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45B1 -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45B1
KR102559645B1 KR1020210062348A KR20210062348A KR102559645B1 KR 102559645 B1 KR102559645 B1 KR 102559645B1 KR 1020210062348 A KR1020210062348 A KR 1020210062348A KR 20210062348 A KR20210062348 A KR 20210062348A KR 102559645 B1 KR102559645 B1 KR 10255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flow
flow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869A (ko
Inventor
권재국
Original Assignee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기술정보 (주) filed Critical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to KR102021006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전자태그(10)를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태깅하거나 사용자가 정보관리앱(20)을 실행하는 앱실행단계(S10)와, 정보관리앱(20)의 고정정보조회모듈(21)을 실행하고 전자태그(10)의 메모리에 기저장 되어 있는 고정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고정정보조회단계(S2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을 실행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는 유동정보조회요청단계(S30)와, 시설정보서버(30)의 유동정보추출모듈(31)에서 해당 전자태그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 되어 있는 유동정보를 추출하고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유동정보추출단계(S4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이 전송받은 유동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유동정보조회단계(S5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실행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는 유동정보변경요청단계(S6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통해 변경된 유동정보를 입력하고 시설정보서버(30)에 전송하는 유동정보변경단계(S70)와, 시설정보서버(30)의 유동정보갱신모듈(32)에서 해당 전자태그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변경된 유동정보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유동정보갱신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맨홀이나 제수변 시설정보를 고정정보 및 유동정보로 이원화하여 간편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MANHOLE OR REGULATING VALVE}
본 발명은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이나 제수변이 설치된 현장에서 지하 시설물에 관한 고정정보 및 유동정보를 간편하게 조회 및 변경하여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이나 제수변의 지하에는 도시가스관, 상·하수관, 난방 관로, 및 각종 밸브 등의 시설물이 매립되어 있으며, 지상에는 이들 시설물의 종류나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맨홀이나 매설관로의 개폐를 위한 제수변 등이 설치된다.
통상적인 맨홀 및 제수변 시설물에 대한 정보는 맨홀이나 제수변에 정보를 각인하는 형태, 또는 표지기 등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15165 호에는 맨홀 덮개본체 상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에는 그 표면에 문자표시부를 갖는 링형의 표지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덮개본체의 중앙부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 내측에 표지판이 고정 설치되는 분리형 표지부를 갖는 맨홀덮개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37024 호에는 맨홀 베이스부와, 맨홀 베이스부에 재치되는 중간 뚜껑과, 중간 커버에 재치되는 맨홀뚜껑을 구비하며, 맨홀 뚜껑의 중앙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볼트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에는 RFID 태그 내장부가 맨홀 뚜껑과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RFID 태그가 내장되어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유지, 관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안전맨홀을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834001 호에는 맨홀덮개와 이 맨홀덮개가 결합되는 맨홀받침으로 구성되는 맨홀에 있어서, 맨홀받침의 일측에, 몸체 상면으로 알림표시면이 형성된 표시부재가 결합되고, 몸체의 내측에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한 RFID 태그가 저장되어 이루어지도록 하고, 표시부재의 몸체 상면에 홈이 형성되어 홈에 RFID 태그가 삽입되고 그 상면에 알림표시면을 갖는 덮개판이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표시부재를 구성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15165 호 (2003.06.0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437024 호 (2007.10.29) 한국등록특허 제 10 - 0834001 호 (2008.05.30)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31873 호 (2013.11.21)
상기와 같이 도시가스관, 상·하수관, 난방 관로, 및 각종 밸브 등의 맨홀이나 제수변 시설물에 대한 정보는 맨홀이나 제수변 또는 표지기를 이용해 제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정보 제공은 맨홀이나 제수변에 문자 등을 각인하여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바, 예컨대 관로의 종류나 방향 등의 단순 정보만 확인 가능한 수준에 그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맨홀 커버의 일측이나 제수변 임의 부분에 전자태그를 탑재하는 표지기를 설치하여 시설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바, 종래의 전자태그 방식의 표지기는 관리기관에서 전자태그의 메모리에 맨홀 시설물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예컨대 관로의 형태나 심도, 관경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현장에 설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맨홀이나 제수변의 시설정보는 일반적인 정보 외에도 압력, 밸브개폐상태, 맨홀 및 관로의 세척, 시설물의 유지보수 이력 등과 같이 수시로 변경되는 정보 역시 관리해주어야 하는바,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가 현장에 출동하여 기존 전자태그를 교체하거나 별도의 전자태그 전용 장치를 이용해 시설정보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정보의 변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맨홀이나 제수변 시설정보의 특성상 종래와 같은 관리 방식은 작업성은 물론, 정보 관리상의 효율성, 신뢰성, 안전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맨홀 또는 제수변에 탑재하는 전자태그(10)와,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설치하고 전자태그(10) 및 시설정보서버(30)와 무선통신으로 접속하는 정보관리앱(20)과, 관리기관에 구축되는 시설정보서버(30)를 연동하여 맨홀 및 제수변의 시설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태그(10)를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태깅하거나 사용자가 정보관리앱(20)을 실행하는 앱실행단계(S10)와,
정보관리앱(20)의 고정정보조회모듈(21)을 실행하고 전자태그(10)의 메모리에 기저장 되어 있는 고정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고정정보조회단계(S2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을 실행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는 유동정보조회요청단계(S30)와,
시설정보서버(30)의 유동정보추출모듈(31)에서 해당 전자태그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 되어 있는 유동정보를 추출하고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유동정보추출단계(S4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이 전송받은 유동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유동정보조회단계(S5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실행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는 유동정보변경요청단계(S6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통해 변경된 유동정보를 입력하고 시설정보서버(30)에 전송하는 유동정보변경단계(S70)와,
시설정보서버(30)의 유동정보갱신모듈(32)에서 해당 전자태그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변경된 유동정보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유동정보갱신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맨홀이나 제수변의 시설정보를 고정정보 및 유동정보로 이원화하여 간편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맨홀이나 제수변이 설치된 현장에서 맨홀이나 제수변의 시설정보를 간편하게 조회 및 변경하여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맨홀 및 제수변의 시설정보를 고정정보 및 유동정보로 이원화하여 관리하도록 구성하되, 고정정보, 즉 관로형태, 이격거리, 심도, 관경, 재질, 관리기관 등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최초 설치 이후 변동 사항이 없는 정보는 전자태그에 저장하여 조회하도록 구성하고, 유동정보, 예컨대 압력, 밸브개폐상태, 맨홀 및 관로의 세척, 시설물의 유지보수 이력 등 수시로 변경되는 정보는 현장 작업자의 요청 작업 단계별 코드 검증 절차를 거쳐 시설정보서버에서 정보를 변경 및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의 효율성 및 안전성,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의 플로우 차트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의 실시를 위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의 플로우 차트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의 실시를 위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은 맨홀 또는 제수변에 탑재하는 전자태그(10)와,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설치하고 전자태그(10) 및 시설정보서버(30)와 무선통신으로 접속하는 정보관리앱(20)과, 관리기관에 구축되는 시설정보서버(30)를 연동하여 구성하고 맨홀 및 제수변의 지하 시설물에 관한 고정정보 및 유동정보를 현장에서 보다 간편하게 조회 및 변경하여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은 앱실행단계(S10)와, 고정정보조회단계(S20)와, 유동정보조회요청단계(S30)와, 유동정보추출단계(S40)와, 유동정보조회단계(S50)와, 유동정보변경요청단계(S60)와, 유동정보변경단계(S70)와, 유동정보갱신단계(S80)를 포함하여 맨홀이나 제수변의 시설정보를 관리하도록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전자태그(10)는 지하 시설물에 출입하도록 마련된 맨홀에 구비되는 맨홀 커버의 일측이나 밸브의 개폐를 위한 제수변 임의 부분에 설치되며, 예컨대 대부분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과 간편하게 연동 가능하고 메모리칩을 포함하는 NFC, RFID 태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관리앱(20)은 현장 작업자, 즉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 근거리 및 원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태그(10) 및 시설정보서버(30)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정보관리앱(20)에는 고정정보조회모듈(21), 유동정보조회모듈(22),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에 대한 고정정보 및 유동정보를 표시, 입력 및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시설정보서버(30)는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기관에 설치하여 맨홀이나 제수변 시설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관리앱(20)이 설치되는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시설정보서버(30)에는 유동정보추출모듈(31), 유동정보갱신모듈(32), 1차코드처리모듈(33), 2차코드처리모듈(34)을 포함하여 상기 정보관리앱(20)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유동정보를 제공 및 변경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에 따라서 관리되는 정보는 크게 고정정보와 유동정보로 구분한다.
상기 고정정보는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관로형태, 이격거리, 심도, 관경, 재질, 관리기관을 포함한다. 고정정보는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을 최초 설치 이후에 변경되지 않는 정보로서 맨홀이나 제수변의 전자태그(10)의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예컨대 상용통신망 등이 두절되거나 사용 불가 상태에서도 필수적으로 제공 가능한 정보들로 구성한다.
상기 관로형태는 맨홀이나 제수변의 지하에 매립되어 있어 지상에서 육안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관로의 매설형태 정보이다.
상기 이격거리 및 심도는 맨홀에 구비되는 맨홀 커버의 일측이나 밸브의 개폐를 위한 제수변의 임의 부분에 설치하는 전자태그(10)의 위치로부터 실제 시설물까지의 수평 및 수직 이격거리로서 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보이다.
상기 관경 및 재질은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규모 등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도록 제공되는 정보이다.
상기 유동정보는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관로압력, 밸브개폐상태, 맨홀 및 관로의 세척, 시설물의 유지보수 이력 등을 포함한다. 유동정보는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을 설치 이후에도 유지보수 과정에서 수시로 변경되는 정보로서 시설정보서버(30)에 저장 및 갱신되도록 마련하여 맨홀이나 제수변 현장 외의 지역에서도 실시간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관로압력은 예컨대 상수관로와 같이 본관 및 지관으로 공급되는 수압을 조절 가능한 맨홀, 즉 가압맨홀이나 감압맨홀 등의 시설물일 경우 유지보수 과정에서 빈번하게 압력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정보이다.
상기 밸브개폐상태는 밸브를 통과하는 관로의 교체 시 및 관로에 연결되어 있는 상수 사용자의 가구수 등에 공급하는 수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총 회전수 대비 현재 회전수를 산출하여 개폐 상태를 파악하도록 제공되는 정보이다.
상기 맨홀 및 관로의 세척은 하수관로일 경우 맨홀이나 관로내에 퇴적되는 토사 등을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정보들, 즉 누가 언제 세척 및 청소를 시행하였는가 등의 정보이다.
상기 시설물의 유지보수 이력 등은 맨홀이나 제수변 등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점검, 수리 등에 대한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에 대한 고정정보 및 유동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우선 앱실행단계(S10)를 실시한다.
상기 앱실행단계(S10)는 전자태그(10)를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태깅하고 정보관리앱(20)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앱실행단계(S10)에서는 맨홀이나 제수변의 설치 현장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스마트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해 맨홀이나 제수변에 설치된 전자태그(10)를 태깅하여 스마트폰에 설치된 정보관리앱(20)을 실행하여 시설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로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정보조회단계(S20)는 정보관리앱(20)의 고정정보조회모듈(21)을 실행하고 전자태그(10)의 메모리에 기저장 되어 있는 고정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정정보조회단계(S20)에서는 사용자가 정보관리앱(20)의 고정정보조회모듈(21)을 선택하여 전자태그(10) 메모리에 기저장 되어 있는 데이터를 리딩하고 맨홀 및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고정정보, 즉 관로형태, 이격거리, 심도, 관경, 재질, 관리기관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동정보조회요청단계(S30)는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을 실행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동정보조회요청단계(S30)에서는 사용자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을 선택하여 유동정보가 기저장 되어 있는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을 요청하도록 구성하며, 유동정보 조회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31)와, 조회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S3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정보 조회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31)는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을 실행하고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여 전자태그 식별정보와, 사용자에게 기부여된 유동정보 조회요청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유동정보 조회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31)에서는 유동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관리기관에서 부여한 조회요청코드, 예컨대 아이디나 패스워드 등을 시설정보서버(30)에 전송하여 유동정보를 조회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회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S32)는 시설정보서버(30)의 1차코드처리모듈(33)에서 해당 사용자의 조회요청코드를 검증하여 조회 요청을 수락한다.
상기 조회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S32)에서는 관리기관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기부여한 조회요청코드가 저장된 1차코드처리모듈(33)을 통해 전송받은 조회요청코드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비교 검증하여 사용자에게 유동정보의 조회를 수락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게 시설정보서버(30)에 기저장 되어 있는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유동정보 조회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시설정보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상기 유동정보추출단계(S40)는 시설정보서버(30)의 유동정보추출모듈(31)에서 해당 전자태그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 되어 있는 유동정보를 추출하고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동정보추출단계(S40)에서는 유동정보의 조회 요청시 등록된 사용자임이 검증되면 유동정보추출모듈(31)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 되어 있는 해당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유동정보, 즉 관로압력, 밸브개폐상태, 맨홀 및 관로의 세척, 시설물의 유지보수 이력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송신한다.
상기 유동정보조회단계(S50)는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이 전송받은 유동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동정보조회단계(S50)에서는 사용자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을 선택하여 시설정보서버(3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리딩하고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관로압력, 밸브개폐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동정보변경요청단계(S60)는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실행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동정보변경요청단계(S60)에서는 사용자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단계(S50)를 통해 전송받은 유동정보가 현장에서 변경이 발생하여 수정을 해야 할 경우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선택하여 변경된 유동정보를 저장하게 될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을 요청하도록 구성하며, 유동정보 변경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61)와,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S6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정보 변경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61)는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실행하고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여 전자태그 식별정보와, 사용자에게 기부여된 유동정보 변경요청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유동정보 변경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61)에서는 유동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관리기관에서 부여한 변경요청코드, 예컨대 비밀번호 등을 시설정보서버(30)에 전송하여 유동정보의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S62)는 시설정보서버(30)의 2차코드처리모듈(34)에서 해당 사용자의 변경요청코드를 검증하여 변경 요청을 수락한다.
상기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S62)에서는 관리기관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기부여한 변경요청코드가 저장된 2차코드처리모듈(34)을 통해 전송받은 변경요청코드와 상호 일치하는지를 비교 검증하여 사용자에게 유동정보의 변경을 수락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들로 하여금 시설정보서버(30)에 기저장 되어 있는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유동정보 변경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시설정보의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상기 유동정보변경단계(S70)는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통해 변경된 유동정보를 입력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동정보변경단계(S70)에서는 사용자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선택하여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관로압력, 밸브개폐상태 등에 대한 변경된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된 유동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시설정보서버(30)에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동정보갱신단계(S80)는 시설정보서버(30)의 유동정보갱신모듈(32)에서 해당 전자태그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변경된 유동 정보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동정보갱신단계(S80)에서는 유동정보갱신모듈(32)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 되어 있는 해당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에 대한 유동정보를 정보관리앱(20)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로 갱신, 저장하여, 추후 실시 되는 유동정보조회단계(S50)에서는 변경된 유동정보를 즉시 반영하여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은 맨홀이나 제수변의 시설정보를 고정정보 및 유동정보로 이원화하여 관리하도록 구성하여, 맨홀이나 제수변이 설치된 현장에서 사용자가 맨홀 및 제수변의 시설정보를 간편하게 조회 및 변경하여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유지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관로형태, 이격거리, 심도, 관경, 재질, 관리기관 등 맨홀이나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최초 설치 이후 변동 사항이 없는 고정정보는 전자태그(10)에 저장하여 조회하도록 구성하고, 압력, 밸브개폐상태, 맨홀 및 관로의 세척, 시설물의 유지보수 이력 등 수시로 변경되는 유동정보는 현장 작업자의 요청 작업 단계별 코드 검증 절차를 거쳐 시설정보서버(30)에서 정보를 변경 및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의 효율성 및 안전성,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전자태그 20: 정보관리앱
21: 고정정보조회모듈 22: 유동정보조회모듈
23: 유동정보변경모듈 30: 시설정보서버
31: 유동정보추출모듈 32: 유동정보갱신모듈
33: 1차코드처리모듈 34: 2차코드처리모듈
S10: 앱실행단계 S20: 고정정보조회단계
S30: 유동정보조회요청단계
S31: 유동정보 조회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S32: 조회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 S40: 유동정보추출단계
S50: 유동정보조회단계 S60: 유동정보변경요청단계
S61: 유동정보 변경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S62: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
S70: 유동정보변경단계 S80: 유동정보갱신단계

Claims (3)

  1. 맨홀 또는 제수변에 탑재하는 전자태그(10)와,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 설치하고 전자태그(10) 및 시설정보서버(30)와 무선통신으로 접속하는 정보관리앱(20)과, 관리기관에 구축되는 시설정보서버(30)를 연동하여 맨홀 및 제수변의 시설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태그(10)를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태깅하거나 사용자가 정보관리앱(20)을 실행하는 앱실행단계(S10)와,
    정보관리앱(20)의 고정정보조회모듈(21)을 실행하고 전자태그(10)의 메모리에 기저장 되어 있는 고정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고정정보조회단계(S2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을 실행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는 유동정보조회요청단계(S30)와,
    시설정보서버(30)의 유동정보추출모듈(31)에서 해당 전자태그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 되어 있는 유동정보를 추출하고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유동정보추출단계(S4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이 전송받은 유동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유동정보조회단계(S5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실행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는 유동정보변경요청단계(S60)와,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통해 변경된 유동정보를 입력하고 시설정보서버(30)에 전송하는 유동정보변경단계(S70)와,
    시설정보서버(30)의 유동정보갱신모듈(32)에서 해당 전자태그 식별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변경된 유동정보를 저장하여 갱신하는 유동정보갱신단계(S8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정보는 맨홀 및 제수변 지하 시설물을 최초 설치 이후에 변경되지 않는 정보로서 관로형태, 이격거리, 심도, 관경, 재질, 관리기관을 포함하여 전자태그(10)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유동정보는 맨홀 및 제수변 지하 시설물의 설치 이후에 수시로 변경되는 정보로서 관로압력, 밸브개폐상태, 맨홀 및 관로의 세척, 시설물의 유지보수 이력을 포함하여 시설정보서버(30)에 저장 및 갱신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정보조회요청단계(S30)에서는,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조회모듈(22)을 실행하고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여 전자태그 식별정보와, 사용자에게 기부여된 유동정보 조회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31)와,
    시설정보서버(30)의 1차코드처리모듈(33)에서 해당 사용자의 유동정보 조회요청코드를 검증하여 조회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S32)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정보변경요청단계(S60)에서는,
    정보관리앱(20)의 유동정보변경모듈(23)을 실행하고 시설정보서버(30)에 접속하여 전자태그 식별정보와, 사용자에게 기부여된 유동정보 변경요청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61)와,
    시설정보서버(30)의 2차코드처리모듈(34)에서 해당 사용자의 유동정보 변경요청코드를 검증하여 변경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S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10062348A 2021-05-14 2021-05-14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KR10255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48A KR102559645B1 (ko) 2021-05-14 2021-05-14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48A KR102559645B1 (ko) 2021-05-14 2021-05-14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69A KR20220154869A (ko) 2022-11-22
KR102559645B1 true KR102559645B1 (ko) 2023-07-26

Family

ID=8423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348A KR102559645B1 (ko) 2021-05-14 2021-05-14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21B1 (ko) 2013-08-21 2013-12-26 정욱 Uhfid 태그 내장 맨홀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767406B1 (ko) 2016-10-21 2017-08-11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통합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KR101849630B1 (ko) 2016-11-24 2018-05-3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사용이 용이한 관로 표지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7203B1 (ko) 2018-04-05 2019-10-01 대진기술정보 (주) 지하 매설물 통합표지기 및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165Y1 (ko) 2003-02-18 2003-06-02 주식회사 동광에스씨엠 분리형 표지부를 갖는 맨홀덮개
KR200437024Y1 (ko) 2006-12-28 2007-10-29 주식회사 셈즈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내장된 안전맨홀
KR100834001B1 (ko) 2007-02-16 2008-05-30 화동주물공업주식회사 맨홀에 제공되는 정보저장용 표시부재
KR101331873B1 (ko) 2013-07-11 2013-11-21 주식회사 동이산업개발 Rfid 태그가 내장된 맨홀뚜껑
KR20160106887A (ko) * 2015-03-03 2016-09-13 이에스피 주식회사 맨홀 및 지하시설물 운영관리시스템
KR101731977B1 (ko) * 2015-06-23 2017-05-04 대진기술정보 (주) 스마트폰과 nfc태그를 이용한 표지기
KR101744189B1 (ko) * 2015-11-14 2017-07-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Usn을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32974B1 (ko) * 2017-05-30 2019-11-08 주식회사 차후 모바일 단말, 지하 시설물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3d 공간정보에 기반한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821B1 (ko) 2013-08-21 2013-12-26 정욱 Uhfid 태그 내장 맨홀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767406B1 (ko) 2016-10-21 2017-08-11 대진기술정보 (주) 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통합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KR101849630B1 (ko) 2016-11-24 2018-05-3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장 사용이 용이한 관로 표지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7203B1 (ko) 2018-04-05 2019-10-01 대진기술정보 (주) 지하 매설물 통합표지기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69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592B1 (ko) Rfid와 gis를 활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3229197B (zh) 使用信息识别手段的集成管线管理系统和方法
US9773217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cquiring an enhanced positive response for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KR101744189B1 (ko) Usn을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U2011282957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onsite linking to location-specific electronic records of locate operations
US9183222B2 (en) Mapping and asset lifecycle tracking system
US20120066137A1 (en) System for and methods of confirming locate operation work orders with respect to municipal permits
KR101344821B1 (ko) Uhfid 태그 내장 맨홀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2010008813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alyzing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with respect to historical information
KR100875690B1 (ko) Rfid 태그 내장형 지중표시기 및 그 운용 시스템
US10990918B2 (en) Method of registering an installed valve
KR101209286B1 (ko) 지형변화를 감지해 기준점별 지피에스 좌표의 정밀 적용을 가능하게 한 지표면의 측지측량 관측시스템
KR101122185B1 (ko)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8441B1 (ko) 전자표식장치 이용과 증강현실 구현으로 국토라이프라인 굴착, 시공 안전관리 시스템.
KR101337722B1 (ko) 전자인식표시기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2559645B1 (ko) 맨홀 및 제수변 시설정보 관리 방법
KR101789208B1 (ko) 공급자와 수용가 경계지점 간의 지상·지하시설물 측량·탐사를 통한 지상·지하시설물 데이터 db 관리플랫폼 형성장치 및 방법
KR101767406B1 (ko) 매설관로에 대한 정보를 통합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KR101442016B1 (ko) 근거리 무선 태그 커넥터 및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맨홀 또는 변실을 전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철개의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또는 변실의 유지 관리 방법
CN206710628U (zh) 一种地下管道电子信息标识和巡检确认系统
KR102647846B1 (ko) 매설관로 시설정보 표시 방법
KR102378747B1 (ko) 맨홀 명찰 및 그 부착방법
KR20220101832A (ko) 매설관로 도면 자동 생성방법
Mannix et al. Making the case for improved planning, construction and testing of water supply infrastructure in Malawi
KR101540186B1 (ko) 자가 발전 시스템을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지하 매설물 탐지 및 유지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