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420B1 -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 Google Patents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420B1
KR102554420B1 KR1020230000464A KR20230000464A KR102554420B1 KR 102554420 B1 KR102554420 B1 KR 102554420B1 KR 1020230000464 A KR1020230000464 A KR 1020230000464A KR 20230000464 A KR20230000464 A KR 20230000464A KR 102554420 B1 KR102554420 B1 KR 10255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handle
housing
coupling bod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슬기
정현환
Original Assignee
김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슬기 filed Critical 김슬기
Priority to KR102023000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6Spades; Shovels with auxiliary handles for facilitating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14Handles; Accessories, e.g. scythe baskets, safet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중에서 상기 핸들부와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핸들부에 가해지는 힘이 전달되는 헤드부, 상기 핸들부와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멀티 손잡이를 포함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Hand tools with detachable multi-handle}
본 발명은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비동력 수공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수공구에 가해지는 무게중심을 분산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동력 수공구는 삽, 넉가래, 곡괭이와 같은 다양한 수공구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비동력 수공구는 별도의 전원 공급장치 없이 사람의 힘으로 작동된다. 즉, 비동력 수공구는 사람의 힘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며,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작업이 수행되는 방향을 변환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비동력 수공구 중 삽은 사람의 손과 발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적재된 물건을 퍼 옮기는 일에 쓰인다. 일반적으로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삽자루와, 삽자루의 타측에 구비되는 삽머리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삽자루를 파지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한다.
삽머리는 땅을 파는 작업에서 활용되기 위해 일측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많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넓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삽머리의 형상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머리의 형상과 무관하게 작업자가 삽을 사용할 때는 삽머리에 적재된 물건의 무게에 의해 많은 힘이 필요로하게 된다. 특히, 작업 과정에서 무게는 삽머리에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삽머리에서 멀리 위치한 손잡이만 파지할 경우 삽자루의 길이만큼 토크가 가해지기 때문에 무게를 지지하는 데에 많은 힘이 들어간다.
따라서, 작업 과정에서 한 손으로는 손잡이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삽머리에 가까운 삽자루를 파지하게 된다. 이 경우, 삼머리에 가까운 삽자루를 파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허리를 많이 굽혀야 한다. 따라서, 허리에 피로가 집중되고, 노동력 소모가 증가하며 작업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9024호(공개일: 2014년 07월 14일) 인간공학적 삽은, 삽날과, 상기 삽날로부터 제1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삽자루와, 상기 제1 삽자루로부터 제2 각도로 꺾여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제2삽자루 및 상기 제2 삽자루와 연결되고, 사람의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파지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0543호(등록일: 2017년 04월 20일)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은, 삽날과, 삽자루 및 손잡이를 구비하는 삽에 있어서, 상기 삽날의 양측면 테두리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되, 하단이 좁고 상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과 동일 넓이를 가지며 상기 삽날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되, 상기 측판의 상단과 양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상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판의 저면과 삽날 사이에 상기 상판을 지지하도록 지지대가 형성되는 발 디딤판과, 상기 삽날의 연결부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좁고 상단이 넓은 사다리꼴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몸쪽으로 기울어지도록 10~30도의 경사를 가지며, 하단이 상기 삽날의 연결부 양측에서 상기 발 디딤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에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핀홀에 핀을 삽입하여 상기 삽날의 연결부와 삽자루를 관통시켜 이들을 고정시키는 보조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와 보조 손잡이는, 고무 재질의 미끄럼 방지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삽들 모두 한손으로는 삽의 손잡이를 집고, 다른 한손으로는 삽자루의 일부분이나 삽머리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보조손잡이를 잡고 땅을 파거나 물건을 퍼 옮기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계속하여 구부린 자세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허리에 피로도가 집중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중 하나는, 비동력 수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때 허리에 피로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중 하나는, 비동력 수공구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멀티 손잡이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멀티 손잡이를 비동력 수공구에 결합하거니 분리할 수 있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멀티 손잡이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멀티 손잡이를 비동력 수공구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어 멀티 손잡이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삽머리에 적재된 물건을 이동시킬 때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중에서 상기 핸들부와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핸들부에 가해지는 힘이 전달되는 헤드부, 상기 핸들부와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멀티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손잡이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 중 상기 하우징과 멀어지는 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는 상기 레그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가 결합되는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바디가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를 상기 연결부에 고정하는 이동방지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방지부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바디가 상기 연결부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거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손잡이는 상기 파지부와 상기 레그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레그부와 상기 파지부를 결합하는 레그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고정부는 상기 레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레그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레그와 반대측에 위치되는 제2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레그와 결합되는 제1결합바디 상기 제2레그와 결합되는 제2결합바디 및 상기 제1결합바디와 상기 제2결합바디를 연결하며 파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파지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바디는 상기 제2결합바디와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제2결합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바디는 상기 제1결합바디와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제1결합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함몰면과 상기 제2함몰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바디는 상기 제1함몰면 양측이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바디는 상기 제2함몰면 양측이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턱과 상기 제2돌출턱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을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케이스, 상기 하우징케이스에서 돌출되며 상기 레그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서포터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케이스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연결부의 상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서포터가 돌출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서포터는 상측면이 상기 연결부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부에 탄성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는 비동력 수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때 허리에 피로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는 필요에 따라 탈착식 멀티 손잡이를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비동력 수공구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는 멀티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는 삽머리에 적재된 물건을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에너지를 감소시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부와 파지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파지부가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 및 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헤드부와 레그부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된 실시예 및 파지부만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는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들부(30), 상기 핸들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부(20), 상기 연결부 중에서 상기 핸들부와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핸들부에 가해지는 힘이 전달되는 헤드부(10)를 포함한다.
수공구가 삽으로 구비될 경우 헤드부(10)는 삽날을 의미할 수 있다. 수공구가 곡괭이일 경우 헤드부(10)는 지면을 파내는 날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헤드부(10)는 수공구의 기능을 수행하는 작용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핸들부(30)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수공구가 삽으로 구비될 경우 핸들부(30)는 사용자의 손을 넣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의미할 수 있다.
연결부(20)는 헤드부(10)와 핸들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수공구가 삽으로 구비될 경우 연결부(20)는 삽자루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의 일단에는 헤드부(10)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핸들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0), 연결부(20) 및 핸들부(30) 만으로 구성되는 수공구를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한 손으로는 핸들부(3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연결부(20)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는 상기 핸들부(30)와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멀티 손잡이(40)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손잡이(40)가 구비되는 수공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 핸들부(3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멀티 손잡이(40)를 파지한 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삽의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헤드부(10)에 가깝게 위치되었다. 따라서, 보조손잡이를 파지하더라도 사용자는 허리를 숙인 채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손잡이(4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헤드부(10)에서 이격되며, 핸들부(30)에 더욱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부(30)와 멀티 손잡이(40)를 양 손으로 각각 파지하더라도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멀티 손잡이(40)는 연결부(20)에 결합되는 하우징(41), 하우징(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4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부(42) 및 레그부(42) 중 하우징(41)과 멀어지는 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멀티 손잡이(40) 중에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43)는 레그부(42)에 의해 연결부(20)와 멀어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43)는 레그부(42)에 의해 헤드부(10)와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핸들부(3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파지부(43)를 파지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아도 된다. 반면, 파지부(43)에 가해지는 힘은 레그부(42)를 통해 하우징(41) 및 연결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파지부(43)를 통해 전달되는 힘은 헤드부(10)에 인접한 부분에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손으로 핸들부(3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헤드부(10)에 인접한 연결부(20)를 파지한 채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는 작업을 수행할 때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레그부(42)는 레그부(4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멀티 손잡이(40)는 레그부(42)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44)는 레그부(42)에 구비될 수 있다. 레그부(42)는 레그부(42)의 연장 방향을 분리되는 복수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44)는 상기 복수의 구성들을 슬라이드 결합 또는 핀-홀(pin-hole) 결합되도록 연결함으로써 레그부(4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44)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레그부(42)의 길이를 작업 환경 또는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길이조절부(44)가 구비되는 레그부(42)를 통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레그부(4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20)의 좌우측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그부(42)는 하우징(41)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레그부(42)는 파지부(4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레그부(42)가 복수 개로 구비됨에 따라 파지부(43)에 가해지는 외력은 하우징을 통해 연결부(20)에 더욱 인접한 위치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힘의 작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우징(41)은 연결부(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레그부(42)가 결합되는 하우징바디(411), 하우징바디(411)를 관통하여 연결부(20)와 접촉되며, 하우징바디(411)가 연결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바디(411)를 연결부(20)에 고정하는 이동방지부(412), 연결부(20)를 기준으로 이동방지부(412)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하우징바디(411)가 상기 연결부(2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거방지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방지부(412) 및 탈거방지부(413)를 이용하여 하우징바디(411)가 연결부(20)에 대해 상대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파지부(43)를 통해 레그부(42)로 전해지는 힘을 연결부(20)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면을 참고하면 하우징바디(411)는 연결부(20)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바디(411)는 하부가 개구되는 개곡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바디(411)의 개구된 하부를 통해 연결부(20)를 삽입할 수 있다.
연결부(20)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하우징바디(411)의 하부가 개구되지 않을 경우 하우징바디(411)를 연결부(20)에 결합할 때 연결부(20)의 길이만큼 이동시켜야 할 수 있다. 하지만, 하우징바디(411)의 하부가 개구됨에 따라, 연결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하지 않고, 연결부(20)의 직경방향을 따라 하우징바디(411)를 결합할 수 있어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단, 하우징바디(411)의 일측이 개구됨에 따라 하우징바디(411)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탈거방지부(413)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탈거방지부(413)는 하우징바디(411)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연결부(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탈거방지부(413)는 하우징바디(411)의 둘레방향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거방지부(413)는 탈거방지볼트(413a)와 탈거방지너트(413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거방지볼트(413a)가 상기 하우징바디(411)의 양측면을 관통한 상태에서 탈거방지너트(413b)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탈거방지부(413)는 연결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탈거방지부(413)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바디(411)를 연결부(20)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탈거방지부(413)가 상기 하우징바디(411)에 결합되면 하우징바디(411)가 연결부(20)에서 연결부(20)의 직경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거방지부(413)가 결합되더라도 상기 하우징바디(411)가 상기 연결부(2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바디(411)가 연결부(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방지부(412)는 연결부(20)를 기준으로 탈거방지부(413)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탈거방지부(413)가 연결부(20)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이동방지부(412)는 연결부(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방지부(412)는 하우징바디(411)를 연결부(20)의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방지부(412)는 상기 하우징바디(411)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방지부(412)가 볼트로 구비될 경우 이동방지부(412)가 삽입되는 하우징바디(411)의 내주면에는 이동방지부(412)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방지부(412)가 연결부(20)의 직경방향을 따라 삽입될 경웅 볼트의 일단은 연결부(2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동방지부(412)의 삽입 깊이가 증가됨에 따라 이동방지부(412)가 연결부(20)에 가하는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방지부(412)는 하우징바디(411)가 연결부(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방지부(412)와 탈거방지부(413)는 연결부(20)의 직경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될 경우 상기 이동방지부(412)가 하우징바디(411)를 관통하여 연결부(20)를 가압할 때, 탈거방지부(413)는 연결부(20)을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부(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방지부(412)에 의해 연결부(20)의 직경방향 일측이 지지되고, 탈거방지부(413)에 의해 연결부(20)의 직경방향 타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바디(411)는 연결부(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레그부(42)는 하우징바디(411)의 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레그부(42)는 제1레그(42a)와 제2레그(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그(42a)는 연결부(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2레그(42b)는 연결부(20)를 기준으로 제1레그(42a)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레그(42a)는 연결부(20)의 직경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2레그(42b)는 연결부(20)의 직경방향을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레그(42a)와 제2레그(42b) 사이에 이동방지부(41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레그(42a)와 제2레그(42b)는 하우징바디(411)에 레그축(42r)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레그부(42)는 하우징바디(4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합한 각도로 레그부(4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레그(42a)와 제2레그(42b)는 연결부(20)의 직경방향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방지부(412)와 탈거방지부(413)는 상기 제1레그(42a)와 제2레그(42b)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인 연결부(20)의 직경방향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그부와 파지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레그부와 파지부가 고정된 상태, 도 2(b)는 레그부에 파지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멀티 손잡이(40)는 상기 파지부(43)와 상기 레그부(42)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레그부(42)와 상기 파지부(43)를 결합하는 레그고정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고정부(421)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레그부(42)와 파지부(43)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레그고정부(421)는 중첩된 부분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레그부(42)와 파지부(43)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레그고정부(421)는 레그부(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따. 레그고정부(42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파지부(43)와 레그부(42)를 두 지점에서 결합할 수 있다. 서로 분리된 별개의 구성들이 한 지점에서 결합될 경우 결합지점을 기준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분리된 별개의 구성들이 서로 이격된 두 지점에서 결합될 경우 상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파지부(43)와 레그부(42)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파지부(43)에 가해지는 외력을 레그부(42)를 통해 연결부(20) 및 헤드부(10)에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레그고정부(421) 중 하나의 레그고정부(421)를 제외하고 다른 레그고정부(421)를 모두 제거할 경우 상기 하나의 레그고정부(421)를 기준으로 상기 파지부(43)는 레그부(42)에 대해 회전이동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레그고정부(421)는 레그부(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고정부재(421a)와 제2고정부재(421b)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재(421a)와 제2고정부재(421b)가 동시에 파지부(43)와 레그부(42)를 결합시킬 경우 파지부(43)는 레그부(42)에 대해 회전이동하지 않는다.
도 2(b)를 참고하면 제1고정부재(421a)는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고정부재(421a)가 제거되고 제2고정부재(421b)만 남아있는 경우 상기 파지부(43)는 제2고정부재(421b)를 기준으로 레그부(42)에 대해 회전이동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레그고정부(421) 중 하나만 유지할 경우 레그부(42)와 파지부(43) 사이의 위치를 변경하여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파지부(43)는 제1레그(42a)와 결합되는 제1결합바디(43a), 제2레그(42b)와 결합되는 제2결합바디(43b) 및 제1결합바디(43a)와 제2결합바디(43b)를 연결하며 파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파지바디(43c)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바디(43c)는 말발굽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했을 ‹š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결합바디(43a)와 제2결합바디(43b)는 파지바디(43c)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레그(42a)는 제1결합바디(43a)에 제1고정부재(421a) 및 제2고정부재(421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2레그(42b)는 제2결합바디(43b)에 제1고정부재(421a) 및 제2고정부재(421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레그(42a)와 제1결합바디(43a)를 제1고정부재(421a) 및 제2고정부재(421b)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제2레그(42b)와 제2결합바디(43b)를 제1고정부재(421a) 및 제2고정부재(421b)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레그부(42)와 파지부(43)는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1레그(42a)와 제1결합바디(43a)를 제2고정부재(421b)만 이용하여 결합하고, 제2레그(42b)와 제2결합바디(43b)를 제2고정부재(421b)만 이용하여 결합하면 파지부(43)는 레그부(4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파지부가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 및 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멀티 손잡이(4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파지부(43)를 연결부(20)에 결합시켜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파지부(43)를 레그부(42)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2고정부재(421b) 만 이용하여 파지부(43)와 레그부(42)를 결합할 경우 파지부(43)를 회전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멀티 손잡이(40)를 파지하여 사용할 때, 레그부(42)와 파지부(43)가 일직선 상에 배치한다면, 멀티 손잡이(4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레그부(42)와 파지부(43)를 서로 교차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3)가 레그부(42)와 교차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부(43)는 연결부(20)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바디(43a)와 제2결합바디(43b) 사이에 연결부(20)가 배치되도록 상기 파지부(4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는 제1결합바디(43a)와 제2결합바디(43b) 사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1결합바디(43a)와 제2결합바디(43b) 사이로 연결부(20)가 삽입될 때 파지부(43)는 탄성변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가 제1결합바디(43a)와 제2결합바디(43b) 사이에 배치되면, 연결부(20)는 제1결합바디(43a)와 제2결합바디(43b)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즉, 파지부(43)는 연결부(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바디(43a)는 제2결합바디(43b)와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제2결합바디(43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면(431a)을 포함하고, 제2결합바디(43b)는 제1결합바디(43a)와 마주하는 일면이 제1결합바디(43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함몰면(43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함몰면(431a)과 제2함몰면(431b)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될 수 있다. 제1함몰면(431a)과 제2함몰면(431b) 사이의 거리(D1)는 연결부(20)의 직경(R)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의 직경(R)은 연결부(20)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연결부(20)의 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연결부(20)의 직경(R)은 제1함몰면(431a)과 제2함몰면(431b)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부(20)의 폭으로 이해될 수 있따.
따라서, 파지부(43)가 연결부(20)에 결합될 때, 연결부(20)는 제1함몰면(431a)과 제2함몰면(4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바디(43a)는 제1함몰면(431a) 양측이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턱(432a, 433a)을 포함하고, 제2결합바디(43b)는 제2함몰면(431b) 양측이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턱(432b, 4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턱(432a, 433a)은 제1함몰면(431a)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함몰면(431a)의 양측이라고 함은 상기 제1함몰면(431a)과 제2함몰면(431b)이 서로 이격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 양측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함몰면(431a)과 제2함몰면(431b)이 연결부(20)의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경우, 제1함몰면(431a)의 양측은 높이방향 양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턱(432b, 433b)은 제2함몰면(431b)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함몰면(431b)의 양측 또한 제1함몰면(431a)의 양측과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돌출턱(432a, 433a)과 상기 제2돌출턱(432b, 433b) 사이의 거리(D2, D3)는 상기 연결부(20)의 직경(R)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돌출턱(432a, 433a)과 제2돌출턱(432b, 433b) 사이의 거리는 제1함몰면(431a) 또는 제2함몰면(431b)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에 위치하는 제1돌출턱(432a, 433a) 및 제2돌출턱(432b, 433b)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1함몰면(431a)의 하측에 제1하부돌출턱(432a)이 상측에 제1상부돌출턱(43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함몰면(431b)의 하측에 제2하부돌출턱(432b)이 상측에 제2상부돌출턱(433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돌출턱(432a, 433a)과 제2돌출턱(432b, 433b) 사이의 거리는 제1하부돌출턱(432a)과 제2하부돌출턱(432b) 사이의 거리(D2) 및 제1상부돌출턱(433a)과 제2상부돌출턱(433b) 사이의 거리(D3)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1돌출턱(432a, 433a)과 제2돌출턱(432b, 433b) 사이의 거리(D2, D3)가 연결부(20)의 직경(R)보다 작게 구비될 경우 파지부(43)는 연결부(20)에서 이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바디(43a), 제2결합바디(43b) 및 파지바디 모두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파지부(43)는 사출물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돌출턱(432a)과 제2하부돌출턱(432b) 사이의 거리(D2)는 연결부(20)의 직경(R)보다 작게 구비된다. 이 때, 연결부(20)가 제1하부돌출턱(432a)과 제2하부돌출턱(432b) 사이로 삽입되면 제1결합바디(43a)와 제2결합바디(43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에 의해 연결부(20)는 상기 제1하부돌출턱(432a)과 제2하부돌출턱(432b)을 지나 삽입되어 제1함몰면(431a)과 제2함몰면(4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부(43)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연결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바디(43a)는 제1레그(42a)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43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레그(42a)는 제1삽입홈(435a)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레그고정부(421)에 의해 제1결합바디(43a)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삽입홈(435a)은 제1결합바디(43a)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바디(43b)는 제2레그(42b)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43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레그(42b)는 제2삽입홈(435b)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레그고정부(421)에 의해 제2결합바디(43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삽입홈(435b)은 제2결합바디(43b)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헤드부와 레그부 사이에 탄성부가 구비된 실시예 및 파지부만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파지부(43)는 레그부(42)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연결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멀티 손잡이(40) 중에서 하우징(41)과 레그부(42)는 제거한 뒤 별도로 보관하고, 파지부(43)는 연결부(20)에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파지부(43)만 연결부(20)에 결합한 채로 비동력 수공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핸들부(3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연결부(20)에 결합된 파지부(43)를 파지한 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비동력 수공구의 종류, 작업 환경,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파지부(43)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부(20)를 직접 파지하는 것 보다 파지부(43)를 파지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헤드부(10)와 연결부(20)는 탄성부(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탄성부(50)는 헤드부(10)와 연결부(20)를 연결할 수 있다. 탄성부(50)는 스프링과 같은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50)는 연결부(20)로 전달된 힘이 헤드부(10)로 전달될 때 탄성 회복력을 추가로 가할 수 있다. 예를들면, 헤드부(10)에 물건을 적재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상황을 가정하면, 탄성부(50) 구비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힘을 이용하여 헤드부(10)에 적재된 물건을 다른 곳을 이동시킨다.
반면, 탄성부(50)가 구비될 경우 적재된 물건더미에 헤드부(10)를 삽입한 뒤 이동을 위해 헤드부(10)가 적재된 물건더미에서 탈출하는 순간 탄성부(50)에 저장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헤드부(10)가 탄성부(50)가 변형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헤드부(10)에 적재된 물건을 이동시키려는 순간 탄성복원력까지 가세되어 헤드부(10)에 적재된 물건이 헤드부(10)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이탈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동력 수공구가 삽으로 구비되고 적재물이 생선이라고 가정한다. 삽으로 생선을 퍼서 이동시키는 경우에 삽을 생선더미에 꼽고 퍼낼 때, 삽날이 생선더미에서 이탈하는 순간 탄성부(50)는 이탈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복원력에 의해 삽에 적재된 생선들을 이탈방향으로 던지는 것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상술한 탄성부(50)와 관련된 특징은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비동력 수공구는 헤드부(10), 연결부(20), 핸들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레그부(42)는 헤드부(10)와 연결되는 하부레그(425) 및 핸들부(30)와 연결되는 상부레그(426)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레그(425)와 상부레그(426)는 길이조절부(4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44)는 하부레그(425)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하부조절부(427)와 상부레그(426)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상부조절부(428)로 구비될 수 있따. 상기 하부조절부(427)와 상부조절부(428)는 서로 나사산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하부조절부(427)가 하부레그(425)의 내측면에, 상부조절부(428)가 상부레그(426)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41)은 상기 연결부(20)을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케이스(415), 상기 하우징케이스(415)에서 돌출되며 상기 레그부(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서포터(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케이스(415)는 연결부(20)의 원주방향으로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서포터(416)는 하우징케이스(415)의 상측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레그부(4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서포터(416)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레그부(42)는 하우징서포터(416)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42)는 하우징서포터(416)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케이스(415)는 상기 연결부(20)의 하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415a) 및 상기 연결부(20)의 상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케이스(415a)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서포터(416)가 돌출되는 제2케이스(415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케이스(415)는 제1케이스(415a)와 제2케이스(415b)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415a)는 연결부(20)의 둘레를 원주방향으로 일부 감싸도록 구비되며, 제2케이스(415b)는 연결부(20)의 둘레를 원주방향으로 나머지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415a)와 제2케이스(415b)는 케이스고정부재(415c)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415a)는 연결부(20)의 둘레 중 일측에서, 제2케이스(415b)는 연결부(20)의 둘레 중 타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즉, 하우징케이스(415)를 결합하기 위해 연결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즉, 멀티 손잡이(40)를 비동력 수공구에 결합하는 조립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서포터(416)는 상측면이 상기 연결부(20)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4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면(416s)을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면(416s)은 레그부(42)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토퍼면(416s)은 레그부(42)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레그부(42)는 상기 연결부(20)와 나란한 각도에서부터 상기 스토퍼면(416s) 제한하는 각도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면(416s)에 의해 레그부(42)를 특정 각도에서 사용할 경우 상기 레그부(42)를 지지하여 레그부(42)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연결부(20)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손잡이(40)는 다양한 기성 비동력 수공구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손잡이(40)는 다양한 기성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범용성이 있다.
즉, 멀티 손잡이(40)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로 호환되는 비동력 수공구를 구매하지 않고 기존에 보유 중인 비동력 수공구에 결합하여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하우징(41)의 결합 방식은 기존의 연결부(20)에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손잡이(40)는 범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헤드부 20: 연결부 30: 핸들부
40: 멀티 손잡이 50: 탄성부 41: 하우징
411: 하우징 바디 412: 이동방지부 413: 탈거방지부
415: 하우징케이스 42: 레그부 43: 파지부
431a: 제1함몰면 432a: 제1하부돌출턱 433a: 제1상부돌출턱
431b: 제2함몰면 432b: 제2하부돌출턱 433b: 제2상부돌출턱
43a: 제1결합바디 43b: 제2결합바디 43c: 파지바디
44: 길이조절부

Claims (13)

  1.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중에서 상기 핸들부와 멀어지는 방향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핸들부에 가해지는 힘이 전달되는 헤드부;
    상기 핸들부와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멀티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손잡이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 중 상기 하우징과 멀어지는 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레그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레그와 반대측에 위치되는 제2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레그와 결합되는 제1결합바디 상기 제2레그와 결합되는 제2결합바디 및 상기 제1결합바디와 상기 제2결합바디를 연결하며 파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파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을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우징케이스;
    상기 하우징케이스에서 돌출되며 상기 레그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서포터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케이스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를 둘러싸는 제1케이스; 및
    상기 연결부의 상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서포터가 돌출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레그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가 결합되는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바디가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바디를 상기 연결부에 고정하는 이동방지부;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방지부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바디가 상기 연결부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거방지부;를 포함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손잡이는 상기 파지부와 상기 레그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레그부와 상기 파지부를 결합하는 레그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고정부는 상기 레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바디는 상기 제2결합바디와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제2결합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바디는 상기 제1결합바디와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제1결합바디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함몰면과 상기 제2함몰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바디는 상기 제1함몰면 양측이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바디는 상기 제2함몰면 양측이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턱과 상기 제2돌출턱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서포터는 상측면이 상기 연결부의 경사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레그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면을 포함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부에 탄성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KR1020230000464A 2023-01-03 2023-01-03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KR10255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464A KR102554420B1 (ko) 2023-01-03 2023-01-03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464A KR102554420B1 (ko) 2023-01-03 2023-01-03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420B1 true KR102554420B1 (ko) 2023-07-10

Family

ID=8715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464A KR102554420B1 (ko) 2023-01-03 2023-01-03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4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923A (ko) * 1990-04-20 1991-11-30 장정일 착탈식 개량삽
KR200261134Y1 (ko) * 2001-10-24 2002-01-19 박훈휘 축사의 퇴적된 고착물 제거용 자동삽
JP2004076536A (ja) * 2002-08-09 2004-03-11 Masaru Shimoda 部品交換型スコップ状手持ち工具
KR20160131430A (ko) * 2015-05-07 2016-11-16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
KR102213053B1 (ko) * 2020-04-12 2021-02-08 최병일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923A (ko) * 1990-04-20 1991-11-30 장정일 착탈식 개량삽
KR200261134Y1 (ko) * 2001-10-24 2002-01-19 박훈휘 축사의 퇴적된 고착물 제거용 자동삽
JP2004076536A (ja) * 2002-08-09 2004-03-11 Masaru Shimoda 部品交換型スコップ状手持ち工具
KR20160131430A (ko) * 2015-05-07 2016-11-16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
KR102213053B1 (ko) * 2020-04-12 2021-02-08 최병일 무게중심의 분산을 위한 보조손잡이를 구비한 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9331B2 (en) Ergonomic hand scraper
SE512711C2 (sv) Golvmopp för torr- eller fuktmoppning
EP1584412A2 (en) Sander with vertical handle
US20120324676A1 (en) Nestable tool handle
KR102554420B1 (ko) 탈착식 멀티 손잡이가 구비된 비동력 수공구
US20030173789A1 (en) Two-handled shovel
CN1668180A (zh) 改进的手工工具
US4787139A (en) Battery cable puller pliers
US20050150083A1 (en) Utility handle providing enhanced grip and comfort
KR101730543B1 (ko) 발 디딤판과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삽
US4930181A (en) Auxiliary tool handle
US5535649A (en) Leverage increasing extender arm
WO2014144910A1 (en) Apparatus for sliding auxiliary handle
US6343822B1 (en) Pivoting shovel handle
US4941261A (en) Knife with wrist brace
MX2011004673A (es) Herramienta y metodo para aplicar torsion.
US20130145909A1 (en) Grip for a Tool Handle
KR101278256B1 (ko) 발 디딤판이 부착된 삽
US7448988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90184543A1 (en) Multi-pronged handle for a hand tool
US20060113091A1 (en) Multi-purpose horse shoeing tool
RU2577051C2 (ru) Шпатель, имеющий ручку с перпендикулярной ориентацией относительно плоскости рабочей пластины (варианты)
US20080023973A1 (en) Implement with a foot pedal
US8491024B2 (en) Dual grip angled handled shovel
US20230356384A1 (en) Handle element for receiving a handle of a handle tool and handle for or with a handl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