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135B1 -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135B1
KR102553135B1 KR1020180000286A KR20180000286A KR102553135B1 KR 102553135 B1 KR102553135 B1 KR 102553135B1 KR 1020180000286 A KR1020180000286 A KR 1020180000286A KR 20180000286 A KR20180000286 A KR 20180000286A KR 102553135 B1 KR102553135 B1 KR 10255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electrode tab
weld bead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549A (ko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135B1/ko
Priority to CN201880083525.2A priority patent/CN111512491B/zh
Priority to EP18898817.4A priority patent/EP3736900A4/en
Priority to US16/769,728 priority patent/US11670803B2/en
Priority to PCT/KR2018/011955 priority patent/WO2019135470A1/ko
Publication of KR2019008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23K26/22Spo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3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32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23K26/323Bond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involving parts made of dissimilar metall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1Laser w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0Aluminium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 B23K2103/26Alloys of Nickel and Cobalt and Chrom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 사이의 용접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전극탭이 인출된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 플레이트가 형성된 보호 회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탭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에 연결된 보호 회로 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 회로 모듈은 상기 배터리 셀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상기 보호 회로 모듈에는 PTC 소자 및 서멀 퓨즈 등의 보호소자가 설치되어 배터리 셀이 고온으로 상승되거나, 과도한 충전 및 방전으로 인한 설정전압이 이상 발생시 외부와의 전류 흐름을 차단한다.
또한, 배터리 셀의 전극탭은 보호 회로 모듈의 탭 플레이트에 용접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보호 회로 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전극탭과 탭 플레이트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용접되고, 레이저 용접에 의해 다수의 용접 비드가 형성된다. 그러나, 다수의 용접 비드는 그 형성 순서에 따라 크기가 달라 전극탭과 탭 플레이트 사이에 균일한 용접 강도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 사이의 용접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은 전극탭이 인출된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탭과 용접 비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 플레이트가 형성된 보호 회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탭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용접 비드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용접 비드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보호 회로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며, 상기 탭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용접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의 표면에는 상기 용접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접 비드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용접 비드; 상기 제 1 용접 비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용접 비드; 상기 제 1 용접비드로부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3 용접 비드; 및 상기 제 3 용접비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4 용접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접 비드 내지 제 4 용접 비드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전극탭이 인출된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 플레이트가 형성된 보호 회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탭 플레이트의 중심에는 상기 탭 플레이트를 가열하기 위한 더미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은 배터리 셀로부터 인출된 전극탭이 보호 회로 모듈의 관통홀이 형성된 탭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상기 보호 회로 모듈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관통홀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는 단계 이후, 상기 탭 플레이트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극탭이 용융되기 위한 레이저 세기의 30%에 해당하는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제1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1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접 비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제1세기보다 작은 제2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2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접 비드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제2세기보다 작은 제3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3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용접 비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제3세기보다 작은 제4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4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은 배터리 셀로부터 인출된 전극탭이 보호 회로 모듈의 탭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상기 보호 회로 모듈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탭 플레이트의 중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더미 비드를 형성하고 상기 탭 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비드의 외측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탭 플레이트와 상기 전극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 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더미 비드는 상기 탭 플레이트가 용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관통홀이 형성된 탭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전극탭을 미리 가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 간에 동일한 크기의 용접 비드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용접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관통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이차 전지의 다양한 제조 공정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이차 전지가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10) 및 보호 회로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전극 조립체(111)와 상기 전극 조립체(111)를 수용하는 케이스(114)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1)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 1 전극(111a), 세퍼레이터(111c) 및 제 2 전극(111b)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전극(111a)은 양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제 2 전극(111b)은 음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전극(111a) 및 제 2 전극(111b)은 서로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극(111a)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1 전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 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 1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 1 전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에는 제 1 전극탭(112)이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탭(112)은 용접에 의해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탭(112)의 일단은 상기 제 1 전극(11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극탭(112)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114)의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상기 제 2 전극(111b)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2 전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 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 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 2 전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에는 제 2 전극탭(113)이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탭(113)은 용접에 의해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탭(113)의 일단은 상기 제 2 전극(11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극탭(113)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114)의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탭(112) 및 제 2 전극탭(113)은 절연 부재(112a, 113a)로 감싸여, 상기 케이스(114)와 전기적으로 쇼트되지 않는다.
상기 세퍼레이터(111c)는 제 1 전극(111a)과 제 2 전극(111b)의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세퍼레이터(111c)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퍼레이터(111c)의 재질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114)는 상기 전극 조립체(111)를 수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14)는 상기 전극 조립체(111)를 수납하여 밀봉할 수 있도록 파우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4)는 상기 전극 조립체(111)가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115)와 상기 전극 조립체(111)를 덮으며 상기 하부 케이스(115)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16)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5)에는 프레스(press) 가공 등을 통해 상기 전극 조립체(11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15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5a)의 외주연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6)와의 실링을 위한 실링부(115b)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115b)는 상기 하부 케이스(115)와 상부 케이스(116)가 일체로 접하여 있는 한 변과 나머지 세변을 따라서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4)는 상기 하부 케이스(115)와 상부 케이스(116)가 마주하는 두개의 장변과 상기 두개의 장변과 수직을 이루며 마주하는 두개의 단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 조립체(111)의 제 1,2 전극탭(112, 113)은 상기 두개의 단변 중 하부 케이스(115)와 상부 케이스(116)가 연결되는 단변과 마주보는 측의 단변을 통해 인출된다. 이때, 상기 제 1,2 전극탭(112, 113)에 형성된 절연 부재(112a, 113a)가 상기 실링부(115b)에 실링된다. 즉, 상기 절연 부재(112a, 113a)는 상기 제 1,2 전극탭(112, 113)과 실링부(115b)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2 전극탭(112, 113)이 상기 케이스(114)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케이스(114)는 제 1 절연층, 금속층 및 제 2 절연층을 갖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절연층은 상기 케이스(114)의 내측면으로 절연성 및 열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고, 제 2 절연층은 상기 케이스(114)의 외측면으로 외부 전자기기와의 기계적, 화학적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은 제 1 절연층과 제 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수분과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케이스(114) 내부에 채워진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114)는 파우치 형태뿐만 아니라,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캔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배터리 셀(110)은 파우치형 이외에도 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보호 회로 모듈(120)은 상기 배터리 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110)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상기 보호 회로 모듈(120)은 회로 기판(121)과 상기 회로 기판(121)에 형성된 다수의 소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121)은 수지로 이루어지며, 대략 평평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기판(121)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121)은 상기 배터리 셀(11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 또는 과방전 및 과충전을 방지하는 회로와 같은 보호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21)은 제1면(121a)과 상기 제1면(121a)의 반대면인 제2면(121b)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121b)에는 상기 배터리 셀(110)의 제 1 전극탭(112) 및 제 2 전극탭(113)이 각각 결합되는 제 1 탭 플레이트(122) 및 제 2 탭 플레이트(12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탭 플레이트(122)에는 제 1 전극탭(112)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탭 플레이트 (123)에는 제 2 전극탭(113)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레이저 용접은 4 포인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접 포인트에는 레이저 용접에 따른 용접 비드(B1~B4)가 형성된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제 1 전극탭(112) 및 제 2 전극탭(113)은 상기 회로 기판(121)의 제2면(121b)측에 결합된다. 즉, 하부에서부터 제 1,2 전극탭(112,113), 제 1,2 탭 플레이트(122,123), 회로 기판(121)의 순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 기판(121)은 상기 제 1,2 전극탭(112,113)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114)의 수용홈(115a)과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한다.
더불어, 상기 회로 기판(121)에는 상기 제 1 탭 플레이트(122) 및 제 2 탭 플레이트(123)와 제 1 전극탭(112) 및 제 2 전극탭(113)과의 용접을 위한 제 1 용접홀(122a) 및 제 2 용접홀(123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용접홀(122a)은 상기 회로 기판(121)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탭 플레이트(1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접홀(123a)은 상기 회로 기판(121)을 관통하며 상기 제 2 탭 플레이트(123)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2 용접홀(122a,123a)은 상기 제 1,2 탭 플레이트(122,123)와 제 1,2 전극탭(112,113)의 용접을 위해 형성된다.
다음은 제 1 탭 플레이트와 제 1 전극탭 사이의 용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의 용접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 2 전극탭과 제 2 탭 플레이트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용접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탭 플레이트(122)에는 관통홀(122b)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22b)은 대략 제 1 탭 플레이트(122)의 중심에 형성되며,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2b)은 제 1 탭 플레이트(122)와 제 1 전극탭(112)의 용접 시 제 1 전극탭(112)을 미리 가열하기 위한 홀이다. 상기 관통홀(122b)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면 제 1 전극탭(112)이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제 1 탭 플레이트(122)와 제 1 전극탭(112) 사이의 용접 비드(B1~B4)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레이저 용접은 두 개의 금속판을 겹쳐 놓고 상부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접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부 금속판(제 1 탭 플레이트)에 비해 하부 금속판(제 1 전극탭)의 열전도가 떨어지고, 용접시간이 지날수록 하부 금속판(제 1 전극탭)이 서서히 가열되므로 처음에 형성된 용접 비드와 나중에 형성된 용접 비드 사이의 크기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처음에 형성된 용접 비드의 크기는 하부 금속판(제 1 전극탭)이 덜 가열된 상태이므로 상대적으로 작고, 나중에 형성된 용접 비드의 크기는 하부 금속판(제 1 전극탭)이 서서히 가열되었으므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용접 비드의 크기가 다르면 용접 강도가 서로 상이하므로 전극탭과 탭 플레이트 사이의 안정적인 용접 강도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탭 플레이트(122)에 관통홀(122b)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22b)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1 전극탭(112)을 미리 가열시킴으로써, 제 1 탭 플레이트(122)와 제 1 전극탭(112) 간의 용접 비드(B1~B4)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여, 균일하면서도 안정적인 용접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먼저, 제 1 전극탭(112)의 상부에 제 1 탭 플레이트(122)가 접촉되도록, 상기 제 1 전극탭(112)의 상부에 보호 회로 모듈(120)을 올려 놓는다. 여기서, 제 1 전극탭(112)과 제 1 탭 플레이트(122)는 동일한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탭(112)과 제 1 탭 플레이트(122)는 모두 니켈(Ni)로 이루어지거나, 제 1 전극탭(112)은 알루미늄(Al)으로 제 1 탭 플레이트(122)는 니켈(Ni)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 1 탭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관통홀(122b)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1 전극탭(112)을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22b)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면, 관통홀(122b)과 대응 제 1 전극탭(112)에는 그에 따른 자국이 남을 수 있다. 물론, 레이저의 세기에 따라서 제 1 전극탭(112)에는 자국이 남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관통홀(122b) 통해 조사되는 레이저의 세기는 상기 제 1 전극탭(112)이 용융되기 위한 기준 세기의 약 30% 정도에 해당하는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탭(112)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 제 1 전극탭(112)의 상부에 위치한 제 1 탭 플레이트(122)에도 열이 전달되어, 상기 제 1 탭 플레이트(122)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다음으로, 회로 기판(121)에 형성된 제 1 용접홀(122a)을 통해 제 1 탭 플레이트(122)의 상부에서 레이저 조사하여 제 1 탭 플레이트(122)와 제 1 전극탭(112)을 용접한다. 이때 레이저 용접은 4포인트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용접 비드(B1~B4)도 4개가 형성된다. 먼저, 관통홀(122b)의 일측에 레이저를 제1세기로 조사하여 제 1 용접 비드(B1)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1 용접 비드(B1)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레이저를 제2세기로 조사하여 제 2 용접 비드(B2)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용접 비드(B1)와 제 2 용접 비드(B2)는 상기 관통홀(122b)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용접 비드(B1)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레이저를 제3세기로 조사하여 제 3 용접 비드(B3)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그리고 나서, 제 3 용접 비드(B3)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레이저를 제4세기로 조사하여 제 4 용접 비드(B4)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122b)을 기준으로, 제 1,3 용접 비드(B1,B3)가 일측에 위치하고 제 2,4 용접 비드(B2,B4)가 타측에 위치한다.
또한, 레이저의 세기는 제1세기보다 제2세기가 더 작고, 제2세기보다 제3세기가 더 작으며, 제3세기보다 제4세기가 더 작다. 이는 레이저 용접이 진행될수록 제 1 탭 플레이트(122) 및 제 1 전극탭(112)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므로, 레이저의 세기를 점점 줄임으로써 용접 비드(B1~B4)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세기는 기준 세기의 약 90%이고, 제2세기는 기준 세기의 약 80%이며, 제3세기는 기준 세기의 약 70%이고, 제4세기는 기준 세기의 약 60%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세기는 제 1 탭 플레이트(122)가 용융될 수 있는 레이저의 세기를 말한다. 또한, 관통홀(122b)을 통해 레이저가 미리 조사되어 제 1 전극탭(112) 및 제 1 탭 플레이트(122)가 가열되어 있으므로, 제 1 용접 비드(B1)를 형성하기 위한 제1세기는 기준 세기의 약 90%정도로만 조사하여도 충분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탭 플레이트(122)에 관통홀(122b)을 형성하여 하부에 위치한 제 1 전극탭(112)을 미리 가열시키고 제 1 탭 플레이트(122)와 제 1 전극탭(112)을 용접할 때 레이저의 세기를 점차적으로 줄임으로써, 동일한 크기의 용접 비드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용접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관통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탭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관통홀(222b)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222b)은 제 1,3 용접 비드(B1,B3)와 제 2,4 용접 비드(B2,B4)를 서로 격리시키도록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탭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관통홀(322b)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제 1,2 용접 비드(B1,B2)와 제 3,4 용접 비드(B3,B4)를 서로 격리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홀(322b)은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 1 전극탭과 제 1 탭 플레이트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탭 플레이트(122)와 제 1 전극탭(112)을 서로 용접하기 전에, 제 1 탭 플레이트(122)의 중심에 더미 비드(B0)를 형성한다. 상기 더미 비드(B0)는 제 1 탭 플레이트(122)를 미리 가열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탭 플레이트(122)의 중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1 탭 플레이트(122)가 용융됨으로써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더미 비드(B0)는 제 1 탭 플레이트(122)와 제 1 전극탭(112)을 서로 용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제 1 탭 플레이트(122)를 미리 가열시키기 위한 비드이다. 이와 같은 용접 방법은 제 1 탭 플레이트(122)의 용융점이 제 1 전극탭(112)의 용융점보다 높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탭 플레이트(122)가 니켈(Ni)로 형성되고 제 1 전극탭(112)이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 경우, 상대적으로 용융점이 높은 제 1 탭 플레이트(122)를 미리 가열하기 위해 더미 비드(B0)를 형성한다. 이후에, 차례로 제 1 용접 비드(B1), 제 2 용접 비드(B2), 제 3 용접 비드(B3) 및 제 4 용접 비드(B4)를 형성한다. 이때, 레이저의 세기를 점점 줄임으로써 제 1 용접 비드(B1) 내지 제 4 용접 비드(B4)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미 비드(B0)는 제 1 탭 플레이트(122)와 제 1 전극탭(112)을 용접하기 위한 비드가 아니므로, 제 1 전극탭(112)의 표면에는 제 1 용접 비드(B1) 내지 제 4 용접 비드(B4)만 형성되고, 더미 비드(B0)는 별도로 형성되지 않는다. 물론, 레이저 조사의 세기에 따라, 더미 비드(B0)가 위치한 곳의 제 1 전극탭(112)의 표면에는 약간의 흔적이 발생할 수는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배터리 팩 110: 배터리 셀
112: 제 1 전극탭 113: 제 2 전극탭
120: 보호 회로 모듈 121: 회로 기판
122: 제 1 탭 플레이트 122a: 제 1 용접홀
122b, 222b, 322b: 관통홀 123: 제 2 탭 플레이트
123a: 제 2 용접홀

Claims (10)

  1. 전극탭이 인출된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탭과 용접 비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 플레이트가 형성된 보호 회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탭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용접 비드와 중첩되지 않고 상기 용접 비드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며, 상기 탭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용접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의 표면에는 상기 용접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비드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용접 비드;
    상기 제 1 용접 비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용접 비드;
    상기 제 1 용접비드로부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3 용접 비드; 및
    상기 제 3 용접비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4 용접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용접 비드 내지 제 4 용접 비드의 크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전극탭이 인출된 배터리 셀; 및
    상기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탭 플레이트가 형성된 보호 회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탭 플레이트의 중심에는 상기 탭 플레이트를 가열하기 위한 더미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배터리 셀로부터 인출된 전극탭이 보호 회로 모듈의 관통홀이 형성된 탭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상기 보호 회로 모듈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관통홀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는 단계 이후, 상기 탭 플레이트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탭 플레이트와 전극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을 가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극탭이 용융되기 위한 레이저 세기의 30%에 해당하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제1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1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접 비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제1세기보다 작은 제2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2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접 비드로부터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제2세기보다 작은 제3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3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용접 비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제3세기보다 작은 제4세기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 4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9. 배터리 셀로부터 인출된 전극탭이 보호 회로 모듈의 탭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상기 보호 회로 모듈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탭 플레이트의 중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더미 비드를 형성하고 상기 탭 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비드의 외측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탭 플레이트와 상기 전극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용접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탭 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상기 더미 비드는 상기 탭 플레이트가 용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KR1020180000286A 2018-01-02 2018-01-02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86A KR102553135B1 (ko) 2018-01-02 2018-01-02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CN201880083525.2A CN111512491B (zh) 2018-01-02 2018-10-11 电池组及其制造方法
EP18898817.4A EP3736900A4 (en) 2018-01-02 2018-10-11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T
US16/769,728 US11670803B2 (en) 2018-01-02 2018-10-11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8/011955 WO2019135470A1 (ko) 2018-01-02 2018-10-11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286A KR102553135B1 (ko) 2018-01-02 2018-01-02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49A KR20190082549A (ko) 2019-07-10
KR102553135B1 true KR102553135B1 (ko) 2023-07-07

Family

ID=6714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286A KR102553135B1 (ko) 2018-01-02 2018-01-02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70803B2 (ko)
EP (1) EP3736900A4 (ko)
KR (1) KR102553135B1 (ko)
CN (1) CN111512491B (ko)
WO (1) WO2019135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753B1 (ko) 2020-02-17 2024-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레이저 용접 방법 및 모니터링 방법
CN113839150A (zh) * 2020-06-24 2021-12-24 新普科技股份有限公司 电连接点的接合结构、电连接点的接合方法及电池模块
KR20220056637A (ko) 2020-10-28 2022-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레이저 용접 방법 및 레이저 용접 장치
CN113451712B (zh) * 2021-07-29 2024-04-09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极耳结构、电池、极耳焊接方法及其装置
KR20230115760A (ko) * 2022-01-27 2023-08-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4639904B (zh) * 2022-03-31 2024-03-15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电芯、电池及电子设备
KR20240026780A (ko) *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레이저차단부를 포함하는 pcb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CN115588748B (zh) * 2022-12-07 2023-04-11 四川启睿克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与电路板的集成装置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4829B2 (ja) * 1993-04-01 1999-10-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溶接方法および溶接装置
JP3272534B2 (ja) * 1994-03-14 2002-04-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Al合金のレーザー溶接方法
JPH09190812A (ja) 1996-01-08 1997-07-22 Furukawa Battery Co Ltd:The 鉛蓄電池用極板群の耳列群の鋳造ストラップによる溶接法
KR100890715B1 (ko) * 2000-11-01 2009-03-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지, 전지의 제조 방법, 용접물의 제조 방법 및 페데스탈
US7154064B2 (en) * 2003-12-08 2006-12-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improving weld quality
BRPI0519442B8 (pt) * 2004-12-24 2023-01-10 Lg Chemical Ltd Conjunto de placas sensoras montado em um módulo de bateria e módulo de bateria incluindo o referido conjunto
JP2006324323A (ja) 2005-05-17 2006-11-30 Honda Motor Co Ltd 電気化学素子における溶接領域のレーザ溶接方法
JP4739063B2 (ja) 2006-02-27 2011-08-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レーザ接合方法
JP2007265962A (ja) 2006-02-28 2007-10-11 Hitachi Ltd レーザ溶接方法,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KR100846956B1 (ko) 2006-11-21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 모듈을 갖는 이차전지
JP5105944B2 (ja) * 2007-04-16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ザ装置
JP2009166080A (ja) 2008-01-16 2009-07-30 Hitachi Ltd レーザ溶接方法
KR101023879B1 (ko) * 2008-12-18 2011-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057566B1 (ko) 2009-06-15 2011-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및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075304B1 (ko) 2009-10-09 2011-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1177254B1 (ko) * 2009-12-04 2012-08-24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용접 구조체의 맞댐 용접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2424B1 (ko) 2010-03-25 2013-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실장 방법
KR101211859B1 (ko) * 2010-11-11 2012-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1432224B1 (ko) 2012-02-07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이차전지 팩
KR101425800B1 (ko) 2012-11-02 2014-08-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레이저 용접 방법
KR101780049B1 (ko) * 2013-07-01 2017-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저 용접 비드 검사 장치 및 방법
US9608240B2 (en) 2013-07-26 2017-03-28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20150098833A (ko) 2014-02-21 2015-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용접지그
DE102014119581A1 (de) 2014-12-23 2016-06-23 Wink Stanzwerkzeuge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hlblechen für Stanzbleche
JP2017142929A (ja) * 2016-02-09 2017-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JP6624510B2 (ja) 2016-02-19 2019-1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735898A (zh) 2017-01-13 2017-05-31 上海德朗能动力电池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的盖帽焊接方法和焊接结构
CN107335915A (zh) 2017-06-12 2017-11-10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激光焊接装置及其焊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6900A1 (en) 2020-11-11
KR20190082549A (ko) 2019-07-10
EP3736900A4 (en) 2021-12-08
US20200373544A1 (en) 2020-11-26
US11670803B2 (en) 2023-06-06
WO2019135470A1 (ko) 2019-07-11
CN111512491A (zh) 2020-08-07
CN111512491B (zh)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135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EP2136425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44987B1 (ko) 신규한 실링부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5352612B2 (ja) 二次電池
KR101726909B1 (ko) 광흡수 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101912004B1 (ko) 바이메탈 탭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개선시킨 리튬 이차전지
US11289782B2 (en) Secondary battery
KR20160046160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10797297B2 (en) Secondary battery
KR102303568B1 (ko) 퓨즈를 갖는 이차 전지
KR20050122682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70309879A1 (en) Secondary battery
KR20190016691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5952A (ko) 이차 전지
KR100599793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US10312497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210006202A (ko) 이차 전지
KR101968345B1 (ko) 이차 전지
KR101292284B1 (ko) 신규한 실링부 구조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070076172A (ko) 각형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05953A (ko)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
KR20230007111A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20120054873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5095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전극리드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2455141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