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115B1 -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115B1
KR102558115B1 KR1020220073119A KR20220073119A KR102558115B1 KR 102558115 B1 KR102558115 B1 KR 102558115B1 KR 1020220073119 A KR1020220073119 A KR 1020220073119A KR 20220073119 A KR20220073119 A KR 20220073119A KR 102558115 B1 KR102558115 B1 KR 10255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ed
housing
ozon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열
Original Assignee
이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열 filed Critical 이중열
Priority to KR102022007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47Atomizing, spraying, trick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63Regulation, control including valves and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002Catalyst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004Photo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Abstract

전체 정수 과정을 공정 별로 모듈화하여 수질의 성상과 용량에 따라 여과기 및 멤브레인 사양을 결정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며, 살균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는,
피처리수에 포함된 부유 물질을 여과 처리하는 전처리 모듈; 상기 전처리 모듈에 의해 여과 처리된 피처리수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을 혼합시키고,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피처리수를 살균 처리하며,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AOP 모듈; 상기 AOP 모듈에 의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Apparatus for smart simple water purification applied with advanced oxidation process}
본 발명은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정수 과정을 공정 별로 모듈화하여 수질의 성상과 용량에 따라 여과기 및 멤브레인 사양을 결정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며, 살균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도 물부족 국가에 속한다. 지하수의 의존도가 5%선 미만에 머무르고 있는 현상황에서 지하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하수는 물론, 계곡수, 하천수 등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는 간이 정수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대규모 급수시설을 구비하지 못한 마을의 자체 마을상수도 또는 소규모 급수시설을 위한 간이 정수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간이 정수장치는 수질 성상에 관계없이 이물질만 제거할수 있는 모래 여과기와 염소만 주입하는 시설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간이 정수장치는 MF, UF, NF 막을 이용하여 입자성 및 이온성 물질을 여과할 뿐, 살균 기능은 여전히 미흡하다.
또한, 종래의 간이 정수장치는 질산성 질소 및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흡착 기능과 이온교환 수지를 적용하였으나 원수에서 나는 냄새 물질(Geosmin, 2-MIB) 제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간이 정수장치는 다양한 수질 성상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2352538호
본 발명은 전체 정수 과정을 공정 별로 모듈화하여 수질의 성상과 용량에 따라 여과기 및 멤브레인 사양을 결정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며, 살균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는,
피처리수에 포함된 부유 물질을 여과 처리하는 전처리 모듈; 상기 전처리 모듈에 의해 여과 처리된 피처리수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을 혼합시키고,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피처리수를 살균 처리하며,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AOP 모듈; 상기 AOP 모듈에 의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모듈은, 상기 피처리수의 수질 성상에 따라 UF(Ultra filtration), MF(Micro filtrati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멤브레인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AOP 모듈은, 상기 전처리 모듈로부터 유입된 피처리수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혼합시키는 버블 발생기와, 공기 중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오존을 피처리수에 혼합시키는 오존 발생기와, 상기 마이크로 나노 버블 및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라인 믹서와, 상기 라인 믹서에 의해 혼합된 피처리수가 균등 유속을 형성하기 위한 정류공과 균등한 유속의 피처리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는 UV 반응기와, 상기 UV 반응기의 후단에 월류 웨어 구조로 설치되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공기 접촉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생성된 오존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대각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185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와, 상기 유입구 측의 하우징 내벽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류공이 형성된 정류판과, 상기 정류판 후단에서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UV 램프 주위에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 가이드 격벽의 표면에는 TiO2에 대해 스퍼터링(sputtering)을 수행하여 금홍석(rutile) TiO2가 검출되도록 하여 OH라디칼 및 오존의 생성을 촉진하는 TiO2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격벽의 단부는 상기 UV 램프의 석영 유리관으로부터 8 ~ 55mm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185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는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어 피처리수의 수질 및 수량에 대응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UV 반응기는, 일단에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254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와, 상기 유입구 측의 하우징 내벽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류공이 형성된 정류판과, 상기 정류판 후단에서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UV 램프 주위에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격벽과, 상기 UV 램프의 석영 유리관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 가이드 격벽의 표면에는 TiO2에 대해 스퍼터링(sputtering)을 수행하여 금홍석(rutile) TiO2가 검출되도록 도포된 TiO2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격벽의 단부는 상기 UV 램프의 석영 유리관으로부터 8 ~ 45mm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254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는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어 피처리수의 수질 및 수량에 대응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접촉조는, 제1 높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높이 보다 큰 제2 높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분출공을 구비하는 디퓨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모듈, AOP 모듈, 후처리 모듈 각각은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 수단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처리 모듈, AOP 모듈, 후처리 모듈은 이동 가능한 설치 공간 내에 모듈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체 정수 과정을 공정 별로 모듈화하여 수질의 성상과 용량에 따라 여과기 및 멤브레인 사양을 결정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오존 생성시, 185 nm UV 램프를 사용하며, 정류판 및 가이드 격벽을 이용하여 공기의 균일한 유동을 유도하고, TiO2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 함으로써, TiO2 도포층에 광촉매 효율을 향상시켜 오존 및 OH라디칼 생성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할 때, 오존 및 OH 라디칼도 함께 피처리수를 살균 처리하므로, 살균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가 개념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가 상세히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오존 발생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UV 반응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의 동작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가 개념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가 상세히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는, 전처리 모듈(100), AOP 모듈(200), 후처리 모듈(300)을 포함한다.
전처리 모듈(100), AOP 모듈(200), 후처리 모듈(300)은 콘테이너(C)와 같은 하나의 이동 가능한 설치 공간 내에 컴팩트한 구조로 설치되어, 마을 상수도 또는 소규모 급수시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설치의 편의를 위해 전처리 모듈(100), AOP 모듈(200), 후처리 모듈(300) 각각의 프레임 하부에는 별도의 이동 수단(M, 바퀴)이 부착될 수 있다. 모듈들(100, 200, 300)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은 동결 방지 및 환기 시스템이 부착된다.
또한, 전처리 모듈(100), AOP 모듈(200), 후처리 모듈(300)로 분할하여 모듈화하고 피처리수 수질과 처리 용량에 따라 전처리 필터 및 후처리 필터를 선정하고 설비 용량을 고려하여 간이 정수장치의 효율성과 고품질의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처리 모듈(100), AOP 모듈(200), 후처리 모듈(3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가 상세히 도시된 도면이다.
전처리 모듈(100)은 원수(W)를 유입하고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부유 물질을 여과 처리하여 AOP 모듈(200)로 공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정수 처리될 원수를 피처리수라고도 한다. 여기서, 원수는 지하수, 계곡수, 하천수 등이 될 수 있으며, 지역 및 계절에 따라 함유되는 유해 물질 및 부유 물질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다.
전처리 모듈(100)은 소정의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외형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전처리 여과기(110), 유량계(120), 급수 펌프(130) 등이 설치된다.
피처리수가 지하수인 경우, 전처리 여과기(110)는 막 (Membrane) 여과를 수행하는 여과기로서, 피처리수의 수질 성상에 따라 RO(Reverse Osmosis), NF(Nano filtration), UF(Ultra filtration), MF(Micro filtrati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멤브레인을 이용할 수 있다. 피처리수의 수질 성상은 양이온(NH4-N, K, Ca, Mg, Na 등), 음이온(NO3-N, P, S, Cl, HCO3 등), 미량요소(Fe, Mn, B, Zn, Cu, Mo), 그리고 기타요소(EC, pH, 라돈) 등을 분석하여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역 특성에 따라 수질기준 항목을 추가하여 분석할 수 있다.
피처리수가 하천수 또는 계곡수인 경우, 전처리 여과기(110)는 피처리수에 포함된 부유 물질을 제거하고 CONTINUOUS 타입의 역세와 여과를 할 수 있는 여과 장치를 적용하여 정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급수 펌프(130)는 전처리 모듈(100)로 유입되는 피처리수가 전처리 여과기(1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유량계(120)는 전처리 모듈(100)로 유입되는 피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전처리 여과기(110), 유량계(120), 급수 펌프(130)들은 배관으로 연결되며, 배관 상에는 피처리수의 유량 및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V11 ~ V14) 등이 설치된다.
AOP 모듈(200)은 전처리 모듈(100)에 의해 여과 처리된 피처리수에 버블화된 오존을 혼합시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오존의 살균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처리수를 살균 처리하는 AOP 공정을 수행하며,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함유된 가스를 제거하여 후처리 모듈(300)로 공급한다.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할 때, 오존 및 OH 라디칼도 함께 피처리수를 살균 처리한다.
AOP 모듈(200)은 소정의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외형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버블 발생기(210), 오존 발생기(220), UV 반응기(230), 공기 접촉조(240), 라인 믹서(250) 등이 설치된다. 버블 발생기(210), 오존 발생기(220), UV 반응기(230), 공기 접촉조(240), 라인 믹서(250)들은 배관으로 연결되며, 배관 상에는 피처리수의 유량 및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V21 ~ V27) 등이 설치된다.
버블 발생기(210)는 전처리 모듈(100)로부터 유입된 피처리수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혼합시킨다. 버블 발생기(210)는 차압을 이용한 이젝터를 포함하며 공기 흡입구(211)에서 흡입된 대략 1mm 크기의 공기를 대략 0.01mm 이하의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발생시켜서 피처리수에 혼합시킨다. 버블 발생기(210) 내부에는 격자 구조 형상의 T 격벽을 형성하여 마이크로 나노 버블이 더욱 활성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주로 지하수에 함유된 방사성 기체 라돈은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혼합된 후, 공기 접촉조(240)에서 휘산 배출될 수 있다.
오존 발생기(220)는 유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발생시킨다. 오존 발생기(220)는 버블 발생기(210)와 연결 형성되어, 피처리수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을 함께 혼합시킨다. 이러한 오존 발생기(220)는 하우징(221), UV 램프(222), 정류판(223), 플랜지(224), 가이드 격벽(225)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오존 발생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하우징(221)은 소정의 크기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우징(221)의 일단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21a)가 형성되고, 하우징(221)의 타단에는 하우징(221) 내부에서 생성된 오존이 배출되는 배출구(221b)가 형성된다.
하우징(221) 내부에는 UV 램프(222)가 설치된다. UV 램프(222)는 석영 유리관의 내부에 설치된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다. UV 램프(222)는 185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185 nm UV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UV 램프(222)는 공기 중의 산소를 분해하여 오존을 생성한다. 공기 중의 산소 분자는 짧은 파장의 자외선, 특히 185nm 정도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고, 그러한 자외선을 흡수하면 산소 원자로 해리될 수 있다. 산소 원자는 짧은 파장의 자외선, 특히 185nm 정도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고, 그러한 자외선을 흡수하면 산소 분자와 결합하여 오존을 형성할 수 있다. UV 램프(222)는 처리 용량에 따라 185 nm UV 램프의 수, 185 nm UV 램프 크기와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UV 램프(222)의 양단에는 플랜지(224)가 결합되며, 플랜지(224) 내부에는 UV 램프(2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들이 형성된다. 플랜지(224)는 하우징(221) 내부의 밀폐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유입구(221a) 측의 하우징(221) 내벽에는 정류판(223)이 설치된다. 정류판(223)의 중앙에는 UV 램프(222)가 관통 삽입되고, UV 램프(222)의 방사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류공(223a)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8개의 정류공(223a)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류공(223a)은 유입구(221a)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221b) 쪽으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정류판(223)의 후단에는 가이드 격벽(225)이 설치된다. 가이드 격벽(225)은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격벽(225)은 하우징(221) 내벽에 고정 지지되며, UV 램프(222) 주위에서 방사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8개의 가이드 격벽(225)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격벽(225)은 UV 램프(222)의 램프 용량 및 자외선 강도에 따라 UV 램프(222)로부터 8 ~ 55mm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격벽(225)의 단부가 UV 램프(222)의 석영 유리관으로부터 8 ~ 55mm 만큼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살균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21)의 내벽, 가이드 격벽(225)의 표면에는 TiO2가 도포될 수 있다. TiO2는 광촉매로서, TiO2 표면에 밴드갭 에너지 3.2eV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UV를 조사할 경우, TiO2 촉매 입자가 흡수하여 표면에 전자(electron)는 원자가띠(Valence band)에서 전도띠(Conduction band)로 전이가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원자가띠에는 정공 Hole(h+)과 전자(e-)가 생성되며 생성된 전자와 정공은 TiO2 표면으로 확산 이동하게 된다. 또한, TiO2 표면에 흡착된 광에너지와 공기중의 물이나 산소와 반응하여 오존과 OH radical 및 superoxide radical 생성하기도 하며, 수중에 존재하는 산소의 경우에는 전자와 반응하여 O2- 라디칼을 생성하여 더 많은 OH 라디칼을 생성시켜 TiO2 표면의 유기물질 등을 분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TiO2 광촉매 중에서 TiO2 Degussa P25를 사용하며,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으로 도포하여, 도포 표면적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광촉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TiO2에 대해 스퍼터링(sputtering)을 수행하여 금홍석(rutile) TiO2가 검출되도록 스퍼터링 조건을 맞추어 주상정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표면적을 크게 하여 OH- 라디칼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도포층을 TiO2 도포층이라 한다.
오존 발생기(220)는 원수 수질 성상(TOC(total organic carbon) 기준) 및 처리량에 따라 오존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control)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PID 제어는, 제어 변수와 기준 입력 사이의 오차에 근거하여 계통의 출력이 기준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를 의미한다. 오존 발생기(220)는 TOC와 비례하여 주입율을 결정하여 오존 투입량을 결정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오존 발생기(220)를 예시하였으나, 복수개의 오존 발생기(220)가 버블 발생기(210)와 병렬 연결 형성되어, 필요한 오존량에 따라 2개 이상의 오존 발생기(220)를 구동할 수도 있다.
전처리 모듈(100)로부터 유입된 피처리수는 버블 발생기(210)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은 피처리수와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고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물리화학적 고유의 특성을 활용할수 있도록 혼합되고, 또한, 오존 발생기(220)에 의해 생성된 오존과 혼합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나노 버블 및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는 UV 반응기(230)에 유입되기 전에 라인 믹서(Static Mixer, 250)를 통과하면서 보다 균일하게 혼합된다.
라인 믹서(250)는 이송관(251)과 교반부재(252)로 이루어진다. 라인 믹서(250)는 마이크로 나노 버블 및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가 이송관(251)을 통과할 때, 교반부재(252)에 의해 교반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별도의 동력 장치 없이 피처리수 자체의 유속으로 교반되도록 할 수 있다.
라인 믹서(250)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된 피처리수는 UV 반응기(230)로 유입되어 고도산화공법으로 살균 처리된다. 이러한 UV 반응기(230)는 하우징(231), UV 램프(232), 정류판(233), 플랜지(234), 가이드 격벽(235), 세척부(236)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UV 반응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하우징(231)은 반응 시간을 고려하여 소정의 크기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우징(231)의 일단에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31a)가 형성되고, 하우징(231)의 타단에는 하우징(231) 내부에서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31b)가 형성된다.
하우징(231) 내부에는 복수개의 UV 램프(232)가 설치된다. UV 램프(232)는 석영 유리관의 내부에 설치된 자외선 광원을 포함한다. 전술한 오존 발생기(220)에 설치된 UV 램프(222)와는 달리, UV 반응기(230)의 하우징(231) 내부에 설치되는 UV 램프(232)는 병원균, 미생물, 바이러스 등에 살균 효과가 뛰어난 254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254 nm UV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UV 램프(232)의 양단에는 플랜지(234)가 결합되며, 플랜지(234) 내부에는 UV 램프(23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들이 형성된다. 플랜지(234)는 하우징(231) 내부의 밀폐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유입구(231a) 측의 하우징(231) 내벽에는 정류판(233)이 설치된다. 정류판(233)에는 UV 램프(232)와 이송 스크류(236a)가 관통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류공(233a)이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3개의 정류공(233a)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류공(233a)은 유입구(231a)로 유입된 피처리수가 배출구(231b) 쪽으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정류판(233)의 후단에는 가이드 격벽(235)이 설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의 우상단 도면에서는 가이드 격벽(235)을 생략 도시한다. 가이드 격벽(235)은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격벽(235)은 하우징(231) 내벽에 고정 지지되며, UV 램프(232) 주위에서 방사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8개의 가이드 격벽(235)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격벽(235)은 피처리수의 흐름이 층류로 형성되도록 하여 UV 램프(232)에 의한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격벽(235)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이드 격벽(235)은 UV 램프(232)의 램프 용량 및 자외선 강도에 따라 UV 램프(232)로부터 8 ~ 45mm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 격벽(235)의 단부가 UV 램프(232)의 석영 유리관으로부터 8 ~ 45mm 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31)의 내벽, 가이드 격벽(233)의 표면에는 TiO2가 도포될 수 있다. 전술한 오존 발생기(220)의 경우와 유사하게, UV 반응기(230)에서도 TiO2 광촉매 중에서 TiO2 Degussa P25를 사용하며,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으로 도포하여, 도포 면적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광촉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TiO2에 대해 스퍼터링(sputtering)을 수행하여 금홍석(rutile) TiO2가 검출되도록 스퍼터링 조건을 맞추어 주상정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표면적을 크게 하여 OH- 라디칼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세척부(236)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UV 램프(232)의 석영 유리관 표면을 세척하여 UV 램프(232)의 자외선 조사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세척부(236)는 이송 스크류(236a)와 세척링(236b)과 브릿지(236c)를 포함한다. 이송 스크류(236a)는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UV 램프(232)가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하고, 세척링(236b)은 석영 유리관 표면과 접촉되어 이송 스크류(236a)의 전후진에 따라 함께 석영 유리관 표면을 전후진하여 석영 유리관 표면을 세척하고, 브릿지(236c)는 이송 스크류(236a)와 세척링(236b)을 연결하여 이송 스크류(236a)의 전후진 운동을 세척링(236b)으로 전달한다.
UV 반응기(230)는 254nm UV 램프를 이용한 고도산화공법을 수행하여 피처리수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 물질(geosmin, 2-MIB), 유기물, 고형물, 무기물, 독성물질, 특히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 염류를 제거한다. 또한, 자외선의 광분해와, 광촉매 반응으로 Hydroxy Radical을 수중에 생성시켜 미생물의 및 각종 오염물질 살균 및 특수 오염물질 제거, 용존산소를 증대시키고, 대장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제거와 균의 세포막을 파열, 균의 생성은 물론 재생까지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피처리수 내의 유기물과 염소의 화학 작용으로 생성되는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 벤젠, 페놀성 물질, 계면 활성제, 화학물질 등을 산화하여 제거한다. 살균 작용을 한 오존은 곧 바로 산소로 변하기 때문에 물 속의 용존산소를 증가시키고, 피처리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을 산화시킨다. 또한, 일반 소독제로는 제거되지 못하는 농약 성분과 비료, 살충제 등을 그 화학 구조의 연결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공기 접촉조(240)는 UV 반응기(230)의 후단에 월류 웨어(overflow weir) 구조로 설치되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한다. 공기 접촉조(240)는 제1 하우징(241), 제2 하우징(242), 에어 밸브(243), 디퓨저(244)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241)은 제1 높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하우징(242)은 제1 높이 보다 큰 제2 높이의 통 형상으로 제1 하우징(241)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1 하우징(241)과 제2 하우징(242)의 높이차로 인해 제1 하우징(241)에 유입된 피처리수는 제1 하우징(241)의 상단부를 흘러 넘쳐서 제2 하우징(242)에 저장될 수 있다. 피처리수가 제1 하우징(241)의 상단부를 흘러 넘치면서 피처리수에 포함된 잔류 가스는 피처리수에서 분리된 후, 에어 밸브(2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 밸브(243)는 제2 하우징(242)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제1 하우징(241) 하부에는 디퓨저(244)가 설치될 수 있다. 디퓨저(244)에는 복수개의 분출공이 형성되며, UV 반응기(230)로부터 유입된 피처리수는 분출공을 통해 제1 하우징(241) 상부로 분출된다. UV 반응기(230)에서 배출된 피처리수는 상대적으로 저압 저속으로 유동하다가 디퓨저(244)의 분출공을 통해 고압 고속으로 유동하면서 제1 하우징(241)의 상단부를 흘러 넘쳐서 제2 하우징(24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피처리수에 포함된 잔류 가스는 피처리수에서 분리될 수 있다. 잔류 가스 중 어느 하나는 피처리수 살균에 기여하지 않은 잔류 오존일 수 있다. 특히, 원수가 지하수인 경우, 잔류 가스 중 어느 하나는 방사성 기체 라돈일 수 있다.
제2 하우징(242)에 저장된 피처리수의 수위가 제1 하우징(241) 상부 보다 높을 경우, 잔류 가스 분리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공기 접촉조(240) 내부에 수위 센서(245)를 설치하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하우징(242)에 투시창(미도시)을 설치하여 내부 수위 및 버블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접촉조(240)의 유입측에 플로트 밸브(V25)를 설치하여 후처리 모듈(300)에 있는 펌프(P)에 버블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후처리 모듈(300)은 AOP 모듈(200)에 의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한다. 후처리 모듈(300)은 소정의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 외형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멤브레인 필터(310), 차염 주입기(320), 유량계(330), 그리고 각종 배관 및 밸브(V31 ~ V35)가 설치될 수 있다.
후처리 모듈(300)은 전처리 모듈(100)과 유사하게 막(Membrane) 여과를 수행하는 여과기로서, 피처리수의 수질 성상에 따라 RO(Reverse Osmosis), NF(Nano filtration), UF(Ultra filtration), MF(Micro filtrati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멤브레인 필터(310)를 이용할 수 있다.
피처리수가 하천수 또는 계곡수인 경우, 후처리 모듈(300)은 피처리수의 여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정수를 공급하여 역세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역세기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피처리수가 지하수인 경우, 후처리 모듈(300)은 자동 역세기없이 일정 기간 사용후, 막을 교체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310)의 후단에는 차염 주입기(320)가 설치된다. 차염 주입기(320)는 가정내 수도꼭지에서의 유리 잔류염소 농도 기준 0.1mg/L(결합 잔류염소의 경우에는 0.4mg/L)를 유지할수 있도록 정량 펌프를 사용하여 주입량을 자동조정한다. 처리 용량이 적을 경우 시판 차염을 사용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처리 용량이 클 경우 별도의 차염 발생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차염 주입기(320) 후단에는 유량계(330)가 설치되며, 유량계(330)는 정수 완료 후 외부로 배출되는 피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의 동작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정수 대상이 되는 피처리수(원수)를 분석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를 설치한다. (S100)
구체적으로, 먹는물 수질기준(미생물에 관한 항목(총3가지),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에 관한 항목(총 11가지),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에 관한 항목(총17가지),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질에 관한 항목(총 11가지), 심미적 영향 물질에 관한 항목(총15가지))과, 설치 대상 지역의 원수를 비교 분석하여, 모듈들(100, 200, 300)에서의 피처리수 흐름 제어 및 모듈들에 사용될 멤브레인의 종류 등을 결정하여 설치한다.
예를 들어, 피처리수가 지하수인 경우,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깨끗하며 부유 물질을 적게 함유하므로, 밸브를 제어하여 전처리 모듈(100)의 전처리 여과기(110)를 바이패스(bypass)시켜서 AOP 모듈(2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수가 계곡수 또는 하천수인 경우, 계곡수는 부유 물질을 다량 함유하므로, 밸브를 제어하여 전처리 모듈(100)의 전처리 여과기(110)에 의해 부유 물질을 여과한 후, AOP 모듈(2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피처리수를 전처리 모듈(100)로 유입시켜서 피처리수에 포함된 부유 물질을 여과 처리한다. (S20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피처리수가 지하수인 경우, 전처리 여과기(110)를 바이패스(bypass)시켜서 S200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즉, 밸브(V11)은 열고 밸브(V12) 및 밸브(V13)을 닫도록 하여 피처리수가 전처리 여과기(110)를 바이패스하도록 할 수 있다.
피처리수가 계곡수 또는 하천수인 경우, 밸브(V11) 및 밸브(V14)는 닫고 밸브(V12) 및 밸브(V13)은 열리도록 하여 피처리수가 전처리 여과기(110)를 흐르면서 여과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밸브(V11) 및 밸브(V13)은 닫고, 밸브(V12) 및 밸브(V14)를 오픈한 상태에서 원수를 이용하여 전처리 여과기(110)를 역세 처리할 수 있다.
다음, 피처리수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을 혼합한다. (S300) 차압을 이용한 이젝터를 포함하는 버블 발생기(210)로 대략 0.01mm 이하의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발생시켜서 피처리수에 혼합시킨다. 그리고, 오존 발생기(220)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생성한 후, 피처리수에 혼합시킨다.
오존 발생기(220)는 185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185 nm UV 램프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킨다. 또한, 자외선 생성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존 발생기(220)는 UV 램프(222)로부터 8 ~ 55mm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가이드 격벽(225)을 구비하며, 오존 발생기(220)를 이루는 모든 구성의 표면에는 TiO2가 도포된다. 오존 발생기(220)는 원수 TOC와 1:1 비례 주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단일 UV 램프(222)를 구비한 경우 ON/OFF 제어를, 복수개의 UV 램프(222)를 병열로 구비한 경우에는 램프 댓수를 제어하여 오존 발생량을 조절한다.
다음, UV 반응기(230)는 254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254 nm UV 램프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피처리수를 고도산화공법으로 살균 처리한다. (S400) UV 반응기(230)는 UV 램프(232)로부터 8 ~ 45mm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가이드 격벽(235)을 구비하며 UV 반응기(230)를 이루는 모든 구성의 표면에는 TiO2가 도포된다. UV 반응기(230)는 처리 유량에 따라 접촉 시간(CT)을 고려하여 구동되는 UV 램프(232)의 댓수를 조절한다.
선택적으로, 피처리수가 UV 반응기(230)로 유입되기 전에, 즉 S400 단계 이전에 피처리수를 라인 믹서(250)에 통과시켜서 피처리수가 보다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밸브(V21)은 열고 밸브(V22)는 닫아서 피처리수가 UV 반응기(23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V21)은 닫고 밸브(V22)를 열어서 피처리수가 UV 반응기(230)를 바이패스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UV 반응기(230)에 의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가 공기 접촉조(240)를 통과하도록 하여 피처리수에 함유된 잔류 가스를 제거한다. (S500) 공기 접촉조(240)는 월류 웨어(overflow weir) 구조로 설치되고, 피처리수는 제1 하우징(241)의 상단부를 흘러 넘치면서 피처리수에 포함된 잔류 가스는 피처리수에서 분리된 후, 에어 밸브(2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241) 하부에는 디퓨저(244)가 설치되고, UV 반응기(230)에서 배출된 피처리수는 상대적으로 저압 저속으로 유동하다가 디퓨저(244)의 분출공을 통해 고압 고속으로 유동하면서 제1 하우징(241)의 상단부를 흘러 넘쳐서 제2 하우징(242)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피처리수에 포함된 잔류 가스는 피처리수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밸브(V25)는 열고 밸브(V27)는 닫아서 피처리수가 UV 반응기(23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V25)는 닫고 밸브(V27)를 열어서 피처리수가 공기 접촉조(240)를 바이패스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후처리 모듈(300)이 AOP 모듈(200)에 의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한다. (S600)
이때, 밸브(V31) 및 밸브(V35)는 닫고 밸브(V32) 및 밸브(V33)은 열어서 피처리수가 멤브레인 필터(31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밸브(V31)은 열고 밸브(V32) 및 밸브(V33)은 닫아서 피처리수가 멤브레인 필터(310)를 바이패스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밸브(V31) 및 밸브(V33)은 닫고, 밸브(V32) 및 밸브(V35)를 오픈한 상태에서 원수를 이용하여 멤브레인 필터(310)를 역세 처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처리 모듈
110 : 전처리 여과기 120 : 유량계
130 : 급수 펌프
200 : AOP 모듈
210 : 버블 발생기 220 : 오존 발생기
230 : UV 반응기 240 : 공기 접촉조
250 : 라인 믹서
300 : 후처리 모듈
310 : 멤브레인 필터 320 : 차염 주입기
330 : 유량계

Claims (9)

  1. 피처리수에 포함된 부유 물질을 여과 처리하는 전처리 모듈;
    상기 전처리 모듈에 의해 여과 처리된 피처리수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을 혼합시키고, 마이크로 나노 버블과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피처리수를 살균 처리하며,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AOP 모듈;
    상기 AOP 모듈에 의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모듈은 전처리 여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여과기는 상기 피처리수가 지하수인 경우, RO(Reverse Osmosis), NF(Nano filtration), UF(Ultra filtration), MF(Micro filtrati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멤브레인을 이용하고, 상기 피처리수가 하천수 또는 계곡수인 경우, 상기 전처리 여과기는 CONTINUOUS 타입의 역세와 여과를 할 수 있는 여과 장치를 적용하며,
    상기 AOP 모듈은, 상기 전처리 모듈로부터 유입된 피처리수에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혼합시키는 버블 발생기와,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존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오존을 피처리수에 혼합시키는 오존 발생기와, 상기 마이크로 나노 버블에 오존이 혼합된 피처리수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라인 믹서와, 상기 라인 믹서에 의해 혼합된 피처리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는 UV 반응기와, 상기 UV 반응기의 후단에 월류 웨어 구조로 설치되어,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에 잔류하는 오존, 라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잔류 가스를 제거하는 공기 접촉조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 발생기는 차압을 이용한 이젝터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격자 구조 형상의 T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오존 발생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생성된 오존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185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와, 상기 유입구 측의 하우징 내벽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류공이 형성된 정류판과, 상기 정류판 후단에서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UV 램프 주위에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가이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 제1 가이드 격벽의 표면에는 TiO2 Degussa P25에 대해 스퍼터링(sputtering)을 수행하여 금홍석(rutile) TiO2가 검출되도록 도포된 TiO2 도포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격벽의 단부는 상기 UV 램프의 석영 유리관으로부터 8 ~ 55mm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185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는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어 피처리수의 수질 및 수량에 대응하여 온/오프 제어되며,
    상기 오존 발생기는 TOC 및 처리량에 따라 오존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TOC와 비례하여 주입율을 결정하여 오존 투입량을 결정하는 PID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UV 반응기는, 일단에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살균 처리된 피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254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와, 상기 유입구 측의 하우징 내벽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류공이 형성된 정류판과, 상기 정류판 후단에서 판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UV 램프 주위에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가이드 격벽과, 상기 UV 램프의 석영 유리관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 격벽의 단부는 상기 UV 램프의 석영 유리관으로부터 8 ~ 45mm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254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UV 램프는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어 피처리수의 수질 및 수량에 대응하여 온/오프 제어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 제2 가이드 격벽의 표면에는 TiO2 Degussa P25에 대해 스퍼터링(sputtering)을 수행하여 금홍석(rutile) TiO2가 검출되도록 도포된 TiO2 도포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접촉조는, 제1 높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높이 보다 큰 제2 높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된 피처리수를 상기 제1 하우징 상부로 분출하는 복수개의 분출공을 구비하는 디퓨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에어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유입된 피처리수는 저압 저속으로 유동하다가 상기 분출공을 통해 고압 고속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를 흘러 넘치면서 피처리수에 포함된 잔류 가스는 피처리수에서 분리된 후, 상기 에어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후처리 모듈은, 피처리수의 수질 성상에 따라 RO(Reverse Osmosis), NF(Nano filtration), UF(Ultra filtration), MF(Micro filtrati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멤브레인 필터와, 상기 멤브레인 필터의 후단에 설치된 차염 주입기와, 상기 차염 주입기 후단에 설치되어 정수 완료 후 외부로 배출되는 피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모듈, AOP 모듈, 후처리 모듈 각각은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 수단이 부착되며,
    상기 전처리 모듈, AOP 모듈, 후처리 모듈은 이동 가능한 설치 공간 내에 모듈형으로 설치되는,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73119A 2022-06-15 2022-06-15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KR10255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119A KR102558115B1 (ko) 2022-06-15 2022-06-15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119A KR102558115B1 (ko) 2022-06-15 2022-06-15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115B1 true KR102558115B1 (ko) 2023-07-21

Family

ID=8742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119A KR102558115B1 (ko) 2022-06-15 2022-06-15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3621A (zh) * 2023-08-21 2023-12-29 华南理工大学 一种降解水中土臭素和2-甲基异莰醇的方法及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771B1 (ko) * 2003-08-14 2005-06-29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간이정수처리시스템
KR101318604B1 (ko) * 2013-05-15 2013-10-15 고영남 마이크로 버블 살균장치
KR20140131141A (ko) * 2013-05-03 2014-11-12 비엘프로세스(주) 자외선 전처리장치
KR101687571B1 (ko) * 2016-05-26 2016-12-20 (주) 삼진정밀 정수특성에 맞는 선택적 및 조립식 간이정수장치
KR102207980B1 (ko) * 2020-05-20 2021-01-26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Aop를 이용한 물 살균 장치, 상기 물 살균 장치를 구비하는 물놀이 시설의 수질 정화 시스템, 그리고 상기 수질 정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물놀이형 수경시설
KR20210042540A (ko) * 2019-10-10 2021-04-20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고도산화기반의 수처리장치
KR102352538B1 (ko) 2021-07-16 2022-01-20 효림산업주식회사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771B1 (ko) * 2003-08-14 2005-06-29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간이정수처리시스템
KR20140131141A (ko) * 2013-05-03 2014-11-12 비엘프로세스(주) 자외선 전처리장치
KR101318604B1 (ko) * 2013-05-15 2013-10-15 고영남 마이크로 버블 살균장치
KR101687571B1 (ko) * 2016-05-26 2016-12-20 (주) 삼진정밀 정수특성에 맞는 선택적 및 조립식 간이정수장치
KR20210042540A (ko) * 2019-10-10 2021-04-20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고도산화기반의 수처리장치
KR102207980B1 (ko) * 2020-05-20 2021-01-26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Aop를 이용한 물 살균 장치, 상기 물 살균 장치를 구비하는 물놀이 시설의 수질 정화 시스템, 그리고 상기 수질 정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물놀이형 수경시설
KR102352538B1 (ko) 2021-07-16 2022-01-20 효림산업주식회사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3621A (zh) * 2023-08-21 2023-12-29 华南理工大学 一种降解水中土臭素和2-甲基异莰醇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sel New technologie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A survey of recent patents
I Litter et al. Photochemic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US11046597B2 (en) Method of membrane-coupled 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and its application 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of the same
US8652336B2 (en) Ultraviolet light activated oxidation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organic carbon in semiconductor process water
JP6722253B2 (ja) 超純水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451747B1 (en) Purifying device and method for elimination of xenobiotics in water
JP2007203292A (ja) 水処理技術
US200802371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hotocatalytic Treatment of Fluids
US10934193B2 (en) Advanced oxidation process methods for degasification of reactor vessel
KR102558115B1 (ko) Aop가 적용된 스마트 간이 정수장치
KR101687571B1 (ko) 정수특성에 맞는 선택적 및 조립식 간이정수장치
KR20130011174A (ko) 정제수제조시스템 역삼투압 장치 농축수의 재활용시스템 및 그 방법
US8323496B2 (en) Methods for treatment of perchlorate contaminated water
KR101954760B1 (ko) 역플러싱 전처리 필터를 구비한 정수시스템 및 그 정수방법
KR102179427B1 (ko) 분자파괴장치 및 융합 탈이온을 적용한 농축수 패키지의 무방류 처리 시스템
KR100711259B1 (ko) 정화처리 장치
KR101587057B1 (ko) 용수 재활용 시스템
CN1477063A (zh) 超滤-射流补臭氧-紫外二次激发产生自由基净化微污染水源水的技术和工艺
KR20210043122A (ko) 난분해성 폐수처리 장치
KR101685929B1 (ko) 개개의 간이정수장치의 수질판단 및 계측확인이 가능한 근거리통신 기능을 갖는 간이정수장치
US201903442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membrane fouling in reverse osmosis purification systems utilizing hydrodynamic cavitation
EP36280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membrane fouling in reverse osmosis purification systems utilizing hydrodynamic cavitation
WO2024020126A1 (en) Mobile ultrapure water system
KR101090079B1 (ko) 광촉매와 분리막을 이용하여 방류수 중의 총인 및 총질소를 제거하는 장치
CZ36439U1 (cs) Mobilní energeticky nezávislá jednotka úpravny pitné v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