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095B1 - 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095B1
KR102560095B1 KR1020207029908A KR20207029908A KR102560095B1 KR 102560095 B1 KR102560095 B1 KR 102560095B1 KR 1020207029908 A KR1020207029908 A KR 1020207029908A KR 20207029908 A KR20207029908 A KR 20207029908A KR 102560095 B1 KR102560095 B1 KR 10256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offset value
index
base station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179A (ko
Inventor
유키 마츠무라
카즈키 타케다
사토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0013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말은, 제1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하향 제어 정보 내의 필드 값 및 제어 채널 요소의 인덱스 값 중 하나에 기초한 제2 오프셋 값과 상기 제1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하는 상향 제어 채널용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 및 무선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 LTE로부터의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LTE-A(LTE-Advanced), FRA(Future Radio Access), 4G, 5G, 5G+(plus), NR(New RAT), LTE Rel. 15 이후 등이라고도 한다)도 검토되고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에서는, 1 ms의 서브 프레임(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이라고도 한다)을 이용하여, 하향 링크(DL: Downlink) 및/또는 상향 링크(UL: Uplink)의 통신이 수행된다. 해당 서브 프레임은, 채널 부호화된 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 단위이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재송 제어(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등의 처리 단위가 된다.
또,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에서는, 유저단말은, 상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상향 공유 채널(예를 들면,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하여,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한다. 해당 상향 제어 채널의 구성(포맷)은, PUCCH 포맷 등이라 불린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15 이후, 5G, 5G+, NR 등)에서는, UCI의 송신에 이용하는 상향 제어 채널용 리소스(예를 들면, PUCCH 리소스)를 유저단말에 할당하는(allocate)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의 셋업(setup) 전에 있어서는, 유저단말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내의 소정 필드 값,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내의 소정 필드 값 및 묵시값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UCI의 송신에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PUCCH 리소스의 결정 방법에서는,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를 적절하게 결정 가능한 유저단말 및 무선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유저단말의 일 형태는, 소정의 대역폭에 기초하는 값 또는 0인 제1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상향 제어 채널용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PUCCH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및 2b는, ARI가 나타내는 PUCCH 포맷마다의 PUCCH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1 형태에 따른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RMSI 인덱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4d는, 제1 형태에 따른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한 주파수 홉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5d는, 제1 형태에 따른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한 주파수 홉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 및 6b는, 제1 형태에 따른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한 주파수 홉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a 및 7b는, 제1 형태에 따른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한 주파수 홉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제1 형태에 따른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RMSI 인덱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1 형태에 따른 2 값 및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RMSI 인덱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ARI가 나타내는 PUCCH 포맷 공통의 PUCCH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15∼, 5G, NR 등)에서는, UCI의 송신에 이용되는 상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PUCCH)용 구성(포맷, PUCCH 포맷(PF) 등이라고도 한다)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LTE Rel. 15에서는, 5 종류의 PF0∼4를 서포트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이하에 개시하는 PF의 명칭은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명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PF0 및 1은, 2 비트 이하(up to 2 bits)의 UCI(예를 들면, 송달 확인 정보(HARQ-AC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e, ACK 또는 NACK 등이라고도 한다)의 송신에 이용되는 PF이다. PF0은, 1 또는 2 심벌로 할당 가능하기 때문에, 쇼트 PUCCH 또는 시퀀스 베이스(sequence-based) 쇼트 PUCCH 등이라고도 불린다. 한편, PF1은, 4-14 심벌로 할당 가능하기 때문에, 롱 PUCCH 등이라고도 불린다. PF1에서는, CS 및 OCC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시간 영역의 블록 확산으로 의해, 동일한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 리소스 블록(RB) 등이라고도 한다) 내에서 복수의 유저단말이 부호 분할 다중(CDM)되어도 좋다.
PF2-4는, 2 비트를 초과하는(more than 2 bits) UCI(예를 들면,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또는, CSI와 HARQ-ACK 및/또는 스케줄링 요구(SR)))의 송신에 이용되는 PF이다. PF2는, 1 또는 2 심벌로 할당 가능하기 때문에, 쇼트 PUCCH 등이라고도 불린다. 한편, PF3, 4는, 4-14 심벌로 할당 가능하기 때문에, 롱 PUCCH 등이라고도 불린다. PF3에서는, DFT 전의 (주파수 영역)의 블록 확산을 이용하여 복수의 유저단말이 CDM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포맷의 상향 제어 채널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예를 들면, PUCCH 리소스)는, RRC 커넥션의 셋업 전에 있어서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내의 소정 필드 값,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내의 소정 필드 값 및 묵시값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UCI의 송신에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RRC 커넥션의 셋업 전에는, RMSI 내의 소정 필드 값(인덱스 값, RMSI 인덱스 값, 소정 값, 식별자(indication), RMSI 식별자, 소정 값 등이라고도 한다)에 의해 복수의 PUCCH 리소스의 하나가 지정된다. 예를 들면, 4 비트의 RMSI 인덱스 값에 의해, 16 종류의 PUCCH 리소스가 지정된다.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각 PUCCH 리소스는, 셀 고유(cell-specific)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셀 고유의 파라미터는,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해도 좋다.
·PUCCH에 할당되는 기간(심벌 수, PUCCH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면, 2, 4, 10, 14 심벌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
·주파수 홉핑이 적용되는 경우에 PUCCH에 할당되는 주파수 리소스의 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PRB 오프셋, 주파수 오프셋,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
·PUCCH의 개시 심벌(Starting Symbol)
또, DCI 내의 소정 필드 값(PUCCH 리소스 식별자(PUCCH resource indicator), ACK/NACK 리소스 식별자(ARI: ACK/NACK Resource Indicator), ACK/NACK 리소스 오프셋(ARO: ACK/NACK Resource Offset) 또는 TPC 커맨드용 필드 값) 및 묵시값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복수의 PUCCH 리소스의 하나가 지정된다. 예를 들면, DCI 내의 3 비트의 ARI 및 1 비트의 묵시값에 의해, 16 종류의 PUCCH 리소스가 지정된다.
ARI 및 묵시값의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각 PUCCH 리소스는, 유저단말 고유(UE-specific)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UE 고유의 파라미터는,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해도 좋다.
·소정의 대역폭의 어느 방향(direction)으로부터 홉핑할지를 나타내는 정보(홉핑 방향), 예를 들면, 제1 홉을 작은 인덱스 번호의 PRB로 하고, 제2 홉을 큰 인덱스 번호의 PRB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1"), 또는, 제1 홉을 큰 인덱스 번호의 PRB로 하고, 제2 홉을 작은 인덱스 번호의 PRB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2")
·주파수 홉핑이 적용되는 경우에 PUCCH에 할당되는 주파수 리소스의 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PRB 오프셋, 주파수 오프셋, UE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정보
·초기 순회 시프트(CS: Cyclic Shift)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
또, 상기 묵시값은, 예를 들면,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도출되어도 좋다. 또한, 묵시값은, 명시적인 시그널링 없이 도출되는 어느 값이어도 좋다.
·하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되는 제어 리소스 단위(예를 들면, CCE: Control Channel Element)의 인덱스
·해당 제어 리소스 단위의 애그리게이션 레벨
도 1은,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PUCCH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 비트의 RMSI 인덱스의 각 값은, PUCCH 기간 및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도 좋다.
도 2a 및 2b는, ARI가 나타내는 PUCCH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PUCCH 포맷 0용 PUCCH 리소스의 일 예가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PUCCH 포맷 1용 PUCCH 리소스의 일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면, 도 2a 및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 비트의 ARI는, 홉핑 방향, UE 고유 PRB 오프셋 및 복수의 초기 CS 인덱스를 나타내도 좋다. 유저단말은, 예를 들면, CCE 인덱스에 기초하여 1 비트의 값 r(묵시값)을 도출하고, 해당 값 r에 기초하여 해당 복수의 초기 인덱스의 하나를 결정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PUCCH에 주파수 홉핑을 적용하는 경우, 해당 PUCCH에 할당되는 주파수 리소스는, 소정의 대역폭(예를 들면,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의 각 단(edge)의 PRB로부터 소정의 오프셋 값 x만큼 떨어진 PRB인 것이 상정된다.
여기서, BWP란, 캐리어 내에 설정되는 부분적인 대역이며, 부분 대역 등이라 불린다. BWP는, 상향(UL: Uplink)용 BWP(UL BWP, 상향 BWP) 및 하향(DL: Downlink)용 BWP(DL BWP, 하향 BWP)를 가져도 좋다. 랜덤 액세스(초기 액세스)용 상향 BWP는, 초기 BWP, 초기 상향 BWP, 초기 액세스 BWP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동기 신호 및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포함하는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또는 SS/PBCH 블록: 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등이라도 한다)의 검출에 이용되는 하향 BWP는, 초기 하향 BWP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유저단말에 하나 이상의 BWP(하나 이상의 상향 BWP 및 하나 이상의 하향 BWP의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BWP가 액티브화되어도 좋다. 액티브 상태의 BWP는, 액티브 BWP(액티브 상향 BWP 또는 액티브 하향 BWP) 등이라고도 불려도 좋다. 또, 유저단말에 디폴트의 BWP(디폴트 BWP(디폴트 상향 BWP 또는 디폴트 하향 BWP))가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홉의 주파수 리소스는, 소정의 대역폭(예를 들면, 초기 액세스 BWP)의 일단(한쪽 끝)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 값 x만큼 떨어진 소정 수의 PRB로 구성되고, 제2 홉의 주파수 리소스는, 해당 소정의 대역폭의 다단(많은 가닥)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 값 x만큼 떨어진 소정의 PRB로 구성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소정의 오프셋 값 x는,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셀 고유 PRB 오프셋 및 ARI가 나타내는 UE 고유 PRB 오프셋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도출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오프셋 값 x=셀 고유 PRB 오프셋+UE 고유 PRB 오프셋이어도 좋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셀 고유 PRB 오프셋이 소정 값(예를 들면, 도 1에서는, 0∼3의 어느 하나)인 경우, 소정의 대역폭(예를 들면, 초기 액세스 BWP)의 양단(양쪽 끝) 영역에 PUCCH의 할당이 집중하고, 해당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를 적절하게 할당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셀 고유 PRB 오프셋 값을 고정 값이 아니라, 소정의 대역폭(예를 들면, 초기 액세스 BWP)에 기초하는 값으로 함으로써, 해당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를 적절하게 결정 가능하게 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저단말은, 소정의 대역폭에 기초하는 값 또는 0인 셀 고유 PRB 오프셋(제1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유저단말은, 해당 셀 고유 PRB 오프셋에 기초하여, 해당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소정의 대역폭은, 초기 액세스 BWP인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상향 BWP 또는 하향 BWP이어도 좋다.
또, 이하에서는, 셀 고유 PRB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가, RMSI인 것으로 하지만, 소정 단위(예를 들면, 셀 단위, 컴포넌트 캐리어 단위, 캐리어 단위)로 브로드캐스트되는 정보라면 어느 정보여도 좋다. 또, 이하에서는, RMSI 내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RMSI 인덱스 값이라고도 한다.
(제1 형태)
제1 형태에서는,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셀 고유 PRB 오프셋에 대해 설명한다. 셀 고유 PRB 오프셋은, 초기 액세스 BWP에 기초하는 값 및 0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4 값 또는 2 값을 가져도 좋다.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
도 3은, 제1 형태에 따른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RMSI 인덱스 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PUCCH 기간에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이 결합되고, 해당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이 각각 다른 4개의 RMSI 인덱스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2, 4, 10, 14 심벌의 4개의 PUCCH 기간의 각각에,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이 결합된다.
또, 도 3에서는, 셀 고유 PRB 오프셋으로서, 4개의 값 {0, floor((Initial_BWP/2)*(1/4), floor((Initial_BWP/2)*(2/4), floor((Initial_BWP/2)*(3/4)}가 도시된다. 여기서, Initial_BWP는, 초기 액세스 BWP를 구성하는 PRB 수여도 좋다.
도 4a∼4d는, 제1 형태에 따른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한 주파수 홉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 4b, 4d, 4c에서는, 도 3의 RMSI 인덱스 값이, 각각, 12, 13, 14, 15인 경우(즉, PUCCH 기간이 14 심벌인 경우)의 주파수 홉핑의 일 예가 도시된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주파수 홉핑은 예시에 불과하며,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PUCCH 기간은 슬롯의 일부의 심벌(예를 들면, 2, 4 또는 10 심벌)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4a∼4d는, DCI 내의 ARI에 의해 지정되는 UE 고유 PRB 오프셋이 0 또는 해당 UE 고유 PRB 오프셋이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또, 도 4a∼4d는, 초기 액세스 BWP를 구성하는 PRB 수가 짝수인 경우를 상정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초기 액세스 BWP를 구성하는 PRB 수는 홀수여도 좋으며, 주파수 홉핑의 패턴은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셀 고유 PRB 오프셋이 '0'인 경우, 유저단말은, 초기 액세스 BWP의 양단의 소정 수의 PRB를, 해당 초기 액세스 BWP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로 결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액세스 BWP의 양단의 소정 수의 PRB(예를 들면, 1 PRB)를 각각 제1 및 제2 홉핑의 주파수 리소스로 결정해도 좋다.
또,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셀 고유 PRB 오프셋이 'floor((Initial_BWP/2)*(1/4)'인 경우, 유저단말은, 초기 액세스 BWP의 양단으로부터 floor((Initial_BWP/2)*(1/4)만큼 떨어진 소정 수의 PRB를, 해당 초기 액세스 BWP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로 결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초기 액세스 BWP의 양단으로부터 floor((Initial_BWP/2)*(1/4)만큼 떨어진 소정 수의 PRB(예를 들면, 1 PRB)를 각각 제1 및 제2 홉의 주파수 리소스로 결정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4c 및 4d에서는, 유저단말은, 초기 액세스 BWP의 양단으로부터,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셀 고유 PRB 오프셋 'floor((Initial_BWP/2)*(2/4)' 및 'floor((Initial_BWP/2)*(3/4)'만큼 떨어진 소정 수의 PRB를, 해당 초기 액세스 BWP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로 결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셀 고유 PRB 오프셋의 각 값은, 초기 액세스 BWP의 각 단으로부터 중심(또는 중심의 PRB까지의)까지의 대역폭을 등분하고, 해당 대역폭을 전체로 한 비율을 규정한 것이어도 좋다. 즉, 해당 대역폭에 소정의 계수 α(α≤0)를 승산한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a∼4d에서는, 초기 액세스 BWP의 각 단으로부터 중심까지가 4 등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a∼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 등분되어도 좋다.
도 5a∼5d는, 제1 형태에 따른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한 주파수 홉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5d에서는, 초기 액세스 BWP의 각 단으로부터 중심까지가 3 등분되는 점에서, 도 4a∼4d와 다르다. 도 5a∼5d에서는, 도 4a∼4d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a∼5d에 도시하는 경우, 셀 고유 PRB 오프셋으로서, 4개의 값 {0, floor((Initial_BWP/2)*(1/3), floor((Initial_BWP/2)*(2/3), floor((Initial_BWP/2)*(3/3)}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되는 RMSI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4개의 값도 {0, floor((Initial_BWP/2)*(1/3), floor((Initial_BWP/2)*(2/3), floor((Initial_BWP/2)*(3/3)}으로 치환된다.
도 4a∼4d, 5a∼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고유 PRB 오프셋의 각 값을, 초기 액세스 BWP의 각 단으로부터 중심(또는 중심의 PRB까지의)까지의 대역폭을 등분하고, 해당 대역폭을 전체로 한 비율로 함으로써, 초기 액세스 BWP 전체에 주파수 홉핑하는 PUCCH 리소스를 분산시킬 수 있다.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
도 6a 및 6b는, 제1 형태에 따른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한 주파수 홉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 및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이 이용되는 경우, 초기 액세스 BWP의 각 단으로부터 중심까지가 2 등분되어도 좋다.
도 6a 및 6b에 도시하는 경우, 셀 고유 PRB 오프셋으로서, 2 값 {0, floor((Initial_BWP/2)*(1/2)가 이용되어도 좋다.
도 7a 및 7b는, 제1 형태에 따른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한 주파수 홉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a 및 7b에서는, 셀 고유 PRB 오프셋으로서, 2 값 {0, floor((Initial_BWP/2)*(2/2)가 이용되는 점에서, 도 6a 및 6b와 다르다.
도 8은, 제1 형태에 따른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RMSI 인덱스 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PUCCH 기간에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이 결합되고, 해당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이 각각 다른 2개의 RMSI 인덱스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에서는, 2, 4, 10, 14 심벌의 4개의 PUCCH 기간의 각각에,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이 결합된다.
〈4 값 또는 2 값의 선택〉
셀 고유 PRB 오프셋이 상기 2 값 또는 상기 4 값의 어느 것을 갖는지는, (1)사양으로 규정되어도 좋으며, 또는, (2)PUCCH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으며, 또는, (3)초기 액세스 BWP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사양으로 규정되는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UCCH 기간마다 4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RMSI 인덱스를 규정하는 테이블이 마련되어도 좋다. 혹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UCCH 기간마다 2 값의 셀 고유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RMSI 인덱스를 규정하는 테이블이 마련되어도 좋다. 혹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UCCH 기간에 따라 4 값 및 2 값의 셀 PRB 오프셋을 나타내는 RMSI 인덱스를 규정하는 테이블이 마련되어도 좋다.
혹은, (2)유저단말은, UCI의 송신에 이용하는 PUCCH 기간에 기초하여, 4 값 또는 2 값의 어느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할지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은, 도 3 또는 도 8의 어느 테이블을 이용할지를, PUCCH 기간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좋다.
혹은, (3)유저단말은, UCI의 송신에 이용하는 초기 액세스 BWP를 구성하는 PRB 수에 기초하여, 4 값 또는 2 값의 어느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할지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은, 도 3 또는 도 8의 어느 테이블을 이용할지를, 초기 PRB를 구성하는 PRB 수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좋다.
제1 형태에 의하면, 초기 액세스 BWP에 기초하는 셀 고유 PRB 오프셋을 이용하여, 해당 초기 액세스 BWP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가 결정된다. 이 경우, 해당 셀 고유 PRB 오프셋으로서 고정 값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해당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를 유연하게 할당할 수 있다.
(제2 형태)
제2 형태에서는, ARI에 의한 초기 CS 인덱스의 지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및 2b에서는, PUCCH 포맷마다 다른 테이블을 이용하여, ARI가 나타내는 PUCCH 리소스가 규정된다. 예를 들면, PF0에서는, 2개의 CS(CS 양(量))가 이용되고, PF1에서는, 하나의 CS(CS did)가 이용된다.
이 때문에, 도 2a에 도시되는 PF0용 테이블에 있어서 초기 CS 인덱스 '0'이 지정되는 경우, CS 인덱스 {0, 6}의 CS를 이용하여, UCI가 송신된다. 또, 초기 CS 인덱스 '3'이 지정되는 경우, CS 인덱스 {3, 9}의 CS를 이용하여, UCI가 송신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되는 PF1용 테이블에 있어서 초기 CS 인덱스 '0'이 지정되는 경우, CS 인덱스 {0}의 CS를 이용하여, UCI가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초기 CS 인덱스 '3', '6', '9'가 지정되는 경우, 각각, 하나의 CS 인덱스 {3}, {6}, {9}의 CS를 이용하여, UCI가 송신된다.
한편, 복수의 PUCCH 포맷에 공통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ARI가 나타내는 PUCCH 리소스를 규정하는 것도 상정된다.
도 10은, 제2 형태에 따른 ARI가 나타내는 PUCCH 리소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서는, PF0 및 1에 공통의 테이블에 있어서, ARI가 나타내는 PUCCH 리소스가 규정된다.
PF0의 경우, 도 10에 도시되는 테이블에 있어서 초기 CS 인덱스 '0'이 지정되면, CS 인덱스 {0, 6}의 CS를 이용하여, UCI가 송신된다. 또, 초기 CS 인덱스 '1'이 지정되면, CS 인덱스 {3, 9}의 CS를 이용하여, UCI가 송신된다.
한편, PF1의 경우, 도 10에 도시되는 테이블에 있어서 초기 CS 인덱스 '0'이 지정되는 경우, CS 인덱스 {0}의 CS를 이용하여, UCI가 송신된다. 또, 초기 CS 인덱스 '3'이 지정되는 경우, CS 인덱스 {3}의 CS를 이용하여, UCI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도 10에 도시하는 PF0 및 1에 공통의 테이블에서는, PF1의 경우, 도 2b에 도시하는 PF1용 테이블과는 다르며, CS 인덱스 {6}, {9}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해당 공통의 테이블에 규정되지 않는 CS 인덱스(예를 들면, {6}, {9})는, RRC 커넥션의 셋업 후의 PUCCH 리소스로서는, 사용 가능해도 좋다.
도 10에 도시하는 공통의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PF0 및 1의 테이블을 공통화(communalize)할 수 있다. 또, 도 2b에 도시하는 테이블에서는, PF1에 대해 2 값의 UE 고유 PRB 오프셋밖에 적용할 수 없지만, 도 10에 도시하는 테이블에서는, PF1에 대해서도, PF0과 동일하게, 4 값의 UE 고유 PRB 오프셋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형태에서는, PF0 및 1 공통으로 ARI가 나타내는 PUCCH 리소스를 규정함으로써, PF1에 대해 적용 가능한 UE 고유 PRB 오프셋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PUCCH용 주파수 리소스를 도 2b에 도시하는 테이블보다도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상기 각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각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어도 좋으며, 적어도 2개를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 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SUPER 3G, LTE-A(LTE-Advanced), IMT-Advanced, 4G, 5G, FRA(Future Radio Access), NR(New RAT: New Radio Access Technology) 등이라 불려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1)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셀 간 및/또는 셀 내에서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수비학이란, 주파수 방향 및/또는 시간 방향에 있어서의 통신 파라미터(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의 간격(서브 캐리어 간격), 대역폭, 심벌 길이, CP의 시간 길이(CP 길이), 서브 프레임 길이, TTI의 시간 길이(TTI 길이), TTI 당의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필터링 처리, 윈도잉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예를 들면, 15 kHz, 30 kHz, 60 kHz, 120 kHz, 240 kHz 등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서포트되어도 좋다.
유저단말(20)은,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단말(20)은,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는 매크로 셀(C1)과 스몰 셀(C2)을, CA 또는 DC에 의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셀(CC)(예를 들면, 2개 이상의 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유저단말은, 복수의 셀로서 라이선스 밴드 CC와 언라이선스 밴드 CC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유저단말(20)은, 각 셀에서,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 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DD의 셀, FDD의 셀은, 각각, TDD 캐리어(프레임 구성 타입 2), FDD 캐리어(프레임 구성 타입 1)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각 셀(캐리어)에서는, 단일의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으며, 복수의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다.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5 GHz, 5 GHz, 30∼70 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무선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무선기지국(12) 사이)는, 유선 접속(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gNB(gNodeB), 송수신 포인트(TRP),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eNB, gN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단말(20)은, LTE, LTE-A, 5G, NR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을 포함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20)은, 다른 유저단말(20)과의 사이에서 단말 간 통신(D2D)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 링크(DL)에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적용되고, 상향 링크(UL)에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진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UL에서의 OFDMA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멀티 캐리어 파형(예를 들면, OFDM 파형)이 이용되어도 좋으며, 싱글 캐리어 파형(예를 들면, DFT-s-OFDM 파형)이 이용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DL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DL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L 데이터 채널 등이라고도 한다),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나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이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L1/L2 제어 채널은, DL 제어 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벌 수가 전송된다. EPDCCH는, PDSCH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과 마찬가지로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PHICH, PDCCH, EPDCCH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의 재송 제어 정보(ACK/NACK)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UL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UL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향 공유 채널 등이라고도 한다), 상향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가 전송된다. DL 신호의 재송 제어 정보(A/N)나 채널 상태 정보(CSI)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는, PUSCH 또는 PUCCH에 의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DL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신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로 전송된다. 또, 하향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UL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UL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UL 신호에 포함되는 UL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 처리나,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나,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접 무선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103)는, 유저단말(20)에 대해 DL 신호(DL 데이터 신호, DL 제어 신호(DCI), DL 참조 신호,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 SIB, MIB)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송신하고, 해당 유저단말(20)로부터의 UL 신호(UL 데이터 신호, UL 제어 신호, UL 참조 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상향 공유 채널(예를 들면, PUSCH) 또는 상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쇼트 PUCCH 및/또는 롱 PUCCH)을 이용하여, 유저단말(20)로부터의 UCI를 수신한다. 해당 UCI는, DL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의 HARQ-ACK, CSI, SR, 빔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빔 인덱스(BI)), 버퍼 스테이터스 리포트(BSR)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103)는, 상향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향 제어 정보를 수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103)는, 상기 상향 제어 채널용 하나 이상의 리소스(PUCCH 리소스)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를 송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103)는, 상향 제어 채널용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예를 들면, ARI)을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기지국(1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01)는, 무선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의한 DL 신호의 생성이나, 맵핑부(303)에 의한 DL 신호의 맵핑,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의한 UL 신호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복조 등), 측정부(305)에 의한 측정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1)는, 유저단말(20)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1)는, 유저단말(20)로부터의 UCI(예를 들면, CSI 및/또는 BI)에 기초하여, DL 데이터 및/또는 상향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 및/또는 재송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롱 PUCCH 및/또는 쇼트 PUCCH)의 구성(포맷)을 제어하고, 해당 상향 제어 채널에 관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PUCCH 리소스를 제어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1)는, 유저단말(20)에 통지하는 하나 이상의 PUCCH 리소스를 결정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결정된 PUCCH 리소스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의 생성 및 송신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301)는, 다른 수의 PUCCH 리소스를 적어도 나타내는 복수의 인덱스 값 중에서, 시스템 정보 내에 포함시키는 인덱스 값을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301)는, 셀 내의 유저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해당 인덱스 값을 결정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상향 제어 채널의 포맷에 기초하여, 유저단말(20)로부터의 UCI의 수신 처리를 수행하도록, 수신신호 처리부(304)를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DL 신호(DL 데이터 신호, DL 제어 신호, DL 참조 신호를 포함)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할 수 있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DL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03)로 출력한다. 맵핑부(3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유저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UL 신호(예를 들면, UL 데이터 신호, UL 제어 신호, UL 참조 신호를 포함)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신호나,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해도 좋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제어부(301)로부터 지시되는 상향 제어 채널 구성에 기초하여, UCI의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3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305)는, 예를 들면, UL 참조 신호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및/또는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에 기초하여, UL의 채널 품질을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단말〉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단말(20)은, MIMO 전송을 위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각각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각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DL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나,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을 수행한다. DL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브로드캐스트 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한편, UL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의 송신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나, 채널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쳐,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이 이루어져 각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UCI에 대해서도, 채널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쳐, DFT 처리, IFFT 처리의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어 각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또, 송수신부(203)는, 유저단말(20)에 대해 DL 신호(DL 데이터 신호, DL 제어 신호(DCI), DL 참조 신호,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 SIB, MIB)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수신하고, 해당 유저단말(20)로부터의 UL 신호(UL 데이터 신호, UL 제어 신호, UL 참조 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상향 공유 채널(예를 들면, PUSCH) 또는 상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쇼트 PUCCH 및/또는 롱 PUCCH)을 이용하여, 무선기지국(10)에 대해, UCI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상향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상향 제어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203)는, 상기 상향 제어 채널용 하나 이상의 리소스(PUCCH 리소스)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를 수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203)는, 상향 제어 채널용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예를 들면, ARI)을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할 수 있다. 또,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의한 UL 신호의 생성이나, 맵핑부(403)에 의한 UL 신호의 맵핑,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의한 DL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405)에 의한 측정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의 명시적 지시 또는 유저단말(20)에 있어서의 묵시적 결정에 기초하여, 유저단말(20)로부터의 UCI의 송신에 이용하는 상향 제어 채널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상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롱 PUCCH 및/또는 쇼트 PUCCH)의 구성(포맷)을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상향 제어 채널의 포맷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폴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UCI의 송신에 이용하는 PUCCH 포맷(상향 링크 제어 채널의 포맷)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되는 정보, 하향 제어 정보, 묵시값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UCI의 송신에 이용하는 PUCCH 리소스를 결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1)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의 셋업 전에, 상향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UCI를 송신하는 경우,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RMSI) 내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UCI의 송신에 이용되는 상기 상향 제어 채널용 리소스를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401)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인덱스 값이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PUCCH 리소스 중에서, 하향 제어 정보 내의 비트 값 및 묵시값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 정보의 송신용 리소스를 결정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소정의 대역폭에 기초하는 값 또는 0인 셀 고유 PRB 오프셋(제1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대역폭 내에서 주파수 홉핑하는 상향 제어 채널용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해도 좋다.
해당 소정의 대역폭은, 초기 액세스 BWP(유저단말(20)의 초기 액세스에 이용되는 대역폭 부분)를 구성하는 소정 수의 물리 리소스 블록이어도 좋다.
셀 고유 PRB 오프셋 값은, 2 값 또는 4 값을 가져도 좋다. 제어부(401)는, 셀 고유 PRB 오프셋 값이 2 값 또는 상기 4 값의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사양(미리 규정된 테이블), 상기 상향 제어 채널의 기간, 상기 소정의 대역폭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셀 고유 PRB 오프셋 값과, 하향 제어 정보 내의 인덱스 값 및 묵시값의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UE 고유 PRB 오프셋 값(제2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 채널용 상기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시스템 정보 내의 인덱스 값(예를 들면, RMSI 인덱스)에 기초하여,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는 테이블(예를 들면, 도 3, 8, 9)로부터의, PUCCH 리소스의 취득을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DCI 내의 인덱스 값(예를 들면, ARI)에 기초하여,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는 테이블(예를 들면, 도 2a, 2b, 10)로부터의, PUCCH 리소스의 취득을 제어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UL 신호(UL 데이터 신호, UL 제어 신호, UL 참조 신호, UCI를 포함)를 생성(예를 들면, 부호화, 레이트 매칭, 펑쳐, 변조 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할 수 있다.
맵핑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402)에서 생성된 UL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203)로 출력한다. 맵핑부(4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DL 신호(DL 데이터 신호, 스케줄링 정보, DL 제어 신호, DL 참조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무선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알림 정보,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등의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한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물리 레이어 제어 정보(L1/L2 제어 정보)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405)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의 참조 신호(예를 들면, CSI-RS)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한, 채널 상태의 측정은, CC마다 수행되어도 좋다.
측정부(4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등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을 이용하여,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에 의해 실장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를 통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 등은,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 있어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에 의해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마다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 예)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벌은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여도 좋다.
또한,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또,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은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또는 TTI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송신전력 등)를,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 워드의 송신 시간 단위여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 워드가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는, 통상 TTI(LTE Rel. 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또는 롱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려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또는, 서브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 TTI의 길이어도 좋다. 1 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 당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를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인 통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으로(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 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또는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eNB', 'gNB',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및 '컴포넌트 캐리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및/또는 이동국은, 송신장치, 수신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단말 간(D2D: Device-to-Device)의 통신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 및 '하향' 등의 문언은, '사이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 대체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20)이 갖는 기능을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한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이라도, 논리적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라 대체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2개의 요소가 접속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또는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된다' 등의 용어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있어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Claims (7)

  1. 단말에 있어서,
    제1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하향 제어 정보 내의 소정 필드 값 및 제어 채널 요소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제2 오프셋 값과 상기 제1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하는 상향 제어 채널용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프셋 값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에 이용되는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 물리 리소스 블록에 기초하는 값에 플로어(floor) 함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단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향 제어 정보 내의 소정 필드 값 및 상기 제어 채널 요소의 상기 인덱스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 채널에 대한 초기 순회 시프트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말.
  5. 기지국에 있어서,
    제1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하향 제어 정보 내의 소정 필드 값 및 제어 채널 요소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제2 오프셋 값과 상기 제1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주파수 리소스 내에서, 주파수 호핑된 상향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프셋 값은, 단말의 초기 액세스에 이용되는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 물리 리소스 블록에 기초하는 값에 플로어(floor) 함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기지국.
  6.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하향 제어 정보 내의 소정 필드 값 및 제어 채널 요소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제2 오프셋 값과, 상기 제1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하는 상향 제어 채널용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제1 오프셋 값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에 이용되는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 물리 리소스 블록에 기초하는 값에 플로어(floor) 함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7. 기지국과 단말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제1 오프셋 값을 나타내는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하향 제어 정보 내의 소정 필드 값 및 제어 채널 요소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제2 오프셋 값과, 상기 제1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주파수 리소스에서, 주파수 호핑된 상향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갖고,
    상기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2 오프셋 값과, 상기 제1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하는 상향 제어 채널용 주파수 리소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1 오프셋 값은, 상기 단말의 초기 액세스에 이용되는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 물리 리소스 블록에 기초하는 값에 플로어(floor) 함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시스템.
KR1020207029908A 2018-03-30 2018-03-30 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560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13967 WO2019187149A1 (ja) 2018-03-30 2018-03-30 ユーザ端末及び無線基地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179A KR20200139179A (ko) 2020-12-11
KR102560095B1 true KR102560095B1 (ko) 2023-07-26

Family

ID=6805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908A KR102560095B1 (ko) 2018-03-30 2018-03-30 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18308B2 (ko)
EP (1) EP3780795A4 (ko)
JP (1) JP7108021B2 (ko)
KR (1) KR102560095B1 (ko)
CN (1) CN112205047A (ko)
BR (1) BR112020020124A2 (ko)
RU (1) RU2765426C1 (ko)
WO (1) WO2019187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9934B2 (ja) 2017-08-10 2022-12-1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改善された制御チャネル監視
KR102560095B1 (ko) * 2018-03-30 2023-07-26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CN113395714B (zh) * 2020-03-12 2023-10-3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跳频的方法和系统、终端和基站
CN115334654A (zh) * 2021-05-10 2022-1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8986B2 (en) * 2011-08-12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lost resource allocation synchroniz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UE) and an evolved node B (eNodeB)
US9723592B2 (en) * 2011-10-13 2017-08-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method and evolved node B for receiving uplink signal
US9055569B2 (en) 2012-06-29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hybrid acknowledgement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5781028B2 (ja) * 2012-07-23 2015-09-1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4025150A1 (ko) * 2012-08-06 2014-02-13 주식회사 케이티 송수신포인트의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그 송수신포인트,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자원 매핑방법, 그 단말
JP6062742B2 (ja) * 2013-01-09 2017-01-18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
CN106537999B (zh) * 2014-04-08 2019-08-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支持无线资源的使用的改变的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EP3264843B1 (en) * 2015-03-27 2019-06-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User equipment,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EP3297368B1 (en) * 2015-07-17 2024-06-05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3319383B1 (en) * 2015-08-14 2020-05-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related apparatus
WO2018119749A1 (en) * 2016-12-28 2018-07-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to support ul transmission on multiple numerologies in nr system
KR102603814B1 (ko) * 2017-01-06 2023-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483810B2 (en) * 2017-04-03 2022-10-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resource configu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283583B2 (en) * 2018-02-14 2022-03-2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772074B2 (en) * 2018-02-16 2020-09-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reporting sub-band channel quality indicator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KR102560095B1 (ko) * 2018-03-30 2023-07-26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2416*
3GPP R1-18035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8308B2 (en) 2022-08-16
EP3780795A1 (en) 2021-02-17
JP7108021B2 (ja) 2022-07-27
KR20200139179A (ko) 2020-12-11
CN112205047A (zh) 2021-01-08
BR112020020124A2 (pt) 2021-01-26
WO2019187149A1 (ja) 2019-10-03
EP3780795A4 (en) 2021-11-24
JPWO2019187149A1 (ja) 2021-03-25
RU2765426C1 (ru) 2022-01-31
US20210028907A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043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425140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129741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436429B1 (ko) 유저단말, 무선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345014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07478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12104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11630821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7237935B2 (ja) 端末、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7181672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121031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383481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KR102461724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560095B1 (ko) 단말,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JP712974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WO201915923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AU2018421847B2 (en) User terminal
JP710802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KR20240058950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WO201919373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AU2018422906B2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2543540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230025031A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730562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234139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