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572B1 - A food processor - Google Patents
A food proc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6572B1 KR102566572B1 KR1020220170443A KR20220170443A KR102566572B1 KR 102566572 B1 KR102566572 B1 KR 102566572B1 KR 1020220170443 A KR1020220170443 A KR 1020220170443A KR 20220170443 A KR20220170443 A KR 20220170443A KR 102566572 B1 KR102566572 B1 KR 1025665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losure
- container
- processing
- operating
- closed 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의 분쇄, 가공, 조리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식품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roc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processor that performs processing such as grinding, processing, and cooking of food.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가공기가 존재한다. 식품 가공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A variety of food processors exist that perform grinding, blending, juice extraction, and the like on food. Food processors generally process food by using processing members (blades, screws, etc.) after putting food to be processed into a container.
식품 가공기는 가공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모터는 작동 중에 소음과 진동을 수반한다. 또한, 식품 가공기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가공부재와 음식물과의 충돌, 음식과 용기의 내벽 간의 충돌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된다.The food processor includes a motor for driving the processing member, and generally the motor accompanies noise and vibration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noise and vibration are generated due to a collision between a processing member and food or a collision between food and an inner wall of a container, which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food processor.
식품 가공기 중에는 블렌더가 작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인클로져를 구비한 블렌더가 존재한다.Among food processors, there are blenders equipped with an enclosure to block noise generated while the blender is operating.
본 발명은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인클로져를 구비한 식품 가공기에 있어서, 인클로져를 닫기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 한번의 조작으로 음식의 가공 및 인클로져의 개폐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식품 가공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rocessor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cessing food and opening and closing the enclosure with a single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to close the enclosure in a food processor equipped with an enclosure to reduce noise.
또한, 용기 내에서 가공부재를 이용해 음식물을 가공하는 식품 가공기에 있어서, 음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식품 가공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rocessor capable of more efficiently pulverizing food in a food processor that processes food using a processing member in a contain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포함되고 상기 음식물을 가공하는 가공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 용기가 입출되는 경로를 포함하도록 용기 안착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외주부 및 용기 안착부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외주부를 포함하는 상부면을 갖는 본체, 및 제2 외주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부 인클로져, 하부 인클로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외주부에 인접하여 용기를 외부로부터 격리하는 폐쇄위치와 제1 외주부로부터 이격하여 용기를 입출가능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부 인클로져, 및 상부 인클로져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인클로져 구동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and a container includ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ing a processing member for processing the food, and the container is seated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including a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surrounding a remai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ortion, and adjacent to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include a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nd a path through which the container enters and exits. An upper enclosure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enclosure and moves between a closed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isolate the container from the outside and an open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allow the container to be moved in and out, and and an enclosure including an enclosure driving unit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upper enclosure moves between a clos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본체는 인클로져 구동부 및 가공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제1 외주부에 형성되는 간편조작버튼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간편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인클로져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가공부재를 작동시킨다.The main body includes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enclosure driving unit and the processing member, and a simple operation button formed o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enclosure driving unit to move the upper enclosure to the closed position by operating the simple operation button, Operate the processing member.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할 경우, 인클로져의 개폐 및 가공부재의 작동을 함께 실시할 수 있는 간편조작버튼을 이용하여, 별도의 부가적인 조작 없이 한번의 조작만으로 음식물을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od can be conveniently processed with only one operation without additional operation by using a simple operation button capable of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the enclosure and operating the processing member.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제1 가공날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가공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od can be effectively pulverized by using the second processing blade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processing blad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 가공기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를 포함하는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가공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작장치를 포함하는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본체의 제어부와 주요 구성간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3의 간편조작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3의 간편조작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3의 간편조작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간편조작장치의 A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ood processor shown in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including a process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ing member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body including a simple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main components of the main body of Figure 5;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mple manipulation device of Figure 3;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mple manipulation device of FIG. 3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mple manipulation device of Figure 3;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 of the simple manipulation device of FIG. 3;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가공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food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is explained based on drawings in principle. In addition, the drawings may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exaggerate if necessary. Therefo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can be implemented by adding, changing or omitting various devices.
그리고, 특정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 '결합', '가압'된다 함은 해당 구성이 능동적으로 '연결', '결합', '가압'하는 것 이외에도, 수동적으로 또는 다른 구성의 작용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연결', '결합', '가압'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In addition, 'connecting', 'combining', or 'pressing' a specific component with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actively 'connected', 'coupled', or 'pressurized', but also passively or to the action of another componen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including 'connection', 'binding', and 'pressurization' by the reaction by the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기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food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기(1)를 도시한 사시도로, 각각 인클로져(20)가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 놓인 식품 가공기(1)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기(1)는 본체(10), 인클로져(20) 및 용기(30)를 포함한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3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용기(30)는 수용공간(31), 가공부재(32) 및 손잡이(33)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30)는 본체(10)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안착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수용공간(31)은 용기의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수용공간(31)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의 개구부를 밀폐하고 탈착이 가능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31)은 내부에는 음식물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부재(32)가 위치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재(3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가공부재(32)는 제1 가공날(321) 및 제2 가공날(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공날(322)은 제1 가공날(3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가공날(321)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가공부재(32)는 제1 샤프트(323) 및 제2 샤프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23)는 중심축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고, 제1 가공날(32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샤프트(324)는 제1 샤프트(323)의 외주부를 둘러싸고 중심축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고, 제2 가공날(322)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23)와 제2 샤프트(32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다른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가공부재(32)는 제1 결합기어(325) 및 제2 결합기어(3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기어(325)는 제1 샤프트(32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제1 샤프트(323)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결합기어(325)는 후술하는 본체(10)의 제1 회전축(105)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결합기어(325)와 제1 회전축(105)의 연결은, 제1 결합기어(325)의 외주부에 형성된 이와 제1 회전축(105)의 내주부에 형성된 이를 치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결합기어(326)는 제2 샤프트(324)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제2 샤프트(324)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결합기어(326)는 후술하는 본체(10)의 제2 회전축(106)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결합기어(326)와 제2 회전축(106)의 연결은, 제2 결합기어(326)의 내주부에 형성된 이와 제2 회전축(106)의 외주부에 형성된 이를 치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손잡이(33)는 용기(30)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33)를 이용해 용이하게 본체(10)에 안착시키고 다시 분리시킬 수 있다.The
도 5는 본체(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체(10)의 주요 구성간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본체는 모터(미도시), 조작패널(13), 제어부(15), 진공펌프(17), 용기 안착부(103) 및 간편조작버튼(1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제어부(15) 및 진공펌프(17)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조작패널(13)은 사용자를 향하는 본체(10)의 정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 안착부(103) 및 간편조작버튼(100)은 본체(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motor (not shown), an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안착부(103)는 본체(10)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용기 안착부(103)의 중앙에는, 제1 회전축(105) 및 제2 회전축(106)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06)은 제1 회전축(105)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105) 및 제2 회전축(106)은 각각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회전축(105) 및 제2 회전축(106)은 서로 다른 속도 및 다른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용기(30)가 용기 안착부(103)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105) 및 제2 회전축(106)은 각각 가공부재(32)의 제1 결합기어(325) 및 제2 결합기어(326)와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제1 회전축(105)의 내주면에 형성된 이는, 용기(30)를 향하는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모듈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기어(3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는, 본체(10)를 향하는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모듈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결합기어(325) 및 제1 회전축(105)의 이의 형상은, 제1 결합기어(325) 및 제1 회전축(105)이 어떠한 회전 위치에서 결합하더라도, 삼각형 형상의 끝단이 서로 슬라이딩 하여 올바른 치합 위치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The teeth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마찬가지로, 제2 회전축(106)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는, 용기(30)를 향하는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모듈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기어(326)의 내주면에 형성된 이는, 본체(10)를 향하는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모듈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결합기어(326) 및 제2 회전축(106)의 이의 형상은, 제2 결합기어(326) 및 제2 회전축(106)이 어떠한 회전 위치에서 결합하더라도, 삼각형 형상의 끝단이 서로 슬라이딩 하여 올바른 치합 위치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Similarly,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제1 회전축(105)은 모터의 주동축에 연결되고, 제2 회전축(106)은 종동축에 연결될 수 있으며, 주동축과 종동축 사이에는 유성기어가 연결되어 서로 다른 속도 및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주동축은 모터와 연결되는 선기어와 연결될 수 있으며, 종동축은 선기어와 복수개의 유성기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링기어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공날(321)과 제2 가공날(322)의 회전 속도의 비는 주동축과 종동축 사이에 결합되는 유성기어의 설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제1 가공날(321)과 제2 가공날(322)은, 제1 회전축(105)과 제2 회전축(106)에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공날(322)은 제1 가공날(321)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고, 제1 가공날(321)의 회전속도보다 더 느리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가공날(321) 하부에서 제2 가공날(322)이 반대방향으로 저속 회전함에 따라, 수용공간 내에서 제1 가공날(321) 하부로 내려오는 음식물이 다시 제2 가공날(322)에 의해 분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공날(321) 및 제2 가공날(322)의 회전속도비로는 3.3:1을 가질 수 있다.The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상부면은 제1 외주부(101) 및 제2 외주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주부(101) 및 제2 외주부(102)는, 용기 안착부(103)를 함께 둘러싸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upper surface of the
제1 외주부(101)는 용기 안착부(103)에서 본체(10)의 정면을 향하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주부(101)는 후술하는 인클로져(20)의 개방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으로, 용기(30)를 용기 안착부(103)로부터 꺼내고 다시 안착시킬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The first outer
제2 외주부(102)는 용기 안착부(103)에서 본체(10)의 후면을 향하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용기 안착부(103)에는 후술하는 하부 인클로져(21)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outer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인클로져(2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10)의 상부면은 인클로져(20)와 함께 용기(30)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식품 가공기(1)의 작동 과정에서 용기(30)내의 가공부재(32)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다시 참조하여, 인클로져(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클로져(20)는 하부 인클로져(21), 상부 인클로져(22) 및 인클로져 구동부(23)를 포함한다. 하부 인클로져(21) 및 상부 인클로져(22)는 함께 폐쇄위치에서 용기(30)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된다.Referring agai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 the
하부 인클로져(21)는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져(21)는 제2 외주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인클로져(21)는 제2 외주부(10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용기(30)의 측면 및 후면을 감쌀 수 있다.The
상부 인클로져(22)는 하부 인클로져(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 인클로져(21)에 대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폐쇄위치에서 상부 인클로져(22)는 제1 외주부(101)에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폐쇄위치에서는 상부 인클로져(22)는 하부 인클로져(21)와 함께 용기(30)를 완전히 둘러싸서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도 2 참조).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기(30)는 외부로부터 격리되므로 용기(30) 내부에서 가공부재(32)의 작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개방위치에서 상부 인클로져(22)는 제1 외주부(101)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개방위치에서는 하부 인클로져(21)만이 용기(30)를 둘러싸며, 상부 인클로져(22)와 제1 외주부(10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용기(30)가 입출될 수 있다(도 1 참조).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인클로져(21)와 상부 인클로져(22)의 결합축은 용기(30)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져(22)는 폐쇄위치에서 용기(30)의 측면 및 정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 및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하부 인클로져(21)와 함께 용기(30)를 완전히 둘러싸서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coupling shafts of the
인클로져 구동부(23)는 상부 인클로져(22)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인클로져 구동부(23)는 하부 인클로져(21)와 상부 인클로져(22)의 결합축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인클로져(22)가 결합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인클로져 구동부(23)는 상부 인클로져(22)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체(10)의 간편조작버튼(100), 조작패널(13), 제어부(15) 및 진공펌프(17)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도 5에 도시된 본체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간편조작버튼(100)은 본체(10)의 상부면의 제1 외주부(101)에 형성될 수 있다. 간편조작버튼(100)은 인클로져(20)의 개방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손쉽게 작동 가능하며, 인클로져(20)의 폐쇄상태에서는 인클로져(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실수로 버튼이 눌려 작동이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one embodiment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5 , the
간편조작버튼(100)은 용기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33)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30)를 용기 안착부(103)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33)의 방해를 받지 않고 간편조작버튼(10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간편조작버튼(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제어부(15)는 용기(30) 내부의 가공부재(32) 및 인클로져(20)의 인클로져 구동부(2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간편조작버튼(100)을 통해 가공부재(32)와 인클로져 구동부(23)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The
일 실시예로,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인클로져 구동부(23)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22)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고,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에 위치한 후 가공부재(32)를 작동시켜 음식물의 가공을 실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인클로져 구동부(23)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22)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면서, 가공부재(32)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로 완전히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공부재(32)를 저속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에 위치하여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가공부재(32)의 작동속도로 높여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종래의 인클로져를 구비한 식품 가공기의 경우, 인클로져를 수동으로 폐쇄하거나, 별도의 조작부를 이용해 폐쇄할 수 있으며, 인클로져를 폐쇄위치에 놓은 이후 다시 가공부재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가공기(1)의 경우 간편조작버튼(100)을 이용하여 일련의 동작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food processor having a conventional enclosure, the enclosure can be manually closed or closed using a separate control unit, and there is a hassle in that the processing member must be operated again after the enclosure is placed in the closed posi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식품 가공기(1)는 복수의 가공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복수의 가공모드는 조리하는 음식물의 목적에 따라 가공부재(32)의 작동 속도 또는 작동 시간 등을 다르게 설정하여 정해질 수 있다.The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가공모드 중 미리 설정된 하나의 가공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실행하는 가공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해둘 경우, 매번 가공부재(32)의 작동 속도 또는 작동 시간을 별도로 새롭게 설정할 필요 없이, 간편조작버튼(100)을 한번 조작하여 원하는 가공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The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5)가 직전에 실행되었던 가공모드를 다시 반복하여 실행하는 재다이얼모드를 따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이 많은 음식물을 여러 차례에 나누어서 가공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동일한 가공을 반복하여 연달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재다이얼모드를 설정해두면 간편조작버튼(100)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작이 반복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15)는, 상부 인클로져(22)가 다시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인클로져 구동부(23)를 작동시켜 가공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부 인클로져(22)를 다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일 실시예로, 제어부(15)는, 용기 내에서 가공부재(32)의 작동이 종료되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상부 인클로져(22)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인클로져 구동부(23)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15)는, 용기 내에서 가공부재(32)의 작동이 종료되기 이전에, 구체적으로는 가공부재(32)의 작동 종료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전에, 상부 인클로져(22)가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인클로져 구동부(2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져(22)를 미리 이동시키는 소정의 시간은, 상부 인클로져(22)가 개방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5초 이내의 시간일 수 있다. 가공부재(32)의 작동에 있어서, 가공이 마무리되어가는 시점에서는 음식물의 분쇄가 상당부분 이루어져서 음식물과 가공부재(32)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가공이 마무리되어가는 시점에서 가공부재(32)의 작동속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가공부재(32)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종료 직전의 시점에 미리 상부 인클로져(22)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조작패널(13)은 간편조작버튼(10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작패널(13)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정면에 형성될 수 있다. 조작패널(13)은,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간편조작버튼(100)과 별개로, 본체(10)는 정면에 가공부재(32)의 회전 속도, 작동 시간 및 인클로져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다.The
간편조작버튼(100)과 조작패널(13)은, 간편조작버튼(100)을 통한 조작은 한번의 조작만으로 일련의 가공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조작패널(13)은 가공모드의 세부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인클로져(20)의 폐쇄위치에서도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구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사용자는 조작패널(13)을 이용해 가공을 멈추거나 가공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The
진공펌프(17)는 용기(30)의 수용공간(31)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진공펌프(17)는 수용공간(31)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수용공간(31)을 진공 상태로 만들어서 가공을 수행할 경우, 가공 과정에서 음식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진공펌프(17)는 제1 배기유로 및 제2 배기유로를 통해 수용공간(3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기유로는 용기(30)는 상단의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배기유로는 폐쇄위치에서 제1 배기유로와 연통하도록 상부 인클로져(22)와 하부 인클로져(21)에 형성될 수 있고, 진공펌프(17)는 제2 배기유로와 연통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용기(30)의 수용공간(31)과 진공펌프(17)가 상호 연통할 수 있다면 연결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The
진공펌프(17)는 제어부(1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진공펌프(17)를 작동시켜 용기(30)의 수용공간(31)이 진공 상태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사용자가 간편조작버튼(100)을 조작하면, 제어부(15)는 인클로져 구동부(23)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고,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에 위치한 후 진공펍프(17) 및 가동부재(32)를 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일 실시예로,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에 위치한 후, 진공펌프(17)를 작동시켜 용기(30)의 수용공간(31)이 진공 상태가 되면 가공부재(3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진공 상태가 완전히 만들어진 후 음식물의 가공을 수행하므로, 가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음식물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에 위치한 후, 진공펌프(17)를 작동시키면서 가공부재(32)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31) 내의 진공 상태 형성과 음식물의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가공 공정의 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15)는 간편조작버튼(100)의 조작에 의해 상부 인클로져(22)가 폐쇄위치에 위치한 후, 진공펌프(17)를 작동시키면서 가공부재(32)를 먼저 저속으로 작동 개시하고, 진공펌프(17)에 의해 수용공간(31)이 진공 상태가 된 이후, 가공부재(32)의 작동 속도를 높여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작버튼(100)의 분해사시도, 도 9는 간편조작버튼(100)이 결합된 사시도, 도 10은 간편조작버튼(1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간편조작버튼(100)의 구성 및 본체(10)에 대한 결합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7 and 8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본체(10)는 상부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1)는 본체(10)를 이루는 프레임의 일부로 형성되며, 본체(10)를 이루는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여 본체(1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The
플레이트(11)에는 간편조작버튼(100)이 결합되는 결합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0)은 플레이트(11)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바닥에 제1 지지면(112)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111), 및 제1 지지면(112)으로부터 함몰되어 바닥에 제2 지지면(117)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1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수용공간(111)은 원의 형상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홈일 수 있고, 제2 수용공간(116)은 제1 수용공간(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수용공간(111) 보다 직경이 작은 동심원의 형상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홈일 수 있다.A
간편조작버튼(100)은 스위치회로(120), 제1 방수부재(130), 가압부재(140), 코일스프링(150) 및 조작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회로(120), 제1 방수부재(14) 및 가압부재(140)는 플레이트(11)의 결합홈(110)에 수용된다. The
스위치회로(120)는 상부로부터 전달된 외력에 의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15)로 전달한다. 스위치회로(120)는 외력에 의해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The
스위치회로(120)는 결합홈(110)의 제2 수용공간(116)에 수용되어 제2 지지면(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111)과 별도로 형성된 제2 수용공간(116)에 스위치회로(120)를 수용함으로써, 스위치회로(120)와 플레이트(11)간의 결합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스위치회로(120)는 제2 수용공간(116)의 내측면에 형성된 배선구멍을 지나가는 배선을 통해 본체 내부의 제어부로 연결될 수 있다. 배선구멍을 제2 지지면(117)이 아닌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배선과 스위치회로(120)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제1 방수부재(130)는 조작부재(160)와 함께 조작부를 이룬다. 조작부는 외부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외력을 하부로 전달하여 스위치회로(120)로 입력시키고, 외부에서 본체 내부 또는 스위치회로(12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제1 방수부재(130)는 제1 수용공간(111)에 수용되어 스위치회로(120)의 상부면 및 스위치회로(120)를 둘러싸는 제1 지지면(11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변형부(131) 및 방수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변형부(131)는, 제1 방수부재(13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조작부재(160)와 스위치회로(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변형부(131)는 상부에 위치한 조작부재(160)가 하방으로 전달한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을 통해 외력을 하방의 스위치회로(120)로 전달한다. 조작부재(160)로부터 외력의 입력이 해제되면, 변형부(131)는 다시 상방으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에 의해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변형 가능한 탄성을 갖는 볼록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131)를 탄성을 가지는 볼록부로 형성함으로써, 외력의 작용 및 해제에 대응하여 빠르게 변형부(131)를 변형 및 복귀시킬 수 있다. 변형부(131)의 형상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The
방수부(132)는 변형부(131)를 둘러싸고 제1 지지면(112)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방수부(132)는 제1 지지면(112)과 스위치회로(12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덮을 수 있도록, 변형부(131)로부터 제1 수용공간(111)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제1 방수부재(130)는, 스위치회로(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스위치회로(12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작부재(160)의 하부에 위치하여 조작부재(160)로부터 입력되는 외력을 스위치회로(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방수부재(130)의 형상 및 재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일체의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조작부재(160)는 조작면(161)과 외력전달부재(163)를 포함한다. 조작면(161)은 조작부재(160)의 상부에 형성되며, 본체(10)의 상부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외력을 입력할 수 있다. 조작부재(160)는 관통부재(141)의 상단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작면(161)에 외력이 입력되면 하부로 움직이고, 외력이 해제되면 상부로 다시 움직일 수 있다.The operating
외력전달부재(163)는 조작면(161)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외력전달부재(163)는 제1 방수부재(130)의 변형부(131)를 이루는 볼록부의 중앙 부분과 접촉하여, 변형부(131)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조작부가 복수의 구성(조작부재(160) 및 제1 탄성부재(130))으로 이루어졌으나, 조작부의 형상은 외력을 스위치회로(120)로 전달하고 스위치회로(120)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단일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작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부터 스위치회로(120)와 접촉하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made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가압부재(140)는 제1 수용공간(111) 내에 제1 방수부재(130) 상부에 위치하도록 수용되며, 제1 지지면(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압부재(140)는 관통부재(141)와 가압플레이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관통부재(141)는 내부에 관통홈(143)이 형성되도록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되는 튜브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재(141)의 상단에는 조작부재(16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하단은 제1 방수부재(130)와 접촉할 수 있다. 관통홈(143)의 내부에서는, 외력전달부재(163)가 관통되어 변형부(131)와 접촉할 수 있다.The penetrating
관통부재(141)의 외주는 조작면(161)의 외주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방수부재(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enetrating
가압플레이트(142)는 관통부재(141)의 하단으로부터 제1 수용공간(111)의 내측면까지 반경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142)는 제1 지지면(112)에 제1 방수부재(130)의 방수부(132)를 가압하며 제1 지지면(112)과 결합한다. 가압플레이트(142)가 방수부(132)를 가압함으로써, 제1 지지면(112)과 스위치회로(120) 사이의 간극이 방수부(132)에 의해 밀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스위치회로(120) 또는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가압플레이트(142)는 결합홈(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면이 플레이트(11)의 상부면과 일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방수부재(17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외부에서 미관을 해치는 불필요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가압부재(140)의 형상은 제1 방수부재(130)의 적어도 일부를 결합홈(110) 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The shape of the
코일스프링(150)은 제1 방수부재(130)와 조작부재(160) 사이에 위치하여, 조작부재(160)에 입력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150)은 조작부재(160)를 누르는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또한 외력이 해제된 후 조작부재(160)가 다시 원위치로 용이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조작부재(160) 상부로 탄성력을 가압할 수 있다.The
본체(10)는 플레이트(11) 및 가압플레이트(14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방수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수부재(170)는, 플레이트(11)와 가압플레이트(142)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 또는 간극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결합홈(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로 방지해줄 수 있다.The
제2 방수부재(170)는 방수턱(171)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턱(171)은 가압플레이트(142)로부터 관통부재(141)의 외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수턱(171)은 본체(10)의 상부면을 타고 흐를 수 있는 액체 이물질이 결합홈(110)으로 흘러 들어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턱(171)은 제2 방수부재(170)는 조작부재(16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작면(161)의 하방 최대 이격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작버튼(100)은, 조작부재(160), 제1 방수부재(130) 및 스위치회로(120)와 같이 하방으로 외력이 입력되는 부재들이, 본체(10) 자체의 프레임의 일부를 이루는 플레이트(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여 간편조작버튼을 노출시키고, 본체 내부에서 별도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간편조작버튼을 지지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간편조작버튼(100)이 보다 큰 하중을 견디고, 빈번하게 입력되는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동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간편조작버튼의 배선 연결부가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조작버튼(100)은, 가압플레이트(142)를 적용하여 제1 방수부재(130)가 스위치회로(120)의 근처에 형성된 간극을 효과적으로 밀봉하도록 하는 동시에, 스위치회로(120)가 작동 중 들뜨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간편조작버튼(100)에 대해, 플레이트(11)와 가압플레이트(14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방수부재(130)와, 플레이트(11)와 가압플레이트(142)를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제2 방수부재(170)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스위치회로(120) 또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의 식품 가공기에 대해 몇몇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밝혀둔다.Above, the food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reveal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put
1: 식품 가공기 10: 본체
20: 인클로져 30: 용기
100: 간편조작버튼 110: 결합홈
120: 스위치회로 130: 제1 탄성부재
140: 가압부 150: 코일스프링
160: 조작부재 170: 제2 방수부재1: food processor 10: main body
20: enclosure 30: vessel
100: simple operation button 110: coupling home
120: switch circuit 130: first elastic member
140: pressing part 150: coil spring
160: operation member 170: second waterproof member
Claims (19)
상기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가 입출되는 경로를 포함하도록 상기 용기 안착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외주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외주부를 포함하는 상부면을 갖는 본체; 및
상기 제2 외주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부 인클로져,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외주부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를 외부로부터 격리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제1 외주부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용기를 입출가능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인클로져 구동부를 포함하는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인클로져 구동부 및 상기 가공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외주부에 형성되는 간편조작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가공부재를 작동시키되, 상기 가공부재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가공모드 중 미리 설정된 하나의 가공모드 또는 직전에 실행되었던 가공모드에 따라 상기 가공부재를 작동시키는, 식품 가공기.A container includ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and a processing member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processing the food;
An upper surface including a container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ontainer is seated, a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ortion to include a path through which the container is placed, and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surrounding a remai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seating portion. main body; and
A lower enclosure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enclosure, and adjacent to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isolate the container from the outside and a clos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enter and exit the container. An enclosure including an upper enclosure that moves between possible open positions, and an enclosure drive unit that transmit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upper enclosure moves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enclosure driving unit and the processing member, and a simple operation button formed on the first outer circumferenc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enclosure drive unit to move the upper enclosure to the closed position by manipulation of the simple operation button, and operates the processing member, but presets among a plurality of processing modes executable by the processing member. A food processor that operates the processing member according to one processing mode or a processing mode that was executed immediately before.
상기 용기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간편조작버튼은 상기 제1 외주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includes a handle protruding from the side,
The simple operation button is formed so as not to be locat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handle in the first outer circumference, food proces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위치함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부재를 작동시키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processing member based on the positioning of the enclosure in the closed position by manipulation of the simple operation butt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가공부재의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위치함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부재의 작동 속도를 높이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nitiat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member while the enclosure is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by manipulation of the simple manipulation button;
A food processor that increases an operating speed of the processing member based on the enclosure being positioned in the closed posi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부재의 작동이 종료됨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enclosure driving unit to move the upper enclosure to the open position based on the end of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memb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부재의 작동이 종료되기 이전에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enclosure driving unit to move the upper enclosure to the open position before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member ends.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위치함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의 수용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도록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수용공간이 진공 상태가 됨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부재를 작동시키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vacuum pump that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operate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in a vacuum stat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enclosure drive unit to move the upper enclosure to the closed position by manipulating the simple manipulation button, and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is in a vacuum state based on the enclosure being positioned at the closed position. Operating the vacuum pump as much as possible, and operating the processing member based on the receiving space being in a vacuum state, the food processor.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위치함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의 수용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도록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가공부재를 작동시키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vacuum pump that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operate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in a vacuum stat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enclosure drive unit to move the upper enclosure to the closed position by manipulating the simple manipulation button, and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is in a vacuum state based on the enclosure being positioned at the closed position. A food processor that operates the processing member while operating the vacuum pump as much as possible.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진공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인클로져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위치로 위치함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의 수용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도록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가공부재의 작동을 개시하고, 상기 수용공간이 진공 상태가 됨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부재의 작동 속도를 높이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vacuum pump that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operates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in a vacuum stat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enclosure drive unit to move the upper enclosure to the closed position by manipulating the simple manipulation button, and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is in a vacuum state based on the enclosure being positioned at the closed position.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member while operating the vacuum pump as much as possible, and increasing the operating speed of the processing member based on the receiving space being in a vacuum state.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간편조작버튼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편조작버튼은,
외력에 의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회로,
외부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외력을 상기 스위치회로에 전달하고 상기 스위치회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결합홈 내에 밀착시키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plate forming the upper surface,
The plate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simple operation button is coupled,
The simple operation button,
A switch circuit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by an external force;
An operation unit formed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input by an external operation to the switch circuit and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witch circuit; and
A food processor comprising a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plate so as to b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ration un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groove.
상기 조작부는,
외력이 입력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면이 상부에 형성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스위치회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재로부터 입력 받은 외력을 상기 스위치회로로 전달하고, 상기 스위치회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rol unit,
An operating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n external force is input, and
A food processor comprising a first waterproof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switch circuit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input from the operating member to the switch circuit an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witch circuit.
상기 결합홈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어 바닥에 제1 지지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지지면의 일부로부터 함몰되어 바닥에 제2 지지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회로는 상기 제2 지지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방수부재는 상기 스위치회로 및 상기 제1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방수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지지면을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1 방수부재 상부에 수용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2,
The coupling groove is a first accommodation space formed to have a first support surface on the bottom by being depr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formed to have a second support surface on the floor by being depressed from a part of the first support surface. including accommodation space;
The switch circuit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surface,
The first waterproof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witch circuit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accommodated above the first waterproof member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to press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waterproof member toward the first support surface.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조작부재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수부재와 접촉하는 하단까지 연장되고, 관통홈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 내부에서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제1 방수부재가 접촉하는 관통부재, 및
상기 관통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반경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수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지지면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3,
The pressing member,
A penetrating member extending from an upper end to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movably coupled to a lower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waterproof member, and having a through groove formed therein to contact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first waterproof member in the through groove. , and
A food processor comprising a pressure plate extending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from a lower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and pres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waterproof member toward the first support surface.
상기 제1 방수부재는 변형부 및 방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스위치회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부재가 하방으로 전달한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변형되어 상기 스위치회로에 외력을 전달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상방으로 복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수부는, 상기 변형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 지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4,
The first waterproof member includes a deformable part and a waterproof part,
The transform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switch circuit, is deform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downward by the operating member, transmits an external force to the switch circuit, and returns upwar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
Wherein the waterproof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deformable portion and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surface.
상기 변형부는 외력에 의해 중앙이 오목하게 변형 가능한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조작면의 하부로부터 상기 볼록부의 중앙까지 연장되어 상기 변형부에 외력을 전달하는 외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5,
The deformable portion includes a convex portion capable of being deformed into a concave center by an external force,
The operating member includes an external force transmitt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surface to the center of the convex portion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deformable portion.
상기 본체는,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를 포함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4,
The main body includes a second waterproof memb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so as to include a boundary between the plate and the pressure plate.
상기 조작면은 상기 관통부재의 외주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수부재는 상기 가압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관통부재의 외측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7,
The operating surface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enetrating member,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extends up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member from the pressure plate, food processor.
상기 간편조작버튼은, 상기 제1 방수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상기 조작부재에 입력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According to claim 12,
The simple operation button includes a coil spring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input to the operation member between the first waterproof member and the operation member, the food processo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0443A KR102566572B1 (en) | 2022-12-08 | 2022-12-08 | A food processor |
PCT/KR2023/018886 WO2024122942A1 (en) | 2022-12-08 | 2023-11-22 | Food proces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0443A KR102566572B1 (en) | 2022-12-08 | 2022-12-08 | A food process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6572B1 true KR102566572B1 (en) | 2023-08-16 |
Family
ID=8784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0443A KR102566572B1 (en) | 2022-12-08 | 2022-12-08 | A food process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6572B1 (en) |
WO (1) | WO2024122942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22942A1 (en) * | 2022-12-08 | 2024-06-13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Food processo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9120Y1 (en) * | 1994-11-16 | 1998-08-17 | 구자홍 | Casing of a washing machine |
KR20190112716A (en) | 2017-02-07 | 2019-10-07 |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 Confidential package |
KR20210031143A (en) * | 2019-09-11 | 2021-03-19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Food processor |
KR20210041318A (en) * | 2019-10-07 | 2021-04-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ender |
KR20220053442A (en) * | 2020-10-22 | 2022-04-29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Blender hav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6572B1 (en) * | 2022-12-08 | 2023-08-16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A food processor |
-
2022
- 2022-12-08 KR KR1020220170443A patent/KR10256657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11-22 WO PCT/KR2023/018886 patent/WO2024122942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9120Y1 (en) * | 1994-11-16 | 1998-08-17 | 구자홍 | Casing of a washing machine |
KR20190112716A (en) | 2017-02-07 | 2019-10-07 |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 Confidential package |
KR20210031143A (en) * | 2019-09-11 | 2021-03-19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Food processor |
KR20210041318A (en) * | 2019-10-07 | 2021-04-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lender |
KR20220053442A (en) * | 2020-10-22 | 2022-04-29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Blender having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ov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22942A1 (en) * | 2022-12-08 | 2024-06-13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Food proc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22942A1 (en) | 2024-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66572B1 (en) | A food processor | |
EP3005918B1 (en) | Hand-held blender | |
EP1853146B1 (en) | Mixing machine | |
JP2019535432A (en) | Blender connection mechanism | |
US9808779B2 (en) | Hand-held blender | |
US20010040838A1 (en) | Domestic kitchen appliance with transmission unit | |
KR20240064599A (en) | Food processor | |
CN212996114U (en) | Household cooking appliance system and removable accessory assembly and accessory rack for same | |
CN209733737U (en) | Food processor | |
CN209391795U (en) | Speed change gear, cup and cooking machine knead dough | |
CN209733756U (en) | Cup of kneading dough and cooking machine | |
CN219742526U (en) | Main machine and cooking machine | |
CN214017257U (en) | Cooking cup assembly and cooking machine | |
CN100525691C (en) | Electrical household food processor with simplified control | |
CN215272156U (en) | Food processor | |
CN212089307U (en) | Kitchen food processor | |
CN208808283U (en) | Food processor accessory and food processor | |
CN218105619U (en) | Stirring transmission assembly and cooking machine | |
CN215650461U (en) | Cooking utensil | |
CN215686633U (en) | Cooking utensil | |
CN215272160U (en) | Stirring subassembly, cooking cup and cooking machine | |
KR20230099965A (en) | Vacuum Blender With Soundproof Cover | |
CN116602543A (en) | Upper cover and cooking utensil with same | |
CN117617784A (en) | Chef machine | |
CN210697348U (en) | Cup seat assembly, cup body assembly and food proc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