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084B1 - 헤드 스파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스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084B1
KR102549084B1 KR1020230049381A KR20230049381A KR102549084B1 KR 102549084 B1 KR102549084 B1 KR 102549084B1 KR 1020230049381 A KR1020230049381 A KR 1020230049381A KR 20230049381 A KR20230049381 A KR 20230049381A KR 102549084 B1 KR102549084 B1 KR 10254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head
fluid
ho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홍
Original Assignee
(주)컴헤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헤어 filed Critical (주)컴헤어
Priority to KR1020230049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95Arrangements for vary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1Inlet to the bath
    • A61H33/6021Nozzles
    • A61H33/6052Having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8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두부에 안정적으로 유체(예컨데, 온수(溫水))를 분사할 수 있는 헤드 스파 장치를 개시한다.
헤스 스파 장치는 개수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두부로 유체를 분사하는 헤드 스파 장치로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공급부에 결합되며 유체가 그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로와 유입로에 연통되고 유체가 그 외부로 배출되는 제1 이동로와 유입로에 연통되고 제1 이동로와 교차하게 연장되어 개수대에 마련된 샤워기에 연결되는 제2 이동로와 제1 이동로 혹은 제2 이동로를 유입로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경로변경부, 제1 이동로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유체가 이동 가능한 호스부, 호스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한다. 분사부는 그 단부를 향하는 일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유체가 분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헤드 스파 장치{Head spa device}
본 발명은 헤드 스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두부(예컨데, 두피)로 유체(예컨데, 온수)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두부를 마사지할 수 있는 헤드 스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파(SPA)란, 온천을 뜻하는 것으로 목욕시설과 미용시설, 심신 안정을 위한 다양한 장치 등에 적용된다. 최근에는 스파가 사용자의 두부(예컨데, 두피) 테라피 등에 적용되며, 사용자의 말초혈관을 확장시키고 혈류촉진을 유도하여 피부의 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진통, 보온작용, 노폐물 제거를 통한 피로회복 등에 효능이 있다.
이러한 스파 테라피는 단순히 물에 몸을 담그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압 및 수류를 만드는 각종 장비를 사용하여 건강증진, 의료적 처치의 병행요법, 비만완화 및 스트레스 해소의 목적으로 테라피 요법 중에서는 의학적 치료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스파 테라피가 미용실의 샴푸체어 등에 적용(즉, 헤드 스파 테라피 장치)되어, 사용자가 헤어 관리를 받은 후, 피로해진 두피를 힐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종래의 헤드 스파 테라피 장치는 복수의 노즐을 통해 온수를 복수의 얇은 물줄기 형태로 사용자의 두부로 분사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스파 테라피 장치는 복수의 얇은 물줄기 형태로 사용자에게 분사함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부로 물이 비산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산되는 물방울들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파 테라피 장치는 사용자의 두부로 분사하는 위치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5-0080898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에 안정적으로 유체(예컨데, 온수(溫水))를 분사할 수 있는 헤드 스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스파 장치는 개수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두부로 유체를 분사하는 헤드 스파 장치로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가 그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에 연통되고 상기 유체가 그 외부로 배출되는 제1 이동로와, 상기 유입로에 연통되고 상기 제1 이동로와 교차하게 연장되어 상기 개수대에 마련된 샤워기에 연결되는 제2 이동로와, 상기 제1 이동로 혹은 상기 제2 이동로를 상기 유입로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경로변경부; 상기 제1 이동로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유체가 이동 가능한 호스부; 상기 호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향해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그 단부를 향하는 일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호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그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단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사헤드; 상기 분사헤드로 유입된 상기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사헤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압조절부재; 상기 분사헤드의 유입구와 상기 수압조절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헤드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히팅부재; 상기 분사헤드의 배출구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분사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조절부재; 상기 분사헤드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顔面部)를 감지하는 촬영부재; 및 상기 분사헤드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안면부를 향하여 복수개의 파장 범위의 광을 조사 가능한 광조사모듈; 상기 분사헤드 중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사헤드에서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유체의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보조발광부재; 상기 촬영부재와 상기 히팅부재, 복수의 상기 조절부재, 상기 광조사모듈 및 상기 보조발광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부재와 상기 히팅부재, 복수의 상기 조절부재, 상기 광조사모듈 및 상기 보조발광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분사헤드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절부재모터; 상기 조절부재모터에 동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사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고 상기 폭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헤드의 배출구의 상기 두께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그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중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절플레이트는, 그 연장된 최대 길이가 상기 분사헤드의 배출구의 폭방향 길이의 1/3 초과 내지 1/2 미만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헤드는, 상기 호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를 가지는 제1 분사헤드바디; 및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분사헤드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출구를 가지는 제2 분사헤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조절부재는, 상기 제1 분사헤드바디와 상기 제2 분사헤드바디의 경계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사헤드바디와 상기 제2 분사헤드바디의 경계부분의 단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수압조절플레이트;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수압조절플레이트를 틸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압조절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사헤드를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분사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핀; 상기 수압조절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분사헤드바디에서 상기 제2 분사헤드바디를 향하여 그 직경이 점차 증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관;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부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표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표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히팅부재가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스부는, 그 일측이 상기 제1 이동로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분사헤드에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주름을 가지는 자바라호스로 형성되고, 상기 개수대에 설치되는 호스부재; 상기 샤워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관통된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거치부재의 내벽체에서 상기 거치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거치공간에 배치된 상기 샤워기를 향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재의 내벽체 설치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히팅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모듈은, 복수개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발광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발광체에 연결되는 열방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체는, 적색 또는 심적색(Deep Red)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출력하는 광의 초점을 모아 광을 한점으로 모으기 위한 광모음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610㎚ 내지 620㎚의 파장 범위인 제1 웨이브렝스(wavelength)를 출력하는 제1 발광다이오드; 620㎚ 내지 630㎚의 파장 범위인 제2 웨이브렝스를 출력하는 제2 발광다이오드; 및 650㎚ 내지 680㎚의 파장 범위인 제3 웨이브렝스를 출력하는 제3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알루미늄 피시비(Aluminum PCB)의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알루미늄 피시비에 인가되는 전류를 구획 별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출력하는 파장의 광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광체의 출력을 20W 내지 60W의 고출력 광원으로 제어하며, 상기 열방출기는,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열방출기는, 원기둥 형태의 열방출핀을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발광체의 출력에 따른 전류량에 따라 방열핀 밀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열방출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발광체는,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3 발광다이오드가, 각각 3개씩 마련된 하나의 세트로 사각형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3 발광다이오드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3 발광다이오드의 개수비가, 1:2:3의 개수비로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부재가 촬영한 영상을 복수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변환부재; 상기 변환부재로부터 변환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를 검출하고, 상기 안면부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을 추정하며, 상기 감정에 기초하여 머신러닝 혹은 딥러닝을 이용해 사용자의 감정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감정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를 검출하는 안면부 검출기; 상기 안면부 검출기에 연결되고, 상기 안면부의 표정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을 추정하는 감정 예측기; 상기 감정 예측기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에 기초하여 머신러닝 혹은 딥러닝을 통해 상기 감정 리스트를 생성하는 감정 리스트 생성기; 및 상기 안면부 검출기와 상기 감정 예측기와 상기 감정 리스트 생성기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재를 제어하는 전원공급부재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부 검출기는,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안면부을 검출하고, 상기 감정 예측기는, 상기 안면 검출기에서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 표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미간의 위치 차이 및 상기 사용자의 입꼬리의 위치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한 정보를 기반으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통해 상기 감정을 추정하며, 상기 감정 리스트는, 뜨거움(hot), 차가움(cold), 행복(happy), 무감정(neutral)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재 제어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재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이 뜨거움일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재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이 차가움일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재의 전원 공급 수치를 최대치로 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이 행복일 경우, 공급되는 전원 공급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경로변경부는, 상기 유입로와 상기 제1 이동로와 상기 제2 이동로와 상기 조절밸브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경로변경부바디; 상기 경로변경부바디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호스부에 체결 가능한 제1 체결부재; 상기 경로변경부바디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경로변경부바디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부에 연결 가능한 제2 체결부재; 상기 제2 체결부재를 자전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연결되는 결합조절부재; 및 상기 공급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 외주면의 수분 양에 따른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체; 상기 감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체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값 초과일 경우,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판단체; 상기 판단체에 연결되고, 상기 판단체가 상기 공급부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결합조절부재를 구동시켜 상기 제2 체결부재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조절부재와 전자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제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그 내부가 관통되고, 그 일단의 직경이 그 타단이 직경보다 짧도록 그 일단이 내측으로 절곡되며, 그 타단의 내주면에 상기 공급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체결부재바디; 일단이 상기 제2 체결부재바디의 절곡된 내측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경로변경부바디의 절곡된 단부에 밀착되며, 수팽창지수재로 형성되는 밀폐링; 상기 제2 체결부재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가대; 및 상기 결합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바디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체결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조절부재는, 상기 체결가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조절부재바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결합조절부재모터와, 일측이 상기 체결랙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타측이 상기 결합조절부재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피니언기어를 구비하는 결합조절이동체; 및 상기 결합조절부재바디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가대는,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체결가대를 따라 연장되는 체결홈을 가지며, 상기 결합조절부재바디는, 상기 체결홈에 맞물리게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어체는, 상기 제2 체결부재의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체결부재바디에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결합조절부재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체는,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값으로 상기 결합조절부재모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두부에 유체(즉, 온수)가 배출되는 위치를 유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더 최적의 두피 테라피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표정 변화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잇따. 이에,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유체 온도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최적의 두피 테라피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누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누수된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유체가 끊기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스파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절플레이트가 전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절플레이트가 회전되며 분사되는 위치 및 분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조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 및 가압부재가 작동하는 모습과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변경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부재와 결합조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호스부재와 제2 호스부재가 탈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재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재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스파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절플레이트가 전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절플레이트가 회전되며 분사되는 위치 및 분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조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재 및 가압부재가 작동하는 모습과 A-A'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변경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부재와 결합조절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호스부재와 제2 호스부재가 탈착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재가 서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재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스파 장치(10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스파 장치(100)는 개수대(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두부로 유체를 분사하는 장치로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110), 공급부(110)에 결합되며 유체가 그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로(121a)와 유입로(121a)에 연통되고 유체가 그 외부로 배출되는 제1 이동로(121b)와 유입로에 연통되고 제1 이동로(121b)와 교차하게 연장되어 개수대(10)에 마련된 샤워기(s)가 연결되는 제2 이동로(121c)와 제1 이동로(121b) 혹은 제2 이동로(121c)를 유입로(121a)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조절밸브(121d)를 구비하는 경로변경부(120), 제1 이동로(121b)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유체가 이동 가능한 호스부(130), 호스부(13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향해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사부(140)는 그 단부를 향하는 일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유체가 분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헤드 스파 장치(100)는 후술되는 촬영부재(145)를 통해 사용자의 표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표정 변화에 기초하여 후술되는 히팅부재(143)가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전원공급부재(148)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한다.
공급부(110)는 유체가 저장된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며 후술되는 경로변경부(120)와 호스부(130)와 분사부(140)로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부(110)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로변경부(120)는 공급부(110)에 결합되며 유체가 그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로(121a)와, 유입로(121a)에 연통되고 유체가 그 외부로 배출되는 제1 이동로(121b)와, 유입로에 연통되고 제1 이동로(121b)와 교차하게 연장되어 개수대(10)에 마련된 샤워기(s)가 연결되는 제2 이동로(121c)와, 제1 이동로(121b) 혹은 제2 이동로(121c)를 유입로(121a)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조절밸브(121d)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경로변경부(120)의 구조가 예컨데, T-Valve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경로변경부(120)는 경로변경부바디(121), 제1 체결부재(122), 제2 체결부재(123), 결합조절부재(124), 감지체(125), 판단체(126) 및 제어체(127)를 포함한다.
경로변경부바디(121)는 유입로(121a)와 제1 이동로(121b)와 제2 이동로(121c)와 조절밸브(121d)를 그 내부에 구비한다. 조절밸브(121d)는 경로변경부바디(121)에 결합된 조절레버(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경로변경부바디(121)는 제2 체결부재(123)를 가압할 수 있는 스프링(P)을 구비할 수 잇다. 스프링(P)은 경로변경부바디(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그 일단이 경로변경부바디(121)에 결합된 지지체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제2 체결부재(1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스프링(P)가 일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제2 체결부재(123)를 경로변경부바디(121)의 타단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22)는 경로변경부바디(121)의 일단에 고정되고, 호스부(130)에 체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체결부재(122)는 제1 체결부재 실링체(122a)를 구비한다.
제2 체결부재(123)는 경로변경부바디(121)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경로변경부바디(121)의 타단에 결합되고, 공급부에 연결 가능하다. 제2 체결부재(123)는 제2 체결부재바디(123a), 밀폐링(123b), 체결가대(123c) 및 체결랙기어(123d)를 포함한다.
제2 체결부재바디(123a)는 일방향을 따라 그 내부가 관통되고, 그 일단의 직경이 그 타단이 직경보다 짧도록 그 일단이 내측으로 절곡되며, 그 타단의 내주면에 공급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밀폐링(123b)은 일단이 제2 체결부재바디(123a)의 절곡된 내측에 밀착되고, 타단이 경로변경부바디(121)의 절곡된 단부에 밀착되며, 수팽창지수재로 형성된다.
체결가대(123c)는 제2 체결부재바디(123a)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체결가대(123c)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일면과 타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체결가대(123c)를 따라 연장되는 체결홈(123ca)을 가진다.
체결랙기어(123d)는 결합조절부재(124)에 연결되고 제2 체결부재바디(123a)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결합조절부재(124)는 제2 체결부재(123)를 자전시켜 제2 체결부재(123)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2 체결부재(123)에 연결된다. 결합조절부재(124)는 결합조절부재바디(124a), 결합조절이동체(124b), 지지체(미도시)를 포함한다.
결합조절부재바디(124a)는 체결가대(123c)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조절부재바디(124a)는 체결홈(123ca)에 맞물리게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124aa)를 가진다.
결합조절이동체(124b)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결합조절부재모터(124ba)와, 일측이 체결랙기어(123d)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타측이 결합조절부재모터(124b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피니언기어(124bb)를 구비한다.
지지체는 결합조절부재바디(124a)를 지지한다.
감지체(125)는 공급부(1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공급부(110) 외주면의 수분 양에 따른 습도를 측정한다.
판단체(126)는 감지체(125)에 연결되고, 감지체(125)에서 측정한 측정값과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설정값 초과일 경우, 공급부(110)와 제2 체결부재(123)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한다.
제어체(127)는 판단체(126)에 연결되고, 판단체(126)가 공급부(110)와 제2 체결부재(123)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경우, 결합조절부재(124)를 구동시켜 제2 체결부재(123)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결합조절부재(124)와 전자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체(127)는 제2 체결부재(123)의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제2 체결부재바디(123a)에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조절부재바디(124a)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모듈(127a)을 구비한다. 이에, 제어체(127)는 복수의 센서모듈(127a)에서 측정된 값으로 상기 결합조절부재모터(124b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호스부(130)는 호스부재(131), 거치부재(132), 가압부재(133) 및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호스부재(131)는 그 일측이 제1 이동로(121b)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분사헤드(141)에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주름을 가지는 자바라호스로 형성되고 개수대(1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호스부재(131)는 개수대(10)에 설치됨에 있어서, 개수대(10)에 마련된 수도꼭지(미도시)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호스부재(131)는 분사부(140)에 연결되는 제1 호스부재(131a), 경로변경부(120)에 제2 호스부재(131b), 어느 일부가 제1 호스부재(131a)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제2 호스부재(131b)에 결합되며, 제1 호스부재(131a)와 제2 호스부재(131b)를 서로 결합 혹은 분리시키는 탈착부재(131c)를 포함한다.
탈착부재(131a)는 스토퍼(131ca), 결합캡(131cb), 제1 연결관(131cc), 볼(131cd), 제2 연결관(131ce), 오링(131cf)를 포함한다.
제1 호스부재(131a)의 외측에 끼워져 설치되는 스토퍼(131ca)와, 제1 호스부재(131a)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결합캡(131cb)과, 결합캡(131cb)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1 호스부재(131a)의 선단 외측에 끼워 제1 연결관(131cc)을 고정한다.
제1 연결관(131cc)의 선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홀(131ccb)을 형성하여 홀(131ccb)에 볼(131cd)이 설치된다.
제1 호스부재(131a)과 연결되는 제2 호스부재(131b)의 선단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 연결관(131ce)과, 제2 연결관(131ce)의 중앙 외측에는 홈(131cea)과 선단부에는 링홈(131ceb)을 형성하고 링홈(131ceb)에는 오링(131cf)이 설치된다.
제1 호스부재(131a)에 고정된 제1 연결관(131cc)의 선단 내부에 제2 호스부재(131b)의 선단에 고정되는 제2 연결관(131ce)을 삽입하여 결합하고 결합캡(131cb)으로 제1 연결관(131cc)과 제2 연결관(131ce)을 고정되게 결합하여 구성된다.
제2 연결관(131ce)의 링홈(131ceb)에 설치된 오링(131cf)은 제1 연결관(131cc)의 내부벽에 밀착되며, 제1 연결관(131cc)의 선단부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홀(131ccb)에 설치된 볼(131cd)이 일부분이 제2 연결관(131ce)의 중앙 외측에 형성된 홈(131ce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 연결관(131cc)은 내부 상측에 고정턱(131cca)을 이룬 하측의 공간부와 제2 연결관(131ce)의 외측 형상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제1 호스부재(131a)과 제1 연결관(131cc)은 용접으로 고정하며, 제2 호스부재(131b)과 제2 연결관(131ce)도 용접으로 고정되게 결합된 것이다.
제1 호스부재(131a)에 고정된 스토퍼(131ca)는 결합된 결합캡(131cb)이 더이상 제1 호스부재(131a)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합캡(131cb)의 내부면에 돌기(131cba)를 형성하고 제1 연결관(131cc)의 외부 상측에 니은자형 홈(131ccc)을 형성하며 결합캡(131cb)의 내부면에 형성된 돌기(131cba)가 제1 연결관(131cc)의 외부 상측에 형성된 니은자형 홈(131ccc)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제1 호스부재(131a)과 제2 호스부재(131b)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1 호스부재(131a)과 고정된 제1 연결관(131cc)의 내부 공간부에 제2 호스부재(131b)과 고정된 제2 연결관(131ce)을 삽입한다.
이때, 제2배관(20)과 고정되게 결합된 제2 연결관(131ce)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오링(131cf)이 제1 연결관(131cc)의 내부측벽과 밀착되고, 제1 연결관(131cc)에 형성된 다수의 홀(131ccb)에 설치된 볼(131cd)의 내측 부분이 제2 연결관(131ce)의 홈(131cea)에 위치되며 제1 연결관(131cc)과 제2 연결관(131ce)이 결합된다.
이후, 결합캡(131cb)을 하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결합캡(131cb)의 내측면이 제1 연결관(131cc)에 설치된 볼(131cd)을 내측으로 밀게되어 볼이 제2 연결관(131ce)에 형성된 홈(131cea)에 끼워져 제1 연결관(131cc)과 제2 연결관(131ce)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연결관(131cc)의 홀(131ccb)에 설치된 볼(131cd)은 외측부분이 결합캡(131cb)과 밀착되며 볼(131cd)의 내측부분은 제2 연결관(131ce)의 홈(131cea)에 끼워져 서로 밀착되는 것이다.
제1 호스부재(131a)과 제2 호스부재(131b)은 제1 연결관(131cc)과 제2 연결관(131ce)이 서로 결합되며 제2 연결관(131ce)의 오링(131cf)에 의해 밀착되며 제1 연결관(131cc)에 설치된 볼(131cd)이 제2연결관의 홈(131cea)에 위치되어 서로 기밀성을 유지하며 연결되는 것이다.
제1 호스부재(131a)과 제2 호스부재(131b)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결합캡(131cb)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하측의 제2 호스부재(131b)을 하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1 호스부재(131a)과 고정된 제1 연결관(131cc)의 공간부로부터 제2 호스부재(131b)에 고정된 제2 연결관(131ce)이 손쉽게 빠져나와 분리가 되는 것이다.
거치부재(132)는 개수대(10)에 마련된 샤워기(s)가 거치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관통된 거치공간을 형성한다.
가압부재(133)는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거치부재의 내벽체에서 거치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거치공간에 배치된 샤워기(s)를 향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거치부재(132)의 내벽체 설치된다.
거치부재(132)는 샤워기(s)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샤워기(s)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그 단부가 샤워기(s)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거치부재(132)는 그 일측이 개방되고, 그 상하가 관통된 구조체로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133)는 거치부재(132)의 관통된 내부에서 관통된 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샤워기(s)의 외주면을 향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33)는 거치부재(132)의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거치부재(132)의 관통된 내부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33)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거치부재(132)의 관통된 내부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샤워기(s)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33)는 거치부재(132)의 관통된 내부의 중심부, 즉 샤워기(s)를 향하여 기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13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가압부재(133)의 일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가압부재(133)들은 거치부재(132)의 관통된 내부에서 거치부재(1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가압부재(133)는 일측이 거치부재(132)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하며 기체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전개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가압부재(133)들의 타측은 일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가압부재(133)들은 거치부재(132)에 거치된 샤워기(s)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부재(133)들이 포개지는 부분이 균일한 비율로 증감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33)는 거치부재(132)와 샤워기(s)의 사이에 삽입된 포장용품(10)을 샤워기(s)를 향하여 가압하여, 샤워기(s)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구동부재는 가압부재(133)를 이동시키도록, 가압부재(133)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는, 회전체, 모터, 제1 톱니, 제2 톱니, 및 제3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거치부재(132) 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는 그 중심 영역이 개방되며, 개방된 중심 영역은 거치부재(132)의 관통된 내부 내에 거치부재(132)와 동축상에 배치된 샤워기(s)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회전체는 모터로부터 제1 톱니와 제2 톱니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체 외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제2 톱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 기어가 회전되면,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톱니는 모터의 중심축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톱니와 제2 톱니 및 회전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제3 톱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3 톱니가 회전한다. 즉,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3 톱니가 회전체의 내측에서 회전한다.
제3 톱니는 회전체의 내측벽을 따라 가압부재(133)들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설치된다. 각각의 제3 톱니들은 서로 균등한 각도로 설치된다. 제3 톱니는 거치부재(132) 내부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각각의 회전축들은 제3 톱니의 회전 중심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축들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가압부재(133)들은 샤워기(s)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재가 가압부재(133)들을 구동시키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분사부(140)는 호스부(130)에 연결되고, 호스부(130)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향해 분사할 수 있다. 분사부(140)는 분사헤드(141), 수압조절부재(142), 히팅부재(143), 조절부재(144), 촬영부재(145), 광조사모듈(146), 보조발광부재(147) 및 전원공급부재(148)를 포함한다.
분사헤드(141)는 호스부(130)에 연결되고, 일방향을 따라 그 내부가 관통되며,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단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분사헤드(141)는 호스부(130)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그 위치가 3축을(즉, x축, y축, z축) 기준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분사헤드(141)는 그 형상이 일방향을 따라 그 폭이 증가하는 방사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유체(예컨데, 액체 및 기체)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는 통과하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곳에서는 속도가 감속하고, 통과하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곳에서는 속도가 증가한다. 압력과 속도 사이의 관계를 알려주는 베르누이 정리(Bernouli's law)를 통해 알 수 있듯,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분사헤드(141)가 일방향을 따라 그 폭이 증가하는 방사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배출구(141ba)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속될 수 있다. 이에, 유체가 사용자의 두피에 상대적으로 더 약하게 접촉되며 사용자의 두피에 타격으로 인한 손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헤드(141)는 호스부(130)에 결합되고 유입구(141aa)를 가지는 제1 분사헤드바디(141a)와, 일방향을 따라 제1 분사헤드바디(141a)로부터 연장되고 배출구(141ba)를 가지는 제2 분사헤드바디(141b)를 포함한다.
수압조절부재(142)는 분사헤드(141)로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분사헤드(1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압조절부재(142)는 분사헤드(141)의 유입구(141aa)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구(141ba)로 바로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즉, 소정 시간 유체를 체류시켜 배출구(141ba)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압(예컨데, 수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압조절부재(142)는 수압조절플레이트(142a), 회동핀(142b), 복수의 배출관(142c)을 포함한다.
수압조절플레이트(142a)는 제1 분사헤드바디(141a)와 제2 분사헤드바디(141b)의 경계부분(즉, 제1 분사헤드바디(141a)와 제2 분사헤드바디(141b)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분사헤드바디(141a)와 제2 분사헤드바디(141b)의 경계부분의 단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수압조절플레이트(142a)는 후술되는 복수의 배출관(142c)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삽입홀(142aa)을 가진다.
회동핀(142b)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수압조절플레이트(142a)를 틸팅시킬 수 있도록, 수압조절플레이트(142a)의 상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분사헤드(141)를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다. 회동핀(142b)은 분사헤드(1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동핀(142b)은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자전되고, 분사헤드(141)에 그 자전된 위치가 가고정될 수 있다. 즉, 분사헤드(141)에서 유체가 수압조절플레이트(142a)를 가압하는 가압력(예컨데, 수압)보다 회동핀(142b)이 분사헤드(141)에 가고정되는 결합력이 더 클 수 있다.
복수의 배출관(142c)은 수압조절플레이트(142a)를 관통하며, 일방향을 기준으로 제1 분사헤드바디(141a)에서 제2 분사헤드바디(141b)를 향하여 그 직경이 점차 증가하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유체(예컨데, 액체 및 기체)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는 통과하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곳에서는 속도가 감속한다. 압력과 속도 사이의 관계를 알려주는 베르누이 정리(Bernouli's law)를 통해 알 수 있듯,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배출관(142c)이 유체가 이동하는 일방향을 따라 그 직경이 점차 증가하게 형성되므로, 유체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EK라서, 분사헤드(141)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속도 및 유체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며 사용자의 두피로 분사될 수 있고, 사용자의 두피에 상대적으로 큰 자극이 인가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히팅부재(143)는 분사헤드(141)의 유입구(141aa)와 수압조절부재(142) 사이에 설치되고, 분사헤드(141)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히팅부재(143)는 히팅코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분사헤드(141)로 유입된 유체가 예컨데, 온수로 가열될 수 있다.
복수의 조절부재(144)는 분사헤드(141)의 배출구(141ba)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분사헤드(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절부재(144)는 조절부재모터(144a), 회전축(144b), 복수의 조절플레이트(144c)를 포함한다.
조절부재모터(144a)는 분사헤드(141)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회전축(144b)은 조절부재모터(144a)에 동축상으로 연결되고, 분사헤드(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조절플레이트(144c)는 회전축(144b)에 결합되고, 일방향(도 2 참조)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고 폭방향(즉,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도 2 참조)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두께방향(도 2 참조)을 기준으로 분사헤드(141)의 배출구(141ba)의 두께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그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중첩되어 결합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절플레이트(144c)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조절플레이트(144c)의 길이가 다른 하나의 조절플레이트(144c)의 길이보다 짧고, 다른 하나의 조절플레이트(144c)가 또 다른 하나의 조절플레이트(144c)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조절플레이트(144c)는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전개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조절플레이트(144c)는 그 연장된 최대 길이가 분사헤드(141)의 배출구의 폭방향 길이의 1/3 초과 내지 1/2 미만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40)는 조절플레이트(144c)의 회전에 의해 분사 범위, 및 분사 위치를 소정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이 두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방향(즉, 원주방향)으로 자전하면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상대적으로 분사되는 위치를 도면상 우측 혹은 좌측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머리를 이동시킬 경우에도, 사용자의 두피로 유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두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분사되는 유체의 범위를 상대적으로 적게 변경할 수 있다. 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두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분사되는 유체의 범위를 상대적으로 적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범위를 조절하는 것은 비단 사용자의 두부의 크기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더 넓은 범위 혹은 상대적으로 더 좁은 범위로 유체를 분사하여 두피를 마사지하길 원할 경우에도 그 분사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촬영부재(145)는 분사헤드(141)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안면부(顔面部)를 감지할 수 있다.
광조사모듈(146)은 분사헤드(141)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안면부를 향하여 복수개의 파장 범위의 광을 조사 가능하다.
광조사모듈(146)은 복수개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발광체(146a), 발광체(146a)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 및 발광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발광체에 연결되는 열방출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발광체(146a)는 적색 또는 심적색(Deep Red)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및 발광다이오드가 출력하는 광의 초점을 모아 광을 한점으로 모으기 위한 광모음렌즈(미도시)를 포함한다.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610㎚ 내지 620㎚의 파장 범위인 제1 웨이브렝스(wavelength)를 출력하는 제1 발광다이오드(미도시), 620㎚ 내지 630㎚의 파장 범위인 제2 웨이브렝스를 출력하는 제2 발광다이오드(미도시) 및 650㎚ 내지 680㎚의 파장 범위인 제3 웨이브렝스를 출력하는 제3 발광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체(146a)는 제1 발광다이오드와, 제2 발광다이오드와, 제3 발광다이오드가, 각각 3개씩 마련된 하나의 세트로 사각형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발광다이오드와, 제2 발광다이오드와, 제3 발광다이오드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된다. 여기서, 제1 발광다이오드와, 제2 발광다이오드와, 제3 발광다이오드의 개수비가, 1:2:3의 개수비로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알루미늄 피시비(Aluminum PCB)의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컨트롤러가 선택된 모드에 따라 알루미늄 피시비로 마련되는 단자들로 인가되는 전류를 구획 별로 제어하여,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출력하는 웨이브렝스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알루미늄 피시비에 인가되는 전류를 구획 별로 제어하여 복수의 발광다이오드ㅊ가 출력하는 파장의 광출력을 조절한다.
컨트롤러는 발광체(146a)의 출력을 20W 내지 60W의 고출력 광원으로 제어한다.
열방출기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열방출기는, 원기둥 형태의 열방출핀을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며, 발광체(146a)의 출력에 따른 전류량에 따라 방열핀 밀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열방출영역을 구획한다.
보조발광부재(147)는 분사헤드(141) 중 배출구(141ba)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분사헤드(141)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유체의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된다. 예를 들어, 보조발광부재(147)는 빨강색, 파랑색 및 초록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발광한다.
전원공급부재(148)는 촬영부재(145)와 히팅부재(143), 복수의 조절부재(144), 광조사모듈(146) 및 보조발광부재(147)에 연결되고, 촬영부재(145)와 히팅부재(14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촬영부재(145)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표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표정 변화에 기초하여 히팅부재(143)가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재(148)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변환부재(151) 및 제어부재(152)를 포함한다.
변환부재(151)는 촬영부재(145)에 연결되고, 촬영부재(145)가 촬영한 영상을 복수의 이미지로 변환한다.
제어부재(152)는 변환부재(151)로부터 변환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안면부를 검출하고, 안면부 표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추정하며, 감정에 기초하여 머신러닝 혹은 딥러닝을 이용해 사용자의 감정 리스트를 생성하고, 감정 리스트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재(148)를 제어한다.
제어부재(152)는 안면부 인식기(미도시), 감정 예측기(미도시), 감정 리스트 생성기(미도시), 전원공급부재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안면부 검출기는 촬영부재(145)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안면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안면부 검출기는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안면부을 검출한다.
감정 예측기는 안면부 검출기에 연결되고 안면부의 표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추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정 예측기는 안면 검출기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안면부 표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미간의 위치 차이 및 상기 사용자의 입꼬리의 위치 차이를 비교하고, 비교한 정보를 기반으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통해 상기 감정을 추정한다.
감정 리스트 생성기는 감정 예측기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감정에 기초하여 머신러닝 혹은 딥러닝을 통해 감정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감정 리스트는 뜨거움(hot), 차가움(cold), 행복(happy), 무감정(neutral)을 포함된다.
전원공급부재 제어기는 안면부 검출기와 감정 예측기와 감정 리스트 생성기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감정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재를 제어한다.
또한, 전원공급부재 제어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부재(148)를 제어한다. 또한, 전원공급부재 제어기는 사용자의 감정이 뜨거움일 경우 전원공급부재(148)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사용자의 감정이 차가움일 경우 전원공급부재(148)의 전원 공급 수치를 최대치로 조정하고, 사용자의 감정이 행복일 경우 공급되는 전원 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처럼, 사용자의 두부에 유체(즉, 온수)가 배출되는 위치를 유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더 최적의 두피 테라피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표정 변화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잇따. 이에, 사용자의 반응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유체 온도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최적의 두피 테라피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누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누수된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분사되는 유체가 끊기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Claims (3)

  1. 개수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두부로 유체를 분사하는 헤드 스파 장치로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가 그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에 연통되고 상기 유체가 그 외부로 배출되는 제1 이동로와, 상기 유입로에 연통되고 상기 제1 이동로와 교차하게 연장되어 상기 개수대에 마련된 샤워기에 연결되는 제2 이동로와, 상기 제1 이동로 혹은 상기 제2 이동로를 상기 유입로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경로변경부;
    상기 제1 이동로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상기 유체가 이동 가능한 호스부;
    상기 호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향해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그 단부를 향하는 일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스부는,
    그 일측이 상기 제1 이동로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상기 분사부의 분사헤드에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 주름을 가지는 자바라호스로 형성되고, 상기 개수대에 설치되는 호스부재;
    상기 샤워기가 거치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관통된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부재는,
    상기 분사부에 연결되는 제1 호스부재;
    상기 경로변경부에 연결되는 제2 호스부재;
    상기 제1 호스부재와 상기 제2 호스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제1 호스부재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결합캡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호스부재에 결합된 제1 연결관 및 상기 제2 호스부재에 결합된 제2 연결관이 고정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제1 호스부재와 상기 제2 호스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헤드 스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호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그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단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분사헤드;
    상기 분사헤드로 유입된 상기 유체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분사헤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압조절부재;
    상기 분사헤드의 유입구와 상기 수압조절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분사헤드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히팅부재;
    상기 분사헤드의 배출구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분사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조절부재;
    상기 분사헤드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顔面部)를 감지하는 촬영부재; 및
    상기 분사헤드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안면부를 향하여 복수개의 파장 범위의 광을 조사 가능한 광조사모듈;
    상기 분사헤드 중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분사헤드에서 분사되는 상기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유체의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보조발광부재;
    상기 촬영부재와 상기 히팅부재, 복수의 상기 조절부재, 상기 광조사모듈 및 상기 보조발광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촬영부재와 상기 히팅부재, 복수의 상기 조절부재, 상기 광조사모듈 및 상기 보조발광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분사헤드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절부재모터;
    상기 조절부재모터에 동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사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고 상기 폭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사헤드의 배출구의 상기 두께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그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중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조절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조절플레이트는, 그 연장된 최대 길이가 상기 분사헤드의 배출구의 폭방향 길이의 1/3 초과 내지 1/2 미만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헤드는,
    상기 호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를 가지는 제1 분사헤드바디; 및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분사헤드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출구를 가지는 제2 분사헤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조절부재는,
    상기 제1 분사헤드바디와 상기 제2 분사헤드바디의 경계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분사헤드바디와 상기 제2 분사헤드바디의 경계부분의 단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수압조절플레이트;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수압조절플레이트를 틸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압조절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사헤드를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분사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핀;
    상기 수압조절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분사헤드바디에서 상기 제2 분사헤드바디를 향하여 그 직경이 점차 증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관;을 포함하는 헤드 스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표정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표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히팅부재가 가열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거치부재의 내벽체에서 상기 거치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거치공간에 배치된 상기 샤워기를 향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재의 내벽체 설치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전원공급부재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히팅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광조사모듈은,
    복수개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발광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발광체에 연결되는 열방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체는,
    적색 또는 심적색(Deep Red)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출력하는 광의 초점을 모아 광을 한점으로 모으기 위한 광모음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610㎚ 내지 620㎚의 파장 범위인 제1 웨이브렝스(wavelength)를 출력하는 제1 발광다이오드;
    620㎚ 내지 630㎚의 파장 범위인 제2 웨이브렝스를 출력하는 제2 발광다이오드; 및
    650㎚ 내지 680㎚의 파장 범위인 제3 웨이브렝스를 출력하는 제3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알루미늄 피시비(Aluminum PCB)의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알루미늄 피시비에 인가되는 전류를 구획 별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출력하는 파장의 광출력을 조절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광체의 출력을 20W 내지 60W의 고출력 광원으로 제어하며,
    상기 열방출기는,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열방출기는, 원기둥 형태의 열방출핀을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발광체의 출력에 따른 전류량에 따라 방열핀 밀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열방출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발광체는,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3 발광다이오드가, 각각 3개씩 마련된 하나의 세트로 사각형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3 발광다이오드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3 발광다이오드의 개수비가, 1:2:3의 개수비로 마련되는 헤드 스파 장치.
KR1020230049381A 2023-04-14 2023-04-14 헤드 스파 장치 KR10254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381A KR102549084B1 (ko) 2023-04-14 2023-04-14 헤드 스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381A KR102549084B1 (ko) 2023-04-14 2023-04-14 헤드 스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084B1 true KR102549084B1 (ko) 2023-06-30

Family

ID=8695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381A KR102549084B1 (ko) 2023-04-14 2023-04-14 헤드 스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0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782Y1 (ko) * 2005-09-27 2005-12-05 이상홍 헤어세척대용 가압형 샤워장치
JP2012170596A (ja) * 2011-02-21 2012-09-10 Panasonic Corp シャワー浴装置
KR20130104379A (ko) * 2012-03-14 2013-09-25 이재춘 세면기형 샤워바
KR20150080898A (ko) 2014-01-02 2015-07-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KR101620488B1 (ko) * 2015-08-05 2016-05-12 (주)티에스자바 설치 작업이 용이한 멀티 기능 샤워수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782Y1 (ko) * 2005-09-27 2005-12-05 이상홍 헤어세척대용 가압형 샤워장치
JP2012170596A (ja) * 2011-02-21 2012-09-10 Panasonic Corp シャワー浴装置
KR20130104379A (ko) * 2012-03-14 2013-09-25 이재춘 세면기형 샤워바
KR20150080898A (ko) 2014-01-02 2015-07-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KR101620488B1 (ko) * 2015-08-05 2016-05-12 (주)티에스자바 설치 작업이 용이한 멀티 기능 샤워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4176B2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water vapor
US8495770B2 (en) Nozzle device and hygienic washing device
KR101899572B1 (ko) 피부미용 마스크장치
WO1997030619A1 (fr) Appareil de douche-bain et diffuseur
US8979778B2 (en) Water treatment device
KR102549084B1 (ko) 헤드 스파 장치
WO2018067633A1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and gums
JP4486317B2 (ja)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US8091158B2 (en) Shower bathing apparatus
WO2023051144A1 (zh) 一种水光针及水光枪
KR20090011177A (ko) 안면 미용 마스크
JP2007144206A (ja) ウォータベッド式マッサージ機
JP4295048B2 (ja) ノズル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KR200433009Y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애견목욕장치
JP6339469B2 (ja) 吐水装置及び浴槽装置
JP2010042074A (ja) 性感部を刺激するためのシャワー式刺激具
JPH04665B2 (ko)
JP2003325628A (ja) ベッド式マッサージ機
JP4451078B2 (ja)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04113458A (ja) 足浴装置
JP2007151959A (ja) スチーム発生装置
JP5582659B2 (ja) 液圧マッサージ機
JP4331533B2 (ja)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CN2545959Y (zh) 淋浴装置
US20200260916A1 (en) Extendable Jet Assembly and Liquid Circu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