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157B1 -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 Google Patents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157B1
KR102559157B1 KR1020230001274A KR20230001274A KR102559157B1 KR 102559157 B1 KR102559157 B1 KR 102559157B1 KR 1020230001274 A KR1020230001274 A KR 1020230001274A KR 20230001274 A KR20230001274 A KR 20230001274A KR 102559157 B1 KR102559157 B1 KR 10255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lectron
air
downlight
electr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름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름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름에어
Priority to KR102023000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운라이트에 오존발생 없이 고전압의 전자를 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구성을 구비하여 공기 중 산소를 산소 음이온으로 생성시켜 부유중인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흡착경화하여 무거워진 입자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거나 살균 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또한 전자 방출과정에서 다운라이트 조명장치의 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방오할 수 있도록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반응 구성도 구비하여 조도 저하를 방지한 다운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방열구(11)와 전자 방전부를 감싸는 제 1 보호관(12)이 구비된 본체(10)와; 고전압 역류와 과도한 전압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광원을 제공하고, 복수의 방열홀이 구비된 LED모듈(20)과; 실내 공기 중으로 전자 방출 방향을 가이드하는 전자방출구(31)와 전자 방전부를 감싸는 제 2 보호관(32)이 구비된 렌즈(30)와; 고전압의 전자를 전자 방전부(41)을 통해 실내 공기 중에 방출시켜 실내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하는 전자발생모듈(40)과; 방출되는 전자 영향으로 대전된 렌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렌즈 표면에 코팅된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50);를 포함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Downlight having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운라이트에 오존발생 없이 고전압의 전자를 공기 중에 방출시켜 실내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하고,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가 코팅된 렌즈를 구비하여 전자 발생 과정에서 오염되는 렌즈를 방오하여 조도 저하를 방지시킨 다운라이트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운라이트는 실내의 천장 등에 매달려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조명기구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가시광선 조명기구의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고, LED조명 사용시 렌즈부분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를 코팅하여 렌즈를 방오함으로써 렌즈가 어두어져 조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아 조명기구의 내구성을 높인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렌즈에 코팅된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는 인체에 무해한 OH라디칼을 생성하여 오염물질 분해 성능을 갖고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이 집착하여 렌즈가 어두워지는 현상을 제거하는 등 자가세정기능을 하고, 생성되는 OH- 라디칼로 오염물질 제거,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각종 악취제거,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에 대해 살균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는 조명기구의 렌즈에 대한 방오성능은 문제가 없지만 코팅된 촉매에 의한 광촉매반응으로 생성되는 음이온과 OH라디칼을 이용한 공기살균 성능은 충분하지 않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을 겪으면서 실내 공기 정화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다양한 공기정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지난 1월 100여명의 면역학자, 전염병 연구자, 코로나바이러스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약 90%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대유행이 끝나더라도 사라지지 않고 풍토병(endemic)으로 남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앞으로 수년 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 사람들 사이에 계속해서 확산될 수 있다는 걸 뜻한다. 풍토병이란 특정 지역에서 주기적으로 계속해서 발생하는 질병을 말한다. 코로나 19가 풍토병이 될 수 있다는 예상의 유력한 근거 가운데 하나는 면역력 기간이다. 면역력이 평생 유지되면 풍토병은 생기지 않지만 코로나19의 면역력은 짧게는 몇개월, 길어도 1~2년을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실내 환경에서 인체 면역력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미세먼지이다.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공기 중에 머물다가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 세계보건기구는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미세먼지 성분은 대부분 중금속이며 중금속은 미량이라도 우리 몸 속에 남아있게 되면 우리몸에 효소나 호르몬 대사 기전에 영향을 주게된다.
더구나 미세먼지는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커져 바이러스, 세균, 유해물질이 많이 흡착되고 인체에서의 이동이 쉬워 건강에 더 해롭게 된다. 이때문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흡착되어 함께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실내 공기 중에서 제거시킬 수 있는 실내 공기정화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는 대부분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공기를 살균하여 정화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방식은 팬을 이용해 대량의 실내공기를 강제로 흡입 후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정화하여 신속한 실내 공기 정화가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 방식은 주기적으로 소모성 필터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고, 그 설치장소도 대부분 가정용일 경우 실내 바닥에 설치하고, 사무용일 경우 공조장치와 연계하여 설치하거나 가정용처럼 실내 바닥에 설치하기 때문에 공간 효율 측면에서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공기를 살균하여 정화시키는 방식은 대량의 음이온과 오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공기살균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다.
하지만, 대부분의 음이온 공기청정기는 대부분 뾰족한 금속 바늘 두 개 사이에 고전압을 걸고, 이 때 생기는 코로나(불꽃) 방전을 이용해서 생성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공기 중 산소와 물분자 구조를 파괴시켜 음이온과 산화제 즉 오존을 발생시켜 이를 이용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방식이어서,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오존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특히 오존은 산소로의 전환 즉 2O3 →3O2로의 반감기가 18시간으로 매우 안정적으로 그 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폐쇄된 실내에서는 그 농도가 점차 쌓여 그 피해 역시 고전압의 세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커진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어서 사람이 거주하는 폐쇄된 실내에서 오존을 이용해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방식은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모성 부품의 교체가 없으면서도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는 공기 정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13665(2005. 02. 04)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0713(2010.03.25.)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219256(2021. 02. 17.)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337156(2021. 12. 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운라이트에 오존발생 없이 고전압의 전자를 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구성을 구비하여 공기 중 산소를 산소 음이온으로 생성시켜 부유중인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흡착경화하여 무거워진 입자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하거나 살균 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또한 전자 방출과정에서 다운라이트의 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방오할 수 있도록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반응 구성도 구비하여 조도 저하를 방지한 다운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가 코팅된 렌즈 중앙부에 돌출된 반원구 형태의 전자방출구를 형성하여 토출되는 전자가 렌즈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렌즈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대전현상(帶電現象)이 전자방출구 영역쪽에 집중되도록 하여 실내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흡착되면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반응에 의해 살균되거나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전자 발생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오염 영역을 효율적으로 줄여 다운라이트의 조도 저하를 방지시킴으로써 렌즈의 오염으로 인한 교체나 유지보수 시간이 늘어나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구성한 다운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압의 전자 방출시 주변회로에 고전압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조명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을 유지시켜 내구성을 높인 다운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방열 구조를 구비하여 전자방출과 조명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전자발생모듈과 LED모듈의 내구성을 높인 다운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발생모듈과 LED모듈에 회로보호 구성을 포함하여 안정적인 전자발생과 조명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회로보호 구성을 포함하여 내구성 있는 다운라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방열구와 전자 방전부를 감싸는 제 1 보호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고전압 역류와 과도한 전압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광원을 제공하고, 복수의 방열홀이 구비된 LED모듈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광원을 투과시키되, 실내 공기 중으로 전자 방출 방향을 가이드하는 전자방출구와 전자 방전부를 감싸는 제 2 보호관이 구비된 렌즈와;
고전압의 전자를 전자 방전부를 통해 실내 공기 중에 방출시켜 실내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하는 전자발생모듈과;
방출되는 전자 영향으로 대전된 렌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렌즈 표면에 코팅된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자방출구는 렌즈 중앙부에서 실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측부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입구가 넓어지는 반원구 형태로 형성하여 전자 방출 방향을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동시에 돌출된 높이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가 주변으로 방출되지 않아 대전(帶電)되는 렌즈의 영역이 전자방출구 부위에 형성되어 오염물질 흡착이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조도 저하를 방지토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자방출구는 제 2 보호관과 연통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홀이 실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탄성재질인 전자 방전부 케이블이 걸리거나 가압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본체의 제 1 보호관은 실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렌즈의 제 2 보호관은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전자 방전부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 2 보호관은 체결부가 제 1 보호관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되, 체결부가 3 부분의 체결돌기로 형성되고 각 체결돌기의 바깥부분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면서 전자 방전부 케이블이 걸리거나 가압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렌즈는 가장 자리 부분이 본체 보다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빛의 측면 분산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는 루테늄 폴리피리딜 복합체(Ruthenium bipyridyl complex)를 가시광 감응분자로 사용하여 TiO2 입자 표면에 흡착시키고, 백금(Pt) 나노입자를 같이 담지시켜 형성된 가시광 감음형 광촉매(Pt/TiO2/RuL3)가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자발생모듈은 상기 LED모듈에 의한 열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본체 외부에 체결되는 전자발생모듈 수납부에 수납시켜 설치하되, 전자발생모듈 수납부는 방열을 위해 둘레를 따라 복수의 방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전자발생모듈은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자만 발생시키기 위해, 승압부를 통해 1차측 220V 교류 전원을 2차측에서 2000~6000V의 고전압이 발생되도록 권선비를 정하여 승압시킨 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정류용 다이오드의 출력측에 연결된 평활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교류 방향 전환에 상관없이 충전되도록 하고, 고전압으로 평활용 콘덴서에 충전된 음전압의 출력시 감전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한 전류제한용 저항을 거친 다음, 케이블에 의해 보호되는 고압와이어로 구성된 전자 방전부를 통해 절연체인 실내 공기중으로 고압으로 전자만 방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승압부의 1차측과 2차측 간에 절연저항을 연결하여 고전압이 주변회로에 간섭을 최소화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LED모듈은 LED를 발광시키는 회로의 교류 전원 입력단과 브리지회로 사이에 인덕터 LF1과 LF3를 설치하여 AC 성분 고압 역류를 방지토록 회로 구성하고,
ESD 및 예기치 않은 과도한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TVS 다이오드(TVS 1)를 인덕터 LF3 후단에 설치하고, 브리지회로 후단에 TVS 다이오드(TVS 2)를 설치하여 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다운라이트에 오존발생 없이 고전압의 전자를 공기 중에 방출시키는 구성을 구비하여 공기 중 산소를 산소 음이온으로 생성시켜 세균, 바이러스를 살균하거나 부유중인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흡착경화하여 무거워진 입자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구성하는 황산염, 질산염 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질 덩어리, 광물 입자,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 검댕, 지표면 흙먼지와 같은 광물, 담배연기,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에 흡착된 바이러스, 미생물, 악취까지 함께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켜 공기 중에 부유하다가 호흡기에 유입되어 발생하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 감염, 호흡기 질환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를 발생시킬 코로나 방전 방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오존이 발생하지 않아 종래처럼 오존이 실내에 장시간 잔류하여 오존농도 증가로 인한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였다고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가 코팅된 렌즈를 구비함과 동시에 렌즈의 중앙부에 돌출된 반원구 형태의 전자방출구를 형성하여 토출되는 전자가 렌즈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렌즈 소재의 대전현상(帶電現象)이 전자방출구 영역쪽에 집중되어 실내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가 흡착되면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반응에 의해 살균되거나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전자 발생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오염 영역을 효율적으로 줄여 다운라이트의 조도 저하를 방지시킴으로써 렌즈의 오염으로 인한 교체나 유지보수 시간이 늘어나 내구성이 증대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가 렌즈 영역 전체에 코팅되어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반응으로 방오하여 다운라이트의 조도 저하를 방지시키고, 이로인해 렌즈의 오염으로 인한 교체나 유지보수 시간이 늘어나 내구성이 증대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의 전자를 발생시키기 위해 교류를 2000 ~ 6000V로 승압시키는 과정에서 주변 조명 및 전자발생을 위한 전자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항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조명용 LED 회로기판과 전자발생회로의 내구성이 증대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방전부를 구성하는 고압 와이어(HVO)가 실내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압지지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안전한 고압 전자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LED 조명의 조도가 일정하도록 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LED 렌즈의 측면이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측면광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은은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방열 구조를 구비하여 전자방출과 조명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전자발생모듈과 LED모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발생모듈과 LED모듈에 회로보호 구성을 포함하여 안정적인 전자발생과 조명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회로보호 구성을 포함하여 내구성 있는 다운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라이트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라이트의 다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라이트의 내부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라이트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다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렌즈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전자방출구에 의한 전자 방출을 방향 가이드, 퍼짐 방해 구조 및 공기 정화와 오염물질 흡착 집중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생모듈에서 고전압 발생에 의한 주변 회로 간섭 영향을 최소화 시킨 구성을 포함하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에서 회로 보호 구성을 포함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 설명시 실내측 방향 또는 실내쪽 또는 외측이라 함은 다운라이트의 외측 또는 렌즈의 외측방향을 말한다.
또한 이하 본 발명 설명시 내측방향 또는 내측이라 함은 다운라이트의 내부 쪽 또는 내부 영역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라이트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라이트의 다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라이트의 내부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라이트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다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렌즈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전자방출구에 의한 전자 방출을 방향 가이드, 퍼짐 방해 구조 및 공기 정화와 오염물질 흡착 집중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발생모듈에서 고전압 발생에 의한 주변 회로 간섭 영향을 최소화 시킨 구성을 포함하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에서 회로 보호 구성을 포함하는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천장에 설치되고, 전자를 방출하여 산소음이온이 바이러스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정화 기능과 전자 방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렌즈의 오염과 세균을 제거하는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다운라이트로 그 구성은 본체(10), LED모듈(20), 렌즈(30), 전자발생모듈(40),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50),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로 구성된다.
본체(10)는 다운라이트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하 각 구성간을 체결하여 실내 공간의 천장 또는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체(10)는 내부에 수납되어 복수개의 LED를 발광시키게 회로구성된 LED모듈(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둘레를 따라 복수의 방열구(11)가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체 둘레의 높이를 크게 하여 내부 공간 영역을 크게 하여 내부 대류가 원활이 일어나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의 둘레 높이가 저면의 직경 대비 1/2 이상 커지게 형성하면 방열구의 높이도 커지는 효과와 본체 외측에 설치되는 후단에 설치되는 전자발생모듈(40)과 LED모듈(20) 간의 물리적 거리가 이격될 수 있어 방열이나 열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내구성을 높이는데 좋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는 전자발생모듈(40)의 전자 방전부(41) 외부를 보호하면서 렌즈(30)와 체결시키기 위해 전자 방전부(451)를 감싸는 제 1 보호관(12)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보호관(12)은 실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쪽으로 돌출된 렌즈(30)의 제 2 보호관(32)과 서로 체결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전자 방전부(41) 케이블을 보호하면서 렌즈(30)를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보호관(32)은 끝단부에 형성된 체결부(321)가 상기 본체(10)의 제 1 보호관(12)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121)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 2 보호관(32)에 형성된 체결부(321)은 서로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배열된 3 부분의 체결돌기(321a)로 형성되고 각 체결돌기의 바깥부분에는 가압돌기(321b)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21)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면서 전자 방전부 케이블이 걸리거나 가압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력은 경량재인 렌즈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고정하는데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는 내부에 설치되는 LED모듈(20)을 일정 간격으로 저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복수개의 거치돌기(13)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볼트 체결되거나 끼움 결합되어 체결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저면 외측쪽에 설치되는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4)가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와 걸리도록 2방면 또는 4방면에 설치될 수 있다. 몰론 체결을 위해 저면에 볼트 너트 결합으로 구성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걸림식으로 하는게 유지보수를 위해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를 탈거 또는 설치시 편리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의 일측인 실내측은 개구로 형성되어 렌즈(30)가 위치하게 된다. 개구쪽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체결홈(15)이 형성되어 렌즈(30)의 내측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편(33)이 탄성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LED모듈(20)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고전압 역류와 과도한 전압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24)에 돌출된 LED(21)를 발광시키면서 광원을 제공하고, 인쇄회로기판(PCB, 24)에 돌출된 LED(2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홀(22)이 구비된다.
또한 중앙부에는 제 1 보호관(12)에 삽입되도록 끼움홀(23)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본체(10)에 형성된 거치돌기(13)와 볼트 체결되기 위한 홀이 인쇄회로기판(PCB, 24)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홀을 형성되지 않아도 직접 볼트 또는 스크류로 PCB를 관통하여 볼팅하면 된다.
편의상 LED를 발광시키는 인쇄회로기판(PCB, 24) 상의 인쇄 회로 구성은 도면 도시에서 생략하고 회로도 구성 설명으로 대체한다.
LED(21)를 발광시키는 회로 구성은 일반적으로 교류 전원을 인가받아 복수개의 LED를 발광시키는 일바적인 회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LED모듈(20)은 복수개의 LED(21)를 발광시키는 회로 구성 중 교류 전원 입력단(L1)과 브리지회로(L2) 사이에 인덕터(inductor) LF1(L3)과 LF3(L4)를 설치하여 AC 성분 고압 역류를 방지토록 회로 구성하고, ESD 및 예기치 않은 과도한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TVS 다이오드(TVS 1)(L5)를 인덕터(inductor) LF3(L4) 후단에 설치하고, 브리지회로(L2) 후단에 TVS 다이오드(TVS 2)(L6)를 설치하여 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LED모듈(20)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안정적으로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30)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광원을 투과시키되, 실내 공기 중으로 전자 방출 방향을 가이드하는 전자방출구(31)와 전자 방전부를 감싸는 제 2 보호관(32)이 구비된다.
상기 전자방출구(31)는 렌즈(30)의 중앙부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측부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입구가 넓어지는 반원구 형태로 형성하여 전자 방출 방향을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반원구 형태로 형성하면 방출되는 전자중 반원구와 충돌시 반사되더라고 개구쪽으로 향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실내측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또한 전자방출구(31)는 돌출된 높이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가 주변 렌즈 부위로 퍼지는 것을 방해하여 대전(帶電)되는 렌즈 영역이 주로 전자방출구 부위에만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흡착이 전자방출구 쪽 영역에만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조도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만약 전자방출구(31)가 없다면 방출되는 전자가 렌즈 표면 전체로 퍼지면서 합성 고분자 물질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진 렌즈(30) 전체가 대전되어 렌즈(30) 표면에 골고루 방출되는 전자와 극성이 다른 (+) 이온이 끌리게 되어 표면 전체가 실내 공기 중을 부유하는 (-) 극성을 가진 이물질이 흡착되어 오염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자방출구(31)가 중앙부에 돌출되어 전자가 퍼지더라도 렌즈에 퍼질 가능성이 적어 렌즈가 방출되는 전자에 의해 대전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즉 흡착에 의해 이물질로 오염되는 영역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전자방출구(31)는 제 2 보호관(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홀(310)이 좁게 형성되어 탄성 재질인 전자 방전부 케이블이 걸리거나 눌리면서 가압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 2 보호관(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끝단부에 형성된 체결부(321)가 상기 본체(10)의 제 1 보호관(12)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121)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제 2 보호관(32)에 형성된 체결부(321)은 서로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원형배열된 3 부분의 체결돌기(321a)로 형성되고 각 체결돌기의 바깥부분에는 가압돌기(321b)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21)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면서 전자 방전부 케이블이 걸리거나 가압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력은 경량재인 렌즈의 하중이 본체에 매달린 채로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렌즈(30)는 본체와의 주된 체결력을 위해 내측쪽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편(33)이 형성되어, 본체(1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홈(15)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체결되어 렌즈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또한 렌즈(30)는 가장 자리 부분이 본체 보다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빛의 측면 분산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전자발생모듈(40)은 고전압의 전자를 상기 렌즈(30)의 전자방출구(31)에 위치한 전자 방전부(41)을 통해 실내 공기 중에 방출시켜 실내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하는 구성이다.
또한 전자발생모듈(40)은 LED모듈(20)에 의한 열 영향에 의한 회로구성의 열화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도록 본체(10) 외부에 체결되는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에 수납시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이격시킨 위치에 설치된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에 수압하여 설치하면 내구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시 탈거나 장착이 편리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전자발생모듈(40)은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자만 발생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자발생모듈(40)은 승압부(E1)를 통해 1차측 220V 교류 전원을 2차측에서 2000~6000V의 고전압이 발생되도록 권선비를 정하여 승압시킨 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정류용 다이오드(E2)의 출력측에 연결된 평활용 콘덴서(E3)를 설치하여 교류 방향 전환에 상관없이 충전되도록 하고, 고전압으로 평활용 콘덴서에 충전된 음전압의 출력시 감전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한 전류제한용 저항(E4)을 거친 다음, 케이블에 의해 보호되는 고압와이어로 구성된 전자 방전부(41)를 통해 절연체인 실내 공기 중으로 고압으로 전자만 방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승압부(E1)의 1차측과 2차측 간에 절연저항(E5)을 연결하여 고전압이 주변회로에 간섭을 최소화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2000~6000V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이유는 공기라는 절연체에 전자를 방출시켜 공기 절연 파괴 과정을 통해 다량의 음전위인 전자가 공기중의 산소 분자에 부착되어 이온(O2 -)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간의 전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에 사용하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성한 이유는 인체에 안전한 공기 살균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오존을 생성시키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전자발생모듈(40)은 코로나 방전을 야기 시키는 두 극성 중 플러스 극성을 없애고 마이너스 극성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깨뜨려 오존을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을 유도하지 않고 전자가 공기중의 산소 분자에 부착되어 생성된 이온(O2 -)으로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전하여 살균시키는 기술로 인체에 해로운 오존을 생성하지 않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전자발생모듈(40)은 공인기관의 시험을 통해 8m3 공간에서 30분에 88.2%의 높은 바이러스 살균율을 가짐을 확인 했다.
또한 공기청정화(CADR) 시험에서도 8m3 공간에서 30분에 36m3/h라는 높은 공기 청정화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팬이 장착되지 않은 제품에서의 정화율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이다.
또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전자발생모듈(40)에 의한 공기 청정화율에서 나타내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제거는 전자 발생으로 생성된 이온(O2 -)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흡착 경화함으로써 무거워진 입자는 중력에 의해 낙하함으로써 청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가지는 전자발생모듈(40)에서 발생된 전자는 산소와 물 같은 전자 친화성 분자에 붙어 음이온(O2 -(H2O)n)을 형성하고 공간 내의 미생물을 살균하여 제거하고, 악취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50)는 방출되는 전자 영향으로 대전된 렌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렌즈 표면에 코팅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루테늄 폴리피리딜 복합체(Ruthenium bipyridyl complex)를 가시광 감응분자로 사용하여 TiO2 입자 표면에 흡착시키고, 백금(Pt) 나노입자를 같이 담지시켜 형성된 가시광 감음형 광촉매(Pt/TiO2/RuL3)가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50)가 방출되는 전자 영향으로 대전된 렌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렌즈 전체 영역에서 발휘되지만 특히 본 발명은 렌즈 중앙부에서 실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자방출구(31)가 구비됨으로써 집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전자방출구(31)의 구조상 내측부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입구가 넓어지는 반원구 형태로 형성하여 전자 방출 방향을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동시에 돌출된 높이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가 주변으로 방출되지 않아 대전(帶電)되는 렌즈의 영역이 전자방출구 부위에 형성되어 오염물질 흡착이 집중되어 이 부분에서 손쉽게 바이러스 등의 살균 제거 효율이 높게 되고, 이물질 제거도 렌즈 전체 영역보다는 이부분이 집중적으로 오염되기 때문에 광촉매 반응에 의해 흡착력도 저하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렌즈의 조도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조명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50)가 렌즈에 코팅되어 가시광을 이용한 광촉매 반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촉매는 빛을 흡수하여 공유대(valence band: VB)로부터 전도대(conduction band: CB)로 전자를 여기시키고 이때 생성된 전하쌍이 계면으로 이동하여 전자 전이를 일으킴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산화 환원 반응을 진행시키게 된다.
오염물질 분해 반응은 대부분 산화반응이므로 광촉매 VB 정공의 산화력에 기인하고 정공의 산화력이 클수록 산화반응에 유리하다. 즉 전기화학적 전위가 커야 한다.
정공에 의한 산화반응은 정공과 화합물의 직접적인 반응과 OH라디칼 생성을 통한 간접적인 반응으로 나눈다.
즉 TiO2 + hv ----hcb+ + ecb- (1)
Substrate + hcb+ ---Oxidied substrate (2)
H2O + hcb+ --- ·OH + H+ (3)
Substrate + ·OH ---Oxidized substrate (4)
O2 + ecb- ---O2 - (5)
특히 OH라디칼 생성은 TiO2 광촉매 산화력의 가장 중요한 핵심으로 많은 광촉매 산화반응이 정공과의 직접적인 반응보다는 .OH와의 반응에 의해 개시된다.
그러나 TiO2 광촉매는 자외선 하에서는 효율적인 광반응 활성을 보이나 가시광에서는 활성이 전혀 없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TiO2를 개질하여 가시광 활성을 부여하였다.
즉 가시광을 흡수하는 감응분자(sensitizer molecule)를 TiO2 표면에 흡착시켜 광 여기된 감응분자가 TiO2 전도대(conduction band: CB)로 전자를 전달하게 하였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루테늄 폴리피리딜 복합체(Ruthenium bipyridyl complex)를 가시광 감응분자로 사용하여 이것을 TiO2 입자 표면에 흡착시키고 백금(Pt) 나노입자를 같이 담지시켜 가시광 감음형 광촉매(Pt/TiO2/RuL3)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에 담지하고 건조시켜 가시광과 반응시키면 OH라디칼을 생성한다. 이것은 실내 오염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고 바이러스 및 세균 곰팡이에 대한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는 본체(10) 외부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외부에 체결하는 이유는 내부에 수납되는 전자발생모듈(40)이 LED 모듈(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열화되는 것을 막아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는 추가적인 방열을 위해 둘레를 따라 복수의 방열구(6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방열구가 형성되면 내부는 대류에 의한 열교환이 원활해지고,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방출 과정에서 열교환이 원활이 일어나게 된다.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는 본체(10)와 체결을 위해 본체(10) 저면 외측쪽에 설치되는 체결부(14)와 탄성적으로 끼울 수 있는 걸림부(62)가 실내측 끝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걸림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62)가 형성되면 유지보수를 위해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를 탈거 또는 설치시 편리하여 바람직하다.
몰론 체결을 위해 볼트 너트 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운라이트 형태의 실내 조명을 제공하면서 전자발생모듈(40)에서 전자만을 발생시켜 공기 중의 산소분자를 깨뜨려 오존을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을 유도하지 않으면서도 방출된 전자가 공기중의 산소 분자에 부착되어 생성된 이온(O2 -)으로 실내 공기중을 부유중인 세균과 바이러스를 흡착경화하여 무거워진 입자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또한 전자 방출과정에서 다운라이트 조명장치의 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방오할 수 있도록 렌즈 중앙부에 돌출시킨 전자방출구(31)로 전자방출시 대전된 렌즈에 흡착되는 이물질이 집중되도록 한 후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반응을 통해 인체에 무해한 OH라디칼을 생성하여 오염물질 분해 성능을 갖고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이 집착하여 렌즈가 어두워지는 현상을 제거하는 등 자가세정기능을 제공하여 렌즈의 조도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다운라이트 조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방열구
(12) : 제 1 보호관 (13) : 거치돌기
(14) : 체결부 (15) : 체결홈
(20) : LED모듈 (21) : LED
(22) : 방열홀 (23) : 끼움홀
(24) : 인쇄회로기판 (30) : 렌즈
(31) : 전자방출구 (32) : 제 2 보호관
(33) : 걸림편 (40) : 전자발생모듈
(41) : 전자 방전부 (50) :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
(60) : 전자발생모듈 수납부 (61) : 방열구
(62) : 걸림부 (121) : 걸림부
(310) : 홀 (321) : 체결부
(321a) : 체결돌기 (321b) : 가압돌기
(E1) : 승압부 (E2) : 정류용 다이오드
(E3) : 평활용 콘덴서 (E4) : 전류제한용 저항
(E5) : 절연저항 (L1) : 교류 전원 입력단
(L2) : 브리지회로 (L3) : 인덕터 LF1
(L4) : 인덕터 LF3 (L5) : TVS 다이오드(TVS 1)
(L6) : TVS 다이오드(TVS 2)

Claims (10)

  1. 복수의 방열구(11)와 전자 방전부를 감싸는 제 1 보호관(12)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고전압 역류와 과도한 전압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광원을 제공하고, 복수의 방열홀이 구비된 LED모듈(20)과;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광원을 투과시키되, 중앙부에서 실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실내 공기 중으로 전자 방출 방향을 가이드하는 전자방출구(31)와 전자 방전부를 감싸는 제 2 보호관(32)이 구비된 렌즈(30)와;
    고전압의 전자를 전자 방전부(41)을 통해 실내 공기 중에 방출시켜 실내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하는 전자발생모듈(40)과;
    방출되는 전자 영향으로 대전된 렌즈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렌즈 표면에 코팅된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50);를 포함하되,
    상기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부(50)는 루테늄 폴리피리딜 복합체(Ruthenium bipyridyl complex)를 가시광 감응분자로 사용하여 TiO2 입자 표면에 흡착시키고, 백금(Pt) 나노입자를 같이 담지시켜 형성된 가시광 감음형 광촉매(Pt/TiO2/RuL3)가 일정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되고,
    상기 LED모듈(20)은 복수개의 LED(21)를 발광시키는 회로의 교류 전원 입력단(L1)과 브리지회로(L2) 사이에 인덕터 LF1(L3)과 인덕터 LF3(L4)를 설치하여 AC 성분 고압 역류를 방지토록 회로 구성하고,
    ESD 및 예기치 않은 과도한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TVS 다이오드(TVS 1)(L5)를 상기 브리지회로(L2)의 전단에 설치된 상기 인덕터 LF3(L4)의 후단에 설치하고, 상기 브리지회로(L2) 후단에 TVS 다이오드(TVS 2)(L6)를 설치하여 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방출구(31)는 내측부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입구가 넓어지는 반원구 형태로 형성하여 전자 방출 방향을 일측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동시에 돌출된 높이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가 주변으로 방출되지 않아 대전(帶電)되는 렌즈의 영역이 전자방출구 부위에 형성되어 오염물질 흡착이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조도 저하를 방지토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방출구(31)는 제 2 보호관(32)과 연통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홀(310)이 실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탄성재질인 전자 방전부 케이블이 걸리거나 가압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제 1 보호관(12)은 실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렌즈(30)의 제 2 보호관(32)은 내부쪽으로 돌출되어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전자 방전부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호관(32)은 체결부가 제 1 보호관(12)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되, 체결부가 3 부분의 체결돌기로 형성되고 각 체결돌기의 바깥부분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탄성적으로 체결되면서 전자 방전부 케이블이 걸리거나 가압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30)는 가장 자리 부분이 본체 보다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빛의 측면 분산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발생모듈(40)은 상기 LED모듈(20)에 의한 열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본체 외부에 체결되는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에 수납시켜 설치하되, 전자발생모듈 수납부(60)는 방열을 위해 둘레를 따라 복수의 방열구(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발생모듈(40)은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자만 발생시키기 위해, 승압부를 통해 1차측 220V 교류 전원을 2차측에서 2000~6000V의 고전압이 발생되도록 권선비를 정하여 승압시킨 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정류용 다이오드의 출력측에 연결된 평활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교류 방향 전환에 상관없이 충전되도록 하고, 고전압으로 평활용 콘덴서에 충전된 음전압의 출력시 감전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한 전류제한용 저항을 거친 다음, 케이블에 의해 보호되는 고압와이어로 구성된 전자 방전부를 통해 절연체인 실내 공기중으로 고압으로 전자만 방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승압부의 1차측과 2차측 간에 절연저항을 연결하여 고전압이 주변회로에 간섭을 최소화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10. 삭제
KR1020230001274A 2023-01-04 2023-01-04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KR10255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274A KR102559157B1 (ko) 2023-01-04 2023-01-04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274A KR102559157B1 (ko) 2023-01-04 2023-01-04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157B1 true KR102559157B1 (ko) 2023-07-25

Family

ID=8742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274A KR102559157B1 (ko) 2023-01-04 2023-01-04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15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65A (ko) 2005-01-17 2005-02-04 이청호 음이온 발생기
KR100570341B1 (ko) * 2005-02-28 2006-04-13 박경례 조명등용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0950713B1 (ko) 2009-07-15 2010-03-31 (주)블루앤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100135550A (ko) * 2009-06-17 2010-12-27 우리조명 주식회사 다운라이트형 led 조명장치
KR101044047B1 (ko) * 2011-01-24 2011-06-23 (주)솔레즈 방열 효율이 개선된 음이온 엘이디 램프
KR20140049841A (ko) * 2012-10-18 2014-04-28 주식회사 파이컨 Led 조명등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KR102219256B1 (ko) 2020-09-11 2021-02-24 주식회사 엘이디그린티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장치
KR20210077424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푸름에어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용 램프
KR102337156B1 (ko) 2021-03-12 2021-12-09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광촉매 엘이디 모듈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665A (ko) 2005-01-17 2005-02-04 이청호 음이온 발생기
KR100570341B1 (ko) * 2005-02-28 2006-04-13 박경례 조명등용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100135550A (ko) * 2009-06-17 2010-12-27 우리조명 주식회사 다운라이트형 led 조명장치
KR100950713B1 (ko) 2009-07-15 2010-03-31 (주)블루앤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101044047B1 (ko) * 2011-01-24 2011-06-23 (주)솔레즈 방열 효율이 개선된 음이온 엘이디 램프
KR20140049841A (ko) * 2012-10-18 2014-04-28 주식회사 파이컨 Led 조명등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KR20210077424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푸름에어 미세먼지 및 유해물질 제거용 램프
KR102219256B1 (ko) 2020-09-11 2021-02-24 주식회사 엘이디그린티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조명장치
KR102337156B1 (ko) 2021-03-12 2021-12-09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광촉매 엘이디 모듈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4881B2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1205771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 기구
KR100945599B1 (ko) 하이브리드 광반도체 살균 촉매 램프 및 이를 이용한 광촉매 정화 장치
CN102961964A (zh) 具有受照射成角度基板的光催化空气净化器系统
KR20060004629A (ko) 자외선엘이디를 이용한 광촉매 공기정화센서등
WO2020011123A1 (zh) 一种净化因子产生器及环境净化装置
US20080305015A1 (en) Negative ion generator for incorporation into lighting apparatuses
CN111457498B (zh) 一种紫外线光触媒空气净化箱
CN112576983A (zh) 一种具有空气净化消毒功能的灯具
JP2005079094A (ja) 陰イオン発生と空気浄化機能とを有する三波長ランプ
KR102559157B1 (ko) 공기 살균 정화 다운라이트
WO2006085729A1 (en) A negative ion generator and air cleaning apparatus for indoor ai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KR101424173B1 (ko) 공기정화 은나노 led 조명장치
KR100570341B1 (ko) 조명등용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0471033Y1 (ko) 음이온 방출 하우징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0374666Y1 (ko) 광촉매와 음이온을 이용한 실내 공기정화 조명기구
KR200385033Y1 (ko) 조명등용 실내 공기 정화장치
JP3159067B2 (ja) 空気清浄装置
CN211695153U (zh) 紫外灯杀菌模块及空调器
KR20150014822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CN103528139B (zh) 电子空气净化消毒机
KR200334566Y1 (ko)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한 조명장치
KR200385142Y1 (ko) 음이온 발생기가 구비된 전등 소켓
CN213480016U (zh) 一种具有空气净化消毒功能的灯具
KR101041857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