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582B1 -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 - Google Patents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582B1
KR102548582B1 KR1020220184836A KR20220184836A KR102548582B1 KR 102548582 B1 KR102548582 B1 KR 102548582B1 KR 1020220184836 A KR1020220184836 A KR 1020220184836A KR 20220184836 A KR20220184836 A KR 20220184836A KR 102548582 B1 KR102548582 B1 KR 10254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ction
dependency
command
mem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후
Original Assignee
리벨리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벨리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벨리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4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582B1/ko
Priority to US18/477,457 priority patent/US119150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6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 G06N3/063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using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operations on memory
    • G06F9/30047Prefetch instructions; cache control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76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miscellaneous control operations, e.g. NOP
    • G06F9/30079Pipeline control instructions, e.g. multicycle N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36Instruction issuing, e.g. dynamic instruction scheduling or out of order instruction exec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dvan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뉴럴 프로세서는, 웨이트, 인풋 액티베이션 및 부분합이 저장되는 로컬 메모리,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을 연산하는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로컬 메모리에서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을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로드하는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은, 상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의 프로그램에서 상기 로컬 메모리에서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 중 어느 하나를 로드하기 위한 명령어를 페치하는 명령어 페치 유닛 및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에서 페치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명령어 실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제1 웨이트를 로드하기 위한 제1 명령어, 제1 인풋 액티베이션을 로드하기 위한 제2 명령어, 제1 부분합을 로드하기 위한 제3 명령어 및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Neural processor and instruction fetch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명령어에 대한 디펜던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몇년간,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유망한 기술로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의 가장 큰 문제는 컴퓨팅 성능이다.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행능력 등을 실현해내는 인공지능 기술은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초기 인공지능의 딥러닝 학습과 추론에는 기성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나 그래픽처리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가 쓰였지만, 높은 워크 로드를 가지는 딥러닝 학습 및 추론의 작업에는 한계가 있어 구조적으로 딥러닝 작업에 특화된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가 각광받고 있다.
신경망 처리 장치는 복수의 하드웨어 블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하드웨어 블록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블록 각각이 수행할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페치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순차적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명령어들의 페치는 이전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된 경우에만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 명령어의 실행이 지연되는 경우 다음 명령어 역시 페치될 수 없어 시간적인 비용이 낭비될 수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22-0136806 호
본 발명의 과제는, 명령어의 비순차 실행을 위한 뉴럴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명령어의 비순차 실행을 위한 뉴럴 프로세서의 명령어 페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뉴럴 프로세서는 웨이트, 인풋 액티베이션 및 부분합이 저장되는 로컬 메모리,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을 연산하는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로컬 메모리에서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을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로드하는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은, 상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의 프로그램에서 상기 로컬 메모리에서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 중 어느 하나를 로드하기 위한 명령어를 페치하는 명령어 페치 유닛 및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에서 페치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명령어 실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제1 웨이트를 로드하기 위한 제1 명령어, 제1 인풋 액티베이션을 로드하기 위한 제2 명령어, 제1 부분합을 로드하기 위한 제3 명령어 및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은, 상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페치하고, 상기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에서 최종적으로 페치한 명령어와 다른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를 페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디펜던시의 상기 제1 명령어,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상기 제2 명령어 및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의 상기 제3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나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은, 상기 제1 명령어, 상기 제2 명령어 및 상기 제3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페치하는 것을 계획하되, 상기 제1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명령어보다 상기 제3 명령어를 먼저 페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웨이트의 로딩이 완료되기 전, 상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은 상기 부분합을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로드하기 위한 상기 제3 명령어를 페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은 페치할 명령어의 위치를 포인팅하는 복수의 프로그램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카운터의 개수는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의 개수보다 많거나 같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을 연산하는 PE 어레이 및 상기 PE 어레이로부터의 연산 결과와, 상기 부분합을 연산하는 벡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 실행 유닛이 상기 제3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PE 어레이로부터의 연산 결과와 상기 부분합을 연산하는 동안,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은 상기 제1 명령어 및 상기 제2 명령어 중 하나를 페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을 포함하고,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은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명령어와 상기 제2 명령어는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명령어는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제1 디펜던시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 각각에 포함된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뉴럴 프로세서는 부분합이 저장되는 로컬 메모리, 웨이트 및 인풋 액티베이션을 이차원 연산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PE 어레이 및 상기 로컬 메모리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부분합과 상기 PE 어레이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결과 데이터를 일차원 연산하여 최종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벡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벡터 유닛은, 상기 벡터 유닛에 대한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상기 PE 어레이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명령어 및 상기 로컬 메모리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부분합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명령어를 페치하는 명령어 페치 유닛 및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에서 페치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명령어 실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명령어와 상기 제2 명령어는 디펜던시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페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명령어와 상기 제2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에 포함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명령어와 상기 제2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나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벡터 유닛은 상기 제1 명령어를 통해 저장된 상기 결과 데이터와, 상기 제2 명령어를 통해 저장된 상기 부분합을 더해, 상기 최종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PE 어레이가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을 연산하는 시간으로 인해, 상기 제1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벡터 유닛은 상기 제2 명령어를 통해 상기 부분합을 먼저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을 포함하고,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은 상기 제1 명령어 및 상기 제2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제1 디펜던시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페치 방법은 하드웨어 블록에 포함된 명령어 페치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뉴럴 프로세서의 명령어 페치 방법으로서, 프로그램에서 제1 디펜던시를 갖는 제1 명령어를 페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의 제2 명령어를 페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제1 명령어 다음에 배치된 제3 명령어를 페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명령어, 상기 제3 명령어 및 상기 제2 명령어의 순서로 배치된 명령어 세트와,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에 대한 상기 제1 디펜던시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제1 디펜던시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스캔하여,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은,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해당 명령어와 디펜던시가 다른 명령어를 먼저 페치하여 실행함으로써, 지연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하드웨어 블록의 사용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은, 프로그램 내에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프로그래밍을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뉴럴 프로세싱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뉴럴 코어 SoC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글로벌 인터커넥션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3의 뉴럴 프로세서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계층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뉴럴 코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는 도 7의 LSU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프로세싱 유닛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일반적인 경우에서, 하드웨어 블록의 명령어 페치 및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서, 하드웨어 블록의 명령어 페치 및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L0 메모리에서 프로세싱 유닛으로 데이터를 로드하는 뉴럴 코어의 구성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벡터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1은 도 7의 L0 메모리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로컬 메모리 뱅크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의 메모리 재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의 메모리 재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A부분을 확대한 블록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제1 메모리 뱅크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가 수행하는 딥 러닝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및 추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뉴럴 프로세서에 포함된 하드웨어 블록의 명령어 페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NPS)은 제1 뉴럴 프로세싱 장치(1), 제2 뉴럴 프로세싱 장치(2) 및 외부 인터페이스(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뉴럴 프로세싱 장치(1)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1 뉴럴 프로세싱 장치(1)는 예를 들어, 딥 러닝(deep learning) 연산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특화된 장치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뉴럴 프로세싱 장치(2)는 제1 뉴럴 프로세싱 장치(1)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제1 뉴럴 프로세싱 장치(1) 및 제2 뉴럴 프로세싱 장치(2)는 서로 외부 인터페이스(3)를 통해서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2개의 뉴럴 프로세싱 장치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NPS)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NPS)은 3개 이상의 뉴럴 프로세싱 장치가 외부 인터페이스(3)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NPS)은 하나의 뉴럴 프로세싱 장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뉴럴 프로세싱 장치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뉴럴 프로세싱 장치(1)는 뉴럴 코어 SoC(10), CPU(20), 오프 칩 메모리(30), 제1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40), 제1 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50), 제2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60) 및 제2 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뉴럴 코어 SoC(1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장치일 수 있다. 뉴럴 코어 SoC(10)는 인공지능 연산 유닛으로 가속기(Accelerator)일 수 있다. 뉴럴 코어 SoC(10)는 예를 들어, GPU(graphics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뉴럴 코어 SoC(10)는 외부 인터페이스(3)를 통해서 다른 외부의 연산 유닛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뉴럴 코어 SoC(10)는 제1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40) 및 제1 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50)를 통해서 각각 비휘발성 메모리(31) 및 휘발성 메모리(32)와 연결될 수 있다.
CPU(20)는 제1 뉴럴 프로세싱 장치(1)의 시스템을 통제하고 프로그램의 연산을 실행하는 제어장치일 수 있다. CPU(20)는 범용 연산 유닛으로서 딥러닝에 많이 사용되는 병렬 단순 연산을 수행하기에는 효율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뉴럴 코어 SoC(10)가 딥러닝 추론 및 학습 작업에 연산을 수행하여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다.
CPU(20)는 외부 인터페이스(3)를 통해서 다른 외부의 연산 유닛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CPU(20)는 제2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60) 및 제2 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70)를 통해서 각각 비휘발성 메모리(31) 및 휘발성 메모리(32)와 연결될 수 있다.
오프 칩 메모리(30)는 뉴럴 코어 SoC(10)의 칩 외부에 배치된 메모리일 수 있다. 오프 칩 메모리(30)는 비휘발성 메모리(31) 및 휘발성 메모리(32)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31)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31)는 예를 들어,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AROM(Erasable Alter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예를 들어,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노어 플래시 메모리(NOR Flash memory)), UVEPROM(Ultra-Violet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SONOS(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R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NRAM(Nanotube Random Access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3D 크로스포인트 메모리(3D XPoint memor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휘발성 메모리(32)는 비휘발성 메모리(31)와 달리,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력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32)는 예를 들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및 DDR SDRAM(Double Data Rate SD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40) 및 제2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60)는 각각 예를 들어, PATA(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AS(Serial Attached SCSI),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및 IniNIIe(PCI Exp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50) 및 제2 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70)는 각각 예를 들어, SDR(Single Data Rate), DDR(Double Data Rate), QDR(Quad Data Rate), 및 XDR(eXtreme Data Rate, Octal Data Rat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2의 뉴럴 코어 SoC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뉴럴 코어 SoC(10)는 적어도 하나의 뉴럴 프로세서(1000), 공유 메모리(2000), DMA(Direct Memory Access)(3000),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 및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을 포함할 수 있다.
뉴럴 프로세서(1000)는 연산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연산 유닛일 수 있다. 뉴럴 프로세서(1000)가 복수인 경우 연산 작업은 각각의 뉴럴 프로세서(1000)로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뉴럴 프로세서(1000)는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유 메모리(2000)는 여러 뉴럴 프로세서(1000)에 의해서 공유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공유 메모리(2000)는 각각의 뉴럴 프로세서(1000)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메모리(2000)는 오프 칩 메모리(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각각의 뉴럴 프로세서(10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공유 메모리(2000)는 뉴럴 프로세서(1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도 2의 오프 칩 메모리(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공유 메모리(2000)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른 메모리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공유 메모리(2000)는 예를 들어, SRAM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공유 메모리(2000)는 DRAM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공유 메모리(2000)는 SoC 레벨 즉, L3(level 3)에 해당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따라서, 공유 메모리(2000)는 L3 공유 메모리라 정의할 수도 있다.
DMA(3000)는 뉴럴 프로세서(1000)가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할 필요없이 직접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DMA(3000)가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이동을 제어하여 뉴럴 프로세서(1000)의 인터럽트의 횟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DMA(3000)는 공유 메모리(2000)와 오프 칩 메모리(30) 사이의 데이터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DMA(3000)의 권한을 통해서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 및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가 데이터를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는 비휘발성 메모리(31)에 리드(read) 또는 라이트(Write)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는 제1 비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40)를 통해서 비휘발성 메모리(31)를 제어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는 휘발성 메모리(32)에 리드 또는 라이트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는 휘발성 메모리(32)의 리프레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는 제1 휘발성 메모리 인터페이스(50)를 통해서 비휘발성 메모리(31)를 제어할 수 있다.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은 적어도 하나의 뉴럴 프로세서(1000), 공유 메모리(2000), DMA(3000),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 및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3)도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에 연결될 수 있다.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은 적어도 하나의 뉴럴 프로세서(1000), 공유 메모리(2000), DMA(3000),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 및 외부 인터페이스(3)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하는 경로일 수 있다.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제어 신호의 전송 및 동기화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는 별도의 제어 프로세서가 동기화의 신호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뉴럴 프로세서(1000)가 직접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 프로세서에 의해서 발생하는 동기화 신호의 레이턴시를 차단할 수 있다.
즉, 뉴럴 프로세서(1000)가 복수일 때, 어느 뉴럴 프로세서(1000)의 작업이 종료되어야 다음 뉴럴 프로세서(1000)가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개별 작업의 디펜던시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작업의 종료와 시작은 동기화 신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기존의 기술은 이러한 동기화 신호의 수신과 새로운 작업의 시작 지시를 제어 프로세서가 수행하였다.
그러나, 뉴럴 프로세서(1000)의 숫자가 늘어나고, 작업의 디펜던시가 복잡하게 설계되면 될수록 이러한 동기화 작업은 요청 및 지시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각각의 요청 및 지시에 따른 레이턴시가 작업의 효율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는 제어 프로세서 대신 각각의 뉴럴 프로세서(1000)가 직접 동기화 신호를 작업의 디펜던시에 따라 다른 뉴럴 프로세서(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프로세서에 의해서 관리되는 방식에 비해서 병렬적으로 여러 뉴럴 프로세서(1000)가 동기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동기화에 따른 레이턴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프로세서가 작업 디펜던시에 따른 뉴럴 프로세서(1000)들의 작업 스케쥴링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스케쥴링의 오버헤드도 뉴럴 프로세서(1000)의 개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크게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는 스케쥴링 작업도 개별 뉴럴 프로세서(1000)에 의해서 진행되어 그에 따른 스케쥴링 부담도 없어 장치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글로벌 인터커넥션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은 데이터 채널(5100), 컨트롤 채널(5200) 및 L3 싱크 채널(530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채널(5100)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용 채널일 수 있다. 데이터 채널(5100)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뉴럴 프로세서(1000), 공유 메모리(2000), DMA(3000),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 및 외부 인터페이스(3)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컨트롤 채널(5200)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용 채널일 수 있다. 컨트롤 채널(5200)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뉴럴 프로세서(1000), 공유 메모리(2000), DMA(3000),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 및 외부 인터페이스(3)가 서로 제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L3 싱크 채널(5300)은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전용 채널일 수 있다. L3 싱크 채널(5300)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뉴럴 프로세서(1000), 공유 메모리(2000), DMA(3000), 비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4000), 휘발성 메모리 컨트롤러(5000) 및 외부 인터페이스(3)가 서로 동기화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L3 싱크 채널(5300)은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 내부에 전용 채널로 설정되어 다른 채널과 겹치지 않고 동기화 신호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는 새로운 와이어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기존에 사용되는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을 이용하여 동기화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뉴럴 프로세서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뉴럴 프로세서(1000)는 적어도 하나의 뉴럴 코어(100), L2 공유 메모리(400), 로컬 인터커넥션(200) 및 L2 싱크 패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뉴럴 코어(100)는 뉴럴 프로세서(1000)의 작업을 분담하여 수행할 수 있다. 뉴럴 코어(100)는 예를 들어, 8개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5에서는 여러 개의 뉴럴 코어(100)가 뉴럴 프로세서(10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뉴럴 코어(100) 1개만으로 뉴럴 프로세서(1000)가 구성될 수 있다.
L2 공유 메모리(400)는 뉴럴 프로세서(1000) 내에서 각각의 뉴럴 코어(100)들이 공유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L2 공유 메모리(400)는 각각의 뉴럴 코어(100)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L2 공유 메모리(400)는 도 4의 공유 메모리(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각각의 뉴럴 코어(10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L2 공유 메모리(400)는 뉴럴 코어(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도 3의 공유 메모리(20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L2 공유 메모리(400)는 뉴럴 프로세서 레벨, 즉, L2(level 2)에 해당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L3 공유 메모리 즉, 공유 메모리(2000)는 뉴럴 프로세서(1000)에 의해서 공유되고, L2 공유 메모리(400)는 뉴럴 코어(100)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로컬 인터커넥션(200)은 적어도 하나의 뉴럴 코어(100) 및 L2 공유 메모리(4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로컬 인터커넥션(200)은 적어도 하나의 뉴럴 코어(100) 및 L2 공유 메모리(400)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하는 경로일 수 있다. 로컬 인터커넥션(200)은 도 3의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L2 싱크 패스(300)는 적어도 하나의 뉴럴 코어(100) 및 L2 공유 메모리(4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L2 싱크 패스(300)는 적어도 하나의 뉴럴 코어(100) 및 L2 공유 메모리(400)의 동기화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일 수 있다.
L2 싱크 패스(300)는 로컬 인터커넥션(200)과 물리적으로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로컬 인터커넥션(200)의 경우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과 달리 내부에 충분한 채널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L2 싱크 패스(300)가 별도의 형성되어 동기화 신호의 전송을 빠르고 지체없이 수행할 수 있다. L2 싱크 패스(300)는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의 L3 싱크 채널(5300)에 비해서 한단계 낮은 레벨에서 수행되는 동기화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계층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뉴럴 코어 SoC(10)는 적어도 하나의 뉴럴 프로세서(10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뉴럴 프로세서(1000)는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을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뉴럴 프로세서(100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뉴럴 코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뉴럴 코어(100)는 딥러닝 연산 작업에 최적화된 프로세싱 단위 유닛일 수 있다. 뉴럴 코어(100)는 딥러닝 연산 작업의 하나의 오퍼레이션에 대응하는 프로세싱 단위 유닛일 수 있다. 즉, 딥러닝 연산 작업은 여러 오퍼레이션의 순차적 또는 병렬적 결합으로 표현 가능할 수 있다. 뉴럴 코어(100)는 각각 하나의 오퍼레이션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싱 단위 유닛으로서 컴파일러 입장에서 스케쥴링에 고려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연산 단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는 컴파일러 스케쥴링 입장에서 고려되는 최소한의 연산 단위와 하드웨어 프로세싱 단위 유닛의 스케일을 동일하게 구성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스케쥴링 및 연산 작업의 수행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연산 작업에 비해서 하드웨어의 분할할 수 있는 프로세싱 단위 유닛이 지나치게 크다면 프로세싱 단위 유닛의 구동에서 연산 작업의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컴파일러의 스케쥴링 최소 단위인 오퍼레이션보다 더 작은 단위의 프로세싱 유닛을 매번 스케쥴링하는 것은 스케쥴링의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고, 하드웨어 설계 비용이 높아질 수 있어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컴파일러의 스케쥴링 단위와 하드웨어 프로세싱 단위의 스케일을 유사하게 조율하여 빠른 연산 작업의 스케쥴링과 하드웨어 리소스의 낭비없이 효율적인 연산 작업 수행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뉴럴 코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뉴럴 코어(100)는 LSU(Load/Store Unit)(110), L0 메모리(120), 웨이트 버퍼(130), 액티베이션 LSU(140), 액티베이션 버퍼(150) 및 프로세싱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LSU(110)는 로컬 인터커넥션(200) 및 L2 싱크 패스(300)를 통해서 외부에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동기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LSU(110)는 L0 메모리(120)로 수신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동기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LSU(110)는 로컬 인터커넥션(200) 및 L2 싱크 패스(300)를 통해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동기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달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LSU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LSU(110)는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111a), 로컬 메모리 스토어 유닛(111b), 뉴럴 코어 로드 유닛(112a), 뉴럴 코어 스토어 유닛(112b), 로드 버퍼(LB), 스토어 버퍼(SB), 로드 엔진(113a), 스토어 엔진(113b) 및 변환 색인 버퍼(114)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111a)은 L0 메모리(120)에 대한 로드 인스트럭션을 페치(fetch)하고, 로드 인스트럭션을 이슈(issue)할 수 있다.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111a)이 이슈된 로드 인스트럭션을 로드 버퍼(LB)에 제공하면 로드 버퍼(LB)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로드 엔진(113a)으로 메모리 액세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메모리 스토어 유닛(111b)은 L0 메모리(120)에 대한 스토어 인스트럭션을 페치하고, 스토어 인스트럭션을 이슈할 수 있다. 로컬 메모리 스토어 유닛(111b)이 이슈된 스토어 인스트럭션을 스토어 버퍼(SB)에 제공하면 스토어 버퍼(SB)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스토어 엔진(113b)으로 메모리 액세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뉴럴 코어 로드 유닛(112a)은 뉴럴 코어(100)에 대한 로드 인스트럭션을 페치하고, 로드 인스트럭션을 이슈할 수 있다. 뉴럴 코어 로드 유닛(112a)이 이슈된 로드 인스트럭션을 로드 버퍼(LB)에 제공하면 로드 버퍼(LB)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로드 엔진(113a)으로 메모리 액세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뉴럴 코어 스토어 유닛(112b)은 뉴럴 코어(100)에 대한 스토어 인스트럭션을 페치하고, 스토어 인스트럭션을 이슈할 수 있다. 뉴럴 코어 스토어 유닛(112b)이 이슈된 스토어 인스트럭션을 스토어 버퍼(SB)에 제공하면 스토어 버퍼(SB)가 입력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스토어 엔진(113b)으로 메모리 액세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로드 엔진(113a)은 메모리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여 로컬 인터커넥션(200)을 통해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이때, 로드 엔진(113a)은 변환 색인 버퍼(114)에서 최근에 사용된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의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빠르게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로드 엔진(113a)의 가상 주소가 변환 색인 버퍼(114)에 없는 경우에는 다른 메모리에서 주소 변환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스토어 엔진(113b)은 메모리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여 로컬 인터커넥션(200)을 통해서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이때, 스토어 엔진(113b)은 변환 색인 버퍼(114)에서 최근에 사용된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의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빠르게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스토어 엔진(113b)의 가상 주소가 변환 색인 버퍼(114)에 없는 경우에는 다른 메모리에서 주소 변환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로드 엔진(113a) 및 스토어 엔진(113b)은 L2 싱크 패스(300)로 동기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때, 동기화 신호는 작업이 종료되었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L0 메모리(120)는 뉴럴 코어(100) 내부에 위치한 메모리로서, 뉴럴 코어(100)가 작업에 필요한 모든 입력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L0 메모리(120)는 뉴럴 코어(100)에 의해서 연산된 출력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L0 메모리(120)는 뉴럴 코어(100)의 캐시 메모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0 메모리(120)는 액티베이션 LSU(140)에 의해서 인풋 액티베이션(Act_In)을 액티베이션 버퍼(150)로 전송하고,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을 수신할 수 있다. L0 메모리(120)는 액티베이션 LSU(140) 외에도, 프로세싱 유닛(160)과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L0 메모리(120)는 PE 어레이(163) 및 벡터 유닛(164) 각각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L0 메모리(120)는 뉴럴 코어 레벨 즉, L1(level 1)에 해당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따라서, L0 메모리(120)는 L1 메모리라 정의할 수도 있다. 단, L1 메모리는 L2 공유 메모리(400) 및 L3 공유 메모리, 즉 공유 메모리(2000)와는 달리 공유되지 않고 뉴럴 코어의 전용(private) 메모리일 수 있다.
L0 메모리(120)는 데이터 패스(Data Path)를 통해 액티베이션이나 웨이트 같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L0 메모리(120)는 별도의 전용 패스인 L1 싱크 패스(L1 Sync Path)를 통해서 동기화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L0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LSU(110), 웨이트 버퍼(130), 액티베이션 LSU(140) 및 프로세싱 유닛(160)과 L1 싱크 패스(L1 Sync Path)를 통해서 동기화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웨이트 버퍼(130)는 웨이트(Weight)를 L0 메모리(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웨이트 버퍼(130)는 웨이트(Weight)를 프로세싱 유닛(16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웨이트 버퍼(130)는 웨이트(Weight)를 전달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웨이트(Weight)를 저장할 수 있다.
인풋 액티베이션(Act_In) 및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은 신경망 네트워크의 레이어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신경망 네트워크의 레이어가 복수인 경우 이전 레이어의 출력값이 다음 레이어의 입력값이 되므로 이전 레이어의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이 다음 레이어의 인풋 액티베이션(Act_In)으로 활용될 수 있다.
웨이트(Weight)는 각 레이어에서 입력되는 입력 액티베이션(Act_In)과 곱해지는 파라미터를 의미할 수 있다. 웨이트(Weight)는 딥 러닝 학습 단계에서 조절되어 확정되고, 추론 단계에서는 고정된 값을 통해서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을 도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액티베이션 LSU(140)은 L0 메모리(120)로부터 인풋 액티베이션(Act_In)을 액티베이션 버퍼(150)로 전달하고, 액티베이션 버퍼(150)로부터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을 L0 메모리(1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액티베이션 LSU(140)은 액티베이션의 로드 작업과 스토어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액티베이션 버퍼(150)는 프로세싱 유닛(160)으로 인풋 액티베이션(Act_In)을 제공하고, 프로세싱 유닛(160)으로부터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을 수신할 수 있다. 액티베이션 버퍼(150)는 인풋 액티베이션(Act_In)과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액티베이션 버퍼(150)는 연산량이 많은 프로세싱 유닛(160), 특히, PE 어레이(163)에 빠르게 액티베이션을 제공하고, 빠르게 액티베이션을 수신하여 뉴럴 코어(100)의 연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60)은 연산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60)은 1차원 연산뿐만 아니라 2차원 매트릭스 연산 즉, 컨볼루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60)은 인풋 액티베이션(Act_In)을 수신하여 웨이트와 곱한 뒤 이를 더하여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프로세싱 유닛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싱 유닛(160)은 PE 어레이(163), 벡터 유닛(164), 컬럼 레지스터(161) 및 로우 레지스터(162)를 포함할 수 있다.
PE 어레이(163)는 인풋 액티베이션(Act_In) 및 웨이트(Weight)를 수신하여 곱셈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풋 액티베이션(Act_In)과 웨이트(Weight)는 각각 매트릭스 형태로 컨볼루션을 통해서 연산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PE 어레이(163)는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을 생성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PE 어레이(163)는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외의 다른 종류의 출력도 얼마든지 생성할 수 있다.
PE 어레이(16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엘리먼트(163_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엘리먼트(163_1)는 서로 정렬되어 각각 하나의 인풋 액티베이션(Act_In)과 하나의 웨이트(Weight)에 대한 곱셈을 수행할 수 있다.
PE 어레이(163)는 각각의 곱셈에 대한 값을 합한 부분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합은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으로 활용될 수 있다. PE 어레이(163)는 이차원 매트릭스 곱셈을 수행하므로 이차원 매트릭스 연산 유닛(2D matrix compute unit)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벡터 유닛(164)은 1차원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벡터 유닛(164)은 PE 어레이(163)와 함께 딥러닝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프로세싱 유닛(160)은 필요한 연산에 특화될 수 있다. 즉, 뉴럴 코어(100)는 대량의 2차원 매트릭스 곱셈과 1차원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 모듈이 각각 있어 효율적으로 딥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벡터 유닛(164)은 PE 어레이(163)로부터 연산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벡터 유닛(164)은 PE 어레이(163)에서 생성된 부분합을 제공받을 수 있다. 벡터 유닛(164)은 외부로부터 제1 출력(O1)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O1)은 다른 프로세싱 유닛(160)에서 연산된 연산 결과일 수 있다. 제1 출력(O1)은 예를 들어, L0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른 프로세싱 유닛(160)에서 생성된 부분합은, L0 메모리(12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제1 출력(O1)으로 벡터 유닛(164)에 제공될 수 있다. 벡터 유닛(164)은 PE 어레이(163)로부터 출력된 연산 결과와 제1 출력(O1)을 더하여, 제2 출력(O2)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벡터 유닛(164)이 제1 출력(O1)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벡터 유닛(164)은 PE 어레이(163)에서 출력된 연산 결과를 제2 출력(O2)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력(O2)은 다른 프로세싱 유닛(160)의 L0 메모리(120)에 제공될 수 있다.
컬럼 레지스터(161)는 제1 입력(I1)을 수신할 수 있다. 컬럼 레지스터(161)는 제1 입력(I1)을 수신하고 이를 분할하여 프로세싱 엘리먼트(163_1)의 각 열(column)에 제공할 수 있다.
로우 레지스터(162)는 제2 입력(I2)을 수신할 수 있다. 로우 레지스터(162)는 제2 입력(I2)을 수신하고 이를 분할하여 프로세싱 엘리먼트(163_1)의 각 행(row)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입력(I1)은 인풋 액티베이션(Act_In) 또는 웨이트(Weight)일 수 있다. 제2 입력(I2)은 인풋 액티베이션(Act_In) 또는 웨이트(Weight) 중 제1 입력(I1)이 아닌 값일 수 있다. 또는, 제1 입력(I1) 및 제2 입력(I2)은 인풋 액티베이션(Act_In) 및 웨이트(Weight) 외의 값이 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블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드웨어 블록(HB)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 및 명령어 실행 유닛(IEU)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드웨어 블록(HB)은 뉴럴 프로세싱 장치(1) 내에 포함된 임의의 구성요소 중,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하드웨어 블록(HB)은 뉴럴 프로세싱 장치(1) 내에 포함된 구성요소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페치(fetch)하고, 실행(executi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블록(HB)은 LSU(110), PE 어레이(163), 벡터 유닛(164)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드웨어 블록(HB)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 및 명령어 실행 유닛(IEU)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 중 어느 하나를 페치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에서 페치된 명령어는,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공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에서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공되는 명령어를 편의상, 실행 명령어(Exe_INST)로 정의한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복수의 프로그램 카운터(P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카운터(PC)는 페치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 카운터(PC)에 저장된 명령어의 주소에 액세스(excess)하여, 실행할 명령어를 페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미리 정한 클록마다 프로그램에 저장된 명령어를 페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에 포함된 복수의 프로그램 카운터(PC)의 개수는,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들의 디펜던시의 개수보다 같거나 많을 수 있다. 프로그램 내에서, 동일한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들은, 순차적으로 처리될 필요가 있다. 한편, 프로그램 내에서, 서로 다른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들은 처리의 선후에 독립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명령어의 디펜던시는 순차적으로 처리될 필요가 있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볼 수 있다. 즉, 제1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들은 서로 순차적으로 처리될 필요가 있으며, 제2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들은 서로 순차적으로 처리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제1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와, 제2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는 어느 하나의 명령어가 먼저 처리되거나, 병렬적으로 처리되어도 관계없다. 다시 말해서, 제1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와, 제2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는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들의 집합을 독립 명령어 세트라고 정의한다.
정리하면, 명령어의 디펜던시는, 순차적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명령어들을 그룹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독립 명령어 세트 내에 포함된 명령어들은 순차적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한편, 제1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페치하고 실행하는 것은, 제1 독립 명령어 세트와 다른 제2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페치하고 실행하는 것과 독립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명령어 페치 유닛(IFU)에 포함된 복수의 프로그램 카운터(PC)의 개수는,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들 중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디펜던시의 개수, 즉 독립 명령어 세트의 개수보다 많거나 같을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에서 실행 명령어(Exe_INST)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에서 제공받은 실행 명령어(Exe_INST)를 해석하고, 실행 명령어(Exe_INST)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적절한 하드웨어에 제공함으로써, 실행 명령어(Exe_INST)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미리 정한 클록에 따라 명령어 페치 유닛(IFU)으로부터 실행 명령어(Exe_INST)를 제공받고, 실행 명령어(Exe_INST)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그램(Program)은 복수의 명령어와, 복수의 명령어 각각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프로그램의 하나의 예시로서, 프로그램은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포함하고,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 사이에 해당 디펜던시에 포함되는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은 프라그마(pragma) 명령을 통해 나타낼 수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Program)은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0 begin),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0 end),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1 begin) 및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1 en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Program)은 제1 명령어(INST_1), 제2 명령어(INST_2), 제3 명령어(INST_3) 및 제4 명령어(INST_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는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0 begin)과,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0 en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는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가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0 begin)과,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0 end)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가 각각 제1 디펜던시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독립 명령어 세트는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명령어(INST_4)는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1 begin)과,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1 en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명령어(INST_4)가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1 begin)과,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1 end) 사이에 배치되는 것은, 제4 명령어(INST_4)가 제2 디펜던시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독립 명령어 세트는 제4 명령어(INST_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를 순차적으로 페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명령어(INST_1)가 페치되는 순서에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제1 명령어(INST_1)와 제2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제4 명령어(INST_4) 중 어느 하나를 페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명령어(INST_2)가 페치되는 순서에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제2 명령어(INST_2)와 제2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제4 명령어(INST_4) 중 어느 하나를 페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명령어(INST_3)가 페치되는 순서에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제3 명령어(INST_3)와 제2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제4 명령어(INST_4) 중 어느 하나를 페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와, 제2 독립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비-순차적(out of order)으로 페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그램(Program)은 복수의 명령어와, 복수의 명령어 각각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프로그램의 하나의 예시로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헤더(#header)와, 프로그램에서 수행할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헤더(#header)는 프로그램(Program)에서 수행할 명령어들에 대한 디펜던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더(#header)는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가 제1 디펜던시(Dep.0)에 포함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더(#header)는 제4 명령어(INST_4)가 제2 디펜던시(Dep.1)에 포함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Program)은 수행될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Program)은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4 명령어(INST_4)를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는 제1 디펜던시(Dep.0)를 가지므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를 순차적으로 처리(페치,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4 명령어(INST_4)는 제2 디펜던시(Dep.1)를 가지므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명령어(INST_1)와 제4 명령어(INST_4)를 비-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2 명령어(INST_2)와 제4 명령어(INST_4)를 비-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3 명령어(INST_3)와 제4 명령어(INST_4)를 비-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디펜던시(Dep.0)에 포함된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와, 제2 디펜던시(Dep.1)에 포함된 제4 명령어(INST_4)는 하드웨어 블록(HB)에 의해 비-순차적으로,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Program)의 헤더(#header)에 명령어들에 대한 디펜던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하드웨어 블록(HB)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 헤더(#header)를 참조하여 각 명령어들에 대한 디펜던시 정보를 미리 파악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Program)은 복수의 명령어와, 복수의 명령어 각각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프로그램(Program)의 하나의 예시로서, 프로그램(Program)에 포함된 명령어들은 각각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와, 수행할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명령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Program)에 포함된 제1 명령어(INST_1)는 제1 디펜던시(Dep.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와, 수행할 제1 명령어에 대한 정보(Info_INST_1)를 포함하는 명령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명령어(INST_2)는 제1 디펜던시(Dep.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와, 수행할 제2 명령어에 대한 정보(Info_INST_2)를 포함하는 명령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명령어(INST_3)는 제1 디펜던시(Dep.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와, 수행할 제3 명령어에 대한 정보(Info_INST_3)를 포함하는 명령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명령어(INST_4)는 제2 디펜던시(Dep.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와, 수행할 제4 명령어에 대한 정보(Info_INST_4)를 포함하는 명령어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명령어에 대한 정보(Info_INST_1)를 참조하여, 제1 명령어(INST_1)를 처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2 명령어에 대한 정보(Info_INST_2)를 참조하여, 제2 명령어(INST_2)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3 명령어에 대한 정보(Info_INST_3)를 참고하여, 제3 명령어(INST_3)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4 명령어에 대한 정보(Info_INST_4)를 참고하여, 제4 명령어(INST_4)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의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를 참고하면,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는 제1 디펜던시(Dep.0)를 가지므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를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4 명령어(INST_4)의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를 참고하면, 제4 명령어(INST_4)는 제2 디펜던시(Dep.1)를 가지므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1 명령어(INST_1)와 제4 명령어(INST_4)를 비-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2 명령어(INST_2)와 제4 명령어(INST_4)를 비-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3 명령어(INST_3)와 제4 명령어(INST_4)를 비-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Program)은 하드웨어 블록(HB)에서 처리할 복수의 명령어들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명령어들 각각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명령어들 각각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는 예시로서,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들의 디펜던시를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설계할 수 있다. 이하,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경우의 프로그램 실행 방법, 즉 명령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도 15a 및 도 15b를 통해 특정 명령어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의 명령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일반적인 경우에서, 하드웨어 블록의 명령어 페치 및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프로그램(Program)이 도 11에서 설명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4a를 참조하면, 하드웨어 블록(HB)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 및 명령어 실행 유닛(IEU)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Program)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페치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에서 페치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Program)은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4 명령어(INST_4)를 포함하고,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0 begin),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0 end),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1 begin) 및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1 en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0 begin)과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0 end) 사이에는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1 begin)과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1 end) 사이에는 제4 명령어(INST_4)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는 제1 디펜던시(Dep.0)를 갖고, 제4 명령어(INST_4)는 제2 디펜던시(Dep.1)를 가질 수 있다. 이를 달리 설명하면,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와, 제4 명령어(INST_4)는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를 처리하는 하드웨어를 제1 하드웨어로, 제4 명령어(INST_4)를 처리하는 하드웨어를 제2 하드웨어라고 정의한다. 즉,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1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는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4 명령어(INST_4)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2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하드웨어는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의 동작과 제2 하드웨어의 동작이 서로 독립적인 경우, 제1 디펜던시(Dep.0)를 갖는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와, 제2 디펜던시(Dep.1)를 갖는 제4 명령어(INST_4)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하드웨어의 동작이, 제2 하드웨어의 동작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경우, 제1 디펜던시(Dep.0)를 갖는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3 명령어(INST_3)는, 제2 디펜던시(Dep.1)를 갖는 제4 명령어(INST_4)와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 및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는 제1 디펜던시(Dep.0)의 제1 명령어(INST_1)를 포인팅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는 제1 디펜던시(Dep.0)의 제1 명령어(INST_1)가 저장된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는 제2 디펜던시(Dep.1)의 제4 명령어(INST_4)를 포인팅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는 제2 디펜던시(Dep.1)의 제4 명령어(INST_4)가 저장된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와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는 서로 다른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를 포인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가 제1 명령어(INST_1)를 포인팅하고,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가 제4 명령어(INST_4)를 포인팅하는 것은 프로그램(Program)의 초기 동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Program)의 초기 동작에서 명령어를 전체적으로 스캔하여, 제1 디펜던시(Dep.0)를 갖는 제1 명령어(INST_1)의 주소를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에 저장하고, 제2 디펜던시(Dep.1)를 갖는 제4 명령어(INST_4)의 주소를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그램(Program)이 헤더(#header)를 포함하는 경우,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Program)의 초기 동작에서 헤더(#header)를 스캔하여, 제1 명령어(INST_1) 내지 제4 명령어(INST_4)에 대한 디펜던시 정보를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디펜던시(Dep.0)를 갖는 제1 명령어(INST_1)의 주소를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에 저장하고, 제2 디펜던시(Dep.1)를 갖는 제4 명령어(INST_4)의 주소를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에 저장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일단,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프로그램(Program)을 실행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가 포인팅하는 제1 명령어(INST_1)를 페치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페치한 제1 명령어(INST_1)를 제1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1))로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으로부터 제1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1))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1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1))를 실행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제어 신호를 제1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의해, 제1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1))의 실행이 완료되면,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는 제2 명령어(INST_2)를 포인팅할 수 있다. 제2 명령어(INST_2)는 프로그램(Program)에서, 제1 명령어(INST_1) 다음으로 배치되는 명령어일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가 포인팅하는 제2 명령어(INST_2)를 페치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페치한 제2 명령어(INST_2)를 제2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2))로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으로부터 제2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2))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2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2))를 실행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제어 신호를 제1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의해, 제2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2))의 실행이 완료되면,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는 제3 명령어(INST_3)를 포인팅할 수 있다. 제3 명령어(INST_3)는 프로그램(Program)에서, 제2 명령어(INST_2) 다음으로 배치되는 명령어일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가 포인팅하는 제3 명령어(INST_3)를 페치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페치한 제3 명령어(INST_3)를 제3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3))로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으로부터 제3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3))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3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3))를 실행하기 위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3 제어 신호를 제1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는, 제3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의해, 제3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3))의 실행이 완료되면,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는 제4 명령어(INST_4)를 포인팅할 수 있다. 제4 명령어(INST_4)는 프로그램(Program)에서, 제3 명령어(INST_3) 다음으로 배치되는 명령어일 수 있다.
도 14d를 참조하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가 포인팅하는 제4 명령어(INST_4)를 페치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페치한 제4 명령어(INST_4)를 제4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4))로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으로부터 제4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4))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4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4))를 실행하기 위한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4 제어 신호를 제2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하드웨어는, 제4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미리 정한 클록에 따라, 프로그램(Program)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페치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이 페치한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명령어 페치 유닛(IFU)이 프로그램(Program)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페치하는 경우, 명령어 실행 유닛(IEU)도 프로그램(Program)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이와 관련된 하드웨어에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미리 정한 클록에 따라, 프로그램(Program)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페치하기 때문에, 만약 하드웨어에서 이전 명령어의 처리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하드웨어가 이전 명령어의 실행을 완료할 때까지, 다른 명령어를 페치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제2 명령어(INST_2)를 처리하고 있는 제1 하드웨어가 동작 중인 경우,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2 명령어(INST_2)와 제3 명령어(INST_3)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3 명령어(INST_3)를 페치할 클록에서 제3 명령어(INST_3)를 페치할 수 없다. 이 경우, 프로그램(Program)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특정 하드웨어의 동작이 지연되거나 완료되지 못해 순차적으로 페치되어야 할 명령어가 페치될 수 없는 상황에서의 명령어 페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15a 및 도 15b를 더 참조한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서, 하드웨어 블록의 명령어 페치 및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14a와 도 14b를 참조하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에 포함된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는 제1 디펜던시(Dep.0)를 갖는 제1 명령어(INST_1)를 포인팅하고,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는 제2 디펜던시(Dep.1)를 갖는 제2 명령어(INST_2)를 포인팅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제1 디펜던시(Dep.0)의 제1 명령어(INST_1)를 페치하고, 이를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1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1))로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1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1))에 대한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1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의 동작이 완료되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제1 디펜던시(Dep.0)의 제2 명령어(INST_2)를 페치하고, 이를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2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2))로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2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2))에 대한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1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1 하드웨어의 동작이 완료되면, 제3 명령어(INST_3)를 페치할 것이다. 그러나,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1 하드웨어가 여전히 동작 중인 경우, 즉 제2 명령어(INST_2)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2 명령어(INST_2)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를 이용하여, 제2 디펜던시(Dep.1)의 제4 명령어(INST_4)를 페치하고, 이를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4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4))로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4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4))에 대한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2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드웨어는 아직 동작 중이지만, 제1 하드웨어와 제2 하드웨어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제2 하드웨어는 제4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2 명령어(INST_2)의 실행이 완료되기 전, 제2 명령어(INST_2)와 다른 디펜던시를 갖는 제4 명령어(INST_4)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제2 명령어(INST_2)의 실행이 완료되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다시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제1 디펜던시(Dep.0)의 제3 명령어(INST_3)를 페치하고, 이를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3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3))로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제3 실행 명령어(Exe_INST(INST_3))에 대한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1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2 하드웨어가 동작하는 중에도, 제1 디펜던시(Dep.0)의 제3 명령어(INST_3)를 페치하여, 제3 명령어(INST_3)를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드웨어 블록(HB)은 제2 디펜던시(Dep.1)의 제4 명령어(INST_4)의 실행이 완료되기 전, 제1 디펜던시(Dep.0)의 제3 명령어(INST_3)를 실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Program)은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명령어 각각에 대한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명령어 각각에 대한 디펜던시에 대한 특성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드웨어 블록(HB)은 특정 명령어가 실행되는 중에도, 다른 명령어를 페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드웨어의 이용률이 대폭 향상되며, 프로그램 실행시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을 할 때, 하드웨어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디펜던시의 명령어들을 교차하여 반복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없고, 동일한 디펜던시 내의 명령어들에 대한 순서만 고려하면 되므로, 훨씬 쉬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하드웨어 블록(HB) 및 명령어 페치 방법에 대한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L0 메모리에서 프로세싱 유닛으로 데이터를 로드하는 뉴럴 코어의 구성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뉴럴 코어(100)는 L0 메모리(120),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 및 프로세싱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L0 메모리(120)에 저장된 웨이트(Weight) 및 인풋 액티베이션(ACT_In)을, 인풋 액티베이션/웨이트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통해 프로세싱 유닛(160)에 로드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L0 메모리(120)에 저장된 부분합(Psum)을 출력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통해 프로세싱 유닛(160)에 로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L0 메모리(120)에 저장된 인풋 액티베이션(ACT_In)과 웨이트(Weight)를 프로세싱 유닛(160)에 포함된 PE 어레이(163)에 로드할 수 있다. PE 어레이(163)는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에 의해 로드된 인풋 액티베이션(ACT_In)과 웨이트(Weight)를 이차원 연산할 수 있다. PE 어레이(163)는 인풋 액티베이션(ACT_In)과 웨이트(Weight)의 연산 결과를 벡터 유닛(16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L0 메모리(120)에 저장된 부분합(Psum)을 프로세싱 유닛(160)에 포함된 벡터 유닛(164)에 로드할 수 있다. 벡터 유닛(164)은 PE 어레이(163)의 연산 결과와,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에 의해 로드된 부분합(Psum)을 더하고, 일차원 연산을 통해 아웃풋 액티베이션(ACT_Out)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 및 명령어 실행 유닛(IEU)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 및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전술한 하드웨어 블록(HB)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이 수행하는 프로그램(Program)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 17을 더 참조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프로그램(Program)은 복수의 명령어들과, 이 명령어들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표시한 프로그램(Program)의 예시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Program)은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헤더(#header)에 각 명령어들에 대한 디펜던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Program)은 웨이트 로딩 명령어(Load Weight), 제1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1), 제2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2), 제1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1) 및 제2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Program)은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0 begin),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0 end),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1 begin) 및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1 end)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로딩 명령어(Load Weight), 제1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1) 및 제2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2)는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0 begin) 및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0 en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1) 및 제2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2)는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1 begin) 및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1 en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웨이트 로딩 명령어(Load Weight), 제1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1) 및 제2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2)와, 제1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1) 및 제2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2)는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왜냐하면, 웨이트(Weight), 제1 인풋 액티베이션(ACT_In_1) 및 제2 인풋 액티베이션(ACT_In_2)을 프로세싱 유닛(160)에 로딩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과, 제1 부분합(Psum_1) 및 제2 부분합(Psum_2)을 프로세싱 유닛(160)에 로딩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웨이트 로딩 명령어(Load Weight), 제1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1) 및 제2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2) 중 어느 하나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1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1) 및 제2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2) 중 어느 하나를 페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제1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1) 및 제2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2) 중 어느 하나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웨이트 로딩 명령어(Load Weight), 제1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1) 및 제2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2) 중 어느 하나를 페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을 위해 도 18 및 도 19를 더 참조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에 포함된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L0 메모리(120)에 저장된 웨이트(Weight)를 로딩하여 PE 어레이(163)에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를 이용하여, L0 메모리(120)에 저장된 제1 인풋 액티베이션(ACT_In_1)을 로딩하여 PE 어레이(163)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L0 메모리(120)에 저장된 웨이트(Weight) 또는 제1 인풋 액티베이션(ACT_In_1)의 로딩에 오류가 발생하였거나, 로딩이 지연되는 경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웨이트(Weight) 및 제1 인풋 액티베이션(ACT_In_1)의 로딩과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한, 제1 부분합(Psum_1)을 로딩하여 벡터 유닛(164)에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웨이트 로딩 명령어(Load Weight) 및 제1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1)의 처리가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제1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1)를 페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도 16,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벡터 유닛(164)은 PE 어레이(163)에서 생성된 웨이트(Weight)와 인풋 액티베이션(ACT_In)의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와, L0 메모리(120)로부터 로드된 부분합(Psum)을 더하여, 최종 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PE 어레이(163)는 2차원 연산을 수행하므로, PE 어레이(163)로부터의 연산 결과는 2차원 매트릭스 데이터일 수 있다.
PE 어레이(163)로부터의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는 시간별로 한 행(row)씩 벡터 유닛(164)에 출력하게 된다. 즉, 벡터 유닛(164)은 제1 시점에 PE 어레이(163)로부터 제1 행에 대한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를 제공받고, L0 메모리(120)로부터 제1 행과 대응되는 부분합(Psum)을 제공받아, 제1 행에 대한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와, 제1 행과 대응되는 부분합(Psum)을 더하여, 제1 행에 대한 최종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벡터 유닛(164)은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제2 행에 대한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를 제공받고, L0 메모리(120)로부터 제2 행과 대응되는 부분합(Psum)을 제공받아, 제2 행에 대한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와 제2 행과 대응되는 부분합(Psum)을 더하여, 제2 행에 대한 최종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PE 어레이(163)의 연산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PE 어레이(163)는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를 시간에 따라 한 행씩 출력하기 때문에, PE 어레이(163)는 상부에 배치된 프로세싱 엘리먼트(163_1)부터 연산을 완료하게 된다.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PE 어레이(163)로부터의 연산이 완료될 때까지 부분합(Psum)을 로딩하여야 하므로, 결국 PE 어레이(163)의 연산이 완료되어야 부분합을 로딩하는 명령어가 완료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PE 어레이(163)의 상부에 배치된 프로세싱 엘리먼트(163_1)들은 이미 연산을 완료하였더라도, PE 어레이(163)의 연산이 전체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새로운 데이터를 로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LMLU)은 PE 어레이(163)의 연산 시간에 따라, L0 메모리(120)에 저장된 제1 부분합(Psum_1)의 로딩이 지연되는 경우, 제1 부분합(Psum_1)의 로딩과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한 (다음 연산에 사용될) 웨이트(Weight)와 제1 인풋 액티베이션(ACT_In_1)을 로딩하여, 이를 PE 어레이(163)에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디펜던시(Dep.1)의 제1 부분합 로딩 명령어(Load Psum_1)의 실행을 완료하지 않았더라도, 제1 디펜던시(Dep.0)의 웨이트 로딩 명령어(Load Weight) 또는 제1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1)를 페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제1 디펜던시(Dep.0)의 웨이트 로딩 명령어(Load Weight) 및 제1 인풋 액티베이션 로딩 명령어(Load Act_In_1)를 어떤 명령어가 페치될지는 프로그램(Program)의 구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벡터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벡터 유닛(164)은 명령어 페치 유닛(IFU) 및 명령어 실행 유닛(IEU)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 및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Program)으로부터 명령어를 페치하고, 이를 실행 명령어로 명령어 실행 유닛(IEU)에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 유닛(IEU)은 실행 명령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와 관련된 하드웨어에 제공할 수 있다. 벡터 유닛(164)은 PE 어레이(163)로부터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를 수신하여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L0 메모리(120)로부터 부분합(Psum)을 수신하여 레지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벡터 유닛(164)은 레지스터에 저장된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와 부분합(Psum)을 더하여, 최종 결과 데이터(Final Result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벡터 유닛(164)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Program)은 연산 결과 데이터 저장 명령어(Add Result Data to Register), 부분합 저장 명령어(Add Psum to Register) 및 최종 결과 데이터 저장 명령어(Store Final Result Dat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Program)은 연산 결과 데이터 저장 명령어(Add Result Data to Register)에 대한 디펜던시 정보와, 부분합 저장 명령어(Add Psum to Register)에 대한 디펜던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 결과 데이터 저장 명령어(Add Result Data to Register)는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0 begin)과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0 en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부분합 저장 명령어(Add Psum to Register)는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Dep.1 begin)과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Dep.1 en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의 제1 프로그램 카운터(PC_1)는 연산 결과 데이터 저장 명령어(Add Result Data to Register)가 저장된 위치를 포인팅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는 부분합 저장 명령어(Add Psum to Register)가 저장된 위치를 포인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누적 연산 또는 합 연산은 데이터의 선 후에 관계가 없기 때문에, 벡터 유닛(164)이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를 먼저 저장하든지, 부분합(Psum)을 먼저 저장하든지 관계가 없다. 따라서, 만약 PE 어레이(163)에서 연산으로 인해 연산 결과 데이터(Result Data)가 벡터 유닛(164)에 전달되지 않고 있는 경우, 벡터 유닛(164)은 제2 프로그램 카운터(PC_2)를 이용하여, 부분합(Psum)을 먼저 저장할 수 있다.
도 21은 도 7의 L0 메모리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L0 메모리(120)는 아비터(121) 및 적어도 하나의 로컬 메모리 뱅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가 L0 메모리(120)로 저장될 때, 아비터(121)는 로드 엔진(113a)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식으로 로컬 메모리 뱅크(122)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로컬 메모리 뱅크(122)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데이터가 L0 메모리(120)에서 로드될 때, 아비터(121)는 로컬 메모리 뱅크(1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토어 엔진(113b)으로 전달될 수 있다. 스토어 엔진(113b)은 로컬 인터커넥션(200)을 통해서 외부로 데이터를 저장시킬 수 있다.
도 22는 도 21의 로컬 메모리 뱅크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로컬 메모리 뱅크(122)는 로컬 메모리 뱅크 컨트롤러(122_1) 및 로컬 메모리 뱅크 셀 어레이(122_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메모리 뱅크 컨트롤러(122_1)는 로컬 메모리 뱅크(122)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통해서 리드 및 라이트 동작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로컬 메모리 뱅크 컨트롤러(122_1)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로컬 메모리 뱅크 셀 어레이(122_2)는 데이터가 직접 저장되는 셀이 행과 열을 맞춰 정렬된 구조일 수 있다. 로컬 메모리 뱅크 셀 어레이(122_2)는 로컬 메모리 뱅크 컨트롤러(122_1)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뉴럴 코어(101)는 뉴럴 코어(100)와 달리 CGRA 구조일 수 있다. 뉴럴 코어(101)는 인스트럭션 메모리(111_1), CGRA L0 메모리(111_2), PE 어레이(111_3), LSU(Load/Store Unit)(111_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 메모리(111_1)는 인스트럭션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 메모리(111_1)는 인스트럭션을 내부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PE 어레이(111_3)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스트럭션은 각 PE 어레이(111_3)에 포함된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CGRA L0 메모리(111_2)는 뉴럴 코어(101) 내부에 위치한 메모리로서, 뉴럴 코어(101)가 작업에 필요한 모든 입력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CGRA L0 메모리(111_2)는 뉴럴 코어(101)에 의해서 연산된 출력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CGRA L0 메모리(111_2)는 뉴럴 코어(101)의 캐시 메모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CGRA L0 메모리(111_2)는 PE 어레이(111_3)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CGRA L0 메모리(111_2)는 L1 보다 낮은 L0(level 0)에 해당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이때, L0 메모리는 공유되지 않는 뉴럴 코어(101)의 전용(private) 메모리일 수 있다. CGRA L0 메모리(111_2)는 액티베이션이나 웨이트 같은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PE 어레이(111_3)로 전송할 수 있다.
PE 어레이(111_3)는 연산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PE 어레이(111_3)는 1차원 연산뿐만 아니라 2차원 이상의 매트릭스/텐서 연산도 수행할 수 있다. PE 어레이(111_3)는 내부에 복수의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 및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 및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는 행과 열로 정렬될 수 있다.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 및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는 m 열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는 n 행으로 정렬되고,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는 l행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 및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는 (n+l)행과 m열로 정렬될 수 있다.
LSU(111_4)는 로컬 인터커넥션(200)을 통해서 외부에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동기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LSU(111_4)은 CGRA L0 메모리(111_2)로 수신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동기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LSU(111_4)는 로컬 인터커넥션(200)을 통해서 데이터, 제어 신호 및 동기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전달 수 있다.
뉴럴 코어(101)는 CGRA(Coarse Grained Reconfigurable Architectur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뉴럴 코어(101)는 PE 어레이(111_3)의 각각의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와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가 각각 CGRA L0 메모리(111_2), 인스트럭션 메모리(111_1) 및 LSU(111_4)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 및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는 CGRA L0 메모리(111_2), 인스트럭션 메모리(111_1) 및 LSU(111_4)의 전부와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 및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는 서로 다른 종류의 프로세싱 소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CGRA L0 메모리(111_2), 인스트럭션 메모리(111_1) 및 LSU(111_4) 중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와 연결되는 소자와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와 연결되는 소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CGRA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뉴럴 코어(101)는 높은 수준의 병렬 연산이 가능하고,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 및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 사이의 직접적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므로 전력 소모가 낮을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종류의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를 포함하여 다양한 연산 작업에 따른 최적화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a)가 2차원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싱 엘리먼트인 경우 특정 프로세싱 엘리먼트(111_3b)는 1차원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싱 엘리먼트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의 메모리 재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뉴럴 코어 SoC(10)은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 및 온 칩 메모리(OC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에서는 예시적으로 8개의 프로세싱 유닛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프로세싱 유닛의 개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온 칩 메모리(OCM)는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120a~120h) 및 공유 메모리(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120a~120h)는 각각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의 전용 메모리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과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120a~120h)는 서로 1:1로 대응될 수 있다.
공유 메모리(2000)는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은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 및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120a~120h)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유닛의 개수는 프로세싱 유닛 및 L0 메모리의 개수와 동일한 8개일 수 있다.
공유 메모리(2000)는 2가지 종류의 온 칩 메모리 형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공유 메모리(2000)는 L0 메모리 형식 또는 글로벌 메모리 형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공유 메모리(2000)는 하나의 하드웨어로 2가지의 논리적인(logical) 메모리를 구현할 수 있다.
공유 메모리(2000)가 L0 메모리 형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공유 메모리(2000)는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120a~120h)와 같이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 각각의 전용 메모리(private memory)로 동작할 수 있다. L0 메모리는 글로벌 메모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고속의 클럭으로 동작할 수 있고, 공유 메모리(2000)도 L0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때 상대적으로 더 빠른 클럭을 사용할 수 있다.
공유 메모리(2000)가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공유 메모리(2000)는 제1 프로세싱 유닛(100a) 및 제2 프로세싱 유닛(100b)이 서로 같이 사용하는 공용 메모리(common memory)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공유 메모리(2000)는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뿐만 아니라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120a~120h)에 의해서도 공유될 수 있다.
글로벌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L0 메모리에 비해서 낮은 클럭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유 메모리(2000)가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때는,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이 공유 메모리(2000)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공유 메모리(2000)는 도 2의 휘발성 메모리(32)와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을 통해서 연결되고, 휘발성 메모리(32)의 버퍼로 동작할 수도 있다.
공유 메모리(2000)는 적어도 일부가 L0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하고, 나머지가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공유 메모리(2000) 전체가 L0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공유 메모리(2000) 전체가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는, 공유 메모리(2000)의 일부가 L0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하고, 나머지 일부가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시스템의 메모리 재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제3, 제5 및 제7 프로세싱 유닛(100a, 100c, 100e, 100g) 각각의 제1, 제3, 제5 및 제7 전용 영역(AE1, AE3, AE5, AE7)은 각각 제1, 제3, 제5 및 제7 L0 메모리(120a, 120c, 120e, 120g)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4, 제6 및 제8 프로세싱 유닛(100b, 100d, 100f, 100h) 각각의 제2, 제4, 제6 및 제8 전용 영역(AE2, AE4, AE6, AE8)은 각각 제2, 제4, 제6 및 제8 L0 메모리(120b, 120d, 120f, 120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4, 제6 및 제8 전용 영역(AE2, AE4, AE6, AE8)은 제2, 제4, 제6 및 제8 메모리 유닛(2100b, 2100d, 2100f, 2100h)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 메모리(2000)의 제1, 제3, 제5 및 제7 메모리 유닛(2100a, 2100c, 2100e, 2100g)은 공용 영역(AC)으로 활용될 수 있다.
공용 영역(AC)은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에 의해서 공유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제2 전용 영역(AE2)은 제2 L0 메모리(120b)와 제2 메모리 유닛(2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용 영역(AE2)은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된 제2 L0 메모리(120b)와 제2 메모리 유닛(210b)이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여 논리적으로 하나의 L0 메모리로 동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4, 제6 및 제8 전용 영역(AE4, AE6, AE8)도 제2 전용 영역(AE2)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유 메모리(2000)는 각 뉴럴 코어에 대응하는 영역을 최적화된 비율의 논리적인 L0 메모리와 논리적인 글로벌 메모리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유 메모리(2000)는 이러한 비율의 조정을 런 타임(Run time)에서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뉴럴 코어는 서로 동일한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각 뉴럴 코어가 하는 작업에 필요한 L0 메모리의 용량과 글로벌 메모리의 용량은 매번 다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온 칩 메모리와 같이 L0 메모리와 공유 메모리의 구성 비율이 고정적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각 뉴럴 코어에게 할당되는 연산 작업에 따른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공유 메모리(2000)는 런 타임 중에 연산 작업에 따라서 최적의 L0 메모리 및 글로벌 메모리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고, 연산의 효율성 및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6은 도 24의 A부분을 확대한 블록도이다.
도 24 및 도 26을 참조하면, 공유 메모리(2000)는 제1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 제2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b), 제5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e), 제6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f),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 및 글로벌 컨트롤러(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L0 메모리 컨트롤러도 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으나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
제1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는 제1 L0 메모리(120a)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는 제1 메모리 유닛(2100a)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모리 유닛(2100a)이 논리적인 L0 메모리 형식으로 구현될 때, 제1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에 의한 제어가 제1 메모리 유닛(2100a)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b)는 제2 L0 메모리(12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b)는 제2 메모리 유닛(2100b)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메모리 유닛(2100b)이 논리적인 L0 메모리 형식으로 구현될 때, 제1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에 의한 제어가 제2 메모리 유닛(2100b)에 수행될 수 있다.
제5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e)는 제5 L0 메모리(120e)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5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e)는 제5 메모리 유닛(2100e)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5 메모리 유닛(2100e)이 논리적인 L0 메모리 형식으로 구현될 때, 제5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e)에 의한 제어가 제5 메모리 유닛(2100e)에 수행될 수 있다.
제6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f)는 제6 L0 메모리(120f)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6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f)는 제6 메모리 유닛(2100f)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6 메모리 유닛(2100f)이 논리적인 L0 메모리 형식으로 구현될 때, 제6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f)에 의한 제어가 제6 메모리 유닛(2100f)에 수행될 수 있다.
글로벌 컨트롤러(2200)는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컨트롤러(2200)는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이 각각 논리적으로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때(즉, 논리적으로 L0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제1 메모리 유닛(2100a)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h)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은 논리적으로 어떤 형식의 메모리로 구현되느냐에 따라서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122_1h)에 의해 각각 제어되거나 글로벌 컨트롤러(220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제1, 제2, 제5 및 제6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 122_1b, 122_1e, 122_1f)를 포함하는 L0 메모리 컨트롤러가 각각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을 제어하는 경우,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141h)는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을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120a~120h)와 동일하게 제어하므로,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의 전용 메모리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은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의 클럭 주파수와 대응하는 클럭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 제2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b), 제5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e) 및 제6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f)를 포함하는 L0 메모리 컨트롤러는 각각 도 7의 LSU(110)을 포함할 수 있다.
글로벌 컨트롤러(2200)가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제어하는 경우, 글로벌 컨트롤러(2200)는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을 각각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의 글로벌 메모리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제1 내지 제8 프로세싱 유닛(160a~160h)의 클럭 주파수와는 무관한 클럭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글로벌 컨트롤러(2200)는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을 도 3의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과 연결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은 글로벌 컨트롤러(2200)에 의해서 도 1의 오프 칩 메모리(30)와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제1 내지 제8 L0 메모리(120a~120h) 와 각각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메모리 유닛(2100a~2100h)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뱅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 유닛(2100a)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 뱅크(2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 뱅크(2110a)는 제1 메모리 유닛(2100a)을 특정한 크기로 나눈 영역일 수 있다. 각각의 제1 메모리 뱅크(2110a)는 모두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 소자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6에서는 4개의 메모리 뱅크가 하나의 메모리 유닛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유사하게 제2, 제5 및 제6 메모리 유닛(2100b, 2100e, 2100f)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2, 제5 및 제6 메모리 뱅크(2110b, 2110e, 2110f)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메모리 뱅크(2110a) 및 제5 메모리 뱅크(2110e)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이는 제2 및 제6 메모리 뱅크(2110b, 2110f)를 포함한 다른 메모리 뱅크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메모리 뱅크(2110a)는 각각 논리적으로 L0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하거나 논리적으로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메모리 뱅크(2110a)는 제1 메모리 유닛(2100a) 내의 다른 메모리 뱅크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메모리 뱅크별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메모리 유닛(2100a)은 제1 L0 메모리(120a)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1 영역과, 제1 L0 메모리(120a)와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반드시 병존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의 영역이 전체 제1 메모리 유닛(2100a)의 전체를 차지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메모리 유닛(2100b)은 제2 L0 메모리(120b)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3 영역과, 제2 L0 메모리(120b)와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과 제4 영역이 반드시 병존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의 영역이 전체 제1 메모리 유닛(2100a)의 전체를 차지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비율은 제3 영역과 제4 영역의 비율과 상이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비율은 제3 영역과 제4 영역의 비율과 동일할 수도 있다. 즉, 각 메모리 유닛에서의 메모리 구성 비율을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시스템 온 칩의 경우에는 고속의 L0 메모리를 제외한 온 칩 메모리를 고밀도 저전력 SRAM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필요한 용량 대비 칩의 면적과 사용 전력에서 SRAM이 높은 효율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온 칩 메모리는 미리 결정된 L0 메모리의 용량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빠르게 필요한 작업의 경우에는 처리 속도가 크게 느려질 수밖에 없었고, 글로벌 메모리의 필요가 크지 않은 경우에도 남아있는 글로벌 메모리를 활용할 방안이 전혀 없어 비효율이 발생하였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공유 메모리(2000)는 경우에 따라서 각각 2개의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공유 메모리(2000)가 전체적으로 2개의 컨트롤러 중 정해진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것은 아니고, 메모리 유닛 단위 또는 메모리 뱅크 단위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유 메모리(2000)는 연산 작업에 따른 최적의 메모리 구성 비율을 런 타임 중에 획득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인 연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인공지능에 특화된 프로세싱 유닛의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L0 메모리와 글로벌 메모리의 필요한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나아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라도 딥러닝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각 층(layer) 별로 L0 메모리와 글로벌 메모리의 필요한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유 메모리(2000)는 각 층에 따른 연산 단계의 변화에도 메모리의 구성 비율이 런 타임 중에 변화될 수 있어 빠르고 효율적인 딥러닝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7은 도 26의 제1 메모리 뱅크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는 제1 메모리 뱅크(2110a)에 대해서 도시하였지만, 다른 메모리 뱅크도 제1 메모리 뱅크(2110a)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메모리 뱅크(2110a)는 셀 어레이(Ca), 뱅크 컨트롤러(Bc), 제1 경로 유닛(P1) 및 제2 경로 유닛(P2)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Ca)는 내부에 복수의 메모리 소자(Cell)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어레이(Ca)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가 격자 구조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셀 어레이(Ca)는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셀 어레이일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는 셀 어레이(Ca)를 제어할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는 셀 어레이(Ca)가 L0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지, 아니면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동작할 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셀 어레이(Ca)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뱅크 컨트롤러(Bc)는 런 타임 중에 제1 경로 유닛(P1) 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지, 제2 경로 유닛(P2) 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는 경로 컨트롤 신호(Spc)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경로 컨트롤 신호(Spc)는 미리 설계된 장치 드라이버나 컴파일러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경로 컨트롤 신호(Spc)는 연산 작업의 특성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경로 컨트롤 신호(Spc)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장 최적의 메모리 구성 비율을 선택하기 위해서 경로 컨트롤 신호(Spc)에 대한 입력을 직접 인가할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는 경로 컨트롤 신호(Spc)를 통해서 셀 어레이(Ca)에 저장된 데이터들의 송수신되는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가 데이터들이 송수신되는 경로를 결정하는 것에 따라 데이터들의 교환 인터페이스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뱅크 컨트롤러(Bc)가 제1 경로 유닛(P1)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고, 제2 경로 유닛(P2)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제2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터페이스와 제2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어드레스 체계도 달라질 수 있다. 즉, 특정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체계로 리드 및 라이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는 특정 클럭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어레이(Ca)가 SRAM 셀 어레이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SRAM의 동작 클럭 주파수로 뱅크 컨트롤러(Bc)가 동작할 수 있다.
제1 경로 유닛(P1)은 뱅크 컨트롤러(Bc)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경로 유닛(P1)은 셀 어레이(Ca)의 데이터를 제1 프로세싱 유닛(100a)과 직접 교환할 수 있다. 이때, “직접”이란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을 거치지 않고 서로 교환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프로세싱 유닛(100a)은 제1 L0 메모리(120a)와 직접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제1 프로세싱 유닛(100a)은 공유 메모리(2000)가 논리적으로 L0 메모리 형식으로 구현되었을 때 제1 경로 유닛(P1)을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경로 유닛(P1)은 도 14의 제1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a) 및 제2 L0 메모리 컨트롤러(122_1b)를 포함한 L0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로 유닛(P1)은 멀티 사이클 싱크 패스(Multi-Cycle Sync-Path)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경로 유닛(P1)의 동작 클럭 주파수는 제1 프로세싱 유닛(100a)의 동작 클럭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L0 메모리(120a)는 제1 프로세싱 유닛(100a)의 동작과 같은 속도로 빠르게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서 제1 프로세싱 유닛(100a)의 동작 클럭 주파수와 동일한 클럭 주파수로 빠르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경로 유닛(P1)도 동일하게 제1 프로세싱 유닛(100a)의 동작 클럭 주파수와 동일한 클럭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 유닛(P1)의 동작 클럭 주파수는 뱅크 컨트롤러(Bc)의 동작 클럭 주파수의 배수(倍數)일 수 있다. 이 경우, 뱅크 컨트롤러(Bc)와 제1 경로 유닛(P1) 사이에 클럭의 동기화를 위한 CDC(Clock Domain Crossing) 작업이 따로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의 지연(delay)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7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경로 유닛(P1)의 동작 클럭 주파수는 1.5GHz일 수 있다. 이는 뱅크 컨트롤러(Bc)의 750MHz의 2배의 주파수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뱅크 컨트롤러(Bc)의 클럭 주파수의 정수배로 제1 경로 유닛(P1)이 동작하는 경우라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제2 경로 유닛(P2)은 뱅크 컨트롤러(Bc)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경로 유닛(P2)은 셀 어레이(Ca)의 데이터를 제1 프로세싱 유닛(100a)과 직접 교환하지 않고,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을 통해서 교환할 수 있다. 즉, 제1 프로세싱 유닛(100a)은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 및 제2 경로 유닛(P2)을 통해서 셀 어레이(Ca)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셀 어레이(Ca)는 단순히 제1 프로세싱 유닛(100a)뿐만 아니라 다른 뉴럴 코어와도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즉, 제2 경로 유닛(P2)은 제1 메모리 뱅크(2110a)가 논리적으로 글로벌 메모리 형식으로 구현되었을 때 셀 어레이(Ca)와 모든 뉴럴 코어와의 데이터 교환 경로일 수 있다. 제2 경로 유닛(P2)은 도 26의 글로벌 컨트롤러(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로 유닛(P2)은 어싱크 패스(Async-Path)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경로 유닛(P2)의 동작 클럭 주파수는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의 동작 클럭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경로 유닛(P2)도 동일하게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의 동작 클럭 주파수와 동일한 클럭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 유닛(P2)의 동작 클럭 주파수는 뱅크 컨트롤러(Bc)의 동작 클럭 주파수와 서로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뱅크 컨트롤러(Bc)와 제2 경로 유닛(P2) 사이에 클럭의 동기화를 위한 CDC(Clock Domain Crossing)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의 동작 클럭 주파수와 제2 경로 유닛(P2)의 동작 클럭 주파수를 서로 동기화 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클럭 도메인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 설계의 난이도가 낮아져 더욱 용이하게 하드웨어 동작을 도출할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는 제1 경로 유닛(P1)을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와 제2 경로 유닛(P2)을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어드레스 체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뱅크 컨트롤러(Bc)는 제1 경로 유닛(P1)을 통해서는 제1 어드레스 체계를 이용하고, 제2 경로 유닛(P2)을 통해서는 제2 어드레스 체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어드레스 체계와 제2 어드레스 체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뱅크 컨트롤러(Bc)는 반드시 메모리 뱅크별로 존재할 필요는 없다. 즉, 뱅크 컨트롤러(Bc)는 스케쥴링을 위한 부분이 아니라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므로, 2개의 포트를 가지는 각각의 메모리 뱅크에 필수적인 부분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뱅크 컨트롤러(Bc)가 여러 메모리 뱅크를 제어할 수 있다. 여러 메모리 뱅크는 뱅크 컨트롤러(Bc)에 의해 제어되더라도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뱅크 컨트롤러(Bc)는 각 메모리 뱅크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뱅크 컨트롤러(Bc)가 각각의 메모리 뱅크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메모리 유닛(210a)이 제1 경로 유닛(P1)을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제1 어드레스 체계를 사용하고, 제2 경로 유닛(P2)을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제2 어드레스 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메모리 유닛(210b)이 제1 경로 유닛(P1)을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제3 어드레스 체계를 사용하고, 제2 경로 유닛(P2)을 통해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제2 어드레스 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어드레스 체계와 제3 어드레스 체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어드레스 체계와 제3 어드레스 체계는 각각 제1 프로세싱 유닛(100a) 및 제2 프로세싱 유닛(100b)에 각각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어드레스 체계는 제1 프로세싱 유닛(100a) 및 제2 프로세싱 유닛(100b)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7에서는 예시적으로, 제2 경로 유닛(P2)의 동작 클럭 주파수는 1GHz로 동작할 수 있다. 이는 뱅크 컨트롤러(Bc)의 750MHz의 동작 클럭 주파수와 동기화 되지 않은 주파수일 수 있다. 즉, 제2 경로 유닛(P2)의 동작 클럭 주파수는 뱅크 컨트롤러(Bc)의 동작 클럭 주파수에 전혀 종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글로벌 메모리는 느린 SRAM(예를 들어, 750MHz)과 그보다 빠른 글로벌 인터커넥션(예를 들어, 1GHz)를 이용하여 CDC 작업에 따른 지연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공유 메모리(2000)는 제2 경로 유닛(P2) 외에도 제1 경로 유닛(P1)을 이용할 여지가 있어 CDC 작업에 따른 지연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글로벌 메모리는 복수의 뉴럴 코어가 하나의 글로벌 인터커넥션(5000)을 이용하므로 데이터 전송량이 동시에 발생하였을 때 전체적인 처리 속도의 저하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공유 메모리(2000)는 제2 경로 유닛(P2) 외에도 제1 경로 유닛(P1)을 이용할 여지가 있어 글로벌 컨트롤러(2200)에 몰리는 데이터 처리량을 적절하게 분산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는 DL 프레임워크(10000), 컴파일러 스택(20000) 및 백엔드 모듈(30000)을 포함할 수 있다.
DL 프레임워크(100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딥러닝 모델 네트워크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서플로우나 파이토치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이 완료된 뉴럴 네트워크가 생성될 수 있다.
컴파일러 스택(20000)은 어댑테이션 레이어(21000), 컴퓨트 라이브러리(22000), 프론트엔드 컴파일러(23000), 백엔드 컴파일러(24000) 및 런타임 드라이버(2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테이션 레이어(21000)는 DL 프레임워크(10000)에 접하는 레이어일 수 있다. 어댑테이션 레이어(21000)는 DL 프레임워크(10000)에서 생성된 유저의 신경망 모델을 양자화시키고 그래프 수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어댑테이션 레이어(21000)는 모델의 타입을 필요한 타입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프론트엔드 컴파일러(23000)는 어댑테이션 레이어(21000)에서 전달받은 다양한 신경망 모델 및 그래프를 일정한 중간 표현(intermediate representation, IR)으로 변환해줄 수 있다. 변환된 IR은 추후 백엔드 컴파일러(24000)에서 다루기 쉬운 미리 설정된 표현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엔드 컴파일러(23000)의 IR은 그래프 차원에서 미리 할 수 있는 최적화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엔드 컴파일러(23000)는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레이아웃으로 변환시키는 작업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IR을 생성할 수 있다.
벡엔드 컴파일러(24000)는 프론트엔드 컴파일러(23000)에서 변환된 IR을 최적화하고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하여 런타임 드라이버가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백엔드 컴파일러(24000)는 하드웨어의 세부 사항에 맞는 스케일로 잡(job)을 분할하여 최적화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트 라이브러리(22000)는 여러가지 오퍼레이션 중에 하드웨어에 적합한 형태로 설계된 템플릿 오퍼레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트 라이브러리(22000)는 하드웨어가 필요한 여러 템플릿 오퍼레이션을 벡엔드 컴파일러(24000)에 제공하여 최적화된 코드가 생성될 수 있게 한다.
런타임 드라이버(25000)는 구동 중에 계속해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네트워크 장치의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뉴럴 네트워크 장치의 인터페이스의 실행을 담당할 수 있다.
백엔드 모듈(30000)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31000),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32000) 및 C-model(33000)을 포함할 수 있다. ASIC(31000)은 미리 결정된 설계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하드웨어 칩을 의미할 수 있다. FPGA(32000)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하드웨어 칩일 수 있다. C-model(33000)은 소프트웨어 상에 하드웨어를 모사하여 구현한 모델을 의미할 수 있다.
백엔드 모듈(30000)은 컴파일러 스택(20000)을 통해서 생성된 바이너리 코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가 수행하는 딥 러닝 연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은, 기계학습 모델의 일 예로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술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적 신경망의 구조에 기초하여 구현된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 또는 그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구조이다.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은, 생물학적 신경망에서와 같이 시냅스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인 노드(Node)들이 시냅스의 웨이트를 반복적으로 조정하여, 특정 입력에 대응한 올바른 출력과 추론된 출력 사이의 오차가 감소되도록 학습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기계학습 모델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은 기계 학습, 딥러닝 등의 인공지능 학습법에 사용되는 임의의 확률 모델, 뉴럴 네트워크 모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는 이러한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의 형태를 구현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은 입력 영상을 수신하고, 입력 영상에 포함된 대상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은 다층의 노드들과 이들 사이의 연결로 구성된 다층 퍼셉트론(MLP: multilayer perceptron)으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은 MLP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공신경망 모델 구조들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은,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 또는 데이터(40100)를 수신하는 입력층(41000), 입력 데이터에 대응한 출력 신호 또는 데이터(40200)를 출력하는 출력층(44000), 입력층(41000)과 출력층(44000) 사이에 위치하며 입력층(4100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특성을 추출하여 출력층(44000)으로 전달하는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은닉층(42000 내지 430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출력층(44000)은 은닉층(42000 내지 4300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로 출력한다.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의 학습 방법에는, 교사 신호(정답)의 입력에 의해서 문제의 해결에 최적화되도록 학습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방법과, 교사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방법이 있다.
뉴럴 프로세싱 장치는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을 학습시키기 위한 학습 데이터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직접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의 입력층(41000)과 출력층(44000)에 복수의 입력변수와 대응되는 복수의 출력변수가 각각 매칭되고, 입력층(41000), 은닉층(42000 내지 43000) 및 출력층(44000)에 포함된 노드들 사이의 시냅스 값이 조정됨으로써, 특정 입력에 대응한 올바른 출력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과정을 통해,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의 입력변수에 숨겨져 있는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입력변수에 기초하여 계산된 출력변수와 목표 출력 간의 오차가 줄어들도록 인공신경망 모델(40000)의 노드들 사이의 시냅스 값(또는 웨이트)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및 추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학습 과정(Training Phase)에서는 다수의 학습 자료(TD)들이 인공신경망 모델(NN)로 포워딩되고, 다시 백워딩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인공신경망 모델(NN)의 각 노드의 웨이트와 바이어스들이 조율되고 이를 통해서 점점 더욱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학습이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학습 과정(Training Phase)을 통해서 인공신경망 모델(NN)은 학습된 신경망 모델(NN_T)로 변환될 수 있다.
추론 과정(Inference Phase)에서는 새로운 데이터(ND)가 다시 학습된 신경망 모델(NN_T)로 입력될 수 있다. 학습된 신경망 모델(NN_T)은 새로운 데이터(ND)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 학습된 웨이트와 바이어스를 통해서 결과 데이터(RD)를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데이터(RD)는 학습 과정(Training Phase)에서 어떤 학습 자료(TD)로 학습하였는지와, 얼마나 많은 학습 자료(TD)를 이용하였는지가 중요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뉴럴 프로세서에 포함된 하드웨어 블록의 명령어 페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들의 디펜던시를 결정할 수 있다(S100).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의 헤더가 명령어들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 헤더를 스캔하여, 각 명령어들의 디펜던시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프로그램에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을 포함하는 경우,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들의 전체적인 디펜던시를 결정할 필요는 없고, 현재 수행하는 명령어와 다른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의 위치만 포인팅하면 된다.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를 페치할 수 있다(S200). 제1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된 경우(S300, Y),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다음 순서의 명령어를 페치할 수 있다(S500). 한편, 제1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S300, N),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를 페치할 수 있다(S400). 이어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를 모두 페치하고, 실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600).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가 모두 페치되고, 실행 완료된 경우(S600, Y), 명령어 페치 유닛(IFU)의 동작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 중 적어도 일부가 페치/실행될 필요가 있는 경우(S600, N), 명령어 페치 유닛(IFU)은 단계 S300 내지 S600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웨이트, 인풋 액티베이션 및 부분합이 저장되는 로컬 메모리;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을 연산하는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로컬 메모리에서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을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로드하는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은,
    상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의 프로그램에서 상기 로컬 메모리에서 상기 웨이트,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 및 상기 부분합 중 어느 하나를 로드하기 위한 명령어를 페치하는 명령어 페치 유닛; 및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에서 페치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명령어 실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제1 웨이트를 로드하기 위한 제1 명령어, 제1 인풋 액티베이션을 로드하기 위한 제2 명령어, 제1 부분합을 로드하기 위한 제3 명령어 및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뉴럴 프로세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은,
    상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페치하고,
    상기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에서 최종적으로 페치한 명령어와 다른 디펜던시를 갖는 명령어를 페치하는,
    뉴럴 프로세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디펜던시의 상기 제1 명령어,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상기 제2 명령어 및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의 상기 제3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나열된,
    뉴럴 프로세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은, 상기 제1 명령어, 상기 제2 명령어 및 상기 제3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페치하는 것을 계획하되,
    상기 제1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명령어보다 상기 제3 명령어를 먼저 페치하는,
    뉴럴 프로세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이트의 로딩이 완료되기 전,
    상기 로컬 메모리 로드 유닛은 상기 부분합을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로드하기 위한 상기 제3 명령어를 페치하는,
    뉴럴 프로세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은 페치할 명령어의 위치를 포인팅하는 복수의 프로그램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 카운터의 개수는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의 개수보다 많거나 같은,
    뉴럴 프로세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을 연산하는 PE 어레이; 및
    상기 PE 어레이로부터의 연산 결과와, 상기 부분합을 연산하는 벡터 유닛을 포함하는,
    뉴럴 프로세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 실행 유닛이 상기 제3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PE 어레이로부터의 연산 결과와 상기 부분합을 연산하는 동안,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은 상기 제1 명령어 및 상기 제2 명령어 중 하나를 페치하는,
    뉴럴 프로세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을 포함하고,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은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뉴럴 프로세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명령어와 상기 제2 명령어는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명령어는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과,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사이에 배치되는,
    뉴럴 프로세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제1 디펜던시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뉴럴 프로세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 각각에 포함된 디펜던시 인덱스 비트에 포함되는,
    뉴럴 프로세서.
  13. 부분합이 저장되는 로컬 메모리;
    웨이트 및 인풋 액티베이션을 이차원 연산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PE 어레이; 및
    상기 로컬 메모리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부분합과 상기 PE 어레이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결과 데이터를 일차원 연산하여 최종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벡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벡터 유닛은,
    상기 벡터 유닛에 대한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상기 PE 어레이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명령어 및 상기 로컬 메모리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부분합을 저장하기 위한 제2 명령어를 페치하는 명령어 페치 유닛; 및
    상기 명령어 페치 유닛에서 페치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명령어 실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명령어와 상기 제2 명령어는 디펜던시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페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명령어와 상기 제2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관한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뉴럴 프로세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명령어와 상기 제2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나열된,
    뉴럴 프로세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유닛은 상기 제1 명령어를 통해 저장된 상기 결과 데이터와, 상기 제2 명령어를 통해 저장된 상기 부분합을 더해, 상기 최종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뉴럴 프로세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PE 어레이가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인풋 액티베이션을 연산하는 시간으로 인해, 상기 제1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벡터 유닛은 상기 제2 명령어를 통해 상기 부분합을 먼저 저장하는,
    뉴럴 프로세서.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을 포함하고, 제1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상기 제1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시작 지점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의 종료 지점은 상기 제1 명령어 및 상기 제2 명령어의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뉴럴 프로세서.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는 제1 디펜던시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뉴럴 프로세서.
  19. 하드웨어 블록에 포함된 명령어 페치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뉴럴 프로세서의 명령어 페치 방법으로서,
    프로그램에서 제1 디펜던시를 갖는 제1 명령어를 페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디펜던시와 다른 제2 디펜던시의 제2 명령어를 페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명령어의 실행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에서 상기 제1 명령어 다음에 배치된 제3 명령어를 페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명령어, 상기 제3 명령어 및 상기 제2 명령어의 순서로 배치된 명령어 세트와,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에 대한 상기 제1 디펜던시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명령어 페치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제1 디펜던시 및 상기 제2 디펜던시에 대한 정보를 스캔하여, 상기 제1 명령어 내지 상기 제3 명령어의 디펜던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명령어 페치 방법.
KR1020220184836A 2022-12-26 2022-12-26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 KR10254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836A KR102548582B1 (ko) 2022-12-26 2022-12-26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
US18/477,457 US11915001B1 (en) 2022-12-26 2023-09-28 Neural processor and method for fetching instruction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836A KR102548582B1 (ko) 2022-12-26 2022-12-26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582B1 true KR102548582B1 (ko) 2023-06-29

Family

ID=8694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836A KR102548582B1 (ko) 2022-12-26 2022-12-26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5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635A (ko) * 2017-05-19 2019-10-18 구글 엘엘씨 신경 네트워크 프로세싱을 스케줄링하기
KR20210135999A (ko) * 2019-03-15 2021-11-16 인텔 코포레이션 시스톨릭 어레이에서 블록 희소 작업을 위한 아키텍처
KR20220136806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딥엑스 Npu, 엣지 디바이스 그리고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635A (ko) * 2017-05-19 2019-10-18 구글 엘엘씨 신경 네트워크 프로세싱을 스케줄링하기
KR20210135999A (ko) * 2019-03-15 2021-11-16 인텔 코포레이션 시스톨릭 어레이에서 블록 희소 작업을 위한 아키텍처
KR20220136806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딥엑스 Npu, 엣지 디바이스 그리고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74691A1 (en) Processing element and neur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ame
US11650793B2 (en) Processing element, neur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reof
KR102480300B1 (ko) 뉴럴 프로세싱 장치 및 그의 잡 스케쥴링 방법
KR20230102224A (ko) 뉴럴 프로세싱 장치 및 그의 동기화 방법
KR102548582B1 (ko) 뉴럴 프로세서 및 이의 명령어 페치 방법
US11915001B1 (en) Neural processor and method for fetching instructions thereof
KR102509472B1 (ko) 뉴럴 프로세싱 장치 및 그의 공유 페이지 테이블 사용 방법
KR102480287B1 (ko) Dag 모디피케이션 모듈, 이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장치 및 프로세싱 장치의 dag 모디피케이션 방법
KR102506622B1 (ko) 뉴럴 프로세싱 장치의 퍼포먼스 측정 방법 및 퍼포먼스 측정 장치
US11789791B1 (en) Neur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hared page table thereof
US11966358B1 (en) Neural processor
KR102622420B1 (ko) 뉴럴 프로세싱 장치 및 그의 다이나믹 프리퀀시 스케일링 방법
US11954584B2 (en) Neural core, neur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loading data of neural processing device
US11861401B2 (en) Neur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job scheduling thereof
US20230315336A1 (en) Neur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data thereof
US11836082B2 (en) Neural processing device and load/store method of neural processing device
US11775437B1 (en) Neural processing device
US20230334304A1 (en) Neural processing device
US20230244920A1 (en) Neur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thereof
US11960391B2 (en) Neur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hereof
US20220300817A1 (en) Neur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uning thereof
KR20230133504A (ko) 프로세싱 엘리먼트, 이를 포함하는 뉴럴 프로세싱 장치 및 그의 연산 방법
KR20230102226A (ko) 뉴럴 프로세싱 장치 및 그의 트랜잭션 트래킹 방법
KR20230133497A (ko) 뉴럴 프로세싱 장치 및 그의 프루닝 방법
KR20240064460A (ko) 뉴럴 프로세싱 장치 및 그의 태스크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