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612B1 -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612B1
KR102560612B1 KR1020190175093A KR20190175093A KR102560612B1 KR 102560612 B1 KR102560612 B1 KR 102560612B1 KR 1020190175093 A KR1020190175093 A KR 1020190175093A KR 20190175093 A KR20190175093 A KR 20190175093A KR 102560612 B1 KR102560612 B1 KR 10256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pipe
protective
protective cover
present
prote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796A (ko
Inventor
김제근
정재철
안덕용
성기준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가온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가온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9017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6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엘보우 배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연성의 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의 단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호부재가 겹쳐지는 영역은 박음질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Elbow pipe protecting cover}
실시예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보호부재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가스관 또는 냉,온수관 등의 배관은 그 내부의 열을 보존하도록 외부에 단열재로 감싸는 시공을 하고 있으며, 이렇게 감싸진 단열재의 외주면에는 외부의 노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관에 고정되도록 보호 커버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 커버는 유체를 이동시키도록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배관을 보호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대체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덕트와 이동 방향을 전환하도록 90°로 꺾어진 엘보 덕트 및 "U"형상으로 리턴되는 유턴관에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일반적인 덕트는 반원 형상이 일직선 또는 엘보로 형성된 상부분할덕트와 하부분할덕트를 서로 맞대어 원형의 관을 형성시키고,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커버는 상,하부분할덕트에 각각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탄성편과 걸림수단을 서로 맞춰 고정하면 걸림탄성편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노출은 작업자가 조립시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엘보우 배관의 곡률에 맞추기 위해 복수의 보호커버를 결합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보호커버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우, 틈새로 물이 유입되어 보호커버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7637호.
실시예는 복수의 보호부재 연결단부의 구조 및 결합방식을 변경하여 수밀성을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엘보우 배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연성의 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의 단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호부재가 겹쳐지는 영역은 박음질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음질은 방수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부재의 단부에는 절곡부가 연결되며, 상기 절곡부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이웃하는 보호부재의 단부에 배치되는 절곡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음질은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영역을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부재의 양측끝에는 고정테이프를 이용하여 배관과 상기 보호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영역에는 3개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엘보우 배관 보호 부재의 수밀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인 보호부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A-A 단면이고,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가 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요소인 보호부재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A-A 단면이고,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1)는 복수의 배관(10)을 연결하는 엘보우 배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보호부재(100)가 결합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배관(10)과 보호부재(100) 사이에는 보온재(30)가 삽입될 수 있다.
보호부재(100)는 연성의 재질로 마련되며, 중앙의 일영역의 폭이 가장 넓고 양측으로 갈수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엘보우 배관이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경우 각도를 가지게 되며, 보호부재(100)가 이러한 각도를 가지는 엘보우 배관에 밀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호부재(100)의 재질은 제한이 없으며, 연성을 가지며 방수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보호부재(100)는 복수로 구비되며, 양측 단부가 연결되는 형태로 엘보우 배관을 감쌀 수 있다.
이때 보호부재(100)의 단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보호부재(100)가 겹쳐지는 영역은 박음질(20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종래에는 테이프나 본드를 이용하여 보호부재(100)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보호부재(100)는 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직선형태의 관의 외벽에 부착되는 경우와는 그 형상을 달리한다.
복수의 보호부재(100)는 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에 의해 테이프가 변형되거나 본드의 밀착이 되지 않는 영역이 나타나서 수분이나 빗물이 침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보호부재(100)의 단부가 겹쳐지는 영역에 박음질(200)을 하여 밀착력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이 경우 박음질(200)에 사용되는 와이어 또는 실은 방수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이 박음질(200)을 통해 결합되는 영역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수기능을 증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방수실은 테프론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부재(100)의 단부에는 절곡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보호부재(100)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절곡부(110)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이웃하는 보호부재(100)의 단부에 배치되는 절곡부(1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박음질(200)은 절곡부(110)가 삽입되는 영역을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보호부재(100)의 절곡부(110)가 삽입되는 구조에서는 총 3개의 접촉면(200A, 200B, 200C)이 형성된다.
제1 접촉면(200A)은 제1 보호부재(100a)와 제2 절곡부(110b)가 만나는 면에, 제2 접촉면(200B)은 제1 절곡부(110a)와 제2 절곡부(110b)가 만나는 면에, 제3 접촉면(200C)은 제2 보호부재(100b)와 제1 절곡부(110a)가 만나는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접촉면(200)은 방수실을 이용한 박음질(200)에 의해 밀착된다.
일실시예로, 제1 보호부재(100)의 면을 따라 물이 연결부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접촉면(200)을 가압하는 힘과 방수실에 의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1차적으로 방지되며, 제2 접촉면(200)에 의해 2차적으로, 제3 접촉면(200)에 의해 3차적으로 수분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접촉면(200A, 200B, 200C)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단계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부재(100) 연결부에 수밀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호부재(100)가 연결시 양측 끝단에는 고정테이프를 이용하여 배관(10)과 보호부재(10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의 양측 끝단은 엘보우 배관이 아닌 직선의 배관(10)에 연결되는 바, 양측 단부에 고정테이프(300)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10 : 배관
30 : 보온재 100 : 보호부재
100a : 제1 보호부재 100b : 제2 보호부재
110 : 절곡부 110a : 제1 절곡부
110b : 제2 절곡부 200 : 박음질
200A : 제1 접촉면 200B : 제2 접촉면
200C : 제3 접촉면 300 : 고정테이프

Claims (6)

  1. 복수의 배관을 연결하는 엘보우 배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는
    연성의 재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의 단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호부재가 겹쳐지는 영역은 박음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보호부재의 단부에는 절곡부가 연결되며,
    상기 절곡부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이웃하는 보호부재의 단부에 배치되는 절곡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음질은 방수실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음질은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영역을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5. 제1 항, 제2 항, 또는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양측끝에는 고정테이프를 이용하여 배관과 상기 보호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영역에는 3개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KR1020190175093A 2019-12-26 2019-12-26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KR10256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093A KR102560612B1 (ko) 2019-12-26 2019-12-26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093A KR102560612B1 (ko) 2019-12-26 2019-12-26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796A KR20210082796A (ko) 2021-07-06
KR102560612B1 true KR102560612B1 (ko) 2023-07-28

Family

ID=7686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093A KR102560612B1 (ko) 2019-12-26 2019-12-26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6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6388A (ja) * 2005-03-23 2006-10-05 Tokyo Nisshin Jabara Kk 配管用カバー
KR100878151B1 (ko) 2007-08-29 2009-01-12 주식회사 씨엔에프케이 엘보형 단열재와 그 제조방법
JP2012132109A (ja) 2010-12-20 2012-07-12 Shima Seiki Mfg Ltd 立体編地の編成方法と立体編地及びパイプのカバー
JP2013213570A (ja) 2012-04-04 2013-10-17 Showa Denko Kenzai Kk 耐火二層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27577A (ja) 2017-08-04 2019-02-21 株式会社クボタケミックス 管継手カバーおよび枝管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967Y1 (ko) * 1989-08-30 1992-02-06 대삼공업 주식회사 길이 가변식 탄창
KR101827637B1 (ko) 2016-06-21 2018-02-08 장태돈 배관 단열재용 덕트
KR200488320Y1 (ko) * 2017-03-20 2019-01-14 강현우 보온 외장재의 빗물 유입 방지용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6388A (ja) * 2005-03-23 2006-10-05 Tokyo Nisshin Jabara Kk 配管用カバー
KR100878151B1 (ko) 2007-08-29 2009-01-12 주식회사 씨엔에프케이 엘보형 단열재와 그 제조방법
JP2012132109A (ja) 2010-12-20 2012-07-12 Shima Seiki Mfg Ltd 立体編地の編成方法と立体編地及びパイプのカバー
JP2013213570A (ja) 2012-04-04 2013-10-17 Showa Denko Kenzai Kk 耐火二層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27577A (ja) 2017-08-04 2019-02-21 株式会社クボタケミックス 管継手カバーおよび枝管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796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203B2 (en) Sealing system for exhaust-gas lines
US4602888A (en) Flexible metallic joint
US3929166A (en) Pipeline thermal insulation
US20130264112A1 (en) Cable for use in concentrated solar power installation
KR102560612B1 (ko) 엘보우 배관 보호 커버
KR20190030066A (ko) 배관 보호용 커버
US20180135793A1 (en) Fire-resistant pipe coupling
US6172304B1 (en) Device for providing leakproof protection to a splice in a high voltage cable
KR20190101946A (ko) 배관 보호용 커버
CN204441821U (zh) 一种电缆接头保护装置
US11336079B2 (en) Transit with smoke and fire protection
JPH01214626A (ja) 真空二重管
RU196210U1 (ru) Армированная труба
RU18667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внутренней части сварного шва трубопровода
JP2020190381A (ja) 配管の接続構造、配管の接続方法
KR20190124410A (ko) 배관 단열재용 조립형 보호커버
KR200377007Y1 (ko) 배관용 엘보우 덕트커버 연결구조
CN214889544U (zh) 一种防腐蚀溜管管道连接法兰
RU196206U1 (ru) Армированная труба
KR101442563B1 (ko) 파이프 보온시트
JP2022167239A (ja) 板金製外装材及び板金製外装材の施工方法
KR102446954B1 (ko) 해저 배선용 케이블 관통부 구조
KR101814417B1 (ko) 재킷 체결 구조체
JP3018095U (ja) 遮熱カバ−
KR101423758B1 (ko) 공동주택용 방수 전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