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736B1 - 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736B1
KR102557736B1 KR1020180084268A KR20180084268A KR102557736B1 KR 102557736 B1 KR102557736 B1 KR 102557736B1 KR 1020180084268 A KR1020180084268 A KR 1020180084268A KR 20180084268 A KR20180084268 A KR 20180084268A KR 102557736 B1 KR102557736 B1 KR 10255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rawing input
mobile robot
cleaning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9640A (en
Inventor
박지선
김영선
노민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736B1/en
Priority to PCT/KR2019/006261 priority patent/WO2020017752A1/en
Publication of KR2020000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6Control stands, e.g. consoles, switc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by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displaying a map indica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receiving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distinguishingly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determining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area to be cleaned to the mobile robot.

Description

드로잉을 통한 이동 로봇 제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개시는 이동 로봇의 제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 mobile robot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In gener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taken part in factory automation. In recent years, the application field of “robots” has been further expanded, medical “robots” and aerospace “robots” have been developed, and domestic “robots” that can be used at home are also being made.

본 개시 예들은 이동 로봇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Exam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control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controlling a mobile robo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by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displaying a map indica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receiving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distinguishingly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determining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area to be cleaned to the mobile robo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 터치 스크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이동 로봇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상기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구별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mmunication interface; touch screen; a memory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wherein the processor displays a map represen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on the touch screen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receiving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distinguishingly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determining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and the cleaning target.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an area to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is disclosed.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로봇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상기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map indica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receiving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distinguishingly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determining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area to be cleaned to the mobile robo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1 영역을 "선" 형태로 지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1 영역을 "도형" 형태로 지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2 영역을 지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f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3 영역을 지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영역을 저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드로잉 입력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제2 드로잉 입력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영역이 복수인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청소 영역을 제거하기 위한 제3 드로잉 입력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맵에서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3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con in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user designates a first area in a “line” form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D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user designates a first region as a “figure”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E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user designates a second area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F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designating a third area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G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saving an area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inputs a first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inputs a second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user has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inputs a third drawing input for removing a clean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region designated by a user's drawing input on a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a mobile robot based on a second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a mobile robot based on a third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disclosur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as general terms current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may mean various other term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as the names of the terms, bu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the plural meaning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the singular number.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bove” and similar designation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plural. Further,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hat explicitly specifies the order of steps in describing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cited steps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described steps.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 예에서" 또는 "일 실시 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The appearances of phrases such as “in some embodiments” or “in one embodiment” in various places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presented as functional block structure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Some or all of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a varying number of hardware and/or software component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circuit configurations for a predetermined function. Also, for examp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is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s.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employ prior art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mposition” may b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mponent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connecting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an actual device,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may be represented by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that can be replaced or ad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system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300), 네트워크(350) 및 이동 로봇(4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100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300 , a network 350 and a mobile robot 40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이동 로봇(400)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단말 장치(terminal equipment),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플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400.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terminal equipment, a personal computer (PC), a lap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and a wearable compu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350)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및 원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35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350)는 전자 장치(300)를 이동 로봇(400)에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와 이동 로봇(400)은 네트워크(350)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network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mean at least one communication means of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Wi-Fi, WiFi Direct) and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GSM, UMTS, LTE, and WiBRO). Specifically, the network 350 includes not only a form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n Internet network, but also wireless communication (eg,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Bluetooth, Wi-Fi,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etc.) ) method can also be implemented. The network 350 may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300 to the mobile robot 400 .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the mobile robo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35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로봇(400)은 플로어(floor)의 먼지 등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하여 구동 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로봇(400)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로서, 로봇 청소기는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주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주행 중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여 스스로 주행하며 청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로봇(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mobile robo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fer to a device driven to suck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a floor.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obile robot 400 is a “robot” vacuum cleaner. The robot cleaner can clean by sucking in dust or foreign substances around it while traveling in a certain area by itself. This "robot" vacuum cleaner has a rechargeable battery and an obstacle sensor capable of avoiding obstacles while driving, so that it can clean while traveling by itsel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obile robo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이동 로봇(400)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맵 위에,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청소를 원하는 드로잉 입력을 전자 장치(300)의 터치 스크린에 입력할 수 있다.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 위에 사용자가 직접 드로잉 입력을 입력함으로써, 이동 로봇(400)의 청소 영역을 세밀하게 지정할 수 있게 된다.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 map indica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400 . On the displayed map, the user may input a drawing input for cleaning to the touch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through a touch input. By directly inputting a drawing input on the map indicating the cleaning area, the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400 can be specified in detail.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robot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단계 S2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이동 로봇(400)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step S201,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 map indicating the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40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맵은 이동 로봇(400)을 통해 생성될 수 있고, 이동 로봇(400)을 통해 변경될 수도 있다. 맵은 이동 로봇(400)의 최초 이동 동작을 통해, 이동 로봇(400)이 수집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최초로 생성될 수 있다. 그 후, 이동 로봇(400)의 반복적인 이동 동작을 통해, 맵은 업데이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로봇(400)은 청소를 위한 이동 중에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 및 장애물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장애물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맵을 보완할 수 있다. 맵은 최초의 동작에서만 생성될 수 있으며, 매 청소 시점마다 생성될 수도 있다. 맵의 생성 및 업데이트 동작은 전자 장치(300)를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며, 맵의 생성 및 업데이트 동작의 주체는 반드시 이동 로봇(400) 또는 전자 장치(3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맵은 전자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저장된 맵은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에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p may be created through the mobile robot 400 and may be changed through the mobile robot 400 . The map may be initially generat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obile robot 400 through an initial movement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400 . After that, the map may be updated through repetitive movements of the mobile robot 400 . Specifically, the mobile robot 400 may supplement a map generated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an imaging unit and obstacle information detected by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while moving for cleaning. The map may be created only in the first operation, or may be created at every cleaning point. Map creation and update operations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the subject of map creation and update operation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obile robot 400 or the electronic device 300. The map may b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the stored map may be used for a user's drawing input.

단계 S2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이란, 디스플레이된 맵에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 영역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영역이란, 사용자가 지정하는 청소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의 터치 스크린에 제1 드로잉 입력을 통해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In step S203,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The user's first drawing input may mean that the user inputs a desired cleaning area on the displayed map. The first area may mean a cleaning area designated by a user. The user may designate a first area in the map through a first drawing input on the touch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

단계 S20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맵 내에서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맵 내에서 지정된 일정 영역이란, 전자 장치(300)의 터치 스크린이 인식한 제1 드로잉 입력을 기초로 생성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드로잉 입력을 "선"형태로 입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실제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영역보다 더 넓은 범위로 일정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한 영역과 다른 범위의 영역을 일정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맵 내에서 지정된 일정 영역을 사용자가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205,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upon receiving the first drawing input, may display a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to be distinguished.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may refer to an area created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recognized by the touch scree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the first drawing input in the form of a “line,”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designate a certain area wider than the area where the user actually touches the touch screen for the first drawing input.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analyze the user's first drawing input and designate an area within a different range from the area where the user actually touched the touch screen as a predetermined area. The electronic device 300 may display a designated area in the map so that the user can distinguish it.

단계 S207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400)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청소 대상 영역은, 후술하는 도 7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step S207,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rmine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400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The area to be clean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to be described later.

단계 S209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결정된 청소 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청소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 스케줄 정보는,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청소 순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동 로봇(400)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 스케줄 정보에 따라 청소할 수 있다.In step S209,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area to be cleaned to the mobile robot 400. 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cleaning target area and cleaning schedule information. The cleaning schedul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 cleaning order determined based on a user's drawing input. The mobile robot 400 may clean the determined cleaning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cleaning schedul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프로세서(310), 터치 스크린(320), 제1 통신 인터페이스(330) 및 제1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first processor 310, a touch screen 320, a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330, and a first memory 34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프로세서(3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여, 전자 장치(3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 To this end, the first processor 31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execute calculations or data processing related to control of other elem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320)은 표시부(미도시) 및 터치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설정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다.The touch screen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and a touch panel (not shown).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The display unit visually provides the user with the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input data,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other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outputs a portable terminal booting screen, a standby screen, a display screen, a call screen, a setting screen, and other application execution screens.

터치 패널은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터치 기구에는 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펜(스타일러스 펜)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에 사용될 수 있다.The touch panel detects whether or not the touch mechanism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A user's hand or a touch pen (stylus pen) may correspond to the touch mechanism. The touch panel may be composed of a touch sensor such as a capacitive overlay, a resistive overlay, or an infrared beam, or may be composed of a pressure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types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contact or pressure of an object may be used in the touch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이동 로봇(400)에 포함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이동 로봇(4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로봇(400)은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mmunicate with a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400 . Specifically, the first processor 310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400 to the mobile robot 4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330 . The mobile robot 400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메모리(34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메모리(340)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메모리(3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메모리(340)는 이동 로봇(400)을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메모리(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이동 로봇(400)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메모리(3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은 전자 장치(300)가 이동 로봇(400)을 드로잉 동작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emory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tore one or more instructions. The first memory 34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 The first memory 340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flash-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The first memory 340 may store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4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execute instructions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0 to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400 . Instructions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0 may include data and applications for the electronic device 300 to control the mobile robot 400 through a drawing motion.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이동 로봇(400)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터치 스크린(320)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맵은 제1 메모리(3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isplay a map indicating the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400 on the touch screen 320 . The map may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이란, 디스플레이된 맵에 사용자가 원하는 청소 영역을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영역이란, 사용자가 지정하는 청소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의 터치 스크린(320)에 제1 드로잉 입력을 통해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receiving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first drawing input may mean that the user inputs a desired cleaning area on the displayed map. The first area may mean a cleaning area designated by a user. The user may designate a first area in the map through a first drawing input on the touch screen 320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맵 내에서 지정된 일정 영역을 터치 스크린(320)에 구별되게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맵 내에서 지정된 일정 영역이란, 전자 장치(300)의 터치 스크린(320)이 인식한 제1 드로잉 입력을 기초로 생성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certain area designated within the map in a distinctive manner on the touch screen 320 . As described above,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may mean an area created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recognized by the touch screen 320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

제1 프로세서(310)는 맵 내에서 제1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제1 영역을 색상으로 구별되게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의 색깔이 파란색인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영역을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may display on the touch screen 320 the first area designated by the first drawing input within the map as distinguished by color. For example, when the color of the map is blu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isplay the first area in red.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400)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청소 대상 영역은, 후술하는 도 7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400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The area to be clean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to be described later.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제1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청소 대상 영역 내에서의 이동 로봇(400)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area to be cleaned to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330 . The contro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bile robot 400 within the cleaning target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지정된 제1 영역 내에서 제2 영역을 추가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영역을 제1 영역과 구분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제2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은, 드로잉 동작의 반복 횟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누르는 압력 값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receive a user's second drawing input for additionally designating a second area within the designated first area.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second area from the first area.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a drawing operation or a pressure value with which the user presses the touch screen.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이 반복해서 입력되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맵 내에서 드로잉 동작을 특정 구간에 소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그 특정 구간을 제2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an area where the user's drawing input is repeatedly input as the second area. Specifically, when the user repeats a drawing operation in a specific section within the map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the specific section as the second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 스크린(320)에 드로잉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특정 구간을 제2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inputs a drawing motion to the touch screen 320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a specific section input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as the second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상기 제2 영역의 청소 강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영역의 영역 정보 및 변경된 청소 강도에 관한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cleaning intensity of the second region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At this tim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transmit area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and control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cleaning intensity to the mobile robot 40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은 이동 로봇(400)에 의해 반복적으로 청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은 이동 로봇(400)에 의해 기설정된 수치로 강화된 청소 강도에 따라 청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area may be repeatedly cleaned by the mobile robot 4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region may be cleaned according to a cleaning intensity reinforced by a preset value by the mobile robot 40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영역을 제1 드로잉 입력에 의해 구별되게 표시된 제1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영역을 제1 영역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로봇(400)의 청소 강도를 변경하고자 하는 제2 영역을, 제1 영역과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econd area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rea markedly displayed by the first drawing input. Specifically,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isplay the second area on the touch screen 320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rea. Through this, the user can intuitively distinguish the first area from the second area. Also, the user can intuitively distinguish the second area to change the cleaning intensity of the mobile robot 400 from the first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맵 내에서 청소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맵 내에서 제3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3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지 않는 영역인 제3 영역을 제3 드로잉 입력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receive a user's third drawing input designating a third area in the map to remove a part of the cleaning area in the map. Specifically, the user may designate a third area, which is an area not desired to be cleaned, through a third drawing input.

제1 프로세서(310)는 지정된 제3 영역을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제3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제3 영역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먼저 지정되고, 그 후 제3 영역이 지정될 때,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제3 영역이 중복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삭제될 수 있다. 또는, 제3 영역이 먼저 지정되고, 그 후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지정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제3 영역이 중복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excluding the designated third area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verlaps with the third region, the third region may have priority ov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s designated first, and then the third region is design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be deleted for a region w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verlaps with the third region. Alternatively, if the third region is designated first and t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s design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not be input to a region w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verlaps with the third region.

제1 프로세서(310)는 제3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제3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에 관한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about region information about the third region designated by the third drawing input to the mobile robot 400 .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이동 로봇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로봇(400)은 제2 프로세서(410), 디스플레이(420),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 제2 메모리(440), 센서(450), 흡입부(460) 및 입력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robo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second processor 410, a display 420, a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a second memory 440, a sensor 450, a suction unit 460, and an input unit 470.

제2 프로세서(410)는 이동 로봇(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프로세서(4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여, 이동 로봇(4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10)는 이동 로봇(400)의 진행 방향 및 흡입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41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of the mobile robot 400 . To this end,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execute calculations or data processing related to control of other elements included in the mobile robot 400 .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and suction mode of the mobile robot 400 .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이동 로봇(400)을 외부 장치, 특히 전자 장치(300)와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로봇(400)은 전자 장치(300)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방식뿐만 아니라, 원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도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may be used to connect the mobile robot 400 with an external device, particularly the electronic device 300 . The mobile robot 400 can be connected not only by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Wi-Fi, WiFi Direct) method, but also by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eg, GSM, UMTS, LT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BRO)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청소 결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청소 완료 시점 또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청소 결과 정보를 전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may transmit cleaning result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may transmit cleaning result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300 when cleaning is completed or when a request for provid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는 이동 로봇(4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자 장치(300)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3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400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330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

디스플레이(420)는 이동 로봇(400)에서 지원하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20)는 LCD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모니터일 수 있다.The display 420 may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mobile robot 400 . The display 420 may be a small sized monitor such as an LCD.

입력부(470)는 이동 로봇(400)의 청소 기능의 온/오프 명령, 청소 모드의 선택, 미청소 영역에 대한 재청소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470 may receive an on/off command for the cleaning function of the mobile robot 400, a selection of a cleaning mode, a re-cleaning command for an uncleaned area, and the like.

제2 메모리(440)는 이동 로봇(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4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메모리(44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통하여 수신한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econd memory 44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400 . The second memory 440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flash-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The second memory 440 may stor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

제2 메모리(440)는 구동부(480)의 구동에 따라 생성된 청소 맵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메모리(440)는 센서(450)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econd memory 440 may store a cleaning map generated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80 . Also, the second memory 440 may store an image captured by the sensor 450 .

센서(450)는 이동 로봇(400)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450)는 초음파 센서(supersonic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RF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400) 주변의 장애물의 위치 및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 및 적외선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이동 로봇(400)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등 다양한 유형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The sensor 450 detects obstacles around the mobile robot 400 . Specifically, the sensor 450 may detect the position of an obstacle around the mobile robot 400 and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using a super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RF sensor, or the like. The infrared senso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that outputs infrared ligh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that receives infrared light and converts the infrared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output. However,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here that the mobile robot 400 uses an infrared senso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and a laser sensor may be used.

센서(450)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통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충돌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450)는 로봇 청소기의 전면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450)는 이동 로봇(400)의 전면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부를 구비하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에서 영상 처리를 통하여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450 may further include a collision sensor that senses an obstacle through collision with the obstacle. The sensor 450 detects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robot” vacuum cleaner. Specifically, the sensor 450 has an imaging unit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mobile robot 400, and can detect an object from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through image processing.

구동부(480)는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48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바퀴와 연결되고, 모터 등의 구동 유닛을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부(480)는 제2 프로세서(4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정지, 방향 전환 등의 주행 동작을 수행한다.The driving unit 480 may move the “robot” vacuum cleaner. The driving unit 480 is connected to one or more wheels and includes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480 performs a driving operation such as moving, stopping, or chang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processor 410 .

흡입부(460)는 이동 로봇(400)의 바닥 면에 먼지를 흡입한다. 구체적으로, 흡입부(460)는 이동 중이거나 또는 정지 중에 하방에 있는 이물질을 흡수하여 청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흡입부(460)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모드는 흡입 강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The suction unit 460 sucks dus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bile robot 400 . Specifically, the suction unit 460 may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by absorbing foreign substances below while moving or stopping. The suction unit 460 may have a plurality of operating modes. Here, the operation mode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ction strength.

제2 프로세서(410)는 이동 로봇(4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로세서(41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전자 장치(3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청소 대상 영역 내에서 이동 로봇(400)이 청소할 수 있도록 흡입부(460)와 구동부(4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410 may perform control of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robot 400 . Specifically,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unit 460 and the driving unit 480 so that the mobile robot 400 can clean within the area to be cleaned based on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first drawing input.

제2 프로세서(410)는 기저장된 청소 맵에 따라 이동 로봇(400)이 이동되도록 구동부(480)를 제어하고, 이동 로봇(400)의 이동 또는 정지 시에 청소가 수행되도록 흡입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410 may control the drive unit 480 to move the mobile robot 400 according to a pre-stored cleaning map, and control the suction unit 460 to perform cleaning when the mobile robot 400 moves or stop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구동부(480) 및 흡입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480 and the suction unit 460 according to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 및 제2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의 청소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410)는 이동 로봇의 주행 속도, 주행 경로 및 흡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이동 로봇의 청소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에 따라 제2 프로세서(410)는 구동부(480)를 통해 이동 로봇(400)을 반복 주행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 정보에 따라 제2 프로세서(410)는 구동부(480)를 통해 이동 로봇(400)의 주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또는, 제어 정보에 따라 제2 프로세서(410)는 흡입부(460)의 흡입력을 증가시켜 청소 강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adjust the cleaning intensity of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user's first drawing input and second drawing input. For example,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adjust the cleaning intensity of the mobile robot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traveling speed, the traveling path, and the suction power of the mobile robot. For example,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repeatedly drive the mobile robot 400 through the driving unit 480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slow down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bile robot 400 through the driving unit 480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increase the cleaning strength by increa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460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 내에서 제2 영역을 추가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에 기초한 제어 정보를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에 기초한 제어 정보란 제2 영역의 영역 정보 및 변경된 청소 강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receiv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user's second drawing input for additionally designating a second area within the first area. Th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second drawing input may be area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and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cleaning intensity.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로봇(400)은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반복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로봇(400)은 제1 영역의 청소를 완료한 후,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로봇(400)이 제1 시점(t1)부터 제2 시점(t2)까지 제1 영역의 청소를 완료한 후,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제2 시점(t2)부터 제3 시점(t3)까지 청소할 수 있다. 이 때, 제2 시점(t2)은 제1 시점보다 나중이고, 제3 시점(t3)은 제2 시점(t2)보다 나중일 수 있다. 또는, 이동 로봇(400)이 제1 시점(t1)부터 제2 시점(t2)까지 제1 영역의 청소를 완료한 후, 제2 시점(t2)부터 제3 시점(t3)까지 이동 로봇(400)이 제2 영역의 청소 시작점으로 이동하고, 제3 시점(t3)부터 제4 시점(t4)까지 제2 영역을 청소할 수 있다. 이 때, 제2 시점(t2)은 제1 시점보다 나중이고, 제3 시점(t3)은 제2 시점(t2)보다 나중이고, 제4 시점(t4)은 제3 시점(t3)보다 나중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bile robot 400 may repeatedly clean an additionally designated second area. Specifically, the mobile robot 400 may clean an additionally designated second area after completing cleaning of the first area. For example, after the mobile robot 400 finishes cleaning the first area from the first time point t1 to the second time point t2, it may clean the additionally designated second area from the second time point t2 to the third time point t3. In this case, the second time point t2 may be later than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third time point t3 may be later than the second time point t2. Alternatively, after the mobile robot 400 finishes cleaning the first area from the first time point t1 to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mobile robot 400 may move to the cleaning start point of the second area from the second time point t2 to the third time point t3, and clean the second area from the third time point t3 to the fourth time point t4. In this case, the second time point t2 may be later than the first time point t3, the third time point t3 may be later than the second time point t2, and the fourth time point t4 may be later than the third time point t3.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로봇(400)은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기설정된 수치로 강화된 청소 강도에 따라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로세서(410)는 구동부(480) 및 흡입부(460)를 제어하여, 제2 영역에 대해서는 이동 로봇(400)의 주행 속도를 기 설정된 속도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대한 이동 로봇(400)의 주행 속도가 a라면, 제2 영역에 대한 이동 로봇의 주행 속도는 b일 수 있다. 이 때, b는 a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bile robot 400 may additionally clean the designated second area according to a cleaning intensity reinforced to a preset value. Specifically,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480 and the suction unit 460 to reduce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bile robot 400 to a predetermined speed in the second area. For example, if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bile robot 400 in the first area is a, the traveling speed of the mobile robot 400 in the second area may be b. In this case, b may be a smaller value than a.

또한, 제2 프로세서(410)는 흡입부(460)를 제어하여, 제2 영역에 대해서는 흡입부(460)의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대한 이동 로봇의 흡입력이 c라면, 제2 영역에 대한 이동 로봇의 흡입력은 d일 수 있다. 이때, d는 c보다 큰 값일 수 있다.Also,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control the suction unit 460 to increase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unit 460 in the second region. For example, if the suction force of the mobile robot for the first region is c, the suction force of the mobile robot for the second region may be d. In this case, d may be a value greater than c.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로봇(400)은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반복적으로 청소하면서 동시에 기설정된 수치로 강화된 청소 강도에 따라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로봇(400)은 제1 영역의 청소를 완료한 후,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청소할 때,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기설정된 수치로 강화된 청소 강도에 따라 청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bile robot 400 may repeatedly clean the additionally designated second area and at the same time clean according to a cleaning intensity reinforced to a predetermined value. Specifically, when cleaning an additionally designated second area after completing cleaning of the first area, the mobile robot 400 may clean the additionally designated second area according to the cleaning intensity enhanced to a predetermined value.

예를 들어, 이동 로봇(400)이 제1 시점(t1)부터 제2 시점(t2)까지 제1 영역의 청소를 완료한 후,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제2 시점(t2)부터 제3 시점(t3)까지 청소하는 동안, 제2 프로세서(410)는 구동부(480) 및 흡입부(460)를 제어하여, 제2 영역에 대해서는 이동 로봇(400)의 주행 속도를 기 설정된 속도보다 감소시키고 흡입부(460)의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mobile robot 400 finishes cleaning the first area from the first time point t1 to the second time point t2, while cleaning the additionally designated second area from the second time point t2 to the third time point t3, the second processor 410 controls the driving unit 480 and the suction unit 460 to reduce the driving speed of the mobile robot 400 to a predetermined speed for the second area and reduce the suction unit 400 to a predetermined speed. 60) can increase the suction power.

또는, 이동 로봇(400)이 제1 시점(t1)부터 제2 시점(t2)까지 제1 영역의 청소를 완료한 후, 제2 시점(t2)부터 제3 시점(t3)까지 이동 로봇(400)이 제2 영역의 청소 시작점으로 이동하고, 제3 시점(t3)부터 제4 시점(t4)까지 제2 영역을 청소하는 동안, 제2 프로세서(410)는 구동부(480) 및 흡입부(460)를 제어하여, 제2 영역에 대해서는 이동 로봇(400)의 주행 속도를 기 설정된 속도보다 감소시키고, 흡입부(460)의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after the mobile robot 400 finishes cleaning the first area from the first time point t1 to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mobile robot 400 moves to the cleaning start point of the second area from the second time point t2 to the third time point t3, and cleans the second area from the third time point t3 to the fourth time point t4. In the second area, the driving speed of the mobile robot 400 may be reduced from a preset speed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460 may be increased.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410)는, 맵 내에서 청소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맵 내에서 제3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3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제3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자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410)는 제3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에 대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영역을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receive, from the electronic device 300, control information about area information about a third area designated by a user's third drawing input designating a third area in the map in order to remove a part of the cleaning area in the map.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remove the third area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based on control information on area information about the third area.

제2 프로세서(410)는 청소가 완료되면, 청소 결과 정보가 전자 장치(300)에 제공되도록 제2 통신 인터페이스(4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공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300)를 통해 미청소 영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미청소 영역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도록 해당 환경을 정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영역의 환경을 정리하고, 사용자는 이동 로봇(400)에 재청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청소 명령은 전자 장치(30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이동 로봇(400) 내의 입력부(470)를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제2 프로세서(410)는 재청소 명령을 입력 받으면, 미청소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 로봇(400)을 이동시켜서 이동 로봇(400)이 해당 영역을 재청소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cleaning is completed,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control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430 to provide cleaning result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300 . According to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the uncleaned area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clean the environment so that the uncleaned area can be cleaned. When the user cleans the environment of the corresponding area, the user may input a re-cleaning command to the mobile robot 400 . Such a re-cleaning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300 or through the input unit 470 in the mobile robot 400 . Upon receiving a re-cleaning command, the second processor 410 may move the mobile robot 40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ncleaned area so that the mobile robot 400 re-cleans the area.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이동 로봇(400)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이동 로봇(400)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5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500 of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400. The user interface 500 may include a map 510 indica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40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맵(510)은 이동 로봇(400)이 청소할 수 있는 청소 영역을 도시할 수 있다. 맵(510)은 미청소 영역 및 물체 흡입 장소를 나타낼 수도 있다. 맵(510)은 이동 로봇(400)을 통해 생성될 수 있고, 이동 로봇(400)을 통해 변경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맵(510)은 이동 로봇(400)의 최초 동작을 통해, 이동 로봇(400)이 수집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최초로 생성될 수 있다. 그 후, 이동 로봇(400)의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맵은 업데이트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p 510 may show a cleaning area in which the mobile robot 400 can clean. The map 510 may indicate an uncleaned area and an object intake location. The map 510 may be created through the mobile robot 400 and may be changed through the mobile robot 400 . Specifically, the map 510 may be first generate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obile robot 400 through an initial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400 . After that, the map may be updated through repetitive motions of the mobile robot 400 .

구체적으로, 이동 로봇(400)은 청소를 위한 이동 중에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 및 장애물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장애물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맵(510)을 보완할 수 있다. 맵(510)은 최초의 동작에서만 생성될 수 있으며, 매 청소 시점마다 생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생성된 맵(5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에 이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bile robot 400 may complement the map 510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and obstacl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while moving for cleaning. The map 510 may be generated only in the first operation, or may be generated at every cleaning point. The generated map 510 may be used for a user's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이동 로봇(400)을 드로잉 모드에서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제1 아이콘(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이콘(52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구역 그리기"라는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500 may include a first icon 520 capable of entering a mode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400 in a drawing mode. As shown in FIG. 5A , the first icon 520 may include an expression “drawing a cleaning area”.

제1 아이콘(520)은 사용자가 맵(510)에 청소 구역을 그릴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The first icon 520 may be an interface for switching to an interface in which a user may draw a cleaning area on the map 51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 아이콘(520)을 터치하면,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2 아이콘이 터치 스크린(32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touches the first icon 520, a second ic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B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320.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이다.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con in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2 아이콘(530)은 사용자가 제1 아이콘(520)을 터치하였을 때 터치 스크린(320)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일 수 있다.The second icon 530 may be an ic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320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icon 520 .

제2 아이콘(530)을 통해, 사용자는 맵(510)에 청소 구역을 선(line) 형태로 그릴지, 도형 형태로 그릴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Through the second icon 530,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draw the cleaning area on the map 510 in a line shape or a figure shape.

사용자가 "선으로 그리기" 모드를 제2 아이콘(530)을 통해 선택하면, 사용자는 맵(510)에 청소 구역을 선(line) 형태로 그릴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draw with line” mode through the second icon 530 , the user can draw the cleaning area on the map 510 in the form of a line.

사용자가 "도형으로 그리기" 모드를 제2 아이콘(530)을 통해 선택하면, 사용자는 맵(510)에 청소 구역을 도형 형태로 그릴 수 있다. 도형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일 수 있고, 사용자가 도형의 형태를 선택한 후, 맵(510)에 청수 구역을 선택된 도형 형태로 그릴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drawing with figure” mode through the second icon 530, the user can draw the cleaning area on the map 510 in the shape of a figure. The figure may be a triangle, a square, or a circular shape, and after the user selects the shape of the figure, the fresh water area may be drawn on the map 510 in the shape of the selected figure.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1 영역을 "선" 형태로 지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user designates a first area in a “line” form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청소하기를 원하는 영역을 제1 드로잉 입력을 통해 "선" 형태로 맵(510) 내에서 드로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320)을 터치하여, 맵(510)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제1 드로잉 입력을 "선" 형태로 터치 스크린(320)에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may draw an area desired to be cleaned within the map 510 in the form of a “line” through a first drawing input. Specifically,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320 and input a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510 to the touch screen 320 in the form of a “lin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320)을 처음으로 터치한 지점을 제1 터치 포인트라고 하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320)을 터치하는 동작을 종료한 지점을 제2 터치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터치 포인트를 이동 로봇(400)이 청소를 시작할 제1 청소 포인트로, 제2 터치 포인트를 이동 로봇(400)이 청소를 종료할 제2 청소 포인트로 지정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oint where a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320 for the first time is referred to as a first touch point, and a point where the user ends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touch screen 32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touch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by designating a first touch point as a first cleaning point at which the mobile robot 400 starts cleaning and a second touch point as a second cleaning point at which the mobile robot 400 ends cleaning.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맵(510) 내에서 선 형태로 지정된 일정 영역(540)을 터치 스크린(320)에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선 형태로 지정된 일정 영역(540)을 색상으로 구별되게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할 수 있다.Upon reception of the first drawing input,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 certain area 540 designated in a line shape within the map 510 on the touch screen 320 with distinc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 predetermined area 540 designated in a line shape on the touch screen 320 to be differentiated by color.

도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1 영역을 "도형" 형태로 지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 user designates a first region in a “figure” form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청소하기를 원하는 영역을 제1 드로잉 입력을 통해 "도형" 형태로 맵(510) 내에서 드로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320)을 터치하여, 맵(510)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제1 드로잉 입력을 "도형" 형태로 터치 스크린(320)에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20)의 맵(510)에는 도형 형태의 청소 영역(550)이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may draw an area desired to be cleaned in the map 510 in the form of a “figure” through a first drawing input. Specifically,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320 and input a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510 to the touch screen 320 in the form of a “figure”. A figure-shaped cleaning area 550 may be created on the map 510 of the touch screen 320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도형 형태의 청소 영역(550) 내에서, 기설정된 청소 방법에 따라 이동 로봇(400)이 청소를 수행할 순서와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termine an order and method for the mobile robot 400 to perform cleaning within the figure-shaped cleaning area 550 according to a preset cleaning method.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맵(510) 내에서 지정된 도형 형태의 청소 영역(550)을 터치 스크린(320)에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도형 형태의 청소 영역(550)을 색상으로 구별되게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display the cleaning area 550 having a shape designated in the map 510 on the touch screen 320 with distinction.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the cleaning area 550 in the shape of a figure on the touch screen 320 in a distinctive color.

도 5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2 영역을 지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E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user designates a second area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320)에 표시된 화면을 확대하기 위한 동작(560)을 터치 스크린(320)에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320)은 확대된 맵(56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may input an operation 560 for enlarg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320 to the touch screen 320 . 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an enlarged map 561.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청소 강도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영역(565)을 제2 드로잉 입력을 통해 "선" 형태로 맵(510) 내에서 드로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320)을 터치하여, 맵(510) 내의 제2 영역(565)을 지정하는 제2 드로잉 입력을 "선" 형태로 터치 스크린(320)에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may draw the second area 565 for changing the cleaning intensity in the map 510 in the form of a “line” through a second drawing input. Specifically,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320 and input a second drawing input designating the second region 565 in the map 510 to the touch screen 320 in the form of a “lin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영역(563) 내에서 제2 영역(565)을 추가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receive a user's second drawing input for additionally designating a second area 565 within the first area 563 .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영역(565)을 제1 영역(563)과 구분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제2 영역(565)을 지정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은, 드로잉 동작의 반복 횟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누르는 압력 값일 수도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the second area 565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second area 565 from the first area 563 .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a drawing operation or a pressure value with which the user presses the touch screen.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이 반복해서 입력되는 영역을 제2 영역(565)으로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맵(510)내에서 드로잉 동작을 특정 구간에 소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그 특정 구간을 제2 영역(565)으로 지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an area where a user's drawing input is repeatedly input as the second area 565 . Specifically, when a user repeats a drawing operation within a specific section within the map 510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the specific section as the second area 565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 스크린(320)에 드로잉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특정 구간을 제2 영역(565)으로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inputs a drawing motion to the touch screen 320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a specific section input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as the second area 565.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565)의 청소 강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cleaning intensity of the second area 565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터치 스크린(320)은 제2 영역(565)을 제1 영역(563)과 구별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320)은 제1 영역(563)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제2 영역(565)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the second area 565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rea 563 . For example, 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the second area 565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rea 563 .

도 5f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3 영역을 지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F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user designates a third area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청소하기 원하지 않는 영역인 제3 영역(567)을 제3 드로잉 입력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may designate a third area 567, which is an area not desired to be cleaned, through a third drawing inpu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맵(510) 내에서 청소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맵(510) 내에서 제3 영역(567)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3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receive a user's third drawing input designating a third area 567 in the map 510 to remove a part of the cleaning area in the map 510.

제1 프로세서(310)는 제3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제3 영역(567)을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may exclude the third area 567 designated by the third drawing input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제3 영역(567)이 중복되는 경우, 제3 영역(567)이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먼저 지정되고, 그 후 제3 영역(567)이 지정될 때,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제3 영역(567)이 중복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삭제될 수 있다. 또는, 제3 영역(567)이 먼저 지정되고, 그 후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지정되면,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제3 영역(567)이 중복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563 and the second area 565 and the third area 567 overlap, the third area 567 may have priority over at least one area of the first area 563 and the second area 565.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563 and the second area 565 is designated first and then the third area 567 is design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563 and the second area 565 may be deleted for an area where at least one area of the first area 563 and the second area 565 and the third area 567 overlap. Alternatively, if the third area 567 is designated first and t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563 and 565 is designate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563 and 565 may not be input to an area w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563 and 565 overlaps with the third area 567.

터치 스크린(320)은 제3 영역(567)을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과 구별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320)은 제1 영역(563) 및 제2 영역(565)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제3 영역(567)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the third area 567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rea 563 and the second area 565 . For example, 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the third area 567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rea 563 and the second area 565 .

도 5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영역을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G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a user stores an area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사용자의 제1 영역(563), 제2 영역(565) 및 제3 영역(567)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지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지정이 완료된 제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3 아이콘(570)을 표시할 수 있다.When desig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563, the second area 565, and the third area 567 is completed by the user, the user interface 500 may display a third icon 570 for storing the designated control information.

사용자가 제3 아이콘(570)을 통해 "영역 저장하기"를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영역의 이름을 표시하기 위한 제4 아이콘(575)을 표시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save area” through the third icon 570, the user interface 500 may display a fourth icon 575 for displaying the name of the area.

사용자는 제4 아이콘(575)에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을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310)는 지정이 완료된 제어 정보를 제1 메모리(340)에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and store a name for identifying the “area” in the fourth icon 575 . The first processor 310 may store the designated control information in the first memory 340 .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드로잉 입력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inputs a first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청소하기를 원하는 영역을 제1 드로잉 입력(610)을 통해 "선" 형태로 맵(510) 내에서 드로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320)을 터치하여, 맵(510) 내의 제1 영역(615)을 지정하는 제1 드로잉 입력(610)을 "선" 형태로 터치 스크린(320)에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user may draw an area desired to be cleaned within the map 510 in the form of a “line” through the first drawing input 610 . Specifically,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320 and input the first drawing input 610 designating the first area 615 in the map 510 in the form of a “line” to the touch screen 32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320)을 처음으로 터치한 지점을 제1 터치 포인트(621)라고 하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320)을 터치하는 동작을 종료한 지점을 제2 터치 포인트(623)라고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터치 포인트(621)를 이동 로봇(400)이 청소를 시작할 제1 청소 포인트로, 제2 터치 포인트(623)를 이동 로봇(400)이 청소를 종료할 제2 청소 포인트로 지정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oint where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320 for the first time is referred to as a first touch point 621, and a point where the user ends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touch screen 32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touch point 6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by designating the first touch point 621 as a first cleaning point at which the mobile robot 400 starts cleaning and the second touch point 623 as a second cleaning point at which the mobile robot 400 ends cleaning.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터치 포인트(621)부터 제2 터치 포인트(623)까지 입력된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610)에 따라 형성된 제1 영역(615) 내에서, 이동 로봇(400)이 제1 터치 포인트(621)와는 다른 제3 청소 포인트(625)와, 제2 터치 포인트(613)와는 다른 제4 청소 포인트(627)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청소 포인트(625)와 제4 청소 포인트(627)는 제1 영역(615) 내에 포함된 지점들 중 두 지점을 선택하여 연결한 직선 길이가 가장 긴 두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청소 포인트(625)는 제1 영역(615)의 좌측 상단부일 수 있고, 제4 청소 포인트(627)는 우측 하단부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is the third cleaning point 625,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touch point 615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drawing input 610 of the user input from the first touch point 621 to the second touch point 623 A fourth cleaning point 627 may be determined different from the touchpoint 613. The third cleaning point 625 and the fourth cleaning point 627 may be two points having the longest straight line length selected and connected to two points among points included in the first area 615 . For example, the third cleaning point 625 may be an upper left portion of the first area 615 and the fourth cleaning point 627 may be a lower right portion.

제1 프로세서(310)는 기설정된 청소 방법에 따라 제3 청소 포인트(625)부터 제4 청소 포인트(627)까지 이동 로봇(400)이 청소를 수행할 순서와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termine an order and method for the mobile robot 400 to perform cleaning from the third cleaning point 625 to the fourth cleaning point 627 according to a preset cleaning method.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2 드로잉 입력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inputs a second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청소 강도를 변경하기 위한 제2 영역(635)을 제2 드로잉 입력(630)을 통해 "선" 형태로 맵(510) 내에서 드로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320)을 터치하여, 맵(510) 내의 제2 영역(635)을 지정하는 제2 드로잉 입력(630)을 "선" 형태로 터치 스크린(320)에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may draw the second area 635 for changing the cleaning intensity in the map 510 in the form of a “line” through the second drawing input 630 . Specifically,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320 and input the second drawing input 630 designating the second area 635 in the map 510 in the form of a “line” to the touch screen 32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영역(615) 내에서 제2 영역(635)을 추가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630)을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receive a user's second drawing input 630 for additionally designating a second area 635 within the first area 615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영역(635)을 제1 영역(615)과 구분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제2 영역(635)을 지정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은, 드로잉 동작의 반복 횟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누르는 압력 값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the second area 635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second area 635 from the first area 615 .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a drawing operation or a pressure value with which the user presses the touch screen.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이 반복해서 입력되는 영역을 제2 영역(635)으로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맵(510)내에서 드로잉 동작을 특정 구간에 소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그 특정 구간을 제2 영역(635)으로 지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an area where a user's drawing input is repeatedly input as the second area 635 . Specifically, when a user repeats a drawing operation within a specific section within the map 510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the specific section as the second area 635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 스크린(320)에 드로잉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특정 구간을 제2 영역(635)으로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inputs a drawing motion to the touch screen 320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a specific section input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as the second area 635.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드로잉 입력(630)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565)의 청소 강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cleaning intensity of the second region 565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630 .

터치 스크린(320)은 제2 영역(635)을 제1 영역(615)과 구별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320)은 제1 영역(615)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제2 영역(635)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the second area 635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rea 615 . For example, 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the second area 635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rea 615 .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영역이 복수인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user has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드로잉 입력(610)을 통해 맵(510) 내에서 제1 영역(615)을 지정하고, 사용자는 제2 드로잉 입력(630)을 통해 맵(510) 내에서 제2 영역(635)을 지정하고, 사용자는 제1 드로잉 입력(640)을 통해 맵(510) 내에서 제1 영역(645)을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may designate the first area 615 in the map 510 through the first drawing input 610, the user may designate the second area 635 in the map 510 through the second drawing input 630, and the user may designate the first area 645 in the map 510 through the first drawing input 64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영역(615 및 645)이 복수일 때, 이동 로봇(400)의 동작 순서를 제1 드로잉 입력(610, 640)이 입력된 순서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first regions 615 and 645 are plural,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termine the order of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400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drawing inputs 610 and 640 are inpu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드로잉 입력(610)이 제2 드로잉 입력(630)보다 먼저 입력된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이동 로봇(400)이 제1 영역(615)을 제2 영역(635)보다 먼저 청소하도록 청소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610 is input before the second drawing input 630,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termine a cleaning order such that the mobile robot 400 cleans the first area 615 before the second area 635.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청소 영역을 제거하기 위한 제3 드로잉 입력을 입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inputs a third drawing input for removing a cleaning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로봇(400)이 청소하기 원하지 않는 영역인 제3 영역(655)을 제3 드로잉 입력(650)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may designate a third area 655, which is an area that the mobile robot 400 does not want to clean, through the third drawing input 65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맵(510) 내에서 청소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맵(510) 내에서 제3 영역(655)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3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receive a user's third drawing input designating a third area 655 in the map 510 to remove a part of the cleaning area in the map 510.

제1 프로세서(310)는 제3 드로잉 입력(650)에 의해 지정된 제3 영역(655)을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310 may exclude the third area 655 designated by the third drawing input 650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터치 스크린(320)은 제3 영역(655)을 제1 영역(615) 및 제2 영역(635)과 구별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320)은 제1 영역(615) 및 제2 영역(635)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제3 영역(655)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the third area 655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rea 615 and the second area 635 . For example, the touch screen 320 may display the third area 655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rea 615 and the second area 635 .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맵에서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region designated by a user's drawing input on a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맵(700)은 사각형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맵(700)이 포함하는 각 구역은, 이동 로봇(400)이 청소를 수행하는 구역의 최소 단위일 수 있다. 이동 로봇(400)은 청소 영역을 구역의 최소 단위를 기준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p 700 may include at least one rectangular area. Each area included in the map 700 may be a minimum unit of an area where the mobile robot 400 cleans. The mobile robot 400 may clean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minimum unit of the area.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320)을 터치하여, 맵(700)에 제1 드로잉 입력(710)을 터치 스크린(320)에 입력하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드로잉 입력(710)을 통해, 이동 로봇(400)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When a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320 and inputs a first drawing input 710 on the map 700 to the touch screen 320,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termine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400 through the first drawing input 710.

구체적으로,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드로잉 입력(710)을 통해 지정된 제1 영역(715)과 맵(700)이 포함하는 각 구역을 비교하여, 이동 로봇(400)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processor 310 compares the first area 715 designated through the first drawing input 710 with each area included in the map 700 to determine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400.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310)는 제1 구역(720)과 제1 영역(715)을 비교하여, 제1 구역(720)의 소정의 비율 이상을 제1 영역(715)이 포함하고 있으면, 제1 구역(720)을 청소 대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rocessor 310 compares the first area 720 and the first area 715, and when the first area 715 includes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of the first area 720, the first area 720 may be determined as a cleaning target area.

또한,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구역(730)과 제1 영역(715)을 비교하여, 제2 구역(730)의 소정의 비율 이상을 제1 영역(715)이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제2 구역(730)을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ocessor 310 compares the second area 730 and the first area 715, and if the first area 715 does not include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of the second area 730, the second area 730 may be excluded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 S801 내지 단계 S809의 내용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된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9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robot by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second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s of steps S801 to S809 are the same as those of steps S201 to S209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so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단계 S8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이동 로봇(400)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step S801,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 map indicating the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400.

단계 S8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803,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단계 S80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도미에 따라, 맵 내에서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805,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to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단계 S807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400)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807,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rmine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400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단계 S809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809,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area to be cleaned to the mobile robot 400.

단계 S81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지정된 제1 영역 내에서 제2 영역을 추가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영역을 제1 영역과 구분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제2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소정의 기준은, 드로잉 동작의 반복 횟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누르는 압력 값일 수도 있다.In step S811,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a user's second drawing input for additionally designating a second area within the designated first area.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second area from the first area.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a drawing operation or a pressure value with which the user presses the touch screen.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드로잉 입력이 반복해서 입력되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맵내에서 드로잉 동작을 특정 구간에 소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그 특정 구간을 제2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an area where the user's drawing input is repeatedly input as the second area. Specifically, when the user repeats a drawing operation in a specific section within the map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the specific section as the second area.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 스크린(320)에 드로잉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310)는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특정 구간을 제2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inputs a drawing motion to the touch screen 320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designate a specific section input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as the second area.

단계 S81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의 청소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제1 프로세서(310)는 제2 영역의 영역 정보 및 변경된 청소 강도에 관한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은 이동 로봇(400)에 의해 반복적으로 청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은 이동 로봇(400)에 의해 기설정된 수치로 강화된 청소 강도에 따라 청소될 수 있다.In step S813,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hange the cleaning intensity of the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At this time, the first processor 310 may transmit area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and control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cleaning intensity to the mobile robot 4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area may be repeatedly cleaned by the mobile robot 4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cond region may be cleaned according to a cleaning intensity reinforced by a preset value by the mobile robot 400 .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3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 S901 내지 단계 S909의 내용은 도 2를 참고하여 설명된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9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robot by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third drawing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s of steps S901 to S909 are the same as those of steps S201 to S209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단계 S90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이동 로봇(400) 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step S901,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 map indicating the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400.

단계 S90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903,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단계 S90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맵 내에서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905,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isplay a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in a distinctive manner as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단계 S907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 로봇(400)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907,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rmine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400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단계 S909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이동 로봇(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909,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area to be cleaned to the mobile robot 400.

단계 S911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맵 내에서 청소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맵 내에서 제3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3 드로잉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청소를 원하지 않는 영역인 제3 영역을 제3 드로잉 입력을 통해 지정할 수 있다.In step S911,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a user's third drawing input designating a third area in the map to remove a part of the cleaning area in the map. Specifically, the user may designate a third area, which is an area not desired to be cleaned, through a third drawing input.

단계 S913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지정된 제3 영역을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제3 영역이 중복되는 경우, 제3 영역이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In step S913,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exclude the designated third area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verlaps with the third region, the third region may have priority ov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단계 S915에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3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제3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를 이동 로봇(4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는 제어 정보일 수 있고, 이동 로봇(400)은 제3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제3 영역에 대해서는 청소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In step S915, the electronic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transmit region information about a third region designated by the third drawing input to the mobile robot 400. Specifically, the area information on the third area may b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mobile robot 400 may not perform cleaning on the third area by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n the area information on the third area.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se claims.

본 개시에서 개시된 블록도들은 본 개시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형태라고 당업자에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흐름 차트, 흐름도, 상태 전이도, 의사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표현되어,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지 아니든지 간에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 diagrams disclosed in this disclosure may be interpre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onceptual representations of circuits for implemen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Similarly,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ny flow charts, flow diagram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code, etc. may be substantially represent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o represent various processes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such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depicte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r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etc.).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may be provided through the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such functionality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multiple separate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Further, explicit use of the terms “processor” or “controller”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ferring exclusively to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which may implicitly include,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ead-only memory (ROM) for storing software,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non-volatile storage.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laims herein, an element expressed as a means for performing a particular function encompasses any manner of performing the particular function, and such an element may include any form of software, including firmware, microcode, etc., combined with suitable circuitry to perform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that perform the particular function, or software for performing the particular function.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와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개시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Reference herein to 'one embodiment' of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various variations of such language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structure, characteristic, etc., in connection with that embodiment is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us, the expression 'in one embodiment' and any other variations disclo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 'A와 B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첫 번째 옵션 (A)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 열거된 옵션 (B)의 선택만, 또는 양쪽 옵션들 (A와 B)의 선택을 포괄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인 예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는, 첫 번째 열거된 옵션 (A)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 열거된 옵션 (B)의 선택만, 또는 세 번째 열거된 옵션 (C)의 선택만, 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열거된 옵션들 (A와 B)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열거된 옵션 (B와 C)의 선택만, 또는 모든 3개의 옵션들의 선택(A와 B와 C)이 포괄할 수 있다. 더 많은 항목들이 열거되는 경우에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in the case of 'at least one of A and B' is used to cover only the selection of the first option (A), only the selection of the second enumerated option (B), or selection of both options (A and B). As a further example, in the case of 'at least one of A, B, and C', only the choice of the first enumerated option (A), or only the choice of the second enumerated option (B), or only the choice of the third enumerated option (C), or only the choice of the first and second enumerated options (A and B), or only the choice of the second and third enumerated options (B and C), or the choice of all three options (A, B, and C) may be encompassed. Even if more items are recited,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extended.

이제까지 본 개시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So far, we have looked at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개시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개시가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l embodiments and conditional examples disclo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describ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readers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21)

전자 장치가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제1 영역 내에서 제2 영역을 추가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맵 내에서 제3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3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제3 영역을 상기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외하는 단계; 및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특정 구간이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by an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 map indica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receiving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distinguishingly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determining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receiving a user's second drawing input for additionally designating a second area within the designated first area;
receiving a third drawing input of a user designating a third area in the map to remove a part of the cleaning target area in the map;
excluding the designated third area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cleaning target area to the mobile robot;
The second area is a specific section input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When the third area overlap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third area has priority ov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Characterized in that,
How to control mobile robo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제1 영역을 색상으로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istinctively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map, the first area designated by the first drawing input is distinguished by color,
How to control mobile robo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청소 대상 영역 내에서의 상기 이동 로봇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bile robot in the cleaning target area,
How to control mobile robot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상기 제2 영역의 청소 강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의 영역 정보 및 상기 변경된 청소 강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hanging a cleaning intensity of the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The transmitting of 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transmitting area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and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cleaning intensity.
How to control mobile robots.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동 로봇에 의해 반복적으로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is repeatedly cleaned by the mobile robot.
How to control mobile robots.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동 로봇에 의해 기설정된 수치로 강화된 청소 강도에 따라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is cleaned according to the cleaning intensity reinforced by the mobile robot to a preset value.
How to control mobile robots.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의해 구별되게 표시된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a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rea markedly displayed by the first drawing input.
How to control mobile robots.
삭제delete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상기 제3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를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ing area information about the third area designated by the third drawing input to the mobile robot
How to control mobile robots.
통신 인터페이스;
터치 스크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이동 로봇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상기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구별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제1 영역 내에서 제2 영역을 추가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맵 내에서 제3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3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제3 영역을 상기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외하는 동작, 및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특정 구간이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communication interface;
touch screen;
a memory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to execute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Displaying a map indica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on the touch screen;
Receiving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Distinguishingly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on the touch screen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determining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Receiving a user's second drawing input for additionally designating a second area within the designated first area;
Receiving a user's third drawing input designating a third area in the map to remove a part of the cleaning target area in the map;
Excluding the designated third area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cleaning target area to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The second area is a specific section input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When the third area overlap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third area has priority ov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Characterized in that,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구별되게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제1 영역을 색상으로 구별되게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in the map in a distinctive manner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displaying a first area designated by the first drawing input within the map on the touch screen to be distinguished by color,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청소 대상 영역 내에서의 상기 이동 로봇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rol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bile robot in the cleaning target area,
electronic device.
삭제delet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상기 제2 영역의 청소 강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영역의 영역 정보 및 상기 변경된 청소 강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process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 cleaning intensity of the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The transmitting of the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transmitting area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and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cleaning intensity.
electronic device.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동 로봇에 의해 반복적으로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is repeatedly cleaned by the mobile robot.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이동 로봇에 의해 기설정된 수치로 강화된 청소 강도에 따라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is cleaned according to the cleaning intensity reinforced by the mobile robot to a preset value.
electronic devic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드로잉 입력에 의해 추가로 지정된 제2 영역을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의해 구별되게 표시된 상기 제1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second area additionally designated by the second drawing input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area markedly displayed by the first drawing input,
electronic device.
삭제delet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제3 드로잉 입력에 의해 지정된 상기 제3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를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ing area information about the third area designated by the third drawing input to the mobile robot
electronic device.
이동 로봇의 청소 영역을 나타내는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상기 맵 내의 제1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1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지정된 일정 영역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1 드로잉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로봇이 청소할 청소 대상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제1 영역 내에서 제2 영역을 추가로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2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맵 내에서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맵 내에서 제3 영역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제3 드로잉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제3 영역을 상기 청소 대상 영역에서 제외하는 동작; 및
상기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로봇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소정 압력 값 이상의 압력으로 입력된 특정 구간이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isplaying a map indicating a cleaning area of the mobile robot;
receiving a user's first drawing input designating a first area in the map;
distinguishingly displaying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map when the first drawing input is received;
determining a cleaning target area to be cleaned by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first drawing input;
receiving a user's second drawing input for additionally designating a second area within the designated first area;
receiving a user's third drawing input designating a third area in the map to remove a part of the cleaning target area in the map;
excluding the designated third area from the cleaning target area;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cleaning the cleaning target area to the mobile robot;
The second area is a specific section input with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When the third area overlaps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third area has priority ov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Characterized in that,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at include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stored.
KR1020180084268A 2018-07-19 2018-07-19 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557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68A KR102557736B1 (en) 2018-07-19 2018-07-19 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CT/KR2019/006261 WO2020017752A1 (en) 2018-07-19 2019-05-24 Device for controlling mobile robot through drawing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68A KR102557736B1 (en) 2018-07-19 2018-07-19 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40A KR20200009640A (en) 2020-01-30
KR102557736B1 true KR102557736B1 (en) 2023-07-24

Family

ID=6916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268A KR102557736B1 (en) 2018-07-19 2018-07-19 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7736B1 (en)
WO (1) WO202001775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564A (en) * 2021-09-01 2021-12-07 深圳市云鼠科技开发有限公司 Map data drawing method, module, equipment and medium for sweeping robot
WO2023160369A1 (en) * 2022-02-26 2023-08-31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Movement direction deviation rectifying method and system, and self-moving robot
CN115089077B (en) * 2022-07-29 2023-05-16 云鲸智能(深圳)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cleaning robot, cleaning robot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133B1 (en) * 2005-04-20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system for a cleaning
KR20130029852A (en)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Cleaning robot for enabling set up data of cleaning area and verification of after cleaning real cleaning area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05944B1 (en) * 2011-12-27 2013-09-12 전자부품연구원 A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robot using wrap around image and an apparatus thereof
KR102183012B1 (en) * 2014-05-28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device,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41060B1 (en) * 2016-01-20 2019-01-22 주식회사 유진로봇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Mobil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40A (en) 2020-01-30
WO2020017752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387B1 (en) Robot cleaner,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robot cleaner
US11272823B2 (en) Zon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10583561B2 (en) Robotic virtual boundaries
KR101910382B1 (en) Automatic moving apparatus and manual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660496B2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leaning robot
KR102557736B1 (en) Movable robot control apparatus through draw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903590B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333568B2 (en) Proximity motion recognition device using sensor and method using the device
EP2839356B1 (en) Interacting with a device using gestures
JP5102412B1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297255B1 (en) Mobile robot, an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ame
US20210283773A1 (en) Robot clean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GB2567944A (en) Robotic virtual boundaries
KR101677616B1 (en) Robot cleaner, robot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EP3366101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027349A (en) Robot cleaner,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robot
JP2016162032A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502922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488930B2 (en) Housework plan creation support device and housework plan creation support method
CN104423548A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JP2021197024A (en) Display unit,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1136327B1 (en)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371524B1 (en) Mouse Device For Controlling Remote Access
KR20190084562A (en) Electr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JP6248723B2 (en) Coordinate detection system, coordinate detec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