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213B1 -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213B1
KR102559213B1 KR1020217022148A KR20217022148A KR102559213B1 KR 102559213 B1 KR102559213 B1 KR 102559213B1 KR 1020217022148 A KR1020217022148 A KR 1020217022148A KR 20217022148 A KR20217022148 A KR 20217022148A KR 102559213 B1 KR102559213 B1 KR 10255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ubstrate
feeder line
feeder
antenna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5707A (ko
Inventor
이진 왕
시엔징 지엔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8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mounted in or on the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as a chip-type antenna or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into an IC pack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고, 해당 안테나 구조는 공진 암, 제 1 피더 라인부, 제 1 플로어, 기판, 제 2 플로어, 제 2 피더 라인부 및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을 포함한다; 공진 암은 제 1 피더 라인부를 통해 제 1 플로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은 제 2 플로어에 부착되어 있고, 제 2 플로어는 기판에서 제 1 플로어에 가까운 면에 설정되어 있으며, 제 2 피더 라인부의 차폐 접지층 양단은 각각 제 1 플로어와 제 2 플로어에 연결되어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은 기판에서 제 2 플로어에 멀리 떨어진 면에 설정되어 있고, 제 2 피더 라인부는 피더를 감싸고, 피더는 기판과 제 2 플로어를 통과하여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
본 발명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청구의 교차 인용>
본 청구는 2018년 12월 28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출원번호 No. 201811621911.0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그 전부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청구에 포함되었다.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다중 안테나 통신은 단말 장치의 주류 및 미래 트랜드로 자리 잡았고, 이 과정에서 밀리미터파 안테나가 점차 단말 장치에 도입되고 있다. 관련 기술에서 밀리미터파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무관계형 안테나 모듈 형태로써 단말 장치에 무관계형 안테나 모듈을 위한 수용 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전체 단말 장치의 부피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면서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경쟁력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하여 단말 장치에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위한 수용 공간을 설정함으로 인해 전체 단말 장치의 부피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구현된다;
제 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공진 암, 제 1 피더 라인부, 제 1 플로어, 기판, 제 2 플로어, 제 2 피더 라인부와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을 포함한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진 암은 제 1 피더 라인부를 통해 상기 제 1 플로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제 2 플로어에 부착되어 있고, 제 2 플로어는 상기 기판에서 제 1 플로어에 가까운 면에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의 차폐 접지층 양단은 각각 상기 제 1 플로어와 상기 제 2 플로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은 상기 기판에서 제 2 플로어에 멀리 떨어진 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에는 피더가 싸여있으며, 상기 피더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플로어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또한 상기 안테나 구조를 포함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는 공진 암, 제 1 피더 라인부, 제 1 플로어, 기판, 제 2 플로어, 제 2 피더 라인부와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을 포함한다; 상기 공진 암은 상기 제 1 피더를 통해 상기 제 1 플로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제 2 플로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플로어는 상기 기판에서 제 1 플로어에 가까운 면에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의 차폐 접지층 양단은 각각 상기 제 1 플로어와 상기 제 2 플로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은 상기 기판에서 제 2 플로어에 멀리 떨어진 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에는 피더가 싸여있으며, 상기 피더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플로어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안테나 구조에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를 추가하고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Sub 6G 안테나 또는 일부 Sub 6G 안테나로 재사용함으로써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수용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단말 장치의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에 개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창조적 노동을 들이지 않고도 이런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구조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구조도 2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구조도 3이다;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구조도 4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물론, 이하에 개시될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부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가 창조성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전제하에서 취득한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구조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암(1), 제 1 피더 라인부(2), 제 1 플로어(3), 기판(4), 제 2 플로어(5), 제 2 피더 라인부(6)과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을 포함한다; 상기 공진 암(1)은 상기 제 1 피더 라인부(2)를 통해 상기 제 1 플로어(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판(4)는 상기 제 2 플로어(5)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플로어(5)는 상기 기판(4)에서 상기 제 1 플로어(3)에 가까운 면에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 접지층 양단은 각각 상기 제 1 플로어(3)과 상기 제 2 플로어(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은 상기 기판(4)에서 상기 제 2 플로어(5)에 멀리 떨어진 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에는 피더가 싸여있으며, 상기 피더는 상기 기판(4)와 상기 제 2 플로어(5)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플로어(3)은 단말 장치의 메인 보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금속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구조는 Sub 6G 안테나와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Sub 6G 안테나는 0.6-6GHz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한다. 상기 피더는 상기 기판(4)와 상기 제 2 플로어(5)를 통과하고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의 각 방사편(7)은 상기 피더에 연결되어 있고, 피더는 피드 소스 (즉, 밀리미터파 신호 소스)에 연결되어 있으므로써 밀리미터파 신호가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에 방사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이 피드 소스의 협력 하에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은 동축 케이블일 수 있고 연성 회로 기판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진 암(1)은 상기 제 1 피더 라인부(2)를 통해 제 1 플로어(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피더 라인부(2)가 플로어 위에 있는 Sub 6G 신호를 공진 암(1)에 급전시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 2 피더 라인부(6)은 적어도 차폐층, 절연층과 내부 코어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에는 피더가 싸여있으며, 제 2 피더 라인부(6) 중의 내부 코어층이 바로밀리미터파 신호의 피더이고 상기 피더는 상기 기판(4)와 제 2 플로어(5)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 접지층 양단은 각각 상기 제 1 플로어(3)과 상기 제 2 플로어(5)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 접지층의 한 끝단이 제 1 플로어(3)(메인 보드의 접지면)과 연결되어 있고,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 접지층의 다른 한 끝단은 제 2 플로어(5)(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접지면)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접지는 Sub 6G 안테나의 일부가 되고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접지 역할을 하는 동시에 Sub 6G 안테나의 방사체의 일부이며, 제 2 피더 라인부(6)은 차폐 접지층은 또한 Sub 6G 안테나의 접지 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 중의 내부 코어층이 바로 밀리미터파 신호의 피더이고 상기 피더는 상기 기판(4)와 제 2 플로어(5)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층은 우선 피더에 대해 양호한 차폐 보호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피드 소스는 가장 작은 경로로 송전할 수 있으므로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가 더 나은 성능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4), 제 2 플로어(5)와 방사편(7)은 경질 FR4 재질로 형성된 회로 기판일 수 있고, 연성 인쇄 회로 기판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 또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등가 같은 연성 기질인 회로판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Sub 6G 안테나 구조에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를 추가하고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Sub 6G 안테나 또는 일부 Sub 6G 안테나로 재사용하여 Sub 6G 안테나의 공간과 통신 품질에 영향 주지 않는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수용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단말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공진 암(1)과 상기 제 1 피더 라인부(2) 사이에 연결부 8일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진 암(1)과 상기 제 2 플로어(5) 사이에는 연결부 8이 설정되어 있으므로써 공진 암(1)과 제 2 플로어(5) 사이를 더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 접지층은 상기 제 2 플로어(5)의 제 1 끝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끝단은 상기 공진 암(1)과 멀리 떨어져 있다.
해당 실시 방식에서 상기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1과 도 2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 접지층은 상기 제 2 플로어(5)의 제 1 끝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끝단은 상기 공진 암(1)과 멀리 떨어져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의 차폐 접지층은 상기 제 2 플로어의 제 2 끝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끝단은 상기 공진 암과 가까이 있다.
해당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설정 방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도 3과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모두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의 구조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 접지층은 상기 제 2 플로어(5)의 제 2 끝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끝단은 상기 공진 암(1)과 가까이 있다. 이렇게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접지는 제 2 플로어(5)가 Sub 6G 안테나의 기생 부분이고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접지 역할을 하는 동시에 Sub 6G 안테나의 안테나 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해당 실시 방식에서 Sub 6G 안테나에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를 추가하고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Sub 6G 안테나 또는 일부 Sub 6G 안테나로 재사용하여 Sub 6G 안테나의 공간과 통신 품질에 영향 주지 않는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수용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단말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은 상기 기판(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해당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은 상기 기판(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한 열로 배열할 수 있고 여러 열로 배열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이를 제한하지 않고 기판(4)의 면적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은 상기 기판(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어 기판(4) 위에 복수 개의 방사편(7)을 설정하는데 편리함으로써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사편(7)의 형상은 정사각형이다.
해당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방사편(7)의 형상은 정사각형이고, 물론 정사각형 이외에도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 방식에서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 중 임의의 두 인접한 방사편(7) 사이의 거리는 같다.
해당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 중 임의의 두 인접한 방사편(7) 사이의 거리는 같아 복수 개의 방사편을 설정하는데 편리하고, 기판(4)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고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를 더 좋은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피더는 피드 소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드 소스의 주파수 범위는 밀리미터파 범위이다.
해당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피더는 피드 소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드 소스의 주파수 범위는 밀리미터파 범위임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이 밀리미터파 신호를 방사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는 공진 암(1), 제 1 피더 라인부(2), 제 1 플로어(3), 기판(4), 제 2 플로어(5), 제 2 피더 라인부(6)과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을 포함한다; 상기 공진 암(1)은 상기 제 1 피더 라인부(2)를 통해 상기 제 1 플로어(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판(4)는 상기 제 2 플로어(5)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플로어(5)는 상기 기판(4)에서 상기 제 1 플로어(3)에 가까운 면에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의 차폐 접지층 양단은 각각 상기 제 1 플로어(3)과 상기 제 2 플로어(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은 상기 기판(4)에서 상기 제 2 플로어(5)에 멀리 떨어진 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6)에는 피더가 싸여있으며, 상기 피더는 상기 기판(4)와 상기 제 2 플로어(5)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안테나 구조에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를 추가하고 밀리미터파 배열 안테나의 구조를 Sub 6G 안테나 또는 일부 Sub 6G 안테나로 재사용하여 Sub 6G 안테나의 공간과 통신 품질에 영향 주지 않는다. 또한 밀리미터파 안테나의 수용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단말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또한 상기 안테나 구조를 포함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약칭 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 (Mobile Internet Device, MID)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포괄하다"임의의 기타 파생 용어는 제한없이 포함한다는 의미로서 프로세스, 방법, 물품, 장비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목록은 해당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목록에 명시되지 않은 다른 구송 요소도 포함되고, 더 나아가 이런 프로세스, 방법, 물품, 장비에 내재된 구성 요소도 포함된다. 더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한 개 ...를 포함한다"로 한정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동일한 다른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부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행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에 불과하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는 본 발명의 계시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주지와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다양한 양태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9)

  1. 공진 암, 제 1 피더 라인부, 제 1 플로어, 기판, 제 2 플로어, 제 2 피더 라인부와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 암은 상기 제 1 피더 라인부를 통해 상기 제 1 플로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 2 플로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플로어는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 1 플로어에 가까운 면에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의 차폐 접지층 양단은 각각 상기 제 1 플로어와 상기 제 2 플로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은 상기 기판에서 상기 제 2 플로어에 멀리 떨어진 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는 피더를 감싸고, 상기 피더는 상기 기판과 상기 제 2 플로어를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피더 라인부의 차폐 접지층은 상기 제 2 플로어의 제 1 끝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끝단은 상기 공진 암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암과 상기 제 2 플로어 사이에는 연결부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안테나 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은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안테나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편의 형상은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 안테나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방사편에서 임의의 두 인접한 방사편 사이의 거리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 안테나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피드 소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드 소스의 주파수 범위는 밀리미터파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 안테나 구조.
  9. 제 1 항의 안테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단말 장치.
KR1020217022148A 2018-12-28 2019-12-11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 KR102559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621911.0A CN109728414B (zh) 2018-12-28 2018-12-28 一种天线结构及终端设备
CN201811621911.0 2018-12-28
PCT/CN2019/124524 WO2020135043A1 (zh) 2018-12-28 2019-12-11 天线结构及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707A KR20210095707A (ko) 2021-08-02
KR102559213B1 true KR102559213B1 (ko) 2023-07-25

Family

ID=6629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148A KR102559213B1 (ko) 2018-12-28 2019-12-11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42674B2 (ko)
EP (1) EP3905434B1 (ko)
JP (1) JP7230213B2 (ko)
KR (1) KR102559213B1 (ko)
CN (1) CN109728414B (ko)
ES (1) ES2951839T3 (ko)
WO (1) WO2020135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8414B (zh) 2018-12-28 2020-06-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及终端设备
CN112968267B (zh) * 2021-02-01 2023-07-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204286B (zh) 2022-02-15 2022-05-1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集成天线的显示屏、显示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4947A1 (ja) * 2015-10-14 2017-04-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5114B (en) 1999-09-30 2004-03-24 Harada Ind Dual-band microstrip antenna
JP4063833B2 (ja) 2004-06-14 2008-03-19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端末
JP2007123982A (ja) 2005-10-25 2007-05-1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マルチバンド対応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US9368873B2 (en) 2010-05-12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Triple-band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339319B2 (ja) * 2013-04-16 2018-06-0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及び携帯型端末
US9570809B2 (en) 2013-06-06 2017-02-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signing millimeter wave printed dipole antennas
US9252502B2 (en) * 2013-06-18 2016-02-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verted F-antennas at a wireless communication node
CN103606756A (zh) * 2013-10-25 2014-02-26 深圳市摩天射频技术有限公司 一种小型圆极化天线
CN204905439U (zh) * 2015-07-10 2015-12-23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系统
JP6524985B2 (ja) 2016-08-26 2019-06-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モジュール
CN206225540U (zh) * 2016-11-07 2017-06-06 杭州九爱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及其中和式双收发天线系统
CN106602243B (zh) * 2016-12-02 2019-10-25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特征模理论的2mimo手机天线及其设计方法
TWI644479B (zh) 2017-01-05 2018-12-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多天線裝置
JP6930591B2 (ja) * 2017-07-31 2021-09-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CN107658561A (zh) * 2017-11-06 2018-02-0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天线装置及终端设备
CN109728414B (zh) * 2018-12-28 2020-06-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4947A1 (ja) * 2015-10-14 2017-04-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51839T3 (es) 2023-10-25
CN109728414B (zh) 2020-06-05
US20210320395A1 (en) 2021-10-14
EP3905434B1 (en) 2023-07-19
WO2020135043A1 (zh) 2020-07-02
KR20210095707A (ko) 2021-08-02
JP2022515414A (ja) 2022-02-18
EP3905434A4 (en) 2022-02-16
JP7230213B2 (ja) 2023-02-28
US11942674B2 (en) 2024-03-26
CN109728414A (zh) 2019-05-07
EP3905434A1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213B1 (ko) 안테나 구조 및 단말 장치
CN110970728B (zh) 具有天线模块隔离结构的电子设备
EP3114728B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antenna device
US8957813B2 (en) External case for redistribution of RF radiation away fro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orporating RF radiation redistribution elements
US8214003B2 (en) RF radiation redirection away fro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er
WO2015133842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antenna device
US7750861B2 (en) Hybrid antenna including spiral antenna and periodic array, and associated methods
US9905913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0044097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1005162B2 (en) Antenna stru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289802B2 (en) Millimeter wave impedance matching structures
CN106935952B (zh) 双极化天线和通信设备
US9077079B2 (en) Electronic device
KR20210128921A (ko) 기생 패치들을 구비한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WO2020052636A1 (zh) 天线装置及终端设备
KR20160069484A (ko) 회로 보드들의 조립체 및 상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US11664601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existing antennas
JP6809600B2 (ja) 高周波モジュール
WO2010093129A2 (ko) 나선 부하를 이용한 메타머티리얼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장치
US7439910B2 (en) Three-dimensional antenna structure
JP2023546900A (ja) 電子デバイス
WO2018228122A1 (zh) 一种天线结构
WO2021161803A1 (ja) アンテナ装置
CN112216954A (zh) 电子设备及其安装方法
WO2010095816A2 (ko) 다층 구조 단위 셀로 구성된 crlh-tl 주기 구조의 다중 대역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