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609B1 - 각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609B1
KR102559609B1 KR1020200071506A KR20200071506A KR102559609B1 KR 102559609 B1 KR102559609 B1 KR 102559609B1 KR 1020200071506 A KR1020200071506 A KR 1020200071506A KR 20200071506 A KR20200071506 A KR 20200071506A KR 102559609 B1 KR102559609 B1 KR 10255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ratin
skin
bent
keratin remov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469A (ko
Inventor
기호민
Original Assignee
기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호민 filed Critical 기호민
Priority to KR102020007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6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4Chiropodists' instruments, e.g. pedic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6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cleaning the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는, 판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뒤꿈치 부분이 밀착되도록 하는 절곡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절곡부에 다수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피부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되는 각질 제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공판 구조를 갖는 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직립 상태로 형성된 절곡부에 발 뒤꿈치를 비비는 과정에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하며, 큰 대야 등의 내부 바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질 제거 장치 {SKIN CALLUS PEE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각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바닥이나 뒤꿈치 등에 생성된 각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 또는 손바닥 등에 형성되는 피부의 각질은 피부의 세포가 사멸한 것이며, 이와 같이 형성된 피부각질은 피부 보호와 수분 보충, 재생세포가 다시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약 28일 주기로 피부로부터 탈락되어 자연 제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건강한 피부에서 약 28일 주기로 피부의 각질이 탈락되어 자연제거되는 것과 달리, 피부가 너무 건조한 경우는 피부각질세포가 적당한 시기에 탈락하지 못하고 피부의 표면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오염된 환경, 흡연, 음주, 노화 또는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피부 각질세포의 탈락주기가 점차 길어지면, 피부에 각질층이 매우 두껍게 형성된다.
이러한 피부각질은 피부의 보호력을 약화시키며, 각종 곰팡이균 등의 서식처로 작용하여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바, 이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각질은 적절하게 제거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부에 형성된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20-000412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발바닥 국소 부위에 대해서만 각질 제거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0-0004122호(2020.01.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판상의 본체부에 형성된 각질 제거부에 의해 피부에 형성된 각질을 밀착 상태에서 이동시키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각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는, 판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뒤꿈치 부분이 밀착되도록 하는 절곡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절곡부에 다수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피부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되는 각질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1" 자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질 제거부는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는 완전 평면인 판상체로 형성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정 방향으로만 일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회전되어 절곡 가능하도록 다수의 방사상 치형이 형성된 래칫(120)에 의하여 연결형성되어 발의 뒤꿈치 부분이 밀착되도록 하며, 완전 평면인 판상체로 형성되는 절곡부(114); 및 상기 본체부(110) 및 절곡부(114)에 다수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피부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되는 각질 제거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각질 제거부(112)는 내부에 수용된 피부가 모서리 부근에서 컷팅되면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각질 제거부(112)는 상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발에서 제거된 각질에 의하여 각질 제거부(112)의 상부가 막히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공판 구조를 갖는 본체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직립 상태로 형성된 절곡부에 발 뒤꿈치를 비비는 과정에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하며, 큰 대야 등의 내부 바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의 양측에 절곡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가 큰 대야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에서 절곡부가 본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의 양측에 절곡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가 큰 대야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에서 절곡부가 본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100)는 본체부(110) 및 절곡부(114)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금속재질의 판상 구조로 형성되되, "1"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부(110)는 타공 구조를 갖도록 각질 제거부(112)가 다수 형성되어 발바닥 등을 비비는 과정에서 발바닥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된다.
여기서, 각질 제거부(112)는 본체부(110) 및 절곡부(114)에 다수 형성되어 체중 또는 인위적으로 가하는 압력에 의해 피부의 일부가 내부마다 수용되며, 인위적으로 발을 이동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피부가 모서리 부근에서 컷팅되면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더욱이, 각질 제거부(112)는 홀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홈 등의 구조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질 제거부(112)는 상부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발에서 제거된 각질에 의한 상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절곡부(114)는 본체부(110)의 양단에 상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발 뒤꿈치 부분이 닿는 경우 각질 제거부(112)와, 본체부(110)에 형성된 각질 제거부(112)에 의해 발 뒤꿈치의 각질을 제거 가능하다.
한편, 절곡부(114)의 간격은 큰 대야(10) 등의 대향된 내벽면 간격과 대응되어 큰 대야(10)에 물 등을 받아놓고 사용 가능하다(도 3 참조).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10)와 절곡부(114)의 이웃 부위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10)의 단부에 보강을 위한 제1 보강부(1102)가 구비되고, 절곡부(114)의 단부에 보강을 위한 제2 보강부(1142)가 구비된다. 이때, 제1 보강부(1102)에는 홈이 형성되고 제2 보강부(1142)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제1, 2 보강부(1102, 1142)의 대응면이 요철 결합되며, 제1 보강부(1102)와 제2 보강부(1142)는 요철 결합된 부위를 축(122)에 의해 연결한다.
그리고 축(122)의 일단부에는 래칫(ratchet: 120)이 설치되고, 축(122)의 타단부에는 스프링(124)이 지지된 확경부(122a)가 형성된다.
스프링(124)은 제1 보강부(1102)와 확경부(122a)의 사이에 위치되어 축(122)을 항시 확경부(122a)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한다.
그리고 래칫(120)이 위치되는 제1 보강부(1102)의 측면에는 래칫(120)의 형상과 상응하는 결합홈(116a)이 형성되어 래칫(120)이 결합홈(116a)에 결합되면 제1 보강부(1102)와 래칫(120)이 연동되고, 래칫(120)이 결합홈(116a)에서 분리되면 제1 보강부(1102)와 래칫(120)이 서로 연동되지 않는다.
더욱이, 래칫(120)은 방사상의 치형이 형성되되, 치형의 일단은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단은 수직면이 형성되어 제동부(118)에 의해 제2 보강부(1142)가 역회전 즉, 상향 회전만 되고 하향 회전은 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제2 보강부(1142)의 측면에는 래칫(120)의 치형에 간섭하여 제2 보강부(1142)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제동부(118)가 힌지축(S)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제동부(118)는 힌지축(S)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래칫(120)의 치형에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절곡부(114)를 본체부(110)의 단부에서 회전시켜 직립시켜야 하는 경우 래칫(120)이 결합홈(116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보강부(1142)를 회전시키면 제동부(118)의 단부가 래칫(120)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다가 정점에서 래칫(120)의 수직면에 도달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상향 회전되지만, 절곡부(114)를 반대로 하향 회전시키면 제동부(118)의 단부가 래칫(120)의 수직면에 간섭되면서 하향 회전이 되지 않는다.
그 후에 직립된 절곡부(114)를 펴야 하는 경우 확경부(122a)를 가압하면 래칫(120)이 제1 보강부(1102)의 결합홈(116a)에서 분리되면서 제동부(118)에서도 분리되므로 확경부(122a)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절곡부(114)가 본체부(110)에서 자유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100)는 본체부(110) 위에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좌우로 비비게 되면 발바닥에 존재하는 각질이 각질 제거부(112)에 의해 갈려져 제거되며, 본체부(110)의 양단에 절곡부(114)를 형성하게 되면 발 뒤꿈치의 각질을 제거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200)는 본체부(210) 및 절곡부(214)를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금속재질의 판상 구조로 형성되며, "T"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부(210)는 타공 구조를 갖는 각질 제거부(212)가 다수 형성되어 발바닥 등을 비비는 과정에서 발바닥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된다.
여기서, 각질 제거부(212)는 본체부(210) 및 절곡부(214)에 다수 형성되어 체중 또는 인위적으로 가하는 압력에 의해 피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인위적으로 발을 이동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피부가 모서리 부근에서 컷팅되면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더욱이, 각질 제거부(212)는 홀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홈 등으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질 제거부(212)는 상부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발에서 제거된 각질에 의한 상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절곡부(214)는 본체부(210)의 일단에 상부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절곡 형성되어, 발 뒤꿈치 부분이 닿는 경우 각질 제거부(212)와, 본체부(210)에 형성된 각질 제거부(212)에 의해 발 뒤꿈치의 각질을 제거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쪽 발(F2)로 절곡부(214)를 받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쪽 발(F1)의 발바닥 및 뒤꿈치를 본체부(210) 및 절곡부(214)에 비비면서 각질 제거부(212)에 의해 각질이 제거된다.
한편, 상술한 본체부(110)와 절곡부(114)의 이웃 부위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가 제2 실시예에 따른 각질 제거 장치(200)의 본체부(210) 및 절곡부(214)에도 적용 가능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각질 제거 장치
110, 210: 본체부
112, 212: 각질 제거부
114, 214: 절곡부

Claims (3)

  1. 완전 평면인 판상체로 형성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정 방향으로만 일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회전되어 절곡 가능하도록 다수의 방사상 치형이 형성된 래칫(120)에 의하여 연결형성되어 발의 뒤꿈치 부분이 밀착되도록 하며, 완전 평면인 판상체로 형성되는 절곡부(114); 및
    상기 본체부(110) 및 절곡부(114)에 다수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피부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되는 각질 제거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각질 제거부(112)는 내부에 수용된 피부가 모서리 부근에서 컷팅되면서 피부에 형성된 각질이 제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각질 제거부(112)는 상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발에서 제거된 각질에 의하여 각질 제거부(112)의 상부가 막히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1" 자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 제거부는 홀 또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 장치.
KR1020200071506A 2020-06-12 2020-06-12 각질 제거 장치 KR10255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506A KR102559609B1 (ko) 2020-06-12 2020-06-12 각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506A KR102559609B1 (ko) 2020-06-12 2020-06-12 각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469A KR20210154469A (ko) 2021-12-21
KR102559609B1 true KR102559609B1 (ko) 2023-07-26

Family

ID=79165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506A KR102559609B1 (ko) 2020-06-12 2020-06-12 각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6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87Y1 (ko) 2012-04-27 2014-08-13 주식회사 에이아트 발의 각질 제거용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195U (ja) * 2004-02-05 2004-07-29 株式会社コスモクリエイティブ 角質取りポリウレタンマット
KR20130000184U (ko) * 2011-06-30 2013-01-09 정근화 풋 크린 장치
KR101985744B1 (ko) * 2017-05-08 2019-06-04 이정범 발 각질제거방법 및 이를 위한 발 각질제거장치
KR20200004122A (ko)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한울 발바닥 각질 제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87Y1 (ko) 2012-04-27 2014-08-13 주식회사 에이아트 발의 각질 제거용 패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0319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469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9764C2 (ru) Дермабраз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336053B2 (ja) 履物の起伏のあるインソール
US20060196520A1 (en) Device for smoothing keratinous surfaces
JP2007117732A5 (ko)
JPH04231002A (ja) 少なくとも2層から成る底部を有する履物
KR102559609B1 (ko) 각질 제거 장치
US20150105801A1 (en) Foot Cleaning Device
JP2016123723A (ja) ヘアブラシ
KR20130000184U (ko) 풋 크린 장치
KR101263931B1 (ko) 토슈즈
KR102042553B1 (ko) 신발의 바닥부재
CN202286515U (zh) 一种沐浴按摩鞋
US747031A (en) Boot or shoe cleaner.
KR101244446B1 (ko) 연마판 회전형 각질제거기
KR102006596B1 (ko) 세척 패드
US20180049573A1 (en) Boot jack
KR20220000748A (ko) 세족 슬리퍼
KR101748353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롤러형 발 마사지기
KR200271721Y1 (ko) 굳은살 제거기
JP2011152379A (ja) 足裏の角質除去装置
KR20100086205A (ko) 각질제거용 발판
KR101387639B1 (ko) 각질 제거기
KR101990091B1 (ko) 좁은 각질을 제거하는 도구
US10716595B1 (en) Foot exfoliator
KR930005243Y1 (ko) 각질(角質) 제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