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247B1 -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 Google Patents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247B1
KR102557247B1 KR1020230005439A KR20230005439A KR102557247B1 KR 102557247 B1 KR102557247 B1 KR 102557247B1 KR 1020230005439 A KR1020230005439 A KR 1020230005439A KR 20230005439 A KR20230005439 A KR 20230005439A KR 102557247 B1 KR102557247 B1 KR 10255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main body
coupled
transmitter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솔
Priority to KR102023000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도관에 장착되어 수도관 유량계의 데이터 등을 외부로 원격 전송할 수 있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는, 수도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수도관 유량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수도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와;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도난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 Remotely water meter terminal }
본 발명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도관에 장착되어 수도관 유량계의 데이터 등을 외부로 원격 전송할 수 있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된 뒤, 시의 경우 각 구별로 큰 관을 통해 공급되고, 각 구에서는 중블록, 소블록 등으로 분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 가정 주택, 상가 건물 밀집 지역 등은 도로 아래 매설된 큰 관에서 작은 관으로 연결하여 최종 사용처로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작은 관을 '지선'이라고 할 때, 대부분의 누수는 지선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선은 옥외부터 옥내까지 연결되고, 수도 계량기를 기준으로 옥내 및 옥외로 구분된다.
그런데 수도관은 옥외는 수도 사업자(국내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게 되어 있고, 옥내는 사용자(집주인)가 관리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옥외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수도 사업자에게 손해가 발생하게 되고, 옥내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사용자(집주인)가 많은 수도요금을 부담하는 손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수도관에 누수감지장치를 설치하여 상수도의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종래기술이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해서는 검침원이 수용가를 방문하여 계량기에 표시된 지침을 읽어내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검침원의 인건비가 증가되는 한편 수용자의 부재로 인한 검침의 어려움과 함께 오검침이 많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원격에서 자동으로 수도 사용량을 검침하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위와 같이 원격 검침을 위해서는, 수도관 등에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장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는 아래와 같은 문제 및 단점이 있었다.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에 설치하고 난 후, 검침단말기가 수도관에 그대로 잘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밖에 없었고, 도난시 도난 여부를 신속하게 알 수가 없었다.
그리고,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에 쉽게 설치하기가 곤란하였고, 도난의 우려도 높았다.
또한, 종래에는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배터리를 통해 공급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방전시 검침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489921 공개특허 10-2015-0138010 등록특허 10-162779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에 설치하고 난 후, 검침단말기가 수도관에 그대로 잘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도난시 도난 여부를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도록 하여 검침단말기를 배터리의 문제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는, 수도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수도관 유량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수도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와;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도난신호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감지센서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수도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되,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감지센서는 상기 수도관에 접하면서 ON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한다.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지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진감지센서를 작동시킨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습기가 과다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면부와; 상기 결합면부의 양측에서 상기 수도관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면부 및 상기 밀착부 사이에 상기 수도관이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의 끝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결합면부 및 밀착부는 일체로 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밀착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안쪽에 상기 수도관을 삽입할 때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체결부재는 강제 확장된다.
또는, 상기 밀착부는 상기 결합면부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결합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면부의 안쪽과 상기 밀착부의 안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도관이 상기 결합면부와 밀착부의 안쪽에 삽입 배치될 때,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수도관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휘어져 상기 밀착부가 상기 수도관 방향으로 회전되어 밀착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밀착부는 상기 결합면부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양측에 기어가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결합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결합면부와 상기 밀착부의 회전 힌지점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밀착부가 안쪽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토션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피니언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부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면부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상기 수도관이 삽입 배치되면 하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던 상기 랙기어는 상기 수도관에 의해 밀려 상승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에 감겨있던 상기 제2와이어가 풀리면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밀착부는 상기 수도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도관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체결감지센서는 상기 랙기어의 승강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체결감지센서는, 상기 랙기어가 상기 수도관에 의해 밀려 상승하면 상기 수도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었다고 감지하고, 상기 랙기어가 하강하면 상기 수도관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분리되었다고 감지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랙기어를 하방향으로 미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랙기어의 상승시 상기 제1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수도관의 분리시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랙기어는 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도 검침단말기가 상기 수도관에 장착되었을 때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면서 도난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즉시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에 설치하고 난 후, 상기 체결감지센서를 통해 검침단말기가 수도관에 그대로 잘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진감지센서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수도관 등을 통해 전달되는 지진 등을 미리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습도센서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유입된 습기에 의해 수도 검침단말기가 오작동하거나 고장나는 것을 미리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수도관에 상기 본체를 쉽게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수도 검침단말기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되거나 도난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도록 하여 검침단말기를 배터리의 문제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도 2의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된 제2실시예에 따른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도 5의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의 측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의 측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의 측면구조도.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는, 본체(10)와, 입력부(11)와, 송신기(12)와, 배터리(13)와, 체결부재(20)와, 체결감지센서(30)와,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수도관(1)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와 외부가 차단되도록 밀봉된다.
상기 입력부(1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도관(1) 유량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본체(10)에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11)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무선 송신한다.
상기 배터리(1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11), 송신부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체결부재(20)는 상기 본체(10)를 상기 수도관(1)에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1)에 상기 체결부재(20)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부(11) 및 송신기(12)를 제어한다.
상기 체결감지센서(30)에서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부(11) 및 송신기(12)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도 검침단말기가 상기 수도관(1)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배터리(13)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20)를 통해 상기 본체(10)를 상기 수도관(1)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 체결감지센서(30) 및 제어부(40)에 의해 수도 검침단말기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1) 및 송신기(12)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30)에서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서 분리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송신기(12)를 통해 상기 서버에 도난신호를 발송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수도 검침단말기가 상기 수도관(1)에 체결된 상태에서, 도난 당했는지 여부를 관리자가 신속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수도관(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상기 수도관(1)에 접하면서 ON되어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 결합되었다고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감지센서(30)가 ON된 상태에서 갑자기 OFF가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송신기(12)를 통해 상기 서버에 수도 검침단말기의 도난신호를 발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지진감지센서(14), 습도센서(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진감지센서(14)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된다.
상기 체결감지센서(30)에서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지진감지센서(14)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지진감지센서(14)는 상기 수도관(1)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지진이 감지될 경우 상기 송신기(12)를 통해 서버에 관련정보를 전송함으로서, 관리자가 지진을 미리 감지 및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15)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와 외부가 밀봉되어 원칙적으로는 외부의 습기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습기 등이 유입될 수 있는데, 이를 그대로 방지하게 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유입된 습기 등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입력부(11), 송신기(12) 등의 각종 전기전자부품이 고장나거나 오작동할 우려가 높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습도센서(15)를 장착하여, 상기 습도센서(15)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습기가 과다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기(12)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습기가 기준값을 초과하여 유입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수도 검침단말기가 오작동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사전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0)는, 결합면부(21)와 밀착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면부(21)는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기 밀착부(2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면부(21)의 양측에서 상기 수도관(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면부(21) 및 상기 밀착부(22) 사이에 상기 수도관(1)이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22)의 끝단은 고정부재(50)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0)는 와이어, 볼트 및 너트 등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면부(21) 및 밀착부(22)는 일체로 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밀착부(22)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20)의 안쪽에 상기 수도관(1)을 삽입할 때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체결부재(20)는 강제 확장된다.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밀착부(22) 사이를 상기 수도관(1)이 지나게 되면, 상기 수도관(1)의 직경에 의해 상기 밀착부(2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상기 수도관(1)이 상기 체결부재(20)의 안쪽으로 배치되게 되면 탄성 변형되었던 상기 밀착부(22)는 복원되면서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고정부재(50)를 이용하여 상호 이격된 상기 밀착부(22)의 끝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서,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도 검침단말기가 상기 수도관(1)에 장착되었을 때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면서 도난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즉시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를 수도관(1)에 설치하고 난 후, 상기 체결감지센서(30)를 통해 검침단말기가 수도관(1)에 그대로 잘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진감지센서(14)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수도관(1) 등을 통해 전달되는 지진 등을 미리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습도센서(15)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유입된 습기에 의해 수도 검침단말기가 오작동하거나 고장나는 것을 미리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20)에 의해 상기 수도관(1)에 상기 본체(10)를 쉽게 체결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20)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50)에 의해 상기 수도 검침단말기가 상기 수도관(1)에서 분리되거나 도난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체결부재(2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체결부재(20)는 결합면부(21)와, 밀착부(22)와, 제1와이어(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면부(21)는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기 밀착부(2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면부(21)의 양측에서 상기 수도관(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상기 밀착부(22)는 상기 결합면부(21)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와이어(2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일단이 상기 결합면부(21)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밀착부(22)에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면부(21)의 안쪽과 상기 밀착부(22)의 안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수도관(1)이 상기 결합면부(21)와 밀착부(22)의 안쪽에 삽입 배치되게 되면, 그 안쪽에 있던 상기 제1와이어(23)는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휘어져 상기 밀착부(22)가 상기 수도관(1) 방향으로 회전되어 밀착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밀착부(22)의 끝단을 상기 고정부재(50)로 상호 체결한다.
위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도관(1)이 상기 체결부재(20)의 안쪽에 삽입 배치되면, 상기 제1와이어(23)에 의해 상기 밀착부(22)가 회전하면서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밀착된 한 쌍의 상기 밀착부(22)의 끝단을 상기 고정부재(50)로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23)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수도관(1)을 상기 체결부재(20)의 안쪽에 삽입하였을 때 팽창되고, 상기 수도관(1)을 상기 체결부재(20)에서 분리시키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밀착부(22)가 원위치로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1와이어(23)는 서로 크로스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제1와이어(23)는 중간 부위가 서로 교차되게, 상기 결합면부(21)에 연결되는 일단과 상기 밀착부(22)에 연결되는 타단이 상호 멀리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수도관(1)을 상기 체결부재(20)의 안쪽에 삽입할 때, 상기 밀착부(22)가 더욱 강하게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체결부재(2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체결부재(20)는 결합면부(21)와, 밀착부(22)와, 랙기어(24)와, 피니언기어(25)와, 토션스프링(26)과, 제2와이어(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면부(21)는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상기 밀착부(2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면부(21)의 양측에서 상기 수도관(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상기 밀착부(22)는 상기 결합면부(21)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랙기어(24)는 상기 결합면부(2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양측에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랙기어(24)는 상기 결합면부(21)를 관통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5)는 상기 랙기어(24)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랙기어(24)에 치합되고, 상기 결합면부(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토션스프링(26)은 상기 결합면부(21)와 상기 밀착부(22)의 회전 힌지점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밀착부(22)가 상기 체결부재(20)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다.
상기 제2와이어(27)는 일단이 상기 피니언기어(25)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부(2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와이어(27)의 일단은 상기 피니언기어(25)의 외주면에 감겨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면부(21)와 상기 밀착부(22) 사이에 상기 수도관(1)이 삽입 배치되면 하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던 상기 랙기어(24)는 상기 수도관(1)에 의해 밀려 상승하게 되고, 상기 랙기어(24)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랙기어(24)의 양측에 기어 결합된 상기 피니언기어(25)는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25)에 감겨있던 상기 제2와이어(27)가 풀리면서 상기 토션스프링(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밀착부(22)는 상기 수도관(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도관(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20)를 상기 수도관(1)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제1실시예에서 언급한 상기 고정부재(50)를 추가로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상기 랙기어(24)의 승강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체결부재(20)가 상기 수도관(1)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상기 랙기어(24)의 승강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랙기어(24)가 상기 수도관(1)에 의해 밀려 상승하면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상기 수도관(1)에 상기 체결부재(20)가 결합되었다고 감지하고, 상기 랙기어(24)가 하강하면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상기 수도관(1)에서 상기 체결부재(20)가 분리되었다고 감지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20)는, 상기 랙기어(24)를 하방향으로 미는 제1스프링(2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랙기어(24)의 상승시 상기 제1스프링(28)은 압축되고, 상기 수도관(1)의 분리시 상기 제1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랙기어(24)는 자동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도관(1)이 상기 체결부재(20)에서 분리되었을 때 상기 제1스프링(28)에 의해 상기 랙기어(24)가 하강하게 됨으로서, 상기 체결감지센서(30)는 하강된 상기 랙기어(24)를 감지하여 상기 수도관(1)에서 상기 체결부재(20)가 분리되었다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28)에 의한 상기 랙기어(24)의 하강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25)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제2와이어(27)를 감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와이어(27)에 연결된 상기 밀착부(22)는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의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는 자가발전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는, 파이프(60)와, 본체(10)와, 입력부(11)와, 송신기(12)와, 배터리(13)와, 자가발전모듈(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60)는 상기 수도관(1)에 연결되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파이프(60)의 외부에 장착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파이프(60)의 외부에 고정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20)를 통해 상기 파이프(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체결감지센서(3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1)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수도관(1) 유량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송신기(12)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11)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한다.
상기 배터리(1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11), 송신기(12)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자가발전모듈(70)은 상기 파이프(60)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6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물)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자가발전모듈(70)에 발생된 전기는 상기 배터리(13)에 충전된 후 상기 입력부(11) 및 송신기(12)에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시킨다.
상기 자가발전모듈(70)은, 수직지지대(71)와, 수평지지대(72)와, 블레이드(73)와, 발전기(74)와, 제1회전축(75)과, 제2회전축(76)과, 베벨기어부(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대(71)는 상기 파이프(6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대(72)는 상기 수직지지대(7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블레이드(73)는 상기 수평지지대(72)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6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발전기(74)는 상기 파이프(60)의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13)와 연결된다.
상기 제1회전축(75)은 상기 수직지지대(71)의 내부에 장착되고, 끝단이 상기 발전기(74)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회전축(76)은 상기 수평지지대(72)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블레이드(73)의 회전시 함께 회전한다.
상기 베벨기어부(77)는 상기 제1회전축(75)과 상기 제2회전축(76)을 연결하여, 상기 제2회전축(76)의 회전력이 상기 제1회전축(75)에 전달되어 상기 제1회전축(75)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73)에 의한 상기 제2회전축(76)의 회전시 상기 제1회전축(75)은 상기 베벨기어부(77)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발전기(74)를 작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발전기(74)에서 발생된 전기는 상기 배터리(13)에 충전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회전감지센서(80)와, 제어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질 수도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80)는 상기 블레이드(73)의 회전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입력부(11) 및 송신기(12)를 제어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80)에서 상기 블레이드(73)의 회전이 감지되지만 상기 배터리(13)에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송신기(12)를 통해 상기 자가발전모듈(70)의 에러신호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73)가 회전되어도 상기 배터리(13)에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즉 상기 자가발전모듈(70)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점을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관리자가 상기 자가발전모듈(70)의 점검을 신속하게 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73)는 유속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후방으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물을 많이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73)가 강한 유속에 의해 일부 접혀지면서 물이 상기 블레이드(73)의 방해없이 보다 잘 흐르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73)는 상기 제2회전축(76)에 후방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73)와 제2회전축(76) 사이에는 토션스프링(26) 등이 장착되어, 외력이 작을 때에는 상기 블레이드(73)가 토션스프링(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속에 의해 외력이 커지면 상기 블레이드(73)가 토션스프링(26)을 압축시키면서 일부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거나, 그에 맞는 구성을 채택하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가발전모듈(70)의 구성 및 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자가발전모듈(70)은, 수직지지대(71)와, 제3회전축(78)과, 블레이드(73)와, 자석(79a)과, 코일부(7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대(71)는 상기 파이프(6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3회전축(78)은 상기 수직지지대(7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블레이드(73)는 상기 제3회전축(78)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3회전축(78)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파이프(6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자석(79a)은 회전하는 상기 제3회전축(78)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회전축(78)의 회전시 상기 자석(79a)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코일부(79b)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79a)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13)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73)에 의한 상기 제3회전축(78)의 회전시 상기 자석(79a)은 상기 제3회전축(78)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자석(79a)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코일부(79b)에서 전기가 발생되게 된다.
상기 코일부(79b)는 상기 파이프(6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79b)는 밀봉된 상태로 상기 수직지지대(71)에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코일부(79b)의 내주면은 상기 자석(79a)과 이격되어 있고 외주면은 상기 파이프(6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자석(79a)의 회전시 상기 코일부(79b)에서는 열이 발생하여 상기 파이프(6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함으로서, 겨울철 수도관(1) 또는 파이프(6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별도의 열선을 상기 파이프(60)에 설치하여, 상기 자가발전모듈(70)에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열선을 발열시킴으로서, 동파를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블레이드(73)가 유속에 의해 접혀지는 구조는, 상기 제3회전축(78)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4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6실시예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자가발전모듈(70)의 구성 및 구조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자가발전모듈(70)은, 수직지지대(71)와, 제3회전축(78)과, 블레이드(73)와, 자석(79a)과, 코일부(79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대(71)는 상기 파이프(6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3회전축(78)은 상기 수직지지대(7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상기 블레이드(73)는 상기 제3회전축(78)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3회전축(78)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파이프(6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자석(79a)은 회전하는 상기 블레이드(73)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73)의 회전시 상기 자석(79a)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코일부(79b)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석(79a)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13)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73)의 회전시 상기 자석(79a)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자석(79a)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코일부(79b)에서 전기가 발생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4실시예 또는 제5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수도관,
10 : 본체, 11 : 입력부, 12 : 송신기, 13 : 배터리, 14 : 지진감지센서, 15 : 습도센서,
20 : 체결부재, 21 : 결합면부, 22 : 밀착부, 23 : 제1와이어, 24 : 랙기어, 25 : 피니언기어, 26 : 토션스프링, 27 : 제2와이어, 28 : 제1스프링,
30 : 체결감지센서,
40 : 제어부,
50 : 고정부재.
60 : 파이프,
70 : 자가발전모듈, 71 : 수직지지대, 72 : 수평지지대, 73 : 블레이드, 74 : 발전기, 75 : 제1회전축, 76 : 제2회전축, 77 : 베벨기어부, 78 : 제3회전축, 79a : 자석, 79b : 코일부,
80 : 회전감지센서.

Claims (10)

  1. 삭제
  2. 수도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수도관 유량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수도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와;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도난신호를 발송하며,
    상기 체결감지센서는 상기 본체에서 상기 수도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감지센서는 상기 수도관에 접하면서 ON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3. 수도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수도관 유량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수도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와;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지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도난신호를 발송하며,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진감지센서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4. 수도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수도관 유량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수도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와;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도난신호를 발송하며,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습기가 과다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5. 수도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수도관 유량계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입력부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를 상기 수도관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감지센서와;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 결합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입력부 및 송신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감지센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되었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에 도난신호를 발송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면부와;
    상기 결합면부의 양측에서 상기 수도관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면부 및 상기 밀착부 사이에 상기 수도관이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의 끝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수도관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부 및 밀착부는 일체로 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밀착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안쪽에 상기 수도관을 삽입할 때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체결부재는 강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결합면부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결합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면부의 안쪽과 상기 밀착부의 안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도관이 상기 결합면부와 밀착부의 안쪽에 삽입 배치될 때,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수도관의 외주면에 접하면서 휘어져 상기 밀착부가 상기 수도관 방향으로 회전되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8.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결합면부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양측에 기어가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결합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결합면부와 상기 밀착부의 회전 힌지점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밀착부가 안쪽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는 토션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피니언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밀착부에 결합되는 제2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면부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상기 수도관이 삽입 배치되면 하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던 상기 랙기어는 상기 수도관에 의해 밀려 상승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에 감겨있던 상기 제2와이어가 풀리면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밀착부는 상기 수도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도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체결감지센서는 상기 랙기어의 승강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체결감지센서는, 상기 랙기어가 상기 수도관에 의해 밀려 상승하면 상기 수도관에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었다고 감지하고, 상기 랙기어가 하강하면 상기 수도관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분리되었다고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10.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랙기어를 하방향으로 미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랙기어의 상승시 상기 제1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수도관의 분리시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랙기어는 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KR1020230005439A 2023-01-13 2023-01-13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KR10255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439A KR102557247B1 (ko) 2023-01-13 2023-01-13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439A KR102557247B1 (ko) 2023-01-13 2023-01-13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247B1 true KR102557247B1 (ko) 2023-07-20

Family

ID=8742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439A KR102557247B1 (ko) 2023-01-13 2023-01-13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2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8261A (ja) * 2011-09-29 2014-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装置
KR101489921B1 (ko) 2014-12-12 2015-02-06 유백천 수도 계량기 원격검침 장치
KR20150138010A (ko) 2014-05-30 2015-12-09 이창호 이동통신망과 고기능버퍼링기법을 이용한 상수도 중소구역 유량계데이터 실시간 원격감시장치 및 방법
KR101627793B1 (ko) 2014-11-28 2016-06-07 주식회사 유솔 상수도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8261A (ja) * 2011-09-29 2014-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装置
KR20150138010A (ko) 2014-05-30 2015-12-09 이창호 이동통신망과 고기능버퍼링기법을 이용한 상수도 중소구역 유량계데이터 실시간 원격감시장치 및 방법
KR101627793B1 (ko) 2014-11-28 2016-06-07 주식회사 유솔 상수도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제시스템
KR101489921B1 (ko) 2014-12-12 2015-02-06 유백천 수도 계량기 원격검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3408A1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208888271U (zh) 水泄漏检测器以及包括其的供水系统
US6470903B2 (en) Enhanced and remote meter reading with vibration actuated valve
US20130241727A1 (en) Detection and alarm system
EP3422319A1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7221282B1 (en) Wireless wastewater system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008089B1 (ko) 스마트미터링 기반 온도센서를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U2017248541B2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296295B1 (ko) 원격검침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수도 계량기 및 디지털 수도 계량기 관리 시스템
JP2008514917A (ja) ユーティリティ計測及び漏れ検出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121662A (ja) モニタ流体のリーク検出システム
KR101827949B1 (ko) 수도계량기용 누수감지장치
WO2022125719A1 (en) Flood monitoring unit and system
KR102495230B1 (ko) 통신 출력 횟수 확인을 위한 카운터 단말기
KR102557247B1 (ko) 도난방지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EP2483638A1 (en) Utility remote disconnect from a meter reading system
KR102557254B1 (ko) 수도관 체결형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KR102557255B1 (ko) 자가발전형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KR20130065949A (ko) 수도 및 도시가스 유속압력을 이용한 수도관 보온시스템
KR102679261B1 (ko) 전력 기반 안전관리 시스템
GB2447903A (en) Water leak alarm for premises using acoustic signal sent from water meter
US9360871B1 (en) Integrated fluid flow management apparatus
EP1995533A2 (en) A boiler monitoring device
KR10036383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아파트 관리시스템
US20220270468A1 (en) Apparatus and systems for flood/moisture detection and no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