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446B1 - 서버 랙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랙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446B1
KR102556446B1 KR1020200162967A KR20200162967A KR102556446B1 KR 102556446 B1 KR102556446 B1 KR 102556446B1 KR 1020200162967 A KR1020200162967 A KR 1020200162967A KR 20200162967 A KR20200162967 A KR 20200162967A KR 102556446 B1 KR102556446 B1 KR 10255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ate
electronic
electronic locker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445A (ko
Inventor
권성근
전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전네트웍스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전네트웍스,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전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16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4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98Resource management, Optimisation arrangements, e.g. configuration, identification, tracking, physical lo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유선 통신 회로와, 디스플레이와,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복수의 서버 랙(server rack)들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 락커(locker)들을 각각 지시하기(indicate) 위한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 중 하나의 시각적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유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상기 시각적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전자 락커의 상태를 오픈(ope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유선 통신 기법에 따라 레이어 2 스위치를 통해 중간 노드인 제1 지그비(zigbee) 송수신기(transceiver)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시각적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지그비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전자 락커 내의 제2 지그비 송수신기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를 야기할 수 있고(cause), 상기 제2 지그비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자 락커를 야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랙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LOCKER INCLUDING SERVER RACK}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버 랙(server rack)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electronic locker)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5.4가 커버하는 계층의 상위 계층을 위해, 지그비(zigbee) 통신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지그비 통신은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상에서 신호를 교환하기 때문에 듀티 사이클(duty cycle)이 낮은 환경에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그비 통신은 홈 네트워크, 빌딩, 및 산업 기기의 자동화, 컴퓨터 주변 장치의 연결, 가전제품 제어, 전자 물류 시스템, 환경 모니터링, 재고 관리 시스템, 군사 시스템, 보안 시스템,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ce traffic system), 텔레메틱스(telematics), 건강 관리 시스템(health care system)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센터 내의 서버 랙은 상기 서버 랙과 관련된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상기 서버랙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버 랙을 보수하기 위한 방문자가 나쁜 의도를 가지고 상기 서버 랙에게 물리적 충격을 가하는 경우, 상기 서버 랙은 충격(damage)을 입고 오동작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센터 내의 서버 랙은 상기 서버 랙과 관련된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상기 서버랙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버 랙을 보수하기 위한 방문자가 나쁜 의도를 가지고 상기 서버 랙에게 물리적 충격을 가하는 경우, 상기 서버 랙은 충격(damage)을 입고 오동작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센터 내의 서버 랙은 상기 서버 랙과 관련된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상기 서버랙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버 랙을 보수하기 위한 방문자가 나쁜 의도를 가지고 상기 서버 랙에게 물리적 충격을 가하는 경우, 상기 서버 랙은 충격(damage)을 입고 오동작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전자 락커들(110) 각각의 상태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들 사이의 시그널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들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들의 시그널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다른 전자 장치에게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간소화된 블록도(simplified block diagram)이다.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된 시각을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된 시각으로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입력하기 위한 제4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기반하여 만료되는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유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7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레이어 2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에게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7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8 신호를 상기 지그비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전자 락커 내의 상기 제2 지그비 송수신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를 야기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그비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8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자 락커를 야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8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도어를 외력 없이 닫고 상기 닫혀진 도어를 잠그도록 상기 전자 락커를 야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입력하기 위한 제4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기반하여 만료되는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요구됨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어포던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다른(another)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함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다른(another)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된 인증 정보가 지정된 인증 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보안 실행 영역 및 일반 실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지정된 인증 정보임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보안 실행 영역 내에서 실행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일반 실행 영역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일반 실행 영역이 상기 보안 실행 영역으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지정된 인증 정보임을 식별함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일반 실행 영역 내에서 실행될 수 있고,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보안 실행 영역이 상기 일반 실행 영역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보안 실행 영역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유선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복수의 서버 랙(server rack)들 각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 락커(locker)들을 각각 지시하기(indicate) 위한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 중 하나의 시각적 객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유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상기 시각적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전자 락커의 상태를 오픈(ope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유선 통신 기법에 따라 레이어 2 스위치를 통해 중간 노드인 제1 지그비(zigbee) 송수신기(transceiver)에게 송신하고,
    상기 유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레이어 2 스위치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제3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유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레이어 2 스위치를 통해, 상기 유선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로부터 클로즈드(closed)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제5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시각적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지그비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전자 락커 내의 제2 지그비 송수신기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를 야기하고(cause),
    상기 제2 지그비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자 락커를 야기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락커로부터 상기 제2 지그비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지그비 통신 기법에 따라 송신되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제4 신호를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가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게 송신되고,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5 신호는,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가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로부터 상기 클로즈드(closed) 상태로 전환됨을 식별한 상기 전자 락커로부터 상기 제2 지그비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지그비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로부터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제6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에게 송신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은,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 중 상기 시각적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 상기 시각적 객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전자 락커 내의 서버 랙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입력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접근의 목적을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입력하기 위한 제3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제3 신호가 수신된 시각을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화된 시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5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된 시각을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된 시각으로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입력하기 위한 제4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기반하여 만료되는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유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7 신호를 상기 유선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레이어 2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에게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7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8 신호를 상기 지그비 통신 기법에 따라 상기 전자 락커 내의 상기 제2 지그비 송수신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제1 지그비 송수신기를 야기하고,
    상기 제2 지그비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8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자 락커를 야기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8 신호는,
    상기 전자 락커의 도어를 외력 없이 닫고 상기 닫혀진 도어를 잠그도록 상기 전자 락커를 야기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입력하기 위한 제4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기반하여 만료되는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가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됨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제5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각적 객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클로즈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요구됨을 지시하기 위한 시각적 어포던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다른(another)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락커의 상태를 상기 오픈 상태로 전환함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시,
    다른(another)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된 인증 정보가 지정된 인증 정보임을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보안 실행 영역 및 일반 실행 영역을 가지고,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지정된 인증 정보임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보안 실행 영역 내에서 실행되고,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일반 실행 영역 내에서 실행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일반 실행 영역이 상기 보안 실행 영역으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가 상기 지정된 인증 정보임을 식별함을 지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일반 실행 영역 내에서 실행되고,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보안 실행 영역이 상기 일반 실행 영역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보안 실행 영역 내에서 실행되는 전자 장치.
KR1020200162967A 2020-11-27 2020-11-27 서버 랙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56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67A KR102556446B1 (ko) 2020-11-27 2020-11-27 서버 랙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67A KR102556446B1 (ko) 2020-11-27 2020-11-27 서버 랙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45A KR20220074445A (ko) 2022-06-03
KR102556446B1 true KR102556446B1 (ko) 2023-07-18

Family

ID=8198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967A KR102556446B1 (ko) 2020-11-27 2020-11-27 서버 랙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4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72B1 (ko) 2014-06-05 2014-11-10 김명삼 도어 개폐 장치
KR102032205B1 (ko) 2019-02-20 2019-10-15 어수연 보안서류 스마트 보관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3382B2 (en) * 2015-02-27 2017-08-01 Panduit Corp. Door module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72B1 (ko) 2014-06-05 2014-11-10 김명삼 도어 개폐 장치
KR102032205B1 (ko) 2019-02-20 2019-10-15 어수연 보안서류 스마트 보관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45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34326A1 (en) Device identity augmentation
EP33912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rfid tags across a portal
US8941493B2 (en) Determining operational state with tags
CN102449635A (zh) 作为安全层的云计算
JP2006228193A (ja) 複数の無線ic(rfid)リーダー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コントローラ
JP6961740B2 (ja) 産業用コントローラのデータ完全性を保証するためのaiの使用
US11661189B2 (en) Upgrade of network equipment
WO2016114077A1 (ja) データ判定装置、データ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320854A (zh) 通过签名平衡防止自动化组件受到程序篡改
CN108876245A (zh) 汽车仓库监管方法、装置及系统
WO2018134939A1 (ja) 攻撃検知装置、攻撃検知方法および攻撃検知プログラム
US11893412B2 (en) Device initialization by an access-restricted virtual machine
US11875177B1 (en) Variable access privileges for secure resources in an autonomous vehicle
KR102556446B1 (ko) 서버 랙을 포함하는 전자 락커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146610B2 (en) Agentless remediation and recovery
Krishnamoorthy et al. Approximate dynamic programming with state aggregation applied to UAV perimeter patrol
US11922297B2 (en) Edge AI accelerator service
Ryu et al. A simulation network model to evaluate RFID middlewares
WO2012083632A1 (zh) 对射频识别标签进行访问控制的方法及系统
KR20190001325A (ko) ICS(Industrial Control System)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산업제어 시스템
US9495171B1 (en)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BMC) provided with sensor list
CN103257909A (zh) 基于bmc的led自动化测试方法及系统
CN102156841A (zh) 有源电子标签中文件的访问控制方法
CN115499327A (zh) 三维可视化数据中心管理的方法、设备、介质及程序产品
Al Maruf et al. A timing-based framework for designing resilient cyber-physical systems under safety constra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