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49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without damag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without da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495B1
KR102557495B1 KR1020200076921A KR20200076921A KR102557495B1 KR 102557495 B1 KR102557495 B1 KR 102557495B1 KR 1020200076921 A KR1020200076921 A KR 1020200076921A KR 20200076921 A KR20200076921 A KR 20200076921A KR 102557495 B1 KR102557495 B1 KR 102557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liva
filter
separation
bi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0280A (en
Inventor
황경균
신영하
이정화
홍종욱
정은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00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495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5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6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hemical means or hyd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20Heating; Coo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상 없는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 및 그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은 (a) 타액 시료를 안정화하는 단계(S100); (b) 필터를 이용해 안정화된 타액 시료를 여과하는 단계(S200); 및 (c) 여과된 타액 시료에서 생체미립자를 분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without damage and a device therefor.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tabilizing a saliva sample (S100); (b) filtering the stabilized saliva sample using a filter (S200); and (c) separating bioparticles from the filtered saliva sample (S300).

Description

손상 없는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 및 그 기구{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without damage}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without damage}

본 발명은 손상 없는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 및 그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의 전처리, 필터링 및 분리/보관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손상 없이 타액 시료로부터 생체미립자를 분리/보관하는 방법, 및 상기 공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생체미립자 분리/보관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without damage and a device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for separating/storing bioparticles from saliva samples without damage by performing optimal pretreatment, filtering, and separation/storage processes; and a device for separating/storing bioparticles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는 세포와 유사한 지질층으로 이루어지고 세포 내 핵산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및 나노 크기의 입자로서, 원래 세포의 특성을 지닌 채로 분비되기 때문에 질병의 진단 마커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세포외 소포체로는 엑소좀(exosome), 마이크로베지클(microvesicle) 등이 있는데, 특히 다양한 체액에서 추출 가능한 엑소좀은 지질 이중층으로 되어 있는 소포체로 체내에서 안정적이고 protease, RNase, DNase 등의 공격으로부터 자유로워 암 질환 및 퇴행성 질환 등과 같은 특정 질병 진단의 새로운 바이오마커로 이용 가능하다.Extracellular vesicles are micro- and nano-sized particles composed of a cell-like lipid layer and containing intracellular nucleic acids and proteins, and are attracting attention as diagnostic markers of diseases because they are originally secreted with cellular characteristics. These extracellular vesicles include exosomes and microvesicles. In particular, exosomes that can be extracted from various body fluids are endoplasmic reticulum made of a lipid bilayer and are stable in the body and can be attacked by proteases, RNases, and DNases. It is free from this and can be used as a new biomarker for diagnosing specific diseases such as cancer and degenerative diseases.

종래 세포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기술 중, 밀도 차이 기반의 초원심분리(ultra-centrifugation isolation) 방법이 원리가 간단하여 재현성이 높고 비교적 신뢰성 있는 분리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초원심분리법은 수율이 낮고 분리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고가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도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미세유체 기술(microfluidics chip), 크기별 제외법(size exclusion), 면역친화성 분리(immunoaffinity isolation) 및 폴리머를 이용한 방법(polymeric method) 등이 개발되었지만, 체액 내 극미량의 세포외 소포체를 분리하는데 한계가 있고, 세포외 소포체 손상 및 수율의 감소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Among conventional techniques for isolating extracellular vesicles, the density difference-based ultra-centrifugation isolation method has been evaluated as a highly reproducible and relatively reliable separation method due to its simple principle. However, ultracentrifugation has disadvantages such as low yield, long separation time, and the need to use expensive equipment. In addition, microfluidics chip, size exclusion, immunoaffinity isolation, and polymeric method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have been developed, but body fluids There is a limitation in isolating a very small amount of extracellular vesicles within the cell, and problems such as damage to extracellular vesicles and reduction in yield still exist.

한편, 구강 내 타액으로부터 세포외 소포체와 같은 생체미립자를 분리하는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구강 질환의 특이적 바이오마커로의 활용이 가능함에도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를 분리하는 연구 개발은 현재까지 미흡한 상황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solating bioparticles such as extracellular vesicles from saliva in the oral cavity, it can be used as a specific biomarker for oral disease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to isolate saliva-derived bioparticles is insufficient to date. .

이에 종래 세포외 소포체 분리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타액 시료로부터 생체미립자를 손상 없이 분리 회수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xtracellular vesicle separation technology and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bioparticles from saliva samples without damage.

KRKR 10-2014-005046510-2014-0050465 A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집된 타액 시료를 최적 온도 및 pH로 안정화하는 전처리 및 여과 공정을 수행하여 타액 시료로부터 생체미립자를 분리 수집하는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liva that separates and collects bioparticles from a saliva sample by performing a pretreatment and filtration process to stabilize the collected saliva sample at an optimal temperature and pH.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par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임상현장에서 타액 시료를 바로 수집, 분리, 및 보관할 수 있는 일체형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l-in-on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capable of directly collecting, separating, and storing saliva samples in a clinical set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은 (a) 타액 시료를 안정화하는 단계; (b) 필터를 이용해 안정화된 상기 타액 시료를 여과하는 단계; 및 (c) 여과된 상기 타액 시료에서 생체미립자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tabilizing a saliva sample; (b) filtering the stabilized saliva sample using a filter; and (c) separating bioparticles from the filtered saliva samp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타액 시료를 2 ~ 6 ℃의 온도로 안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 the saliva sample may be stabilized at a temperature of 2 to 6 °C.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타액 시료를 pH 3 ~ 6의 산성 조건으로 안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 the saliva sample may be stabilized in an acidic condition of pH 3 to 6.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필터는 친수성 표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the filter may have a hydrophilic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nclude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carbonate (PC), polyest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It may be made of one or mor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ersulfone (polyethersulfone, P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기공 크기가 0.8 ~ 1.2 ㎛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ay have a pore size of 0.8 to 1.2 μ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타액 시료를 원심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c), the saliva sample may be centrifug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d) 분리된 상기 생체미립자를 -20 ~ -90 ℃ 온도로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 storing the separated bioparticles at a temperature of -20 to -90 ° C;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체미립자는 엑소좀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separating saliva-derived bi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particles may be exosome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는 내부에 타액 시료를 수용하는 수집시료 수용부, 및 일단에 상기 타액 시료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수집시료 수용부와 연통되는 수집시료 유출입구를 구비하는 시료수집용기; 상기 수집시료 유출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타액 시료를 여과하는 필터; 및 내부에 상기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분리시료를 수용하는 분리시료 수용부, 및 일단에 상기 분리시료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분리시료 수용부와 연통되는 분리시료 유출입구를 구비하는 시료분리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s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a saliva sample therein, and a collection sample outlet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saliva sample flows in and out at one end. A sample collection container having a; a filter for filtering the saliva sample discharged through the collected sample outlet; and a separated sample accommodating part having the filter disposed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separated samp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nd a separated sample outlet having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ed sample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separated sample flows in and out. ; can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집용기의 일단과 상기 시료분리용기의 일단은,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and one end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may be detachably screwed togeth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타액 시료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되, 외주면에 상기 분리시료가 배출되는 다수의 세공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as a hollow tube shape with one end open so that the saliva sample flows in, and a plurality of por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ough which the separated sample is discharge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친수성 표면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ay have a hydrophilic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nclude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carbonate (PC), polyest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It may be made of one or mor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ersulfone (polyethersulfone, P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기공 크기가 0.8 ~ 1.2 ㎛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vice for separ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ay have a pore size of 0.8 to 1.2 μ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집시료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타액 시료가 혼합되는 완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ed sample receiving unit Accepted within, a buffer solution in which the saliva sample is mixed;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리시료로부터 엑소좀이 원심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osomes may be centrifuged from the separated sampl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타액 시료의 안정화 및 여과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손상 없이 높은 수율로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를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생체미립자를 구강 내 질환 진단에 활용 가능한 특이적 바이오마커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liva-derived bioparticles can be separated in a high yield without damage by performing stabilization and filtration processes of saliva samples, and the separated bioparticles can be provided as specific biomarkers that can be used for diagnosing diseases in the oral cavity.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의하면, 임상현장에서 타액의 수집, 전처리, 생체미립자의 분리 및 보관이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타액 시료를 실험실로 옮겨 분리하고, 일정기간 보관 및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타액 유래 생체미립자의 회수율 감소 및 특성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liva collection, pretreatment, and separation and storage of bioparticles are integrally performed at the clinical site, so saliva samples are transferred to the laboratory and separated,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recovery rate and loss of characteristics of saliva-derived bioparticles that may occur during the maintenanc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실험예에 따른 나노입자 추적 분석(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실험예에 따른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 결과이다.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epar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separating saliva-derived bi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separating saliva-derived bio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6 is a Western blot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의 공정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epar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은 (a) 타액 시료를 안정화하는 단계(S100); (b) 필터를 이용해 안정화된 타액 시료를 여과하는 단계(S200); 및 (c) 여과된 타액 시료에서 생체미립자를 분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tabilizing a saliva sample (S100); (b) filtering the stabilized saliva sample using a filter (S200); and (c) separating bioparticles from the filtered saliva sample (S300).

본 발명은 타액으로부터 생체미립자를 손상 없이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체액으로부터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를 분리하는 기술은 극미량의 세포외 소포체 분리에 한계가 있고, 세포외 소포체의 수율 감소 및 손상의 초래되는 문제점을 가지는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bioparticles from saliva without damage. Conventional techniques for separating extracellular vesicles from body fluids have limitations in isolating very small amounts of extracellular vesicles, and the yield of extracellular vesicles is reduced. And it has a problem caused by damage, and it has been devised as a solution for this.

세포외 소포체는 크기에 따라 엑소좀(30 ~ 200 ㎚), 마이크로베시클(microvesicle, 200 ~ 1000 ㎚), 대형 온코좀(large oncosome, 1 ~ 10 ㎛)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생체미립자는 세포외 소포체뿐만 아니라 타액 유래의 생체입자를 모두 포함하는데, 대표적으로 엑소좀(exosome)일 수 있다. 이러한 생체미립자는 다양한 질병 진단의 바이오마커로 이용될 수 있고, 특히 타액 내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구강 질환의 특이적 바이오마커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타액은 인간으로부터 채득되는 체액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에게서 채취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Extracellular vesicles are classified into exosomes (30 to 200 nm), microvesicles (200 to 1000 nm), and large oncosomes (1 to 10 μm) according to their sizes. Here, the bioparticles include not only extracellular vesicles but also saliva-derived bioparticles, and may typically be exosomes. These bioparticles can be used as biomarkers for diagnosing various diseases, and can be used as specific biomarkers for oral diseases because they are isolated in saliva. Here, saliva may include not only bodily fluids obtained from humans, but also those obtained from other animal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은, 타액 시료 안정화 단계(S100), 여과 단계(S200), 및 생체미립자 분리 단계(S300)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liva sample stabilization step (S100), a filtration step (S200), and a bioparticle separation step (S300).

타액 시료 안정화 단계(S100)는 동물, 특히 인간으로부터 채취된 타액 시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는 공정이다. 타액 시료에 대한 전처리는 타액으로부터 생체미립자를 손상 없이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체미립자 분리 시 타액 시료를 안정화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한다. 여기서, 타액 시료는 소정의 온도 및 pH 조건에서 안정화될 수 있다.The saliva sample stabilization step (S100) is a process of collecting a saliva sample collected from an animal, particularly a human, and performing pretreatment thereon. The pretreatment of the saliva sample is to separate the bioparticles from the saliva without damage, and implements an environment capable of stabilizing the saliva sample during separation of the bioparticles. Here, the saliva sample may be stabilized under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pH conditions.

타액 시료를 안정화하는 온도 조건은 2 ~ 6 ℃가 적절하다. 다만, 안정화 온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생체미립자의 종류에 따라 특이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엑소좀 분리의 경우에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 안정화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3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A suitable temperature condition for stabilizing the saliva sample is 2 to 6 °C. However, the stabilization temperat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specif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bioparticles. In one embodiment, in the case of exosome separation, stabilization is possible with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and it is appropriat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preferably at 3 to 5° C., more preferably at about 4° C.

타액 시료를 안정화하는 pH 조건은 산성 조건일 수 있다. 여기서, pH는 완충액(buffer)에 타액 시료를 첨가 혼합하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산성 조건은 pH 3 ~ 6의 범위 내가 적합하다. 다만, 상기 pH 범위는 분리되는 생체미립자를 고려하여 정해지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져서는 안 된다. 한편, 엑소좀 분리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pH 범위가 적절한데, 바람직하게는 pH 4 ~ 5로 정할 수 있다. The pH conditions that stabilize the saliva sample may be acidic conditions. Here, the pH may be adjusted by adding and mixing the saliva sample to a buffer. At this time, acidic conditions are suitable within the range of pH 3 ~ 6. However, since the pH rang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separated bioparticl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necessarily be limited thereto.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exosome separation, the above pH range is appropriate, and preferably pH 4 to 5 can be set.

여과 단계(S200)는 안정화된 타액 시료 내의 성분 중 일부를 크기에 따라 걸러내는 공정으로서, 다공성 필터를 이용해 타액 시료를 여과한다. 이때, 일정 크기 이하의 물질만 필터를 통과하게 되는데, 생체미립자는 마이크로 내지 나노 크기의 생체입자이므로, 필터의 기공은 생체미립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일실시예로, 엑소좀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의 기공 크기는 0.8 ~ 1.2 ㎛일 수 있다. 기공 크기가 0.8 ㎛ 미만인 경우에는 엑소좀이 기공을 통과하지 못하여 소실될 수 있고, 기공 크기가 1.2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엑소좀 이외의 불순물이 여과되지 않아 엑소좀의 수율이 떨어진다.The filtration step (S200) is a process of filtering out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stabilized saliva sample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saliva sample is filtered using a porous filter. At this time, only substances of a certain size or less pass through the filter. Since bioparticles are micro- or nano-sized bioparticles, the pores of the filter must be of a size that allows bioparticles to pass through. In one embodiment, the pore size of the filter for separating exosomes may be 0.8 to 1.2 μm. If the pore size is less than 0.8 μm, exosomes may not pass through the pores and may be lost, and if the pore size exceeds 1.2 μm, impurities other than exosomes are not filtered out, and the yield of exosomes is reduced.

한편, 필터에 의한 분리 과정에서 생체미립자에 대한 비특이적 결합(non-specific binding)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율 감소가 예측되는바, 필터는 친수성 표면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액 시료가 필터를 통과하기 때문에 타액 시료의 유속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통과하는 생체미립자를 손상시키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필터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필터가 반드시 상기 고분자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다른 고분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구성 있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친수성 막이 형성된 필터를 제작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non-specific binding to bioparticles occurs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by the filter, and as a result, a yield reduction is expected. As a filter, a filter having a hydrophilic surface may be used. In addition, since the saliva sample passes through the filter,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that has durability capable of withstanding the flow rate of the saliva sample and does not damage passing bioparticles. To meet these conditions, the filt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carbonate (PC), polyester, and polyethersulfone (PES) It may consist of one or more polymers. However, the filt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of the above polymer, and a filter made of a different polymer or other durable material and having a hydrophilic film formed on its surface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생체미립자 분리 단계(S300)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타액 시료에서 생체미립자를 분리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생체미립자는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 추출될 수 있다. 다만, 분리 방식이 반드시 원심분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생체미립자의 종류에 따라 이와 다른 분리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bioparticle separation step (S300) is a process of separating bioparticles from the saliva sampl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Here, bioparticles may be separated and extracted by centrifugation. However, the separation metho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entrifugation, and other separation method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bioparticles.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액 시료의 안정화 및 여과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손상 없이 높은 수율로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를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생체미립자를 구강 내 질환 진단에 활용 가능한 특이적 바이오마커로 제공할 수 있다.Over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liva-derived bioparticles can be separated in high yield without damage by performing stabilization and filtration processes of saliva samples, and the separated bioparticles can be used for diagnosing diseases in the oral cavity. Specific biomarkers can be provided with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의 공정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방법은 생체미립자 분리 단계(S300)를 거쳐 분리된 생체미립자를 보관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미립자는 적정환경에서 보관되는데, 이때 보관 온도는 -20 ~ -90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보관 온도는 생체미립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고, 일례로 엑소좀의 경우에는 대략 -75 ~ -85 ℃가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2 ,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bioparticles separated through the bioparticle separation step (S300) (S400). Here, the bioparticles are stored in an appropriate environment, where the storage temperature may be -20 to -90 °C. However, the storage temperature may be selectively adopted depending on the bioparticles, and for example, in the case of exosomes, approximately -75 to -85 ° C is preferabl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의 결합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는 내부에 타액 시료(1)를 수용하는 수집시료 수용부(11), 및 일단에 타액 시료(1)가 유출입되도록 수집시료 수용부(11)와 연통되는 수집시료 유출입구(13)를 구비하는 시료수집용기(10); 수집시료 유출입구(13)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타액 시료(1)를 여과하는 필터(20); 및 내부에 필터(20)가 배치되고 필터(20)를 통과한 분리시료(3)를 수용하는 분리시료 수용부(31), 및 일단에 분리시료(3)가 유출입되도록 분리시료 수용부(31)와 연통되는 분리시료 유출입구(33)를 구비하는 시료분리용기(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11 accommodating a saliva sample 1 therein, and a saliva sample ( 1) a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having a collection sample outlet 13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11 so that 1) flows in and out; A filter 20 for filtering the saliva sample 1 discharged through the collected sample outlet 13; and a separated sample accommodating part 31 having a filter 20 disposed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separated sample 3 passing through the filter 20, and a separated sample accommodating part 31 so that the separated sample 3 flows in and out at one end. ) and a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having a separated sample outlet 33 communicating with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는, 시료수집용기(10), 필터(20), 및 시료분리용기(3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device for separ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a filter 20, and a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시료수집용기(10)는 채취된 타액 시료(1)를 임시 보관하는 용기로서, 수집시료 수용부(11), 및 수집시료 유출입구(13)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집시료 수용부(11)는 내부에 타액 시료(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수집시료 유출입구(13)는 시료수집용기(10)의 일단에 구비된 개구부로서, 상기 수집시료 수용부(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타액 시료(1)는 수집시료 유출입구(13)를 통해 수집시료 수용부(11)로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었다가, 수집시료 유출입구(13)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수집시료 유출입구(13)가 형성되는 시료수집용기(10)의 일단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타액 시료(1)를 낙하시켜 주입할 수 있도록 상면부가 바람직하지만, 측면부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시료수집용기(10)는 수용되거나 배출되는 타액 시료(1)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수료수집용기(10)의 외주면에는 타액 시료(1)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눈금 및 수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유입되는 타액 시료(1)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 및 수치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타액 시료(1)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과 수치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수집시료 유출입구(13)가 형성된 일단에서부터 반대쪽 타단 방향으로 감소하는 수치와 눈금이 표시(저장되는 타액 시료량 측정용)되고, 이와 별도로 상기 일단에서부터 상기 타단 방향으로 증가하는 수치와 눈금이 표시(배출되는 타액 시료량 측정용)될 수 있다.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is a contain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llected saliva sample 1, and includes a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ng part 11 and a collection sample outlet 13. Here, the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on unit 11 provide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o accommodate the saliva sample 1 therein. The collection sample outlet 13 is an open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ng part 11 . Therefore, the saliva sample 1 flows into the collected sample receiving unit 11 through the collected sample outlet 13, is temporarily stored,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collected sample outlet 13. Here,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in which the collected sample outlet 13 is formed is preferably an upper surface portion so that the saliva sample 1 can be dropped and injec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but may also be a side portion. In addition,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check the amount of the saliva sample 1 received or discharged. Furthermore, scales and numerical values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amount of the saliva sample 1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ste collection container 10 . At this time, not only a scale and a valu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he saliva sample 1 flowing in, but also a scale and a valu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he discharged saliva sample 1 may be displayed together. For example, values and scales that decrease from one end where the collection sample outlet 13 is formed to the other end direction are displaye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aliva sample stored), and separately, numbers and scales that increase from the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It can be displaye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aliva sample discharged).

한편, 시료수집용기(10) 내에서 전술한 타액 시료(1)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므로, 수집시료 수용부(11) 내에 완충액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액은 타액 시료(1)의 pH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타액 시료(1)가 유입되기 전에 먼저 수집시료 수용부(11)에 채워지고 이후에 타액 시료(1)가 유입되어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액의 첨가로 인해, 타액 시료(1)는 pH 3 ~ 6의 산성 조건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 다만, 상기 pH 범위는 생체미립자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고, 엑소좀 분리의 경우에는 pH 4 ~ 5가 바람직하다. 또한, 시료수집용기(10)는 타액 시료(1) 안정화를 위해서, 타액 시료(1)가 2 ~ 6 ℃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온도조절 수단이 시료수집용기(10)에 장착될 수 있다. 온도조절 수단의 일례로, 시료수집용기(10)의 외면에 배치되어 내부 중공을 따라 냉각유체가 흐르는 물재킷(water jacket)일 수 있다. 다만, 온도조절 수단이 반드시 물재킷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료수집용기(10) 내의 타액 시료(1)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Meanwhile, since the above-described saliva sample 1 is stabilized in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the buffer solu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1. Here, the buffer is to adjust the pH of the saliva sample 1, and before the saliva sample 1 flows in, the collection sample receiving part 11 is first filled, and then the saliva sample 1 flows in and can be mixed with each other. there is. Due to the addition of such a buffer, the saliva sample 1 can be stabilized under an acidic condition of pH 3-6. However, the pH range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bioparticles, and in the case of exosome separation, a pH of 4 to 5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saliva sample 1 maintains a temperature of 2 to 6 °C in order to stabilize the saliva sample 1 .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a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mounted on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 As an example of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it may be a water jacket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and through which a cooling fluid flows along the inner hollow. However,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water jacke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ans capab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aliva sample 1 in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또한, 시료수집용기(10)의 개방된 수집시료 유출입구(13)는 시료수집용기캡(1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시료수집용기캡(15)은 시료수집용기(10)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시료수집용기(10)의 일단은 병목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시료수집용기(10)의 형태는 내부에 타액 시료(1)를 저장하고 그 타액 시료(1)가 외부로 유출입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족하고, 반드시 시료수집용기캡(10)과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open sample collection outlet 13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cap 15 . Here,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cap 15 may be screwed to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and for this purpose,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may be formed in a bottleneck shape, and a screw thread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re is. However, the shape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is sufficient as long as the saliva sample 1 is stored therein and the saliva sample 1 is formed so that the saliva sample 1 flows in and out, and must be screwed together with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cap 10. It doesn't have to be.

필터(20)는 수집시료 유출입구(13)를 통해 배출되는 타액 시료(1)를 여과하는 다공성 부재이다. 이러한 필터(20)의 일실시예로, 필터(20)는 타액 시료(1)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되, 외주면에 다수의 세공(2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세공(23)의 크기는 엑소좀 분리에 적합하도록 0.8 ~ 1.2 ㎛일 수 있다.The filter 20 is a porous member that filters the saliva sample 1 discharged through the collected sample outlet 13 . In one embodiment of the filter 20, the filter 20 may have a hollow tube shape with one end open so that the saliva sample 1 flows into the inside, and may have a plurality of pores 2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size of the pores 23 may be 0.8 to 1.2 μm suitable for exosome separation.

이러한 필터(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된 단면이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20)의 외주면은, 중공관 형상의 본체부(21)를 기준으로 개방된 일단을 제외하고 중공관을 형성하는 외벽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세공(23)은 본체부(21) 일단의 반대쪽 타단을 이루는 외면, 및 그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측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공(23)은 생체미립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그 결과, 본체부(21)의 일단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타액 시료(1)는 세공(23)을 통과하고, 그 과정에서 타액 시료(1) 내의 성분 중 일부가 걸러지면서 생체미립자를 함유한 타액 시료(1)가 배출된다. 이하에서, 필터(20)를 통과한 타액 시료(1)를 분리시료(3)라고 정의한다.Such a filter 20 may be formed in a "U" shape in cross section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20 refers to all or a part of the outer wall forming the hollow tube except for one end opened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21 of the hollow tube shape. Accordingly, the pores 23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outer surface forming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1 and the side surface connect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Here, the pores 23 have a size through which bioparticles can pass. As a result, the saliva sample 1 introduced into the inside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1 passes through the pores 23, and in the process,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saliva sample 1 are filtered out and saliva containing bioparticles. Sample 1 is discharged. Hereinafter, the saliva sample 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20 is defined as the separated sample 3.

한편, 상기 세공(23)의 위치에 따르면, 타액 시료(1)는 필터(20)의 타단 방향으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측방으로도 배출되기 때문에, 압력이 어느 일방향에만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유속이 느려지므로, 필터(20)와의 접촉으로 인한 생체미립자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res 23, the saliva sample 1 is not only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lter 20 but also to the side, so that the pressure is not concentrated in one direction but dispersed and the flow rate is increased. Since it slows down, damage to bioparticles due to contact with the filter 20 can be reduced.

또한, 필터(20)에 의한 분리 과정에서 생체미립자에 대한 비특이적 결합(non-specific binding)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수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필터(20)는 친수성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액 시료(1)가 필터(20)를 통과하기 때문에 타액 시료(1)의 유속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통과하는 생체미립자를 손상시키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필터(2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필터(20)가 반드시 상기 고분자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다른 고분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구성 있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친수성 막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non-specific binding to bioparticles from occurring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by the filter 20, and thereby reducing yield, the filter 20 may have a hydrophilic surface. In addition, since the saliva sample 1 passes through the filter 20,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that has durability capable of withstanding the flow rate of the saliva sample 1 and does not damage passing bioparticles. Accordingly, the filter 20 is made of one or mor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carbonate (PC), polyester, and polyethersulfone (PES). It can be done. However, the filter 2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of the above polymer, and may be made of a different polymer or other durable material and have a hydrophilic film formed on its surface.

시료분리용기(30)는 상기 필터(20)를 통과한 분리시료(3)를 수용하고, 분리시료(3)로부터 생체미립자가 분리되는 용기이다. 이러한 시료분리용기(30)는 분리시료 수용부(31), 및 분리시료 유출입구(33)를 구비한다. 여기서, 분리시료 수용부(31)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서, 여기에 상기 필터(20)가 배치되고 분리시료(3)가 수용된다. 분리시료 유출입구(33)는 시료분리용기(3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분리시료 수용부(31)와 연통되므로, 시료수집용기(10)에 임시 저장된 타액 시료(1)가 여기를 통해 이동하면서 필터(20)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분리시료 유출입구(33)는 시료분리용기캡(35)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이때 시료분리용기(30)의 일단 쪽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시료분리용기캡(35)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i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separated sample 3 passing through the filter 20 and separating bioparticles from the separated sample 3 .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includes a separated sample accommodating part 31 and a separated sample outlet 33 . Here, the separated sample accommodating part 31 i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where the filter 20 is disposed and the separated sample 3 is accommodated. The separated sample outlet 33 is an opening formed at one end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and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ed sample receiving portion 31, so that the saliva sample 1 temporarily stored in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moves through i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20. The separated sample outlet 33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cap 35, and at this time,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cap 35. can be screwed on.

시료분리용기(30) 내에서 분리시료(3)로부터 생체미립자를 분리하는 방법은 원심분리법을 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분리되는 생체미립자는 엑소좀일 수 있다. 원심분리 과정에서 필터(20)는 시료분리용기(30)로부터 분리되고, 시료분리용기캡(35)에 의해 밀폐되어 단독으로 원심분리기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안정성이 확보되는 경우라면 필터(20)가 내부에 장착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료수집용기(10)가 부착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As a method of separating bioparticles from the separation sample 3 in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a centrifugation method may be used, and the bioparticles separated thereby may be exosomes. In the process of centrifugation, the filter 20 may be separated from the sample separation vessel 30, sealed by the sample separation vessel cap 35, and provided alone to the centrifuge. However, if stability is ensured, the filter 20 may be installed inside, or provided with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attach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생체미립자가 시료분리용기(30) 내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고, 이 경우 -20 ~ -90 ℃ 온도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시료분리용기(30)에도 전술한 시료수집용기(10)와 마찬가지로 온도조절 수단(일례로 물자켓일 수 있음)이 장착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온도조절 수단은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bioparticles can be accommodated and stored in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tore them at a temperature of -20 to -90 ° C. Similarly, a temperature control means (which may be a water jacket for example) may be mounted. However, each temperature control un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시료수집용기(10) 내의 타액 시료(1)를 시료분리용기(30) 내부로 주입할 수 있도록, 시료수집용기(10)와 시료분리용기(30)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합 방식으로는, 시료수집용기(10)의 일단과 시료분리용기(30)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시료수집용기(10)의 일단이 시료분리용기(30)의 일단 내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시료수집용기(10)의 일단 쪽 외주면과, 시료분리용기(30)의 일단 쪽 내주면 각각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료수집용기(10)의 일단 쪽 외주면의 나사선은 시료수집용기캡(15)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선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료분리용기(30)의 일단이 시료수집용기(10)의 일단 내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and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so that the saliva sample 1 in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may be injected into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 As the coupling method, a method in which threads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and one end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to be screwed together may be employe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may be screwed while being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 To this end,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respectively. Here, the screw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may be a screw thread that is screwed into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cap 15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e end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0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screwed together.

한편, 필터(20)는 시료분리용기(30) 내부에 배치되는데, 이때 필터(20)는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탈부착 수단으로서, 필터(20)의 본체부(21)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도출된 돌출부(25)가 형성되고, 시료분리용기(30)의 내면에 필터(20)의 돌출부(25)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걸림턱(37)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25)는 본체부(21)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ring) 형상이거나,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료분리용기(30)의 분리시료 유출입구(33)를 통해 삽입되는 필터(20)는 돌출부(25)가 걸림턱(37)에 걸림으로써 고정되었다가, 필요에 따라 분리시료 유출입구(33)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다만, 필터(20)와 시료분리용기(30)의 탈부착 수단이 반드시 돌출부(25) 및 걸림턱(37)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터(20)가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기만 하면 이와 다른 구성에 의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Meanwhile, the filter 20 is disposed inside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and at this time, the filter 20 may be detachably fixedly disposed. As a detachable means, a protruding portion 25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f the filter 20, and the protruding portion 25 of the filter 20 is caught and fix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A locking jaw 37 may be formed. Here, the protruding portion 25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 or in a column shape. Therefore, the filter 20 inserted through the separated sample outlet 33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is fixed by the protruding portion 25 being caught on the locking jaw 37, and if necessary, the separated sample outlet inlet ( 33) can be removed. However, detachable means of the filter 20 and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by the protruding portion 25 and the locking jaw 37, and as long as the filter 20 can be detachably attached, other It may be formed by the configuration.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타액 유래의 생체미립자 분리 기구에 의하면, 임상현장에서 타액의 수집, 전처리, 생체미립자의 분리 및 보관이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타액 시료를 실험실로 옮겨 분리하고, 일정기간 보관 및 유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타액 유래 생체미립자의 회수율 감소 및 특성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Overall, according to the saliva-derived bioparticl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liva collection, pretreatment, and separation and storage of bioparticles are integrally performed at the clinical site, so saliva samples are transferred to the laboratory, separated, and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recovery rate and loss of characteristics of saliva-derived bioparticles that may occur during the maintenance process.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perimental examples.

1. 실험 목적 및 방법1. Experiment purpose and method

본 실험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기공 크기가 엑소좀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시료에서 엑소좀을 안정적이고 높은 수율로 분리할 수 있는 필터의 최적 기공 크기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ore size of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eparation of exosomes, and to derive the optimal pore size of the filter capable of separating exosomes from samples in a stable and high yield.

Total Exosome Isolation Reagent (from cell culture media) - Invitrogen 제품을 이용해 동일한 전처리 조건하에서 샘플 그룹을 수집하고, 기공 크기가 상이한 PTFE (Polytetra fluoro ethylene) 테프론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샘플 그룹을 여과한 후에, 여과된 각각의 샘플 그룹에 대해 나노입자 추적 분석(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 분석, 및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Total Exosome Isolation Reagent (from cell culture media) - After collecting sample groups under the same pretreatment conditions using Invitrogen products and filtering the sample groups with PTFE (Polytetra fluoro ethylene) Teflon syringe filters with different pore sizes,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 analysis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on each filtered sample group,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구체적으로, 48시간 동안 배양된 조골세포(MG63 cell) 22 ㎖를 채취하고, 50 ㎖ 튜브에 11 ㎖씩 나누어 2,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를 했다. 원심분리 후 세포 잔해가 가라앉기 때문에 상등액 10 ㎖를 새로운 튜브에 옮겨 담고, 거기에 Total Exosome Isolation Reagent (from cell culture media) 5 ㎖를 첨가하여 교반한 다음에, 4℃에서 오버나이트(overnight)하였다. 오버나이트 해준 샘플을 4℃에서 10,000g 속도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에 튜브의 벽면과 바닥면에 엑소좀이 펠렛(pellet) 형태로 존재하였고, 튜브 내의 액체를 제거한 다음에, 펠렛 형태의 엑소좀을 재부유시키기 위해서 1X phosphate buffer saline (PBS) 5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에, 그 PBS가 혼합된 샘플을 튜브에 1 ㎖씩 나누어 담았다. 대조군(control)을 제외하고, 기공 크기가 상이한 필터가 장착된 3개의 시린지에 각각 샘플을 주입해서 여과하였다. 여기서, 필터는 기공 크기 1.0, 0.45, 0.2 ㎛인 PTFE (Polytetra fluoro ethylene) 테프론 필터를 사용하였다. 엑소좀은 30 ~ 200 ㎚의 크기를 가지므로, 엑소좀이 모두 통과할 수 있는 기공 크기로 필터를 선정하였다.Specifically, 22 ml of osteoblasts (MG63 cells) cultured for 48 hours were collected, divided into 11 ml each in a 50 ml tube, and centrifuged at 2,000 rpm for 10 minutes. Since cell debris settles after centrifugation, 10 ml of th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new tube, 5 ml of Total Exosome Isolation Reagent (from cell culture media) was added thereto, stirred, and overnight at 4°C. . The overnight sample was centrifuged at 4° C. at 10,000 g for 1 hour. After centrifugation, exosomes were present in the form of pellets on the wall and bottom of the tube. After removing the liquid in the tube, 5 ml of 1X phosphate buffer saline (PBS) was added to resuspend the exosomes in the form of pellets. After addition and mixing, the PBS-mixed sample was divided into tubes by 1 ml each. Except for the control group, each sample was injected into three syringes equipped with filters having different pore sizes and filtered. Here, polytetra fluoro ethylene (PTFE) Teflon filters having pore sizes of 1.0, 0.45, and 0.2 μm were used. Since exosomes have a size of 30 to 200 nm, a filter with a pore size through which all exosomes can pass was selected.

2. NTA 분석2. NTA assay

NTA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는 용액 속의 나노입자가 레이저를 받아 산란되는 빛으로부터 나노입자의 크기와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NTA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size and concentration of nanoparticles from light scattered by nanoparticles in a solution by receiving a laser beam.

Stokes-Einstein equationStokes-Einstein equation

Figure 112020064905426-pat00001
Figure 112020064905426-pat00001

(Dt: 확산상수, Kb: 볼츠만 상수, T: 절대온도, η: 점도, d: 구형입자의 직경)(Dt: diffusion constant, K b : Boltzmann constant, T: absolute temperature, η: viscosity, d: diameter of spherical particles)

용액에 레이저를 투과시키며 나타나는 산란광을 영상으로 기록하고, 그 영상으로부터 나노입자의 거동을 추적한다. 온도(T)는 별도로 계측하며, 확산상수(Dt)와 볼츠만 상수(Kb)는 확정된 값이므로 점도(η)와 직경(d)을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 버퍼와 같이 점도가 거의 없는 용매를 사용하므로 이 역시 상수로 취급하거나 별도로 설정하면 입자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동시에 한 프레임당 개별 입자의 수를 통해 농도의 정량 역시 가능하다.The scattered light that appears as the laser passes through the solution is recorded as an image, and the behavior of the nanoparticles is traced from the image. The temperature (T) is measured separately, and the diffusion constant (Dt) and the Boltzmann constant (Kb) are fixed values, so the viscosity (η) and diameter (d) can be calculated. In general, solvents with little viscosity, such as water and buffers, are used, so if treated as a constant or set separately, the particle size can be measure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quantify the concentration through the number of individual particles per frame.

상기 기공 크기가 상이한 필터들로 여과된 샘플들을 대상으로 NTA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 5는 실험예에 따른 나노입자 추적 분석(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 분석 결과이다.NTA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amples filtered with the filters having different pore sizes. 5 is a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도 5를 참고로, 대조군(control)를 기준으로, 여과된 샘플들은 비교하였을 때에, 필터의 기공 크기가 작아질수록 엑소좀의 농도가 낮아졌고, 특히 0.45 ㎛ 기공의 필터인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3분의 1 정도로 그 양이 줄어들었다. 또한, 필터의 기공 크기가 작아질수록 단백질 양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filtered sample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concentration of exosomes decreased as the pore size of the filter decreased, especially in the case of a 0.45 μm pore filt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amount was reduced by about a third. In addition, the amount of protein tended to decrease as the pore size of the filter decreased.

3. 웨스톤 블롯 분석3. Western blot analysis

웨스톤 블롯은 단백질을 크기 별로 분리하는 기술로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전체 단백질에서 특정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다.Western blotting is a technique for separating proteins by size, and a specific protein can be detected from all proteins using an antigen-antibody reaction.

상기 기공 크기가 상이한 필터들로 여과된 샘플들을 대상으로 웨스톤 블롯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 6은 실험예에 따른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 결과이다.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amples filtered with the filters having different pore sizes. 6 is a Western blot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도 6을 참고로, 엑소좀의 특정 마커인 CD9, CD63, CD81 밴드의 발현 정도를 그래프화하였을 때에, 필터의 기공 크기가 작을수록 엑소좀의 특정 마커들의 양이 줄었다. 이는, 필터의 기공 크기가 작아질수록 특정 엑소좀의 작은 기공에 걸려서 손상되어 소실되었음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6 , when the expression levels of CD9, CD63, and CD81 bands, which are specific exosome markers, were graphed, the amount of exosome specific markers decreased as the pore size of the filter decreased. This indicates that, as the pore size of the filter becomes smaller, it is lost due to being caught in the small pores of a specific exosome and damaged.

4. 결론4. Conclusion

나노 소포체는 엑소좀, 마이크로베시클, 자멸소체(Apoptotic bodies) 등과 같이 세포 사이에서 정보교환을 해주는 물질들을 가진다. 여과하기 전 대조군에는 엑소좀 외의 물질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엑소좀 외의 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특정 기공 크기의 필터를 선정하여 순수 엑소좀을 포함한 정보교환 물질들만 남기기 위해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침전법으로 전처리 및 분리 후 필터를 통해 여과한 경우에, 필터의 기공 크기가 작아질수록 단백질 양이 적어지는 것으로 볼 때에, 엑소좀 이외에 다양한 물질이 샘플에 다수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엑소좀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기공 범위 내에서도, 기공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엑소좀이 기공에 막히거나 필터에 붙어 소실되었다. 결론적으로, 기공의 크기가 1.0 ㎛일 때에, 시료 내의 불순물을 걸러내고, 손상 없이 높은 수율로 엑소좀을 분리할 수 있다.Nano endoplasmic reticulum has substances that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cells, such as exosomes, microvesicles, and apoptotic bodies. Since materials other than exosomes exist in the control group before filtering, a filter having a specific pore size capable of filtering out materials other than exosomes was selected a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leave only information exchange materials including pure exosomes. When filtering through a filter after pretreatment and separation by the precipitation method, considering that the amount of protein decreases as the pore size of the filter decreases, it can be seen that various substances other than exosomes are present in the sample. In addition, even within the pore size range through which exosomes can pass, the smaller the pore size, the more the exosomes become clogged or adhere to the filter and disappear. In conclusion, when the pore size is 1.0 μm, impurities in the sample can be filtered out and exosomes can be isolated in high yield without damag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타액 시료 3: 분리시료
10: 시료수집용기 11: 수집시료 수용부
13: 수집시료 유출입구 15: 시료수집용기캡
20: 필터 21: 본체부
23: 세공 25: 돌출부
30: 시료분리용기 31: 분리시료 수용부
33: 분리시료 유출입구 35: 시료분리용기캡
37: 걸림턱
1: Saliva sample 3: Separation sample
10: sample collection container 11: collection sample receiving unit
13: collected sample outlet 15: sample collection container cap
20: filter 21: body part
23: pores 25: projections
30: sample separation container 31: separation sample receiving unit
33: separation sample outlet 35: sample separation container cap
37: snag

Claims (17)

필터를 이용해, 시료를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는, 기공 크기가 0.8 ~ 1.2 ㎛이고,
상기 시료는, 엑소좀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액을 엑소좀 분리 시약과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기 엑소좀을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 방법.
Using a filter, including the step of filtering the sample,
The filter is made of one or mor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carbonate (PC), and polyester, and polyethersulfone (PES). lose,
The filter has a pore size of 0.8 to 1.2 μm,
The sample is an exosome separation method comprising the exosome obtained by centrifuging after reacting the cell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exosome with an exosome separation reag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타액인 엑소좀 분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ample is saliva exosome separation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시료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집시료 수용부, 및 일단에 상기 시료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수집시료 수용부와 연통되는 수집시료 유출입구를 구비하는 시료수집용기;
상기 수집시료 유출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시료를 여과하는 필터; 및
내부에 상기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분리시료를 수용하는 분리시료 수용부, 및 일단에 상기 분리시료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분리시료 수용부와 연통되는 분리시료 유출입구를 구비하는 시료분리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는, 기공 크기가 0.8 ~ 1.2 ㎛이고,
상기 시료는, 엑소좀을 함유하는 세포 배양액을 엑소좀 분리 시약과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기 엑소좀을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 기구.
a sample collection container having a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a sample therein, and a sample collectio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ed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sample flows in and out at one end;
a filter for filtering the sample discharged through the collected sample outlet; and
A sample separation container having a separated sample accommodating part having the filter disposed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separated samp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nd a separated sample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ed sample accommodating part at one end so that the separated sample flows in and out; including,
The filter is made of one or mor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carbonate (PC), polyester, and polyethersulfone (PES), and ,
The filter has a pore size of 0.8 to 1.2 μm,
The sample is an exosome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the exosome obtained by reacting the cell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exosome with an exosome separation reagent and then centrifuging.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집용기의 일단과 상기 시료분리용기의 일단은,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엑소좀 분리 기구.
The method of claim 10,
One end of the sample collection container and one end of the sample separation container are detachably screwed togeth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시료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되,외주면에 상기 분리시료가 배출되는 다수의 세공을 구비하는 엑소좀 분리 기구.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lter is an exosome separation device having a hollow tube shape with one end open so that the sample flows in, and a plurality of pores through which the separated sample is discharg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타액인 엑소좀 분리 기구.
The method of claim 10,
The sample is an exosome separation device that is saliva.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집시료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시료가 혼합되는 완충액;을 더 포함하는 엑소좀 분리 기구.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llection sample accommodating part The exosome separ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uffer solution accommodated within and in which the sample is mixed.
삭제delete
KR1020200076921A 2019-06-24 2020-06-24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without damage KR1025574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4967 2019-06-24
KR1020190074967 2019-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80A KR20210000280A (en) 2021-01-04
KR102557495B1 true KR102557495B1 (en) 2023-07-20

Family

ID=7412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921A KR102557495B1 (en) 2019-06-24 2020-06-24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without da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49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2557A1 (en) 2016-12-23 2018-06-28 Altnia Operations Pty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urification or isolation of microvesicles and exosomes
JP6539935B2 (en) 2017-10-12 2019-07-10 Blue Industries株式会社 Separation filter, pretreatment kit for gene analysi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465A (en) 2012-10-19 2014-04-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isol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comprising porous polymer monolith microfil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2557A1 (en) 2016-12-23 2018-06-28 Altnia Operations Pty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urification or isolation of microvesicles and exosomes
JP6539935B2 (en) 2017-10-12 2019-07-10 Blue Industries株式会社 Separation filter, pretreatment kit for gene analysi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Transl Med;9:9. (2011.01.14.)*
PLoS One;5(1):e8577.(2010.01.05)
Sci Rep 5, 16305(2015.11.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80A (en)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8047B2 (en) Particulate separ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and system
Kang et al. Methods to isolate extracellular vesicles for diagnosis
US799382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isolation and enrichment of circulating tumor cells
US8173413B2 (en)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of biological cells and biological particles using a one-dimensional channel
AU2010336424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particle filtration
Rana et al. Advancements in microfluidic technologies for isolation and early detection of circulating cancer-related biomarkers
WO2015002975A1 (en) Methods, compositions and systems for microfluidic assays
WO2021033750A1 (en) Cell analyzer system and cell analysis method
JP2008082896A (en) Blood plasma recovery method and tool
WO2018093475A1 (en) Liquid biopsy detection of leukemia using closed-loop microfluidics
ES2910923T3 (en) Device and method for fluid separation by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US20220288506A1 (en) Method for isolating bio nanoparticles by using aqueous two-phase system separation composition
KR1025574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bioparticles derived from saliva without damage
US20160193606A1 (en) Methods of and devices for capturing circulating tumor cells
KR101740015B1 (en) Bio-chip for seperating and detecting cells
US20210262908A1 (en) Size-based separation method for highly concentrating extracellular vesicle in fluid sample
CN111433350B (en) Method, system and filtration unit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biological samples
JP2022064824A (en) Particle separator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of use
KR20210057639A (en) An microfluidic device for separating bacteria in blood
US20230383239A1 (en) Microscale cell filter
Yata et al. Microfluidic and non-microfluidic methods of sperm sorting and sperm analysis
Wehland et al. Combining Immuno-Affinity Chromatography and Filtration to Improve Specificity and Size Distribution of Exosome-Containing EV Populations
Lekkala et al. Developing Microfluidic Devices and Systems for Isolation and Dete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EVs
Wells [24] Cell separation using velocity sedimentation at unit gravity and buoyant density centrifu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