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548B1 -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inhanced washing ability - Google Patents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inhanced washing 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548B1
KR102558548B1 KR1020210111740A KR20210111740A KR102558548B1 KR 102558548 B1 KR102558548 B1 KR 102558548B1 KR 1020210111740 A KR1020210111740 A KR 1020210111740A KR 20210111740 A KR20210111740 A KR 20210111740A KR 102558548 B1 KR102558548 B1 KR 102558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filter
cup
robot arm
coffe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9354A (en
Inventor
노승준
권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브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브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브로스
Priority to KR102021011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548B1/en
Publication of KR2023002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5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14Supports for empty beverage containers while not in use, e.g. for storing extra jug or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3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gripping surfaces having special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25J15/0061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mounted on a modular gripp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컵 및 포터필터와 직접 접촉되어 그립핑 동작이 형성되는 그립퍼; 복수단의 링크구조로 형성되어 병진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자유도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봇암; 상기 로봇암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기; 상기 로봇암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컵이 구비되는 컵디바인더; 로봇암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컵에 냉수와 얼음이 출수 출빙되는 제빙기; 및 상기 로봇암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가 안착되는 포터필터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포터필터거치대를 향하는 고온 고압의 온수 토출 노즐이 구비되는 세척조; 전단에 커피원두가 담기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커피추출기와 결합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포터필터; 상기 포터필터에서 커피가 추출된 후 남겨진 찌꺼기가 배출되는 넉박스; 및 제조가 완료된 커피가 담겨진 컵이 안착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송되는 음료픽업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포터필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의 중심에 추출구가 형성되는 바스켓부; 및 바스켓부와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로봇암과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전단에 상기 바스켓부와 연결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형태의 그립로드; 및 상기 그립부의 후단에 형성되며 좌우에 대칭형태로 로봇암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블럭; 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암결합홈은 상기 결합블럭의 상하측에서 중심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외측라운드; 및 상기 외측라운드에 연장되어 상기 결합블럭의 내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내측경사면;이 포함되고 상기 음료픽업시스템은 원형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에 컵홀딩홈이 형성되어 컵이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한 개이상이 구비되는 음료배출트레이; 상기 음료배출트레이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측에 리니어액추에이터가 결합되어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되어 개폐동작이 형성되고 상기 음료배출트레이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게이트; 바코드가 스캔되는 스캐너로 상기 게이트가 개폐되는 신호가 송출되는 바코드스캐너; 및 상기 게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게이트를 개방하는 신호가 송출되는 손끼임방지센서; 를 포함하는 자동화 커피머신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up and the portafilter to form a gripping operation; A robot arm formed in a multi-stage link structure, capable of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vement, and capable of moving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 coffee extractor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to extract coffee; a cup divider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and provided with the cup; an ice maker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to dispense cold water and ice into the cup; and a washing tub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to form a portafilter cradle on which the gripper is seated and having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hot water discharge nozzle directed toward the portafilter cradle. a portafilter having a space in the front end for storing coffee beans and being combined with the coffee extractor to extract coffee; a knock box through which dregs left after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portafilter are discharged; and a beverage pick-up system in which the cup containing the finished coffee is seated and transport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portafilter includes a basket portion in which a cylindrical space with an open top is formed and an extraction por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and a grip part extending from the basket part and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robot arm, wherein the grip part is connected to the basket part at a front end and has an end shape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grip rod; And a coupling block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grip portion and having robot arm coupling grooves formed in a symmetrical form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obot arm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curve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upling block toward the center of the outer round; and an inner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outer round and forming a symmetrical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coupling block; the beverage pick-up system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and a cup holding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cup is seated, and is formed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beverage dispensing trays; gate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dispensing tray, coupled with a linear actuator to the lower side, and moved upward and downward to form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 barcode scanner that transmits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to a scanner that scans a barcode; and a sensor for preventing hand jamming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ate and transmits a signal to open the gate when the signal is sensed. An automated coffee machine including a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세척효과가 향상된 자동화 커피머신{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inhanced washing ability}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enhanced washing ability}

본 발명은 커피의 추출 및 세척이 자동화된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machine in which extraction and washing of coffee is automated.

일반적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기계는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하여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은 보일러의 압력과 모터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동안 추출하는 방법과 필터가 결합된 드리퍼에 분쇄된 커피원두를 담고 뜨거운 물을 양이나 속도, 주기 등을 제어하여 여러차례 추출하는 드립식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커피를 제조하는 방법 중 드립핑 방법을 이용한 자동화 기계의 경우 등록특허 10-2214778호에서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커피의 추출에 한정되지 않고 위생을 위한 세척과정까지의 전과정을 자동화하고 있으며, 추출과정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중에 있다.In general, a coffee extracting machine uses a method of pulverizing roasted beans and extracting them using hot water. Coffee extraction methods include a method of extracting for a relatively fast time using the pressure and motor of the boiler, and a drip method in which ground coffee beans are placed in a filter-coupled dripper and extracted several times by controlling the amount, speed, or cycle of hot water. Among the coffee manufacturing methods, an automated machine using a dripping method is disclosed in Registered Patent No. 10-2214778. Recently, not limited to coffee extraction, the entire process up to the washing process for hygiene is being automated,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ork performed in the extraction process.

등록특허 제10-2214778호(2021.02.04.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2214778 (registered on February 4, 2021)

본 발명은 커피추출 및 세척과정이 자동화되어 세척효과가 향상된 커피머신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machine having an improved washing effect by automating coffee extraction and washing process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컵 및 포터필터와 직접 접촉되어 그립핑 동작이 형성되는 그립퍼; 복수단의 링크구조로 형성되어 병진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자유도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봇암; 상기 로봇암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기; 상기 로봇암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컵이 구비되는 컵디바인더; 로봇암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컵에 냉수와 얼음이 출수 출빙되는 제빙기; 및 상기 로봇암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가 안착되는 그립퍼 안착대가 형성되고 한개 이상의 상기 그립퍼안착대를 향하는 고온 고압의 온수 토출 노즐이 구비되는 세척조; 전단에 커피원두가 담기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커피추출기와 결합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포터필터; 및 상기 포터필터에서 커피가 추출된 후 남겨진 찌꺼기가 배출되는 넉박스; 를 포함하는 자동화 커피머신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up and the portafilter to form a gripping operation; A robot arm formed in a multi-stage link structure, capable of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vement, and capable of moving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 coffee extractor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to extract coffee; a cup divider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and provided with the cup; an ice maker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to dispense cold water and ice into the cup; and a washing tub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to form a gripper seat on which the gripper is seated and having one or mor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hot water discharge nozzles directed toward the gripper seat. a portafilter having a space in the front end for storing coffee beans and being combined with the coffee extractor to extract coffee; and a knock box through which dregs remaining after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portafilter are discharged. An automated coffee machine including a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은 로봇암과 그립퍼를 통해 포터필터를 이용한 고온 고압의 커피추출이 자동화된 커피머신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의 자동화 커피머신은 종래 브러시방식의 세척방식을 대체하여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An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utomated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coffee extraction using a portafilter through a robot arm and a gripper. In particular,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used to maintain a hygienic environment using pneumatic and water pressure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brush-type wash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립퍼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접촉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넉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실시예의 포터필터와 포터필터거치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포터필터와 포터필터거치대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픽업시스템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D시스템의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빙기에 형성된 로드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로드셀을 이용한 출빙 편차 제거 시스템의 순서도 및 작동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gripper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up contact surface shown in FIG. 2;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a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knockbox shown in FIG. 1 .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washing tub shown in FIG. 1;
FIG. 7(a)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portafilter and the portafilter hold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portafilter and the portafilter holder.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beverage pick-u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9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screen of a DI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oad cell formed in an ice maker, and FIG. 11 is a flow chart and operation diagram of an ice picking deviation removal system using a load cell.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은 컵 및 포터필터(700)와 직접 접촉되어 그립핑 동작이 형성되는 그립퍼(100); 복수단의 링크구조로 형성되어 병진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자유도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봇암(200); 과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기(300); 와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컵이 구비되는 컵디바인더(400); 와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컵에 냉수와 얼음이 출수 출빙되는 제빙기(500); 와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그립퍼(100)가 안착되는 포터필터거치대(620)가 형성되고 한개 이상의 포터필터거치대(620)를 향하는 고온 고압의 온수가 토출되는 세척조(600); 와 전단에 커피원두가 담기는 공간이 마련되고 커피추출기(300)와 결합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포터필터(700); 및 포터필터(700)에서 커피가 추출된 후 남겨진 찌꺼기가 배출되는 넉박스(800); 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per 100 in direct contact with a cup and a portafilter 700 to form a gripping operation; A robot arm 200 formed in a multi-stage link structure, capable of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vement, and capable of moving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nd a coffee extractor 300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to extract coffee; and a cup divider 400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and provided with a cup; and an ice maker 500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to dispense cold water and ice into the cup. and a portafilter holder 620 on which the gripper 100 is seated is disposed within the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and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hot water is discharged toward one or more portafilter holders 620 Washing tub 600; A portafilter 700 having a space for storing coffee beans at the front end and being combined with the coffee extractor 300 to extract coffee; and a knock box 800 in which coffee residues remaining after coffee is extracted in the portafilter 700 are discharged. can include

이와 같은 자동화 커피머신은 세척조 및 넉박스에 구비된 그립퍼 안착대에 그립퍼(100)가 안착되어 물과 공기를 병용한 세척방법으로 세척효과가 증대된 자동화 커피머신을 제공하게 될 수 있다.In such an automated coffee machine, the gripper 100 is seated on a gripper seat provided in a washing tub and a knock box, and a washing method using water and air together can provide an automated coffee machine with increased washing effec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화 커피머신은 소정크기의 작동반경을 가지는 로봇암(20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암(200)은 자동화 커피머신(10)에서 원두, 포터필터 및 컵의 운송 등의 이동동작에 모두 관여될 수 있다. 로봇암(200)은 다단의 링크구조로 형성되어 본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자유도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봇암(200)은 자동화 커피머신(10)의 모든 구성이 하나의 스테이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동화 커피머신(10)의 모든 구성이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로봇암(200)은 이송동작 시 그립핑 대상과 직접 접촉되어 그립핑 동작이 형성되는 그립퍼(100)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robot arm 200 having an operating radius of a predetermined size. The robot arm 200 may be involved in all movement operations such as transportation of coffee beans, portafilters, and cups in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10 . The robot arm 200 is formed in a multi-stage link structure and can perform multi-degree-of-freedom operations to perform the present embodiment. In such a robot arm 200, all components of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10 may be installed on one stag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all components of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10 can be placed within the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it may be installed in any lo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robot arm 200 may be provided with a gripper 100 in which a gripping operation is 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a gripping target during a transfer opera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립퍼(100)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gripper 100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로봇암(200)은 그립퍼(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퍼(100)는 로봇암(200)을 이용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로봇암(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그립핑 동작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립퍼(100)는 로봇암(200)의 일측과 결합되며 적어도 한개 이상의 이동홈(111)이 형성되는 그립퍼베이스(110); 와 그립퍼베이스(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그립퍼(100)에 형성된 이동홈(111)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 및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과 결합되어 물체와 접촉되어 그립핑동작이 형성되는 그립퍼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robot arm 200 may include a gripper 100 . The gripper 100 may be a part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bot arm 200 and performs a gripping operation so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using the robot arm 200 . The gripper 100 includes a gripper base 1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bot arm 200 and having at least one moving groove 111 formed thereon; and a gripper actuator block 1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gripper base 110 and moving along the path of the moving groove 111 formed in the gripper 100; and a gripper arm 130 coupled to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and contacting an object to form a gripping oper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예의 그립퍼(100)는 그립퍼베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퍼베이스(110)는 로봇암(200)과 결합되며 그립퍼(100)의 구성이 지지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립퍼베이스(110)는 로봇암과 볼팅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립퍼베이스(110)는 샤프트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립퍼베이스(110)는 소정 크기의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특별히 그 외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gripper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gripper base 110 . The gripper base 110 is coupled to the robot arm 200 and may be a part where the gripper 100 is supported. The gripper base 110 may be coupled to the robot arm by bolt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gripper base 110 may be connected by a shaft to have a rotatable structure. The gripper base 11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its outer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와 같은 그립퍼베이스(110)는 일측에 이동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홈(111)은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이 좌우로 이동가능한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홈(111)은 좌측 및 우측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홈(111)은 한 개이상으로 형성되어 그립퍼(100)에 포함되는 그립퍼암(130)이 충분히 작동될 수 있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홈(111)의 형태는 요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홈(111)은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홈(111)은 그립퍼암(130)의 이동반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A movable groove 1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gripper base 110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groove 111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can move left and right. The moving groove 111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e or more movable grooves 111 may be formed so that the gripper arm 130 included in the gripper 100 can operate sufficiently.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moving groove 111 may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In addition, the moving groove 11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up and down. The moving groove 111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radius of the gripper arm 130 .

본 실시예의 그립퍼(100)는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은 그립퍼(1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움직임이 형성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은 제어반으로부터 송출된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은 그립퍼베이스(110)에 형성된 이동홈(111)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은 이동홈(111)을 경로로 이동되는 동작이 형성될 수 있다.The gripper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gripper actuator block 120.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may be a part where movement is formed so that the gripper 100 can be operated. In addition,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may be a part operated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panel.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may be coupled to the movable groove 111 formed in the gripper base 110 and disposed.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along the moving groove 111 can be formed.

본 실시예의 그립퍼(100)는 그립핑 되는 대상과 직접 접촉되는 그립퍼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er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gripper arm 130 that directly contacts an object to be gripped.

그립퍼암(130)은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과 상호결합되는 형태로 결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립퍼암(130)은 후단이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과 결합되며 일측이 포터필터와 결합되는 포터필터홀더부(131); 및 포터필터홀더부(131)와 연장되 컵의 외곽에 대응되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는 컵홀더부(132); 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er arm 130 may be coupled to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in a mutually coupled form. The gripper arm 130 includes a portafilter holder 131 having a rear end coupled to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and one side coupled to the portafilter; and a cup holder portion 132 extending from the portafilter holder portion 131 and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edge of the cup. can include

포터필터홀더부(131)는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과 결합되는 후단이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터필터홀더부(131)는 단차가 형성된 후단의 하측(131A)은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의 하측에 위치되어 볼팅결합될 수 있다. 또한, 포터필터홀더부(131)의 단차가 형성된 후단의 상측(131B)은 그립퍼액츄에이터블럭(120)의 전측에 형성되는 일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터필터홀더부(131)에 포터필터(700)가 결합되는 경우, 그립퍼암(130)이 포터필터(700)에 접촉되어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portafilter holder 131 may have a stepped rear end coupled to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 In addition, the lower side 131A of the rear end of the portafilter holder unit 131 having a step difference may be positioned below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and coupled by bolting. In addition, the upper side 131B of the rear end where the step is formed of the portafilter holder part 131 may come into contact with and be supported by one sid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ripper actuator block 120. Accordingly, when the portafilter 700 is coupled to the portafilter holder 131, a phenomenon in which the gripper arm 130 contacts the portafilter 700 and is pushed backward can be prevented.

한편, 포터필터홀더부(131)의 일측에는 경사삽입돌기(134)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삽입돌기(134)는 상하 대칭형태로 경사면(134a)이 형성된 삼각빔 형태의 돌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도시된 경사삽입돌기(134)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하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면 사다리꼴 또는 다각형의 형태 등으로 가변될 수 있다.Meanwhile, an inclined insertion protrusion 13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rtafilter holder 131 . The inclined insertion projection 134 may be a projection in the form of a triangular beam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134a is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shape. The inclined insertion protrusion 134 shown in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inclined surfaces can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t can be changed into a trapezoidal or polygonal shape.

한편, 그립퍼암(130)에는 컵과 접촉되어 그립핑동작이 형성되는 컵홀더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컵홀더부(132)는 원호형태로 형성된 두개의 단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컵홀더부(132)에 형성된 두개의 단부는 서로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컵홀더부(132)의 크기는 그립핑되는 컵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직경의 크기로 형성된 원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gripper arm 130 may have a cup holder portion 132 formed in contact with the cup to form a gripping operation. The cup holder part 13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two ends formed in an arc shape. At this time, the two ends formed in the cup holder part 132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size of the cup holder portion 132 thus forme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formed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ed cup.

또한, 컵홀더부(132)는 컵과 접촉되는 컵접촉면(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컵접촉면(132a)은 도면과 같이 매끈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up holder portion 132 may have a cup contact surface 132a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p. The cup contact surface 132a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smooth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접촉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up contact surface shown in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컵접촉면(132a)은 응결수배출유로(R1)가 형성될 수 있다. 응결수배출유로(R1)는 컵접촉면(132a)에 사선형태로 형성된 홈이 될 수 있다. 또한, 응결수배출유로(R1)는 컵접촉면(132a)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응결수배출유로(R1)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응결수배출유로(R1)가 이격된 간격은 컵접촉면(132a)과 음료용 컵의 접촉 시 흐르는 응결수가 충분히 배출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응결수배출유로(R1)는 상측과 하측부분의 홈의 깊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응결수배출유로(R1)는 상측부분에서 하측부분으로 향할 수록 홈의 깊이가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응결수배출유로(R1)는 상측부분에서 하측부분으로 향할수록 홈의 경사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응결수배출유로(R1)는 응결수의 배출이 용이한 형태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 R1 may be formed on the cup contact surface 132a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 R1 may be a groove formed in an oblique shape on the cup contact surface 132a.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s R1 may be formed on the cup contact surface 132a.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s R1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s R1 may be formed to a number at which the condensed water flowing when the cup contact surface 132a and the drinking cup are in contact are sufficiently discharged. In addition,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 R1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depths of the upper and lower grooves. 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3 , the depth of the groove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 R1 may increas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addition,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 R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of the groove increas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assage R1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shape in which condensed water is easily discharg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은 포터필터(700)를 포함할 수 있다. 포터필터(700)는 커피원두가 담겨져 커피추출기(300)에 결합될 경우 커피원액이 추출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포터필터(700)는 갈아진 원두가 담기는 바스켓부(710); 및 바스켓부(710)와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로봇암(200)과 결합되는 그립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a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portafilter 700. The portafilter 700 may be a part from which the coffee extract is extracted when coffee beans are contained and coupled to the coffee extractor 300. The portafilter 700 includes a basket portion 710 in which ground beans are placed; And it may include a grip part 720 that extends from the basket part 710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robot arm 200 .

바스켓부(710)는 갈아진 커피원두가 담기게 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바스켓부(710)는 고온 및 고압의 온수가 담기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스켓부(710)는 하부의 중심에 형성된 추출구(711)를 통해 커피원액이 추출될 수 있다. 이때, 바스켓부(710)는 추출구(711)로 갈아진 커피원두가 배출되지 않도록 커피필터(미도시)가 추출구(711)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커피필터(미도시)는 커피머신의 포터필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터형태가 될 수 있다. 바스켓부(710)는 추출구(711)가 중심부분에 수직하게 커피원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추출구로 향하는 유로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asket portion 710 may be a space in which ground coffee beans are contained. In addition, the basket unit 710 may contain hot water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ccordingly, the coffee undiluted solution can be extracted through the extraction port 71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ket unit 710 . At this time, in the basket unit 710, a coffee filt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pout 711 so that ground coffee beans are not discharged through the spout 711. The coffee filter (not shown) may be a filter type commonly used in a portafilter of a coffee machine. In the basket unit 710, a flow path toward the extraction port may be formed vertically so that the coffee extract can be discharged perpendicularly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extraction port 711.

바스켓부(710)는 그립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720)는 전단에 바스켓부와 연결되는 그립로드(721)와 후단에 결합블럭(72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블럭(722)은 그립부(720)의 일측에 블럭형태로 형성되어 로봇암(200)과 결합될 수 있는 홈으로 형성되는 로봇암결합홈(7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sket part 710 may include a grip part 720 . The grip part 720 may have a grip rod 721 connected to the basket part at the front end and a coupling block 722 at the rear end. Coupling block 7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block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720, and a robot arm coupling groove 723 formed as a groove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robot arm 200 may be formed.

그립로드(721)는 포터필터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The grip rod 721 may be in the form of an end extending from the portafilter to one side.

이때, 로봇암결합홈(723)은 결합블럭(722)의 좌우의 외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로봇암결합홈(723)은 이에 따라 로봇암결합홈(723)은 결합블럭(722)의 상하측에서 중심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외측라운드(72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하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외측라운드(723a)는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라운드(723a)는 그립퍼(100)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형성된 부분이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bot arm coupling groove 723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coupling block 722 . Accordingly, the robot arm coupling groove 723 may be formed with an outer round 723a bent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upling block 722 toward the center. A pair of outer rounds 723a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The outer round 723a may be a part formed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gripper 100 .

한편, 한쌍의 외측라운드(723a)는 대칭으로 형성되는 내측경사면(723b)과 연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내측경사면(723b)은 외측라운드(723a)에 연장되어 결합블럭(722)에 형성된 로봇암결합홈(723)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결합블럭(722)의 내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이 될 수 있다. 내측경사면(723b)은 대칭형태로 형성되어 'v'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경사면(723b)의 골부분의 꼭지점의 위치는 그립로드(721)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암에 형성된 경사삽입돌기(134)가 로봇암결합홈(723)에 삽입되어 결합될 경우, 로봇암과 포터필터의 수평유지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포터필터(700)는 원두를 담아 커피추출기(300)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평이 유지 중요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블럭(722)에 형성된 로봇암결합홈(723)은'v'형태의 골부분의 꼭지점 위치가 그립로드(721)의 중심축과 일치될 수 있도록 하여, 수평방향만 고려하여 이동궤적이 형성될 수 있어 동작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Meanwhile, the pair of outer rounds 723a may be connected to the symmetrically formed inner inclined surface 723b. The inner inclined surface 723b may be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upling block 722 so that the robot arm coupling groove 723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722 may be formed by extending to the outer round 723a. The inner inclined surface 723b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to form a 'v' shap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vertex of the valley of the inner inclined surface 723b may be a position coincident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grip rod 721. Accordingly, when the inclined insertion protrusion 134 formed on the robot arm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obot arm coupling groove 723, the robot arm and the portafilter can be easily maintained horizontally. Since the portafilter 7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ffee extractor 300 by containing the beans, it may be important to keep it level. The robot arm coupling groove 723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722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sition of the vertex of the 'v'-shaped valley to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grip rod 721, so that only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aken into account, the movement trajectory can be formed and the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또한, 결합블럭(722)에는 거치면(A1)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면(A1)은 결합블럭(722)에서 로봇암결합홈(723)의 하측에 바스켓부(710)방향측 면이 될 수 있다. 거치면(A1)은 포터필터(700)가 커피추출동작을 완료하고 세척 또는 대기 상황에서 거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거치되는 상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넉박스 및 세척조의 특징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rough surface A1 may be formed on the coupling block 722 . The bearing surface (A1) may be a side surface toward the basket portion 710 on the lower side of the robot arm coupling groove 723 in the coupling block 722. The passing surface A1 may be a part where the portafilter 700 completes the coffee extraction operation and is placed in a washing or standby situ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unting situa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ck box and washing tank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결합블럭(722)에는 거치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홀(H1)은 거치면(A1)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홀이 될 수 있다. 거치홀(H1)은 후술할 넉박스 및 세척조의 결합핀과 결합되어 포터필터(700)가 고정되는 홀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hole H1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block 722 . The mounting hole H1 may be a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surface A1. The installation hole H1 may be a hole to which the portafilter 700 is fixed by being coupled with a knock box and a coupling pin of a washing tu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넉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knockbox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은 넉박스(800)를 포함할 수 있다. 넉박스(800)는 커피추출기(300)에서 커피가 추출된 후 나오는 포터필터(700)에서 커피 찌꺼기가 배출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5 ,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knock box 800. The knock box 800 may be a space where coffee grounds are discharged from the portafilter 700 after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or 300 .

넉박스(800)는 소정의 커피찌꺼기가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부(810); 와 박스부(810)의 외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주입되는 커넥터형태로 형성되는 공기주입구(820); 및 공기주입구(820)와 연결되어 박스부(8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 공기분사노즐(8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knock box 800 includes a box portion 810 in which a space for storing predetermined coffee grounds is formed; And an air inlet 820 disposed outside the box portion 810 and formed in the form of a connector into which air is injected; And it may include an air injection nozzle 830 connected to the air inlet 820 and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box portion 810 and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넉박스(800)는 박스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부(810)는 소정공간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가 될 수 있다. 박스부(810)에 형성된 공간의 크기는 포터필터(700)에서 배출되는 커피찌꺼기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knock box 800 may include a box portion 810 . The box portion 81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to have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The size of the space formed in the box portion 810 may be formed to a size that can sufficiently accommodate the coffee grounds discharged from the portafilter 700 .

넉박스(800)는 공기주입구(8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주입구(820)는 박스부(8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구(820)는 박스부(8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포터필터(700)가 박스부(810)의 내부에 깊은 위치에 이동되지 않아도 세척될 수 있다. 공기주입구(820)는 본 발명의 자동화커피머신(10)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높은 압력의 공기를 주입받는 입구가 될 수 있다.The knock box 800 may include an air inlet 820 . The air inlet 820 may be formed outside the box portion 810 . In addition, the air inlet 8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x part 810, so that the portafilter 700 can be cleaned even if it is not moved to a deep position inside the box part 810. The air inlet 820 may be connected to a compressor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ecome an inlet for receiving high-pressure air.

넉박스(800)는 공기분사노즐(8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분사노즐(830)은 공기주입구(820)와 연통된 형태의 공기유로가 될 수 있다. 또한, 공기분사노즐(830)은 박스부(810)의 내측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끝단이 주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분사노즐(830)은 소정직경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분사노즐(830)의 직경의 크기는 포터필터(700)에 형성된 추출구(711)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분사노즐(830)은 포터필터(700)의 추출구(711)와 결합되어 공기가 토출될 경우, 포터필터(700)에 형성되는 커피찌꺼기가 포터필터의 일측방향으로 탈락될 수 있다.The knock box 800 may include an air injection nozzle 830 . The air injection nozzle 830 may be an air flow path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let 820 . In addition, the end of the air injection nozzle 830 may be watched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x portion 810 . Such an air injection nozzle 8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air injection nozzle 8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let 711 formed in the portafilter 700. When the air injection nozzle 830 is combined with the outlet 711 of the portafilter 700 and air is discharged, the coffee grounds formed in the portafilter 700 may be removed toward one side of the portafilter.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조(6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세척조(600)는 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조(610); 와 수조(610)의 일측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수조(610)의 내측방향으로 고온 및 고압의 물이 토출되는 세척수주입구(611); 및 수조(6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세척수주입구(611)의 반대측면에 형성되어 포터필터(700)가 거치되는 포터필터거치대(620)를 포함할 수 있다.FIG.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washing tub 600 shown in FIG. 1 . 1 and 6, the washing tank 600 includes a water tank 610 in which a space containing water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inlets 61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610 to discharg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610; and a portafilter holder 620 formed inside the water tank 610 and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washing water inlet 611 to which the portafilter 700 is mounted.

수조(610)는 하부의 중심부분이 가장 낮게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가 될 수 있다. 수조(610)의 가장 낮은 중심부분에는 배출구(61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613)는 세척에 사용된 물이 빠져나가는 출구가 될 수 있다.The water tank 610 may be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 top formed at the lowest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An outlet 613 may be formed at the lowest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tank 610 . The outlet 613 may be an outlet through which water used for washing is discharged.

또한, 수조(610)의 일측에는 세척수주입구(611)가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주입구(611)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포터필터(700)가 동시에 세척될 수 있다. 세척수주입구(611)는 자동화 커피머신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펌프로부터 고온 및 고압의 물이 공급되어 토출되는 분사구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shing water inlet 6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610 .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inlets 611 ar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portafilters 700 can be washed at the same time. The washing water inlet 611 may be a nozzle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is supplied and discharged from a pump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또한, 수조(610)에는 가림막(6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612)은 세척수주입구(611)와 소정 간격 이격된 둘레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612)은 소정두께의 판을 절곡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612)은 세척수주입구(611)에서 토출되어 포터필터(700)가 세척된 물이 세척조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a shielding film 612 may be formed in the water tank 610 . The shielding film 612 may be formed at a circumferential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washing water inlet 6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hielding film 612 may be formed by bending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hielding film 612 may prevent a problem in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water inlet 611 and washing the portafilter 700 leaks out of the washing tub.

한편, 수조(610)에는 일측에 복수개의 포터필터거치대(620)가 배치될 수 있다. 포터필터거치대(620)는 세척수주입구(611)의 반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포터필터거치대(620)는 수조(610)에서 세척되는 포터필터(700)가 거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portafilter holders 6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610 . The portafilter holder 620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shing water inlet 611. The portafilter holder 620 may be a part where the portafilter 700 washed in the water tank 610 is mounted.

도 7의 (a)는 본 실시예의 포터필터(700)와 포터필터거치대(620)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포터필터(700)와 포터필터거치대(620)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a)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portafilter 700 and the portafilter holder 620 of this embodiment,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portafilter 700 and the portafilter holder 620.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포터필터거치대(620)는 포터필터(700)가 지지되는 거치블럭(621) 및 거치블럭(621)의 상부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핀의 형태로 형성된 거치핀(6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포터필터거치대(620)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7 (a) and (b). The portafilter holder 62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ounting block 621 on which the portafilter 700 is supported and a mounting pin 622 formed in the shape of a pin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lock 621.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portafilter holder 6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거치블럭(621)은 포터필터(700)가 커피추출동작을 완료하고 세척 또는 대기 상황에서 거치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거치블럭(621)은 일측에 포터필터의 그립로드(721)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안내홈(621a)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621a)은 그립로드(721)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외측이 그립로드(72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홈(621a)은 포터필터(700)와 세척조(600)의 안착 과정에서 포터필터(700)의 일측과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안내홈(621a)에 접촉되는 포터필터(700)는 거치블럭(621)의 정확한 위치에 거치될 수 있도록 결합경로를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거치블럭(621)은 포터필터(700)의 결합블럭(722)이 충분히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block 621 may be a part where the portafilter 700 completes the coffee extraction operation and is mounted in a washing or standby situation. A guide groove 621a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grip rod 721 of the portafilt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block 621 . The guide groove 621a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grip rod 721 so that the outer side surrounds the grip rod 721 . Such a guide groove 621a may be a part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ortafilter 700 in the process of seating the portafilter 700 and the washing tub 600. The portafilter 700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621a may be guided along a coupling path so that it can be mount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mounting block 621. In addition, the mounting block 621 may be formed to a size tha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coupling block 722 of the portafilter 700.

한편, 거치블럭(621)의 상부면에 형성된 거치핀(622)은 포터필터(700)에 형성된 거치홀(H1)에 삽입되는 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터필터(700)는 세척조(600)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unting pin 6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lock 621 may be a pin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H1 formed in the portafilter 700 . Accordingly, the portafilter 700 may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washing tub 600.

본 실시예의 자동화 커피머신은 온수기(9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기(900)는 음료가 담기는 컵에 온수가 토수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수기(900)는 로봇암(200)의 작동범위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수기(900)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되어 끝단에서 온수가 토수될 수 있다. 또한, 온수기(900)의 토수되는 부분의 하측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컵에 토수된 후 흐르는 잔여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The automated coffee machin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water heater 900 . The water heater 900 may be a device that discharges hot water to a cup containing a beverage. Such a water heater 900 may be disposed within the operating range of the robot arm 200. Also, since the water heater 900 is formed in a pipe shape, hot water can be jetted from an end thereof. In addition, a drain hole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water jetting portion of the water heater 900 so that remaining hot water flowing after jetting into the cup can be discharged.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픽업시스템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beverage pick-up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동화 커피머신은 바코드 스캐너를 이용한 음료픽업시스템(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픽업시스템은 제조가 완료된 음료가 안착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송되는 장치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beverage pick-up system 1000 using a barcode scanner. Beverage pick-up system may be a device that is transported so that the manufactured beverage is sea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음료픽업시스템(1000)은 원형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에 컵홀딩홈(1110)이 형성되어 컵이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한 개이상이 구비되는 음료배출트레이(1100); 와 음료배출트레이(1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측에 리니어액추에이터(1210)가 결합되어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되어 개폐동작이 형성되고 상기 음료배출트레이(1100)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게이트(1200); 와 바코드가 스캔되는 스캐너로 상기 게이트(1200)가 개폐되는 신호가 송출되는 바코드스캐너(1300); 및 상기 게이트(1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게이트(1200)를 개방하는 신호가 송출되는 손끼임방지센서(1400); 를 포함하는 음료픽업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Such a beverage pick-up system 10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a cup holding groove 1110 is formed at the center, a space in which a cup is seated is provided, and is formed to be movable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beverage discharge trays 1100;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discharge tray 1100, the linear actuator 121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o form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beverage discharge tray 1100. Gates 1200; and a barcode scanner 1300 that transmits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1200 to a scanner that scans barcodes; and a sensor 14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ate 1200 to transmit a signal to open the gate 1200 when a signal is detected. A beverage pick-up system including a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은 DID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DID system.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ID시스템의 출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screen of a DI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DID시스템(Digital Information Display)(S10)은 키오스크에서 주문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DID시스템(S10)에는 준비중인 음료의 번호를 알리는 준비중알림란(S11)이 형성될 수 있다. 준비중알림란(S11)은 제조중인 음료의 번호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음료의 배출 순서를 알리는 효과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DID system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utput on the order screen in the kiosk. In the DID system (S10), a preparation notification column (S11) for notifying the number of the beverage being prepared may be formed. In the preparation notification column (S11), the number of the beverage being prepared is output so that an effect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dispensing order of the beverage may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DID시스템에는 음료픽업시스템(1000)에서 배출되는 음료의 번호를 알려는 배출구알림란(S1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알림란(S12)은 음료픽업시스템(1000)에서 배출되는 음료의 번호를 알려 본 발명의 자동화커피머신(10)에서 제조가 완료된 음료의 번호를 알리는 효과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알림란(S12)은 음료픽업시스템(1000)의 음료배출트레이(11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구알림란(S12)은 음료배출트레이(1100)의 위치별 매칭되는 배출구알림란(S12)의 위치에 번호가 표번호에 맞는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배출트레이(1100)의 위치를 알리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notification column (S12) to inform the number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pick-up system (1000). The outlet notification column (S12) informs the number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pick-up system 1000, and the effect of informing the number of the beverage that has been completed in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 notification column (S12) may be divided into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everage discharge trays 1100 of the beverage pick-up system 1000. Such a discharge port notification column (S12) may inform the location of the beverage discharge tray 1100 where the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table number is discharged at the location of the discharge port notification column (S12) matched to each position of the beverage discharge tray 11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의 제빙기(500)는 로드셀 및 컵트레이(52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ce maker 500 of an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ad cell and a cup tray 520 .

도 10은 제빙기에 형성된 로드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로드셀을 이용한 출빙 편차 제거 시스템의 순서도 및 작동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load cell formed in an ice maker, and FIG. 11 is a flow chart and operation diagram of an ice picking deviation removal system using a load cell.

도 10의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빙기(500)는 컵이 하측에 로드셀(5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드셀(510)과 연결되어 컵이 안착되는 컵트레이(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빙기(500)는 제빙기 출빙 편차 제거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in the ice maker 500, a load cell 510 may be formed on a lower side of a cup. In addition, a cup tray 520 connected to the load cell 510 may be formed on which cups are seated. In the ice maker 500 as described above, an ice maker extraction deviation removal system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500)는 로드셀(510) 및 컵트레이(520)가 구비될 수 있다. 로드셀(510)과 컵트레이(520)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컵트레이(520)는 컵이 놓일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원형판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컵트레이(520)에 컵이 놓이는 경우, 로드셀(510)은 컵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빙기(500)의 작동이 제어되는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An ice mak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ad cell 510 and a cup tray 520 . The load cell 510 and the cup tray 520 may be formed in a form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up tray 520 may be in the form of a circular plate having a horizontal seating surface on which cups are placed. When a cup is placed on the cup tray 520, the load cell 510 measures the weight of the cup, and a signal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500 may be transmitted.

이와 같은 제빙기(500)는 출빙 편차 시스템이 형성될 수 있다. 출빙편차시스템은 먼저 컵트레이(520)에 컵이 안착되는 경우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리며 얼음과 냉수가 출수 및 출빙될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리는 시간은 약 2~4초가 될 수 있다. 이때, 로드셀(510)은 무게를 측정하여 현재 무게의 아날로그값을 로드셀 제어 릴레이 회로로 송출하게 될 수 있다. 이때, PLC에서 설정된 목표무게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PLC는 제빙기(500)에 출수 및 출빙동작 신호를 송출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PLC에서 설정된 목표무게에 도달된 경우 로드셀제어릴레이 회로는 출수 및 출빙 신호를 차단하여 적절한 얼음 및 냉수의 양이 출수 및 출빙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Such an ice maker 500 may have an ice extraction deviation system. In the ice extraction deviation system, first, when a cup is seated on the cup tray 520,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and ice and cold water can be discharged and iced out. At this time, the open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 may be about 2 to 4 seconds. At this time, the load cell 510 may measure the weight and transmit an analog value of the current weight to the load cell control relay circuit. At this time, if the target weight set in the PLC is not reached, the PLC may transmit a water extraction and ice extraction operation signal to the ice maker 500 . When the target weight set in the PLC is reache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he load cell control relay circuit blocks the water extraction and ice extraction signals so that the appropriate amount of ice and cold water can be controlled so that water and ice extraction can be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화 커피머신은 공압장치 및 수압장치를 통해 포터필터의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의 자동화 커피머신은 종래 브러시방식의 세척방식을 대체하여 포터필터의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move the dregs of the portafilter through a pneumatic device and a hydraulic device. In particular, the automated coffee machine of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used to remove the dregs of the portafilter by replacing the conventional brush-type washing metho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그립퍼 200 : 로봇암
300 : 커피추 400 : 컵디바인더
500 : 제빙기 600 : 세척조
700 : 포터필터 710 :바스켓부
720 : 그립부 721 : 그립로드
722 : 결합블럭 723 : 로봇암결합홈
800 : 넉박스
100: gripper 200: robot arm
300: coffee weight 400: cup divider
500: ice maker 600: washing tank
700: portafilter 710: basket part
720: grip part 721: grip rod
722: coupling block 723: robot arm coupling groove
800: knock box

Claims (11)

컵 및 포터필터(700)와 직접 접촉되어 그립핑 동작이 형성되는 그립퍼(100);
복수단의 링크구조로 형성되어 병진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자유도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봇암(200);
상기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커피추출기(300);
상기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컵이 구비되는 컵디바인더(400);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컵에 냉수와 얼음이 출수 출빙되는 제빙기(500); 및
상기 로봇암(200)의 작동반경안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퍼(100)가 안착되는 포터필터거치대(620)가 형성되고 상기 포터필터거치대(620)를 향하는 고온 고압의 온수 토출 노즐이 구비되는 세척조(600);
전단에 커피원두가 담기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커피추출기(300)와 결합되어 커피가 추출되는 포터필터(700);
상기 포터필터(700)에서 커피가 추출된 후 남겨진 찌꺼기가 배출되는 넉박스(800); 및
제조가 완료된 커피가 담겨진 컵이 안착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송되는 음료픽업시스템(1000); 을 포함하고
상기 포터필터(7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의 중심에 추출구(711)가 형성되는 바스켓부(710); 및 바스켓부(710)와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로봇암(200)과 결합되는 그립부(72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720)는
전단에 상기 바스켓부(710)와 연결되며 일측으로 연장된 단부형태의 그립로드(721); 및
상기 그립부(720)의 후단에 형성되며 좌우에 대칭형태로 로봇암결합홈(723)이 형성되는 결합블럭(722); 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암결합홈(723)은
상기 결합블럭(722)의 상하측에서 중심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외측라운드(723a); 및
상기 외측라운드(723a)에 연장되어 상기 결합블럭(722)의 내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이 대칭형태로 형성된 내측경사면(723b);이 포함되고
상기 음료픽업시스템(1000)은
원형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에 컵홀딩홈(1110)이 형성되어 컵이 안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한 개이상이 구비되는 음료배출트레이(1100);
상기 음료배출트레이(1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측에 리니어액추에이터(1210)가 결합되어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되어 개폐동작이 형성되고 상기 음료배출트레이(1100)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게이트(1200);
바코드가 스캔되는 스캐너로 상기 게이트(1200)가 개폐되는 신호가 송출되는 바코드스캐너(1300); 및
상기 게이트(1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신호가 감지될 경우 상기 게이트(1200)를 개방하는 신호가 송출되는 손끼임방지센서(1400); 를 포함하는 자동화 커피머신.
The gripper 100 directly contacting the cup and the portafilter 700 to form a gripping action;
A robot arm 200 formed in a multi-stage link structure, capable of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vement, and capable of moving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 coffee extractor 300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to extract coffee;
a cup divider 400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and provided with the cup;
an ice maker 500 disposed within an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to dispense cold water and ice into the cup; and
A washing tub 600 disposed within the operating radius of the robot arm 200 to form a portafilter cradle 620 on which the gripper 100 is seated and equipped with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hot water discharge nozzle directed toward the portafilter cradle 620;
A portafilter 700 having a space for storing coffee beans at the front end and being combined with the coffee extractor 300 to extract coffee;
a knock box 800 through which dregs remaining after coffee is extracted from the portafilter 700 are discharged; and
A beverage pick-up system (1000) in which a cup containing coffee that has been manufactured is seated and transport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contains
The portafilter 700 is
a basket portion 710 in which a cylindrical space with an open top is formed and an outlet 7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And a grip part 720 extending from the basket part 710 and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robot arm 200,
The grip part 720 is
a grip rod 721 connected to the basket portion 710 at the front end and extending to one side; and
A coupling block 72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grip portion 720 and having robot arm coupling grooves 723 form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ontains
The robot arm coupling groove 723 is
an outer round 723a formed to be bent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upling block 722 toward the center; and
An inner inclined surface 723b extending from the outer round 723a and having a symmetrical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coupling block 722 is included.
The beverage pick-up system 1000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and has a cup holding groove 1110 formed in the cent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cup is seated and is formed to be movable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has one or more beverage dispensing trays 1100;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everage dispensing tray 1100, and a linear actuator 121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o form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beverage dispensing tray 1100. Gates 1200;
a barcode scanner 1300 that transmits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gate 1200 to a scanner that scans barcodes; and
a sensor for preventing hand pinching (14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ate (1200)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open the gate (1200) when a signal is detected; Automated coffee machin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넉박스(800)는 소정의 커피찌꺼기가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부(810); 상기 박스부(810)의 외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주입되는 커넥터형태로 형성되는 공기주입구(820); 및
상기 공기주입구(820)와 연결되어 박스부(8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 공기분사노즐(830); 을 포함하는 자동화 커피머신.
in claim 1
The knock box 800 includes a box portion 810 in which a space for storing predetermined coffee grounds is formed; An air inlet 820 disposed outside the box portion 810 and formed in a connector shape into which air is injected; and
An air injection nozzle 830 connected to the air inlet 820 and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box portion 810 in a hollow tube shape; Automated coffee machin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터필터(700)는
갈아진 원두가 담기는 바스켓부(710); 및
바스켓부(710)와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로봇암(200)과 결합되는 그립부(720); 를 포함하는 자동화 커피머신.
in claim 1
The portafilter 700 is
a basket unit 710 containing ground beans; and
a grip part 720 that extends from the basket part 710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robot arm 200; Automated coffee machin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600)는 물이 담기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조(610); 와
상기 수조(610)의 일측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수조(610)의 내측방향으로 고온 및 고압의 물이 토출되는 세척수주입구(611); 및
상기 수조(6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주입구(611)의 반대측면에 형성되어 포터필터(700)가 거치되는 포터필터거치대(620)를 포함하는 자동화 커피머신.
in claim 1
The washing tank 600 includes a water tank 610 in which a space containing water is formed; and
a washing water inlet 61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610 and discharg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610; and
An automated coffee machine including a portafilter holder 620 formed inside the water tank 610 and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washing water inlet 611 to mount the portafilter 700.
청구항 1에 있어서
파이프형태로 형성되어 끝단에서 온수가 토수되고 토수되는 부분의 하측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온수기(900); 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 커피머신.
in claim 1
a water heater (900)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and having hot water jetted at the end and a drain hol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jetting part; An automated coffee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키오스크에서 주문화면에 출력되는 DID시스템(S10)을 포함하고
상기 DID시스템(S10)은
준비중인 음료의 번호가 출력되는 준비중알림란(S11); 및
상기 음료픽업시스템(1000)에서 배출되는 음료의 번호가 출력되는 배출구알림란(S12); 이 형성되는 자동화 커피머신.
in claim 1
Including the DID system (S10) output on the order screen at the kiosk
The DID system (S10)
A preparation notification column (S11) in which the number of the beverage being prepared is output; and
A discharge port notification column (S12) in which the number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beverage pick-up system (1000) is output; Automated coffee machine in which this is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500)는
컵이 놓일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컵트레이(520); 및
상기 컵트레이(520)와 연결되어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제빙기(500)가 제어되는 신호가 송출되는 로드셀(510); 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500)는 상기 컵트레이(520)에 컵이 안착되는 경우 솔레노이드밸브가 2~4초 동안 열리며 얼음과 냉수가 출수 및 출빙되고 상기 로드셀(510)로부터 무게가 측정되는 과정이 반복되어 설정된 목표무게에 도달될 경우 솔레노이드밸브 하는 출빙편차시스템이 형성되는 자동화 커피머신.
in claim 1
The ice maker 500
a cup tray 520 having a seating surface formed horizontally on which cups can be placed; and
a load cell 510 connected to the cup tray 520 to measure weight and transmit a signal controlling the ice maker 500; contains
In the ice maker 500, when a cup is seated on the cup tray 520, a solenoid valve opens for 2 to 4 seconds, ice and cold water are dispensed and iced out, and the process of measuring weight from the load cell 510 is repeated. When a set target weight is reached, a solenoid valve operates the ice cream deviation system.
KR1020210111740A 2021-08-24 2021-08-24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inhanced washing ability KR102558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740A KR102558548B1 (en) 2021-08-24 2021-08-24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inhanced washing 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740A KR102558548B1 (en) 2021-08-24 2021-08-24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inhanced washing 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54A KR20230029354A (en) 2023-03-03
KR102558548B1 true KR102558548B1 (en) 2023-07-24

Family

ID=8551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740A KR102558548B1 (en) 2021-08-24 2021-08-24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inhanced washing 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54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80B1 (en) * 2012-04-16 2012-10-25 김서헌 Coffee machine with load cell
KR102232603B1 (en) * 2020-04-17 2021-03-29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Coffee extracting system using robot ar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79U (en) * 2006-12-01 2006-12-26 장재호 Washing Machine For Grain
KR102214778B1 (en) 2018-08-24 2021-02-10 주식회사 로브 Barista robot
KR102311564B1 (en) * 2019-12-23 2021-10-13 주식회사 상화 Automatic treatment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feeding of bever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80B1 (en) * 2012-04-16 2012-10-25 김서헌 Coffee machine with load cell
KR102232603B1 (en) * 2020-04-17 2021-03-29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Coffee extracting system using robot ar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54A (en)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433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U20152871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rewed beverage
US110133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rewed beverage
CN114652162A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DK3166450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rewed beverage
EP2925206B1 (en) Automatic dishwashing machine having a rotary drum
KR102558548B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with inhanced washing ability
US20200093318A1 (en) Beverage Supply Device
US6095205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in which a cup holder can be washed at an inner washing position
JPH1118951A (en) Bevarage supply device
KR10240535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US119309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rewed beverage
JPH11339118A (en) Dispenser
KR20230162503A (en) Automatic vending device with residual raw material receiving structure
AU2018387159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drop evacuation
JPH11185146A (en) Powder raw material tank storage rack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11185150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9980040442A (en) Vending machine with detection and healing of abnormal occurrence
KR19980040445A (en) Vending machine of shortened structure of sale wait time
JPH11185147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11185149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