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85B1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85B1
KR102559685B1 KR1020180165395A KR20180165395A KR102559685B1 KR 102559685 B1 KR102559685 B1 KR 102559685B1 KR 1020180165395 A KR1020180165395 A KR 1020180165395A KR 20180165395 A KR20180165395 A KR 20180165395A KR 102559685 B1 KR102559685 B1 KR 10255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al
microphones
vehicle
channels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365A (ko
Inventor
김영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85B1/ko
Priority to US16/424,006 priority patent/US10757525B2/en
Publication of KR2020007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7Two-channel systems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10K11/17823Reference signals, e.g. ambient acoustic environ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7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 G10K11/17879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using both a reference signal and an error signal
    • G10K11/17883General system configurations using both a reference signal and an error signal the reference signal being derived from a machine operating condition, e.g. engine RPM or vehicle spe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1/0232Processing in the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vehicle position or surrounding, e.g. GPS-based position or tu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3Attenuation of the light according to ambient luminiosity, e.g. for braking or direction indicat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021/02082Noise filtering the noise being echo, reverberation of the spee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5Aspects of sound capture and related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or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외부 단말장치의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에 사용자의 신체 특성 및 재생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변조를 수행하여 원음에 가까운 음향을 출력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스피커;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부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하고, 상기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의 음향을 원음에 가깝게 출력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하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녹음된 음향이 원음과 차이가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녹음된 음향이 원음과 달라지는 것은, 음향의 녹음을 위해 사용되는 마이크가 하나임에 반해 음향을 청취하는 사용자의 귀는 두 개라는 점에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음향은, 사용자의 머리 또는 귀 모양에 따라 반사 또는 회절을 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반사 또는 회절 없이 녹음된 음향을 원음과 다르게 느낄 수 있다.
또한, 녹음된 음향이 재생되는 경우, 재생되는 공간의 특성이 녹음된 음향에 반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녹음된 음향을 원음과 다르게 느낄 수 있다.
외부 단말장치의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에 사용자의 신체 특성 및 재생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변조를 수행하여 원음에 가까운 음향을 출력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스피커;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부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하고, 상기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르면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동일해지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음향 신호의 세기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의 차이 값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이 값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에 대한 음원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차이 값에 비례하여 음향 신호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멀어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가까워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머리전달함수를 합성(Convolution)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Dereverberation)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상태는, 상기 차량의 속도, 상기 차량의 가속도, 상기 차량의 진동 여부, 복수의 윈도우 각각의 개폐 여부, 공조 장치의 동작 여부 및 복수의 좌석 각각에의 탑승자 탑승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부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하고; 상기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르면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동일해지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음향 신호의 세기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의 차이 값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이 값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에 대한 음원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판단된 차이 값에 비례하여 음향 신호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멀어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가까워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머리전달함수를 합성(Convolution)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잔향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Dereverberation)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상태는, 상기 차량의 속도, 상기 차량의 가속도, 상기 차량의 진동 여부, 복수의 윈도우 각각의 개폐 여부, 공조 장치의 동작 여부 및 복수의 좌석 각각에의 탑승자 탑승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외부 단말장치의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에 사용자의 신체 특성 및 재생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변조를 수행함으로써 원음에 가까운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와 차량을 포함하는 음향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복수의 마이크 간 상대 위치 및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상태에 따른 잔향 제거(Dereverberation) 함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 중 변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와 차량을 포함하는 음향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재생 시스템(1)은, 특정 장소에서 음향을 녹음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장치(10)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하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차량(20)을 포함한다.
즉, 음향 재생 시스템(1)의 단말장치(10)는, 차량(20)의 외부에 위치하며, 위치하는 장소에서의 음향을 녹음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장치(10)는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는 각각 음원을 기준으로 좌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 및 음원을 기준으로 우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를 통하여 생성된 음향 신호는,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차량(2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30)와 연결되어 차량(20)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5G(5th Generation),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한 차량(20)은, 수신된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신체 특징 및 차량(20)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조하고, 변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차량(20)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장치(10) 및 차량(20)의 동작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음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110)와, 수신된 음향에 기초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20)와, 생성된 음향 신호, 마이크(110)의 감도(Sensitivity)에 대한 정보 및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차량(20)에 송신하는 통신부(130)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110)는, 복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은, 음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마이크(110)는 감도가 다를 수 있다. 이 때, 마이크의 감도는, 미리 설정된 특정 음파(예: 1Pa 및 1khz의 사인파)를 특정 위치(예: 1m 이격 지점)에서 출력하였을 때 마이크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즉, 마이크의 감도는, 마이크가 음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수음하는 세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의 감도가 높은 마이크로부터 수음된 음향은 마이크의 감도가 낮은 마이크로부터 수음된 음향보다 높은 세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복수의 마이크(110)로부터 수신된 음향에 기초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는 각각 음원을 기준으로 좌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 및 음원을 기준으로 우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생성된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차량(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차량(20)으로부터 음향 신호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20)으로부터 수신된 요청은, 제어부(120)로 전달되며, 제어부(120)는, 요청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 생성을 개시하거나, 생성되어 있는 음향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110) 간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전술한 정보 및 후술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단말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0)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220)과, 통신부(210)를 통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제어부(230)와, 차량(20)의 각종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5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2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단말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단말장치(10)로부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단말장치(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는, 각각 음원을 기준으로 좌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 및 음원을 기준으로 우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이 수음한 음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상대 위치는, 거리, 방향 및 각도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입력부(26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단말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20)은, 차량(20) 외부의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단말장치(10)가 획득한 음향 신호를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20)으로부터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단말장치(10)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20)으로 음향 신호가 송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220)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상태는, 차량(20)의 속도, 차량(20)의 가속도, 차량(20)의 진동 여부, 복수의 윈도우 각각의 개폐 여부, 공조 장치의 동작 여부 및 복수의 좌석 각각에의 탑승자 탑승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모듈(220)은, 차량(20)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각도를 감지하는 조향 휠 센서, 차량(20)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20)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 가속 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속페달 센서, 제동 페달(브레이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동페달 센서, 복수의 윈도우의 개폐 여부를 측정하는 윈도우 위치 센서, 공조 장치의 동작 여부를 측정하는 공조장치 센서 및 좌석 별 시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2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윈도우 위치 센서는, 차량(20)에 마련되는 윈도우 각각에 마련되어 각 윈도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윈도우는, 차량(20)의 각 도어에 마련되는 도어 윈도우 및 차량(20)의 루프에 마련되는 루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조장치 센서는, 풍향 센서 및 전류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공조장치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센서는, 차량(20)에 마련되는 각 좌석에 마련되는 압력 센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좌석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시트 센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시트 측에 마련되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으며, 변조된 음향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차량(20) 내 마련되는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르면,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동일해지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음향 신호의 세기로 동일해지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의 차이 값을 판단하고, 판단된 차이 값 및 복수의 마이크(110)에 대한 음원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판단된 차이 값에 비례하여 음향 신호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멀어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가까워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차량(20)의 통신부(21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음원의 마이크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머리전달함수를 합성(Convolution)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Dereverberation)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20)의 사용자는, 단말장치(10)가 위치하는 특정 지역에서의 음원의 원음과 유사한 음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제어부(23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40)는, 차량(2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0)는, 음향 신호의 변조에 사용되는 머리전달함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머리전달함수는, 음원으로부터 사용자의 좌우 양 측의 귀로 음향 신호가 전달될 때의 특징을 반영한 함수일 수 있다. 즉, 머리전달함수는, 음향이 사용자의 좌우 양 측 각각의 귀로 전달될 때의 회절 또는 반사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주파수 반응을 측정하여 3차원 함수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즉, 머리전달함수는, 좌 측면에 대한 머리전달함수와 우 측면에 대한 머리전달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전달함수가 적용된 음향 신호는, 사람의 신체 특성의 고려없이 복수의 마이크(110)를 통하여 기계적으로 수음된 음향 신호에 사람의 신체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머리전달함수에 의해 변조된 음향 신호를 청취한 사용자는, 음원이 위치하는 장소에서 음향을 듣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는, 표준 사람을 대상으로 측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차량(20)의 상태 별로 대응하는 잔향 제거 함수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240)는, 각각의 차량(20)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 함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잔향 제거 함수는, 차량(20)의 설계 단계에서 각 차량(20)의 상태를 마련해놓은 상태에서 측정된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잔향 제거 함수는, 차량(20)의 상태에 따라 차량(20)의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의 반대 위상을 갖는 음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차량(20)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에 잔향 제거 함수를 합성함으로써,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차량(20)의 상태에 따른 소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40)는 전술한 정보 및 후술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30)로부터 전달받은 변조되고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차량(20) 내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20)의 사용자는, 원음에 가까운 음향 신호를 청취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가 위치하는 장소에서 원음을 듣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250)는, 차량(2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차량(20)의 사용자가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위치이면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260)는, 차량(20)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60)는, 차량(20)의 사용자로부터 차량(20)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10)로 음향 신호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로 음향 신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20)으로부터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단말장치(10)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20)으로 음향 신호가 송신될 수도 있다.
이 때, 입력부(260)는, 대시보드(미도시)의 중앙에 설치된 센터페시아(미도시)에 마련될 수 있으며,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된 입력부(260)는 차량(20)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미도시) 상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입력부(260)의 위치 및 구현 방식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 및 구현 방식이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복수의 마이크(110) 간 상대 위치 및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의 상태에 따른 잔향 제거 함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복수의 마이크(110)를 이용하여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410). 이 때, 단말장치(10)의 제어부(120)는, 수신된 음향에 대응하는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는, 음원을 기준으로 좌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 및 음원을 기준으로 우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를 각각 하나의 채널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음향 신호, 마이크(110)의 감도 및 상대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420).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는, 복수의 마이크(110)를 통하여 획득한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이 수음한 음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상대 위치는, 거리, 방향 및 각도로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는, 단말장치(10)의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는, 복수의 마이크(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마이크(110)는, 단말장치(10)의 일 측에 마련되는 제1 마이크(111) 및 다른 측에 마련되는 제2 마이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는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 마이크(111)는, 영상통화를 위하여 마련되는 마이크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2 마이크(112)는, 음성통화를 위하여 마련되는 마이크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원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마이크를 마련할 수 있는 전자장치이면 제한 없이 단말장치(10)로 이용될 수 있다.
단말장치(10)의 저장부(140)는,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예: 도 5의 "d")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예: 도 5의 "-AdB" 및 "-BdB")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마이크의 감도 및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430).
즉, 차량(20)의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르면,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동일해지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음향 신호의 세기로 동일해지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즉, 제1 마이크(111)의 감도(?AdB)가 제2 마이크(112)의 감도(-BdB) 보다 낮은 경우, 제1 마이크(111)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는 제2 마이크(112)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와의 세기가 동일해지도록 변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마이크의 감도 차이에 따른 각 채널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다. 이는, 차량(20)의 사용자가 단말장치(10)가 위치하는 장소에 위치하여 음향을 청취하는 경우, 사용자의 좌 측면 및 우 측면의 귀의 감도가 다르지 않음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의 차이 값을 판단하고, 판단된 차이 값 및 복수의 마이크(110)에 대한 음원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판단된 차이 값에 비례하여 음향 신호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제1 마이크(111)를 기준으로 제2 마이크(112)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음원으로부터 제2 마이크(112)가 멀어지면 즉, 음원이 제1 마이크(111) 측에 있으면, 제2 마이크(112)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제1 마이크(111)를 기준으로 제2 마이크(112)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음원으로부터 제2 마이크(112)가 가까워지면 즉, 음원이 제2 마이크(112) 측에 있으면, 제2 마이크(112)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차량(20)의 통신부(21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음원의 마이크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에 차량(20)의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변조된 음향 신호는, 사용자가 원음을 들을 때와 유사한 음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머리전달함수를 합성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머리전달함수는, 음원으로부터 사용자의 좌우 양 측의 귀로 음향 신호가 전달될 때의 특징을 반영한 함수일 수 있다. 즉, 머리전달함수는, 음향이 사용자의 좌우 양 측 각각의 귀로 전달될 때의 회절 또는 반사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주파수 반응을 측정하여 3차원 함수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즉, 머리전달함수는, 좌 측면에 대한 머리전달함수와 우 측면에 대한 머리전달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전달함수가 적용된 음향 신호는, 사람의 신체 특성의 고려없이 복수의 마이크(110)를 통하여 기계적으로 수음된 음향 신호에 사람의 신체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머리전달함수에 의해 변조된 음향 신호를 청취한 사용자는, 음원이 위치하는 장소에서 음향을 듣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440).
즉, 차량(20)의 제어부(230)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센서 모듈(220)로부터 감지됨 현재의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 함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차량의 상태 별 잔향 제거 함수 중 현재의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 함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잔향 제거 함수를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 적용 즉, 합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저장부(240)는, 차량의 상태 별 잔향 제거 함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차량(20)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 함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잔향 제거 함수는, 차량(20)의 설계 단계에서 각 차량(20)의 상태를 마련해놓은 상태에서 측정된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잔향 제거 함수는, 차량(20)의 상태에 따라 차량(20)의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의 반대 위상을 갖는 음향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차량(20)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에 잔향 제거 함수를 합성함으로써,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차량(20)의 상태에 따른 소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윈도우 개폐 여부 및 탑승자 탑승 여부에 기초하여 잔향 제거 함수가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잔향 제거 함수의 선택의 기준이 되는 차량(20)의 상태는, 차량(20)의 속도, 차량(20)의 가속도, 차량(20)의 진동 여부, 복수의 윈도우 각각의 개폐 여부, 공조 장치의 동작 여부 및 복수의 좌석 각각에의 탑승자 탑승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450). 이를 통해, 차량(20)의 사용자는, 단말장치(10)가 위치하는 특정 지역에서의 음원의 원음과 유사한 음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차량(20)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20)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차량(20)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의 제어방법 중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복수의 마이크(11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로부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 및 상대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710).
구체적으로, 차량(20)의 통신부(210)는, 단말장치(10)로부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단말장치(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는, 각각 음원을 기준으로 좌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 및 음원을 기준으로 우 측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획득된 음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이 수음한 음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상대 위치는, 거리, 방향 및 각도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720).
즉, 차량(20)의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르면,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동일해지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음향 신호의 세기로 동일해지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의 차이 값을 판단하고, 판단된 차이 값 및 복수의 마이크(110)에 대한 음원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30)는, 판단된 차이 값에 비례하여 음향 신호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멀어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의 마이크(110)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가까워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이 때, 차량(20)의 통신부(21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음원의 마이크에 대한 상대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머리전달함수를 합성하여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센서 모듈(220)의 출력에 기초하여 차량(2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730).
이 때, 차량(20)의 상태는, 차량(20)의 속도, 차량(20)의 가속도, 차량(20)의 진동 여부, 복수의 윈도우 각각의 개폐 여부, 공조 장치의 동작 여부 및 복수의 좌석 각각에의 탑승자 탑승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740).
즉, 차량(20)의 제어부(230)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마이크(110)의 감도, 복수의 마이크(110)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차량(20)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20)은,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750).
이를 통해, 차량(20)의 사용자는, 단말장치(10)가 위치하는 특정 지역에서의 음원의 원음과 유사한 음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단말장치 20: 차량
30: 네트워크 110: 마이크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210: 통신부
220: 센서 모듈 230: 제어부
240: 저장부 250: 스피커
260: 입력부

Claims (20)

  1. 스피커;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부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하고, 상기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의 차이 값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이 값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에 대한 음원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르면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동일해지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음향 신호의 세기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차이 값에 비례하여 음향 신호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멀어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가까워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머리전달함수를 합성(Convolution)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Dereverberation)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는,
    상기 차량의 속도, 상기 차량의 가속도, 상기 차량의 진동 여부, 복수의 윈도우 각각의 개폐 여부, 공조 장치의 동작 여부 및 복수의 좌석 각각에의 탑승자 탑승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1. 스피커,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말장치로부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 및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하고;
    상기 잔향이 제거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간의 상대 위치와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의 차이 값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차이 값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에 대한 음원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의 감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의 감도가 서로 다르면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동일해지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간의 세기가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음향 신호의 세기로 동일해지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판단된 차이 값에 비례하여 음향 신호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멀어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상기 미리 설정된 좌우 고막 간 상대 위치만큼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가 가까워지면 상기 다른 하나의 마이크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머리전달함수를 합성(Convolution)하여 상기 두 개의 채널을 갖는 음향 신호를 변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잔향을 제거하는 것은,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 제거(Dereverberation)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향 신호에서 상기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는 잔향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는,
    상기 차량의 속도, 상기 차량의 가속도, 상기 차량의 진동 여부, 복수의 윈도우 각각의 개폐 여부, 공조 장치의 동작 여부 및 복수의 좌석 각각에의 탑승자 탑승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80165395A 2018-12-19 2018-12-1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5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395A KR102559685B1 (ko) 2018-12-19 2018-12-1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6/424,006 US10757525B2 (en) 2018-12-19 2019-05-28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395A KR102559685B1 (ko) 2018-12-19 2018-12-1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365A KR20200076365A (ko) 2020-06-29
KR102559685B1 true KR102559685B1 (ko) 2023-07-27

Family

ID=7109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395A KR102559685B1 (ko) 2018-12-19 2018-12-19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57525B2 (ko)
KR (1) KR102559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5682B (zh) * 2020-11-10 2024-04-16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降噪系统、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8806A1 (en) * 2010-07-08 2012-01-1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audio system with headrest incorporated loudspeakers
JP2017171095A (ja) * 2016-03-23 2017-09-2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通話システム
US20180262837A1 (en) * 2015-09-30 2018-09-13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26B1 (ko) * 2007-11-19 2014-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다채널 사운드 획득 방법 및장치
JP5144619B2 (ja) * 2009-09-30 2013-02-13 Ckd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9516417B2 (en) * 2013-01-02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oundary binaural microphone array
US20150365743A1 (en) * 2014-06-14 2015-12-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luding sound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into a vehicle audio system
US20170229136A1 (en) * 2015-02-16 2017-08-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ehicle-mounted sound processing device
JP6996501B2 (ja) * 2016-05-11 2022-01-17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10390136B2 (en) * 2016-12-13 2019-08-20 Yamaha Corporation Howling suppression device and howling suppression method
US10272840B2 (en) * 2017-08-31 2019-04-30 Karen Schmahl Communication device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8806A1 (en) * 2010-07-08 2012-01-1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audio system with headrest incorporated loudspeakers
US20180262837A1 (en) * 2015-09-30 2018-09-13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7171095A (ja) * 2016-03-23 2017-09-2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通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365A (ko) 2020-06-29
US20200204940A1 (en) 2020-06-25
US10757525B2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6203B (zh) 确定和使用房间优化传输函数
JP5857071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101386360B1 (ko) 오디오 채널 보상을 갖는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
EP3103269B1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binaural signal
EP1571884A2 (en) Sou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2725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mposing an Input Signal Using a Downmixer
US20090192707A1 (en) Audio Guide Device, Audio Guide Method, And Audio Guide Program
US9769585B1 (en) Positioning surround sound for virtual acoustic presence
EP3691299A1 (en) Accoustical listening area mapping and frequency correction
JP7049803B2 (ja) 車載装置および音声出力方法
US20230254659A1 (en) Recording and rendering audio signals
CN108737930B (zh) 车辆导航系统中的可听提示
KR10255968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EP2941770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stereo signal
US201801677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hone call in a vehicle
CN114220454A (zh) 一种音频降噪方法、介质和电子设备
US20230421982A1 (en) Sound processing system and sound processing method
US11778408B2 (en) System and method to virtually mix and audition audio content for vehicles
US202401471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sound in a space
WO2017203688A1 (ja) 車載オーディオ消費電力抑制装置及び車載オーディオ装置
JP7294561B2 (ja) 情報呈示装置、情報呈示方法および情報呈示プログラム
EP4236376A1 (en) Loudspeaker control
US20230012320A1 (en) Signal generating apparatus, vehicle,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generating signals
US20230386495A1 (en) Sound processing method, sound processing apparatus and sound processing system
JP2009027331A (ja) 音場再現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