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152B1 -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152B1
KR102557152B1 KR1020210091057A KR20210091057A KR102557152B1 KR 102557152 B1 KR102557152 B1 KR 102557152B1 KR 1020210091057 A KR1020210091057 A KR 1020210091057A KR 20210091057 A KR20210091057 A KR 20210091057A KR 102557152 B1 KR102557152 B1 KR 10255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account
server
linked
partn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146A (ko
Inventor
홍종열
Original Assignee
홍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열 filed Critical 홍종열
Priority to KR102021009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1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06Q20/085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involv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도급자와 근로자 및 장비자재업자 등의 대금 지급을 보장하기 위해 은행권에 설정하는 인출제한계좌의 등록이 필요 없도록 하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주자, 원사업자, 수급사업자 및 2차 수급사업자 간의 발주 및 하도급 거래시에, 종래의 고정계좌, 선금계좌, 노무비계좌 등 '인출 제한 계좌'의 등록 및 계좌검증 등, 복수의 계좌를 하나의 계약에 연계하여 등록하는 복잡한 금융기관 연계 전자적 대금지급시스템을 개선하여, 전자적 시스템을 통한 대금지급청구와 이에 대한 대금지급업무 프로세스를 간소화 및 간편화하여 효율성 및 지급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DIRECT PAY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WITHOUT WITHDRAWL LIMIT ACCOUNT}
본 발명은 하도급자와 근로자, 장비사업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대금 지급을 보장하기 위해 은행권에 발급해주는 인출제한계좌의 등록이 필요 없도록 하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산업구조는 대부분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한 협력사와 판매 및 구매 네트웍이 구축되어 있고, 대기업과 중소 협력사간의 계약, 발주, 납품, 대금청구, 대금지급이라는 거래사이클이 형성된다.
특히 대기업의 구매프로세스에서 상대적으로 열위한 협력사의 하위사업자에 대한 납품대금의 적기 지급여부는 기업 간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있고,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하도급 공정화에 관한 법률 등 다양한 관련 규정이 제정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공기관은 중소 하도급자와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하도급대금 지급확인제도와 노무비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도에 근거하여 공공기관의 발주 건을 수주한 원도급자와 이를 하도급 받은 하도급자가 하도급대금과 노무비를 금융기관의 시스템과 연계하여 대금을 전자적으로 지급하고 관리하는 '전자적 대금지급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민간 건설기업 역시 협력사의 노무비 지급내역을 관리하고 이를 평가하여 건설사간 상호협력평가 및 공공입찰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는 등 하도급자와 근로자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 규정으로는 공공에서는 하도급대금 지급확인제도, 노무비구분관리 및 지급확인제도, 전자조달법과 건설산업기본법 등에서 규정한 전자적 대금지급확인시스템 등이 있으며, 민간에서는 건설업자간 상호협력평가 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전자적 대금지급시스템이 있다.
종래의 전자적 대금지급확인시스템 또는 대금지급시스템을 예시한 도 1은 이러한 전자적 대금지급시스템의 업무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발주자와 원도급자, 하도급자의 계약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금지급에 대한 사항은 전자적 대금 지급확인시스템과 은행권과 통신연계를 위한 결제 중계 시스템을 도입하여 구현되고 있다. 이 경우, 원도급자와 하도급자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과 전자적으로 연계된 제휴은행에서 발주자와 원도급자가 지급하는 대금을 각각 수령하고 하위사업자에게 대금을 지급하기 위한 고정계좌, 선금계좌, 노무비계좌, 일반계좌 등 대금지급확인시스템과 연계된 복수의 계좌를 각 주체별로 등록을 해야 하며, 이중 고정계좌와 선금계좌 및 노무비계좌는 업체가 임의로 대금을 인출할 수 없는 '인출제한계좌'에 해당하며, 이러한 인출제한계좌의 등록은 매우 까다로운 절차를 통해 설정되게 되며, 일단 등록이 되는 경우, 계좌의 소유주라도 대금지급시스템을 통해 정식으로 승인된 경우 외에는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발주자나 원도급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자의 지위에 있는 하도급자, 근로자, 장비사업자, 자재업자들이 수령할 대금의 지급보장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해당 주체별로 각각의 고정계좌, 선금계좌, 노무비계좌 등 인출제한계좌를 등록하여야 하는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주체별로 지급보장을 위한 전용 계좌(인출제한계좌)의 등록은 매우 까다로운 절차이며, 지급을 위해 이러한 개별적인 인출 제한 계좌를 통해 지급방식은 지급의 프로세스를 어렵게 하여, 그 실효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종래의 전자적 대금지급확인시스템 또는 대금지급시스템에서는 은행시스템 연계로 인한 대금지급 및 지급확인업무의 부담이 증대되고, 인출제한 계좌 등록 등으로 인한 대금지급 및 확인업무 절차의 번잡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계좌이체 수수료 증대로 인한 비용부담 가중의 문제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해결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기존 지급 프로세스에서 원도급자나 하도급자의 전용계좌(인출제한계좌) 중 어느 하나라도 압류, 가압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하위에 있는 하도급자 또는 근로자, 장비사업자, 자재업자들이 수령할 대금의 지급보장이 불가능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751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발주자, 원사업자, 수급사업자 및 2차 수급사업자 간의 발주 및 하도급 거래시에, 종래의 '인출 제한 계좌'의 등록 등, 복수의 계좌를 하나의 계약에 등록하는 복잡한 금융기관 연계 전자적 대금지급시스템을 개선하여, 전자적 시스템을 통한 대금지급청구와 이에 대한 대금지급업무 프로세스를 간소화 및 간편화하여 효율성 및 지급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하도급 대금지급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뱅킹시스템과의 연계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인출제한 계좌 등록이 필요 없이 발주자가 직접 대금을 지급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대금지급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금지급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단말의 계약정보를 관리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 관리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인 정보의 위변조 방지를 통한 대금청구 및 지급 관련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은행시스템 연계 시의 대금지급 및 지급확인업무 부담과 인출제한 계좌 등록 등으로 인한 대금지급 및 확인업무 절차의 번잡함을 줄이고, 은행시스템 연계 및 인출제한 계좌를 활용한 발주자의 하도급사, 근로자, 장비자재업자에 대한 간접적 지급을 수행하는 절차를 개선하며, 계좌이체 수수료 증대로 인한 비용부담을 줄이고자 한다.
또한, 종래의 전자 대금지급시스템은 국가별 금융업무 규정과 은행별 뱅킹시스템의 구조가 상이하여 타 국가에 보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세계 표준 대금지급 및 대가지급 확인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시스템하에 발주자서버, 1차 협력사 단말 및 2차 협력사 단말이 대금지급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화하여 공유하되,
2차협력사 단말에서 전송되는 대금청구정보를 수신받아 확인하고 승인하는 1차협력사 단말;
상기 1차 협력사 단말에서 전송받은 대금청구정보를 바탕으로 대금청구정보에 대한 승인과 대금지급지시를 발신하는 발주자 서버;
상기 발주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대금지급정보 및 대금지시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지급지시를 수행하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 및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전송되는 대금 지급 지시를 수신받아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에 대금을 이체시키고, 유효한 대금지급 지시가 오면,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를 통해 상기 1차 협력사 단말 및 상기 2차 협력사 단말 각각에 직접 대금 지급을 수행하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
를 포함하는,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주자, 원사업자, 수급사업자 및 2차 수급사업자 간의 발주 및 하도급 거래시에, 종래의 고정계좌, 선금계좌, 노무비계좌 등의 '인출 제한 계좌'의 등록 및 계좌검증 등, 복수의 계좌를 하나의 계약에 등록하는 복잡한 금융기관 연계 전자적 대금지급시스템을 개선하여, 전자적 시스템을 통한 대금지급청구와 이에 대한 대금지급업무 프로세스를 간소화 및 간편화하여 효율성 및 지급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인 정보의 위변조 방지를 통한 대금청구 및 지급 관련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은행시스템 연계 시의 대금지급 및 지급확인업무 부담과 인출제한 계좌 등록과 계좌검증 등으로 인한 대금지급 및 확인업무 절차의 번잡함을 줄이고, 은행시스템 연계 및 인출제한 계좌를 활용한 발주자의 간접적 직접지급효과가 직접 지급으로 개선되며, 계좌이체 수수료 증대로 인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적 대금지급시스템은 국가별 금융업무 규정과 은행별 뱅킹시스템의 구조가 상이하여 타 국가에 보급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세계 표준 전자적 대금지급시스템 및 대금지급 확인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급할 수 있다.
특히, 원도급자와 하도급자의 인출제한계좌(전용계좌)를 통해 지급하는 간접적 지급 방식에서 벗어나, 대금지급시스템 확인서버와 대금지급시스템 연계 제휴은행 연계서버를 이용하여 원도급자와 하도급자 명의의 계좌를 거치지 않고 하도급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의 지급이 직접 이루어지는 직불제 방식을 취하게 되어 원도급자 또는 하도급자의 계좌가 압류, 가압류되어도 하위에 속하는 업체의 하도급대금은 물론,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도 청구한 내역대로 바로 지급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구현된다.
또한, 원도급자와 하도급자 명의의 계좌를 거치지 않고 하도급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의 지급이 직접 이루어지게 되어, 원도급자와 하도급자가 대금지급 보증서 발급 및 제출 면제 대상이 되어 보증수수료를 경감할 수 있으며, 원도급자와 하도급자가 은행을 직접 방문하여 발급받는 인출제한계좌(전용계좌)의 발급과 등록 오류에 따른 대금의 지연 지급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지급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적 대금지급확인시스템의 구성 흐름도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업무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시스템 구조에서 3차 협력사 단말을 추가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주자는 제조, 수리, 건설시공 또는 용역수행을 원사업자에게 도급하는 자를 말하고, 1차 협력사는 원사업자를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발주자로부터 제조, 수리, 건설위탁 또는 용역위탁을 받은 것을 수급사업자에게 다시 위탁한 경우 그 위탁을 한 자를 말한다. 상기 발주자의 대금지급관련 업무 처리는 발주자 서버를 통해 수행되고, 1차 협력사 및 2차 협력사, 또는 3차 협력사 등의 하위 사업자들의 경우 개별 단말을 통해 상기 발주자 서버와 통신하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대금 관련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대금 지급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는 블록체인화 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차 협력사는 수급사업자를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1차 협력사인 원사업자로부터 위탁을 받은 사업자를 말하고, 3차 협력사는 2차 수급사업자를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로자 및 수급사업자로부터 위탁을 받은 장비임대자, 자재납품자 등의 사업자를 말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하도급거래는 원사업자에게 위탁을 받은 수급사업자가 위탁받은 것을 제조, 수리, 시공하거나 용역 수행하여 원사업자에게 납품, 인도 또는 제공하고 그 대가로서 하도급대금을 받는 행위를 말하고, 재하도급거래는 수급사업자(2차 협력사)와 2차수급사업자(3차 협력사)간의 거래를 말하며, 대금지급은 하도급거래 또는 재하도급거래에 따라 하도급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등의 대가를 지급하는 행위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이하, ' 본 시스템'이라 한다.) 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업무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시스템 구조에서 3차 협력사 단말을 추가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이하에서는, 도 3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은 발주자 서버(110), 1차 협력사 단말(120), 2차 협력사 단말(130), 대금지급 확인시스템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시스템은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시스템하에 발주자서버, 1차 협력사 단말 및 2차 협력사 단말이 대금지급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화하여 공유하되, 2차협력사 단말(130)에서 전송되는 대금청구정보를 수신받아 확인하고 승인하는 1차협력사 단말(120), 상기 1차 협력사 단말(120)에서 전송받은 대금청구정보를 바탕으로 대금청구정보에 대한 승인과 대금지급지시를 발주자 제휴은행서버(160)에게 발신하는 발주자 서버(110), 상기 발주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대금지급정보를 관리하고 1차협력사 단말(120)과 2차협력사 단말(130)에게 전송되는 대금지시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지급지시를 수행하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150), 상기 발주자서버에서 전송되는 대금지급 지시를 수령받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 등록된 전용계좌로 대금이체를 수행하는 발주자 제휴은행 서버(160) 및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전송되는 대금 지급 요청정보를 수신 받아 관리하는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서 상기 1차협력사단말 과 2차 협력사 단말 각각에 직접 대금지급을 수행하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 상기 2차 협력사 단말(130)은 1차 협력사인 원사업자로부터 위탁을 받은 사업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2차 협력사 단말(130)은 대금청구정보를 1차 협력사 단말로 전송하고 승인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1차 협력사 단말(120)은 발주자 서버(110)로부터 제조, 수리, 건설위탁 또는 용역위탁을 받은 것에 대하여 상기 발주자 서버(110)로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고, 이후 발주자 서버로부터 이를 등록하고 승인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발주자서버가 대금청구정보를 바탕으로 대금지급정보를 형성하여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150)에 등록하고, 이후 대금지급확인 시스템서버에서 이를 확인하고, 발주자 제휴은행 서버(160)에게 대금지급을 요청하게 되면, 발주자 제휴은행서버(160)는 본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체가 결부된 계약 건에 대한 대금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가 관리하는 전용계좌(공용계좌)로 이체하게 된다.
이후, 대금지급은 1차 협력사단말 및 2차 협력사단말에서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로 대금지급 요청을 하게 되면, 대금지급확인시스템서버는 청구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 대금지급 요청을 하게 되고,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는 관리하는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서 1차 협력사단말 및 2차 협력사단말로 직접 지급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전자 대금지급시스템 구조에서, 1차 협력사단말 및 2차 협력사 단말의 주체는 각각의 주체별로 해당 거래에 사용할 복수의 인출제한계좌(전용계좌)를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제휴은행에서 발급받고 대금지급확인시스템에 등록하여야 하며, 대금 지급의 경우에도 해당 전용계좌를 통해서만 각각 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복잡한 절차가 예비되고, 수행 시에도 계좌검증 절차 등의 복잡한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나, 본 시스템의 경우, 대금 지급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서 각 주체의 일반계좌로 직접 대금지급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차별적인 특징을 구현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원도급자와 하도급자의 인출제한계좌(전용계좌)를 통해 지급하는 간접적 지급방식에서 벗어나, 대금지급시스템 확인서버와 대금지급시스템 연계 제휴은행 연계서버를 이용하여 원도급자와 하도급자 명의의 인출제한계좌를 거치지 않고 하도급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의 지급이 직접 이루어지는 직불제 방식을 취하게 되어 원도급자 또는 하도급자의 인출제한계좌(전용계좌)가 압류, 가압류 되어도 하위에 속하는 업체의 하도급대금은 물론,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도 청구한 내역대로 바로 지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2차협력사 단말이나 1차 협력사 단말에서 상위 주체로 전송되는 '대금청구정보'는 비용에 관련된 지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금청구정보에 해당 대금청구와 매칭되는 업무수행내역서나 계약서, 세부 수행사항들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금청구정보의 등록은 순차적으로 하위 협력사 단말에서 상위 협력사 단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최종 발주자 서버에서 등록하고 확인 승인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에 대한 정보 관리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저장하며, 블록체인화 하여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시스템에서는 하위 협력사 단말이 1차 및 2차 협력사 단말을 예시하고 있으나, 3차 협력사 단말이 추가되어 하위 업체 단말이 추가되는 것은 자명하다할 것인 바, 상세한 설명을 부연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주자, 원사업자, 수급사업자 간의 대금청구 및 지급 시에 종래의 복잡한 금융기관 연계 전자 대금지급 시스템을 개선하여, 대금지급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뱅킹시스템과의 연계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인출제한 계좌 등록이 필요 없이 발주자의 직접 대금지급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대금지급확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을 적용하는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방법(이하, '본 발명' 이라 한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2차 협력사 단말에서 1차협력사 단말로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1차협력사 단말에서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승인하는 1단계와, 상기 1차협력사단말에서 발주자 서버로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발주자 서버에서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승인하는 2단계, 상기 발주자 서버에서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키는 3단계,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등록된 대금청구정보를 기준으로 발주자서버에서 발주자 제휴은행서버로 상기 1차협력사 단말 및 상기 2차협력사 단말에 지급할 대금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로 이체하도록 지급지시를 전송하는 4단계, 상기 발주자 제휴은행서버에서 상기 지급지시에 준하는 대금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전용계좌(공용계좌)에 이체하는 5단계 및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가 대금지급확인시스템서버에서 수신한 1차 협력사단말 및 2차 협력사단말에서 요청한 대금지급정보를 근거로 상기 1차 협력사단말 및 2차 협력사단말로 승인된 대금을 직접 지급하는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1단계 및 2단계: 대금청구정보의 등록과 승인
상기 1단계와 2단계는 각협력사 단말이 순차로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고 등록하며, 이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이며, 본 발명에서는 1차협력사 단말과 2차 협력사 단말이 하순위 계약자로 예시되었으나, 추가로 3차 협력사 단말 등의 주체가 증가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순차 전송 및 등록의 과정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협력사 단말이란, 유무선통신(인터넷 통신 포함)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컴퓨터일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협력사 단말은, 유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일예로, 협력사 단말은, 모바일 또는 휴대용이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타입의 컴퓨터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특히, UE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모바일 텔레폰들 또는 스마트 폰들(예컨대, 아이폰(iPhone)™,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 폰들),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예컨대, 닌텐도(Nintendo) DS™,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layStation Portable)™, 겜보이 어드밴스(Gameboy Advance)™, 아이폰™),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예컨대, 스마트워치, 스마트 안경), 랩톱들, PDA들, 휴대용 인터넷 디바이스들, 음악 플레이어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UE" 또는 "UE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퓨팅,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함하도록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2) 3단계: 발주자서버와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의 작용
3단계는 하위 협력사 단말에서 전송되는 대금청구정보를 발주자서버에서 승인하는 과정과 발주자 서버에서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 이를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대금청구정보는 상술한 것과 같이, 비용에 관련된 지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금청구정보에 해당 대금청구와 매칭되는 업무수행내역서나 계약서, 세부 수행사항들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대금청구정보 등의 거래 정보는 발주자 서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 각 주체별 단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베이스등의 저장매체를 블록체인화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록체인화하여 관리되는 단말 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서버에서 저장처리되는 정보를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저장공간이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주체별 협력사 단말이 사용하는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망(network)으로서, 통신사에서 설치 운영하는 이동통신망(3G망, 4G망, 5G망, WiBro망, LTE망 포함), 인터넷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을 포함할 수 있다.
3) 4단계 및 5단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전용계좌(공용계좌)로 대금이체
본 발명에서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등록된 발주자서버에서 승인된 대금청구정보를 기준으로 발주자 제휴은행서버에서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로 상기 1차협력사 단말 및 상기 2차협력사 단말에 지급할 대금을 이체하도록 지급지시를 전송하고, 이후, 상기 발주자 제휴은행서버에서 상기 지급지시에 준하는 대금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전용계좌로 이체하는 과정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특히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전용계좌에서 상기 1차협력사 단말 및 상기 2차 협력사 단말로 승인된 대금을 직접 지급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바, 각 해당되는 협력사 단말에는 전용계좌가 필요없게 되며, 일반적인 은행계좌로도 입금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지급보장이 본 발명의 시스템 상에서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방식의 정보 보안 체계와 대금지급에 대한 확인과 승인, 지급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전용계좌를 통해서 직접 지급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협력사 단말이나 발주자 측에서 기존과 같이 전용계좌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이 일소되게 되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간소화와 효율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특히, 4단계의 과정으로,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등록된 대금청구정보를 기준으로 발주자서버에서 발주자 제휴은행서버에게 상기 1차협력사 단말 및 상기 2차협력사 단말에 지급할 대금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로 이체하도록 지급지시를 전송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이에, 상기 4단계는, 그 예비적인 단계로,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 전송되는 지급지시에 대하여,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1차 협력사 단말에게 발주자 단말에서 지급할 대금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1차 협력사 단말에서 이를 확인하는 4-1 단계와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2차 협력사 단말에게 1차 협력사 단말에서 지급할 대금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2차 협력사 단말에서 이를 확인하는 4-2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인 정보의 위변조 방지를 통한 대금청구 및 지급 관련정보의 신뢰성 확보할 수 있으며, 은행시스템 연계 시의 대금지급 및 지급확인업무 부담과 인출제한 계좌 등록 등으로 인한 대금지급 및 확인업무 절차의 번잡함을 줄이고, 은행시스템 연계 및 인출제한 계좌를 활용한 발주자의 간접적 직불효과가 발주자의 직접 지급으로 개선되며, 계좌이체 수수료 증대로 인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도급자 및 하도급자 명의의 인출제한계좌를 거치지 않고 하도급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의 지급이 직접 이루어지게 되어, 원도급자와 하도급자가 대금지급 보증서 발급 및 제출 면제 대상이 되어 보증수수료를 경감할 수 있으며, 계좌오류에 따른 대금지연 지급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지급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4) 선지급 방식에의 적용 확장성 보장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원도급자와 하도급자 명의의 인출제한계좌(전용계좌)인 고정계좌 등의 발급, 등록, 계좌검증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도 전체 구성 주체들에게 지급을 보장하는 대금지급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를 활용하여 각 주체에게 직접 지급이 가능한 구조의 직불제 방식의 특징을 구현할 수 있음을 상술하였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해당주체, 이를 테면, 원도급자는 발주자가 대금을 지급하기 이전에 하도급자에게 자기 자금으로 선지급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금지급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를 활용하여 선지급 구조를 구현하는 것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도 3의 구조를 참조하여 이러한 선지급 청구 보장의 확장성을 설명하면, 원도급자 단말에 해당하는 1차협력사단말(120)에서 발주자가 원도급대금을 지급하기 이전에 선지급금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를 상정하기로 하는 데. 이런 경우를 보통 민간기성(私기성)이라 하며 매우 일반적인 현상인 바, 원도급자는 기성증빙 자료 등의 과다로 인하여 보통 3개월에 한번씩 발주자에게 대금을 청구하고, 하도급자는 인건비 등을 매월 현금으로 지급해야 함으로 최소 1개월에 한번씩 원도급자에게 청구하는 공사현장의 구조적 문제 즉, 청구 및 대금지급주기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일반적 현상이다.
이 경우, 1차협력사단말(120)에서는 대금지급확인서버(150)에 선지급금 이체를 요청하게 되며, 대금지급확인서버에서는 이러한 원도급자의 선지급금 이체요청에 대한 적정성 판단을 하여 문제가 없는 경우, 대금지급확인서버는 1차협력사단말에서 대금지급시스템 제휴은행 서버(170)로 선급금을 이체할 수 있는 선지급금 이체용 계좌를 제공한다.
이 경우, 1차협력사단말(120)에서 상기 선지급금 이체용 계좌에 현금으로 입금하게 되면, 대금지급시스템 제휴은행 연계서버(170)로 상기 현금이 집금되고, 집금된 현금은 대금지급시스템 제휴은행 연계서버에서 제2협력사단말(130)에 직접 지급하게 된다.
이렇게 발주자의 대금을 지급 이전에 원도급자가 하도급자에게 선지급된 금액은 추후, 발주자의 대금지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대금지급시스템 제휴은행 연계서버(170)에 대금이 추후 입금이 이루어지게 되면, 선지급된 현금의 액수만큼 정산처리가 수행되어 원도급자가 자기 몫으로 수령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인출제한계좌방식을 취하지 않더라도, 대금지급시스템 확인서버(150)와 대금지급시스템 제휴은행 연계서버 (170)를 적용하여 직불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원도급자가 선지급하는 금액이 하도급자에게 안정적으로 지급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확장성이 보장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하도급자가 장비업자, 자재업자, 근로자에게 선지급하는 금액 역시 동일한 방식과 구조로 안정적으로 지급보장 될 수 있는 확장성이 보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발주자 서버
120: 1차 협력사 단말
130: 2차 협력사 단말
140: 3차 협력사 단말
150: 블록체인 기반 대금지급 확인 서버
160: 발주자 제휴은행 서버
170: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

Claims (1)

  1. 발주자, 원도급자, 하도급자의 계약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적 대금 지급확인시스템에서, 제휴은행에서 발주자와 원도급자가 지급하는 대금을 수령하고 하위사업자에게 대금을 지급하기 위한 고정계좌, 선금계좌, 노무비 계좌, 일반계좌와 같이 대금지급시스템과 연계된 복수의 계좌 중, 고정계좌와 선금계좌 및 노무비계좌를 포함하는 임의의 대금지급을 인출할 수 없는 인출제한계좌의 등록이 선행되어야 하는 대금지급시스템의 구조에서,
    발주자 서버와 1차협력사 단말 및 2차 협력사 단말이 상호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하에서, 상기 1차협력사 단말 및 2차 협력사 단말에 연계되는 각각의 인출제한계좌 등록을 하지 않고 하도급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을 구현하고,
    대금지급시스템 확인서버와 대금지급시스템 연계 제휴은행 연계서버를 이용하여 원도급자와 하도급자 명의의 인출제한계좌를 거치지 않고, 별도의 인출제한 계좌 등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 하도급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의 지급이 직접 이루어지는 직불제 방식을 구현하도록 하여, 원도급자 또는 하도급자의 계좌가 압류, 가압류 되어도, 하도급 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의 지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구현하되,

    상기 방법은,
    1단계로서,
    2차 협력사 단말에서 1차협력사 단말로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포함하는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1차협력사 단말에서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승인하되,
    상기 대금청구정보는 비용에 관련된 지급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것으로, 대금청구와 매칭되는 업무수행내역서, 계약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대금청구정보의 등록은 순차적으로 하위 협력사 단말에서 상위 협력사 단말로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발주자 서버에서 저장하며, 블록체인화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하며,
    2차 협력사 단말에서 1차협력사 단말로 2차 협력사 본인이 직접 인출제한 전용계좌를 등록하지 않고,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포함한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1차협력사 단말에서 상기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포함한 대금청구정보를 승인하는 1단계;와,

    2단계로서,
    상기 1차협력사단말에서 발주자 서버로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포함하는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발주자 서버에서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승인하는 단계로,
    상기 1차협력사단말에서 발주자 서버로 1차 협력사 본인이 직접 인출제한 전용계좌를 등록하지 않고,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포함한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발주자 서버에서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포함한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승인하는 2단계;

    상기 발주자 서버에서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 상기 대금청구정보를 전송하여 등록시키는 3단계;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등록된 대금청구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발주자서버에서 발주자 제휴은행서버(160)에 상기 1차협력사 단말 및 상기 2차협력사 단말에 지급할 대금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집금용 전용계좌(공용계좌)'로 이체하도록 지급지시를 전송하는 4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4단계의 예비적 단계로,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 전송되는 지급지시에 대하여,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1차 협력사 단말에게 발주자 단말에서 지급할 대금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1차 협력사 단말에서 이를 확인하는 4-1 단계와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2차 협력사 단말에게 1차 협력사 단말에서 지급할 대금내역을 전송하고 상기 2차 협력사 단말에서 이를 확인하는 4-2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주자 제휴은행서버(160)에서 상기 지급지시에 준하는 대금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에 이체하는 5단계; 및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결제중계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압류가 불가능한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관리하는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 상기 1차 협력사 단말 및 상기 2차 협력사 단말 각각에 연계되는 일반계좌로 승인된 대금을 직접 지급하는 6단계;를 포함하여,

    대금 지급을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압류가 불가능한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집금용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서 각 주체의 일반계좌로 직접 대금지급을 구현하도록 하며,
    대금지급시스템 확인서버와 대금지급시스템 연계 제휴은행 연계서버를 이용하여 원도급자와 하도급자 명의의 인출제한계좌를 거치지 않고, 별도의 인출제한 계좌 등록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고 압류되지 않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 하도급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의 지급이 직접 이루어지는 직불제 방식을 구현하도록 하여, 원도급자 또는 하도급자의 계좌가 압류, 가압류 되어도, 하도급 대금, 노무비, 장비대금, 자재비의 지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유무선통신이 가능한 시스템하에 발주자서버, 1차 협력사 단말 및 2차 협력사 단말이 대금지급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화하여 공유하되,
    2차협력사 단말에서 전송되는 대금청구정보를 수신받아 확인하고 승인하는 1차협력사 단말;
    상기 1차 협력사 단말에서 전송받은 대금청구정보를 바탕으로 대금청구정보에 대한 승인과 대급지급지시를 발신하는 발주자 서버;
    상기 발주자 서버에서 전송되는 대금지급정보 및 대금지시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지급지시를 수행하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 및
    상기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서버에서 전송되는 대금 지급정보를 기준으로 발주자서버에서 발주자 제휴은행서버에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고 압류되지 않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서,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고 압류되지 않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에 대금을 이체시키고,
    유효한 대금지급 지시가 오면,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170)에서 관리하는 '해당 계약건에 매칭되고 압류되지 않는 유일한 시스템 연계 전용계좌(공용계좌)'를 통해 상기 1차 협력사 단말 및 상기 2차 협력사 단말 각각에 연계되는 일반계좌로 직접지급을 수행하되, 상기 일반계좌는 '인출제한 전용계좌가 아닌 일반 은행의 일반계좌'로 직접 대금 지급을 수행하는 대금지급확인시스템 연계 제휴은행서버;를 포함하여,
    뱅킹시스템과의 연계하지 않고, 인출제한 계좌 등록없이, 발주자의 직접 대금지급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KR1020210091057A 2018-06-15 2021-07-12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KR10255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57A KR102557152B1 (ko) 2018-06-15 2021-07-12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8538 2018-06-15
KR1020190070483A KR20190142251A (ko) 2018-06-15 2019-06-14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KR1020210091057A KR102557152B1 (ko) 2018-06-15 2021-07-12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483A Division KR20190142251A (ko) 2018-06-15 2019-06-14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146A KR20210090146A (ko) 2021-07-19
KR102557152B1 true KR102557152B1 (ko) 2023-07-19

Family

ID=691035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483A KR20190142251A (ko) 2018-06-15 2019-06-14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KR1020210091057A KR102557152B1 (ko) 2018-06-15 2021-07-12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483A KR20190142251A (ko) 2018-06-15 2019-06-14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1422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94B1 (ko) * 2020-05-08 2020-12-31 강도혁 건설 규제를 간소화하기 위한 실시간 건설 공사대금 지급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232545B1 (ko) 2020-09-23 2021-03-25 김재춘 건설공사 대금의 선지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97510B1 (ko) * 2021-02-23 2023-11-02 (주)결제전산원 발주처 선급금의 효율적인 관리 및 지급 처리방법
KR102662748B1 (ko) * 2021-07-19 2024-04-30 주식회사 신한은행 대금 지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34B1 (ko) * 2011-10-20 2013-06-10 주식회사 페이컴스 금융기관 연계 대가지급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0167B1 (ko) 2013-04-25 2015-05-13 주식회사 우리은행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80022335A (ko) * 2016-08-24 2018-03-06 김진오 중앙분산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 거래 단말 장치 및 거래 서버 장치,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251A (ko) 2019-12-26
KR20210090146A (ko)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573B2 (en) Method for paying cost of IoT device based on blockchain and merkle tree structure related thereto, and server, service providing terminal, and digital wallet using the same
KR102557152B1 (ko) 인출제한계좌 등록이 필요 없는 대금 직접지급시스템
US20160328705A1 (en) Mediated conversion of cryptographic currency and other funding sources to gold
WO2021098251A1 (zh) 基于区块链的资产数字凭证支付清算方法及装置和介质
WO2021143081A1 (zh) 区块链供应链金融平台的数字化运作方法及其装置
JP2002541601A (ja) 個人対個人、個人対会社、会社対個人、及び会社対会社の金融トランザクションシステム
KR100773918B1 (ko) 모바일 전자지갑의 결제기능을 이용한 대금 청구 및 납부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1098252A1 (zh) 基于区块链的资金数字化流转支付清算方法及装置和介质
JP5550630B2 (ja) 電子マネーサーバ、電子マネー処理方法及び電子マネー処理プログラム
US202103124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redential tokenization
KR102472450B1 (ko) 전자지갑을 이용한 결제대금 즉시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510472B2 (ja) 決済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2952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icro-transactions in a digital asset network via digital tokens
KR100875246B1 (ko) 대출정보 제공 시스템
JP5852636B2 (ja) マンション管理会社向け振込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394527B1 (ko) 부가가치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지불방법
KR20140134975A (ko) 카드 매출 데이터를 이용한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대출 서비스 제공 서버
TW202022736A (zh) 跨境繳費系統
KR20140112843A (ko)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090114278A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교통요금 자동 충전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기록매체
Cai et al. Use Cases and Detailed Explanation of Enterprise-Level Blockchain
KR101670500B1 (ko) 원장 이탈착을 통한 일시적 금융혜택 제공 방법
KR20090001953A (ko) 실물상품 선이자 지급을 통한 예금(또는 적금)계좌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40112842A (ko)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568413B1 (ko) 자금 오퍼링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