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232B1 -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 Google Patents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232B1
KR102560232B1 KR1020220141994A KR20220141994A KR102560232B1 KR 102560232 B1 KR102560232 B1 KR 102560232B1 KR 1020220141994 A KR1020220141994 A KR 1020220141994A KR 20220141994 A KR20220141994 A KR 20220141994A KR 102560232 B1 KR102560232 B1 KR 10256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ousing
disaster
sensor
switchboar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일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일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일렉
Priority to KR102022014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2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stressed vibrating elements, e.g. of stressed st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지진, 침수 등과 같은 각종 재해상황에 대해서 배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재해상황 발생시 이를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인지 처리해 초기 대처를 가능케 함으로써 전력시설과 관련된 인,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특히, 재해상황 발생시, 소방서와 같은 재해처리기관이나, 담당 시설 관리자에게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통지 가능하게 하여 재해의 확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고전압 전력 설비 소손에 의한 대형 재해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 real time for various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earthquake, flood, etc. Minimize human and material damages related to power facilities by enabling early response through cognitive processing, and in particular, when a disaster occurs, disaster handling agencies such as fire departments or facility managers in charge are notified of the current situation in real time to spread the disaster It relates to a switchboard that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and, furthermore, prevent large-scale disasters caused by burnout of high-voltage power facilities.

Figure R1020220141994
Figure R1020220141994

Description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본 발명은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지진, 침수 등과 같은 각종 재해상황에 대해서 배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재해상황 발생시 이를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인지 처리해 초기 대처를 가능케 함으로써 전력시설과 관련된 인,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특히, 재해상황 발생시, 소방서와 같은 재해처리기관이나, 담당 시설 관리자에게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통지 가능하게 하여 재해의 확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고전압 전력 설비 소손에 의한 대형 재해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n real time for various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earthquake, flood, etc. Minimize human and material damages related to power facilities by enabling early response through cognitive processing, and in particular, when a disaster occurs, disaster handling agencies such as fire departments or facility managers in charge are notified of the current situation in real time to spread the disaster It relates to a switchboard that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and, furthermore, prevent large-scale disasters caused by burnout of high-voltage power facilities.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전력은 전력계통도를 따라 복잡하게 연결되어 고압전선을 따라 각 지역별로 이동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생기는 손실을 최소화히기 위해 고압화를 추진하여 각 가정으로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most of the electricity produced in Korea is complicatedly connected along the power system diagram and is moved to each region along the high-tension wires. The situation is.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된 전력은 분,배전반(이하, 배전반이라 함)을 거처 여러 전력 수요부로 나뉘어지는데, 이러한 배전반에는 차단기 등의 전기/전자 부품과 연결시켜 주며 전력의 분기점을 만들어 주는 부스바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The power supplied in this way is divided into several power demand parts through distribution and distribution boa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witchboards). In these switchboards, a busbar that connects electrical/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circuit breakers and creates a branch point of power is essential. can do.

특히, 공장과 같은 산업용 설비에서는 3상 교류전력을 사용하므로 대전력이 요구되며, 발전소로부터 송전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만 전압의 교류전압을 변압기를 통해 수천 V의 교류전압으로 감압하고, 이 감압된 교류전압을 공장의 각 설비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반이 구비되며, 각 배전반에서는 고전압 대전류를 각 공장 내의 설비로 공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각 설비와 배전반을 부스바(Bus-bar)로 연결하게 되며, 배전반에서 감압된 교류전압이 부스바를 통해 설비로 공급되는 구조이다.In particular,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use three-phase AC power, so high power is required. A switchboard is provided to supply AC voltage to each facility in the factory, and in each switchboard, each facility and switchboard are normally connected with a bus-bar to supply high voltage and large current to the facilities in each factory.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educed AC voltage is supplied to the facility through the bus bar.

이러한 배전을 행하게 되는 배전반에서는 수 개의 전기패널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전기패널과 전기패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부스바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Several electric panels are connected and used in a switchboard where such distribution is performed, and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electric panels are made using a bus bar.

여기서, 부스바는 전기패널의 상부에서 부스바 연결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부스바 연결장치는 두개의 부스바를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위치시키고, 상기 부스바의 연결부위 상, 하부에 연결대를 마주 대 준 후 상기 연결대와 부스바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를 조여주도록 함으로서 부스바를 연결시키게 된다.Here, the bus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usbar connecting device at the top of the electrical panel, and the busbar connecting device places the two busbar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aces the connecting rod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sbar. After giving, the busbar is connected by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rod and the busbar and tightening the fixing bolt.

이때, 부스바를 통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열이 발생하게 되어 연결대와 부스바가 수축 이완작용을 하게 되어 고정볼트가 자연히 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hea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current through the busbar, and the connecting rod and the busbar contract and relax, resulting in a phenomenon in which the fixing bolt is naturally released.

이렇게, 부스바 연결장치의 고정볼트가 풀려 느슨하게 되면 전기적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발생하는 한편 열이 발생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이 되며, 이 외에도, 자연재해, 예컨대, 지진, 화재 등에 피해를 보게 될 경우, 큰 화재로 이어지게 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In this way, when the fixing bolt of the busbar connection device is loosened and loosened, the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resulting in unnecessary power loss, while heat is generated, which can cause a fire. In addition,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If damage is caused by fire, etc., it will lead to a large fire, so continuous monitoring is required.

등록특허 10-1778155Registered Patent No. 10-177815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화재, 지진, 침수 등과 같은 각종 재해상황에 대해서 배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재해상황 발생시 이를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인지 처리해 초기 대처를 가능케 함으로써 전력시설과 관련된 인,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특히, 재해상황 발생시, 소방서와 같은 재해처리기관이나, 담당 시설 관리자에게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통지 가능하게 하여 재해의 확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고전압 전력 설비 소손에 의한 대형 재해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in real time for various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earthquake, flood, etc., and more quickly and actively Minimize human and material damages related to power facilities by enabling early response through cognitive processing, and in particular, when a disaster occurs, disaster handling agencies such as fire departments or facility managers in charge are notified of the current situation in real time to spread the disas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board that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and furthermore, prevent large-scale disasters caused by burnout of high-voltage power facilitie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전장치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주변의 재해를 감지하여 재해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 및 상기 재해신호를 근거로 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를 선회하면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 상기 배전장치의 과전류를 감지하면 과전류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센서; 및 상기 본체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화재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ain body in which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built in,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sense a nearby disaster and generating a disaster signal, and an alarm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output an alarm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unit based on the disaster signal, wherein the sensor unit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and generates a temperature signal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turns around a predetermined threshold temperature; a temperature sensor; an overcurrent sensor generating an overcurrent signal when overcurrent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sensed; and a fire sensor generating a fire signal when detecting a fire inside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는, 내부로 요동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함체 형태의 외부하우징; 상기 요동공간의 바닥면에 안착 수용되되, 상기 요동공간의 내벽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 거리 옵셋 구성되는 사각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로 상기 배전장치가 내장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 각각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압돌기; 상기 가압돌기와 마주보는 요동공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각각의 가압돌기의 대응 개소에서 접촉 지지되는 복수 개의 탄성패드; 상기 탄성패드에 내장되며 상기 탄성패드가 압착 변형됨에 따라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압센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신호를 근거로 제어되는 부양모터; 상기 부양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드럼; 및 일단은 상기 내부하우징에, 타단은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되는 부양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하우징에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내부하우징이 요동공간에서 편심이동하여 가압돌기가 탄성패드를 가압하면, 탄성패드의 압착 변형에 의해 진동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신호를 근거로 부양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부양모터에 의해 회전드럼이 회전하여 외측으로 부양와이어를 감으면 부양와이어에 연결된 내부하우징이 부양공간 내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부양됨으로써, 내부하우징의 측면과 하면이 부양공간의 측면과 하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매달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the outer housing in the form of a square enclosure forming a rocking space to the inside; an inner housing that is seated and receiv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aking sp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offset by a certain distance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haking space toward the inside, and has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built into the inside;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ach side of the inner housing; a plurality of elastic p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facing the pressure protrusions and contacted and supported at corresponding locations of the pressure protrusions; a pressure sensor embedded in the elastic pad and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as the elastic pad is compressed and deformed; a lift mo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and controlled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a rotary drum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levitation motor; and a buoyancy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tary drum, and as vibration is applied to the inner housing, the inner housing moves eccentrically in the oscillation space so that the pressing protrusion presses the elastic pad. When the vib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ft motor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while the lift motor rotates the rotary drum to wind the lift wire outward. As the inner housing connected to is lifted to a certain height in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inner housing are suspen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ateral surface and bottom surface of the buoyancy space.

또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부 정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부양와이어는 4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부양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드럼을 향해 방사상으로 수렴되어 타단이 회전드럼 상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ry drum is disposed at the top center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lift wire is made of four, and one end of each lift wire is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rotary dru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radially converges towar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tating drum.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면 모서리 부위에는 각각의 부양와이어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과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through which each buoyancy wire passes are formed through th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 개의 통과홀 각각의 주변에 설치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된 각각의 부양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과 가이드롤러 사이의 구간에서는 상기 각각의 부양와이어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수직인 일직선으로 펴진 상태로 작동되며, 상기 압센서는, 상기 탄성패드의 내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 상기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에 전류를 가하고,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가 서로 접해 접점이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installed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 holes and guiding each of the buoyancy wire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through the passage holes, In the se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guide roller, each of the buoyancy wires is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in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pressure senso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the elastic pad.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detector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nd detecting when a contact is formed by contacting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nd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by detecting current flow. .

본 발명은 화재, 지진, 침수 등과 같은 각종 재해상황에 대해서 배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재해상황 발생시 이를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인지 처리해 초기 대처를 가능케 함으로써 전력시설과 관련된 인,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특히, 재해상황 발생시, 소방서와 같은 재해처리기관이나, 담당 시설 관리자에게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통지 가능하게 하여 재해의 확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나아가, 고전압 전력 설비 소손에 의한 대형 재해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in real time for various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earthquake, flood, etc., and enables early response by recognizing and processing disaster situations more quickly and actively when disaster situations occur, thereby enabling human and material damage related to power facilities. In particular,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current situation to the disaster handling agency such as the fire department or the facility manager in real tim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disaster more effectively, and furthermore, to prevent large-scale disasters caused by burnout of high-voltage power facilities Provides an effect that can prevent accid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가압돌기와 탄성패드 부위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7은 진동에 의해 내부하우징이 편심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탄성패드가 압착 변형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9는 내부하우징이 상부로 부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Fig. 3 is a view showing a body configura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plan configuration of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line AA shown in FIG. 3;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pressure protrusion and an elastic pad;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housing is moved eccentrically by vibra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an elastic pad is compressed and deforme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housing is lifted upward;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s are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이하, 배전반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센서부(30), 경보부(2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witchboard) includes a main body 10, a sensor unit 30, an alarm unit 20, and a control unit 40, as shown in FIG. can be defined as

본체(10)에는 전력을 배전하는 복수 개의 배전장치(1)가 내장될 수 있으며, 내재된 배전장치(1)에 외부요인이 작용하지 아니하도록 견고한 금속 재질의 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전장치(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소정의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devices 1 for power distribution may be embedded in the main body 10,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nclosure made of a solid metal material so that external factors do not act on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s 1 built in. (1)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extra space to minimize direct contact with.

일실시예로, 본체(10)는 사각 함체 형태, 즉, 육면체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면으로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상에는 배전장치(1)의 제어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quare enclosure, that is,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nd a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Also, a control switch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may be formed on the door.

도어는 허가되지 않은 제3 자의 접근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항상 잠겨있되, 관리자만이 알고 있는 방법으로 열릴 수 있도록 제작된다. 예컨대, 비밀키나 잠금장치를 통해서 관리자만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is always locked to prevent unauthorized third party access and safety accidents, but is designed to be opened in a way that only the manager knows.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only an administrator can open and close it through a secret key or a locking device.

도어에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배전장치(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창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창을 통하여 내부의 상황을 도어를 열지 않고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어를 통해 진입하여 배전장치(1)를 직접적으로 조작해야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디스플레이창을 통해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A display window may be formed on the door to check whether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operates normally, and a manager can check the internal situation through the display window without opening the door. Therefore, if it is not a situation in which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must be directly manipulated by entering through the door, it can be easily checked through the display window.

이 외 본체(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Other specific structures of the main body 10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센서부(30)는 본체(10)에 설치되며 주변의 재해를 감지하여 재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재해라 함은 화재, 지진, 침수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배전장치(1)의 고장을 야기시키는 상황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해 상황이 발생하면 센서부(30)는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초기대처를 가능케 한다.Next, the sensor unit 30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and generates a disaster signal by detecting a nearby disaster. Here, a disaster is a concept including fire, earthquake, flood, etc., and means a situation that causes a failure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When such a disaster situation occurs, the sensor unit 30 quickly senses it and It enables early response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센서부(30)는 크게, 본체(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를 선회하면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31), 배전장치(1)의 과전류를 감지하면 과전류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센서(32) 및 상기 본체(10) 내,외부의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화재센서(33),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센서(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0 measur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0 and generates a temperature signal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turns around a preset critical temperature, and detects an overcurrent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An overcurrent sensor 32 that generates an overcurrent signal, a fire sensor 33 that generates a fire signal when a fire inside or outside the body 10 is detected, and an earthquake sensor 34 that detects an earthquake may be included.

온도센서(31)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배전장치(1)에 가깝게 배치하여, 배전장치(1)로부터 발생하는 발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mperature sensor 3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n particular, is disposed close to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to detect heat generated from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

온도센서(31)는 배전장치(1)의 동작온도, 다시 말해 배전장치(1)의 발열량을 실시간으로 측정 감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31 may measure and sense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that is,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in real time.

온도센서(31)는 직접 접촉에 의한 온도 감지의 접촉식, 방사되는 열선 측정의 비접촉식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온도센서(31)는 서미스터, 감온저항, 서머커플, 수정진동자, 초전형 적외선 센서, IC화 온도센서, 트랜지스터, 광전관, 다이오드,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형상기억합금(SMA), 감온페라이트, 수은 온도계, 양자형 적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31 is divided into a contact type for temperature sensing by direct contact and a non-contact type for measuring radiated heat rays. Here, the temperature sensor 31 includes a thermistor, a thermocouple, a thermocouple, a crystal oscillator, a pyroelectric infrared sensor, an IC temperature sensor, a transistor, a photoelectric tube, a diode, a photodiode, a phototransistor, a shape memory alloy (SMA), and a thermosensitive ferrite. , mercury thermometers, quantum infrared sensors, etc. can be used.

온도센서(31)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온도를 기설정된 임계온도와 비교하여, 이를 초과 선회할 경우 제어부(40)로 온도신호를 송출하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31 compares the detected temperature in real tim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temperature, and sends a temperature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the threshold temperature.

다음으로, 과전류센서(32)는 배전장치(1)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누전이나 합선에 의하여 과하게 흐르는 이상 과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과전류센서(32)는 배전장치(1)에 흐르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전류측정센서일 수 있다.Next, the overcurrent sensor 32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and measures an abnormal overcurrent excessively flowing due to a short circuit or a short circuit,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overcurrent sensor 32 may be one or more current measurement sensors that measur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in real time.

과전류센서(32)는 과전류의 감지가 있을 경우 제어부(40)로 과전류신호를 송출하게 된다.The overcurrent sensor 32 transmits an overcurrent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when overcurrent is detected.

다음으로, 화재센서(33)는 배전장치(1)의 과열, 누전, 합선, 아크 발생에 따라 배전장치(1) 주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선에서, 예컨대, 연기감지센서, 화염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fire sensor 33 is a line capable of detecting a fire occurring around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according to overheating, short circuit, short circuit, or arc genera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for example, a smoke sensor, flame It may be composed of a detection sensor, a gas detection sensor, and the like.

연기감지센서, 화염감지센서는 연기, 화염의 감지가 있을 경우 제어부(40)로 화재신호를 송출하게 된다.The smoke detection sensor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send a fire signal to the controller 40 when smoke or flame is detected.

연기감지센서와 화염감지센서는 일반적으로 광센서가 사용되며, 화염이 발산하는 빛의 양, 화염의 모양이나 상태, 화염의 움직임, 또는 연기의 움직임 등을 측정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연기감지센서와 화염감지센서는 광전 효과, 광전도 효과, 광기전력 효과, 초전 효과 등의 광전변환 원리를 이용하여 빛 자체 또는 빛에 포함되는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광도전 셀,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LASCR, CCD 이미지 센서, MOS 이미지 센서, 포토 사이리스터, 광전 중배관, 광전관, 포토 카플러, 컬러 센서, PSD, 파이버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moke detection sensor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generally use an optical sensor, and generate signals by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the flame, the shape or state of the flame, the movement of the flame, or the movement of smoke. The smoke detection sensor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can convert the light itself or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using photoelectric conversion principles such as photoelectric effect, photoconductive effect, photovoltaic effect, and pyroelectric effect. A photodiode, phototransistor, LASCR, CCD image sensor, MOS image sensor, photothyristor, photoelectric power tube, photoelectric tube, photocoupler, color sensor, PSD, fiber sensor, infrared sensor, ultraviolet sensor, etc. may be used.

가스감지센서는 가스의 성분을 측정하여 특정 가스 성분량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재 발생시 주변 구조물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가스 중 어느 하나의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The gas detection sensor measures the components of the gas and detects a fire by a specific amount of gas components.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etc. are measured and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bustion process of surrounding structures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by detecting any one of the noxious gases generated from the gas.

여기서, 가스감지센서는 가스의 종류, 가스 농도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접촉 연소식 센서, 반도체 센서, 세라믹 가스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전기 화학적 방법(용액 도전 방식, 정전위 전해 방식, 격막 접근법), 광학적 방법(적외선 흡수법, 가시부 흡수법, 광간섭법), 전기적 방법(수소 이온화법, 열전도법, 접촉 연소법, 반도체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re are various types of gas detection sensors depending on the type of gas and the gas concentration. Generally, it is composed of catalytic combustion sensors, semiconductor sensors, ceramic gas sensors, etc., and includes electrochemical methods (solution conduction method, potentiostatic electrolysis method, diaphragm approach), optical methods (infrared absorption method, visible part absorption method, optical interference method). method), electrical methods (hydrogen ionization method, thermal conduction method, catalytic combustion method, semiconductor method) gas chromatography method, etc. may be used.

다음으로, 지진센서(34)는 지진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지진신호를 생성해 제어부(40)로 송출한다. 지진센서(34)는 지진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Next,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earthquake sensor 34 senses it, generates an earthquak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40 . Since the earthquake sensor 34 may use a know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vibration caused by an earthquak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연기감지센서, 화염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에서 생성된 각각의 신호는 화재신호로 통합되고, 온도센서(31)의 온도신호, 과전류센서(32)의 과전류신호, 지진센서(34)의 지진신호, 화재센서(33)의 화재신호는 다시 재해신호로 통합되어 제어부(40)로 송출될 수 있다.Each signal generated by the smoke detection sensor, flame detection sensor, and gas detection sensor is integrated into a fire signal, and the temperature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31, the overcurrent signal of the overcurrent sensor 32, and the earthquake of the earthquake sensor 34 The fire signal of the signal and fire sensor 33 may be integrated into a disaster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 .

다음으로, 제어부(40)는 상기 재해신호를 근거로 경보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Next, the control unit 40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unit 20 based on the disaster signal.

즉,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30)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근거로 경보부(20)를 동작시켜 경보가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 and receive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30, and operates the alarm unit 20 based on this, so that an alarm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

이때, 경보부(20)는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경보 예컨대, 경보음이나, 경보라이트를 출력할 수 있는 선에서, 공지의 사이렌 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larm unit 2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nd can output an alarm, for example, an alarm sound or an alarm light to the outside, a known siren structure can be us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제어부(40)는 재해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배전반에 재해, 이 중에서도 특히 화재신호인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자동으로 배전반 내 전원을 차단하거나, 화재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는 화재 신고 모듈과 연결될 수 있으며, 화재 신고 모듈은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자동으로 재해처리기관(50a), 예컨대 119에 소방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pon receiving the disaster signal, the control unit 40 may determine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switchboard, especially a fire in the case of a fire signal. Accordingly, it may automatically cut off power in the switchboard or receive a fire report. there is.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reporting module, and the fire reporting modul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40 to automatically receive a fire report to the disaster handling agency 50a, for example, 119. .

화재신고 모듈은 자동신고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신고 장치는 제어부(40)에서 제어신호를 받으면 자동으로 인근의 119에 화재신고를 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해두는 것이 가능하다. 화재사고의 경우 초기에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만약, 배전반의 관리자가 자리를 비운 상황에서 화재가 발생한다면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심각한 사고로 발전할 수 있다.The fire reporting module may use an automatic reporting device. Such an automatic reporting device can be set in advance to automatically report a fire to a nearby 119 upo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 In the case of a fire accident, it is most important to respond quickly at the beginning. If a fire breaks out while the manager of the switchboard is away, it may develop into a serious accident because immediate response is impossible.

제어부(40)는 센서부(30)에서 측정된 배전장치(1)의 온도, 동작 상태, 재해발생 여부 등을 관리자 단말기(5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o as to transmit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measured by the sensor unit 30, an operating stat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etc. to the manager terminal 50. there is.

통신부은 제어부(4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배선을 따라 제어부(40)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한 정보를 무선으로 관리자 단말기(5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 by wire, and receiv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40 along the connected wire. In addition,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50 wirelessly.

통신부는 배전장치(1)에서 발생되는 고전압 또는 고전류로부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대비하여 제어부(40)로부터 분리하여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40 and connected by wire in preparation for the possibility of being affected by the high voltage or high current generated in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

무선으로 각종 정보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통신부는 소정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한다. 예컨대, 와이파이, 3G 또는 4G 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50)는 관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념으로서, 이러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배전반 상태정보를 전송받는 것이 가능하다.In transmi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relessly, the communication unit uses a predetermin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Wi-Fi, 3G or 4G networks may be used. The manager terminal 50 has the same concept as a manager's smart phone, and can receive switchboard state information through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는 배전장치(1)의 동작상태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50)에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to the manager terminal 50 .

일 실시예로, 관리자 단말기(5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배전장치(1)가 이상없이 작동하고 있는지, 배전장치(1)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배전장치(1)의 동작온도가 몇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50)에는 통신부와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manager terminal 50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is operating normal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or how many degrees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is. recognition can be verified. In order to check these contents, an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50 .

따라서, 배전반의 관리자가 현장에서 자리를 비우더라도 화재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배전장치(1)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기(50)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refore, even if the manager of the switchboard is away from the sit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ope with a fire accident, an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state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from a remote location using the manager terminal 50 is provided.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체(1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체(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부하우징(11), 내부하우징(12), 가압돌기(13), 탄성패드(14), 압센서(15), 부양모터(16), 회전드럼(17) 및 부양와이어(18)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main body 10 includes an outer housing 11, an inner housing 12, a pressure protrusion 13, an elastic pad 14, a pressure sensor 15, and a floating motor 16. ), it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rotary drum 17 and a buoyancy wire 18.

외부하우징(11)은 본체(10)의 최외곽을 구성하며, 내부로 요동공간(11a)을 형성하는 사각 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하우징(11)에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창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부(20)는 외부하우징(11)의 상면 적소에 설치될 수 있다.The outer housing 11 constitutes the outermost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enclosure forming a rocking space 11a therein. The door, display window, etc. may be provided in the outer housing 11 , and the alarm unit 20 may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l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1 .

다음으로, 내부하우징(12)은 상기 외부하우징(11)의 요동공간(11a)에 수납되는 구성으로, 상기 요동공간(11a)의 바닥면에 안착 수용되되, 상기 요동공간(11a)의 내벽면과 상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 거리 옵셋 구성되는 사각 함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inner housing 12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swinging space 11a of the outer housing 11, and is seated and accommod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11a,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11a.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enclosure configured to offse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toward the inside.

즉, 내부하우징(12)은 외부하우징(11)의 내부 크기보다 보다 작은 크기의 함체형태로 마련되어 요동공간(11a)의 내측면과 상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housing 1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nclosure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inner size of the outer housing 11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and upper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1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요동공간(11a)의 내측면, 바닥면, 상면은 각각 외부하우징(11)의 내부공간의 내부 측면, 내부 바닥면, 내부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11a may refer to an inner side surface, an inner bottom surface, and an inner top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housing 11, respectively.

다시, 내부하우징(12)의 하부에는 요동공간(11a)의 바닥면 상에 구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캐스터(12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내부하우징(12)에는 지진에 의한 진동이 본체(10)에 전해졌을 경우 요동공간(11a) 내부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편심이동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Again, a caster 12a supported by roll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11a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ner housing 12, and thus, the inner housing 12 may be provided with vibration caused by an earthquake in the main body ( 10), a structure capable of eccentric movement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inside the swinging space 11a is provided.

이러한 내부하우징(12)의 이동에 따라, 후술 될 탄성패드(14)가 일정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즉,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요동공간(11a) 내에서 내부하우징(12)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진동하여 탄성패드(14)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As the inner housing 12 moves, the elastic pad 14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essed with a certain pressure. That is, when vibration caused by an earthquake occurs, the inner housing 12 vibrates in an irregular direction within the shaking space 11a to press the elastic pad 14 .

내부하우징(12)에는 배전장치(1)가 내장될 수 있으며, 외부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may be embedded in the inner housing 12 , and a door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like the outer housing 11 .

다음으로, 가압돌기(13)는 상기 내부하우징(12) 각각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사각 함체 형태의 내부하우징(12)의 측면 각각에서 요동공간(11a)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4 개의 돌기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pressing protrusion 13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each side of the inner housing 12, and protrude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wing space 11a from each side of the inner housing 12 in the form of a square housing.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four protrusions.

이어서, 탄성패드(14)는 상기 가압돌기(13)와 마주보는 요동공간(11a)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각각의 가압돌기(13)의 대응 개소에서 접촉 지지되는 구성으로, 가압돌기(13)와 마찬가지로, 요동공간(11a) 각각의 내측면에, 마주하는 가압돌기(13)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형태로 이루어진다.Next, the elastic pad 1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11a facing the pressing protrusion 13 a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13 at corresponding locations, and the pressure protrusion 13 Similarly,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swinging space 11a,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acing pressing protrusion 13.

내부하우징(12)이 요동공간(11a)의 바닥면에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는 내부하우징(12)에 형성된 각각의 가압돌기(13)가 탄성패드(14)에 접촉되어진 상태가 되는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12)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가압돌기(13)가 탄성패드(14)로부터 상부로 이격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housing 12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11a,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13 formed on the inner housing 12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ad 14, while FIG. 9 As shown in , when the inner housing 12 moves upward, the pressure protrusion 13 may be spaced upward from the elastic pad 14 accordingly.

탄성패드(14)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지녀 접촉 지지된 내부하우징(12)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거나, 다시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pad 1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 rubber, etc., which ha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can buffer the shock applied from the contact-supported inner housing 12 or restore it to its original state.

특히, 탄성패드(14)는 내부하우징(12)이 진동함에 따라, 가압돌기(13)에 의해 측방압이 가해지게 되면 이에 따라, 일정 형태로 압착 변형이 이루어진 후, 측방압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lateral pressure is applied by the pressure protrusion 13 as the inner housing 12 vibrates, the elastic pad 14 is compressed and deformed in a certain shape accordingly,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lateral pressure is removed. can be restored with

탄성패드(14)는 내부가 빈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빈 공간에 후술 될 압센서(15)가 설치될 수 있다.The elastic pad 14 has an empty interior, and a pressure sensor 15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in the empty space.

다음으로, 압센서(15)는 탄성패드(14)에 내장되며 상기 탄성패드(14)가 압착 변형됨에 따라 진동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진동신호는 제어부(40)로 송출되며, 제어부(40)는 상기 진동신호를 근거로 후술 될 부양모터(16)의 작동을 제어한다.Next, the pressure sensor 15 is built into the elastic pad 14 and generates a vibration signal as the elastic pad 14 is compressed and deformed, and the generated vibration signal is sent to the control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motor 16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상기 압센서(15)는 예컨대, 상기 탄성패드(14)의 내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도전체(15a) 및 제2 도전체(15b), 상기 제1 도전체(15a)와 제2 도전체(15b)에 각각 연결되어 전류를 가하고, 제1 도전체(15a)와 제2 도전체(15b)가 서로 접해 접점이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검출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15 includes, for example, a first conductor 15a and a second conductor 15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the elastic pad 14, and the first conductor ( 15a) and the second conductor 15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pply current, and when the first conductor 15a and the second conductor 15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ontact point, when current flows, it is sensed and a vibration signal is generated. It can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detector (not shown) that does.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패드(14)의 압착 변형에 의해 탄성패드(14)에 내장된 제1 도전체(15a)와 제2 도전체(15b)가 서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면 검출기가 진동신호를 생성해 제어부(40)로 송출하게 되는 원리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rst conductor 15a and the second conductor 15b embedded in the elastic pad 14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d 14, the detector This is the principle of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and sending it to the control unit 40.

다음으로, 부양모터(16)는 내부하우징(12)을 부양공간 내에서 일정 높이 부양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외부하우징(11)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신호를 근거로 작동 제어될 수 있다.Next, the lifting motor 16 is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for lifting the inner housing 12 to a certain height in the lifting spa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11, and is operated and controlled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can

즉, 진동신호가 송출되면 제어부(40)는 부양모터(16)를 작동시켜 내부하우징(12)이 일정 높이로 부양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vib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e control unit 40 operates the lifting motor 16 to lift the inner housing 12 to a certain height.

부양모터(16)의 회전축에는 회전드럼(17)이 결합되어, 정역방향 회전작동할 수 있다. 회전드럼(17)에는 후술 될 부양와이어(18)가 연결되어, 부양와이어(18)를 감거나 또는 풀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rotary drum 17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lift motor 16, so that it can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 lift wire 1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rotary drum 17, so that the lift wire 18 can be wound or unwound.

다음으로, 부양와이어(18)는 일단은 상기 내부하우징(12)에, 타단은 상기 회전드럼(17)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회전드럼(17)에 내부하우징(12)을 연결시킴으로써 회전드럼(17)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드럼(17)의 외측으로 부양와이어(18)가 감기면 이에 따라, 내부하우징(12)이 상부로 일정 높이 부양될 수 있다.Next, the lifting wire 18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housing 1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tary drum 17, and the rotary drum by connecting the inner housing 12 to the rotary drum 17 ( As the 17) rotates, when the buoyancy wire 18 is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rotary drum 17, the inner housing 12 can be buoyed upward at a certain height.

이때, 부양와이어(18)는 적어도 4 개로 이루어져 내부하우징(12)의 상면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하우징(11)의 경우, 각각의 부양와이어(18)를 간섭하지 아니하도록, 외부하우징(11)의 상면 모서리 부위에는 각각의 부양와이어(18)가 통과하는 4 개의 통과홀(11b)이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At this time, the buoyancy wire 18 consists of at least 4 pieces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 while in the case of the outer housing 11, each buoyancy wire 18 is not interfered with. In order not to do so, the outer housing 11 has a structure in which four passage holes 11b through which each of the lifting wires 18 pass are formed through the corn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한편, 회전드럼(17)은 상기 외부하우징(11)의 상부 정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드럼(17)에서부터 4 개의 부양와이어(18)가 방사형태로 연장되어 각각의 통과홀(11b)로 삽입돼 내부하우징(12)의 상면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rotary drum 17 may be disposed at the top center of the outer housing 11, and four buoyancy wires 18 extend radially from the rotary drum 17 to form respective through holes 11b. It can be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

이에, 각각의 부양와이어(18)의 일단은 상기 내부하우징(12)의 상면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드럼(17)을 향해 방사상으로 수렴되어 타단이 회전드럼(17) 상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바, 내부하우징(12)이 부양되어질 때 균형을 잃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부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내부하우징(12)이 일정 높이로 부양된 후에도, 임의로 헛돌거나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안정적인 자세가 갖춰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ly, one end of each buoyancy wire 18 radially converges toward the rotary drum 17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tary drum 17. It is made of a structure so that when the inner housing 12 is lifted, it does not lose its balance, and the lif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tably, and even after the inner housing 12 is lifted to a certain height, it randomly rotates or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ave a stable posture by effectively suppressing movement.

한편, 상기 복수 개의 통과홀(11b) 각각의 주변에는 상기 통과홀(11b)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11)의 상부로 노출된 각각의 부양와이어(18)를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11c)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1c for guiding each of the support wires 18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11 through the passage holes 11b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 holes 11b. can be installed.

즉, 통과홀(11b)로 노출된 각각의 부양와이어(18)는 각각의 가이드롤러(11c)에 가이드되어 일정한 장력과 방향이 유지된 채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드럼(17)에 감기거나 풀리는 등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each of the buoyancy wires 18 exposed through the passage hole 11b is guided by each guide roller 11c and more stably wound or unwound around the rotary drum 17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nsion and direction. operation can be made.

한편, 상기 내부하우징(12)의 상면과 가이드롤러(11c) 사이의 구간에서는 상기 각각의 부양와이어(18)가 상기 내부하우징(12)의 상면에 대해 수직인 일직선으로 펴진 상태로 작동되도록 하는 구조가 갖춰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 and the guide roller 11c, each of the lift wires 18 is operated in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 is equipped

다시 말해, 내부하우징(12)의 상면에서부터 연장된 부양와이어(18)는 통과홀(11b)로 노출된 후 그 직상방에 배치된 가이드롤러(11c)에 가이드되기 전까지는 일직선으로 펴진 상태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외부하우징(11)과 내부하우징(12) 사이에서 불규칙하게 꼬이거나, 불필요하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buoyancy wire 18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 is exposed through the passage hole 11b and operates in a straight line until guided by the guide roller 11c disposed directly above it. By doing so, irregular twisting or unnecessary interference between the outer housing 11 and the inner housing 12 is prevented.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10)는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배전반에 가해지게 되면 외부하우징(11) 내의 내부하우징(12)을 요동공간(11a) 내에서 일정 높이 부양시킴으로써 지진에 의한 진동이 내부하우징(12)에 수용된 배전장치(1)에 전달되지 아니하게 된다.When the vibration caused by an earthquake is applied to the switchboard, the main body 10 having such a structure lifts the inner housing 12 within the outer housing 11 to a certain height in the swinging space 11a, so that the vibra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is applied to the inner housing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accommodated in (12).

즉, 지진 발생에 의해, 외부하우징(11)이 진동하면, 이러한 진동은 외부하우징(11)의 탄성패드(14)에 맞닿아 있는 내부하우징(12)에 전달되어 내부하우징(12)이 전후좌우로 편심되는 한편, 이 과정에서 내부하우징(12)에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내부하우징(12)이 요동공간(11a)에서 편심이동하여 가압돌기(13)가 탄성패드(14)를 가압하면, 탄성패드(14)의 압착 변형에 의해 진동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40)로 송출된다.That is, when the outer housing 11 vibrates due to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this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ner housing 12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ad 14 of the outer housing 11, and the inner housing 12 rotates in all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as vibration is applied to the inner housing 12 in this process, the inner housing 12 moves eccentrically in the swinging space 11a and the pressing protrusion 13 presses the elastic pad 14 , A vib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d 14 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

이에, 제어부(40)는 상기 진동신호를 근거로 부양모터(16)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부양모터(16)에 의해 회전드럼(17)이 회전하여 외측으로 부양와이어(18)를 감으면 부양와이어(18)에 연결된 내부하우징(12)이 부양공간 내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부양됨으로써, 내부하우징(12)의 측면과 하면이 부양공간의 측면과 하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매달리게 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ft motor 16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while the rotary drum 17 is rotated by the lift motor 16 and the lift wire 18 is wound around the lift wire 18 to the outside. As the inner housing 12 connected to the wire 18 is lifted upward in the floating sp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side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12 are suspen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floating space.

이렇게 내부하우징(12)이 부양하여 매달리게 되면 탄성패드(14)로부터 가압돌기(13)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진동신호의 생성이 중단되어지는 한편, 관리자의 별도 제어신호가 있기 전까지 내부하우징(12)이 매달려 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inner housing 12 floats and hangs in this way, the pressure protrusion 13 is also separated from the elastic pad 14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generation of the vibration signal is stopped, while the inner housing 12 ) can remain suspended.

즉,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본체(10)는 외부하우징(11)에서 내부하우징(12)을 완전히 이격시킴으로써 배전장치(1)로의 진동 전달을 억제하되, 특히, 내부하우징(12)은 부양와이어(18)에 의해서만 외부하우징(11)의 내부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어, 외부하우징(11)이 상하 또는 수평 진동하더라도, 이러한 진동이 내부하우징(12)에 쉽게 전달되지 아니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는 것은 물론, 내부하우징(12)이 진동하더라도, 외부하우징(11)에 쉽게 충돌하지 아니하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That is,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main body 10 completely separates the inner housing 12 from the outer housing 11 to suppress transmission of vibration to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but in particular, the inner housing 12 is a buoyancy wire Only by (18), it becomes suspended inside the outer housing 11, so that even if the outer housing 11 vibrates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is vibration is not easily transmitted to the inner housing 12. In addition, even if the inner housing 12 vibrates, it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easily collide with the outer housing 11.

결과적으로, 내부하우징(12)에 수용된 배전장치(1)가 진동에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게 되는 안전구조가 갖춰지게 된다.As a result, a safety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1 housed in the inner housing 12 can be more effectively protected from vibration is provid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20: 경보부
30: 센서부
40: 제어부
50: 관리자 단말기
10: body
20: alarm department
30: sensor unit
40: control unit
50: manager terminal

Claims (5)

배전장치가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주변의 재해를 감지하여 재해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외부로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 및 상기 재해신호를 근거로 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임계온도를 선회하면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온도센서;
상기 배전장치의 과전류를 감지하면 과전류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센서; 및
상기 본체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화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내부로 요동공간을 형성하는 사각 함체 형태의 외부하우징;
상기 요동공간의 바닥면에 안착 수용되되, 상기 요동공간의 내벽면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 거리 옵셋 구성되는 사각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로 상기 배전장치가 내장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내부하우징 각각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압돌기;
상기 가압돌기와 마주보는 요동공간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각각의 가압돌기의 대응 개소에서 접촉 지지되는 복수 개의 탄성패드;
상기 탄성패드에 내장되며 상기 탄성패드가 압착 변형됨에 따라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압센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신호를 근거로 제어되는 부양모터;
상기 부양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드럼; 및
일단은 상기 내부하우징에, 타단은 상기 회전드럼에 연결되는 부양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하우징에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내부하우징이 요동공간에서 편심이동하여 가압돌기가 탄성패드를 가압하면, 탄성패드의 압착 변형에 의해 진동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신호를 근거로 부양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부양모터에 의해 회전드럼이 회전하여 외측으로 부양와이어를 감으면 부양와이어에 연결된 내부하우징이 부양공간 내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 부양됨으로써, 내부하우징의 측면과 하면이 부양공간의 측면과 하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매달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
A body in which a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built in,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body and generating a disaster signal by detecting a nearby disaster, an alarm unit installed in the body and outputting an alarm to the outsid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arm unit based on the disaster signal In the switchboard having a disaster warning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to
The sensor unit,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and generates a temperature signal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turns around a predetermined critical temperature;
an overcurrent sensor generating an overcurrent signal when overcurrent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sensed; and
A fire sensor for generating a fire signal when detecting a fire inside the main body;
the body,
An outer housing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that forms a swinging space inside;
an inner housing that is seated and receiv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aking sp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offset by a certain distance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haking space toward the inside, and has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built into the inside;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each side of the inner housing;
a plurality of elastic p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winging space facing the pressure protrusions and contacted and supported at corresponding locations of the pressure protrusions;
a pressure sensor embedded in the elastic pad and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as the elastic pad is compressed and deformed;
a lift mot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and controlled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a rotating drum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lifting motor; and
A lift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tating drum;
As vibration is applied to the inner housing, when the inner housing moves eccentrically in the swinging space and the pressing protrusion presses the elastic pad, a vib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otor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while the rotating drum is rotated by the lifting motor to wind the lifting wire outward, and the inner housing connected to the lifting wire is lifted upward at a certain height in the lifting space. , A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and bottom of the inner housing are suspend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ide and bottom of the floating spa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부 정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부양와이어는 4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부양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드럼을 향해 방사상으로 수렴되어 타단이 회전드럼 상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ry drum is disposed at the top center of the outer housing,
The lift wire is composed of four, and one end of each lift wire is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radially converges toward the rotary drum,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tary drum. 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characterized disaster warning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면 모서리 부위에는 각각의 부양와이어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과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
The method of claim 3,
A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through which each buoyancy wire passes are formed through th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 개의 통과홀 각각의 주변에 설치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된 각각의 부양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과 가이드롤러 사이의 구간에서는 상기 각각의 부양와이어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에 대해 수직인 일직선으로 펴진 상태로 작동되며,
상기 압센서는,
상기 탄성패드의 내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
상기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에 전류를 가하고,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가 서로 접해 접점이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면 이를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installed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 holes and guiding each of the buoyancy wire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through the passage holes;
In the se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guide roller, each of the buoyancy wires is operated in a straight line stretch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The pressure sensor,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elastic pad;
A detector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nd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by detecting when a contact is formed by contacting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nd a current flows. 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KR1020220141994A 2022-10-31 2022-10-31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KR102560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994A KR102560232B1 (en) 2022-10-31 2022-10-31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994A KR102560232B1 (en) 2022-10-31 2022-10-31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232B1 true KR102560232B1 (en) 2023-07-28

Family

ID=8742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994A KR102560232B1 (en) 2022-10-31 2022-10-31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23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155B1 (en) 2017-04-04 2017-09-13 (주)성창 Distributing Board having Omnidirectional Earthquake-proof Function
KR102031752B1 (en) * 2019-03-13 2019-11-08 주식회사 에너솔라 Electric Panel with Sensing Module Having Complex Fire Monitoring and Diagonost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155B1 (en) 2017-04-04 2017-09-13 (주)성창 Distributing Board having Omnidirectional Earthquake-proof Function
KR102031752B1 (en) * 2019-03-13 2019-11-08 주식회사 에너솔라 Electric Panel with Sensing Module Having Complex Fire Monitoring and Diagonostic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364B1 (en) Safety diagnosis and management system for solar power
KR102057494B1 (en)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1922016B1 (en) Apparatus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dew condensation prediction and preventional function
KR102099688B1 (en) Photovoltaic Connection Board Having Fire Prevention and Safety Precaution of Structure
KR101280292B1 (en) Apparatus for error detection in receive and change electricity equipment using multi-sensor
KR101911334B1 (en) Monitoring system for solar modules
KR102313139B1 (en) The Monitoring System for Disaster and Safety of Sunlight Generation and The Monitoring Method thereof
KR101606704B1 (en) Distributing Panel Having Power Line Checking Device and Protective Relay Operation Sound Warning Device
KR101448051B1 (en) Security fence for sensing of climbing over
KR101336571B1 (en) A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of vulnerable area to electrical disasters
KR101894239B1 (en) Apparatus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dew condensation prediction and preventional function and the alarm method using it
KR102560232B1 (en) Switchboard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KR101510676B1 (en) Intelligent discharge monitoring vision system for electric distributing board
KR101623760B1 (en) Distribution board
KR101376774B1 (en) Switchgear system comprising function detecting disaster using sensor and recovering the same and build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KR101277282B1 (en) Power substation with vibration sensing and shut off function
KR102578156B1 (en) Cabinet panel with a disaster warning system
US20120139737A1 (en) Photovoltaic module and combination of several photovoltaic modules
KR201401438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gas pressure of gis(gas insulated switchgear) in substation
KR20200014118A (en) Power Distribution Board with Fault Fiagnosis Function
JP5456579B2 (en) Switchgear
KR102348944B1 (en) Fire management system of switchboard and powerboard and method thereof
KR20210001515A (en)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1582828B1 (en) Proximity Sound Warning Device Using Single-Loop Type Optical Communication By Measuring Temperature of Power Supply
KR101634641B1 (en) A alarm device for accident prevention of electrical room administ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