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773B1 - 돌기실 패드 - Google Patents

돌기실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773B1
KR102558773B1 KR1020210027931A KR20210027931A KR102558773B1 KR 102558773 B1 KR102558773 B1 KR 102558773B1 KR 1020210027931 A KR1020210027931 A KR 1020210027931A KR 20210027931 A KR20210027931 A KR 20210027931A KR 102558773 B1 KR102558773 B1 KR 10255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outer fabric
lining
clothin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389A (ko
Inventor
강효정
Original Assignee
강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효정 filed Critical 강효정
Publication of KR2022005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389A/ko
Priority to KR102023007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8Brassieres combined with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제품에 부착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I)는, 상기 섬유제품에 접촉하는 겉감(1); 상기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겉감(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안감(2); 적어도 2개의 재봉실로 상기 겉감(1)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감(2)의 가장자리 부위를 재봉하되, 상기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재봉실은 적어도 1개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실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섬유제품에 접촉하여 상기 패드의 위치가 상기 섬유제품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실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돌기실 패드{pad with protrusion thread}
본 발명은 섬유제품에 부착 고정될 수 있는 돌기실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드의 겉감과 안감을 돌기실로 재봉하여 돌기실의 고정력에 의해 패드가 섬유제품에 잘 부착되도록 하는 돌기실 패드에 관한 것이다.
여성용 상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이고, 그러한 변화의 중심에 여성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가슴선, 허리선을 강조하는 다양한 수단이 개발되어 왔다.
이 중 여성의 가슴을 강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성 여성 속옷이 등장하여 체형을 바로 잡아 주거나, 브래지어(brassiere)의 전면 가슴 받침부분에 가슴을 돋보이게 하도록 추가되는 다양한 형상의 브라패드가 구비되는 등 주로 여성 내의를 중심으로 발전되었다.
최근에는 남성의 체형을 보강하기 위하여 두드러진 근육을 대신하도록 보강 패드를 구비한 남성용 상의도 발명되는바, 속옷에 치중하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장시간 브래지어의 착용은 가슴 부위에 통증을 가하고, 특히 여름철에는 가슴 부위에서 다량의 땀이 발생되어 불편함을 야기하고 건강을 해롭게 한다. 또한, 나시와 같은 민소매의 옷을 입을 때에는 브래지어의 어깨끈이 쉽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착용자에게 의복 착용에 대한 불편함과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 때문에 브래지어 대용의 끈없는 피부 접착식 브래지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등록실용 20-0334379 등록실용 20-0433358
삭제
이러한 종래의 피부 접착식 브래지어는 브래지어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피부 접착되어 의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되나, 이런 경우에는 브래지어가 끈적거리고,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되며, 물이나 땀에 의해 부착력이 저하되기도 하고, 접착부가 피부에 부착되므로 이물감이 있고, 악취가 발생하며, 통기성이 부족하여 습기가 차기 쉬워 위생상 청결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마찰력으로 브라패드가 의류 내부에서 고정이 되는 마찰력 브라패드의 경우에도 브라패드의 겉감 및 안감의 가장자리 부분을 재봉한 재봉실이 가장자리 부분의 고정력을 저하시켜서 브라패드의 가장자리부분이 의류에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찰력 브라패드는 가장자리의 두께가 얇아서 피부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 피부에 상처를 주거나 피부 자극을 발생시키는 등 피부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브라패드를 삽입하는 포켓형 공간이 있는 의류에 브라패드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브라패드가 이탈하지 않도록 삽입구를 브라패드의 직경보다 작게 만들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드를 삽입할 때 번거롭고, 포켓형의 삽입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추가 작업이 많아 제작이 힘들고, 비용도 늘어나며 좁은 삽입구로 인해 브라패드의 손상가능성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섬유제품에 부착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I)는, 상기 섬유제품에 접촉하는 겉감(1); 상기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겉감(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안감(2); 적어도 2개의 재봉실로 상기 겉감(1)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감(2)의 가장자리 부위를 재봉하되, 상기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재봉실은 적어도 1개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실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섬유제품에 접촉하여 상기 패드의 위치가 상기 섬유제품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실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겉감(1)에 재봉된 재봉실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안감(2)에 재봉된 재봉실 중 적어도 1개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를 감싸서 상기 가장자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재봉실은 1번재봉실(31), 2번재봉실(32), 3번재봉실(33)로 구성되며, 상기 2번재봉실(32)은 상기 겉감(1)에 형성되고, 상기 3번재봉실(33)은 상기 안감(2)에 형성되되, 상기 2번재봉실(32)과 상기 3번재봉실(33)은 상기 패드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걸리도록 연결되고, 상기 1번재봉실(31)은 상기 2번재봉실(32)과 상기 3번재봉실(33)에 각각 걸리도록 연결되어 상기 겉감(1)과 상기 안감(2)을 재봉하여 상기 겉감(1)과 상기 안감(2)이 밀착되어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섬유제품에 접촉하는 상기 2번재봉실(32) 및 상기 1번재봉실(31) 중 적어도 1개는 돌기실일 수 있다.
상기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를 감싸는 재봉실 사이에 쿠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제품은 상기 돌기실 패드가 삽입가능한 삽입공간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구가 형성된 의류이며, 상기 돌기실 패드는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가능하되, 상기 패드의 겉감은 마찰력으로 상기 의류와의 접촉위치가 고정되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섬유제품에 부착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마찰력에 의해 섬유제품에 부착하는 스폰지 재질의 겉감(1)과 상기 겉감과 동일 또는 다른 재질의 안감(2)으로 형성하되, 상기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돌기실을 사용하여 재봉을 하되, 상기 패드는 겉감(1)의 마찰력과 돌기실의 고정력에 의해 상기 섬유제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실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섬유제품은 상기 패드가 삽입가능한 삽입공간을 갖는 의류이며, 상기 패드는 상기 삽입공간의 하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를 감싸는 돌기실 사이에 쿠션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겉감과 안감이 재봉된 패드의 가장자리 부위가 돌기실로 재봉되기 때문에 돌기실이 섬유제품에 부착되어 패드의 가장자리 부위가 더욱 잘 고정될 수 있어서 패드가 섬유제품의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패드를 여성용 가슴에 브래지어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에 접촉하지 않고 의류에 부착 고정되므로 패드와 피부사이의 통기성 및 청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패드 자체 재질의 마찰력으로 의류에 고정되는 마찰력 패드에 돌기실로 가장자리 부위를 재봉할 경우 마찰력 패드 자체의 마찰력에 의한 고정에 더하여 돌기실에 의한 고정력이 추가되므로 패드가 의류에 더 잘 고정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격렬하게 움직여도 패드의 고정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패드의 가장자리에 쿠션용 공간을 형성하는 쿠션층이 형성되므로 패드 가장자리의 얇은 부분이 피부에 상처를 주거나 자극을 발생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을 갖는 섬유제품(예를 들면, 의류)에 패드를 삽입한다면 삽입공간과 접촉하는 패드의 겉감 및/또는 안감의 가장자리 부위를 돌기실로 재봉할 수 있어서 패드가 삽입공간 내에서 더욱 강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패드가 마찰력 패드라면 고정력이 더욱 더 증가될 수 있으며, 삽입공간의 삽입구를 통해 사용자가 손쉽게 패드를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직상부에서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직하부에서 올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측상부에서 비스듬이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측하부에서 비스듬이 올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c)는 돌기실 패드의 가장자리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c-1)은 쿠션층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c-2)는 쿠션층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의 가장자리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쿠션층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쿠션층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측상부에서 비스듬이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측하부에서 비스듬이 올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으서, (b-1)은 쿠션층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b-2)는 쿠션층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돌기실 외주면에 실의 보풀 또는 실의 가닥이 실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1)은 돌기실 외주면에 돌기가 외주면의 일면에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2)는 돌기실 외주면에 돌기가 지그재그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3)은 돌기실 외주면에 돌기가 외주면의 일면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4)는 돌기실 외주면에 돌기가 지그재그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가 삽입되는 의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상부연결부가 어깨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상부연결부가 목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가 삽입되는 의류의 삽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천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a)는 상부연결부가 어깨에 형성되는 천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상부연결부가 목에 형성되는 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돌기실에 의해서 패드의 가장자리가 의류, 침구류 등 섬유제품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돌기실 패드에 관한 발명이므로 여성의 가슴에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엉덩이 등 다양한 부위, 다양한 산업에 사용할 수 있는 등 섬유제품에 부착 고정되어야 하는 패드가 필요한 곳이면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의류에 삽입하여 사용된다면 돌기실 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모든 의류, 즉 외출복, 근무복, 실내복, 유니폼 등에 다양하게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고정”은 정해진 위치가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어느 정도 밀려서 위치가 미세하게 움직이는 것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내측"은 돌기실 패드의 실제 사용상태에서 안쪽, 의류라면 인체 쪽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외측"은 패드의 실제 사용상태에서 바깥쪽, 의류라면 인체 외쪽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스폰지 재질"이란 천연수지, 합성수지, 천연고무, 면 등으로 만든 것이면 모든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완성된 패드 제품을 구겼을 때 원래 형상으로 회복이 되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을 의미하며, 플라스틱,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스폰지 재질은 통기성을 위해 빈 공간(hole, 이하 “홀”이라 한다)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홀은 밀폐/단절된 공간 및 연속/이어진 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돌기실이란 재봉을 하였을때 실의 표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가 적어도 1개 있는 실을 의미하며, 돌기실로 겉감과 안감을 재봉하여도 돌기실의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란, 실의 보풀 뿐만 아니라 실의 가닥, 어느 정도 고정된 형상을 유지(예를 들면, 탄성소재)하면서 실의 외부로 돌출되는 모든 구성을 의미하며, 돌기는 일종의 갈고리 역할을 하여 패드가 섬유제품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거나 섬유제품과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마찰력을 강화하여 돌기실로 가장자리 부위가 재봉된 패드를 섬유제품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이하, 돌기에 의해 패드가 섬유제품에 부착 고정될 수 있는 힘을 “고정력”이라 한다).
본 발명은 패드의 겉감과 안감의 가장자리 부위를 재봉하되, 섬유제품에 접촉하는 가장자리에는 고정력 형성을 위해 돌기실로 재봉하는 발명이므로, 1개 이상의 여러 종류의 실을 사용하여 겉감과 안감을 재봉하는 경우에는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부분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1개는 돌기실을 사용하여야 한다.
만약 안감이 피부와 같은 민감한 부분에 접촉할 때는 부드러운 재질의 실이나 직물재질의 재봉실을 사용하여 안감을 재봉해야 피부에 자극이 없게 되고, 겉감이 섬유제품과 접촉할 때는 고정력 향상을 위해 적어도 1개의 실은 돌기실을 사용하여 겉감을 재봉해야 할 것이다.
겉감과 안감의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방식은 현존하는 다양한 재봉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인터록(interlock), 오버록(overlock), 새발뜨기, 감아치기 등 다양한 재봉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섬유제품에 접촉 고정되는 돌기실 패드(I)에 관한 발명으로서, 돌기실 패드(I)는 겉감(1)과 안감(2)의 가장자리 부위를 적어도 2개의 재봉실을 사용하여 재봉하되,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부분은 고정력 형성을 위해 적어도 1개는 돌기실을 사용하여 재봉을 한다.
이러한 돌기실 패드(I)는 삽입가능한 삽입공간을 갖는 의류에 탈착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데, 돌기실 패드(I)는 패드 자체의 마찰력으로 의류와의 접촉위치가 고정되도록 마찰력이 강한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의류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공간의 하측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패드의 재질을 스폰지 재질로 하여 마찰력이 강한 마찰력 패드로 형성하여 돌기실 마찰력 패드로 제작한다면 돌기실에 의한 고정력에 마찰력 패드의 마찰력이 더해져 섬유제품과 패드 사이의 부착력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이 때 스폰지 재질이 섬유제품에 부착 고정되어야 하는 하므로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면(겉감 및/또는 안감)에 스폰지 재질을 사용하여 돌기실 패드를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 재봉 부위를 설명하면서 점선,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재봉을 했다는 의미이지 실선은 이어진 재봉, 점선은 간격을 둔 재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직상부에서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직하부에서 올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측상부에서 비스듬이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측하부에서 비스듬이 올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c)는 돌기실 패드의 가장자리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c-1)은 쿠션층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c-2)는 쿠션층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은 돌기실 패드가 여성 가슴용 브래지어 대용으로 사용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서, 돌기실 패드(I)는 겉감(1) 및 안감(2)으로 구성되고,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가장자리 부위를 재봉하되, 3가지 실로 돌기실 패드의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실시예이다.
즉, 겉감(1)은 외측에 배치되어 섬유제품(예를 들면, 외부의류)과 접촉할 수 있고, 안감(2)은 내측에 배치되어 겉감(1)의 반대측에서 피부 또는 또 다른 섬유제품(예를 들면, 내부의류)과 접촉될 수 있다.
겉감(1)의 가장자리와 안감(2)의 가장자리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이 될 수도 있으나, 가장자리는 잦은 사용 또는 접착 불량 등으로 벌어질 수 있으므로 재봉실을 사용하여 재봉을 하여야 하는데 의류와 접촉하는 돌기실 패드의 면(본 실시예에서는 겉감의 외측 면)에 사용하는 재봉실은 고정력 향상을 위해서 적어도 1개는 돌기실을 사용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점선 부분은 1번재봉실(31)에 의해 재봉된 부분을 나타내며, 겉감(1)에서 지그재그로 표시된 실선부분은 2번재봉실(32)에 의해 재봉된 부분을 나타내며, 안감(2)에서 지그재그로 표시된 실선부분은 3번재봉실(33)에 의해 재봉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1번재봉실(31)과 2번재봉실(32)이 의류에 접촉하므로 1번재봉실(31) 및 2번재봉실(32) 중 적어도 1개는 돌기실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돌기실을 1개만 사용한다면 접촉면적이 큰 2번재봉실(32)을 돌기실로 사용하는 것이 고정력 향상에 좋을 것이다. 당연히 양자를 모두 돌기실로 사용한다면 고정력은 더 향상될 것이다.
3번재봉실(33)은 의류의 내측을 향하므로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데, 피부처럼 민감한 부분과 접촉한다면 부드러운 실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고, 그렇지 않고 의류나 섬유제품과 접촉을 하고, 고정력도 향상시켜야 한다면 3번재봉실(33)도 돌기실을 사용할 수 있다.
3가지 재봉실을 사용하여 돌기실 패드(I)의 가장자리를 재봉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면, 2번재봉실(32)은 겉감(1)에 형성되고, 3번재봉실(33)은 안감(2)에 형성되되, 2번재봉실(32)과 3번재봉실(33)은 도 2의 (c-1), (c-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의 가장자리 외부에서 서로 걸리도록 연결되고, 다시 2번재봉실(32)은 겉감(1) 쪽으로 당겨지고, 3번재봉실은 안감(2) 쪽으로 당겨져서 양자가 패드의 가장자리 외부에서 걸리도록 하여 겉감(1)과 안감(2)은 밀착되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의 (c-1)은 2번재봉실(32)과 3번재봉실(33)이 겉감(1) 및 안감(2)에 밀착되도록 재봉을 하여 겉감(1)과 안감(2)의 가장자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고, 도 2의 (c-2)는 2번재봉실(32)과 3번재봉실(33)이 겉감(1) 및 안감(2)으로부터 어느정도 떨어지도록 재봉을 하여 가장자리와 재봉실 사이에 쿠션용 공간인 쿠션층(34)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장자리가 바로 피부에 닿지 않고 쿠션층(34)이 어느 정도 완충역할을 하게 하여 피부에 상처를 주거나 자극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2번재봉실(32)과 3번재봉실(33)은 각각 겉감(1)과 안감(2) 쪽으로 당겨져 있으므로 이를 각각 겉감(1)과 안감(2)에 고정시키는 재봉을 하여야 하는데, 1번재봉실(31)이 2번재봉실(32)과 3번재봉실(33)에 연결되면서 도 2의 (c-1), (c-2)에서와 같이 겉감(1)과 안감(2)을 관통하여 재봉되어 2번재봉실(32)과 3번재봉실(33)은 각각 겉감(1) 및 안감(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의 가장자리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쿠션층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쿠션층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2개의 재봉실(41, 42)로 패드(I)의 가장자리를 재봉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재봉실(42)은 패드(I)의 가장자리 전체를 감싸서 겉감(1)과 안감(2)이 벌어지지 않도록 밀착시키는데, 2번재봉실의 양 끝단부(도 3에서 1번재봉실(41)과 연결되는 겉감 및 안감쪽 부분을 의미함)는 1번재봉실(41)과 걸리도록 연결되어 1번재봉실(41)이 겉감(1)과 안감(2)을 관통하여 재봉되어 2번재봉실(42) 양 끝단부가 각각 겉감(1) 및 안감(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의 (a)는 2번재봉실(42)이 겉감(1) 및 안감(2)에 밀착되도록 재봉을 하여 겉감(1)과 안감(2)의 가장자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고, 도 3의 (b)는 2번재봉실(42)이 겉감(1) 및 안감(2)으로부터 어느정도 떨어지도록 재봉을 하여 가장자리와 재봉실 사이에 쿠션용 공간인 쿠션층(34)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장자리가 바로 피부에 닿지 않고 쿠션층(44)이 어느 정도 완충역할을 하게 하여 피부에 상처를 주거나 자극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측상부에서 비스듬이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측하부에서 비스듬이 올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으서, (b-1)은 쿠션층이 없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b-2)는 쿠션층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2개의 재봉실로 패드(I)의 가장자리를 재봉한 것인데, 겉감(1)쪽에 지그재그로 재봉되는 2번재봉실(52)과 안감(2)쪽에 지그재그로 재봉되는 3번재봉실(53)을 사용하되 양자는 각각 패드(I)의 가장자리 외부 및 가장자리 내부에서 서로 걸리도록 재봉되어 패드(I)의 가장자리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4의 (b)에는 2번재봉실(52)과 3번재봉실(53)이 가장자리 외부에서 서로 걸리는 부분(A-A’ 단면)을 확대한 도면과 2번재봉실(52)과 3번재봉실(53)이 가장자리 보다 안쪽에서 서로 걸리는 부분(B-B’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번재봉실(52)과 3번재봉실(53)이 서로 걸리는 위치가 가장자리 안쪽 및 바깥쪽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바깥쪽에서 걸리는 것을 가장자리의 안쪽으로 약간 이동시켜 2번재봉실(52)과 3번재봉실(53)이 서로 걸리는 2군데의 위치가 모두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되도록 재봉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재봉을 한다면 불가피하게 가장자리의 끝단부쪽은 재봉이 되지 않으므로 겉감(1)과 안감(2)이 벌어질 수도 있고, 가장자리 부분이 바로 피부에 닿게 되어 피부에 해를 가할 수도 있으므로 도 4의 (b)와 같이 2번재봉실(52)과 3번재봉실(53)은 가장자리의 안쪽 및 바깥쪽에서 걸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4의 (b-1)는 2번재봉실(52)과 3번재봉실(53)이 겉감(1) 및 안감(2)에 밀착되도록 재봉을 하여 겉감(1)과 안감(2)의 가장자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고, 도 4의 (b-2)는 2번재봉실(52)과 3번재봉실(53)이 겉감(1) 및 안감(2)으로부터 어느정도 떨어지도록 재봉을 하여 가장자리와 재봉실 사이에 쿠션용 공간인 쿠션층(34)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장자리가 바로 피부에 닿지 않고 쿠션층(44)이 어느 정도 완충역할을 하게 하여 피부에 상처를 주거나 자극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의 다양한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돌기실의 외주면에 실의 보풀 또는 실의 가닥이 실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1)은 돌기실의 외주면에 돌기가 외주면의 일면에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2)는 돌기실의 외주면에 돌기가 지그재그로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3)은 돌기실의 외주면에 돌기가 외주면의 일면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4)는 돌기실의 외주면에 돌기가 지그재그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일면에 돌기가 형성된다고 표현한 것은 일면 뿐만 아니라 돌기실의 외주면 전부 또는 연속된 일부, 불연속된 일부 등 다양한 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6)는 실의 보풀 뿐만 아니라 실의 가닥 중 일부가 삐져나오도록 제작하여 실의 가닥이 돌기실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7)는 실의 외주면으로 어느 정도 고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탄성소재를 외부로 돌출시킬 수도 있는데, 실 자체의 소재가 탄성소재이므로 실의 외주면에 칼 같은 절단도구로 흠집을 내어 가시와 같은 돌기들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가공으로 가시와 같은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돌기는 탄성력이 없는 보풀이나 실의 가닥일 경우에는 섬유제품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섬유제품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고,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제작된 가시 또는 갈고리일 경우에는 섬유제품과 마찰력 뿐만 아니라 돌기가 섬유제품이 걸릴 수 있도록 갈고리 역할도 하면서 섬유제품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돌기가 도 5의 (a)와 같이 방향성이 없거나, 도 5의 (b-3), (b-4)과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실로 겉감과 안감이 재봉된다면, 돌기실 패드를 사용하는 중에 돌기실이 끊어지더라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기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실이 양쪽 방향으로 섬유제품을 잡고 있는 역할을 하여 돌기실이 패드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므로 돌기실 패드의 가장자리가 벌어지지도 않고 상당기간 동안 겉감과 안감이 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돌기실 패드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가 삽입되는 의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상부연결부가 어깨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상부연결부가 목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실 패드가 삽입되는 의류의 삽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천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a)는 상부연결부가 어깨에 형성되는 천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상부연결부가 목에 형성되는 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실 패드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형성된 의류(이하,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라 한다)는 삽입공간의 삽입구가 의류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삽입구를 통하여 돌기실 패드가 의류를 드나들 수 있게 된다.
돌기실 패드가 삽입공간에 삽입되면 돌기실 패드의 돌기실에 의해 삽입공간 내에서 돌기실 패드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상술한 다양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찰력 패드에 돌기실을 사용하여 가장자리 부분을 재봉한 돌기실 마찰력 패드를 삽입공간으로 삽입한다면 패드의 마찰력 외에 돌기실의 고정력이 더해지므로 패드가 삽입공간에서 더욱 더 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는 통기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나, 통기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돌기실 패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홀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관통홀이란, 돌기실 패드 소재 자체가 보유하는 홀일 수도 있고, 별도의 공정을 통해 추가로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즉, 스폰지 재질의 마찰력 패드라면 상술했듯이 스폰지 재질이 재질 자체에 밀폐공간 또는 연속공간의 홀이 있을 수 있는데, 연속공간의 홀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어져 있다면 관통홀로 볼 수 있다.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10)와 천(20)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접착제로 연결할 수도 있고, 박음질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10)는, 천(20), 상부연결부(211, 213), 측부연결부(223)를 포함하며, 사선 부분은 천(20)을 의미하고, 사선과 반대방향의 사선이 겹치게 도시된 부분은 돌기실 패드(I)를 의미한다. 그리고 굵은 점선은 천(20)과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10)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의미하고, 가는 실선부분은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10)에 형성된 재봉선을 의미한다.
돌기실 패드(I)는 상술 했듯이 스폰지 재질의 마찰력 패드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직물과 접촉하는 쪽(도 6에서는 돌기실 패드(I)의 외측)만 스폰지 재질로 하고, 내측은 다른 스폰지재질로 하거나, 돌기실 패드(I)의 전체 재질을 동일한 스폰지 재질로 할 수도 있다.
돌기실 패드(I)는, 도 6에 도시된 대로 좌우측의 돌기실 패드(I)가 서로 연결되어 의류(10)에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측이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의류에 삽입(미도시)될 수도 있다.
천(20)은 의류(10)의 내측에 연결하여 돌기실 패드(I)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이 의류(10) 내측에 형성(도 6 참조)할 수도 있으나, 의류(10)의 외측에 연결하여 의류(10)의 외측에 삽입공간을 형성(미도시)할 수도 있다.
삽입공간이 의류(10)의 내측에 형성된다면 삽입구(23)는 의류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삽입공간이 의류(10)의 외측에 형성된다면 삽입구(23)는 의류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천(20)은 의류(10)에 연결되어야 돌기실 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데, 삽입공간은 천(20)이 의류(10)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연결부(211, 213)와 천(20)이 의류(10)의 측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측부연결부(223)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연결부(211, 213)는 돌기실 패드(I)가 의류(10)에 삽입되었을 때 천(20)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며, 측부연결부(223)는 돌기실 패드(I)가 의류(10)에 삽입되었을 때 천(20)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10)는 패드 자체의 부착력(마찰력 및/또는 고정력)으로 패드(I)가 의류에 부착 고정되므로 패드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구성이 없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데, 예를 들면 의류에 하부연결부가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돌기실 패드(I)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실과 접촉하는 부위가 돌기실의 마찰력 및/또는 고정력에 의해 고정되므로 종래의 브라패드가 삽입되는 의류처럼 브라패드가 중력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의류에 하부연결부를 형성하거나, 의류에 별도의 브라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구성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10)는 돌기실 패드(I)를 의류(10)에 삽입하는 삽입구(23)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연결부(211, 213)는 의류(10)의 가슴부에서 상방으로 어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연결부(211, 213)는 의류(10)의 가슴쪽, 쇄골쪽, 암홀쪽, 목쪽(213), 어깨쪽(211)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천(20)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측부연결부(22) 보다는 위쪽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부연결부(211, 213)는 천(20)이 아래로 흘러내리 않도록만 연결하여 천(20)이 의류(10)에 연결되지 않은 부위는 천(20)과 의류(10)와의 틈이 돌기실 패드(I)가 삽입되는 삽입구(23)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부연결부(21)가 의류(10)의 가슴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유두의 형상이 의류(1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돌기실 패드(I)가 유두를 감쌀 수 있도록 유두가 위치하는 부분의 바로 위쪽 부분에는 상부연결부(211, 213)가 형성되어 돌기실 패드(I)가 유두를 감쌀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부연결부(211, 213)를 의류(10)에 형성할 때는 의류(10)의 재봉선이 있는 곳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의류(10)의 재봉선에 연결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 그 인근 또는 재봉선이 없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어깨연결부(211)는 의류(10)의 어깨재봉선(11)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어깨재봉선(11)을 넘어가서 등쪽에 가깝게 형성하거나 어깨재봉선(11)의 아래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목연결부(213)는 의류(10)의 목 부위의 재봉선에 형성될 수도 있고, 목 부위의 재봉선 인근에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연결부(211, 213)는 의류(10)의 암홀재봉선(12)에 형성될 수도 있고, 암홀재봉선(12) 인근에 형성될 수도 있다.
측부연결부(223)는 의류(10)의 좌우측 가슴부에서 신체 외측 방향으로 의류(10)의 양쪽 옆구리부(2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천(2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돌기실 패드가 유두를 감쌀 수만 있게 한다면 의류(10)의 가슴부와 옆구리 사이라면 어디라도 형성될 수 있다.
측부연결부(223)를 의류(10)에 형성할 때는 의류(10)의 재봉선이 있는 곳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의류(10)의 재봉선에 연결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 그 인근 또는 재봉선이 없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옆구리연결부(223)는 의류(10)의 옆구리재봉선(13)에 형성될 수도 있고, 옆구리재봉선(13)을 넘어가서 등쪽에 가깝게 형성하거나 옆구리재봉선(11)의 안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돌기실 패드(I)를 삽입한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10)는, 돌기실 패드가 삽입공간에서 마찰력에 의해 착용상태가 유지되고, 삽입공간은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구(23)를 갖을 수 있다.
돌기실 패드(I)가 의류(10)에 형성된 삽입공간에서 돌기실의 마찰력 및/또는 고정력에 의해 착용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돌기실 패드(I)가 의류(10)에서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패드의 소재를 스폰지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천(20)은 의류(10)의 상부 및 측부에 연결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천(20)은 의류(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여, 삽입공간이 의류의 내측에 형성하거나 외측에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I : 돌기실 패드
1 : 겉감 2 : 안감
31, 41 : 1번재봉실 32, 42, 52 : 2번재봉실
33 : 3번재봉실 34, 44, 54 : 쿠션층
6, 7 : 돌기 10 : 돌기실 패드 삽입의류
11 : 어깨재봉선 12 : 암홀재봉선
15 : 옆구리재봉선 20 : 천
211(어깨연결부), 213(목연결부) : 상부연결부
223(옆구리연결부) : 측부연결부
23 : 삽입구

Claims (10)

  1. 섬유제품에 부착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I)는, 상기 섬유제품에 접촉하는 겉감(1);상기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겉감(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안감(2);적어도 2개의 재봉실로 상기 겉감(1)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감(2)의 가장자리 부위를 재봉하되, 상기 섬유제품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재봉실은 적어도 1개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실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섬유제품에 접촉하여 상기 패드의 위치가 상기 섬유제품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겉감(1)에 재봉된 재봉실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안감(2)에 재봉된 재봉실 중 적어도 1개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를 감싸서 상기 가장자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를 감싸는 재봉실 사이에 쿠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실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섬유제품은 상기 돌기실 패드가 삽입가능한 삽입공간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구가 형성된 의류이며, 상기 돌기실 패드는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가능하되, 상기 패드의 겉감은 마찰력으로 상기 의류와의 접촉위치가 고정되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실 패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실 패드.
  8. 섬유제품에 부착하는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마찰력에 의해 섬유제품에 부착하는 스폰지 재질의 겉감(1)과 상기 겉감과 동일 또는 다른 재질의 안감(2)으로 형성하되, 상기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돌기실을 사용하여 재봉을 하되, 상기 패드는 겉감(1)의 마찰력과 돌기실의 고정력에 의해 상기 섬유제품에 고정되고,
    상기 겉감(1) 및 안감(2)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를 감싸는 돌기실 사이에 쿠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실 패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27931A 2020-10-26 2021-03-03 돌기실 패드 KR102558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718A KR20230107150A (ko) 2020-10-26 2023-06-02 돌기실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775 2020-10-26
KR20200139775 2020-10-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718A Division KR20230107150A (ko) 2020-10-26 2023-06-02 돌기실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389A KR20220055389A (ko) 2022-05-03
KR102558773B1 true KR102558773B1 (ko) 2023-07-24

Family

ID=815907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931A KR102558773B1 (ko) 2020-10-26 2021-03-03 돌기실 패드
KR1020230071718A KR20230107150A (ko) 2020-10-26 2023-06-02 돌기실 패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718A KR20230107150A (ko) 2020-10-26 2023-06-02 돌기실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87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0096A1 (en) 2007-02-15 2008-08-21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Nursing pad
JP2016016200A (ja) * 2014-07-10 2016-02-01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耳部付の布製面ファスナー小片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89468Y1 (ko) * 2019-03-20 2019-06-21 김혜미 유두 노출 차단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899Y2 (ja) * 1993-11-12 1998-08-20 株式会社ワコール 乳パッド
JPH09111521A (ja) * 1995-10-18 1997-04-28 Yoshioka Boshoku Kk パット
KR19990033077U (ko) * 1999-02-19 1999-08-05 강인원 의류
KR200334379Y1 (ko) 2003-08-27 2003-11-21 (주)로손 가슴둘레, 위치 및 형태에 따른 가슴 교정용 접착식브래지어
KR200433358Y1 (ko) 2006-09-28 2006-12-11 최수진 젖가슴 보정 접착형 브래지어
KR102354106B1 (ko) * 2019-04-08 2022-01-24 강효정 마찰력 브라패드 삽입 의류
KR200496362Y1 (ko) * 2020-11-23 2023-01-1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식 패드를 구비한 여성용 상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0096A1 (en) 2007-02-15 2008-08-21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Nursing pad
JP2016016200A (ja) * 2014-07-10 2016-02-01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耳部付の布製面ファスナー小片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89468Y1 (ko) * 2019-03-20 2019-06-21 김혜미 유두 노출 차단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150A (ko) 2023-07-14
KR20220055389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5045A (en) Brassiere for large breasted, athletic women
US20100068972A1 (en) Pull up nursing undergarment
US3746007A (en) Sleeping garment
KR200477370Y1 (ko) 브래지어
JP6105237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KR200489468Y1 (ko) 유두 노출 차단 의류
KR20160124106A (ko) 컵부를 가진 의류
KR20220001037U (ko) 브래지어
KR102354106B1 (ko) 마찰력 브라패드 삽입 의류
KR102558773B1 (ko) 돌기실 패드
KR200491271Y1 (ko) 노브라 대응 패드 및 의상
KR200462424Y1 (ko) 기능성 브래지어
JP4658164B2 (ja) カップ付衣類用カップ部材
US20220047001A1 (en) Sweat-absorbent support cushions for a bra
JP3207851U (ja) 前開き女性用衣料
KR102401295B1 (ko) 브래지어
US2698941A (en) Brassiere and the like
KR200474812Y1 (ko) 브래지어
JP2020133069A (ja) カップ付衣類
CN211458895U (zh) 一种新型女式t恤
CN109744599A (zh) 半高领羊毛衫
CN214431863U (zh) 一种无缝抗菌针织内衣
KR200156745Y1 (ko) 여성의 유두가 아름다워지는 브래지어
KR102466136B1 (ko) 가슴 보정 기능을 갖는 여성용 상의
CN215422857U (zh) 一种无痕文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