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171B1 - 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171B1
KR102553171B1 KR1020220149236A KR20220149236A KR102553171B1 KR 102553171 B1 KR102553171 B1 KR 102553171B1 KR 1020220149236 A KR1020220149236 A KR 1020220149236A KR 20220149236 A KR20220149236 A KR 20220149236A KR 102553171 B1 KR102553171 B1 KR 10255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lifting
upper structure
pist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필용
윤재원
Original Assignee
윤필용
윤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필용, 윤재원 filed Critical 윤필용
Priority to KR102022014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1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동시 인상 후 상부 구조물의 인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목표 인상 높이에 맞춰 인상이 가능한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및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와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을 이용한 교량받침의 교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에 배치되는 강재블럭을 포함하는 잭블럭부와, 상기 잭블럭부의 상단에 배치되며 유압이 인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결합하여 실린더에 인입되는 유압에 의해 승강하되, 실린더와 결합되지 않은 타단인 상측면에는 구형홈을 포함하고, 구형홈이 형성된 상단의 측면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인상유닛과 상기 인상유닛을 구성하는 피스톤의 구형홈과 맞닿는 구형턱을 형성하고 타단은 편평한 마찰면을 포함하는 회전반구판과, 상기 인상유닛을 구성하는 피스톤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안전너트를 포함하는 인상부와, 상기 교량의 상부 구조물 하부와 인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부 및 인상부를 제어하는 인상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안전너트를 통해 상부 구조물의 인상 후 유압의 불안전 또는 유압 제거시에도 상부 구조물의 인상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톤 제어부에 의해 작업자가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고자 하는 목표 인상높이에 도달하였을 때에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인상 높이 초과로 인한 상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부 구조물의 인상시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이 피스톤 제어부 블럭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인상 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물의 동시 인상 및 하강시 상부 구조물이 수평한 상태로 인상 또는 하강하는지 여부를 과부하 발생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및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와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을 이용한 교량받침의 교체공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a bridge superstructure capable of raising th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a target lifting height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lifting state of the upper structure after simultaneous lifting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nd a bridge support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It relates to a bridge support replacement method using a jack block portion including a steel block disposed on a pier or abutment constituting the bridge, a cylinder disposed at the top of the jack block portion and into which hydraulic pressure is draw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It is coupled to and moved up and down by hydraulic pressure drawn into the cylinder, the upper side of the other end not coupled to the cylinder includes a spherical groove, and the upper side of the spherical groove is formed with a piston consisting of a screw thread and the above A rotating hemisphere plate that forms a spherical jaw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herical groove of the piston constituting the impression unit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flat friction surface, and a safety nut including a screw thread that engages with a screw thread formed in the piston constituting the impression unit. It consists of a lifting part that controls the lifting part, a friction part form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lifting part, and a lifting control part that controls the lifting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due to exceeding the lifting height by maintaining the raised state of the upper structure and recognizing it when the worker reaches the target lifting height at which the worker wants to raise the upper structure by the stone control unit. In addition, When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the coupling pin of the piston control unit moves while being guided through the pin groove of the piston control block of the piston control block, so the upper structure can be raised or lowered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and the upper structure can be raised or lowered simultaneously.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structure is raised or lowered in a horizontal state depending on whether an overload occurs, so that the operato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Provides a replacement method for used bridge bearings.

Description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및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와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을 이용한 교량받침의 교체공법{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Bridge bearing replacement method using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bridge bearing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동시 인상 후 상부 구조물의 인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목표 인상 높이에 맞춰 인상이 가능한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및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와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을 이용한 교량받침의 교체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super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and a bridge super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capable of raising th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target lifting height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lifting state of the upper structure after simultaneous raising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a bridge support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It is about the replacement method of bridge bearings using

교량은 상부 구조물과 하부구조물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상부 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교량받침이 설치되어 상부의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Bridg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upper structures and lower structures, and a bridge suppor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to transfer the load of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교량의 상부구조물은 온도 등에 의해 수평으로 길이가 변하는 수평변위가 발생하고 상부구조물 단부에는 회전이 발생하게 된다.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수평 변위를 수용하고 회전 변위를 수용해야 한다. 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undergoes horizontal displacement in which the length changes horizontally due to temperature, etc., and rotation occurs at the end of the superstructure. The bridge bearing must not only support the vertical load of the superstructure, but also accommodat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rotational displacement.

교량이 최초 건설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로 인해 교량받침은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교량받침의 교체를 위해서는 임시로 교량받침의 역할을 대신할 유압잭을 여러개 설치하고 교량받침의 설치 높이보다 수 밀리미터를 동시에 인상하여 교량받침 대신 수직하중을 지지하여 교량받침의 교체에 필요한 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When a bridge is initially built, the bridge bearings will need to be replaced due to deterioration over time. In order to replace the bridge bearing, several hydraulic jacks are temporarily installed to replace the role of the bridge bearing, and several millimeters are simultaneously raised abov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ridge bearing to support the vertical load instead of the bridge bearing. do.

(특허문헌 1) KR 10-1812729 B1 교량 인상 시스템 및 인상공법(Patent Document 1) KR 10-1812729 B1 Bridge raising system and raising method

하지만, 유압잭을 동시에 인상하는 중에 작업자의 실수 또는 장비의 불안전성으로 일부 유압잭에 과도한 압력이 전해져 인상 목표치를 초과하여 상부구조물의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인상 완료 후에는 유압잭이 수평 변위를 적절히 수용하지 못해 상부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상부구조물 전체가 종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위험한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However, during the simultaneous lifting of hydraulic jacks, excessive pressure is transmitted to some hydraulic jacks due to a worker's mistake or equipment instability, causing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by exceeding the target lifting value. In addi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lifting, the hydraulic jack does not properly accommodat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resulting in cracks in the upper structure or a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the entire upper structure slide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및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와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을 이용한 교량받침의 교체공법은 안전너트를 통해 상부 구조물의 인상 후 유압의 불안전 또는 유압 제거시에도 상부 구조물의 인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ridge support replacement method us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and the bridge super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and the bridge support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fter lifting the superstructure through a safety nu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super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raised state of the superstructure even when hydraulic pressure is unstable or hydraulic pressure is removed, and a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상유닛의 실린더 내부 상면의 모서리와 피스톤의 바닥면 모서리에 라운드를 형성하여 인상유닛을 통한 상부 구조물의 인상 후 하강시 유압을 제거하였을 때에 피스톤에 작용하는 수평력에 의해 피스톤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피스톤이 하강하지 않는 현상 및 실린더 내주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round 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cylinder of the impression unit and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iston, so that when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through the impression unit and the hydraulic pressure is removed during descent, the horizontal force acting on the piston causes the piston to It is to prevent the piston from not descending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cylinder and damag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위기록부를 적용할 경우 평상시 상부 구조물의 수평력에 대한 변위량은 물론 변위 방향의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measure the displacement direction as well as the amount of displacement for the horizontal force of an upper structure in normal times when a displacement recorder is appli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스톤 제어부에 의해 작업자가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고자 하는 목표 인상높이에 도달하였을 때에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인상 높이 초과로 인한 상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due to exceeding the lifting height by allowing the piston control unit to recognize when the operator has reached a target lifting height to raise the upper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구조물의 인상시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이 피스톤 제어부 블럭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인상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물의 동시 인상 및 하강시 상부 구조물이 수평한 상태로 인상하는지 여부를 과부하 발생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whether the upper structure is lifted in a horizontal state because the piston control coupling pin moves while being guided through the piston control pin groove of the piston control block when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During simultaneous lifting and lowering,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 to whether an overload occurs, thereby increasing operator convenience.

본 발명은 안전너트를 통해 상부 구조물의 인상 후 유압의 불안전 또는 유압 제거시에도 상부 구조물의 인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raised state of the upper structure even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unstable or the hydraulic pressure is removed after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through the safety nut.

또한, 인상유닛의 실린더 내부 상면의 모서리와 피스톤의 바닥면 모서리에 라운드를 형성하여 인상유닛을 통한 상부 구조물의 인상 후 하강시 유압을 제거하였을 때에 피스톤에 작용하는 수평력에 의해 피스톤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피스톤이 하강하지 않는 현상 및 실린더 내주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round on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cylinder of the impression unit and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iston, when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through the impression unit and the hydraulic pressure is removed during descent, the horizontal force acting on the piston causes the piston to tilt. It can prevent the piston from not descending and damag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그리고 변위기록부를 적용할 경우 평상시 상부 구조물의 수평력에 대한 변위량은 물론 변위 방향의 측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cement recorder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isplacement direction as well as the displacement amount for the horizontal force of the upper structure in normal times.

또한, 피스톤 제어부에 의해 작업자가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고자 하는 목표 인상높이에 도달하였을 때에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인상 높이 초과로 인한 상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due to exceeding the lifting height by recognizing when the operator has reached a target lifting height to raise the upper structure by the piston control unit.

아울러, 상부 구조물의 인상시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이 피스톤 제어부 블럭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인상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물의 동시 인상 및 하강시 상부 구조물이 수평한 상태로 인상하는지 여부를 과부하 발생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since the piston control coupling pin moves while being guided through the piston control pin groove of the piston control block, it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in a horizontal state, and when the upper structure is simultaneously raised and lowere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by knowing whether or not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in a horizontal state according to whether overload occu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서의 피스톤 제어부의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피스톤 제어부의 정면도임.
도 4의 (a)는 본 발명에서의 마찰부의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에서의 마찰부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내진 또는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내진 또는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a bridge super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a) is a side view of the piston control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front view of the piston control unit.
Figure 4 (a) is a side view of the friction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bottom view of the friction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bearing for seismic or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ridge bearing for seismic or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looking at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1. 인상부1. impression part

인상부(200)는 도 1에서와 같이 인상유닛(210), 회전반구판(220), 안전너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 the lifting unit 200 includes a lifting unit 210 , a rotating hemisphere plate 220 , and a safety nut 230 .

우선, 인상유닛(210)은 교각 또는 교대에 배치되어 유압이 인입되는 실린더(211)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211)의 내부면에 결합하여 실린더(211)에 인입되는 유압에 의해 승강하는 피스톤(212)으로 이루어진다.First, the lifting unit 210 is disposed on a pier or abutment to form a cylinder 211 into which hydraulic pressure is drawn, and a piston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211 and moves up and down by hydraulic pressure drawn into the cylinder 211. (212).

상기 피스톤(212)은 실린더(211)에 삽입되는 타단, 즉, 상측면에는 구형홈(2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형홈(212a)이 형성된 상단의 측면으로는 나사산(212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piston 212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herical groove 212a is formed on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211, that is, the upper side, and a screw thread 212b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side where the spherical groove 212a is formed. made up of

여기서, 상기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실린더(211) 내부의 상면 모서리와 피스톤(212)의 바닥면 모서리는 라운드(R)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edge of the inside of the cylinder 211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200 and the bottom surface edge of the piston 212 are formed with a round shape R.

다음으로, 회전반구판(220)은 인상유닛(210)을 구성하고 있는 피스톤(212)에 형성된 구헝홈(212a)과 맞닿는 구형턱(221)을 형성하고, 구형턱(221)의 타단으로는 편평한 마찰면(222)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Next, the rotating hemisphere plate 220 forms a spherical jaw 22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outh groove 212a formed in the piston 212 constituting the impression unit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pherical jaw 221 is It consists of a structure forming a flat friction surface 222.

다음으로, 안전너트(230)는 상술한 인상유닛(210)의 피스톤(212)에 형성된 나사산(212b)과 치합하는 나사산(2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safety nut 230 includes a screw thread 231 that engages with the screw thread 212b formed on the piston 212 of the lifting unit 210 described above.

이러한 안전너트(230)는 사용자가 회전시켜 인상유닛(210)의 피스톤(212)의 나사(212b)에서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The safety nut 230 is rotated by the user so that it can move upward and downward in the screw 212b of the piston 212 of the impression unit 210.

2. 마찰부2. Friction part

본 발명에서의 마찰부(300)는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 하부와 교각(1a) 또는 교대(1b)에 배치되는 인상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이다.The friction part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and the lifting part 300 disposed on the pier 1a or abutment 1b.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200)는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 하측에 결합하는 마찰덮개판(310)과 상기 마찰덮개판(310)에 결합하되, 타단은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회전반구판(220)에 형성된 마찰면(222)과 맞닿는 마찰접촉면(321)을 포함하는 마찰재(320)로 이루어져 있다.Specifically, the friction part 200 is coupled to the friction cover plate 31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and the friction cover plate 310, but the other end constitutes the lifting part 200. It consists of a friction material 320 including a friction contact surface 32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 222 formed on the rotating hemisphere plate 220 to do.

여기서, 마찰덮개판(310)은 용접구조용 강재로 마찰재(320)가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과 직접 맞닿지 않도록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에 결합하는 수평판(311)과 상기 수평판(3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직판(312)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riction cover plate 310 is a steel material for a welded structure and is a horizontal plate 311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so that the friction material 32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 and a vertical plate 312 formed on th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311.

또한, 상기 마찰재(320)는 특별히 한정짓는 것은 아니지만 합성수지 중 내열성이 100℃ 이상이고 압축강도 30MPa이상, 인장강도는 10MPa 이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에틸렌과 폴리아미드 재질을 사용한다.In addition, the friction material 3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mong synthetic resins, polyethylene and polyamide materials among engineering plastics having heat resistance of 100° C. or more, compressive strength of 30 MPa or more, and tensile strength of 10 MPa or more are used.

특히, 도 4의 (a), (b)에서와 같이 상기 마찰재(320)의 마찰접촉면(321)에는 하나 이상의 마찰재홈(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재홈(322)이 다수일 경우 일정한 폭으로 동심원 형태의 원형띠를 음각으로 가공하여 마찰접촉면(322)의 표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표면적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조정하여 교량(1) 마다 요구되는 마찰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a) and (b) of FIG. 4, one or more friction material grooves 322 may be formed on the frictional contact surface 321 of the friction material 320,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friction material grooves 322 It can be configured to respond to the frictional force required for each bridge 1 by adjusting the surface area of the frictional contact surface 322 by processing concentric circular bands with a certain width into intaglios to adjust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surface area.

상기와 같은 마찰재(320)의 형상은 원형이나 사각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friction material 320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3. 인상제어부3. Impression control unit

인상제어부(600)상술한 인상부(200)의 인상유닛(210)을 제어하여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을 인상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fting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lifting unit 210 of the above-described lifting unit 200 to lift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a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4. 변위기록부4. Displacement record book

본 발명에서는 변위기록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cement recording unit 40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변위기록부(400)는 도 1에서와 같이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의 수평변위량 및 변위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상측으로는 변위기록부 고정대(41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cement recorder 400 is formed to measure the amount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and the displacement to the upper side of the pier 1a or abutment 1b A recording unit holder 410 is formed.

상기 변위기록부 고정대(410)는 내측으로 마킹수단 결합홀(41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410 includes a marking means coupling hole 411 on the inside.

또한, 상기 변위기록부 고정대(410)의 마킹수단 결합홀(411)에 삽입되는 탄성부(420)가 구성된다.In addition, an elastic part 420 inserted into the marking means coupling hole 411 of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410 is configured.

그리고 상기 변위기록부 고정대(410)의 마킹수단 결합홀(411)에 결합하되 탄성부(42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마킹수단(430)이 구성된다.Also, the marking means 430 coupled to the marking means coupling hole 411 of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410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part 420 is configured.

또한, 교량(0)의 상부 구조물(1c)에는 마킹수단(430)에 의해 마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위기록부 상부판(440) 및 변위기록부 상부판(440) 내에 형성되는 기록지(4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0 further includes a displacement recording unit upper plate 440 and a recording sheet 450 formed in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upper plate 440 so that marking can be performed by the marking means 430. can be configured.

특히, 상기 기록지(450)에는 상부 구조물(1c)의 변위량 및 변위 방향의 측정을 위해 변위눈금부(451)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cording paper 45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cement scale 451 to measure the displacement amount and displacement direction of the upper structure 1c.

5. 피스톤 제어부5. Piston control unit

본 발명에서는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의 인상 높이 제어를 위한 피스톤 제어부(5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iston controller 500 for controlling the lifting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피스톤 제어부(50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안전너트(230)의 측면에 결합홀(232)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한다.In order to configure the piston control unit 500, as shown in FIG. 1, a coupling hole 232 should be further included on the side of the safety nut 230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200.

또한, 도 3의 (a), (b)에서와 같이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실린더(211)의 측면에는 내측에 피스톤 제어부 핀홈(511)이 포함된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이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 3, a piston control block 510 including a piston control pin groove 51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ylinder 211 constituting the lifter 200. .

상기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511)은 홀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2개소의 피스톤 제어부 블럭(51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The piston control pin groove 511 of the piston control block 5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or may be formed by a space in which two piston control blocks 511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또한, 상술한 안전너트(230)의 결합홀(232) 및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511)에 결합하는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520)이 구성된다.In addition, a piston control coupling pin 520 coupled to the aforementioned coupling hole 232 of the safety nut 230 and the piston control pin groove 511 of the piston control block 510 is configured.

상기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520)은 안전너트(230)의 결합홀(232)에 결합하는 제1핀(521)과 상기 제1핀(521)에서 절곡되어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511)에 결합하는 제2 핀(522) 및 제2 핀(522)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피스톤 제어부 볼트(5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스톤 제어부 볼트(523)에는 피스톤 제어부 너트(530)가 결합되어 있다.The piston control coupling pin 520 is bent at the first pin 521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32 of the safety nut 230 and the first pin 521 to form a piston control pin groove of the piston control block 510 It consists of a second pin 522 coupled to 511 and a piston control bolt 523 extending from the second pin 522, and a piston control nut 530 is coupled to the piston control bolt 523. has been

아울러, 상기 인상부(200)의 인상유닛(210)을 구성하는 실린더(211)의 외주면 측면에는 피스톤 제어부 볼트(523)의 높이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피스톤 제어부 눈금(540)이 포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ylinder 211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210 of the lifting unit 200 includes a piston control scale 540 for measuring the height position of the piston control bolt 523.

6. 잭블럭부6. Jack block part

잭블럭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을 구성하는 교각(1a) 또는 교대(1b)와 인상부(200) 사이에 더 배치되는 구성으로 강재블럭(110)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jack block portion 100 includes a steel block 110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pier 1a or abutment 1b constituting the bridge 1 and the lifting portion 200. are doing

상기 강재블럭(110)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재질로 상부플랜지(111)와 하부플랜지(112), 수직재(113), 복부판(114)으로 구성되어 각각은 용접으로 접합할 수 있다.Although the steel block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composed of an upper flange 111, a lower flange 112, a vertical member 113, and a web plate 114 as a material of rolled steel for welding structure, each of which can be joined by welding. there is.

특히, 상기 강재블럭(110)을 교량(1)을 구성하는 교각(1a) 또는 교대(1b)에 배치시 L형 지지판(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steel block 110 is disposed on the piers 1a or abutments 1b constituting the bridge 1, an L-shaped support plate 12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L형 지지판(120)은 강재블럭(110)의 측면, 예컨대, 복부판(114)의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The L-shaped support plate 12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teel block 110, for example, on the side of the abdominal plate 114.

본 발명에서 강재블럭(100)을 추가할 경우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인상유닛(210)은 잭블럭부(100)의 상단, 구체적으로는 강재블럭(110)을 구성하는 상부플랜지(111)에 배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dding the steel block 100, the lifting unit 210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200 is the top of the jack block part 100, specifically the upper flange 111 constituting the steel block 110 ) is placed in

또한, 상기 잭블럭부(100)를 구성하는 강재블럭(110)의 상측에는 제1 미끄럼방지부(111a)가 더 포함되고, 이와 대응하는 인상유닛(210)을 구성하는 실린더(211a)의 하부에는 제2 미끄럼방지부(211a)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non-slip portion 111a is further inclu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block 110 constituting the jack block portion 1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211a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lifting unit 210 A second non-slip portion 211a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1 미끄럼방지부(111a)와 제2 미끄럼방지부(211a) 중 어느 하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홈에 삽입될 수 있는 턱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of the first non-slip portion 111a and the second non-slip portion 211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and the oth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i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아울러, 잭블럭부(100)의 상측으로는 변위기록부 고정대(41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410 may be formed above the jack block unit 100 .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를 이용한 인상공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lifting method using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will be given.

1.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설치단계1. Installation step of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본 단계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1000)를 교량(1)을 구성하는 상부 구조물(1c)과 교각(1a) 또는 교대(1b) 사이인 형하공간에 인상유닛(210), 회전반구판(220), 안전너트(230)를 포함하는 인상부(200)와 마찰부(300) 및 인상부(200)를 제어하여 승강시키는 인상 제어부(600) 및 추가로 형하공간 추가로 강재블럭부(110)를 포함하는 잭블럭부(1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In this step, the bridg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1000 is placed in the lower mold space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c constituting the bridge 1 and the pier 1a or abutment 1b, the lifting unit 210, the rotating hemisphere plate ( 220), the lifting unit 200 including the safety nut 230, the friction unit 300, and the lifting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the lifting unit 200 to move up and down, and additionally the steel block unit 110 in addition to the mold space. This is a step of installing the jack block portion 100 including a).

상기 인상부(200)의 설치는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면이 고르지 않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하면에 모래를 포설하거나 고무판(도면에 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하중이 교각(1a) 또는 교대(1b)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lifting part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1a or abutment 1b, but if the upper surface is uneven, sand is laid on the lower surface or a rubber plate (not shown in the drawing) is installed to load the load. so that it can be evenly transmitted to the piers 1a or abutments 1b.

그런 후, 안전너트(230)가 결합된 인상유닛(210)의 설치 후 회전반구판(220)을 설치하여 완료할 수 있다.Then, after installation of the lifting unit 210 to which the safety nut 230 is coupled, installation of the rotating hemisphere plate 220 may be completed.

과정을 살펴보면, 인상유닛(210)을 구성하는 실린더(211)와 피스톤(212)이 결합된 상태의 인상유닛(210)을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상부에 배치하여 인상유닛(210)의 설치를 완료한다.Looking at the process, the raising uni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cylinder 211 and the piston 212 constituting the raising unit 210 are coupled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1a or the abutment 1b to raise the unit 210 )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교량(1)을 구성하는 상부 구조물(1c)과 교각(1a) 또는 교대(1b)와 인상유닛(200) 사이에 강재블럭(100)을 설치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block 1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1c constituting the bridge 1 and the pier 1a or the abutment 1b and the lifting unit 200.

상기 잭블럭부(100)의 설치는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상부면이 고르지 않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강재블럭(110)의 하면에 모래를 포설하거나 고무판(도면에 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강재블럭(110)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교각(1a) 또는 교대(1b)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jack block part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er 1a or abutment 1b, but when the upper surface is uneven, sand is lai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block 110 or a rubber plate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etc. are installed so that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teel block 110 can be evenly transmitted to the pier (1a) or abutment (1b).

그런 후, 강재 블럭(110)을 구성하는 상부플랜지(111), 하부플랜지(112), 수직재(113), 복부판(114)을 용접을 통해 결합하도록 한다.Then, the upper flange 111, the lower flange 112, the vertical member 113, and the abdominal plate 114 constituting the steel block 110 are coupled through welding.

특히, 상술한 강재블럭(110)의 밀림이 예상될 경우 교각(1a) 또는 교대(1b)의 바닥면과 복부판(114)에 고정되는 L형 지지판(120)을 더 설치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pushing of the above-described steel block 110 is expected, an L-shaped support plate 12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er 1a or abutment 1b and the abdominal plate 114 is further installed

상기와 같이 강재블럭(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강재블럭(110)의 상측에 인상부(200)를 설치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teel block 11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block 110.

과정을 살펴보면, 인상유닛(210)을 구성하는 실린더(211)와 피스톤(212)이 결합된 상태의 인상유닛(210)을 강재블럭(110)의 상측, 구체적으로는 상부 플랜지(111)에 배치하여 인상유닛(210)의 설치를 완료한다.Looking at the process, the lifting unit 210 in a state in which the cylinder 211 and the piston 212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210 are coupled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block 110, specifically, on the upper flange 111. Thus, the installation of the impression unit 210 is completed.

여기서, 상술한 강재블럭(110)에 배치되는 인상유닛(210)이 수평력에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재블럭(110)의 상측에 제1 미끄럼 방지부(111a)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인상유닛(210)의 실린더(211)의 하부에는 제2 미끄럼 방지부(211a)를 더 형성할 경우 제1 미끄럼 방지부(111a)에 제2 미끄럼 방지부(211a)를 배치시켜 시공의 편의성과 더불어 수평력 발생에 따른 밀림현상을 방지하도록 시공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lifting unit 210 disposed on the steel block 11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rst anti-slip portion 111a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block 110 to improve the fixing force to the horizontal force, facing this When the second anti-slip part 211a is further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211 of the lifting unit 210, the second anti-slip part 211a is placed on the first anti-slip part 111a for convenience of construction. In addition, it can be constructed to prevent pushing due to the occurrence of horizontal force.

그런 후, 인상유닛(210)의 피스톤(212) 상측면에 형성된 구형홈(212a)에 회전반구판(220)을 구성하는 구형턱(221)을 맞닿도록 하여 인상부(22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Then, the spherical jaw 221 constituting the rotating hemisphere plate 2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pherical groove 21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212 of the lifting unit 210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lifting unit 220 can do.

상기 인상부(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마찰부(300)를 설치하여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lifting part 200 is completed, this step may be completed by installing the friction part 300 .

상기 마찰부(300)는 마찰재(320)가 결합된 마찰덮개판(310)을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에 부착하도록 한다.The friction part 300 attaches the friction cover plate 310 to which the friction material 320 is coupled to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특히, 상기 마찰부(300)를 설치하기 전 회전반구판(220)과 상부 구조물(1c)까지의 형하공간을 측정하여 고임판(330)의 적용 여부 및 고임판(330)의 개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만약, 고임판(300)을 이용해야할 경우에는 마찰덮개판(310)에 고임판(330)을 결합한 후 고임판(330)이 상부 구조물(1c)에 맞닿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한다.In particular, before installing the friction part 300, the molded space between the rotating hemisphere plate 220 and the upper structure 1c is measured to calculate whether the pool plate 330 is applied and the number of pool plates 330 is measured. It is possible, if the pool plate 300 needs to be used, after combining the pool plate 330 with the friction cover plate 310, the pool plate 33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tructure 1c. .

여기서, 상기 마찰덮개판(310)은 수평판(311)의 측면으로 수직판(31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마찰재(320)가 상부 구조물(1c)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friction cover plate 3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plate 31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311, so that the friction material 320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tructure 1c.

상기와 같이 마찰부(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의 인상제어부(600)를 설치하여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riction unit 30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tep may be completed by installing the lifting control unit 600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인상제어부(600)는 둘 이상의 인상부(200)를 동시에 인상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fting control unit 600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lift two or more lifting units 200 .

즉, 선형 가변 변환기(LVDT :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도면에 미도시) 및 유압분배기(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는 인상제어부(600)를 설치하고, 이를 인상부(200)에 유압호스(도면에 미도시) 및 케이블(도면에 미도시)로 연결하여 인상부(200)에 공급되는 유압량을 제어하여 상부 구조물(1c)의 인상 목표값에 따라 변위게 제어되며 다수의 인상부(200)가 고르게 동시에 인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lifting control unit 600 including a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 hydraulic distributor (not shown in the drawing) is installed, and the hydraulic hose ( Connected with a cable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 cable (not shown in the drawing) to control th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lifting unit 200, the displaceme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arget lifting value of the upper structure 1c, and the plurality of lifting units 200 ) can be raised evenly and simultaneously.

또한, 본 발명의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설치단계에서는 변위기록부(400)를 더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cement recording unit 400 may be further installed.

상기 변위기록부(400)는 변위기록부 고정대(410)의 마킹수단 결합홀(411)에 탄성부(420) 및 마킹수단(430)을 결합한 후 이를 잭블럭부(100)의 상단에 결합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 구조물(1c)에는 변위기록부 상부판(440) 및 기록지(450)를 결합하여 완료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400 combines the elastic part 420 and the marking unit 430 into the marking unit coupling hole 411 of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410, and then couples them to the upper end of the jack block unit 100. The upper structure 1c may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 upper plate 440 and the recording paper 450 of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특히, 상기 잭블럭부(100)의 측면에 변위기록부 하부판(460)을 추가할 경우 변위기록부 고정대(410)를 변위기록부 하부판(460)에 결합한 후 이와 대응되는 상부 구조물(1c)에는 변위기록부 상부판(440) 및 기록지(450)를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변위기록부(400)를 이를 잭블럭부(100)의 상단에 결합하지 않아도 되어 잭블럭부(100)의 제작시 변위기록부 하부판(460)의 크기 만큼을 축소시켜 제작 가능하여 공간확보와 더불어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lower plate 460 is added to the side of the jack block unit 100,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410 is coupled to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lower plate 460, and then the corresponding upper structure 1c has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upper part. The plate 440 and the recording paper 450 may be combined. In this case,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400 does not ne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jack block unit 100, so that the lower plate of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 46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by reducing the size, so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load as well as securing space.

상기 변위기록부(400)는 평상시 상부 구조물(1c)의 수평변위 발생시 기록지(450)에 마킹수단(430)의 마킹이 이루어져 가시적으로 수평변위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변위 발생시 변위 방향도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displacement recorder 400, wh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1c occurs in normal times, the marking means 430 is marked on the recording paper 450 so that the amount of horizontal displacement can be visually confirmed, and the displacement direction can also be measured when the displacement occurs. will do

여기서, 상기 기록지(450)에는 변위눈금부(451)를 더 포함할 경우 수평변위량 및 변위 방향성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recording paper 450 further includes a displacement scale 451, the accuracy of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mount and displacement direction can be improved.

또한, 본 단계에서는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520), 피스톤 제어부 너트(530)로 이루어진 피스톤 제어부(500)를 더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tep, a piston control unit 500 composed of a piston control block 510, a piston control coupling pin 520, and a piston control nut 530 may be further installed.

2.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단계2.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stage

본 단계는 앞선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설치단계에서의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1000)를 이용해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을 인상하기 위한 단계로서, 선형 가변 변환기(LVDT :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도면에 미도시) 및 유압분배기(도면에 미도시)가 포함된 인상제어부(600)를 통해 다수의 인상부(200)에 형성된 다수의 인상유닛(210)에 유압을 공급하여 동시에 여러 위치에서 상부 구조물(1c)을 동시에 인상할 수 있도록 한다.This step is a step for lifting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using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1000 for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n the previous step of installing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is a step for lifting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impression units 210 formed in the plurality of impression members 200 through the impression control unit 600 including a differential transformer (not shown) and a hydraulic pressure distributor (not shown) at the same time. It allows the upper structure 1c to be raised simultaneously in several positions.

상기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량 상부 구조물 설치단계 완료 후 각각의 마찰부(300)와 상부 구조물(1c)과는 약간의 틈이 있게 되므로, 선형 가변 변환기의 계측량의 변동이 없는 부분까지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인상유닛(210)의 피스톤(212)을 1차 인상시켜 상부 구조물(1c)과 마찰부(300)를 완전히 밀착시키는 과정을 실시한 다음 선형 가변 변환기의 보정을 실시한다.Looking specifically at the above process, since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each of the friction parts 300 and the upper structure 1c after the bridge superstructure installation step is completed, the linear variable converter is pulled up to a portion where the measured amount does not fluctuate. The piston 212 of the lifting unit 210 constituting the part 200 is first raised to bring the upper structure 1c and the friction part 300 into close contact, and then the linear variable converter is calibrated.

그런 후, 인상제어부(600)의 선형 가변 변환기의 계측량으로 상부 구조물(1c)을 인상시키기 위한 유압을 유압분배기를 통해 공급하여 다수의 인상부(200)를 통해 목표한 인상 높이만큼을 동시 인상하여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After that, hydraulic pressure for lifting the upper structure 1c is supplied through the hydraulic distributor by the measurement amount of the linear variable converter of the lifting control unit 600, and the simultaneous lifting is performed by the target lifting height through the plurality of lifting units 200. to complete this step.

특히,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피스톤(212)의 바닥면 모서리와 실린더(211) 내부의 상면 모서리에는 라운드(R)가 형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rounds R are formed on the bottom edge of the piston 212 constituting the lifter 200 and the upper edge inside the cylinder 211 .

따라서, 인상유닛(210)의 인상 후 인하하는 과정에서 수평력이 작용에 의해 실린더(211)에서 피스톤(212)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모서리에 의해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unit 210, horizontal force acts to prevent the piston 212 from being caught in the cylinder 211, as well as preventing damage caused by the corner. be able to get

여기서,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설치단계에서 피스톤 제어부(500)를 설치할 경우 인상제어부(600)를 통한 상부 구조물(1c)의 인상 전 피스톤 제어부(500)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1c)의 인상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Here, when the piston controller 500 is installed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e upper structure 1c is raised using the piston controller 500 before the upper structure 1c is raised through the lift controller 600. Height can be limited.

즉, 상술한 피스톤 제어부(500)의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520)의 피스톤 제어부 볼트(523)에 결합된 피스톤 제어부 너트(53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상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That is, the lifting height can be limited by moving the piston control nut 530 coupled to the piston control bolt 523 of the piston control coupling pin 520 of the above-described piston control unit 500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즉, 상기 피스톤 제어부(500)를 구성하는 피스톤 결합핀(520)은 제1핀(521)이 안전너트(230)의 결합홀(232)에 결합되어 있고, 제2핀(522)은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511)에 가이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핀(522)의 일단으로 피스톤 제어부 볼트(52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in the piston coupling pin 520 constituting the piston control unit 500, the first pin 521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32 of the safety nut 230, and the second pin 522 is the piston control unit It is configured to be guided to the piston control pin groove 511 of the block 51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iston control bolt 52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pin 522.

또한, 상기 피스톤 제어부(500)에는 실린더(211)의 측면에 피스톤 제어부 눈금(540)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iston control scale 54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211 in the piston control part 500 .

따라서, 작업자가 피스톤 제어부 너트(530)의 위치를 상부 구조물(1c)을 인상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피스톤 제어부 눈금(540)을 확인하면서 조절한 후 인상유닛(210)을 인상시키게 되면 이에 결합된 안전너트(230) 및 안전너트(230)에 결합된 피스톤 제어부(500)의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520)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orker raises the lifting unit 210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iston control nut 530 while checking the piston control scale 540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structure 1c is to be lifted, the safety coupled thereto The piston control coupling pin 520 of the piston control unit 500 coupled to the nut 230 and the safety nut 230 is also moved.

이때에, 작업자가 셋팅한 피스톤 제어부 너트(530)가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에 맞닿게 되면 인상제어부(600)에서 부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인상 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piston control nut 530 set by the operat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iston control block 510, the lift control unit 600 detects a change in the amount of load to limit the lift height.

특히, 상기 피스톤 제어부(500)에서의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520)은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piston control coupling pin 520 in the piston control unit 500 is guided by the piston control block 510.

따라서, 교량(1)의 상부 구조물(1c) 인상시 수직방향으로 제대로 인상작업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lifting the upper structure 1c of the bridge 1,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lifting work is properly per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3.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 유지단계3. Step of maintaining the impress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본 단계는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단계 이후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인상유닛(210)의 피스톤(212)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안전너트(230)를 최 하단으로 이동시켜 상부 구조물(1c)의 자중에 의해 인상유닛(210)이 하강하지 않도록 하여 본 단계를 마무리할 수 있다.In this step, the safety nut 230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200 is installed so that the piston 212 of the lifting unit 210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200 can maintain an elevated state after the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step. This step can be completed by moving to the lowest level so that the lifting unit 210 does not descend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structure 1c.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1000)는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인상유닛(210)의 피스톤(212)에 안전너트(230)를 형성하여 인상유닛(210)에 의한 상부 구조물(1c)의 인상 후 안전너트(230)를 최 하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압이 불안정하거나 또는 유압을 제거하더라도 인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1000 for a bridg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afety nut 230 on the piston 212 of the lifting unit 210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200 to raise the lifting unit 210. By moving the safety nut 230 to the lowest level after lifting the upper structure 1c by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raised state even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unstable or the hydraulic pressure is removed.

또한, 인상부(200)를 구성하는 인상유닛(210)의 실린더(211)의 내부 상면의 모서리와 피스톤(212)의 바닥면 모서리에 라운드(R)를 형성하여 인상유닛(210)을 통한 상부 구조물(1c)의 인상 후 하강시 유압을 제거하였을 때에 피스톤(212)에 작용하는 수평력에 의해 피스톤(212)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피스톤(212)이 하강하지 않는 현상 및 실린더(211) 내주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 round R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211 of the raise unit 210 constituting the lift unit 200 and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iston 212 to form an upper portion through the lift unit 210. A phenomenon in which the piston 212 does not descen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piston 212 due to the horizontal force acting on the piston 212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removed when the structure 1c is raised and lowered, and damag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11 You can get the action effect that can prevent.

또한, 본 발명에서 변위기록부(400)를 적용할 경우 평상시 상부 구조물(1c)의 수평력에 대한 변위량은 물론 변위 방향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pplying the displacement recorder 400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capable of measuring the displacement direction as well as the amount of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horizontal force of the upper structure 1c at normal times.

아울러, 본 발명에서 피스톤 제어부(500)를 더 적용할 경우 작업자가 상부 구조물(1c)을 인상하고자 하는 목표 인상높이에 도달하였을 때에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인상 높이 초과로 인한 상부 구조물(1c)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iston control unit 500 is further applied, the operator recognizes when the target lifting height to raise the upper structure 1c is reach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upper structure 1c due to exceeding the lifting height It can be prevented.

더욱이, 상부 구조물(1c)의 인상시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520)이 피스톤 제어부 블럭(510)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511)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1c)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인상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물(1c)의 동시 인상시 상부 구조물(1c)이 수평한 상태로 인상하는지 여부를 과부하 발생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Moreover, when the upper structure (1c) is raised, since the piston control coupling pin 520 moves while being guided through the piston control pin groove 511 of the piston control block 510, the upper structure (1c) is maintained horizontally.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upper structure (1c) is raised simultaneously, and whether the upper structure (1c) is raised in a horizontal stat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overload occurs, so that the operato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there will be

3. 3. 교량받침bridge support 교체단계 replacement stage

본 단계는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 유지단계 이후 교량받침(10)을 교체하기 위한 단계로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is step is a step for replacing the bridge bearing 10 after the step of maintaining the impress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가. 기존 go. existing 교량받침bridge support 제거단계 elimination step

본 단계는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존의 교량 상부 구조물(1c)과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코핑부에 결합되어 있던 노후된 교량받침을 제거하는 단계이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is step is a step of removing the old bridge bearings coupled to the existing bridge upper structure 1c and the coping portion of the pier 1a or abutment 1b.

이를 위해 교량 상부 구조물(1c)에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와 베어링을 제거하는 한편, 교각 또는 교대의 코핑부에 형성된 기존의 모르타르를 블록아웃시켜 하부 플레이트 및 앵커소켓을 제거해야 한다.To this end, while removing the upper plate and the bearing coupled to the bridge superstructure 1c, it is necessary to block out the existing mortar formed on the coping part of the pier or abutment to remove the lower plate and anchor socket.

이때에, 상기 기존 모르타르의 블록아웃시에는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코핑부를 구성하는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이 노출되도록 하되,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700)의 교량받침(10)을 구성하는 앵커소켓(14)이 배치할 위치의 콘크리트는 최 하단의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 하측까지 노출되도록 선별적으로 제거하여야 한다.At this time, when the existing mortar is blocked out, the reinforcing bars 2 or shear reinforcing bars 3 constituting the coping portion of the pier 1a or the abutment 1b are exposed, but the bridge support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700 ), the concrete at the location where the anchor socket 14 constituting the bridge bearing 10 is to be placed must be selectively removed so that it is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lowermost reinforcement bar 2 or shear reinforcing bar 3.

상기에서 기존 모르타르의 블록아웃시 이전 교량받침 설치나 교체로 인하여 전단철근(3)이 절단된 경우 절단된 철근의 지름 이상이나 동등 이상의 물리적 성질을 가진 강재로 기존에 설치된 전단철근(3)과 연결하되, 연결 방법으로는 커플러(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거나 용접 또는 겹이음, 금속이나 모르타르를 통한 충전 접착이음을 통한 철근 연결을 실시할 수 있다.In the above, if the shear reinforcing bar (3) is cut due to the previous bridge support installation or replacement during blockout of the existing mortar, it is connected to the previously installed shear reinforcing bar (3) with a steel material having physical properti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t reinforcing bar. However, as a conne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a coupler (not shown in the drawing), or to perform a connection of reinforcing bars through welding or overlapping, filling adhesive joint through metal or mortar.

여기서, 상기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이 노출되지 않거나 절단된 철근의 연결이 곤란한 경우에는 정착길이가 확보된 ∩자형태의 철근(도면에 미도시)을 교축과 교축직각방향으로 배근하여 U형볼트(도면에 미도시)를 연결할 수 있다. Here, when the reinforcing bars 2 or shear reinforcing bars 3 are not exposed or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cut reinforcing bars, the ∩-shaped reinforcing bars (not shown in the drawing) with the anchorage length secured are direc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It can be connected with a U-shaped bolt (not shown in the drawing) by placing the reinforcement.

나. 받침지지판 배치단계me. Support plate arrangement step

본 단계는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코핑부에 받침지지판(30)을 설치하기 위한 단계이다.This step is for installing the supporting plate 30 on the coping part of the pier 1a or the abutment 1b.

이를 위해 교량받침(10)이 배치될 위치의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코핑부에 배근된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의 상측에 받침지지판(30)을 배치한다.To this end, the support plate 3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bars 2 or shear reinforcing bars 3 reinforced in the coping part of the pier 1a or abutment 1b at the position where the bridge bearing 10 is to be placed.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받침지지판(30)은 하나의 받침지지판(30) 1개소가 교량받침(10)을 구성하는 앵커소켓(14) 2개소를 결합하거나 또는 받침지지판(30) 1개소로 앵커소켓(14) 전부인 4개소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를 잘 맞춰 배치하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후술할 U자형 볼트(50)가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에 의해 교량받침(10)의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될 것을 감안하여 배치하도록 한다.Here, the support plate 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support plate 30 by combining two anchor sockets 14 constituting the bridge support 10 or by anchoring one support plate 30 Since all four places of the socket 14 can be combined, the position must be aligned well. ) should be placed considering that it will be placed in a position to prevent the sliding phenomenon.

다. 받침지지판 고정단계all. Support plate fixing step

본 단계는 받침지지판(30)을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단계이다.This step is a step for fixedly coupling the support plate 30 to the reinforcing bar 2 or the shear reinforcing bar 3.

이를 위해 본 단계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70) 및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를 이용해 받침지지판(30)을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에 연결하게 된다.To this end, in this step,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ing support plate 30 is connected using the connecting bracket 70 and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to the reinforcing bar 2 or shear reinforcing bar 3 ) is connected to

즉, 상술한 받침지지판(30)의 상측면에 연결브라켓(70)을 구성하는 상단부(71)의 하측면이 맞닿도록 하고, 연결브라켓(70)을 구성하는 하단부(73)의 하측면은 기존 교량받침 제거단계에서 선별적으로 노출시킨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 위에 배치시킨다.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art 71 constituting the connecting bracket 7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supporting support plate 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art 73 constituting the connecting bracket 70 is in contact with the existing It is placed on the reinforcing bars (2) or shear reinforcing bars (3) selectively exposed in the bridge support removal step.

또한, 일체식 U자형 볼트(50)의 볼트부(51)를 연결브라켓(70)을 구성하는 하단부(73)의 U자형 볼트 결합홀(73a)에 결합하되, 일체식 U자형 볼트(50)에 형성된 걸림부(52)가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과 맞닿아 고정될 수 있는 위치까지 배치하도록 하며, 배치가 완료되면 일체식 U자형 볼트(50)의 볼트부(51)에 너트(N)를 체결한 후에 연결브라켓(70)의 상단부(71)와 받침지지판(30)을 용접 결합함으로써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lt portion 51 of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is coupled to the U-shaped bolt coupling hole 73a of the lower end 73 constituting the connecting bracket 70, but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The hooking part 52 formed in is placed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fixed by contacting the reinforcing bar 2 or the shear reinforcing bar 3, and when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the bolt part 51 of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This step can be completed by welding the upper end 71 of the connection bracket 70 and the support plate 30 after fastening the nut N to the.

여기서, 상술한 일체식 U자형 볼트(50)는 볼트부(51)와 걸림부(5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에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과 노출되는 콘크리트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이 좁을 경우 삽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Here, in the above-described integral U-shaped bolt 50, the bolt part 51 and the locking part 52 are integrally formed, so the gap between the reinforcement bar 2 or shear reinforcing bar 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osed concrete If it is narrow, insertion may be difficult.

이럴 경우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를 구성하는 걸림부(62)의 너트블럭(62)을 콘크리트의 바닥면에 배치한 후 볼트부(61)의 제2 볼트(61b)를 제2 볼트 결합홀(62b)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disposing the nut block 62 of the locking part 62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the second bolt 61b of the bolt part 61 is coupled with the second bolt. The coupling may be made in a manner of coupling to the hole 62b.

여기서, 상기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는 교량받침(10)을 구성하는 앵커소켓(14) 1개소당 최소 2개소 이상을 결합하도록 하며, 특히, 전단철근(3)과 맞닿도록 U자형 볼트(50)를 배치하되 교량받침(10)의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U자형 볼트(50)를 배치하여야 한다.Here,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is coupled to at least two or more anchor sockets 14 constituting the bridge bearing 10, in particular, shear reinforcement ( 3), the U-shaped bolts 50 are arrang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haped bolts 50 so that the sliding phenomenon of the bridge support 10 does not occur.

예컨대, 하나의 앵커소켓(14)이 형성된 위치에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를 결합할 때에 왼쪽에 배치되는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는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의 오른쪽면에 맞닿도록 하고, 이와 대향되는 오른쪽에 배치되는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는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 의 왼쪽면과 맞닿도록 하여 교량받침(10)의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한 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is coupled to the position where one anchor socket 14 is formed,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disposed on the left side (60)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reinforcing bar (2) or shear reinforcing bar (3), and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disposed on the opposite right side is the reinforcing bar ( 2) Alternatively, construction may be per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sliding phenomenon of the bridge support 10 is prevented by contacting the left side of the shear reinforcing bar 3.

또한, 상기 방법과는 다르게 받침지지판(30)의 U자형 볼트 결합홀(31)에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와 너트(N)를 이용해 받침지지판(30)을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above method, the support plate 30 is formed by using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and the nut N in the U-shaped bolt coupling hole 31 of the support plate 30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2) or shear reinforcing bar (3).

여기서, 받침지지판(30)과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에 직접 연결할 경우 일체식 U자형 볼트(50)의 볼트부(51)를 받침지지판(30)에 형성된 U자형 볼트 결합홀(31)에 결합하되, 일체식 U자형 볼트(50)에 형성된 걸림부(52)가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는 위치까지 배치하도록 하며, 배치가 완료되면 일체식 U자형 볼트의 볼트부(51)에 너트(N)를 체결하여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Here, when 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reinforcing bar 2 or the shear reinforcing bar 3, the bolt part 51 of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i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30 U-shaped bolt coupling hole (31), but arrange it to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part 52 formed on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can be fixed by abutting the reinforcing bar 2 or shear reinforcing bar 3, and the arrangement is complete. When this is done, this step can be completed by fastening the nut N to the bolt part 51 of the integral U-shaped bolt.

여기서, 상술한 일체식 U자형 볼트(50)는 볼트부(51)와 걸림부(5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에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의 배근 간격이 좁을 경우 삽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Here, in the above-described integral U-shaped bolt 50, since the bolt part 51 and the locking part 52 are integrally formed,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reinforcing bars 2 or the shear reinforcing bars 3 when the reinforcement spacing is narrow. can

이럴 경우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를 구성하는 걸림부(62)의 너트블럭(62a)을 콘크리트의 바닥면에 배치한 후 볼트부(61)의 제2 볼트(61b)를 제2 볼트 결합홀(62b)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fter disposing the nut block 62a of the locking part 62 constituting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the second bolt 61b of the bolt part 61 is coupled with the second bolt. The coupling may be made in a manner of coupling to the hole 62b.

여기서, 상기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는 교량받침(10)을 구성하는 앵커소켓(14) 1개소당 최소 1개소 이상을 결합하도록 하며, 특히, 일체식 U자형 볼트(50)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를 전단철근(3)에 결합할 경우는 전단철근(3)에 맞닿도록 U자형 볼트를 배치하여 교량받침(10)의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Here,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is coupled to at least one anchor socket 14 constituting the bridge support 10, and in particular, the integral U-shaped bolt When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s (60) are coupled to the shear reinforcing bars (3), the U-shaped bolts (50) are arranged so that the U-shaped bolts are in contact with the shear reinforcing bars (3) so that the sliding phenomenon of the bridge support (10) does not occur. shall.

예컨대, 어느 하나의 앵커소켓(14)이 형성된 위치에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를 결합할 때에 왼쪽에 배치되는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는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의 오른쪽면에 맞닿도록 하고, 이와 대향되는 오른쪽에 배치되는 일체식 U자형 볼트(50) 또는 조립식 U자형 볼트(60)는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의 왼쪽면과 맞닿도록 하여 교량받침(10)의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한 형태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is coupled to the position where one of the anchor sockets 14 is formed,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the prefabricated U-shaped bolt 50 disposed on the left side The bolt 60 is in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reinforcing bar 2 or the shear reinforcing bar 3, and the integral U-shaped bolt 50 or prefabricated U-shaped bolt 6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pposite to the reinforcing bar 2 or the shear reinforcing bar 3 (2) Alternatively, construction may be per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sliding phenomenon of the bridge support 10 is prevented by contacting the left side of the shear reinforcing bar 3.

라. 앵커소켓 고정판 결합단계la. Anchor socket fixing plate coupling step

본 단계는 받침지지판(30)에 앵커소켓 고정판(20)을 고정결합하기 위한 단계이다.This step is a step for fixing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to the support plate 30.

상기 앵커소켓 고정판(20)은 내측으로 앵커소켓 결합홀(22)을 형성하고 있고, 앵커소켓 결합홀(22)의 외주면으로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소켓 고정판 볼트홀(21)이 형성되어 있어, 받침지지판(30)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교좌자지판용 볼트홀(32)의 위치를 조정하여 맞춘 후 통상의 볼트(B)를 이용하여 앵커소켓 고정판(20)을 고정 결합할 수 있다.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forms an anchor socket coupling hole 22 on the inside, and an anchor socket fixing plate bolt hole 21 having a plurality of threads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chor socket coupling hole 22. After adjusting and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bolt hole 32 for the seat holder board in which the thread of the support plate 30 is formed,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can be fixedly coupled using a normal bolt (B). .

여기서, 상기 앵커소켓 고정판(20)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받침지지판(30)과 앵커소켓 고정판(20)을 추가로 용접을 통해 고정결합할 수도 있다.Here, in order to more firmly fix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the support plate 30 and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may be additionally fixedly coupled through welding.

이러한, 앵커소켓 고정판(20)은 교량받침(10)의 앵커소켓(14)이 4개소인 만큼 4개소를 받침지지판(30)에 결합하여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can complete this step by combining four anchor sockets 14 of the bridge support 10 with the support plate 30 as many as four.

마. 교량받침 설치단계mind. Bridge support installation step

상기 앵커소켓 고정판 결합단계에서 받침지지판(30)에 결합된 앵커소켓 고정판(20)에 교량받침(10)의 앵커소켓(14)을 결합하는 단계이다.This is a step of coupling the anchor socket 14 of the bridge support 10 to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30 in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coupling step.

즉, 본 발명에서의 교량받침(10)은 상, 하부 플레이트(11, 13) 사이에 베어링(12)이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13)에는 앵커소켓(14)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단계에서는 상기 앵커소켓(14)을 앵커소켓 고정판(20)에 형성되어 있는 엥커소켓 결합홀(22)에 안착시켜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That is, the bridge bearing 10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earing 12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 and 13, and the anchor socket 14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13 In this step, the anchor socket 14 can be seated in the anchor socket coupling hole 22 formed in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to complete this step.

여기서, 본 단계를 통해 교량받침(10)을 앵커소켓 고정판(20)에 더욱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앵커소켓 고정판(20)의 앵커소켓 결합홀(22)에 결합된 앵커소켓(14)을 용접을 통해 고정하여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bridge support 10 to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through this step, the anchor socket 14 coupled to the anchor socket coupling hole 22 of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is welded. It may be fixed and combined.

특히, 상술한 교량받침(10)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앵커소켓 고정판(20)의 앵커소켓 결합홀(22)에 하나 이상의 고임박판(80)을 삽입하여 수평을 맞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above-described bridge bearing 10 is not level, one or more thin gong plates 80 may be inserted into the anchor socket coupling hole 22 of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to level the work.

여기서, 상술한 교량받침(10)은 탄성받침, 포트받침, 스페리컬 받침, 납면진받침, 마찰진자형 받침, ER(Mass Energy Regulator) 스프링으로 지진력을 흡수 또는 소산시키는 EPS(Earthquake Protection System)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Here, the bridge bearing 10 described above is an elastic bearing, a pot bearing, a spherical bearing, a rubber bearing, a pendulum type bearing, an Earthquake Protection System (EPS) that absorbs or dissipates earthquake force with an ER (Mass Energy Regulator) spring, etc. It can be of various forms.

바. 교량받침 설치완료단계bar. Bridge bearing installation completion stage

본 단계는 교량받침(10) 까지 설치가 완료되면 교량받침(10)을 구성하는 앵커소켓(14)까지 내진모르타르 또는 무수축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이다.This step is a step of completing the construction by pouring earthquake-resistant mortar or non-shrinkage mortar up to the anchor socket 14 constituting the bridge bearing 10 when the installation to the bridge bearing 10 is completed.

본 발명에서의 내진모르타르 또는 무수축모르타르의 타설은 숏크리트나 고유동성인 자기충전 형태로 타설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ismic mortar or non-shrinkage mortar can be placed in the form of shotcrete or self-filling with high fluidity.

여기서, 상기 내진모르타르는 압축강도가 60~200mpa로 강섬유와 합성섬유를 단독 또는 복합 혼입하여 인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앵커소켓의 높이가 3cm이내이고 균열저항성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하며 그외에는 무수축모르타르를 사용한다.Here, the earthquake-resistant mortar has a compressive strength of 60 to 200 mpa and has increased toughness by mixing steel fiber and synthetic fiber alone or in combination, and is used when the height of the anchor socket is less than 3 cm and crack resistance is required. use.

일반적으로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코핑부보다 내진모르타르 또는 무수축모르타르의 타설면이 높아야하는데, 형하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타설면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사용중 타설면에 비 또는 눈 등의 물이 고이지 않도록 타설면에 V형 홈을 내어 배수될 수 있도록한다. In general, the pouring surface of seismic mortar or non-shrinkage mortar should be higher than the coping part of the pier (1a) or abutment (1b). To prevent water from pooling, V-shaped grooves are made on the pouring surface to allow drainage.

한편, 상기와 같은 교체공법을 통해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700)은 교각(1a) 또는 교대(1b)의 코핑부에 형성된 배력근(2) 또는 전단철근(3)에 받침지지판(30)을 U자형 볼트(50)를 이용해 고정 연결하여 일체화시킨 후, 받침지지판(30)의 상측으로 앵커소켓 고정판(20) 및 교량받침(10)을 차례로 고정 결합하기 때문에 교량받침(10)의 앵커소켓(14)의 길이가 짧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이 형성되어 내진 및 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idge bearing 700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installed through the replace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reinforcing bars 2 or shear reinforcing bars ( 3) After fixing and integrating the support plate 30 using U-shaped bolts 50,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and the bridge support 10 are sequentially fix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30 Even if the length of the anchor socket 14 of the bridge bearing 10 is short, sufficient bearing capacity is formed to perform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functions.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앵커소켓(14)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내진 및 면진 성능이 발휘되기 때문에, 나중에 다른 교량받침(10)의 교체시에도 코핑부(1)의 철근들의 절단 작업 없이도 교량받침(10)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최초 교체하였던 교량받침(10)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내진 및 면진 성능을 유지함으로써 교체시공시 코핑부(1)의 철근들의 절단으로 인한 내하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ength of the anchor socket 14 is shortened as described above, earthquake resistance and seismic isolation performance are exhibited, so that even when another bridge bearing 10 is replaced later,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oping portion 1 do not need to be cut. Even if the bridge bearing 10 is replaced, the same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performance is maintained as in the first replaced bridge bearing 10, thereby reducing the load-bearing capacity due to the cutting of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oping part 1 during replacement construction.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나중에 교량받침(10)의 교체시공시에도 받침지지판(30)이 코핑부(1)의 전단철근(3)에 연결된 상태에서 받침지지판(30)의 상측에 결합된 앵커소켓 고정판(20)에서 교량받침(10)의 앵커소켓(14)을 제거하거나 또는 앵커소켓 고정판(20)의 교체작업만으로 교량받침(10)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교체의 용이성과 더불어 교체 후에도 동일한 내진 및 면진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bridge support 10 is replaced later,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support plate 3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shear reinforcement 3 of the coping part 1 The replacement work of the bridge support 10 is performed only by removing the anchor socket 14 of the bridge support 10 or by replacing the anchor socket fixing plate 20, so that the same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performance after replacement as well as the ease of replacement can be expected

한편, 본 발명의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700)의 설치시 전단철근(3)에 받침지지판(30)을 고정하기 위한 U자형 볼트(50)를 교량받침(10)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배치하여 체결함으로써 교량받침(10)의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여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ing the bridge bearing 700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bearing 10 does not slide the U-shaped bolt 50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30 to the shear reinforcing bar 3 By arranging and fastening so as to prevent sliding of the bridge bearing 10, resistance against horizontal force can be improved.

아울러, 내진모르타르 또는 무수축모르타르를 숏크리트나 고유동성인 자기충전 형태로 타설하여 협소한 공간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배합중에 발생한 갇힌공기 등이 다짐효과에 의해 제거됨으로 내진모르타르 또는 무수축모르타르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ouring seismic mortar or non-shrinkage mortar in the form of shotcrete or self-filling with high fluidity, voids do not occur in a narrow space, and trapped air generated during mixing is removed by the compaction effect, so seismic mortar or non-shrinkage morta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ensity of can also be obtained.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자명한 것임을 명시한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described fo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changed and used in various form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교량 1a : 교각 1b : 교대 1c : 상부 구조물
2 : 배력근 3 : 전단철근
100 : 잭블럭부
110 : 강재블럭
111 : 상부플랜지 111a : 제1 미끄럼방지부 112 하부플랜지
113 : 수직재 114 : 복부판
120 : L형 지지판
200 : 인상부
210 : 인상유닛
211 : 실린더 211a : 제2 미끄럼방지부
212 : 피스톤 212a : 구형홈 212b : 나사산 212c :
220 : 회전반구판
221 : 구형턱 222 : 마찰면
230 : 안전너트
231 : 나사산 232 : 결합홀
300 : 마찰부
310 : 마찰덮개판 311 : 수평판 312 : 수직판
320 : 마찰재 321 : 마찰접촉면 322 : 마찰재 홈
330 : 고임판
400 : 변위기록부
410 : 변위기록부 고정대 411 : 마킹수단 결합홀
420 : 탄성부 430 : 마킹수단 440 : 변위기록부 상부판
450 : 기록지 451 : 변위눈금부
460 : 변위기록부 하부판
500 : 피스톤 제어부
510 : 피스톤 제어부 블럭 511 : 피스톤 제어부 핀홈
520 :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 521 : 제1핀 522 : 제2 핀
523 : 피스톤 제어부 볼트
530 : 피스톤 제어부 너트 540 : 피스톤 제어부 눈금
600 : 인상 제어부
700 :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량받침
10 : 교량받침
11 : 상부 플레이트 12 : 베어링 13 : 하부 플레이트 14 : 앵커소켓
20 : 앵커소켓 고정판
21 : 앵커소켓 고정판 볼트홀 22 : 앵커소켓 결합홀
30 : 받침지지판
31 : U자형 볼트 결합홀 32 : 받침지지판용 볼트홈
50 : 일체식 U자형 볼트
51 : 볼트부 52 : 걸림부
60 : 조립식 U자형 볼트
61 : 볼트부 61a : 제1 볼트 61b : 제2 볼트
62 : 걸림부 62a : 너트블럭 62b : 제2 볼트 결합홀
80 : 고임박판
1000 :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1: bridge 1a: pier 1b: abutment 1c: superstructure
2: reinforcement bar 3: shear reinforcing bar
100: jack block part
110: steel block
111: upper flange 111a: first non-slip portion 112 lower flange
113: vertical member 114: abdominal plate
120: L-shaped support plate
200: impression part
210: impression unit
211: cylinder 211a: second anti-slip part
212: piston 212a: spherical groove 212b: thread 212c:
220: rotating hemisphere plate
221: spherical jaw 222: friction surface
230: safety nut
231: screw thread 232: coupling hole
300: friction part
310: friction cover plate 311: horizontal plate 312: vertical plate
320: friction material 321: friction contact surface 322: friction material groove
330: Goimpan
400: displacement record book
410: Displacement recorder holder 411: Marking means coupling hole
420: elastic part 430: marking means 440: upper plate of displacement recording part
450: recording paper 451: displacement scale
460: lower plate of displacement recorder
500: piston control unit
510: piston control block 511: piston control pin groove
520: piston control coupling pin 521: first pin 522: second pin
523: piston control bolt
530: piston control nut 540: piston control scale
600: impression control unit
700: Bridge bearing for seismic and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10: bridge support
11: upper plate 12: bearing 13: lower plate 14: anchor socket
20: anchor socket fixing plate
21: anchor socket fixing plate bolt hole 22: anchor socket coupling hole
30: supporting plate
31: U-shaped bolt coupling hole 32: bolt groove for support plate
50: integral U-shaped bolt
51: bolt part 52: locking part
60: prefabricated U-shaped bolt
61: bolt part 61a: first bolt 61b: second bolt
62: hooking part 62a: nut block 62b: second bolt coupling hole
80: Goim thin plate
1000: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bridge superstructure

Claims (24)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와 상부 구조물 사이의 형하공간에 설치되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에 배치되며 유압이 인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결합하여 실린더에 인입되는 유압에 의해 승강하되, 실린더와 결합되지 않은 타단인 상측면에는 구형홈을 포함하고, 구형홈이 형성된 상단의 측면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인상유닛과 상기 인상유닛을 구성하는 피스톤의 구형홈과 맞닿는 구형턱을 형성하고 타단은 편평한 마찰면을 포함하는 회전반구판과, 상기 인상유닛을 구성하는 피스톤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안전너트를 포함하는 인상부;
상기 교량의 상부 구조물 하부와 인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부; 및
인상부를 제어하는 인상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상부를 구성하는 안전너트의 측면에는 결합홀을 형성하고, 실린더의 측면에는 내측에 피스톤 제어부 핀홈을 포함하는 피스톤 제어부 블럭과, 상기 안전너트의 결합홀에 결합하는 제1핀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핀에서 절곡되어 피스톤 제어부 블럭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에 결합하는 제2핀을 형성하며 상기 제2핀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피스톤 제어부 볼트로 이루어진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과, 상기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의 피스톤 제어부 볼트에 결합하는 피스톤 제어부 너트와 상기 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되되 피스톤 제어부 볼트의 높이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피스톤 제어부 눈금으로 이루어진 피스톤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In the bridg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ld space between the piers or abutments constituting the bridge and the upper structure,
A cylinder disposed on a pier or abutment constituting the bridge and coupl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to which hydraulic pressure is drawn is raised and lowered by hydraulic pressure drawn into the cylinder, and the upper surface, which is the other end not coupled to the cylinder, includes a spherical groove, An impression unit made of a piston forming a screw thread o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end on which the spherical groove is formed, a spherical jaw that contacts the spherical groove of the piston constituting the impression unit, and a rotating hemisphere plate having a flat friction surface at the other end, an lifting unit including a safety nut including a screw thread engaged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a piston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a friction part form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lifting part; and
Including an impre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pression unit,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afety nut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a piston control block including a piston control pin groove inside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and a first pi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afety nut are formed. A piston control coupling pin made of a piston control bolt that is bent from the first pin to form a second pin coupled to the piston control pin groove of the piston control block and extended to one end of the second pin, and a piston of the piston control coupling pin The bridg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iston control unit consisting of a piston control nut coupled to the control bolt and a piston control sca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to measure the height position of the piston control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또는 교대와 인상부 사이에는 강재블럭을 포함하는 잭블럭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잭블럭부를 구성하는 강재블럭의 상측으로는 홈 또는 턱 형태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 미끄럼 방지부를 더 형성하고, 인상부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하부에는 제1 미끄럼 방지부와 대응하는 턱 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2 미끄럼방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jack block portion including a steel block between the pier or abutment and the lif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bridge,
A first non-slip portion made of either a groove or a jaw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block constituting the jack block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constituting the lif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jaw o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ti-slip portion. A bridg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ti-skid portion is further inclu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잭블럭부의 상측에는 내측으로 마킹수단 결합홀을 포함하는 변위기록부 고정대와 상기 변위기록부 고정대의 마킹수단 결합홀 내에 삽입되는 탄성부와 상기 변위기록부 고정대에 삽입되는 마킹수단과 상기 마킹수단에 의해 마킹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량의 상부 구조물에 형성되는 변위기록부 상부판 및 변위기록부 상부판 내에 형성되는 기록지로 이루어진 변위기록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Claim 3]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of claim 2, wherein an upper side of the jack block unit includes a marking means coupling hole, an elastic part inserted into the marking unit coupling hole of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and a marking unit inserted into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holder. A bridg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isplacement recording unit formed of a displacement recording unit upper plate formed 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a recording paper formed in the displacement recording unit upper structure so as to be marked by the mark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부를 구성하는 피스톤의 바닥면 모서리와 실린더 내부의 상면 모서리는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Claim 2]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a bridg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edge of the piston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and an upper edge of the inside of the cylinder are rou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 하측에 결합하는 마찰덮개판과 상기 마찰덮개판에 결합하되, 타단은 인상부를 구성하는 회전반구판에 형성된 마찰면과 맞닿는 마찰접촉면이 형성된 마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마찰덮개판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 하측에 결합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찰재의 마찰접촉면에는 하나 이상의 마찰재 홈이 음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The friction part of claim 1, wherein the friction part is coupled to the friction cover plate and the friction cover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other end is a friction material having a friction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 formed on the rotating hemisphere plate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including,
The friction cover plate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a vertical plate extending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The bridg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friction material grooves are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the frictional contact surface of the friction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의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를 이용한 인상공법에 있어서,
상기 교량의 상부 구조물과 교각 또는 교대 사이의 형하공간에 인상유닛, 회전반구판, 안전너트를 포함하는 인상부와, 마찰부 및 인상부를 제어하여 승강시키는 인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를 설치하는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설치단계;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설치단계에서의 인상 제어부를 이용해 인상부를 구성하는 인상유닛의 피스톤을 상승시켜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인상시키는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단계;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단계 이후 인상부를 구성하는 인상유닛의 피스톤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상부를 구성하는 안전너트를 이동시키는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 유지단계; 및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교량받침 교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 설치단계에서의 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의 인상부를 구성하는 안전너트의 측면에는 결합홀을 형성하고, 실린더의 측면에는 내측에 피스톤 제어부 핀홈을 포함하는 피스톤 제어부 블럭과, 상기 안전너트의 결합홀에 결합하는 제1핀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핀에서 절곡되어 피스톤 제어부 블럭의 피스톤 제어부 핀홈에 결합하는 제2핀을 형성하며 상기 제2핀의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피스톤 제어부 볼트로 이루어진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과, 상기 피스톤 제어부 결합핀의 피스톤 제어부 볼트에 결합하는 피스톤 제어부 너트와 상기 실린더의 측면에 형성되되 피스톤 제어부 볼트의 높이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피스톤 제어부 눈금으로 이루어진 피스톤 제어부를 더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 설치단계 이후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단계 이전에 피스톤 제어부의 피스톤 제어부 너트를 이용해 인상부의 인상유닛을 구성하는 피스톤이 상승하는 높이를 제어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인상 높이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교량 상부 구조물 동시 인상장치를 이용한 교량받침의 교체공법.
In the lifting method using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bridge structure of claim 1,
A bridg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including a lifting unit including a lifting unit, a rotating hemisphere plate, and a safety nut in the lower mold space betwee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pier or abutment, and a lifting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riction unit and the lifting unit to raise and lower th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installation step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to install;
A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step of rais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raising the piston of the lifting unit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using the lifting control unit in the bridge upper structur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installation step;
A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and maintaining step of moving a safety nut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so that the piston of the lifting unit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can maintain an elevated state after the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step; and
It includes a bridge support replacement step of replacing the bridge support,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bridge upper structure,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afety nut constituting the lifting part of the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bridge structure, and a piston control block including a piston control pin groove on the in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A piston formed by forming a first pi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safety nut, bending the first pin to form a second pin coupled to the piston control pin groove of the piston control block, and extending to one end of the second pin A piston control unit consisting of a piston control unit coupling pin made of a control unit bolt, a piston control unit nut coupled to the piston control unit bolt of the piston control unit coupling pin, and a piston control sca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to measure the height position of the piston control unit bolt By further installing, after the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device installation step and before the bridge superstructure lifting step, the piston control nut of the piston control unit is used to control the rising height of the piston constituting the lifting unit of the lifting unit to increase the lifting height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A bridge support replacement method using a simultaneous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which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49236A 2022-11-10 2022-11-10 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KR102553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236A KR102553171B1 (en) 2022-11-10 2022-11-10 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236A KR102553171B1 (en) 2022-11-10 2022-11-10 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171B1 true KR102553171B1 (en) 2023-07-07

Family

ID=8715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236A KR102553171B1 (en) 2022-11-10 2022-11-10 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17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12B1 (en) * 2007-06-29 2008-02-29 노윤근 The bridge upper structure pulling up for which construction bent for bridge upper structure pulling up and this were used
KR101284777B1 (en) * 2013-01-11 2013-07-17 황병호 Vertical and horizontal jack king is a possible hydraulic jack unit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101741762B1 (en) * 2016-12-15 2017-06-15 조정혜 Hydraulic jack for lifting bridge,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lifting bridge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bridge
KR102298202B1 (en) * 2020-03-09 2021-09-03 윤필용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KR102298199B1 (en) * 2020-03-09 2021-09-03 윤필용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KR102316890B1 (en) * 2020-12-30 2021-10-26 주식회사 큐빅스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12B1 (en) * 2007-06-29 2008-02-29 노윤근 The bridge upper structure pulling up for which construction bent for bridge upper structure pulling up and this were used
KR101284777B1 (en) * 2013-01-11 2013-07-17 황병호 Vertical and horizontal jack king is a possible hydraulic jack unit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101741762B1 (en) * 2016-12-15 2017-06-15 조정혜 Hydraulic jack for lifting bridge,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lifting bridge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bridge
KR102298202B1 (en) * 2020-03-09 2021-09-03 윤필용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KR102298199B1 (en) * 2020-03-09 2021-09-03 윤필용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KR102316890B1 (en) * 2020-12-30 2021-10-26 주식회사 큐빅스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1935B1 (en) Method for raising a building structure
CN109056548B (en) Steel arch construction method
US7967531B2 (en) Method of raising a building
KR101468068B1 (en) Close adhesion device for bridge
US200300890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elevated concrete floors
KR101704971B1 (en) Support device for leveling-adjustment and displacement recipience and overturning prevention of upper girder and Rahmen bridge using of the same
KR101248838B1 (en) A lifting jack of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method for changing bridge bearings using them
KR100876355B1 (en) The lifting apparatus with a guide form and the lifting method of bridge therewith
CN112681117B (en)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position of bridge pier column and bearing platform
KR101704550B1 (en) lift method for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computer and hydraulic jack including safety device
CN113718640A (en) Displacement-adjustable cushion block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102553171B1 (en) Lifter Apparatus For Bridge Upper Part Structure And Anti-seismic Bridge Bearing Replacement System Method Using The Same
CN113186836A (en) Construction method of brand-new prestress integral bridge falsework
KR101704552B1 (en) Hydraulic jack including safety device and lift method for upper structure of bridge by using hydraulic jack including safety device
KR100467647B1 (en) The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a bridge
CN213203782U (en)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for bridge
US7454871B2 (en) Adjustable pier
KR20190143101A (en) Bridge upper structure raising apparatus and raising method
KR100549798B1 (en) Structure lifting device
CN117569445B (en) Super-long seamless slow-bonding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378428Y1 (en) Bridge bearing one body
CN215857164U (en) Cushion block device capable of adjusting displacement
CN216615458U (en) Cushion block device capable of adjusting displacement and inclination angle
KR102598836B1 (en) Elevation Control Anchor and Bridge Bearing System using it
KR100405404B1 (en) replacing method of bridge bearing for equally distributing l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