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020B1 -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 - Google Patents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020B1
KR102555020B1 KR1020180057747A KR20180057747A KR102555020B1 KR 102555020 B1 KR102555020 B1 KR 102555020B1 KR 1020180057747 A KR1020180057747 A KR 1020180057747A KR 20180057747 A KR20180057747 A KR 20180057747A KR 102555020 B1 KR102555020 B1 KR 102555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inflammatory
outside air
fuse unit
cutou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795A (ko
Inventor
송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준일렉트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준일렉트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준일렉트릭
Priority to KR102018005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0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전류 또는 과부하의 발생시 퓨즈의 용단에 따라 발생하는 화염을 퓨즈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소염부에 의해 확산·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화염에 의한 화재 발생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A Cut Out Switch Being Possible of Hiding Flash}
본 발명은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전류 또는 과부하의 발생시 퓨즈의 용단에 따라 발생하는 화염을 퓨즈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소염부에 의해 확산·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화염에 의한 화재 발생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컷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는 과전류 차단기의 일종으로 배전선로 분기 개소, MOP 1차측, PT 1차측 및 변압기 1차측 등에 설치하여 사고시에 신속히 개방되어 계통 과급을 방지하고, 기계기구와 선로의 단락 및 과부하 사고 등을 보호하는 단극 스위치이다. 또한, 컷아웃 스위치는 자가용 수 변전설비에서 변압기의 과전류나 단락전류에 의한 사고와 특고압 및 고압 모선의 지락, 계기용 변성기의 지락 등의 사고시 신속한 고장 제거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컷아웃 스위치는 퓨즈튜브(F)와 절연애자(I)로 형성되어 과전류 등에 의해 퓨즈튜브(F) 내의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류를 차단하고, 퓨즈튜브(F)가 회전하여 이를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컷아웃 스위치에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퓨즈튜브(F) 외부로 가스가 방출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불꽃이 주변 전신주, 나무, 전선 등에 옮겨 붙을 경우 2차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으나, 지금까지 컷아웃 스위치에 대한 기술 개발은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절연 성능의 개선이나 전류의 차단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666771호(2016. 10. 10. 등록) "전계완화가 가능한 폴리머 컷아웃 스위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과전류 또는 과부하의 발생시 퓨즈의 용단에 따라 발생하는 화염에 의해 2차 화재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컷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염의 분출시 화염의 회전을 일으켜 효율적인 확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컷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염의 분출 속도를 높여 확산·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컷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확산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화염의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컷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염이 넓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컷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염본체의 내경이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도록 하여, 화염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외기유입공이 소염본체의 내경이 가장 좁은 축경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분출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컷아웃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는 과전류 또는 과부하의 발생시 내부의 퓨즈가 용단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부와, 상기 퓨즈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퓨즈부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확산·제거하는 소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상기 퓨즈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소염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염본체는 상기 퓨즈부에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개방된 측으로 화염이 확산·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상기 소염본체의 내측면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며,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을 향해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홈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소염본체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외기유입공을 포함하여 소염본체 내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기유입공은 소염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측유입구와, 소염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소염본체 내로 유출시키는 내측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유출구는 외측유입구보다 화염의 분출 방향측으로 형성되어 외기유입공을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소염본체가 퓨즈부에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어 복수 영역으로 분할되는 확산날개를 포함하여, 확산 날개 사이로 화염이 확산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확산날개는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확산날개는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염본체는 일 지점에서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축경부를 포함하여, 퓨즈부에 결합되는 측에서 축경부까지 소염본체의 내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하고, 축경부를 지나면 소염본체의 내경이 점점 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염본체는 퓨즈부에 결합되는 측에서 반대측 끝단까지 축경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소염본체가 퓨즈부에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어 복수 영역으로 분할되는 확산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날개는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 상에 형성되는 외기유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유입공은 소염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측유입구와, 소염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소염본체 내로 외기를 유출시키는 내측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유출구는 외측유입구보다 화염의 분출 방향측으로 형성되어 외기유입공을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과전류 또는 과부하의 발생시 퓨즈의 용단에 따라 발생하는 화염을 퓨즈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소염부에 의해 확산·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공된 원통형의 소염본체를 마련하여 퓨즈부의 반대측으로 화염의 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염본체의 내측면에는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을 향해 곡선형으로 형성된 회전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분출시 회전을 발생시켜 효율적인 확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화염의 분출 속도를 높여 확산·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염본체가 퓨즈부에 결합되는측 반대측 끝단에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확산날개를 형성하도록 하여, 확산날개 사이의 공간으로 화염의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산날개의 폭이 좁아지거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화염이 넓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염본체의 내경이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도록 하여, 화염의 속도를 높이면서 소염본체의 끝단에서는 화염이 넓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제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기유입공이 소염본체의 내경이 가장 좁은 축경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분출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컷아웃 스위치에서 화염이 발생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소염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소염부의 상측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소염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소염부의 상측사시도
도 9는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컷아웃 스위치는 과전류 또는 과부하의 발생시 내부의 퓨즈가 용단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부(1)와, 상기 퓨즈부(1)의 일단에 형성되어 퓨즈부(1)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확산·제거하는 소염부(3)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전류 등의 발생시 퓨즈부(1)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소염부(3)를 통해 확산·제거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화염의 확산,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염본체(31) 내부에서 화염의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화염이 외부로 분출되는 소염본체(31)의 끝단에서는 화염이 더욱 넓고 다양한 방향으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소염본체(31) 내부에 화염의 유동 방향으로 외기를 유입시켜 화염의 유속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퓨즈부(1)는 과전류 또는 과부하의 발생시 내부의 퓨즈가 용단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구성으로, 퓨즈의 용단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일측에는 절연애자(미도시)로 구성되어 전류의 흐름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퓨즈부(1)는 일반적인 컷아웃 스위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퓨즈부(1)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부(1)의 하단에 소염부(3)를 형성하여 과전류 등의 발생시 퓨즈부(1)로부터 발생하는 화염을 확산,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화염이 주변 나무, 전선, 기타 시설물 등에 옮겨 붙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염부(3)는 과전류, 과부하 등의 발생시 퓨즈부(1) 내의 퓨즈가 용단되어 퓨즈부(1)로부터 화염이 발생할 때, 발생된 화염을 확산,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퓨즈부(1)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퓨즈부(1)의 하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염부(3)는 퓨즈부(1)로부터 발생하는 화염을 흡수하여 확산,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효율적인 확산, 분출 과정을 통해 소멸되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소염부(3)는 상기 퓨즈부(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소염본체(31); 상기 소염본체(31)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며,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을 향해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홈(32); 소염본체(31)가 퓨즈부(1)에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어 복수 영역으로 분할되는 확산날개(33);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외기유입공(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염본체(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부(1)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퓨즈부(1)로부터 발생하는 화염이 분출될 수 있는 퓨즈부(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염본체(31)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퓨즈부(1)로부터 발생하는 화염이 소염본체(31) 내부의 공간을 통과하여 퓨즈부(1)의 반대측으로 확산, 소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소염본체(31)의 내측면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홈(32)이 형성되어 소염본체(31) 내를 통과하는 화염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소염본체(31) 상의 일 지점에는 둘레를 따라 외기유입공(34)이 관통 형성되어 외기가 소염본체(31) 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소염본체(31)를 통과하는 화염의 유속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염본체(31)가 퓨즈부(1)에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 끝단에는 여러 갈래로 분할되는 확산날개(33)가 형성되도록 하여 분출되는 화염이 여러 갈래로 퍼져 확산될 수 있도록 하고, 확산날개(33) 특유의 형상에 의해 화염이 더욱 넓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화염의 확산 및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회전홈(32)은 상기 소염본체(31)의 내면을 따라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부(1)측 끝단에서 반대측 끝단까지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부(1)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화염은 회전홈(32)에 접촉되어 회전 유동을 실시함으로써 소용돌이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화염의 확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홈(32)은 소염본체(31)의 양 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소염본체(31) 내에 유입된 화염에 대해 효과적으로 회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소염본체(31) 밖으로 화염이 분출될 때에도 회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확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홈(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날개(13)의 내측면으로도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확산날개(13) 끝단을 통해 분출되면서도 회전을 형성하며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홈(32)은 소염본체(31)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화염의 회전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회전을 통한 화염의 확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확산날개(33)는 소염본체(31)가 퓨즈부(1)에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어 여러 갈래로 분할되는 구성으로, 화염의 일부는 확산날개(33) 사이의 공간으로 확산되고, 나머지 일부는 확산날개(33)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화염의 분할 확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확산날개(33)는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분할되어 복수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확산날개(33)를 통한 화염의 확산이 균형 있게 이루어져 화염의 확산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확산날개(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부(1)의 반대측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확산날개(33) 사이로 확산되는 화염과 확산날개(33)를 따라 이동하는 화염이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확산,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확산날개(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부(1)의 반대측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소염본체(31)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화염이 소염본체(31)의 끝단에서는 바깥쪽을 향해 분출될 수 있도록 하여 확산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기유입공(34)은 소염본체(31)의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구성으로, 소염본체(31) 내부에 외기의 유입이 이루어져 화염의 이동속도를 높이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기유입공(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의 이동방향(ⓐ)을 따라 외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기유입공(34)은 소염본체(3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측유입구(341)와, 소염본체(3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유입구(34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소염본체(31) 내로 유출시키는 내측유출구(342)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측유출구(342)는 외측유입구(341)보다 화염의 분출 방향, 즉 퓨즈부(1)에 결합되는 측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기유입공(34)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향해 소염본체(31)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기유입공(34)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화염의 이동 속도를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염의 확산이 빠르게 이루어져 확산에 의한 소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공(34)은 소염본체(3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외기의 유입이 소염본체(31)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염본체(31) 양 끝단의 중앙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컷아웃 스위치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퓨즈부(1)와 소염부(3)를 포함하고, 소염부(3)는 소염본체(31), 회전홈(32), 확산날개(33), 외기유입공(34)을 포함하며, 소염본체(31)에 추가적으로 축경부(311)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축경부(311)는 소염본체(31)의 일 지점에서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축경부(311)의 형성에 따라 퓨즈부(1)에 결합되는 상단에서부터 축경부(311)까지는 소염본체(31)의 내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고, 축경부(311)에서 퓨즈부(1)의 반대측 하단까지는 소염본체(31)의 내경이 점점 커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소염본체(31) 내에 유입된 화염은 소염본체(31)의 작아지는 내경에 의해 그 유속이 점점 빨라지며, 축경부(311)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갖게 되고, 축경부(311)를 통과하는 화염은 커지는 소염본체(31)의 내경에 의해 넓게 퍼져나가 화염의 확산 및 제거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소염본체(31)는 이러한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경부(311)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염본체(31)로부터 분출되는 화염이 더욱 빠르고 넓게 퍼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확산날개(33)로 연결되어 확산날개(33)도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펼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염이 더욱 넓고 다양한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기유입공(3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경부(311)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화염의 속도가 가장 커지는 축경부(311)로 외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속도 증가를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상기 외기유입공(34)은 화염의 분출 방향으로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소염본체(31) 내측면의 회전홈(32)을 통해 화염의 회전을 형성하도록 하고, 확산날개(33)를 통해 화염의 확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기유입공(34)을 통해 화염의 유속을 높이도록 하면서, 이에 더하여 축경부(311)를 통해 화염의 유속을 더욱 빠르게 하고, 소염본체(31)를 빠져나가는 화염의 분출 방향도 더욱 넓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화염의 확산, 제거 효율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퓨즈부
3: 소염부
31: 소염본체 311: 축경부
32: 회전홈 33: 확산날개
34: 외기유입공 341: 외측유입구 342: 내측유출구

Claims (11)

  1. 삭제
  2. 과전류 또는 과부하의 발생시 내부의 퓨즈가 용단되어 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부와, 상기 퓨즈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퓨즈부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확산·제거하는 소염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염부는
    상기 퓨즈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염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염본체는 상기 퓨즈부에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개방된 측으로 화염이 확산·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상기 소염본체의 내측면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며,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을 향해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홈은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소염본체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는 외기유입공을 포함하여 소염본체 내에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기유입공은,
    소염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측유입구와, 소염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소염본체 내로 유출시키는 내측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유출구는 외측유입구보다 화염의 분출 방향측으로 형성되어 외기유입공을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소염본체가 퓨즈부에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어 복수 영역으로 분할되는 확산날개를 포함하여, 확산 날개 사이로 화염이 확산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날개는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날개는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본체는
    일 지점에서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축경부를 포함하여, 퓨즈부에 결합되는 측에서 축경부까지 소염본체의 내경이 점점 좁아지도록 하고, 축경부를 지나면 소염본체의 내경이 점점 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본체는
    퓨즈부에 결합되는 측에서 반대측 끝단까지 축경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소염본체가 퓨즈부에 결합하는 측의 반대측 끝단에 형성되어 복수 영역으로 분할되는 확산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날개는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염부는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축경부 상에 형성되는 외기유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유입공은,
    소염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측유입구와, 소염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소염본체 내로 외기를 유출시키는 내측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유출구는 외측유입구보다 화염의 분출 방향측으로 형성되어 외기유입공을 통해 화염이 분출되는 방향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 스위치.
KR1020180057747A 2018-05-21 2018-05-21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 KR10255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747A KR102555020B1 (ko) 2018-05-21 2018-05-21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747A KR102555020B1 (ko) 2018-05-21 2018-05-21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795A KR20190132795A (ko) 2019-11-29
KR102555020B1 true KR102555020B1 (ko) 2023-07-17

Family

ID=6872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747A KR102555020B1 (ko) 2018-05-21 2018-05-21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0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1203B2 (ja) 1987-05-19 1998-09-21 クーパー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ヒュー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472B2 (ja) * 1988-11-30 1995-08-16 株式会社東芝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10308155A (ja) * 1997-05-06 1998-11-17 Energy Support Corp 限流ヒューズ及びそれに使用する絶縁コア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カットアウト
KR100476997B1 (ko) * 2001-04-26 2005-03-18 (주)지알텍 가연성 분체 연료 연소기 장치
US9761402B2 (en) * 2014-11-14 2017-09-12 Littelfuse, Inc. High-current fuse with endbell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1203B2 (ja) 1987-05-19 1998-09-21 クーパー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ヒュー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795A (ko)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457B2 (en) Arc compression-based arc-extinguishing lightning-protection gap device
US6797909B2 (en) High-voltage loadbreak switch with enhanced arc suppression
KR20060035194A (ko)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장치
JP6478836B2 (ja) ガス遮断器
KR102555020B1 (ko) 소염 기능을 갖는 컷아웃 스위치
US3614700A (en) On-the-line distribution cutout switch
ES2283817T3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de una red de distribucion de energia electrica.
ES2602953T3 (es) Cámara de corte para un aparato de protección eléctrica y aparato de protección eléctrica que incluye una cámara de este tipo
US20080037191A1 (e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with Improved Interrupting Capacity
KR200226399Y1 (ko) 지상변압기용순간압력저감장치
US11127551B2 (en)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performing a current breaking operation
US3002073A (en) Electric circuit interruption device and method
JP2010244742A (ja) ガス遮断器
CN105321750A (zh) 控制与保护开关的灭弧系统
EP3248203B1 (en) Exhaust diffuser for a gas-insulated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US20190206644A1 (en) Gas-Insulated Low- Or Medium-Voltage Switch With Swirling Device
CN108879635A (zh) 一种spd专用外部脱离器
CN203882932U (zh) 低压断路器
CN207664014U (zh) 断路器灭弧室改良结构
KR20210082161A (ko) 직류 전류 전송을 위한 퓨즈 사용 방법
CN109872919A (zh) 一种断路器及其灭弧室
CN210182310U (zh) 一种减少飞弧的端子罩安装结构
CN116031116B (zh) 一种塑壳断路器
KR102022943B1 (ko) 회전형 아크런너를 포함하는 차단기
CN213878004U (zh) 一种断路器灭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