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81B1 -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81B1
KR102561681B1 KR1020220160883A KR20220160883A KR102561681B1 KR 102561681 B1 KR102561681 B1 KR 102561681B1 KR 1020220160883 A KR1020220160883 A KR 1020220160883A KR 20220160883 A KR20220160883 A KR 20220160883A KR 102561681 B1 KR102561681 B1 KR 10256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exploration
probe
main body
data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순
정호준
김성도
Original Assignee
(주)지오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룩스 filed Critical (주)지오룩스
Priority to KR102022016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3/2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operating with propagation of electric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propagation of electric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38Processing data, e.g. for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2Signal generation
    • G01V2210/129Source location
    • G01V2210/1295Land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5Land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탐사 본체 단말, 상기 탐사 본체 단말에서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탐사 케이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하나의 통신 채널에 연결되어 있고 제1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탐지봉, 상기 탐사 케이블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고,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케이블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통신 채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 중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이면, 미러링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로 출력되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이면, 판단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PPARATUS ASSOCIATING WITH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이나 토목 공사를 위해 또는 지질 재난 등을 예방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의 지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물리 탐사가 보편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반 문제는 많은 부분이 전기적 물성과 관련이 있어, 전기 비저항 탐사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비저항을 측정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방식을 이용하는 탐사 장치는 전류가 흐르는 긴 폴(pole) 형태의 스테인리스 전극인 복수 개의 탐지봉을 구비하고 있어, 탐지봉을 해당 탐사하고자 하는 지역의 땅 속으로 삽입하여 지역을 지층을 탐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 비저항 탐사 기법을 이용하면, 일정 지역에 대한 지층의 변화를 영상화할 수 있으므로, 탐사를 원하는 해당 지역의 지층 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6331호(공개일자: 2011년 04월 07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를 이용하는 탐사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의 탐사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탐사 본체 단말, 상기 탐사 본체 단말에서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탐사 케이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하나의 통신 채널에 연결되어 있고 제1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탐지봉, 상기 탐사 케이블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고,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케이블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통신 채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 중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이면, 미러링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로 출력되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이면, 판단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전송한다.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이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정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에 인접한 탐지봉의 정보, 그리고 인접한 상기 탐지봉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의 위치 정보와 전송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탐사 케이블의 연장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연장 방향은 상기 탐사 케이블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실제 설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 커넥터와 상기 탐지봉의 위치 관계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실제 설치 거리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실제 설치 거리를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 커넥터와 탐지봉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각 탐지봉의 실제 설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거리를 더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실제 설치 거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거리 사이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거리를 실제 설치 거리로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각 탐지봉의 설치 거리를 더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탐지봉의 실제 설치 거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탐지봉의 설치 거리 사이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탐지봉의 설치 거리를 실제 설치 거리로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탐사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탐사 본체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탐사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탐사자는 자신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 정확한 위치를 인지할 수 있고, 또한, 탐사 본체 단말은 탐사 케이블의 연장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탐사자가 일일이 탐사 케이블의 연장 방향을 확인하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탐사 본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탐지봉의 설치 거리와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거리를 산출할 수 있어, 현재 저장되어 있는 탐지봉 및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거리와 산출된 설치 거리의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에 대한 탐사 동작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비저항 탐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탐사 본체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비저항 탐사 시스템의 탐사 본체 단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사 본체 단말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비저항 탐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를 구비한 전기 비저항 탐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전기 비저항 탐사 시스템은 탐사 본체 단말(10), 탐사 본체 단말(10)에 연결되어 있고 탐사 케이블(21)과 탐사 케이블(21)에 복수 개의 탐지봉(22)이 일정 간격(예, 제1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탐사 케이블부(20), 탐사 본체 단말(10)에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 케이블(31)과 데이터 케이블(31)에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가 일정 간격(예, 제2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케이블부(30),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부(30)의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 중 하나와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4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탐사 본체 단말(10), 탐사 케이블부(20) 및 데이터 케이블부(30)은 본 예의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탐사 본체 단말(10)은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탐사 케이블(21)로 해당 크기의 전류를 인가한 후, 데이터 케이블(31)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탐지봉(22)(즉, 전극)의 전위값과 해당 탐지봉(22)에 인접한 다른 탑사봉의 전위값에 대한 차이인 전위차를 이용하여 전기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탐사 본체 단말(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전원 스위치(11), 사용자 입력부(12), 위치 정보 획득부(13), 전원 스위치(11), 사용자 입력부(12)와 위치 정보 획득부(13)에 연결되어 있는 탐사 제어부(14), 탐사 제어부(14)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15) 및 탐사 제어부(14)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 출력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1)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1)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탐사 본체 단말(10)의 전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와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탐사 제어부(14)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부(13)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즉 현재 탐사 본체 단말(10)이 위치하고 있는 현재 위치를 판정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탐사 제어부(14)로 입력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위치 정보 획득부(13)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GNSS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 정보 획득부(13)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한다.
탐사 제어부(14)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예로서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이러한 탐사 제어부(14)는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정보 출력부(16)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며,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한 데이터 처리나 명령 처리를 실시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탐사 제어부(14)는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상태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40)의 출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탐사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40)의 동작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일 때, 정보 출력부(16)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하여, 정보 출력부(16)의 출력 정보와 사용자 단말(40)의 출력 정보를 일치시키는 미러링 기능(mirroring fun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탐사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40)의 동작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와 다른 제2 모드일 때,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즉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위치를 판정한 후, 판정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인접한 탐사 지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탐사 본체 단말(10)의 정보 출력부(16)로 출력되는 출력 정보와 사용자 단말(40)로 출력되는 출력 정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40)은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탐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탐사 위치 등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메모리(15)는 탐사 제어부(14)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탐사 제어부(14)와 메모리(15)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정보 출력부(16)는 시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기식 비저항 탐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탐사 제어부(14)의 동작에 따라 탐사 제어부(14)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영상 표시를 위한 구조뿐만 아니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touch sensor)'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layered structure)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정보 출력부(16)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2)와 같은 입력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예의 탐사 본체 단말(10)은 사용자 입력부(12)와 정보 출력부(16)가 일체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고, 이 터치 스크린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탐사 본체 단말(10)의 전면의 대략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러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탐사 본체 단말(10)은 탐사 케이블(21)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탐사 케이블 커넥터(TC11), 데이터 케이블(31)과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케이블 커넥터(DC11),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데이터 입출력 단자(USB11), 접지 단자(EAR11), 퓨즈 단자(FUS11), 충전 커넥터(CHA11) 및 GSP 커넥터(GPS11)를 구비할 수 있다.
탐사 케이블 커넥터(TC11)는 탐사 케이블(21)과 탐사 본체 단말(10)과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일 수 있고, 일 예로, 멀티코어 측정 리드선 연결 커넥터일 수 있다.
데이터 케이블 커넥터(DC11)는 데이터 케이블(31)과 탐사 본체 단말(10)과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일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 단자(USB11)는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탐사 본체 단말(10)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백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접지 단자(ER11)는 접지용 전극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일 수 있고, 퓨즈 단자(FUS11)는 탐사 케이블(21)과 데이터 케이블(31)에 규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 커넥터(CHA11)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충전 동작을 위해 충전기(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일 수 있다. 충전 커넥터(CHA11)는 100-240V(AC) 충전 어댑터 연결 커넥터일 수 있다.
GSP 커넥터(GPS11)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GPS 추적기와 같은 위치 정보 획득부(13)와 탐사 제어부(14)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탐사 본체 단말(1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탐사 케이블(21)로의 전류 공급을 위한 전류 공급부 및 전위차 및 비저항측정부 등과 같이, 전기 비저항 측정을 위한 구성 요소 역시 구비할 수 있다.
탐사 케이블(21)과 데이터 케이블(31)은 서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고, 이런 경우, 탐사 케이블(21)과 데이터 케이블(31)의 연장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탐사 케이블(21)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탐사 본체 단말(10)의 탐사 케이블 커넥터(TC11)에 삽입되어, 탐사 본체 단말(10)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탐사 본체 단말(10)의 탐사 제어부(14)는 전기 비저항 측정을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탐사 케이블(21)로 인가하거나 인가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른 결과 데이터(예, 전위값) 등을 탐사 케이블(21)로부터 인가받을 수 있다.
이러한 탐사 케이블(21)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통신 채널(예, 17 채널)을 구비할 수 있고, 각 통신 채널에 하나의 탐지봉(22)이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탐지봉(22)은 제1 간격(예, 5m)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해당 통신 채널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탐지봉(22)은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해 탐사 본체 단말(10)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각 탐지봉(22)은 스테인리스 재질을 함유할 수 있고, 정해진 길(예, 약 30cm)을 갖는 원형의 전극 봉일 수 있다. 이러한 탐지봉(22)은 도시하지 않은 연결 집게를 통해 탐사 케이블(21)의 해당 위치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케이블(31)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탐사 본체 단말(10)과 사용자 단말(4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것으로, 데이터와 제어 신호(또는 제어 명령) 등의 신호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케이블(31)에는 사용자 단말(40)과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위해 제2 간격마다 사용자 단말 커넥터(32)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케이블(31)의 연장 길이는 탐사 케이블(21)의 연장 길이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제2 간격은 제1 간격과 동일하거나 제1 간격보다 길 수 있다. 일 예로, n개(예, 2개)의 탐지봉(22)마다 하나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40)은 연결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위치에서 탐사 본체 단말(10)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탐사 제어부(1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고, 또한 사용자 단말(40)로부터 탐사 제어부(14)로 신호나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를 통해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의 일 예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테블렛(tablet) PC(personal computer)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40)은 하나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예, 외부 기기 커넥터)(32)를 통해 탐사 본체 단말(10)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탐사 본체 단말(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이나 제어 신호 또는 제어 명령 등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자 단말(4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 중에서 하나의 커넥터(32)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사용자 단말(40)은, 하나의 예로서, 탐사 본체 단말(10)을 이용하여 탐사 동작을 수행하는 탐사자의 단말일 수 있고, 이런 경우,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는 탐사자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40)은 도 4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41), 위치 정보 획득부(42), 동작 제어부(43), 메모리(44) 및 정보 출력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1), 위치 정보 획득부(42), 메모리(44) 및 정보 출력부(45)는 입출력되는 실제 정보의 내용만 상이할 뿐,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탐사 본체 단말(10)의 사용자 입력부(12), 위치 정보 획득부(13), 메모리(15) 및 정보 출력부(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41)는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나 명령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동작 제어부(43)로 입력할 수 있고, 위치 정보 획득부(42)는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동작 제어부(43)로 입력할 수 있으며, 메모리(44)는 사용자 단말(4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45)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동작 제어부(43)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동작 제어부(43)에서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해당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 역시 사용자 단말(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제어부(43)는 데이터 케이블(31)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가 연결된 상태로 판단되면, 탐사 본체 단말(10)과의 통신 동작을 통해 탐사 본체 단말(10)의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b를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기 비저항 저항 탐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고로 하여, 탐사 동작을 위한 탐사 본체 단말(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11)의 동작에 의해 탐사 본체 단말(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면, 탐사 본체 단말(10)의 탐사 제어부(14)는 해당 지역의 지층 탐사를 위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S10).
따라서, 탐사 제어부(14)는 사용자 입력부(12)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지층 탐사를 위한 탐사 조건을 판독하여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S11).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탐사 조건은 탐사 케이블(21)의 연장길이, 탐지봉(22)의 개수, 탐지봉(22)의 설치 간격 및 각 탐지봉(22)이 위치하는 설치 거리, 데이터 케이블(31)의 연장길이,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개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간격 및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가 위치하는 설치 거리, 지층 탐사 방식[예, 1차원(1D) 탐사 방식, 2차원(2D) 탐사 방식, 탐사 방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의 종류, 정보 출력부(16)로 출력되는 화면의 출력 방식 및 출력값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각 탐지봉(22)의 설치 거리는 탐사 케이블 커넥터(TC11)와 연결되어 있는 탐사 케이블(21)의 시작점에서부터 해당 탐지봉(22)이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의 거리일 수 있고,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거리는 데이터 케이블 커넥터(DC11)와 연결되어 있는 탐사 케이블(21)의 시작점에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 커넥터(32)가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각 탐지봉(22)의 설치 거리와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거리는 실제로 측정된 실측 정보 대신에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이거나 탐사 케이블(21)의 연장 거리 및 탐지봉(22)의 간격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31)의 연장 거리 및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간격을 이용하여 탐사 제어부(14)에 의해 산출된 정보일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메모리(15)에는 탐지봉(22)의 개수와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개수, 그리고 탐지봉(22) 및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간격이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탐사 제어부(14)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각 탐지봉(22)의 설치 거리와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거리를 산출하여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각 탐지봉(22)의 설치 거리와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거리에 대한 입력 동작은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지역의 지층 탐사를 위해 필요한 탐사 조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어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탐사 조건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탐사 제어부(14)는 위치 정보 획득부(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S12).
따라서, 탐사 제어부(14)는 위치 정보 획득부(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탐사 본체 단말(10)이 위치하고 있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S12).
이와 같이, 해당 지역의 지층 탐사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 및 산출 동작 등과같이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모두 메모리(15)에 저장된 상태가 되면, 탐사 제어부(14)는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탐사 시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
탐사 시작 신호가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면, 탐사 제어부(14)는 탐사 케이블(21)의 해당 통신 채널로 필요한 신호(예, 전류)를 전송하는 등 탐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4).
그런 다음, 탐사 제어부(14)는 탐사 케이블(2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나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각 탐지붕에 의해 산출된 전기 비저항값을 산출하여, 지층 탐사에 대한 결과값(예, 탐사 결과값)을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S15).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탐사 제어부(14)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지층 탐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여, 탐사 본체 단말(10)과 사용자 단말(40)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이용하여 비저항 탐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탐지봉(22) 근처에서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를 사용자 단말(40)에 구비된 커넥터 삽입구에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40)과 하나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사용자 단말(40)의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40)은 데이터 케이블(31)을 이용하여 탐사 본체 단말(10)과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S21).
따라서, 탐사 본체 단말(10)의 탐사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40)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 중에서 사용자 단말(40)과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를 판정하여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S22).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구비할 수 있고, 탐사 본체 단말(10)의 메모리(15)에는 이미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40)과의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40)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는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연결 상태를 탐사 본체 단말(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탐사 본체 단말(10)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40)과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를 통해 사용자 단말(40)과 탐사 본체 단말(10)이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탐사 본체 단말(10)의 탐사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40)로 탐사 동작에 관련된 알고리즘을 전송하여, 탐사 동작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4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4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지층 탐사에 관련된 정보를 탐사 본체 단말(1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작 제어부(43)는 메모리(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 출력부(45)로 화면 표시 모드 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표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23).
화면 표시 모드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모드는 현재 탐사 본체 단말(10)의 정보 출력부(16)로 출력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출력되는 미러링 모드일 수 있다.
탐사 본체 단말(10)의 정보 출력부(16)로 출력되는 정보는, 일 예로서, 전극의 배열법에 대한 정보, 위치별 심도별 전기 비저항 측정값을 포함하는 전기 비저항 2차원 가단면도 및 각 전극에 대한 전류 공급의 상태 정보(예, 각 전극에 대한 접지 저항값)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탐사 본체 단말(10)이 미러링 모드인 경우, 탐사 본체 단말(10)은 정보 출력부(16)로 출력되는 이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 케이블(31)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40)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제2 모드는 현재 사용자 단말(40)과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를 중심으로 한 사용자 단말 맞춤형 표시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1)를 이용하여 제1 모드와 제2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가 동작 제어부(43)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동작 제어부(43)는 사용자 입력부(41)로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41)에 의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S24).
다음, 동작 제어부(43)는 판단된 화면 표시 모드를 데이터 케이블(31)을 통해 탐사 본체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25).
탐사 본체 단말(10)의 탐사 제어부(14)는 데이터 케이블(31)로부터 전송된 화면 표시 모드를 데이터 케이블 커넥터(DC11)를 통해 전송받아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S26).
그런 다음, 탐사 본체 단말(10)은 사용자 단말(40)에 의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탐사 제어부(14)는 전송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S27).
전송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이면(S27), 탐사 제어부(14)는 미러링 기능을 실시하여, 현재 정보 출력부(16)로 출력되는 있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예, 현재 정보 출력부(16)의 출력 화면 정보]를 데이터 케이블(31)로 전송할 수 있다(S28, S29).
이로 인해, 데이터 케이블(31)을 통해 탐사 본체 단말(10)로부터 현재 출력 화면 정보가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전송된 현재 출력 화면 정보를 정보 출력부(45)로 출력할 수 있다(S210).
하지만, 단계(S27)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1 모드가 아닌 경우, 탐사 제어부(14)는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를 제2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S211).
따라서, 탐사 제어부(14)는 제2 모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집하여(S212), 데이터 케이블(31)을 통해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S213).
이때, 제2 모드에 해당하는 정보는 사용자 단말(40)과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 중에서 사용자 단말(40)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정보 및 표시 상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에 인접한 탐지봉(22)의 정보, 그리고 이 탐지봉(22)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탐지봉(22)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해당 탐지봉(22)로 인가되는 전류값, 해당 탐지봉(22)의 전위값, 해당 탐지봉(22)과 이 탐지붕(22)에 인접한 두 탐지봉(22)의 전위 차이, 해당 탐지봉(22)의 탐지 동작에 의해 산출된 전기 비저항값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일 때, 해당 사용자 단말(40)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는 이미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정보의 종류는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탐사 제어부(14)는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0) 쪽으로 전송해야 하는 정보의 종류를 확인한 후,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탐사 동작에 관련된 정보, 측정값, 산출된 및 탐사 결과 등에서 해당 종류의 정보를 판독하여 데이터 케이블(3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케이블(31)을 통해 제2 모드에 관련된 정보가 탐사 본체 단말(10)로부터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40)의 동작 제어부(43)는 탐사 본체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정보 출력부(45)로 출력할 수 있다(S214).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40)과 연결되는 데이터 케이블(31)을 구비함에 따라, 탐사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40)을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탐사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고, 또한,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주변의 탐지봉(22)에 관련된 정보나 탐사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자신의 단말인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탐사자는 사용자 단말(40)의 정보 출력부(45)로 출력되는 미러링 기능을 통해 탐사 본체 단말(10)로 출력되는 정보 역시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탐자사는 사용자 단말(40)로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탐사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의 여부 및 탐사 결과와 같이, 탐사 동작에 관련된 사항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정확한 탐사 동작이 이루어져 탐사 동작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탐사 시간 역시 크게 절감될 수 있고, 탐사 동작 중에 탐사 본체 단말(10)로 이동하여 탐사 상황이나 결과 등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며, 탐사 동작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예의 전기 비저항 탐사 시스템에서, 탐사 본체 단말(10)과 사용자 단말(40) 모두에 위치 정보 획득부(13, 4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경우, 이들 위치 정보 획득부(13, 42)로부터 획득한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탐지봉(22)의 설치 거리,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위치, 탐사 케이블(21) 및 데이터 케이블(31)의 연장 방향 등을 판단하고 보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b에 도시한 것처럼, 탐사 본체 단말(10)은 자신의 위치 정보 획득부(13)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획득부(13)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판독하여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S215).
메모리(15)에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단계(S215)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 역시 자신의 위치 정보 획득부(42)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44)에 저장하고(S216), 데이터 케이블(31)을 통해 탐사 본체 단말(10) 쪽으로 전송할 수 있다(S217).
데이터 케이블(31)을 통해,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탐사 본체 단말(10)의 탐사 제어부(14)는 전송된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S218).
이러한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 획득 동작과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 획득 동작은 도 6b에 도시한 순서와 무관하게 행해질 수 있고, 획득 시기 역시 필요에 따라 변경되어 메모리(15, 44)에 저장될 수 있고, 필요에 시점에 메모리(15, 44)의 정보를 판독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탐사 본체 단말(10)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탐사 제어부(14)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케이블(31)과 탐사 케이블(21)의 연장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탐사 케이블(21)에 연결되어 있는 각 탐지봉(22)의 설치 거리 및 데이터 케이블(31)에 연결되어 있는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S219).
일 예로, 탐사 제어부(14)는 탐사 본체 단말(10)과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케이블(31)의 연장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데이터 케이블(31)과 나란하게 탐사 케이블(21)이 연장되어 있으므로 탐사 케이블(21)의 연장 방향 역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와 현재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 즉 사용자 단말(40)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예,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는 '현재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라 함)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탐사 제어부(14)는 이들 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탐사 본체 단말(10)에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 커넥터(32)까지의 이격 거리인 실제 설치 거리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이미 탐사 본체 단말(10)의 메모리(15)에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간격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실측된 현재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거리(예, 실제 설치 거리)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거리를 환산하여 나머지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실제 설치 거리 역시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탐사 본체 단말(10)의 메모리(15)에는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각 탐지봉(22) 간의 위치 관계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탐지봉(22)의 설치 위치가 1:1의 대응 관계를 가져 서로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탐지봉(22)의 설치 위치가 동일하거나,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탐지봉(22)의 설치 위치가 2:1의 대응 관계를 가져 2개의 탐지봉(22)마다 하나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32)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탐사 제어부(14)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탐지봉(22) 간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각 산출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실제 설치 거리를 이용하여 각 탐지봉(22)의 실제 설치 거리를 산출하여 메모리(15)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탐사 제어부(14)는 탐사 본체 단말(10)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각 탐지봉(22)의 실제 설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 탐사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와 각 탐지봉(22)의 각 실제 설치 거리와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설치 거리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 및 탐지봉(22)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20).
따라서, 오차 범위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나 탐지봉(22)이 존재하면, 탐사 제어부(14)는 해당 사용자 단말 커넥터(32)나 탐지봉(22)의 설치 거리를 산출된 실제 설치 거리로 보정할 수 있다(S220).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 커넥터(32)의 설치 거리뿐만 아니라 탐지봉(22)의 설치 거리 역시 정확한 값으로 저장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탐사 결과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탐사 본체 단말 21: 탐사 케이블
22: 탐지봉 31: 데이터 케이블
32: 사용자 단말 커넥터 40: 사용자 단말
12, 41: 사용자 입력부 13, 42: 위치 정보 획득부
14: 탐사 제어부 15, 44: 메모리
16, 45: 정보 출력부 43: 동작 제어부

Claims (8)

  1. 지층의 전기 비저항을 탐사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는,
    정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탐사 본체 단말;
    상기 탐사 본체 단말에서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 개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탐사 케이블;
    상기 복수 개의 통신 채널 중 하나의 통신 채널에 연결되어 있고 제1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인접한 두 탐지봉의 전위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 비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탐지봉;
    상기 탐사 케이블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고,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케이블; 및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통신 채널에 연결되어 있고 제2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탐사 본체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실시하고 -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임 -,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 중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이면, 미러링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로 출력되는 출력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 정보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이면, 판단된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커넥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어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 수행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선택된 화면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이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 커넥터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정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에 인접한 탐지봉의 정보, 그리고 인접한 상기 탐지봉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 전송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데이터 케이블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의 위치 정보와 전송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탐사 케이블의 연장 방향을 판단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연장 방향은 상기 탐사 케이블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실제 설치 거리를 산출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 커넥터와 상기 탐지봉의 위치 관계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실제 설치 거리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실제 설치 거리를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 커넥터와 탐지봉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각 탐지봉의 실제 설치 거리를 산출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거리를 더 저장하고 있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실제 설치 거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거리 사이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커넥터의 설치 거리를 실제 설치 거리로 수정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탐지봉의 설치 거리를 더 저장하고 있고,
    상기 탐사 본체 단말은 상기 탐지봉의 실제 설치 거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탐지봉의 설치 거리 사이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탐지봉의 설치 거리를 실제 설치 거리로 수정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
KR1020220160883A 2022-11-25 2022-11-25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 KR102561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883A KR102561681B1 (ko) 2022-11-25 2022-11-25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883A KR102561681B1 (ko) 2022-11-25 2022-11-25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681B1 true KR102561681B1 (ko) 2023-07-31

Family

ID=8745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883A KR102561681B1 (ko) 2022-11-25 2022-11-25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6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6331A (ko) 2009-10-01 2011-04-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파와 전기비저항을 동시에 사용하는 지반 탐사방법
KR101266909B1 (ko) * 2012-11-20 2013-05-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기비저항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탐사방법
KR101459623B1 (ko) * 2013-05-15 2014-11-07 (주)와콘 매설관의 고장점 추적장치 및 검출 방법
KR20170029980A (ko) * 2015-09-08 2017-03-16 (주)지오룩스 전기비저항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8205052A (ja) * 2017-06-01 2018-12-27 聡 出雲谷 電気探査システム及び電気探査方法
KR102168616B1 (ko) * 2020-03-19 2020-10-21 주식회사 동서기술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용 케이블 모듈
KR20210147509A (ko) * 2020-05-29 2021-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도분극 탐사를 이용한 안정화제 적용 토양의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6331A (ko) 2009-10-01 2011-04-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표면파와 전기비저항을 동시에 사용하는 지반 탐사방법
KR101266909B1 (ko) * 2012-11-20 2013-05-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기비저항 탐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탐사방법
KR101459623B1 (ko) * 2013-05-15 2014-11-07 (주)와콘 매설관의 고장점 추적장치 및 검출 방법
KR20170029980A (ko) * 2015-09-08 2017-03-16 (주)지오룩스 전기비저항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8205052A (ja) * 2017-06-01 2018-12-27 聡 出雲谷 電気探査システム及び電気探査方法
KR102168616B1 (ko) * 2020-03-19 2020-10-21 주식회사 동서기술 전기 비저항 탐사 장치용 케이블 모듈
KR20210147509A (ko) * 2020-05-29 2021-1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도분극 탐사를 이용한 안정화제 적용 토양의 모니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3758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ully mechanized coal mining face digital mining model
CN108957563B (zh) 一种隧道施工超前地质探测系统以及探测方法
KR101944823B1 (ko)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 지하시설물 탐지 시스템
CN105256786B (zh) 一种无缆静力触探设备及其使用方法
EP3021116B1 (en) Modular measurement apparatus
CN107085240B (zh) 一种边坡磁流体探测系统及方法
KR102561681B1 (ko)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전기 비저항 탐사장치
JP2018205052A (ja) 電気探査システム及び電気探査方法
CN110542708A (zh) 一种滑坡预警系统及方法
RU263475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иагностики техн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по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CN101435787B (zh) 三维高密度电法仪
CN113048972B (zh) 矿山工程机械姿态位置确定方法及系统
CN201314903Y (zh) 三维高密度电法仪
KR20140109516A (ko) 태양광 발전설비 진단시스템
WO2023201948A1 (zh) 一种用于电位梯度测量的传感器系统
CN208140040U (zh) 激光雪深度计及其测量系统
CN105846039A (zh) 天线及其姿态数据获取装置、监控系统和方法
JP5453611B2 (ja) 地下流体観測装置及び測定方法
CN212779123U (zh) 一种隧道形变的实时自动监测装置
CN111678492B (zh) 用于水下断面测量的无人船系统
CN210294524U (zh) 变电站接地网三维测量装置
CN104062692A (zh) 高精度海底地热流探测设备
CN114814964B (zh) 一种基于可变源距直流电阻率的巷道前方富水区判别方法
CN117074869B (zh) 一种配电线故障定位方法及系统
CN212207715U (zh) 一种地下管线探测绘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