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174B1 - Tape attach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Tape attach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174B1
KR102554174B1 KR1020210046251A KR20210046251A KR102554174B1 KR 102554174 B1 KR102554174 B1 KR 102554174B1 KR 1020210046251 A KR1020210046251 A KR 1020210046251A KR 20210046251 A KR20210046251 A KR 20210046251A KR 102554174 B1 KR102554174 B1 KR 10255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arget object
pressing
b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0135A (en
Inventor
김찬호
장장원
최지욱
정종철
정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열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열성
Priority to KR102021004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174B1/en
Publication of KR2022014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테이프 절곡시켜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장치로서,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1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부착유닛; 및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2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부에 이미 부착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에 부착하는 제2부착유닛;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ape attaching device for bending and attaching a tape to a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 thin plate. ; and a second attachment unit that bends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target object and attaches it to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already attached to the upper corner of the target object.

Description

테이프 부착장치{TAPE ATTACHMENT APPARATUS}Tape attachment device {TAPE ATTACH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박판의 단부에 보호용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테이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appl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pe application device configured to attach a protective tape to an end portion of a thin plate.

일반적으로 테이프 부착장치는 롤에서 공급되는 테이프 원단에서 테이프를 박리한 후 대상 물체의 표면에 테이프를 부착하고, 가압판 또는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부착부위를 누르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a tape attachment devic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ape is peeled off from a tape fabric supplied from a roll, the tap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n object, and the attachment portion is pressed using a pressure plate or a pressure roller.

또한, 테이프 부착장치는 대상 물체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테이프를 부착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tape attaching device has a configuration for attaching the tape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arget object.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부착장치는, 단순히 대상 물체의 표면에 테이프를 면 접촉시킨 후 누르는 구성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를 대상 물체의 테두리부에 둘러서 부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ape attaching device is limit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ape is simp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n pres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ape cannot be attached around the rim of the object.

대상 물체에 따라서는 테이프를 대상 물체에 둘러서 부착할 필요성이 있다. 예컨대, 대상 물체가 판형 형태의 이차전지인 경우에는 그 단부 테두리부에 보호용 절연 테이프를 둘러서 부착할 필요성이 있다.Depending on the target object, it is necessary to wrap the tape around the target object and attach it. For example, when the target object is a plate-shaped secondary battery, it is necessary to surround and attach a protective insulating tape to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왜냐하면,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판형 형태의 이차전지의 경우에는, 그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이차전지에 형성된 전극탭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의 단부에 절연성 테이프를 둘러서 부착할 필요성이 있다.Because, in the case of the recently developed plate-shaped secondary battery, its thickness is very thin, so it is necessary to wrap and attach an insulating tape to the end of the secondary battery in order to protect the electrode tab portion formed on the secondary battery.

특히, 이차전지와 같은 대상 물체의 경우에는 전극탭이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위에만 보호용 절연 테이프를 둘러서 붙일 필요성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arget object such as a secondary battery, it is necessary to wrap and attach a protective insulating tape only to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ab is formed.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부착장치로는 테이프를 절곡시킨 후 가압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이차전지와 같은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테이프를 둘러 부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ape attachment device lacks a configuration for bending and then pressing the ta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ape cannot be wrapped around and attached to a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 thin plate such as a secondary battery.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6492호의 "2차전지 젤리롤용 테이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이프 부착방법"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related prior art literatu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26492 "A device for attaching a tape for a secondary battery jelly roll and a tape using the same" attachment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판 형태를 가지는 대상 물체의 단부를 테이핑하는데 있어서 그 일부 부위는 테이프를 절곡시켜 이중 테이핑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테이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pe attachment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double taping by bending the tape at a part of the end of a target object having a thin plate shape.

본 발명은,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테이프 절곡시켜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장치로서,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1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부착유닛; 및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2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부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ape attaching device for bending and attaching a tape to a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 thin plate. ; and a second attachment unit that bends a second portion of the tap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target object and attaches it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또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는 상기 대상 물체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는 상기 대상 물체의 길이방향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arget objec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target obj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부착유닛은,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공간이 마련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안착공간에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1절곡블럭; 및 상기 제1절곡블럭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ttachment unit may include a first body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space in which the target object may be seated; a first bending bloc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bending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in a vertical direction by pressing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when the target object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and a first pressing unit pressurizing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bent by the first bending block and attaching i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또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바디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블럭; 및 상기 제1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절곡블럭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essing unit, a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t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 first movable block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a first pressing roller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block and pressurizing a first portion of the tape bent by the first bending block to attach it to the edge of the target object.

또한, 상기 제1절곡블럭은, 상기 제1가압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1가압롤러에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ending block may be lowered by being pressed by the first pressing roller when the first pressing roller is moved to press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2부착유닛은,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될 수 있는 제2안착공간이 마련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안착공간에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2절곡블럭; 및 상기 제2절곡블럭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ttachment unit may include a second body provided with a second seating space in which the target object may be seated; a second bending bloc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and bend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in a vertical direction by press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when the target object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and a second pressing unit pressuriz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bent by the second bending block and attaching i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또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블럭; 및 상기 제2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절곡블럭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2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unit may include a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t one side of the second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movable block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a second pressure roller rotatably provided on the second moving block and pressurizing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bent by the second bending block to attach it to the edge of the target object.

또한, 상기 제2절곡블럭은, 상기 제2가압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2가압롤러에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bending block may be lowered by being pressed by the second pressing roller when the second pressing roller is moved to press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는, 테이프의 다양한 부위를 절곡시킨 후 박판의 테두리에 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이자천지의 길이방향 단부측에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tap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capable of attaching to the edge of a thin plate after bending various parts of the tape, it is easy to attach the insulating tape to the longitudinal end side of the cloth. and can be done quick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는, 판형의 대상 물체가 이차전지인 경우에, 이차전지의 전극탭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부에 절연 테이프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ate-shaped object is a secondary battery, the tap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ttach the insulating tape to the remaining edges of the secondary battery except for the electrode tab.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의 부위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대상 물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테이프가 기설정된 대상 물체의 부착 부위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ap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target object from being shaken in the process of pressurizing the portion of the tap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ape is accurately attached to the predetermined attachment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can be attach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의 제1부착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부착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착유닛의 제1가압부와 제1절곡블럭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절곡불럭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테이프 부착장치의 제2부착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부착유닛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착유닛의 제2가압부와 제2절곡블럭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절곡블럭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착유닛과 제2부착유닛에 의하여 테이프의 제1부위 및 제2위가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부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attachment unit of a tap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first attachment unit shown in FIG. 1;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first pressing part and a first bending block of a first attach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bend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attachment unit of a tap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attachment unit shown in FIG. 5;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econd pressing part and a second bending block of a second attach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bend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how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of a tape are attached to a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 thin plate by a first and second attachment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tap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10)에 테이프(20)를 절곡시켜 부착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특히, 대상 물체(10)의 테두리부에 테이프(20)를 중첩되게 부착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tape atta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device that bends and attaches the tape 20 to the target object 10 in the form of a thin plate. In particular, it can be referred to as a device for attaching the tape 20 overlapping the edge of the target object 10 .

상기 테이프 부착장치(1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물체(10)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부착유닛(200); 및 상기 대상 물체(10)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10)의 윗면부 모서리부에 이미 부착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에 부착하는 제2부착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5 , the tape attaching device 100 bends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target object 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rget object 10. A first attachment unit 200 attached to the minor edge; and bending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target object 10 so as to bend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20 already attach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object 10. A second attachment unit 300 attached to (21); may be included.

제1부착유닛(200)과 제2부착유닛(3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흡착 유닛으로부터 이송 되오는 대상 물체(10)를 전달받을 수 있다.The first attachment unit 200 and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receive a target object 10 transported from an adsorption unit (not shown).

먼저, 상기 제1부착유닛(200)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도 9에 도시된 화살표 Y방향) 일단 저면측에 부착된 테이프(20)의 전체 부위 중에서 대상 물체(10)의 폭방향(도 9에 도시된 화살표 X방향) 단부측으로 노출된 제1부위(21)를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 윗면측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제1부차유닛(200)은 대상 물체(10)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킨 후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 윗면측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first attachment unit 200, as shown in (b) of FIG. 9, is a tape ( 20), the first portion 21 exposed toward the end side of the target object 10 in the width direction (arrow X direction shown in FIG. there is. That is, the first secondary unit 200 bends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bject 1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bends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objec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serves to attach to the side.

제1부착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물체(10)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공간(210a)이 마련된 제1바디(210); 상기 제1바디(2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안착공간(210a)에 상기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1절곡블럭(220); 및 상기 제1절곡블럭(220)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10)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1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first attachment unit 200 includes a first body 210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space 210a in which the target object 10 can be seate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210, and when the target object 1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10a,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is pressed and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bending block 220; and a first pressing unit 230 pressurizing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bent by the first bending block 220 and attaching i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10. can do.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는 도면이 복잡하게 도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 물체(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For reference, in FIGS. 1 to 4, the illustration of the target object 10 is omitted in order not to complicate the drawings.

상기 제1바디(210)에 형성된 제1안착공간(210a)은, 대상 물체(10)의 평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seating space 210a formed in the first body 2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target object 10 .

도 9의 (b)에 도시된 상태의 대상 물체(10)는 도시되지 않은 흡착 유닛으로부터 이송되어 제1안착공간(210a)에 놓일 수 있다.The target object 10 in the state shown in (b) of FIG. 9 may be transferred from an adsorption unit (not shown) and plac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10a.

제1안착공간(210a)에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대상 물체(10)의 폭방향 양측으로 노출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는 제1절곡블럭(220)의 윗면에 가압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20)의 제1부위(21)는 대상 물체(10)가 제1안착공간(210a)에 삽입되면 제1절곡블럭(220)에 가압을 받아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절곡될 수 있다.When the target object 1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10a,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ex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rget object 1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ending block 220. It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under pressure. That is, as shown in (c) of FIG. 9,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is bent to the first bending block 220 when the target object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space 210a. It can be bent from a horizontal state to a vertical state by receiving pressure.

상기 제1가압부(230)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절곡된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단부측 윗면 모서리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C) of FIG. 9 , the first pressing part 230 presses the first part 21 bent in a vertical state and attaches it to the upper corner of the longitudinal end side of the target object 10. play a role

제1가압부(2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210)의 길이방향(도 1에 도시된 화살표 X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바디(210)의 폭방향(도 1에 도시된 화살표 Y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1); 상기 가이드 레일(2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블럭(232); 및 상기 제1이동블럭(2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절곡블럭(220)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10)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가압롤러(23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first pressing part 230 is the first body 210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ow X direction shown in FIG. 1) of the first body 210. guide rails 231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rrow Y direction shown in FIG. 1); a first movable block 232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231; And i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block 232 and presses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bent by the first bending block 220 so that the target object 10 is bent. A first pressure roller 233 attached to the corner; may be included.

제1이동블럭(232)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이동블럭(232)은 가이드 레일(23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moving block 232 may be provided as a pair. That is, the first movable block 23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2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그리고, 한 쌍의 제1이동블럭(232)은, 제1안착공간(210a)에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 제1절곡블럭(22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가 제1이동블럭(2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제1가압롤러(233)에 가압을 받는다.Also, when the target object 1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10a, the pair of first moving blocks 232 linearly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rst bending block 220 is pressed against the first pressure roller 233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block 232. receive

그러면, 테이프(20)의 제1부위(21)는,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부 모서리부에 부착될 수 있다.Then, as shown in (d) of FIG. 9 ,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may be attached to one end corner of the target objec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한 쌍의 제1이동블럭(232)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기 위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가압롤러(233)는 제1절곡블럭(220)의 상부를 경유하면서 이동된다.Meanwhile, when the pair of first moving blocks 232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ss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pressing roller 233 ) is 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op of the first bending block 220.

이때, 제1절곡블럭(220)은, 제1가압롤러(233)에 의해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절곡블럭(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22)에 지지를 받는 상태로 상기 제1바디(210)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지지 브라켓(221)에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 부재(222)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bending block 220 may be lowered under pressure by the first pressure roller 233 .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first bending block 220 is a support bracket fixedly mounted to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1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222 ( 221) can be provided. For reference, the elastic member 222 may be implemented as a compression spring.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절곡블럭(220)은, 상기 제1가압롤러(233)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1가압롤러(233)에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bending block 220 is moved to press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rst pressure roller 233, It may descend under pressure from the first pressure roller 233 .

반대로, 상기 제1가압롤러(233)가 제1절곡블럭(220)을 경유하여 제1절록블럭(220)의 윗면과 비접촉된 상태가 되면, 탄성 부재(222)에 의하여 상기 제1절곡블럭(220)은 원상태로 상승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first pressing roller 233 is in a non-contact stat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ending block 220 via the first bending block 220, the first bending block ( 220) can be raised to its original state.

여기서, 상기 제1절곡블럭(220)의 윗면은 상기 제1가압롤러(233)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그 이유는, 상기 제1가압롤러(233)의 직선 왕복 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ending block 220 is inclin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pressure roller 233, because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pressure roller 233 is not interfered with. in order to avoid

상기 제1가압부(230)에 의하여, 테이프(20)의 제1부위(21)가 테두리부에 부착된 대상 물체(10)은, 도 9의 (d)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흡착 유닛에 의해 파지되어 제2부착유닛(300)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target object 10 to which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is attached to the edge portion by the first pressing portion 230 maintains the shape shown in (d) of FIG. 9, In this state, it can be gripped by the adsorption unit and transferred to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

상기 제2부착유닛(30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물체(10)가 안착될 수 있는 제2안착공간(310a)이 마련된 제2바디(310); 상기 제2바디(3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안착공간(310a)에 상기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2절곡블럭(320); 및 상기 제2절곡블럭(320)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10)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가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8 ,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includes a second body 310 provided with a second seating space 310a in which the target object 10 can be seate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310, and when the target object 10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310a, the second part 22 of the tape 20 is pressed and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bending block 320; and a second pressing unit 330 pressurizing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bent by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and attaching i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10. can do.

참고로, 도 5 내지 도 8에는 도면이 복잡하게 도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 물체(1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For reference, in FIGS. 5 to 8, the illustration of the target object 10 is omitted in order not to complicate the drawings.

상기 제2바디(310)에 형성된 제1안착공간(310a)은, 대상 물체(10)의 평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seating space 310a formed in the second body 3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target object 10 .

도 9의 (d)에 도시된 상태의 대상 물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흡착 유닛으로부터 이송되어 제2안착공간(310a)에 놓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arget object 10 in the state shown in (d) of FIG. 9 may be transferred from an adsorption unit (not shown) and plac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310a.

제2안착공간(310a)에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 전방으로 노출된 테이프(20)의 제2부위(22)는 제2절곡블럭(220)의 윗면에 가압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20)의 제2부위(22)는 대상 물체(10)가 제2안착공간(310a)에 삽입되면 제2절곡블럭(320)에 가압을 받아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절곡될 수 있다.When the target object 10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310a,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exposed to the front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10 is of the second bending block 220. It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eceiving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That is, as shown in (e) of FIG. 9, the second part 22 of the tape 20 is bent to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when the target object 1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space 310a. It can be bent from a horizontal state to a vertical state by receiving pressure.

상기 제2가압부(330)는, 도 9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절곡된 제1부위(21)를 가압하여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단부측 윗면 모서리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e) of FIG. 9, the second pressing part 330 presses the first part 21 bent in a vertical state and attaches it to the upper corner of the longitudinal end side of the object 10. play a role

상기 제2가압부(33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디(310)의 길이방향(도 5에 도시된 화살표 X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331); 상기 가이드 레일(33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블럭(332); 및 상기 제2이동블럭(3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절곡블럭(320)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10)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2가압롤러(333);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8 , the second pressing part 330 presses the second body 310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ow X direction shown in FIG. 5 ). Guide rails 331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econd moving block 332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331; And i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second moving block 332, and presses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bent by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so that the target object 10 is bent. A second pressure roller 333 attached to the corner; may be included.

제2이동블럭(332)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moving block 332 may be provided as a pair.

그리고, 한 쌍의 제2이동블럭(332)은, 제2안착공간(310a)에 대상 물체(10)가 안착되면, 상기 제2절곡블럭(320)이 배치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 제2절곡블럭(32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20)의 제2부위(22)가 제2이동블럭(33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제2가압롤러(333)에 가압을 받는다.Also, when the target object 10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310a, the pair of second moving blocks 332 linearly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is disposed. At this time,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bent vertically by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pressure roller 333 rotatably provided on the second moving block 332. receive

그러면, 테이프(20)의 제2부위(22)는, 도 9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부 모서리부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일단부 모서리부에 이미 부착된 테이프(20)의 제1부위(21)에 부착될 수 있다.Then,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as shown in (F) of FIG. 9, may be attached to one end corn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rget object 10. That is, it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already attached to the edge of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rget object 10 .

한편, 한 쌍의 제2이동블럭(332)이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20)의 제2부위(22)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2절곡블럭(320)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가압롤러(333)는 제2절곡블럭(320)의 상부를 경유하면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ir of second moving blocks 332 ar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ending blocks 320 are disposed in order to press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econd pressure roller 333 is 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op of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이때, 제2절곡블럭(320)은, 제2가압롤러(333)에 의해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절곡블럭(3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22)에 지지를 받는 상태로 상기 제2바디(310)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지지 브라켓(321)에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 부재(322)도 압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may be lowered by being pressed by the second pressing roller 333 .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is a support bracket fixedly mounted to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310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322 ( 321) can be provided. For reference, the elastic member 322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ression spring.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2절곡블럭(320)은, 상기 제2가압롤러(333)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20)의 제1부위(21)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2가압롤러(333)에 가압을 받아 하강될 수 있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is moved to press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econd pressure roller 333, It may be lowered by being pressed by the second pressure roller 333 .

반대로, 상기 제2가압롤러(333)가 제2절곡블럭(320)을 경유하여 제1절록블럭(320)의 윗면과 비접촉된 상태가 되면, 탄성 부재(322)에 의하여 상기 제1절곡블럭(320)은 원상태로 상승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second pressing roller 333 is in a non-contact stat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ck block 320 via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the first bending block ( 320) can be raised to its original state.

여기서, 상기 제2절곡블럭(320)의 윗면은 상기 제2가압롤러(333)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는바, 그 이유는, 상기 제2가압롤러(333)의 직선 왕복 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nding block 320 is inclin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pressure roller 333 because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econd pressure roller 333 is not interfered with. in order to avoid

상기 제2가압부(330)에 의하여, 테이프(20)의 제3부위(22)가 테두리부에 부착된 대상 물체(10)는, 도 9의 (f)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The target object 10 to which the third portion 22 of the tape 20 is attached to the edge portion by the second pressing portion 330 maintains the shape shown in (f) of FIG. 9 .

제1부착유닛(200) 및 제2부착유닛(300)에 의하여 모서리부에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및 제2부위(22)가 중첩되도록 부착된 대상 물체(10)는, 도시되지 않은 흡착 유닛에 의해 파지된 채 제2부착유닛(300)상에서 꺼내어져 이송될 수 있다.The target object 10 attached so that the first portion 21 and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overlap each other at the corners by the first attachment unit 200 and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It can be taken out and transported on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while being held by an adsorption unit (not show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부착장치(1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유닛(200)의 제1안착공간(210a)에 안착된 대상 물체(10) 또는 제2부착유닛(300)의 제2안착공간(310a)에 안착된 대상 물체(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5 , the tape attach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rget object sea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10a of the first attachment unit 200 ( 10) or a flow prevention unit 400 preventing the object 10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310a of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from moving.

상기 유동방지부(400)는, 제1부착유닛(200)과 제2부착유닛(30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flow prevention part 400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attachment unit 200 and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

제1부착유닛(200)에 마련된 유동방지부(400)는, 제1바디(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부착유닛(300)에 마련된 유동방지부(400)는 제2바디(3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다.The flow prevention part 400 provided on the first attachment unit 20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low prevention part 400 provided on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유동방지부(4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10); 상기 지지 프레임(310)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420); 및 상기 가이드 레일(4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안착공간(210a) 또는 제2안착공간(310a)에 안착된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타측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유동방지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5, the flow prevention unit 400 includes a support frame 310; a guide rail 420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310; And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420 and prevents flow by elastically pressing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rget object 10 sea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210a or the second seating space 310a. member 430; may inclu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동방지부(400)는, 상기 제1가압부(230) 또는 상기 제2가압부(330)가 작동되기 이전에 우선적으로 작동되어 제1안착공간(210a) 또는 제2안착공간(310a)에 안착된 대상 물체(10)의 길이방향 타측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The flow prevention part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eferentially operated before the first pressing part 230 or the second pressing part 330 is operated, so that the first seating space 210a or the second seating space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rget object 10 seated on 310a may be elastically pressed.

그러면, 대상 물체(10)는, 제1가압롤러(233) 또는 제2가압부(330)의 제2가압롤러(333)가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또는 제2부위(22)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어도 안착공간(210a, 310a)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또는 제2부위(22)가 기설정된 대상 물체(10)의 부착면을 향해 절곡되어 부착될 수 있다.Then, the target object 10, the first pressure roller 233 or the second pressure roller 333 of the second pressure portion 330 is the first portion 21 or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 Even if it is moved to pressurize, it can mainta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moved in the seating spaces 210a and 310a, and thus, the first portion 21 or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is preset It may be attached by being bent toward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target object 10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부착유닛(200)에 의하여 테이프(20)의 제1부위(21)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우선 부착되고, 그 다음으로, 제2부착유닛(300)에 의하여 테이프(200)의 제2부위(22)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rtion 21 of the tape 20 is first attached to the edge side edge of the object 10 by the first attachment unit 200, and the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0 is attached to the edge side edge of the target object 10 by the two attachment units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테이프(20)의 제2부위(22)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우선 부착되고, 그 다음으로 테이프(20)의 제1부위(21)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부착되도록 제2부착유닛(300)과 제1부차유닛(200)을 순차적으로 가동할 수도 있다.That is, the second part 22 of the tape 20 is first attached to the edge side of the object 10, and then the first part 21 of the tape 20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object 10. The second attachment unit 300 and the first secondary unit 200 may be sequentially operated so as to be attached to the side edg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및 제2부위(22)가 대상 물체(10)의 테두리부 일부에만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테이프(20)의 제1부위(21) 및 제2부위(22)의 길이를 늘려서 대상 물체(10)의 테두리부 전체에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rtion 21 and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being attached only to a portion of the rim of the target object 10, but are limited thereto. it is not going to be That is, the lengths of the first portion 21 and the second portion 22 of the tape 20 may be increased and attached to the entire edge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10 .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but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se claims.

100 : 테이프 부착장치
200 : 제1부착유닛
210 : 제1바디
220 : 제1절곡블럭
230 : 제1가압부
300 : 제2부착유닛
310 : 제2바디
330 : 제2절곡블럭
330 : 제2가압부
400 : 유동방지부
10 : 대상 물체
20 : 테이프
100: tape attachment device
200: first attachment unit
210: first body
220: first bending block
230: first pressing unit
300: second attachment unit
310: second body
330: second bending block
330: second pressing unit
400: flow prevention unit
10: target object
20: tape

Claims (8)

박판 형태의 대상 물체에 테이프 절곡시켜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장치로서,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1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부착유닛; 및
상기 대상 물체의 저부에 배치된 테이프의 제2부위를 절곡시켜 상기 대상 물체의 윗면부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부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는 상기 대상 물체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는 상기 대상 물체의 길이방향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A tap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the tape to a target object in the form of a thin plate by bending the tape,
a first attachment unit that bends a first portion of the tap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target object and attaches it to a corner of an upper surface of the target object; and
A second attachment unit that bends a second portion of the tap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object and attaches it to th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The tap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first portion of the tape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bject in a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portion of the tape is disposed on a front side of the objec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착유닛은,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공간이 마련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안착공간에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1절곡블럭; 및
상기 제1절곡블럭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ttachment unit,
a first body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space in which the target object can be seated;
a first bending bloc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bending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in a vertical direction by pressing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when the target object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space; and
and a first pressing unit for attaching a first portion of the tape bent by the first bending block to a corner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by pressing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제1바디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바디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이동블럭; 및
상기 제1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절곡블럭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1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pressing part,
a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movable block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A first pressing roller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moving block and pressurizing a first portion of the tape bent by the first bending block to attach it to the edge of the target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pe attachm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블럭은, 상기 제1가압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1가압롤러에 가압을 받아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tap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bending block is lowered by being pressed by the first pressing roller when the first pressing roller is moved to press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착유닛은,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될 수 있는 제2안착공간이 마련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안착공간에 상기 대상 물체가 안착되면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2절곡블럭; 및
상기 제2절곡블럭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ttachment unit,
a second body provided with a second seating space in which the target object can be seated;
a second bending bloc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and bend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in a vertical direction by press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when the target object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space; and
and a second pressing unit pressurizing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bent by the second bending block and attaching i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target objec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2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이동블럭; 및
상기 제2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절곡블럭에 의하여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1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대상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는 제2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pressing part,
a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t one side of the second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movable block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A second pressing roller rotatably provided on the second moving block and pressurizing the first portion of the tape bent by the second bending block to attach it to the edge of the target object. tape attachm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블럭은, 상기 제2가압롤러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테이프의 제2부위를 가압하기 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2가압롤러에 가압을 받아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tape 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econd bending block is lowered by being pressed by the second pressing roller when the second pressing roller is moved to press the second portion of the tap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210046251A 2021-04-09 2021-04-09 Tape attachment apparatus KR102554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51A KR102554174B1 (en) 2021-04-09 2021-04-09 Tape attach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51A KR102554174B1 (en) 2021-04-09 2021-04-09 Tape attach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35A KR20220140135A (en) 2022-10-18
KR102554174B1 true KR102554174B1 (en) 2023-07-12

Family

ID=8380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251A KR102554174B1 (en) 2021-04-09 2021-04-09 Tape attach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417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277B1 (en) 2012-07-03 2012-11-12 (주)케이엔에스 Auto taping apparatus for fuel cell sta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417B1 (en) * 2010-12-21 2013-07-18 (주)열린기술 Apparatus for taping electrode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KR102016756B1 (en) * 2013-03-06 2019-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ide tape attachment device For barece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277B1 (en) 2012-07-03 2012-11-12 (주)케이엔에스 Auto taping apparatus for fuel cell st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35A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858813U (en) Battery module plastic frock and use plastic equipment of this frock
KR102554174B1 (en) Tape attachment apparatus
KR102015730B1 (en) A frame punching apparatus
JP3572192B2 (en) Guide rail mechanism for bonding equipment
KR940018175A (en) Plate bending machine
CN110576595B (en) Curved surface laminating equipment and curved surface laminating method
JP5050561B2 (en) Tensioning device
JP2004114231A (en) Cutting apparatus and cutting method for rubber tire
JPS58144042A (en) Sheet winding tensioning device
JPH04199895A (en) Printed board supporting device in solder printing device
JPH03114614A (en) Bending die device for metal plate
JP3723558B2 (en) Clamping device and aging tray
JPH03106513A (en) Bending die device for plate
US20120096699A1 (en) Attachment-enabling jig
JPH0369366A (en) Method for registering thin wall substrate in screen printing process
CN217272238U (en) Electromagnetic valve protection device of sizing machine
JPH0576797U (en) Parallel ruler
CN217517224U (en) Textile fabric cutting device
KR101876518B1 (en) Apparatus for flatness correcting of roll formed product
EP3912818A1 (en) Print screen unit
JPH0123616Y2 (en)
CN215339532U (en) Visual detection device for part detection
KR20170003067A (en) Parking Zone Support Frame of Parking Apparatus Manufacturing Device and Parking Zone Support Frame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arking Apparatus Having Parking Zone Support Frame
JP3067476U (en) Sheet fixing device
JPH0720661Y2 (en) Orienta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