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266B1 -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266B1
KR102555266B1 KR1020220143538A KR20220143538A KR102555266B1 KR 102555266 B1 KR102555266 B1 KR 102555266B1 KR 1020220143538 A KR1020220143538 A KR 1020220143538A KR 20220143538 A KR20220143538 A KR 20220143538A KR 102555266 B1 KR102555266 B1 KR 10255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ken
information
identified
roads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김의석
심상규
주기호
이정원
이종국
김정욱
이상석
이상민
권숙준
박현경
Original Assignee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266B1/ko
Priority to US18/059,341 priority patent/US20240144270A1/en
Priority to JP2022189966A priority patent/JP7482460B1/ja
Priority to EP22210307.9A priority patent/EP436586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RSU);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의 온보드 장치(OBU)와 통신함으로써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토큰 발행자(Token Issuer); 및 토큰 발행자와 통신하며 차량의 운전자/소유자에게 과금하는 정산소(Clearing House)를 포함한다. 토큰 발행자는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 및 비식별화된 토큰의 확인 과정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한다.

Description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V2X-BASED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 V2X (Vehicle to Anything) 통신에 기반한 ETCS 시스템 및 ETCS를 이용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의 보급으로, 현재 많은 운전자들이 현금이나 카드 대신 차량에 장착된 ETCS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식(예컨대, 하이패스)을 이용하고 있다.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은 고속도로 등 유료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되어 운영된다.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의 운영은 통행료 부과대상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온보드 유닛(OBU, On-Board Unit)과 통행료 자동 징수를 위해 도로변에 설치된 도로변 장치(RSU, Road-Side Unit))가 서로 연동하여 도로통행요금을 자동으로 과금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단말기를 차량에 부착하여 서비스를 지원하는 차로로 진입하면 단거리전용통신 등을 이용하여 차량단말기와 노변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인증된 카드와 입력된 차량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통행요금이 징수된다.
이러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은 도로변 장치(RSU)와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를 설치하여 이용한다. 그에 따라 차량의 진입, 차량의 주행 감지, 차량의 진출 등을 감지하여 고속으로 운행하는 차량에 대해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차량의 진입, 주행 감지 및 진출 등을 각각 확인하기 위한 여러 전자 장치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차량에 설치된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RF 모듈, 카메라, 차량이 진행 차선 등을 확인하기 위한 인식 장치 등이 각각 설치되어 운영된다.
과금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에 삽입된 선불 카드의 잔고로부터 일정액의 요금을 차감하고, 그 잔액을 선불 카드에 잔고로서 갱신 기록하는 방법이나,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의 은행 구좌로부터 자동적으로 일정한 요금이 차감되는 방법 등이 채용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ETCS 시스템은 부정직한(dishonest) 사용자가 과금을 회피하기 위해 차량에 탑재된 요금 징수 장치를 무력화하는 등의 시도에 대응하여 요금을 적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부정 요금에 대한 판정 및 추가 징수를 수행하는 선행문헌으로서 일본등록특허 JP 5249971 "요금 징수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과금 대상 에어리어보다 넓은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를 설정하고 광역 통신기를 이용하여 차량 탑재기의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에 대한 진입 및 퇴출 정보를 탐지하는 구성을 택하고 있어서, 부정직한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속이거나 차량 탑재기의 위치 추적 자체를 무력화하는 경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일본등록특허 JP 5249971 "요금 징수 시스템" (2013년 4월 19일)
본 발명은 GPS 신호 및 통신 신호의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강인한(robust)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정직한 사용자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숨기고 과금을 방해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차량의 요금을 징수할 수 있는 ETCS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실제 주행 정보/위치 정보를 요금 정보로부터 분리하고, 정산소(Clearing House)에는 차량의 실제 주행 정보/위치 정보가 분리된 요금 정보만을 제공하는 ETCS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요금을 징수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의 위치 프라이버시(location privacy)를 보호할 수 있는 개선된 ETCS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RSU);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의 온보드 장치(OBU)와 통신함으로써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토큰 발행자(Token Issuer); 및 토큰 발행자와 통신하며 차량의 운전자/소유자에게 과금하는 정산소(Clearing House)를 포함한다. 토큰 발행자는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 및 비식별화된 토큰의 확인 과정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한다.
토큰 발행자는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여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에 전달하거나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제2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제1 도로변 장치의 제1 위치 정보 및 제2 도로변 장치의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는, 차량으로 비식별화된 토큰의 제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차량으로부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토큰 발행자로 전달할 수 있고,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는 경우 비식별화된 토큰을 토큰 발행자로 전달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으로부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할 수 있고, 비식별화된 토큰을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으로 전달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정산소로 전송할 수 있고, 정산소에 의하여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면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은 차량으로부터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정산소로 전달하는 제3 도로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차량의 온보드 장치가 제공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의 실제 주행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차량의 온보드 장치가 제공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는, 차량의 요금 정보를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할 수 있고,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된 요금 정보를 정산소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은, 토큰 발행자(Token Issuer)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RSU)를 경유하여 차량의 온보드 장치(OBU)와 통신함으로써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 토큰 발행자가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 및 비식별화된 토큰의 확인 과정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토큰 발행자가 요금 정보를 정산소(Clearing House)에 전달하는 단계; 및 정산소가 차량의 운전자/소유자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토큰 발행자가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는, 토큰 발행자가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여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에 전달하거나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토큰 발행자가 제2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가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제1 도로변 장치의 제1 위치 정보 및 제2 도로변 장치의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가 차량으로 비식별화된 토큰의 제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가 차량으로부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토큰 발행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가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는 경우 비식별화된 토큰을 토큰 발행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가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으로부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및 비식별화된 토큰을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가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는,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정산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정산소로부터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에서,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정산소에 의하여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면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은, 제3 도로변 장치가 차량으로부터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3 도로변 장치가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정산소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가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차량의 온보드 장치가 제공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의 실제 주행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가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차량의 온보드 장치가 제공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의 요금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토큰 발행자가 요금 정보를 정산소에 전달하는 단계에서, 차량의 요금 정보가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될 수 있고,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된 요금 정보가 정산소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TCS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GPS 신호 및 통신 신호의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강인한(robust) 차량 인증, 위치 추적, 및 요금 징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TCS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부정직한 사용자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숨기고 과금을 방해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차량의 요금을 징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TCS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차량의 실제 주행 정보/위치 정보를 요금 정보로부터 분리하고, 정산소(Clearing House)에는 차량의 실제 주행 정보/위치 정보가 분리된 요금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TCS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안정적으로 요금을 징수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의 위치 프라이버시(location privacy)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Vehicle)의 부정 요금 시도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의 각 엔티티가 전송하는 정보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 및 검증하고 요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요금을 과금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 및 송수신되는 정보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 및 송수신되는 정보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 및 검증하고 요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 및 송수신되는 정보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3 내지 도 16의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는 일반화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의 각 엔티티 또는 컴퓨팅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차량과 주변의 사물 간의 통신 기술인 V2X(Vehicle to Anything) 기술, 상기 제시한 선행기술인 일본등록특허 JP 5249971 "요금 징수 시스템"에 개시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GPS 수신 기술, 과금 대상 에어리어 또는 확장(광역) 과금 대상 에어리어에 진입/퇴출하는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 통신망을 이용하여 과금하고 결제하는 기술 등을 포함하여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선행기술 문헌들의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 및 구성과의 연관성을 자명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취지를 흐릴 수 있는 지나치게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선행기술 문헌을 소개하는 것으로 설명에 갈음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차량(100)의 온보드 장치(OBU, 110)는 주기적으로 차량(100)의 위치, 방향, 및 속도를 도로변 장치(RSU, 200)를 경유하여 정산소(Clearing House, 300)로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의 위치, 방향, 및 속도 정보는 비식별화된 인증서를 이용한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에 의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비식별화된 인증서는 예를 들면 가명 인증서(Pseudonym Certification)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부정직한 사용자가 차량(100)의 요금 지불을 회피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Vehicle)의 부정 요금 시도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보드 장치(110)는 GPS 수신기(120)를 포함한다.
부정직한 사용자는 차량(100)에 GPS 재머(130)를 설치하여 GPS 수신기(120)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GPS 수신기(120)의 동작이 방해되면 온보드 장치(110)는 차량(100)의 정확한 위치를 보고할 수 없다. 온보드 장치(110)가 보고하는 위치 정보는 차량(100)의 실제 위치가 아닌 가짜 위치이다.
이 때 정산소(300)는 차량(100)의 실제 위치를 알지 못하므로 차량(100)에 요금을 부과할 수 없다.
도 2의 시나리오에서는 부정직한 사용자가 차량의 요금 지불을 회피하려는 시도를 도시하였지만, 유사한 상황은 GPS 수신기(120)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 하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신호가 미약하여 GPS 수신기(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어려운 환경, 또는 통신 신호가 미약하여 차량(100)의 위치가 정확하게 추정되기 어려운 환경 하에서도 정산소(300)가 차량(100)에 정확한 요금을 부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장애 요인을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확보하고 차량(100)에 요금을 징수할 수 있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도로변 장치(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들의 상태를 정산소(300)로 보고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들의 상태는 도로변 장치(200)의 ID, 시간, 차량(100)의 ID, 신호 수신 강도(radio receiving strength)를 포함하여 보고될 수 있다.
정산소(300)는 메시지들에 포함되는 신호 수신 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차량(100)의 잘못된 동작(misbehavior)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통신 사업자(TelCo)가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셋의 위치를 체크하는 방식을 참고한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기법에 의하면 정산소(300)가 차량(100)의 실제 이동 경로 및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100)의 위치 프라이버시(location privacy)를 보호할 수 없다.
협력적 지능형 교통 시스템(C-ITS, Cooperative Intellectual Transport System)에서는 각 차량(100)의 위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도록 규정되고 있어서, 이러한 니즈에 부합하는 새로운 ETCS 및 그 동작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다양한 장애 요인을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확보하고 차량(100)에 요금을 징수할 수 있으면서도, 각 차량(100)의 위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토큰 발행자(400)가 정산소(300)와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RSU 1, RSU 2)(210, 2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210, 220)를 경유하여 차량(100)의 온보드 장치(OBU)와 통신함으로써 차량(100)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토큰 발행자(Token Issuer)(400); 및 토큰 발행자(400)와 통신하며 차량(100)의 운전자/소유자(500)에게 과금하는 정산소(Clearing House)(300)를 포함한다.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의 비식별화된 토큰 및 비식별화된 토큰의 확인 과정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210, 22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한다.
토큰 발행자(400)는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여 제1 도로변 장치(RSU 1)(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에 전달하거나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제2 도로변 장치(RSU 2)(22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제1 도로변 장치(210)의 제1 위치 정보 및 제2 도로변 장치(220)의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00)의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210, 220)는, 차량(100)으로 비식별화된 토큰의 제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차량(100)으로부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토큰 발행자(400)로 전달할 수 있고, 차량(100)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는 경우 비식별화된 토큰을 토큰 발행자(400)로 전달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부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할 수 있고, 비식별화된 토큰을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차량(1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정산소(300)로 전송할 수 있고, 정산소(300)에 의하여 차량(1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면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의 온보드 장치(110)가 제공하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100)의 실제 주행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이 가짜 위치 정보를 온보드 장치(110)를 경유하여 보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TCS는 차량(100)의 실제 주행 경로를 독립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므로 차량(100)에 정확한 요금을 부과하고 징수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의 온보드 장치(110)가 제공하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100)의 실제 주행 경로에 기반하여, 차량(100)의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의 온보드 장치(110)가 제공하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100)의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비식별화된 토큰으로서 가명화 토큰을 발행하고, 가명화 토큰을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가명화 토큰은 암호화되어(Encrypted) 전달될 수 있다.
차량(100)이 제2 도로변 장치(220)를 경유하여 기 발행된 가명화 토큰을 토큰 발행자(400)로 제출할 수 있다. 이때 제출되는 가명화 토큰은 디지털 서명이 적용되어 암호화될 수 있다.
도로변 장치들(210, 220) 각각은 일정한 거리 영역 내에 접근하는 차량(100)에 대하여 가명화 토큰을 제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차량(100)은 가명화 토큰을 제출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가명화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지 체크하고, 가명화 토큰을 보유하고 있으면 가명화 토큰을 제출하고, 가명화 토큰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가명화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도로변 장치들(210, 220) 중 현재 근접한 도로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로변 장치들(210, 220) 각각은 근접한 차량(100)과 통신하여 차량(100)이 가명화 토큰의 보유 여부를 확인한 후에 가명화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거나, 기 발행된 가명화 토큰을 전송하는 경우에 가명화 토큰의 발행 요청 또는 기 발행된 가명화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 후 토큰 발행자(4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의 각 엔티티가 전송하는 정보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의 요금 정보를 차량(100)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할 수 있고, 차량(100)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된 요금 정보를 정산소(3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의 가명화 ID, 요금 정보만을 정산소(300)에 전달하고, 차량(100)의 실제 위치 정보는 정산소(300)로 전달하지 않음으로써 차량(100)의 위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가명화 인증서에 기반하여 가명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정산소(300)는 차량(100)의 지불 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정산소(300)는 V2X 보안 인프라의 지원을 받아 차량(100)의 실제 ID를 검색할 수 있다. 정산소(300)는 차량(100)의 운전자/소유자(500)에게 전체 통행 요금을 부과 및 요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은 차량(100)으로부터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정산소(300)로 전달하는 제3 도로변 장치(RSU 0)(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의 시작 전에 미리 제3 도로변 장치(230)로 지불 계정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510). 이때 차량(100)은 주행의 시작 전 또는 유료 도로의 진입 전에 단계 S510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도로변 장치(230)는 차량(100)의 지불 계정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정산소(300)로 전달할 수 있다(S520).
정산소(300)는 차량(100)의 지불 계정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차량(100)의 지불 계정 ID를 암호화하여 제3 도로변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S530).
제3 도로변 장치(230)는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를 차량(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S54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제1 도로변 장치(210)는 근접한 차량(100)에 토큰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0).
차량(100)은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보유하고 있는 토큰이 없으면, 차량(100)은 토큰 발행을 요청하기 위하여 계정 ID를 암호화할 수 있다(S614).
차량(100)은 토큰 발행 요청 메시지를 제1 도로변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S620). 이때 토큰 발행 요청 메시지는 차량(100)의 지불 계정 ID의 암호화된 버전 [enc(Account I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로변 장치(210)는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를 포함하는 토큰 발행 요청 메시지를 토큰 발행자(400)로 전송할 수 있다(S624).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에 대한 계정 유효성 검증 요청 메시지를 정산소(300)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정산소(300)는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의 계정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S634).
정산소(300)는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의 계정 유효성을 검증 결과를 계정 유효성 검증 응답 메시지로서 토큰 발행자(400)로 응답할 수 있다(S636).
계정 유효성 검증 응답 메시지에 기반하여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가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면, 토큰 발행자(400)는 가명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S640).
토큰 발행자(400)는 생성된 가명화 토큰과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S642).
토큰 발행자(400)는 암호화된 가명화 토큰을 제1 도로변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S650).
제1 도로변 장치(210)는 암호화된 가명화 토큰을 차량(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S652).
차량(100)은 가명화 토큰을 저장할 수 있다(S654).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 및 검증하고 요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제2 도로변 장치(220)는 근접한 차량(100)에 토큰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10).
차량(100)은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보유하고 있는 토큰이 있으면, 차량(100)은 가명화 토큰을 디지털 서명과 함께 전송하거나, 또는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가명화 토큰을 제2 도로변 장치(220)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제2 도로변 장치(220)는 차량(100)의 암호화된 가명화 토큰을 토큰 발행자(400)로 전송할 수 있다(S724).
이때 제2 도로변 장치(22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상태 전반에 대한 정보를 가명화된 토큰과 함께 토큰 발행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의 상태 정보의 예시는, 제2 도로변 장치(220)의 ID, 시간, 차량 ID, 신호 수신 강도(radio receiving strength)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의 부분적인 주행 경로를 검증할 수 있다(S730). 토큰 발행자(400)는 동일한 가명화 토큰이 수신되는 도로변 장치들의 ID, 또는 동일한 차량(100) 지불 계정 ID에 대한 가명화 토큰이 수신되는 도로변 장치들의 ID, 및 신호 수신 강도 등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00)의 부분적인 주행 경로를 검증할 수 있다. 이때 결과적으로 차량(100)이 근접하면서 지나친 도로변 장치들의 지리적 위치 정보 및 통과 시간에 기반하여 차량(100)의 실제 주행 경로가 추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의 위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요금 계산이 완료된 구간 이전의 차량(100)의 주행 경로를 삭제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요금 정보(Toll Fee Info) 및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 정보를 정산소(300)로 전달할 수 있다(S740).
정산소(300)는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 정보를 검색하고(S750), 차량(100)의 암호화된 지불 계정 ID 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요금을 과금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도 7의 단계 S750 이후의 검증 결과 유효한 지불 계정 ID이면, 정산소(300)는 차량의 운전자/소유자(500)에게 전체 통행 요금을 요구할 수 있다(S810).
차량의 운전자/소유자(500)는 과금된 통행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S82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의 도면에서 도 3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도로변 장치(210) 및 제2 도로변 장치(220)의 사이에 갠트리(420)가 배치될 수 있다. 갠트리(420)는 UWB(Ultra Wide Band)에 의하여 차량(100)이 실제로 근접하였는 지를 체크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차량(100)이 특정한 갠트리(420)를 통과하였다는 다툴 수 없는 증거(non-reputable eviden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무선 신호 공격(radio attacks), 신호 재밍, GPS 간섭(GPS interruption) 등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강인하게 차량(1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요금을 징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 및 송수신되는 정보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에서 도 5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510에서 차량(100)으로부터 제3 도로변 장치(230)로 전송되는 지불 계정 등록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암호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Enc_PuK_CH[ReqBody] || Sign_PrK_Veh[Enc_PuK_CH[ReqBody]]
이때 ReqBody = {user ID, Vehicle Real ID, Account Info}로 구현될 수 있다.
Enc_PuK_CH[ReqBody]는 ReqBody에 대한 정산소(300)에서 발행한 Public Key를 이용한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ign_PrK_Veh[ ]는 [ ]에 대한 차량(100)에서 발행한 Private Key를 이용한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연산 A || B는 A와 B의 Concate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도로변 장치(230)는 차량(100)의 지불 계정 등록 요청 메시지를 검증할 수 있다(S512).
이때 S512의 검증 과정은 Sign_PrK_Veh[Enc_PuK_CH[ReqBody]]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S512의 검증 결과 유효한 메시지이면, 제3 도로변 장치(230)는 차량(100)의 지불 계정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정산소(300)로 전달할 수 있다(S520).
정산소(300)는 차량(100)의 지불 계정 등록 요청을 검증할 수 있다(S522).
S522의 검증 결과 유효한 요청이면, 정산소(300)는 AccountID를 생성할 수 있다(S524).
S524에서는 Id 생성 기법의 예로서 Random Number를 이용하는 Method 1이 이용되거나, ReqBody로부터 Derivation을 이용하는 Method 2가 이용되거나, Method 1 및 Method 2가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정산소(300)는 ReqBody 및 AccountID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S526).
정산소(300)는 암호화된 AccountID를 제3 도로변 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S530).
이때 S530에 의하여 전송되는 정보는, 다음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Enc_PuK_Veh[AccountID] || Sign_PrK_CH[Enc_PuK_Veh[AccountID]]
이때 Enc_PuK_Veh[AccoundID]는 AccountID에 대한 차량(100)에서 발행한 Public Key를 이용하는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Sign_PrK_CH[ ]은 [ ]에 대한 정산소(300)에서 발행한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도로변 장치(230)는 암호화된 AccountID를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540).
차량(100)은 AccountID를 복호화하고(decrypt), 저장할 수 있다(S550).
이때 암호화된 AccountID는 차량(100) 및 정산소(300)에서 발행된 Private 키들을 이용하여 암호화되므로, 제3 도로변 장치(230)는 AccountID를 해독할 수 없고 AccountID에 대한 어떤 정보도 보유할 수 없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 및 송수신되는 정보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도 6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620에서 차량(100)으로부터 제1 도로변 장치(210)로 전송되는 토큰 발행 요청 메시지 TIR (Token Issuing Request)는 다음과 같은 암호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IR = Enc_PuK_CH[AccountID] || Sign_PrK_Veh[Enc_PuK_CH[AccountID]]
이때 Enc_PuK_CH[AccountID]는 AccountID에 대한 정산소(300)에서 발행한 Public Key를 이용하는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Sign_PrK_Veh[ ]은 [ ]에 대한 차량(100)에서 발행한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도로변 장치(210)는 TIR을 검증할 수 있다(S622).
이때 S622에서 TIR 중 Sign_PrK_Veh[Enc_PuK_CH[AccountID]] 항목이 검증에 이용될 수 있다.
S630에서 토큰 발행자(400)로부터 정산소(300)로 전송되는 계정 유효성 검증 요청 메시지는 TIR || Sign_PrK_TI[TIR] 로 이루어진다. 이때 Sign_PrK_IT[TIR]은 TIR에 대한 토큰 발행자(400)에서 발행한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정산소(300)는 계정 유효성 검증 요청 메시지를 복호화(decrypt)하여 Account ID를 획득할 수 있다(S632).
정산소(300)는 Account ID를 검증할 수 있다(S634).
S636에서 계정 유효성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는 다음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ValidationResult || Sign_PrK_CH[ValidationResult]
이때 ValidationResult는 계정 유효성 검증 결과이고, Sign_PrK_CH[ ]는 [ ]에 대한 정산소(300)에서 발행한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계정 유효성 검증 결과가 Account ID가 유효함을 나타내면, 토큰 발행자(400)는 가명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S640).
S640에서 가명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는 기법의 예로는 Random Number를 이용하는 Method 1이 이용되거나, TIR로부터 Derivation을 이용하는 Method 2가 이용되거나, Method 1 및 Method 2가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650 및 S652에서 토큰 발행자(400)로부터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 전달되는 암호화된 가명화 토큰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Enc_PuK_Veh[Pseudo.Token] || Sign_PrK_TI[Enc_PuK_Veh[Pseudo.Token]]
이때 Pseudo.Token은 가명화 토큰이고, Enc_PuK_Veh[ ]는 [ ]에 대한 차량(100)에서 발행한 Public Key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Sign_PrK_TI[ ]는 [ ]에 대한 토큰 발행자(400)에서 발행한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디지털 서명에 의한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100)은 가명화 토큰을 수신하였으므로, 이제부터 토큰을 보유한 상태이다. 차량(100)은 가명화 토큰을 저장할 수 있다(S654).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에서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 및 검증하고 요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프로토콜 및 송수신되는 정보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사항 중 도 7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3에서는 제2 도로변 장치(220)를 경유하여 차량(100)이 보유하고 있는 가명화 토큰을 토큰 발행자(400)로 전송하는 과정이 개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도로변 장치(210) 또는 다른 도로변 장치(RSU)를 경유하는 실시예에도 동일한 개념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S720에서 차량(100)으로부터 제2 도로변 장치(220)로 전송되는 암호화된 가명화 토큰 정보는 다음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가명화 토큰 정보가 암호화되어 제출되는 것이므로 Submission으로 표현하면, Submission은
Submission
= Enc_PuK_TI[Pseudo.Token] || Sign_PrK_Veh[Enc_PuK_TI[Pseudo.Token]]
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때 Enc_PuK_TI[ ]는 [ ]에 대하여 토큰 발행자(400)에 의하여 발행된 Public Key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ign_PrK_Veh[ ]는 [ ]에 대하여 차량(100)에 의하여 발행된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도로변 장치(220)는 암호화된 가명화 토큰을 검증할 수 있다(S722).
S722에서는 Sign_PrK_Veh[Enc_PuK_TI[Pseudo.Token]] 항목이 검증에 이용될 수 있다.
S724에서 제2 도로변 장치(220)에 의하여 토큰 발행자(400)로 전달되는 암호화된 가명화 토큰은 다음과 같이 메시지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ubmission) || (radio_strength) || Sign_PrK_RSU2 [(Submission) || (radio_strength)]]
이때 radio_strength는 제2 도로변 장치(220)가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신호 수신 강도를 의미할 수 있고, Sign_PrK_RSU2[ ]는 [ ]에 대한 제2 도로변 장치(220)에서 발행한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는 차량(100)으로부터 가명화 토큰을 수신하거나 발행되는 트랜잭션을 수행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210, 22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량(100)의 주행 경로를 검증할 수 있다(S730).
S740에서 토큰 발행자(400)로부터 정산소(300)로 전달되는 요금 정보 + 암호화된 Account ID는 다음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Submission || toll fee || Sign_PrK_TI[Submission || toll fee]
이때 toll fee는 요금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Sign_PrK_TI[ ]는 [ ]에 대하여 토큰 발행자(400)에서 발행한 Private Key를 이용하는 디지털 서명에 의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30 및 S740 사이에 토큰 발행자(400)가 새로운 가명화 토큰을 발행하여 제2 도로변 장치(22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실시예에서는 차량(100)이 보유한 가명화 토큰을 확인한 후에, 토큰 발행자(400)가 새로운 가명화 토큰을 발행하여 차량(100)이 갱신된 가명화 토큰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전달할 수 있다.
가명화 토큰의 수명은 차량(100)이 매번 새로운 RSU를 통과할 때마다 갱신될 수도 있고, 일정한 시간 구간 또는 일정한 개수의 RSU를 통과한 후에 갱신될 수도 있으며, 요금 체계가 상이한 도로에 진입할 때마다 가명화 토큰이 갱신될 수도 있다.
가명화 토큰이 갱신되는 실시예에서는, 단계 S730 및 S740의 사이에,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가명화 토큰 생성 단계(S640), 가명화 토큰 저장 단계(S642), 가명화 토큰 전달 단계(S650, S652), 및 가명화 토큰 저장 단계(S654)가 메시지가 경유되는 RSU에 적합하게 변형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은, 토큰 발행자(Token Issuer)(4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RSU)(210, 220)를 경유하여 차량(100)의 온보드 장치(OBU)(110)와 통신함으로써 차량(100)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S910); 토큰 발행자(400)가 차량(100)의 비식별화된 토큰 및 비식별화된 토큰의 확인 과정과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210, 22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00)의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930); 토큰 발행자(400)가 요금 정보를 정산소(300)(Clearing House)에 전달하는 단계(S950); 및 정산소(300)가 차량(100)의 운전자/소유자에게 과금하는 단계(S970)를 포함한다.
토큰 발행자(400)가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S910)는, 토큰 발행자(400)가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여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에 전달하거나(S640, S650, S652)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토큰 발행자(400)가 제2 도로변 장치(22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하는 단계(S720, S722, S724, S730)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가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930)에서, 제1 도로변 장치(210)의 제1 위치 정보 및 제2 도로변 장치(220)의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100)의 요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210, 220)가 차량(100)으로 비식별화된 토큰의 제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610, S7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210, 220)가 차량(100)으로부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S620)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토큰 발행자(400)로 전달하는 단계(S624);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210, 220)가 차량(100)으로부터 기 발행된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는 경우(S720) 비식별화된 토큰을 토큰 발행자(400)로 전달하는 단계(S7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가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S910)는,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부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620, S624);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S640); 및 비식별화된 토큰을 제1 도로변 장치(210)를 경유하여 차량(100)으로 전달하는 단계(S650, S652)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가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S910)는,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620, S624) 이후에,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차량(1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정산소(300)로 전송하는 단계(S630); 및 정산소(300)로부터 차량(1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6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S640)에서,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정산소(300)에 의하여 차량(1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면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은, 제3 도로변 장치(230)가 차량(100)으로부터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510); 및 제3 도로변 장치(230)가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정산소(300)로 전달하는 단계(S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토큰 발행자(400)가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930)는, 차량(100)의 온보드 장치(110)가 제공하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100)의 실제 주행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증하는 단계(S920)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발행자(400)가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930)에서, 차량(100)의 온보드 장치(110)가 제공하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차량(100)의 요금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토큰 발행자(400)가 요금 정보를 정산소(300)에 전달하는 단계(S950)에서, 차량(100)의 요금 정보가 차량(100)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될 수 있고(S940), 차량(100)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된 요금 정보가 정산소(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6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자동차를 포함한 차량 네트워크에 있어 새로운 기술이 융합됨으로써 자동차 대 자동차, 및 자동차 대 인프라간 통신이 가능하다. 스마트폰, 클라우드 및 기타 장치와 차량 간의 V2X 통신이 가능해진다.
V2V 네트워크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라고 하는 전용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75MHz의 대역폭으로 5.9GHz에서 동작하는 자동차용으로 특히 사용되는 이중 통신 프로토콜 채널이며, V2X 통신의 경우,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와 IEEE 802.11p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DSRC, WAVE 및 IEEE 802.11 p는 공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알려진 취약점이 존재한다.
도 17은 도 3 내지 도 16의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는 일반화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의 각 엔티티 또는 컴퓨팅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요금 징수 방법의 적어도 일부의 과정은 도 17의 컴퓨팅 시스템(100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1200), 통신 인터페이스(1300), 저장 장치(1400), 입력 인터페이스(1500), 출력 인터페이스(1600) 및 버스(bus)(1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적어도 일부의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가 상기 메모리(1200)로부터 명령어들을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0) 및 저장 장치(140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100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1000)은, 저장 장치(1400), 입력 인터페이스(1500), 출력 인터페이스(16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컴퓨팅 시스템(10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RSU);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차량의 온보드 장치(OBU)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토큰 발행자(Token Issuer); 및
    상기 토큰 발행자와 통신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소유자에게 과금하는 정산소(Clearing House);
    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발행자는 상기 차량의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 및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확인 과정과 관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는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여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하고,
    상기 토큰 발행자는 제2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는,
    상기 제1 도로변 장치의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변 장치의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는,
    상기 차량으로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제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토큰 발행자로 전달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상기 토큰 발행자로 전달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는,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고,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상기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으로 전달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는,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정산소로 전송하고,
    상기 정산소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면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정산소로 전달하는 제3 도로변 장치;
    를 더 포함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는,
    상기 차량의 상기 온보드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상기 차량의 실제 주행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증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는,
    상기 차량의 상기 온보드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상기 차량의 상기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는,
    상기 차량의 상기 요금 정보를 상기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하고,
    상기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된 상기 요금 정보를 상기 정산소에 전달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ETCS).
  11.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에 있어서,
    토큰 발행자(Token Issuer)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RSU)를 경유하여 차량의 온보드 장치(OBU)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차량의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 및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확인 과정과 관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요금 정보를 정산소(Clearing House)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소가 상기 차량의 운전자/소유자에게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여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큰 발행자가 제2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여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도로변 장치의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도로변 장치의 제2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제출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토큰 발행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변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 발행된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상기 토큰 발행자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는,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상기 제1 도로변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차량으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의 발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정산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산소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효성의 검증 결과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정산소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면 상기 비식별화된 토큰을 발행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제3 도로변 장치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도로변 장치가 상기 지불 계정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정산소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기 온보드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상기 차량의 실제 주행 경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온보드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독립적으로 상기 차량의 상기 요금 정보를 생성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자가 상기 요금 정보를 상기 정산소에 전달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요금 정보가 상기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되고,
    상기 차량의 실제 위치 정보와 분리된 상기 요금 정보가 상기 정산소에 전달되는,
    V2X 통신 기반 전자 요금 징수 방법.
KR1020220143538A 2022-11-01 2022-11-01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55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38A KR102555266B1 (ko) 2022-11-01 2022-11-01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US18/059,341 US20240144270A1 (en) 2022-11-01 2022-11-28 V2x-based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JP2022189966A JP7482460B1 (ja) 2022-11-01 2022-11-29 V2x基盤電子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方法
EP22210307.9A EP4365860A1 (en) 2022-11-01 2022-11-29 V2x-based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38A KR102555266B1 (ko) 2022-11-01 2022-11-01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266B1 true KR102555266B1 (ko) 2023-07-13

Family

ID=8436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538A KR102555266B1 (ko) 2022-11-01 2022-11-01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44270A1 (ko)
EP (1) EP4365860A1 (ko)
JP (1) JP7482460B1 (ko)
KR (1) KR1025552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971U (ko) 1975-10-07 1977-04-09
JPH10222709A (ja) * 1997-01-31 1998-08-21 Toyota Motor Corp 車載用通信装置及び路車間通信装置
KR20020005719A (ko) * 1999-04-28 2002-01-17 사이토 아키히코 과금 시스템
KR20040004963A (ko) * 2002-07-08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공개키 기반 etc 결제방법
KR20200061189A (ko) * 2018-11-23 2020-06-02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V2x 통신을 위한 보안 인증 관리 시스템에서 eca와 dcm 사이를 중계하여 등록 인증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702A (ja) 2001-07-19 2003-01-31 Mitsubishi Heavy Ind Ltd 車載器及び路側装置及び料金収受装置
JP5249971B2 (ja) 2010-02-18 2013-07-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料金収受システム
EP2511868B1 (de) * 2011-04-15 2013-04-10 Kapsch TrafficCom AG Verfahren zum Abrechnen Von Ortsnutzungen
JP2016143180A (ja) 2015-01-30 2016-08-08 株式会社東芝 経路把握装置、車載器、および経路把握方法
CN114846525B (zh) * 2020-01-22 2023-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计费方法及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971U (ko) 1975-10-07 1977-04-09
JPH10222709A (ja) * 1997-01-31 1998-08-21 Toyota Motor Corp 車載用通信装置及び路車間通信装置
KR20020005719A (ko) * 1999-04-28 2002-01-17 사이토 아키히코 과금 시스템
KR20040004963A (ko) * 2002-07-08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공개키 기반 etc 결제방법
KR20200061189A (ko) * 2018-11-23 2020-06-02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V2x 통신을 위한 보안 인증 관리 시스템에서 eca와 dcm 사이를 중계하여 등록 인증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44270A1 (en) 2024-05-02
EP4365860A1 (en) 2024-05-08
JP2024070186A (ja) 2024-05-22
JP7482460B1 (ja)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2738B1 (en) Method for automatic debiting of tolls for vehicles
US7123879B2 (en) Toll charging system and toll charging method
JP3156562B2 (ja) 車両用通信装置及び走行車両監視システム
HU220494B1 (hu) Eljárás és elrendezés járművek út- és területhasználati díjának megállapítására
KR101367311B1 (ko) 차량 요금 자동 정산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합한 서비스 보안 방법 및 보안 시스템
US20140316992A1 (en) Method for charging an onboard-unit with an electronic ticket
CN112785734B (zh) 基于双向认证的电子不停车收费系统和方法
KR20150015803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163439A (zh) 基于非对称算法的车载单元收费和打卡方法
KR102555266B1 (ko) V2x 기반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5200978B2 (ja) 与信判定システム、車載器及び与信判定方法
KR20130104253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결제 방법 및 장치
JP2017097788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KR100802613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과금 징수 방법 및 시스템
JP2003030702A (ja) 車載器及び路側装置及び料金収受装置
WO2002023488A1 (fr) Appareil indicateur de droits de peage, dispositif de detection de droits de peage embarque, systeme indicateur de droits de peage et procede indicateur de droits de peage
Bhuvaneswari et al. An Automated system for Fare Collection and Document verification in tollgate
JP2006163457A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30030447A (ko) 핸드폰을 이용한 도로 요금 징수 네트워크 및 그 방법
KR20120059804A (ko) 무선 요금정산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요금 정산 방법
CN116052293A (zh) 用于etc系统的付费方法、相关产品及etc系统
JP5322318B2 (ja) 有料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有料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用プログラム
CN118154262A (zh) 基于物联网的高速公路通行费发票出具方法
JP2021124876A (ja) 管理システム、ゲート制御装置及び管理方法
CN117314411A (zh) 基于硬件钱包的车载交易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