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342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342B1
KR102553342B1 KR1020210024148A KR20210024148A KR102553342B1 KR 102553342 B1 KR102553342 B1 KR 102553342B1 KR 1020210024148 A KR1020210024148 A KR 1020210024148A KR 20210024148 A KR20210024148 A KR 20210024148A KR 102553342 B1 KR102553342 B1 KR 10255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cleaning unit
clean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8450A (en
Inventor
양인규
신진혁
장대호
류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2105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22214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342B1/en
Publication of KR2021003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450A/en
Priority to KR1020230086704A priority patent/KR1026582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8)가 구비되는 하우징(1)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공간(S1)에는 필터링유닛(3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유닛(110)은 상기 필터링유닛(3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청소유닛(110)은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로(E)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청소유닛(110)에는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플레이트(128)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에는 조작유닛(15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와 상기 조작유닛(15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가이드유로(E)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배출경사면(149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8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 filtering unit 3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 Also, the cleaning unit 11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ering unit 30, and the cleaning unit 110 may have a guide passage E for guiding the flow of sucked air. The cleaning unit 110 may include a connection plate 128 extending in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 and an operation unit 15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128 . At this time, a discharge slope 149a, which gradually decreases in height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passage E,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plate 128 and the control unit 150. .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통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압축할 수 있는 청소유닛이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having a cleaning unit capable of compressing dust inside a dust bin without opening the dust bin.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by sucking or wip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an area to be cleaned. Such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for cleaning while a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에서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기류로부터 쓰레기 및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manual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type cleaners, handheld cleaners, stick-type cleaner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leaner. Among them, the handheld vacuum cleaner includes a separation device that separates garbage and dust from the air stream.

상기 분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싸이클론을 가지는 원심 분리기를 포함한다.상기 원심 분리기는 벽을 가지는 집진기를 가지는 제1사이클론을 포함한다. 제1사이클론의 하측에 집진기가 배치되고, 집진기는 베이스(하부커버)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베이스는 힌지에 의해서 회동되어 상기 집진기를 개폐한다.The separation device includes a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one or more cyclones. The centrifugal separator includes a first cyclone having a walled dust collector. A dust collector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yclone, and the dust collecto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base (lower cover). The base is rotated by a hinge to open and close the dust collector.

제1사이클론 내측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한 일종의 덮개인 필터부를 포함한다. 필터부를 통해서 제2사이클론이 제1사이클론과 연통된다. 제1사이클론 내부의 공기는 필터부를 통과한 후에 제2싸이클론을 유동하는데, 공기가 필터부의 복수의 구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상기 필터부의 복수의 구멍을 막게 된다. 상기 복수의 구멍이 많이 막힐 수록 공기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분리 성능이 저하된다.Inside the first cyclone, a filter part, which is a kind of cov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included. The second cyclon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yclone through the filter unit. The air inside the first cyclone flows through the second cyclone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As the air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lter unit, dust blocks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lter unit. The more the plurality of holes are clogged, the more the air flow is not smooth and the separation performance is lowered.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하부커버인 베이스를 회동시켜 집진기를 개방시킨 후에 사용자가 필터부 측으로 접근한 후에 필터부를 청소하여야 하므로, 필터부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r must periodically clean the filter unit. However, since the user has to clean the filter unit after opening the dust collector by rotating the base, which is basically a lower cover, and then approaching the filter uni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leaning the filter unit is not easy.

또한, 종래에는 제1사이클론 및 제2사이클론에서 분리된 먼지가 하방으로 낙하되어 베이스의 상측에 쌓이는데,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기에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즉, 제1사이클론에 의해서 분리된 먼지는 그 무게에 비하여 너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집진기 내부에 아직 충분한 여유 공간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집진 성능의 유지를 위하여 먼지통 내의 먼지를 자주 비워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yclones falls downward and accumulates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When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is stopped, the separated dust is stored in the dust collector in a low density state. That is, since the dust separated by the first cyclone occupies a volume too large compared to its weight, it is inconvenient to frequently empty the dust in the dust bin to maintain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even though there is still a sufficient free space inside the dust collector. there is a ham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집진부에 쌓인 먼지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부재(청소부)를 집진부 내부에 설치하고, 베이스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압축부재를 하강시켜 먼지를 압축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3699679호, 미국 공개특허 2018-0132685 등) 압축부재는 필터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베이스쪽으로 하강하면서 필터부에 붙은 먼지를 아래쪽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집진부에 쌓인 먼지들을 눌러 압축시켜줄 수 있고, 스프링 등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mpression member (cleaning unit) capable of compressing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on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technologies capable of compressing the dust by lowering the compression member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base have been disclosed. (Japanese Patent No. 3699679, US Patent Publication No. 2018-0132685, etc.) The compression member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er unit, and while descending toward the base, pushes the dust attached to the filter unit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presses and compresses the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들에 개시된 압축부재는 승강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상부에 먼지가 쌓이기 쉽다. 특히, 압축부재와 압축부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사이의 연결부분에도 먼지가 쌓일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먼지의 존재로 인해서 압축부재가 원위치, 즉 초기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since the compression member disclosed in these prior arts has an elevating structure, it is easy to accumulate dust on the top. Particularly, dust may also be accumulat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ression member and the control lever for manipulating the compression member. In this case, the compression member can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initial position due to the presence of dust.

이처럼 압축부재의 상부에 먼지가 쌓이는 이유를 보면, (i) 청소기의 사용 중에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압축부재와 먼지통의 내면 사이의 틈으로 유동하여 압축부재-조작레버 사이의 연결부분 위에 쌓이거나, (ii) 압축부재를 승강시킬 때 먼지통에 존재하던 먼지가 압축부재 위쪽으로 낙하하여 압축부재-손잡이 사이의 연결부분 위에 쌓이게 된다. Looking at the reason why dust accumulates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ression member, (i) part of the air sucked in while the vacuum cleaner is in use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compression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box and accumulates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ression member and the control lever. , (ii) When the compression member is raised and lowered, the dust existing in the dust bin falls to the top of the compression member and accumulates on the joint between the compression member and the handle.

연결부분을 비롯한 압축부재의 상부에 먼지가 쌓이고 압축부재의 승강과정에서 먼지들이 다져지면, 압축부재는 먼지의 두께만큼 간섭되어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한다. 압축부재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면 청소기의 싸이클론 유동을 방해하여 청소기의 성능을 낮추는 문제가 발생한다. If dust accumulates on the upper part of the compression member, includ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dust is compacted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compression member, the compression member is interfered with by the thickness of the dust and can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If the compression member fails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cyclone flow of the cleaner is hindered, resulting in lower performance of the cleaner.

물론, 압축부재의 상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주면 먼지를 제거할 수 있지만, 압축부재의 상부는 먼지통을 열었을 때 반대쪽에 위치하는 부분이어서 압축부재를 완전히 분해하지 않는한 청소가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Of course, dust can be removed by periodically cleaning the upper part of the compression member, but since the upper part of the compression member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when the dust bin is opened, cleaning is difficult unless the compression member is completely disassembled.

또한, 흡입된 공기가 압축부재와 먼지통 내면 사이의 틈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압축부재와 먼지통 내면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압축부재의 승강동작이 방해받아 압축부재를 승강시키는데 큰 힘이 들어가고, 흡입된 공기의 공기유로를 가로막아 싸이클론 유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compression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box may be reduced so that the inhaled air does not flow into the gap between the compression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box. However, it may block the air flow path of the sucked air,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the cyclone flow is not smooth.

그리고, 종래의 압축부재는 외부에서 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청소기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레버와 연결되는데, 조작레버와 압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분 및 그 주변에 큰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압축부재가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압축부재의 연결부 주변이 변형되면 청소기 내부의 부품과 간섭되어 역시 압축부재의 원활한 승강을 방해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mpression member is connected to a control lever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so that it can be manipulated from the outside. Since a larg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ontrol lever and the compression member and its surroundings, the compression member is easily moved. There is a problem with deformation or breakage. Whe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mpression member is deformed, it interferes with parts inside the vacuum cleaner, which also causes a problem of obstructing the smooth elevation of the compression member.

일본등록특허 제3699679호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3699679 미국 공개특허 2018-0132685US Patent Publication 2018-013268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에 쌓인 먼지를 압축시켜 여유공간을 확보하는 청소유닛을 두되 청소유닛의 상부, 특히 조작유닛과 연결되는 청소유닛의 연결브라켓 상부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unit that secures a spare space by compressing dust accumulated inside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but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unit, especially the operation unit and This is to prevent dust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bracket of the connected clean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유닛의 상부에 먼지가 쌓이더라도 쌓인 먼지가 청소기의 사용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accumulated dust is naturally removed during use of the vacuum cleaner even if dust accumulates on the top of the clean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유닛과 외부의 조작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여 청소유닛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leaning unit from being easily deformed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a cleaning unit and an external operation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집진공간을 만드는 필터링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조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집진공간 내부에서 승강되되 초기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구에서 연장되는 공기의 흡입경로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로를 갖는 청소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유닛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펜스가 구비되는데, 가이드펜스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마주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가이드유로를 만든다. 따라서, 흡입되는 공기가 하우징과 청소유닛 사이의 틈을 타고 청소유닛의 위쪽 또는 청소유닛과 조작유닛의 연결부분 쪽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dust collection space between a housing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filtering unit,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ering unit, and moved up and down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unit, but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an air suction path extending from the suction port at the initial position to guide the flow of the sucked air and a cleaning unit having a guide passage. A guide fence is provided along an outer edge of the cleaning unit, and the guide fence face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exten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orm the guide pass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lock a path in which the air that is sucked in travel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leaning unit and moves toward the top of the cleaning unit or towar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leaning unit and the operation unit.

그리고, 상기 가이드펜스의 앞부분은 상기 공기의 흡입경로가 상기 청소유닛의 가이드유와 만나는 지점 보다 상기 흡입구에 더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청소유닛과 하우징의 사이의 틈을 만나기 전에 가이드펜스에 가로막히게 되고, 흡입된 공기가 청소유닛과 하우징 사이의 틈으로 파고드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fence extends to a position closer to the suction port than a point where the air intake path meets the guide oil of the cleaning unit. Therefore, most of the sucked air is blocked by the guide fence before meeting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unit and the housing, and the sucked air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unit and the housing more reliably.

또한, 상기 흡입구 쪽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펜스의 앞부분에는 전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을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부 쪽을 향해 돌출된 정도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펜스의 앞부분에 만들어진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의 단차면이 공기에 섞인 먼지를 집진공간의 바닥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있고, 큰 이물질이 가이드펜스의 앞부분에 가로막히거나 먼지통의 내면과의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해준다. In addition, a front portion is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guide fence toward the suction port, and the front portion is formed with different degrees of protrusion toward the air inlet alo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Therefore, the stepped surface in the form of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made at the front of the guide fence can naturally guide the dust mixed in the air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on space, and prevent large foreign substances from blocking the front of the guide fence or getting stuck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bin. it prevents

그리고 상기 청소유닛의 청소바디에는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차단벽이 있다. 따라서 먼지가 쌓이기 쉬운 연결브라켓 주변에서 청소유닛과 하우징 사이의 틈을 더욱 줄일 수 있고, 연결브라켓 상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a connection plate extends in a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from the cleaning body of the cleaning unit, and a blocking wall is formed on the connection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flow direction formed along the guide pass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unit and the housing around the connection bracket where dust tends to accumulat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또한 상기 청소유닛에는 상기 조작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이 돌출되고,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면에는 상기 집진공간의 바닥을 향해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배출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경사면은 브라켓의 상면에 먼지가 쌓여 다져지기 전에, 상면에 안착된 먼지를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배출시켜준다. In addition, a connection bracket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protrudes from the cleaning unit, and a discharge inclined surface gradually decreasing in height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based on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This discharge slope naturally discharges the dust sett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downward before it is accumulated and compa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그리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연결브라켓이 승강되는 승강채널과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 또는 이와 마주보는 연결플레이트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대방을 향해 상기 연결브라켓의 승강방향을 따라 필터리브가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외면 사이의 틈을 줄인다. 필터리브는 청소유닛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공기가 하우징과 청소유닛 사이의 틈을 따라 연결브라켓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해준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r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facing the housing is adjacent to the lifting channel in which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connecting plate is lifted, a filter rib protrudes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racket toward the other side, Reduce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The filter rib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to block air from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along the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leaning unit.

한편, 상기 청소유닛을 구성하는 청소바디의 하부에는 청소바디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면과 접촉하여 필터면을 청소하는 청소링이 구비된다. 상기 청소링은 상기 청소바디의 단부에서 유연한 고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링은 청소바디와의 결합을 위해 이중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얇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청소링은 이중 사출과정에서 고온으로 인해 상기 청소바디의 내측면으로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청소유닛의 승강과정에서 말려올라 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청소바디와 상기 청소링의 연결부에는 서포트리브가 형성된다. Meanwhile, a cleaning ring that cleans the filter surfa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ilter surfac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body constituting the cleaning unit while the cleaning body moves up and down. The cleaning ring may be formed in a flexible rubber form at an end of the cleaning body. In addition, the cleaning ring may be formed by double injection for coupling with the cleaning body. The cleaning ring formed of a thin and flexible material may be deform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eaning body due to high temperature during the double injection process, or may be rolled up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cleaning unit.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a support rib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leaning body and the cleaning ring.

상기 서포트리브가 상기 집진공간 바닥을 향해 돌출되어 청소링의 가이드경사면의 반대면을 지지해줄 수 있다.The support rib may protrude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to support a surface opposite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of the cleaning ring.

그리고, 상기 청소유닛의 청소바디에는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조작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조작유닛과 청소유닛이 연동되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조작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를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을 따라 충분히 넓게 확보하였다. 따라서 조작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청소유닛을 승강시키기 위한 힘)이 집중되는 연결부를 보강할 수 있다. Further, a connection plate extends in a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from the cleaning body of the cleaning unit, and the connection plate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so that the operation unit and the cleaning unit are interlock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plate for connecting the operation unit is secured sufficiently wide alo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the force for lifting the cleaning unit) is concentrated.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보강플레이트가 겹쳐지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에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조작유닛과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청소유닛에는 연결플레이트가 충분히 크게 만들어질 뿐 아니라, 연결플레이트에 보강플레이트가 겹쳐진다. 따라서 청소유닛과 조작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강도보강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 reinforcing plate is overlapped with the connection plate, and a connection bracket is provided on the reinforcing plate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at is, in the clean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onnection plate is made large enough, but also the reinforcing plate is overlapped with the connection plate.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leaning unit and the operation unit can be more reliably reinforced.

또한, 상기 청소유닛에 의해 만들어진 가이드유로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청소바디의 상면에는 상면청소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된 경로로 만들어지고, 상기 상면청소부는 상기 흡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시작되는 입구가 상면청소부의 출구 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면청소부는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높이가 점점 낮아지므로, 청소유닛의 상면에 먼지가 쌓이더라도 상면청소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먼지가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passage created by the cleaning unit, a top surface cleaning unit is formed in a continuous pa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has an entrance starting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let of As such, since the height of the top cleaning uni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entrance to the exit, even if dust accumulates on the top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the dust can be naturally removed b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top cleaning unit.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하우징이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필터링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집진공간을 만들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청소유닛은 상기 필터링유닛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조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집진공간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청소유닛은 초기위치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입구에서 연장되는 공기의 흡입경로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청소유닛에는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조작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유닛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배출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orms a skeleton, and a filtering unit may be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he filtering unit may create a dust collecting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filtering unit. In addition to this, the cleaning unit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ering unit and move up and down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unit. At an initial position, the cleaning unit may have a guide passage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an air intake path extending from the intake port to guide a flow of the intake air. The cleaning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plate extending in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and an operation unit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At this time, a discharge slope having a height gradually lowered along an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passage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operation unit.

또한, 상기 배출경사면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slope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operation unit.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을 따라 승강채널이 함몰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승강채널에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levation channel may be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inserted into the elevation channel.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승강채널 안에서 상기 조작유닛의 가동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connected to the movable rail of the control unit in the lift channel.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일부는 상기 조작유닛의 승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관통된 부분에 상기 가동레일이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passed through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ovable rail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의 양쪽 측면 중에서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과 마주보는 쪽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승강방향으로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배출경사면의 가장 높은 지점이 시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lat part is formed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racket on the side facing the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flow path am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discharge slope is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the flat part. this can start

그리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승강채널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lat part may be disposed to face an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channel.

또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대편을 향해 필터리브가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facing each other may have a filter rib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필터리브는 상기 승강채널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필터리브는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승강채널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ri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lifting channel, and the filter ri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channel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passage.

또한, 상기 필터리브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차단벽이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ribs may extend along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late. A blocking wall may extend from the connection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air flow direction formed along the guide passage.

또한, 상기 필터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상기 차단벽의 표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Also, the filter rib may protrude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ward a surface of the blocking wall.

그리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보강플레이트가 겹쳐지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조작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 reinforcing plate may be overlapped with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provided on the reinforcing plate to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이때,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유로에 결합되는 조립몸체와, 상기 조립몸체에서 연장되는 보강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몸체는 상기 가이드유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보강몸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plate may include an assembly body coupled to the guide passage and a reinforcing body extending from the assembly body. The assembly body may form a part of the guide passage, and the connection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reinforcing body.

그리고, 상기 조립몸체에는 조립부가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청소유닛의 청소바디에는 상기 조립부가 끼워지는 조립홀이 형성될 수 있다. An assembly par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assembly body, and an assembly hole into which the assembly part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leaning body of the cleaning unit.

또한, 상기 조작유닛에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작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작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레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일과 나란하게 가동레일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가동레일은 상기 조작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 housing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fixed rail extending in a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trol housing. A movable rail may extend parallel to the fixed rail, and the movable rail may be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manipulation housing.

상기 조작하우징에는 조작레버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가동레일을 승강시킬 수 있고, 상기 조작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일에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조작레버가 원위치 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A control lever may be disposed in the control housing, the control lever may move the movable rail up and down while moving along the fixed rail, and a button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housing may be provided. A spring may be disposed on the fixed rail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control lev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rol lev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조작레버에는 연결블록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가동레일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레버와 함께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가동레일을 승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connection block is connected to the control lever, the connection block connects between the fixed rail and the movable rail, and the movable rail can be moved up and down while moving along the fixed rail together with the control lever.

그리고, 상기 가동레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승강채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레일은 상기 승강채널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movable rail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fting channel, and the movable rail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acket inside the lifting channel.

또한, 상기 조작하우징의 전체 높이는 상기 승강채널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verall height of the control housing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elevation channel.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필터링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청소유닛이 상기 필터링유닛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유닛에는 연결브라켓을 통해 조작유닛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표면에는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배출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filtering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cleaning unit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ering unit. An operat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and a discharge slope having a height gradually lowered along an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a guide passage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discussed above,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먼지통을 개방하지 않고도 청소유닛이 내부에서 이동(하강)하면서 집진된 먼지를 눌러 압축시킬 수 있는데, 청소유닛에는 먼지통(하우징)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가이드펜스가 구비되어 먼지통 내면과의 사이에 틈을 줄여준다. 따라서, 흡입되는 공기가 먼지통과 청소유닛 사이의 틈을 타고 청소유닛의 위쪽 또는 청소유닛과 조작유닛의 연결부분 쪽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고, 청소유닛에 쌓인 먼지로 인해 청소유닛이 원위치(초기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unit can press and compress the collected dust while moving (falling) inside the dust bin without opening the dust bin. The cleaning unit is provided with a guide fence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bin (housing), reduces the gap betwee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lock a path for the air to be sucked in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ust bin and the cleaning unit to move toward the top of the cleaning unit or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leaning unit and the operation unit, and the dust accumulated in the cleaning unit causes the cleaning unit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initial position). position) can be prevented.

특히, 본 발명의 가이드펜스의 앞부분은 공기의 흡입경로가 청소유닛의 가이드유로 내면과 만나는 지점 보다 흡입구에 더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청소유닛과 먼지통의 사이의 틈을 만나기 전에 가이드펜스에 가로막히게 되고, 흡입된 공기가 청소유닛과 먼지통 사이의 틈으로 파고드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ront part of the guide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a position closer to the suction port than the point where the air intake path meets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ssage of the cleaning unit. Therefore, most of the sucked air is blocked by the guide fence before meeting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unit and the dust bin, and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ucked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unit and the dust bin.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가 먼지통과 청소유닛 사이의 틈을 따라 유동하면서 청소유닛의 상부(또는 청소유닛과 조작유닛의 연결부분)에 먼지를 남기는 것을 방지하면 청소유닛이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청소유닛이 초기위치에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싸이클론 유동을 유도할 수 있어 청소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ucked air flows along the gap between the dust bin and the cleaning unit and prevents dust from lea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unit (or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leaning unit and the operation unit), the cleaning unit can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cleaning unit can induce a cyclone flow by smoothing the flow of air at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그리고 본 발명의 가이드펜스의 앞부분은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갈수록 흡입구 방향으로 연장된 정도가 줄어든다. 따라서 가이드펜스의 앞부분에 만들어진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의 단차면이 공기에 섞인 먼지를 먼지통의 바닥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있고, 큰 이물질이 가이드펜스의 앞부분에 가로막히거나 먼지통의 내면과의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d the front part of the guide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in the degree of extension toward the suction port toward the bottom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Therefore, the stepped surface in the form of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made at the front of the guide fence can naturally guide the dust mixed in the air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bin, and prevent large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blocked by the front of the guide fence or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bin.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청소유닛에는 조작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이 있는데, 청소유닛에는 연결브라켓 주변에 공기유동방향을 따라 차단벽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먼지가 쌓이기 쉬운 연결브라켓 주변에서 청소유닛과 먼지통 사이의 틈을 더욱 줄일 수 있고, 연결브라켓 상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nection bracket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and a blocking wall is formed around the connection bracket along the direction of air flow in the cleaning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unit and the dust bin around the connection bracket where dust tends to accumulat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그리고, 청소유닛에는 조작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이 돌출되는데, 연결브라켓의 상면에는 배출경사면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배출경사면은 브라켓의 상면에 먼지가 쌓여 다져지기 전에, 상면에 안착된 먼지를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배출시켜준다. 따라서 연결브라켓에 쌓인 먼지로 인해 청소유닛이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고 청소기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n addition, a connection bracke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protrudes from the cleaning unit, and a discharg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This discharge slope naturally discharges the dust sett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downward before it is accumulated and compa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eaning unit from returning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dust accumulated on the connecting bracket and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cleaner.

또한, 본 발명의 먼지통에는 연결브라켓에 가까운 위치에 필터리브가 돌출된다. 필터리브는 청소유닛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공기가 먼지통과 청소유닛 사이의 틈을 따라 연결브라켓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해준다. 따라서 필터리브는 연결브라켓 상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해주고, 청소유닛은 원위치로 복귀하여 싸이클론 유동을 만들어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ust bin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rib protrudes at a position close to the connection bracket. The filter rib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to block air from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along the gap between the dust bin and the cleaning unit. Therefore, the filter rib prevents dust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the cleaning unit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reate a cyclone flow.

그리고 청소유닛에는 청소유닛을 승강시키기 위한 조작유닛이 연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조작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를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을 따라 충분히 넓게 확보하였다. 따라서 조작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청소유닛을 승강시키기 위한 힘)이 집중되는 연결부를 보강할 수 있고, 연결부가 뒤틀리거나 파손되는 염려가 크게 줄어들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n operating unit for moving the cleaning unit up and down is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plate for connecting the operating unit is secured sufficiently wide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nnection part wher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the force for lifting the cleaning unit) is concentrated, and the worry of twisting or breaking the connection part is grea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청소유닛에는 연결플레이트가 충분히 크게 만들어질 뿐 아니라, 연결플레이트에 보강플레이트가 겹쳐진다. 따라서 청소유닛과 조작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의 강도보강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lean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onnection plate is made large enough, but also the reinforcing plate is overlapped with the connection plate. Therefor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leaning unit and the operation unit can be more reliably reinforc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청소유닛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된 경로를 만드는 상면청소부가 있는데, 상면청소부는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높이가 점점 낮아지므로, 청소유닛의 상면에 먼지가 쌓이더라도 상면청소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먼지가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유닛의 상면을 따로 청소해주지 않더라도, 청소유닛의 상면에 쌓인 먼지때문에 청소유닛이 초기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op cleaning unit that makes a continuous pa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Dust can be removed naturally by the air that blows.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separately clea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a phenomenon in which the cleaning unit cannot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due to dust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uni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유닛과 조작유닛만을 나타낸 것으로, 청소유닛의 초기위치와 하강위치를 각각 보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작유닛이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로 청소유닛을 승강시키는 모습을 각각 보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유닛과 조작유닛이 승강되는 모습을 각각 보인 단면도이고, 도 7(c)는 청소유닛이 초기위치로 완전히 복귀하지 못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1의 II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청소유닛의 구성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10에 도시된 청소유닛의 구성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및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유닛과 이너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청소유닛의 공기유입부를 이너하우징의 연결창을 통해 바라본 정면도.
도 16의 도 14에서 각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4에서 각 부품을 분해한 모습을 도 16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유닛의 구성을 도 18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유닛의 연결브라켓 부분이 드러나도록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21은 도 1의 IV-IV'선에 대한 단면도.
도 22는 도 18의 V-V'선에 대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Figure 1 in an exploded stat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3 is lowered.
5 (a) and 5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only the cleaning unit and the operation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showing an initial position and a lowered position of the cleaning unit.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is lifted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unit and an operation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fted, respectively, and FIG. 7(c) is a cleaning unit completely returned to an initial position. A cross-section of what it didn't look like.
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II-II' of FIG. 1;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ing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unit shown in FIG. 10 viewed from the front;
12(a) and 12(b)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unit shown in FIG. 10 viewed from above, respectively.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ing unit and an inner housing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of the air inlet of the cleaning unit of FIG. 14 viewed through a connection window of the inner housing;
A perspective view of each part in FIG. 16 and FIG. 14 in an exploded view.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part disassembled in Figure 14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16;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ing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eaning uni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18;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o as to expose the connecting bracket portion of the cleaning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1;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18;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싸이클론 유동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방식의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먼지통의 입구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먼지통의 내부에 쌓인 먼지를 압축시킬 수 있는 청소유닛(110)이 포함되어 있는 청소기이다. 이하에서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캐니스터 청소기 등 다른 종류의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relates to a cleaner that separates dust using a cyclone flow.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cleaning unit 110 capable of compressing dust accumulated inside the dust bin from the outside without opening the inlet of the dust bin. Hereinafter, a handheld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cleaners such as canister cleaner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부품을 분해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먼저 본 발명의 청소기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이 형성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1)은 크게 제1하우징(2)과 제2하우징(3)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략 원통형상이다. 여기서 제1하우징(2)은 먼지통을 구성하는 것으로, 아래쪽에 하부커버(2')를 개방하면 먼지통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하우징(2)과 제2하우징(3)은 서로 위아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이지만, 이와 달리 제1하우징(2)과 제2하우징(3)은 서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erspective view, and FIG. 2 shows a disassembled state of parts. According to what is shown in these figures, first, the exterior and skeleton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the housing 1.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1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first housing 2 and a second housing 3, which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ere, the first housing 2 constitutes a dust bin, and when the lower cover 2' is opened, the dust bin can be open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2 and the second housing 3 are stacked in an up-and-down direction, but unlike this, the first housing 2 and the second housing 3 are arranged in a left-right direction. may be

상기 제1하우징(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S1)이 있고,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필터링유닛(30)을 비롯하여, 청소유닛(110)과 이너하우징(40) 등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2)과 제2하우징(3)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하우징(2)의 내면과 필터링유닛(30)의 외면 사이에 집진공간(S1)이 만들어지는데, 집진공간(S1)은 제1하우징(2)의 내부공간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1하우징(2)의 내면(20)이란, 외부로 노출된 외면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제1하우징(2)의 안쪽 내주면을 의미한다. Inside the first housing 2, there is an inner space S1, in which a filtering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 cleaning unit 110, an inner housing 40, and the like are installed. The shapes of the first housing 2 and the second housing 3 may be variously modified. A dust collecting space S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and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can be regarded as an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2. Here, the inner surface 20 of the first housing 2 means the inn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하우징(1)의 한쪽에는 손잡이부(5)가 있다. 상기 손잡이부(5)는 상기 하우징(1)과 별개물로 만들어져 상기 하우징(1)에 조립되거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과 일체일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5)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부분으로, 한쪽에는 온오프 조작 등을 위한 스위치(6)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손잡이부(5)의 아래쪽에는 배터리(7)가 장착되어, 청소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One side of the housing 1 has a handle 5. The handle portion 5 may be made of a separate material from the housing 1 and assembled to the housing 1, or at least part thereof may be integral with the housing 1. The handle part 5 is a part to be gripped by the user, and a switch 6 for on/off opera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In this embodiment, a battery 7 is mounted below the handle part 5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the cleaner.

상기 하우징(1)의 한쪽에는 흡입구(8)가 있다. 상기 흡입구(8)는 손잡이부(5)의 반대쪽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흡입공간(8')이 만들어진다. 청소기가 동작하면, 모터유닛(10)에 의한 흡입력이 흡입구(8)에 전달되고, 흡입구(8)를 통해서 먼지가 섞인 외부의 공기가 흡입공간(8')을 통해 청소기 내부공간(S1)으로 유입된다. 도 1에는 흡입구(8)가 짧게 표현되어 있지만, 상기 흡입구(8)의 앞쪽에는 다양한 청소장비들(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될 수 있다. On one side of the housing 1, there is a suction port 8. The inlet 8 protrude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part 5, and a suction space 8' is created therein. When the cleaner operates, the suction force by the motor unit 10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port 8, and the outside air mixed with dust passes through the suction port 8 to the cleaner internal space S1 through the suction space 8'. is introduced Although the inlet 8 is briefly represented in FIG. 1, various cleaning equipment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let 8.

위에서 공기에 섞인 먼지라고 표현했지만, 먼지에는 다양한 크기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매우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이나, 머리카락, 모래나 과자부스러기 등 다양한 크기의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먼지에 포함되는 것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Although it was expressed above as dust mixed in the air, dust can contain foreign matter of various sizes. That is, there may be foreign substances of various sizes, such as very fine foreign substances, hair, sand, or cookie crumb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y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ust.

아래에서 다시 설명되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조작유닛(150)을 먼저 설명하면, 도 1에서 보듯이 조작유닛(150)을 구성하는 조작하우징(151)은 상기 하우징(1)에 결합되고, 조작하우징(151)에는 승강되는 조작레버(160)가 조립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레버(160)의 버튼부(165)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아래에서 설명될 청소유닛(110)이 청소기의 내부공간(S1)에서 하강하면서 제1하우징(2) 내부의 집진공간(S1)에 있는 먼지를 압축시키고, 동시에 필터링유닛(30)의 표면을 훑어내려가면서 청소해준다. 즉, 사용자는 청소기의 내부공간(S1)을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의 조작레버(160)만 내리면 집진공간(S1) 내부를 압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lthough described again below, if the control unit 150 is first described for ease of understanding,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housing 151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150 is coupled to the housing 1, and the control housing ( 151 is assembled with a control lever 160 that moves up and down.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ortion 165 of the control lever 160 downward, the cleaning unit 1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descends from the inner space S1 of the vacuum cleaner and enters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inside the first housing 2. It compresses the dust in and cleans the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while sweeping it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user can compress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by lowering the external control lever 160 without opening the inner space S1 of the vacuum cleaner. A more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3)의 내부에는 모터유닛(10)이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하우징(3)이 내부에 설치된 모터유닛(10)은 청소기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하우징(3)의 내부에 모터유닛(10)이 설치되지만, 도 3에는 모터유닛(10)이 설치되는 모터케이스(12)만 표현되어 있고, 전동모터, 회전축 및 임펠러는 생략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motor unit 10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3 . Although not shown, the motor unit 10 in which the second housing 3 is installed provides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and generates suction power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an electric motor that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and a rotating shaft of the electric motor. It may include an impeller that generates. As such, the motor unit 10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housing 3, but only the motor case 12 in which the motor unit 10 is installed is shown in FIG. 3, and the electric motor, rotational shaft and impeller are omitted. there is.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공기가이드(21)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가이드(21)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중심부에는 관통홀(22)이 있는 링형태로, 공기가이드(21)의 외면은 상기 흡입유로(51)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한다. 상기 공기가이드(21)의 외면은 경사진 형태이므로 유입된 공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2 and 3, an air guide 21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 The air guide 21 has a ring shape with a through hole 22 in the center and a narrower width toward the bottom,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guide 21 guides the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assage 51. do.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guide 21 is inclined, the introduced air can be naturally guided downward.

상기 공기가이드(21)의 상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가이드면(23)이 경사진 형태로 있다. 상기 공기가이드(21)는 집진공간(S1)의 바닥을 향해 점점 직경이 작아져서 상기 공기가이드면(23)은 자연스럽게 경사면이 된다. 아래에서 설명될 청소유닛(110)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도 3참조)는 상기 공기가이드면(23)의 바깥쪽을 감싸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가이드면(23)을 통해 유동하지는 않지만, 만약 청소유닛(110)이 하강하여 하강위치에 있으면 공기가이드면(23)이 흡입구(8)에서 연결되는 흡입유로(51)와 마주하게 되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해줄 수 있다.(도 4참조) Above the air guide 21, an air guide surface 23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s inclined. The air guide 21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so that the air guide surface 23 naturally becomes an inclined surface. When the cleaning unit 1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in its initial position (see FIG. 3), since i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air guide surface 23, the incoming air does not flow through the air guide surface 23. If the cleaning unit 110 descends and is in the descending position, the air guide surface 23 faces the suction passage 51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8, so that it can guide the flow of incoming air. (FIG. 4 reference)

참고로, 초기위치란 청소유닛(110)이 가장 상부로 이동하여 흡입구(8)의 흡입경로와 연결되는 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하고, 하강위치란 상기 청소유닛(110)이 하강하여 집진공간(S1)의 먼지를 압축하고 필터링유닛(30)의 겉면을 털어낼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For reference, the initial position means that the cleaning unit 110 moves to the top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of the inlet 8, and the descending position means that the cleaning unit 110 descends to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 means a position where dust can be compress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can be brushed off.

상기 공기가이드면(23)의 아래쪽에는 결합단(24)이 돌출된다. 상기 결합단(24)은 상기 공기가이드(21)가 아래에서 설명될 필터링유닛(30)과 조립되는 부분으로, 공기가이드면(23) 아래쪽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결합단(24)에는 조립키(27)가 돌출되고, 상기 조립키(27)는 필터링유닛(30)의 조립홈(36)에 삽입되어 공기가이드(21)와 필터링유닛(30) 사이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들 조립키(27)와 조립홈(36)은 회전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A coupling end 24 protrudes below the air guide surface 23. The coupling end 24 is a part where the air guide 21 is assembled with the filtering unit 30 to be described below, and corresponds to a part that protrudes further downward from the air guide surface 23. An assembly key 27 protrudes from the coupling end 24, and the assembly key 27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36 of the filtering unit 30 to form a gap between the air guide 21 and the filtering unit 30. assembly takes place These assembly keys 27 and assembly grooves 36 may be assembled in a rotational manner.

상기 공기가이드(21)에는 상부, 즉 제2하우징(3)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립보스(26)가 돌출된다. 상기 조립보스(26)는 상기 공기가이드(21)가 제2하우징(3) 내부에 있는 모터케이스(12)와도 조립될 수 있게 하는데, 조립보스(26)는 모터케이스(12)와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서로 조립될 수 있다. An assembly boss 26 protrudes from the air guide 21 toward the top, that is, toward the second housing 3 . The assembly boss 26 allows the air guide 21 to be assembled with the motor case 12 inside the second housing 3, and the assembly boss 26 is the same as the motor case 12 and the bolt They can be assembled together with fasteners.

상기 공기가이드(21)의 상단가장자리는 걸림단(28)을 구성하는데, 상기 걸림단(28)은 공기가이드(21)의 상단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28)은 상기 공기가이드(21)가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하우징(40)과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40)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는 상대걸림부(48)가 걸린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3의 확대도에서 잘 볼 수 있다. The upper edge of the air guide 21 constitutes a hooking end 28, which is formed around the upper edge of the air guide 21. When the air guide 21 is assembled with the inner housing 40 to be described below, the engaging end 28 engages the relative engaging part 48 at the inner edge of the inner housing 40 . This appearance can be well see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 .

상기 공기가이드(21)는 필터링유닛(30)과 조립된다. 상기 필터링유닛(30)은 그 내부에 싸이클론이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실시례에서 청소기의 내부에는 제1싸이클론부(도면부호 부여하지 않음)와 제2싸이클론부(37)가 구비되는데, 필터링유닛(30)의 내부에는 제2싸이클론부(37)가 설치된다. 제1싸이클론부와 제2싸이클론부(37)가 구비됨으로써 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싸이클론부는 별도의 부품으로 설치되지 않고, 하우징(1)의 내면(20)과 공기가이드(21) 및 청소유닛(110)에 의해 제1싸이클론부가 구성된다. The air guide 21 is assembled with the filtering unit 30. The filtering unit 30 has a cyclone installed therein. More precisely, in this embodiment, a first cyclone unit (not referenced) and a second cyclone unit 37 are provided inside the cleaner, and the inside of the filtering unit 30 includes a second cyclone unit. (37) is installed. Since the first cyclone unit and the second cyclone unit 37 are provided, dust can be more effectively filtered ou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yclone unit is not installed as a separate component, but is constituted by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the air guide 21, and the cleaning unit 110.

상기 필터링유닛(30)은 상기 제1하우징(2)의 내부공간(S1) 중심에 설치되어서, 제1하우징(2)의 내면과의 사이에 집진공간(S1)을 만든다. 상기 집진공간(S1)은 제1하우징(2)의 내부공간(S1) 중에서 아래쪽에 만들어지는 것으로, 먼지가 누적되는 제1먼지저장부(S2)로 볼 수도 있다. The filtering unit 3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S1 of the first housing 2 to create a dust collection space S1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is made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pace (S1) of the first housing (2), it can be seen as a first dust storage unit (S2) in which dust accumulates.

이때 하우징(1)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제2싸이클론부(37)는 제1싸이클론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제2싸이클론부(37)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바디(37)의 통로(38)를 통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데, 통로(38)에서 원심력에 의해 공기는 상승하고 이물질은 아래쪽으로 낙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cyclone part 37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cyclone part so that the size of the housing 1 is minimized. 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cyclone unit 37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37 arranged in parallel. Air may flow through the passage 38 of the cyclone body 37, and air rises and foreign substances fall downward by centrifugal force in the passage 38.

상기 제2싸이클론부(37)의 아래쪽에는 먼지가이드(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가이드(31)는 일종의 호퍼처럼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가이드몸체(32)를 포함하고, 가이드몸체(32)의 내부에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37)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제2먼지저장부(S3)가 구획된다. 상기 제2먼지저장부(S3)는 제1먼지저장부(S2) 보다 중심에 형성되는 것으로, 가이드몸체(32)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A dust guide 31 may be provided below the second cyclone part 37 . The dust guide 31 includes a guide body 32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downward like a kind of hopper, and the inside of the guide body 32 stores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37.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S3) is partitione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S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dust storage unit (S2), and can be distinguished by the guide body (32).

도 3을 참조하여,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터유닛(10)의 작동에 의해서 흡입구(8)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화살표 ① 방향)와 먼지는 제1싸이클론부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서로 분리된다. Referring to FIG. 3 ,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Ai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①) sucked in through the inlet 8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10 and dus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unit.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화살표 ② 방향)하여 제1먼지저장부(S2)에 저장된다.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제2싸이클론부(37)로 유동된다. 이때 공기는 필터링유닛(30)을 통과(화살표 ③ 방향)하는데, 필터링유닛(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유닛(30)의 외면에 있는 메쉬망(35)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입자가 큰 먼지는 메쉬망(35)에 있는 좁은 구멍을 통해 걸러질 수도 있다.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flows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②) and is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S2.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flows into the second cyclone unit 37. At this time, the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ing unit 3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③), and passes through the mesh network 3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unit 30. In this process, dust with large particles may be filtered through narrow holes in the mesh 35.

그리고 제2싸이클론부(37)로 유동된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다시 한번 먼지와 분리된다. 제2싸이클론부(37)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제2먼지저장부(S3)에 저장된다.(화살표 ④ 방향)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cyclone unit 37 is separated from dust once again by centrifugal forc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n the second cyclone unit 37 flows downward and is stored in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S3. (arrow ④ direction)

한편, 제2싸이클론부(37)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제2싸이클론부(37)에서 배출되어 모터유닛(10) 쪽으로 상승한다.(화살표 ⑤ 방향) 상승한 공기는 모터유닛(10)의 외측에 있는 프리필터(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한다. 프리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모터유닛(10)을 통과한 후에 제2하우징(3)의 배출공간(S4)에 있는 헤파필터를 지나 공기배출구(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화살표 ⑥ 방향) 여기서 프리필터 또는 헤파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Meanwhile, air separated from dust in the second cyclone unit 37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37 and rises toward the motor unit 10 (arrow ⑤ direction). passes through a pre-filter (not shown) on the outside of Afte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the air passes through the motor unit 10, passes through the HEPA filter in the discharge space S4 of the second housing 3,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3'. (Arrow ⑥ direction) Here, at least one of the pre-filter and the HEPA filter may be omitted.

이때,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는 제1먼지저장부(S2)와 제2먼지저장부(S3)에 쌓이게 되는데, 먼지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사용자가 먼지통인 제1하우징(2)을 개방하면 먼지가 외부로 비산해버린다. 즉, 먼지통 내부에 집진되 먼지가 뭉쳐 있지 않아 버리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소모듈(100)을 두고 있는데, 청소모듈(100)은 먼지를 압축하는 청소유닛(110)과 청소유닛(110)을 움직이는 조작유닛(150)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cyclone unit is accumulat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S2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S3. Since the dust is light, when the user opens the first housing 2, which is a dust bin, The dust scatters to the outside.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throw away because the dust is collected inside the dust bin but does not clump together.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cleaning module 100 to solve this problem, the cleaning module 100 includes a cleaning unit 110 for compressing dust and a control unit 150 for moving the cleaning unit 110 .

참고로 청소유닛(110)이 하강하여 필터링유닛(30) 외면에 붙은 먼지를 제거하는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보면 청소유닛(110)을 구성하는 청소바디(120)와 청소링(130)이 집진공간(S1)의 하부를 향해서 하강되어 있다. 이렇게 청소유닛(11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청소유닛(110)은 먼지를 압축해주고, 청소링(130)은 필터링유닛(30)의 외면에 붙은 먼지를 아래쪽으로 밀어내준다. 도 4를 보면 청소바디(120)와 청소링(130)에 눌린 상부의 먼지가 압축된 상태이다. 이들 구성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For reference,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descends to remove dus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is illustrated in FIG. 4 . Referring to FIG. 4 , the cleaning body 120 and the cleaning ring 130 constituting the cleaning unit 110 are lower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While the cleaning unit 110 descends, the cleaning unit 110 compresses the dust, and the cleaning ring 130 pushes the dus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downward. Referring to FIG. 4 , dust on the upper part pressed by the cleaning body 120 and the cleaning ring 130 is in a compressed state.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링유닛(30)의 외면에는 메쉬망(35)이 있다. 상기 메쉬망(35)은 상기 필터링유닛(3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필터링유닛(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집진공간(S1)에서 제2싸이클론부(37)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메쉬망(35)에는 다수의 구멍들이 있고, 청소기가 사용되면 구멍들은 먼지에 의해 막히거나 좁아질 수 있어서 청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메쉬망(35)의 청소는 청소유닛(1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a mesh network 35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 The mesh network 35 is installed in the filtering unit 30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and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from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to the second cyclone unit 37 plays a role in filtering To this end, the mesh net 35 has a plurality of holes, and when a vacuum cleaner is used, the holes may be clogged or narrowed by dust, so cleaning is required. The cleaning of the mesh 35 may be performed by the cleaning unit 110 .

상기 필터링유닛(30)의 상부에는 이너하우징(40)이 설치된다. 상기 이너하우징(40)은 하우징(1)의 내부공간(S1)에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이너하우징(40)의 일부는 제1하우징(2) 안쪽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하우징(3)의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하우징(40)은 대략 원형틀 형태이고, 내부공간(S1)에 설치되면 공기가이드(21) 및 청소유닛(110)의 바깥쪽을 둘러싼다. An inner housing 40 is installed above the filtering unit 30 . The inner housing 4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inner housing 4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2, and the remaining part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using. It is placed inside (3). The inner housing 40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frame shape,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air guide 21 and the cleaning unit 110 when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1.

상기 이너하우징(40)의 중심에는 위아래로 개방된 관통공간(41)이 있고, 관통공간(41)에 공기가이드(21) 및 청소유닛(110)이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이너하우징(40)의 안쪽에 초기위치의 청소유닛(110)이 있고, 다시 청소유닛(110) 보다 안쪽에 공기가이드(21)가 위치한다. 상기 이너하우징(40)은 청소유닛(110)의 초기위치 주변을 감싸서, 청소유닛(110)의 승강과정 중 적어도 일부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도 있다. At the center of the inner housing 40, there is a through space 41 open up and dow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ir guide 21 and the cleaning unit 110 are located in the through space 41. As shown in FIG. 3, there is a cleaning unit 110 in an initial position inside the inner housing 40, and an air guide 21 is located inside the cleaning unit 110 again. It may be seen that the inner housing 40 serves to guide at least a part of the lifting process of the cleaning unit 110 by wrapping arou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

상기 이너하우징(40)의 한쪽에는 연통창(42)이 개방된다. 상기 연통창(42)은 흡입구(8)에서 연결되는 흡입유로(51)와 내부공간(S1)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D'자 형상이다. 상기 연통창(42)을 통해서 흡입구(8)와 안쪽에 있는 청소유닛(1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A communication window 42 is opened on one side of the inner housing 40 . The communication window 42 is a part connecting the suction passage 51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8 and the internal space S1, and referring to FIG. 17, in this embodiment, it has a substantially 'D' shape. The inlet 8 and the cleaning unit 110 located insid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window 42 .

상기 이너하우징(40)의 외면에는 실링(43)이 결합된다. 상기 실링(43)은 상기 이너하우징(40)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어 실링(43)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 사이의 공기유동을 제한한다. 즉, 실링(43)은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만 공기가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이너하우징(40)은 생략되거나, 제1하우징(2) 또는 제2하우징(3)이 일부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A seal 43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0 . The seal 43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0 to limit air flow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ased on the seal 43 . That is, the seal 43 induces air to flow only along a predetermined path. For reference, the inner housing 40 may be omitted, or the first housing 2 or the second housing 3 may be made as a part.

도 2를 보면, 상기 흡입구(8)에는 흡입하우징(50)이 연결된다. 상기 흡입하우징(50)은 상기 흡입구(8)를 감싸는 형태로 조립되거나, 상기 흡입구(8)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흡입하우징(50)은 흡입구(8)와 하우징(1)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흡입구(8) 보다 직경이 크다. 상기 흡입하우징(50)의 내부에는 흡입구(8)의 흡입공간(8')에 연결되는 흡입유로(51)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 , a suction housing 5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8 . The suction housing 50 may be assembl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uction port 8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ction port 8 . The suction housing 50 connects the suction port 8 and the housing 1,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uction port 8. Inside the suction housing 50, a suction passage 51 connected to the suction space 8' of the suction port 8 is formed.

다음으로 청소모듈(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청소모듈(100)은 크게 청소유닛(110)과 청소유닛(110)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유닛(150)으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청소유닛(110)과 조작유닛(150)은 서로 별개물이고, 조립되어 하나의 청소모듈(100)을 구성할 수 있다. 조작유닛(150)의 조작레버(160)를 비롯한 적어도 일부 구성은 하우징(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하우징(1)의 바깥쪽에서도 청소모듈(100)을 사용할 수 있다. Next, the cleaning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The cleaning module 100 is largely composed of a cleaning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50 for operating the cleaning unit 110 . As shown in FIG. 2 ,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operation unit 150 are separate objects and may be assembled to form one cleaning module 100 . At least some components, including the operating lever 160 of the operating unit 150, protrude outward from the housing 1,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leaning module 100 even outside the housing 1.

도 5에는 본 실시례를 구성하는 청소모듈(100)만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청소모듈(100)을 구성하는 조작유닛(150)은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을 따라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고, 청소유닛(110)은 상기 조작유닛(150)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청소유닛(110)은 조작유닛(150)으로부터 일종의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청소유닛(110)은 승강과정에서 편심되기 쉬운데, 청소유닛(110)이 편심되면 가운데 위치한 필터링유닛(30)과 간섭되어 승강동작이 방해받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격유지리브(127)에 대한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5 shows only the cleaning module 100 constituting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operation unit 150 constituting the cleaning module 100 is installed in an erected form along the elev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cleaning unit 110 is perpendicular to the operation unit 150. is installed as It can be seen that the cleaning unit 110 extends from the control unit 150 in a kind of cantilever shape. Therefore, the cleaning unit 110 tends to be eccentric during the lifting process. When the cleaning unit 110 is eccentric, it interferes with the filtering unit 30 located in the middle, and thus the lifting operation may be hindered. The structure of the spacing rib 127 to solve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a)는 청소유닛(110)이 제1위치인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청소유닛(110)이 하강하여 제2위치인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초기위치에서 하강위치로 청소유닛(11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청소유닛(110)은 집진공간(S1)의 먼지를 압축하고, 메쉬망(35)에 붙은 먼지를 아래쪽으로 제거해준다. 참고로, 도 4에도 청소유닛(110)은 하강위치에 있기는 하지만, 가장 아래쪽까지 하강한 상태는 아니고, 하강을 시작한 상태 정도로 볼 수 있다. 도 5(b)에서는 청소유닛(110)이 상대적으로 더 아래쪽으로 이동한 하강위치에 있다. 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is in the initial position, which is the first position, and FIG. 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is lowered and is in the second position, which is the lowered position. it is depict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leaning unit 11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lowered position, the cleaning unit 110 compresses the dust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and removes the dust attached to the mesh 35 downward. For reference, even though the cleaning unit 110 in FIG. 4 is in a descending position, it is not in a state of descending to the bottom, but can be seen as a state in which the descending has started. In FIG. 5 (b), the cleaning unit 110 is in a lowered position that has moved relatively downward.

조작유닛(150)의 구조를 보면, 조작유닛(150)의 조작하우징(151)은 앞서 설명한 하우징(1)의 외면에 결합되는데, 제1하우징(2)에서 제2하우징(3)을 걸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조작하우징(151)에는 총 2개의 레일이 있는데, 고정레일(172)과 가동레일(175)이다. 고정레일(172)과 가동레일(175)은 모두 조작하우징(151)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데, 고정레일(172)을 고정된 상태이고, 가동레일(175)은 청소유닛(110)과 함께 승강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레일(172)과 가동레일(175)은 모두 얇고 긴 세장형의 봉형상이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operation unit 150, the operation housing 151 of the operation unit 15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 described above, and is vertically spanned from the first housing 2 to the second housing 3. extends in the direction The control housing 151 has a total of two rails, a fixed rail 172 and a movable rail 175. Both the fixed rail 172 and the movable rail 175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trol housing 151, the fixed rail 172 is fixed, and the movable rail 175 is the cleaning unit 110 ) to ascend with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xed rail 172 and the movable rail 175 are in the shape of a thin and long elongated rod.

상기 고정레일(172)에는 조작레버(160)가 연결되어 조작레버(160)는 고정레일(172)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조작레버(160)에는 버튼부(165)가 있는데, 조작레버(160)는 조작하우징(151)의 안쪽에 위치해서 노출되지 않지만, 상기 버튼부(165)는 조작하우징(151)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어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부(165)를 누르면, 조작레버(160)가 고정레일(172)을 따라 하강하면서 가동레일(175)을 함께 하강시킨다. The control lever 160 is connected to the fixed rail 172 so that the control lever 160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xed rail 172 . The control lever 160 has a button part 165. The control lever 160 is located inside the control housing 151 and is not exposed, but the button part 165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housing 151.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165, the control lever 160 descends along the fixed rail 172 while simultaneously lowering the movable rail 175.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버튼부(165)에는 연결블록(170)이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블록(170)은 조작하우징(151)의 안쪽에 위치하여 버튼부(165)를 따라 승강된다. 상기 연결블록(170)은 고정레일(172)을 따라 승강되도록 고정레일(172)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가동레일(175)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록(170)은 버튼부(165)와 함께 상기 고정레일(172)을 따라서 승강하고, 그 과정에서 가동레일을(175)을 승강시킨다. 도 5(a)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블록(170)은 고정레일(172)과 가동레일(175)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면부호 163은 상기 연결블록(170)에 결합된 누름단으로, 연결블록(170)이 하강할 때 스프링(173)을 눌러서 압축시켜주는 부분이다. More precisely, a connection block 170 is connected to the button part 165, and the connection block 170 is located inside the control housing 151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button part 165. The connection block 17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rail 175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xed rail 172 so as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fixed rail 172 . Therefore, the connection block 17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xed rail 172 together with the button unit 165, and in the process, the movable rail 175 moves up and down. As shown in FIG. 5 (a), the connection block 170 is insta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xed rail 172 and the movable rail 175. Reference numeral 163 denotes a pressing end coupled to the connection block 170, and is a part that presses and compresses the spring 173 when the connection block 170 descends.

도면부호 173은 스프링(173)으로, 상기 고정레일(172)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레일(172)에 조립되고, 조작레버(160) 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상기 스프링(173)은 조작레버(160)와 함께 연결블록(17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압축되었다가, 버튼부(165)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조작레버(160)를 원위치, 즉 도 5(a)와 같은 상태로 복귀시켜준다. 물론 이러한 스프링(173)은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ence numeral 173 is a spring 173, which is assembled to the fixed rail 172 in a form fitted to the fixed rail 172, and is located below the control lever 160. The spring 173 is compressed in the process of the connection block 170 descending together with the control lever 160, and when the force pressing the button 165 is removed,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ontrol lever 16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it returns to the state shown in FIG. 5(a). Of course, this spring 173 may be omitted.

상기 가동레일(175)은 조작하우징(151)에 설치되고, 조작레버(160)에 연결되어 조작레버(16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가동레일(175)은 한 쪽 끝은 아래에서 설명될 청소유닛(110)의 연결플레이트(128)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동레일(175)과 청소유닛(110)은 함께 승강된다. 가동레일(175)과 청소유닛(110)의 연결부분은 외력에 의한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이어서 손상이나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128)와 보강플레이트(14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movable rail 175 is installed in the control housing 15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lever 160,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control lever 160. One end of the movable rail 17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late 128 of the cleaning unit 110 to be described below. Therefore, the movable rail 175 and the cleaning unit 110 are lifted together.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movable rail 175 and the cleaning unit 110 is a part where the load due to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so damage or deformation can easily occur. will be explained again below.

도 6에는 조작유닛(160)이 하우징(1)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청소유닛(110)이 원위치인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이고, 도 6(b)는 청소유닛(110)이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상기 하우징(1)의 내면에는 승강채널(GH)이 있다. 상기 승강채널(GH)은 하우징의 내면(20)에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내면(20)이 안쪽으로 더 들어간 형태로 만들어진다.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16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 6(a) i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is in an initial position, which is the original position, and FIG. 6(b) i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is in a lowered pos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 has an elevation channel GH. The elevating channel GH extends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o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surface 20 is formed in a shape further recessed inward.

상기 승강채널(GH)에는 청소유닛(110)에 구비된 연결브라켓(149)이 삽입되는데, 상기 연결브라켓(149)은 상기 승강채널(GH) 안에서 조작유닛(150)의 가동레일(175)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49)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될 바와 같이 청소유닛(110)을 구성하는 청소바디(120)의 연결플레이트(128)를 보강하는 보강플레이트(140)에 있다. The connection bracket 149 provided in the cleaning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elevation channel GH, and the connection bracket 149 is attached to the movable rail 175 of the control unit 150 in the elevation channel GH. Connected. The connecting bracket 149 is located on a reinforcing plate 140 reinforcing the connecting plate 128 of the cleaning body 120 constituting the cleaning unit 110 as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에는 필터리브(R)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필터리브(R)는 연결브라켓(149)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과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의 외면 사이의 틈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리브(R)는 하우징(1)의 내면(20)의 전체 높이 중에서 일부 구간에만 있을 수도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연결브라켓(149)의 승강구간과 같거나, 승강구간 보다 길게 만들어진다. A filter rib R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The filter rib R extends along the asc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and serv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The filter rib R may be present only in a part of the entir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but in this embodiment, it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elevation sec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물론, 연결브라켓(149)의 승강구간 보다 짧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는 청소유닛(110)의 초기위치에서 연결브라켓(149)의 주변에 필터리브(R)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는 필터리브(R)의 전체길이가 연결브라켓(149)의 승강구간 보다 짧을 수도 있다. Of course, it may be made shorter than the lifting section of the connecting bracket 149. For example, filter ribs R are formed around the connection bracket 149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where cleaning is performed while external air is sucked in. In this case, the total length of the filter rib (R) may be shorter than the elevation sec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상기 필터리브(R)는 상기 승강채널(GH)에 인접하여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채널(GH)의 좌우 양쪽 중에서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에 가까운 쪽에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리브(R)는 가이드유로(E)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 중에서 하우징(1)이 내면(20)과 청소유닛(110)의 사이로 파고드는 공기를 차단하여, 승강채널(GH) 안쪽 및 연결브라켓(149) 쪽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lter rib R is provided adjacent to the elevation channel GH, and is provided on a side close to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for guiding the air flow am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ion channel GH. Therefore, the filter rib R blocks the air that penetrates between the inner surface 20 and the cleaning unit 110 of the housing 1 from among the air flowing along the guide passage E, so that the insid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connection bracket 149.

상기 필터리브(R)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구간을 따라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경사지게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직선이 아니라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리브(R)는 상기 연결브라켓(149)이 삽입되는 승강채널(GH) 주변을 감싸도록 'ㄷ'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2개 이상이 나란히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리브(R)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lter rib R may be made along a straight section as shown in FIG. 6, but may also be extend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other shapes other than straight lines are also possible. For example, the filter rib (R) may be made in a 'c' shape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elevating channel (GH) into which the connection bracket 149 is inserted, or two or more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The function of the filter rib R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리브(R)의 횡단면은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의 외면을 향해 폭이 점점 줄어드는 형상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필터리브(R)의 횡단면은 반원형상인데, 이렇게 필터리브(R)의 횡단면이 연결플레이트(128)의 외면을 향해 폭이 점점 줄어들면, 청소유닛(110)의 승강과정에서 연결플레이트(128)와 필터리브(R)가 간섭되더라도 선접촉하여 마찰을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 the cross section of the filter rib R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filter rib (R) has a semicircular shape, an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filter rib (R) is gradually reduced in width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in the lifting process of the cleaning unit 110 Even if the connection plate 128 and the filter rib R interfere, friction can be reduced by line contact.

도 7에는 청소유닛(110)과 조작유닛(150)이 승강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청소유닛(110)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청소유닛(110)이 하강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소유닛(110)을 구성하는 청소바디와 청소링은 조작유닛(150)에 연동하여 승강하는데, 초기위치에 있을 때는 탄성부재(173)에 의해 완전히 상승하여 공기가이드(21)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50 are elevated. FIG. 7(a) shows the cleaning unit 110 in an initial position, and FIG. 7(b) shows the cleaning unit 110 in a lower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body and the cleaning ring constituting the cleaning unit 110 move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150, and when they are in the initial position, they are completely raised by the elastic member 173 and the air guide 21 becomes attached to

그리고 청소유닛(110)이 하강하면 공기가이드(21)에서 떨어져 집진공간(S1)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필터링유닛(30)의 표면을 지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청소유닛(110)은 집진공간(S1)의 먼지를 압축하고, 필터링유닛(30)의 겉면에 있는 메쉬망(35)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게 된다. Further, when the cleaning unit 110 descends, it is separated from the air guide 21 and moves downward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and passes through the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 In this process, the cleaning unit 110 compresses the dust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and shakes off the dust attached to the mesh 3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도 7(b)와 같이 하강위치에 있는 청소유닛(110)은 다시 상승하여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하는데, 이는 조작유닛(150)의 탄성부재(173)에 의한 것이다. 그런데, 청소유닛(110)은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 청소유닛(110)이 초기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청소기가 사용되는 중에,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청소유닛(110)과 하우징(1)의 내면(20) 사이의 틈으로 유동하여 연결브라켓(149) 위에 쌓이거나, (ii) 청소유닛(110)을 승강시킬 때 집진공간(S1)에 존재하던 먼지가 청소유닛(110) 위쪽으로 낙하하여 연결브라켓(149) 위에 쌓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b), the cleaning unit 110 in the lowered position rises again and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which is caused by the elastic member 173 of the control unit 150. However, the cleaning unit 110 may 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For example, (i) while the cleaner is being used with the cleaning unit 110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some of the air sucked into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It flows and accumulates on the connection bracket 149, or (ii) when the cleaning unit 110 is lifted, dust existing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can fall upwards on the cleaning unit 110 and accumulate on the connection bracket 149. there is.

이렇게 되면 청소유닛(110)이 초기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게 되는데, 도 7(c)는 이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연결브라켓(149)의 상면에 쌓인 먼지(Z)가 다져지면 소정의 높이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먼지의 높이만큼 복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염려를 필터리브(R)를 비롯한 여러 구조를 통해 예방하고 있는데,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cleaning unit 110 cannot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FIG. 7(c) shows this state. When the dust Z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is compacted, it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refore cannot return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dust.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ncern is prevented through various structures including the filter rib (R),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다음으로 다시 청소유닛(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청소유닛(110)은 상기 필터링유닛(3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조작유닛(150)에 의해 상기 집진공간(S1) 내부에서 승강된다. 이때, 상기 청소유닛(110)은 초기위치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입구(8)에서 연장되는 공기의 흡입경로와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흡입경로와 연결된다는 것은 공기의 흡입경로 상에 청소유닛(1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흡입경로는 흡입구(8)의 흡입공간(8')과 흡입하우징(50)의 흡입유로(51)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Next, the clean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again. The cleaning unit 11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ering unit 30 and is moved up and down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by the operation unit 150 .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air intake path extending from the intake port 8 at the initial position and serves to guide the flow of air. Here, being connected to the intake path means that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unit 110 is positioned on the air intake path, and the intake path includes the intake space 8 'of the intake port 8 and the intake of the intake housing 50. It can be seen as including the flow path 51.

즉, 상기 청소유닛(110)은 (i) 초기위치에서는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ii) 하강하는 과정에서 집진공간(S1)의 먼지를 압축하며, (iii) 승강할 때 청소유닛(110)의 가이드단(GE)이 필터링유닛(30)의 메쉬망(35)을 쓸어 먼지를 털어내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cleaning unit 110 (i) serves to guide the flow of the sucked air in the initial position, (ii) compresses the dust in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and (iii) moves up and down. The guide end GE of the cleaning unit 110 sweeps the mesh 35 of the filtering unit 30 to remove dust.

도 8을 보면 청소유닛(110)이 흡입하우징(50) 흡입유로(51)와 연결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면부호 Ea는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을 나타내는데, 상기 가이드유로(E, 도 9 및 도 12참조)를 따라서 공기가 나선유동할 수 있다. 즉, 청소유닛(110)과 하우징(1)의 내면(20), 그리고 공기가이드(21)는 제1싸이클론부를 형성하여 흡입된 공기가 1차적으로 싸이클론 유동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8 , it can be seen that the clean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51 of the suction housing 50 . Reference numeral Ea denotes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and air can spirally flow along the guide passage E (see FIGS. 9 and 12). That is, the cleaning unit 110,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air guide 21 form a first cyclone portion so that the sucked air primarily flows in the cyclone.

아래에서 다시 설명되듯이, 상기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을 보면,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은 상대적으로 상부에서 청소바디(120)의 가이드벽(121)과 가이드펜스(124B) 사이에 만들어지는 제1가이드유로(E1)와,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가이드단(GE)과 하우징(1)의 내면(20) 사이에 만들어지는 제2가이드유로(E2)를 포함한다. As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when looking at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is relatively high between the guide wall 121 of the cleaning body 120 and the guide fence. (124B), and a second guide passage (E2) made between the guide end (GE)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

도 9는 흡입구(8)와 흡입유로(51)가 잘 보이도록 청소기의 단면구조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외부의 공기는 흡입구(8) 안쪽의 흡입공간(8')을 따라 안쪽으로 유입되어 흡입하우징(50)의 흡입유로(51)를 통과한다.(화살표 ①방향)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공기유입부(123)를 통해 안쪽으로 들어온다. 상기 공기유입부(123)는 청소유닛(110)의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에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흡입경로와 연결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23)는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일부가 생략되어 공기유로를 흡입구(8)와 연통시키 역할을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공기유입부(123)는 이너하우징(40)의 연통창(42)을 통해서 흡입유로(51)와 연결된다. 9 is a view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viewed from the bottom so that the suction port 8 and the suction passage 51 can be clearly seen.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along the suction space 8' inside the suction port 8 and passes through the suction passage 51 of the suction housing 50 (direction of arrow ①). It comes inward through (123). The air inlet 123 is made at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th. In the air inlet 123, a part of the guide fence 124B is omitted and serves to communicate the air flow path with the intake port 8. Referring to FIG. 8 , the air inlet 123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51 through the communication window 42 of the inner housing 40 .

다시 도 9를 보면, 상기 공기유입부(123)는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을 개방시키는데,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에서 흡입된 공기 및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청소유닛(110)에 강하게 충돌한다. 먼지는 충돌후에 가이드유로(E)를 따라 더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gain, the air inlet 123 opens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and the air sucked in from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and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are cleaned. It hits the unit 110 strongly. Dust may be further introduced into the inside along the guide passage E after the collision.

이때, 납작한 이물질은 세워진 방향(폭에 비해 높이가 높은 방향)으로 유입되면 폭이 좁은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지만, 이물질이 눕혀진 방향(높이에 비해 폭이 넓은 방향)에서 강한 힘으로 유입되면 청소유닛(110)에 충돌한 후에 그 반력에 의해 하우징(1)의 내면(20) 또는 이너하우징(40)의 내면(41') 쪽으로 튕겨서 그 사이에 끼어버릴 염려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단(GE)에 의해 이러한 끼임이 방지된다. At this time, if the flat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 the upright direction (the direction of height compared to width), it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entrance (Ea) of the narrow guide passage (E), bu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eign matter is laid down (the direction of height compared to height) When introduced with a strong force in this wide direction), after colliding with the cleaning unit 110, it bounces towar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or the inner surface 41 'of the inner housing 40 by the reaction force and is sandwiched between them. afraid to throw away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jamming is prevented by a guide end GE to be described below.

한편, 상기 흡입하우징(50)에는 가이드블레이드(55)가 있다. 상기 가이드블레이드(55)는 도 3,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흡입유로(51)의 출구(Eb) 한쪽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판상구조이다. 상기 가이드블레이드(55)는 흡입된 공기의 경로를 설정해주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으로 공기의 유동을 유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housing 50 has a guide blade 55. As shown in FIGS. 3, 8 and 9, the guide blade 55 has a plate-shaped structure installed in a direction blocking one side of the outlet Eb of the suction passage 51. The guide blade 55 sets the path of the inhaled air, more precisely, induces the flow of air to the inlet (Ea) of the guide passage (E).

도 9과 도 10을 보면, 상기 청소유닛(110)의 청소바디(120)에는 덕트블레이드(124A)가 설치되는데, 상기 덕트블레이드(124A)는 공기유입부(123)의 한쪽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세워진다. 상기 덕트블레이드(124A)는 공기의 통로가 상기 덕트블레이드(124A)를 기준으로 한쪽 방향, 즉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으로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덕트블레이드(124A)는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이어서, 청소바디(120)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기능도 있다. 9 and 10, a duct blade 124A is installed in the cleaning body 120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duct blade 124A is erected in a direction blocking one side of the air inlet 123. . The duct blade 124A allows an air passage to be formed in one direction relative to the duct blade 124A, that is, at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In addition, the duct blade 124A has a shape elongated in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thus has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cleaning body 120.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청소유닛(110)의 덕트블레이드(124A)와 흡입하우징(50)의 가이드블레이드(55)는 가상의 연장선(L1)을 따라 연속되게 배치된다. 즉, 덕트블레이드(124A)와 가이드블레이드(55)는 하나의 연속된 공기 유동 경로를 만들어, 흡입된 공기가 공기유입구를 통해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으로 유동하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상의 연장선(L1)은 직선인데, 이와 달리 곡선이거나 소정의 사이각을 가지고 꺾인 선일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9 , the duct blade 124A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guide blade 55 of the suction housing 50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a virtual extension line L1. That is, the duct blades 124A and the guide blades 55 create one continuous air flow path, allowing the sucked air to flow to the inlet Ea of the guide passage E through the air inlet. In this embodiment, the virtual extension line (L1) is a straight line, otherwise, it may be a curved line or a line bent with a predetermined angle.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청소유닛(110)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을 보면, 상기 청소유닛(110)은 크게 청소바디(120)와 가이드단(GE)으로 구성된다. 청소바디(120)는 청소유닛(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링형상의 구조물이고, 가이드단(GE)은 청소바디(120)의 하단에서 더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단(GE)은 아래에서 설명될 청소바디(120)의 결합단부(122)와 청소링(130)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청소링(130)만이 가이드단(GE)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단(GE)은 폐곡선 경로를 만드는 링형상인데,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흡입구(8)에서 연장되는 공기의 흡입경로 상에 위치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Next, the cleaning unit 110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Referring to FIG. 10 , the cleaning unit 110 is largely composed of a cleaning body 120 and a guide end GE. The cleaning body 120 is a ring-shaped structure forming the skeleton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guide end GE extends further from the lower end of the cleaning body 120.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end GE is composed of the coupling end 122 of the cleaning body 120 and the cleaning ring 1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Unlike this, only the cleaning ring 130 supports the guide end GE. can also be configured. The guide end GE has a ring shape forming a closed curve path,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tion is located on the air intake path extending from the intake port 8 to guide the flow of the intake air.

상기 청소바디(120)는 대략 링형상으로 상기 필터링유닛(30)을 둘러싸고 상기 조작유닛(150)에 연결된다. 상기 청소바디(120)는 가이드벽(121)과 가이드펜스(124B)를 포함하는데, 상기 가이드벽(121)과 가이드펜스(124B)는 서로 연결된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벽(121)은 청소바디(120)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되 표면에는 경사면이 있고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단(GE)이 구비된다. The cleaning body 120 surrounds the filtering unit 30 in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50 . The cleaning body 120 includes a guide wall 121 and a guide fence 124B, and the guide wall 121 and the guide fence 124B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guide wall 121 continuously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leaning body 120, but has an inclined surface on the surface and the guide end GE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그리고 가이드펜스(124B)는 상기 가이드벽(121)과 나란하게 연장되되 상기 가이드벽(121)로부터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벽(121)과의 사이에 공기유로인 가이드유로(E)를 만든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흡입구(8)의 일단에서 상기 흡입구(8)의 높이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펜스(124B)가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유로(E)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높이만큼은 만들어질 수 있다.And the guide fence 124B extends parallel to the guide wall 12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wall 121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so that air between the guide wall 121 and the guide fence 124B is formed. Creates a guide euro (E), which is a euro. As shown in FIG. 8, since the guide fence 124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let 8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let 8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the height of the guide passage E At least the height of the guide fence 124B may be made.

보다 정확하게는 공기유입부(123)에서는 가이드펜스(124B)가 생략되므로 가이드벽(121)의 외면과 하우징(1)의 내면(20) 사이에 가이드유로(E)가 만들어지지만, 보다 안쪽에서는 가이드벽(121)의 외면과 가이드펜스(124B)의 내면(124B1, 도 8 및 도 9 참조) 사이에 가이드유로(E)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벽(121)과 가이드펜스(124B)는 일종의 가이드덕트(CB)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유로(E)는 아래쪽에 있는 집진공간(S1) 방향으로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하는 공기를 아래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More precisely, since the guide fence 124B is omitted in the air inlet 123, a guide passage E is cre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wall 121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but the guide is more inward. A guide passage 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1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fence 124B (124B1, see FIGS. 8 and 9). That is, the guide wall 121 and the guide fence 124B constitute a kind of guide duct CB. Since the guide passage E is open toward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at the bottom, the flowing air can be guided downward.

상기 가이드펜스(124B)를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펜스(124B)는 상기 청소유닛(110)을 구성하는 청소바디(120)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과 마주하여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을 따라 연장되면서 안쪽으로 상기 가이드유로(E)를 만든다. 즉, 상기 가이드펜스(124B)는 하우징(1)의 내면(2)과 밀착되거나 소정의 거리를 두고 가깝게 위치하여, 가이드펜스(124B)와 하우징(1)의 내면(20) 사이로는 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Looking at the guide fence 124B, the guide fence 124B is provid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cleaning body 120 constituting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While facing each other and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the guide passage E is made inward. That is, the guide fence 124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2 of the housing 1 or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air flows between the guide fence 124B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is to avoid doing it.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앞부분에는 전면부(124B')가 있다. 상기 전면부(124B')는 가이드펜스(124B)가 시작되는 앞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가이드펜스(124B)에서 상기 공기유입부(123)에 가장 가까운 정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부(124B')는 공기의 흡입경로 앞부분까지 연장되어 공기의 초기 흐름을 안내한다. As shown in FIGS. 7 to 10, the front portion 124B'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guide fence 124B. The front part 124B' means the front end where the guide fence 124B starts, in other words,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closest to the air inlet 123 in the guide fence 124B. The front part 124B' extends to the front part of the air intake path to guide the initial flow of air.

보다 정확하게는,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는 상기 공기의 흡입경로(도 9의 M참조)가 상기 청소유닛(110)의 가이드유로(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내면(124B1)과 만나는 지점(K) 보다 상기 흡입구(8)에 더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경로는 흡입구(8)의 흡입공간(8')과 흡입하우징(50)의 흡입유로(51)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More precisely, as shown in FIG. 9,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is a guide passage E of the cleaning unit 110, More precisely, it extends to a position closer to the inlet 8 than the point K of the guide fence 124B meets the inner surface 124B1.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ath can be seen as including the suction space 8 'of the suction port 8 and the suction passage 51 of the suction housing 50.

도 9를 보면 상기 흡입공간(8')과 연결되는 흡입유로(51)는 흡입공간(8')에서 약간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흡입유로(5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블레이드(124A)와 가이드블레이드(55)가 가상의 연장선(L1)을 따라 연속되게 배치되어 대략 직선 방향의 흡입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경로는 가이드유로(E)를 지나면서 비로소 원주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도 원형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9, the suction passage 51 connected to the suction space 8' extends in a slightly oblique direction from the suction space 8'.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assage 51 has a duct blade 124A And the guide blades 55 are arranged continuously along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L1) to form a suction path in a substantially straight direction. In addition, this intake path is b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ly as it passes through the guide passage E, and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it is also made in a circular direction.

다시 말하면, 흡입된 공기는 초기에는 대략 직선 방향의 흡입경로(도 9의 M참조)를 따라 이동하다가,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을 지나면서 곡선 방향으로 유동하여 싸이클론 유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inhaled air initially moves along an approximately linear intake path (see M in FIG. 9), then flows in a curved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Ea) of the guide passage (E), resulting in a cyclone flow. will be.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는 상기 공기의 흡입경로가 상기 청소유닛(110)의 가이드유로(E)의 안쪽면과 만나는 지점(K) 보다 상기 흡입구(8)에 더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므로, 공기의 흡입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M)의 끝부분(K)은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 보다 상기 가이드유로(E)의 안쪽에서 상기 가이드유로(E)의 내면과 만나게 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is above the point K where the air intake path meets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ssage E of the cleaning unit 110. Since it extends to a position closer to the suction port 8, the end portion K of the virtual extension line M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air intake path is higher than the front portion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The inside of the flow path (E) meets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flow path (E).

이렇게 되면, 흡입된 공기가 본격적으로 회전하면서 가속되기 전에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를 만나게 되므로,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1)의 내면(20)과 상기 가이드펜스(124B) 사이의 틈(N, 도 9 및 도 11참조)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하우징(1)의 내면(20)에 이너하우징(40)이 설치되므로, 도 9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는 흡입된 공기가 이너하우징(40)의 내면(41')과 상기 가이드펜스(124B) 사이의 틈(N)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물론, 이너하우징(40)이 생략된다면,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는 하우징(1)의 내면(20)과 상기 가이드펜스(124B) 사이의 틈(N)으로 빠져나가는 공기를 막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sucked air meets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before being accelerated while rotating in earnest, the sucked air moves betwee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guide fence 124B. It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hrough the gaps (N, see FIGS. 9 and 11) between them. 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ner housing 4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It is prevented from escaping through the gap N between the inner surface 41' of the inner housing 40 and the guide fence 124B. Of course, if the inner housing 40 is omitted,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is the air escaping through the gap N betwee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guide fence 124B. will block

반대로 보면, 흡입된 공기는 다른 경로로 빠지지 않고 가이드유로(E)를 통해서만 유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기의 먼지 분리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공기가 이너하우징(40)의 내면(41')과 상기 가이드펜스(124B) 사이의 틈(N)으로 유입되어 가이드펜스(124B)의 바깥쪽면을 타고 이동하다가 연결브라켓(149)의 상면에 먼지를 떨어뜨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onversely, it means that the inhaled air flows only through the guide passage E without falling into another path. Therefore, the dust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is improv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gap (N) between the inner surface (41') of the inner housing (40) and the guide fence (124B)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fence (124B).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dropp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while moving on the .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는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을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부(123) 쪽을 향해 돌출된 정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는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도 1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부(124B2) 보다 상부(124B1)가 상기 공기유입부(123) 쪽을 향해 더 돌출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는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도 1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부(124B1) 보다 하부(124B2)가 상기 공기유입부(123) 쪽을 향해 더 돌출될 수도 있다.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degrees of protrusion toward the air inlet 123 alo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 Referring to FIG. 13,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has an upper part 124B1 than the lower part 124B2 based on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3). is to further protrude toward the air inlet 123. Of course, on the contrary,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has a lower part 124B2 than the upper part 124B1 based on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3). It may further protrude toward the air inlet 123.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가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을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부(123) 쪽을 향해 돌출된 정도가 다르게 형성되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와 처음 부딪히는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가 공기유입부(123) 쪽을 향해 돌출된 정도가 같게 만들어진 평면이라면, 흡입된 공기는 전면부(124B') 전체와 충돌하게 되고, 먼지들이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When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is formed with a different degree of protrusion toward the air inlet 123 alo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the sucked air is passed through the guide fence. The area of the first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124B' of the 124B may be reduced. For example, if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is a plane made with the same degree of protrusion toward the air inlet 123, the sucked air collides with the entire front part 124B' , the probability of dust being caught increases.

하지만, 본 실시례에 의하면 먼지들은 전면부(124B')를 따라서 한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부(124B')는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도 1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부(124B2) 보다 상부(124B1)가 상기 공기유입부(123) 쪽을 향해 더 돌출되므로, 흡입된 공기가 가이드펜스(124B)와 충돌하는 면적이 줄어들고, 먼지는 상부(124B1)에서 하부(124B2)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전면부(124B') 앞쪽에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이드펜스의 전면부(124B')는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을 따라서 연속된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ust may naturally flow to one side along the front part 124B'.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art 124B' has an upper part 124B1 than the lower part 124B2 based o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air inlet 123 Since it protrudes further toward the side, the area where the inhaled air collides with the guide fence 124B is reduced, and the dust is naturally guided from the upper part 124B1 to the lower part 124B2 so that it does not get caught in front of the front part 124B'. .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may be formed a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or inclined surface alo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so that such a flow occurs naturally.

또한, 이러한 먼지의 안내가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상기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는 상기 공기유입부(123)를 향해 점점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흡입된 공기가 가이드펜스(124B)와 충돌하는 면적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124B')의 양쪽 모서리부분이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면부(124B')의 두께가 얇질 수도 있지만, 도 9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상기 전면부(124B')의 양쪽 모서리 중에서 상기 이너하우징(40)의 내면(41')을 향한 부분은 평면이고, 가이드유로(E)를 향한 부분은 곡면이나 경사면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공기는 보다 자연스럽게 가이드유로(E)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may be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air inlet 123 so as to better guide the dust.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sucked air collides with the guide fence 124B may be further reduced. For example, both corners of the front portion 124B'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ront portion 124B' may be thin, but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9,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124B' Of the corners, a portion facing the inner surface 41' of the inner housing 40 is flat, and a portion facing the guide passage E may be made of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In this way, the air can be more naturally guided toward the guide passage E.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벽(121)의 하단에는 결합단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단부(122)는 가이드벽(121)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더 연장된 부분으로, 여기에는 청소링(13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단부(122)의 표면은 상기 청소링(130)의 표면과 함께 상기 가이드단(GE)을 구성하여 가이드경사면(13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단부(122)의 표면은 집진공간(S1)을 향한 아래쪽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서, 표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사면은 큰 이물질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반력 중 일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유도해준다. 결합단부(122)의 보다 자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13, a coupling end 12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wall 121. The coupling end 122 is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wall 121, to which the cleaning ring 130 is coupled. The surface of the coupling end 122 and the surface of the cleaning ring 130 may form the guide end GE to form the guide slope 135 . That is, the surface of the coupling end 122 extends downward toward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so that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This inclined surface induces some of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when a large foreign object collides downward.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end 122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상기 가이드벽(121)은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청소유닛(110)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흡입구(8)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해준다. 도 13을 보면, 가이드벽(121)의 외면이 경사지게 연장된 모습을 볼 수 있고,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므로 공기를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The guide wall 121 is provid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guides the flow of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8 when the cleaning unit 110 is in an initial position. . Referring to FIG. 13 , 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wall 121 extends obliquely, and since it extends obliquely downward, air can naturally flow downw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소바디(120)의 가이드벽(121)은 상기 가이드단(GE)을 향한 하부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과의 사이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서 공기의 흐름을 아래쪽으로 유도할 뿐 아니라, 가이드벽(121)의 폭을 넓혀 공기흐름성을 좋게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guide wall 121 of the cleaning body 120 extends obliquely so that the gap between the guide wall 121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increases toward the lower portion toward the guide end GE, In addition to guiding the flow downward, the width of the guide wall 121 can be widened to improve air flow.

그리고 도 10과 도 11을 보면, 상기 가이드벽(121)과 상기 가이드펜스(124B)는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에서 가장 높이가 높고, 원주방향을 따라서 점차 높이가 낮아져 가이드유로(E)의 출구(Eb)에 해당하는 덕트블레이드(124A) 근처에서 가장 높이가 낮다. 따라서 가이드유로(E)의 단면적 역시 가이드유로(E)의 진행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짐과 동시에, 가이드유로(E)는 출구(Eb)을 향할수록 점점 아래쪽으로 낮아지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1싸이클론부에 의한 싸이클론 유동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10 and 11, the guide wall 121 and the guide fence 124B have the highest height at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and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guide the passage ( The height is the lowest near the duct blade 124A corresponding to the outlet Eb of E).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uide passage E also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guide passage E,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passage E creates an air flow path that gradually lowers downward toward the outlet Eb. This structure serves to form the cyclone flow by the first cyclone unit.

상기 청소바디(120)에는 연결플레이트(128)가 있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플레이트(128)는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구조로 하우징(1)의 내면(20)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28)는 상기 조작유닛(150)과 청소바디(120)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The cleaning body 120 has a connecting plate 128 .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connecting plate 128 has a plate-shaped structure extending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is lif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 The connection plate 128 is a part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cleaning body 120.

상기 청소바디(120)는 조작유닛(150)으로부터 일종의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었다고 볼 수도 있는데(도 5참조), 따라서 조작유닛(150)과 청소바디(120) 사이의 연결부위에 큰 하중이 가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부위를 보강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연결플레이트(128)는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넓은 연결부위를 제공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에 다시 보강플레이트(140)가 겹쳐져 연결부위의 강도가 더욱 보강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leaning body 120 can be regarded as extending in a kind of cantilever shape from the operation unit 150 (see FIG. 5), so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on unit 150 and the cleaning body 120.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se connecting parts, and for this purpose, the connecting plate 128 may extend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to provide a wide connecting part.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overlapped again on the connection plate 128 to further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연결플레이트(128)는 상기 청소바디(120)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좌우폭이 좁아지면서 연장된다. 점점 좁아지는 좌우폭을 통해서 연결플레이트(128)가 집진공간(S1)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폭이 좁아진 연결플레이트(128)의 끝부분에 상기 조작유닛(150)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149)이 구비되어 연결플레이트(128)가 조작유닛(15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보강플레이트(140)를 통해서 조작유닛(150)과 연결된다. 도 8에서 도면부호 128'은 상기 연결브라켓(149)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해주는 조립홈이다. The connection plate 128 extends while being gradually narrowed in left and right width as the distance from the cleaning body 120 increases. The volume occupied by the connection plate 128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can be reduced through the gradually narrowing left and right widths, and the flow of air can not be disturbed. In addition, a connection bracket 149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narrower connection plate 128 so that the connection plate 128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0, but in this embodiment I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0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140 to be described below. In FIG. 8, reference numeral 128' denotes an assembly groove allowing the connection bracket 149 to protrude rearward.

도 12(a)를 보면, 상기 가이드벽(121)과 가이드펜스(124B) 사이에 만들어진 가이드유로(E)는 원주방향을 따라 초입(Ea)에서 출구(Eb)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화살표 A는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유로(E)는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다가 출구(Eb), 즉 덕트블레이드(124A) 부분에서는 폭이 좁아지면서 공기의 유동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벽(121)은 가이드유로(E)의 전체 경로를 따라 구비되지만, 가이드펜스(124B)는 흡입구(8)를 통한 공기의 유입을 위해서 공기유입부(123)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2 (a), the guide passage E made between the guide wall 121 and the guide fence 124B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ntrance Ea to the exit Eb, Arrow A indicates the path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flowed. The guide passage E extends with a certain width, and then the width narrows at the outlet Eb, that is, the duct blade 124A, so that the flow of air can be accel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wall 121 is provided along the entire path of the guide passage E, but the guide fence 124B is omitted from the air inlet 123 for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8. there is.

한편, 상기 가이드유로(E)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청소바디(120)의 상면에는 상면청소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청소부(125)는 청소바디(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된 경로로 만들어지는 것인데, 상면청소부(125) 쪽으로 공기가 유동하면 청소바디(120)의 상면에 쌓인 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대부분 가이드유로(E)를 따라 유동하지만, 일부는 청소바디(120)의 위쪽으로 유입되어 청소바디(120)의 상면에 먼지가 쌓일 수 있고, 청소유닛(110)이 하강한 상태에서 공기가 유입될 때에도 청소바디(120)의 상면에 먼지가 쌓일 수 있다. 이러한 먼지는 상면청소부(125)의 구조를 통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cleaning part 12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body 120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passage E.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is formed in a continuous pa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leaning body 120. When air flows toward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dust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body 120 can be removed. . Most of the sucked air flows along the guide passage E, but some of the air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body 120, and dust may accumu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body 120, and the cleaning unit 110 is lowered. Dust may accumu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body 120 even when air is introduced from the cleaning body 120 . This dust can be remov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top surface cleaning unit 125.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면청소부(125)는 상기 공기유입부(123)에 인접한 위치에서 시작되는 입구(Oa)가 상면청소부(125)의 출구(Ob) 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면청소부(125)는 입구(Oa)에서 출구(Ob)까지 원주방향을 따라서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다. 상면청소부(125)를 구성하는 제1구간(125a)은 가장 높이가 높은 부분이고, 제1구간(125a)에서 연장된 제2구간(125b)은 제1구간(125a) 보다 높이가 낮다. 그리고 제3구간(125c)은 출구(Ob)인 덕트블레이드(124A)에 가까운 부분으로 가장 높이가 낮다. Referring to FIG. 10 ,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has an inlet Oa starting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air inlet 123 that is higher than an outlet Ob of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 That i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cleaning part 125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let Oa to the outlet Ob. The first section 125a constituting the top cleaning part 125 is the highest part, and the second section 125b extending from the first section 125a has a lower height than the first section 125a. And the third section 125c is a part close to the duct blade 124A, which is the outlet Ob, and has the lowest height.

이때, 제1구간(125a)에서 제3구간(125c)에 걸쳐 높이가 점점 낮아질 수도 있으나 중간 일부는 다시 높이가 다소 높아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소바디(120)의 강도보강을 위해서 상면청소부(125)의 높이가 다시 높아지는 구간이 존재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2구간(125b)의 일부의 높이가 다소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진다. At this time, the height may gradually decrease from the first section 125a to the third section 125c, but the middle portion may become slightly higher again. For example,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leaning body 120, there may be a section in which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is increased again. .

상기 청소바디(120)의 가장자리에는 상부펜스(125')가 돌출된다. 상기 상부펜스(125')는 상면청소부(125)를 지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청소바디(120)의 상면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면청소부(125)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1)의 내부공간(S1)과 마주본다. 상기 상부펜스(125')는 상기 제1구간(125a)과 제2구간(125b)까지는 존재하지만 제3구간(125c)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3구간(125c)은 원주방향을 따라 유동한 공기가 배출되는 구간이기 때문이다. An upper fence 125'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cleaning body 120. The upper fence 125' forms a flow path for air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edge of the cleaning body 120 to constitut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and the housing It faces the inner space (S1) of (1). The upper fence 125' exists in the first section 125a and the second section 125b, but may be omitted in the third section 125c. This is because the third section 125c is a section through which air flow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discharged.

도 12(b)를 보면 제1구간(125a) 및 제2구간(125b)의 폭은 유사하지만, 제3구간(125c)의 폭은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상면청소부(125)의 출구(Ob) 부분은 하우징(1)의 내면(20)과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고, 유동한 공기가 이격된 공간을 통해 집진공간(S1) 쪽으로 하강할 수 있다. 도 12(b)에서 화살표 A'는 청소바디(120)의 상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면청소부(125)를 따라 유동하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12(b), the widths of the first section 125a and the second section 125b are similar, but the width of the third section 125c is relatively narrow. Therefore, the outlet (Ob) part of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can create a spaced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flowing air moves toward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through the spaced space. can descend In FIG. 12( b ), an arrow A' indic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body 120 flows along the upper cleaning part 125 .

도 13을 보면, 공기유입부(123)에 인접한 부분에서 청소유닛(110)의 구성이 단면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청소유닛(110)이 초기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청소유닛(110)은 공기가이드(21)의 공기가이드면(23)에 겹치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청소유닛(110)이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유입되는 공기는 청소유닛(110)에 의해 안내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air inlet 123 is shown in a cross-sectional state.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is in the initial position, and as shown therein, the cleaning unit 110 is positioned overlapping the air guide surface 23 of the air guide 21 . Since the cleaning unit 110 is relatively located outside, the incoming air is guided by the cleaning unit 110 .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보면, 가이드유로(E)가 통로가 되고 상기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을 보면, 상대적으로 상부에서 청소바디(120)의 가이드벽(121)과 가이드펜스(124B) 사이에 만들어지는 제1가이드유로(E1)와,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가이드단(GE)과 하우징(1)의 내면(20) 사이에 만들어지는 제2가이드유로(E2)를 포함한다. 이들은 공기유입부(123)에서 연결되는데 공기유입부(123)는 가이드유로(E)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제1가이드유로(E1)와 제2가이드유로(E2)는 가이드유로(E)의 초입(Ea) 뿐 아니라, 가이드유로(E)를 따라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Looking at the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e guide passage E becomes a passage, and looking at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the guide wall 121 of the cleaning body 120 and the guide fence ( 124B) and a second guide passage E1 formed between the guide ends GE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These are connected at the air inlet 123, but the air inlet 123 may be seen as a part of the guide passage (E). The first guide passage E1 and the second guide passage E2 may be equally configured along the guide passage E as well as the entrance Ea of the guide passage E.

상기 청소유닛(110)을 구성하는 청소바디(120)에는 가이드벽(121)이 있는데, 상기 가이드벽(121)은 집진공간(S1)의 바닥면을 향할수록 이와 마주보는 같은 높이의 하우징(1)의 내면(20)과의 거리가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가이드벽(121)의 외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공기를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The cleaning body 120 constituting the cleaning unit 110 has a guide wall 121, and the guide wall 121 fa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and has the same height as the housing 1 )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20 gradually increases. Therefore,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wall 121, and air can be guided downward.

가이드벽(121)의 하단에는 결합단부(122)가 있다. 상기 결합단부(1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청소링(130)과 함께 가이드단(GE)을 구성한다. 가이드단(GE)은 상기 집진공간(S1)의 바닥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을 향한 가이드단(GE)의 표면은 상기 집진공간(S1)의 바닥을 향할수록 마주보는 같은 높이의 하우징(1)의 내면(20)과의 사이 간격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가이드단(GE)은 집진공간(S1)의 바닥을 향해 청소유닛(110)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단(GE)의 표면에는 가이드경사면(135)이 만들어지고, 가이드단(GE)의 하부로 갈수록 가이드유로(E)의 폭은 커질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guide wall 121 has a coupling end 122. The coupling end 122 constitutes a guide end GE together with a cleaning ring 130 to be described below. The guide end GE extends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and the surface of the guide end GE towar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faces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The beam extends obliquely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eams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t the same height increases. In other words, the guide end GE extends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cleaning unit 110 becomes smaller. Accordingly, the guide slope 135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uide end GE, and the width of the guide passage E may increase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guide end G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청소바디(120)의 가이드벽(121) 하단에는 청소링(130)이 결합된다. 상기 청소링(130)은 가이드벽(121)의 하단에 있는 결합단부(122)에 결합되어 함께 승강되고, 승강과정에서 먼지를 압축할 뿐 아니라 메쉬망(35)에 붙어 있는 먼지를 털어내는 역할도 한다. 상기 청소링(130)은 탄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져 압축과정에서 어느 정도 변형되면서 청소유닛(110)이 보다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게 한다. 물론 청소링(130)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메쉬망(35)의 겉면을 털어내는 작업에도 유리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ring 1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wall 121 of the cleaning body 120. The cleaning ring 1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end 122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wall 121 and lifts together, compressing dust during the lifting process and dusting off the dust attached to the mesh 35. also do The cleaning ring 1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so that the cleaning unit 110 can move up and down more smoothly while being deformed to some extent during compression. Of course, since the cleaning ring 1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also advantageous to clean the outer surface of the mesh net 35.

상기 청소링(130)은 대략 링형상인데, 본 실시례에서는 이중사출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벽(121)의 결합단부(122)에 결합된다. 결합단부(122)에 결합된 상기 청소링(130)의 전면(135)은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을 향하고 상기 청소링(130)의 배면(134)은 상기 청소유닛(11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링유닛(30)의 표면을 향한다. 상기 청소링(130)의 전면(135)은 결국 가이드경사면(135)이기도 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The cleaning ring 130 has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end 122 of the guide wall 121 through double inj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135 of the cleaning ring 130 coupled to the coupling end 122 faces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rear surface 134 of the cleaning ring 130 faces the cleaning unit 110.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it faces the surface of the filtering unit 30 . Since the front surface 135 of the cleaning ring 130 is also the guide inclined surface 135 after al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도 13을 참고하여 청소링(130)과 가이드벽(121)의 결합부분을 보면, 청소링(130)의 상면(132)에는 상면결합부(132a)와 제1측면결합부(132b)가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고, 이와 맞물리는 결합단부(122)의 저면에는 저면결합부(122a)와 제2측면결합부(122b)가 있다. 이들은 대략 'ㄱ'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청소링(130)과 가이드벽(121) 사이의 결합면적을 넓혀준다. Referring to FIG. 13, looking at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leaning ring 130 and the guide wall 121,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cleaning ring 130 has an upper surface coupling portion 132a and a first side coupling portion 132b. Connected orthogonally, there is a bottom surface coupling portion 122a and a second side coupling portion 122b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end portion 122 engaged therewith. These have an approximate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which widens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 cleaning ring 130 and the guide wall 121.

이와 같이 청소링(130)의 상면(132)과 가이드벽(121)의 저면이 맞물려 결합되더라도, 청소링(130)의 정면(135)과 배면(134)까지 가이드벽(121)에 덮히는 것에 비해서는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지만,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벽(121)에는 서포트리브(126)가 구비되어 이를 보완해줄 수 있다. In this way, even if the upper surface 132 of the cleaning ring 1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wall 121 are engaged and coupled, the front surface 135 and the rear surface 134 of the cleaning ring 130 are covered by the guide wall 121. Although the bonding force may be relatively weak compared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wall 121 is provided with a support rib 126 to compensate for this.

도 10과 도 14를 보면, 상기 청소유닛(110)에는 서포트리브(126)가 있다. 상기 서포트리브(126)는 상기 청소바디(120)의 하부, 보다 정확하게는 가이드벽(121)의 결합단부(122)에서 아래쪽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서포트리브(126)는 상기 집진공간(S1) 바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청소링(130)의 가이드경사면(135)의 반대면인 배면(134)을 지지한다. 즉 상기 서포트리브(126)는 상기 청소링(130)의 저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후방에서 지지해주는 것이다. 10 and 14, the cleaning unit 110 has a support rib 126. The support rib 126 further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leaning body 120, more precisely, from the coupling end 122 of the guide wall 121. The support ribs 126 protrude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to support the rear surface 134, which is opposite to the guide inclined surface 135 of the cleaning ring 130. That is, the support rib 126 support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ring 130 from the rear.

상기 서포트리브(126)는 상기 청소바디(120)를 둘러 다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리브(12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청소링(130)의 하단과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거나 청소링(130)의 하단보다 더 돌출된다. A plurality of support ribs 126 are provided around the cleaning body 120, and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ribs 126 protrudes to the same length as the lower end of the cleaning ring 130 or extends from the cleaning ring 130. It protrudes more than the bottom.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청소링(130)은 상기 청소바디(120)에 이중사출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청소링(130)이 이중사출되는 과정에서 고온의 환경으로 인해 변형될 수도 있지만 서포트리브(126)가 이를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과정에서도 서포트리브(126)가 청소링(130)의 말림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물론, 상기 청소링(130)은 상기 청소바디(120)에 접착체로 부착되거나, 억지끼움, 돌기결합구조 등 다양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ring 130 is coupled to the cleaning body 120 through double injection. The cleaning ring 130 may be deformed due to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during the double injection process, but the support rib 126 prevents this. In addition, the support rib 126 can prevent the cleaning ring 130 from being curled even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cleaning unit 110 . Of course, the cleaning ring 130 may be attached to the cleaning body 120 with an adhesive, or may be assembl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an interference fitting structure and a protrusion coupling structure.

그리고 서포트리브(126)에는 간격유지리브(127)가 돌출되는데, 간격유지리브(127)가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청소유닛(11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청소유닛(110)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다. 간격유지리브(127)가 없다면 청소유닛(110)이 편심되었을 때 플랙시블한 재질의 청소링(130)이 메쉬망(35)과 마찰하면서 말려올라가거나 뒤집힐 수도 있는데, 간격유지리브(127)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rib 126 has a gap maintaining rib 127 protruding, and since the gap maintaining rib 127 extends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the cleaning unit 110 moves up and down. The eccentricity of (110) can be prevented. If there is no spacing rib 127, when the cleaning unit 110 is eccentric, the cleaning ring 13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rolled up or turned over while rubbing with the mesh 35, the spacing rib 127 can solve these problems.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단부(122)에는 단차(122')가 있다. 상기 단차(122')는 상기 청소링(130) 보다 결합단부(122)가 하우징(1)의 내면(20)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만들어지는 것인데, 이것은 결합단부(122)의 두께가 청소링(130) 보다 두껍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차(122')를 통해서 청소링(130)이 이중사출을 통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단부(122)의 저면이 더 넓어져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이중사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coupling end 122 has a step 122'. The step 122' is made so that the coupling end 122 protrudes more towar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than the cleaning ring 130, which means that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end 122 is the cleaning ring ( 130) can also be expressed as thicker. Through this step 122',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end 122 to which the cleaning ring 130 can be coupled through double injection is wider, enabling stable coupling and facilitating the double injection operation.

도 14를 보면, 청소유닛(110)과 이너하우징(40)이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너하우징(40)에 형성된 연통창(42)을 통해서 청소유닛(110)의 일부가 흡입구(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통창(42) 안쪽에는 청소유닛(110)의 공기유입부(123)가 위치하고, 연통창(42)의 한쪽으로는 덕트블레이드(124A)가 밀착된다. 따라서 흡입구(8)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자연스럽게 공기유입부(123) 쪽으로 안내된다. 도 15를 보면 청소바디(120)를 기준으로 위쪽으로는 가이드벽(121)의 상부에 의해 막혀있기 때문에, 공기는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유동한다. Referring to FIG. 14 ,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inner housing 40 are assembled is shown. A part of the cleaning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8 through the communication window 42 formed in the inner housing 40 . An air inlet 123 of the cleaning unit 110 is located inside the communication window 42, and a duct blade 124A is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window 42. Therefore,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8 is naturally guided toward the air inlet 123. Referring to FIG. 15, since the upper part of the guide wall 121 blocks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body 120, the air naturally flows downward.

다시 말해, 공기유입부(12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청소바디(120)를 구성하는 가이드벽(121)과 가이드펜스(124B) 사이에 있는 가이드유로(E)를 따라서 유동하지만, 일부는 상면청소부(125) 쪽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하지만 청소바디(120) 상면쪽으로 유입된 공기는 앞서 설명한 상면청소부(125)의 구조를 통해서 상면청소부(125)를 따라 유동된 후에 다시 집진공간(S1) 방향으로 배출된다. In other word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23 flows along the guide passage E between the guide wall 121 constituting the cleaning body 120 and the guide fence 124B, but some of it flows along the upper surface. It may flow toward the cleaner 125. However, the air introduc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ing body 120 flows along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upper surface cleaning unit 125 and then is discharged again toward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도 16에는 청소유닛(110)과 이너하우징(40)이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청소유닛(110)을 구성하는 보강플레이트(140)도 청소바디(120)에서 분리되어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상기 청소바디(120)의 연결플레이트(128)에 겹쳐지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연결플레이트(128)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청소바디(120), 청소링(130) 그리고 연결플레이트(128)가 하나의 청소유닛(110)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1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unit 110 and the inner housing 40 are separated, and the reinforcing plate 140 constituting the cleaning unit 110 is also separated from the cleaning body 120 . The reinforcement plate 140 is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plate 128 of the cleaning body 120 in an overlapping manner to reinforce the connection plate 128 . It can be said that the cleaning body 120 , the cleaning ring 130 and the connection plate 128 constitute one cleaning unit 110 .

상기 보강플레이트(1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판상 구조이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와 대응하는 형상이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40)의 상부에는 조립몸체(141)가 있고, 그 아래쪽에는 보강몸체(148)가 연장된다. 상기 보강몸체(148)는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와 마찬가지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이다. 즉, 보강몸체(148)의 상부(148a)는 하부(148b) 보다 폭이 넓어서 연결플레이트(128)와 유사한 구조가 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the reinforcing plate 140 has a plate-like structure, and the reinforcing plate 140 basical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late 128. An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has an assembly body 141, and a low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ody 148 extends. Like the connection plate 128, the reinforcing body 14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That is, the upper part 148a of the reinforcing body 148 has a wider width than the lower part 148b, so that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connection plate 128.

상기 조립몸체(141)의 구조를 보면, 상기 조립몸체(141)는 제1조립몸체(142)와 제2조립몸체(143)가 구비되는데, 제1조립몸체(142)와 제2조립몸체(143)는 서로 절곡된 형상이다. 상기 제2조립몸체(143)는 제1조립몸체(142)로부터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인데, 상기 제1조립몸체(142)와 제2조립몸체(143)는 전체적으로 일종의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청소바디(120)의 일부구간과 결합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assembly body 141, the assembly body 141 is provided with a first assembly body 142 and a second assembly body 143, the first assembly body 142 and the second assembly body ( 143) is a shape bent to each other. The second assembly body 143 is bent and protrudes from the first assembly body 142, and the first assembly body 142 and the second assembly body 143 extend in a kind of arc shape as a whole, It is combined with a part of the cleaning body 12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립몸체(141)는 상기 청소바디(120)의 가이드벽(121)과 가이드펜스(124B) 사이에 만들어진 가이드유로(E)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가이드유로(E)와 같은 형상으로 겹쳐진다.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조립몸체(141) 자체도 일종의 가이드유로(E)의 일부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고,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More precisely, the assembly body 14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guide passage E formed between the guide wall 121 of the cleaning body 120 and the guide fence 124B,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guide passage E. overlap with As shown in FIG. 20, the assembly body 141 itself can be regarded as forming a part of a kind of guide passage E,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도 16 및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조립몸체(141)에는 청소바디(120)와의 조립을 위한 구조들이 있는데, 제1조립부(145)와 제2조립부(146) 그리고 제3조립부(147)를 포함한다. 이들 조립부들은 청소바디(120)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청소바디(120)에 있는 상대조립부에 걸려 보강플레이트(140)를 상기 청소바디(120)에 고정시켜준다. 자세한 조립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assembly body 141 has structures for assembly with the cleaning body 120, including a first assembly part 145, a second assembly part 146, and a third assembly part 147. ). In the process of being assembled to the cleaning body 120, these assembling parts are caught on the relative assembly part of the cleaning body 120 to fix the reinforcing plate 140 to the cleaning body 120. The detailed assembly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상기 보강플레이트(140)의 보강몸체(148) 한쪽에는 연결브라켓(149)이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49)은 보강몸체(148) 아래쪽에서 돌출된 것으로, 하우징(1)의 내면(20)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49)은 상기 조작유닛(150)의 가동레일(175) 하단에 연결되어 가동레일(175)과 보강플레이트(140)가 함께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브라켓(149)은 하우징(1)의 내면(20)에 있는 승강채널(GH)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고, 가동레일(175)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로 조립될 수 있다. There is a connection bracket 149 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ody 148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The connection bracket 149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body 148 and protrudes towar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The connection bracket 149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vable rail 175 of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movable rail 175 and the reinforcing plate 140 are lifted together. The connection bracket 149 is lif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ift channel GH i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may be assembled to the movable rail 175 with a separate fastener such as a bolt.

이러한 보강플레이트(140)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거나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알루미늄재질이고, 상기 청소바디(120)는 합성수지재질이다. The reinforcing plate 14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made of aluminum, and the cleaning body 120 is made of synthetic resin.

한편, 도 18과 도 20을 보면 상기 청소유닛(110)에는 차단벽(128c,148c)이 있다. 상기 차단벽은 외측차단벽(128c)과 내측차단벽(148c)을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에는 외측차단벽(128c)이 있다. 상기 외측차단벽(128c)은 상기 가이드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연결플레이트(128)에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을 향한 외측차단벽(128c)의 표면은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의 표면과 연속된 곡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외측차단벽(128c)의 바깥쪽 표면은 하우징(1)의 내면(20)과 마주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8 and 20 , the cleaning unit 110 has blocking walls 128c and 148c. The blocking wall includes an outer blocking wall 128c and an inner blocking wall 148c, and the connection plate 128 has an outer blocking wall 128c.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is formed on the connection plate 128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ir flow direction A formed along the guide passage, and the outer blocking wall faces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The surface of (128c) form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with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Ther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faces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상기 외측차단벽(128c)은 연결플레이트(128)의 면적이 더 넓어진 부분으로 볼 수 있는데, 즉 상기 외측차단벽(128c)은 연결플레이트(128)의 일부가 더 연장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can be regarded as a portion in which the area of the connecting plate 128 is wider, that is,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can be said to be a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128 is extended. .

도 20에서 보듯이, 연결플레이트(128)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Y)을 중심으로 볼 때, 외측차단벽(128c)이 있는 좌측 부분(M1)이 우측 부분(M2) 보다 넓다. 이렇게 공기유동 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연결플레이트(128)의 살이 추가되면, 공기유동을 따라 이동하는 먼지가 연결브라켓(149) 쪽으로 유입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외측차단벽(128c)의 바깥쪽 표면은 하우징(1)의 내면(20)과 마주하는데, 외측차단벽(128c)의 존재로 인해 공기가 하우징(1)의 내면(20)과 외측차단벽(128c)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브라켓(149)의 상부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20, when viewed from the reference line Y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late 128, the left part M1 with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is wider than the right part M2. If the flesh of the connection plate 128 is ad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ir flow direction A, dust moving along the air flow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onnection bracket 149.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faces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due to the existence of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air flows betwee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outer blocking wall ( 128c) makes it difficult to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accumulati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에는 보강플레이트(140)가 겹쳐지게 결합되므로, 보강플레이트(140)에도 동일한 형상의 내측차단벽(148c)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6과 도 19에서 보듯이, 상기 내측차단벽(148c)은 외측차단벽(128c)과 같은 형상일 수 있고, 따라서 내측차단벽(148c)과 외측차단벽(128c)의 끝부분은 두께가 두꺼워진다. 내측차단벽(148c)은 보강플레이트(140)가 생략되면 함께 생략되고, 내측차단벽(148c)과 다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Since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overlapped and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128, the inner blocking wall 148c having the same shape can be formed on the reinforcing plate 140 as well. As shown in FIGS. 6 and 19, the inner blocking wall 148c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and thus the ends of the inner blocking wall 148c and the outer blocking wall 128c have a thickness. It gets thicker. The inner blocking wall 148c is also omitted when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omitted, and may be made in a different shape from that of the inner blocking wall 148c.

한편, 도 20을 보면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의 표면에 필터리브(R)가 구비된 것을 볼 수 있다. 앞서 상기 필터리브(R)는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에 구비되었었지만, 상기 필터리브(R)는 연결플레이트(128)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필터리브(R)는 연결플레이트(128)의 표면과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에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의 표면에 있는 필터리브(R)는 상기 하우징(1)의 내면(20)과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의 외면 사이의 틈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20 , it can be seen that filter ribs R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28 . Previously, the filter rib R wa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but the filter rib R may be provided on the connection plate 128. Alternatively, the filter ribs R may b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and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respectively. The filter rib R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serv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

상기 청소바디(120)에는 보강플레이트(140)가 결합된다. 도 20을 보면, 상기 청소바디(120)의 아래쪽으로 연결된 연결플레이트(128) 앞에 보강플레이트(140)가 겹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청소유닛(110)을 승강시키는 힘은 조작유닛(150)과 연결된 연결브라켓(149)에 집중되는데, 연결브라켓(149)을 기점으로 청소유닛(110)이 흡입구(8)를 향해 돌출된 길이가 길기 때문에 연결브라켓(149)에 큰 하중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연결부위, 즉 연결플레이트(128) 부분이 쉽게 틀어질 수 있는데, 연결플레이트(128)가 틀어지면 청소유닛(110)이 전체적으로 편심되어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없다.A reinforcing plate 140 is coupled to the cleaning body 120 . Referring to FIG. 20 , it can be seen that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overlapped in front of the connection plate 128 connected downward of the cleaning body 120. The force for lifting the cleaning unit 110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on bracket 149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leaning unit 110 toward the suction port 8 starting from the connection bracket 149 is Since it is long, a large load is inevitably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bracket 149. Therefore, the connecting portion, that is, the connecting plate 128 portion may be easily twisted. When the connecting plate 128 is twisted, the cleaning unit 110 is eccentric as a whole, so that smooth elevation cannot be achieved.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청소바디(120)와 겹쳐져서 연결부위의 강도를 보강하고, 외력에 의해 틀어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플레이트(140)의 보강몸체(148)가 상기 연결플레이트(128)와 대응하는 형상이므로 겹침면적이 넓다. 도 24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는 연결플레이트(128)와 보강플레이트(140)의 보강몸체(148)의 형상이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보강몸체(148)는 연결플레이트(128)의 일부와만 겹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plate 140 overlaps with the cleaning body 12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prevents it from twisting or bending due to external forc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inforcing body 148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late 128, the overlapping area is wide. As shown in FIG. 24,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aid that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late 128 and the reinforcing body 148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are almost the same. In contrast, the reinforcing body 148 is part of the connecting plate 128. may overlap only with

한편, 도 20과 도 21에는 연결브라켓(149)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1에서는 상기 연결브라켓(149)이 승강채널(GH) 안에 삽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49)은 보강플레이트(140)에서 승강채널(GH)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중심에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홀(149')이 있다. 상기 체결홀(149')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브라켓(149)는 가동레일(175)과 조립된다. Meanwhile, FIGS. 20 and 21 show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bracket 149, and in FIG. 21, the connecting bracket 149 is shown inserted into the lifting channel GH. The connection bracket 149 protrudes from the reinforcing plate 140 in the direction of the elevation channel GH, and has a fastening hole 149' into which a fastener is inserted at the center. When a fastener such as a bol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49', the connecting bracket 149 is assembled with the movable rail 175.

이때,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브라켓(149)의 상면에는 상기 집진공간(S1)의 바닥을 향해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배출경사면(149a)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경사면(149a)은 상기 가이드유로(E)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화살표 A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출경사면(149a)에 먼지가 쌓이더라도 중력에 의해 집진공간(S1)의 바닥 쪽(화살표 B방향)으로 먼지들이 낙하하게 된다. At this time, a discharge slope 149a gradually decreasing in height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ng space S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based o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 The discharge slope 149a is gradually lowered in height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arrow A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passage E. Therefore, even if dust accumulates on the discharge slope 149a, the dust falls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direction of arrow B) by gravity.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149)의 양쪽 측면 중에서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화살표 A방향)과 마주보는 쪽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149)의 승강방향으로 형성되는 평면부(149b)가 있다.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평면부(149b)는 표면이 평면이고, 그 상단에서부터 배출경사면(149a)이 시작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평면부(149b)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배출경사면(149a)의 가장 높은 지점이 시작되는 것이다. And, among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on the side facing the air flow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A) formed by the guide passage, a flat portion 149b formed in the elev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 is there. As shown in FIG. 20, the surface of the flat part 149b is flat, and the discharge slope 149a starts from the top. More precisely, the highest point of the discharge slope 149a starts from the upper end of the flat portion 149b.

이렇게 되면, 상기 평면부(149b)는 공기유동 방향(화살표 A방향)을 따라 유입된 공기는 가로막고, 설사 공기가 평면부(149b) 위쪽으로 타고 넘거나 먼지가 위쪽에서부터 낙하하여 연결브라켓(149)의 위쪽으로 내려앉더라도, 배출경사면(149a)을 따라 아래쪽(화살표 B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브라켓(149)의 상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lat part 149b blocks the air introduced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arrow A direction), and even if the air rides over the flat part 149b or dust falls from the top, the connection bracket 149 Even if it sinks upward, it falls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along the discharge slope (149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ccumulation of dus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도 21에 보듯이, 상기 연결브라켓(149)의 양쪽 중에서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화살표 A방향) 쪽에는 앞서 설명한 필터리브(R)가 있어서, 공기유동 방향(화살표 A방향)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 중에서 연결플레이트(128)의 표면과 하우징(1)의 내면 사이로 파고드는 일부 공기를 1차적으로 차단해준다. As shown in FIG. 21, there is a filter rib R described above on the side of the air flow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A) formed by the guide passage among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in the direction of air flow (direction of arrow A). Some of the air that penetrates betwee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 is primarily blocked from the air introduced along the .

물론, 아주 일부의 공기는 연결플레이트(128)의 표면과 하우징(1)의 내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지만, 유입된 공기 중의 먼지가 위쪽에서부터 낙하하여 연결브라켓(149)의 위쪽으로 내려앉더라도, 배출경사면(149a)을 따라 아래쪽(화살표 B방향)으로 낙하한다. Of course, a very small amount of air may flow betwee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12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 but even if dust in the introduced air falls from the top and settles on the top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the exhaust It falls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along the inclined surface 149a.

상기 연결브라켓(149)의 상부로 유입되는 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구조를 정리해보면, (i) 먼저 흡입된 공기가 본격적으로 회전하면서 가속되기 전에 가이드펜스(124B)의 전면부(124B')를 만나게 되므로,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1)의 내면(20)과 상기 가이드펜스(124B) 사이의 틈(N)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ii) 연결플레이트(128)에는 공기유동 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연결플레이트(128)의 살이 추가된 차단벽이 있어서 공기유동을 따라 이동하는 먼지가 연결브라켓(149)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iii) 승강채널(GH)의 좌우 양쪽 중에서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로(E)의 초입(Ea)에 가까운 쪽에 필터리브(R)가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리브(R)에 다시 한번 차단되고, (iv) 일부의 공기가 연결플레이트(128)의 표면과 하우징(1)의 내면 사이로 유입되더라도, 연결브라켓(149)의 배출경사면(149a)을 따라 집진공간(S1) 바닥쪽으로 낙하한다. Summarizing the structure for blocking dust flowing in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i) first, the sucked air meets the front part 124B' of the guide fence 124B before being accelerated while rotating in earnest. Therefore, the sucked air is prevented from escaping through the gap N between the inner surface 20 of the housing 1 and the guide fence 124B, and (ii) the connection plate 128 has an air flow direction (A) There is a blocking wall in which the flesh of the connection plate 128 is ad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lock dust moving along the air flow from entering the connection bracket 149, and (iii) air A filter rib (R) is provided on the side close to the inlet (Ea) of the guide flow path (E) for guiding the flow, so that air is once again blocked by the filter rib (R), and (iv) some of the air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late (128) Even if it flows in betwee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 it falls toward the bottom of the dust collection space S1 along the discharge slope 149a of the connection bracket 149.

한편, 연결플레이트(128)에 보강플레이트(140)가 조립되는 구조를 보면, 도 18 및 도 19에서 보듯이 상기 청소바디(120)에는 다수개의 구멍들이 있다. 상기 구멍들은 상기 청소유닛(110)의 승강방향으로 뚫려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제1조립홀(H1), 제2조립홀(H2) 및 제3조립홀(H3)이 있다. 상기 제1조립홀(H1)에는 보강플레이트(140)의 조립몸체(141)에 있는 제1조립부(145)이 조립되고, 제2조립홀(H2)에는 제2조립부(146)가 조립되면, 제3조립홀(H3)에는 제3조립부(147)가 조립된다. Meanwhile, looking 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assembled to the connection plate 128,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cleaning body 120 has a plurality of holes. The holes are drilled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110, and in this embodiment, there are a first assembly hole H1, a second assembly hole H2, and a third assembly hole H3. The first assembly part 145 of the assembly body 141 of the reinforcing plate 140 is assembled in the first assembly hole H1,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146 is assembled in the second assembly hole H2. Then, the third assembly part 147 is assembled in the third assembly hole H3.

상기 제1조립홀(H1)에는 상기 제1조립부(145)가 삽입되어 후크방식으로 걸려 고정된다. 도 18의 V-V'선에 대한 단면도인 도 22를 보면, 상기 제2조립홀(H2)에 삽입된 제2조립부(146)는 그 끝이 상기 제2조립홀(H2) 가장자리에 있는 조립단(H2')에 걸려 고정된다. 제3조립홀(H3)에 삽입된 제3조립부(147)는 일종의 빈 공간이지만(도 19참조), 그 안쪽에는 조립단부(147')가 있어서 상기 제3조립홀(H3)의 입구 가장자리에 있는 안착단(H3')에 걸려 고정된다. 물론, 이러한 조립구조는 하나의 예시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보강플레이트(140)가 연결플레이트(128)에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플레이트(140)는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청소바디(120)에 조립될 수 있고,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도 있다. The first assembly part 145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hole H1 and is hooked and fixed. Referring to FIG. 22,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V-V' of FIG. 18, the second assembly part 146 inserted into the second assembly hole H2 has an end at the edge of the second assembly hole H2. It is hooked on the assembly end (H2') and fixed. The third assembly part 147 inserted into the third assembly hole H3 is a kind of empty space (see FIG. 19), but there is an assembly end 147' inside the third assembly hole H3 at the entrance edge of the third assembly hole H3. It is hooked and fixed to the seating end (H3') in Of course, this assembly structure is just one example, and the reinforcing plate 140 may be assembled to the connection plate 128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reinforcing plate 140 may be assembled to the cleaning body 120 in an insert injection method, or may be assembled using a separate fastene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하우징 2: 제1하우징
3: 제2하우징 5: 손잡이부
8: 흡입구 20: 내면
21: 공기가이드 30: 필터링유닛
35: 메쉬망 40: 이너하우징
50: 흡입하우징 100: 청소모듈
110: 청소유닛 120: 청소바디
121: 가이드벽 124A: 덕트블레이드
124B: 가이드펜스 124B': 전면부
126: 서포트리브 127: 간격유지리브
128: 연결플레이트 128C: 차단벽
130: 청소링 140: 보강플레이트
149: 연결브라켓 149a: 배출경사면
150: 조작유닛 151: 조작하우징
160: 조작레버 165: 버튼부
R: 필터리브
1: housing 2: first housing
3: second housing 5: handle
8: inlet 20: inner surface
21: air guide 30: filtering unit
35: mesh network 40: inner housing
50: suction housing 100: cleaning module
110: cleaning unit 120: cleaning body
121: guide wall 124A: duct blade
124B: guide fence 124B': front
126: support rib 127: spacing rib
128: connecting plate 128C: barrier
130: cleaning ring 140: reinforcing plate
149: connection bracket 149a: discharge slope
150: control unit 151: control housing
160: control lever 165: button part
R: filter rib

Claims (20)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집진공간을 만드는 필터링유닛;
상기 필터링유닛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조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집진공간 내부에서 승강되되 초기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구에서 연장되는 공기의 흡입경로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로를 갖는 청소유닛;
상기 청소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청소유닛과 함께 승강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유닛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배출경사면이 형성되는 청소기.
a housing provided with an air inlet;
a filtering unit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creating a dust collecting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guide passage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ering unit, moved up and down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unit, and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air intake path extending from the intake port at the initial position to guide the flow of the sucked air. a cleaning unit having;
a connection plate provided in the cleaning unit and extending in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and
And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and lifted together with the cleaning unit.
A discharge slope gradually decreasing in height along an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passage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opera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경사면은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상면에 형성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slop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operation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을 따라 승강채널이 함몰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승강채널에 삽입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 wherein an elevation channel is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a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control unit is inserted into the elevation channe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승강채널 안에서 상기 조작유닛의 가동레일에 연결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bracket is connected to the movable rail of the control unit in the lift channe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일부는 상기 조작유닛의 승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관통된 부분에 상기 가동레일이 삽입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4, wherein a portion of a connection bracket connecting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control unit is passed through in a direction parallel to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ovable rai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조작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의 양쪽 측면 중에서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과 마주보는 쪽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승강방향으로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배출경사면의 가장 높은 지점이 시작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f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control unit, a flat surface is formed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racket on the side facing the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passage, , The highest point of the discharge slope starts from the upper end of the plane pa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기 승강채널의 내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6 , wherein the plane part faces an inner surface of the elevation channel.
청구항 3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대편을 향해 필터리브가 돌출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3, wherein a filter rib protrudes toward the other side from at least on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facing each oth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리브는 상기 승강채널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필터리브는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승강채널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8 , wherein the filter rib is dispos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lifting channel, and the filter rib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channel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passag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리브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8 , wherein the filter ribs extend along an elev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유로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차단벽이 연장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 , wherein a blocking wall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air flow direction formed along the guide passage on the connection pla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차단벽의 표면을 향해 필터리브가 돌출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1, wherein a filter rib protrude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ward a surface of the blocking w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보강플레이트가 겹쳐지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에는 연결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조작유닛과 연결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 wherein a reinforcing plate is overlapped with the connection plate, and a connection bracket is provided on the reinforcing plate to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유로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조립몸체;와
상기 조립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이 결합되는 보강몸체;를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An assembly body coupled to the guide passage and forming a part of the guide passage; and
A cleaner comprising: a reinforcing body extending from the assembly body and to which the connection bracket is coupl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조립몸체에는 조립부가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청소유닛의 청소바디에는 상기 조립부가 끼워지는 조립홀이 형성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4 , wherein an assembly part protrudes upward from the assembly body, and an assembly hole into which the assembly par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leaning body of the cleaning uni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작하우징;
상기 조작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청소유닛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과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조작하우징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상기 가동레일;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가동레일을 승강시키며, 상기 조작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가 구비된 조작레버;
상기 고정레일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레버가 원위치 되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unit
an operating housing coupled to the housing;
a fixed rail extending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from the inside of the manipulation housing;
The movable rail extending parallel to the fixed rail and moving up and down inside the manipulation housing;
a control lever having a button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housing and lifting the movable rail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fixed rail;
A cleaner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disposed on the fixed rail and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control lev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rol lev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에는 연결블록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가동레일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레버와 함께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가동레일을 승강시키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6, wherein a connection block is connected to the control lever, the connection block connects between the fixed rail and the movable rail, and moves the movable rail along the fixed rail together with the control lever.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서 함몰된 승강채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레일은 상기 승강채널의 내부에서 상기 청소유닛의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6,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movable rail is disposed inside an elevation channel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movable rail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bracket of the cleaning unit inside the elevation channel.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조작하우징의 전체 높이는 상기 승강채널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는 청소기.
The cleaner of claim 18, wherein the entire height of the control housing is higher than that of the elevation channel.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집진공간을 만드는 필터링유닛;
상기 필터링유닛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조작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집진공간 내부에서 승강되되 초기위치에서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입구에서 연장되는 공기의 흡입경로와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로를 갖는 청소유닛;
상기 청소유닛에 구비된 연결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청소유닛과 함께 승강되는 조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유동 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배출경사면이 형성되는 청소기.
a housing provided with an air inlet;
a filtering unit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creating a dust collecting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 guide passage installed to surround the filtering unit, moved up and down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unit, and at least partly connected to the air intake path extending from the intake port at the initial position to guide the flow of the sucked air. a cleaning unit having;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in the cleaning unit and lifted together with the cleaning unit;
A vacuum cleaner having a discharge slope gradually decreasing in height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formed by the guide passage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KR1020210024148A 2019-09-30 2021-02-23 Cleaner KR102553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48A KR102553342B1 (en) 2019-09-30 2021-02-23 Cleaner
KR1020230086704A KR102658255B1 (en) 2021-02-23 2023-07-04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55A KR102222214B1 (en) 2019-09-30 2019-09-30 Clearner
KR1020210024148A KR102553342B1 (en) 2019-09-30 2021-02-23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55A Division KR102222214B1 (en) 2019-09-30 2019-09-30 Clear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704A Division KR102658255B1 (en) 2021-02-23 2023-07-04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450A KR20210038450A (en) 2021-04-07
KR102553342B1 true KR102553342B1 (en) 2023-07-06

Family

ID=8718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48A KR102553342B1 (en) 2019-09-30 2021-02-23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3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492A (en) * 2021-04-20 2022-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056A (en) 2001-12-28 2003-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2008080146A (en) 2002-12-27 2008-04-10 Sharp Corp Vacuum cleaner
KR100880492B1 (en) 2005-05-12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856504B1 (en) 2016-05-03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2021922B1 (en) 2018-02-20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3335B1 (en) 2016-11-17 2021-05-05 Black & Decker Inc. Clean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056A (en) 2001-12-28 2003-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JP2008080146A (en) 2002-12-27 2008-04-10 Sharp Corp Vacuum cleaner
KR100880492B1 (en) 2005-05-12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856504B1 (en) 2016-05-03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2021922B1 (en) 2018-02-20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450A (en)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662B1 (en) Clearner
KR102222214B1 (en) Clearner
KR20210080115A (en) Clearner
JP3476066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100393266C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US20060117723A1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EP1774890B1 (en) A multi cyclone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KR102553342B1 (en) Cleaner
KR20240049238A (en) Cleaner
KR102658255B1 (en) Cleaner
JP2010035954A (en) Vacuum cleaner
AU2020361144B2 (en) Vacuum cleaner
KR100578332B1 (en) Separating circular plate and dirt and dust collecting casing using the same for vacuum cleaner
AU2020404716B2 (en) Vacuum cleaner
JP2004024887A (en) Vacuum cleaner
KR100643695B1 (en) Cyclonic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