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686B1 -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 Google Patents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686B1
KR102560686B1 KR1020160088705A KR20160088705A KR102560686B1 KR 102560686 B1 KR102560686 B1 KR 102560686B1 KR 1020160088705 A KR1020160088705 A KR 1020160088705A KR 20160088705 A KR20160088705 A KR 20160088705A KR 102560686 B1 KR102560686 B1 KR 10256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s
diffuser
leading edge
opening
centrifugal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542A (ko
Inventor
노진현
임창우
임강수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6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에 개구부를 구비한 원판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중심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베인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들은, 복수개의 제1베인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제2베인들을 포함하는,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심압축기용 디퓨저{Diffuser for centrifugal compres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심압축기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퓨저로 유입된 유체의 유동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디퓨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압력 분포 영역을 넓게 하여 임펠러에 의한 공진 가진력 및 소음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원심압축기용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원심압축기와 같은 유체 기계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압축시키는 임펠러(impeller)의 외측에 설치되는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퓨저를 통해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원심 압축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킨다. 디퓨저는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를 낮춤으로써 유체의 압력을 높이며 고압으로 압축된 유체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원심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원심압축기는 압축실(10) 및 압축실(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20)를 구비한다. 압축실(10)은 유체가 유입되는 인듀서부(1)와, 임펠러(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 임펠러 삽입공간(2)과,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디퓨저부(3)와, 디퓨저부(3)와 함께 압력이 증가된 유체의 동압을 정압으로 변환하여 토출구(미도시)로 토출시키는 볼류트부(4)를 포함한다. 또한 임펠러 삽입공간(2)을 따라 임펠러(20)에 대향하도록 쉬라우드부(5)가 배치된다.
임펠러(20)는 원뿔 형태로 형성된 허브부(21) 및 허브부(21)의 외면에 위치하는 날개부(22)를 구비하고, 임펠러(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된다.
디퓨저부(3)는 임펠러 삽입공간(2)과 볼류트부(4)를 연결하는 유로의 양면 중 일면에 다수개의 베인(30)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베인(30)들 각각은 소정의 길이 및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임펠러(20)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베인(30)들의 임펠러(20)로부터의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하는 경우, 임펠러(20)의 디퓨저부(3)로 진행하는 후류(後流)에서 발생하는 압력 변동량으로 인해 유체의 공진 가진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디퓨저부(3)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이 불안정하게 되어 압력 손실이 증가하고, 소음 또한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9570호 (2002.05.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퓨저로 유입된 유체의 유동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디퓨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압력 분포 영역을 넓게 하여 임펠러에 의한 공진 가진력 및 소음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심에 개구부를 구비한 원판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중심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베인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들은, 복수개의 제1베인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제2베인들을 포함하는, 원심압축기용 디퓨저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은 에어포일(airfoil)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은 웨지(wedg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전연은 뾰족한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후연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의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전연과 상기 중심 사이의 거리가,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전연과 상기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의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전연과 상기 중심 사이의 거리가,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전연과 상기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은,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퓨저로 유입된 유체의 유동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디퓨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원심압축기의 공진 가진력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용 디퓨저(100)는 플레이트(110) 및 복수개의 베인들을 구비한다.
플레이트(110)는 중심에 개구부(90)를 구비하며, 원판 형상을 갖는다. 도 2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구부(90)에는 회전하면서 유체를 원심 방향으로 가속시키는 임펠러(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임펠러에 의해 가속된 유체는 디퓨저(100)의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베인들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감속된다. 이 과정에서 유체의 운동에너지는 압력에너지로 변환되며, 이로써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플레이트(110)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베인들이 개구부(9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10)의 일면이라 함은 플레이트(110)의 중심(O)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일면을 의미하며, 플레이트(110)의 중심(O)은 개구부(90)의 중심과 대략 일치한다.
플레이트(110)의 일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베인들은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 및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은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과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은 에어포일(airfoi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전연(L1)과 후연(T1) 사이의 부분은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연(T1)은 거의 직선을 이루면서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연(L1)이라 함은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개구부(90)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의미하고, 후연(T1)이라 함은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플레이트(110) 외측 가장자리(140)에 인접한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연 및 후연의 정의는 후술하는 다른 베인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로써 디퓨저(100)에 있어서 전연(L1)이 위치한 부분은 임펠러를 빠져 나온 유체가 디퓨저(100)로 유입되는 입구 측에 해당하고, 디퓨저(100)에 있어서 후연(T1)이 위치한 부분은 상기 유체가 디퓨저(100)로부터 유출되는 출구 측에 해당한다. 또한, 전연(L1)과 후연(T1) 사이의 부분은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체가 상기 통로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유체의 유속은 감소하되 상기 유체의 정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 중 인접한 베인들 사이에는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 및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은 플레이트(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과 이에 인접한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간격은 거의 일정하게 된다.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은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데, 일 실시예로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은 웨지(wedg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은 전연(E11)으로부터 후연(E12)으로 갈수록 대략적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전연(E11) 측에 위치한 부분의 폭(W1)은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후연(E12) 측에 위치한 부분의 폭(W2)보다 좁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전연(E11)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을 내려다 본 형상이 대략 V자형을 이루게 된다.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전연(E11)은 개구부(9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후연(E12)은 전연(E11)보다 개구부(90)로부터 더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이 전연(E11)으로부터 후연(E12)으로 갈수록 대략적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디퓨저(100)의 출구 측 유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후연(E12) 측에 위치한 부분의 폭(W2)을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디퓨저(100)의 출구 측 유로의 폭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디퓨저(100) 유로의 확산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디퓨저(100)에서의 압력 손실이 줄어들게 되어 디퓨저(100)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베인들 중 일부를 웨지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복수개의 베인들을 모두 에어포일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곡면의 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가공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전연(L1)이 개구부(90)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전연(E11)이 개구부(90)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전연(L1)과 플레이트(110)의 중심(O) 사이의 제1거리(R1)가,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전연(E11)과 플레이트(110)의 중심(O) 사이의 제2거리(R2)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전연(L1)에 비해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전연(L11)을 플레이트(110)의 외측 가장자리 측으로 좀 더 후퇴시킴으로써, 임펠러의 디퓨저(100)로 진행하는 후류(後流)에서의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임펠러 후류의 유동 특성은 임펠러의 고속 회전에 의해 운동에너지가 증가된 유체의 유동이 디퓨저 베인의 날카로운 전연 부근을 지남에 따라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 등으로 상당히 불안정해지는 데에서 기인한다. 예컨대, 제1거리(R1)에 대한 제2거리(R2)의 비(R2/R1)가 1.03에서 1.1로 증가 시, 디퓨저(100) 입구 측에서 유체의 불안정성을 반영하는 압력 변동값이 약 60% 정도 줄어들게 된다. 즉, 임펠러 후류의 압력 분포 영역을 넓힘으로써 상기 후류가 좀 더 안정적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류와 디퓨저 베인의 전연 간의 상호작용이 감소하게 되어 소음 발생이 줄어들게 된다.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전연(L1)보다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전연(L11)을 후퇴시키는 방법의 다른 예로,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크기를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후연(E12)을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후연(T1)이 배치되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전연(E11)이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의 전연(L1)보다 디퓨저(100) 출구 측으로 좀 더 후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 및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은 플레이트(110)의 중심(O)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선(미도시)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하는 임펠러를 빠져 나온 유체가 디퓨저(100)로 유입되는 방향이, 복수개의 제1베인(120)들 및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에 의해 형성되는 디퓨저(100) 유로의 연장 방향에 대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유체는 디퓨저(100) 유로 내로 쉽게 확산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이 플레이트(110)의 외측 가장자리(140)까지 연장되어,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후연(E12)의 적어도 일부가 플레이트(110) 외측 가장자리(140)에 중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개의 제2베인(130)들의 후연(E12)은 플레이트(110)의 외측 가장자리(140)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는,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전연(E21)에 비해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의 전연(L2)을 플레이트(210)의 외측 가장자리(240) 측으로 좀 더 후퇴시키는 점 외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원심압축기용 디퓨저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원심압축기용 디퓨저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원심압축기용 디퓨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10)의 중심(O')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일면에는 복수개의 베인들이 개구부(19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플레이트(210)의 일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베인들은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 및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은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과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은 에어포일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은 웨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 및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은 플레이트(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이 웨지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은 전연(E21)으로부터 후연(L22)으로 갈수록 대략적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전연(E21) 측에 위치한 부분의 폭(W1)은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후연(E22) 측에 위치한 부분의 폭(W2)보다 좁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이 전연(E21)으로부터 후연(E22)으로 갈수록 대략적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디퓨저(200)의 출구 측 유동이 안정화되어 디퓨저(200)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의 전연(L2)이 개구부(190)로부터 이격된 거리와,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전연(E21)이 개구부(190)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의 전연(L2)과 플레이트(210)의 중심(O) 사이의 제1거리(R1')가,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전연(E21)과 플레이트(210)의 중심(O') 사이의 제2거리(R2')보다 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전연(E21)에 비해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의 전연(L2)을 플레이트(210)의 외측 가장자리(240) 측으로 좀 더 후퇴시킴으로써, 임펠러의 디퓨저(200)로 진행하는 후류(後流)의 압력 분포 영역이 넓어지면서 상기 후류의 불안정성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류의 불안정성을 줄임으로써 상기 후류와 디퓨저 베인의 전연 간의 상호작용이 감소하게 되어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전연(E21)보다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의 전연(L2)을 후퇴시키는 방법의 다른 예로,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의 크기를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의 후연(T2)을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후연(E22)이 배치되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의 전연(L2)이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의 전연(E21)보다 플레이트(210)의 외측 가장자리(240) 측으로 좀 더 후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베인(220)들 및 복수개의 제2베인(230)들은 플레이트(210)의 중심(O')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선(미도시)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하는 임펠러를 빠져 나온 유체는 디퓨저(200) 유로 내로 쉽게 확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퓨저로 유입된 유체의 유동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디퓨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심압축기용 디퓨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원심압축기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디퓨저
110, 210: 플레이트
120, 220: 제1베인
130, 230: 제2베인
L1, L2: 제1베인의 전연
T1, T2: 제1베인의 후연
E11, E21: 제2베인의 전연
E12, E22: 제2베인의 후연

Claims (6)

  1. 중심에 개구부를 구비한 원판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중심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베인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들은, 복수개의 제1베인들 및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제2베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은 에어포일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은 웨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제1베인들의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전연과 상기 중심 사이의 거리가,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전연과 상기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긴,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전연은 뾰족한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후연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개의 제2베인들의 폭이 증가하는,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88705A 2016-07-13 2016-07-13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KR10256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05A KR102560686B1 (ko) 2016-07-13 2016-07-13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05A KR102560686B1 (ko) 2016-07-13 2016-07-13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42A KR20180007542A (ko) 2018-01-23
KR102560686B1 true KR102560686B1 (ko) 2023-07-27

Family

ID=6107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05A KR102560686B1 (ko) 2016-07-13 2016-07-13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6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994A (ja) 1998-08-21 2000-03-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遠心圧縮機
JP2012107629A (ja) 2012-01-31 2012-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遠心圧縮機のディフューザおよびこれを備えた遠心圧縮機
CN105650032A (zh) 2016-03-29 2016-06-08 浙江理工大学 离心压缩机的扩压器
US20170152861A1 (en) 2015-04-30 2017-06-01 Concepts Nrec, Llc Biased Passages For Turbomachine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1197A (ja) * 1985-08-13 1987-02-23 株式会社ダイフク 昇降搬送装置
JP3758050B2 (ja) * 1995-08-21 2006-03-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ディフューザつき遠心圧縮機
KR100339570B1 (ko) 1999-11-15 2002-06-03 구자홍 베인 디퓨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994A (ja) 1998-08-21 2000-03-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遠心圧縮機
JP2012107629A (ja) 2012-01-31 2012-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遠心圧縮機のディフューザおよびこれを備えた遠心圧縮機
US20170152861A1 (en) 2015-04-30 2017-06-01 Concepts Nrec, Llc Biased Passages For Turbomachinery
CN105650032A (zh) 2016-03-29 2016-06-08 浙江理工大学 离心压缩机的扩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542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0288A (en) Device for the reduction of secondary losses in a bladed flow duct
US8926276B2 (en) Structures and methods for forcing coupling of flow fields of adjacent bladed elements of turbomachines, and turbomachines incorporating the same
US8608448B2 (en) Shroudless blade
US11085461B2 (en) Centrifugal compressor and turbocharger
US20130309082A1 (en) Centrifugal turbomachine
US8834116B2 (en) Fluid flow machine with peripheral energization near the suction side
KR101252984B1 (ko) 고속 원심 펌프용 유동 벡터 제어기
WO2013073469A1 (ja) 遠心式流体機械
US20130142651A1 (en) Turbine impeller comprising blade with squealer tip
KR20140027130A (ko) 원심 펌프용 임펠러
JP5882311B2 (ja) 最適化された効率性を備えた圧縮機およびタービンエンジン
JP2009133267A (ja) 圧縮機のインペラ
CN110939603A (zh) 叶片及使用其的轴流叶轮
JP2020513089A (ja) 強化アキシャルディフューザー
KR102560686B1 (ko) 원심압축기용 디퓨저
JP2009041373A (ja) ターボ圧縮機
JP2015212551A (ja) 遠心式流体機械
JP2016050486A (ja) 流体機械、及び流体機械の羽根車
JP6643238B2 (ja) 遠心圧縮機用の液体耐性インペラ
JPH04334798A (ja) 遠心形流体機械のディフューザ
EP1330607A1 (en) Axial flow turbo compressor
US20170350410A1 (en) Centrifugal compressor impeller
JP3771794B2 (ja) 遠心ポンプ
US20180274553A1 (en) Stationary vane and centrifugal compressor provided with stationary vane
JP7258728B2 (ja) 遠心式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