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571B1 - A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of vulnerable area to electrical disasters - Google Patents
A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of vulnerable area to electrical disast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6571B1 KR101336571B1 KR1020120126780A KR20120126780A KR101336571B1 KR 101336571 B1 KR101336571 B1 KR 101336571B1 KR 1020120126780 A KR1020120126780 A KR 1020120126780A KR 20120126780 A KR20120126780 A KR 20120126780A KR 101336571 B1 KR101336571 B1 KR 101336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building
- distribution panel
- sensor
- boar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700031500 TEC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4961 Protein Precurs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8762 Protein Precurs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114 investigation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ZAIFHULBGXAKX-UHFFFAOYSA-N precursor Substances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23 real-tim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체 건물 내의 각 개별 분전반 별로 센서망을 구성하여 분전반의 상태를 감지하되, 개별 분전반에 연결된 층 분전반, 수배전반, 각 건물의 전력제공 상태 단위로 계층적으로 총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실시간을 웹 상에 제공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a sensor network for each individual distribution panel in a group building, but detects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panel, hierarchically sums up the hierarchical sum of the distribution boards,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power providing status of each building connected to the individual distribution panels, and analyzes the analysis results in real time. The distribution panel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d group building providing a web on the web.
현재 건물의 수가 증가하고 건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전력설비가 늘어나면서 첨단사업화에 따른 정밀제어용 전력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buildings and the increase in the size of buildings, the number of power facilities is increasing, and the power equipment for precision control according to the high-tech commercialization is increasing.
특히, 다수의 건물이 일정 거리 이격된 곳의 경우에는 각 건물마다 다수의 전력설비가 설치되고 대 전력이 다수의 전력설비를 위해 분전반이나 수/배전반 등을 통해 일시에 공급되는 바, 이로 인해 단위 분전반이나 수/배전반은 배선의 소손 등으로 인한 다량의 화재위험요소를 지니고 있게 된다. 그리고 분전반이나 수/배전반과 같은 분전장치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분전장치 및 배선공사를 다시하게 되므로, 공사비의 막대한 지출 및, 전력공급의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분전반이나 수/배전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 줄 필요가 있다. Especially,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buildin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 plurality of electric power facilities are installed in each building, and a larg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electric power facilities at a time through a distribution board or water / switchboard,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water / switchboard have a large number of fire risk factors due to the burning of wiring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a fire breaks in a distribution apparatus such as a distribution panel or a water / distribution panel, the distribution apparatus and wiring work are performed again, resulting in a large expense of construction cost and a delay in power supply. Therefore, the manager needs to periodically check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water / distribution panel.
또한, 분전반이나 수/배전반과 같은 분전장치는 서로 다른 다수의 장소로 전력을 공급해주기 위해 다수의 전력 케이블을 보유하고 있다. 즉, 관리자는 각 전력케이블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분전장치를 관리하게 되는데, 분전장치의 상태파악이 육안으로 어려움으로 인해 유지 보수가 원활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관리자가 일일이 다수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분전장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분전장치에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는 것을 고려할 때 비효율적인 관리방법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tribution device such as a distribution board or a water / distribution board has a plurality of power cables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different places. In other words, the manager manages the distribution device by checking the status of each power cable, the reality is that the maintenance of the distribution device is not smooth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naked eye. In addition, the manager periodically checks a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devices installed in a large number of buildings, which may be an inefficient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that fire does not frequently occur in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s.
특히, 아크와 누설전류 상태를 상시로 관리자를 통해 감시하도록 한다. 그러나 미리 전기화재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아크에 따른 전기화재는 화재통계의 분류방법에 의하면 다른 전기화재의 원인에 비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있지 않고, 또한 아크감지 기술개벌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아크에 따른 화재의 예방은 사실상 전무한 상태이다.In particular, monitor the condition of arc and leakage current through the manager at all times. However, there is still insufficient system fo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electric fire in advance. Electric fire according to the arc is not important because of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fire statistics compared to the cause of other electric fires, and since it was passive in the arc det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there is virtually no prevention of fire due to the arc.
그러나 전기화재 조사상의 난점으로 인하여 아크로 인한 상당 부분의 전기화재가 다른 원인으로 판정되어 통계 처리되고 있어 실제적으로는 더 많은 사고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화재를 줄이기 위해서는 아크의 전기적 신호특징과 과전류, 누설전류, 과전압 등의 신호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전기화재의 징후가 있는 전기설비에 대해서 신속한 조치를 함으로써 전기화재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electric fire investigation,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electric fire due to the arc is judged to be another cause and statistically processed,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actual accident share is higher. In order to reduce the electric f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ic fire by extracting the electrical signal characteristics of arc and the signals such as overcurrent, leakage current, overvoltage, and taking quick measures for the electrical equipment with signs of electric fire.
아크, 과전류, 과전압, 누설전류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전기화재 전조를 평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obtain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on arcs, overcurrents, overvoltages, leakage currents, etc., and can evaluate electrical fire precursors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의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기술의 일례가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8248호(2010.12.31 공개),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지역별로 로컬서버를 두어 수배전반과 분전반에서 데이터를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전기화재 예측을 하는 기술이다.An example of a technology for monitoring and managing the status of a distribution panel or a distribution panel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described in [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8248 (December 31, 2010), "States of distribution panels and distribution panels installed by region. Electrical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managing the "]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The
또한, 분전장치의 화재를 감시하고자 하는 기술의 일례가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8950호(2008.11.12 공개), "분전장치용 화재감시시스템"](이하 선행기술 2)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분전장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태정보를 중계장치로 무선송출하고, 특히, 센서로부터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이상상태정보를 무선송출하고, 중앙관리장치에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monitoring the fire of the power distribution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98950 (published on November 12, 2008), "Distribution device fire monitor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have. The
또한, 수배전반에 장착된 각종 모듈 상황을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웹사이트에 제공하는 기술의 일례가 [한국등록특허 제10-0491528호(2005.05.27 공고),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3)에 개시되고 있다.In addition, an example of a technology for graphically displaying various module states mounted on the switchgear and providing the website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91528 (2005.05.27)], "The switchgea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 (Hereafter Prior Art 3).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2,3은 분전반 또는 배전반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감시하고 상태정보를 표시할 뿐, 모든 분전반 또는 배전반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감시하지 못하고 있다. 즉, 오래된 상가나 건물은 노후화가 많이 되었기 때문에, 최근에 건축된 건물에 비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들을 검출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감시 체계가 절실하다.
However,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체 건물 내의 각 개별 분전반 별로 센서망을 구성하여 분전반의 상태를 감지하되, 개별 분전반에 연결된 층 분전반, 수배전반, 각 건물의 전력제공 상태 단위로 계층적으로 총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실시간을 웹 상에 제공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a sensor network for each individual distribution panel in a group building to detect the state of the distribution panel, the floor distribution panel, switchboard, connected to the individual distribution panel, the power supply state of each building It is to provide a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of hierarchical structured group buildings that analyzes the total hierarchically in units and provides real-time analysis results on the web.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내 개별 가구의 분전반(이하 개별 분전반), 건물 각 층의 분전반(이하 층 분전반), 또는 건물의 수배전반에 설치되어, 분전반 또는 배전반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개별 분전반의 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측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합하는 센서망 게이트웨이; 상기 센서망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유선으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로컬 서버; 및,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분전반 또는 배전반의 계층구조에 따라 구성하여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panel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d group building, and to a distribution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dividual distribution panel) of individual furniture in a building, a distribution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tribution panel)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or a distribution panel of a building.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to detect a state of a distribution panel or a distribution pane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data sensed by the sensor of the individual distribution panel; A sensor network gateway for collecting measurement data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local server collecting measurement data by wire from the sensor network gateway or the sensor; And a control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from the local server, and configure the data analyzed from the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distribution panel or a distribution panel and provide the data on a web in real time.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수배전반에서 분전반으로 이어지는 부하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전력선(이하 간선)에 설치되고, CT(current transformer)형 전류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된 제1 및 제2 간선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system is installed on a power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unk line)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load from the switchgear to the distribution board, the current transformer (CT) type current sensor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trunk protection unit mounted with a sensing sensor including.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부하전류 및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 아크발생을 센싱하는 아크센서, 절연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detection sensor is a current sensor for sensing the load current and leakage current, the arc sensor for sensing the arc generation, th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by any one or more.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은 회로차단기에 영상변류기(ZCT)를 통해 누전, 아크, 누설전류, 과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witchgear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distribution panel detects any one or more of a short circuit, an arc, a leakage current, and an overcurrent through an image current transformer (ZCT) in a circuit breaker.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의 회로차단기는 전원측과 부하측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는 포토커플러 한쌍을 내장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나 컬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gear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circuit breaker of the distribution panel has a pair of photocouplers for sensing the power supply side and load side power supply state, the emitter terminal or collector of the transistor of the photo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detected by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terminal.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정치 수신부;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화재 예측치를 구하여 화재 위험상태를 판단하는 화재예측 분석부; 상기 분전반 및 수배전반에 대하여 판단한 화재 위험상태를 웹 상에서 표시하는 상황표시부; 및, 건물의 위험상태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경고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for a hierarchical structured group building, wherein the control server includes: a measurement value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measurement data sensed by the sensor from the local server; A fire prediction analyzer for determining a fire risk state by obtaining a fire prediction value from the measured data; A situ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e risk state determined for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distribution panel on the web;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rning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ngerous state of the building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누설전류, 아크발생, 접촉불량, 절연물 온도, 과전류, 결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단 요소로 화재 위험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tribution panel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determines the fire risk state by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actors: leakage current, arc generation, contact failure, insulation temperature, overcurrent, phase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상기 판단 요소를 모두 동일한 기준으로 스케일링하여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값을 평균하여 화재 예측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istribution panel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scales and standardizes all of the determination elements by the same criteria, and averages the standardized values to obtain a fire prediction value.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상기 판단 요소 중 어느 하나가 최대 기준치를 초과하면 화재 예측치를 최대값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istribution panel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fire prediction analyzer sets the fire prediction value as the maximum value if any one of the determination factors exceeds the maximum reference value.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다음 [수식 1]을 이용하여 화재 예측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to obtain a fire prediction valu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단, N은 화재판단 요소의 파라미터 개수이고, wi는 i번째 화재판단 요소의 가중치이고, μi는 i번째 화재판단 요소의 표준화된 값임.Where N is the number of parameters of the fire determination element, w i is the weight of the i th fire determination element, and μ i is the standardized value of the i th fire determination element.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배전반/분전반 및 간선보호부를 노드로 정하고, 상기 배전반/분전반및 간선보호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에 따라 상기 노드들을 트리구조를 구성하고, 각 노드의 화재예측치를 구하되, 상기 노드의 화재예측치를 상기 노드의 자식노드의 화재예측치를 반영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determines the switchboard / distribution board and trunk protection unit as a node, the nod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witchboard / distribution board and trunk prot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A tree structure is constructed and the fire prediction value of each node is obtained, and the fire prediction value of the node is obtained by reflecting the fire prediction value of the child node of the node.
또, 본 발명은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노드 x의 화재 예측치 F(x)를 다음 [수식 2]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obtains the fire prediction value F (x) of the node x using the following [Formula 2].
[수학식 2]&Quot; (2) "
단, Fx는 노드 x의 자체의 화재 예측치이고, xi는 x의 i번째 자식노드이고, M은 노드 x의 자식 노드의 개수이고, F(xi)는 x의 i번째 자식노드인 xi 의 화재 예측치이고, wx는 자식노드의 화재 예측치의 가중치임.
Where F x is the fire estimate of node x itself, x i is the i-th child node of x, M is the number of child nodes of node x, and F (x i ) is x, the i-th child node of x i is the fire estimate and w x is the weight of the child node's fire estim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각 건물의 분전반(또는 배전반)의 상태를 계층구조로 분석하여 웹상에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건물의 배전반 상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전기 재해 취약 지역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분전반의 감시 및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panel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panel (or switchboard) of each building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providing them in real time on the web, the overall distribution panel status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areas where electrical disasters are vulnerable, and to systematically monitor and manage distribution panel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별 시장이나 상가내에 설비된 분전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별 시장이나 상가내에 설비된 분전반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별 시장이나 상가내에 설비된 분전반에 내장된 회로차단기를 통해 전원상태를 검출, 관리하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별 시장이나 상가내에 설비된 분전반의 통신부의 동작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전원상태가 데이터화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건물에 대하여 배전반/분전반 등을 각 노드로 하는 트리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ribution panel installed in each market or 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distribution panel installed in each regional market or 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detecting and managing a power supply state through a circuit breaker built in a distribution panel installed in each regional market or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unit of a distribution panel installed in a market or a shopping mall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ate of a power supply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tree structure in which a switchboard / distribution board and the like are used as nodes for on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whole syste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주거 건물이나 상가 건물 등에 설비된 수배전반과 분전반, 및, 이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whole syste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consists of a switchgear and a distribution board installed in a residential building, a mall building, etc., and the monitoring system which monitors these conditions.
특히 수배전반과 분전반은 개별 분전반(31), 층분전반(32), 수배전반(33) 등으로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다. 개별 분전반(31)은 건물내 단위 주거, 단위 상가의 전력을 분배하는 분전반이고, 층분전반(32)은 수배전반(33)으로부터 분배받은 전력을 각 개별 분전반(31)에 배분하는 분전반이다.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distribution panel is composed of a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ing of
수배전반(33)은 상가 등 건물 내로 들어오는 전기를 받아서 각 층분전반(32)으로 분배한다. 통상 건물에 들어오는 22900V의 특고압을 외부로부터 받아서 저압으로 다운한 다음 층분전반(32)으로 배분한다.The
수배전반과 분전반(31,32,33)에는 이들(수배전반과 분전반)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2)들이 구비된다. 감지된 데이터는 로컬서버(40)로 전송된다.The switchboards and the
특히, 개별 분전반(31)에는 감지센서(21)가 구비되어, 감지된 데이터는 무선통신부(22)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된다. 개별 분전반(31)의 감지센서(21)는 센서망(sensor network)으로 구성되어, 지그비(Zigbee) 등 무선통신부(22)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센서망 게이트웨이(23)에 전송한다.In particular, the
센서망 게이트웨이(23)는 개별 분전반(31)의 각 감지센서(21)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하고, 취합된 데이터를 이데넛 등 유선망(24)(또는 건물 내부망)을 통해 로컬서버(40)에 전송한다. 센서망 게이트웨이(23)는 건물 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개별 분전반(31)의 무선통신부(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하나의 센서망 게이트웨이(23)는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개별 분전반(31)의 무선통신부(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또, 센서망 게이트웨이(23)는 이데넷 등 유선망(24)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로컬서버(40)와 데이터 통신을 한다. 특히, 센서망 게이트웨이(23)는 무선통신부(22)로부터 수신한 감지 데이터를 로컬서버(4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한편, 감지센서(21)는 부하전류 및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 및, 아크발생을 센싱하는 아크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온도센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류센서는 슬림형 차단기에 내장되고, 아크센서는 아크보드에서 측정되는 아크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특히, 수배전반(33) 및 층분전반(32)에도 감지센서(21)가 구비되어, 감지된 데이터는 이더넷 등 유선망(24)을 통해 로컬서버(40)로 전송된다. 수배전반(33)에는 접속부의 이상에 의한 아크발생신호, 수배전반의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부분 방전 신호 등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관련 데이터를 로컬서버(40)로 전송한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기 수배전반(33)에서 분전반(32,31)으로 이어지는 부하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전력선인 간선에는 제1 및 제2 간선보호부(34,35)를 구성하여 상기 간선에서 전류센서 등 감지센서(21), 이를 테면 CT(current transformer)형 전류센서를 장착하여 전류의 입출력차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간선보호부(34,35)는 유선망(24)을 통해 로컬서버(40)에 상기 입출력차값을 전송함으로써 전기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데이터를 로컬서버(40)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first and second trunk
로컬서버(40)는 통상의 컴퓨팅 및 네트워킹 기능을 가지는 서버로서, 센서망 게이트웨이(23) 및, 층분전반/수배전반(32,33)으로부터 유선으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한다. 로컬서버(40)는 인터넷(5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등을 원격에 있는 관제서버(60)로 전송한다.The
관제서버(60)는 로컬서버(4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로컬서버(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전기안전에 관련한 상황정보 데이터를 웹을 통해 관리한다. 즉, 관제서버(60)는 로컬서버(40)로부터 분전반(31,32)과 수배전반(33)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전반과 배전반의 상태를 내장된 웹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웹상에 표시한다. 관제서버(60)는 웹서버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분전반/배전반의 상태를 웹상에서 제공한다.The
또한, 관제서버(60)는 측정된 데이터 또는 예측된 데이터를 축적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로부터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해당 징후 상황을 관리자 등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어, 상황판에 분석 상황을 알려주거나, SMS(단문 메지시 서비스)의 문자를 담당자에게 전송한다. 또는 원격에서 해당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의 전원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ribu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별 시장이나 상가내에 설비된 분전반의 구성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별 시장이나 상가내에 설비된 분전반의 내부 블럭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별 시장이나 상가내에 설비된 분전반에 내장된 회로차단기를 통해 전원상태를 검출, 관리하는 블록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역별 시장이나 상가내에 설비된 분전반의 통신부의 동작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전원상태가 데이터화된 도면이다.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distribution panel installed in each market or 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istribution panel installed in each market or 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5 is a block diagram of detecting and managing a power supply state through a circuit breaker built in a distribution board installed in each market or a shopping m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Represents a block diagram.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ate of a power supply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지역별 분전반(200)에는 내장된 회로차단기(210)를 통해 전기안전관련 데이터를 검출하고 디지털화하여 분석하는 데이터검출부(220), 상기 분전반의 전류 및 전압데이터를 설정된 기준전압 및 전류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위험아크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검출부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아크검출부(230), 상기 데이터검출부에서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받아 상기 로컬서버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240), 상기 데이터검출부에서 검출된 데이터와 상기 아크검출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으로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상기 분전반에는 SMPS부(260)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데이터검출부(220), 아크검출부(230), 통신부(240), 디스플레이부(250)에 직류전원과 교류전원을 공급하게 된다.An
분전반(200)에 내장된 회로차단기(210)를 통해 전원공급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검출부(220)에서 회로차단기(210)에 내장된 영상변류기(ZCT)를 통해 누전과 아크, 누설전류 등을 검출하고, 회로차단기(210)에 내장된 다수의 검출센서(CT, ZCT)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과전류등과 같은 전원이상상태를 감지한다.In order to determine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또한, 각각의 회로차단기(210)의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도록 회로차단기의 전원측과 부하측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는 포토커플러 한쌍(210a, 210b)이 회로차단기에 내장되면서, 회로차단기(210)에는 상기 전원측과 부하측 포토커플러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출력단자(2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 pair of photocouplers 210a and 210b for sensing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load side power supply state of the
또한, 상기 데이터검출부(220)에는 상기 회로차단기를 통해 전원공급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상기 전원측과 부하측 포토커플러(210a, 210b)의 신호를 전달받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로서 검출단자(22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의 전원측 포토커플러(210a)는 회로차단기의 전원측 단자에 연결되어 전압이 인가되어 발광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가 발광할 때 베이스전압이 인가되어 도통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The power
상기 데이터검출부(220)의 검출단자(220a)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커넥터단자나 에미터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측의 전원상태를 감지하게 된다.The
또한, 부하측 포토커플러(210b)도 회로차단기의 부하측에 연결되어 전원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가 발광할 때 베이스전압이 인가되어 도통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검출단자(220a)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커넥터단자나 에미터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부하측의 전원상태를 감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전원측 포토커플러(210a)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전원측단과 다이오드사이 라인에 직렬로 풀업저항역할을 하는 저항을 구성하여 입력되는 신호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The
다시 말해, 풀업저항역할을 하는 저항을 통해 전원측 단에서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전원측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비정상적인 전압이 인가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포토커플러의 오동작과 회로파괴 등을 방지한다.In other words, the voltage applied to the diode at the power supply side is kept constant through a resistor serving as a pull-up resistor, and thus the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supply side is kept constant, thereby generating an abnormal voltage. This prevents malfunction of the photocoupler and circuit breakage.
마찬가지로, 상기 부하측 포토커플러(210b)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기 부하측단과 다이오드 사이에 직렬로 풀업 저항 역할을 하는 저항을 구성하여 입력되는 신호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풀업저항 역할을 하는 저항을 통해 부하측 단자에서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포토커플러의 오동작과 회로파괴 등을 방지한다.Similarly, in the
상기 회로차단기(210)의 전원측과 부하측 포토커플러(210a, 210b)의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자나 컬렉터 단자를 통해 각각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데이터검출부(220)의 검출단자(220a)를 통해 제어부(220b)에 입력되어 디지털변환된 후 디지털입출력기(220c)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220d)를 통해 통신부(240)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Signals are output through emitter terminals or collector terminals of the transistors of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전원상태가 데이터화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는 전원측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 상기 전원측 포토커플러(210a) 및 부하측 포토커플러(210b)에 각각 구성된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을 커넥터단자로 설정하는 경우에 관한 데이터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ate of a power circuit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Data relating to the case where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set as the connector terminal.
다시말해, 도시된 바는 전원측과 부하측 포토커플러(210a, 210b)의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커넥터단자를 통해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의 통신부(240)를 통해 출력된 후 분석되면서 원격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나타낸다.In other words, the figure shows the data received remotely while being analyzed after being output through the
먼저, 분전반이나 수배전반의 회로차단기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 즉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단자로부터 전원상태가 모두 High신호인 경우에는, 포토커플러가 모두 동작하면서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커넥터단에서 출력신호를 검출하게 되면 모두 Low신호가 검출된다.First, when the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circuit breaker of the distribution panel or the distribution panel, that is, when the power state is high from both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load terminal, all the photocouplers are operated to detect the output signal at the connector terminal of each transistor. In all cases, Low signal is detected.
참고적으로, 포토커플러의 특성상 커넥터단에서 출력을 검출하면 포토커플러가 On될 때 Low신호가 나오며, 포토 커플러가 Off 일때는 High신호가 나오게 된다.For reference, when the output is detected at the connector termina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coupler, a low signal is output when the photocoupler is on, and a high signal is output when the photo coupler is off.
따라서, 원격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를 통해 부하측과 전원측 모두에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mote manager can recognize from the data that normal power is supplied to both the load side and the power side.
다음으로, 회로차단기가 트립동작을 하여 회로차단기의 접점이 오픈되는 경우 또는 부하측의 배선상태가 불량인 경우, 또는 강제트립신호를 발생시킨 경우에는, 전원측 포토커플러(210a)에서는 Low신호가 나오며, 부하측 포토커플러(210b)는 High신호가 나오게 된다.Next, when the circuit breaker trips and the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is opened, or the wiring state on the load side is bad, or when a forced trip signal is generated, the low signal is output from the power
따라서, 원격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를 통해 회로차단기가 트립되면서 접점이 오픈되었거나 부하측의 배선불량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mote manager can recognize that the circuit breaker trips through the data and that the contact is open or there is a bad wiring on the load side.
다음으로, 분전반의 메인차단기(260)가 동작하는 경우처럼 회로차단기로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또는 전체적인 배선공급 라인이 불량인 경우에는, 회로차단기의 전원측과 부하측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Next, when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by the circuit breaker such as when the
이 경우에는 전원측 포토커플러(210a)에서는 High신호가 나오며, 부하측 포토커플러(210b)도 High신호가 나오게 된다.In this case, a high signal is output from the power
따라서, 원격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를 통해 분전반의 메인차단기(260)가 트립되면서 접점이 오픈되었거나 분전반의 전체적인 배선상태가 불량임을 인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mote manager may recognize that the contact is open as the
다만, 포토커플러의 특성상 바람직하게는, 전원측과 부하측의 포토커플러(210a, 210b)에 구성된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을 에미터단자로 선택하여, 전원측과 부하측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 High신호를 출력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Low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원격관리자가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의 전원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될 것이다.However,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tocoupler, preferably,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istors configured in the
또한, 상기 디지털 입출력기(220c)는 상기 관리서버(400)의 원격 파워 서버(400)에서 수신된 원격신호를 전달받아 강제트립신호를 제어부(220b)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회로차단기에 형성된 5번핀단자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영상변류기(200)를 관통하는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서 영상변류기를 관통하는 전류의 벡터합의 불평형상태를 발생시켜 회로차단기의 트립코일(미도시)에 전압을 인가하여 회로차단기의 접점을 오픈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digital input /
상기 통신부(240)에는 상기 데이터검출부(220)와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시리얼 인터페이스(240a)와 상기 로컬서버로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 컨트롤러(240b), 외부의 센서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RF수신부(240c) 및 수신된 데이터를 시리얼데이터 또는 이더넷데이터로 변환하는 메인컨트롤러(240d)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RF수신부(240c)는 Zigbee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화재 및 침입을 감시하는 외부의 기기들과 무선으로 디지털신호를 데이터로 수신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즉, 상기 메인컨트롤러(240d)에는 외부의 기기들에서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시리얼데이터형식으로 변경하여 분전반의 데이터검출부(220)로 보내주거나, 분전반의 주요정보를 시리얼통신으로 받아서 이더넷 통신으로 변경하여 로컬서버(400)로 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60)의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제서버(60)는 측정치 수신부(61), 화재예측 분석부(62), 상황표시부(63), 및, 경고알림부(64)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원격제어부(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측정치 수신부(61)는 로컬서버(40)로부터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측정 데이터는 앞서 본 바와 같이, 분전반/배전반(31,32,33), 또는 간선보호부(34,35)에서 센싱한 측정 데이터들이다. The
화재예측 분석부(62)는 전기화재 예측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분전반/배전반(31,32,33)으로부터 수집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화재를 예측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전에 정해진 규칙을 통해 예측치를 생성하여 건물 내 각 분전반의 위험상태를 수치화시킨 수치값을 저장한다. 화재예측 분석부(62)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다른 구성요소를 설명한 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상황표시부(63)는 분전반 및 수배전반을 웹 상에서 감시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며, 내장된 지리정보시스템과 결합한 전기안전지도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웹상에서 지역별 분전반 및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한다.The status display unit 63 has a function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istribution panels and switchboards on the web, and manages the status of distribution panels and switchboards by region on the web in conjunction with an electrical safety map application combined with a built-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황표시부(63)가 운영하는 웹상에는 지역별 지도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대전의 000시장 등 특정지역의 전기안전상황을 감시하고자 할 때, 해당 지역의 지도가 표시되고 해당 지역의 시장 및 상가 등 건물로 단계별로 들어가 확인할 수 있다.A map for each region is displayed on the web operated by the status display unit 63. For example, when you want to monitor the electricity safety situation in a specific area, such as the 000 market in Daejeon, a map of the area is displayed and you can step into the building such as the market and the mall of the area.
상황표시부(63)의 모니터링은 전기안전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역별 분전반과 배전반의 상태를 전기안전지도를 통해 시각적인 알람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웹에 접근 요청하는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안전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설정된 권한별 전기안전지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Monitoring of the status display unit 63 is configured to provide a visual alarm through the electrical safety map,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panel and switchboard for each region through the electrical safety map applic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esting access to the web is configured to provide a pre-authorized electric safety map through the electric safety map application.
상황표시부(63)에는 분전반 등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가져와서, 웹페이지에 상기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웹페이지의 한 부분은 전자지도로 구성이 되어 지도를 표시한다. 지도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기안전지도 어플리케이션에서 문제가 발생한 상가 등 건물의 지리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상황표시부(63)는 전기안전지도 어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웹페이지에 문제가 발생한 상가 등 건물의 지역과, 측정 데이터, 예측된 데이터 등 정보를 표시하게 한다.The situation display unit 63 imports stored measurement data such as a distribution panel and displays the measurement data on a web page. At this time, a part of the web page is composed of an electronic map to display a map. In order to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map, when request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building, such as a problem occurred in the electrical safety map application, the situation display unit 63 transmits data to the electrical safety map application, such as the building in which the problem occurs on the web page Allows you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region, measured data, and predicted data.
또한, 상황표시부(63)는 건물이나 배전반 등이 위험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건물 및 배전반 등의 위험 상태를 표시한다. 위험상태 지역을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서울시 구로구에 있는 구로시장 000상점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지역의 지도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tuation display unit 63 displays a dangerous state of the building and the switchbo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uilding or the switchboard is in a dangerous state. For example, if an abnormality occurs at
예를 들어, 상황표시부(63)에는 타이머 표시기능이 내장되어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역별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에 대해 상기 웹상의 전기안전지도에 위험상태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타이머가 동작하는 일정한 정해진 시간동안에 화재예측 분석부(62)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된 위험 상태 메시지를 통해 웹상에서 전기안전지도에 위험상태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the status display unit 63 has a built-in timer display function and is configured to display a dangerous status highlight on the electric safety map on the web about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distribution panel for each region in the state where the timer is operating. 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dangerous status highlight on the electric safety map on the web through the dangerous status message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타이머 표시기능은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분전반 등에서 아크와 같이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황표시부(63)에 위험 상태 메시지가 전송되고 웹상에는 그 위험 상태가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이 위험상태는 전기안전지도에 위험상태 하이라이트로 표시가 되는데, 이때의 위험상태 메시지에 대한 타임을 요청한다. In the timer display function, when an abnormality such as an arc occurs in a distribution panel or the like while the timer is operating, a dangerous status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tatus display unit 63, and the dangerous status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is dangerous state is indicated by a dangerous state highlight on the electrical safety map, requesting the time for the dangerous state message.
또한, 상기 타이머 기능은 지역별 분전반과 배전반의 상태를 위험상태 하이라이트로 나타낸 전기안전지도를 일정주기로 갱신 기능을 포함하여, 전체 지역별 수배전반과 분전반의 상태를 일정주기로 갱신시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imer function is configured to update and display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panel and distribution panel for each region at regular intervals, including the function of updating the electrical safety map showing the state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panel and switchboard by the dangerous state highlight at regular intervals.
상황표시부(63)에는 전기안전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지역별 수배전반과 분전반의 전기설비 단선결선도가 내장될 수 있다. 단선결선도는 지역별 분전반에 대해 지역별, 상가 등 건물별로 보다 상세하게 구성된 단선 결선 데이터를 보여주도록 구성되고 있다.The status display unit 63 may have a built-in wiring diagram of the electrical equipment of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distribution panel for each region supporting the electrical safety map application. The disconnection wiring diagram is configured to show the disconnection wiring data that is configured in more detail by region and shopping malls for the regional distribution boards.
다음으로, 경고알림부(64)는 건물의 위험상태를 관리자 또는 담당자의 단말(휴대폰, 이동단말, 개인용 PC 등)에게 메시지 등을 통해 알려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Next, the
전기안전지도에 표시된 지역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경고알림부(64)는 SMS서버(미도시)에 요청하여 해당 지역 관리자단말에게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When a problem occurs in the region displayed on the electrical safety map, the
상기 SMS서버가 해당 지역 관리자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관리서버(60)에는 GIS 또는 FMS 시스템이 장착된 관리자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GIS 서버(미도시) 또는 FMS서버(미도시)가 더 구축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SMS server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local administrator terminal, the
이 때, 상기 해당지역 관리자단말은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경우에 접근 요청하는 관리자단말의 기설정된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안전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설정된 권한별 전기안전지도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area administrator terminal is configured to receive a preset electric safety map for each authority through the electric safety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requesting access when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원격제어부(65)는 상기 감시서버에 전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가 나타난 분전반을 파악하여 원격으로 해당 분전반의 차단기를 강제트립하면서 전원을 관리하게 된다.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화재예측 분석부(62)에서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predicting fire in the
화재예측 분석부(62)는 수집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예측 요소(또는 화재 판단 요소)들의 값을 구하고 표준화한다. 그리고 화재예측 분석부(62)는 표준화된 화재예측 요소 값들을 평균하여 화재예측치를 구한다. 구한 화재 예측치를 통해 건물의 화재 위험상태를 판단한다. 즉, 화재예측 분석부(62)는 상기 판단 요소를 모두 동일한 기준으로 스케일링하여 표준화한다.The
화재예측 분석부(62)는 분전반/배전반(31,32,33)으로부터 수집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규칙 기술을 통해 예측치를 생성하여 건물 내 각 분전반의 위험상태를 수치화시킨 수치값을 저장한다.The fire
화재 예측에는 누설전류, 아크발생, 접촉불량, 절연물 온도, 과전류, 결상의 요소가 포함된다. 누설전류 연산부로부터 누설전류의 양을 측정하며, 각상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접촉불량시 온도상승을 포착한다. 덧붙여 중요한 판단 요소는 배선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이다. 과전압, 결상 또한 화재의 요인이 될 수 있다.Fire predictions include leakage currents, arcing, poor contact, insulation temperature, overcurrent, and phase-out factors. The leakage current is measured from the leakage current calculating unit, and a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each phase to capture the temperature rise in case of contact failure. In addition, an important judgment factor is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of the wiring insulation. Overvoltages and open phases can also cause fire.
아크발생은 분전반의 전류 및 전압데이터를 설정된 기준전압 및 기준전류 데이터와 상호 비교하여 위험아크 여부를 판단한다.Arc generation compares the current and voltage data of the distribution panel with the set reference voltage and reference current data to determine whether a dangerous arc.
전기설비의 안전을 위해 배선 및 기기에 접지공사가 된 곳을 제외하고 전부 대지로부터 절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만약 전로/기기의 절연이 불충분하면 누설전류에 의한 화재/감전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화재를 적절한 시기에 예방하기 위해 누설전류는 반드시 감시해야 할 항목이다. 누설전류는 영상변류기(ZCT) 등 누설전류 연산부로부터 측정하며, 최대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 화재위험확률이 100[%]라고 판정한다.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electrical installations, it is in principle to insulate everything from the ground except where the wiring and equipment is grounded. If the insulation of the converter / equipment is insufficient, there may be a risk of fire / electric shock due to leakage current. Leakage current must be monitored to prevent fire in a timely manner. The leakage current is measured from the leakage current calculating unit such as the image current transformer (ZCT), and if the maximum allowable value is exceeded,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bability of fire risk is 100 [%].
일반적으로 국내 중소규모 수용가 수배전반은 22.9[kV]로 수전을 받아 변압기를 통하여 380[V] 및 220[V]의 저압으로 낮추어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한다. 매우 높은 전압이 수배전반을 통과하기 때문에 수배전반 내에 연결 부위에 접촉불량이 발생할 경우 매우 위험하다. 그 이유는 접촉 부위불량으로 인한 과열, 합선 및 누전, 아크가 발생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접촉불량은 온도센서에 의하여 측정된다. 누설전류와 마찬가지로 센서에 기준온도치를 상회하는 온도가 측정될 경우 화재 위험확률 100[%]라 판정한다.In general, domestic small and medium sized consumer switchgear receives 22.9 [kV] and lowers the voltage to 380 [V] and 220 [V] through a transformer to supply power to customers. Since a very high voltage passes through the switchgear, it is very dangerous if contact failure occurs in the connection area in the switchgear. This is because overheating, short-circuit and short circuit, and arc may occur due to poor contact area. This contact failure is measured by a temperature sensor. Like the leakage current, if the sensor measures a temperature above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probability of fire hazard is determined to be 100 [%].
국내 배전용 변압기 과부하 판정기준은 단기간 정격은 최대 130[%]까지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변압기의 효율적, 경제적 사용을 위해서는 단시간 과부하를 고려하여야 하며 변압기가 비정상적인 수명손실을 일으키는 범주를 설정해야만 할 것이다. IEEE, IEC, JEC 등의 국외 규정들은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를 절연물 종류별로 제시를 하고 있으며, 1~2시간의 단시간 과부하인 경우 각기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압기의 비정상적인 수명손실 여부의 판정기준을 변압기 절연물의 허용온도로 판단한다.The transformer overload judging standard for domestic distribution allows the short-term rating up to 130 [%]. However, for efficient and economical use of transformers, short-term overloads must be taken into account, and the ranges in which the transformers cause abnormal life losses will have to be set. International regulations such as IEEE, IEC, JEC, etc. suggest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of insulation by type of insulation and apply differently in case of short overload of 1 ~ 2 hou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abnormal life loss of the transformer is determined as the allowable temperature of the transformer insulator.
한편 대표적인 변압기의 종류에는 크게 몰드식과 유입식이 있다. 유입식 변압기의 경우, 변압기 오일 최상부 지점에 센서를 설치하여 측정된 온도(top-oil temperature)로부터 권선최고온점(hot spot temperature)을 추정할 수 있다. 건식 변압기는 권선에 센서를 설치하여 역시 권선최고온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추정된 최고온점이 허용기준을 넘어설 경우 화재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types of typical transformers: mold and inflow. In the case of an inflow transformer, the hot spot temperature can be estimated from the measured top-oil temperature by installing a sensor at the top of the transformer oil. Dry-type transformers can also estimate the winding hottest points by installing sensors in the windings. A risk of fire is determined when this estimated maximum temperature exceeds the limit.
계통에서 과전압의 원인은 낙뢰, 선로의 사고, 차단기의 개폐동작 혹은 고장, 비선형/선형 공진, 부하의 급격한 변화, 캐패시터 스위칭 등으로 여러 가지가 있다. 전선로에 걸리는 고전압에 의해 권선의 절연이 파괴되고 결국 소손될 수가 있다. 그러나 피뢰기에 의해 보호가 되므로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은 적지만 화재의 가능성을 고려해보면 한 번의 순간과전압에 의해 절연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과전압 또한 반드시 주시해야할 항목이다. 본 발명에서는 정격 2차 전압의 130[%]이상의 과전압이 발생시 화재위험확률 100[%]로 판단한다.There are many causes of overvoltages in the system, such as lightning strikes, line accidents, breaker openings or breakdowns, nonlinear / linear resonances, sudden changes in load, and capacitor switching. The high voltage across the line breaks the insulation of the winding and can eventually burn out. However, since it is less likely to actually occur because it is protected by an arrester,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fire, the overvoltage is also an item to watch out for as the insulation may be destroyed by a single transient overvol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vervoltage of 130 [%] or more of the rated secondary voltage occurs, it is determined as a fire risk probability 100 [%].
마지막으로 3상 중에 결상이 생길 경우 과전류가 흐를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재위험이 매우 크므로 결상을 검출하여 화재예측에 이용한다.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여 어느 하나라도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결상으로 판정한다.Lastly, if an open phase occurs in three phases, an overcurrent may flow, which causes a great risk of fire. Therefore, an open phase is detected and used for fire prediction. The current of each phase is measured, and if any current does not flow, the image is judged as an image.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판단 요소에 대해서 각각 한계 기준치를 설정하였다. 상기 요소중 어느 한가지라도 한계 기준치를 넘어서면 화재위험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 reference values are set for the above judgment elements. Any of the above factors is considered to have a very high risk of fire if the threshold is exceeded.
상기와 같은 화재 판단 요소 각각에 대하여, 해당 측정치를 백분율로 표준화된 판단값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누설전류의 크기를 최소 0에서 최대 100%로 대응하여 표준값으로 변환하고, 측정온도의 크기도 최소 0에서 최대 100%로 대응하여 모두 0-100%의 백분율 크기로 표준화한다.For each of the above fire determination elements,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i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judgment value as a percentage. For example, the leakage current is converted into a standard value corresponding to at least 0 to 100%,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is also standardized to a percentage size of 0 to 100% by corresponding to a minimum of 0 to 100%.
전체 화재 예측치 F를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구한다.The total fire prediction value F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단, N은 화재판단 요소의 파라미터 개수이다. wi는 i번째 화재판단 요소의 파라미터 가중치(weight)이고, μi는 i번째 화재판단 요소의 표준화된 측정값(또는 파라미터)이다.Where N is the number of parameters of the fire determination element. w i is the parameter weight of the i th fire determination element and μ i is the standardized measurement (or parameter) of the i th fire determination element.
각 파라미터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한계치를 넘어서면 1, 즉 무조건 위험으로 판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중치를 곱하여 판정한다.If any one of the parameters exceeds the threshold, it is determined as 1, that is, an unconditional risk. Otherwise, it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weights.
화재예측 분석부(62)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화재예측을 판단한다.The fire
[규칙 1] 판단요소의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라도 최대 기준치를 초과하면 화재 위험지수(또는 화재 예측치) 100% (최대값)로 판정.[Rule 1] If any of the parameters of the judgment element exceeds the maximum standard value, the fire risk index (or the fire predicted value) is determined as 100% (maximum value).
[규칙 2] 규칙 1 상황이 아니라면, 각 파라미터 값을 백분율 환산하여 모두 합산한 후 파라미터의 개수로 나누어서 화재예측치를 구하여 판정(수학식 1을 이용).[Rule 2] In case of
한편, 화재 예측치를 구할 때, 각 배전반/분전반(31,32,33) 및 간선보호부(34,35)에서 측정할 수 있는 화재 판단 요소가 전체 판단 요소의 일부만 측정가능한 경우, 측정가능한 판단요소만으로 전체 판단 요소를 구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determining the fire prediction value, if the fire judgment element that can be measured in each switchgear / distribution panel (31, 32, 33) and the trunk line protection unit (34, 35) can measure only a part of the overall judgment element, the measurable judgment element Only the whole judgment factor is obtain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화재예측 분석부(62)에서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predicting fire in the
본 발명의 화재예측 분석부(62)에 대한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를 참조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화재예측 분석부(62)는 배전반/분전반(31,32,33) 및 간선보호부(34,35)를 각각을 노드로 하는 트리구조를 구성하되, 배전반/분전반(31,32,33) 및 간선보호부(34,3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트리구조로 구성한다. 이 트리구조를 화재예측 트리구조라 부르기로 한다.The
도 8은 하나의 건물에 대하여 배전반/분전반 등을 각 노드로 하는 트리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같이, 최상위 노드는 수배전반(33)이 위치한다. 그리고 그 하위 노드는 제2 간선보호부(35)이고, 그 다음 하위 노드는 층분전반(32)이다. 최하위 노드는 개별 분전반(31)이고, 개발 분전반(31)과 층분전반(32) 사이에는 제1 간선보호부(34)가 위치한다. 이하에서 이들을 노드(N)라 부르기로 한다.Fig. 8 shows an example of a tree structure in which a switchboard / distribution board and the like are each node for one building. As shown in FIG. 8, the
또한, 노드(N)와 노드 사이에는 에지(E)로 연결된다. 화재예측 트리구조는 트리구조이므로, 각 노드는 다수의 하위노드(또는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고, 각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를 갖는다. 부모 노드를 포함하는 모든 상위 노드는 조상 노드라 부르기로 한다. 자식 노드를 포함하는 모든 하위노드는 자손 노드라 부르기로 한다.In addition, an edge E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 and the node. Since the fire prediction tree structure is a tree structure, each node can have multiple child nodes (or child nodes), and each node has one parent node. All parent nodes including the parent node are called ancestor nodes. All child nodes that contain child nodes will be called child nodes.
화재예측 트리구조의 각 노드는 화재 예측치를 값으로 갖는다. 화재 예측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측치를 구하는 방법에 의하여 각각 노드의 화재 예측치를 구한다.Each node in the fire prediction tree structure has a fire prediction value. The fire prediction value obtains the fire prediction value of each node by the method of obtaining the fire prediction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노드 x의 화재 예측치 F(x)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구한다.The fire prediction value F (x) of the node x is obtained as shown in
[수학식 2]&Quot; (2) "
이때, Fx는 자신의 화재 예측치이다. 즉, 제1 실시예의 [수학식 1]에 의해 구한 화재 예측치이다. xi는 x의 i번째 자식노드이고, M은 노드 x의 자식 노드의 개수이다. 따라서 F(xi)는 x의 i번째 자식노드인 xi 의 화재 예측치이다.Where F x is its fire estimate. That is, it is the fire prediction value calculated | required by [Equation 1] of 1st Example. x i is the i th child node of x, and M is the number of child nodes of node x. Thus F (x i ) is the fire prediction for x i , the i-th child node of x.
wx는 자식노드의 화재 예측치의 가중치이다.
w x is the weight of the fire prediction of the child nod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화재예측 분석부(62)에서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predicting fire in the
본 발명의 화재예측 분석부(62)에 대한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를 참조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한 트리구조를 구성한다. 트리구조의 설명은 제2 실시예를 참조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same tree structure as the secon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tree structure refers to the second embodiment.
노드 x의 화재 예측치를 구할 때, 노드 x에서의 각 화재 판단 요소의 표준화된 값을 평균하여 구한다. 이때, 노드 x에서의 화재 판단 요소가 없으나, 노드 x의 자식 노드에서 해당 화재 판단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노드 x의 해당 화재 판단 요소에 대한 예측치를 자식 노드들의 해당 화재 판단 요소의 예측치의 평균 값으로 정한다.When calculating the fire prediction of node x, the average value of each fire determination element at node x is obtained. At this time, there is no fire determination element at node x, but there may be a corresponding fire determination element at a child node of node x. In this case, the prediction value for the corresponding fire determination element of the node x is set as an average value of the prediction value of the corresponding fire determination element of the child nodes.
따라서 노드 x에서 특정 화재 판단 요소가 없더라도, 자식 노드에서 측정한 화재 판단 요소의 예측치를 이용하여, 노드 x의 해당 판단 요소의 예측치를 구한다.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specific fire determination element at node x, the prediction value of the corresponding determination element of node x is obtained using the prediction value of the fire determination element measured at the child nod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Of course,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10 : 건물 21 : 감지센서
22 : 무선통신부 23 : 센서망 게이트웨이
24 : 이더넷 31 : 개별 분전반
32 : 층분전반 33 : 수배전반
34 : 제1 간선보호부 35 : 제2 간선보호부
40 : 로컬서버 50 : 인터넷
60 : 관제서버 70 : 데이터베이스 10: building 21: detection sensor
22: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 sensor network gateway
24: Ethernet 31: Individual Distribution Board
32: floor panel 33: switchboard
34: first trunk protection unit 35: second trunk protection unit
40: Local server 50: Internet
60: control server 70: database
Claims (12)
건물 내 개별 가구의 분전반(이하 개별 분전반), 건물 각 층의 분전반(이하 층 분전반), 또는 건물의 수배전반에 설치되어, 분전반 또는 배전반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개별 분전반의 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측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합하는 센서망 게이트웨이;
상기 센서망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유선으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로컬 서버;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분전반 또는 배전반의 계층구조에 따라 구성하여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관제 서버 및
수배전반에서 분전반으로 이어지는 부하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전력선(이하 간선)에 설치되고, CT(current transformer)형 전류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가 장착된 제1 및 제2 간선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In the distribution panel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d group building,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distribution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dividual distribution panel) of individual furniture in a building, a distribution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tribution panel)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or a distribution panel of a building to detect a state of the distribution panel or a distribution pane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data sensed by the sensor of the individual distribution panel;
A sensor network gateway for collecting measurement data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local server collecting measurement data by wire from the sensor network gateway or the sensor;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sensor from the local server, the control server for configuring the data analyzed from the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panel or switchboard and provide in real time on the web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trunk protection unit is installed on a power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unk line)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load from the switchgear to the distribution panel, and equipped with a sensing sensor including a current transformer (CT) type current sensor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for hierarchical structured group buildings.
상기 감지센서는 부하전류 및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전류센서, 아크발생을 센싱하는 아크센서, 절연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is at least one of the current sensor for sensing the load current and leakage current, the arc sensor for sensing the arc generation, th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materia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ribution board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
상기 분전반은 회로차단기에 영상변류기(ZCT)를 통해 누전, 아크, 누설전류, 과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ribution panel detects any one or more of a short circuit, an arc, a leakage current, and an overcurrent through an image current transformer (ZCT) in a circuit breaker.
상기 분전반의 회로차단기는 전원측과 부하측 전원공급상태를 감지하는 포토커플러 한쌍을 내장하고, 상기 포토커플러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나 컬렉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it breaker of the distribution panel includes a pair of photocouplers for sensing a power supply side and a load side power supply state, and detects the signal as a signal output through an emitter terminal or a collector terminal of a transistor of the photocoupler. Switchgear surveillance system of the building.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정치 수신부;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화재 예측치를 구하여 화재 위험상태를 판단하는 화재예측 분석부;
상기 분전반 및 수배전반에 대하여 판단한 화재 위험상태를 웹 상에서 표시하는 상황표시부; 및,
건물의 위험상태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경고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erver,
A measuremen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measurement data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from the local server;
A fire prediction analyzer for determining a fire risk state by obtaining a fire prediction value from the measured data;
A situ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e risk state determined for the distribution panel and the distribution panel on the web; And
Switchgear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comprising a warning notif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dangerous state of the building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누설전류, 아크발생, 접촉불량, 절연물 온도, 과전류, 결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판단 요소로 화재 위험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group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fire risk state by an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actors: leakage current, arc generation, contact failure, insulator temperature, overcurrent, phase image.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상기 판단 요소를 모두 동일한 기준으로 스케일링하여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값을 평균하여 화재 예측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group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le of all the determination elements based on the same standard and standardized, and averages the standardized value to obtain a fire prediction value.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상기 판단 요소 중 어느 하나가 최대 기준치를 초과하면 화재 예측치를 최대값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prediction value to determine the maximum value if any one of the determination factors exceeds the maximum reference value.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다음 [수식 1]을 이용하여 화재 예측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수학식 1]
단, N은 화재판단 요소의 파라미터 개수이고, wi는 i번째 화재판단 요소의 가중치이고, μi는 i번째 화재판단 요소의 표준화된 값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is a switchboard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a fire prediction valu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Where N is the number of parameters of the fire determination element, w i is the weight of the i th fire determination element, and μ i is the standardized value of the i th fire determination element.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배전반/분전반 및 간선보호부를 노드로 정하고, 상기 배전반/분전반및 간선보호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에 따라 상기 노드들을 트리구조를 구성하고, 각 노드의 화재예측치를 구하되, 상기 노드의 화재예측치를 상기 노드의 자식노드의 화재예측치를 반영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e prediction analyzer determines a switchboard / distribution board and trunk protection as a node, configures the nodes in a tree structure according to a structure in which the switchboard / distribution board and the trunk prot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obtains a fire prediction value of each node. A system for monitoring the distribution board of a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the structure of a group building, wherein the fire prediction value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fire prediction value of the child node of the node.
상기 화재예측 분석부는 노드 x의 화재 예측치 F(x)를 다음 [수식 2]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수학식 2]
단, Fx는 노드 x의 자체의 화재 예측치이고, xi는 x의 i번째 자식노드이고, M은 노드 x의 자식 노드의 개수이고, F(xi)는 x의 i번째 자식노드인 xi 의 화재 예측치이고, wx는 자식노드의 화재 예측치의 가중치임.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e prediction analysis unit of the distribution board monitoring system of a hierarchical structure-based group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the fire prediction value F (x) of the node x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Quot; (2) "
Where F x is the fire estimate of node x itself, x i is the i-th child node of x, M is the number of child nodes of node x, and F (x i ) is x, the i-th child node of x i is the fire estimate and w x is the weight of the child node's fire estim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780A KR101336571B1 (en) | 2012-11-09 | 2012-11-09 | A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of vulnerable area to electrical disast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780A KR101336571B1 (en) | 2012-11-09 | 2012-11-09 | A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of vulnerable area to electrical disast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6571B1 true KR101336571B1 (en) | 2013-12-03 |
Family
ID=4998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6780A KR101336571B1 (en) | 2012-11-09 | 2012-11-09 | A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of vulnerable area to electrical disast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6571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0858A (en) | 2015-12-29 | 2016-01-28 | (주)두잉씨앤에스 | Building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for |
KR101762534B1 (en) * | 2016-02-23 | 2017-07-28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remote diagnosing failure and monitoring of electric equipment using low power wide area network |
KR20180101332A (en) * | 2015-10-30 | 2018-09-12 | 글로벌 디자인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 Energy consumption alarm system, platform and method |
KR102011308B1 (en) * | 2018-03-15 | 2019-08-1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switchboard panel |
US10515308B2 (en) | 2015-10-30 | 2019-12-24 | Global Design Corporation Ltd. | System, method and cloud-based platform for predicting energy consumption |
US10600307B2 (en) | 2015-10-30 | 2020-03-24 | Global Design Corporation Ltd. | Energy consumption alerting method, energy consumption alerting system and platform |
KR102418407B1 (en) | 2022-02-22 | 2022-07-08 | (주)하늘천 | Apartment electric cable monitoring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1933A (en) * | 2007-12-28 | 2009-07-02 | 김현우 | Dignosti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telligent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and power supply |
KR101021628B1 (en) * | 2009-06-24 | 2011-03-22 | 한국전기안전공사 | The electric-safety monitoring system managing state of the local leakage curcuit breaker and distributing board |
KR20110029339A (en) * | 2009-09-15 | 2011-03-23 | 한국전기안전공사 | The remote electric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nstalled in digital cabinet panel and power receving/distributing apparatus |
KR20110059681A (en) * | 2009-11-28 | 2011-06-03 | 한국전기안전공사 | Cabinet panel system |
-
2012
- 2012-11-09 KR KR1020120126780A patent/KR10133657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1933A (en) * | 2007-12-28 | 2009-07-02 | 김현우 | Dignosti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telligent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and power supply |
KR101021628B1 (en) * | 2009-06-24 | 2011-03-22 | 한국전기안전공사 | The electric-safety monitoring system managing state of the local leakage curcuit breaker and distributing board |
KR20110029339A (en) * | 2009-09-15 | 2011-03-23 | 한국전기안전공사 | The remote electric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nstalled in digital cabinet panel and power receving/distributing apparatus |
KR20110059681A (en) * | 2009-11-28 | 2011-06-03 | 한국전기안전공사 | Cabinet panel system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1332A (en) * | 2015-10-30 | 2018-09-12 | 글로벌 디자인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 Energy consumption alarm system, platform and method |
US10510126B2 (en) | 2015-10-30 | 2019-12-17 | Global Design Corporation Ltd. | Energy consumption alerting system, platform and method |
US10515308B2 (en) | 2015-10-30 | 2019-12-24 | Global Design Corporation Ltd. | System, method and cloud-based platform for predicting energy consumption |
US10600307B2 (en) | 2015-10-30 | 2020-03-24 | Global Design Corporation Ltd. | Energy consumption alerting method, energy consumption alerting system and platform |
KR102150775B1 (en) * | 2015-10-30 | 2020-10-27 | 글로벌 디자인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 Energy consumption alarm system, platform and method |
KR20160010858A (en) | 2015-12-29 | 2016-01-28 | (주)두잉씨앤에스 | Building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for |
KR101762534B1 (en) * | 2016-02-23 | 2017-07-28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remote diagnosing failure and monitoring of electric equipment using low power wide area network |
KR102011308B1 (en) * | 2018-03-15 | 2019-08-1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switchboard panel |
WO2019177255A1 (en) * | 2018-03-15 | 2019-09-19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switchboard panel |
KR102418407B1 (en) | 2022-02-22 | 2022-07-08 | (주)하늘천 | Apartment electric cable monitoring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6317B1 (en) | A u-city integration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eal tim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electrical installation of the large cities like u-city | |
KR101336571B1 (en) | A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of vulnerable area to electrical disasters | |
KR101021628B1 (en) | The electric-safety monitoring system managing state of the local leakage curcuit breaker and distributing board | |
US9031799B2 (en) | Remote electrical safety diagnosis system and apparatus | |
KR101074768B1 (en) | The remote electric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nstalled in digital cabinet panel and power receving/distributing apparatus | |
KR102057494B1 (en) |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 |
KR101127094B1 (en) | The remote electric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 |
KR101824718B1 (en) | Intelligent Automatic Control Panel Equipped with Self Diagnosis and Safety Functions | |
KR101286119B1 (en) | system and method of door security certification in distributing board | |
KR102410754B1 (en) | IoT-based Switchgear Fire Prevention System that Can Predict Fir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KR101868433B1 (en)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string block device for preventing solar module string accident | |
CN110515333B (en) |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terminal box, ubiquitous power Internet of things platform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 |
Stewart et al. | Data-driven approach for monitoring, protection, and control of distribution system assets using micro-PMU technology | |
CN111579934A (en) |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electric safety monitoring of external power network of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 |
KR20180070208A (en) |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power line and distribution facility | |
KR20090120653A (en) | Web-based monitoring system for incoming transfer facilities | |
KR20190100497A (en) | A Management system for static of electric applicance based on a cloud platform | |
KR20060013175A (en) | Load power supervising system for a distribution board and the method thereof | |
KR20200014118A (en) | Power Distribution Board with Fault Fiagnosis Function | |
KR102128744B1 (en) | Apparatus for power monitoring of electric power equipment | |
KR20160149979A (en) | Surge protective apparatus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using it | |
KR101510676B1 (en) | Intelligent discharge monitoring vision system for electric distributing board | |
KR102207854B1 (en) |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integrating management based on IOT | |
KR102309900B1 (en) | The iot-based contactless lightning arrester diagnostic device and i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evice | |
CN111090271A (en) | 35kv-10kv switch cabinet fault pre-diagnosis system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