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596B1 -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 Google Patents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596B1
KR102561596B1 KR1020217025161A KR20217025161A KR102561596B1 KR 102561596 B1 KR102561596 B1 KR 102561596B1 KR 1020217025161 A KR1020217025161 A KR 1020217025161A KR 20217025161 A KR20217025161 A KR 20217025161A KR 102561596 B1 KR102561596 B1 KR 102561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power
terminal
allocation inform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840A (ko
Inventor
유민 위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은,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및/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제1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다.

Description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월 18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056539.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에 관한 것이다.
모두가 알다 시피, 현재의 단말에는 동시에 복수 개의 서명 검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사용자 신분 식별 카드라고 칭할 수도 있음)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IM 카드는 동시에 네트워크에 복수 회(즉 멀티 등록 단말) 등록할 수 있고, 이러한 단말은 동시에 복수 개의 셀에 캠핑하거나 및/또는 연결 구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말이 동시에 캠핑하거나 및/또는 연결 구축을 진행하는 셀은 동일한 하나의 셀일 수 있고, 상이한 셀일 수도 있으며, 상이한 셀의 무선 기술 타입은 동일한 것이거나 또는 상이한 것(예를 들면, 셀 1은 4G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이고, 셀 2는 5G 뉴 라디오(New Radio, NR)임)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등록하거나 또는 부착할 경우,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을 위해 단말의 식별자를 할당하며, 단말은 단말의 식별자를 통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단말에 복수 개의 단말의 식별자가 존재할 때, 복수 개의 단말의 식별자를 통하여 복수 개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의 총 송신 파워의 제한을 받아, 어떤 업링크 신호는 송신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하게 되며, 따라서, 데이터 전송의 루스(loss)를 초래하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여, 단말의 총 송신 파워 제한을 받아 데어터 전송의 루스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하기와 같이 실현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파워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은,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및/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제1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파워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해당 단말은: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파워 제어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은,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및/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제1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해당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1 측면에서의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2 측면에서의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서의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통하여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에 대해 조화를 진행함으로서, 업링크 신호 송신의 총 송신 파워가 단말의 총 송신 파워를 초과하는 것을 피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의 총 송신 파워 제한에 인한 데이터 전송 루스를 유효하게 피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응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워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워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 1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 1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 2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 2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제2" 등은 특정 순서의 설명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설명하는것이 아니고,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외, 용어 '포함', '구비'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및/또는" 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내며, 예컨대 "A 및/또는 B 및/또는 C"는 개별 A, 개별 B, 개별 C, A와 B가 공존하고, B와 C가 공존하고, A와 C가 공존하며, 및 A와 B 및 C가 모두 공존하는 7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하는 "A 및 B 중의 적어도 하나"는 "개별 A, 개별 B , 및 A와 B가 공존하는" 세가지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응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며, 도 1에서 도시하다 시피, 단말(11) 및 네트워크측 기기(12)를 포함하며, 단말(11)과 네트워크측 기기(12)는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11)은 UE(User Equipment, 사용자 단말)로 칭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통신망 기기(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와 같은 단말측 기기일 수 있으며, 설명해야 할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단말(11)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측 기기(12)는 기지국, 중계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 있다. 기지국은 LTE, 5G 및 그 후 버전의 기지국(예컨대 5G NR NB)일 수 있으며,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중의 기지국(예를 들면, eNB(Evolved Node B, 진화형 기지국))일 수 있는바,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측 기기(12)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제어 방법은 주요하게 단말에 응용되며,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관리를 진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모바일 통신망 기기(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와 같은 단말측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을 진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워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파워 제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은,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및/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제1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IM 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SIM 카드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1회 또는 복수 회의 등록 또는 부착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각 회마다 등록 또는 부착을 진행할 때, 등록 또는 부착한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을 위해 하나의 식별자를 할당한다. 해당 식별자의 수량은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될수 있으며, 여기서 이에 대해 진일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단말을 위해 할당은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는: SIM 카드 번호, 국제 이동 서명 식별자(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임시 이동 서명 식별자(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TMSI), 시스템 아키텍처 진화 임시 이동 서명 식별자(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TMSI, S-TMSI), 5G-S-TMSI 및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RNTI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이한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접속 상태에 처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자 1은 아이들 상태에 있고, 식별자 2는 접속 상태에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각 식별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셀에서 작업할 수 있고, 동시에, 상이한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셀에서 작업할 수 있는바, 여기서 이에 대해 진일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1 파워 제어 작업 중에서, 단말이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한다. 이렇게, 단말은 총 송신 파워 크기에 따라, 각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조화함으로서, 업링크 신호 송신의 총 송신 파워가 단말의 총 송신 파워보다 큰 것을 피면하며, 따라서, 단말의 총 송신 파워 제한에 인한 데이터 전송 루스를 유효하게 피면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파워 제어 작업 중에서, 단말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거나; 및/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며; 따라서, 업링크 신호 송신의 총 송신 파워가 단말의 총 송신 파워보다 큰 것을 피면하여, 단말의 총 송신 파워 제한에 인한 데이터 전송 루스를 유효하게 피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각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설정 송신 파워는 프로토콜을 통하여 약정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할 수 있으며, 대응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기설정 송신 파워에 대해 폴백을 진행하여, 최종 송신 파워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파워 제엉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통하여,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에 대해 조화를 진행함으로서, 업링크 신호 송신의 총 송신 파워가 단말의 총 송신 파워보다 큰 것을 피면하여, 따라서, 단말의 총 송신 파워 제한에 인한 데이터 전송 루스를 유효하게 피면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할 때,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제3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3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다.
상술한 제3 식별자는 단말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식별자일 수 있다. 리포팅된 제1 식별자는 일부분 또는 전부의 제3 식별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에 대해 우선 먼저 조화를 진행하여 확정하고, 리포팅할 때, 그중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식별자를 리포팅하여, 매 회의 리포팅 전에 파워 할당 정보의 확정을 진행하는 것을 피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스템의 파워 할당 정보의 확정을 수행하는 횟수를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는,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이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가 상기 제1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 및/또는 모든 제1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제1 식별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대해, 프로토콜을 통하여 약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한 것일 때, 하기의 임의의 하나의 방식에 따라 구성을 진행할 수 있다.
방식 1: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방식 2: 네트워크측에서 상기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방식에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만약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지원한다면,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하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내에, 동일한 파워 정보에 대해 오직 한 회만을 리포팅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기설정 시간대 내에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금지 타이머 구성(예컨대 prohibitTimer의 시간 길이)은 네트워크측 기기를 통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을 통하여 약정할 수 있으며, 해당 타이머의 실행 기간에, 단말은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예를 들면, 식별자 1의 사용가능한 최대 파워는 10dBm임);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예를 들면, 식별자 1의 파워 폴백은 10dBm임);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예를 들면, 식별자 1은 셀 1에서 더 사용할 수 있는 파워 헤드룸은 10dBm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예를 들면, 식별자 1의 식별자 정보는 SIM 카드 번호를 포함함);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예를 들면, 식별자 1은 LTE에서 작업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무선 기술 타입은:
코드 분할 멀티플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DMA2000;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전기 액세스 네트워크(GSM/EDGE Radio Access Network, GERAN);
진화된 UMTS 랜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UMTS 랜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예를 들면, 광대역 코드 분할 멀티플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또는 시간 분할 동기 코드 분할 멀티플 액세스(Time Division -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
5G 뉴 라디오(New Radio, NR); 및
WiFi; 중 임의의 한 항을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리포팅한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의 총 합은 상기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파워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예를 들면, 리포팅한 제1 식별자는 식별자 1(예를 들면 UE-ID-1) 및 식별자 2(예를 들면 UE-ID-2)를 포함하며, 여기서, 식별자 1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는 10dBm이고, 식별자 2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는 13dBm이며, 단말이 실행하는 송신의 최대 파워는 23dBm이다. 여기서,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파워는 프로토콜에서 약정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진일보 한정하지 않는다.
진일보하여,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자의 최대 송신 파워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파워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최대 송신 파워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파워이다.
진일보하여,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파워 폴백 정보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파워 폴백 정보이다.
진일보하여,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에서 리포팅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한 후, 이동성 과정에, 해당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타겟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방식 중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의 스위칭 과정에, 상술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스위칭된 타겟 네트워크측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방식 중에서, 상기 단말이 상술한 타겟 노드를 변경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타겟 노드로 송신하며, 상기 타겟 노드는 상기 단말이 새로 증가하거나 또는 변경한 세컨더리 네트워크측 기기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는 마스터 네트워크측 기기(즉 마스터 노드(Master Node,MN)) 또는 세컨더리 네트워크측 기기(즉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SN))이다.
진일보하여, 기타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할 때, 각 상기 제2 식별자는 동일한 송신 시각에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식별자이며, 각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설정 송신 파워의 총 합은 상기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본 실시예에서,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거나; 및/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며;
제1 실시 방식 중에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할 때, 상기 송신 시각에 제3 타겟 식별자의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3 타겟 식별자는 상기 제2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1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이다.
본 실시 방식 중에서, 단말의 복수 개의 상이한 식별자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네트워크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하여 허용한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할 경우, 단말은 상술한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에 따라, 해당 단말의 상이한 식별자 사이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해당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우선 순위 레벨이 높은 것을 송신하고, 우선 순위 레벨이 낮은 것은 송신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술한 제1 타겟 식별자는, 각 상기 제2 식별자가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에 따라 배열한 앞 n개의 식별자이며, n은 양의 정수이다. 예를 들면, 제2 식별자는 식별자 1, 식별자 2 및 식별자 3을 포함하고, 식별자 1의 기설정 송신 파워는 10dBm이고, 식별자 2의 기설정 송신 파워는 10dBm이고, 식별자 3의 기설정 송신 파워는 12dBm이며, 상술한 n은 2이고, 상술한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가 23dBm이며,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에 따라 우선 순위 레벨이 높은 것에서 낮은데로 순차적으로 배열하면 식별자 1, 식별자 2 및 식별자 3이다. 이때, 식별자 1 및 식별자 2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고, 해당 식별자 1 및 식별자 2의 총 송신 파워(즉 20dBm)는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23dBm)보다 작으며, 식별자 3에 대해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은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해당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은 이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규칙 1: 제2 식별자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예를 들면, 식별자 1은 식별자 2보다 우선이며, 식별자 2는 식별자 3보다 우선이며, 규칙 1을 기반으로, 제2 식별자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링트 송신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규칙 2: 단말이 지원하는 무선 기술 타입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예를 들면, 5G NR은 LTE보다 우선이고, LTE는 UTRAN보다 우선이다.
규칙 3: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은 제2 타입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보다 높고, 상기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은 업링크 접속 구축을 발기하기 위한 업링크 송신이며, 상기 제2 타입 업링크 송신은 모든 업링크 송신 중에서 상기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을 제외한 업링크 송신이다.
규칙 4: 프라이머리 셀의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과 세컨더리 셀의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이다.
규칙 5: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은 업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보다 높다.
규칙 6: 데이터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은 프로토콜을 통하여 약정하거나, 단말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리포팅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에 따라,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을 확정하고, 우선 순위 레벨이 높은 것을 선택하여 송신하고, 우선 순위 레벨이 낮은 것은 송신하지 않으며, 단말의 각 식별자 간의 업링크 송신 파워는 해당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지 않음을 알고 있다.
제2 실시 방식 중에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할 경우, 상기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은 프로토콜에 따라 약정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 방식 중에서, 상술한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은,
상기 제2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무선 타입에 대응하는 최대 폴백량(예를 들면, 식별자 1의 LTE의 최대 파워 폴백량은 10dBm이고, 식별자 2의 5G NR의 최대 파워 폴백량은 20dBm임);
제2 식별자의 최대 폴백량(예를 들면, 식별자 1의 최대 파워 폴백량은 10dBm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제2 식별자들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 파워가 해당 단말에서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각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에 따라, 각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폴백을 진행한다.
제3 실시 방식 중에서, 만약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동시에,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및,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할 경우, 선택한 제1 타겟 식별자가 폴백 후의 송신 파워에 따라 송신할 때, 업링크 송신의 파워가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보다 작거나 또는 같을 때까지, 우선 먼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을 통하여 제1 수량의 식별자를 선택하고, 다음, 파워의 폴백을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소개한 여러가지 선택가능한 실시 방식은, 서로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단독으로 구현할 수도 있는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를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기에서는 세개의 상이한 파워 제어 과정을 통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한다.
실시예 1에서, 파워 구성 정보를 리포팅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파워 제어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 하나의 UE는 네트워크측에서 복수 개의 식별자(예를 들면, UE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IM 카드를 통하여, 네트워크측에서 복수 회의 등록 또는 부착을 진행하여 UE(UE-ID-1) 및 UE(UE-ID-2)를 획득하였음)를 획득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는:
SIM 카드 번호;
IMSI;
TMSI;
S-TMSI;
5G-S-TMSI;
RNTI;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UE의 복수 개의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접속 상태(예컨대, UE(UE-ID-1)은 아이들 상태에 있고, UE(UE-ID-2)는 접속 상태에 있음)에 처할 수 있다.
단계 2: UE가 상이한 UE 식별자 간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는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다.
예 1: 네트워크측에서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SIBx) 또는 전용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을 통하여 UE가 상이한 UE 식별자 간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대해 지시할 수 있다.
예 2: 네트워크측에서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SIBx) 또는 전용 시그널링(예를 들면 (Radio Resource Control, RRC)재구성 메시지)을 통하여 네트워크측 능력 정보를 지시하며, UE가 상이한 UE 식별자 간의 파워 할당 정보에 대한 리포팅의 수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네트워크측에서 "UE가 상이한 UE 식별자 간의 파워 할당 정보에 대한 리포팅을 수신하는 능력을 지원함"을 지시할 때에만, UE는 리포팅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 3: UE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는 상이한 UE 식별자 간의 파워 할당 정보를 네트워크측(예를 들면, UE(UE-ID-1)에서 자신의 서빙 기지국에 리포팅함)에 리포팅한다.
여기서, 리포팅한 파워 할당 정보는 구체적으로: 해당 리포팅은 UE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 및/또는 기타 UE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이며;
해당 파워 할당 정보는:
UE 식별자 정보(예를 들면 UE(UE-ID-1));
해당 UE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예를 들면 UE(UE-ID-1)의 사용가능한 최대 파워는 10dBm임);
해당 UE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예를 들면, UE(UE-ID-1)가 LTE에서의 파워 폴백은 10dBm임);
해당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예컨대 UE(UE-ID-1)이 셀 1에서 더 사용할 수 있는 파워 헤드룸은 10dBm임);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무선 기술 타입"은:
CDMA;
CDMA2000;
GERAN;
E-UTRAN(예를 들면 LTE);
UTRAN(예를 들면, WCDMA 또는 TDS-CDMA);
5G NR; 및
WiFi; 중 임의의 한 항을 포함한다.
더 진일보하여, UE에서 리포팅한 상이한 UE 식별자 간의 파워 할당 정보 중의 상이한 UE 식별자의 총 사용가능한 파워는 UE의 최대 송신 파워(예컨대, UE(UE-ID-1)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는 10dBm이고, UE(UE-ID-2)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는 13dBm이며, 이는 UE의 최대 송신 파워 23dBm와 같음)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더 진일보하여, 해당 UE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는 해당 UE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총 최대 송신 파워이거나 또는 해당 UE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최대 송신 파워이다.
더 진일보하여, 해당 UE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해당 UE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총 파워 폴백 정보 또는 해당 UE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파워 폴백 정보일 수 있다.
더 진일보하여, 해당 UE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해당 UE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총 파워 헤드룸 또는 해당 UE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파워 헤드룸일 수 있다.
더 진일보하여, 만약 타이머 금지 구성을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하였다면, UE는 정보(즉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한 후, 해당 금지 타이머를 부팅하고, 타이머의 실행 기간 동안, 해당 정보의 리포팅을 더 이상 트리거하지 않는다.
단계 4: 상술한 UE가 리포팅한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 노드는 이동성 과정에 해당 정보를 타겟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예 1: gNB1은 스위칭 과정에 해당 정보를 타겟 gNB2에 송신하며;
예 2: 상술한 UE가 리포팅한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 노드는 MN 또는 SN이며, SN이 추가되거나 또는 변경하는 과정에, 상술한 UE가 리포팅한 정보를 수신한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정보를 타겟 SN에 송신한다.
실시예 2에서,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 규칙의 방식을 채용하여 파워 제어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하나의 UE는 네트워크측에서 복수 개의 식별자(예를 들면, UE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IM 카드를 통하여, 네트워크측에서 복수 회의 등록 또는 부착을 진행하여 UE(UE-ID-1) 및 UE(UE-ID-2)를 획득하였음)를 획득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는:
SIM 카드 번호;
IMSI;
TMSI;
S-TMSI;
5G-S-TMSI;
RNTI;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UE의 복수 개의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접속 상태(예컨대, UE(UE-ID-1)은 아이들 상태에 있고, UE(UE-ID-2)는 접속 상태에 있음)에 처할 수 있다.
단계 2: UE의 상이한 식별자 간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해당 UE가 허용하는 송신의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였을 경우, UE가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규칙에 따라 업링크 송신 신호를 선택하되, 이는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다(예컨대, 해당 UE가 상이한 식별자 간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해당 UE가 허용하는 송신의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우선 순위 레벨이 높은 것을 송신하고, 우선 순위 레벨이 낮은 것은 송신하지 않는다).
여기서,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규칙은,
UE 식별자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링크 송신 신호를 선택하는 것(예를 들면, UE(UE-ID-1)는 UE(UE-ID-2)보다 우선이고, UE(UE-ID-2)는 UE(UE-ID-3)보다 우선임);
UE가 지원하는 무선 기술 타입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링크 송신 신호를 선택하는 것(예를 들면, 5G NR은 LTE보다 우선이고, LTE는 UTRAN보다 우선임);
업링크 접속 구축을 발기하기 위한 업링크 송신은 기타 업링크 송신보다 우선인 것(예를 들면, UE(UE-ID-1)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연결 구축을 발기하고, 해당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1 및/또는 Msg3은 UE(UE-ID-1)의 접속 상태에서의 데이터(예컨대 PUSCH) 송신보다 우선임);
PCell(Primary Cell, 프라이머리 셀)의 송신은 SCell(Secondary Cell, 세컨더리 셀)보다 우선인 것(예컨대, UE(UE-ID-1)의 PCell의 송신은 UE(UE-ID-2)의 SCell의 송신보다 우선임);
PCell의 송신은 PSCell(Primary Secondary Cell,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보다 우선임(예컨대, UE(UE-ID-1)의 PCell의 송신은 UE(UE-ID-2)의 PSCell 송신보다 우선임);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것(예를 들면, UE(UE-ID-1)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은 UE(UE-ID-2)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보다 우선임);
데이터의 우선 순위 레벨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링크 송신 신호를 선택하는 것(예를 들면, UE(UE-ID-1)의 논리 채널 1의 데이터 송신은 UE(UE-ID-2)의 논리 채널 2의 송신보다 우선임);
단계 2 중의 구성에 따라, UE의 복수 개의 상이한 식별자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네트워크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하여 허용하는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였을 경우, UE는 단계 2 중의 우선 순위 레벨 순서에 따라, 해당 UE의 상이한 식별자 사이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해당 UE가 허용하는 송신의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우선 순위 레벨이 높은 것을 송신하고, 우선 순위 레벨이 낮은 것은 송신하지 않는 것;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예 3에서, 업링크 송신 파워를 하강시키는 방식을 채용하여 파워 제어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하나의 UE는 네트워크측에서 복수 개의 식별자(예를 들면, UE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IM 카드를 통하여, 네트워크측에서 복수 회의 등록 또는 부착을 진행하여 UE(UE-ID-1) 및 UE(UE-ID-2)를 획득하였음)를 획득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는:
SIM 카드 번호;
IMSI;
TMSI;
S-TMSI;
5G-S-TMSI;
RNTI;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UE의 복수 개의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접속 상태(예컨대, UE(UE-ID-1)은 아이들 상태에 있고, UE(UE-ID-2)는 접속 상태에 있음)에 처할 수 있다.
단계 2: UE의 상이한 식별자 간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해당 UE가 허용하는 송신의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였을 경우, 복수 개의 상이한 UE 식별자의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에 따라 각 식별자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 파워를 하강시키되, 이는 네트워크측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약정한다(예를 들면, UE(UE-ID-1)가 폴백할 수 있는 파워는 10dBm이고, UE(UE-ID-2)가 폴백할 수 있는 파워는 20dBm이다).
단계 2 중의 구성에 따라, UE의 복수 개의 상이한 식별자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네트워크에서 구성하거나 프로토콜에서 약정한 허용하는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였을 경우, UE는 단계 2 중의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에 따라, 해당 UE의 상이한 식별자 사이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해당 UE가 허용하는 송신의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상이한 UE 식별자의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파워 폴백을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실시예 3 및 실시예 2의 규칙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만약 UE의 3개의 식별자에 동시에 업링크 송신이 존재하면, UE는 우선 순위 레벨 규칙에 따라 UE(UE-ID-1) 및 UE(UE-ID-2)의 송신을 진행하고, 만약 UE(UE-ID-1)와 UE(UE-ID-2)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UE의 최대 업링크 송신 파워를 초과하였을 경우, 해당 UE의 상이한 식별자 사이의 업링크 송신 파워가 해당 UE가 허용하는 송신의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를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UE는 UE(UE-ID-1) 및 UE(UE-ID-2)에 대해 파워 폴백을 진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워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며, 본 실시예와 상술한 실시예의 주요한 구별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대해 진일보 한정한데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워 제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이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리포팅한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가 상기 제1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 및/또는 모든 제1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제1 식별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송신한 후, 기설정 시간대 내에 상기 단말에서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하였을 경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측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타겟 노드를 변경하였을 경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타겟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노드는 상기 단말이 새로 추가하거나 또는 변경한 세컨더리 네트워크측 기기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소개한 여러가지 선택가능한 실시 방식은, 서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실시 방식으로서, 그 구체적인 실시 방식은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하면 되고,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된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400)의 구조도 1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400)은: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파워 제어 모듈(401);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은,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및/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제1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400)은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파워 제어 모듈(401)이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기 전에, 제3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3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제어 모듈(401)은 구체적으로,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이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가 상기 제1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 및/또는 모든 제1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제1 식별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제어 모듈은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한 이후, 기설정 시간대 내에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리포팅한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의 총 합은 상기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파워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식별자의 최대 송신 파워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파워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최대 송신 파워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파워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파워 폴백 정보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파워 폴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할 때, 각 상기 제2 식별자는 동일한 송신 시각에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식별자이며, 각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설정 송신 파워의 총 합은 상기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할 때, 상기 송신 시각에 제3 타겟 식별자의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3 타겟 식별자는 상기 제2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1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타겟 식별자는, 각 상기 제2 식별자가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에 따라 배열한 앞 n개의 식별자이며, n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은,
제2 식별자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단말이 지원하는 무선 기술 타입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은 제2 타입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보다 높고, 상기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은 업링크 접속 구축을 발기하기 위한 업링크 송신이며, 상기 제2 타입 업링크 송신은 모든 업링크 송신 중에서 상기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을 제외한 업링크 송신인 것;
프라이머리 셀의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과 세컨더리 셀의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은 업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보다 높은 것; 및
데이터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할 경우, 상기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은 프로토콜에 따라 약정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은,
상기 제2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무선 타입에 대응하는 최대 폴백량; 및
제2 식별자의 최대 폴백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는, SIM 카드 번호, 국제 이동 서명 식별자(IMSI), 임시 이동 서명 식별자(TMSI), 시스템 아키텍처 진화 임시 이동 서명 식별자(S-TMSI), 5G-S-TMSI 및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상이한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접속 상태에 처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은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말이 구현하는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는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500)의 구조도 1이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501);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501)은 구체적으로,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이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리포팅한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가 상기 제1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 및/또는 모든 제1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제1 식별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상기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송신한 후, 기설정 시간대 내에 상기 단말에서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상기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하였을 경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측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500)는:
상기 단말이 타겟 노드를 변경하였을 경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타겟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겟 노드는 상기 단말이 새로 추가하거나 또는 변경한 세컨더리 네트워크측 기기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는 도 3의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가 구현하는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는바, 중복된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의 구조도 2이며, 해당 단말은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600)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네트워크 모듈(602), 오디오 출력 유닛(603), 입력 유닛(604), 센서(605), 표시 유닛(606), 사용자 입력 유닛(607), 인터페이스 유닛(608), 메모리(609), 프로세서(610), 및 전원(6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6에 나타내는 단말의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은,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및/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제1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기 전에, 제3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3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10)는 구체적으로,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이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가 상기 제1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 및/또는 모든 제1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제1 식별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한 후, 기설정 시간대 내에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리포팅한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의 총 합은 상기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파워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식별자의 최대 송신 파워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파워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최대 송신 파워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파워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파워 폴백 정보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파워 폴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할 때, 각 상기 제2 식별자는 동일한 송신 시각에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식별자이며, 각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설정 송신 파워의 총 합은 상기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할 때, 상기 송신 시각에 제3 타겟 식별자의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지 않으며, 상기 제3 타겟 식별자는 상기 제2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1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타겟 식별자는, 각 상기 제2 식별자가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에 따라 배열한 앞 n개의 식별자이며, n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은,
제2 식별자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단말이 지원하는 무선 기술 타입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은 제2 타입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보다 높고, 상기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은 업링크 접속 구축을 발기하기 위한 업링크 송신이며, 상기 제2 타입 업링크 송신은 모든 업링크 송신 중에서 상기 제1 타입 업링크 송신을 제외한 업링크 송신인 것;
프라이머리 셀의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과 세컨더리 셀의 업링크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은 업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보다 높은 것; 및
데이터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우선 순위 레벨의 순서 배열 규칙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정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구성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을 포함할 경우, 상기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은 프로토콜에 따라 약정되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송신 파워 폴백 구성은,
상기 제2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무선 타입에 대응하는 최대 폴백량; 및
제2 식별자의 최대 폴백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는, SIM 카드 번호, 국제 이동 서명 식별자(IMSI), 임시 이동 서명 식별자(TMSI), 시스템 아키텍처 진화 임시 이동 서명 식별자(S-TMSI), 5G-S-TMSI 및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상이한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접속 상태에 처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600)은 도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6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6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6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또한, 단말(6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6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6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6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6041) 및 마이크(6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6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6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6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601) 또는 네트워크 모듈(6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6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6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60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6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6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6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6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6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6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606)은 표시 패널(6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6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터치 패널(6071) 및 기타 입력 기기(6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6071) 상 또는 터치 패널(6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610)로 보내고, 프로세서(6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6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6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607)은 기타 입력 기기(6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6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6071)은 표시 패널(6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6071)은 터치 패널(6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6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6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6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6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6071)과 표시 패널(60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가 단말(6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6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6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6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6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이동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6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6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6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6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6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6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6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6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을 더 제공하며, 프로세서(610), 메모리(609) 및 메모리(609)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610)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파워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는바,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또 다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이며,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700)는, 프로세서(701), 송수신기(702), 메모리(703)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송수신기(702)는,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702)는 구체적으로,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이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리포팅한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가 상기 제1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 및/또는 모든 제1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제1 식별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702)는, 상기 단말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송신한 후, 기설정 시간대 내에 상기 단말에서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702)는, 상기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702)는, 상기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타겟 네트워크 기기로 스위칭하였을 경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측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702)는, 상기 단말이 타겟 노드를 변경하였을 경우,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타겟 노드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타겟 노드는 상기 단말이 새로 추가하거나 또는 변경한 세컨더리 네트워크측 기기이다.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7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7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702)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7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703)는 프로세서(7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프로세서(701), 메모리(703) 및 메모리(703)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701)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7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서비스 전송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룰 수 있는바, 중복 설명을 피면하기 위하여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파워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요소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또 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방법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의 결합으로 실현가능한 것은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 개의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위에서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와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2)

  1. 단말에 응용되는 파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은,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제1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
    을 더 포함하는, 파워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파워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제3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3 식별자 중의 식별자인 것인,
    파워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는,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이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가 상기 제1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 또는 모든 제1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제1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파워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기설정 시간대 내에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파워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리포팅한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의 총 합은 상기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파워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것이고;
    상기 제1 식별자의 최대 송신 파워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파워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최대 송신 파워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파워인 것이고;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의 파워 폴백 정보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파워 폴백 정보인 것이고;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의 총 합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은 상기 제1 식별자의 각 작업 셀에 대응하는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인 것인,
    파워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할 때, 각 상기 제2 식별자는 동일한 송신 시각에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식별자이며, 각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설정 송신 파워의 총 합은 상기 단말이 허용하는 송신의 최대 송신 파워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것인,
    파워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는, SIM 카드 번호, 국제 이동 서명 식별자(IMSI), 임시 이동 서명 식별자(TMSI), 시스템 아키텍처 진화 임시 이동 서명 식별자(S-TMSI), 5G-S-TMSI 및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파워 제어 방법.
  9.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파워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며,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을 더 포함하는,
    파워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파워 헤드룸;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파워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이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타겟 식별자를 통하여 리포팅한 타겟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가 상기 제1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2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 또는 모든 제1 식별자 중에서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를 제외한 기타 제1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겟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제외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타겟 파워 할당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파워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의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상기 단말이 상이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능력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파워 제어 방법.
  13. 단말에 있어서,
    제1 파워 제어 작업 또는 제2 파워 제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파워 제어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제어 작업은, 단말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리포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제어 작업은, 업링크 송신 파워의 우선 순위 레벨에 따라, 단말의 제2 식별자 중에서 제1 타겟 식별자를 선택하여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것; 또는,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대 파워 폴백량에 따라,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를 확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제1 타겟 식별자 중의 식별자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
    을 더 포함하는, 단말.
  14.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리포팅된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파워 할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이며,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사용가능한 최대 송신 파워; 및
    상기 제1 식별자의 파워 폴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식별자의 작업 셀의 무선 기술 타입;
    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217025161A 2019-01-18 2020-01-08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102561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56539.1A CN111278099B (zh) 2019-01-18 2019-01-18 一种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201910056539.1 2019-01-18
PCT/CN2020/070896 WO2020147626A1 (zh) 2019-01-18 2020-01-08 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840A KR20210111840A (ko) 2021-09-13
KR102561596B1 true KR102561596B1 (ko) 2023-07-31

Family

ID=7100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161A KR102561596B1 (ko) 2019-01-18 2020-01-08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45256A1 (ko)
EP (1) EP3913993A4 (ko)
JP (1) JP7461361B2 (ko)
KR (1) KR102561596B1 (ko)
CN (1) CN111278099B (ko)
SG (1) SG11202107827SA (ko)
WO (1) WO202014762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200A1 (en) * 2016-09-29 2018-04-05 Intel IP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s and method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9104B (zh) * 2008-10-31 2013-03-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发射功率控制方法和系统、以及基站
EP2360866A1 (en) * 2010-02-12 2011-08-2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using resource assignments
JP5542971B2 (ja) * 2010-02-25 2014-07-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重搬送波システムにおけるパワーヘッドルーム情報の送信装置及び方法
CN105101292B (zh) * 2010-06-22 2018-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余量报告的上报方法和用户设备
EP2538733A1 (en) * 2011-06-21 2012-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hroughput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CN102932892B (zh) * 2011-08-12 2018-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装置
CN102348269B (zh) * 2011-09-27 2015-01-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功率控制的方法和设备
GB2502969A (en) * 2012-06-11 2013-12-18 Renesas Mobile Corp Limiting the total transmit power of a multi SIM wireless device
WO2014104961A2 (en) * 2012-12-28 2014-07-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measuring node, network node,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908951B1 (ko) * 2013-02-07 2018-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 네트워크의 전송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50031408A1 (en) * 2013-07-25 2015-01-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n Multi-SIM Devices in Compliance with Specific Absorption Rate Limits
US9532253B2 (en) * 2013-09-26 2016-12-27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onnectivity operation
CN106559203B (zh) * 2015-09-29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控制信令的方法和装置
CN106686712B (zh) * 2015-11-06 2020-07-2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发射功率控制方法、移动终端及基站
CN105553608B (zh) * 2015-12-07 2019-03-01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非正交多址方式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7277783A (zh) * 2016-04-07 2017-10-2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上行信号传输方法、基站、用户设备及系统
EP4333515A2 (en) * 2016-05-11 2024-03-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
US9775082B1 (en) * 2016-12-20 2017-09-26 Intel IP Corporation Link adap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SIMS
CN113411799A (zh) * 2016-12-23 2021-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卡业务并发方法及用户设备
US10136446B2 (en) * 2017-03-15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VoLTE) call prioritization for multiple carriers
CN108632891B (zh) * 2017-03-24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200A1 (en) * 2016-09-29 2018-04-05 Intel IP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s and method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36.321 v15.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61361B2 (ja) 2024-04-03
JP2022520001A (ja) 2022-03-28
EP3913993A1 (en) 2021-11-24
WO2020147626A1 (zh) 2020-07-23
CN111278099A (zh) 2020-06-12
US20210345256A1 (en) 2021-11-04
KR20210111840A (ko) 2021-09-13
SG11202107827SA (en) 2021-08-30
CN111278099B (zh) 2021-04-30
EP3913993A4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288B1 (ko) 정보 리포팅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JP7432606B2 (ja) 端末能力ネゴシエーション方法、端末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650492B (zh) 一种测量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US20230247468A1 (en) Measurement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WO2020001260A1 (zh) 测量配置方法、测量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
JPWO2020147839A5 (ko)
US20180176905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terminal, and base station
KR102435897B1 (ko) 셀 관리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102552624B1 (ko) 능력 지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네트워크 엘레먼트
JP7457703B2 (ja) 測定指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20220150788A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medium
US20210176684A1 (en) Terminal camping metho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20147822A1 (zh) 连接管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1277999B (zh) 小区选择或重选方法及装置、终端
KR102561596B1 (ko)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20210064357A (ko) 파워 헤드룸 리포팅 방법 및 단말 기기
CN111818594A (zh) 一种网络切换方法、网络设备及终端
US10911989B2 (en) Method for keeping in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network and user terminal
CN112583548B (zh) 一种指示信息传输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2788674B (zh) 切换方法、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1601365A (zh) 一种连接管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