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703B1 - 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703B1
KR102561703B1 KR1020220167525A KR20220167525A KR102561703B1 KR 102561703 B1 KR102561703 B1 KR 102561703B1 KR 1020220167525 A KR1020220167525 A KR 1020220167525A KR 20220167525 A KR20220167525 A KR 20220167525A KR 102561703 B1 KR102561703 B1 KR 102561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ccommodating
power
contact portion
air veh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은호
Original Assignee
(주)한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이앤씨 filed Critical (주)한길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16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7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7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64C2201/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전력계 및 배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101)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105)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101)에 분기 배선(102,103,104)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배선용 모듈(100)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102,103,1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84)내에 매립되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이 위치되는 시공현장에는 촬영수단을 기반으로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iping wiring connection system for an apartment house, wherein the system includes an electric lead 101 introducing electricity through a power meter and a switchboard 101a and a container body 105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loads. At least one of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to which one side of the branch wires 102, 103, and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lead 101 and the branch wires 102, 103, and 104 drawn out from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o a switch and an outlet, it includes a wall installation wiring hole 200 embedded in a concrete wall 84, and monitoring is performed based on a photographing means at a construction site where the system is located.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 및 그 모니터관리 방법{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Electrical piping wiring connection system for multi-unit housing and its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 및 그 모니터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건물 및 공동주택(오피스텔 포함) 등의 전기 배선 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배관 내부의 배선시공 작업에 대한 표준화 및 배선자재를 절감하여 전기배관 내부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적 시스템을 제공하며,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의 시공현장의 촬영수단과 가벽구조물을 기반으로 통제관리와 모니터링 등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 및 그 모니터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ing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 piping in an apartment hous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of electric wiring works such as public buildings and apartment houses (including officetels), and the wiring inside the electric piping.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work and reduction of wiring materials provide a structural system that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electrical piping internal wiring work, and control management and monitoring based on filming means and temporary wall structures a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se systems It relates to an apartment house electrical piping wiring connection system that performs complex and a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thereof.

공동주택, 오피스텔의 전기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배선공사는 최근 전기배선 기능공의 부족으로 인하여 미숙련 기능공 또는 고령화된 숙련공에 의해서 전기배선 공사를 진행하고 있어, 일정한 품질의 배선공사를 할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화된 전기배선공사, 예를들면 전기배선공사의 고기능화, 대용량화, 정보통신 대응설비에 따라 이에 적합한 안정된 시공품질과 품질향상,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절감화 등이 요망되고 있다. Wiring work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al piping of apartment houses and officetels is being carried out by unskilled technicians or aged skilled workers due to the recent shortage of electric wiring technicians. Stable construction quality and quality improvement, standardization of wiring construction work, material reduction, etc.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specialized electrical wiring work, for example, high-functionality, large-capacit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responsive facilities of electric wiring work.

이에대한 전기 배선의 효과적인 설치 시공과 이를 촬영기반의 원격 모니터 및 시공현장 통제관리가 요구된다. For this, effectiv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of electrical wiring, remote monitoring based on filming, and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are required.

특히 공동주택의 전기배관에 대한 배선연결 작업에 관련된 모든 상황이 안전하게 진행되는지 등의 여부를 확인하고 통제하는 모니터링과 통제관련의 복합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plex technology related to monitoring and control to check and control whether all situations related to wiring connection work for electric piping in apartment houses are safely carried ou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배관에 이루어지는 배선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 이다. One of the goals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of wiring work performed on electric piping in apartment houses.

또한,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와 배선용 자재를 절감하여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 In addition, one of the goals pursued i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wiring work by standardizing wiring work and reducing wiring materials.

또한,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시스템을 위한 일련의 작업에서 초기 시공, 사후 관리 보수 통제 등의 상황에서 촬영을 기반으로하는 다양한 모니터링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 In addition, one of the goals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various monitoring management based on shooting in situations such as initial construction, post management, maintenance control, etc. in a series of works for such a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을 위한 인련의 작업에서 초기 시공, 사후 관리 보수 통제 등의 상황에서 시공 현장 혹은 그 주변에 대해 사람과 차량 등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 In addition, one of the go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block the entry of people and vehicles into the construction site or its surroundings in situations such as initial construction, post management, maintenance control, etc. in a series of works for the system.

아울러 본 발명은 시스템을 위한 상황을 통제합에 있어 전술한 모니터링과 전술한 진입통제를 복합적으로 상호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In addition, one of the goals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perform the above-mentioned monitoring and the above-mentioned entry control in complex interconnection in controlling the situation for the system.

또한, 전술한 내용을 통해 시공현장의 주변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In addition, one of the goals pursued is to perform safety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etc. in real time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foregoing.

특히, 이러한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In particular, one of the goals pursued is to manage real-time accident occurrence in the relevant field and thoroughly manage interference and theft of objects in the relevant field.

아울러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진입제한 통재를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In addition, one of the goals pursued is to actively respon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ea requiring control at the installation site to restrict entry into the setting space.

또한,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In addition, one of the goals pursued is to ensure that these control and management means are provided in a singular or plural number so that control and management for the corresponding Janghyeon are performed in a minimized quantity.

또한, 해당 시공현장을 동서남북 중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들이 좌우 방향으로 상호간의 가변유동을 통해 보다 유연한 진입통제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촬영 기반 내부 혹은 외부 모니터링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추구하는 목표 중에 하나이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east, west, north, south, and north, and these control management means enable more flexible entry control through mutually variable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facilitating shooting-based internal or external monitoring. is one of the goals pursu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전력계 및 배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101)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105)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101)에 분기 배선(102,103,104)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배선용 모듈(100)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102,103,1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84)내에 매립되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이 위치되는 시공현장에는 촬영수단을 기반으로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iping wiring connection system for an apartment house, wherein the system includes an electric lead 101 introducing electricity through a power meter and a switchboard 101a and a container body 105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loads. At least one of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to which one side of the branch wires 102, 103, and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lead 101 and the branch wires 102, 103, and 104 drawn out from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o a switch and an outlet, it includes a wall installation wiring hole 200 embedded in a concrete wall 84, and monitoring is performed based on a photographing means at a construction site where the system is located.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번째, 배선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of wiring work.

두번째,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를 절감하여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wiring work by standardizing wiring work and reducing materials.

세번째, 본 발명은 이러한 시스템을 위한 일련의 작업에서 초기 시공, 사후 관리 보수 통제 등의 상황에서 촬영을 기반으로하는 다양한 모니터링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장점 또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r advantage that various monitoring management based on shooting is performed in situations such as initial construction, post management, maintenance control, etc. in a series of operations for such a system.

네번째, 본 발명은 시스템을 위한 인련의 작업에서 초기 시공, 사후 관리 보수 통제 등의 상황에서 시공 현장 혹은 그 주변에 대해 사람과 차량 등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blocking the entry of people and vehicles into the construction site or its surroundings in situations such as initial construction, post management, maintenance control, etc. in a series of works for the system.

다섯번째, 본 발명은 시스템을 위한 상황을 통제합에 있어 전술한 모니터링과 전술한 진입통제를 복합적으로 상호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Fif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the above-mentioned monitoring and the above-mentioned entry control in complex interconnection in controlling the situation for the system.

여섯번째, 전술한 내용을 통해 시공현장의 주변에서 안전관리, 보안관리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Six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afety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etc. are performed in real time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일곱번째, 특히 이러한 해당 현장의 실시간 사고발생을 관리하고, 해당장현의 대상물의 간섭, 도난 등을 철저히 관리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Seventh,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of managing the real-time occurrence of accidents in the relevant field and thoroughly managing interference and theft of objects in the relevant field.

여덜번째, 설치현장의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설정공간으로의 진입제한 통재를 수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Eigh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actively respond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ea that needs to be controlled at the installation site, and restricts entry into the setting space.

아홉번째,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이 단수로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최소화된 수량으로서 해당 장현에 대한 통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Nin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se control and management means are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numbers so that control and management for the corresponding Janghyeon are performed in a minimized quantity.

열번째, 해당 시공현장을 동서남북 중 적어도 일부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이러한 통제관리 수단들이 좌우 방향으로 상호간의 가변유동을 통해 보다 유연한 진입통제를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촬영 기반 내부 혹은 외부 모니터링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enth, it is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part of the construction site in the east, west, south, north, and these control management means enable more flexible entry control through mutually variable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by facilitating shooting-based internal or external monitoring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을 일부 절결해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에 사용되는 용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하(조명등, 분전반, 스위치 및 콘센트 등)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엔드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름관과 커넥터 및 엔드캡의 분해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가 형틀에 고정되는 상태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내 설치 배선구가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가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도 2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ic wir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artially cutting i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ody used in an electric wir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loads (lights, distribution boards, switches, outlets, et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rrugated pipe, a connector, and an end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utaway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wiring in th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old;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 installation wiring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concrete wall;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wiring in th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concrete slab.
9 to 15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 2 .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을 일부 절결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 용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분전반, 조명등, 스위치, 콘센트 등)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엔드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름관과 커넥터 및 엔드캡의 분해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가 형틀에 고정되는 상태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내 설치 배선구가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가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Hereinafter, a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wir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artially cut away p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wiring modul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 (distribution panel, lighting, switch, outlet, etc.),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rrugated pipe, connector and end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lod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is a partial cutaway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wiring in th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old, Figure 7 is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wiring in th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wiring in th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concrete slab.

도 1 내지 도 8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는 분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101)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105)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101)에 분기 배선(102,103,104)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의 타측이 상기 용기체(105)의 절결부(106b)를 통해서 방사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전기 인입선(101)의 분기 배선(102,103,104)의 접속부가 열경화성 수지(109)에 의해 절연 및 위치 고정되고, 고정볼트(82)에 의해 천정(10)의 하부 특정위치에 고정되는 전기 배선용 모듈(100)과,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와 벽체 내에 매립되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와, 인접하는 다른 실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선을 통과시키도록 콘크리트 슬라브 내에 매립되는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3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1 to 8, th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supply power to an electrical lead 101 introducing electricity through a distribution board 101a and a plurality of loads. One side of the branch wirings 102, 103, and 10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lead 101 in the body 105,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wirings 102, 103, and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lead 101 through the cutout 106b of the container body 105. It is drawn out radially,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branch wires 102, 103, 104 of the electric lead 101 is insulated and fixed in position by a thermosetting resin 109, and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10 by a fixing bolt 82.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at least one wire of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and the branch wiring drawn out from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to a switch and an outlet, the wiring hole installed in the wall embedded in the concrete slab and the wall ( 200), and an intra-slab installation wiring outlet 300 embedded in the concrete slab to pass at least one or more branch wires to the adjacent room.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은 고정볼트(82)에 의해 천정(10)의 하부 특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05a) 및 다수의 배선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절결부(105b)가 형성된 용기체(105)와, 상기 용기체(105)에 형성된 절결부(105b)중 어느 하나의 절결부를 통해 인입되며, 분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2가닥의 전기 인입선(101)과, 상기 용기체(105) 내에서 한가닥의 일측이 상기 전기 인입선(101)의 한가닥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며, 다른 한가닥의 일측이 상기 전기 인입선(101)의 다른 한가닥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어서 상기 용기체(105)에 형성된 절결부(105b)를 통해서 각각 인출되는 다수개의 조명등(102a)용 분기 배선(102), 다수개의 스위치(103a)용 분기 배선(103) 및 다수개의 콘센트(104a)용 분기 배선(104)과, 인접하는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과 절연되도록 함과 동시에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용기체(105) 내에 충전되는 열경화성 수지(109)로 구성되어 있다.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has a through hole 105a formed in the center to be fixed to a specific lower portion of the ceiling 10 by a fixing bolt 82 and a plurality of cutouts at the edge to allow a plurality of wires to be drawn in and out ( 105b) is formed, and the two-stranded electric lead wire is introduced through one of the cutouts 105b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5 and introduces electricity through the distribution board 101a. (101) and in the container body 105, one side of one str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trand of the electric lead wire 101, and one side of the other str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trand of the electric lead wire 101, respectively. Branch wires 102 for a plurality of lamps 102a, branch wires 103 for a plurality of switches 103a, and a plurality of outlets ( 104a) branch wiring 104 and the thermosetting resin 109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105 so as to insulate from the adjacent branch wirings 102, 103, 104 and to fix the position.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은 공사현장에서 사용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번호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상기 인입선(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에는 사용위치를 표시하도록 번호표가 다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의 길이는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이 설치되는 위치로 부터 조명등(102a), 전등스위치(103a), 콘센트(104a) 등이 설치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의 제조공장에서 해당하는 길이에 여유폭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is attached with a number tag so that the location of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can be known, and the branch wires 102, 103, and 10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in line 101 in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Number marks are attached to a plurality of positions to indicate the location of use, and the length of the branch wires 102, 103, 104 is determin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odule 100 for electric wiring is installed to the lighting lamp 102a, the light switch 103a, the outlet ( 104a), etc. are installed, the manufacturing plant for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margin width in the corresponding length.

상기 엔드캡(120)에는 도시하지 않은 형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중앙부와 선단부에 고정구멍(124,125)이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구멍은 중앙부에 하나만 설치해도 상관 없다. 미설명 부호 89는 콘크리트 벽체용 입상철근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전기배선 모듈을 사용하여 옥내배선을 공사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The end cap 120 has fixing holes 124 and 125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ront end so that it can be fixed to a mold (not shown), but it does not matter if only one fixing hole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Unexplained code 89 is a granular reinforcing bar for concrete walls. Next, a method of constructing indoor wiring using the electrical wiring modul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주름관(110)의 일측에 커넥터(112)를 개재해서 스위치, 콘센트용 박스(20)를 결합고정하고, 상기 주름관(110)의 타측에 엔드캡(120)을 커넥터(112)를 개재하여 이루어진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의 박스(20)를 콘크리트 벽체(84)용 입상철근(89)에 고정시키고, 콘크리트 슬라브(80)용 형틀 상에 상기 주름관(110)의 타측에 고정결합된 엔드캡(120)의 중앙부 및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124,125)을 도 10에도시한 바와 같이 못(91)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First, the switch and the outlet box 20 are coup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corrugated pipe 110 through the connector 112, and the end cap 120 is plac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rrugated pipe 110 through the connector 112. The box 20 of the wiring outlet 200 installed in the wall is fixed to the concrete wall 84, the granular reinforcement 89, and the concrete slab 80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rrugated pipe 110 on the formwork. The through holes 124 and 125 respectively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front end of the end cap 120 are fixed using nails 91 as shown in FIG. 10 .

다음에, 콘크리트 벽체(84)에 의해 구획된 한쪽 실의 콘크리트 슬라브(80)용 형틀(30)과 다른쪽 실의 콘크리트 슬라브(80)용 형틀(30) 상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관(110)의 양단부에 커넥터(112)를 개재해서 각각 고정된 엔드캡(120)을, 못(91)을 사용하여 관통구멍(124,125)을 통해서 상기 형틀에 각각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Next, on the formwork 30 for the concrete slab 80 of one thread partitioned by the concrete wall 84 and the formwork 30 for the concrete slab 80 of the other thread, as shown in FIG. 6, the corrugated pipe The end caps 120 fixed to both ends of 110 through connectors 112 are fixed to the formwork through through-holes 124 and 125 using nails 91, and then concrete is poured.

그 후,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상기 형틀을 제거한 다음, 상기 엔드캡(120)의 하부로 노출된 못(91)을 커팅하여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80)의 소정위치(설계도면에 표시되어 있음)에 고정볼트(82)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을 위치고정시킨다.Thereafter, the formwork in which the concrete is cured is removed, and then the nail 91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nd cap 120 is cut and removed, and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crete slab 80 (as indicated in the design drawing) ) using the fixing bolt 82 to fix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다음은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전기 인입선(101)에 접속된 분기 배선을 인접한 다른 실로 배선하기 위하여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300)의 일측 엔드캡(120)과 주름관(110) 및 타측 엔드캡을 통해서 분기배선을 인출 시킨다. 다음은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전기 인입선(101)에 접속된 스위치용 분기 배선(103) 또는 콘센트용 분기 배선(104)을 상기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의 엔드캡(120) 및 주름관(110)을 통해서 스위치, 콘센트 박스(20)로 인출하고,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된 조명등(102a)용 분기 배선(102)을 상기 조명등(102a)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음은 상기 분전반(101a)용 분기 배선(101)을 상기 분전반(101a)에 접속시킨다.Next, in order to wire the branch wiring connected to the electric lead 101 in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to another adjacent room, one side end cap 120 and the corrugated pipe 110 and the other side of the wiring outlet 300 installed in the slab Lead the branch wiring through the end cap. Next, the branch wiring 103 for the switch or the branch wiring 104 for the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ic lead 101 in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end cap 120 of the wiring outlet 200 installed in the wall. And it is drawn out to the switch and the outlet box 20 through the corrugated pipe 110, and the branch wiring 102 for the lighting lamp 102a drawn out from the electrical wiring module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ing lamp 102a, , Next, the branch wiring 101 for the distribution board 101a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board 101a.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에는 사용 위치 및 용도를 표시하는 번호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기 배선용모듈(100) 내에서 상기 인입선(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용기체(105)로 부터 방사상으로 인출되는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에도 사용위치를 표시하도록 번호표가 다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작업 현장에서 용도 또는 사용위치에 적합한 분기 배선(102,103,104)을 찾아서 배선작업을 할 수 있다.The module 100 for electric wiring is attached with a number mark indicating the location and purpose of us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in line 101 within the module 100 for electric wiring and drawn radially from the container body 105. Since the branch wires 102, 103, and 104 are also attached to a plurality of positions to indicate the location of use, it is possible to easily find branch wires 102, 103, 104 suitable for the purpose or use position at the work site and perform wiring work.

또한 상기 번호표 대신에 분기 배선의 색깔을 달리해서 사용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의 색깔도 다르게 하여 사용 위치 및 용도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의 분기 배선(102,103,104)은 용도에 맞게 일정한 길이로 재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의 제조시에 배선용 전기선을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number mark, the location of use may be indicat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branch wiring, and the color of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may also be changed to indicate the location and purpose of use. In addition, since the branch wires 102 , 103 , and 104 of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are cut to a certain length according to the purpose, electric wires for wiring can be saved when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is manufactured.

따라서, 표준화된 배선작업을 할 수 있어 배선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를 절감하여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80)내에 조명등(102a)용 박스를 매립할 필요가 없어서 상기 박스를 중심으로 콘크리트 슬라브(80)에 미세한 균열도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standardized wiring work, thereby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of wiring work, and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of wiring work by standardizing wiring work and reducing materials, and as in the prior art, the concrete slab (80) There is no need to embed a box for the lighting lamp 102a inside, so that even fine cracks do not occur in the concrete slab 80 around the box.

위 내용을 기반으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아울러 전기 배선시스템 시공현장의 통제관리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시공현장에 배치되고, 상기 시공현장에서 시공이 이루어지되, 상기 시스템은, 전력계 및 배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101)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105)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101)에 분기 배선(102,103,104)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배선용 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시공현장(P1, P2)에는 상기 시공현장(P1, P2)으로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시공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100')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8 to 9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as well as a control management method of the electric wiring system construction site, the system is plac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is performed at the construction site, but the system is a power meter and a switchboard One side of the branch wiring (102, 103,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lead 101 for introducing electricity through (101a) and the electric lead 101 in the container body 105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loads. It includes a module 100 for electrical wiring, and the entry to the construction site (P1, P2) to limit entry to the construction site (P1, P2) and to monitor and manage the real-tim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P1, P2) A management unit 100' is provided.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와, 상기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한다.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is dispos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provided to form a temporary wall for limiting entry,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is disposed on the groun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to provide a driving force; I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body part at a set height to limit entry, and the driving body part 111'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entry limiting parts provided to allow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진입제한 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한다.The entry restriction parts have a position change module 112' that moves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based on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body parts 111' and a set height at the top of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module for operating the wireless air vehicle.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module 120' is supported by an extension 121' extending upwardly from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an extension 121' to the top of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 support body 122' providing a rotation driving force for rotation, a first deformable support 131' installed diagonal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122', and the other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122' The second deformable support 132' installed diagonally, the third deformable support 133' installed on one diagonal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body 122', and the other diagonal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body 122'. A variable support including a fourth deformable support 134' to be installed is included.

아울러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first operating bod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deformable support body 131'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and operate a preset first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mong the wireless air vehicles,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deformable support body 132' It is installed in and includes a second operating body for accommodating and operating a preset secon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또한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third operation bod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hird deformable support body 133' and for accommodating and operating a predetermined thir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nd an end portion of the fourth deformable support body 134' It is installed in and includes an operating body including a fourth operating body for operation by accommodating a preset fourth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The first operating body 141' is moved up and down in a tilt manner based o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support body 122' via the first deformable support body 131',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 a first upper height setting operation for setting the entry restriction height is performed.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The second operating body 142' moves up and down in a tilt manner based o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support body 122' via the second deformable support body 132',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 a second upper height setting operation for setting the entry restriction height is performed.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진다.The third operating body 143' is moved up and down in a tilt manner based o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support body 122' via the third deformable support body 133',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 a first lower height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et the entry restriction position, and the fourth operating body 144' is operated from the support body 122' via the fourth deformable support body 134'. The second lower height setting operation for setting the entry limiting position of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is performed while moving up and down in a tilt manner based on the provided rotational driving force.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한다.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upper height setting operation and the first lower height setting operation, generates between the first operating body 141' and the third operating body 143' The first gap filling parts for filling the first gap space, the second operating body 142' and the fourth operating body 144' according to the second upper height setting operation and the second lower height setting operation It further includes second gap filling parts for filling the second gap space generated between them.

여기서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한다.Here, the first operating body 141' is located above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1' contacting the first deformable support body 131'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1', and is of the first group. I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412' in which the wireless air vehicle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contact part 1411' provides a first power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 1412') provides the first power to the first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ccommodated inside based on the first power.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한다.The second operating body 142'' is positioned on a second contact portion 142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deformable support 13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1421''. It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2″ in which two groups of wireless air vehicles are accommodated, and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provides a second power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2″,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2'' provides the second power to the secon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ccommodated therein based on the second power.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한다.The third operating body 143'' is positioned on a third contact portion 1431'' that contacts the third deformable support body 133'' and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and It includes a third accommodating portion 1432″ for accommodating three groups of wireless air vehicles,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provides third power to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1432″, The third accommodating unit 1432'' provides the third power to the thir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ccommodated therein based on the third power.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상기 제4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한다.The fourth operating body 144'' is located on a fourth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fourth deformable support body 134'' and above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and is the fourth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nd a fourth accommodating part 1442'' in which is accommodated, and the fourth contact part 1441'' provides a fourth electric power to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1442'', and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1442'') provides the fourth power to the fourth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ccommodated inside based on the fourth power.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한다.The first gap filling parts include a 1-1 side support structure 151 ″ connected from one side to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body part 111 ″, and the 1-1 side support structure 151 ″ ), the first gap filling driving part 152'' suppor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body part 111'',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gap filling driving part 152'' toward the second direction (Y). 1-2 one side support structure 153'', and a first mounting located at an end of the 1-2 one side support structure 153'' and mounted upward to the first contact part 1411'' The sieve 156'' protrudes and includes a first auxiliary gap filling driver 154'' from which a third mounting body 155'' mounted to the third contact part 1431'' protrudes. .

상기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는, 상기 제1장착체(156')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1412')에 상기 제1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상기 제3수용부(1432')에 상기 제3전력을 공급한다.The first auxiliary gap filling driver 154' supplies the first power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2' through the first contact part 1411' and the first mounting body 156' , The third mounting body 155' supplies the third power to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1432' through the third contact part 1431'.

상기 제1장착체(156')와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한다.The first mounting body 156' and the third mounting body 155' apply a separation force push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1'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1'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1411')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상기 제2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와, 상기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와, 상기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에서 제1방향(X)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2측지지구조체(163')와, 상기 제2-2측지지구조체(163')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2접촉부(1421')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16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4접촉부(1441')로 장착되는 제4장착체(165')가 돌출되는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를 포함한다.The second gap filling parts are formed by the 2-1 one side support structure 161' connec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body part 111' to the upper side and the 2-1 one side support structure 161' A second gap filling driving part 162'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body part 111', and a 2-2 side extending from the second gap filling driving part 162' toward the first direction (X) The support structure 163' and the second mounting body 166' located at the end of the 2-2 side support structure 163' and mounted upward to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protrude, It includes a second auxiliary gap filling driver 164' from which the fourth mounting body 165' mounted to the fourth contact part 1441' protrudes.

상기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는, 상기 제2장착체(166')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통해 상기 제2접촉부(1421')에 상기 제2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4접촉부(1441')를 통해 상기 제4수용부(1442')에 상기 제4전력을 공급한다.The second auxiliary gap filling driver 164' supplies the second power to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through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The fourth mounting body 165' supplies the fourth power to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1442' through the fourth contact part 1441'.

상기 제2장착체(166')와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4접촉부(144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2접촉부(1421')가 상기 제4접촉부(1441')로부터 지지 보강되도록 한다.The second mounting body 166' and the fourth mounting body 165' apply a separation force push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1421' and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1421' is supported and reinforced from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외관상에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1-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1출력부(1411a')와, 상기 제1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1-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2출력부(1411b')를 포함한다.The first contact unit 1411' includes a 1-1 output unit 1411a' that outputs the 1-1 state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ed wireless air vehicles in the first group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It includes a 1-2 output unit 1411b' that outputs so that the 1-2 states related to the state of charge of 1 electric power are visually identified.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외관상에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2-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1출력부(1422a')와, 상기 제2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2-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2출력부(1422b')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tact unit 1421' includes a 2-1 output unit 1422a' that outputs a 2-1 state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ed wireless air vehicles of the second group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and a 2-2 output unit 1422b' for outputting so that the 2-2 state regard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2 powers is visually identified.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외관상에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3-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1출력부(1431a')와, 상기 제3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3-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2출력부(1432b')를 포함한다.The third contact unit 1431' includes a 3-1 output unit 1431a' that outputs the 3-1 state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ed wireless air vehicles of the third group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a 3-2 output unit 1432b' for outputting so that the 3-2 state regard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3 powers is visually identified.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외관상에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4-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1출력부(1441a')와, 상기 제4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4-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2출력부(1442b')를 포함한다.,The fourth contact unit 1441' includes a 4-1 output unit 1441a' that outputs the 4-1 state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ed wireless air vehicles of the fourth group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and a 4-2 output unit 1442b' for outputting so that the 4-2 state regarding the state of charge of 4 electric power is visually identified.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1완충파츠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2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includes a variable first buffer part provided o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to be positioned below the third contact part 1431', and the fourth contact part 1441'. It further includes a variable second buffering part provided o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와, 상기 제1하부범퍼구동체(17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는,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variable first buffer parts include a first lower bumper driving body 171' installed i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supplying fluid, and fluid from the first lower bumper driving body 171'. A first lower bumper contact body 172' made of a shock-absorbing material that receives and expands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wherein the first lower bumper contact body 172' is (1431') is prevented from being hit toward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fal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collides toward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When suppor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1', it is prevented from being drooped downward.

상기 가변식 제2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2하부범퍼구동체(181')와, 상기 제2하부범퍼구동체(18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는, 상기 제4접촉부(144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4접촉부(1441')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variable second buffer parts include a second lower bumper driving body 181' installed i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supplying fluid, and fluid from the second lower bumper driving body 181'. A second lower bumper contact body 182' made of a shock-absorbing material is supplied and inflat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contact unit 1441', wherein the second lower bumper contact unit 182' is (1441') is prevented from being struck toward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colliding with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When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is supported, it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에서 제1방향(X)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1보조완충파츠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에서 상기 제1방향(`)측과 반대인 제2방향(Y)측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가변식 제2보조완충파츠를 더 포함한다.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is provided o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third contact part 1431' and is located on the first direction (X) side in the first variable buffer part. Variable first auxiliary buffer parts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provided o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to be positioned below the third contact part 1431', and the variable first buffer parts are provided in the first direction It further includes a variable second auxiliary buffer part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direction (Y) side opposite to the (`) side.

상기 제1보조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1보조구동체(2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21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보조범퍼첩촉체(2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보조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유체를 제공하는 제2보조구동체(22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221')에서 제공되는 유체를 기반으로 상부로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를 포함한다.The first auxiliary buffer parts are based on the first auxiliary actuator 211' providing the fluid provided o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the fluid provided from the first auxiliary actuator 211'. It expands upward and includes a first auxiliary lower bumper contact 212' made of a buffer material that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third contact part 1431', and the second auxiliary buffer parts include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 is expanded upward based on the second auxiliary actuator 221' providing the fluid provided on and the fluid provided from the second auxiliary actuator 221', so that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A second lower auxiliary bumper contact body 222' made of a buffer material supporting the lower part is included.

상기 제1보조범퍼접촉체와 상기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는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가 팽창된 이후에 2차적으로 팽창되어,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의 상기 제3접촉부(1431')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는 것이다.The first auxiliary bumper contact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lower bumper contact body 222' are secondarily expanded after the first lower bumper contact body 172' is expanded, so that the first lower bumper contact body 222' expands. (172') to assis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에서 상부로 출몰되며, 상기 제1하부멉퍼접촉체의 내부에서 상기 제3접촉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내부지지보강체(17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지지보강체(173')는 상기 제1보조범퍼접촉체와 상기 제2하부보조범퍼접촉체(222')가 팽창된 이후에 3차적으로 동작된다.The variable first buffer parts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lower bumper driving body 171'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first lower bumper contact body 172', and the inside of the first lower bumper contact body 172'.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support reinforcement 173' for supporting the third contact body, and the internal support reinforcement 173' includes the first auxiliary bumper contact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lower bumper contact body ( 222') is operated thirdly after it is inflated.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전면부 혹은 후면부에 설치되는 진입제한 보강유닛에 의하여 진입제한이 보강되며, 상기 진입제한 보강유닛(300')은,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유닛(310')과,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2파지유닛(320')과, 상기 제1파지유닛(310')과 상기 제2파지유닛(320')에 사이에 파지되어 구비되고, 상기 진입관리유닛(100')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는 마감패널유닛(330')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패널유닛(330')은,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의 전면과 후면간의 진입공간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The entry control unit 100' is reinforced by an entry restriction reinforcement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part, and the entry restriction reinforcement unit 300' is on one side of the driving body parts 111'. A first holding unit 310' provided and a second holding unit 3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 body parts 111' and disposed with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interposed therebetween; A finishing panel unit (330) provided by being gripped between the first holding unit (310') and the second holding unit (320') and located at least one of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 The finishing panel unit 330' is installed to block the entranc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ntrance management unit 100'.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riving method of the physical components described above is forward-backward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based on motors, actuators, etc., and the shape and size of each component can be selected and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materials to be implemented. .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80:콘크리트 슬라브 82:고정볼트
84:콘크리트 벽체 89:입상철근
100:전기배선용 모듈 101:전기 인입선
101a:분전반 102,103,104:분기 배선
80: concrete slab 82: fixing bolt
84: concrete wall 89: granular reinforcing bar
100: module for electrical wiring 101: electrical lead-in line
101a: distribution panel 102, 103, 104: branch wiring

Claims (2)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의 상기 시스템은 전력계 및 배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101)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105)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101)에 분기 배선(102,103,104)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배선용 모듈(100)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102,103,1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84)내에 매립되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이 위치되는 시공현장(P1, P2)에는 상기 시공현장(P1, P2)으로의 진입을 제한하고 상기 시공현장(P1, P2)의 실시간 상황을 감시관리 하기위한 진입관리유닛(100')이 구비되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 위치에 배치되며 진입제한을 위한 가벽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인, 전기 배선연결 시스템의 시공현장 통제방법으로서,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설치위치의 지면에 배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몸통파츠와, 상기 구동몸통파츠의 상부에 설정높이로 위치되어 진입을 제한하되,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에서 다수로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유동 가능도록 구비되는 진입제한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입제한 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유동되는 위치변경모듈(112')과,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에서 설정높이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무선비행체를 운용하기 위한 운용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용모듈(120')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체(121')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의 상부로 상기 연장체(121')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동을 위한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지몸체(12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1가변지지체(131')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상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2가변지지체(132')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일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3가변지지체(133')와, 상기 지지몸체(122')의 하부 타측대각으로 설치되는 제4가변지지체(134')를 포함하는 가변지지체와,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1운용체와,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2운용체와,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3운용체와,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비행체 중 기 설정된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를 수용하여 운용학 위한 제4운용체를 포함하는 운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높이를 설정하는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1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몸체(122')에서 제공되는 회동구동력에 기반하여 틸트방식으로 상하 위치이동되면서 진입관리유닛(100')의 진입제한 위치를 설정하는 제2하부높이 설정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1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1하부높이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1운용체(141')와 상기 제3운용체(143') 사이에 발생되는 제1간극공간을 메우기 위한 제1간극메움파츠와, 상기 제2상부높이 설정동작과 상기 제2하부높이설정동작에 따라 상기 제2운용체(142')와 상기 제4운용체(144') 사이에 발생되는 제2간극공간을 메우기 위한 제2간극메움파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운용체(141')는,
상기 제1가변지지체(131')에 접하는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1접촉부(141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상기 제1수용부(1412')로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1수용부(1412')는 상기 제1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1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운용체(142'')는,
상기 제2가변지지체(132'')에 접하는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2접촉부(14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상기 제2수용부(1422'')로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2수용부(1422'')는 상기 제2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2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운용체(143'')는,
상기 제3가변지지체(133'')에 접하는 제3접촉부(1431'')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3수용부(1432'')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상기 제3수용부(1432'')로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수용부(1432'')는 상기 제3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3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운용체(144'')는,
상기 제4가변지지체(134'')에 접하는 제4접촉부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가 수용되는 제4수용부(1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상기 제4수용부(1442'')로 제4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4수용부(1442'')는 상기 제4전력을 기반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에 상기 제4전력을 제공하되,
상기 제1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와, 상기 제1-1일측지지구조체(15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와, 상기 제1간극메움구동부(152'')에서 제2방향(Y)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와, 상기 제1-2일측지지구조체(153'')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1접촉부(1411'')로 장착되는 제1장착체(15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3접촉부(1431'')로 장착되는 제3장착체(155'')가 돌출되는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간극메움구동부(154')는, 상기 제1장착체(156')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1412')에 상기 제1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3접촉부(1431')를 통해 상기 제3수용부(1432')에 상기 제3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1장착체(156')와 상기 제3장착체(155')가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1접촉부(1411')와 상기 제3접촉부(1431')로부터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하고,
상기 제2간극메움파츠는,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타측에서 상부로 연결되는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와, 상기 제2-1일측지지구조체(161')에 의하여 상기 구동몸통파츠(111')의 상부로 지지되는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와, 상기 제2간극메움구동부(162')에서 제1방향(X)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2측지지구조체(163')와, 상기 제2-2측지지구조체(163')단부에 위치되며 상부로 상기 제2접촉부(1421')로 장착되는 제2장착체(166')가 돌출되며, 하부로 상기 제4접촉부(1441')로 장착되는 제4장착체(165')가 돌출되는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조간극메움구동부(164')는, 상기 제2장착체(166')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통해 상기 제2접촉부(1421')에 상기 제2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4접촉부(1441')를 통해 상기 제4수용부(1442')에 상기 제4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장착체(166')와 상기 제4장착체(165')가 상기 제2접촉부(1421')와 상기 제4접촉부(1441') 상호간을 밀어내는 이격힘을 가하여, 상기 제2접촉부(1421')가 상기 제4접촉부(1441')로부터 지지 보강되도록 하고,
상기 제1접촉부(1411')는, 외관상에 상기 제1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1-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1출력부(1411a')와, 상기 제1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1-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1-2출력부(141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촉부(1421')는, 외관상에 상기 제2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2-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1출력부(1422a')와, 상기 제2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2-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2-2출력부(1422b')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촉부(1431')는, 외관상에 상기 제3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3-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1출력부(1431a')와, 상기 제3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3-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3-2출력부(1432b')를 포함하고,
상기 제4접촉부(1441')는, 외관상에 상기 제4그룹의 무선비행체 수납된 수에 관련된 제4-1상태를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1출력부(1441a')와, 상기 제4전력의 충전상태에 관한 제4-2상태가 외관상으로 식별되도록 출력하는 제4-2출력부(1442b')를 포함하고,
진입관리유닛(100')은,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1완충파츠와,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위치변경모듈(112') 상에 구비되는 가변식 제2완충파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식 제1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1하부범퍼구동체(171')와, 상기 제1하부범퍼구동체(17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3접촉부(143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하부범퍼접촉체(172')는,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3접촉부(1431')가 상기 제1접촉부(141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가변식 제2완충파츠는,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에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제2하부범퍼구동체(181')와, 상기 제2하부범퍼구동체(18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4접촉부(1441')의 하부를 받치는 완충재질의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하부범퍼접촉체(182')는, 상기 제4접촉부(1441')가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위치변경모듈(112')측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4접촉부(1441')가 상기 제2접촉부(1421')를 지함에 있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 모니터관리 방법.
The system of the multi-household electric piping wiring connection system includes an electric lead 101 introducing electricity through a power meter and a switchboard 101a and an electric lead 101 in a container body 105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loads. At least one of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to which one side of the branch wirings 102, 103, and 104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branch wirings 102, 103, and 104 drawn out from the electric wiring module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witch and an outlet. It includes an installation wiring hole 200 embedded in the concrete wall 84 to connect, and limits entry to the construction sites P1 and P2 where the system is located. An entry management unit (100') is provided to monitor and manage the real-tim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s (P1, P2),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is dispos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is provided to form a temporary wall for entry restriction As a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for phosphorus and electric wiring connection systems,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
A driving body part disposed on the groun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to provide driving force, and a driving body part located at a set height above the driving body part to limit entry,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driving body part 1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entry limiting parts provided to allow left and right reciprocating flow,
The entry restriction parts,
Based on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body parts 111', a position change module 112' that moves left and right in a sliding manner, and a position change module 112' provided to have a set height at the top of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a wireless air vehicle It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module for operation,
The operation module 120 ',
An extension body 121' extending upward from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a support supported by the extension body 121' above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rotation. A body 122', a first deformable support 131' installed diagonally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body 122', and a second deformable supporter installed on the opposite diagonal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ody 122' ( 132'), the third deformable support 133' installed on one diagonal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body 122', and the fourth deformable support 134' installed on the other diagonal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body 122'. ), a first operating body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variable support 131′ and accommodating and operating a preset first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nd the second variable support body. A second operating bod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pport body 132' for accommodating and operating a preset secon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mong the wireless air vehicles, and a second operating body installed at the end portion of the third deformable support body 133' for the wireless air vehicle. A third operator unit for accommodating and operating a preset third group of radio air vehicles, and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ourth deformable support (134') and accommodating a preset fourth group of radio air vehicles among the air vehicles. It includes an operating body including a fourth operating body for operation,
The first operating body 141' is moved up and down in a tilt manner based o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support body 122' via the first deformable support body 131',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A first upper height setting operation for setting the entry limit height of ') is performed,
The second operating body 142' moves up and down in a tilt manner based o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support body 122' via the second deformable support body 132',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A second upper height setting operation for setting the entry limit height of ') is performed,
The third operating body 143' is moved up and down in a tilt manner based o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support body 122' via the third deformable support body 133',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A first lower height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et the entry restriction position of '),
The fourth operating body 144' is moved up and down in a tilt manner based on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support body 122' via the fourth deformable support body 134', an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A second lower height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et the entry restriction position of '),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
A first gap for filling a first gap spa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operating body 141' and the third operating body 143' according to the first upper height setting operation and the first lower height setting operation. Filling parts and the second gap spac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operating body 142' and the fourth operating body 144' according to the second upper height setting operation and the second lower height setting operation It further includes second gap filling parts for
The first operating body 141',
A first contact part 1411' in contact with the first deformable support 131', and a first accommodating part 1412' positioned above the first contact part 1411' and accommodating the first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
The first contact part 1411' provides a first electric power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2' is accommodated therein based on the first electric power. Provides the first power to one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The second operating body 142'',
A second contact part 1421'' in contact with the second deformable support 132'',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1422''),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provides second power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422'' receives the second electric power therein. providing the second power to the secon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The third operating body 143'',
A third contact portion 1431″ in contact with the third deformable support body 133″, and a third accommodating portion positioned above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and accommodating the thir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1432'');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Third power is provided to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1432'',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1432'' provides the third power to the third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ccommodated therein based on the third power. 3 Provides power,
The fourth operating body 144'',
A fourth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ourth deformable support body 134'' and a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1442'' positioned above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and accommodating the fourth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including,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A fourth power is provided to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1442'', and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1442'' is based on the fourth electric power to the fourth group of wireless air vehicles accommodated therein. 4 Provide power,
The first gap filling parts include a 1-1 side support structure 151 ″ connected from one side to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body part 111 ″, and the 1-1 side support structure 151 ″ ), the first gap filling driving part 152'' suppor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body part 111'',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gap filling driving part 152'' toward the second direction (Y). 1-2 one side support structure 153'', and a first mounting located at an end of the 1-2 one side support structure 153'' and mounted upward to the first contact part 1411'' A body 156'' protrudes, and a first auxiliary gap filling driver 154'' from which a third mounting body 155'' mounted to the third contact part 1431'' protrudes downward, ,
The first auxiliary gap filling driver 154' supplies the first power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412' through the first contact part 1411' and the first mounting body 156' , The third mounting body 155' supplies the third power to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1432' through the third contact part 1431',
The first mounting body 156' and the third mounting body 155' apply a separation force push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1'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1'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1411')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The second gap filling parts are formed by the 2-1 one side support structure 161' connec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body part 111' to the upper side and the 2-1 one side support structure 161' A second gap filling driving part 162'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body part 111', and a 2-2 side extending from the second gap filling driving part 162' toward the first direction (X) The support structure 163' and the second mounting body 166' located at the end of the 2-2 side support structure 163' and mounted upward to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protrude, And a second auxiliary gap filling driving part 164' from which a fourth mounting body 165' mounted to the fourth contact part 1441' protrudes,
The second auxiliary gap filling driver 164' supplies the second power to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through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The fourth mounting body 165' supplies the fourth power to the fourth accommodating part 1442' through the fourth contact part 1441',
The second mounting body 166' and the fourth mounting body 165' apply a separation force pushing the second contact portion 1421' and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1421') to be supported and reinforced from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The first contact unit 1411' includes a 1-1 output unit 1411a' that outputs the 1-1 state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ed wireless air vehicles in the first group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It includes a 1-2 output unit 1411b' for outputting so that the 1-2 state related to the state of charge of 1 power is visually identified,
The second contact unit 1421' includes a 2-1 output unit 1422a' that outputs a 2-1 state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ed wireless air vehicles of the second group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It includes a 2-2 output unit 1422b' that outputs so that the 2-2 state related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2 powers is visually identified,
The third contact unit 1431' includes a 3-1 output unit 1431a' that outputs the 3-1 state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ed wireless air vehicles of the third group to be visually identified, It includes a 3-2 output unit 1432b' for outputting the 3-2 state regard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3 powers to be visually identified,
The fourth contact unit 1441' includes a 4-1 output unit 1441a' that outputs the 4-1 state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ed wireless air vehicles of the fourth group to be visually identified, and It includes a 4-2 output unit (1442b') that outputs so that the 4-2 state related to the state of charge of 4 electric power is visually identified,
The entry management unit 100' includes a variable first buffer part provided o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to be positioned below the third contact part 1431', and the fourth contact part 1441'. Further comprising a variable second buffering part provided o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to be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variable first buffer parts include a first lower bumper driving body 171' installed i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supplying fluid, and fluid from the first lower bumper driving body 171'. A first lower bumper contact body 172' made of a shock-absorbing material that receives and expands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wherein the first lower bumper contact body 172' is (1431') is prevented from being hit toward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fal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collides toward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1431' Preven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411' from being lowered in support,
The variable second buffer parts include a second lower bumper driving body 181' installed in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supplying fluid, and fluid from the second lower bumper driving body 181'. A second lower bumper contact body 182' made of a shock-absorbing material that receives and expands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contact unit 1441', wherein the second lower bumper contact unit 182' includes the fourth contact unit (1441') is prevented from being hit toward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colliding with the position change module 112', and the fourth contact portion 1441' A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ing an electric pipe wiring connection system in an apartment house to prevent the second contact part (1421') from being lowered in the ground.
삭제delete
KR1020220167525A 2022-12-05 2022-12-05 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KR1025617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525A KR102561703B1 (en) 2022-12-05 2022-12-05 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525A KR102561703B1 (en) 2022-12-05 2022-12-05 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703B1 true KR102561703B1 (en) 2023-08-01

Family

ID=8756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525A KR102561703B1 (en) 2022-12-05 2022-12-05 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70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33A (en) * 2002-02-25 2003-08-30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wiring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50118370A (en) * 2004-06-14 2005-12-19 정택수 Unmanned camera for a track moving type
KR102419889B1 (en)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Line leakag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433A (en) * 2002-02-25 2003-08-30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wiring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50118370A (en) * 2004-06-14 2005-12-19 정택수 Unmanned camera for a track moving type
KR102419889B1 (en)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Line leakag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176390B (en) Building made of prefabricated units and method for building same
US10851936B1 (en) Camera mount plate and module access slide for poles used for roadside electronic systems
KR102561703B1 (en) Electric wir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site control method
KR102487854B1 (en)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ing overhead distribution lines and utility poles
US20090213531A1 (en) Transformer substation
US6873303B2 (en) Telecommunications mast installation
AU2001237666A1 (en) Telecommunications mast installation
KR101176940B1 (en) Steel pole for multifunctional traffic facility
CN112609735B (en) Semi-embedded column base positioning and moun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47724B1 (en) Intelligent traffic cabinet
KR100433842B1 (en) 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wiring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35186B1 (en) Providing method of a system for fixing distribution lines on utility poles
KR101176855B1 (en) Tower crane having elevator
US4457105A (en) Barrier assembly
US20040159027A1 (en) Electronic display board supporting structure
CN102278532A (en) Two-directional bridge frame connector
KR102536227B1 (en) Cable fixing system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and its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JP5743345B2 (en) Elevator control panel
US9290896B2 (en) Modular gat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KR101924755B1 (en) Base block for installing the post
CN87103345A (en) Electric equipment
KR102551101B1 (en) Wiring fixing equipment for electricity in apartment houses and its monitoring method
CN102278533A (en) Three-way bridge connector
KR102357003B1 (en) Providing method of Structure of outer insulation of iron an architect
WO2001097497A2 (en) Remote control system to monitor in real time the static and/or ambient and safety conditions of structures, particularly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