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808B1 -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808B1
KR102552808B1 KR1020210043872A KR20210043872A KR102552808B1 KR 102552808 B1 KR102552808 B1 KR 102552808B1 KR 1020210043872 A KR1020210043872 A KR 1020210043872A KR 20210043872 A KR20210043872 A KR 20210043872A KR 102552808 B1 KR102552808 B1 KR 102552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ole
skin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132A (ko
Inventor
권대철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8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36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sensing tissue properties at the infusion site, e.g. for detecting in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3Measuring volume, e.g. of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5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by non-invasive methods, e.g. for determining thickness of tissu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61Strain gauges
    • A61B2562/0266Optical strain gau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되며 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포함하는 밴드; 상기 밴드에 배치되며, 상기 홀의 주위에서, 복수 개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 상기 밴드에 배치되는 센싱부;및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와 연결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의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가 밴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광경로상에 상기 홀이 위치하도록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센싱부는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는 피부의 제1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값과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1 높이에 기초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을 측정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Measurement device for extravasation volume}
본 발명은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관외유출에 따른 피부변형 부위의 융기를 삼차원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객관적인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을 제공함으로써 시술 안전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에 따른 최적의 치료방법 선택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혈관외유출에 따른 각종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관외유출(Extravasation)은 혈관주사제가 혈관안으로 들어가는 대신에 혈관을 둘러싼 조직으로 주입되는 현상으로, 조직의 괴사 및 합병증을 유발한다.
혈관외유출된 경우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자연히 흡수되어 치유되나, 고삼투압에 의해 심한 조직괴사를 일으키어 경우에 따라서는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피부이식술이나 조직 재건술이 필요하게 된다.
즉, 환자에게 심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수반하고, 의료에 대한 불신 및 의료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혈관외유출의 사전 예방 필요성에 대해서는 재차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한편, 혈관주사제의 시술시 혈관외유출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경우에 따라 이러한 혈관외유출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혈관외유출시 혈관외유출된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혈관외유출 부위를 압박하거나 부종을 감소하기 위하여 거상을 시키고, 차가운 물질을 부위에 부착하는 등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에 따라 그 치료방법을 달리하여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방안으로서의 치료가 행해진다.
즉, 유출된 혈관주사제의 용량에 따라 적절한 치료방법이 선택되어야만이 최적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혈관외유출을 판단함에 있어 술자의 감에만 의존하였고, 더욱이, 혈관주사제의 유출량 또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혈관외유출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32477호(2001.04.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혈관외유출에 따른 피부변형 부위의 융기를 삼차원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객관적인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을 제공함으로써 시술 안전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에 따른 최적의 치료방법 선택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혈관외유출에 따른 각종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검사자의 팔에 부착되어 혈관주사제의 혈관외유출의 유출량을 측정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혈관외유출에 따른 피부변형 부위의 면적과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피부변형 부위의 부피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는, 피부에 부착되며 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포함하는 밴드; 상기 밴드에 배치되며, 상기 홀의 주위에서, 복수 개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 상기 밴드에 배치되는 센싱부;및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와 센싱부에 연결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의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가 밴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광경로상에 상기 홀이 위치하도록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센싱부는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는 피부의 제1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검출부는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형성된 제1 면적과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1 높이에 기초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에 의한 피부변형 부위의 부피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면적은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 각각의 단위면적 합과 홀의 개구면적을 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높이는 상기 밴드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홀의 최상단과 상기 홀에서 돌출되는 피부의 최상단의 높이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부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배치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밴드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밴드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밴드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의 밴딩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가 마주보도록, 상기 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의 위치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값과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는 피부의 높이에 대응한 혈관주사제 유출량이 룩업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값과 상기 제1 높이에 대응하는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부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 중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행과 열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에 배치되며 상기 검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된 피검사자의 피부영역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상기 밴드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상기 밴드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밴드의 밴딩에 연동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화각에 상기 홀이 들어오도록 상기 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부는 검출된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는, 혈관외유출에 따른 주사부위의 융기에 대한 삼차원적인 부피를 측정하여 보다 객관적인 정보로서 검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술 안전성을 도모하고, 혈관외유출에 따른 각종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혈관주사제가 유출된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혈관주사제의 주입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있으며, 주입된 혈관주사제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를 피검사자의 팔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 및 홀의 개구면적으로 구성되는 제1 면적 설명하기 위해 스트레인게이지의 x,y 평면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밴드가 착용되었을 때, 센싱부와 적외선 카메라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센싱부를 통해, 부풀어 오른 피부의 제1 높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스트레인게이지를 통해, 혈관주사제의 유출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량과 유출위치를 검출하고, 적외선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피검사자가 스퀴즈 버튼을 눌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검사자가 혈관주사제의 주입을 지속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되는 혈관주사제는 CT(computed tomography) 검사를 위한 조영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는 피검사자의 팔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는 혈관주사제(예를 들어, 조영제)가 주입되는 피검사자의 팔목과 팔꿈치 사이인 팔뚝(1)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는 피검사자가 스퀴즈 버튼(도 9의 2)를 누를 때, 또는 피검사자 스위치를 누르지 않더라도, 혈관주사제를 주입하기 시작할 때 작동하여, 혈관외유출 여부, 혈관외유출 위치, 혈관주사제 유출량, 혈관주사제 주입영역의 적외선 영상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특히,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는 혈관외유출에 따른 피부변형 부위(A)의 면적과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피부변형 부위(A)의 부피를 연산하여 검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혈관주사제의 주사 과정에서 혈관외유출이 발생하면 혈관에 직접적으로 주입되지 못한 혈관주사제가 피부조직으로 유출되면서 주사부위가 부풀어 오르는 피부변형이 발생한다.
이에, 검사자의 팔에 부착된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변형 부위(A)의 면적과 높이를 측정한 뒤, 이를 토대로 피부변형 부위(A)의 3차원적인 부피를 연산하고, 연산한 데이터를 별도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검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피부변형 부위(A)의 면적 측정의 경우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의 스트레인게이지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피부변형 부위(A)의 높이 측정의 경우,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의 센싱부의 구성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를 통해 피부변형 부위(A)의 부피를 얻게 되면, 이는 삼차원 정보로서, 혈관외유출의 유출량을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된다. 때문에, 검사자는 이러한 삼차원 정보를 토대로 시술에 임함으로써, 유출된 용량을 보다 객관적으로 인지하여 혈관주사제의 투입 용량을 상황에 맞게 제한할 수 있게 되는 등 보다 안전한 시술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유출량을 토대로 혈관외유출에 따른 적절한 치료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피부변형 부위의 계측에 있어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해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00)와,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200)와, 센싱부(300)와, 검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500)는 밴드(100) 내부에 배치되거나, 밴드(100)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밴드(100)는 띠형 부재로서, 팔뚝(1)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밴드(100)는 의료용 실리콘 같은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100)는 중앙부(110)와 일측단부(120)와 타측단부(130)로 구분될 수 있다. 밴드(100)를 피검사자가 팔뚝(1)에 착용하면, 중앙부(110)는 혈관주사제가 주입되는 카테터가 장착되는 피부영역에 위치하고, 일측단부(120)와 타측단부(130)는 피검사자의 팔뚝(1)을 감싸게 된다. 일측단부(120)의 끝단에는 제1 결합부(140)가 배치되고, 타측단부(130)의 끝단에는 제2 결합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5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40)와 제2 결합부(150)는 각각 벨크로, 버튼과 같은 결합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밴드(100)는 중앙부(110)에 홀(101)을 포함할 수 있다. 홀(101)을 통해 혈관주사제가 주입되는 피부 영역이 노출된다.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200)는 밴드(100)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200)는 일정 단위면적을 가지는 사각형 형태로서, 행과 열을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200)는 홀(101)을 중앙에 두고 홀(10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홀(101) 내측에 위치한 피부영역에 혈관주사제가 주입되기 때문에, 만약 혈관외유출이 발생하면, 홀(101)을 포함한 홀(101) 주변 영역의 피부가 부풀어 올라 피부변형이 크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피부변형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스트레인게이지(200)들이 홀(10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혈관외유출이 발생하여 피부가 부풀어 오르면, 이에 대응하여 스트레인게이지(200)에 포함된 저항이 변하고, 변화된 저항값을 측정값으로 하여, 피부가 어느 정도 부풀었는지 검출하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혈관외유출이 발생하여 피부가 부풀어 오르면, 부푼 부위에 대응하는 각각의 스트레인게이지(200)가 활성화되면서 부푼 피부 면적이 스트레인게이지(200)에 의해 감지되고 동시에 각각의 스트레인게이지(200)는 부푼 정도인 측정값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스트레인게이지(200)의 활성화라 함은 피부변형을 감지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200) 각각의 단위면적 합과 홀(101)의 개구면적(M2, 도 4의 1점쇄선 면적)을 합한 값을 제1 면적(M1, 도 4에 도시된 2점쇄선 면적)이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면적(M1)은 실제 혈관외유출에 의해 부풀어 오른 피부의 융기 표면적에 대략적으로 대응되는 면적이 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트레인게이지(200) 하나당 단위면적과 홀(101)의 개구면적(M2)이 기설정된 상태에서, 혈관외유출에 의해 피부가 융기되어 홀(101) 주변의 스트레인게이지(200),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8, 9, 10, 11, 15, 19, 25, 24, 23, 22, 18, 14 번 스트레인게이지(200)가 활성화되면 각각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200)의 단위면적 총 합과 스트레인게이지(200)에 둘러 쌓인 홀(101)의 개구면적(M2)이 합해져 제1 면적(M1)이 계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계산은 후술 될 검출부(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센싱부(300)는 혈관외유출에 의하여 피부가 어느 높이로 변형되었는지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스트레인게이지(200)가 대체적으로, x축, y축 피부변형정도를 측정하는 장치라면, 센싱부(300)는 대체적으로, z축상 피부변형정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스트레인게이지(200)와 센싱부(300)를 통해 보다 입체적으로 피부변형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센싱부(300)는 상기 홀(101)을 통해 돌출되는 피부의 제1 높이(H)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300)는 발광부(310)와 수광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10)는 홀(101)의 일측에 배치되고, 수광부(320)는 홀(10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10)에서 송신된 광신호는 수광부(320)에서 수신된다. 발광부(310)에서 수광부(320)로 향하는 광경로상에 대상물이 있는 경우, 수광부(320)의 수광량이 달라지고, 이에 대응하여 전압이 달라진다. 이러한 전압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대상물의 위치 및 크기를 센싱할 수 있다.
발광부(310)는 제1 지지부(311)와 발광소자(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11)는 띠형부재로서, 그 일부가 밴드(100)의 일측단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11)의 다른 일부는 밴드(100)와 결합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발광소자(312)가 배치될 수 있다.
수광부(320)는 제2 지지부(321)와 수광소자(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321)는 띠형부재로서, 그 일부가 밴드(100)의 타측단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21)의 다른 일부는 밴드(100)와 결합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광소자(3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11)는 제1 코어(313)가 내재될 수 있다. 제1 코어(313)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 하면서도 일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지지부(321)는 제2 코어(323)가 내재될 수 있다. 제2 코어(323)도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 하면서도 일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코어(313)와 제2 코어(323)는 밴드(100)가 밴딩되어 발광부(310)와 수광부(320)가 세워졌을때, 발광소자(312)와 수광소자(322)가 정렬되도록 발광부(310)와 수광부(32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적외선 카메라(400)는 밴드(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400)는 홀(101) 주변과 대응하는 피부영역에서 혈관주사제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적외선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도 6의 6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적외선 카메라(400)는 밴드(100)의 일측단부(120) 또는 타측단부(130)에 그 일부 영역이 결합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400)의 다른 영역은 밴드(10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이는 밴드(100)가 밴딩되었을 때, 적외선 카메라(400)를 기립시키기 위한 것이다.
검출부(500)는 밴드(100)의 내부 또는 밴드(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트레인게이지(200) 및 센싱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검출부(500)는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200)에 의해 형성된 제1 면적(M1)과 상기 센싱부(300)에서 측정된 상기 제1 높이(도 6의 H)에 기초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에 의한 피부변형 부위의 부피를 연산하고, 이를 토대로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을 측정한다.
즉, 스트레인게이지(200)를 이용해 x축, y축 피부변형정도에 대한 정보(제1 면적)를 획득하고, 센싱부(300)를 이용해 z축 피부변형정도에 대한 대한 정보(제1 높이)도 획득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을 측정하는데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검출부(500)는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200)에 기초하여 혈관주사제가 유출되는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500)는 제1 면적(M1)의 계산을 위해 스트레인게이지(200) 각각의 단위면적과 홀(101)의 개구면적(M2)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검출부(500)는 측정된 제1 면적(M1)과 측정된 제1 높이(H)를 이용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에 의한 피부변형 부위의 부피를 연산하는데, 이때, 연산식은, 콘, 실린더, 입방체, 구 등의 체적을 계산하는 계산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혈관외유출이 발생한 부분의 대략적인 3차원 부피를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높이와 면적을 이용해 부피를 연산하는 다양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밴드(100)가 착용되었을 때, 센싱부(300)와 적외선 카메라(400)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밴드(100)를 착용하면, 혈관주사제가 투입되는 피부영역을 팔뚝(1)의 정면이라 할 때, 밴드(100)의 중앙부(110)에 배치되는 홀(101)과 스트레인게이지(200)가 팔뚝(1)의 정면에 위치하고, 밴드(100)의 일측단부(120)와 타측단부(130)는 밴딩되어 팔뚝(1)의 측면과 후면에 위치한다.
밴드(100)를 착용하면, 밴드(100)의 일측단부(120)와 타측단부(130)가 밴딩되면서, 발광부(310)가 밴드(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광부(310)가 기립하여 배치되고, 수광부(320)도 밴드(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광부(320)도 기립하여 배치된다.
밴드(100)의 착용이 완료되면, 발광소자(312)와 수광소자(322)는 홀(10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다. 발광소자(312)와 수광소자(322)의 광경로상(도 6의 O1)에 홀(101)의 최상단(T2)이 위치한다. 따라서, 센싱부(300)는 홀(101)의 최상단(T2)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밴드(100)를 착용하면, 밴드(100)의 일측단부(120)와 타측단부(130)가 밴딩되면서, 적외선 카메라(400)는 적외선 카메라(400)의 화각에 홀(101)이 들어오도록 밴드(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립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혈관외유출이 발생하고, 피부가 부풀어 오르면, 홀(101)을 통해 피부가 돌출된다. 돌출된 피부의 최상단(T1)의 위치는 센싱부(30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발광소자(312)와 수광소자(322)의 광경로상(도 6의 O2)에 돌출된 피부의 최상단(T1)이 위치한다.
센싱부(300)는 감지된 홀(101)의 최상단(T2)과 돌출된 피부의 최상단(T1)의 높이차인 제1 높이(H)를 측정하여 검출부(5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높이(H)는 혈관외유출이 진행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할 수 있으며, 센싱부(300)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제1 높이(H)를 측정하여 검출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레인게이지(200)는 피부가 부풀어 오름에 따라 변화되는 스트레인게이지 측정값을 검출부(500)로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검출부(500)는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200)를 파악하여 제1 면적(M1)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검출부(500)는 스트레인게이지 값과 홀(101)을 통해 돌출되는 피부의 높이에 대응한 혈관주사제 유출량이 룩업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500)는 혈관외유출이 발생하면, 스트레인게이지(200)로부터는 측정값을 전달받고, 센싱부(300)로터 제1 높이(H)를 전달받아, 저장부에서 이에 대응하는 혈관주사제 유출량을 매칭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동시에, 검출부(500)는 측정된 제1 면적(M1)과 센싱부(300)로부터 측정된 제1 높이(H)를 이용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에 의한 피부변형 부위의 부피를 연산하고, 결과값을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출력할 수 있다.
검출부(500)는 검출된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검사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피부변형 부위의 부피, 저장부에서 매칭된 정보 등을 종합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200)들을 공간적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인덱스(예를 들어, 숫자 1 내지 32)가 표기될 수 있다. 검출부(500)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200) 중 스트레인게이지(200)의 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스트레인게이지(200)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부(500)는 검출된 스트레인게이지(200)의 행과 열의 위치정보(인덱스, 예를 들어, 도면에서, 9,10,11,15,19)를 디스플레이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사자는 검출된 스트레인게이지의 행과 열의 위치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실시간으로, 피검사자의 어느 피부 영역에 혈관주사제가 유출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카메라(400)는 혈관주사제를 주입할 때부터 홀(101) 주변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검사자는 영상정보를 통해, 혈관주사제의 주입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홀(101) 주변의 피부영역의 혈관주사제의 흐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피검사자가 스퀴즈 버튼을 눌러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혈관주사제의 주입 중, 피검사자가 혈관주사제의 유출을 주관적으로 느껴, 예를 들어, 뻐근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 손에 쥐고 있던 스퀴즈 버튼(2)을 직접 눌러 검사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피검사자가 스퀴즈 버튼(2)을 누르는 경우, 버튼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전달되어, 검사자가 인지할 수 있다.
도 10은 검사자가 혈관주사제의 주입을 지속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혈관주사제의 주입 중, 피검사자의 감지신호, 스트레인게이지 또는 센싱부의 신호, 적외선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포함하는 제어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S100) 피검사자의 감지신호, 스트레인게이지 또는 센싱부의 신호, 적외선 영상은 기 설정된 매뉴얼을 통해 분석이 될 수 있다.(S200) 분석은 검사자가 수동으로 진행하거나 분석툴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석에 따라 혈관주사제가 유출되고 있는 지 판단한다.(S300) 혈관주사제가 유출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검사자는 혈관주사제 주입을 계속할 수 있다. 혈관주사제가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검사자가 수동으로 혈관주사제 주입을 중단하거나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혈관주사제 주입이 중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감지신호, 스트레인게이지 또는 센싱부의 신호, 적외선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혈관주사제가 유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혈관주사제의 주입을 중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밴드
101: 홀
110: 중앙부
120: 일측단부
130: 타측단부
200: 스트레인게이지
300: 센싱부
310: 발광부
320: 수광부
400: 적외선 카메라
500: 검출부
6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9)

  1. 피검사자의 팔에 부착되어 혈관주사제의 혈관외유출의 유출량을 측정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혈관외유출에 따른 피부변형 부위의 면적과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피부변형 부위의 부피를 연산하며,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는,
    피부에 부착되며 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포함하는 밴드;
    상기 밴드에 배치되며, 상기 홀의 주위에서, 복수 개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
    상기 밴드에 배치되는 센싱부;및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와 센싱부에 연결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홀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의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가 밴딩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광경로상에 상기 홀이 위치하도록 마주보고 배치되어, 상기 센싱부는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는 피부의 제1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검출부는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형성된 제1 면적과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상기 제1 높이에 기초하여 혈관주사제의 유출에 의한 피부변형 부위의 부피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적은 활성화된 스트레인게이지 각각의 단위면적 합과 홀의 개구면적을 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배치되는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상기 밴드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밴드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밴드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의 밴딩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가 마주보도록, 상기 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의 위치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값과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는 피부의 높이에 대응한 혈관주사제 유출량이 룩업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복수 개의 스트레인게이지 중 스트레인게이지의 측정값이 기준값 이상으로 측정되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행과 열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 배치되며 상기 검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피검사자의 피부영역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상기 밴드의 일측단부 또는 타측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밴드의 밴딩에 연동하여,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화각에 상기 홀이 들어오도록 상기 밴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검출된 혈관주사제의 유출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KR1020210043872A 2021-04-05 2021-04-05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KR102552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72A KR102552808B1 (ko) 2021-04-05 2021-04-05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72A KR102552808B1 (ko) 2021-04-05 2021-04-05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32A KR20220138132A (ko) 2022-10-12
KR102552808B1 true KR102552808B1 (ko) 2023-07-06

Family

ID=8359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72A KR102552808B1 (ko) 2021-04-05 2021-04-05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8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67654A1 (en) * 2014-12-02 2017-12-28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o Research Sensor patch and sensing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4610B1 (en) 1997-11-26 2006-03-01 E-Z-EM, Inc. Extravasation Det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67654A1 (en) * 2014-12-02 2017-12-28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o Research Sensor patch and sensing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32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06141A1 (en) Method for detection and display of extravasation and infiltration of fluids and substances in subdermal or intradermal tissue
US11957512B2 (en) Pressure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and/or for measuring elasticity of a vein or an organ and for combination with an ultrasound measurement unit, pressur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EP0063649B1 (de) Messeinrichtung zur nichtinvasiven Feststellung venöser bzw. arterieller Abfluss- und Durchflussstörungen
US9808571B2 (en) High pressure sensor for use with a fluid delivery system
EP3348203B1 (en) Noninvasive arteriovenous pressure measurement device and arteriovenous pressur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measurement device
EP2606827B1 (en) Cuff with ultrasonically transmissive portion and method of observing a tissue under pressure by using the same
JP2006517117A5 (ko)
WO2006074415A2 (en) Method for detection and display of extravasation and infiltration of fluids and substances in subdermal or intradermal tissue
US11291765B1 (en) Syringe pump
CN107569208A (zh) 一种无创眼眶压测量装置和测量方法
CH707046A2 (en) Pressure measuring device for combination with an ultrasonic measuring unit, as well as system and method for venous pressure measurement.
KR102552808B1 (ko) 혈관외유출의 유출량 측정 장치
KR102448604B1 (ko) 혈관외유출 검출 및 감시장치
CN109906096B (zh) 用于注射器的针头、注射器和相应的控制系统
ES2319411T3 (es) Detector de estravasacion.
Cheng et al. Wearable sensor patch for early extravasation detection
KR102114350B1 (ko) 비침습적 뇌압측정기
US5564435A (en) Noninvasive compartment measurement device
US20070213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tically positioning a monitoring transducer relative to a patient
CN219353871U (zh) 眶压测量设备
Perez et al. Tourniquet Pressure Gradient Measurement Apparatus
Balestrieri et al. Calibration of automated non 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US20220369941A1 (en) Probe for sensing circulatory health
US20230363767A1 (en) Compression force indicator for achieving hemostasis
Dalrymple Monitoring arterial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