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219B1 - 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 Google Patents

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219B1
KR102556219B1 KR1020210194618A KR20210194618A KR102556219B1 KR 102556219 B1 KR102556219 B1 KR 102556219B1 KR 1020210194618 A KR1020210194618 A KR 1020210194618A KR 20210194618 A KR20210194618 A KR 20210194618A KR 102556219 B1 KR102556219 B1 KR 102556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re
finished
finish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04460A (en
Inventor
홍성욱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성욱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219B1/en
Publication of KR2023010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2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7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r propagation tim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4409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by comparis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3Rebound strike or reflected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02Control of the test
    • G01N2203/0212Theories,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44Tests performed "in situ" or after "in situ"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98Manufacturing or preparing specim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58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7Parameter measured for estimating the property
    • G01N2203/0676Force, weight, load, energy,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measuring variable
    • G01N2291/011Velocity or travel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 G01N2291/0232Glass, ceramics, concrete or st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은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들을 제작하는 단계;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 각 상기 마감 샘플들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로부터 코어채취기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compar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 of apartment finishing materials using an ultrasonic speed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epare concrete specimens having a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21 MPa and a width, length, and thickness of 500 cm, 500 cm, and 200 cm, respectively; Finishing a first finish sample, a second finish sample, and a third finish sample on the surface of each concrete specimen; Collecting a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a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a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from the concrete specimens on which each of the finish samples is finished through a core collector; measuring ultrasonic velocities of the cores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s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s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respectively,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calculating an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the measured ultrasonic velocitie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s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s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s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respectively, through a compressive strength test; and the calculated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 and comparing the error rate by comparing the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Description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본 발명은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mpar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 of apartment finishing materials using an ultrasonic speed test.

우리나라의 1, 2종 시설물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정기, 정밀진단의 안전점검을 수행하도록 「시설물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으로 재정되어 있으며, 안전진단업 등록을 한 업체가 안전점검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Regarding Class 1 and 2 facilities in Korea, it is stipulated in the 「Special Act on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to conduct periodic and detailed safety inspections, and companies registered as safety inspection businesses are required to perform safety inspections.

(사)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에 따르면 시설물 안전점검 분야 시장이 연평균 약 14% 성장함에 따라 관련 업체들이 대거 진출하고 있으나, 초저가 발주 등 과도한 업체들 간의 경쟁으로 인한 저가수주와 이에 따른 안전점검 부실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According to the Korea Society of Structure Diagnosis and Maintenance Engineering, as the facility safety inspection market grows by about 14% annually, related companies are entering the market en masse. This is an increasing situation.

국토안전관리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시설물 중 공동주택에 대한 부실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실에 대한 원인으로 저가수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정밀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 경우 시설물의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항목에서 현장 반발경도법을 진행하도록 되어있으나, 공동주택의 경우 사람의 실거주 및 실험 시 일어나는 분진 및 소음 등으로 인하여 비파괴검사를 진행하기 어려워 공용부 및 지하 주차장에서 매번 점검이 이루어지며, 저가 수주로 인한 콘크리트 면의 실험이 아닌 마감재 위에서 실험을 진행하여 부실점검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Land Safety and Security Agency, it was found that the insolvency rate for apartment buildings was the highest among facilities, and low-priced order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as the cause of insolvency. In the case of precise safety inspection and precise safety diagnosis, the on-site rebound hardness method is required to be performed in the concrete durability evaluation item of the facility, but in the case of an apartment complex, it is difficult to conduct a non-destructive test due to dust and noise generated during experiments and people's actual residence. Inspections are made every time in the common area and underground parking lot, and poor inspections are inevitable because the experiment is conducted on the finishing material, not on the concrete surface due to low-priced orders.

공동주택의 저가수주에 대응하고, 부실점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에 주로 사용되는 마감재를 선정하여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마감재에 반발경도법을 활용하여 마감재의 변수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In order to respond to low-priced orders for apartment houses and solve poor insp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finishing materials mainly used in apartment houses and estimates the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he finishing materials by directly utilizing the rebound hardness method without removing the finishing materials. You want to develop your skills.

등록특허 제10-2190604 호(등록일자: 2020.12.09)는, 조기재령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방법 및 조기재령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예측방법은, 일반적인 재령일인 28일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조기에 예측 평가하기 위한 시험편인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공시체를 이용하여 비파괴검사방식으로 조기재령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 시에 경화 촉진제 또는 급결제를 혼입하여 콘크리트 공시체의 양생을 진행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콘크리트 공시체를 비파괴 검사하여 일반적인 재령일인 28일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조기에 예측 평가하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인데, 본원과 같이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마감재에 반발경도법을 활용하여 압축강도 추정하는 기술은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Registered Patent No. 10-2190604 (Registration date: 2020.12.09)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specimens used for early ag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nd early age, concrete's compressive strengt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specimen, which is a test piece for early predictive evaluation, and a method of predic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t an early age by a non-destructive test method using the "concrete" specimen manufactu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curing during manufacture of a "concrete" specimen After curing and hardening the concrete by mixing an accelerator or quick-setting agent, the hardened concrete is subjected to a non-destructive test to early predict and evaluat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on the 28th day, which is a general age, as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chnique of estima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using the rebound hardness method directly on the finishing material without removing the finishing material is not disclosed at all.

등록특허 제10-2190604 호(등록일자: 2020.12.09)Registered Patent No. 10-2190604 (registration date: 2020.12.09)

이에 일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에 주로 사용되는 마감재를 선정하여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마감재에 반발경도법을 활용하여 마감재의 변수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기술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Accordingly, one embodiment was invented to eliminate the above problems, and by selecting finishing materials mainly used in apartment houses and directly applying the rebound hardness method to the finishing materials without removing the finishing materials, the compressive strength estim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he finishing materials It was completed as the technical task with the main focus.

상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tasks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은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들을 제작하는 단계;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 각 상기 마감 샘플들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로부터 코어채취기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compar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 of apartment finishing materials using an ultrasonic speed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oncrete having a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21 MPa and a width, length, and thickness of 500 cm, 500 cm, and 200 cm, respectively. Manufacturing specimens; Finishing a first finish sample, a second finish sample, and a third finish sample on the surface of each concrete specimen; Collecting a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a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a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from the concrete specimens on which each of the finish samples is finished through a core collector; measuring ultrasonic velocities of the cores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s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s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respectively,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calculating an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the measured ultrasonic velocitie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s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s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s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respectively, through a compressive strength test; and the calculated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 and comparing the error rate by comparing the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 상기 오차율이 가장 낮은 마감 샘플의 코어에 마감된 마감 샘플을 저오차율 마감재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ed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after the step of comparing the error rate by comparing the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selecting a finish sample finished with the core of the finish sample having the lowest error rate as a low error rate finishing material. there is.

상기 제1 마감 샘플은 무늬 코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 샘플은 본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감 샘플은 수성페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오차율 마감재는 상기 수성페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inish sample may include a pattern coat, the second finish sample may include a bone tile, the third finish sample may include a water-based paint, and the low error rate finish may include the water-based pain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동주택에 주로 사용되는 마감재를 선정하여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직접 마감재에 반발경도법을 활용하여 마감재의 변수에 따른 압축강도 추정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ressive strength estim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the finishing material by selecting a finishing material mainly used in an apartment house and directly utilizing the rebound hardness method on the finishing material without removing the finishing material.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실험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1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2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제3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2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채취된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채취된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B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mpar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 of an apartment finishing material using an ultrasonic speed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first finishing sample is finished on the surface of a concrete test specime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test body finished with a first finished sample according to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second finishing sample is finished on the surface of a concrete specime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test body finished with a second finishing sample according to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third finishing sample is finished on the surface of a concrete specime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test body finished with a third finished sample according to FIG. 7 .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eparation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eparation of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eparation of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p of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aken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p of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taken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p of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collected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FIG. 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A of FIG. 12 .
FIG. 1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B of FIG. 12 .
FIG. 1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A of FIG. 13 .
FIG. 1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A of FIG. 14 .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and the resulting actions and effects will be collectively described.

일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일 실시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일 실시예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one embodiment,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an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is embodiment only makes the disclosure of an embodiment complet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knowledgeabl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one embodiment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mpar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 of an apartment finishing material using an ultrasonic speed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은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들을 제작하는 단계(S10),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S20), 각 상기 마감 샘플들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로부터 코어채취기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채취하는 단계(S30),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40),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50),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S60),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compar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 of apartment finishing materials using an ultrasonic speed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manufacturing concrete specimens having a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21 MPa and width, length, and thickness of 500 cm, 500 cm, and 200 cm, respectively ( S10), finishing the first finish sample,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the third finish sample on the surface of each concrete test specimen (S20), each of the finish samples from the finished concrete test specimens through the core collector Taking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S30),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the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S40),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Calculating the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the measured ultrasonic velocity (S50),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were collected through a compressive strength test, respectively.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S60) of the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and the first finished sample It may include comparing error rates by comparing the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cor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S70).

이하에서, 도 1에 부가하여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8 in addition to FIG. 1, a method for compar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for each parameter of an apartment finishing material using an ultrasonic speed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실험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제1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2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제2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표면에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제3 마감 샘플이 마감된 콘크리트 실험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2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채취된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채취된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B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first finishing sample is finished on the surface of a concrete test specime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test body finished with a first finished sample according to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second finishing sample is finished on the surface of a concrete specime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test body finished with a second finishing sample according to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third finishing sample is finished on the surface of a concrete specime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test body finished with a third finished sample according to FIG. 7 .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eparation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eparation of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reparation of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p of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aken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p of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taken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ep of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collected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FIG. 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A of FIG. 12 . FIG. 1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B of FIG. 12 . FIG. 1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A of FIG. 13 . FIG. 1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rea A of FIG. 14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10)들을 제작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콘크리트 실험체(10)들은 각각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1 and 2, a step (S10) of manufacturing concrete test specimens 10 having a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21 MPa and having a width, length, and thickness of 500 cm, 500 cm, and 200 cm, respectively, is performed. Each of the concrete test specimens 10 may have a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21 MPa and width, length, and thickness of 500 cm, 500 cm, and 200 cm, respectivel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2에서는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이 예시되어 있다.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콘크리트 실험체(10)의 폭 방향이고, 제2 방향(DR2)은 콘크리트 실험체(10)의 길이 방향이고, 제3 방향(DR3)은 콘크리트 실험체(10)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In FIG. 2 ,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direction DR2 , and the third direction DR3 are illustrated.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direction DR2 , and the third direction DR3 may cross each other. The first direction DR1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rete specimen 10, the second direction DR2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specimen 10, and the third direction DR3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crete specimen 10. can

도 1,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1, 3 to 8, a step (S20) of finishing a first finish sample, a second finish sample, and a third finish sample on the surface of each concrete specimen is performed.

도 3 및 도 4는 제1 마감 샘플(20)을 도시하고 있고, 도 5 및 도 6은 제2 마감 샘플(21)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 및 도 8은 제3 마감 샘플(22)을 도시하고 있다.3 and 4 show a first finish sample 20, FIGS. 5 and 6 show a second finish sample 21, and FIGS. 7 and 8 show a third finish sample 22. are showing

상기 제1 마감 샘플(20)은 무늬 코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 샘플(21)은 본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감 샘플(22)은 수성페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inish sample 20 may include a pattern coat, the second finish sample 21 may include a bone tile,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may include water-based paint.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각각은 각 콘크리트 실험체(10)의 표면에 전면적으로 마감될 수 있다.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각각은 서로 다른 유분량, 및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관점에서,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순으로 유분량이 적어질 수 있고, 표면 거칠기 관점에서도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작아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inishing sample 20, the second finishing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may be completely finished on the surface of each concrete specimen 10. Each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the second finish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may have different oil content and different surface roughness. For example, in terms of the amount of oil, the amount of oil may be decreased in the order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the second finish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and also in terms of surface roughness, the first finish sample ( 20), the second finish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may have smaller surface roughness in that order.

한편,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은 소정의 두께(d1)를 가질 수 있다. 각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은 소정의 두께(d1)에 대해서는 마감 샘플의 코어의 길이를 설명하면서,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6, and 8, each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the second finish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d1. can have Each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the second finish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hile explaining the length of the core of the finish sampl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d1.

이어서, 도 1,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각 상기 마감 샘플들(20, 21, 22)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10)로부터 코어채취기(100)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채취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Then, referring to FIGS. 1 and 9 to 11, each of the finished samples (20, 21, 22) from the finished concrete specimens 10 through the core collector 100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A step (S30) of collecting the core (S1),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is performed.

각 상기 마감 샘플들(20, 21, 22)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10)로부터 코어채취기(100)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채취하는 단계(S30)에서, 도 9 내지 도 11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채취기(100)를 기준으로, 마감 샘플들(20, 21, 22)이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 실험체(1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어(S1, S2, S3)를 채취할 수 있다. 즉, 후술할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한 추정압축강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시료가 되는 코어(S1, S2, S3)는 콘크리트 실험체(100)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 샘플들(20, 21, 22)까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S1) and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S2) through the core extractor 100 from the concrete specimens 10 where each of the finish samples 20, 21, and 22 are finished. ), and in the step (S30) of collecting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as shown in FIGS. 9 to 11, respectively, based on the core collector 100, the finished samples (20, 21 , 22) is located closest and the concrete specimen 100 is placed therein, the cores S1, S2, and S3 can be sampled. That is,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the ultrasonic speed test to be described later, the cores (S1, S2, and S3) as samples are not made of only the concrete specimen 100, as shown in FIGS. 9 to 11 , which includes even the finished samples 20, 21, and 22.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실험체(10) 표면에 마감되어 있는 마감 샘플은 제거된 상태로 압축 강도가 측정될 수 있다. 기존,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실험체(10) 표면에 마감되어 있는 마감 샘플은 제거된 상태로 압축 강도를 측정한 이유는, 마감 샘플이 당연히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다만, 마감 샘플(또는 마감재)을 콘크리트 실험체(10)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은 쉽지 않다. 예컨대, 마감재 제거하는 과정에서, 분진 및 소음이 발생하고, 별도의 제거 과정이 수반되어야하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 소모가 작지 않다.Typically, in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specimen 10, the compressive strength may be measured with the finish sample finish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pecimen 10 removed. In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existing concrete specimen 10, the reason for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the finished sample finish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pecimen 10 removed is that the finished sample is naturally of the concrete specimen 10. It was thought to have an effect on the compressive strength. However,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finishing sample (or finishing material) from the concrete specimen 10.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inishing material, dust and noise are generated, and since a separate removal process must be accompanied, cost and time consumption are not small.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에 의하면,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실험체(10) 표면에 마감되어 있는 마감 샘플은 제거된 상태로 압축 강도가 측정됨으로써, 마감재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소음으로부터 자유롭고 별도의 마감재 제거 과정이 수반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선제적으로, 콘크리트 실험체(10) 표면에 마감되어 있는 마감 샘플은 제거된 상태로 압축 강도가 측정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과 같이, 마감재(또는 마감 샘플)별로 콘크리트 실험체(10)의 압축 강도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comparison method for each parameter of apartment finishing materials using an ultrasonic speed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general, in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specimen 10,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pecimen 10 is finished. By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finished sample in a removed state, cost and time consumption can be greatly reduced because it is free from dust and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inishing material and does not involve a separate finishing material removal process. Preemptively, in order to measure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the finish sample finish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test object 10 remov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me exten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test object 10 for each finish material (or finish sample) There is a need to find out if the effect of

이어서, 도 1,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S. 1 and 12 to 14,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were collected. A step (S40) of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through the ultrasonic velocity test is performed, respectively.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가 도시되어 있다. 나아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가 도시되어 있다. 원할한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40)를 위해서는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약 3배 내지 약 5배가 되어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약 3배 이상임으로써, 초음파 속도 시험 장치의 발진부(21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 펄스(kHz)(약 24 kHz 내지 약 150kHz)를 통한 초음파 속도 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내부에는 내부 균열(Crack)이나, 철근 등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약 3배 이상임으로써, 이러한 내부 균일 또는 철근 등의 부재를 고려한 전반적인 코어(S1)의 초음파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thickness d1 (or width d1)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 sample taken, and the first finish sample 20 The length d2 of the excluded core S1 is shown. Further, the length 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S1 is shown. For the step (S40) of measuring the smooth ultrasonic velocity, the thickness (d1) (or width (d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aken, and the first finish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of the lengths d2 of the core S1 excluding the sample 20 be about 3 to about 5 times the length h of the core S1 in the thickness direction. For example, the thickness d1 (or width d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aken, and the thickness of the core S1 excluding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The sum of the lengths (d2) is about 3 times or more than the length (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S1), so that the ultrasonic pulse (kHz) (about 24 kHz to about 150 kHz), the reliability of the ultrasonic speed test can be secured. That is, internal cracks or reinforcing bars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side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 sample taken, and the first finish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 sample taken The sum of the thickness d1 (or width d1) of the sample 20 and the length d2 of the core S1 excluding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is the length of the core S1 in the thickness direction ( 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S1 can be calculated considering the internal uniformity or members such as reinforcing bars.

더 나아가,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약 5배 이하임으로써, 코어(S1) 채취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the thickness d1 (or width d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aken, and the core S1 excluding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The sum of the lengths d2 of is about 5 times or less than the length h of the core S1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collecting the core S1.

더 나아가,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는,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약 5% 내지 약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는,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약 5% 이상임으로써, 코어(S1)에서 제1 마감 샘플(20)이 코어(S1)의 압축 강도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고,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또는 폭(d1))는,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약 10% 이하임으로써, 실제 건축물(예컨대, 아파트)에서, 전체적인 콘크리트 구조물 길이 대비 마감재(또는 마감 샘플)의 길이가 약 10% 이하인 수준이기 때문에, 실제 건축물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 길이 대비 마감재의 길이와 유사한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the thickness d1 (or width d1)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 sample taken is the core S1 excluding the first finish sample 20 It is preferably about 5% to about 10% of the length (d2) of . The thickness d1 (or width d1)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 sample taken is the length of the core S1 excluding the first finish sample 20 ( By being about 5% or more of d2), it is possible to precis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affect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 S1 in the core S1, and The thickness d1 (or width d1)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of the core S1 is about 10% or less of the length d2 of the core S1 excluding the first finish sample 20 As a result, since the length of the finishing material (or finishing sample)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entire concrete structure in an actual building (eg, apartment) is about 10% or less, conditions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finishing material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the actual building can be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상기한 내용에서는, 제1 마감 샘플(20)을 갖는 코어(S1)에 대해서만 상술하였지만, 해당 내용은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only the core (S1) with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has been described, but the same is true for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Of course, it can be applied.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4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속도 시험 장치의 발진자(210), 수진자(220),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발생 회로(230), 시간 측정 회로(240), 증폭기(250), 및 디스플레이 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펄스 발생 회로(230)로부터 발생된 펄스(예컨대, 약 24 kHz 내지 약 150kHz)가 발진자(210)로 제공될 수 있다. 발진자(210)로 제공된 펄스는 각 마감 샘플(20, 21, 22)을 통과하여 콘크리트 시험체(10)를 추가적으로 통과하여 수진자(220)에 제공될 수 있다. 발진자(210)로부터 발생된 펄스가 수진자(220)에 도달하는 시간 정보는 증폭기(250)를 통해 구체화되어 시간 측정 회로(240)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each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S40). ) As shown in FIGS. 12 to 14, it may be made through the oscillator 210, the receiver 220, and the control unit of the ultrasonic speed testing device. As shown in FIGS. 12 to 14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ulse generating circuit 230, a time measurement circuit 240, an amplifier 250, and a display unit 260. More specifically, a pulse (eg, about 24 kHz to about 150 kHz) generated by the pulse generator circuit 230 may be provided to the oscillator 210 . The pulse provided to the oscillator 210 may pass through each of the finished samples 20, 21, and 22 and additionally pass through the concrete test body 10 to be provided to the examiner 220. Information on the time at which the pulse generated from the oscillator 210 reaches the receiver 220 may be specified through the amplifier 250 and calculated through the time measurement circuit 240 .

몇몇 실시예에서, 초음파 속도 시험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보정 방법이 정해질 수 있다. 표시값이 영향 요인으로부터 간섭받지 않기 위해서 시간 지연 조정을 해야 한다. 시간 지연 조정은 전달 시간이 정확히 알려진 래퍼런스 바의 대향면에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를 쌍으로 연결시켜 실시할 수 있다. 래퍼런스 바에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를 설치하는 방법은 항상 일정해야 할 수 있다. 최소량의 접촉 매질을 사용하고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는 바의 끝에 견고하게 압착되어야 한다. 래퍼런스 바 위에서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를 미끄러지게 하는 것은 영보정의 오차를 일으키므로 피해야 한다. 나아가, 초음파 속도 시험 장치의 정확한 영보정을 위해 시간 지연 조정은 시험 장치나 탐촉자(도 12 내지 도 14의 발진자(210), 수진자(220))가 교체될 때마다, 또는 길이가 다른 케이블이 사용될 때마다 매번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자 회로나 케이블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영보정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In some embodiments, a zero correction method may be determined to use the ultrasonic velocity testing device. 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display value from influencing factors, time delay adjustment is required. Time delay adjustment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transducers (oscillator 210 and receiver 220 of FIGS. 12 to 14) in pairs to opposite surfaces of a reference bar whose transfer time is accurately known. A method of installing the transducers (oscillator 210 and transducer 220 of FIGS. 12 to 14) to the reference bar may always be constant. A minimum amount of contact medium is used and the transducer (oscillator 210 and receiver 220 in FIGS. 12 to 14) must be firmly pressed to the end of the bar. Sliding the transducer (oscillator 210 and receiver 220 in FIGS. 12 to 14) on the reference bar causes zero correction error and should be avoided. Furthermore, for accurate zero calibration of the ultrasonic speed test device, time delay adjustment is performed whenever the test device or transducer (oscillator 210 or receiver 220 in FIGS. 12 to 14) is replaced, or when cables with different lengths are used. It should run every tim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check zero calibration from time to time to check the stability of electronic circuits or cables.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자(210)와 제1 마감 샘플(20) 사이에는 별도의 제1 매질(M11)이 개재되어 있다. 제1 매질(M11)은 발진자(210)의 제1 마감 샘플(20)에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진자(220)와 콘크리트 시험체(10) 사이에는 별도의 제2 매질(M12)이 개재되어 있다. 제2 매질(M12)은 수진자(220)의 콘크리트 시험체(10)에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5, a separate first medium M11 is interposed between the oscillator 210 and the first finished sample 20. The first medium M11 may serve to smooth the contact of the oscillator 210 to the first finish sample 20 . As shown in FIG. 16, a separate second medium (M12) is interposed between the examiner 220 and the concrete test body 10. The second medium (M12) may serve to smooth the contact of the examiner 220 to the concrete test body 10.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자(210)와 제2 마감 샘플(21) 사이에는 별도의 제1 매질(M21)이 개재되어 있다. 제1 매질(M21)은 발진자(210)의 제2 마감 샘플(21)에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a separate first medium M21 is interposed between the oscillator 210 and the second finish sample 21. The first medium M21 may serve to smooth the contact of the oscillator 210 with the second finishing sample 21 .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자(210)와 제3 마감 샘플(22) 사이에는 별도의 제1 매질(M31)이 개재되어 있다. 제3 매질(M31)은 발진자(210)의 제3 마감 샘플(22)에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a separate first medium M31 is interposed between the oscillator 210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The third medium M31 may play a role of smooth contact of the oscillator 210 with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각각은 서로 다른 유분량, 및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관점에서,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순으로 유분량이 적어질 수 있고, 표면 거칠기 관점에서도 제1 마감 샘플(20), 제2 마감 샘플(21), 및 제3 마감 샘플(22)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제1 매질(M11)의 유분량은 제1 매질(M21)의 유분량 및 제1 매질(M31)의 유분량보다 많을 수 있고, 제1 매질(M21)의 유분량은 제1 매질(M31)의 유분량보다 많을 수 있다. 제1 매질(M11)의 유분량은 제1 매질(M21)의 유분량 및 제1 매질(M31)의 유분량보다 많을 수 있고, 제1 매질(M21)의 유분량은 제1 매질(M31)의 유분량보다 많음으로써, 마감 샘플(20, 21, 22)의 상이한 유분량에 따라 매질(M11, M21, M31)의 유분량을 조절하여 발진자(210)와 마감 샘플(20, 21, 22)들 간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매질(M11)의 점도는 제1 매질(M21)의 유분량 및 제1 매질(M31)의 점도보다 클 수 있고, 제1 매질(M21)의 점도는 제1 매질(M31)의 점도보다 클 수 있다. 제1 매질(M11)의 점도는 제1 매질(M21)의 점도 및 제1 매질(M31)의 점도보다 클 수 있고, 제1 매질(M21)의 점도는 제1 매질(M31)의 점도보다 큼으로써, 마감 샘플(20, 21, 22)의 상이한 표면 거칠기에 따라 매질(M11, M21, M31)의 점도를 조절하여 발진자(210)와 마감 샘플(20, 21, 22)들 간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the second finish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may have different oil content and different surface roughness. For example, in terms of the amount of oil, the amount of oil may be decreased in the order of the first finish sample 20, the second finish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and also in terms of surface roughness, the first finish sample ( 20), the second finish sample 21, and the third finish sample 22 may have smaller surface roughness in that order. Accordingly,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11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21 and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31, and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21 is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31. There can be more.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11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21 and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31, and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21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oil in the first medium M31 As a result, the oil content of the medium (M11, M21, M3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oil content of the finished samples (20, 21, 22) to facilitate contact between the oscillator 210 and the finished samples (20, 21, 22) can play a role Furthermore, the viscosity of the first medium M11 may be greater than the oil content of the first medium M21 and the viscosity of the first medium M31, and the viscosity of the first medium M21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medium M31. viscosity may be greater. The viscosity of the first medium M11 may be greater than the viscosity of the first medium M21 and the viscosity of the first medium M31, and the viscosity of the first medium M21 is greater than the viscosity of the first medium M31. As a result, the viscosity of the medium (M11, M21, M3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surface roughness of the finished samples (20, 21, 22)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oscillator 210 and the finished samples (20, 21, 22) is smooth. can play a role in

이어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2)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2)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S50)와 동시, 또는 그 전, 또는 그 이후에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S60)를 수행한다.Then, the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is calculated through the measured ultrasonic velocities of each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2)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Step S50 is performed. Calculating an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each measured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2)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 S50),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taken simultaneously with, before, or after A step (S60) of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a compressive strength test is performed.

이어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Then, the calculated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s of each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and the first finished sample Comparing error rates by comparing the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core (S1)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S2), and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S70) is performed.

상술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2)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 추정 압축 강도,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의 측정된 압축 강도 및 오차율은 아래의 표 1에 도시되어 있다.The measured ultrasonic velocity, the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first, respectively,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S2)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described above. The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s and error rates of the core of the finished sample (S1),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S2),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S3) are shown in Table 1 below.

SpecimenSpecimen UPV
(m/s)
UPV
(m/s)
Compressive
Strength
(MPa)
Compressive
Strength
(MPa)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MPa)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MPa)
(1)(One) (2)(2) (3)(3) (4)(4) (5)(5) (6)(6) Error Ratio (%)Error Ratio (%) (1)(One) (2)(2) (3)(3) (4)(4) (5)(5) (6)(6) 비마감 샘플의 코어Core of unfinished sample 3,7743,774 19.319.3 19.119.1 17.3 17.3 9.0 9.0 9.5 9.5 15.6 15.6 19.0 19.0 5.75.7 10.1 10.1 53.5 53.5 50.7 50.7 18.7 18.7 6.6 6.6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3,998 3,998 16.916.9 24.0 24.0 24.9 24.9 21.8 21.8 17.7 17.7 24.0 24.0 22.4 22.4 45.7 45.7 51.2 51.2 32.3 32.3 16.8 16.8 45.8 45.8 36.2 36.2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S2) 3,930 3,930 19.1 19.1 22.522.5 22.622.6 18.018.0 15.315.3 21.521.5 21.421.4 21.521.5 22.922.9 22.122.1 19.319.3 19.819.8 17.317.3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S3) 3,8913,891 18.518.5 21.721.7 21.2 21.2 15.7 15.7 13.8 13.8 20.0 20.0 20.8 20.8 17.217.2 15.0 15.0 17.4 17.4 25.3 25.3 8.3 8.3 12.4 12.4 Average of error ratioAverage of error ratio -- -- 22.522.5 24.824.8 31.331.3 28.028.0 23.223.2 18.118.1 초음파 속도(Vp, Km/s)에 의한 압축강도(Fc, MPa)의 추정식Estimation formula of compressive strength (Fc, MPa) by ultrasonic velocity (Vp, Km/s) (1) Fc = 21.5Vp - 62.0(1) Fc = 21.5Vp - 62.0 (2) Fc = 33.91Vp - 110.7(2) Fc = 33.91Vp - 110.7 (3) Fc = 56.974Vp- 206(3) Fc = 56.974Vp- 206 (4) Fc = 36.72Vp - 129.077(4) Fc = 36.72Vp - 129.077 (5) Fc= (372.7Vp - 1250.2)Х0.1(5) Fc= (372.7Vp - 1250.2)Х0.1 (6) Fc = (152Vp - 383.9 )Х0.1(6) Fc = (152Vp - 383.9 )Х0.1

나아가, 초음파 속도(Km/s)를 통한 압축 강도(MPa)의 추정식은 아래와 같다.Furthermore, the estimation formula of the compressive strength (MPa) through the ultrasonic velocity (Km/s) is as follows.

[식 1][Equation 1]

Fc = 21.5V - 62.0Fc = 21.5V - 62.0

[식 2][Equation 2]

Fc = 33.91V - 110.7Fc = 33.91V - 110.7

[식 3][Equation 3]

Fc = 56.974V- 206Fc = 56.974V- 206

[식 4][Equation 4]

Fc = 36.72Vp - 129.077Fc = 36.72Vp - 129.077

[식 5][Equation 5]

Fc= (372.7Vp - 1250.2)Х0.1Fc= (372.7Vp - 1250.2)Х0.1

[식 6][Equation 6]

Fc = (152Vp - 383.9)Х0.1Fc = (152Vp - 383.9)Х0.1

표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하여 마감재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추정압축강도 신뢰도를 평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 구조물 진단 시 기존에 제안된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한 압축강도 추정식의 오차율 범위가 8.3%~51.2%로 광범위한 변동 폭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 마감 샘플의 코어(S1)의 경우 비마감 샘플의 코어에 비하여 13.8% 정도 오차가 컸고, 제2 마감 샘플의 코어(S2)의 경우 비마감 샘플의 코어 실험체에 비하여 5.1% 정도 오차가 작았다. 제3 마감 샘플의 코어(S3)의 경우 비마감 샘플의 코어에 비하여 8.3% 정도 오차가 작았다. 마감재 중 도장(또는 수성 페인트)에 의한 마감은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ferring to Table 1, the conclusion of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the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type of finishing material using the ultrasonic speed test is as follows. When diagnosing a structure without removing the finishing material, it was confirmed that the error rate range of the compressive strength estimation formula using the previously proposed ultrasonic velocity method showed a wide range of fluctuation, ranging from 8.3% to 51.2%. In the case of the core (S1)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error was larger by 13.8% compared to the core of the unfinished sample, and in the case of the core (S2)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the error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core specimen of the unfinished sample by about 5.1%. all. In the case of the core (S3)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the error was smaller by about 8.3% compared to the core of the non-finished sample. Among finishing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finishing by painting (or water-based paint) did not affect the reliability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estimation.

이어서, 상기 오차율이 가장 낮은 마감 샘플의 코어에 마감된 마감 샘플을 저오차율 마감재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표 1에 의하면, 저오차율 마감재는 제3 마감 샘플(22)일 수 있다.Subsequently, a step of selecting a finished sample finished on the core of the finished sample having the lowest error rate as a low error rate finishing material may be further performed. According to Table 1, the low error rate finishing material may be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일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point should be made clear.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an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an embodiment.

10: 콘크리트 실험체
20: 제1 마감 샘플
21: 제2 마감 샘플
22: 제3 마감 샘플
10: Concrete test subject
20: first finish sample
21: second finish sample
22: third finish sample

Claims (3)

설계압축강도가 21MPa이고 폭, 길이, 및 두께가 각각 500cm, 500cm, 및 200cm인 콘크리트 실험체들을 제작하는 단계;
각 콘크리트 실험체들의 표면에 제1 마감 샘플, 제2 마감 샘플, 및 제3 마감 샘플을 마감하는 단계;
각 상기 마감 샘플들이 마감된 상기 콘크리트 실험체들로부터 코어채취기를 통해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를 통해 추정 압축 강도를 산출하는 단계;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압축 강도 시험을 통해 압축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각각의 산출된 추정 압축 강도들과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의 측정된 압축 강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비교하는 단계 이후,
상기 오차율이 가장 낮은 마감 샘플의 코어에 마감된 마감 샘플을 저오차율 마감재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 샘플은 무늬 코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감 샘플은 본 타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감 샘플은 수성페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저오차율 마감재는 상기 수성페인트를 포함하고,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20)을 포함하는 코어(S1)의 상기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 및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1)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3배 내지 5배이고,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20)을 포함하는 코어(S1)의 상기 제1 마감 샘플(20)의 두께(d1)는, 상기 제1 마감 샘플(20)을 제외한 코어(S1)의 길이(d2)의 5% 내지 10%이고,
채취된 상기 제2 마감 샘플(21)을 포함하는 코어(S2)의 상기 제2 마감 샘플(21)의 두께(d1), 및 제2 마감 샘플(21)을 제외한 코어(S2)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2)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3배 내지 5배이고,
채취된 상기 제2 마감 샘플(21)을 포함하는 코어(S2)의 상기 제2 마감 샘플(21)의 두께(d1)는, 상기 제2 마감 샘플(21)을 제외한 코어(S2)의 길이(d2)의 5% 내지 10%이고,
채취된 상기 제3 마감 샘플(22)을 포함하는 코어(S3)의 상기 제3 마감 샘플(22)의 두께(d1), 및 제3 마감 샘플(22)을 제외한 코어(S3)의 길이(d2)의 합은 코어(S3)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h)의 3배 내지 5배이고,
채취된 상기 제3 마감 샘플(22)을 포함하는 코어(S3)의 상기 제3 마감 샘플(22)의 두께(d1)는, 상기 제3 마감 샘플(22)을 제외한 코어(S3)의 길이(d2)의 5% 내지 10%이고,
채취된 상기 제1 마감 샘플의 코어, 상기 제2 마감 샘플의 코어, 및 상기 제3 마감 샘플의 코어를 각각 초음파 속도 시험을 통해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펄스 발생 회로(230)로부터 발생된 펄스가 발진자(210)로 제공되고,
상기 발진자(210)로 제공된 펄스는 각 마감 샘플(20, 21, 22)을 통과하여 각 콘크리트 시험체(10)들을 추가적으로 통과하여 수진자(220)에 제공되고,
상기 발진자(210)로부터 발생된 펄스가 상기 수진자(220)에 도달하는 시간 정보는 증폭기(250)를 통해 구체화되어 시간 측정 회로(240)를 통해 산출되는 초음파 속도 시험을 이용한 아파트 마감재의 매개변수별 콘크리트 압축강도 비교 방법.

Manufacturing concrete specimens having a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f 21 MPa and width, length, and thickness of 500 cm, 500 cm, and 200 cm, respectively;
Finishing a first finish sample, a second finish sample, and a third finish sample on the surface of each concrete specimen;
Collecting a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a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a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from the concrete specimens on which each of the finish samples is finished through a core collector;
measuring ultrasonic velocities of the cores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s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s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respectively,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calculating an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the measured ultrasonic velocitie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s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s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s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respectively, through a compressive strength test; and
The calculated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comparing the error rates by comparing the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cores of the third finished samples;
The calculated estimated compressive strengths of each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 sample and the core of the first finish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 sample, and comparing the error rates by comparing the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cores of the third finished samples;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a finished sample finished on the core of the finished sample having the lowest error rate as a low error rate finishing material,
wherein the first finish sample comprises a pattern coat;
The second finish sample includes this tile,
The third finish sample includes water-based paint,
The low error rate finishing material includes the water-based paint,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finishing sample 20 of the core S1 including the first finishing sample 20 taken, and the length d2 of the core S1 excluding the first finishing sample 20 The sum of ) is 3 to 5 times the length 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S1,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finishing sample 20 of the core S1 including the first finishing sample 20 taken is the length of the core S1 excluding the first finishing sample 20 ( 5% to 10% of d2),
The thickness d1 of the second finishing sample 21 of the core S2 including the second finishing sample 21 taken, and the length d2 of the core S2 excluding the second finishing sample 21 The sum of ) is 3 to 5 times the length 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S2,
The thickness d1 of the second finishing sample 21 of the core S2 including the second finishing sample 21 taken is the length of the core S2 excluding the second finishing sample 21 ( 5% to 10% of d2),
The thickness d1 of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of the core S3 including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taken, and the length d2 of the core S3 excluding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The sum of ) is 3 to 5 times the length 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S3,
The thickness d1 of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of the core S3 including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taken is the length of the core S3 excluding the third finishing sample 22 ( 5% to 10% of d2),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core of the first finished sample, the core of the second finished sample, and the core of the third finished sample, respectively, through an ultrasonic velocity test,
The pulse generated from the pulse generator circuit 230 is provided to the oscillator 210,
The pulse provided to the oscillator 210 passes through each of the finished samples 20, 21, and 22 and additionally passes through each concrete test body 10 and is provided to the examiner 220,
Information on the time at which the pulse generated from the oscillator 210 reaches the receiver 220 is materialized through the amplifier 250 and calculated through the time measuring circuit 240 for each parameter of the apartment finishing material using the ultrasonic speed test. Method for Comparing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94618A 2021-12-31 2021-12-31 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KR102556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618A KR102556219B1 (en) 2021-12-31 2021-12-31 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618A KR102556219B1 (en) 2021-12-31 2021-12-31 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460A KR20230104460A (en) 2023-07-10
KR102556219B1 true KR102556219B1 (en) 2023-07-20

Family

ID=8715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618A KR102556219B1 (en) 2021-12-31 2021-12-31 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21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034A (en) 1999-01-13 2000-07-28 Sekisui Chem Co Ltd Test method for promotion of durability of paint film
KR200207482Y1 (en) 2000-07-04 2000-12-15 주식회사리보테크 Concrete decoration stone interlocked with block
KR101616942B1 (en) 2015-05-27 2016-05-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crete specim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dynamic compressive impact tes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036B1 (en) * 2001-09-12 2004-02-05 조명기 Ultrasonic concrete tester
KR20080114159A (en) * 2007-06-27 2008-12-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ncrete stiffness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sonic wave in the underwater
KR20140123791A (en) * 2013-04-15 2014-10-23 박상언 Concrete block with a marble tile
KR101748798B1 (en) * 2015-11-24 2017-06-2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Non-destruct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of concrete to utilize sound signal energy
KR102190604B1 (en) 2019-01-31 2020-12-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curing method of concrete specimens and an evaluation method of early concrete solidity that is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034A (en) 1999-01-13 2000-07-28 Sekisui Chem Co Ltd Test method for promotion of durability of paint film
KR200207482Y1 (en) 2000-07-04 2000-12-15 주식회사리보테크 Concrete decoration stone interlocked with block
KR101616942B1 (en) 2015-05-27 2016-05-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crete specim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dynamic compressive impact tes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460A (en)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tos et al. Correlation between concrete-to-concrete bond strength and the roughness of the substrate surface
Tomsett The practical use of ultrasonic pulse velocity measurements in the assessment of concrete quality
Santos et al. Comparison of Methods for Texture Assessment of Concrete Surfaces.
Sadowski et al. ANN modeling of pull-off adhesion of concrete layers
Flores‐Colen et al. On‐site performance assessment of rendering façades for predictive maintenance
Sadowski et al. New nondestructive way of identifying the values of pull-off adhesion between concrete layers in floors
Sadowski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the pull-off adhesion of concrete floor layers using RBF neural network
CN110334429B (en)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fatigue life of asphalt pavement
CN111177880A (en) Adhesive structure failure criterion prediction method based on adhesive chemical characteristic analysis
Garbacz Application of stress based NDT methods for concrete repair bond quality control
Taileb et al. Infrared imaging as a means of analyzing and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 envelopes: the case of a LEED gold building
Galvão et al. Non-destructive mechanical and physical in-situ testing of rendered walls under natural exposure
KR102556219B1 (en) 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ultrasonic wave velosity test
Flores-Colen et al. Expedient in situ test techniques for predictive maintenance of rendered façades
CN110686948A (en) Method for detecting strength of welding area
Pereira et al. Harmonising correlation matrices within a global building expert knowledge-based inspection system
KR1017918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urability and predicting life time about chloride penetration of concrete structure
KR20230103618A (en) Method of Comparison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by parameters of apartment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using core test
Draudviliene et al. Metrological performance of hybrid measurement technique applied for the Lamb waves phase velocity dispersion evaluation
Galvão et al. In situ testing to evaluate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rendered façades-rebound hammer and ultrasound techniques
KR102185259B1 (en) Non-detective Testing Method of Concrete Member Covered Steel Plate
Tymchik et al. Analysis of acoustic diagnostics errors of stress state for shaped profiles of metal structures
Diaferio On the Variability of Conversion Models for Concrete Strength Assessment Based on Pulse Velocity Measurements
Walsh Predicting the service life of natural roofing slates in a Scottish environment
JP6909720B2 (en) Method for evaluating crack followability of multi-layer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