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411B1 -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 방법 - Google Patents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411B1
KR102551411B1 KR1020210145718A KR20210145718A KR102551411B1 KR 102551411 B1 KR102551411 B1 KR 102551411B1 KR 1020210145718 A KR1020210145718 A KR 1020210145718A KR 20210145718 A KR20210145718 A KR 20210145718A KR 102551411 B1 KR102551411 B1 KR 10255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demand
supply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0561A (ko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박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진 filed Critical 박종진
Publication of KR2022013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자용 결제수단으로 구비되는 물품에 관한 수요부 및 공급부 간 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으로서, 수요부 및 공급부와 연결되고 수요부 및 하나 이상의 공급부로부터 수요정보 및 각각의 공급정보를 제공받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매칭부는 미리 지정된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하여 각각의 공급정보를 나열하여 수요부에 전송하고, 수요부가 어느 하나의 공급정보를 선택할 시, 매칭부는 선택된 공급정보에 대응되는 공급부를 수요부와 매칭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시되는 평가항목에 강점을 두는 공급자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물품 거래를 매칭하는데 있어 수요자로 하여금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의 전반적인 환경을 평가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부적절한 공급부의 선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 방법{A payment method matching system for business operators and a match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과 상기 매칭 시스템을 이용한 매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사업자용 결재수단의 이해관계에 있는 수요부 및 공급부 간의 거래를 중개하기 위한 시스템 및 상기 거래를 매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물품에 관한 구매자 및 판매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단순히 구매자 및 판매자를 연결하던 때와는 달리, 구매자가 원하는 물품 및 요구사항에 맞추어 판매자를 연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시스템 내에서 판매자를 안내하는 방법은 단순히 리스트업 및 정렬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고, 이는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판매자의 안내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개인화된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일대일 대응되어 최적화된 판매자의 안내를 실시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판매자가 조건을 맞추어 제시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매칭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적화된 구매자 및 판매자 간의 중개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품에만 한정되지 않고, 물품을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구매자 및 판매자 간의 중개를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매자 및 판매자가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매칭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업자용 결제수단으로 구비되는 물품에 관한 수요부 및 공급부 간 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으로서, 수요부 및 공급부와 연결되고 수요부 및 하나 이상의 공급부로부터 수요정보 및 각각의 공급정보를 제공받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매칭부는 미리 지정된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하여 각각의 공급정보를 나열하여 수요부에 전송하고, 수요부가 어느 하나의 공급정보를 선택할 시, 매칭부는 선택된 공급정보에 대응되는 공급부를 수요부와 매칭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시되는 평가항목에 강점을 두는 공급자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물품 거래를 매칭하는데 있어 수요자로 하여금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수요자가 원하는 평가항목에 무게를 두고 점수 격차를 확보한 상태로 공급자를 판단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의 전반적인 환경을 평가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부적절한 공급부의 선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부에 저장되는 수요정보 및 공급정보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부의 물품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시품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매칭모드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매칭모드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 및 이력 저장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 정보 및 필터링 정보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부의 선택 순서에 따라 가중치가 책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급부에 관한 리스트가 나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급부를 대상으로 수요부의 선택에 따라 필터링 점수가 책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점수 및 평균 점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모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모드 내에서 필터링 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물품”은 후술할 공급부가 수요부에게 현금 등의 재화를 받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물품은 사업자용 결제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제를 위한 유선단말기, 무선단말기, 포스(POS), 키오스트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요부”는 공급부에 재화를 제공하고 물품을 공급받는 주체로서, 통신 가능하고 수요정보를 전달하며 별도의 출력수단과 연결되어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로 구비될 수 있고, 수요자가 상기 수요부를 소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급부”는 수요부로부터 재화를 제공받아 소지한 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며, 종류가 한정된 물품을 수요부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급부는 포인트 서비스, 즉시결제 서비스, 간편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조회기, 포스, 무인키오스크 등의 결제수단으로 구비되는 물품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급자가 소유한 단말이며, 업종에 따라 상이한 물품을 수요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칭 시스템은 물품을 수요자에게 공급하는 공급부(120), 물품을 전달받는 수요부(110) 및 상기 수요부(110)와 공급부(120)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매칭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칭부(130)는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매칭부(130)는 수요부(110) 및 하나 이상의 공급부(120)로부터 수요정보 및 각각의 공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공받은 수요정보 및 공급정보는 후술할 연산부(140)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부(130)에 저장되는 수요정보 및 공급정보에 관한 도면이다.
매칭부(130)는 선술한 바와 같이 수요정보 및 공급정보를 각각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부(130)는 미리 지정된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하여 공급정보를 나열하여 수요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필요조건 정보는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부(120)에 관한 정보로서, 공급부(120)로부터 형성되어 매칭부(130)로 전달 및 저장되고, 수요부(1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필요조건 정보는 공급부(120)가 제공하는 물품이 사용될 수 있는 업종, 공급부(120)를 소지한 공급자의 사업 개시일, 공급자가 위치한 지역, 물품의 사용 용도, 공급 가능한 수량에 관한 규모,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의 결제를 의미하는 운용방식 및 물품이 제공할 수 있는 포인트 서비스, 즉시결제 서비스, 간편결제 서비스 등의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평가항목(a)으로 구비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필요조건 정보는 수요부(110)가 원하는 물품에 관한 정보로도 포함될 수 있다. 즉, 필요조건 정보는 수요부(110)가 원하는 물품이 사용되는 업종, 수요부(110)를 소지한 수요자가 운영하는 업체의 업종, 상기 업체의 사업 개시일, 수요자가 위치한 지역, 물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 수요부(110)가 원하는 물품의 수량에 관한 규모, 수요부(110)가 물품을 통해 결제하고자 하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결제의 형태를 의미하는 운용방식 및 물품이 제공할 수 있는 포인트 서비스, 즉시결제 서비스, 간편결제 서비스 등의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평가항목(a)으로 구비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평가항목(a)을 포함하는 필요조건 정보가 구비되어 각각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가 수요정보 및 공급정보를 매칭부(13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매칭부(130)는 물품 매매 과정에서의 매칭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부(110)의 물품 선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시품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매칭부(130)가 수요부(110)를 통해 제공하는 물품에 관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매칭부(130)는 공급부(120)를 통해 전달된 공급정보를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하여 나열 및 수요부(110)에 전송한다. 이후 수요부(110)는 복수의 공급정보 중 어느 하나의 공급정보를 선택하며, 매칭부(130)는 수요부에 의해 선택된 공급정보에 대응되는 공급부(120)를 수요부(110)와 매칭시킬 수 있다. 이 때, 매칭부(130)는 상기 공급부(120)에 관한 공급정보가 포함된 필요조건 정보를 합산하여 제시품정보로 가공하고 수요부(110) 상에 플로팅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도 4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매칭모드에 대한 도면이다.
제1매칭모드는 수요부(110)가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공급부(120)를 선택하는 흐름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급정보의 등록이 선행된다.
공급부(120)가 매칭부(130)에게 공급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10)는 매칭부(130)가 수요부(110)에 전달하기 위한 공급정보의 확보를 위한 단계이다.
이후 매칭부(130)는 미리 지정된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하여 공급정보를 나열한 후 수요부(110)에 전달하는 단계(s120)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정보는 매칭부(130)를 통해 수요부(110) 상에 게시될 수 있다.
이후 수요부(110)는 수요정보를 매칭부(13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수요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30)를 실시한다.
이후 수요부(110)는 앞서 전달받았던 공급정보를 기반으로 물품을 검색하는 단계(s140)를 수행한다. 상세하게, 수요부(110)는 공급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평가항목(a) 중 우선하고자 하는 평가항목(a)을 선택한다.
매칭부(130)는 수요부(110)의 평가항목(a) 선택에 대응하여, 가중치 및 필터링 점수를 곱연산하여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를 산출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다. 여기서, 도 7에 후술할 연산부(140)는 미리 저장된 가중치 정보 및 필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각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를 산출한다.
이와 동시에, 매칭부(130)는 수요부(110)의 평가항목(a) 선택에 대응하여, 복수의 평가항목(a)의 개별 점수(s1)를 대상으로 하는 평균 점수(s2)를 계산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이후, 매칭부(130)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수요부(110)에 제공하는 단계(s170)를 수행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요부(110)가 복수의 공급부(120)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공급부(120)를 선택함으로써, 물품 매매에 관한 계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매칭모드가 구비됨으로써, 수요부(110) 입장에서는 제시된 공급부(120)의 공급정보 중 우선시되는 필요항목의 선택만으로 필터링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어, 물품 매매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매칭모드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2매칭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매칭모드는 제1매칭모드와 비교했을 때 공급부(120) 및 수요부(110)에 대한 각각의 공급정보 및 수요정보의 제공 순서가 변경된 것으로서, 수요부(110)가 요구사항을 먼저 제시하고 공급부(120)가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제안을 후행하며, 상기 제안에 수요부(110)가 수락하여 물품 매매에 관한 계약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수요부(110)는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되는 수요정보를 매칭부(130)로 전달하여 등록하는 단계(s210)를 수행한다.
이후, 매칭부(130)는 공급부(120)를 향해 수신받은 수요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220)를 실시하며, 상기 수요정보는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공급부(120)는 수요부(110) 발신의 수요정보에 대응하는 공급정보를 형성하여 매칭부(130)로 전달 및 등록하는 단계(s230)를 실시한다.
이후, 수요부(110)는 복수의 필요항목 중 우선시되는 필요항목을 선택함으로써 물품을 검색하는 단계(s240)를 실시한다. 이는 앞서 선행된 공급부(120)의 제시가 수요부(110)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후, 매칭부(130)는 수요부(110)의 평가항목(a) 선택에 대응하여, 가중치 및 필터링 점수를 곱연산하여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를 산출하는 단계(s250)를 수행한다. 이는 도 5에 선술한 제1매칭모드와 동일하다. 즉, 연산부(140)는 미리 저장된 가중치 정보 및 필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각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를 산출한다.
이와 동시에, 매칭부(130)는 수요부(110)의 평가항목(a) 선택에 대응하여, 복수의 평가항목(a)의 개별 점수(s1)를 대상으로 하는 평균 점수(s2)를 계산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다.
이후, 매칭부(130)는 개별 점수(s1) 및 평균 점수(s2)를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로 반영하여 수요부(110)에 제공하는 단계(s270)를 수행한다.
공급부(120)가 먼저 공급정보를 게시하고 이에 대응한 수요부(110)의 선택을 통해 매칭을 실시하는 제1매칭모드와 달리, 제2매칭모드는 수요부(110)가 먼저 원하는 수요정보를 게시한 후 공급부(120)의 공급정보 제시에 대응하여 수요부(110)가 선택함으로써 매칭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수요부(110) 입장에서는 선 제시된 공급부(120)가 적합한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물품 매매 과정에서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 및 이력 저장부(150)에 관한 도면이다.
연산부(140)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의 형성을 위한 구성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연산부(140)는 공급부(120)에 관한 평가를 점수화하여 수요부(110)에게 참고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연산부(140)는 매칭부(130)에 포함되어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로부터 각각 전달되는 수요정보 및 공급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연산부(140)는 미리 저장된 가중치 정보 및 필터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정보 및 필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평가 정보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 정보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에 포함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는 선술한 제시품정보와 평가 정보가 합쳐진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부(120)를 소지하고 물품을 판매하기 위한 공급자에 관한 정보, 복수의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가 반영된 제1데이터 및 평균 점수(s2)가 반영된 제2데이터가 포함된다.
이력 저장부(150)는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의 거래이력에 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또다른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에게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이력 저장부(150)는 매칭부(130) 내 포함되고, 매칭부(130)가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수요부(110)에게 전송한 이후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의 물품 매매가 이루어질 시, 상기 거래에 관한 이력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이력정보는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의 매매 일자, 수요정보 및 공급정보, 공급부(120)에 관한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중치 정보는 평가항목(a)에 관한 가중치에 관한 정보로서, 개별 점수(s1) 및 평균 점수(s2)의 산출에 사용된다. 상세하게, 가중치 정보는 수요부(110)가 우선시하는 평가항목(a)에 강점을 두는 공급부(120)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 및 조회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요부(110)의 우선순위가 높은 평가항목(a)에 관한 가중치는 우선순위가 낮은 평가항목(a)에 관한 가중치보다 높도록 설정된다. 즉, 가중치 정보는 수요부(110)에 의한 선택 순서에 따라 각 평가항목(a)마다 순차적으로 책정되되, 후순위로 선택될수록 가중치의 크기가 감소한다. 도 8을 일례로 설명하자면, 복수의 평가항목(a) 중 제1순번으로 선정된 어느 하나의 평가항목(a)은 제1가중치에 관한 가중치 정보로 설정되고, 제2순번으로 선정된 다른 평가항목(a)은 제2가중치에 관한 가중치 정보로 저장되며, 제3순번으로 선정된 또다른 평가항목(a)은 제3가중치에 관한 가중치 정보로 책정되고, 제1가중치는 제2가중치보다 크고 제2가중치는 제3가중치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가중치 정보가 구비되어 수요부(110)의 선택 순서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책정됨으로써, 수요자 입장에서는 물품의 구매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항목(a)에 관하여 특장점을 갖는 공급부(120)를 우선적으로 조회할 수 있어, 편의성 및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필터링 정보는 평가항목(a)을 대상으로 하는 필터링 기준에 관한 정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가항목(a)의 내용에 따라 상, 중 및 하로 판단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필터링 점수를 차등 책정하여 복수의 공급부(120)를 대상으로 하는 리스트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필터링 정보는 필터범위 및 필터링 점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일대일 책정된다. 즉, 필터링 정보는 평가항목(a)마다 각각 상이한 필터범위 및 필터링 점수를 갖는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15를 일례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 정보 및 필터링 정보에 관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부(110)의 선택 순서에 따라 가중치가 책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급부(120)에 관한 리스트가 나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급부(120)를 대상으로 수요부(110)의 선택에 따라 필터링 점수가 책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점수(s1) 및 평균 점수(s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평가 정보에는 가중치 정보 및 필터링 정보가 포함되며, 필터링 정보는 필터링 점수 및 필터 범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9를 일례로, 수용부가 매칭부(130)에 의해 제공된 공급정보에서 복수의 평가항목(a) 중 업종, 결제수단 및 용도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시 각각 제1순번, 제2순번 및 제3순번이 책정된다. 이에 따라, 업종은 제1가중치에 해당하는 가중치 정보를 책정받고, 결제수단은 제2가중치에 대한 가중치 정보가 설정되며, 용도는 제3순번에 대한 제3가중치 정보를 갖는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평가항목(a) 중 업종이 제1순번으로 책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공급부(120) 중 필터 범위가 “상”인 공급부(120) A는 이에 대응하는 필터링 점수에 관한 정보를 부여받는다.
일례로, 필터 범위의 내용 중 요식업이 “상”이고 공급부(120) A가 요식업에 관한 공급정보를 갖는 경우, 상기 공급부(120) A는 “상”에 대응되는 필터링 점수를 부여받으며, 이는 공급부(120) C 및 공급부(120) E가 각각 갖는 필터링 점수보다 높도록 구비된다.
연산부(140)는 상기와 같이 도출된 가중치 정보 및 필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개별 점수(s1) 및 평균 점수(s2)를 산출한다.
개별 점수(s1)는 각각의 평가항목(a)에 책정된 가중치 정보 및 공급부(120)에 부여된 필터링 점수의 곱연산으로 계산되며, 제1데이터에 반영된다.
평균 점수(s2)는 복수의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의 평균값으로서 연산부(140)에 의해 산출된다.
도 12는 공급부(120) A 및 공급부(120) B를 대상으로 하는 연산부(140)의 산출 결과로서, 도 11과 동일한 수요부(110)의 평가항목(a) 선택이 순차 실시된다. 또한, 제1가중치의 크기는 20, 제2가중치의 크기는 10, 제3가중치의 크기는 5로 미리 설정된다.
위와 같은 설정 하에, 공급부(120) A의 경우 업종에 관한 개별 점수(s1)는 제1가중치에 필터범위 “상”에 해당하는 필터링 점수가 곱연산되어 140으로 산출된다. 또한, 평균 점수(s2)는 제1순번 내지 제3순번으로 선택된 업종, 결제수단 및 용도에 각각 책정된 개별점수의 평균값인 7.33으로 산출된다.
반면, 공급부(120) B의 경우 업종에 관한 개별 점수(s1)는 공급부(120) A와 비교하여 가중치 정보가 동일하지만 필터범위가 “하”에 해당하기 때문에, 곱연산된 100으로 산출된다. 추가로, 공급부(120) B의 평균 점수(s2)는 공급부(120) A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수의 개별 점수(s1)를 대상으로 평균값 계산되어 6.67로 산출된다.
상기와 같이, 우선순위로 책정되는 평가항목(a)에 관하여 복수의 공급부(120)의 적합도를 개별 점수(s1)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평가항목(a)에 한정된 평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요자로 하여금 원하는 평가항목(a)에 특화된 공급부(120)만을 신속하게 조회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높은 평가항목(a)에 강점을 갖는 공급부(120)가 소지한 물품을 제공받을 수 있어,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평균 점수(s2)가 구비됨으로써, 선택된 복수의 평가항목(a)을 대상으로 고른 개별 점수(s1)를 갖는 공급부(120)를 용이하게 조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택된 복수의 평가항목(a)에서 단점을 갖지 않는 조건의 공급부(120)를 찾기 용이하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조건이 평이하고 단점이 드러나지 않는 조건으로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성향의 수요자에게 맞는 공급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개별 점수(s1) 및 평균 점수(s2)는 각각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로 포함되고, 선술한 제시품정보와 합산되어 수요부(110)로 전달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이력 저장부(150)는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의 거래이력에 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또다른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에게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의 제공 이후 실시된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의 계약 이후, 이력 저장부(150)는 상기 계약에 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31)를 실시하고, 이를 각각의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에 안내(s132)한다. 또한, 이력 저장부(150)는 향후 수요부(110)가 또다른 공급부(120)와 계약하거나 또다른 공급부(120)가 수요부(110)와 거래하기 전에, 저장된 이력정보를 각각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이력 저장부(150)가 구비됨으로써,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는 서로 물품에 관한 매매 계약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계약 성향 및 계약에 관한 각종 이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계약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계약 관련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위해 이력 저장부(150)는 매칭부(130) 내 포함되고, 매칭부(130)가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를 수요부(110)에게 전송한 이후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의 물품 매매가 이루어질 시, 상기 거래에 관한 이력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이력정보는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의 매매 일자, 수요정보 및 공급정보, 공급부(120)에 관한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모드(m)에 관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모드(m) 내에서 필터링 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정 모드(m)는 매칭부(130) 또는 수요부(110)에 의해 실시되는 것으로서, 필터링 정보를 변경하여 수요부(110)가 원하는 공급부(120) 또는 평가항목(a)에 관한 보다 용이한 조회를 유도한다. 상세하게, 조정 모드(m)에서는 필터범위 및 필터링 점수가 변경되며, 이는 수요부(110)의 요청에 의해 실시되거나 매칭부(130) 자체에서 실시될 수 있다.
수요부(110)가 조정 모드(m)를 실시할 경우, 매칭부(130)에 의해 별도로 제공되는 조정 모드(m) 개방 요청 버튼을 통해 상기 매칭부(130)에 조정 모드(m)의 개방을 요청(s141)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 모드(m) 개방 요청 버튼은 수요부(110) 상에 앱 또는 웹 상에서 플로팅되는 아이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칭부(130)는 수요부(110)로부터의 조정 모드(m) 개방 요청에 대응하여 필터링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s142)를 수행하고, 필터범위 또는 필터링 점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수요부(110)에 변경 도구를 제공한다. 상기 변경 도구는 앱 또는 웹 상에서의 페이지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시각적으로 플로팅되는 신청 양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수요부(110)는 매칭부(130)로부터 변경 도구를 제공받아 필터범위 또는 필터링 점수를 변경하는 단계(s143)를 실시하며, 이에 대응하여 매칭부(130)는 필터링 정보를 변경하여 저장(s144)한다. 이를 통해, 수요부(110)는 복수의 평가항목(a)의 평균값인 평균 점수(s2)를 조정할 수 있다. 추가로 복수의 공급부(120)에 관한 보다 큰 편차로 공급정보의 확인을 원하는 경우, 필터 범위를 가변시키거나 필터링 점수 간 격차를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공급부(120) 간 평균 점수(s2)가 보다 차이나도록 설정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복수의 공급부(120) 간의 제2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며, 제1데이터 또한 보다 큰 격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용이한 제1데이터 구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조정 모드(m)에서는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중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5를 일례로 제1가중치를 증가시킴으로써, 복수의 평가항목(a) 간 제1데이터의 격차가 벌어지도록 설정하여 보다 용이한 평가항목(a)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수요부 120: 공급부
130: 매칭부 140: 연산부
150: 이력 저장부

Claims (10)

  1. 사업자용 결제수단으로 구비되는 물품에 관한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 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수요부(110) 및 하나 이상의 상기 공급부(120)로부터 수요정보 및 각각의 공급정보를 제공받는 매칭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130)는 미리 지정된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공급정보를 나열하여 상기 수요부(110)에 전송하고,
    상기 수요부(110)가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급정보를 선택할 시, 상기 매칭부(130)는 선택된 상기 공급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공급부(120)를 상기 수요부(110)와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요부(110)는,
    조정 모드(m) 개방 요청 버튼을 통해 상기 매칭부(130)에게 필터범위, 필터링 점수 또는 평가항목(a)의 가중치를 변경 가능한 상기 조정 모드(m)의 개방을 요청하고,
    상기 매칭부(130)는,
    상기 조정 모드(m)의 개방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항목(a)에 관한 상기 필터범위 및 상기 필터링 점수를 포함하는 필터링 정보를 안내하고,
    상기 필터범위, 상기 필터링 점수 또는 상기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요부(110)에 변경 도구를 제공하고,
    상기 매칭부(130)에 포함된 연산부(140)는,
    상기 조정 모드(m)에서 상기 수요부(110)가 선택한 상기 평가항목(a)의 상기 필터범위, 상기 필터링 점수 또는 상기 가중치를 변경하고,
    상기 가중치 및 상기 필터링 점수의 곱연산을 통해 상기 공급부(120)에 대응되는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를 산출하여 제1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데이터를 상기 수요부(110)에게 제공하고,
    상기 가중치는,
    상기 수요부(110)가 상기 평가항목(a)을 선택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책정되되, 후순위로 선택될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그리고 상기 변경 도구에 의해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필터링 점수는,
    상기 변경 도구에 의해 크기가 변경되거나, 상기 변경 도구에 의해 상기 필터범위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크기가 가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조건 정보는 업종, 개시일, 지역, 용도, 규모, 운용 방식 및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상기 평가항목(a)으로 구비되는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130)는,
    상기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 거래에 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이력 저장부(150);를 더 포함하는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140)는 상기 평가항목(a)을 기반으로 상기 공급부(120)에 관한 평가 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평가 정보는,
    상기 평가항목(a)에 관한 상기 가중치에 관한 가중치 정보; 및
    상기 평가항목(a)에 관한 상기 필터링 정보;를 포함하는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정보는 미리 지정된 필터범위 및 필터링 점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범위 및 필터링 점수는 일대일 대응되어 책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140)는 복수의 상기 평가항목(a)에 관한 상기 개별 점수(s1)를 대상으로 평균 점수(s2)를 산출하여 제2데이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9. 삭제
  10. 사업자용 결제수단으로 구비되는 물품에 관한 수요부(110) 및 공급부(120) 간 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매칭 방법으로서,
    상기 공급부(120)가 매칭부(130)에게 공급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매칭부(130)가 미리 지정된 필요조건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공급정보를 나열하여 상기 수요부(110)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수요부(110)가 우선하는 평가항목(a)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매칭부(130)가 책정된 가중치 및 필터링 점수를 곱연산하여 상기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부(130)가 상기 개별 점수(s1)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를 상기 수요부(11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부(110)는,
    조정 모드(m) 개방 요청 버튼을 통해 상기 매칭부(130)에게 필터범위, 필터링 점수 또는 평가항목(a)의 가중치를 변경 가능한 상기 조정 모드(m)의 개방을 요청하고,
    상기 매칭부(130)는,
    상기 조정 모드(m)의 개방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평가항목(a)에 관한 상기 필터범위 및 상기 필터링 점수를 포함하는 필터링 정보를 안내하고,
    상기 필터범위, 상기 필터링 점수 또는 상기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요부(110)에 변경 도구를 제공하고,
    상기 매칭부(130)에 포함된 연산부(140)는,
    상기 조정 모드(m)에서 상기 수요부(110)가 선택한 상기 평가항목(a)의 상기 필터범위, 상기 필터링 점수 또는 상기 가중치를 변경하고,
    상기 가중치 및 상기 필터링 점수의 곱연산을 통해 상기 공급부(120)에 대응되는 평가항목(a)에 관한 개별 점수(s1)를 산출하여 제1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데이터를 상기 수요부(110)에게 제공하고,
    상기 가중치는,
    상기 수요부(110)가 상기 평가항목(a)을 선택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책정되되, 후순위로 선택될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그리고 상기 변경 도구에 의해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필터링 점수는,
    상기 변경 도구에 의해 크기가 변경되거나, 상기 변경 도구에 의해 상기 필터범위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크기가 가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의 매칭 방법.
KR1020210145718A 2021-03-18 2021-10-28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 방법 KR102551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15 2021-03-18
KR20210035015 2021-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561A KR20220130561A (ko) 2022-09-27
KR102551411B1 true KR102551411B1 (ko) 2023-07-05

Family

ID=8345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718A KR102551411B1 (ko) 2021-03-18 2021-10-28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4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388B1 (ko) * 2000-08-31 2004-02-11 유종오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구매자의 구매 의사 결정 지원 방법및 장치
KR20160089721A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씨펀 창업 서비스 비교견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8174A (ko) * 2016-12-13 2018-06-2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시공 수행업체 선정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561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702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varying affiliate position displayed by intermediary
US76374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an alternative grouping of selected items
US20140081766A1 (en) Transaction Arbiter System and Method
US201103202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ricing in electronic commerce
US201301384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Server-Implemented Price Comparisons, Price Alerts and Discounts
US2009032703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commerce
KR20180041405A (ko) 인터넷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US20100287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Buyer Driven Transaction
KR20200114945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하이퍼링크를 배열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JP614906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60129588A (ko) 거래 신뢰도를 높인 온라인 매매 중개 시스템
KR102117763B1 (ko) 부동산 거래 기반의 맞춤 연계 정보 제공 시스템
Chandra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customer to buy products with an integration of reviews and comments from marketplace e-commerce sites in Indonesia: A proposed model
Talaga et al. Consumer tradeoffs in on‐line textbook purchasing
KR101963711B1 (ko) 중고물품 거래방법
KR102551411B1 (ko) 사업자용 결제수단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 방법
JP2009086820A (ja) ネットオークションのマッチングシステム
CN103827907A (zh) 用于提供社会贸易网络的方法及系统
US7451100B2 (en) Method, network system and center for intermediating transactions
US20160042446A1 (en) Intelligent and real time, location based, automated and instantaneous fluid pricing management system
JP2002007782A (ja) 電子商取引方法及び装置
US20150242870A1 (en) Product trade-in during purchase flow within multi-seller environment
KR20190028865A (ko) 온라인 대량주문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1299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상품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6038B1 (ko) 최저가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