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560B1 - 주방용품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560B1
KR102559560B1 KR1020210087548A KR20210087548A KR102559560B1 KR 102559560 B1 KR102559560 B1 KR 102559560B1 KR 1020210087548 A KR1020210087548 A KR 1020210087548A KR 20210087548 A KR20210087548 A KR 20210087548A KR 102559560 B1 KR102559560 B1 KR 10255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sterilization
lock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948A (ko
Inventor
방윤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른
Priority to KR102021008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5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는, 내부에 주방용품이 수용되는 살균실이 마련되고, 주방용품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출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하우징과, 상기 살균실로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살균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품 살균장치{KITCHENWARE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주방용품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을 간단하게 수용한 상태로 살균 처리할 수 있는 주방용품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섭취할 때 사용되는 도구인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의 주방용품은 사용 시 사용자의 입이나 음식물에 직접 닿게 되므로, 깨끗하게 세척되어야 함은 물론 청결하게 보관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과 같이 음식물의 섭취가 이루어지는 곳에서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의 음식 섭취용 주방용품은 수저통에 담겨 보관된다. 수저통은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을 눕혀서 보관하는 형태나, 세워서 보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세척된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을 물기가 묻어 있는 상태로 수저통에 보관하게 되면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들이 번식하기 쉽다. 그리고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로 오염된 주방용품은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해를 끼치고,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주방용품의 위성 상태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 주방용품을 설거지한 후 온수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나, 이러한 살균 방법은 매우 번거롭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주방용품을 살균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수저통이 판매되고 있다. 살균 기능을 갖는 수저통으로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것과, 열을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살균 수저통은 보관된 숟가락이나 젓가락에 자외선이나 열을 가해야 하므로 숟가락이나 젓가락이 수용된 살균 공간이 밀폐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살균 수저통은 살균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 또는 뚜껑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살균 수저통은 사용자가 설거지 후 젖은 손으로 커버 또는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살균 수저통은 숟가락이나 젓가락이 담기는 부분이 오염되더라도 자외선 램프 등 전자 부품의 파손 위험 때문에 물세척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688044호 (2016. 12. 14.) 등록특허공보 제1383133호 (2014. 04. 0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한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이 설치되는 부분과 물세척이 필요한 부분이 쉽게 분리 가능하여 물세척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한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는, 내부에 주방용품이 수용되는 살균실이 마련되고, 주방용품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출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하우징과, 상기 살균실로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살균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출입구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일측에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커버 맞물림부가 구비되는 커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힌지를 회전 가능하게 떠받치는 힌지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출입구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일측에 커버 맞물림부가 구비되는 커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의 회전력을 상기 커버 힌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맞물림부는 상기 커버 힌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맞물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상기 맞물림홈에 맞물리되, 상기 맞물림홈에서 분리될 수 있는 맞물림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힌지는 상기 커버 힌지의 외측에서 상기 맞물림홈을 통과하여 상기 맞물림 돌기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 힌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 힌지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커버 힌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 돌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면 일측에는 본체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 유닛은,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본체 록킹부와 맞물릴 수 있는 슬라이더 록킹부가 구비된 록킹 슬라이더와,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 록킹부가 상기 본체 록킹부와 맞물리는 방향을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 하우징은, 상기 살균 램프와, 상기 커버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덮는 보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슬라이더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슬라이더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해 상기 보호 플레이트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 슬라이더는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에 대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 각각의 노브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에 접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다른 일측면에 접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플레이트에는 상기 살균 램프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을 상기 살균실로 통과시킬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함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식 조작부 또는 사전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여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접촉식 조작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주방용품 살균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동작하는 비접촉식 동작 모드 또는 상기 접촉식 조작부에 의해 동작하는 접촉식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측에 상기 살균실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상부 개구가 구비되며, 하측에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하부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주방용품이 담기는 수납실 및 주방용품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수납실이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캡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캡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주방용품에서 흘러내리는 수분을 상기 베이스 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는 단순한 구조로 숟가락이나, 젓가락, 포크, 나이프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주방용품을 효과적으로 살균 처리하고, 주방용품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는 주방용품이 출입하는 본체의 출입구를 커버가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기존 제품에 비해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는 전자 부품이 설치된 살균 유닛이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주방용품이 수납되는 본체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의 출입구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의 살균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에 구비되는 살균 유닛의 유닛 하우징에서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에 구비되는 살균 유닛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에 구비되는 살균 유닛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에 구비되는 살균 유닛의 일부분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에 구비되는 록킹 슬라이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의 커버 개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의 본체에서 살균 유닛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의 출입구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주방용품(10)이 수납될 수 있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수납되는 주방용품(10)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주방용품(10)을 살균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살균 유닛(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숟가락이나, 젓가락, 포크, 나이프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주방용품(10)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주방용품(10)을 살균 처리할 수 있고, 주방용품(10)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본체(110)는 하우징(111)과, 주방용품(10)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우징(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122)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주방용품(10)을 수용할 수 있는 살균실(112)이 마련된다. 하우징(111)의 일측에는 주방용품(10)이 출입할 수 있도록 살균실(112)과 연결되는 출입구(113)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출입구(113)를 통해 주방용품(10)을 살균실(112)에 수용하거나, 살균 완료된 주방용품(10)을 살균실(112)에서 꺼낼 수 있다. 하우징(111)의 하단부에는 살균실(112)과 연결되는 하부 개구(114)가 마련된다. 트레이(122)가 하부 개구(114)를 통해 하우징(111)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1)의 상단부에는 상부 개구(115)가 구비된다. 상부 개구(115)는 살균 유닛(1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1)의 일측에는 살균 유닛(130)을 본체(110)에 록킹시키는데 이용되는 본체 록킹부(116)가 구비된다.
살균 유닛(130)이 본체 하우징(111)에 결합될 때 살균 유닛(130)의 일부분이 본체 록킹부(116)에 맞물림으로써 살균 유닛(130)이 본체 하우징(11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될 수 있다. 본체 록킹부(116)는 살균 유닛(13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 하우징(111)의 내면에 형성된 록킹 홈(117)을 포함한다. 록킹 홈(117)은 본체 하우징(111)의 내면에서 본체 하우징(111)의 외면까지 연장되지 않고 본체 하우징(111)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본체 하우징(111)과 살균 유닛(130) 간의 구체적인 록킹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체 하우징(111)의 다른 일측에는 개구(118)가 형성된다. 전원 공급 등을 위한 외부 단자가 개구(118)에 삽입되어 살균 유닛(130)에 구비되는 접속부(158)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111)의 양측으로는 살균 유닛(130)의 커버(1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 가이드(120)가 구비된다.
힌지 가이드(120)는 하우징(111)의 상단부 양쪽 측부에 커버(160)에 구비되는 커버 힌지(162)를 떠받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힌지 가이드(120)는 이에 놓인 커버 힌지(16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굽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힌지 가이드(120)는 이에 놓이는 커버 힌지(162)가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질 때 별다른 저항없이 힌지 가이드(120)를 벗어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 즉 힌지 가이드(120)를 구속하지 않고 떠받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힌지 가이드(120)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 가이드(120)는 사용자가 커버(160)를 들어올리거나, 밀거나, 당기는 등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커버 힌지(162)가 쉽게 분리되도록 커버 힌지(16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트레이(122)는 하우징(111)의 하부 개구(114)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하우징(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트레이(122)는 프레임(123)과, 프레임(123)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캡(126)과, 프레임(123)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캡(126) 위에 놓이는 받침대(127)를 포함한다.
프레임(123)의 내측에는 격벽(124)이 배치되며, 프레임(123)의 내부 공간은 격벽(124)에 의해 복수의 수납실(125)로 구획된다. 각각의 수납실(125)에는 주방용품(10)이 수납될 수 있다.
받침대(127)는 프레임(123)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수납실(125)에 수용되는 주방용품(10)을 떠받친다. 받침대(127)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통공(128)이 구비된다. 받침대(127) 위에 놓이는 주방용품(10)에서 흘러내리는 수분이 통공(128)를 통해 베이스 캡(126)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베이스 캡(126)은 프레임(123)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받침대(127)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베이스 캡(126)을 프레임(123)에서 분리함으로써 베이스 캡(126)에 담긴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27)나 베이스 캡(126)이 수분 등으로 오염된 경우, 사용자는 베이스 캡(126)을 프레임(123)에서 분리하여 받침대(127)나 베이스 캡(126)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트레이(122)는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에 복수의 수납실(125)이 구비된 프레임(123)과, 프레임(123)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캡(126)과, 베이스 캡(126)에 지지되는 받침대(127)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 가능하다. 하우징(111)과 본체(110) 또한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110)는 하우징(111)과 트레이(122)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살균 유닛(130)은 유닛 하우징(131)과, 살균광을 발생하는 살균 램프(156)와, 본체(110)의 출입구(113)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160)와, 커버(16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166)와,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82)와, 인터페이스부(182)에서 발생하는 작동 신호에 따라 살균 램프(156)와 구동부(166)를 제어하는 제어부(186)와, 유닛 하우징(131)을 본체(110)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188)를 포함한다.
유닛 하우징(131)은 내측에 설치실(133)이 마련되는 케이스(132)와, 케이스(132)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호 플레이트(149)를 포함한다. 케이스(132)와 보호 플레이트(149)의 사이에는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188)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케이스(132)는 상부가 개방된 바텀 케이스(134)와, 바텀 케이스(134)와 결합되어 바텀 케이스(134)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탑 케이스(146)를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텀 케이스(134)에는 한 쌍의 브라켓(135)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브라켓(135)은 후술할 샤프트(17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텀 케이스(134)의 바닥면에는 살균 램프(156)가 삽입되는 윈도우(136)가 구비된다. 윈도우(136)는 바텀 케이스(134)의 바닥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다. 살균 램프(156)가 윈도우(136)에 삽입되어 케이스(132)의 외부로 살균광을 방사할 수 있다.
윈도우(136)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살균 램프(156)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을 케이스(132)의 외부로 통과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윈도우는 살균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가 바텀 케이스(134)의 바닥면 일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바텀 케이스(134)의 바닥면 전체가 윈도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텀 케이스(134)의 하면에는 복수의 지지부(138)와, 복수의 가이드 돌기(140)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2)과, 복수의 결합홈(143)이 구비된다. 복수의 지지부(138)에는 각각 록킹 슬라이더(188)(196)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197)이 결합된다. 복수의 가이드 돌기(140)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2)은 록킹 슬라이더(188)(196)를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레일(142)은 록킹 슬라이더(188)(196)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록킹 슬라이더(188)(196)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2)은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결합홈(143)에는 보호 플레이트(149)에 구비되는 후크(152)가 삽입될 수 있다.
탑 케이스(146)는 바텀 케이스(134)에 결합되어 바텀 케이스(134)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탑 케이스(146)의 좌우 양측으로는 케이스 홀(147)이 형성된다. 케이스 홀(147)을 통해 구동부(166)의 일부분이 케이스(13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탑 케이스(146)에는 인터페이스부(182)가 설치된다.
도 3,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보호 플레이트(149)는 바텀 케이스(134)의 하면에 결합되어 바텀 케이스(134)의 하면을 덮는다. 보호 플레이트(149)에는 윈도우(150)와, 개구(151)와, 후크(152)가 구비된다.
윈도우(150)는 케이스(132)의 윈도우(136)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윈도우(150)는 보호 플레이트(149)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다. 살균 램프(156)가 윈도우(150)에 삽입되어 보호 플레이트(149)의 외부로 살균광을 방사할 수 있다.
윈도우(136)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살균 램프(156)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을 보호 플레이트(149)의 외부로 통과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윈도우는 살균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가 보호 플레이트(149)의 일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보호 플레이트(149) 전체가 윈도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개구(151)는 보호 플레이트(149)의 중간에 보호 플레이트(149)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바텀 케이스(134)와 보호 플레이트(149) 사이에 설치되는 록킹 슬라이더(188)(196)의 노브(194)가 개구(151)를 통과하여 보호 플레이트(149)의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152)는 보호 플레이트(149)의 가장자리에 돌출 구비된다. 보호 플레이트(149)는 후크(152)가 바텀 케이스(134)의 결합홈(14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케이스(132)에 결합될 수 있다.
보호 플레이트(149)는 이에 구비되는 후크(152)가 케이스(132)의 결합홈(143)에 삽입되는 방식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케이스(132)에 결합될 수 있다.
유닛 하우징(131)의 설치실(133)에는 기판(154)과 구동부(166)가 설치된다. 기판(154)에 살균 램프(156)와, 제어부(186)와, 접속부(158)가 설치된다. 접속부(158)는 바텀 케이스(134)의 개구(144)를 통해 케이스(132)의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유닛 하우징(131)이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접속부(158)는 본체 하우징(111)의 개구(118)를 통해 본체 하우징(111)의 외부로 드러날 수 있고, 전원 공급 등을 위한 외부 단자가 개구(118)를 통과하여 접속부(158)에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복수의 살균 램프(156)와 제어부(186) 및 접속부(158)가 하나의 기판(154)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살균 램프(156)와 제어부(186) 및 접속부(158)의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커버(160)는 본체(110)의 출입구(1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유닛 하우징(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160)는 출입구(113)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바디(161)와, 본체(110)의 힌지 가이드(120)에 떠받쳐질 수 있도록 커버 바디(161)로부터 돌출되는 커버 힌지(162)와, 구동부(166)와 맞물릴 수 있도록 커버 힌지(162)에 구비되는 커버 맞물림부(163)를 포함한다.
커버 힌지(162)는 커버 바디(161)의 양쪽 측부에 각각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커버 힌지(162)에 각각 커버 맞물림부(163)가 배치된다. 커버 힌지(162)는 적어도 일부분이 본체 하우징(111)의 힌지 가이드(1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힌지(162)는 원호 형상 부분이 힌지 가이드(120)에 떠받쳐진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버 맞물림부(163)는 커버 힌지(16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맞물림홈(164)을 구비한다. 맞물림홈(164)은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맞물림홈(164)에 구동부(166)의 일부분이 맞물리는 방식으로 커버(160)가 구동부(166)에 결합되어 구동부(16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구동부(166)는 커버(160)와 연결되도록 유닛 하우징(131)에 설치되어 커버(16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166)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기(167)와, 구동기(167)의 회전력을 커버(160)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169)를 포함한다. 구동기(167)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 또는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69)는 구동기(167)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170)와, 커버(160)와 결합되어 구동 기어(170)와 맞물리는 연결 기어(171)를 포함한다. 구동기(167)가 작동할 때 구동기(167)의 회전력이 구동 기어(170)를 통해 연결 기어(171)에 전달되어 커버(160)가 회전할 수 있다. 구동기(167)의 작용으로 구동 기어(170)의 회전 방향은 전환될 수 있다. 구동 기어(17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커버(160)가 본체(110)의 출입구(113)를 개방시키는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출입구(113)를 폐쇄하는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 기어(171)에는 커버(160)의 맞물림홈(164)에 대응하는 맞물림 돌기(172)가 구비된다. 커버(160)는 맞물림홈(164)에 맞물림 돌기(17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 기어(171)와 결합된다. 연결 기어(171)의 회전 중심과 커버 힌지(162)의 회전 중심은 일치한다. 맞물림 돌기(172)는 맞물림홈(164)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16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없도록 그 횡단면 형상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맞물림 돌기(172)가 맞물림홈(164)에 삽입되어 커버 힌지(162)에 맞물림으로써 연결 기어(171)의 회전력이 커버(160)에 전달될 수 있다. 연결 기어(171)는 유닛 하우징(131)의 브라켓(1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174)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한 쌍의 구동부(166)를 구비하고, 한 쌍의 구동부(166)가 커버(16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커버 힌지(16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각 구동부(166)에 구비되는 한 쌍의 연결 기어(171)는 하나의 샤프트(174)에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174)는 한 쌍의 연결 기어(171)를 아이들 상태로 회전하도록 지지하거나, 한 쌍의 연결 기어(171)를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한 쌍의 구동기(167) 중 어느 하나만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두 개의 연결 기어(171)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기(167)는 제어부(186)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커버(160)가 출입구(113)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어부(186)는 인터페이스부(182)에서 발생하는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기(167)를 작동시켜 커버(160)를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6)는 커버(160)가 열린 상태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구동기(167)를 작동시켜 커버(160)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출입구(1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커버(160)를 움직여 출입구(113)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기(167)의 제어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기(167)는 인터페이스부(182)에서 발생하는 작동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구동기(167)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182)를 작동시킬 때 커버(160)를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커버(16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182)를 다시 작동시킬 때 작동하여 커버(160)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166)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커버(160)와 맞물려 커버(16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두 개의 구동부(166)가 커버(16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구동부(166)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구동부(166)의 설치 개수에 따라 커버(160)에 구비되는 커버 맞물림부(163)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커버(160)는 구동부(166)에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76)에 의해 구동부(166)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176)는 고정부재 바디(177)와, 고정부재 바디(177)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재 돌기(178)를 포함한다. 고정부재 돌기(178)에는 샤프트(174)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79)이 형성된다. 고정부재 바디(177)의 폭은 커버 힌지(162)의 맞물림홈(164) 폭보다 커서 맞물림홈(164)을 통과할 수 없고, 고정부재 돌기(178)의 폭은 맞물림홈(164)의 폭보다 작아서 맞물림홈(164)을 통과할 수 있다. 고정부재(176)는 고정부재 돌기(178)가 커버 힌지(162)의 외측에서 맞물림홈(164)을 통과하여 연결 기어(171)의 맞물림 돌기(172)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 기어(17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 바디(177)가 커버 힌지(162)의 일부분을 덮음으로써 고정부재(176)는 커버 힌지(162)를 연결 기어(171)에서 분리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160)는 고정부재(176)가 먼저 연결 기어(171)로부터 분리된 후 연결 기어(17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160)의 탈착식 결합 구조는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60)에 대한 세척이 필요한 경우 등 다양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160)를 유닛 하우징(131)에서 분리하고 커버(160)에 대한 다양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커버(16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60)와 구동부(166)의 연결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2)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유닛 하우징(131)에 설치된다. 인터페이스부(182)는 사전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여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비접촉식 센서(183)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함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식 조작부(184)를 포함한다.
비접촉식 센서(183)는 적외선, 레이저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사전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한 사물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비접촉식 센서(183)에서 발생하는 작동 신호는 제어부(186)에 송신된다. 비접촉식 센서(183)의 작동 신호는 커버(160)의 개폐 제어, 살균 램프(156)의 동작 제어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접촉식 조작부(184)는 터치 버튼, 누름 버튼, 토클 스위치, 다이얼 버튼 등 사용자에 의한 터치, 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여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접촉식 조작부(184)에서 발생하는 작동 신호는 제어부(186)에 송신된다. 접촉식 조작부(184)의 작동 신호는 커버(160)의 개폐 제어, 살균 램프(156)의 동작 제어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접촉식 조작부(184)는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켜거나 끄거나 전환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촉식 조작부(184)를 조작함에 따라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접촉식 조작부(184)를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터치하거나 누름에 따라 제어부(186)가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비접촉식 센서(183)에 의해 동작하는 비접촉식 동작 모드나, 접촉식 조작부(184)에 의해 동작하는 접촉식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비접촉식 동작 모드의 경우, 도 13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16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20)을 주방용품 살균장치(100) 위에 위치시키면 비접촉식 센서(183)가 작동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6)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6)가 구동기(167)를 작동시켜 도 13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160)를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주방용품(10)에 대한 살균 공정은 주방용품(10)의 세척 공정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방용품(10)을 세척한 후에 바로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로 살균할 수 있도록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주방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설거지 중에 주방용품(10)을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에 수납하는 경우,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를 작동시킬 가능성이 높다.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접촉식 조작부(184)를 터치하거나 눌러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를 작동시키는 경우, 접촉식 조작부(184)가 수분에 의해 손상되거나, 수분이 살균 유닛(130)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비접촉식 센서(183)를 이용한 비접촉 동작 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설거지 중에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에 손을 대지 않고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 도 7,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188)(196)는 유닛 하우징(131)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닛 하우징(131)을 본체 하우징(111)에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188)(196)는 형상과 설치 위치가 다소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의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188)(196) 중에서 하나의 록킹 슬라이더(188)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하나의 록킹 슬라이더(19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록킹 슬라이더(188)는 슬라이더 바디(189)와, 슬라이더 록킹부(190)와, 노브(194)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바디(189)는 케이스(132)와 보호 플레이트(149) 사이의 공간에서 선형 이동할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 록킹부(190)는 본체 하우징(111)의 록킹 홈(1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바디(189)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슬라이더 바디(189)의 중간 부분에는 수용홈(191)과 슬롯(193)이 슬라이더 바디(189)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수용홈(191)에는 케이스(132)의 지지부(138)에 결합되는 스프링(197)이 삽입된다. 수용홈(191)에는 스프링(197)을 지지하는 지지부(192)가 구비된다. 슬롯(193)에는 케이스(132)의 가이드 돌기(140)가 삽입된다. 노브(194)는 슬라이더 바디(189)의 일측에 슬라이더 바디(189)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노브(194)는 보호 플레이트(149)의 개구(151)를 통해 보호 플레이트(149)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록킹 슬라이더(188)는 슬롯(193)에 가이드 돌기(140)가 삽입되고, 일부분이 가이드 레일(142)에 접하도록 케이스(132)의 하부에 배치되어 케이스(132)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록킹 슬라이더(188)는 그 일부분이 가이드 레일(142)의 일측에 접함으로써 다른 록킹 슬라이더(196)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안정적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록킹 슬라이더(188)가 케이스(13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돌기(140)가 록킹 슬라이더(188)를 뒤틀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록킹 슬라이더(188)는 스프링(19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스프링(197)은 록킹 슬라이더(188)의 수용홈(191) 속에서 일단이 케이스(132)의 지지부(138)에 결합되고 타단이 록킹 슬라이더(188)의 지지부(192)에 결합된다. 스프링(197)은 록킹 슬라이더(188)에 대해 슬라이더 록킹부(190)가 본체 하우징(111)의 록킹 홈(117)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스프링(197)의 작용으로 록킹 슬라이더(188)는 슬라이더 록킹부(190)가 록킹 홈(117)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유닛(130)은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슬라이더 록킹부(190)가 록킹 홈(117)에 맞물려 본체 하우징(111)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본체 하우징(111)에서 쉽게 분리될 수 없다.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188)(196)는 각각의 노브(194)가 상호 마주하여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188)(196)는 복수의 스프링(197)에 의해 각각의 노브(19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즉 하나의 록킹 슬라이더(188)는 스프링(197)에 의해 본체 하우징(111)의 한쪽 내면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다른 하나의 록킹 슬라이더(196)는 다른 스프링(197)에 의해 본체 하우징(111)의 반대 쪽 내면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록킹 슬라이더(188)(196)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살균 유닛(130)은 록킹 슬라이더(188)(196)에 의해 본체 하우징(111)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록킹 슬라이더(188)(196)는 노브(194)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움직여 본체 하우징(111)으로부터 록킹 해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노브(194)를 밀거나 당겨 록킹 슬라이더(188)(196)가 스프링(197)을 압축하도록 록킹 슬라이더(188)(196)를 움직이면 록킹 슬라이더(188)(196)의 슬라이더 록킹부(190)가 본체 하우징(111)의 록킹 홈(117)에서 벗어나 록킹 슬라이더(188)(196)가 록킹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살균 유닛(130)을 본체(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살균 유닛(130)이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노브(194)가 본체(110)의 살균실(112) 중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살균 유닛(130)을 본체(1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160)를 열림 방향으로 움직여 본체(110)의 출입구(113)를 개방하고, 살균실(112) 속으로 손을 넣어 노브(194)를 움직임으로써 살균 유닛(130)을 본체(110)로부터 록킹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유닛(130)을 본체(110)에 록킹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들(본체 록킹부(116), 슬라이더 록킹부(190), 노브(194))이 모두 살균실(112) 속에 위치하고 본체(110)나 살균 유닛(13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으므로, 커버(160)가 출입구(113)를 덮은 상태에서 살균실(112)에 대한 밀폐성을 높이고, 살균실(112)로 이물질이나 오염물이 유입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110)와 살균 유닛(130) 사이의 록킹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록킹 슬라이더(188)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110)의 본체 록킹부가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록킹 슬라이더(188)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록킹부(190)에는 본체 록킹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표시부(199)를 포함한다. 표시부(199)는 시각적 피드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유닛 하우징(13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표시부(199)는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의 작동 상태 등에 따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빛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표시부(199)는 제어부(18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86)는 표시부(199)를 점등 제어하거나, 표시부(199)의 발광 색상을 전환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부(199)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제어부(186)는 살균 램프(156)가 작동하는 동안 표시부(199)가 빛을 발생하도록 표시부(199)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제어부(186)는 주방용품 살균장치(100)가 비접촉식 동작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와 접촉식 동작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 각각 표시부(199)가 다른 색상의 빛을 발생하도록 표시부(199)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는 표시부(199)가 접촉식 조작부(184)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표시부(199)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단순한 구조로 숟가락이나, 젓가락, 포크, 나이프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주방용품(10)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기존 제품에 비해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장치(100)는 전자 부품이 설치되는 부분과 물세척이 필요한 부분이 쉽게 분리 가능하여 물세척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주방용품 살균장치(100)의 사용 중에 주방용품(10)이 본체(110) 속에 수납된 상태에서 살균 공정이 수행되므로 본체(110)는 주방용품(10)에서 흘러내리는 수분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본체(110)를 주기적으로 물세척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닛 하우징(131)이나 커버(160)는 본체(110)에 비해 오염될 가능성이 낮고, 전자 부품이 설치된 살균 유닛(130)은 가능한 수분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체(110)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살균 유닛(130)과 분리된 상태에서 물세척되거나 청소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살균 유닛(130)을 분리한 후, 본체(110)의 하우징(111)과 트레이(122)를 분리하고 세척이 필요한 부분을 물세척하거나, 세척 도구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커버(160)를 유닛 하우징(131)에서 분리한 후 커버(160)도 물세척하거나, 세척 도구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본체 하우징(111)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는 상부 개구(115)가 구비되고, 살균 유닛(130)이 상부 개구(115)를 덮도록 본체 하우징(111)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본체 하우징(111)의 상단부에는 살균광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분리벽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 유닛(130)이 분리벽 위에 배치되어 살균 유닛(130)의 살균 램프(156)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이 분리벽을 투과하여 주방용품(10)이 수용되는 살균실(112)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커버가 본체(110)에 장착되어 중력 작용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인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커버의 회전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인터페이스부(182)가 유닛 하우징(131)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인터페이스부는 본체(110)나 살균 유닛(130)과 분리된 리모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로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살균 유닛(130)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6)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주방용품 살균장치 110 : 본체
111 : 하우징 112 : 살균실
113 : 출입구 114 : 하부 개구
115 : 상부 개구 116 : 본체 록킹부
120 : 힌지 가이드 122 : 트레이
123 : 프레임 126 : 베이스 캡
127 : 받침대 130 : 살균 유닛
131 : 유닛 하우징 132 : 케이스
134 : 바텀 케이스 136, 150 : 윈도우
138, 192 : 지지부 140 : 가이드 돌기
142 : 가이드 레일 146 : 탑 케이스
149 : 보호 플레이트 154 : 기판
156 : 살균 램프 158 : 접속부
160 : 커버 161 : 커버 바디
162 : 커버 힌지 163 : 커버 맞물림부
166 : 구동부 167 : 구동기
169 : 동력전달부 170 : 구동 기어
171 : 연결 기어 172 : 맞물림 돌기
174 : 샤프트 176 : 고정부재
182 : 인터페이스부 183 : 비접촉식 센서
184 : 접촉식 조작부 186 : 제어부
188, 196 : 록킹 슬라이더 189 : 슬라이더 바디
190 : 슬라이더 록킹부 194 : 노브
197 : 스프링 199 : 표시부

Claims (15)

  1. 내부에 주방용품이 수용되는 살균실이 마련되고, 주방용품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출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하우징과, 상기 살균실로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살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출입구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일측에 커버 맞물림부가 구비되는 커버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의 회전력을 상기 커버 힌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맞물림부는 상기 커버 힌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맞물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는 상기 맞물림홈에 맞물리되, 상기 맞물림홈에서 분리될 수 있는 맞물림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힌지는 상기 커버 힌지의 외측에서 상기 맞물림홈을 통과하여 상기 맞물림 돌기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힌지를 회전 가능하게 떠받치는 힌지 가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 힌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 힌지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커버 힌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맞물림 돌기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6. 내부에 주방용품이 수용되는 살균실이 마련되고, 주방용품이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출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닛 하우징과, 상기 살균실로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와, 상기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닛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여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살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면 일측에는 본체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 유닛은,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본체 록킹부와 맞물릴 수 있는 슬라이더 록킹부가 구비된 록킹 슬라이더와,
    상기 유닛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 록킹부가 상기 본체 록킹부와 맞물리는 방향을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하우징은,
    상기 살균 램프와, 상기 커버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덮는 보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슬라이더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슬라이더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해 상기 보호 플레이트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슬라이더는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에 대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 각각의 노브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록킹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에 접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다른 일측면에 접하여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플레이트에는 상기 살균 램프에서 발생하는 살균광을 상기 살균실로 통과시킬 수 있는 윈도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함에 따라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식 조작부 또는 사전 설정된 범위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여 작동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접촉식 조작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주방용품 살균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동작하는 비접촉식 동작 모드 또는 상기 접촉식 조작부에 의해 동작하는 접촉식 동작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에 상기 살균실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살균 유닛에 의해 덮이는 상부 개구가 구비되며, 하측에 상기 살균실과 연결되는 하부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주방용품이 담기는 수납실 및 주방용품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받침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수납실이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캡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캡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주방용품에서 흘러내리는 수분을 상기 베이스 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살균장치.
KR1020210087548A 2021-07-05 2021-07-05 주방용품 살균장치 KR10255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48A KR102559560B1 (ko) 2021-07-05 2021-07-05 주방용품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48A KR102559560B1 (ko) 2021-07-05 2021-07-05 주방용품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948A KR20230006948A (ko) 2023-01-12
KR102559560B1 true KR102559560B1 (ko) 2023-07-26

Family

ID=8492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548A KR102559560B1 (ko) 2021-07-05 2021-07-05 주방용품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5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726B1 (ko) 2008-05-15 2008-12-26 최호열 위생적으로 인출 가능한 수저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518A (ko) * 2001-08-10 2002-01-17 조광우 자외선 살균램프가 부설된 수저통
KR100523533B1 (ko) * 2002-05-10 2005-10-25 황규천 자외선 살균 장치
KR101383133B1 (ko) 2012-05-07 2014-04-09 주식회사 비에프티 열탕 살균장치 및 항균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수저 보관함
KR101688044B1 (ko) 2014-04-24 2016-12-20 에센시아주식회사 숟가락 및 젓가락 살균기
KR20160149834A (ko) * 2015-06-19 2016-12-28 성지훈 개인 휴대용 식사도구 및 세면도구 살균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726B1 (ko) 2008-05-15 2008-12-26 최호열 위생적으로 인출 가능한 수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948A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439B1 (ko) 도마 살균기
CA3134709A1 (en) Compact ultraviolet light source apparatus
JP2021501668A (ja) トイレブラシを収納および消毒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
KR100778284B1 (ko) 열전소자 냉장고를 구비한 테이블
KR102559560B1 (ko) 주방용품 살균장치
KR20080006326A (ko) 주방용품 살균장치
KR20180015801A (ko) 스마트형 식기 보관 및 위생처리장치
KR102578022B1 (ko) 주방용품 살균장치
CN210204539U (zh) 一种具有消毒杀菌功能的砧板收纳器
KR100956261B1 (ko) 자외선 반사구 및 이를 구비한 살균기
KR20140054482A (ko) 자외선 살균기
JP3161985U (ja) 携帯用殺菌容器
KR101029348B1 (ko) 싱크대용 다용도 수납케이스
KR200326672Y1 (ko)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벽선반
KR200439151Y1 (ko) 수시 입출식 행주 살균장치
CN214317466U (zh) 橱柜
KR100523533B1 (ko) 자외선 살균 장치
CN215424276U (zh) 餐厨具净化装置
CN214317465U (zh) 橱柜
CN111493709A (zh) 一种具有消毒杀菌功能的砧板收纳器
CN213488477U (zh) 餐厨具净化装置
CN215607868U (zh) 抽屉式消毒柜及集成水槽
KR20210006583A (ko) 다용도 주방용품 수납케이스
CN215348455U (zh)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烤箱
KR200368431Y1 (ko) 접는 도어(Door)에 경첩레일이 부착된 오존 및 자외선소독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