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760B1 -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4760B1 KR102554760B1 KR1020210008648A KR20210008648A KR102554760B1 KR 102554760 B1 KR102554760 B1 KR 102554760B1 KR 1020210008648 A KR1020210008648 A KR 1020210008648A KR 20210008648 A KR20210008648 A KR 20210008648A KR 102554760 B1 KR102554760 B1 KR 102554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narrowing
- sensing information
- detection
- sen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서 유격이 존재하는 유격부분들에 대해, 각 부분에서의 유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정보들을 저장하였다가 근접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교량협착 감지장치;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에 근접되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와의 통신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신로가 형성되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정보들을 제공받아 원격지로 전송하는 감지정보 수집장치; 및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들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협착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교량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차량을 타고 교량에 근접하면, 관리자가 소지한 감지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교량에 설치된 교량협착 감지장치로부터 교량 각부의 유간을 감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원격지의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교량에 인접했을 때에 신속하게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이며, 전국적으로 설치된 교량에 대해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도 교량에 대한 감지정보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상 기온 등으로 인해 교량 유간 협착으로 인한 교통 사고 및 차량 파손 사고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고로는 2018년 6월의 만화교 사고가 있으며, 이는 지반변형 및 포장팽창으로 인해 교량 유간 협착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기한 교량 유간 협착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현장 관리 강화 및 설계 기준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한국도로공사는 판단하고 있다.
현재 한국도로공사 지사별 관리 교량수와 관리인원을 조사하면 평균 1인당 46개소의 교량을 관리해야 한다. 이는 타업무를 배제하고 교량협착 모니터링만을 실시한다고 해도 월 2회 정도 교량의 상태를 살펴볼 수 밖에 없는 정도이므로, 인력을 통해 교량협착을 모니터링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인력을 이용하여 교량을 모니터링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교통 차단 비용과 안전 사고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인력 계측을 대체할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교량 유간 협착을 감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제1014523880000 (2014.10.13)호가 있다. 이는 감시의 대상이 되며 차량 및 인간의 통행이 이루어지는 교량과, 상기 교량의 취약부분에 설치되며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교량의 변동징후를 감지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이벤트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교량센서단말기와, 상기 교량센서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교량감시서버와, 상기 교량감시서버로부터 보내온 이벤트 정보에 따라 상기 교량의 변동 상황을 점검하는 감시자단말기를 포함한 교량감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공개된 제1020190126613 (2019.11.12)호가 있다. 이는 맨홀로 유입된 우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개별 ID를 가지며 교량의 배수를 목적으로 하는 다수의 맨홀에 각각 설치되어 ID, 에러 데이터를 포함하는 커넥트 로그 데이터, 배터리 잔량을 포함된 상태정보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기와; 다수의 맨홀에 각각 설치된 감지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메인수신기로 인가할 수 있도록 개별 ID를 가지며 교량에 설치된 다수의 가로등에 각각 설치되는 서브수신기와; 가로등에 설치된 각각의 서브수신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교량에 설치된 가로등에 설치되는 메인수신기와; 교량마다 설치된 메인수신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판별하고, 판별된 각각의 감지센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맨홀의 상태를 관리자가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원격지에 구성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배수 감시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다양한 방식으로 교량을 감시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나 유료의 통신망을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전국에 산재하여 설치된 교량들의 상태를 센싱하여 유료의 통신만을 통해 원격지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은 시스템의 구축 및 운용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위해 전용망을 형성하는 것 역시 시스템의 구축 및 운용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교량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차량을 타고 교량에 근접하면, 관리자가 소지한 감지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교량에 설치된 교량협착 감지장치로부터 교량 각부의 유간을 감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원격지의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교량에 인접했을 때에 신속하게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이며, 전국적으로 설치된 교량에 대해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도 교량에 대한 감지정보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은, 교량에서 유격이 존재하는 유격부분들에 대해, 각 부분에서의 유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정보들을 저장하였다가 근접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교량협착 감지장치;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에 근접되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와의 통신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신로가 형성되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정보들을 제공받아 원격지로 전송하는 감지정보 수집장치; 및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들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교량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차량을 타고 교량에 근접하면, 관리자가 소지한 감지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교량에 설치된 교량협착 감지장치로부터 교량 각부의 유간을 감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원격지의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교량에 인접했을 때에 신속하게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이며, 전국적으로 설치된 교량에 대해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도 교량에 대한 감지정보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상세구성도.
도 3은 도 1의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설치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감지정보 수집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협착 감지방법의 절차도.
도 2는 도 1의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상세구성도.
도 3은 도 1의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설치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감지정보 수집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협착 감지방법의 절차도.
본 발명은 다수의 교량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차량을 타고 교량에 근접하면, 관리자가 소지한 감지정보 수집장치가 상기 교량에 설치된 교량협착 감지장치로부터 교량 각부의 유간을 감지한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원격지의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교량에 인접했을 때에 신속하게 교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이며, 전국적으로 설치된 교량에 대해 통신망이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도 교량에 대한 감지정보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은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위치하는 교량들 각각에 대해 설치된 교량협착 감지장치들(1001~100N)과 사면 변위/붕괴 감지장치들(200), 포장 팽창 줄눈 간격 감지장치들(300), 터널 환경 및 조도 감지장치들(400), 감지정보 수집장치(500) 그리고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들(1001~100N) 각각은 교량에서 유격이 존재하는 유격부분들에 대해, 각 부분에서의 유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정보들을 생성하여 저장하였다가 감지정보 수집장치(500)가 근접하면 저장해두었던 감지정보를 감지정보 수집장치(500)로 제공하거나 교량협착 감지를 위해 전용의 LoRa망이 구축된 경우에는 LoRa망을 통해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사면 변위/붕괴 감지장치들(200), 상기 포장 팽창 줄눈 간격 감지장치들(300), 터널 환경 및 조도 감지장치들(400) 각각은 사면 변위/붕괴. 포장 팽창 줄눈 간격, 터널 환경 및 조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였다가, 감지정보 수집장치(500)가 근접하면 저장해두었던 감지정보를 감지정보 수집장치(500)로 제공하거나 LoRa망이 구축된 경우에는 LoRa망을 통해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500)는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들(1001~100N), 상기 사면 변위/붕괴 감지장치들(200)과 상기 포장 팽창 줄눈 간격 감지장치들(300), 터널 환경 및 조도 감지장치들(400) 중 어느 하나에 근접하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들(1001~100N), 상기 사면 변위/붕괴 감지장치들(200)와 상기 포장 팽창 줄눈 간격 감지장치들(300), 터널 환경 및 조도 감지장치들(400) 중 어느 하나와 통신로를 형성하고, 통신로가 형성된 감지장치들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으며, 감지정보를 통해 토대로 교량협착, 사면 변위/붕괴, 포장 팽창 줄눈 간격의 변화, 터널 환경 및 조도문제 등을 검출하고, 이를 차량에 탑승한 관리자에게 통지하여 문제발생시에 조속한 조치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관리자에게 안내되는 안내화면은 도 1의 5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500)는 상기 저장된 감지정보를 원격지에 위치하는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감지정보 수집장치(500)와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사이의 통신은 유료의 상용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은 서비스 서버(602)와 데이터베이스(604)로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602)는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500) 또는 LoRa망을 통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들(1001~100N), 상기 사면 변위/붕괴 감지장치들(200)과 상기 포장 팽창 줄눈 간격 감지장치들(300), 터널 환경 및 조도 감지장치들(40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604)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604)에 저장된 감지정보는 미도시된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모니터링자에게 안내된다. 여기서, 모니터링자에게 안내되는 안내화면은 도 1의 60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구성>
이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상기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들(1001~100N)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는 제1 내지 제M IoT 센서부(1101~110M)와, 제1 내지 제M+1 태양광 전원 시스템(1301~130M+1)과, 중계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M IoT 센서부(1101~110M) 각각은 교량의 흉벽과 바닥판 사이의 유간, 흉벽과 거더 사이의 유간, 포장 팽창 줄눈 간격 등 교량에서 유격이 존재하는 유격부분들에 대해, 각 부분에서의 유간을 감지하고, 유간을 감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부(120)로 제공한다.
상기 제1 내지 제M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부(1101~110M) 중 어느 하나인 제1IoT 센서부(1101)는 레이저 근거리 근접센서(1121)와, 레이저 원거리 근접센서(1141)와 AP(Application Processor)(1161)와, BLE(Bluetooth LE)(1181)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근거리 근접센서(1121)는 제1 IoT 센서부(1101)가 설치된 교량의 위치에서 유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상기 AP(1161)로 제공한다. 상기 레이저 원거리 근접센서(1141)는 제1 IoT 센서부(1101)가 설치된 교량의 위치에서 유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상기 AP(1161)로 제공한다. 상기 AP(1161)는 상기 레이저 근거리 근접센서(1121)와 레이저 원거리 근접센서(114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BLE(1181)을 통해 중계부(120)로 제공한다. 상기 BLE(1181)는 AP(1161)와 중계부(120)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담당하며 검지정보 수집장치(500)가 근접하면 상기 검지정보 수집장치(500)와의 통신로를 형성하고, 그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이행한다.
상기 제1 IoT 센서부(1101)는 외기 및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지역에 설치되므로, 외부 온도, 조도, 풍량 등의 영향으로부터 센서부 본체를 보호하면서도, 신축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고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 구조물과 일체화하여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로 하우징된다.
도 2의 (b)에는 제1 IoT 센서부(1101)를 수용하는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140)를 도시하였다. 상기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140)는 옥스퍼드와 같이 방수 및 방진에 충분한 내구성을 가진 섬유 계열이 채용되며, 신축을 원활하게 하고 구조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와이어가 적용된다.
상기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140)는 색상을 검정색 계통을 적용하여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며, 반사판의 색상은 회색 계통을 적용하여 TOF(Time of Flight)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한다.
또한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140)가 완전 방수 및 방진되도록 구성되나, 수축을 위해 공기 배출이 필요하므로 보호기구 하단에 호스를 연결하고 호스 종단 부분에 필터를 설치하여 수축에 따른 외부공기는 배출되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보호기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140)의 하단 호스를 통해 제1태양광 전원 시스템(1301)과 연결되어, 별도 전력설비없이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교대 흉벽과 바닥판 사이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협착전에 제1 IoT 센서부(1101) 본체 및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140)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ㄱ자 형태의 금속 프레임(150)으로 제1 IoT 센서부(1101) 본체 및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140)를 연결하고 교대 바닥판에 센서 두께를 고려하여 설치하여 신축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교대 흉벽과 바닥판의 거리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ㄱ자 형태의 금속 프레임(150)을 사용하게 되면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140)의 신축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편심에 의한 측정 오차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바닥판쪽 프레임에 간단한 볼팅 작업만으로 시공 및 해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중계부(120)는 BLE(122)와, AP(124)와, LoRa(126)로 구성된다. 상기 BLE(122)는 상기 AP(124)와 제1 내지 제M IoT 센서부(1101~110M)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LoRa(126)는 중계부(120)에 근접한 감지정보 수집장치(500)와 상기 AP(124) 사이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행한다. 상기 중계부는 도 2의 (c)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M+1 태양광 전원 시스템(1301~130M+1)은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충전하였다가 제1 내지 제M IoT 센서부(1101~110M) 및 중계부(1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설치과정>
상기한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설치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제1 내지 제M IoT 센서부(1101~110M)를 설치할 위치,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흉벽과 바닥판, 교대의 흉벽과 거더 등을 결정한다.
상기 제1 내지 제M IoT 센서부(1101~110M)를 설치할 위치들이 결정되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위치들 각각에 대해 면정리 및 청소를 이행한다. 청소가 완료되면,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위치들 각각에 결착기구들을 볼팅한다. 이후 도 3의 (d)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M IoT 센서부(1101~110M) 각각에 구비되는 ㄱ자 형태의 금속 프레임을 상기 결착기구들에 볼트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M IoT 센서부(1101~110M)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후 도 3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기(120)를 설치함으로써, 교량협착 감지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 3의 (g)는 상기 중계기(120)와 감지정보 수집장치(500)가 연동된 상태의 감지정보 수집장치(500)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감지정보 수집장치(500)의 구성>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정보 수집장치(500)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500)는 제어부(514)와, 메모리부(506)와, 디스플레ㅇ이(508)와, LoRa(504)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와, 통신모듈(51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14)는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500) 각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인접한 교량협착 감지장치으로부터 유간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였다가 원격지에 위치하는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유간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교량협착 여부를 검출하고, 교량협착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부(508)를 통해 관리자에게 안내하여 관리자가 근접한 교량에 문제가 발생되면 즉각적으로 통지받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메모리부(506)는 상기 제어부(514)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교량협착 감지장치으로부터 제공받은 유간 감지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8)는 상기 제어부(514)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여 관리자에게 안내한다.
상기 LoRa(504)는 상기 제어부(514)와 인접한 교량협착 감지장치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514)로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512)은 상기 제어부(514)와 원격지에 위치하는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교량협착 감지 방법의 절차>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교량협착 감지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들의 IoT 센서부들은 교량의 각부에 대한 유간을 감지함과 아울러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중계부로 전송한다(600단계). 이러한 IoT 센서부들과 중계부 사이의 통신은 주파수 대역 2.4GHz의 BLE 통신을 이행하며 10초 간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는 150m이내의 통신이 가능하며 이는 저전력 저비용 소형화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중계부는 상기 IoT 센서부들로부터 제공되는 유간 감지정보를 BLE 방식을 통해 제공받아 저장한다.
이후 감지정보 수집장치가 근접하면, 상기 중계부는 LoRa 통신방식을 통해 감지 정보 수집장치와의 통신로를 형성한다. 상기 LoRa 통신은 주파수 대역 917MHz이며 최대 10km의 통신이 가능하며 이는 100Km/hr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통신로가 형성되면, 상기 중계부는 상기 IoT 센서부들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 유간 감지정보를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로 전송한다(602단계).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는 상기 유간 감지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으로 전송한다(604단계). 상기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600)은 상기 유간 감지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606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간 감지정보는 미도시된 모니터링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는 상기 유간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협착을 검출하고, 협착 검출시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608단계).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정보 수집장치를 365일 4조 3교대로 운영되는 순찰 차량에 적용한다면, 1개 교량에 대해 1년에 2천회 이상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여 신속한 대처와 설계 개선을 위한 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1 ~100N : 교량협착 감지장치
500 : 감지정보 수집장치
600 :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
602 : 서비스 서버
604 : 데이터베이스
500 : 감지정보 수집장치
600 :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
602 : 서비스 서버
604 :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교량에서 유격이 존재하는 유격부분들에 대해, 각 부분에서의 유간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정보들을 저장하였다가 근접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교량협착 감지장치;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에 근접되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와의 통신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신로가 형성되면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정보들을 제공받아 원격지로 전송하는 감지정보 수집장치; 및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들을 제공받아 저장하는 교량협착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는, 상기 유격부분들 각각에 대해 설치되어 유간을 감지하는 센서부들; 및 상기 센서부들로부터 유간을 감지한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가 근접함에 따라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와 통신로가 형성되면,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로 상기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중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들은, 상기 유격부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유간을 감지하는 레이저 근거리 근접센서와 레이저 원거리 근접센서; 상기 중계부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레이저 근거리 근접센서와 상기 레이저 원거리 근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중계부로 전송하는 제1 A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는,
상기 교량협착 감지장치로부터 제공된 감지정보들을 분석하여 교량협착을 검출하고,
상기 교량협착이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교량협착 알람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센서부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원거리 통신모듈;
상기 센서부들로부터의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가 근접함에 따라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와 통신로가 형성되면, 상기 감지정보 수집장치로 상기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제2 AP;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들은 유격부분들의 유간이 변동됨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는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에 의해 하우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들은 ㄱ자 형태의 금속 프레임에 고정되어 교량에 설치됨을 특징을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는 검정색 계통의 색상을 가지는 섬유계열의 소재이며
상기 근접센서들의 반사판은 회색 계통의 색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 구조의 보호기구 하단에 호스를 연결하고 상기 호스의 종단 부분에 필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들 및 상기 중계부 각각에는 구동전원 공급을 위한 태양광 전원 시스템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8648A KR102554760B1 (ko) | 2021-01-21 | 2021-01-21 |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8648A KR102554760B1 (ko) | 2021-01-21 | 2021-01-21 |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819A KR20220105819A (ko) | 2022-07-28 |
KR102554760B1 true KR102554760B1 (ko) | 2023-07-13 |
Family
ID=8260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8648A KR102554760B1 (ko) | 2021-01-21 | 2021-01-21 |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476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0928A (ko) | 2023-02-22 | 2024-08-30 | 플러스테라 주식회사 | 교체가 용이한 투명 태양광 패널을 구비하는 방음벽을 포함하는 교량 상시계측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79535A (ja) * | 2017-04-03 | 2018-11-15 | 長野計器株式会社 | 健全度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健全度モニタリング方法 |
KR102161751B1 (ko) * | 2019-06-03 | 2020-10-05 | 최종운 | 교량 조인트부 원격 위험 감지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0033Y1 (ko) | 2000-11-06 | 2001-04-16 | 김상훈 | 교량 감시 장치 |
KR20080094336A (ko) * | 2007-04-20 | 2008-10-23 | 주식회사 효성 | 감지 센서를 장착한 전기 설비의 점검 장치 및 이를 이용한점검 방법 |
KR101452388B1 (ko) | 2014-05-22 | 2014-10-27 | 신화건설(주) | 교량 감시 시스템 |
KR101911046B1 (ko) | 2016-10-31 | 2018-10-24 | 주식회사 휴인스 | 산불감시 및 교량수위감시 모드를 갖는 드론 시스템 |
-
2021
- 2021-01-21 KR KR1020210008648A patent/KR1025547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79535A (ja) * | 2017-04-03 | 2018-11-15 | 長野計器株式会社 | 健全度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健全度モニタリング方法 |
KR102161751B1 (ko) * | 2019-06-03 | 2020-10-05 | 최종운 | 교량 조인트부 원격 위험 감지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5819A (ko) | 2022-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785299U (zh) | 一种管廊状态监测系统 | |
US2014015991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hensively monitoring slopes based on wireless network | |
KR101008251B1 (ko) |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원격 자동 계측 방법 및 그 시스템 | |
CN110926523A (zh) | 一种复杂恶劣条件下高速铁路桥梁安全感知与预警系统 | |
RU2701887C1 (ru) |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состояния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а | |
KR101816566B1 (ko) | 차량센서를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967585B1 (ko) | 결빙 감지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결빙 감지 방법 | |
US11231150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impact detection and associated data transmission | |
KR101962961B1 (ko) | 표면멀티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의 상황을 판단하는 시스템 | |
KR102352275B1 (ko) | 스마트 맨홀 덮개를 이용한 방재 관리 시스템 | |
KR102029865B1 (ko) | 가변속도 알림장치 시스템 | |
KR102554760B1 (ko) | 교량협착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
KR102108115B1 (ko) | 교량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용 상황 진동 감지 전자식 멀티 센서 모듈 | |
KR20130060820A (ko) | 광섬유 브릴루앙 산란 센서를 이용한 철도 레일 상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
KR102148783B1 (ko) | 무인 펌프장 운용을 위한 원격감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53387B1 (ko) |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 |
KR100883055B1 (ko) | 휴대용 교통자료 수집장치의 검지능력 평가장치 및 그의처리방법 | |
KR102365368B1 (ko) | 비탈면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2020123B1 (ko) |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
CN106875623A (zh) | 国土资源监控方法 | |
KR102041949B1 (ko) | 분산온도광센서를 통한 실시간 철로 온도 감시 시스템 | |
KR20040032516A (ko) | 이동식 차량정보 수집장치 및 방법 | |
JP2003329492A (ja) | 斜面等の変位計測方法 | |
JP2011154629A (ja) | 通信設備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通信設備情報収集方法 | |
JPH10132947A (ja) | 地震情報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