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141B1 -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141B1
KR102549141B1 KR1020180022220A KR20180022220A KR102549141B1 KR 102549141 B1 KR102549141 B1 KR 102549141B1 KR 1020180022220 A KR1020180022220 A KR 1020180022220A KR 20180022220 A KR20180022220 A KR 20180022220A KR 102549141 B1 KR102549141 B1 KR 10254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haft
drum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812A (ko
Inventor
최규민
장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41B1/ko
Priority to EP19158859.9A priority patent/EP3530800B1/en
Priority to US16/283,075 priority patent/US10889933B2/en
Publication of KR2019010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내부의 편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드럼의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의류 건조기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며 상기 후면판과 상기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유닛 및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베어링 유닛이 결합되는 베어링 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유닛은, 내륜 및 외륜을 포함하는 볼 베어링, 상기 외륜을 지지하며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어링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CLOTHES DR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의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가전 기기로서, 의류가 수용된 드럼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가운데 드럼의 내부로 열풍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드럼 내부의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의류 건조기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와, 회전하는 드럼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장치와,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내부로 피건조물을 투입한 후 의류 건조기를 가동시키면, 구동 장치의 동작에 의해 드럼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히터와 송풍 장치의 동작에 의해 드럼 내부로 열풍이 공급된다.
드럼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드럼 내부의 피건조물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거나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한다. 드럼 내부의 피건조물이 드럼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편향됨에 따라 드럼 또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럼의 회전축을 지지할 수 있는 베어링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내부의 편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드럼의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생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건조기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며 상기 후면판과 상기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유닛 및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베어링 유닛이 결합되는 베어링 홀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유닛은, 내륜 및 외륜을 포함하는 볼 베어링, 상기 외륜을 지지하며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어링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샤프트의 반경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판은 상기 베어링 유닛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이 결합할 때, 상기 베어링 유닛 또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이 삽입되도록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 또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베어링 유닛 또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결합홀 사이의 간격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부시(bus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판은, 상기 베어링 홀의 테두리가 상기 베어링 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컬링(curling)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링(curling)부의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간극(gap)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홀과, 상기 하우징 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하우징 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 및 상기 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의류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형성하고, 베어링 홀을 포함하는 후면판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샤프트를 포함하는 드럼과,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후면판의 내측에서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되는 베어링 유닛으로서, 상기 베어링 홀 내에서 이동 가능한 베어링 유닛 및 상기 베어링 유닛이 상기 베어링 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 유닛과 결합하는 베어링 브라켓으로서, 상기 후면판의 외측에서 상기 베어링 유닛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베어링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판은 상기 베어링 유닛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 및 상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판은, 상기 베어링 유닛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이 결합할 때, 상기 베어링 유닛 또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샤프트를 포함하는 드럼과,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베어링 유닛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캐비닛의 베어링 홀에 상기 베어링 유닛을 삽입하고, 상기 베어링 유닛에 상기 샤프트를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 유닛이 상기 베어링 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 유닛에 베어링 브라켓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서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하고,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서 상기 베어링 유닛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베어링 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과, 상기 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홈 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에 상기 베어링 브라켓을 결합할 때,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한 후,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체결홈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내부의 편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드럼의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생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드럼과 베어링 어셈블리 및 후면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드럼 및 베어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와 베어링 어셈블리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베어링 유닛과 베어링 브라켓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대략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은 상부판(11), 바닥판(12), 전면판(13), 좌측면판(미도시), 우측면판(14) 및 후면판(15)을 가질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판(13)에는 피건조물을 드럼(30) 내부로 인입하거나 피건조물을 드럼(30)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3a)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세탁물 투입구(51)는 투입구(13a)에 대응하도록 전방 지지 프레임(5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세탁물 투입구(51)는 투입구(13a)와 연통되도록 전방 지지 프레임(50)에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판(13)의 상부에는 의류 건조기(1)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20)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실링부재(52)와 접촉하도록 전방 지지 프레임(50)에 결합될 수 있다.
드럼(30)은 전면에 개구가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30)은 회전축(rotating axis)(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샤프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3)는 드럼(30)의 후면에 결합되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드럼(30)과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드럼(30)의 측벽(30-1)과 드럼(30)의 후벽(30-2)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의 측벽(30-1)과 후벽(30-2)이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므로, 후벽(30-2)의 회전 운동을 드럼(30)의 후방에서 지지하기 위해 샤프트(33) 및 베어링 어셈블리(100)가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샤프트(33)와 결합하여 샤프트(33)의 회전 운동을 지지하는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유닛(110)과 결합하여 베어링 유닛(110)이 후면판(1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베어링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3)는 드럼의 후벽(30-2)과 함께 회전하도록 드럼의 후벽(30-2)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샤프트(33)를 드럼의 후벽(30-2)에 고정하기 위해 드럼의 후벽(30-2)에는 플랜지 샤프트(34)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의 후벽(30-2)에는 흡기구(36)가 형성될 수 있고, 흡기구(36)를 통해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고온 건조한 공기가 드럼(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의 회전 시에 피건조물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리프터(35)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피건조물은 리프터(35)에 의해 상승하였다가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피건조물의 상승 또는 낙하로 인해 드럼(30) 내부에는 편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드럼(30) 내부의 편하중으로 인해 드럼(30)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드럼(30)의 회전축(31)이 전(全)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全)방향으로의 이동이란, 회전축(31)의 기울기가 변함없이 이동하는 것과, 회전축(31)의 기울기가 변하는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31)의 기울기가 변하지 않는 이동이란, 회전축(31)이 샤프트(33)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회전축(31)이 샤프트(33)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소정의 범위란, 대략 수 mm 부터 수십 mm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샤프트와 결합되는 베어링 유닛이 후면판에 고정되는 경우, 드럼 내부의 편하중으로 인해 샤프트가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베어링 유닛이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없게 고정이 되면, 드럼 내부의 편하중을 샤프트 또는 베어링 유닛이 전달받게 되고, 이로 인해 샤프트 또는 베어링 유닛이 손상될 수 있다. 즉, 베어링 유닛 또는 샤프트의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다.
기존에는 샤프트의 소정 범위 내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구(球)형 베어링 유닛이 사용되었다. 구형 베어링 유닛이란, 베어링 하우징의 내면과, 베어링의 외면이 각각 구(球)의 일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베어링 유닛을 가리킬 수 있다. 이러한 구형 베어링 유닛은, 베어링과 베어링 하우징의 형상으로 인해, 베어링과 결합한 샤프트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형 베어링 유닛은, 샤프트가 회전 이동하는 것을 지지할 뿐, 샤프트가 병진 이동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는 못한다. 이 때, 샤프트의 회전 이동은 상기한 샤프트의 기울기가 변하는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의 병진 이동은 상기한 샤프트의 기울기가 변하지 않는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병진 이동은, 샤프트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이동과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은,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리킬 수 있다. 샤프트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리킬 수 있다.
드럼(30)의 외주면에는 드럼(30)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롤러(32)가 마련될 수 있다. 롤러(32)는 드럼(3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롤러(32)의 배치 및 개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의류 건조기(1)는 투입구(13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회동 가능하도록 캐비닛(10)의 전면판(13)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52)는 드럼(30) 및 전방 지지 프레임(5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드럼(30) 및 전방 지지 프레임(50) 사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의류 건조기(1)는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70)은,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71), 구동모터(71)의 동력을 드럼(30)에 전달하기 위한 풀리(72) 및 벨트(73)를 포함할 수 있다. 풀리(72)는 구동모터(71)와 연결된 회전 샤프트(74)에 연결된다. 구동모터(71)에 의해 회전 샤프트(74)가 회전하면 회전 샤프트(74)와 함께 풀리(72)도 회전할 수 있다. 벨트(73)는 풀리(72)의 외면과 드럼(30)의 외면에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71)의 구동력에 의해 벨트(73)가 회전하면 벨트(73)와 함께 드럼(30)이 회전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는 드럼(3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유닛(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 공급유닛(80)은,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81)와, 히터(81)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30) 내부로 유입되도록 히터(8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기덕트(82)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덕트(82)는, 드럼(3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흡기덕트(82a)와, 드럼(30)의 후방에 설치되어 흡기구(36) 및 하부 흡기덕트(82a)를 연결하는 후방 흡기덕트(82b)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81)는, 도 2에서 하부 흡기덕트(82a)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히터(81)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히터(81)는 후방 흡기덕트(82b)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의류 건조기(1)는 드럼(30) 내부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열풍 배출유닛(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풍 공급유닛(80)에 의해 드럼(30) 내로 고온 건조한 공기가 공급되고, 고온 건조한 공기에 의해 드럼(30) 내부의 피건조물이 건조될 수 있다.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되고, 드럼(30)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열풍 배출유닛(90)을 통해 드럼(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열풍 배출유닛(90)은, 드럼(30) 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팬(91)과, 팬(91)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팬(9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기덕트(92)를 포함할 수 있다. 팬(91)은 송풍케이스(9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배기덕트(92)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열교환기(미도시)로 안내되어 고온 다습한 공기 내에 있는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히터(81)에 의해 가열되어 흡기덕트(82)를 통해 드럼(30) 내부로 다시 유입되어 피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 배출유닛(90)은, 전방 지지 프레임(50)의 하측에 설치되어 일 측이 드럼(30)의 내부와 연통하고, 타 측이 송풍케이스(93)와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필터덕트(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열풍 배출유닛(90)은, 드럼(30)의 하 측에 설치되어 일 측이 드럼(30)의 내부와 연통하고, 타 측이 송풍케이스(93)와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필터덕트(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덕트(96)에는, 필터덕트(96)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장치(97)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장치(97)는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캐비닛(10)에 설치될 수 있다.
드럼(30) 내의 피건조물을 건조시킨 공기는 필터덕트(96)로 토출될 수 있다. 필터덕트(96)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장치(97)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 필터덕트(96)의 유입부에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 그릴(98)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드럼과 베어링 어셈블리 및 후면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은 후면판(15)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3)가 베어링 어셈블리(100)와 결합하고, 베어링 어셈블리(100)가 후면판(15)에 끼워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럼(30)이 후면판(15)에 결합될 수 있다.
후면판(15)은 베어링 유닛(110)이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베어링 홀(16)과, 베어링 브라켓(120)과 베어링 유닛(110)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결합홀(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흡기구(3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개수와 형상은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와 베어링 어셈블리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3)는 플랜지 샤프트(34)에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 샤프트(34)는 드럼의 후벽(30-2)에 복수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33)는 베어링 유닛(110)과 결합할 수 있다. 베어링 유닛(110)은 샤프트(33)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 유닛(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샤프트(33)와 베어링 유닛(110)을 결합하기 위해 마련되는 너트(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너트(151)는 베어링 유닛(110)을 관통한 샤프트(33)의 일단과 나사 결합하여 샤프트(33)가 베어링 유닛(110)과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샤프트(33)는 나사부(33-1, 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샤프트와 베어링 유닛의 결합 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너트와 나사부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법을 통해 샤프트와 베어링 유닛의 결합이 가능하다.
베어링 브라켓(120)은 베어링 유닛(110)과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 브라켓(120)은 베어링 유닛(110)과 결합하여 베어링 유닛(110)이 베어링 브라켓(1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어링 브라켓(1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15)은 베어링 홀(16)과 결합홀(17)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유닛(110)은 샤프트(33)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111)과 상기 베어링(111)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베어링 하우징(11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111)은 볼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볼 베어링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 베어링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베어링(111)은 샤프트(33)와 결합하여 샤프트(33)의 회전 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111)은 내륜(112)과 외륜(114) 및 볼(ball)(1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륜(112)은 샤프트(33)와 상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륜(112)과 샤프트(33)는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럼(30)은 벨트(73)에 의해 구동모터(71)의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이 때, 드럼(30)은 샤프트(33)에 의해 동력을 전달 받지 않으므로 내륜(112)과 샤프트(33)가 상대 회전하더라도 드럼(30)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내륜(112)과 샤프트(33)의 상대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드럼(30)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내륜(112)과 샤프트(33)는 헐거운 끼워 맞춤(clearance fit)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베어링 하우징(115)은 외륜(114)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15)은 베어링 홀(16)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베어링 하우징(115)과 베어링 홀(16)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내륜(112)과 외륜(114) 사이에는 복수의 볼(113)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볼(113)은 샤프트(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볼(113)은 외륜(112)과 내륜(114)이 상대 회전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복수의 볼(113)과 내륜(112) 및 외륜(114) 사이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윤활제는 복수의 볼(113)과 내륜(112) 및 외륜(114)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복수의 볼(113)과 내륜(112)이 외륜(114) 내측에서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15)은 베어링(111)을 수용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15)은 중공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몸통부(116)와, 몸통부(116)의 일단에 마련되는 플랜지부(118, 도 8참조)와, 플랜지부(118)의 일측으로부터 몸통부(11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결합부(119,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116)의 내측에는 베어링(111)이 수용될 수 있다. 몸통부(116)의 외경은 베어링 홀(16)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통부(116)가 베어링 홀(16)에 끼워질 수 있고, 나아가, 베어링 홀(16)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베어링 유닛(110)은 후면판(15)의 일 측으로부터 후면판(15)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베어링 유닛(110)은 후면판(15)의 내측으로부터 베어링 홀(16) 및 결합홀(17)에 끼워질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의 몸통부(116)는 베어링 홀(16)에 끼워질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의 제1결합부(119)는 결합홀(17)에 끼워질 수 있다.
다만, 베어링 유닛(110)이 후면판(15)에 축 방향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베어링 유닛(110)이 후면판(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브라켓(120)이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 브라켓(120)은 후면판(15)의 타 측 또는 후면판(15)의 외측으로부터 베어링 유닛(110)과 결합할 수 있다. 베어링 브라켓(120)이 베어링 유닛(110)과 결합하면, 베어링 유닛(110)은 후면판(1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브라켓(120)의 결합 방법은 후술한다.
한편, 후면판(15)은 베어링 홀(16)의 테두리가 베어링 홀(16)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컬링(curling)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컬링부(18)는 베어링 홀(16) 테두리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 내지 도 7에서, 컬링부(18)는 상부 컬링부(18-1)와, 하부 컬링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컬링부(18)는 베어링 홀(16)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 하우징의 몸통부(116)와 베어링 홀(16) 사이에는 제1방향으로 제1간극(gap)(1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의 플랜지부(118)와 후면판(15) 사이에는 제2방향으로 제2간극(14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방향은 샤프트(33)의 반경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방향은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샤프트(33)의 축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축 방향은 의류 건조기(1)의 전후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간극(130)은 몸통부(116)의 상단과 상부 컬링부(18-1)의 하단 사이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이 회전하지 않을 때, 드럼(30)의 자중에 의해 몸통부(116)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몸통부(116)가 하부 컬링부(18-2)의 상단과 접촉하게 된다. 제1간극(130)은 베어링 홀(16)과 몸통부(116)의 외경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100)의 제1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 베어링 홀(16)을 크게 하거나 몸통부(116)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제2간극(140)은 베어링 브라켓(120)과 컬링부(18)의 우측단 사이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우측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의류 건조기(1)의 후방을 가리킬 수 있다. 제2간극(140)은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브라켓(120) 사이의 거리와, 컬링부(18)의 샤프트(33) 축 방향으로의 길이(19)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100)의 제2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브라켓(120)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거나 컬링부(18)의 제2방향으로의 길이(19)를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제1방향 및/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16)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컬링부(18-1)의 하단과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몸통부(116)의 하단과 하부 컬링부(18-2) 사이에 제1간극(1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간극(141)은 후면판(15)과 베어링 하우징(115)의 플랜지부(118)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베어링 어셈블리(100)가 좌측 방향 또는 의류 건조기의 전방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샤프트(33)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간극(132, 133)은 몸통부(116)와 상부 컬링부(18-1) 사이 및 몸통부(116)와 하부 컬링부(18-2)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간극(142, 143)은 후면판(15)과 플랜지부(119) 사이 및 후면판(15)과 베어링 브라켓(120)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회전에 따라, 임의의 한 시점에서는 베어링 어셈블리(100)와 후면판(15)이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115)의 제1결합부(119)에는 부시(bush)(1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제1결합부(119)와 결합홀(17) 사이의 간격을 줄여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부시(150)는 결합홀(17)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드럼(30)이 회전할 때, 샤프트(33) 및 베어링 어셈블리(100)가 상하 방향(즉, 샤프트의 반경 방향) 및/또는 전후 방향(즉,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소정 범위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값이다.
드럼(30) 내부의 편하중은 샤프트(33) 및 베어링 어셈블리(100)를 이동하게 한다. 기존과 달리, 본 발명의 샤프트(33) 및 베어링 어셈블리(100)는 후면판(15)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샤프트(33) 및 베어링(111)에 가해지는 충격이 대폭 줄어들 수 있다. 샤프트(33) 및 베어링(111)에 가해지는 충격이 줄어들면, 베어링(111) 및 샤프트(33)의 손상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고, 이는 내구성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베어링 유닛과 베어링 브라켓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어링 하우징(115)의 몸통부(116)에는 결합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7)은 몸통부(116)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117)은 몸통부(116)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117)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결합홈(117)의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결합홈(117)은 후술할 베어링 브라켓(120)의 결합돌기(123)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117-1)과, 가이드홈(117-1)에 의해 가이드된 결합돌기(123)가 샤프트(33)의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락킹홈(117-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17-1)은 몸통부(116)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락킹홈(117-2)은 몸통부(116)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베어링 브라켓(120)은 중공(122)을 포함하는 링(ring) 형태의 브라켓 바디(121)와, 중공(122)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123)와, 브라켓 바디(121)의 일 측으로부터 브라켓 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제2결합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122)에는 베어링(111) 및 몸통부(116)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홈(117-1)과 결합돌기(123)의 위치를 대응시켜야 중공(122)에 베어링(111) 및 몸통부(116)가 삽입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중공(122)에 베어링(111) 및 몸통부(116)가 삽입될 수 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123)의 개수는 결합홈(117)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117)과 마찬가지로, 결합돌기(123)는 4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브라켓(120)을 베어링 유닛(110)에 결합할 때, 결합돌기(123)와 가이드홈(117-1)의 위치를 대응시킨 후,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베어링 브라켓(120)을 삽입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베어링 브라켓(120)이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베어링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7-1)의 끝단까지 결합돌기(123)가 이동한 후, 베어링 브라켓(120)을 회전시킴으로서 베어링 브라켓(120)과 베어링 유닛(110)이 락킹(locking)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돌기(123)를 락킹홈(117-2)의 일단으로부터 락킹홈(117-2)의 타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브라켓(120)이 락킹될 수 있다. 이 때에는, 베어링 브라켓(120)이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베어링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다만, 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도 9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이 때에는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힘을 받아 베어링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결합부(119)와 제2결합부(124)의 위치를 대응시킨 후,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119)와 제2결합부(12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119)와 제2결합부(124)가 결합되면, 샤프트의 원주 방향 및/또는 축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베어링 브라켓(120)이 베어링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건조기 제조방법에 따르면, 후면판(15)에 형성되는 베어링 홀(16)에 베어링 유닛(110)을 삽입하고, 베어링 유닛(110)에 샤프트(33)를 결합하고, 베어링 유닛(110)이 베어링 홀(16)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베어링 유닛(110)에 베어링 브라켓(120)을 결합할 수 있다.
베어링 홀(16)에 베어링 유닛(110)을 삽입할 때, 베어링 유닛(110)은 캐비닛(10)의 내측으로부터 베어링 홀(16)에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 홀(16)에 베어링 유닛(110)이 삽입되었을 때, 샤프트(33)와 베어링 유닛(110)을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샤프트(33)와 베어링 유닛(110)을 결합한 후, 베어링 유닛(110)을 베어링 홀(16)에 삽입할 수도 있다. 샤프트(33)가 베어링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151)를 샤프트(33)에 나사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샤프트(33)와 베어링 유닛(110)을 결합할 수 있다.
베어링 브라켓(120)과 베어링 유닛(110)을 결합할 때, 베어링 브라켓(120)은 캐비닛(10)의 외측으로부터 베어링 유닛(110)과 결합할 수 있다. 후면판(15)은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브라켓(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후면판(15)의 내측에는 베어링 유닛(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고, 후면판(15)의 외측에는 베어링 브라켓(12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 유닛(110)은 베어링 홀(16)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어링 홀(16)이 베어링 유닛(110)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하우징(115)의 몸통부(116)가 베어링 홀(16)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때, 몸통부(116)의 외경이 베어링 홀(16)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어링 유닛(110)은 베어링 홀(16) 내에서 몸통부(116)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어링 유닛(110)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샤프트(33) 및 베어링 유닛(110)의 손상 가능성은 낮아지고, 내구성은 향상될 수 있다.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브라켓(120)을 결합할 때, 베어링 브라켓(120)의 결합돌기(123)를 베어링 유닛(110)의 결합홈(117)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23)를 가이드홈(117-1)에 삽입하여 몸통부(116)의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결합돌기(123)를 회전시켜 락킹홈(117-2)에 삽입하여 베어링 유닛(110)과 베어링 브라켓(120)을 결합할 수 있다. 베어링 브라켓(12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1결합부(119)와 제2결합부(124)를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의류 건조기 10 : 캐비닛
15 : 후면판 16 : 베어링 홀
17 : 결합홀 18 : 컬링부
30 : 드럼 33 : 샤프트
100 : 베어링 어셈블리 110 : 베어링 유닛
111 : 베어링 115 : 베어링 하우징
120 : 베어링 브라켓 130, 131, 132, 133 : 제1간극
140, 141, 142, 143: 제2간극 150 : 부시
151 : 너트

Claims (20)

  1. 베어링 홀이 마련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벽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및
    상기 후면판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내륜과, 상기 내륜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륜을 포함하는 볼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되고, 상기 외륜을 수용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후면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후면판의 상기 베어링 홀을 통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어링 브라켓; 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이 결합할 때,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 삽입되도록 상기 후면판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결합홀 사이의 간격을 줄이도록 마련되는 부시(bush)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상기 베어링 홀의 테두리가 절곡되어 마련되는 컬링(curling)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curling)부의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축 방향으로의 상기 컬링부와 상기 베어링 브라켓 사이의 간극(gap)보다 작게 마련되는 의류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의류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홀과,
    상기 하우징 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하우징 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 및 상기 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1. 베어링 홀이 마련되는 후면판을 갖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샤프트를 포함하는 드럼;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후면판의 내측에서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되는 베어링으로서, 상기 베어링 홀 내에서 이동 가능한 베어링 ; 및
    상기 베어링과 상기 후면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후면판의 상기 베어링 홀을 통해 상기 베어링에 결합되는 베어링 브라켓; 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2. 삭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베어링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 및 상기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 건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상기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이 결합할 때, 상기 베어링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베어링 홀이 마련되는 후면판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후벽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의 상기 베어링 홀에 상기 베어링을 삽입하고,
    상기 베어링에 상기 샤프트를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과 상기 후면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후면판과 상기 베어링 홀을 통해 베어링 브라켓을 상기 베어링에 결합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서 상기 베어링 홀에 삽입하고,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서 상기 베어링과 결합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의류 건조기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과, 상기 샤프트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홈 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에 상기 베어링 브라켓을 결합할 때,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한 후, 상기 결합돌기를 상기 체결홈에 삽입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조 방법.
KR1020180022220A 2018-02-23 2018-02-23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KR102549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20A KR102549141B1 (ko) 2018-02-23 2018-02-23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EP19158859.9A EP3530800B1 (en) 2018-02-23 2019-02-22 Clothes dr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othes dryer
US16/283,075 US10889933B2 (en) 2018-02-23 2019-02-22 Clothes dr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lothes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220A KR102549141B1 (ko) 2018-02-23 2018-02-23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812A KR20190101812A (ko) 2019-09-02
KR102549141B1 true KR102549141B1 (ko) 2023-06-30

Family

ID=6552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220A KR102549141B1 (ko) 2018-02-23 2018-02-23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89933B2 (ko)
EP (1) EP3530800B1 (ko)
KR (1) KR102549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1286B (zh) * 2017-06-29 2023-05-30 佛山市威灵洗涤电机制造有限公司 传动件安装结构及家用电器
KR102549141B1 (ko) * 2018-02-23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KR102640859B1 (ko) * 2018-11-09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베어링 조립체 및 이를 갖춘 의류 건조기
CN113403818A (zh) * 2020-03-16 2021-09-1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干衣设备
AU2021335817A1 (en) * 2020-09-04 2023-03-3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2217093A1 (en) * 2021-02-08 2023-09-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ratus
KR20220126427A (ko) * 2021-03-09 2022-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26429A (ko) * 2021-03-09 2022-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41A (ko) * 2021-04-21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39A (ko) * 2021-04-21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841A (ko) * 2021-11-02 202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3566A (en) 1967-03-08 1970-05-26 Frank Whitney Shacklock Tumbler driers
US5463883A (en) 1994-11-22 1995-11-07 Pellerin Milnor Corporation Textile treating machine
JP2010148957A (ja) 2004-07-20 2010-07-08 Lg Electronics Inc ドラム洗濯機及びそのベアリングハウジング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7238A (en) * 1947-08-12 1951-04-03 Tremblay Gerard Drying apparatus
US3301024A (en) * 1965-07-12 1967-01-31 Maytag Co Laundry apparatus
JPS576698A (en) * 1980-06-16 1982-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iving device for rotating drum type drier
US4756640A (en) * 1983-08-19 1988-07-12 Gkn Automotive Components Inc. Axial retaining member
US5203097A (en) * 1990-08-21 1993-04-20 Blair Roy D Athletic shoe outer sole for improved traction
US5105636A (en) * 1991-01-03 1992-04-2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Bearing and seal system for fabric treatment machines
US5203093A (en) * 1991-05-13 1993-04-20 Emerson Electric Co. Plug-in hub ring
US5133617A (en) * 1991-06-27 1992-07-28 Maytag Corporation Motor mount assembly
US5548908A (en) * 1995-06-13 1996-08-2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Bulkhead and expanded drum without rollers
JPH0994390A (ja) * 1995-09-29 1997-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20040023999A (ko) * 2002-09-12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모터축 구조
KR100480927B1 (ko) * 2003-08-12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모터 장착구조
KR20050038494A (ko) 2003-10-22 2005-04-27 (주)하이텍코리아 의류건조기
US7523564B2 (en) 2005-05-23 2009-04-28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drum supporting apparatus thereof
KR100710375B1 (ko) 2006-05-10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구동부 구조
KR20100080471A (ko) * 2008-12-31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8627580B2 (en) * 2009-09-29 2014-01-14 Lg Electronics Inc. Dryer
KR101706663B1 (ko) * 2013-02-20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1639022B1 (ko) 2015-01-26 2016-07-13 주식회사 아모텍 드럼 구동장치,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및 구동방법
US10487432B2 (en) * 2015-12-01 2019-11-2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102549141B1 (ko) * 2018-02-23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3566A (en) 1967-03-08 1970-05-26 Frank Whitney Shacklock Tumbler driers
US5463883A (en) 1994-11-22 1995-11-07 Pellerin Milnor Corporation Textile treating machine
JP2010148957A (ja) 2004-07-20 2010-07-08 Lg Electronics Inc ドラム洗濯機及びそのベアリングハウジング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0800B1 (en) 2021-02-17
KR20190101812A (ko) 2019-09-02
EP3530800A1 (en) 2019-08-28
US10889933B2 (en) 2021-01-12
US20190264377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141B1 (ko)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기의 제조방법
US11396724B2 (en) Bearing assembly and clothes dryer having the same
US9863085B2 (en) Laundry machine
US7980103B2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10098382A (ko) 건조기
EP3351677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7562467B2 (en) Dryer, and motor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JP2005137891A (ja) ローラ及びこれを備えた衣類乾燥機
US20070089316A1 (en) Clothing drying machine
EP1507036A2 (en) Hinge apparatus of drum for clothing drier
US7596884B2 (en) Clothing dryer
KR20170081938A (ko) 의류처리장치
EP3485083B1 (en) Clothes dryer
AU2016206404B2 (en) Washing and/or drying appliance
US2015018433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US9605901B2 (en) Clothing dryer
US11208752B2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3964627B1 (en) Laundry dryer comprising a cooling duct for the motor of the drum
US20220356624A1 (en) Combination washing and drying appliance having an airflow system contained within an outer tub
EP2843113A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KR101139256B1 (ko) 롤러 및 이를 갖춘 의류건조기
KR100607271B1 (ko) 건조기의 저널 베어링구조
KR20050038494A (ko) 의류건조기
KR20090030986A (ko) 세탁물 건조장치
KR20130003140A (ko) 드럼 건조기의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