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381B1 -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381B1
KR102558381B1 KR1020220145725A KR20220145725A KR102558381B1 KR 102558381 B1 KR102558381 B1 KR 102558381B1 KR 1020220145725 A KR1020220145725 A KR 1020220145725A KR 20220145725 A KR20220145725 A KR 20220145725A KR 102558381 B1 KR102558381 B1 KR 10255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earer
functional clothing
section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름동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름동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름동행
Priority to KR102022014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개시하며, 기능성 의류의 외피와 내피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내피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자의 목, 가슴, 허리, 척추에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바른 자세 유지용 자세교정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자세교정수단은 신축성 밴드와 상기 밴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지지체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목주위를 지나가도록 상기 뒷섶영역부터 상기 앞섶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밴드부와, 착용자의 양쪽 가슴과 등을 지나가도록 상기 뒷섶영역부터 상기 앞섶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밴드부와, 허리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3밴드부 및 척추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4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Functional clothing for upper body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의류의 착용만으로도 일반 성인이나 신체발달기인 아동 또는 발달장애 아동들의 허리를 포함하는 상체가 균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자세가 습관화될 경우에는 신체구조의 변형을 가져옴에 따라 거북목증후군, 목디스크, 어깨결림, 허리디스크, 척추측만증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되므로, 특히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나 청소년, 장시간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는 학생, 장시간 컴퓨터 앞에 앉아서 일하는 직장인 등의 경우 특히 올바른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고 올바른 자세를 갖도록 유도하기 위한 연구나 개발은 미약한 실정이다.
더욱이 장애 아동의 경우 신체 발달이 불균형하여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 놀림의 대상이 되곤한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잘못된 자세로의 변형에 제약을 주는 심재를 일체화한 자세교정용 의류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는 착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착용자가 그 착용을 기피하여 지속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착용자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하지 못하고 단순히 강제하는 수준이어서 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끼에 일정의 압력을 가하여 치료 목적을 가지는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번호 제10-1246924호 인 '장애아동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의류'는 조끼의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 체적가변부를 구비하여 압박 자극을 조절하여 주의력 결핍아동이나 감각 조절이 잘되지 않는 아동의 감각통합 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 있는데, 상기 특허는 공기의 유입과 유출로 부피가 가변되는 체적가변부와 상기 체적가변부의 부피와 내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체적가변부의 구성이 조끼의 일부분에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부풀러지는 체적가변부의 압력이 착용자의 조끼에 균등하게 가해지지 않아 주의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46924호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가방류들의 문제점 및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류를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목 부위, 어깨, 허리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자세교정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자세교정수단의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신축성과 방향성을 달리하여 자세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기능성 의류를 리카딩섬유로 제작되어 향균과 탈취 및 부력 작용으로 착용자에게 편의와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서는, 상의의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뒷섶영역과, 상기 뒷섶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전면부를 형성하는 앞섶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는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내피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내피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자의 목, 가슴, 허리, 척추에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바른 자세 유지용 자세교정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자세교정수단은 신축성 밴드와 상기 밴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지지체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목주위를 지나가도록 상기 뒷섶영역부터 상기 앞섶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밴드부와, 착용자의 양쪽 가슴과 등을 지나가도록 상기 뒷섶영역부터 상기 앞섶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밴드부와, 허리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3밴드부 및 척추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4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의 신축을 지지하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앞섶영역에 설치되는 앞섶고정부와,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 및 상기 제3밴드부의 신축을 지지하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뒷섶영역에 설치되는 뒷섶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뒷섶고정부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 및 상기 제3밴드부에 포함되는 상기 보강지지체에는 돌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길이 변화로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지지체는 양측면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홈이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활동 시 상기 보강지지체의 휨 유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뒷섶영역과 상기 앞섶영역의 기능성 의류는 리카딩 섬유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서는, 자세교정이 필요한 성인, 운동성 향상이 필요한 성인이나, 신체발달기인 아동 또는 발달장애 아동이 착용하여 균형된 바른 자세를 유지는 물론, 어린 아동에게는 발달 성장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능성 의류를 리카딩섬유로 제작되어 향균과 탈취 및 부력 작용으로 착용자에게 편의와 안전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도 착용 가능하고 일상성을 가지며 일상 속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편안한 하루를 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방향에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B방향에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서 자세교정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서 뒷섶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서 제3밴드부에 에어가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A방향에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B방향에서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서 자세교정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서 뒷섶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102)와 외피(104)로 구성되는 상의의 뒷섶영역(110)과, 상기 뒷섶영역(110)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전면부를 형성하는 앞섶영역(120)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에 있어서, 외피(104)와 내피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 바른 자세를 유지시키게 되는 자세교정수단(200)이 포함되는 것이다.
여기서 기능성 의류의 일예로 조끼 의류로 설명하나, 조끼 형태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소매가 있는 일상 의류일 수도 있다.
상기 기능성 의류(100)는, 상의의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뒷섶영역(110)과, 뒷섶영역(110)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전면부를 형성하는 앞섶영역(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앞섶영역(120)에는 좌측앞섶(121)과 우측앞섶(122)으로 분리될 수 있다.
좌측앞섶(121)과 우측앞섶(122)에는 지퍼부(123)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일예로 지퍼부(123)가 사용됐으나, 지퍼부(123)외에도 단추, 또는 벨크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퍼부(123)가 앞섶영역(120)에 설치되어 있으나, 뒷섶영역(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뒷섶영역(110)에 지퍼부(123)가 설치되는 경우는, 아동용으로 뒤쪽에 지퍼부(123)이 설치되어 본인이 쉽게 탈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계속해서, 앞섶영역(120)과 뒷섶영역(110)에 의하여 착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머리개구부(번호미부여)와 양팔이 위치되도록 개구된 소매부(번호미부여)가 형성되어 조끼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앞섶영역(120)의 좌측앞섶(121) 및/또는 우측앞섶(122)에는 주머니(도 8에 도시:1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앞섶영역(120)과 뒷섶영역(110)은 내피(102)와 외피(104)로 구성될 수 있다.
내피(102)는 착용자를 기준으로 신체에 밀착되는 부분이고, 내피(102)와 외피(104)는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이나 접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피(102)와 외피(104)로 구성되는 앞섶영역(120)과 뒷섶영역(110)에는 착용자의 목, 가슴, 허리, 척추에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바른 자세 유지용 자세교정수단(200)이 포함된다.
자세교정수단(200)은 다시 도 1 또는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착용자의 목주위를 따라 앞섶영역(120)과 뒷섶영역(110)으로 이어지도록 제1밴드부(210)가 설치되고, 착용자의 양쪽 가슴과 등을 지나가도록 뒷섶영역(110)부터 앞섶영역(120)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밴드부(220)가 설치되며, 허리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3밴드부(230) 및 뒷섶영역(110)에 척추를 따라 수직하게 제4밴드부(240)가 수직하게 설치된다.
자세교정수단(200)은 먼저, 도 5를 참고하면, 밴드(202)와 밴드(202)내에 위치되어 상기 밴드(202)의 장력을 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게 잡아주는 역할의 보강지지체(204)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202)는 신축성이 자유로운 폴리우레탄 소재의 합성섬유로 제작되어, 잡아당기면 고무처럼 늘어났다가도 놓으면 바로 원상태로 돌아오는 회복력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202)는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보강지지체(204)가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밴드(202)는 도 2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내피(102)와 외피(104)의 사이에 설치되되, 일면이 내피(102)에 고정 설치된다.
밴드(202)는 내피(102)를 향하는 일면으로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되고, 외피(104)와는 고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보강지지체(204)는 밴드(202)를 따라 삽입 설치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고무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합성고무는, 스티렌 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 rubber;SBR), 부타디엔고무(butadien rubber;BR), 니트릴 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 폴리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poly(styrenebutadiene-styrene); SBS),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보강지지체(204)는 양측면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홈(204a)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활동 시 휨 유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만곡홈(204a)을 통하여 상체가 좌, 우로 급격한 움직임이 있을 때, 보강지지체(204)에 의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만곡홈(204a)은 보강지지체(204)의 양측단에서 지그재그로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밴드부(210)와 상기 제2밴드부(220)의 신축을 지지하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앞섶영역(120)에 앞섶고정부(125)가 설치되고, 뒷섶영역(110)에는 상기 제1밴드부(210)와 상기 제2밴드부(220) 및 상기 제3밴드부(230)의 신축을 지지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뒷섶고정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섶고정부(125)는 앞섶영역(120)에 지퍼부(123)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부(123)를 기준으로 좌측앞섶(121)과 우측앞섶(1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앞섶고정부(125)는 앞섶패드(125a)가 내피(102)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되며, 앞섶패드(125a)에는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의 밴드(202)와 보강지지체(204)의 일단부가 접착제 또는 박음질 등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뒷섶영역(110)의 중앙에 설치되는 뒷섶고정부(112)는 도 6에서와 같이, 뒷섶패드(112a)가 내피(102)에 박음질 등을 통해 고정되며, 뒷섶패드(112a)에는 제1밴드부(210)와 상기 제2밴드부(220) 및 제3밴드부(230)의 밴드(202)의 타단부가 접착제 또는 박음질 등으로 고정된다.
앞섶패드(125a)와 뒷섶패드(112a)는 천이나 고무재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내피(102)에 설치되는 뒷섶패드(112a)는 외피(104)를 향하는 일면으로 다수개의 고정돌기(112b)가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보강지지체(204)의 단부측 일정 길이에는 돌기공(204b)이 형성되어 고정돌기(11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길이 변화로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지지체(204)는 뒷섶패드(112a)에 고정된 밴드(202)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공(204b)에 형성되어 고정돌기(11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이라 함은, 신축성을 가지는 보강지지체(204)가 일정 길이 늘어나서 장력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내피(102)에는 일정 범위의 개구부(102a)가 형성되고, 개구부(102a)는 뒷섶패드(112a)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을 넣어 보강지지체(204)를 파지하고 파지한 보강지지체(204)를 당겨서 돌기공(204b)에 고정돌기(112b)를 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의 착용에 따른 작용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지퍼부(123)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며, 조끼 형태에 따라 머리가 머리부개구부로 나오고, 양팔은 소매부를 통과하여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능성 의류(100)를 착용만 하여도 착용자의 자세가 바르게 유지되고, 보행 중 뒤뚱뒤뚱 걷는 불안정한 걸음 걸이도 상체의 교정으로 바르게 걸을 수 있다.
제1밴드부(210)는 착용자의 목부위에 위치하여 거북목과 같이 목이 앞으로 숙여지는 자세를 바르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2밴드부(220)는 가슴과 등뒤를 압박하여 가슴이 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척추를 따라 설치된 제3밴드부(230)에서도 척추를 압박하고 제4밴드부(240)에서는 허리를 압박하여 첨부된 도 7의 사진과 같이 어린 착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밴드부(210)와 제2밴드부(220), 제3밴드부(230), 제4밴드부(240)를 구성하는 밴드(202)는 신장된 상태로 내피(102)에 고정되어 있기에 기능성 의류(100)의 착용 시 상체의 목부분과 가슴, 척추 및 허리에 압박을 가함과 함께 앞섶고정부(125)와 뒷섶고정부(112)에 의한 길항작용으로 신축성과 방향성을 달리하여 자세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밴드(202)내의 보강지지체(204)는 밴드(202)의 장력을 원하는 방향으로 잡아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기능성 의류(100)는 리카딩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리카딩(Re-carding) 섬유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폴리에스터를 추출하는 재활용과 달리, 사용을 다한 면, 모 등의 천연섬유 제품을 다시 방적이 가능한 상태로 가공(리카딩, Re-carding)하여 섬유를 추출하고, 이를 혼합하여 재활용 소재를 제작한 것이다.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적 재활용이 아닌, 폐섬유의 물리적 재활용 기술을 적용하고, 천연 면섬유, 재생 폴리에스터, 기타 화학섬유와의 혼합으로 섬유의 기능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항균 및 탈취 기능성 원단, 물에 뜨는 원단으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의류의 착용에게 편의와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세교정수단(200)의 보강지지체(204)에는 착용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땀 등에 의한 습기를 차단하기 위한 습기차단제가 코팅될 수 있다.
습기차단제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합성 고무 10 내지 30 중량부, 로진 2 내지 5 중량부, 에폭시 수지 및 우레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 10 내지 25 중량부 및 유기용제 2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합성고무는 잘게 잘리워진 입자 또는 분말의 형태로 사용되어 상기 조성물내의 유기 용제에 의해 용해될 수 있다.
로진은 보강지지체(204) 표면과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코팅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접착력 증대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시 접착력이 반대로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되는 에폭시 수지 및 우레탄 수지는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접착력 증대 효과가 미미하며,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시 접착력이 반대로 저하될 수 있다.
유기용제는 톨루엔, 자일렌, 부틸 셀로솔브, 부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햅탄, 옥탄, 에틸 셀로솔브, 실란, 사이클로 핵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착용하여 균형된 바른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조끼 형태로 편안하게 입을 수 있어 평상시에도 착용 가능하고 일상성을 가지며 일상 속에서 의류 내에 내장된 자세교정수단(200)으로 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편안한 하루를 보낼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서 제3밴드부에 에어가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이다.
제3밴드부(230)에 설치되는 자세교정수단(200)의 밴드(202)측에 공기주입구(300)가 설치되고, 공기주입구(300)측으로 에어가 손펌프(310)로 하여 공급될 수 있다.
밴드(202)는 앞섶영역(120)에서 지퍼부(123)를 기준으로 분리되는 좌측앞섶(121)과 우측앞섶(122)의 앞섶고정부(125)에 마감으로 밀폐되어 에어가 빠져나갈 수 없기에 공기주입구(300)측으로 공급된 에어는 밴드(202)자체를 부풀어 오르게 할 수 있다.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3밴드부(230)가 부풀어 오르면 허리부분을 보다 단단히 지지하여 자세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공기주입구(300)는 마개가 포함된다.
상기 손펌프(310)의 앞섶영역(120)에 설치된 주머니(124)에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기능성 의류 102 : 내피
102a : 개구부 104 : 외피
110 : 뒷섶영역 112 : 뒷섶고정부
112a : 뒷섶패드 112b : 고정돌기
120 : 앞섶영역 121 : 좌측앞섶
122 : 우측앞섶 123 : 지퍼부
124 : 주머니 125 : 앞섶고정부
125a : 앞섶패드 200 : 자세교정수단
202 : 밴드 204 : 보강지지체
204a : 만곡홈 204b : 돌기공
210 : 제1밴드부 220 : 제2밴드부
230 : 제3밴드부 240 : 제4밴드부

Claims (5)

  1. 상의의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뒷섶영역과,
    상기 뒷섶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전면부를 형성하는 앞섶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는 기능성 의류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내피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내피에 고정 설치되고, 착용자의 목, 가슴, 허리, 척추에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바른 자세 유지용 자세교정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자세교정수단은 신축성 밴드와 상기 밴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지지체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목주위를 지나가도록 상기 뒷섶영역부터 상기 앞섶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1밴드부와,
    착용자의 양쪽 가슴과 등을 지나가도록 상기 뒷섶영역부터 상기 앞섶영역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제2밴드부와,
    허리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제3밴드부, 및
    척추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4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의 신축을 지지하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앞섶영역에 설치되는 앞섶고정부와,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 및 상기 제3밴드부의 신축을 지지하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뒷섶영역에 설치되는 뒷섶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뒷섶고정부에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밴드부와 상기 제2밴드부 및 상기 제3밴드부에 포함되는 상기 보강지지체에는 돌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길이 변화로 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지체는,
    양측면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홈이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활동 시 상기 보강지지체의 휨 유동 공간이 확보되는,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섶영역과 상기 앞섶영역의 기능성 의류는 리카딩 섬유로 제작되는,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KR1020220145725A 2022-11-04 2022-11-04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KR10255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725A KR102558381B1 (ko) 2022-11-04 2022-11-04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725A KR102558381B1 (ko) 2022-11-04 2022-11-04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381B1 true KR102558381B1 (ko) 2023-07-24

Family

ID=8742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725A KR102558381B1 (ko) 2022-11-04 2022-11-04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3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251B1 (ko) * 2012-02-21 2012-08-21 심영희 체형 교정이 가능한 기능성 의복
KR101246924B1 (ko) 2011-07-07 2013-03-25 박미희 장애아동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의류
KR101704657B1 (ko) * 2015-04-21 2017-02-08 최범 운동겸용 보정 옷 상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24B1 (ko) 2011-07-07 2013-03-25 박미희 장애아동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 의류
KR101175251B1 (ko) * 2012-02-21 2012-08-21 심영희 체형 교정이 가능한 기능성 의복
KR101704657B1 (ko) * 2015-04-21 2017-02-08 최범 운동겸용 보정 옷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8172A (en) Wrist brace with thumb strap
US20050038367A1 (en) Adjustable knee stabilizer
US10327485B2 (en) Flexible supported glove structures
US5708979A (en) Glove with elastic back
JP3920721B2 (ja) 外骨格層を有した手袋
US7487553B2 (en) Glove
US9044063B2 (en) Infant footwear
US4702239A (en) Underwear for men
US6964062B1 (en) Catcher's leg guard
US4620326A (en) Adjustment means and garment
IES20050528A2 (en) A protective garment
CN108852596A (zh) 具有至少一个织物绷带的矫形器
US20140020160A1 (en) Clothing for children with cushioned features in knee area
KR102558381B1 (ko) 상체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JP2022144931A (ja) マスクフレームおよびマスク
JP2022508689A (ja) 衣類
KR100819426B1 (ko) 팔 햇빛가리개
TW201345412A (zh) 挽具
JP2578079B2 (ja) ズボン等のウエスト伸縮構造
KR20050072780A (ko) 개선된 쾌적함을 가진 모터사이클리스트용 의복
KR100660405B1 (ko) 격투기용 몸통보호대
KR20070112545A (ko) 남성용 가슴패드
JPH0435375Y2 (ko)
JPH0642235Y2 (ja) 放射線防護用コートのベルト装置
KR200350798Y1 (ko) 벤드가 부착된 탄력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