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012B1 -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012B1
KR102555012B1 KR1020200175946A KR20200175946A KR102555012B1 KR 102555012 B1 KR102555012 B1 KR 102555012B1 KR 1020200175946 A KR1020200175946 A KR 1020200175946A KR 20200175946 A KR20200175946 A KR 20200175946A KR 102555012 B1 KR102555012 B1 KR 10255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ctor
information
digital
actor
re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945A (ko
Inventor
박홍식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0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은 상업공간, 문화공간, 놀이공간, 공공기관 등의 오프라인 실세계 공간에서 제품/서비스의 광고, 홍보, 마케팅 등이 수용자와 디지털액터의 상호작용으로 소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한편, 타겟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제품 판매/서비스 제공이나 제품/서비스의 광고, 홍보, 마케팅을 위한 매니저/스텝의 역할이 디지털액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운용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 상호소통적인 광고/홍보가 가능해질 수 있는 한편 관습적이었던 고객응대에서 벗어난 새롭고 다이나믹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는 고객응대가 가능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Digital actor management system for offline advertizing and promotion}
본 발명은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업공간, 문화공간, 놀이공간, 공공기관 등의 오프라인 실세계 공간에서 제품/서비스의 광고, 홍보, 마케팅 등이 수용자와 디지털액터의 상호작용으로 소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한편, 타겟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제품 판매/서비스 제공이나 제품/서비스의 광고, 홍보, 마케팅을 위한 매니저/스텝의 역할이 디지털액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운용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 상호소통적인 광고/홍보가 가능해질 수 있는 한편 관습적이었던 고객응대에서 벗어난 새롭고 다이나믹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는 고객응대가 가능해질 수 있는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 커뮤니티 상의 아바타와 같은 캐릭터, 3차원 애니메이션, 영화의 특수효과 등의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서 다양한 캐릭터 애니메이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가상 캐릭터를 다양하게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가상 캐릭터가 애니메이션 제작이나 각종 디스플레이장치 등에서 단순하게 보조적으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94573호 "3D 디지털 액터형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71833호 "3D 디지털 액터형 컴퓨터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 등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개발된 디지털액터 기반의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은, 현실의 인간과 구분되지 않을 정도의 사실감으로 구현된 3D 디지털액터가 스마트 폰/컴퓨터의 화면창에 디스플레이된 3D 가상공간 내에 위치하면서 영상인식/음성인식/스마트폰 움직임인식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와의 상호 대화나 사용자의 동작/표정 자동인식 등을 기반으로 한 능동적인 리액션/피드백 동작과 음성 발화를 가상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디지털 환경의 인공성을 인간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마트 폰/컴퓨터 이용시 사용자의 흥미유발과 즐거움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연령 대, 감정상태, 성격, 국적, 인종 등을 기준으로 다양한 특성을 갖는 3D 디지털액터를 사용자맞춤식으로 생성하게 됨으로써 서로 상이한 사용자들의 요구와 개인별 다양한 요구들이 효과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액터 기반의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도 스마트폰/컴퓨터의 인터페이스에 한정되는 구성이어서 디지털액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94573호 "3D 디지털 액터형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71833호 "3D 디지털 액터형 컴퓨터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오프라인 실세계 공간(상업공간, 문화공간, 놀이공간, 공공기관 등)에 위치한 수용자가 디지털액터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홍보/마케팅 정보를 제공받거나, 디지털액터가 매니저/스텝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 상호소통적인 광고/홍보가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고, 관습적이었던 고객응대에서 벗어난 새롭고 다이나믹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는 고객응대가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광고홍보 대상 제품(2a)과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로 생성되어 관리되고,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배치되거나 상기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가 제공되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에 대한 디지털액터의 가시화/비가시화가 이루어지는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과 종점이 설정되어 관리되며,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와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어 관리되는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와 연동되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로부터 객체(2)에 할당된 디지털액터 운용정보,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전달받아 운용하게 되는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 상기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를 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게 되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객체 정보 등록,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의 선택을 수행하게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와 연결되고, 설정된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에 상기 디지털액터가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가시화되면서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에 따라 디지털액터에 의한 광고홍보가 수행되도록 하는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의해 등록되는 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객체 DB(110); 상기 객체(2)에 할당될 디지털액터의 운용특성에 맞추어 자동선정되거나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동선정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을 상기 객체 DB(110)에 저장된 상기 객체(2)와 매칭시키고,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를 상기 객체 DB(110)에 저장하는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 상기 디지털액터의 특성정보, 형태정보, 양태이미지정보, 동작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객체 특성과 디지털액터 운용특성에 맞추어 생성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에서 생성된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과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객체(2)에 대한 기본적인 광고홍보 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전달하는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고, 수용자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으로 검출되는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2)에 대한 추가적인 광고홍보 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전달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는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 상기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에서 생성된 상기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와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의 제품 판매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활동하는 매니저-스텝인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로 생성되어 관리되고,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에 대한 디지털액터의 가시화/비가시화가 이루어지는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과 종점이 설정되어 관리되며,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와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어 관리되는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와 연동되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로부터 객체(2)에 할당된 디지털액터 운용정보,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전달받아 운용하게 되는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 상기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를 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게 되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객체 정보 등록,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의 선택을 수행하게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와 연결되고, 설정된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에 상기 디지털액터가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가시화되면서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에 따라 디지털액터에 의한 접객이 수행되도록 하는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의해 등록되는 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객체 DB(110); 상기 객체(2)에 할당될 디지털액터의 운용특성에 맞추어 자동선정되거나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동선정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을 상기 객체 DB(110)에 저장된 상기 객체(2)와 매칭시키고,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를 상기 객체 DB(110)에 저장하는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 상기 디지털액터의 특성정보, 형태정보, 양태이미지정보, 동작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객체 특성과 디지털액터 운용특성에 맞추어 생성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에서 생성된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으로 들어선 수용자에 대한 상기 디지털액터의 최초 접객 행위를 상기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전달하는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고, 수용자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으로 검출되는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액터의 추가적인 접객 행위를 상기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구현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는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 상기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에서 생성된 상기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와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에서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인식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가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제품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a); 상기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가 제공되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무선신호 통신기기(700)와의 무선통신으로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을 인식하게 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위치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b);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카메라(800')와 사물인식센서(900')에 의해 수용자가 인식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수용자 인식 가능영역을 수용자가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수용자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c);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디지털액터 활성화 스위치(1000)가 온(on) 동작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오프(off) 동작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스위치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d);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이나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에 형성되는 QR코드(2c)가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인식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디지털액터 활동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QR코드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e);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시점과 종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과 종점으로 설정하는 관리자 수동설정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f);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에서 상기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는,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MR 출력단말기(43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고,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나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를 제공받고자 하는 수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무인단말기(4)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가상현실 출력단말기(41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은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수용자 발화정보를 검출하는 사운드검출기기(110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수용자 영상정보를 검출하는 영상검출기기(12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상기 사운드검출기기(1100)와 영상검출기기(1200)로부터 수용자 발화정보와 수용자 영상정보를 전달받는 수용자 정보 입력유닛(250); 상기 수용자 발화정보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수용자 발화정보에 대응하는 수용자 반응정보를 검출하는 발화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60); 상기 수용자 영상정보로부터 행동정보, 표정정보, 제스춰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추출한 다음 행동정보, 표정정보, 제스춰정보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을 각각 수행하여 해당 수용자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수용자 반응정보를 검출하는 영상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70);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로부터 수용자 반응정보 별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전달받게 되고, 상기 발화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60)과 영상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70)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로 전송하는 리액팅정보 전송유닛(28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에 의하면, 상업공간, 문화공간, 놀이공간, 공공기관 등의 오프라인 실세계 공간에서 제품/서비스의 광고, 홍보, 마케팅 등이 수용자와 디지털액터의 상호작용으로 소통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한편, 타겟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제품 판매/서비스 제공이나 제품/서비스의 광고, 홍보, 마케팅을 위한 매니저/스텝의 역할이 디지털액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므로,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 상호소통적인 광고/홍보가 가능해지는 한편 관습적이었던 고객응대에서 벗어난 새롭고 다이나믹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는 고객응대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액터 제공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DB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액터 제공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디지털액터, 3D 디지털액터, 디지털액터 생성방법, 데이터베이스, 이미지편집 프로그램, 동작편집 프로그램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1)은 도 1에서와 같이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나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가 될 수 있는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로 생성되어 관리되는 서버이다. 여기서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으로 접속가능한 온라인 네트워크망에 구축되는 DB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으로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물론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외부로부터의 접속이 차단된 제한된 내부 네트워크망에 구축되는 DB 서버일 수도 있고, 온라인 네트워크망이나 내부 네트워크망에 연결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운용되는 독립된 DB 서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디지털액터 정보가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다음, 해당 저장장치가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에 직접 연결되면서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가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디지털액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500)와 연결되어 관리될 수 있는데, 관리자 단말기(500)는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해 운용되는 컴퓨터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배치되거나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가 제공되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에 대한 디지털액터의 가시화/비가시화가 이루어지는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과 종점이 설정되어 관리되도록 하고,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와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어 관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도 2에서와 같이 객체 DB(110),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제품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a), 위치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b), 수용자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c), 스위치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d), QR코드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e), 관리자 수동설정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f)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객체 DB(11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의해 등록되는 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것으로, 다양한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나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에 디지털액터가 할당될 수 있다. 객체 DB(110)는 관리자 단말기(500)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객체 정보와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선택정보를 계속해서 업데이트 형태로 등록하게 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객체 DB(110)에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객체(2)의 수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디지털액터가 할당되는 객체의 영역이 확장되게 된다. 여기서 객체 DB(110)는 객체 정보,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정보,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를 각각 개별적으로 저장하거나 연동되게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된다.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선택정보는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에 의해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로 전환되어 객체 DB(110)에 등록된다. 여기서 디지털액터는 객체인 개체 하나하나에 일대일 대응하여 할당될 수도 있고, 개체 하나하나가 아닌 객체 종류 별로 디지털액터가 할당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DB(110)는 도 3에서와 같이 객체 등록 DB 모듈(111),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저장DB 모듈(112),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DB 모듈(1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객체 등록 DB 모듈(111)은 디지털액터 운용자가 소지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되는 객체 정보를 등록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디지털액터 운용자는 홍보/마케팅/광고에 디지털액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로서, 기관/기업/상점 등의 관리자일 수 있다. 물론 객체 등록 DB 모듈(111)은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기(500)에 의해 입력되는 객체 정보를 등록할 수도 있다. 즉 객체 정보는 관리자에 의한 시스템 초기 세팅단계에서 등록될 수도 있고, 관리자나 클라이언트에 의한 시스템 운용중 업그레이드 단계에서 등록될 수도 있다.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저장DB 모듈(112)은 이미지정보와 애니메이션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 형태로 구현되는 복수의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이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유닛이다.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DB 모듈(113)은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의해 입력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선택정보에 따라 서로 매칭되는 객체(2)와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이 누적적으로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유닛이다.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은 객체(2)에 할당될 디지털액터의 운용특성에 맞추어 자동선정되거나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동선정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을 객체 DB(110)에 저장된 객체(2)와 매칭시키고,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를 객체 DB(110)에 저장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은 관리자 단말기(50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선택정보에 따라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을 객체 DB(110)에 저장된 객체(2)와 매칭시키게 된다.
한편 온라인 네트워크망에 구축되는 DB 서버로 구현되는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은 도 4에서와 같이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송신모듈(121), 선택정보 수신모듈(122), 선택정보 전달모듈(12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송신모듈(121)은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로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저장DB 모듈(112)의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의 목록을 전송하는 유닛이다. 선택정보 수신모듈(122)은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의 목록에 대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선택정보를 객체 정보와 함께 전송받는 유닛이다. 선택정보 전달모듈(123)은 선택정보 수신모듈(122)으로부터 객체 정보를 전달받아 객체 등록 DB 모듈(111)으로 입력하고, 선택정보 수신모듈(122)으로부터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선택정보를 전달받아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DB 모듈(113)으로 입력하는 유닛이다.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은 디지털액터의 특성정보, 형태정보, 양태이미지정보, 동작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객체 특성과 디지털액터 운용특성에 맞추어 생성하는 유닛이다.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은 이미지편집 프로그램과 동작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에는 디지털액터의 특성정보, 형태정보, 양태이미지정보, 동작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디지털액터 인터랙션 정보생성모듈(131)과 모국어별 디지털액터 음성언어정보 생성모듈(132)이 구비된다.
디지털액터 인터랙션 정보생성모듈(131)은 디지털액터와 상호작용하는 수용자의 음성정보, 동작정보, 표정정보를 분류한 복수의 수용자 메시지 판단정보를 설정하고, 각 수용자 메시지 판단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반응정보를 형태정보, 양태이미지정보, 동작정보, 음성언어정보의 형태로 설정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액터 인터랙션 정보생성모듈(131)은 디지털액터 반응정보를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에 포함시켜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로 전달하게 된다.
모국어별 디지털액터 음성언어정보 생성모듈(132)은 디지털액터와 상호작용하는 수용자의 모국어 종류에 맞추어진 음성언어정보를 디지털액터 반응정보로 생성하여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에 포함시키는 모듈이다.
한편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는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77893호 "영상컨텐츠 적용 디지털액터의 운용방법", 등록번호 제10-1780496호 "컴퓨터그래픽 툴에 의한 캐릭터 모델링 기반 3D 디지털액터 영상 구현방법", 등록번호 제10-1851356호 "3D 디지털액터에 의한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등록번호 제10-1894573호 "3D 디지털 액터형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8-0071833호 "3D 디지털 액터형 컴퓨터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에 적용되어 있는 디지털액터 생성방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에서 생성된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DB이다.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은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를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는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나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에 대한 기본적인 광고홍보 정보를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은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는 수용자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으로 검출되는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여 객체(2)의 추가적인 광고홍보 정보를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전달하는 것이다.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는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에서 생성된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와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DB이다. 객체 DB(110),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는 독립적으로 객체 정보,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정보,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개별 입력받아 저장한 후,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에 따라 객체 정보,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정보,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연동시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객체 DB(110),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는 서로 연동되는 구조로 초기 세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객체 정보,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정보,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서로 연동되어 입력되면서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제품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a)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인식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수용자 단말기(600)가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예를 들어 0초에서 120초 사이 시간이 설정될 수 있음)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유닛이다. 수용자 단말기(600)로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등의 범용 휴대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고, 디지털액터 운용을 위하여 별도 제작되는 전용 휴대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수용자 단말기(600)는 카메라(800)나 사물인식센서(900)를 구비하여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을 인식할 수도 있고, 무선통신기를 구비하여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에 내장된 무선신호 통신용 칩 등과 무선통신함으로써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을 인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신호 통신용 칩과 무선통신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인식되는 시점과 수용자 단말기(600)가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에 수용자 단말기(600)나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무선신호 통신용 칩은 인식 확인신호와 미인식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로 전송하고,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통해 디지털액터를 가시화시키게 되는 한편 미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를 비가시화시키게 된다.
위치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b)은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가 제공되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무선신호 통신기기(700)와의 무선통신으로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을 인식하게 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수용자 단말기(600)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유닛이다. 무선신호 통신기기(700)와 수용자 단말기(6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무선신호 통신기기(700)로는 비콘 단말기, NFC 통신기, RFID 태그나 RFID 리더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이 인식되는 시점과 수용자 단말기(600)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에 수용자 단말기(600)나 무선신호 통신기기(700)는 인식 확인신호와 미인식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로 전송하고,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통해 디지털액터를 가시화시키게 되는 한편 미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를 비가시화시키게 된다.
수용자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c)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카메라(800')나 사물인식센서(900')에 의해 수용자가 인식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수용자 인식 가능영역을 수용자가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카메라(800)나 사물인식센서(900)에 의해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이 인식되는 시점과 수용자가 수용자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에 카메라(800)나 사물인식센서(900)는 인식 확인신호와 미인식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로 전송하고,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통해 디지털액터를 가시화시키게 되는 한편 미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를 비가시화시키게 된다.
스위치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d)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디지털액터 활성화 스위치(1000)가 온(on) 동작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오프(off) 동작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디지털액터 활성화 스위치(1000)에 의해 온 신호와 오프 신호가 생성되어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로 전송되고,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온 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통해 디지털액터를 가시화시키게 되는 한편 오프 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를 비가시화시키게 된다.
QR코드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e)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이나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에 형성되는 QR코드(2c)가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인식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디지털액터 활동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QR코드(2c)가 인식되는 시점에 수용자 단말기(600)는 인식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로 전송하고,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통해 디지털액터를 가시화시키게 되는 한편 설정된 디지털액터 활동시간이 지나면 디지털액터를 비가시화시키게 된다.
관리자 수동설정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f)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시점과 종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과 종점으로 설정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의 관리자로부터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과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을 입력받아 디지털액터르 가시화하고 비가시화하게 된다.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로부터 객체(2)에 할당된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전달받아 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온라인 네트워크망을 통해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에 접속하게 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저장장치를 통해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디지털액터 정보를 전달받아 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객체(2)나 객체(2)와 매칭된 디지털액터의 운용을 위한 웹페이지를 관리하는 웹서버(210)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도 6에서와 같이 디지털액터를 가상현실(VR)의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가상현실 출력단말기(410)와 연동되는 VR 관리서버(220)일 수도 있으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디지털액터를 홀로그램으로 출력시켜 혼합현실(MR)을 구현하는 MR 출력단말기(430)와 연동되는 MR 관리서버(240)일 수도 있다. 물론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디지털액터를 증강현실(AR)의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증강현실 출력단말기(420)와 연동되는 AR 관리서버(230)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는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를 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객체 정보 등록,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의 선택을 수행하게 된다.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정된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에 디지털액터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가시화되면서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에 따라 디지털액터에 의한 광고홍보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는 MR 출력단말기(430)나 가상현실 출력단말기(4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는 증강현실 출력단말기(42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MR 출력단말기(430)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것으로, 디지털액터를 홀로그램으로 출력시켜 혼합현실(MR)을 구현하게 된다.
가상현실 출력단말기(410)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것으로,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나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를 제공받고자 하는 수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무인단말기(4)와 연동되어 무인단말기(4)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디지털액터를 출력시켜 가상현실을 구현하게 된다. 무인단말기(4)로는 키오스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1)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수용자 발화정보를 검출하는 사운드검출기기(1100),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수용자 영상정보를 검출하는 영상검출기기(1200)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도 6에서와 같이 수용자 정보 입력유닛(250), 발화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60), 영상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70), 리액팅정보 전송유닛(28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용자 정보 입력유닛(250)은 사운드검출기기(1100)와 영상검출기기(1200)로부터 수용자 발화정보와 수용자 영상정보를 전달받는 유닛이다.
발화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60)은 수용자 발화정보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수용자 발화정보에 대응하는 수용자 반응정보를 검출하는 유닛이다.
영상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70)은 수용자 영상정보로부터 행동정보, 표정정보, 제스춰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추출한 다음 행동정보, 표정정보, 제스춰정보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을 각각 수행하여 해당 수용자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수용자 반응정보를 검출하는 유닛이다.
리액팅정보 전송유닛(280)은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로부터 수용자 반응정보 별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전달받게 되고, 발화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60)과 영상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70)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추출하여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로 전송하는 유닛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1)은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의 제품 판매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활동하는 매니저-스텝인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를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1)의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를 대신하여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를 설정하여 관리, 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1)은 오프라인 실세계 공간(상업공간, 문화공간, 놀이공간, 공공기관 등)에 위치한 수용자가 디지털액터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광고/홍보/마케팅 정보를 제공받거나, 디지털액터가 매니저/스텝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구성을 제공하므로,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 상호소통적인 광고/홍보가 가능해질 수 있고, 관습적이었던 고객응대에서 벗어난 새롭고 다이나믹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는 고객응대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2 : 객체
2a : 광고홍보 대상 제품
2b :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
2c : QR코드
3 : 타겟 오프라인 공간
4 : 무인단말기
100 : 디지털액터 제공서버
110 : 객체 DB
111 : 객체 등록 DB 모듈
112 :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저장DB 모듈
113 :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DB 모듈
120 :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
121 :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송신모듈
122 : 선택정보 수신모듈
123 : 선택정보 전달모듈
130 :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
131 : 디지털액터 인터랙션 정보생성모듈
132 : 모국어별 디지털액터 음성언어정보 생성모듈
140 :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
150 :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
150' :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
160 :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
160' :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
170a : 제품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
170b : 위치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
170c : 수용자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
170d : 스위치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
170e : QR코드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
170f : 관리자 수동설정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
200 :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
210 : 웹서버
220 : VR 관리서버
230 : AR 관리서버
240 : MR 관리서버
250 : 수용자 정보 입력유닛
260 : 발화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
270 : 영상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
280 : 리액팅정보 전송유닛
3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400 : 디지털액터 출력장치
410 : 가상현실 출력단말기
420 : 증강현실 출력단말기
430 : MR 출력단말기
500 : 관리자 단말기
600 : 수용자 단말기
700 : 무선신호 통신기기
800, 800' : 카메라
900, 900' : 사물인식센서
1000 : 디지털액터 활성화 스위치
1100 : 사운드검출기기
1200 : 영상검출기기

Claims (5)

  1. 광고홍보 대상 제품(2a)과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로 생성되어 관리되고,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배치되거나 상기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가 제공되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에게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과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광고, 홍보, 마케팅 정보를 상호작용으로 소통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털액터의 가시화/비가시화가 이루어지는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과 종점이 설정되어 관리되며,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와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어 관리되는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와 연동되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로부터 객체(2)에 할당된 디지털액터 운용정보,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전달받아 운용하게 되는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 상기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를 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게 되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객체 정보 등록,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의 선택을 수행하게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와 연결되고, 설정된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에 상기 디지털액터가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가시화되면서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에 따라 디지털액터에 의한 광고홍보가 수행되도록 하는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의해 등록되는 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객체 DB(110); 상기 객체(2)에 할당될 디지털액터의 운용특성에 맞추어 자동선정되거나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동선정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을 상기 객체 DB(110)에 저장된 상기 객체(2)와 매칭시키고,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를 상기 객체 DB(110)에 저장하는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 상기 디지털액터의 특성정보, 형태정보, 양태이미지정보, 동작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객체 특성과 디지털액터 운용특성에 맞추어 생성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에서 생성된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과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객체(2)에 대한 기본적인 광고홍보 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전달하는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고, 수용자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으로 검출되는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2)에 대한 추가적인 광고홍보 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전달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는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 상기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에서 생성된 상기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와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인식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가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되,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인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등의 범용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무선통신기와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에 내장된 무선신호 통신용 칩 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인식되는 시점과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가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에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나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무선신호 통신용 칩이 인식 확인신호와 미인식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상기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통해 디지털액터를 가시화시키게 되는 한편 미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를 비가시화시키게 되는 제품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a);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가 제공되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무선신호 통신기기(700)와의 무선통신으로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인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등의 범용 휴대단말기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을 인식하게 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위치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2.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의 제품 판매나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활동하는 매니저-스텝인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로 생성되어 관리되고,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에게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의 제품 판매나 서비스 제공에 대한 광고, 홍보, 마케팅 정보를 상호작용으로 소통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과 종점이 설정되어 관리되며,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와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디지털액터 운용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어 관리되는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와 연동되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로부터 객체(2)에 할당된 디지털액터 운용정보,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전달받아 운용하게 되는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
    상기 객체(2)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를 운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게 되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에 접속하여 객체 정보 등록,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의 선택을 수행하게 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와 연결되고, 설정된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에 상기 디지털액터가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서 가시화되면서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에 따라 디지털액터에 의한 접객이 수행되도록 하는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에 의해 등록되는 객체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객체 DB(110); 상기 객체(2)에 할당될 디지털액터의 운용특성에 맞추어 자동선정되거나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동선정되는 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을 상기 객체 DB(110)에 저장된 상기 객체(2)와 매칭시키고, 객체-디지털액터 프로토타입 매칭정보를 상기 객체 DB(110)에 저장하는 객체-디지털액터 매칭유닛(120); 상기 디지털액터의 특성정보, 형태정보, 양태이미지정보, 동작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객체 특성과 디지털액터 운용특성에 맞추어 생성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생성유닛(130)에서 생성된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 DB(14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으로 들어선 수용자에 대한 상기 디지털액터의 최초 접객 행위를 상기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전달하는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고, 수용자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으로 검출되는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액터의 추가적인 접객 행위를 상기 디지털액터의 발화, 행동, 표정, 제스춰로 구현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상기 디지털액터 확장 운용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는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 상기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생성유닛(150')에서 생성된 상기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와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디지털액터 초기 접객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위치한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에 의해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인식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가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되,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인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등의 범용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무선통신기와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에 내장된 무선신호 통신용 칩 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 인식되는 시점과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가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에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나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의 무선신호 통신용 칩이 인식 확인신호와 미인식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상기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를 통해 디지털액터를 가시화시키게 되는 한편 미인식 확인신호 수신시 디지털액터를 비가시화시키게 되는 제품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a);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가 제공되는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무선신호 통신기기(700)와의 무선통신으로 수용자가 소지한 수용자 단말기(600)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을 인식하게 되는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용자 단말기(600)가 타겟 오프라인 공간(3)의 인식 가능영역을 벗어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지난 시점을 디지털액터 현실구현 종점으로 설정하는 위치인식기반 디지털액터 구현시간 설정유닛(17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는,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는 MR 출력단말기(43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고, 광고홍보 대상 제품(2a)이나 광고홍보 대상 서비스(2b)를 제공받고자 하는 수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무인단말기(4)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가상현실 출력단말기(41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수용자 발화정보를 검출하는 사운드검출기기(1100); 상기 타겟 오프라인 공간(3)에 설치되어 수용자 영상정보를 검출하는 영상검출기기(12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액터 운용 클라이언트서버(200)는,
    상기 사운드검출기기(1100)와 영상검출기기(1200)로부터 수용자 발화정보와 수용자 영상정보를 전달받는 수용자 정보 입력유닛(250);
    상기 수용자 발화정보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수용자 발화정보에 대응하는 수용자 반응정보를 검출하는 발화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60);
    상기 수용자 영상정보로부터 행동정보, 표정정보, 제스춰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추출한 다음 행동정보, 표정정보, 제스춰정보에 대한 의미론적 정보분석을 각각 수행하여 해당 수용자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수용자 반응정보를 검출하는 영상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70);
    상기 디지털액터 제공서버(100)의 디지털액터 초기 광고홍보용 액팅정보-리액팅정보 DB(160)로부터 수용자 반응정보 별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전달받게 되고, 상기 발화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60)과 영상정보기반 수용자 반응정보 검출유닛(270)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용자 반응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액터 리액팅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디지털액터 출력장치(400)로 전송하는 리액팅정보 전송유닛(28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KR1020200175946A 2020-12-16 2020-12-16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KR10255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46A KR102555012B1 (ko) 2020-12-16 2020-12-16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46A KR102555012B1 (ko) 2020-12-16 2020-12-16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45A KR20220085945A (ko) 2022-06-23
KR102555012B1 true KR102555012B1 (ko) 2023-07-12

Family

ID=8222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946A KR102555012B1 (ko) 2020-12-16 2020-12-16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0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639A (ko) * 2010-07-19 2012-02-0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사용자 조건을 이용한 선택적 가상객체 데이터 운용방법 및 이를 위한 증강현실 장치와, 기록매체
KR101851356B1 (ko) * 2016-09-09 2018-04-2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3d 디지털액터에 의한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KR20180071833A (ko) 2016-12-20 2018-06-28 박홍식 3d 디지털 액터형 컴퓨터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
KR101894573B1 (ko) 2017-03-14 2018-09-04 박홍식 3d 디지털 액터형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운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45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8635B1 (en) Artificially intelligent hologram
KR101854431B1 (ko) 컨시어지 로봇
US11037202B2 (en) Contextual data in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for item recommendations
US201800330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advertising
US20140130076A1 (en) System and Method of Media Content Selection Using Adaptive Recommendation Engine
US20140289073A1 (en) Product Localization and Interaction
CN113421143A (zh) 辅助直播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501323B1 (en) Augmented reality store and services orientation gamification
KR20170121720A (ko)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US11127047B2 (en) Digital promotion system using digital collectibles
EP29873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content
KR102043274B1 (ko) 3d 객체와 마커를 포함한 mr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56514A (ja) 電子看板システム
CN113961681A (zh) 流程处理方法和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De Kare-Silver e-shock 2020: how the digital technology revolution is changing business and all our lives
US20150106200A1 (en) Enhancing a user's experience by providing related content
KR102555012B1 (ko) 오프라인 광고-홍보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KR101379373B1 (ko) 안면 인식 센서를 이용한 제품 광고 방법
KR102601329B1 (ko) 디지털사이니지를 이용한 맞춤형 고객 대응 장치
US20240004456A1 (en) Automated configuration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avatars for user specific behaviors
EP1526489A1 (en) Self-service terminal with avatar user interface
CN117014640A (zh) 数据展示方法、装置、设备、可读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2394981B1 (ko) Vr-ar-mr 기반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KR20190094875A (ko) 3d 객체와 마커를 포함한 mr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4973B1 (ko) 실세계/가상세계 객체 대체-연동형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