(예: LTE 신호)와 제2 신호(예: GPS 신호)는 간섭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의 제어 하에, 상기 2차 하모닉 피드백 회로(314)는, 제1 신호(예: LTE 신호)가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 방사되지 않고, 상기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제1 신호의 일부 신호 즉,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예: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예: 진폭)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더(327)는 상기 커플링 신호의 일부를 상기 프로세서(310) 내의 송신 전력 피드백 회로(313)으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디바이더(327)로부터 수신된 커플링 신호의 일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BPF(328)는 미리 결정된 범위 이내의 주파수에 존재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난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BPF(328)는, 상기 디바이더(327)에 의해 분할된 커플링 신호의 일부에서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와 간섭이 되지 않는 주파수 부분을 제거하고 남은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을 프로세서(310)의 2차 하모닉 피드백 회로(3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LNA(329)는 저잡음 증폭기로서, 제2 안테나(3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프로세서(310) 내의 GPS 수신 단자(31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LNA(329)는 제2 안테나(340)에서 감지된 세기가 약한 신호를 증폭시키고, 프로세서(310)의 GPS 수신 단자(315)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송 선로에서의 감쇠를 줄이기 위해 제2 안테나(34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89)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3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 내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89)는 상기 프로세서(310) 내의 송신 단자(3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전력 증폭기(322)에서 증폭되도록 전류를 증가시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189)는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신호간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의 제어 하에, 상기 전력 증폭기(322)가 동작되는데 요구되는 제1 전류(예: 250mA)보다 큰 제2 전류(예: 400mA)를 상기 전력 증폭기(322)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189)는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신호간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의 제어 하에, 전자 장치(101)가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통신망으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101)에서 소모되는 제1 전력(예: 25dBm)을 제2 전력(예: 23dBm)으로 감소시켜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로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안테나(330) 또는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제1 통신 네트워크(예: LTE 네트워크)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반송파(carrier)에 데이터를 실은 신호를, 전력 증폭기(32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전자 장치(101)가 다른 전자 장치(예: 104) 또는 기지국(미도시)으로 송신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순히 특성 주파수를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 band의 단일 톤(single tone)으로 구성된 CW(continuous wave)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는 듀플렉서(323), 노치 필터(324), 커플러(325), 및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을 통해 전자기파 형태로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신호의 생성을 위해,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반송파를 생성하는 발진기(oscillat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발진기로부터 생성된 반송파에 상기 신호를 싣는 변조 작업을 수행하는 변조 회로(modulation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신호의 세기를 강화하기 위하여 변조된 반송파를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 커플러(325), 노치 필터(324), 듀플렉서(323), 및 매칭 회로(32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수신된 신호를 제1 안테나(330)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신호에서 반송파에 실린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프로세서(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도 1의 메모리(1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전자 장치(101)가 다른 전자 장치(104) 또는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는 복조 작업을 수행하는 복조 회로(demodulation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2차 하모닉 피드백 회로(314)를 제어하여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예: LTE 신호)에서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예: 상기 제1 신호의 일부 신호)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가 지정된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임계값은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 이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임계값은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임계값은 전자 장치(101)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전계 수준, 전자 장치(101)를 파지한 상태, 약전계 지역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2차 하모닉 피드백 회로(314), 디바이더(327) 또는 BPF(328)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측정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가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 또는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수신되는 제2 신호(예: GPS 신호)간의 간섭을 회피(또는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신호와 관련된 2차 하모닉 주파수가 상기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의 주파수와 중첩되거나 또는 인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간의 간섭이 회피되도록, 즉 상기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일부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 증가,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 감소, 또는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의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서 증폭될 신호에 대한 선형성과 상기 간섭 회피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를 미리 결정된 배수로 증가시켜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전력 증폭기(322)는 컴프레션(compression) 영역에서 동작되도록 설계되는데,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의 선형성과 잡음을 제거하는 효율성에 기반한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형성이 증가하면 하모닉 주파수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선형성이 감소되면 간섭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를 동작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전압(예: 3.4V)에 대한 전류(예: 250mA) 보다 높은 전압(예: 4.2V)에 해당되는 전류(예: 400mA)를 상기 전력 증폭기(322)로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방사되는데 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터리(189)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된 출력 전압을 통해 제1 안테나(330)와 제2 안테나(340)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예: LTE 네트워크)로 방사하는데 필요한 최대 전력(예: 24dBm)보다 적은 전력(예: 22dBm 내지 23dBm)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터리(189)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방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소자들(326c, 326d, 326e, 및 326f) 중에서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326c)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에 포함된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은 복수의 기능 소자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기능 소자는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인덕터들이 서로 다른 값들을 가질 수 있고(또는 가질 수 있거나), 각각의 캐패시터들이 서로 다른 값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능 소자들은 인덕터 및 캐패시터의 값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공진 특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각각의 기능 소자는 소프트웨어로 튜닝된 서로 다른 코드 값을 가질 수 있고,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적절한 기능 소자가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하는 제1 신호(예: LTE 기반의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신호(예: GPS 신호)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소자들(326c, 326d, 326e, 및 326f) 중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어느 하나의 기능 소자(326c)로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안테나(330) 및 제2 안테나(340), 배터리(189), 커플러(coupler)(325)를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3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과, 상기 제1 안테나(330) 및 제2 안테나(340),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3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3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에 구비된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 증가,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 감소, 또는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의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서 증폭될 신호에 대한 선형성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미리 결정된 배수로 증가시켜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통신망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189)에서 공급되는 제1 전력을 제2 전력으로 감소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기능 소자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에서 상기 제2 안테나(340)와 공진이 발생되지 않은 기능 소자로 스위칭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는, 지정된 송신 또는 수신 주파수를 2배 곱하여 획득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진폭(amplitude)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제13 대역 및 제14 대역에 기반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이며, 상기 제2 신호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포워드 커플링 신호 또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상기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리버스 커플링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프로세서(310)와 상기 커플러(325) 사이에 배치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밴드 패스 필터는 상기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제13 밴드 및 제14 밴드에 기반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이며, 상기 제2 신호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안테나들 중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 410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고, 상기 성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노치 필터(324)에서 출력되는 제1 신호에 대한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에 대한 크기(예: 진폭)를 측정할 수 있다. 2차 하모닉(2nd harmonics) 주파수 성분의 크기는, 지정된 송신 또는 수신 주파수에 상기 미리 결정된 배수(예: 2배)가 곱해진 주파수의 신호 성분의 진폭(amplitude)일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 방사되지 않고, 피드백되는 포워드 커플링 신호 및/또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일부 신호 즉, 리버스 커플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12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 방사되지 않고,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에 대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예: 진폭)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임계값은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 이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임계값은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임계값은 전자 장치(101)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전계 수준, 전자 장치(101)를 파지한 상태, 약전계 지역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동작 414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에 대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또는 상기 측정된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에 대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414)에서 상기 측정된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에 대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16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무선 통신 모듈(3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에 구비된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 증가,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 감소, 또는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의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크기를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서 증폭될 신호에 대한 선형성과 상기 간섭 회피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를 미리 결정된 배수로 증가시켜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를 동작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전압(예: 3.4V)에 대한 전류(예: 250mA) 보다 높은 전압(예: 4.2V)에 해당되는 전류(예: 400mA)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에 대한 크기(예: 진폭)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통신망으로 송신하기 위한 배터리(189)에서 공급되는 제1 전력(예: 24dBm)을 제2 전력(예: 23dBm 내지 22dBm)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에 대한 크기(예: 진폭)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복수의 기능 소자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에서 상기 제2 안테나(340)와 공진이 발생되지 않은 기능 소자로 스위칭 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에 대한 크기(예: 진폭)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무선 통신 모듈(320)(예: 도 1의 무선 통신 모듈(192))에 구비된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 증가,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 감소, 또는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의 스위칭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에 대한 크기(예: 진폭)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에 전류를 증가하여 공급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에 전류를 증가하여 공급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전력 증폭기(322)에 제1 전류를 공급하여 전력 증폭기(32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제1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예: LTE)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322)로 바이어스 전압(예: 3.4V)에 대한 전류(예: 250mA)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은 제1 신호를 제1 안테나(330)를 통해 방사하는데 요구되는 전압일 수 있다.
동작 512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전력 증폭기(322)를 통해 제1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전력 증폭기(322)에 전력 증폭기(322)를 구동시킨 후, 프로세서(3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제1 안테나(330)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호를 바이어스 전압(예: 3.4V)을 이용하여 증폭할 수 있다.
동작 514, 동작 516 및 동작 518은 도 4의 동작 410, 동작 412 및 동작 414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서 증폭될 신호에 대한 선형성과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간의 간섭 제거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전류보다 큰 제2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서 증폭될 신호에 대한 선형성과 상기 간섭 회피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를 미리 결정된 배수로 증가시켜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의 선형성과 잡음을 제거하는 효율성에 기반한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될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형성이 증가하면 하모닉 주파수의 크기는 감소되고, 상기 선형성이 감소되면 간섭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를 동작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전압(예: 3.4V)에 대한 전류(예: 250mA) 보다 높은 전압(예: 4.2V)에 해당되는 전류(예: 400mA)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류가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도록 배터리(189)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522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결정된 제2 전류를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의 선형성과 잡음을 제거하는 효율성에 기반하여 결정된 전류를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함으로써,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신호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5의 각 동작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310)) 또는 전자 장치의 제어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510 내지 522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이 동시에 병렬로 수행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신호를 송신하는 전력을 감소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신호를 송신하는 전력을 감소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제1 전력에 기반하여 신호를 제1 안테나를 통해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최대 전력(예: 24dBm)을 이용하여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외부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최대 전력(예: 24dBm)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 송수신할 수 있다.
동작 612 및 동작 614는 도 4의 동작 410, 동작 412 및 414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16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전력보다 적은 제2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최대 전력(예: 24dBm)에 기반하여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각각 송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간에 간섭이 발생되면, 배터리(189)에서 출력되는 최대 전력(예: 24dBm)을 미리 결정된 전력(예: 22dBm 내지 23dBm)으로 감소시켜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예: LTE 네트워크)로 방사하는데 필요한 최대 전력(예: 24dBm)보다 적은 전력(예: 22dBm 내지 23dBm)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터리(189)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방사할 수 있다.
도 6의 각 동작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310)) 또는 전자 장치의 제어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610 내지 616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이 동시에 병렬로 수행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안테나를 스위칭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안테나를 공진이 발생되지 않은 기능 소자로 스위칭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 710, 동작 712 및 동작 714는 도 4의 동작 410, 동작 412, 및 414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16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에 포함된 복수의 기능 소자들 중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 안테나를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은 복수의 기능 소자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기능 소자는 인덕터 및 캐패시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인덕터 및 캐패시터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310))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와 상기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 간에 간섭이 회피되도록 복수의 기능 소자들 중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어느 하나의 기능 소자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을 통해,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하는 제1 신호(예: LTE 기반의 신호)와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수신하는 제2 신호(예: GPS 신호)간의 간섭은 회피될 수 있다.
도 7의 각 동작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또는 310)) 또는 전자 장치의 제어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 710 내지 716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일부 동작들이 동시에 병렬로 수행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가 바뀌거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제1 안테나(330) 및 제2 안테나(34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은,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시키는 동작은,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동작,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작, 또는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예: 326c)로의 스위칭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는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동작은,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서 증폭될 신호에 대한 선형성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미리 결정된 배수로 증가시키는 동작, 및 상기 미리 결정된 배수로 증가된 전류를 상기 전력 증폭기(322)에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작은,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통신망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제1 전력을 제2 전력으로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안테나(330)에 대해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소자로의 스위칭하는 동작은, 복수의 기능 소자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326)에서 상기 제2 안테나(340)와 공진이 발생되지 않은 기능 소자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는, 지정된 송신 또는 수신 주파수를 2배 곱하여 획득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진폭(amplitude)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제13 대역 및 제14 대역에 기반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이며, 상기 제2 신호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 신호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포워드 커플링 신호 또는 상기 제1 안테나(3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상기 커플러(325)에서 피드백되는 리버스 커플링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호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제13 밴드 및 제14 밴드에 기반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이며, 상기 제2 신호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LTE 대역들 및 각 대역의 주파수에 대한 테이블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LTE는 31개의 대역이 존재하며, 각 대역에서 업링크 주파수 대역과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은 각각 상이하다. 예를 들면, LTE의 제13 대역(810)은 777MHz 내지 787MHz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과, 746MHz 내지 756MHz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그리고, LTE의 제13 대역(810)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폭은 10MHz이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 주파수(예: 777MHz)와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 주파수(예: 746MHz)는 -31MHz의 듀플렉스 스페이싱을 갖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 주파수(예: 787MHz)와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 주파수(예: 746MHz)는 41MHz의 갭(gap)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LTE의 제14 대역(820)은 788MHz 내지 798MHz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과, 758MHz 내지 768MHz의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그리고, LTE의 제14 대역(820)의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폭은 10MHz이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 주파수(예: 788MHz)와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 주파수(예: 758MHz)는 -30MHz의 듀플렉스 스페이싱을 갖고, 업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고 주파수(예: 798MHz)와 다운링크 주파수 대역의 최저 주파수(예: 758MHz)는 40MHz의 갭을 갖는다.
이와 같이, LTE에서 제13 대역과 제14 대역의 업링크 주파수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는 각각 1554MHz 내지 1574MHz 및 1576MHz 내지 1596MHz이며, 이러한 2차 하모닉 주파수는 1575.42MHz의 GPS 주파수와 인접함으로써, 서로 간섭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신호들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전자 장치(101)는 LTE에서 제13 대역과 제14 대역을 통해 송신되는 LTE 신호와 GPS 신호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도 9(a)는,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기 전의 송신되는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 결과이고, 도 9(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공한 상태에서의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기 전의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910)는 -93.97dBm을 갖는데 반해,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전력 증폭기에 대한 바이어스 전압을 3.4V에서 4.2V로 증가시켜 인가함으로써,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920)는 -96.70dBm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a)는, 예를 들면, 신호를 송신하는 최대 전력을 감소시키기 전의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 결과이고, 도 10(b)는, 예를 들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를 송신하는 최대 전력을 감소한 상태에서의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최대 전력을 감소시키기 전의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1010)는 -93.97dBm을 갖는데 반해, 신호를 송신하는 최대 전력을 감소한 상태에서의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1020)는 -97.61dBm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전력을 25dBm에서 23dBm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송신되는 신호에 대한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의 크기는 -93.97dBm 에서 -97.61dBm으로 약 3dBm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a)는, 예를 들면, 제1 안테나(330)가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 스위칭하기 전의 특성을 나타낸 결과이고, 도 11(b)는, 예를 들면, 제1 안테나(330)가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 스위칭한 상태에서의 안테나 특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 안테나(330)가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기능 소자로 스위칭하기 전의 LTE 제13 대역 및 제14 대역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공진 구간(1110)과 2차 하모닉 공진 구간(1120)에서의 반사파는 상기 기능 소자로 스위칭한 이후에 신호를 송신하는 공진 구간(1130)과 2차 하모닉 공진 구간(1140)에서의 반사파보다 작기 때문에, 제1 안테나(330)와 제2 안테나(340)간의 간섭이 회피됨을 확인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310: 프로세서
320: 무선 통신 모듈 321: 매칭 회로
322: 전력 증폭기 323: 듀플렉서
324: 노치 필터 325: 커플러
326: 안테나 스위칭 모듈 327: 디바이더
328: BPF 329: LNA
330: 제1 안테나 340: 제2 안테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배터리;
    커플러(coupler)를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커플러 및 상기 제1 안테나의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기능 소자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상기 배터리,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커플러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복수의 기능 소자들 중 상기 제2 안테나와 공진이 발생되지 않은 기능 소자를 선택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소자들의 각각은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 구비된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 증가, 또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 감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증폭될 신호에 대한 선형성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미리 결정된 배수로 증가시켜 상기 전력 증폭기에 공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통신망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제1 전력을 제2 전력으로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는, 지정된 송신 또는 수신 주파수를 2배 곱하여 획득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진폭(amplitude)인 전자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배치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밴드 패스 필터는 상기 커플링 신호의 2차 하모닉 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가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작; 및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커플러 및 상기 제1 안테나의 사이에 배치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복수의 기능 소자들 중 제2 안테나와 공진이 발생되지 않은 기능 소자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소자들의 각각은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동작; 또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전자 장치가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커플러에서 피드백되는 커플링 신호 중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와 지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및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소자를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측정된 크기가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하로 감소되도록, 상기 커플러 및 상기 제1 안테나의 사이에 배치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복수의 기능 소자들 중 제2 안테나와 공진이 발생되지 않은 기능 소자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소자들의 각각은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 증가, 또는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전력 감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0. 삭제
KR1020180101463A 2018-08-28 2018-08-28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10256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463A KR102562119B1 (ko) 2018-08-28 2018-08-28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17/272,256 US11671137B2 (en) 2018-08-28 2019-08-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mponents corresponding to designated frequency band included in transmission signal
PCT/KR2019/010557 WO2020045876A1 (ko) 2018-08-28 2019-08-20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463A KR102562119B1 (ko) 2018-08-28 2018-08-28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95A KR20200024595A (ko) 2020-03-09
KR102562119B1 true KR102562119B1 (ko) 2023-08-02

Family

ID=6964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463A KR102562119B1 (ko) 2018-08-28 2018-08-28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71137B2 (ko)
KR (1) KR102562119B1 (ko)
WO (1) WO2020045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8558B2 (en) * 2021-05-05 2023-10-0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e-opening notch filt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1924656B2 (en) * 2021-07-19 2024-03-05 Fitbit Llc Automatic RF transmit power control for over the air testing
CN113765536A (zh) * 2021-08-23 2021-12-07 展讯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射频电路和射频信号传输方法
CN114978227A (zh) * 2022-05-23 2022-08-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4019493A1 (ko) * 2022-07-20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9624A1 (en) * 2010-10-26 2012-04-26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harmonics transmitte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984A (ko) 1996-11-20 1998-08-05 이형도 상호변조왜곡 제거가 가능한 선형화기
JP2000151317A (ja) * 1998-11-10 2000-05-30 Hitachi Ltd 送信機および電力増幅器
US6957080B2 (en) * 2002-04-04 2005-10-18 Nokia Corp. Notch filters in planar inverted-F antennas for placing a plurality of antennas in close proximity
KR20060088956A (ko) * 2005-02-02 2006-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 증폭 모듈
KR20080000925A (ko) 2006-06-28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189286B1 (ko) * 2006-12-18 2012-10-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신신호의 간섭방지가 가능한 rfid 송수신 시스템
US8738066B2 (en) 2010-10-07 2014-05-27 Apple Inc. Wireless transceiver with amplifier bias adjusted based on modulation scheme and transmit power feedback
JP5620812B2 (ja) * 2010-12-27 2014-11-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780745B2 (en) * 2011-01-31 2014-07-15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measuring a signal and method for requesting a measurement
KR101400739B1 (ko) * 2012-07-20 2014-05-29 실리콘알엔디(주) 무전기 간섭신호 제거 장치
KR20160059996A (ko) * 2014-11-19 2016-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일대역 전이중 송수신기 및 그 간섭 제거 방법
CN108322237B (zh) * 2017-01-14 202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干扰抑制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99624A1 (en) * 2010-10-26 2012-04-26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harmonics transmit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876A1 (ko) 2020-03-05
KR20200024595A (ko) 2020-03-09
US20210314017A1 (en) 2021-10-07
US11671137B2 (en)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119B1 (ko) 송신 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202302161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voltage to amplifier using multiple linear regulators
US11442493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lock frequenc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1258475B2 (en) Electronic device for attenuating at least part of signal received by antenna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ignal
US1117140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plifier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device
US1108209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antenna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6571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4114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or receiving power
US2020021831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back off using grip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1569971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plexer capable of adjusting cutoff frequency in connection with adjustment of reception frequency band of duplexer
EP4274023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ntenna tuning
US1127157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hase locked loop circuit used for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KR102538889B1 (ko) 통신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99866B2 (en) Electronic device for selectively using coils supporting power sharing
US118632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designated function according to distance to external object, determined on basis of signal output through antenna
KR102551209B1 (ko) 통신 모듈의 apc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309923B2 (en) Method using signal component of multiplied frequency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0911100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pecified functions based on electromagnetic signal dete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608378B1 (ko) 안테나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조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090050A (ko) Rf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42882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rect or in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2023000759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160669A (ko) 듀플렉서로부터 증폭기로 향하는 신호에 기반하여 증폭기와 관련된 이득을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40006403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