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539B1 -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 - Google Patents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539B1
KR102550539B1 KR1020230010338A KR20230010338A KR102550539B1 KR 102550539 B1 KR102550539 B1 KR 102550539B1 KR 1020230010338 A KR1020230010338 A KR 1020230010338A KR 20230010338 A KR20230010338 A KR 20230010338A KR 102550539 B1 KR102550539 B1 KR 10255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ower pot
disposed
water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기은
엄지호
Original Assignee
엄기은
엄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은, 엄지호 filed Critical 엄기은
Priority to KR102023001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5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 효과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는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a humidifying effect. The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smaller in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A body portion including the formed side wall surface, a support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t an upper end,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nd humidify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ortion and a humidification module that dissipates water vapor upward, one end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of which is hollow, and includes an absorption unit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drain unit for discharging moisture, which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to It includes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coupled to the body, wherein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some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other parts are disposed outside of the body. do.

Description

가습 효과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humidification effect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 모듈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이용해서 본체에 설치된 다수의 식물 화분에 균일하게 수분을 공급하면서도 가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imparting a humidifying effect while uniformly supplying moisture to a plurality of plant pots installed in a main body using steam discharged from a humidifying module.

최근 산업화에 따라 미세먼지가 증가하고,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공기정화를 위한 다양한 장치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정서적 안정을 위한 여러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나, 최근 코로나19의 장기화와 미세먼지 극성의 영향으로 인하여, 정서적 안정과 공기 정화를 위한 목적으로 식물을 실내에서 재배하기 위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스레 반려식물이나 홈가드닝을 하려는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As fine dust increases with recent industrialization and people's living standards improve, various devices or products for air purification are being released, and in addition, various products for emotional stability are being released. In particular, due to the recent prolonged COVID-19 and the influence of fine dust polarity, interest in growing plants indoors for the purpose of emotional stability and air purification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 demand for companion plants or home gardening is increasing significantly.

한편, 반려식물이나 홈가드닝을 하면서 점점 많은 수의 식물을 키우게 되면 주기적으로 식물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여야 하는데, 수분 공급을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수동적으로 식물에 물을 주어야 하여 정기적인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는, 별도의 디스펜서 장치를 구비하여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데, 이는 과다한 장비 비용과 상대적으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장치의 특성에 의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기계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On the other hand, if you grow a growing number of plants while doing companion plants or home gardening, you need to periodically supply adequate moisture to the plants. In order to supply water, a person must manually water the plants, making it difficult to manage regularly. . Alternatively, water must be supplied with a separate dispenser device, which occupies a lot of space due to excessive equipment cos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device that takes up a relatively large volume,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a mechanical device.

식물에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일부 식물에는 과도한 수분 공급으로 식물의 뿌리가 썩게 되거나, 일부 식물에는 부족한 수분 공급으로 인해서 식물이 충분한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여 말라죽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곤 하였다. 뿐만 아니라, 건조한 날씨에는 실내의 적정 습도 유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이 또한 식물 생장에 악영향을 끼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If water is not supplied to plants periodically, the roots of some plants may rot due to excessive water supply, or the plants may not absorb enough nutrients due to insufficient water supply, and in some plants, the problem of drying up frequently occurs. In addition, since proper indoor humidity is not maintained in dry weather, this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adversely affect plant growth.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장치에 의해, 그리고 좁은 공간에서도 여러 개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식물에 균일하게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실내의 건조한 환경을 적절한 습도로 유지할 수 있게 가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grow several plants by a simple device and in a small space, and to supply water uniformly and periodically to the plants, and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an indoor dry environment at an appropriate humidit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a device capable of imparting a humidification effec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482호(2006년 03월 21일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12482 (registered on March 21, 2006)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습효과를 이용하여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고, 다양한 종류의 여러 식물을 좁은 공간에서 키울 수 있으며, 미관상 깔끔하게 정돈한 상태로 다양한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plant that can supply moisture to plants using a humidification effect, grow various types of plants in a narrow space, and grow various plants in a neatly arranged aesthetically. It is to provide cultivation equipment.

또한, 해당 장치의 가습효과에 의해 식물을 재배하면서도 건조한 실내 환경에 가습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고, 식물에 의한 공기정화 효과를 함께 누려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pply a humidifying effect to a dry indoor environment while cultivating plants by the humidifying effect of the device, and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by enjoying the air purification effect by plants. there is.

또한, 좁은 공간의 상하부에 다수개 배치된 화분에 단일 가습모듈에 의해 수분이 공급가능하고,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러 개의 화분을 손쉽게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supplying moisture to a plurality of flower pots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a narrow space by a single humidifying module and enabling humidity control to easily grow several pot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는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smaller in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nd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 body portion including a side wall surface form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a support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from the top, an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 humidification module arranged to humidify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ing part and dissipate steam upward, and one end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being hollow, absorbing part absorbing moisture, and drainage discharging moisture.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body, wherein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and a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는 측벽면의 내측에서 상기 장착홈의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며 배치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로 마주하는 폭이 좁아지도록 돌출하여 연장된 집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흡수부는 상기 집수라인의 하단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groove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surface,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absorbent part of the flower pot unit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on line.

또한, 상기 화분유닛은 제 1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1유닛 및 상기 제 1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의 수평면을 수평방향이라 하고, 상기 수평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 2유닛의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수직방향의 상부 방향이고, 상기 제 2유닛의 상부는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unit includes a first unit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unit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including a portion bent and extend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ncluding, whe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unit is an upper direc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

또한,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흡수부의 상단에서 서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수라인과 마주하는 집수보조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유닛이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면, 상기 집수보조라인은 상기 집수라인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collection auxiliary line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absorption part of the flower pot unit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s the water collection line, and when the flower pot unit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the water collection auxiliary lin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collection line.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부면의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n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s opened.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과 서로 대향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에서 상단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외벽 및 상기 바닥면에서 상단을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외벽 보다 중심부에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부면과 바닥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측벽면의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받침부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내벽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 outer wall formed by bending toward the top from the rim of the bottom surface, and an inner wall bent toward the top from the bottom surface but formed in the center rather than the outer wall, , The body par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r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surface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pacer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of the support part, and the humidifying modu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side the inner wall.

또한, 상기 받침부의 상기 내벽 안쪽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의 물을 정수 처리하여 상기 내벽 사이로 공급하는 정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supporting unit, and a water purifying unit configured to purify water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nd supply the purified water between the inner walls.

또한, 상기 화분유닛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며, 상기 배수부는 수직선상으로 상기 받침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t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pot unit becomes shorter toward the top o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drainage part is located only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support part on the vertical line.

또한, 상기 장착홈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groove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on the same vertical line.

또한,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되 하부에 배치된 제 1몸체부 및 상부에 배치된 제 2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몸체부의 상부와 상기 제 2몸체부의 하부는 서로 계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 2몸체부의 상부의 수직단면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높아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vertical s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may include a region that becomes higher as it go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측 표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장착홈을 개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도어고정부 상기 도어고정부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door part sliding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open and close the moun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part is slidingly coupled between the door fixing par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moves up and down. can be done with

또한, 상기 화분유닛은 상단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도어안착라인, 및 상기 화분유닛의 하단에서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몸체안착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안착라인은 상기 화분유닛이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면, 상기 도어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몸체안착라인은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unit further includes a door seating line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 body seating line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flower pot unit to the top.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door part is inserted and seated, and the body mounting lin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art is inserted and seated.

또한, 상기 화분유닛에 일축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배수부를 커버하며 형성되는 수로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로변경부는 상기 화분유닛에 일축으로 결합되는 축, 상기 축을 기준으로 일정 회전반경 회전하면 화분유닛의 일단에 접하여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스토퍼 및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방향을 상기 몸체부와 인접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way changing unit is formed to cover the drainage unit while being uniaxially coupled to the flower pot unit and rotates, and the waterway changing unit is a shaft uniaxially coupled to the flowerpot unit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radius based on the shaf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opper for contacting one end of the unit to stop rotation and a guide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drained from the drain to a direction adjacent to the body.

또한, 상기 수로변경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연장된 가이드홈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way chang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roove line that extends by being depress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unit.

또한, 화분유닛은 상기 제 2유닛은 다단 결합되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부로 연장이 가능하며, 복수의 상기 제 2유닛이 상부로 연장되면 상단에 배치된 제 2유닛의 하부는 하단에 배치된 제 2유닛의 상부와 요철(凹凸)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er pot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units coupled in multiple stages, and can be extended upward, and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units extend upwar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nit disposed at the upper end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an upper part of the second unit and a concavo-convex (凹凸) coupling.

또한,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흡수부는 화분유닛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1흡수개폐부, 및 상기 제 1흡수개폐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 1흡수개폐부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유닛 또는 상기 제 1흡수개폐부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2흡수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sorbing part of the flower pot unit is formed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absorbing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the first absorbing opening and closing par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bsorbing opening and closing part that rotates based on one end connected to the flower pot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absorptio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based on the flower pot unit or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absorptio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또한,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배수부는 화분유닛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1배수개폐부, 및 상기 제 1배수개폐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 1배수개폐부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유닛 또는 상기 제 1배수개폐부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2배수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portion of the flower pot unit is formed with a first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rotates and opens and closes based on one end connected to the flower pot unit, and an area smaller than the first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rai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based on the flower pot unit or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장착홈의 상단과 하단에 홈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유닛은 상단에서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에 요철(凹凸)결합되는 상단 끼움부, 및 하단에서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에 요철(凹凸)결합되는 하단 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coupling grooves formed as groove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and the planter unit protrudes from the top toward the body portion, and the upper fitting portion is concave-convex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ottom fitt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body portion from the lower end, and coupled to the concave-convex (凹凸)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몸체부의 측벽면에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장착홈을 관통하되,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화분유닛을 지지하는 보조결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결합체는 상기 장착홈의 하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측벽면에 결합되는 하부틀, 상기 하부틀에서 연장되고 상기 장착홈의 상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측벽면에 결합되는 상부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화분유닛의 일부를 지지하며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 타단의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화분유닛을 지지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의 배수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틀 사이의 공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coupling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and fixed to a side wal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penetrating the mount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flower pot unit inside the body portion is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auxiliary coupling body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groove.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side wall surfa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an upper frame extending from the lower frame and coupled to the side wall surfa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groove,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to form a part of the pot uni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ing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in parallel, and a stop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frames to support the pot unit, wherein the drainage part of the pot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frame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face the spac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가습 효과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는 가습효과를 이용하여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고, 다양한 종류의 여러 식물을 좁은 공간에서 키울 수 있으며, 미관상 깔끔하게 정돈한 상태로 다양한 식물을 키울 수 있다.Th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the humidifying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moisture to plants using the humidifying effect, can grow various types of plants in a narrow space, and can grow various plants in a neatly arranged state. .

또한, 해당 장치의 가습효과에 의해 식물을 재배하면서도 건조한 실내 환경에 가습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고, 식물에 의한 공기정화 효과를 함께 누려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humidification effect of the device, a humidification effect can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a dry indoor environment while plants are grown, and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be created by enjoying the air purifying effect of the plants together.

또한, 좁은 공간의 상하부에 다수 배치된 화분에 단일 가습 모듈에 의해 쉽게 수분공급이 가능하고,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러 개의 화분을 손쉽게 키우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water to a plurality of potted plants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a narrow space by a single humidifying module, and to easily grow several potted plants by enabling humidity control.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화분유닛의 배수부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화분유닛의 배수부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와 가습모듈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몸체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몸체부의 일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도어부가 열리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화분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화분유닛이 도 13 및 14의 실시예와 같은 몸체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8의 화분유닛에 결합되는 수로변경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화분유닛에서 수로변경부가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이 몸체부에 결합되어 수로변경부가 작동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일부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을 도 23과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에서 몸체부와 화분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몸체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 적용되는 다른 구성인 보조결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보조결합체가 몸체부에 결합되고, 화분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5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pot unit of FIG. 2 where a drainage part is formed.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pot unit of FIG. 6 where a drainage part is formed.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portion and a humidifying modul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body portion of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body portion of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of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body portion of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door part is opened in FIG. 13 .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 unit of FIG. 15;
FIG.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er pot unit of FIG. 15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3 and 14 .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way changing unit coupled to the pot unit of FIG. 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change unit moves in the pot unit of FIG. 18;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a waterway changing unit operates in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8 is coupled to the body.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23 .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dy portion and a flower pot unit are coupled in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ody portion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FIG. 25 .
2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xiliary assembly, which is another configuration applied to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auxiliary coupler of FIG. 27 is coupled to the body and the flower pot unit is coupl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different from one element or component to another.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with elements or components.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의 화분유닛의 배수부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drainage portion of the pot unit of FIG. 2 is formed.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는 개방된 하부면(110), 상기 하부면(110)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110)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120) 및 상기 하부면(110)과 상기 상부면(120)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150)이 형성된 측벽면(140)을 포함하는 몸체부(100),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200), 상기 받침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200)에 수용된 물(4)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300), 및 식물(1)과 흙(2)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430)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450)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15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400)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400)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15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100)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5,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lower surface 110, smaller in area than the lower surface 110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110. Body portion 100 including an upper surface 120 and a side wall surface 140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110 and the upper surface 120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50 penetrating inside and outside. , A support portion 200 in which a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water inside and supports the body portion 100 from the top,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support portion 200 A humidification module 300 that humidifies the water 4 contained in ) and emits steam upward, and one end is open 430 to accommodate the plant 1 and the soil 2, the inside is formed hollow, and the moisture It includes an absorption part 450 for absorbing and a drainage part 440 for discharging moisture,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400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0 and coupled to the body part 100, The flower pot unit 400 has a bent shape,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0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part 100. do.

상기 몸체부(100)는 개방된 하부면(110), 상기 하부면(110)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110)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120) 및 상기 하부면(110)과 상기 상부면(120)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150)이 형성된 측벽면(140)을 포함한다. 즉,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가 놓여지는 지면을 기준으로 지면에 수평하도록 하부면(110)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된 형태로서 빈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부면(120)은 하부면(110)과 평행하도록 대향하게 배치되고, 측변면(140)은 하부면(110)의 테두리에서 상부면(120)의 테두리를 연결하면서 측면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00 has an open lower surface 110, an upper surface 120 that is smaller in area than the lower surface 110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110, and the lower surface 110 and the upper surface 110. It is formed by extending the upper surface 120 and includes a side wall surface 140 form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50 penetrating inside and outside. That is, the lower surface 110 is formed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based on the ground on which th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is placed,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defined as an empty space in an open form.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120 is disposed to face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110, and the side surface 140 covers the side portion while connecti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120 from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110. can be formed

한편, 상부면(120은 하부면(110)보다 면적이 작으면서, 하부면(110)에서 상부면(120)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측벽면(140)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는 원뿔의 형상에서 상단이 제거된 모양일 수 있으며, 다른 표현으로는 상부와 하부에 서로 다른 원주의 원이 형성되도록 부채꼴 형상의 단면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원형으로 말림하여 서로 접합시킨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면(140)에는 경사가 형성되어, 측벽면(140)에 형성된 장착홈(150)에 화분유닛(400)이 결합되어 화분유닛(400)의 일부는 몸체부(100)의 내측에 삽입되고, 일부는 몸체부(100)의 외측에 노출되어 노출된 부분을 통해 식물을 재배하고, 내측에 삽입된 부분에 의해 가습효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면(110)은 개방되어, 하단에 배치된 가습모듈(300)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이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며, 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화분유닛(400)의 배수부(44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다시 받침부(200)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surface 120 has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110, and the side wall surface 14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area becomes narrower from the lower surface 110 to the upper surface 120.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00 may have a cone shape with an upper end removed, and in other word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an-shaped cross section are formed so that circles of different circumferences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Accordingly, the side wall surface 140 is inclined, and the planter unit 4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50 formed on the side wall surface 140 to form a planter unit ( 400) is inserted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grows plants through the exposed part, and moisture is absorbed by the humidifying effect by the part inserted inside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body part 100 is opened so that the moisture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module 300 disposed at the bottom is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body part ( 100)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part 440 of the flower pot unit 400 disposed inside may fall back to the support part 200.

도면상으로는 하부면(110)과 상부면(120)이 원형의 평면형상을 가지면서 측벽면(140)이 원뿔의 일부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은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이거나, 이외에도 여러 곡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측변면(140)도 다양한 곡률을 가지거나, 절곡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drawing, the lower surface 110 and the upper surface 120 have a circular plane shape and the side wall surface 140 has a shape like a part of a c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lower surface 120 may b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quadrangle, or may exist in various shapes including various curves. In addition, the side surfaces 140 may also have various curvatures or may include bent portions.

한편, 상기 몸체부(100)는 상부면(120)의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단에 개방부(130)를 포함함으로써, 화분유닛(400)에 수분을 공급하면서도, 가습모듈(300)에 의해 수분을 많이 머금은 공기 일부는 외부로 토출되어 실내의 건조한 환경을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벽면(140)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홈(150)과 이에 삽입되는 화분유닛(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나, 화분유닛(400)이 결합되지 않는 장착홈(150)을 통해 수분을 많이 머금은 공기가 배출되어 실내의 건조함을 개선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 portion 130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20 is opened. By including the opening 130 at the top, while supplying moisture to the flower pot unit 400, some of the air containing a lot of moisture by the humidifying module 3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improve the indoor dry environment.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paced apart spaces between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50 formed on the side wall surface 140 and the pot unit 400 inserted therein, or mounting grooves in which the pot unit 400 is not coupled ( 150), air containing a lot of moisture is discharged to improve dryness in the room.

한편, 상기 받침부(200)는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0)를 상단에서 지지한다. 받침부(200)는 내측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면(110)과 서로 대향하는 바닥면(210), 상기 바닥면(210)의 테두리에서 상단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외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에 물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고, 받침부(200)에 수용된 물이 가습모듈(300)에 의해 가습처리되어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가습처리된 수증기, 가습처리된 공기" 등의 의미는 모두 동일하게 가습모듈(300)에 의해 주변환경에 비해 수분을 많이 머금은 공기인 것으로 해석하면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portion 200 has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s the body portion 100 from the top. Support portion 200 is bent toward the top a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bottom surface 210 facing each other, the bottom surface 210, so as to accommodate water inside. It may include an outer wall 220 formed by being. As a result, water can be accommodated inside, and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art 200 is humidified by the humidifying module 300, and steam can be emitted upward. On the other han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of "humidified water vapor, humidified air" and the like can be interpreted as air containing more moisture tha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the humidifying module 300.

한편, 상기 화분유닛(400)은 식물(1)과 흙(2)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430)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450)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15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결합되고,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 상기 몸체부(100)의 장착홈(150)에 삽입된다. 상기 흡수부(450)와 배수부(440)는 상부와 하부로 화분유닛(400)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흡수부(450)를 통해서는 수분이 화분유닛(400)으로 유입되어 흙(2)과 식물(1)에 수분(물)을 공급할 수 있고, 배수부(440)를 통해서는 충분한 수분이 화분유닛(400)에 공급되는 경우 하단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t unit 400 has one end open 430 to accommodate the plant 1 and the soil 2, the inner side is formed as a hollow, the absorption part 450 for absorbing moisture, and the drainage part for discharging moisture. 44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0 and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0, and is formed in plural pieces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0 of the body portion 100, respectively. The absorbing part 450 and the draining part 440 are disposed at opposite positions on the pot unit 400 in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rough the absorbing part 450, moisture flows into the pot unit 400 and soil Moisture (water) can be supplied to (2) and the plant (1), and when sufficient moisture is supplied to the pot unit 400 through the drainage unit 440,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end.

본 발명의 화분유닛(400)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몸체부(100)의 측벽면(140)에 다수개 형성된 장착홈(15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 식물을 다수의 화분유닛(400)에 각각 심은 뒤에 몸체부(100)의 수직한 방향 및 수평한 방향에 다수 형성된 복수의 장착홈(150)에 각각 삽입하여 재배하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측벽면(140)은 경사지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화분유닛(4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유지되도록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다수의 그리고 여러 종의 식물을 재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분 교체시에는 교체하고자 하는 화분유닛(400)만 분리하여 교체하여 쉽게 유지보수(화분 교체, 배양토 교체 등의 행위를 본 발명에서는 유지보수로 정의하였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flower pot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50 formed on the side wall surface 140 of the body portion 100, and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fore, after planting various plants desired by the user in the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400, respectively, they can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50 form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body portion 100 to grow them. there is. The side wall surface 140 of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a plurality of pot units 400 are stably fixed and maintained, so that a plurality of plants of various species can be grown even in a small space. In addition, when replacing a flowerpot, only the flowerpot unit 400 to be replaced is separated and replaced to enable easy maintenance (acts such as replacing a flowerpot or cultivating soil are defined as mainten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화분유닛(400)이 몸체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 및 유지되면서도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화분유닛(400)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15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10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화분유닛(400)은 중단 부분에서 절곡되어 일단을 향하는 부분과 타단을 향하는 부분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된 부분에 의해 장착홈(150)에 화분유닛(400)을 삽입하더라도 몸체부(100) 내측의 빈 공간으로 화분유닛(400)이 빠지지 않고 거치되도록 할 수 있고, 절곡되어 외측에 배치되어 노출된 화분유닛(100)의 다른 부분에 의해 식물이 외부의 공기와 햇빛과 마주하여 생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의 성장을 위해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에 배치된 부분은 식물(1)과 흙(2)을 수용하면서 개방된 부분(430)이 상부를 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flower pot unit 400 can be easily separated while being stably coupled to and maintained in the body portion 100, the flower pot unit 400 has a bent shape and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0, It is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the other par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ody part 100. That is, the flower pot unit 400 is bent at the middle portion so that a portion toward one end and a portion toward the other end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even when the planter unit 4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0 by the bent portion, the planter unit 400 can be placed in the empty space inside the body 100 without falling out, and is bent and placed outside. The other parts of the exposed pot unit 100 may allow plants to grow while facing the outside air and sunlight. For the growth of such plants, the open portion 430 of the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100 may face upward while accommodating the plant 1 and the soil 2 .

한편, 상기 화분유닛(400)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상기 화분유닛(400)의 제 1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1유닛(410) 및 상기 제 1유닛(410)과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2유닛(420)을 포함하고, 제 1유닛(410)과 제 2유닛(420)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내측에 빈 공간인 중공이 형성되어 흙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1유닛(410)은 일단이 막혀 있어, 흙이 외부로 쉽게 토출되지 않도록 하고, 제 2유닛(420)의 타단은 개방(430)되어 있어, 식물(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성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면(110)의 수평면을 수평방향이라 하고, 상기 수평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 2유닛(420)의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수직방향의 상부 방향이고, 상기 제 2유닛(420)의 상부는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flower pot unit 400 again, the first unit 410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flower pot unit 400 and connected to the first unit 410 and a second unit 420 including a portion bent and extended in a second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unit 410 and the second unit 42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hollow, which is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on the inside to accommodate soil. 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first unit 410 is blocked to prevent soil from being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it 420 is open 430 so that the plant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grows. can make it That is, whe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body portion 100 is referred to as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unit 420 is the It is a vertical upward direction,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unit 42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화분유닛(401)은 제 1유닛(411)의 일단은 막히고 배수부(441)만 형성되고, 흙(2)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유닛(421)의 타단은 개방(431)되어 식물(1)이 성장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유닛(411)의 상단에는 흡수부(451)가 구비되어 상단의 측벽면을 통해 수분을 유입하도록 하여 내측의 흙(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5에서와 같이, 배수부(441)는 화분유닛(401)에서 제 1유닛(411)의 측면 부분에 에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흙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으면서 배수기능을 수행하도록 거름망(4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 to 4 , in the pot unit 401 , one end of the first unit 411 is blocked and only the drain 441 is formed, and the soil 2 can be accommodated therein.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nit 421 is opened 431 so that the plant 1 can grow. An absorber 451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st unit 411 to allow moisture to flow in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top to supply water to the soil 2 insid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drainage unit 441 may be form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unit 411 in the flower pot unit 401, and functions as a drainage without the soil insid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strainer 461 to perform.

상기 가습모듈(300)은 상기 받침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200)에 수용된 물(4)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한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의 내측에는 수분을 많이 머금은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포화상태가 되는 경우, 몸체부(100)의 내측에 점차 액체 상태로 변한 물이 맺히게 되고, 수분이 다량 함유하게 되는 경우 몸체부(100) 측벽면(140) 내측의 벽을 따라 하단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하단으로 흐르는 물은 화분유닛(400)의 흡수부(450)로 유입되고, 흡수부(450)에 유입된 물은 흙(2)을 충분히 적시고 결국 식물(1)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수분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경우 배수부(440)를 통해 과량의 물을 다시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물을 그대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가습화하여(가습기를 통해 공기에 충분히 수분이 머금도록 하여) 수분이 많은 공기를 지속적으로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공급하고, 벽면을 통해 다시 흘러내리는 소량의 물을 통해 식물(1)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량의 물(수분)을 지속적으로 화분유닛(400)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결국 지속적인 수분공급이 가능하면서도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건조한 공기에도 가습효과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모듈(300)의 구체적인 형태나 기능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umidifying module 300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art 200 and the body part 100 to humidify the water 4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art 200 and emits steam upward. Accordingly, air containing a lot of moistur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when it becomes saturated, water gradually changed to a liquid state forms o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moisture. In this case, it flows to the lower en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surface 140 of the body part 100 . Therefore, the water flowing to the bottom flows into the absorption part 450 of the pot unit 400,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absorption part 450 sufficiently wets the soil 2 and eventually supplies moisture to the plant 1. . When the moisture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excess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again through the drainage unit 440 .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supplying water as it is, it is humidified (so that the air contains enough moisture through a humidifier) to continuously supply moisture-rich air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again through the wall surface. It is to supply moisture to the plant (1) through a small amount of running water. Therefore, by continuously supplying a small amount of water (moisture) to the pot unit 4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umidifying effect to the dry air in the space where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is installed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Meanwhile, since the specific form or function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300 is widely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몸체부(100)는 측벽면(140)의 내측에서 상기 장착홈(150)의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며 배치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로 마주하는 폭이 좁아지도록 돌출하여 연장된 집수라인(160, 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유닛(400)의 상기 흡수부(450)는 상기 집수라인(160, 170)의 하단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집수라인(160, 170)은 측벽면(140)의 내측의 벽에 점차 쌓이는 물(수분)을 모아주어 화분유닛(400)의 흡수부(450)를 통해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의 장착홈(150) 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면(140)의 내측에서 점차 수분이 누적되고 액화되어 하부로 떨어질 때에 집수라인(160, 170)에 의해 흡수부(450)로 물이 모아지고 원활하게 흡수부(45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groove 150 from the inside of the side wall surface 14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ut protrudes so that the width of facing each other becomes narrower from top to bottom It may further include extended collection lines 160 and 170, and the absorber 450 of the flower pot unit 400 may be disposed to face lower ends of the collection lines 160 and 170. That is, the collection lines 160 and 170 collect water (moisture) gradually accumul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surface 140 and guide it to flow through the absorption part 450 of the flower pot unit 400, , It may be formed for each mounting groove (150). Accordingly, when moisture gradually accumulates and liquefies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surface 140 and falls to the lower part, the water is collected into the absorbing part 450 by the water collecting lines 160 and 170 and smoothly transferred to the absorbing part 450. this can be supplied.

한편, 도 2의 화분유닛(401)과 같이, 상기 화분유닛(400)의 상기 흡수부(450)의 상단에서 서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수라인(160, 170)과 마주하는 집수보조라인(4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유닛(400)이 상기 장착홈(150)에 결합되면, 상기 집수보조라인(490)은 상기 집수라인(160, 17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집수보조라인(490)은 상부의 집수라인(160, 170)에서 가이드되어 화분유닛(401)으로 공급되는 물이 흡수부(450)로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화분유닛(401) 표면의 상부에서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pot unit 401 of FIG. 2, the collection water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absorber 450 of the pot unit 400 but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s the collection lines 160 and 170. An auxiliary line 490 is further included, and when the flower pot unit 4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50, the water collecting auxiliary line 490 is dispos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water collecting lines 160 and 170.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The water collection auxiliary line 490 is guided at the upper water collection lines 160 and 170 at the upper part of the surface of the flower pot unit 401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flower pot unit 401 is more smoothly supplied to the absorber 450. func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면(110)과 서로 대향하는 바닥면(210), 상기 바닥면(210)의 테두리에서 상단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외벽(220) 및 상기 바닥면(210)에서 상단을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외벽(220) 보다 중심부에 형성된 내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230)은 외벽(220)과 내벽(230) 사이의 물이 가습모듈(300)로 전달되지 않도록(혹은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화분유닛(401)의 배수부(441)를 통해 떨어져 흙이 섞여 있는 물이 가습모듈(300)로 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받침부(200)의 상기 내벽(230) 안쪽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깨끗한 물이 가습모듈(3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물공급부(미도시)의 물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내벽(230)과 상기 외벽(220) 사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흙이 섞인 물(3)은 외부로 배출하고 깨끗한 물(4)만을 가습모듈(300)로 공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art 200 i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bottom surface 210 facing each other, and the outer wall 220 formed by bending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210 toward the top And it may include an inner wall 230 bent toward the top from the bottom surface 210 and formed in a center rather than the outer wall 220 . The inner wall 230 is to prevent water between the outer wall 220 and the inner wall 23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humidifying module 300 (or not directly transferred), and the drainage part 441 of the flower pot unit 40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mixed with soil from being directly transferred to the humidifying module 300. Meanwhile,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230 of the support unit 200 may be further included. Accordingly, clean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humidifying module 300, and a separate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water supply unit (not show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unit (not shown) for discharging water between the inner wall 230 and the outer wall 220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water 3 mixed with soil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only clean water 4 may be supplied to the humidifying module 300 .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하부면(110)과 바닥면(210)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측벽면(140)의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스페이서(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180)는 상기 받침부(200)의 외벽(220)과 내벽(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듈(300)은 상기 내벽(230)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80)에 의해 몸체부(401)의 내측으로 외부공기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200) 내측에서 고인 물이 ››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모듈(300)은 내벽(230)의 안쪽에 배치되어 정수되거나 깨끗한 물만 가습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rs 18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surface 140 so that the lower surface 110 and the bottom surface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pacer 1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wall 220 and the inner wall 230 of the supporting part 200, and the humidifying module 3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wall 230. By allowing external air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401 by the spacer 180,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condens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200 from being drained. In addition, the humidifying module 3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wall 230 to humidify only purified or clean water.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화분유닛의 배수부가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6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flower pot unit of FIG. 6 in which a drainage part is formed.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부(442)는 도 3 내지 5와 달리 제 1유닛(412)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거름망(462)을 배치하여 흙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5와 도 6 및 7의 실시예들과 같이, 배수부는 하부 방향으로 물이 배수되어 떨어지도록 하는 위치라면 특별히 어느 위치에 한정하지 않는다.6 and 7, the drainage unit 442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unit 412, unlike Figs.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That is, as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5 and FIGS. 6 and 7 , the drainage un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location as long as it allows water to drain downward.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와 가습모듈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upport portion and a humidifying modul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내벽(230)과 상기 외벽(220) 사이의 물을 정수 처리하여 상기 내벽(230) 사이로 공급하는 정수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수부(240)에 의해 화분유닛의 배수부로부터 떨어지고 모인 물(3)을 정수하여 가습모듈(3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정수부(240)는 필터를 포함하는 당해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물을 정수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purification unit 240 that purifies water between the inner wall 230 and the outer wall 220 and supplies it between the inner wall 23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The water 3 collected from the drainage part of the flower pot unit can be purified by the water purifying part 240 and supplied to the humidifying module 300 . The water purifying unit 24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purifying water generally known in the art including a filter.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화분유닛(401)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며, 상기 배수부(441)는 수직선상으로 상기 받침부(200)의 내벽(230)과 외벽(220) 사이에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내벽(230)의 가상의 수직선(C1, C2)을 기준으로 수직선(C1, C2)의 내측에는 배수부(441)가 배치되지 않도록 화분유닛(401)이 몸체부(100)의 측벽부(140)에서 상부로 갈수록 짧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벽(230) 안쪽으로 정수되지 않은 물이 유입되어 가습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unit 401 has a shorter length toward the top o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drainage part 441 is on the vertical lin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ly between the inner wall 230 and the outer wall 220 of the unit 200 . That is, based on the imaginary vertical lines C1 and C2 of the inner wall 230, the pot unit 401 is placed on the side wall of the body 100 so that the drain 441 is not disposed inside the vertical lines C1 and C2. It can be formed so that it becomes shorter toward the top in 14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humidifying module due to inflow of unpurified water into the inner wall 230 .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body portion of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장착홈(151-1, 151-2, 151-3, 151-4)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의 내측에서 배수부들이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단에 배치된 배수부에서 떨어지는 물이 하단에 배치된 화분유닛 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하단에 배치된 화분유닛이 보다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grooves 151-1, 151-2, 151-3, and 151-4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on the same vertical line.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inage units from overlapping with each other inside the body, and to prevent water falling from the drainage unit disposed at the top from falling onto the flower pot unit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flower pot unit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is more You can keep it clean.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도면은 몸체부가 서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장착홈의 구성 등 다른 구성을 표현하지 않았다.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body portion of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drawing of FIG. 11 is for showing how the body parts are divid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nd other configurations such as the configuration of separate mounting grooves are not expressed.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되 하부에 배치된 제 1몸체부(102-A) 및 상부에 배치된 제 2몸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몸체부(102-A)와 제 2몸체부(102-B)는 서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 방식으로 돌려끼워져 결합되거나, 상단과 하단이 서로 요철(凹凸)결합하거나, 서로 상보적인 형태를 가져 안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1몸체부(102-A)와 제 2몸체부(102-B)를 정의하였으나, 이외에도 제 3몸체부, 제 4몸체부와 같이 여러 몸체부가 분할된 상태로 존재하다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상부로 갈수록 수평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고, 측벽면에는 장착홈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first body portion 102-A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102-B. The first body part 102-A and the second body part 102-B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y may be screwed together by screwing, or the upper and lower ends may be bonded to each other in a concave-convex (凹凸) manner, or they may be coupled in a manner that is secured by having a complementary shape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first body part 102-A and the second body part 102-B are defined, several body parts, such as the third body part and the fourth body part, exist in a divided state and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to one It can constitute the body part of.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horizontal section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top, the lower surface is configured in an open state,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surface.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몸체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다양한 제 1몸체부와 제 2몸체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기 위해 가장 하단의 몸체부와 중단의 몸체부, 그리고 가장 상단의 몸체부 각각의 결합방식(적층방식)을 여러 형태로 표현하였다. Figure 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2, the lowermost body part, the middle body part, and the uppermost body part are combined in various ways (lamination method) to show how various first body parts and second body parts are combined. did

도 12를 참조하면, 우선, 가장 하단에 배치된 것을 제 1몸체부(103-A), 중단에 배치된 것을 제 2몸체부(103-B)라 하면, 상기 제 1몸체부(103-A)의 상부와 상기 제 2몸체부(103-B)의 하부는 서로 계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 1몸체부(103-A)의 상부의 수직단면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높아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몸체부(103-A)의 상부는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2몸체부(103-B)의 하단은 이와 상보적인 형태의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중단에 배치된 것과 가장 상단에 배치된 것을 비교하여 제 1몸체부(103-B)와 제 2몸체부(103-C)라 정의하면, 제 1몸체부(103-B)의 상단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단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내측벽에서 외측벽으로 갈수록 상단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내측 벽면에 맺히는 수분이 외부로 넘쳐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first, if the first body part 103-A is the lowermost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103-B is the middle part, the first body part 103-A )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103-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part 103-A is an area that becomes higher as it go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part 103-A may have an upwardly convex shape,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103-B may have a concave shape complementary thereto. In addition, if the first body part 103-B and the second body part 103-C are defined by comparing the one disposed in the middle with the one disposed at the top,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03-B is It may include a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 this way, by including a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ner wall to the outer w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condensed on the inner wall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의 몸체부의 일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에서 도어부가 열리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사시도로서 도 13 및 14와 같은 몸체부에 적용될 수 있는 화분유닛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도 15의 화분유닛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는 도 15의 화분유닛이 도 13 및 14의 실시예와 같은 몸체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13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body of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shows a cas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FIG. 13 . In addi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wer pot unit that can be applied to the body portion as shown in FIGS. 13 and 14 is shown,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wer pot unit of FIG. 15 has been In addition, FIG.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er pot unit of FIG. 15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3 and 14 .

도 13 내지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 표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장착홈(155)을 개폐하는 도어부(5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520)는 상기 몸체부(10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도어고정부(510) 상기 도어고정부(510)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520)가 하단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도어부 받침(540)이 몸체부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도어부(520)의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도어부의 손잡이(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520)는 도어고정부(51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착홈(155)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장착홈(155)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할 때에는 도어부(520)에 돌출되어 장착된 손잡이(530)를 통해 도어부(520)를 이동시켜 장착홈(155)을 노출되게 하여 화분유닛을 결합할 수 있다. 13 to 17,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portion 5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to open and close the mounting groove 155. Further, the door part 520 is slidingly coupled between the door fixing part 5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door fixing part 510 to move up and down. . In addition, the door support 54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door portion 520 does not fall to the bottom, and the handle 530 of the door portion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door portion 520 may further include. The door part 520 can move in a sliding manner based on the door fixing part 510, and 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groove 155 is not used, the mounting groove 155 can be kept closed. . In addition, when in use, the door part 520 is moved through the handle 530 protruding from the door part 520 to expose the mounting groove 155 so that the flower pot unit can be combined.

한편, 상기 화분유닛(403)은 상단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도어안착라인(473), 및 상기 화분유닛(403)의 하단에서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몸체안착라인(48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안착라인(473)은 상기 화분유닛(403)이 상기 장착홈(155)에 삽입되면, 상기 도어부(520)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몸체안착라인(483)은 상기 몸체부(103)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어안착라인(473)은 상부에 배치된 도어부(520)의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도어부(520) 하단의 단면과 상보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안착라인(483)은 화분유닛(403)이 장착홈(150) 하단의 장착홈(150)을 구획하는 측벽면(14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해당 측벽면(140)의 단면 형상과 상보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의 장착홈(15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화분유닛(403)이 상하좌우로 쉽게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몸체부(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도어부(520)를 통해 장착홈(150)을 필요에 따라 개폐하면서도, 몸체부에 결합되는 화분유닛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er pot unit 403 further includes a door seating line 473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 body seating line 483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unit 403 to the top, , When the flower pot unit 40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5, the door part 520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door seating line 473, and the body seating line 483 is the body part ( 103)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and seated. That is, the door seating line 473 is a portion into which a part of the door unit 52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is inserted, and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complementary to the end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door unit 520 . In addition, the body mounting line 483 is coupled to the side wall surface 140 that divides the mounting groove 150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150, the flower pot unit 403,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 wall surface 140 and It may be formed by complementarily indenting. Accordingly, the pot unit 403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50 of the body 100 does not easil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can be maintained firmly fixed to the body 100. .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mounting groove 150 through the door part 520 as needed, the pot unit coupled to the body part can be firmly coupled.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8의 화분유닛에 결합되는 수로변경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도 18의 화분유닛에서 수로변경부가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이 몸체부에 결합되어 수로변경부가 작동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way changing unit coupled to the flower pot unit of FIG. 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aterway changing unit in the flowerpot unit of FIG. 18.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waterway changing unit operates in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8 is coupled to the body.

도 18 내지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화분유닛(400)에 일축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배수부(440)를 커버하며 형성되는 수로변경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로변경부(600)는 상기 화분유닛(400)에 일축으로 결합되는 축(630), 상기 축(630)을 기준으로 일정 회전반경 회전하면 화분유닛(400)의 일단에 접하여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스토퍼(620) 및 상기 배수부(440)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방향을 상기 몸체부(100)와 인접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6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수로변경부(600)는 화분유닛(400)의 일단에 축(630)을 통해 결합되고, 축(630)을 통해 회전하면서 스토퍼(620)가 화분유닛에 닿으면,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수로변경부(600)의 가이드부(610)는 배수부(440)에서 나오는 물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18 to 21,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way changing unit formed to cover the drainage unit 440 while rotating while being uniaxially coupled to the pot unit 400 600 is further included, and the waterway changing unit 600 rotates a shaft 630 uniaxially coupled to the planter unit 400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al radius based on the shaft 630 to form the planter unit 400.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opper 620 for stopping rotation in contact with one end of and a guide part 610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drained from the drainage part 440 to a direction adjacent to the body part 100. can That is, the waterway changing unit 6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pot unit 400 through a shaft 630, and rotates through the shaft 630 while the stopper 620 touches the pot unit, so that it no longer rotates. can avoid As a result, the guide unit 610 of the waterway changing unit 600 may change the direction of water coming out of the drainage unit 440 .

다시 말하면, 화분유닛(400)에서는 몸체부(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화분유닛(400)에 가해진 물이 중력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흘러 배수부(440)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배수부(440)에서 나온 물은 관성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모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610)에 의해 경사방향이 반대방향인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수부(440)에서 나온 물의 방향을 변경시켜줄 수 있고, 결국 중심부에 위치하는 가습모듈(300)로 흙이 섞인 물이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로변경부(600)는 축(630)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도 18과 같은 상태로 장착홈(150) 내에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는 중력에 의해 축(630)을 중심으로 가이드부(610)가 회전하여 화분유닛(400)이 형성하는 경사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경사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변경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수로변경부(600)는 가이드부(610)의 말단에 결합된 스트랩(미도시)이 형성되어 스트랩(미도시)이 장착홈(15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스트랩(미도시)을 당김에 의해 수로변경부(600)의 가이드부(610)를 다시 화분유닛(400)에 밀착하도록 하여 몸체부(100)에서 화분유닛(400)이 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flower pot unit 400, the water disposed inside the body 100 and applied to the flower pot unit 400 may flow toward the center by gravity and be discharged to the drainage unit 440, in this case the drainage unit The water from 440 can be concentrated in the center direction by inertia. At this time, the guide part 610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water coming out of the drainage part 440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inclination, and eventually, the humidification module 300 located in the center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oil. It can prevent water from entering directly. On the other hand, the waterway changing unit 6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0 in a state as shown in FIG. 18 by rotating about the axis 630, and after being inserted, the axis 630 is centered by gravity. As the guide part 610 rotates, the flow of water can be changed in an incline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direction formed by the flower pot unit 400 .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waterway changing unit 600 may have a strap (not shown) coupled to the end of the guide unit 610 so that the strap (not show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groove 150, , By pulling the strap (not shown), the guide part 610 of the waterway change part 6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ot unit 400 again, so that the pot unit 4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00. there is.

또한, 상기 수로변경부(600)는 상기 가이드부(6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연장된 가이드홈라인(6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라인(640)에 의해 수로변경부(600)에 전달된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way changing unit 6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groove line 640 that extends by being depress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unit 610 . Water delivered to the waterway changing unit 600 by the guide groove line 640 can flow smoothly in a certain direction.

도 2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일부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화분유닛(404)은 상기 제 2유닛(424-A, 424-B, 424-C)은 다단 결합되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부로 연장이 가능하며, 복수의 상기 제 2유닛(424-A, 424-B, 424-C)이 상부로 연장되면 상단에 배치된 제 2유닛(424-B)의 하부는 하단에 배치된 제 2유닛(424-A)의 상부와 요철(凹凸)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2유닛 부분은 식물(1)이 노출되는 부분으로 식물의 크기나 식물의 생장속도에 따라 길이를 길게하거나 짧게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제 2유닛(424-A, 424-B, 424-C)부분을 다단 결합되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부로 연장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2유닛(424-A, 424-B, 424-C)은 일부 탄성을 가져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에 의해 상단에 배치된 제 2유닛(424-B)의 하부는 하단에 배치된 제 2유닛(424-A)의 상부와 요철(凹凸)결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the flower pot unit 40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units 424-A, 424-B, and 424-C that are coupled in multiple stages, can extend upward, and have a plurality of second units 424-A, 424-B, and 424-C. When the units 424-A, 424-B, and 424-C extend upwar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nit 424-B disposed on the upper part is uneven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unit 424-A disposed on the lower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凹凸) coupling. The second unit portion is a portion to which the plant 1 is exposed and may need to be lengthened or shorte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or the growth rate of the plan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nit (424-A, 424-B, 424-C)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coupled in multiple stages and extends upward,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as needed. . Meanwhile, the second units 424-A, 424-B, and 424-C have some elasticity so that unnecessary parts can be removed and used. It may be fixed by an upper part of the second unit 424-A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a concavo-convex connection.

도 2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화분유닛(405)의 상기 흡수부는 화분유닛(405)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1흡수개폐부(455A), 및 상기 제 1흡수개폐부(455A)의 내측면에 상기 제 1흡수개폐부(455A)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유닛(405) 또는 상기 제 1흡수개폐부(455A)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2흡수개폐부(455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흡수개폐부(455A)와 제 2흡수개폐부(455B)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유닛(415)에 요철(凹凸)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돌출된 부분(456A, 456B)과 함몰된 부분(415A, 415B)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결합은 요철(凹凸)결합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결합 또는 고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bsorption part of the pot unit 405 rotates based on one end connected to the pot unit 405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closing part 455A and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art 455A are formed in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art 455A, and are connected to the flower pot unit 405 or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art 455A.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absorptio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5B)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on the basis of one end.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ortion 455A and the second absorbing opening/closing portion 455B are recessed with protruding portions 456A and 456B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concavo-convexly coupled to the first unit 415 to maintain an open state. Portions 415A and 415B may be formed. However, these couplings are not limited to concavo-convex coupling, and various coupling or fixing methods may be used as need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흡수개폐부(455A)는 일변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흡수부가 열려지도록 할 수 있고, 제 2흡수개폐부(455B)도 일변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할 수 있는데, 제 2흡수개폐부(455B)는 제 1흡수개폐부(455A)의 일부면이 형성된 것으로, 더 작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 1흡수개폐부(455A)가 열릴 경우에는 제 2흡수개폐부(455B)도 함께 열리고, 제 2흡수개폐부(455B)가 열릴 때에는 제 1흡수개폐부(455A)의 일부는 열리지 않는 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이 많이 필요한 식물의 경우에는 보다 넓은 면적이 열리는 제 1흡수개폐부(455A)를 열고, 수분이 적게 필요한 식물의 경우에는 좁은 면적이 열리는 제 2흡수개폐부(455B)를 열어 수분 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동시에 수분 흡수량의 조절이 동일한 위치(제 2흡수개폐부(455B)를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흡수개폐부(455A)와 제 2흡수개폐부(455B)에 더하여 더 많은 흡수개폐부를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absorption opening/closing portion 455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based on one side, so that the absorption portion can be opened, and the second absorption opening/closing portion 455B can als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based on one side. However, the second absorption opening/closing portion 455B is formed on a partial surface of the first absorption opening/closing portion 455A, and has a smaller area. Therefore, when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ortion 455A is opened, the second absorbing opening/closing portion 455B is also opened, and when the second absorbing opening/closing portion 455B is opened, a portion of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ortion 455A may remain open. there is. Therefore, in the case of plants requiring a lot of moisture, the first absorptio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5A is opened, and in the case of plants requiring little moisture, the second absorptio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55B is opened to adjust the amount of moisture absorption.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moisture absorption can be adjusted at the same location (the same location based on the second absorption opening/closing portion 455B). Meanwhile, more absorption opening/closing units may be formed in addition to the first absorption opening/closing unit 455A and the second absorption opening/closing unit 455B.

도 2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을 도 23과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화분유닛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것이다.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23 . Tha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wer pot unit viewed from the bottom is shown.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화분유닛(406)의 상기 배수부는 화분유닛(406)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1배수개폐부(466A), 및 상기 제 1배수개폐부(466A)의 내측면에 상기 제 1배수개폐부(466A)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유닛(406) 또는 상기 제 1배수개폐부(466A)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2배수개폐부(46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배수개폐부(466A)와 제 2배수개폐부(466B)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유닛(415)에 요철(凹凸) 결합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돌출된 부분(467A, 467B)과 함몰된 부분(416A, 4156)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결합은 요철(凹凸)결합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결합 또는 고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ainage portion of the pot unit 406 is rotated based on one end connected to the pot unit 406 to be opened and closed. The opening/closing part 466A and the first drainage opening/closing part 466A are formed in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drainage opening/closing part 466A, and are connected to the flower pot unit 406 or the first drainage opening/closing part 466A.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rai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66B) that rotates on the basis of one en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rain opening/closing portion 466A and the second drain opening/closing portion 466B are recess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s 467A and 467B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concavo-convexly coupled to the first unit 415 to maintain an open state. Portions 416A and 4156 may be formed. However, these couplings are not limited to concavo-convex coupling, and various coupling or fixing methods may be used as needed.

상기 제 1배수개폐부(466A)와 제 2배수개폐부(466B)는 상기 제 1흡수개폐부(455A)와 제 2흡수개폐부(455B)와 같이,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제 1배수개폐부(466A)와 제 2배수개폐부(466B)의 열림을 조절하여 배수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식물과 흙의 종류 등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배수개폐부(466A)와 제 2배수개폐부(466B)에 더하여 더 많은 배수개폐부를 형성하여 다양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drain opening/closing portion 466A and the second drain opening/closing portion 466B have areas of different sizes at the same location as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ortion 455A and the second absorbing opening/closing portion 455B. (466A)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drai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66B)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amount of drainage. Therefore, the amount of drainag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and soil used by the user in a desired manner.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first drain opening/closing portion 466A and the second drain opening/closing portion 466B, more drain opening/closing portions may be formed to be variously adjusted.

도 2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에서 몸체부와 화분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6에는 도 25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몸체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and the pot unit are coupled in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is a schematic view of the body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FIG. 25 A perspective view indicated by is shown.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몸체부(104)는 상기 장착홈(154)의 상단과 하단에 홈으로 형성된 결합홈(147, 148)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유닛(407)은 상단에서 상기 몸체부(104)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148)에 요철(凹凸)결합되는 상단 끼움부(488), 및 하단에서 상기 몸체부(104)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147)에 요철(凹凸)결합되는 하단 끼움부(47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4)에 형성되는 상단 끼움부(488)와 하단 끼움부(477)를 몸체부(104)에 형성된 결합홈(147, 148)에 결합함으로써, 화분유닛(407)이 견고하게 장착홈(154) 내에 결합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원치 않게 회전하여 화분유닛(407)의 개방된 상단부(437)가 하부 방향으로 향하여 식물과 흙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5 and 26,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04 is coupled grooves 147 and 148 formed as groove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unting groove 154 ), wherein the planter unit 407 protrudes toward the body portion 104 from the top and has an upper fitting portion 488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48 by concavo-convex,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lower fitting portion 477 protruding toward the body portion 104 and coupled to the concave-convex portion 147 of the coupling groove 147. By combining the upper fitting part 488 and the lower fitting part 477 formed in the body part 104 with the coupling grooves 147 and 148 formed in the body part 104, the planter unit 407 is firmly mounted. It can be coupled and maintained in the groove 154,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plants and soil from falling by undesirably rotating the open upper end 437 of the pot unit 407 toward the lower direction.

도 2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 적용되는 다른 구성인 보조결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8에는 도 27의 보조결합체가 몸체부에 결합되고, 화분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xiliary coupling body, which is another configuration applied to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 28, the auxiliary coupling body of FIG. 27 is coupled to the body, and a flowerpot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how the unit is coupled is shown.

도 27 및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상기 몸체부(105)의 측벽면(145)에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장착홈(155)을 관통하되, 상기 몸체부(105)의 내측에서 상기 화분유닛(402)을 지지하는 보조결합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체(700)는 상기 화분유닛(402)이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 몸체부(100)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화분유닛(402)의 정확한 위치를 잡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결합체(700)는 상기 장착홈(155)의 하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측벽면(145)에 결합되는 하부틀(730), 상기 하부틀(730)에서 연장되고 상기 장착홈(155)의 상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측벽면(145)에 결합되는 상부틀(740), 상기 몸체부(10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화분유닛(402)의 일부를 지지하며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지지틀(710), 및 상기 지지틀(710) 타단의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화분유닛(402)을 지지하는 멈춤부(720)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402)의 배수부(442)는 상기 복수의 지지틀(710) 사이의 공간(77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27 and 28, in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oupled and fixed to the side wall surface 145 of the body portion 105,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155 However, an auxiliary coupling body 700 supporting the pot unit 402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05 may be further included. The auxiliary coupling body 700 is to ensure that the pot unit 402 is fixed in a more solid and accurate position and maintained in the body 100, and can accurately position the pot unit 402. Specifically, the auxiliary coupling body 700 extends from the lower frame 730 coupled to the side wall surface 145 at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groove 155, the lower frame 730, and the mounting groove ( 155) is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740 coupled to the side wall surface 14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05 to support a part of the flower pot unit 402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 plurality of extended support frames 710, and a stopper 720 protru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710 to support the pot unit 402, but the pot unit 402 The drainage part 44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pace 770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710 .

즉, 지지틀(710)은 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화분유닛(402)을 지지하는 부분이며, 멈춤부(720)는 화분유닛(402)이 정확한 위치에 멈추도록 조절하는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틀(710)은 양측에 평행하게 복수개로 배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화분유닛(402)을 지지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는 빈 공간(770)으로 형성되어 배수부(442)가 해당 빈 공간을 통해 배수된 물을 하부로 떨어뜨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틀(710) 등의 구성을 몸체부(10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하부틀(730)은 장착홈(155)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되고 하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측벽면(145)에 결합되고, 상부틀(740)은 하부틀(730)에서 연장되되 장착홈(155)의 상부의 외측면에서 측벽면(14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면(145)의 외측면 상에서 장착홈(155)의 상부와 하부에서 모두 결합되어 견고하게 보조결합체(700)의 위치를 유지하면서도 장착홈(155) 내부에 삽입되는 화분유닛(402)이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frame 710 is disposed inside the body to support the pot unit 402, and the stopper 720 functions as a stopper to control the pot unit 402 to stop at an accurate position. can be don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710 are arranged in parallel on both sides to more stably support the pot unit 402, and an empty space 770 is formed between them so that the drain 442 passes through the empty space. Drained water can be made to fall to the bottom.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irmly fix components such as the support frame 710 to the body portion 100, the lower frame 730 protrudes out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155 and extends downward, and the side wall surface 145 ), and the upper frame 740 may extend from the lower frame 730 and be coupled to the side wall surface 145 at the outer surface of the top of the mounting groove 155. Therefore, the pot unit 402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55 while firm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body 700 by being combined at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unting groove 15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surface 145 is It can be fixed and held in the correct position.

본 발명의 상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각각의 구성들은 서로 조합되어 배치 가능하며, 원형의 형상이나 수직한 형상, 결합되는 방식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변경 가능한 수준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Each of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circular shape, vertical shape, coupling method, etc. can be changed and used in various ways widely known in the art, and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in a level easily change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 person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식물
2: 흙
3: 물
4: 정화된 물
100, 101, 102, 103, 102-A, 102-B, 103-A, 103-B, 103-C, 104: 몸체부
110: 몸체부의 하부면
120, 124: 몸체부의 상부면
130, 134: 몸체부의 상부면 개방부
140, 141, 144, 145: 몸체부의 측벽면
143-B: 몸체부의 상부
143-C: 몸체부의 하부
144-A: 몸체부의 상부
144-B: 몸체부의 하부
147, 148, 149: 몸체부에 형성된 결합홈
150, 151, 151-1, 151-2, 151-3, 151-4, 154, 155: 몸체부의 장착홈
160, 170: 몸체부의 집수라인
180, 181: 몸체부의 스페이서
200: 받침부
210: 받침부의 바닥면
220: 받침부의 외벽
230: 받침부의 내벽
240: 정수부
300: 가습모듈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화분유닛
410, 411, 412, 413, 415, 416: 화분유닛의 제 1유닛
420, 421, 422, 423, 424-A, 424-B, 424-C, 425, 426, 427: 화분유닛의 제 2유닛
430, 431, 432, 433, 435, 436, 437: 화분유닛의 개방된 부분
440, 441, 442, 443, 445, 446, 447: 배수부
450, 451, 452, 453, 455, 456, 457: 흡수부
455A: 제 1흡수개폐부
455B: 제 2흡수개폐부
461, 462, 463: 거름망
466A: 제 1배수개폐부
466B: 제 2배수개폐부
473: 화분유닛의 도어안착라인
477: 화분유닛의 하단 끼움부
483: 화분유닛의 몸체안착라인
488: 화분유닛의 상단 끼움부
490: 화분유닛의 집수보조라인
510: 도어고정부
520: 도어부
530: 도어부의 손잡이
540: 도어부의 받침
600: 수로변경부
610: 수로변경부의 가이드부
620: 수로변경부의 스토퍼
630: 수로변경부의 축
640: 수로변경부의 가이드홈라인
700: 보조결합체
710: 보조결합체의 화분지지대
720: 보조결합체의 스토퍼
730: 보조결합체의 제 1지지대
740: 보조결합체의 제 2지지대
750: 보조결합체 제 1결합부
760: 보조결합체 제 2결합부
1: plants
2: Dirt
3: water
4: purified water
100, 101, 102, 103, 102-A, 102-B, 103-A, 103-B, 103-C, 104: body part
110: lower surface of the body
120, 124: upper surface of the body
130, 134: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body
140, 141, 144, 145: side wall surface of the body
143-B: upper part of the body
143-C: lower part of the body
144-A: upper part of the body
144-B: lower part of the body
147, 148, 149: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150, 151, 151-1, 151-2, 151-3, 151-4, 154, 155: mounting groove of the body
160, 170: water collection line of the body
180, 181: spacer of the body
200: supporting part
210: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220: outer wall of the supporting part
230: inner wall of the supporting part
240: integer part
300: humidification module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pot unit
410, 411, 412, 413, 415, 416: first unit of the pot unit
420, 421, 422, 423, 424-A, 424-B, 424-C, 425, 426, 427: second unit of the pot unit
430, 431, 432, 433, 435, 436, 437: open part of the pot unit
440, 441, 442, 443, 445, 446, 447: drain
450, 451, 452, 453, 455, 456, 457: absorption portion
455A: first absorption opening/closing unit
455B: second absorption opening and closing unit
461, 462, 463: strainer
466A: first drain opening/closing unit
466B: second drain opening/closing unit
473: door seating line of flower pot unit
477: lower fitting part of the planter unit
483: body seating line of the planter unit
488: top fitting part of flower pot unit
490: Collecting auxiliary line of the flower pot unit
510: door fixing part
520: door part
530: door handle
540: door support
600: waterway change department
610: guide part of waterway change part
620: Stopper of the waterway change section
630: axis of diversion
640: guide home line of the waterway change department
700: auxiliary conjugate
710: flowerpot support of auxiliary assembly
720: stopper of auxiliary conjugate
730: the first support of the auxiliary assembly
740: second support of auxiliary assembly
750: auxiliary assembly first coupling part
760: auxiliary assembly second coupling part

Claims (19)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 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 및 상기 측벽면의 내측에서 상기 장착홈의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며 배치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로 마주하는 폭이 좁아지도록 돌출하여 연장된 집수라인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흡수부는 상기 집수라인의 하단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화분유닛은 제 1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1유닛 및 상기 제 1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 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의 수평면을 수평방향이라 하고, 상기 수평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 2유닛의 상기 제 2방향은 상기 수직방향의 상부 방향이고, 상기 제 2유닛의 상부는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 side wall surface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enetrating inside and outside, and Body parts including water collection line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ut protru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width of facing each other becomes narrower;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t an upper end;
a humidif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humidify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ing part and dissipate water vapor upward;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one end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is formed with a hollow shape, and includes an absorber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drainage portion for discharging moisture,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body. include,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The absorbent part of the flower pot unit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line,
The flower pot unit includes a first unit including a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unit connected to the first unit and including a portion bent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do,
When a horizontal pla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is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second unit is an upper direction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Smart plant grow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is open.
삭제delete 삭제delete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 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 및 상기 측벽면의 내측에서 상기 장착홈의 상부에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며 배치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서로 마주하는 폭이 좁아지도록 돌출하여 연장된 집수라인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흡수부는 상기 집수라인의 하단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흡수부의 상단에서 서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수라인과 마주하는 집수보조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유닛이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면, 상기 집수보조라인은 상기 집수라인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 side wall surface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enetrating inside and outside, and Body parts including water collection line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ut protru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width of facing each other becomes narrower;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t the top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 humidif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humidify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ing part and dissipate water vapor upward;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one end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is formed with a hollow shape, and includes an absorber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drainage portion for discharging moisture,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body. include,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The absorbent part of the flower pot unit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line,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ollection line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absorption part of the flower pot unit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es the collection line,
When the pot unit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the water collecting auxiliary line is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water collecting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면의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is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n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s op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과 서로 대향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에서 상단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된 외벽 및 상기 바닥면에서 상단을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외벽 보다 중심부에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부면과 바닥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측벽면의 하단에서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받침부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내벽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includes a bottom surface facing each other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 outer wall formed by bending an edge of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top, and an inner wall bent toward the top from the bottom surface but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wall,
The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r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surface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pacer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is a smart plant grow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side the inner wal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기 내벽 안쪽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의 물을 정수 처리하여 상기 내벽 사이로 공급하는 정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6,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in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support unit, and a water purification unit for treating water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nd supplying it between the inner wall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유닛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부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며, 상기 배수부는 수직선상으로 상기 받침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pot unit is a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shortened toward the top o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drainage portion is located only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support portion on the vertical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grooves are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on the same vertical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되 하부에 배치된 제 1몸체부 및 상부에 배치된 제 2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몸체부의 상부와 상기 제 2몸체부의 하부는 서로 계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 2몸체부의 상부의 수직단면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더 높아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vertical s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includes a region that becomes high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cultiv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 표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장착홈을 개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도어고정부; 상기 도어고정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oor portion sliding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mounting groove;
The door unit includes a door fixing uni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unit;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coupled to the door fixing unit moves up and down.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 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 표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장착홈을 개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도어고정부; 상기 도어고정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화분유닛은 상단에서 하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도어안착라인, 및 상기 화분유닛의 하단에서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몸체안착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안착라인은 상기 화분유닛이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면, 상기 도어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상기 몸체안착라인은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nd a side wall surface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body part;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t an upper end;
a humidif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humidify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ing part and dissipate water vapor upward;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one end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is formed with a hollow shape, and includes an absorber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drainage portion for discharging moisture,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body. include,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Further comprising a door portion sliding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mounting groove;
The door unit includes a door fixing uni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unit; Sliding coupled to the door fixing part moves up and down,
The flower pot unit further includes a door seating line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 body seating line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unit to the top,
The door seating line is a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lower pot uni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the door portion is inserted and seated, and the body seating line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body portion.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 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화분유닛에 일축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배수부를 커버하며 형성되는 수로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로변경부는 상기 화분유닛에 일축으로 결합되는 축, 상기 축을 기준으로 일정 회전반경 회전하면 화분유닛의 일단에 접하여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스토퍼 및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방향을 상기 몸체부와 인접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nd a side wall surface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body part;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t an upper end;
a humidif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humidify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ing part and dissipate water vapor upward;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one end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is formed with a hollow shape, and includes an absorber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drainage portion for discharging moisture,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body. include,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Further comprising a waterway changing unit formed to cover the drainage unit while being uniaxially coupled to the pot unit and rotating,
The waterway changing unit includes an axis coupled to the flower pot unit in one axis, a stopp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one end of the flower pot unit to stop rotation when rotating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based on the axis, and a direction of water drained from the drain unit adjacent to the body portion.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guide unit for guiding in the direc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변경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연장된 가이드홈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waterway changing unit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line that is recessed and extended downwar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unit.
제 1항에 있어서,
화분유닛의 상기 제 2유닛은 다단 결합되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부로 연장이 가능하며,
복수의 상기 제 2유닛이 상부로 연장되면 상단에 배치된 제 2유닛의 하부는 하단에 배치된 제 2유닛의 상부와 요철(凹凸)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nit of the flower pot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coupled in multiple stages and can be extended upward,
When a plurality of the second units extend upwar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nit disposed at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unit disposed at the lower part by convex-convex coupling.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 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흡수부는 화분유닛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1흡수개폐부, 및 상기 제 1흡수개폐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 1흡수개폐부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유닛 또는 상기 제 1흡수개폐부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2흡수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nd a side wall surface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body part;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t an upper end;
a humidif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humidify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ing part and dissipate water vapor upward;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one end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is formed with a hollow shape, and includes an absorber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drainage portion for discharging moisture,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body. include,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The absorbing part of the flower pot unit is formed with a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art that rotates and opens and closes with respect to one end connected to the flower pot unit, and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art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absorbing opening/closing part, wherein the flower pot unit Alternatively, the smart plant grow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absorption opening/closing portion that rotates based on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absorption opening/closing portion to be opened and closed.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 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화분유닛의 상기 배수부는 화분유닛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1배수개폐부, 및 상기 제 1배수개폐부의 내측면에 상기 제 1배수개폐부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유닛 또는 상기 제 1배수개폐부에 연결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제 2배수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nd a side wall surface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body part;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t an upper end;
a humidif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humidify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ing part and dissipate water vapor upward;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one end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is formed with a hollow shape, and includes an absorber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drainage portion for discharging moisture,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body. include,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The drainage part of the flower pot unit is formed with a first drain opening/closing part that rotates and opens and closes based on one end connected to the flower pot unit, and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drain opening/closing part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drain opening/closing part, and the flower pot unit Or a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rai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rotates based on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장착홈의 상단과 하단에 홈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유닛은 상단에서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에 요철(凹凸)결합되는 상단 끼움부, 및 하단에서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결합홈에 요철(凹凸)결합되는 하단 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further includes coupling grooves formed as groove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ounting groove,
The planter unit protrudes from an upper end toward the body portion and is concave-convex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a lower fitt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body portion and is concave-convex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Smart plant grow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개방된 하부면, 상기 하부면 보다 면적이 작고 상기 하부면에 대향하게 배치된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된 측벽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내측에 물을 수용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부에 수용된 물을 가습처리하여 수증기를 상부로 발산하는 가습모듈; 및
식물과 흙을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및 수분을 배출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화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은 절곡된 형상으로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몸체부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측벽면에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장착홈을 관통하되,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화분유닛을 지지하는 보조결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결합체는 상기 장착홈의 하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측벽면에 결합되는 하부틀, 상기 하부틀에서 연장되고 상기 장착홈의 상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측벽면에 결합되는 상부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화분유닛의 일부를 지지하며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지지틀, 및 상기 지지틀 타단의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화분유닛을 지지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유닛의 배수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틀 사이의 공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An open lower surface, an upper surfac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and a side wall surface formed by exte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body part;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portion at an upper end;
a humidification modul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part and the body part to humidify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ing part and dissipate water vapor upward; and
A plurality of flower pot units, one end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plants and soil, the inner side is formed with a hollow shape, and includes an absorber for absorbing moisture and a drainage portion for discharging moisture,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coupled to the body. include,
The flower pot unit has a bent shape,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oupling body having one end coupled to and fixed to a side wal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penetrating the mount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flower pot unit inside the body portion;
The auxiliary coupling body includes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side wall surface at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groove, an upper frame extending from the lower frame and coupled to the side wall surface at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an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a part of the flower pot uni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in parallel, and a stopper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flower pot unit,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portion of the pot unit is disposed to face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KR1020230010338A 2023-01-26 2023-01-26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 KR102550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338A KR102550539B1 (en) 2023-01-26 2023-01-26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338A KR102550539B1 (en) 2023-01-26 2023-01-26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539B1 true KR102550539B1 (en) 2023-07-03

Family

ID=8715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338A KR102550539B1 (en) 2023-01-26 2023-01-26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53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482Y1 (en) 2005-12-29 2006-03-28 한상임 Underwater Plant Cultivation Air Clean Humidifier
KR20120094404A (en) * 2011-02-16 2012-08-24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Hydro-cultivater
KR200484446Y1 (en) * 2016-05-03 2017-09-06 김다희 flower pot supporter
KR20210000357U (en) * 2019-08-07 2021-02-17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ratus for plant cultiv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482Y1 (en) 2005-12-29 2006-03-28 한상임 Underwater Plant Cultivation Air Clean Humidifier
KR20120094404A (en) * 2011-02-16 2012-08-24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Hydro-cultivater
KR200484446Y1 (en) * 2016-05-03 2017-09-06 김다희 flower pot supporter
KR20210000357U (en) * 2019-08-07 2021-02-17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ratus for plant cultiv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307B1 (en) Passive water supplying type pot structure
US20130180172A1 (en) Rotating Plant Containing Module With Self-Contained Irrigation System
KR20130106913A (en)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KR101248076B1 (en) Flowerpot of drawer type for wick flood
KR101510463B1 (en) Multi layer flowerpot
KR101838545B1 (en) A Water Storage Apparatus for Vegetation Port
KR100792582B1 (en) Auto supply water a flowerpot
KR102550539B1 (en) Smar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humidifier
KR200214155Y1 (en) Pot
KR101669621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CN103931440B (en) A kind of indoor carbonized cork vertical-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212764B1 (en) Self water supplying flowerpot using capillary tube
KR102330902B1 (en) Natural circulation humidification pollen by osmotic pressure
KR102038523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KR101195578B1 (en) Pot apparatus with device for absorting and transporting mineral water
KR200461692Y1 (en) A jardiniere having humidify function
KR200320284Y1 (en) A mini farm
KR20170001235U (en) Potting basin and double pots for supplying liquid with air passage
KR102506275B1 (en) flowerpot having water supply device
JPH0549350A (en) Watering method for potted plant and planter used therefor
JP2014030377A (en) Cultivation device
KR200320283Y1 (en) A double flowerpot
CN204206832U (en) A kind of indoor carbonized cork vertical-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CN218007248U (en) Water storage flowerpot
KR20140005758U (en) Roadside Flowerpot using bottom irrig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