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189B1 -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 Google Patents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189B1
KR102554189B1 KR1020210189436A KR20210189436A KR102554189B1 KR 102554189 B1 KR102554189 B1 KR 102554189B1 KR 1020210189436 A KR1020210189436 A KR 1020210189436A KR 20210189436 A KR20210189436 A KR 20210189436A KR 102554189 B1 KR102554189 B1 KR 102554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lender
container
unit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9965A (en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21018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189B1/en
Publication of KR2023009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용기를 감압시키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방음커버를 포함하는 진공 블렌더에 있어서, 방음커버는, 개방 또는 폐쇄작동 하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 및 제1 커버와 결합되며 제1 커버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제1 커버의 내측벽을 감압하며 제1 커버를 고정시킨 뒤 용기 내부를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dy portion is formed so that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processing target is seated therein, and is formed to depressurize the container; and a soundproof cover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soundproof cover is coupled to a first cover formed to be opened or closed and operated, and the first cover is in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Including a second cover that detects,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first cover is close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ver is depressurized, and after fixing the first cover, the vacuum ble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epressurized. .

Description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Blender With Soundproof Cover}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본 발명은 방음커버가 구비된 진공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소음 발생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음식물의 가공 작동과 커버의 개폐 작동이 연계되어 가공 작동의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고 용기를 빠르게 꺼낼 수 있으며, 개폐 작동 간에 발생하는 안전문제를 해결 가능한 것으로, 커버의 폐쇄 시 사용자의 손이 인입되거나 음식물 가공 작동 시 과부하 등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 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의 개폐작동이 음식물 가공 작동과 연계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상 안전뿐만 아니라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blender equipped with a soundproof cov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cuum blender having a compact structure, noise generation is effectively blocked, and at the same time, a processing operation of food and an opening/closing operation of a cover are linked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ocessing operation is terminated. It can be checked, the container can be taken out quickly, and safety problems that occur betwee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can be solve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f the user's hand is drawn in when the cover is closed or an error such as overload occurs during food processing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ender equipped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s linked to the food processing operation so that user safety and efficiency are greatly improved.

블렌더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공(예를 들어 블렌딩 및 크러싱)하기 위한 전자 기기로서, 작동되는 동안에 블렌더 몸체 내에 배치되는 모터로부터 몸체 상측에 장착된 용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공 부재(예를 들어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가공 부재를 회전시켜 용기 내의 음식물을 가공할 수 있다.A blender is generally a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eg, blending and crushing) food, and during operation, a processing member (eg, For example, rotational force may be transmitted to a blade) to rotate the processing member to process food in the container.

그런데, 이와 같은 블렌더에는, 다양한 소음 발생원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터로부터 가공 부재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에서, 그리고, 용기 내에서 음식물이 가공 부재 및 용기 내벽과 부딪힘으로써 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은 사용자가 주변 사람과 대화하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크고, 주위에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차단될 필요가 있다.However, in such a blender, there may be various sources of noise. For example, in a mechanism in which a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from a motor to a processing member, and when food collides with the processing member and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a large amount of noise is generated. It can be. These noises need to be blocked because they are loud enough to prevent users from conversing with people around them and prevent creating a pleasant environment around them.

종래 식품 가공기 또는 블렌더용 소음차단 커버는 식품 및 음료 제조 산업에서 사용되는 블렌더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Conventional noise blocking covers for food processors or blenders have been used in the field of blenders used in the food and beverage manufacturing industry.

통상적인 블렌더용 소음차단 커버는 식품 가공시 발생되는 소음을 가능한 절감시키기 위해 적용된다.A noise blocking cover for a conventional blender is applied to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food processing as much as possible.

이러한 소음차단 커버는, 산만함을 줄이고 고객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레스토랑이나 카페, 칵테일 라운지와 같은 상업적환경에서 주로 사용되었다.These noise blocking covers are mainly used in commercial environments such as restaurants, cafes, and cocktail lounges to reduce distraction and customer inconvenience.

그러나, 블렌더를 레스토랑이나 카페와 같은 상업적 환경에서 사용 시, 사용자가 커버를 수동으로 개폐하고, 식품가공 작업을 진행해야 했는데,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다수의 수동조작을 필요로 함으로써, 시간 소모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using the blender in a commercial environment such as a restaurant or cafe, the user had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cover and proceed with food processing. However,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user fatigue.

또한, 종래의 블렌더는, 가정 또는 소음이 심한 상업 시설에서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소리로 확인하기 어렵거나, 가공 작업이 완료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lend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by sound whether or not the processing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or to visual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processing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at home or in a noisy commercial facil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소음 발생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음식물의 가공 작동과 커버의 개폐 작동이 연계되어 가공 작동의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고 용기를 빠르게 꺼낼 수 있게 되며, 개폐 작동 간에 발생하는 안전문제를 해결 가능한 것으로, 커버의 폐쇄 시 사용자의 손이 인입되거나 음식물 가공 작동 시 과부하 등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 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의 개폐작동이 음식물 가공 작동과 연계됨으로써 가정 및 상업 시설에서 사용자의 사용 상 안전뿐만 아니라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having a compact structure, noise generation is effectively blocked, and at the same time, whether the processing operation is terminated by linking the processing operation of foo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container, take out the container quickly, and solve safety problems that occur betwee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When the user's hand is drawn in when the cover is closed or an error such as overload occurs during food processing operation, safety accidents occur. To provide a blender equipped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s linked to the food processing operation so as to prevent it in advance, user safety as well as use efficiency is greatly improved in home and commercial faciliti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용기를 감압시키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방음커버를 포함하는 진공 블렌더에 있어서, 방음커버는, 개방 또는 폐쇄작동 하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 및 제1 커버와 결합되며 제1 커버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제1 커버의 내측벽을 감압하며 제1 커버를 고정시킨 뒤 용기 내부를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블렌더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processing target is seated therein, and a main body portion formed to depressurize the container; and a soundproof cover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soundproof cover is coupled to a first cover formed to be opened or closed and operated, and the first cover is in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Including a second cover that detects, the main body portion, when the first cover is close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ver is depressurized, and after fixing the first cover, the vacuum ble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epressuriz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소음 발생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음식물의 가공 작동과 커버의 개폐 작동이 연계되어 가공 작동의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고 용기를 안전하고 빠르게 꺼낼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aving a compact structure, noise generation is effectively blocked, and at the same time, food processing operation and cover opening/closing operation are linked, so that whether or not the processing operation is finished can be easily confirmed, and the container can be safely and quickly opened. By being able to take it out, efficiency in use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제1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의 제어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흡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와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a) and (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of the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opened.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a vacuum bl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n exploded view of a rot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s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tional part and a first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provide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more completely.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positioned 'above' or 'below' another element, this means that the element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or 'below' another element, or an additional element is present between them. It includes all meanings that can be interven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upper' or 'lower' is a relative concept established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and if the observer's point of view changes, 'upper' may mean 'lower', and 'lower' may mean 'upper' could mean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 plurality of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개방상태"는 제1 커버가 함몰부에 안착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회전 반경만큼 제1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것을 포함한다.The "open stat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is seated in the depression, and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ver is opened by a rotation radius preset by the user. include that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폐쇄상태"는 제1 커버의 하면이 본체부의 상부 및/또는 제2 커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회전 반경만큼 제1 커버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것을 포함한다.The "closed stat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in which the first cover is closed by a rotation radius preset by the user. It includes being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n a state of rotation in the direction.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개방작동"은 제1 커버가 상기 개방상태가 되도록 회동하는 것을, "폐쇄작동"은 제1 커버가 상기 폐쇄상태가 되도록 회동하는 것을 포함하며, "개폐작동"은 상기 "개방작동" 및 "폐쇄작동"을 모두 포함한다.The "opening operat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otation of the first cover to be in the open state, the "closing operation" includes rotation of the first cover to be in the closed st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refers to the above "opening operation". Includes both “open operation” and “closed oper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동 개폐식 커버가 구비된 블렌더(이하, '블렌더', 1)는, 본체부(100), 본체구동부(110), 용기(200), 방음커버(300), 회동부(400) 및 제어부(5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1 to 4, a blen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ender', 1) equipped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includes a main body 100, a main body driving unit 110, a container 200, a soundproof cover 300, It includes all or part of the rotation part 400 and the control part 500.

본체부(100)는 외측면에 조작부(1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용기(200) 내부의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0)는 음성신호 감지장치나 단말기 앱과의 통신부 등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음성이나 단말기 앱을 통해서도 용기(200) 내의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0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 button to process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side the vessel 20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 is provided with a voice signal sensing device or a communication unit with a terminal app, so that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 the container 200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user's voice or the terminal app.

본체구동부(110)는,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며, 용기(200) 내부의 가공 대상을 가공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구동부(110)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본체구동부모터,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drive unit 110 is disposed inside the body unit 100 and may provide power for process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inside the container 200 . For example, the body drive unit 110 may include a body drive motor that generates power for rotation of the blade, a gear shaft that transmits power, and the like.

용기(200)는 본체부(100)에 안착될 수 있다. 용기(200)는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고, 식재료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용기(200)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210)은 후술하는 진공구동부(600)를 이용하여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ainer 200 may be seated on the main body 100 . The container 200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processed therein, and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ingredients can be put. The container 200 may include a lid 21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For example, the lid 210 may use a vacuum actuator 6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is in a vacuum state.

또한, 용기(200)는 내부에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후술하는 본체구동부(110)와 연결되어 용기(200) 내부에서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본체구동부(110)의 본체구동모터의 동력이 제공되는 것으로 정의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200 may have a rotatable blade installed therein. The blade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to be described later to process a processing target inside the container 200 . Here, connection is defined as providing power of the main body driving motor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

방음커버(300)는 제1 커버(310), 제2 커버(320)를 포함한다. 제2 커버(320)는 본체부(100)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버(310)는 제2 커버(320)의 상단에 결합된다.The soundproof cover 300 includes a first cover 310 and a second cover 320 . The second cover 320 may be combined with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100 , and the first cover 310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ver 320 .

제1 커버(310)는 폐쇄상태에서 용기(200)를 전부 둘러싸도록 제2 커버(320)와 본체부(100) 사이에서 정의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의 개폐작동은 탈착식, 접철식, 회동식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회동식이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의 개폐작동으로 회동식이 적용되는 경우, 제1 커버(310)가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커버(310)의 일측에는 커버손잡이(301)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커버(310)의 양측 일부분에는 회동부(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홈(312)이 형성된다. 회동홈(312)에는 후술할 회동부(400)가 결합되고, 회동부(400)는 제1 커버(310)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회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커버(310)는 회동부(400)에 의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The first cover 310 may open and close a space defined between the second cover 320 and the main body 100 so as to completely enclose the container 200 in a closed state.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may be a detachable type, a folding type, a rotation type, and the like, and an embodiment in which a rotation typ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a rotational type is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the first cover 310 may rotate vertically or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there is. In addition, a cover handle 30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310 . In addition, a pivoting groove 3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310 so that the pivoting part 400 can be inserted. A pivoting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pivoting groove 312, and the pivoting part 400 provides a pivoting force so that the first cover 310 can be opened or closed. Therefore, the first cover 310 can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by the rotation unit 400,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1 커버(310)의 폐쇄상태에서 제2 커버(320) 및 제1 커버(310)가 용기(200)를 전부 둘러싸게 되어 용기(200) 내부 공간에서 가공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cover 310, the second cover 320 and the first cover 310 entirely surround the container 200 to block nois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can

제2 커버(320)는 용기(2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본체부(100) 상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320)는 용기(20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후방 및 측방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320)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0)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ver 320 may be disposed above the body portion 100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200 . For example, the second cover 320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200,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and side sides. For example, the second cover 32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dy portion 100 as shown in FIG. 3 (a), or as shown in FIG. 3 (b) the body portion 100 and can be integrally formed.

제2 커버(320)는 외측면에 함몰부(311)를 포함하여, 제1 커버(310)의 개방상태에서 제1 커버(310)의 적어도 일부가 함몰부(311)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제1 커버(310)의 회동 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second cover 320 includes a recessed portion 311 on an outer surfac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310 is seated in the recessed portion 311 in an open state of the first cover 310. A rotation radius of one cover 310 may be increased.

회동부(400)는, 제1 커버(310)의 개폐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인 작동 형태는 도 5 내지 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The rotation unit 40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and a specific operation form will be described later using FIGS. 5 and 6.

제어부(500)는 조작부(10), 본체구동부(110), 회동부(400), 진공구동부(600) 및 흡입구동부(900)와 연동될 수 있다. 도 4를 포함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진공구동부(600) 및 흡입구동부(900) 등이 제어부(50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0)에 의하지 않고, 작동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anipulation unit 10 , the body driving unit 110 , the rotation unit 400 , the vacuum driving unit 600 and the suction driving unit 900 .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FIG. 4 ,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vacuum drive unit 600 and the suction drive unit 900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by the control unit 500 , it might work.

진공구동부(600)는 진공모터(610), 진공흡입부(620), 진공흡입관(630), 제1 솔레노이드 밸브(640) 및 역류방지부재(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The vacuum driving unit 600 includes all or part of a vacuum motor 610, a vacuum suction unit 620, a vacuum suction pipe 630, a first solenoid valve 640, and a backflow prevention member (not shown).

진공구동부(600)는 용기(200)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변환시키거나, 진공상태가 해제되도록 변환시킬 수 있다.The vacuum driver 600 may convert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into a vacuum state or convert the vacuum state to be released.

진공모터(610)는 용기(200)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용기(200)에 감압력을 제공하는 모터이다.The vacuum motor 610 is a motor that provides reduced pressure to the container 200 to conver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0 to a vacuum state.

진공흡입부(620)는 제1 커버(3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용기(200)에 결합되는 뚜껑(210)의 상측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vacuum suction unit 620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310 and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id 210 coupled to the container 200 .

진공흡입부(620)는 뚜껑(210) 상측에 형성된 연통홀(220)을 이용하여 용기(200)의 내부를 감압한다.The vacuum suction unit 620 de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0 using the communication hole 22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d 210 .

진공흡입관(630)은 진공모터(610)의 감압력이 진공흡입부(620)에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관이다.The vacuum suction pipe 630 is a pipe formed so that the reduced pressure of the vacuum motor 610 is supplied to the vacuum suction unit 620 .

제1 솔레노이드 밸브(640)는 진공흡입부(620)의 감압력을 유지 또는 제거시키도록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The first solenoid valve 640 is a solenoid valve formed to maintain or remove the pressure reduction force of the vacuum suction unit 620 .

역류방지부재는 용기(200)로부터 진공흡입부(620)에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진공모터(610)에 흡입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역류방지부재는 진공흡입관(630) 내에 위치하며, 진공흡입관(630)의 유로를 복잡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The backflow prevention member is a member form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vacuum suction unit 620 from the container 200 from being sucked into the vacuum motor 610 . For example, the backflow prevention member is located in the vacuum suction pipe 630 and prevent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by forming a flow path of the vacuum suction pipe 630 intricately.

퀵스위치(70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원터치버튼,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는 음성인식장치, 및 용기(200)가 본체부(100)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용기인식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퀵스위치(700)는 후술할 제1 작동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개시하는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The quick switch 700 includes a one-touch button that transmits a signal by a user's touch, a voice recognition device that transmits a signal by a user's voice, and a container that detects that the container 200 is seated on the body portion 100. At least one of the recognition devices may be included. The quick switch 700 transmits a signal initiating at least one of a first operation and a second operation to the control unit 500 .

퀵스위치(700)는 본체부(100)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기(200)를 본체부(100) 상부에 결합시킨 후 곧바로 퀵스위치(700)를 터치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quick switch 7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touch the quick switch 700 immediately after coupling the container 20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may be applied.

또한, 퀵스위치(700)는 용기(200)가 안착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기(200)를 본체부(100) 상부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에 퀵스위치(700)가 작동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ick switch 700 is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container 200 is seated, and the user couples the container 200 to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at the same time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quick switch 700 A structure that operates can be applied.

또한, 퀵스위치(700)는 커버손잡이(301)에 설치되거나, 본체부(100) 외측면, 예를 들어, 조작부(10)에 설치되거나, 제1 회동체(411) 또는 제2 회동체(41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퀵스위치(700) 전술한 위치뿐만 아니라, 제1 커버(310), 본체부(100), 제2 커버(320) 등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ick switch 700 is installed on the cover handle 301, o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10, or the first rotating body 411 or the second rotating body ( 412) can be installed. Meanwhile, the quick switch 700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such as the first cover 310, the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cover 320, as well as the aforementioned position.

도 1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흡입구동부(900)는 고정흡입모터(910), 고정흡입부(920), 고정흡입관(930)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1 to 4 and 9, the suction drive unit 900 is all or part of the fixed suction motor 910, the fixed suction unit 920, the fixed suction pipe 930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include

고정흡입모터(910)는 제1 커버(310)가 본체부(100)의 고정흡입부(920)에 결합 및 고정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모터이다.The fixed suction motor 910 is a motor that provides suction force so that the first cover 310 is coupled and fixed to the fixed suction portion 920 of the main body 100 .

고정흡입부(920)는 고정흡입모터(910)로부터 흡입력을 제공받아 제1 커버(310)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킨다.The fixed suction unit 920 receives suction force from the fixed suction motor 910 and maintains the first cover 310 in a fixed state.

고정흡입관(930)은 고정흡입모터(910)의 흡입력이 고정흡입부(920)에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관이다.The fixed suction pipe 930 is a pipe formed so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fixed suction motor 910 is supplied to the fixed suction part 920 .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는 고정흡입부(920)의 흡착력을 유지 또는 제거시키도록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여기서,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는 평상시에 개방된 노말 오픈 타입의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가 고정흡입부(920)에 흡착되어 결합된 경우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는 본체부(1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폐쇄될 수 있다.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가 폐쇄되면, 제1 커버(310)는 고정흡입부(9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에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는 다시 개방되고, 이에 고정흡입부(920)의 흡착력은 제거될 수 있다.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is a solenoid valve formed to maintain or remove the adsorption force of the fixed suction unit 920 . Here, 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may be a normal open type valve that is normally open.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ver 310 is adsorbed and coupled to the fixed suction part 920 , 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may be closed by receiving current from the body part 100 . When 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is closed, the first cover 310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fixed suction part 92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is stopped, 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is opened again, and thus the suction force of the fixed suction unit 920 may be removed.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어부(5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어부(500)가 회동부(400) 및 본체구동부(110)를 작동시켜, 제1 커버(3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작동을 제1 작동으로 정의한다. 한편, 제어부(500)가 본체구동부(110)와 회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완료 시 제1 커버(310)를 개방시키는 작동을 제2 작동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Here, 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rotating unit 400 and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to start the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310 is closed. Defined by Meanwhile,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ody drive unit 110 and the rotation unit 400 to open the first cover 310 when the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is completed as a second operation. define.

제어부(500)는, 본체구동부(110)의 작동과 회동부(400)의 작동을 연계하여 제어할 수 있고, 또는 본체구동부(110), 회동부(400), 진공구동부(600) 및 흡입구동부(900)의 작동을 모두 연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1 작동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drive unit 110 and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400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o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drive unit 110, the rotation unit 400, the vacuum driving unit 600, and the suction driving unit. All operations of 900 can be linked and controll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제어부(500)는, 회동부(400) 및 본체구동부(110)를 작동시켜, 제1 커버(310)의 폐쇄상태에서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제1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a first operation such that a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vessel 200 is start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cover 310 by operating the rotation unit 400 and the body driving unit 110. there is.

제어부(500)는, 본체구동부(110)와 회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완료 시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2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회동부(400)를 작동시킬 수도 있고,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회동부(400)를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회동부(400)를 작동시킨 후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작동 시 제어부(500)에 의한 본체구동부(110)와 회동부(400)의 작동 순서는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변경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drive unit 110 and the rotation unit 400 to perform a second operation such that the first cover 310 is opened when the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is completed. You can control i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may operate the rotating unit 400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or operate the rotating unit 400 while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Alternatively, after operating the rotation unit 400, the operation of the body driving unit 110 may be stopped. For example, during the second operation,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body drive unit 110 and the rotation unit 400 by the control unit 500 may be set in advance or may be changed by the user.

즉, 사용자는 전술한 조작부(10)를 조작,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 신호를 보내거나, 전자단말기에 의한 통신 신호를 보내거나, 후술하는 용기인식장치에 의해 용기(200)의 안착 여부가 감지되거나, 용기(200)를 본체 상에 안착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제1 커버(310)가 회동하여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가 된 후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 즉,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식재료를 분쇄하는 작동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nipulates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10, for example, presses a button, sends a voice signal, sends a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an electronic terminal, or places the container 200 by a container recognition device described later. Whether or not is detected, or when the container 200 is seated on the main body and a preset time elapses, the first cover 310 rotates to change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then the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that is,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work efficiency by allowing the blade to rotate so that the operation of crushing the food material can proceed automatically.

한편, 제어부(500)는, 제1 커버(310)의 폐쇄상태 전 제1 작동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커버(310)의 폐쇄작동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제1 커버(310)의 개방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동을 위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하는 중에 사용자의 손 등이 제1 커버(310)와 본체부(100) 사이에 끼게 되는 등 제1 커버(310)의 회동이 0.1초 내지 1분, 일 예로, 1초 내지 5초 사이로 정지되거나 0.1초 내지 1분, 일 예로, 1초 내지 5초 사이에 폐쇄상태로 완료되지 않는 경우,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하는 중에 회동부(400) 회동모터(440)의 부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로 회동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500 operate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whe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is not completed for a preset time during the first operation before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cover 310. can initiate. For example, while the first cover 310 rotates in a closed state for the first operation, the user's hand is caught between the first cover 310 and the main body 100. When the rotation of 0.1 second to 1 minute, for example, between 1 second and 5 seconds is stopped or between 0.1 second and 1 minute, for example, between 1 second and 5 seconds, when the closed state is not completed, the first cover 310 can rotate in an open state. For example, when the load of the rotation motor 440 of the rotation unit 400 is out of a preset range while the first cover 310 rotates in the closed state, the first cover 310 may rotate in the open state. there is.

이에 따라,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될 수 없는 상황에서 후술하는 회동모터(440)의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a situation in which the first cover 310 cannot be rotated in a closed state, an overload of the rotation motor 440 or a safety accid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liminated.

또한,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및 본체구동부(110)의 작동 중 오류가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제2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조건은, 미리 설정된 분쇄시간 동안 본체구동부(110)가 작동하는 것, 요리레시피 설정에 따른 작동이 완료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 동일하다. 예를 들어, 작동 오류는 제1 작동 중 본체구동부(110)의 과부하가 감지되거나, 용기(200)가 본체구동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감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start the second operation in at least one of cases where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is completed under a preset condition and when an error is detected dur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can For example, the preset condition may include operation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for a preset grinding time, completion of operation according to a cooking recipe setting, and the like, and the following is the same. For example, the operation error may include detecting an overload of the body drive unit 110 during the first operation or detecting separation of the container 200 from the body drive unit 110 .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부(10)에 일회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하고 식재료가 분쇄되는 작동이 진행되고, 이후 미리 설정된 분쇄시간이 지나면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이 정지되고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로 회동하는 과정이 연계되어 진행됨으로써, 사용자는 소음이 심한 가정 또는 상업 시설에서도 가공 작동의 종료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고 용기를 안전하고 빠르게 꺼낼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식재료의 가공 작동 중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가공 작동을 중단하고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사용상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a single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the first cover 310 is rotated in a closed state and an operation of crushing the food material proceeds. ) is stopped and the process of rotating the first cover 310 in an open state is link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processing operation is finished even in a noisy home or commercial facility, and the container can be safely and quickly By being able to take it out, efficiency in use can be greatly improved. At the same time, if a problem occurs during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food material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heck, the process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stopped and the first cover 310 is rotated in an open state to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and to ensure safety in use. can be secured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을 포함하여 제1 작동 및 제2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driving unit 600 .

이때, 제1 작동은,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회동하고, 용기(200) 내부 공간의 진공상태가 된 후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개시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작동은,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전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완료되고,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 커버(310)의 개방작동이 개시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완료된 상태는, 미리 설정된 진공 조건으로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가 된 이후의 상태를 지칭하며,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상태 또는 용기(200) 내부 공간의 진공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 작동은,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이 전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완료된 후,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상태 또는 용기(200) 내부 공간의 진공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 커버(310)의 개방작동이 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operation may further include rotating the first cover 310 in a closed state and starting a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after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is in a vacuum state. In addition, the second operation indicates tha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is star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set conditions and the operation of the vacuum driving unit 600 is completed. can include more. For example,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vacuum driver 600 is completed refers to a state after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becomes a vacuum state under a preset vacuum condition,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returns to a vacuum state. It may be a maintained state or a state in which the vacuum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is released. That is, the second operation is a state in which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is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or the vacuum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is released after the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set conditions. It may include start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in the state.

이에 따라, 진공상태의 용기(200) 내부에서 식재료의 분쇄가 진행되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조작부(10)에 일회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면 전술한 제1 작동 및 제2 작동이 연계되어 진행되어 사용상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a single operation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10 while allowing the grinding of the food material to proceed inside the container 200 in a vacuum state, the above-described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proceed in conjunction, resulting in improved efficiency in use. can be greatly improved.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회동부(4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operating state of the pivoting part 400 will be described.

회동부(400)는, 제1 회동체(411), 제2 회동체(412), 토크보조부재(420), 센서부(430), 회동모터(440), 모터기어박스(450), 구동전달부재(460) 및 기어박스(4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The rotation unit 400 includes a first rotation body 411, a second rotation body 412, a torque auxiliary member 420, a sensor unit 430, a rotation motor 440, a motor gear box 450, and a drive It includes all or part of the transmission member 460 and the gearbox 470.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는 전술한 제1 커버(310)의 회동홈(312) 결합되어 제1 커버(310)의 개폐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는 제1 커버(310)에 고정되며,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커버(310)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al body 411 and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are coupled to the rotation groove 312 of the first cover 310 and can rotate togethe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 For example, the first rotational body 411 and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are fixed to the first cover 310, and the first rotational body 411 and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rotate. One cover 310 can rotate up and down.

일 예로,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는 후술하는 구동전달부재(460)와 이격된 제1 회동체(411) 및 구동전달부재(460)와 연결된 제2 회동체(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회동부(400) 내에서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제공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이격은 회동부(400) 내에서 회동모터(440)의 회동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For example, the first rotatable body 411 and the second rotatable body 412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able body 411 and the drive transmission member 460 spaced apart from a drive transmission member 460 to be described later. (412). Here, connection means a state in which the power of the rotation motor 440 can be provided within the rotation unit 400, and separation means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force of the rotation motor 440 is not provided within the rotation unit 400. means

일 예로, 제2 회동체(412)와 구동전달부재(460) 사이에 기어박스(470)가 배치되는 경우,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구동전달부재(460)로 제공되고, 이어서 기어박스(470)로 제공된 후 제2 회동체(412)로 제공되기 때문에, 구동전달부재(460)와 제2 회동체(412)는 연결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제2 회동체(412)로 전달되어 제2 회동체(412)의 회전에 따라 제1 커버(310)가 회동하고, 제1 커버(310)를 중심을 기준으로 제2 회동체(412)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제1 회동체(411)가 제1 커버(310)의 회동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earbox 47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and the drive transmission member 460, the power of the rotational motor 440 is provided to the drive transmission member 460, and then the gearbox Since it is provided as the second rotatable body 412 after being provided as the 470, the driving transmission member 460 and the second rotatable body 412 can be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hat is, the power of the rotational motor 44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and the first cover 31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and the first cover 310 is centered. As a referenc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rotational body 411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cover 310 may be applied.

토크보조부재(420)는 제1 커버(310)의 개폐 작동에 소요되는 힘을 보조할 수 있다. 블렌더(1)는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정 이상의 자중을 갖는 제1 커버(310)가 적용될 수 있는데, 토크보조부재(420)가 적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1 커버(310)를 개폐하거나, 회동모터(440)의 더 적은 동력에 의해 제1 커버(310)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The torque auxiliary member 420 may assist the force requi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cover 310 . The blender 1 may be applied with a first cover 310 having a predetermined or more weight in order to increase the noise blocking effect. As the torque auxiliary member 420 is applied, the user manually uses a small amount of force to manually remove the first cover 310. ), or the first cover 31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less power of the rotation motor 440 .

센서부(430)는, 제1 커버(310)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430 may detect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of the first cover 310 .

센서부(430)는 PCB(433)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회동체(411, 412)의 회전 반경에 따라 제1 커버(310)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43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disposed on the PCB 433 and can detect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cover 310 according to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ies 411 and 412. there is.

일 예로, 제1 센서(431) 및 제2 센서(432)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nsor 431 and the second sensor 432 may include microswitches.

일 예로, 센서부(430)는 제1 센서(431), 제2 센서(432) 및 그 사이에서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의 회전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유동체(434)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체(434)가 제1 센서(431)의 위치로 이동, 즉, 상측으로 이동하며 제1 센서(431)를 누르는 경우 제어부(500)는 제1 커버(310)의 하면이 본체부(100)와 접하여 제2 커버(320)와 본체부(100) 사이에서 정의된 공간을 폐쇄하는 폐쇄상태인 것으로 인지하고, 유동체(434)가 제2 센서(432)의 위치로 이동, 즉, 하측으로 이동하며 제2 센서를 누르는 경우 제1 커버(31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430 includes the first sensor 431, the second sensor 432, and a fluid moving therebetween based on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41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412 ( 434) may be included. For example, when the fluid 434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431, that is, moves upward and presses the first sensor 431, the controller 500 determines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310 is the main body. It is recognized that the space defined between the second cover 320 and the main body 100 is clos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unit 100, and the fluid 434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432, that is, , When the second sensor is pressed while moving downward,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first cover 310 is in a maximum open state.

회동모터(440)는 제2 회동체(412)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직접 제2 회동체(412)로 전달될 수 있고, 또는 모터기어박스(450)를 통해 회동모터(440)의 동력이 제어된 후 제2 회동체(412)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모터(440)는 본체부(100) 내에 실장될 수 있다.The rotation motor 440 may generate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 body 412 . For example, the power of the rotational motor 44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or after the power of the rotational motor 440 is controlled through the motor gearbox 450,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For example, the rotation motor 440 may be mounted in the main body 100 .

구동전달부재(460)는 제2 회동체(412) 및 모터기어박스(450) 사이에 배치되며, 회동모터(440)의 동력을 제2 회동체(412)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구동전달부재(460)를 제어하여 회동모터(440) 동력의 제2 회동체(412)로의 전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drive transmission member 46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and the motor gearbox 450, and may transmit power of the rotational motor 440 to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drive transmission member 460 to control whether power of the rotation motor 44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 body 412 .

예를 들어, 구동전달부재(460)는 전자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일 예로, 전자력을 활용한 전자클러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클러치는 동력을 전달하거나 전달을 해제하기 위해 접하거나 이격되는 부분인 연결부(461)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461)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일부가 이격된 구조를 갖는 부재 또는 공간을 포함한다.For example, an electronic type may be applied to the drive transmission member 460, and, for example, an electronic clutch using electromagnetic force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electronic clutch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461, which is a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transmit or release power. The connection part 461 includes a member or spa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is spaced apart when power is not transmitted.

이때, 전자클러치는 평상시 연결부(461)가 이격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동체(412)가 회동모터(440)와 분리되어 사용자가 제1 커버(310)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nic clutch may be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461 is normally spaced apart. Accordingly, the second rotation body 412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motor 44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otate the first cover 310 .

이때, 전자클러치는 통전 시 연결부(461)가 연결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동체(412)가 회동모터(440)와 연결되어 회동모터(440)의 구동에 의해 제1 커버(310)가 회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ctronic clutch may be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461 is connected when energized. Accordingly, the second rotation body 412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440 so that the first cover 310 can be rotated by driving the rotation motor 440 .

이때, 센서부(430)는 제1 회동체(4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모터(440)가 구동되어 동력이 제2 회동체(412)로 제공되지만 제2 회동체(412)의 손상 등으로 제1 커버(310)가 회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커버(310)의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4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body 411 . Accordingly, even when the rotational motor 440 is driven and power is provided to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but the first cover 310 does not rotate due to damage to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the first cover The open/closed state of (310) can be accurately sensed.

회동부(400)는, 모터기어박스(450) 및 기어박스(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gearbox 450 and a gearbox 470 .

모터기어박스(450)는 회동모터(440)에 연결되어 제2 회동체(412)로 전달되는 회동모터(440)의 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motor gear box 45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440 and control power of the rotation motor 440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 body 412 .

기어박스(470)는, 회동모터(440)의 동력을 회동모터(440)가 배치된 축과 다른 축에 배치되는 제2 회동체(41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축은 비교대상 축과 평행한 것과 평행하지 않은 것을 모두 포함한다. 즉, 블렌더(1)는 컴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부(400)가 제2 커버(320) 및 제1 커버(310)에 의해 폐쇄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데, 회동모터(440)가 제1 회동체(411) 및 제2 회동체(412)와 동일한 축에 위치하는 경우 회동부(400)와 용기(200)의 간섭이 발생하거나 컴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렌더(1)는 회동모터(440)의 동력을 회동모터(440)와 다른 축에 배치시키기 위한 기어박스(470)가 적용되어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컴팩트한 디자인을 달성할 수 있다.The gearbox 470 may provide power of the rotational motor 440 to the second rotational body 412 disposed on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on which the rotational motor 440 is disposed. At this time, the other axis includes both parallel and non-parallel to the comparison target axis. That is, the blender 1 may be disposed in a space where the rotation part 400 is closed by the second cover 320 and the first cover 310 to provide a compact design, and the rotation motor 440 When position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rotating body 411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412, interference between the rotating part 400 and the container 200 may occur or a compact design may not be achieved. Therefore, the blender 1 can achieve a compact design 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by applying a gearbox 470 for arranging the power of the rotation motor 440 on a different axis from the rotation motor 440.

한편, 블렌더(1)는 본체구동부(110) 및 회동부(400)의 작동이 연계되어, 사용자가 용기(200)를 본체부(100) 상부에 결합 후 조작부(10)에 조작신호를 일회만 입력하면 전술한 제1 작동, 제2 작동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조작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 신호를 보내거나, 전자단말기에 의한 통신 신호를 보내거나, 후술하는 용기인식장치에 의해 용기(200)의 안착 여부가 감지되거나, 용기를 본체 상에 안착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blender 1, the operation of the body drive unit 110 and the rotation unit 400 are linked, so that the user couples the container 200 to the top of the body unit 100 and then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only once. If input, the above-described first operation and second operation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e operation signal, as described above, is a button press, a voice signal, a communication signal by an electronic terminal, or whether the container 200 is seated or not is detected by a container recognizing device described later, or the container is moved to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case where a preset time elapses after being placed on the bed.

즉, 제어부(500)는,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하도록 회동모터(440)를 작동시키고,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 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본체구동부(110)를 작동시켜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을 개시하는 제1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500 operates the rotation motor 440 so that the second rotation body 412 rotates, and when the sensor unit 430 detects that the first cover 310 is in a closed state, the body drive unit By actuating 110, a first operation of initiating a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may be controlled.

제어부(500)는,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 인 것으로 감지되기 전 제1 작동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커버(310)의 폐쇄작동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 인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하도록 회동모터(440)를 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cover 310 is not completed for a preset time during the first operation before the sensor unit 430 detects that the first cover 310 is in a closed state,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rotation motor 440 may be operated so that the second rotation body 412 rotates until the sensor unit 430 detects that the first cover 310 is in an open state.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제1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및 본체구동부(110)의 작동 오류가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 인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하도록 회동모터(440)를 작동시키는 제2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in at least one of a case where the first operation is completed under a preset condition and an operation error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is detected, and the sensor It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a second operation of operating the rotation motor 440 so that the second rotation body 412 rotates until the first cover 310 is detected by the unit 430 as an open state. there i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렌더(1)가 용기(200) 내부 공간의 진공상태를 제어하는 진공구동부(60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1 작동과 제2 작동에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ender 1 further includes the vacuum driver 600 for controlling the vacuum stat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the vacuum driver 600 operates in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this may be included.

즉, 제1 작동은,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 인 것으로 감지 및 용기(200) 내부 공간이 진공상태 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본체구동부(110)를 작동시켜 용기(200) 내부의 가공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first operation, when the sensor unit 430 detects that the first cover 310 is in a closed state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00 is in a vacuum state, the body drive unit 110 is operated. It may further include initiating a processing operation inside the container 200 .

제2 작동은,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제1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및 본체구동부(110)의 작동 오류가 감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 및 센서부(430)에 의해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 인 것으로 감지될 때까지 제2 회동체(412)가 회전하도록 회동모터(440)를 작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구동부(600)의 작동이 완료되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다.The second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first operation is completed under a preset condition or when an operation error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is detected,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vacuum driving unit 600 is completed,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 and operating the rotary motor 440 so that the second rotary body 412 rotates until the sensor unit 430 detects that the first cover 310 is in an open state. can include At this time,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of the vacuum driving unit 600 is completed is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process of the blen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블렌더(1)는 센서부(430)에 의하여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인지 또는 개방상태인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의 내측벽이 고정흡입부(920)와 밀접하게 접촉하면, 센서부(430)는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vacuum blen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ct whether the first cover 310 is in a closed state or an open state by means of the sensor unit 430 . For example, whe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over 31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suction unit 920, the sensor unit 430 may detect that the first cover 310 is in a closed state.

한편,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고정흡입모터(910)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고정흡입부(920)를 일정시간 동안 감압함으로써, 제1 커버(310)를 고정흡입부(920)에 흡착 및 고정시킨다. 여기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어부(500)가 센서부(430)와 연계하여 흡입구동부(900)를 제어하는 것을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버(310)가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흡입구동부(900)가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310)가 폐쇄상태로 전환되기 시작된 후 2 초가 경과하면, 흡입구동부(900)가 작동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over 310 is closed, the control unit 500 depressurizes the fixed suction unit 920 for a predetermined time u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fixed suction motor 910, thereby reducing the first cover 310. ) is adsorbed and fixed to the fixed suction unit 920. Her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uction actuator 900 in conjunction with the sensor unit 430,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cover 310 is closed in an open state. The suction actuator 900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for switching to the state. For example, when 2 seconds have elapsed after the first cover 310 starts to be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the suction actuator 900 may operate.

한편, 흡입구동부(900)가 제1 커버(310)를 흡착 및 고정시키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가 작동하여 고정흡입부(920)의 감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uction driver 900 adsorbs and fixes the first cover 310 , 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operates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fixed suction unit 920 .

제1 커버(310)의 흡착 및 고정이 완료되거나, 또는 흡입구동부(900)가 작동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500)는 진공구동부(600)가 용기(200)내부를 감압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어부(500)가 진공구동부(600)를 제어하는 것을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동부(900)의 작동시간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진공구동부(600)가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동부(900)의 작동이 개시된 후 1 초 후에 진공구동부(600)가 작동할 수도 있다.When the adsorption and fixation of the first cover 310 is completed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uction driver 900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vacuum driver 600 to depressuriz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0. do. Her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vacuum driving unit 600,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vacuum driving unit 600 automatically operates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time of the suction driving unit 900. may work. For example, the vacuum actuator 600 may operate 1 seco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actuator 900 starts.

진공구동부(600)에 의하여 용기(200)의 감압이 완료되면, 제1 솔레노이드 밸브(640)가 닫히게 되어 용기(200) 내부의 감압 또는 진공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depressurization of the vessel 200 is completed by the vacuum driver 600, the first solenoid valve 640 is closed so that the decompression or vacuum state inside the vessel 200 is maintained.

용기(200) 내부의 감압이 완료되면, 제어부(500)는 본체구동부(110)가 용기(200) 내부의 재료를 가공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pressure inside the vessel 20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body driving unit 110 to process the material inside the vessel 200 .

가공작동이 완료되거나, 본체구동부(110)의 구동이 정지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 솔레노이드 밸브(640)가 열리며 용기(200)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된다. 이에 용기(200)의 감압상태가 해제되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940)가 열리며 고정흡입부(92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된다.When the machining operation is completed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driving of the body driving unit 110 is stopped, the first solenoid valve 640 is opened and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200 . Accordingly, the reduced pressure state of the container 200 is released, the second solenoid valve 940 is open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xed suction part 920 .

이후, 제어부(500)는 회동부(400)가 제1 커버(31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제어부(500)가 회동부(400)를 제어하는 것을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공작동이 완료되거나, 본체구동부(110)의 작동이 정지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솔레노이드 밸브(650, 940)가 개방됨과 동시에 회동부(4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1 커버(310)가 개방될 수도 있다.Then,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rotation unit 400 to open the first cover 310 . Her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rotation unit 400,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chining operation is completed or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driving unit 110 is stopp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is period elapses, the first cover 310 may be automatically opened by the pivoting part 400 at the same time as the solenoid valves 650 and 940 are opened.

제어부(500)에 의하여 회동부(400)를 제어하면 제1 커버(310)의 개방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나, 가공작동 완료됨과 동시에 제1 커버(310)가 개방되도록 설계하면, 사용자가 더욱 신속하게 가공대상물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카페와 같이 신속한 가공이 요구되는 경우에 제1 커버(310)가 자동으로 개방되면, 사용자는 개방된 제1 커버(310)를 확인하고 즉시 가공대상물을 이용함으로써, 음료를 제작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f the rotation part 4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the opening time of the first cover 310 may be delayed. There is an effect of us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ver 310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rapid processing is required, such as in a cafe, the user confirms the opened first cover 310 and immediately uses the object to be processed to produce a beverage. time can be shortene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eliev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above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shown with each component as the main body to aid understanding, and the thickness, length, number, etc. of each component shown may differ from the actual one in the progress of drawing. In addition, the material, shape, dimensions, etc.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are only examples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substantially deviate from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조작부 100: 본체부
110: 본체구동부 200: 용기
210: 뚜껑 220: 연통홀
300: 방음커버 301: 커버손잡이
310: 제1 커버 311: 함몰부
312: 회동홈 320: 제2 커버
400: 회동부 411: 제1 회동체
412: 제2 회동체 420: 토크보조부재
430: 센서부 431: 제1 센서
432: 제2 센서 433: PCB
434: 유동체 440: 회동모터
450: 모터기어박스 460: 구동전달부재
461: 연결부 470: 기어박스
500: 제어부 600: 진공구동부
610: 진공모터 620: 진공흡입부
630: 진공흡입관 650: 제1 솔레노이드 밸브
700: 퀵스위치 900: 흡입구동부
910: 고정흡입모터 920: 고정흡입부
930: 고정흡입관 940: 제2 솔레노이드 밸브
10: control unit 100: body unit
110: body driving unit 200: vessel
210: lid 220: communication hole
300: soundproof cover 301: cover handle
310: first cover 311: depression
312: rotation groove 320: second cover
400: rotating part 411: first rotating body
412: second rotating body 420: torque auxiliary member
430: sensor unit 431: first sensor
432: second sensor 433: PCB
434: fluid 440: rotation motor
450: motor gearbox 460: drive transmission member
461: connection part 470: gearbox
500: control unit 600: vacuum driving unit
610: vacuum motor 620: vacuum suction unit
630: vacuum suction pipe 650: first solenoid valve
700: quick switch 900: suction drive unit
910: fixed suction motor 920: fixed suction unit
930: fixed suction pipe 940: second solenoid valve

Claims (18)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방음커버를 포함하는 블렌더에 있어서,
상기 방음커버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본체부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버는 제2 커버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결합되는 고정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흡입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일 때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제1 커버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 main body portion formed so that a container accommodating a processing target is seated therein; And a blender comprising a soundproof cover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The soundproof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the second cover may be combined with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ver;
The body part includes a fixed suction part to which the first cover is coupled in a closed state;
The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suction unit maintains the first cover in a fixed state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when the first cover is in a closed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커버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ver includes a pivoting portion formed to open or close the first cover,
The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drive unit for providing power to the first cover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open/closed state of the first cov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커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유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or unit,
A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cover and a fluid detected by the senso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커버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커버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3,
The sensor,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a closed state of the first cover; and
A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omprising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n open state of the first cov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로 회동시 상기 유동체가 상측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1 센서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1 커버의 폐쇄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커버가 개방상태로 회동시 상기 유동체가 하측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2 센서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1 커버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4,
The sensor unit,
When the first cover rotates in the closed state, the fluid rotates upward and presses the first sensor to detect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cover,
A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cover rotates in an open state, the fluid rotates downward and the open state of the first cover is sensed by pressing the second senso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용기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진공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기 내부를 감압시키는 진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흡입부가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ver includes a vacuum suction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The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art includes a vacuum motor for depressuriz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vacuum suction unit sucks in air inside the container and depressurizes it by using the vacuum moto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진공모터의 흡입력을 상기 진공흡입부에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진공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cover,
The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cuum suction pipe formed to transfer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to the vacuum suction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진공흡입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cover,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ckflow prevention member for blocking foreign substances flowing from the vacuum suction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용기 내부의 감압상태를 조절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2,
The rotating part,
A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olenoid valve for adjusting the reduced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테두리에 커버 패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킹은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ver further comprises a cover packing on the rim,
The cover packing is a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conta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흡입부의 흡착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blender equipped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olenoid valve for maintaining the adsorption state of the fixed suction uni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노말 오픈 타입의 밸브이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고정흡입부에 흡착된 경우에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류를 공급하여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13,
The second solenoid valve is a normally open type valve,
The main body unit is a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cover is adsorbed to the fixed suction unit,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second solenoid valve to close it.
내부에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방음커버를 포함하는 블렌더에 있어서,
상기 방음커버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본체부와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버는 제2 커버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에서 결합되는 고정흡입부와, 상기 고정흡입부가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을 흡착하도록 상기 고정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고정흡입모터 및 상기 고정흡입모터의 흡입력을 상기 고정흡입부에 전달하는 고정흡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흡입부는, 상기 제1 커버가 폐쇄상태일 때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제1 커버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 main body portion formed so that a container accommodating a processing target is seated therein; And a blender comprising a soundproof cover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The soundproof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and a second cover, the second cover may be combined with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and the first cover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ver;
The main body includes a fixed suction part to which the first cover is coupled in a closed state, a fixed suction motor that provides suction force to the fixed suction part so that the fixed suction part adsorb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and the fixed suction motor. It includes a fixed suction pipe that transmits a suction force to the fixed suction unit;
The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suction unit maintains the first cover in a fixed state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when the first cover is in a closed stat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제1 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커버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 내부의 감압상태를 조절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15,
The second cover includes a pivoting portion formed to open or close the first cover,
The rotating part,
a driving unit providing power to the first cover; and
A blender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olenoid valve for adjusting the reduced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는,
가공작동이 완료된 경우에 개방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감압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16,
The first solenoid valve,
A blender equipped with a soundproof c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ed when the process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to release the depressurized sta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흡입부의 흡착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가공작동이 완료된 경우에 개방되며, 상기 고정흡입부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감압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According to claim 17,
The body part,
And a second solenoid valve for maintaining the adsorption state of the fixed suction unit,
The second solenoid valve is opened when the process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xed suction part to release the depressurized state.

KR1020210189436A 2021-12-28 2021-12-28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KR102554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36A KR102554189B1 (en) 2021-12-28 2021-12-28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36A KR102554189B1 (en) 2021-12-28 2021-12-28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65A KR20230099965A (en) 2023-07-05
KR102554189B1 true KR102554189B1 (en) 2023-07-12

Family

ID=8715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36A KR102554189B1 (en) 2021-12-28 2021-12-28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18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304B1 (en)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civ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950B2 (en) * 1999-09-03 2005-08-03 Smc株式会社 Vacuum generation unit
KR100548815B1 (en) * 2003-08-06 2006-02-0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Structure Sensing for an Open Door at Kim-Chi Stor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304B1 (en)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c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65A (en)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3852B2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203736056U (en) Cooking machine
JP4235669B2 (en) Pressure cooker with a single control member for decompression and locking / unlocking
WO2017092063A1 (en) Cover for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KR102554189B1 (en)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KR20240064599A (en) Food processor
JP6210504B2 (en) Cooking device
KR102396546B1 (en) Blender hav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KR102566572B1 (en) A food processor
CN100525691C (en) Electrical household food processor with simplified control
CN106955035A (en) Rotary food processing device
JP6449387B2 (en) Cooking device
KR20170001180U (en) Cooking machinery which is controlled by magnetic material
CN116602543A (en) Upper cover and cooking utensil with same
JP2023094190A (en) Cooker
JP2003159180A (en) Motor cooker
TW200924685A (en) Electric food processor (I)
JP2003194243A (en) Four-way cock, compression/decompression system using it, and compression/decompression he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